KR20030025278A - 투광기 - Google Patents

투광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0025278A
KR20030025278A KR10-2003-7000891A KR20037000891A KR20030025278A KR 20030025278 A KR20030025278 A KR 20030025278A KR 20037000891 A KR20037000891 A KR 20037000891A KR 20030025278 A KR20030025278 A KR 2003002527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alloon
frame
light
pillar
generato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3-700089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요시모리노리히토
키리야마마코토
Original Assignee
가부시키가이샤 그린 사비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가부시키가이샤 그린 사비스 filed Critical 가부시키가이샤 그린 사비스
Publication of KR2003002527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0025278A/ko

Link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L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BEING PORTABLE OR SPECIALLY ADAPTED FOR TRANSPORTATION
    • F21L14/00Electric lighting devices without a self-contained power source, e.g. for mains connection
    • F21L14/04Electric lighting devices without a self-contained power source, e.g. for mains connection carried on wheeled support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SNON-PORTABLE LIGHTING DEVICES; SYSTEMS THEREOF; VEHICLE LIGH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EXTERIORS
    • F21S8/00Lighting devices intended for fixed installa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PVEHICLES ADAPTED FOR LOAD TRANSPORTATION OR TO TRANSPORT, TO CARRY, OR TO COMPRISE SPECIAL LOADS OR OBJECTS
    • B60P3/00Vehicles adapted to transport, to carry or to comprise special loads or objects
    • B60P3/18Vehicles adapted to transport, to carry or to comprise special loads or objects the object being a searchlight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SNON-PORTABLE LIGHTING DEVICES; SYSTEMS THEREOF; VEHICLE LIGH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EXTERIORS
    • F21S9/00Lighting devices with a built-in power supply; Systems employing lighting devices with a built-in power supply
    • F21S9/04Lighting devices with a built-in power supply; Systems employing lighting devices with a built-in power supply the power supply being a generator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VFUNCTIONAL FEATURES OR DETAIL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STRUCTURAL COMBINATIONS OF LIGHTING DEVICES WITH OTHER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V11/00Screens not covered by groups F21V1/00, F21V3/00, F21V7/00 or F21V9/00
    • F21V11/02Screens not covered by groups F21V1/00, F21V3/00, F21V7/00 or F21V9/00 using parallel laminae or strips, e.g. of Venetian-blind type
    • F21V11/04Screens not covered by groups F21V1/00, F21V3/00, F21V7/00 or F21V9/00 using parallel laminae or strips, e.g. of Venetian-blind type adjustabl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VFUNCTIONAL FEATURES OR DETAIL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STRUCTURAL COMBINATIONS OF LIGHTING DEVICES WITH OTHER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V11/00Screens not covered by groups F21V1/00, F21V3/00, F21V7/00 or F21V9/00
    • F21V11/16Screens not covered by groups F21V1/00, F21V3/00, F21V7/00 or F21V9/00 using sheets without apertures, e.g. fixed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VFUNCTIONAL FEATURES OR DETAIL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STRUCTURAL COMBINATIONS OF LIGHTING DEVICES WITH OTHER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V11/00Screens not covered by groups F21V1/00, F21V3/00, F21V7/00 or F21V9/00
    • F21V11/16Screens not covered by groups F21V1/00, F21V3/00, F21V7/00 or F21V9/00 using sheets without apertures, e.g. fixed
    • F21V11/18Screens not covered by groups F21V1/00, F21V3/00, F21V7/00 or F21V9/00 using sheets without apertures, e.g. fixed movable, e.g. flaps, slid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VFUNCTIONAL FEATURES OR DETAIL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STRUCTURAL COMBINATIONS OF LIGHTING DEVICES WITH OTHER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V17/00Fastening of component parts of lighting devices, e.g. shades, globes, refractors, reflectors, filters, screens, grids or protective cages
    • F21V17/10Fastening of component parts of lighting devices, e.g. shades, globes, refractors, reflectors, filters, screens, grids or protective cages characterised by specific fastening means or way of fastening
    • F21V17/16Fastening of component parts of lighting devices, e.g. shades, globes, refractors, reflectors, filters, screens, grids or protective cages characterised by specific fastening means or way of fastening by deformation of parts; Snap action mounting
    • F21V17/164Fastening of component parts of lighting devices, e.g. shades, globes, refractors, reflectors, filters, screens, grids or protective cages characterised by specific fastening means or way of fastening by deformation of parts; Snap action mounting the parts being subjected to bending, e.g. snap joint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VFUNCTIONAL FEATURES OR DETAIL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STRUCTURAL COMBINATIONS OF LIGHTING DEVICES WITH OTHER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V19/00Fastening of light sources or lamp holders
    • F21V19/006Fastening of light sources or lamp holders of point-like light sources, e.g. incandescent or halogen lamps, with screw-threaded or bayonet base
    • F21V19/007Fastening of light sources or lamp holders of point-like light sources, e.g. incandescent or halogen lamps, with screw-threaded or bayonet base the support means engaging the vessel of the sourc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VFUNCTIONAL FEATURES OR DETAIL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STRUCTURAL COMBINATIONS OF LIGHTING DEVICES WITH OTHER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V21/00Supporting, suspending, or attaching arrangements for lighting devices; Hand grips
    • F21V21/08Devices for easy attachment to any desired place, e.g. clip, clamp, magnet
    • F21V21/0808Adhesive mea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VFUNCTIONAL FEATURES OR DETAIL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STRUCTURAL COMBINATIONS OF LIGHTING DEVICES WITH OTHER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V21/00Supporting, suspending, or attaching arrangements for lighting devices; Hand grips
    • F21V21/14Adjustable mountings
    • F21V21/22Adjustable mountings telescopic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VFUNCTIONAL FEATURES OR DETAIL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STRUCTURAL COMBINATIONS OF LIGHTING DEVICES WITH OTHER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V3/00Globes; Bowls; Cover glasses
    • F21V3/02Globes; Bowls; Cover glasses characterised by the shape
    • F21V3/023Chinese lanterns; Ballo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VFUNCTIONAL FEATURES OR DETAIL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STRUCTURAL COMBINATIONS OF LIGHTING DEVICES WITH OTHER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V15/00Protecting lighting devices from damage
    • F21V15/02Cag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VFUNCTIONAL FEATURES OR DETAIL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STRUCTURAL COMBINATIONS OF LIGHTING DEVICES WITH OTHER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V19/00Fastening of light sources or lamp holders
    • F21V19/04Fastening of light sources or lamp holders with provision for changing light source, e.g. turret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VFUNCTIONAL FEATURES OR DETAIL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STRUCTURAL COMBINATIONS OF LIGHTING DEVICES WITH OTHER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V25/00Safety devices structurally associated with lighting devices
    • F21V25/02Safety devices structurally associated with lighting devices coming into action when lighting device is disturbed, dismounted, or broken
    • F21V25/04Safety devices structurally associated with lighting devices coming into action when lighting device is disturbed, dismounted, or broken breaking the electric circuit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W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F21K, F21L, F21S and F21V, RELATING TO USES OR APPLICATION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 F21W2131/00Use or application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not provided for in codes F21W2102/00-F21W2121/00
    • F21W2131/10Outdoor lighting
    • F21W2131/1005Outdoor lighting of working places, building sites or the lik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Transportat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Securing Globes, Refractors, Reflectors Or The Like (AREA)
  • Non-Portable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AREA)

Abstract

발전기(6)와, 발전기(6)를 탑재하는 대차(1)와, 대차(1)에 세워 설치한 신축지주(2)와, 신축지주(2)의 상단에 장비되는 벌룬(4)과, 벌룬(4)에 내장한 조명기구(3)를 구비하고, 발전기(6)와 조명기구(3)를 통전이 가능하게 구성한 투광기이다. 이와 같은 구성으로 함으로서, 대차(1)에 탑재한 발전기(6)로부터의 전기의 공급에 의해 조명기구(3)를 점등시키고, 그 빛을, 벌룬(4)을 통과하게 하여 부드러운 빛으로 바꾸어, 벌룬(4)의 외측 전둘레 방향에 대하여 투광할 수 있다. 따라서, 도로공사 등의 야간조명으로서 이용하여도, 통행 차량의 운전자에게 눈부심을 느끼게 하는 일이 없으며, 또한 조명기구의 빛을 광범위에 조사할 수 있다.

Description

투광기{light projector}
종래로부터, 발전기를 탑재하는 대차(臺車)에 세워 설치한 신축지주의 상단에, 램프(전구)의 빛을 반사기에 의해 전방으로 향해서 조사하는 스폿형의 조명기구를, 소요의 개수 장비한 투광기가 알려져 있다.
이러한 종류의 투광기에 있어서, 상기 조명기구로부터 조사되는 빛(투광)은 밝은 쪽이 공사 작업 등을 쉽게 행할 수 있다는 것은 말할 것도 없지만, 야간의 도로공사에 이용한 경우, 그 투광이 통행 차량의 운전자에게 있어서 지나치게 눈이 부실 우려가 있고, 특히 고속도로 등의 공사현장에서는 운전에 지장이 초래될 것도 생각되어진다. 또, 상기 조명기구로부터 조사되는 빛은, 반사기에 의해 빛의 투광방향을 전방만으로 한정하고 있기 때문에 투광범위가 좁아지고, 공사면적이 넓을 경우 등은 여러 대의 투광기가 필요해진다는 불편함이 있었다.
본 발명은 이와 같은 종래의 사정을 감안하여 이루어진 것으로, 그 목적으로 하는 바는, 눈부심을 느끼게 하는 일 없으면서도 빛을 넓은 범위에 조사할 수 있는 신규의 투광기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은, 공사현장, 경기용 그라운드, 캠프장 등의 야간조명으로서 사용되는 투광기에 관한 것이다. 상세하게는, 광원으로부터의 빛을 간접적으로 조사하여 눈부심을 저감하는 것으로, 예를 들면 도로공사용의 야간조명 등에 유효하게 이용할 수 있는 투광기에 관한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에 관한 투광기의 실시형태의 하나의 예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2는, 벌른 중심부의 확대종단면도이다.
도 3은, 조명기구의 틀체의 횡단평면도이다.
도 4는, 조명기구의 전구와 전구유지체의 관계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5는, 벌룬의 외측에 장착하는 덮개막의 하나의 예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6은, 조명기구의 틀체에 루버를 장착한 예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7은, 조명기구의 틀체에 장착하는 덮개판의 예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8은, 조명기구의 틀체가 지주구조인 예를 나타내는 벌룬 중심부의 확대종단면도이다.
도 9는, 삼부(三部) 구성으로 한 벌룬을 나타내는 분해사시도이다.
도 10은, 지주구조로 한 틀체의 다른 예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관한 투광기는, 발전기와, 이 발전기를 탑재하는 대차와, 이 대차에 세워 설치한 신축지주와, 이 신축지주의 상단에 장비되는 벌룬과, 이 벌룬에 내장한 조명기구를 구비하고, 상기 발전기와 조명기구를 통전이 가능하게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와 같이 구성한 본 발명의 투광기에 의하면, 조명기구의 점등시에는, 빛이 벌룬을 통하여 부드러운 빛으로 바뀌고, 벌룬의 외측 전둘레 방향에 대하여 투광할 수 있기 때문에, 눈부심을 느끼게 하는 일 없이 빛을 넓은 범위에 조사할 수 있다.
또 본 발명에서는, 상기 조명기구가, 전구와, 이 전구를 유지(保持)하는 틀체와, 상기 벌룬을 팽창시키기 위한 벌룬팽창수단을 가지며, 또한 상기 벌룬을 유지하는 상부지지체와 하부지지체를 설치하고, 상기 틀체를 상기 상부지지체와 하부지지체로 협지(挾持)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와 같이 구성한 경우, 벌룬이 틀체에 강고하게 설치되기 때문에, 벌룬의 팽창상태가 단단하게 유지된다.
또 본 발명에서는, 상기 상부지지체 및 하부지지체가, 상기 벌룬의 내측에배치되는 내부플레이트와, 이 벌룬의 외측에 배치되는 외부플레이트로 이루어지고, 이들 내부플레이트와 외부플레이트로 상기 벌룬의 임의의 부위를 협지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와 같이 구성한 경우, 벌룬에 있어서의 마주하는 부위를, 내부플레이트와 외부플레이트의 면에 의해 협지하는 고정구조로 되기 때문에, 이 고정부분에 있어서 벌룬이 찢기거나 구멍이 뚫릴 우려가 없으며, 벌룬을 단단하게 유지할 수 있다.
또 본 발명에서는, 상기 틀체가, 그 틀체의 상부와 하부 사이에 세워진 여러 개의 지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와 같이 구성한 경우, 틀체가 여러 개의 지주로 이루어지는 강고한 구조체로 된다.
또 본 발명에서는, 상기 틀체의 각각의 지주가, 적어도, 제 1의 기둥과, 이 제 1의 기둥보다 직경이 작은 제 2의 기둥을 구비하고, 이 제 2의 기둥이 상기 제 1의 기둥의 내부에 미끄러짐이 자유롭게 삽입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와 같이 구성한 경우, 각각의 제 2의 기둥을 미끄럼운동을 하여 임의의 위치에서 이 미끄럼운동을 규제함으로서, 틀체의 길이를 임의로 조절할 수 있다.
또 본 발명에서는, 상기 벌룬이, 상면부와, 몸통부와, 하면부로 구성되고, 상기 상면부와 하면부에, 상기 몸통부가 걸거나 벗김이 자유롭게 이루어진 거는수단을 설치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와 같이 구성한 경우, 거는수단을 조작함으로서, 벌룬의 몸통부를 간단하게 해체할 수 있다.
또 본 발명은, 상기 벌룬의 외측의 임의의 장소에, 차광성을 갖는 한 장 또는 여러 장의 덮개막을 탈착이 가능하게 적절하게 장착할 수 있도록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와 같이 구성한 경우, 벌룬의 외측의 임의의 장소에 덮개막을 설치함으로서, 조명기구로부터 조사되는 빛을 부분적으로 차단하고 투광범위를 적절하게 설정할 수 있다.
또 본 발명은, 상기 틀체의 주위에, 차광성을 갖는 한 장 또는 여러 장의 루버 또는 덮개판을, 개폐운동이 자유롭게, 또는 탈착이 자유롭게 장착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와 같이 구성한 경우, 틀체의 주위에 설치한 임의의 루버를 개폐운동시킴으로서, 또는 틀체의 주위의 임의의 장소에 덮개판을 장착함으로서, 조명기구로부터 조사되는 빛을 부분적으로 차단하고 투광범위를 적절하게 설정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대하여,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제 1 도는, 본 발명에 관한 투광기의 실시형태의 하나의 예를 나타낸 사시도로, 이 투광기 A는, 발전기(6)와, 이 발전기(6)를 탑재하는 대차(1)와, 이 대차(1)에 세워 설치한 신축지주(2)와, 이 신축지주(2)의 상단에 장비되는 벌룬(4)과, 이 벌룬(4)에 내장한 적어도 전구(5)를 갖는 조명기구(3)를 구비하고, 발전기(6)와 조명기구(3)를 통전이 가능하게 함으로서, 발전기(6)로부터의 전기공급에 의해 조명기구(3)가 점등하고, 전구(5)로부터의 현란한 빛을 벌룬(4)을 통과하게 함으로서 눈부심을 느끼게 하지 않는 부드러운 빛으로 바꾸어, 벌룬(4)의 외측 전둘레 방향에 대하여 투광할 수 있도록 구성하고 있다.
대차(1)는, 차체베이스(1-1)의 전후좌우로 차륜(1-2)을 회동이 자유롭게 축으로 지지한 것으로, 차륜장비발전기(6)를 걸거나 벗김이 가능하게 탑재할 수 있도록 형성함과 동시에, 후부에 신축지주(2)가 세워 설치하고 있다.
또한, 발전기(6)에 대해서는 차륜을 갖지 않고, 대차(1) 위에 탈착이 가능하게, 또는 고정적으로 탑재하여도 물론 좋으며, 특히 한정되어 있는 것은 아니다.
신축지주(2)는, 대차(1)의 후부 상면에 기본관기둥(2-1)을 세우고, 이 기본관기둥(2-1)내에, 이 기본관기둥(2-1)에 대하여 점차로 내경을 작게 한 적어도 1개의 중간관기둥, 제 1 도 중에서는 2개의 중간관기둥(2-2, 2-3)을 차례대로 상하 미끄럼운동이 가능하게 느슨하게 끼우고, 이들 중간관기둥(2-2, 2-3)을 공지의 승강수단에 의해 차례로 상하 미끄럼운동하도록 함으로서, 조명기구(3)의 높이를 적절하게 변경 또한 설정할 수 있도록 형성하고 있다.
그리고, 중간관기둥(2-3)의 상단에는, 조인트부재(7)를 개재하여 최상단의 접속기둥(2-4)을 탈착이 가능하게 삽입하여 접속함으로서, 조명기구(3)를 장비할 수 있도록 하고 있다.
상기 조인트부재(7)에는, 발전기(6)에 통전하는 케이블(9)의 플러그와, 조명기구(3)에 통전하는 케이블(8)의 플러그가 삽입되고, 이것에 의해, 발전기(6)와 조명기구(3)를 통전이 가능하게 전기적에 접속하고, 발전기(6)로부터 공급되는 전기로 전구(5)가 점등함과 동시에 후술할 공기흡입장치(10)가 작동하도록 구성하고 있다.
각 중간관기둥(2-2, 2-3)을 상하 미끄럼운동시키는 승강수단으로서는 특히 한정되어 있는 것은 아니지만, 예를 들면 기본관기둥(2-1)에 설치한 윈치에 감은 와이어의 선단을 중간관기둥(2-3)에 연결함과 동시에, 이 와이어의 중도부분을, 중간관기둥(2-2, 2-3)에 설치한 활차에 걸쳐 놓고, 상기 윈치에 의한 와이어의 감아올림, 풀어냄에 의해 각각의 중간관기둥(2-2, 2-3)을 올림내림조작을 하도록 구성한 것이나, 기본관기둥(2-1)내에 조립한 가스댐퍼의 반발력을 이용하여, 각각의 중간관기둥(2-2, 2-3)을 올렸다 내렸다 하는 조작을 한쪽 손으로 행할 수 있도록 구성한 것을 예시할 수 있다.
또, 신축지주(2)에는 발전기(6)로부터의 케이블(9)을 부분적으로 각각 지지시키고, 기본관기둥(2-1)에 대하여 각각의 중간관기둥(2-2, 2-3)을 올리는 조작을 행하면 각각의 지지부에 의해 이 케이블(9)이 연장되고, 내리는 조작을 행하면 이 케이블(9)이 루프모양으로 정리되도록 하고 있다.
조명기구(3)는, 제 2 도 및 제 3 도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격자모양으로 대략 원통형상으로 틀이 형성되고 전구(5)를 수용하는 틀체(3-1)와, 이 틀체(3-1)의 하부에 설치되는 하부지지체(3-2)와, 틀체(3-1)의 상부에 설치되는 상부지지체(3-3)와, 하부지지체(3-2)의 상방에 설치되는 공기흡입장치(10)와, 전구(5)를 아래 방향으로 장착하는 소켓(11)을 구비하고, 하부지지체(3-2)에 의해 틀체(3-1)를 신축지주(2)의 상단에 세워 설치 고정함과 동시에, 하부지지체(3-2)와 상부지지체(3-3)로 벌룬(4)을 유지하고, 또한 하부지지체 (3-2)와 상부지지체(3-3)로 틀체(3-1)를 협지하여 벌룬(4)이 마주하는 부위를 틀체(3-1)에 고정하고 있다.
틀체(3-1)는, 소망의 강성을 갖는 금속선재를 이용하여, 적절한 길이로 상하 단측을 접어 구부려 가공한 여러 개의 세로봉(3-10)을 전구(5)의 주위에 배치함과 동시에, 전구(5)보다 큰 직경을 갖는 여러 개의 링봉(3-11a)을 이들 세로봉(3-10)을 감싸도록 설치하고, 또한 상기 링봉(3-11a)보다도 작은 직경을 갖는 여러 개의 링봉(3-11b)을, 상기 세로봉(3-10)의 상부와 하부의 내측으로 졸여 부친 부분을 감싸도록 설치하여, 상하 단측이 졸여 부친 대략 원통모양으로 틀을 형성하고 있다.
또, 틀(3-1)의 거의 중앙부분에는 전구(5)의 교환을 행하기 위한 개폐문(12)을 형성함과 동시에, 틀체(3-1)의 내부에, 각각의 세로틀(3-10)에 상하 슬라이드가 가능하게 걸리는 전구유지체(13)를 장착하고 있다.
개폐문(12)은, 틀체(3-1)와 같은 금속선재를 이용하고, 틀체(3-1)의 외주부분에 대하여 그 둘레방향으로 거의 1/3 정도로, 높이방향 거의 전체길이에 걸치는 크기로 틀을 형성한 것으로, 틀체(3-1)의 외주부분에 그 개폐문(12)과 같은 정도의 크기로 형성되는 개구부에 한 쪽으로 열 수 있도록 구비되고, 전구(5)가 끊겼을 때 등에 그 교환을 용이하게 할 수 있도록 하고 있다.
전구유지체(13)는, 제 3 도 및 제 4 도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틀체(3-1)의 중심으로부터 세로봉(3-10) 혹은 개폐문(12)의 세로봉(12-1)을 향해서 방사상으로 연장되도록 배치되는 세 개의 팔걸이(13-2)의 내단부분에, 전구(5)의 선단돌출부(5-1)가 상방으로부터 끼워넣어져 전구(5)를 유지하는 유지부(13-1)를 형성함과 동시에, 각각의 팔걸이(13-2)의 외단부분의 측가장자리에, 세로봉(3-10) 혹은 (12-1)에 미끄럼운동이 가능하게 걸어 맞추는 걸어맞춤요부(14a)를 설치하고, 또한, 상기 세로봉(3-10)과 관련되는 두 방향의 팔걸이(13-2)에, 내단부분을 팔걸이(13-2)에 고정하고 외단부분을 그 세로봉(3-10)에 걸거나 벗김이 가능하게 걸도록 하는 거는고리(15)를 구비하여 이루어진다.
거는고리(15)는 스프링성을 갖는 판재로 이루어지고, 팔걸이(13-2)에 고정된 내단부분의 외측을, 외단부분이 상위가 되도록 접어 구부린 경사부(15a)로 하고, 또한 외단부분의 측가장자리에는 세로봉(3-10)에 걸어 맞추는 걸어맞춤요부(14b)를 상기 걸어맞춤요부(14a)와는 반대 방향이 되도록 설치하고 있다. 이렇게 하여, 제 2 도, 제 4 도에 나타내는 상태에서는, 상기 경사부(15a)의 스프링작용에 의해, 걸어맞춤요부(14b)가 세로봉(3-10)에 압접하여 전구유지틀(13)의 상하 슬라이드가 규제되는 한편, 경사부(15a)를 팔걸이(13-2) 방향으로 밀었을 때에는 상기 스프링작용이 발휘되지 않고, 전구유지틀(13)의 상하 슬라이드가 가능하게 되도록 구성하고, 전구유지체(13)를, 틀체(3-1)내에 아래 방향으로 유지된 전구(5)를 유지할 수 있는 적절한 위치에서 걸 수 있도록 하고 있다.
또한, 전구유지체(13)를 적절한 높이위치에 걸기 위한 수단은, 상술한 거는고리(15)를 이용한 형태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예를 들면 제 8도나 제 10 도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틀체의 각 세로봉(지주)부분에 스프링(55)을 장착하고, 그 반발력을 이용하여 전구유지체(13)를 상방으로 가세하여 적절한 높이위치에 유지하도록 하여도 좋다.
틀체(3-1)의 하부에 설치하는 하부지지체(3-2)는, 제 2 도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벌룬(4)의 외측에 배치되는 외부플레이트(3-20)와, 틀체(3-1)의 하단부에 연속 설치되는 내부플레이트(3-21)를 구비하고, 이들 외부플레이트(3-20)와 내부플레이트(3-21)로, 내측의 밀봉재(20)와 외측의 밀봉재(20)를 개재하여, 벌룬(4)의 외피를 벌룬(4)의 내측과 외측으로부터 협지하고, 또한 외부플레이트(3-20)를 내부플레이트(3-21)에 볼트(21)로 결합시킴으로서, 벌룬(4)의 하면 중심부위를, 공기 누출이 없는 상태로 틀체(3-1) 하부에 단단하게 고정하고 있다.
외부플레이트(3-20)는, 소망의 금속이나 경질합성수지 등으로 이루어진 원형판으로, 그 하면측에 설치한 삽입통(17)에, 상술한 접속기둥(2-4)의 상단부분을 삽입함과 동시에 볼트 등의 결착부재(17a)로 그 삽입상태를 고정함으로서, 접속기둥(2-4) 상단에 틀체(3-1)를 세워 설치하는 모양으로 설치하고 있다.
내부플레이트(3-21)는, 외부플레이트(3-20)와 같은 재질의 재료로 이루어진 원형판으로, 그 상면측에 원통모양의 케이싱(18)을 설치함과 동시에, 그 케이싱(18)의 상면에, 틀체(3-1)의 하단에 고정되는 연결플레이트(19)를 설치하고 있다.
연결플레이트(19)의 상면에는, 팬모터로 이루어지는 벌룬팽창수단으로서의 공기흡입장치(10)가 설치하고 있고, 이 공기흡입장치(10)의 작동에 의해, 외부의 공기가, 외부플레이트(3-20), 내부플레이트(3-21), 연결플레이트(19)에 설치한 통공(22) 및 케이싱(18)을 통하여 벌룬(4)내에 보내어져 벌룬(4)이 팽창되도록 구성하고 있다.
틀체(3-1)의 상부에 설치하는 상부지지체(3-3)는, 제 2 도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벌룬(4)의 외측에 배치되는 외부플레이트(3-31)와, 틀체(3-1)의 상단부에 연속 설치되는 내부플레이트(3-30)를 구비하고, 이들 외부플레이트(3-31)와 내부플레이트(3-30)로, 내측의 밀봉재(20)와 외측의 밀봉재(20)를 개재하여, 벌룬(4)의 외피를 벌룬(4)의 내측과 외측으로부터 협지하고, 또한 외부플레이트(3-31)를 내부플레이트(3-30)에 볼트(21’)로 틀체(3-1)의 상부에 체결시킴으로서, 벌룬(4)의 상면 중심부위를, 공기 누출이 없는 상태로 틀체(3-1) 상부에 단단하게 고정하고 있다.
내부플레이트(3-30)와 외부플레이트(3-31)는, 소망의 금속이나 경질합성수지 등으로 이루어진 원형판으로, 내부플레이트(3-30)는, 틀체(3-1)의 상단에 설치한 연결플레이트(23)에 연결하고 있다.
연결플레이트(23)의 하면에는, 전구(5)용의 소켓(11) 및 이 소켓(11)을 보호하는 보호통(24)을 설치하고 있다.
벌룬(4)은, 전구(5)로부터의 빛을 부드럽게 함과 동시에 내부에 공기를 공급함으로서 소정의 형상으로 팽창 가능한 것이라면 특히 한정되는 것이 아니지만, 본 예에서는, 헝겊 또는 합성수지제 필름 등의 외피로 이루어지는 가로길이 대략 타원형상의 벌룬을 이용하고 있으며, 상술한 바와 같이 이 벌룬(4)의 중심부위의 하면을 하부지지체(3-2)로, 상면을 상부지지체(3-3)로 각각 협지하고, 또한 하부지지체(3-2)와 상부지지체(3-3)로 틀체(3-1)를 협지함으로서, 틀체(3-1)의 상하 단부에 단단하게 고정하고 있다.
또 벌룬(4)의 내부 중심위치에는, 상기 틀체(3-1)내에 전구(5)를 아래 방향으로 유지함과 동시에, 하부에 공기흡입장치(10)를 구비한 조명기구(3)가 수용(收容)모양으로 설치되고, 발전기(6)로부터의 전기공급에 의해 공기흡입장치(10)가 작동하여 벌룬(4)을 팽창시킴과 동시에 전구(5)가 점등하도록 구성하고 있다.
이와 같이 구성한 본 예의 투광기에 의하면, 전구(5)가 점등할 때에는, 빛이 벌룬(4)을 통하여 부드러운 빛으로 바뀌고, 벌룬(4)의 외측 전둘레 방향에 대하여투광할 수 있기 때문에, 눈부심을 느끼게 하는 일 없이, 빛을 넓은 범위에 조사할 수 있다. 또, 공사현장 등에 있어서 조명장소를 바꿀 때에는, 대차(1)에 의해 발전기(6), 신축지주(2), 조명기구(3), 벌룬(4)을 같이 이동시킬 수 있기 때문에, 취급이 용이함과 동시에 임의의 장소에 설치할 수 있다.
또, 벌룬(4)에 있어서의 마주하는 부위, 즉, 벌룬(4)의 상면 중심부위와 하면 중심부위가, 조명기구(3)의 틀체(3-1)에 설치한 상부지지체(3-3), 하부지지체(3-2)에 의해 이 틀체(3-1)의 상부와 하부에 강고하게 설치되어 있기 때문에, 예를 들면 강풍 등에 의해 벌룬(4)이 덜커덕거려도 벌룬(4)의 팽창상태를 가능한 한 유지할 수 있다.
또한, 벌룬(4)에 있어서의 마주하는 부위의 외피를, 외부플레이트(3-20, 3-31)와 내부플레이트(3-21, 3-30)를 이용하여, 이들 플레이트의 면에 의해 협지하는 끼워넣는 식의 고정구조로 하였기 때문에, 벌룬(4)의 설치 부분에 있어서 벌룬이 찢어지거나 구멍이 뚫리는 우려가 없으며, 벌룬(4)을 단단하게 유지할 수 있다.
또, 틀체(3-1)내에 전구(5)를 아래 방향으로 유지하는 구성으로 하였기 때문에, 소켓(11)에 빗물 등이 침입할 우려를 회피할 수 있으며, 방수성의 향상을 도모할 수 있다.
전구(5)가 끊겼을 때에는, 틀체(3-1) 주면의 개폐문(12)을 염으로서, 간단하게 전구교환을 행할 수 있다.
전구유지체(13)로 전구를 유지하는 유지구조를 채용하였기 때문에, 소켓(11)에 대한 전구(5)의 장착상태가 느슨해지는 것을 방지하여, 안심하고 사용할 수 있다.
제 5 도∼제 7 도에는, 상술한 벌룬(4)에 의한 투광범위를 규제하는 차광부재를 나타낸다. 이들 차광부재는, 민가 등이 가까운 작업현장에 있어서 민가 쪽으로 빛이 누출됨으로서 폐를 끼칠 우려가 있는 경우에, 벌룬(4)의 외측 또는 내측에 적절하게 장착하여 벌룬(4)으로부터의 투광방향을 부분적으로 차단하여, 투광범위를 규제하는 것이다.
제 5 도에 나타내는 차광부재는, 차광성을 갖는 덮개막(25)으로, 이 덮개막(25)은 한 장 또는 여러 장을, 벌룬(4)의 외측에 적절하게 장착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덮개막(25)은, 전구(5)로부터의 빛을 통과시키지 않는 재료라면 특히 한정되는 것은 아니지만, 예를 들면, 팽창한 벌룬(4)의 외측을 따라 간단하게 장착할 수 있는 얇은 가요성이 있는 헝겊 또는 합성수지제의 시트나 필름 등이 바람직하다.
이 덮개막(25)은, 예를 들면 제 5 도에 나타내는 바와 같은 형상으로 형성함과 동시에, 그 내면측의 가장자리부를 따라 자웅 한 쌍의 벨벳파스너(26)의 한 쪽(예를 들면 수컷측)을 바느질부착이나 접착, 그 밖의 소망의 설치수단으로 설치하고, 다른 쪽(예를 들면 암컷측)은 벌룬(4)의 외면을 따라, 덮개막(25)의 크기나 그 형상에 맞춰 설치하고, 이 벨벳파스너(26)의 걸거나 벗김이 자유로운 결합에 의해, 한 장 또는 여러 장의 덮개막(25)을 벌룬(4) 외측의 적절한 장소에 임의로 장착함으로서, 벌룬(4)에 의한 투광방향을 임의로 설정하는 것이다.
또한, 덮개막(25)을 벌룬(4)의 외측에 탈착이 자유롭게 설치하는 수단으로서는, 상기 벨벳파스너(26)를 이용하는 것에 제한되지 않으며, 호크, 훅, 버튼 등과 같이, 덮개막(25)을 벌룬(4) 외측에 단단하게 고정시킬 수 있으면서도 간단하게 탈착할 수 있는 것이라면 좋다.
제 6 도에는, 상술한 조명기구(3)의 틀체(3-1)를, 스트레이트의 세로봉(3-10)만으로 형성함과 동시에, 각각의 세로봉(3-10)에, 차광부재로서의 루버(27)를 개폐운동이 자유롭게 장착한 예를 나타낸다.
즉, 이 예에서는, 상술한 하부지지체(3-2)측의 연결플레이트(19)와, 상부지지체(3-3)측의 연결플레이트(23)에 걸쳐, 이들 연결플레이트(19, 23)의 외연에 동일 간격을 두고 세로봉(3-10)을 세워 설치하여 틀체(3-1)를 형성함과 동시에, 서로 이웃하는 세로봉(3-10)끼리의 개구부(28)에, 원호상으로 만곡하는 루버(27)를 장착하고 있다. 루버(27)는 측가장자리를 세로봉(3-10)에 축지지하여 회동이 자유롭게 지지하고 있다.
이 예에 의하면, 한 장 또는 여러 장의 루버(27)를, 틀체(3-1)에 있어서의 상기 개구부(28)에 각각 회동이 자유롭게 장착하고, 임의의 장소의 개구부(28)를 루버(27)로 막음으로서 전구(5)로부터의 빛이 부분적으로 외부로 누출되지 않게 된다. 이렇게 하여, 루버(27)에 의해 막혔던 틀체(3-1)의 각 세로봉(3-10) 사이의 개구부(28)로부터는 전구(5)로부터의 빛이 조사되지 않고, 루버(27)가 장착되어 있지 않는 각 세로봉(3-10, 3-10) 사이의 개구부(28)로부터는 빛이 조사되고, 벌룬(4)에 의한 투광방향을 임의로 설정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민가 등으로부터 떨어진 공사현장에서 사용할 때(투광방향을 규제할 필요가없을 때)에는, 각각의 루버(27)를 회동시켜서 개구부(28) 전부를 염으로서, 전구(5)로부터의 빛을 벌룬(4)의 외측 전둘레 방향에 대하여 조사할 수 있다.
또한, 제 6 도 중의 부호(29)는, 루버(27)를 회동이 가능하게 축지지한 세로봉(3-10)에 장비한 스프링부재이며, 이 스프링부재(29)의 탄발력에 의해, 루버(27)를 닫는 방향 또는 여는 방향으로 가세하도록 하고 있다.
제 7 도에는, 상기한 루버(27) 대신에, 제 6 도에 나타내는 틀체(3-1)의 서로 이웃하는 세로봉(3-10, 3-10) 사이에 탈착이 자유롭게 장착되는, 차광부재로서의 덮개판(30)을 나타낸다. 이 덮개판(30)은, 상술한 개구부(28)를 막는 원호상으로 만곡하는 판재의 뒤쪽에, 서로 이웃하는 세로봉(3-10, 3-10) 사이에 걸거나 벗김이 자유롭게 걸어 맞추는 거는부재(31)를 설치하고, 한 장 또는 여러 장의 덮개판(30)을 미리 준비하여, 임의의 장소의 개구부(28)를 이 덮개판(30)으로 막음으로서 이 개구부(28)로부터는 전구(5)의 빛이 조사되지 않고, 덮개판(30)이 장착되어 있지 않는 개구부(28)로부터는 빛이 조사되어, 벌룬(4)에 의한 투광방향을 임의로 설정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제 8 도∼제 10 도에는, 상술한 조명기구(3)의 틀체(3-1)와 벌룬(4)의 구조를 변경한 예를 각각 나타낸다.
제 8 도에 나타내는 틀체(3-1’)는, 틀체의 상부와 하부 사이에 여러 개의 지주(40)를 세워 이루어지는 강도가 강한 지주구조체로 한 것이다.
즉 이 틀체(3-1’)는, 하부지지체(3-2)의 내부플레이트(3-21)와, 상부지지체(3-3)의 내부플레이트(3-30)와의 사이에 4개의 지주(40)를 세워 설치하여 이루어지고, 이들 지주(40)는, 상기 각 내부플레이트(3-21, 3-30)의 외연에 동일 간격마다에 세워져 있다.
각각의 지주(40)는, 금속 또는 경질합성수지제의 3개의 기둥으로 이루어지는 것으로, 제 1의 기둥으로서의 중간기둥(41)에 대하여, 이 중간기둥(41)보다 직경이 작은 제 2의 기둥으로서의 상기둥(42) 및 제 3의 기둥으로서의 하기둥(43)을 구비하고, 이 상기둥(42)을 중간기둥(41)의 상단측에서부터, 하기둥(43)을 중간기둥(41)의 하단측에서부터, 각각 중간기둥(41)에 미끄러짐이 자유롭게 삽입하여 지주길이의 조절이 자유롭게 형성하고 있다.
상세하게는, 각각의 중간기둥(41)의 상단부와 하단부에, 분할홈(44)을 설치하고, 이 직경을 수축이 자유롭게 함과 동시에, 조임밴드(45)를 장착하고, 이 조임밴드(45)의 조임에 의해, 중간기둥(41)의 상단부와 하단부의 직경을 임의로 수축시켜 상기둥(42)과 하기둥(43)의 미끄러짐을 규제하고, 중간기둥(41)에 대한 상기둥(42), 하기둥(43)이 돌출 치수를 임의로 조정하고, 각 지주(40) 길이의 조절이 자유롭게 하고 있다.
이렇게 함으로서, 틀체(3-1’)의 높이치수를 임의로 설정할 수 있기 때문에, 틀체(3-1’)를 수축시켜 조명기구(3)의 치수를 작게 하고 수납성을 향상시킬 수 있으며, 나아가서는 형상, 크기 등이 다른 별도의 벌룬을 설치할 수 있다.
상기둥(42)은 상부지지체(3-3)의 외부플레이트(3-31)를 내부플레이트(3-30)에 고정하는 볼트(21’)에 의해 내부플레이트(3-30)에 설치하고, 하기둥(43)은 하부지지체(3-2)의 외부플레이트(3-20)를 내부플레이트(3-21)에 고정하는 볼트(21)에의해 내부플레이트(3-21)에 설치하고 있다.
각각의 지주(40)의 상기둥(42)에는, 상측 소켓판(51)을 상하방향으로 미끄러짐이 자유롭게 장착하고, 이 상측 소켓판(51)의 하면에 소켓(11)을 설치하고 전구(5a)를 아래 방향으로 장착함으로서, 이 전구(5a)의 위치를 상하 방향에 대하여 조절이 자유롭게 하고 있다. 상측 소켓판(51)은, 각각의 상기둥(42)에 대하여 그 설치위치의 변경이 자유롭게 장착된 조임밴드(50)에 고정되어 있다.
또 각각의 지주(40)의 중간기둥(41)에는, 하측 소켓판(53)을 상하방향으로 미끄러짐이 자유롭게 장착하고, 이 하측 소켓판(53)의 하면에 소켓(11)을 설치하고 전구(5b)를 아래 방향으로 장착함으로서, 이 전구(5b)의 위치를 상하방향에 대하여 조절이 자유롭게 하고 있다. 하측 소켓판(53)은, 각각의 중간기둥(41)에 대하여 그 설치위치의 변경이 자유롭게 장착된 조임밴드(52)에 고정되어 있다.
또, 상기 각각의 전구(5a, 5b)를 유지하는 전구유지체(13)는 중간기둥(41)에 상하방향으로 미끄러짐이 자유롭게 장착되어 있다. 전구유지체(13)는, 중간기둥(41)에 대하여 설치위치의 변경이 자유롭게 한 조임밴드(54)로 유지되는 스프링(55)에 의해 상방으로 가세되고, 전구(5a, 5b)가 유지 가능한 적절한 높이 위치에 고정되어 있다.
이와 같이 하여 전구(5a)와 전구(5b)의 높이위치를 각각 개별적으로 조절할 수 있도록 함으로서, 광원의 위치를, 벌룬의 형상이나 크기에 맞추어서 적절하게 설정할 수 있다. 또, 전구유지체(13)의 높이위치를 각각 개별적으로 조절할 수 있도록 함으로서, 높이위치를 변경한 전구(5a, 5b)를 각각의 전구유지체(13)로 유지할 수 있다.
틀체(3-1’)가 서로 이웃하는 지주(40, 40) 사이에는, 제 10 도 중에 나타내는 바와 같은 보호틀(6)을 장착하고 있다. 보호틀(60)은, 원호상으로 만곡하는 횡선재(橫線材)(61)와 직선상의 종선재(縱線材)(62)를 여러 개 조합하는 철망모양의 틀재로 이루어지고, 횡선재(61)의 좌우 양단부분을 내측으로 만곡시켜 걸이훅부(63)를 형성하고, 각 걸이훅부(63)를 지주(40)에 탄성적으로 걸어 맞춤으로, 서로 이웃하는 지주(40, 40) 사이에 걸쳐서 탈착이 자유롭게 장착한다.
제 9 도에 있어서는, 몸통부(4a)와, 상면부(4b)와, 하면부(4c)로 이루어지는 삼부 구성의 벌룬(4’)을 나타내고 있다. 상세하게는, 소망의 투광성과 내후성, 내구성 등을 갖는, 예를 들면 나일론 등으로 이루어지는 가로로 긴 직사각형상의 시트재의 양단 가장자리끼리를 바느질부착 등으로 고정하고 상하를 개구하는 원통모양으로 형성한 시트재로 이루어지는 통모양시트재(4a-1)와, 이 통모양시트재(4a-1)와 같은 재질의 시트재에 의해 원형으로 형성되고, 통모양시트재(4a-1)의 상측개구면(4a-1’), 하측개구면(4a-1”)을 막도록 이 개구 가장자리에 바느질부착 등으로 고정되는 상측 원형시트재(4a-2), 하측 원형시트재(4a-3)로 몸통부(4a)를 형성함과 동시에, 상기 상측 원형시트재(4a-2), 하측 원형시트재(4a-3)에 설치한 개구(4a-2’), (4a-3’)에, 상기 통모양시트재(4a-1)와 같은 재질의 시트재로 이루어지는 상면부(4b)와 하면부(4c)를 탈착이 자유롭게 설치하고 있다.
상기 몸통부(4a)는, 통모양시트재(4a-1)에 있어서의 바느질부착 등의 고정부분(71)과, 상측 개구면(4a-1’), 하측 개구면(4a-1”)에 대한 상측 원형시트재(4a-2), 하측 원형시트재(4a-3)의 바느질부착 등의 고정부분(72, 73)과의 세 곳의 고정에 의해 형성함으로서, 주름이 생기는 일 없이 원형통모양의 벌룬(4’)을 형성할 수 있다.
또한, 벌룬(4’)의 형상은, 도시하는 대략 세로로 긴 북모양의 것 이외에, 대략 가로로 긴 북 형상, 대략 원추사다리꼴모양, 역의 원추사다리꼴모양의 것이나, 인형, 동물, 건축물, 캐릭터 등의 각종 형상의 것이라도 좋다.
또 이 예의 벌룬(4’)은, 상면부(4b)를 상술한 상부지지체(3-3)의 외부플레이트(3-1)와 내부플레이트(3-30)로 협지하고, 하면부(4c)를 상술한 하부지지체(3-2)의 외부플레이트(3-20)와 내부플레이트(3-21)로 협지하고, 이들 상면부(4b)와 하면부(4c)에 각각 상기 몸통부(4a)의 상측 원형시트재(4a-2), 하측 원형시트재(4a-3)의 중심에 설치한 개구(4a-2’, 4a-3’)가 걸거나 벗김이 자유롭게 되는 거는수단(80)을 설치하고 몸통부(4a)를 탈착이 자유롭게 설치하고 있다.
이 예의 거는수단(80)은, 벌룬(4’)의 외측으로부터의 조작으로 개폐하는 파스너식 연결수단으로, 상세하게는, 상기 상면부(4b)와 하면부(4c)를 제 9 도 중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원형시트모양으로 형성함과 동시에, 그 외주부분에 파스너의 자웅 한 쌍의 치열(齒列)로 이루어지는 고리모양치열(81)을 형성하는 한편, 상기 개구(4a-2’, 4a-3’)의 개구가장자리를 따라 파스너의 자웅 다른 쪽의 치열로 이루어지는 고리모양치열(82)을 형성하고, 어느 한 쪽의 치열에 개폐금구(83)를 미끄러짐이 자유롭게 설치하고, 이 개폐금구(83)의 미끄러짐조작에 의해 상기 양 치열(81, 82)이 연결 혹은 분리하도록 구성하고 있다.
제 9 도에서는 도면을 생략하였지만, 하부지지체(3-2)와 상부지지체(3-3)의 각각의 내부플레이트(3-21, 3-30) 사이에는, 상술한 틀체(3-1) 또는 (3-1’)를 설치하고 있다.
이렇게 하여, 고리모양치열(81)과 고리모양치열(82)이 연결하는 상태(파스너가 닫힌 상태)에서는, 벌룬(4’)의 몸통부(4a)가 상면부(4b)와 하면부(4c)에 연결되고, 이 상태에서, 벌룬(4’)이 틀체(3-1) 또는 (3-1’)에 단단하게 설치된다. 또, 이 상태로부터, 개폐금구(83)를 열린 방향으로 미끄러지게 하여 고리모양치열(81)과 고리모양치열(82)를 분리시키면(파스너를 열면), 상면부(4b)와 하면부(4c)를 틀체(3-1) 또는 (3-1’)의 상부, 하부에 남기고, 벌룬(4’)의 몸통부(4a)를 틀체(3-1) 또는 (3-1’)로부터 용이하게 해체할 수 있다. 이렇게 함으로서, 몸통부(4a)의 교환이나 전구(5, 5a, 5b)의 교환, 틀체(3-1’)의 높이조정작업 등을 용이하게 행할 수 있다. 또, 형상, 크기 등이 다른 별도의 몸통부를 교환하여 설치할 수도 있고, 이 경우, 제 8 도에 나타내는 틀체(3-1’)를 이용함으로서, 그 몸통부에 맞춰서 틀체(3-1’)의 높이 치수나 전구(5a, 5b)의 위치를 적절하게 조정할 수 있다.
또한, 제 9 도에 나타내는 예에서는, 벌룬(4’)의 상면부(4b), 하면부(4c)를 몸통부(4a)에 파스너식 연결수단으로 찰탁이 자유롭게 설치하도록 하였으나, 이것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면, 상술한 통모양시트재(4a-1)를 벌룬의 몸통부로 하고, 이 몸통부의 상측 개구면(4a-1’)과 하측 개구면(4a-1”)과의 개구 가장자리에 파스너의 자웅 한 쌍의 치열로 이루어지는 고리모양치열(81)을 형성하는한편, 이 상측 개구면(4a-1’)과 하측 개구면(4a-1”)을 막는 원형시트재(4a-2, 4a-3)를 벌룬의 상면부와 하면부로 하고, 이 상면부와 하면부의 외주부분에, 파스너의 자웅 다른 쪽의 치열로 이루어지는 고리모양치열(82)을 형성하고, 어느 한 쪽의 치열에 개폐금구(83)를 미끄러짐이 자유롭게 설치하고, 원형시트재(4a-2, 4a-3)로 이루어지는 상면부와 하면부를, 통모양시트재(4a-1)로 이루어지는 몸통부에 탈착이 자유롭게 설치하도록 하여도 좋다.
또, 거는수단도 상술한 파스너식 연결수단에 한정되지 않고, 호크, 훅, 버튼 등의, 수컷측부재와 암컷측부재가 걸거나 벗김이 자유롭게 걸어 맞추는 각종의 거는수단을 이용할 수 있다.
제 10 도에 나타내는 틀체(3-1”)는, 제 8 도에 나타내는 틀(3-1’)의 조임밴드(45) 대신에, 중간기둥(41)에 삽입한 상기둥(42), 하기둥(43)의 미끄러짐을 규제하는 부재로서의 콜릿너트(90)를 구비하고 있다. 이 밖의 구성요소는 상술한 바와 동일하기 때문에 중복 설명은 생략한다.
이상, 본 발명에 관한 투광기의 실시형태의 여러 예를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도면에 나타낸 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청구범위의 각 항에 기재된 기술적 사상의 범주에 있어서 각종의 변경이 가능함을 말할 필요도 없다.
본 발명의 투광기는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구성하였기 때문에, 전구로부터의 빛이 벌룬을 통과함으로서, 눈부심을 느끼게 하는 일 없이 부드러운 빛으로 바꾸어 조사할 수 있고, 또한 이 빛을, 벌룬의 외측 전둘레 방향에 대하여 조사할 수 있다.

Claims (8)

  1. 발전기와, 이 발전기를 탑재하는 대차와, 이 대차에 세워 설치한 신축지주와, 이 신축지주의 상단에 장비되는 벌룬과, 이 벌룬에 내장한 조명기구를 구비하고, 상기 발전기와 조명기구를 통전이 가능하게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투광기.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조명기구가, 전구와, 이 전구를 유지하는 틀체와, 상기 벌룬을 팽창시키기 위한 벌룬팽창수단을 가지며, 또한 상기 벌룬을 유지하는 상부지지체와 하부지지체를 설치하고, 상기 틀체를 상기 상부지지체와 하부지지체로 협지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투광기.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지지체 및 하부지지체가, 상기 벌룬의 내측에 배치되는 내부플레이트와, 이 벌룬의 외측에 배치되는 외부플레이트로 이루어지고, 이들 내부플레이트와 외부플레이트로 상기 벌룬의 임의의 부위를 협지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투광기.
  4. 제 1 항 내지는 제 3 항의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틀체가, 이 틀체의 상부와 하부 사이에 세우는 여러 개의 지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투광기.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틀체의 각각의 지주가, 적어도, 제 1의 기둥과, 이 제 1의 기둥보다 직경이 작은 제 2의 기둥을 구비하고, 이 제 2의 기둥이 상기 제1의 기둥의 내부에 미끄러짐이 자유롭게 삽입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투광기.
  6. 제 1 항 내지는 제 5 항의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벌룬이, 상면부와, 몸통부와, 하면부로 구성되고, 상기 상면부와 하면부에, 상기 몸통부가 걸거나 벗김이 자유롭게 이루어지는 거는수단을 설치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투광기.
  7. 제 1 항 내지는 제 6 항의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벌룬의 외측의 임의의 장소에, 차광성을 갖는 한 장 또는 여러 장의 덮개막을 탈착이 가능하게 적절하게 장착할 수 있도록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투광기.
  8. 제 1 항 내지는 제 6 항의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틀체의 주위에, 차광성을 갖는 한 장 또는 여러 장의 루버 또는 덮개판을, 개폐운동이 자유롭게, 또는 탈착이 자유롭게 장착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투광기.
KR10-2003-7000891A 2001-05-21 2002-05-21 투광기 KR20030025278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01-00150911 2001-05-21
JP2001150911 2001-05-21
PCT/JP2002/004905 WO2002095288A1 (fr) 2001-05-21 2002-05-21 Projecteur de lumiere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0025278A true KR20030025278A (ko) 2003-03-28

Family

ID=1899585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3-7000891A KR20030025278A (ko) 2001-05-21 2002-05-21 투광기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7264382B2 (ko)
EP (1) EP1403580B1 (ko)
JP (1) JPWO2002095288A1 (ko)
KR (1) KR20030025278A (ko)
DE (1) DE60237686D1 (ko)
WO (1) WO2002095288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902923B2 (ja) * 2001-07-25 2007-04-11 株式会社ライトボーイ 投光機
AUPS241902A0 (en) * 2002-05-20 2002-06-13 Lunar Lighting Balloons Australasia Pty Ltd Improved portable lighting system
FR2844029B1 (fr) * 2002-08-30 2004-11-26 Airstar Ballon pour enseigne lumineuse comprenant une enveloppe gonflable a pression interne autoregulee
JP3102101U (ja) * 2003-12-05 2004-07-02 株式会社ライトボーイ 投光機
FR2867833B1 (fr) 2004-03-19 2006-06-09 Airstar Ballon eclairant a enveloppe autogonflable perfectionnee
EP1630472B1 (de) * 2004-06-09 2009-01-07 Intercomm s.r.l. Mit Luft aufblasbarer Ballon für Beleuchtungszwecke
JP2007335080A (ja) * 2004-09-17 2007-12-27 Light Boy Co Ltd 照明装置
US20070019403A1 (en) * 2005-07-19 2007-01-25 Boghossian Hratch P Portable lighting apparatus
WO2007037567A1 (en) * 2005-09-30 2007-04-05 Duke-Hoo Kim System for shedding light over wide area
US7611395B2 (en) * 2005-11-30 2009-11-03 Intercomm S.R.L. Illuminating balloon inflatable with air
WO2007142294A1 (ja) * 2006-06-09 2007-12-13 Light Boy Co., Ltd. 注意喚起装置
JP2009081011A (ja) * 2007-09-26 2009-04-16 Light Boy Co Ltd 投光機
US7841734B2 (en) 2008-05-27 2010-11-30 Ruud Lighting, Inc. LED lighting fixture
US7824079B2 (en) * 2008-12-08 2010-11-02 Multiquip, Inc. Light tower diffuser
ITMI20090139A1 (it) * 2009-02-04 2010-08-05 Lumina Italia S R L Modulo di illuminazione e relativo sistema modulare di illuminazione
US7857490B1 (en) 2009-02-13 2010-12-28 Frontier Lighting Technologies, Llc Collapsible lighting device
CN102305354B (zh) * 2011-05-10 2012-11-07 周京舟 方便使用的小型照明车
US9897277B2 (en) * 2012-04-09 2018-02-20 3Form, Llc Sun light fixture
US20130322073A1 (en) * 2012-05-21 2013-12-05 Magnum Power Products, Llc Light source assembly for portable lighting system
US8613527B1 (en) * 2012-12-11 2013-12-24 A&P Support, Inc. Frac light 3000
CN104048273B (zh) * 2013-03-15 2016-08-31 深圳市海洋王照明工程有限公司 一种灯具及用于灯具的滚轮结构
DE102013005987A1 (de) * 2013-04-08 2014-10-09 Wacker Neuson Produktion GmbH & Co. KG Transportable Leuchtvorrichtung mit Lampenhalter
JP5726958B2 (ja) * 2013-07-19 2015-06-03 株式会社ライトボーイ バルーン型照明装置及び投光機
JP6511790B2 (ja) * 2014-12-10 2019-05-15 岩崎電気株式会社 照明器具
CN104482492B (zh) * 2014-12-30 2017-06-16 北京东方园林股份有限公司 一种多能源来源的景观休闲与照明装置
US9605817B1 (en) * 2015-02-04 2017-03-28 Edward A. Goldney Folding illumination stand
CN106324952B (zh) * 2015-07-07 2019-02-12 芋头科技(杭州)有限公司 一种融合显示系统
DE102016014803B4 (de) 2016-12-13 2018-07-19 Ching Yuang Enterprise Co., Ltd. Aufbau eines aufblasbaren Lampenschirms für eine Arbeitslampe
US20200116313A1 (en) 2018-10-12 2020-04-16 Briggs & Stratton Corporation Portable lighting system including light tower and inverter having removable battery pack
US11287103B2 (en) 2019-04-22 2022-03-29 Ism Lighting, Llc. Low wattage balloon work light
US11415301B2 (en) 2020-02-07 2022-08-16 Briggs & Stratton, Llc Electronically-controlled portable lighting tower
CN112128648B (zh) * 2020-10-10 2021-05-28 诺正集团股份有限公司 一种多功能台灯
CN112432104B (zh) * 2020-11-12 2024-04-16 安徽省富鑫雅光电科技有限公司 一种自动升降的led路灯
CN112432069A (zh) * 2020-12-29 2021-03-02 东莞市合将艺光光电科技有限公司 一种气球灯
US11181248B1 (en) * 2021-03-19 2021-11-23 Manish Kothari Temporary and/or emergency lighting system with inflatable structure using an LED array
US11913611B2 (en) 2021-10-15 2024-02-27 Briggs & Stratton, Llc Hybrid light tower
US11959616B2 (en) 2021-10-15 2024-04-16 Briggs & Stratton, Llc Battery powered light tower

Family Cites Families (2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H93109A (de) * 1920-04-21 1922-02-16 Epprecht Hermann Lichtabblender für Lampen.
JPS4859386A (ko) 1971-11-29 1973-08-20
JPS5139790B2 (ko) 1972-02-28 1976-10-29
US5171363A (en) * 1979-12-28 1992-12-15 Flex Products, Inc. Optically variable printing ink
US5195714A (en) * 1991-09-16 1993-03-23 Stewart Richard M Bookholder with adjustable shade
US5647661A (en) * 1992-01-14 1997-07-15 Musco Corporation High efficiency, highly controllable lighting apparatus and method
JP3190720B2 (ja) * 1992-01-20 2001-07-23 株式会社産業資材センター 竪形内部照明式看板器具
JP2682935B2 (ja) 1992-08-26 1997-11-26 ミサワホーム株式会社 建物ユニット
US6290377B1 (en) * 1996-01-16 2001-09-18 The Will-Burt Company Pneumatically telescoping mast having DC operated lighting and pivoting means
JPH09306210A (ja) * 1996-05-08 1997-11-28 Ishizue Denki Kk 気球照明装置
JP3118784B2 (ja) * 1996-08-23 2000-12-18 株式会社グリーン・サービス 投光機
FR2754040B1 (fr) * 1996-10-02 1998-11-13 Airstar Ballon d'eclairage a enveloppe gonflable et a bloc de commande integre
FR2761456A1 (fr) * 1997-04-01 1998-10-02 Elemia Installation d'eclairage aerien mobile comprenant un ballon captif equipe d'une source lumineuse
US6107244A (en) * 1997-10-15 2000-08-22 Nashua Corporation Verification methods employing thermally--imageable substrates
JP2000195328A (ja) 1998-10-23 2000-07-14 Green Service:Kk 投光機及びその伸縮支柱
JP2000222931A (ja) 1999-01-29 2000-08-11 Hokuetsu Kogyo Co Ltd 投光機
US6238067B1 (en) * 1999-05-17 2001-05-29 Eric Hirsch Illuminated balloon apparatus
DE29910204U1 (de) * 1999-06-11 2000-03-23 Noelle Juergen Federschirmleuchte
US6607285B2 (en) * 2002-01-18 2003-08-19 Genie Industries, Inc. Light adjustment apparatus
AUPS241902A0 (en) * 2002-05-20 2002-06-13 Lunar Lighting Balloons Australasia Pty Ltd Improved portable lighting system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1403580B1 (en) 2010-09-15
EP1403580A1 (en) 2004-03-31
EP1403580A4 (en) 2007-08-22
JPWO2002095288A1 (ja) 2004-09-09
US20040170022A1 (en) 2004-09-02
DE60237686D1 (de) 2010-10-28
US7264382B2 (en) 2007-09-04
WO2002095288A1 (fr) 2002-11-2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30025278A (ko) 투광기
US7824079B2 (en) Light tower diffuser
CA2720860C (en) Umbrella lighting apparatus
US7654038B2 (en) Garden planter having integrated irrigation and illumination systems
JP3902923B2 (ja) 投光機
CA2632165A1 (en) Inflatable portable lamp
WO2009070055A2 (ru) Установка осветительная
JP4381704B2 (ja) 投光機用バルーン型照明装置および投光機
JP4416681B2 (ja) 照明器具
JP3808081B2 (ja) 投光機
JP2005150123A (ja) 投光機
RU74441U1 (ru) Установка осветительная "шар световой - зонтик"
CN113115658A (zh) —种可自动调节光谱功率分布的led植物补光灯具
US8613527B1 (en) Frac light 3000
JP3102101U (ja) 投光機
JP2003157712A (ja) バルーン照明機
KR20150104400A (ko) 삼각대가 구비된 조명
CN114151744A (zh) 一种调节式汽车用led照明灯
US905608A (en) Shade.
JP4149936B2 (ja) 照明装置
CN206234692U (zh) 一种手术反光灯
CN216556798U (zh) 一种可收缩防坠落的吊灯
KR101768580B1 (ko) 확장형 연등 리프팅 장치
RU47486U1 (ru) Установка осветительная аварийная
JP2022140703A (ja) 投光器用遮光カバー、投光器用バルーン、投光器、及び、投光器の遮光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