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50104400A - 삼각대가 구비된 조명 - Google Patents

삼각대가 구비된 조명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50104400A
KR20150104400A KR1020140026088A KR20140026088A KR20150104400A KR 20150104400 A KR20150104400 A KR 20150104400A KR 1020140026088 A KR1020140026088 A KR 1020140026088A KR 20140026088 A KR20140026088 A KR 20140026088A KR 20150104400 A KR20150104400 A KR 2015010440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ripod
center
gravity
fixing member
illumin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02608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강순덕
Original Assignee
강순덕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강순덕 filed Critical 강순덕
Priority to KR1020140026088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50104400A/ko
Publication of KR2015010440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104400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L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BEING PORTABLE OR SPECIALLY ADAPTED FOR TRANSPORTATION
    • F21L4/00Electric lighting devices with self-contained electric batteries or cells
    • F21L4/02Electric lighting devices with self-contained electric batteries or cells characterised by the provision of two or more light sourc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Non-Portable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배터리부를 이용하여 무게중심을 낮추어 바람이나 외부충격에 보다 더 안정적으로 버틸 수 있는 삼각대가 구비된 랜턴에 관한 것으로, 이를 위해 지면에 설치되는 삼각대와 상기 삼각대의 상부에 고정되는 몸체부와 상기 몸체부에 설치되는 조명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삼각대가 구비된 랜턴에 있어서, 상기 삼각대의 세 개의 지지부 사이의 빈 공간에 위치되고 무게중심축을 이루는 무게중심부와 상기 무게중심부를 상기 삼각대의 일측에 연결시키는 연결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삼각대가 구비된 조명.

Description

삼각대가 구비된 조명 {Light equipped tripod}
본 발명은 삼각대가 구비된 조명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삼각대에 연결부를 통해 무게중심부가 매달려 무게중심을 낮추어, 삼각대가 넘어지는 것을 방지하는 삼각대가 구비된 조명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야외에서 야간에 어두운 곳을 밝히는 수단으로 이용되고 있는 것은 배터리 에너지를 이용한 랜턴과, 기름 또는 가스 연소 에너지를 이용하는 유류등 및 가스등이 그 주종을 이루고 있다.
그러나 알려져 이는 바와 같이 유류등이나 가스등은 연료매개체의 취급 부주의시 화재등과 같은 위험 요소가 있기 때문에 레저용 조명수단으로는 그다지 바람직하지 못하다. 따라서, 바람직한 조명수단으로는 취급이 간편하고 위험 요소가 없는 랜턴과 같은 조명수단이다.
또한, 랜턴은 야간에 도보시에는 사용자가 파지하여 길바닥을 비추어 주는 조명수단으로는 매우 바람직하나, 레저용이나 작업용의 조명수단으로 이용하는데는 불편 또는 어려움이 따르는 문제점이 있다.
이때, 랜턴을 공중에 매달리도록 하는 방법을 모색하여 이용하고 있는데, 예전에는 랜턴을 적절한 수단이 없음으로써 막대나 나무등을 구하여 그것을 바닥에 설치하고 랜턴을 매달아 사용하는 방법이 주로 이용되었다. 그것마저도 막대나 나무등을 쉽게 구할 수 있는 경우에만 랜턴을 사용할 수 있었다.
또한, 랜턴을 매달아 걸기 위한 나무나 막대 등을 근처 야외에서 구할지라도 나무나 막대가 쓰러지지 않을 정도로 지면에 깊게 박아야 하며 끈 등으로 랜턴을 묶거나 매달아서 사용해야 하기 때문에 바람이 불 경우 랜턴이 흔들려서 사용하는데 불편이 따르는 문제점이 있다.
그리고 랜턴이 매달려 있는 나무나 막대는 고정상태의 물체이기 때문에 랜턴 불빛의 높낮이 조절이나 방향 조절이 불가능하여 사용에 불편이 따르는 문제점이 있어왔다.
또한, 레저나 작업을 하는 곳 주변에서 랜턴을 설치할만한 막대를 구한 경우에는 그나마 랜턴을 사용할 수 있지만 그러하지 못할 경우에는 야간 레저나 작업을 제대로 하지 못하거나 매우 불편하게 되는 문제점이 있어왔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삼각대나 스탠드 등 지지대가 구비된 랜턴이 발명되어 설치가 용이하고 불빛의 높낮이와 방향 조절이 용이하여 사용자들이 야간에 야외에서 쉽게 레저나 작업을 할 수 있었으나, 이러한 지지대가 구비된 랜턴은 바람이 불거나 작은 외부 충격에도 쉽게 쓰러지게 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참고로, 지지대가 구비된 랜턴과 관련된 종래기술로는 대한민국 공개실용신안 제20-2001-0000751호와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014832호와 같은 기술들이 개시되어 있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지면에 지지대를 고정할 수 있도록 지지대의 하단에 삽날이나 핀 등에 의해 지면에 박아 고정할 수 있는 랜턴이 발명되었다. 그러나, 이러한 랜턴은 지면이 단단하지 않은 경우에는 쉽게 설치할 수 있으나 지면이 단단한 곳에는 설치가 되지 않는 문제점이 야기 되었다. 참고로, 지지대의 하단에 삽날이나 핀 등에 의해 지면에 박아 고정할 수 있는 랜턴과 관련된 종래기술로는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10-2012-0109854호와 같은 기술들이 개시되어 있다.
대한민국 공개실용신안 제20-2001-0000751 (2001년 01월 15일)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014832 (2011년 02월 08일)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10-2012-0109854 (2012년 10월 09일)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어두운 곳을 밝히기 위해 삼각대가 구비된 조명을 이용시, 무게중심을 낮추어 조명이 바람이나 외부충격에 의해 쉽게 쓰러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삼각대가 구비된 조명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삼각대가 구비된 조명은, 지면에 설치되는 삼각대와 상기 삼각대의 상부에 고정되는 몸체와 상기 몸체에 설치되는 조명수단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삼각대가 구비된 조명에 있어서, 상기 삼각대의 세 개의 지지부 사이의 빈 공간에 위치되고, 무게중심축을 이루는 무게중심부와 상기 무게중심부를 상기 삼각대의 일측에 연결시키는 연결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상기 무게중심부는 전력을 공급하는 밧데리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다음으로, 상기 연결부는, 상기 밧데리의 전극과 연결되어 밧데리를 고정하고 전류가 통하는 재질로 이루어지는 고정부재와 상기 고정부재와 연결되고 삼각대의 중심부 내부로 연결되고 몸체부의 스위치와 연결되는 전선으로 이루어지는 연결부재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어서, 상기 연결부는, 상기 무게중심부의 외주면을 감아 탄성으로 인해 상기 무게중심부를 고정하는 밴드로 이루어지는 고정부재와 상기 고정부재와 연결되고 삼각대의 일측에 연결되며 탈착 되는 복수개의 고리가 연결되어 이루어지는 연결부재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연결부는, 상기 무게중심부를 고정하는 클램프로 이루어지는 고정부재와 상기 고정부재와 연결되고 삼각대의 일측에 연결되며 내부에 전선이 구비되는 케이블로 이루어지는 연결부재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다음과 같은 효과를 기대할 수 있을 것이다.
무게중심부와 결합하는 연결부를 이용하여 조명의 무게중심을 낮추어 쓰러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됨으로써, 바람이 불거나 외부에서 충격이 가해지더라도 조명이 쓰러지는 것을 방지하여, 안정적으로 조명을 사용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삼각대가 구비된 조명을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밴드와 고리를 이용하여 무게중심부를 결합한 삼각대가 구비된 조명을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클램프와 케이블을 이용하여 무게중심부를 결합한 삼각대가 구비된 조명을 나타낸 사시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고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먼저,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삼각대가 구비된 조명을 나타낸 사시도로써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삼각대(100), 몸체(200), 조명수단(300)과 무게중심수단(400)으로 구성되어 있다.
먼저, 상기 삼각대(100)는, 하나의 중심부(120)와, 상기 중심부(120)를 둘러 싸고 상하 이동이 되는 중심축(140)과, 상기 중심부(120)의 상부와 힌지 결합되는 세개의 지지부(160), 그리고 상기 중심축(140)과 상기 지지부(160)의 사이를 각각 힌지 결합하여 연결되는 버팀부(180)로 이루어져 있다.
이와 같은, 상기 삼각대(100)는 다양한 방법의 구성이 가능하지만 본 발명은 아래와 같은 기능을 예로 하여 구성됨을 나타낸다.
첫째로, 상기 지지부(160)는 텔레스코핑 방식으로 3단으로 신장과 축소가 가능하여 높이 조절이 되고 각 단에 클립이 있어 길이를 보다 더 안정적으로 조절한다. 그리고, 계단과 같은 지면의 높이가 상이한 경우에도 각각의 지지부(160)의 길이를 조절해 안정적으로 지면에 설치된다.
둘째로, 상기 버팀부(180)는 상기 중심축(140)과 상기 지지부(160)의 사이를 각각 연결하여 상기 지지부(160)가 상기 중심부(120)과 일정 각도 이상 벌어지는 것을 방지하여 안정적으로 지면에 설치된다.
셋째로, 상기 중심축(140)은 상하 이동 가능하여 상기 버팀부(180)와 결합되어 각각의 상기 지지부(160)가 같은 각도로 벌어지거나 좁혀져 상기 삼각대(100)가 기우는 것을 방지한다.
다음으로, 몸체(200)를 설명하기로 한다. 상기 몸체(200)는 상기 삼각대(100)의 상부에 고정되며 두 개의 스위치(220)를 구비하여 전기적으로 연결된 후술하는 조명수단(300)를 각각 온/오프 할 수 있다.
이어서, 조명수단(300)을 설명하기로 한다. 상기 조명수단(300)은 두개의 조명부(320)와, 상기 몸체(200)와 연결되고 조명부(320)의 방향이 조정되도록 하는 두개의 관부(340)로 이루어져 있다. 상기 조명부(320)는 저전압엘이디전구를 사용함으로써 빛을 발산하는 사용시간 및 전기사용시간을 늘릴수 있게 되며 사용자의 선택에 따라 다양한 색상으로 선택하여 사용할 수 있다. 그리고 각각의 상기 관부(340)는 일측이 각각의 상기 조명부(320)와 결합되고 타측이 몸체(200)의 상부와 연결된다. 또한, 상기 관부(340)는 플렉시블 관으로 구성되어 빛의 각도를 조절하기에 용이하다. 한편, 상기 실시예에서는 두 개의 조명부(320)로 이루어진 것을 예시로 하였으나, 이는 다양한 실시예들이 가능함은 자명하다.
다음으로, 무게중심수단(400)을 설명하기로 한다. 상기 무게중심수단(400)은 삼각대가 구비된 조명 전체의 무게중심을 가능한 지면이 위치하는 하측방향으로 이동되도록 하여 바람 등에 의하여 쓰러지는 것을 최소화하기 위한 구성이다. 이를 위해 상기 무게중심수단(400)은 상기 삼각대(100)를 이루는 세 개의 지지부(160) 사이 빈공간측 상에 무게중심이 위치되도록 하는 무게중심부(420)와, 상기 무게중심부(420)를 상기 삼각대(100)에 연결시키는 연결부(440)로 이루어지도록 한다. 상기 무게중심부(420)는 적당한 중량을 가진 물건이면 어느 것이나 가능하나, 본 실시예에서는 밧데리를 예를 들어 설명하기로 한다. 물론 밧데리와는 별도로 적당한 무게를 가지는 고형체 등 여러 가지가 가능함은 물론이다. 이하 도시한 도 1을 참고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도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무게중심부(420)는 밧데리로 이루어지며, 상기 밧데리는 삼각대의 지지부(160) 사이의 공간에 위치하도록 하여 무게중심축이 하측방향으로 이동되도록 한다. 이를 위해, 밧데리와 삼각대(100)를 연결하는 연결부(440)는 상기 삼각대(100)의 중심부(120) 상에 연장된 전선을 이용한다. 상기 연결부(440)를 이루는 전선의 일단은 밧데리의 전극(422)과 연결되어 밧데리를 고정시키는 고정부재(442)를 이루고, 타단은 중심부(120)를 통하여 삼각대(100)와 연결하는 연결부재(444)를 이루게 된다. 이 경우, 연결부재(444)의 타단은 중심부(120)를 관통하여 스위치(220)와 연결되도록 하면 족할 것이다.
이러한, 본 발명의 무게중심수단(400)으로 인해 나타나는 효과는 다음과 같다.
상기 무게중심수단(400)으로 인해 본 발명의 조명은 무게 중심이 낮아져 바람이나 외부의 충격에도 쓰러지지 않아 종래의 조명보다 더 안정적으로 지면에 설치된다.
이와 같이, 도 1에서 구성된 상기 연결부(440)는 전선으로 구성되어 있다. 또한, 도 2와 도 3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여러가지의 실시예가 있다.
다음으로, 상기 연결부(440)의 구성에 대한 두 가지의 실시예를 설명하기로 한다.
먼저,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밴드와 고리를 이용하여 무게중심부를 결합한 삼각대가 구비된 조명의 사시도로써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고정부재(442)는 상기 무게중심부(420)의 외주면을 감아 고정하는 밴드(442a)로 이루어져 있다. 그리고, 상기 연결부재(444)는 상기 밴드(442a)와 상기 버팀부(180)를 연결하는 복수개의 고리(444a)가 이어져 이루어지며 상기 고리(444a)로 인해 무게중심부(420)는 상기 버팀부(180)의 하부에 매달리게 된다. 그리고, 상기 고리(444a)를 상기 버팀부(180)에 연결할 시 상기 고리(444a)의 상부를 상기 중심부(120)에 가깝게 위치할 수 있도록 연결한다. 또한, 상기 무게중심부(420)는 상기 중심부(120)의 하단에 구비된 전선(460)이 연결되어 전기적 에너지를 상기 조명부(320)에 공급 되도록 한다.
그리고, 상기 밴드(442a)는 하나의 탄성을 가진 띠로 이루어져 양 끝단이 벨크로 방식으로 서로 탈착이 되어 상기 무게중심부(420)를 안정적으로 고정한다.
또한, 복수개의 상기 고리(444a)는 카라비너(karabiner)로 되어있어 상기 삼각대(100)의 높이에 따라 상기 고리(444a)의 개수를 조절하여 상기 연결부재(444)의 길이를 조절하고 무게중심을 조절하며 상기 밴드(442a)와 결합된 상기 무게중심부(420)의 탈착이 용이하다.
다음으로,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클램프(clamp)와 케이블(cable)을 이용하여 무게중심부를 결합한 삼각대가 구비된 조명의 사시도로써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고정부재(442)는 상기 무게중심부(420)의 상부를 클램프(442b)로 조여 고정하여 이루어져 있고 상기 연결부재(444)는 상기 클램프(442b)와 상기 중심부(120)를 연결하는 케이블(444b)으로 이루어져 있다. 또한, 상기 케이블(444b)의 내부에 전선이 구비되어 있고 상기 클램프(442b)의 내부에 전극이 형성되어 상기 클램프(442b)가 상기 무게중심부(420)와 결합될 때 상기 조명수단(320)에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전기 에너지를 공급한다.
종합하면, 본 발명은 지면에 설치되는 상기 삼각대(100)와 상기 삼각대(100)의 상부에 고정되는 상기 몸체(200)와 상기 몸체(200)의 상부에 설치되는 조명수단(300)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삼각대가 구비된 조명에 있어서, 플렉시블한 상기 조명수단(300)으로 인해 빛의 각도 조절이 되고 상기 지지부(160)로 인해 높이 조절이 되며 상기 무게중심부(420)로 인해 무게 중심을 낮추어 바람이나 외부의 충격에 보다 더 안정적으로 버틸수 있는 삼각대가 구비된 조명이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은 어두운 곳을 밝히기 위해 삼각대가 구비된 조명을 이용시, 무게중심부를 이용하여 무게중심을 낮추어 랜턴이 바람이나 외부충격에 의해 쉽게 쓰러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삼각대가 구비된 조명을 제공하는 것을 기본적인 사상으로 하고 있음을 알 수 있으며, 당업계의 통상적인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서 다른 많은 변형이 가능함은 물론이다.
100: 삼각대 120: 중심부
140: 중심축 160: 지지부
180: 버팀부 200: 몸체
220: 스위치 300: 조명수단
320: 조명부 340: 관부
400: 무게중심수단 420: 무게중심부
422: 전극 440: 연결부
442: 고정부재 442a: 밴드
442b: 클램프 444: 연결부재
444a: 고리 444b: 케이블
460: 전선

Claims (5)

  1. 지면에 설치되는 삼각대(100)와 상기 삼각대(100)의 상부에 고정되는 몸체(200)와 상기 몸체(200)에 설치되는 조명수단(300)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삼각대가 구비된 조명에 있어서,
    상기 삼각대(100)의 세 개의 지지부(120) 사이의 빈 공간에 위치되고, 무게중심축을 이루는 무게중심부(420);와
    상기 무게중심부(420)를 상기 삼각대(100)의 일측에 연결시키는 연결부(440);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삼각대가 구비된 조명.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무게중심부(420)는 전력을 공급하는 밧데리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삼각대가 구비된 조명.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부(440)는,
    상기 밧데리의 전극(422)과 연결되어 밧데리를 고정하고 전류가 통하는 재질로 이루어지는 고정부재(442)와;
    상기 고정부재(442)와 연결되고, 삼각대(100)의 중심부(120) 내부로 연결되고 몸체(200)의 스위치(220)와 연결되는 전선으로 이루어지는 연결부재(444)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삼각대가 구비된 조명.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부(440)는,
    상기 무게중심부(420)의 외주면을 감아 탄성으로 인해 상기 무게중심부(420)를 고정하는 밴드(442a)로 이루어지는 고정부재(442)와;
    상기 고정부재(442)와 연결되고, 삼각대(100)의 일측에 연결되며, 탈착 되는 복수개의 고리(444a)가 연결되어 이루어지는 연결부재(444);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삼각대가 구비된 조명.
  5.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부(440)는,
    상기 무게중심부(420)를 고정하는 클램프(442b)로 이루어지는 고정부재(442)와;
    상기 고정부재(442)와 연결되고, 삼각대(100)의 일측에 연결되며, 내부에 전선이 구비되는 케이블(444b)로 이루어지는 연결부재(444);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삼각대가 구비된 조명.
KR1020140026088A 2014-03-05 2014-03-05 삼각대가 구비된 조명 KR20150104400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26088A KR20150104400A (ko) 2014-03-05 2014-03-05 삼각대가 구비된 조명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26088A KR20150104400A (ko) 2014-03-05 2014-03-05 삼각대가 구비된 조명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104400A true KR20150104400A (ko) 2015-09-15

Family

ID=5424412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026088A KR20150104400A (ko) 2014-03-05 2014-03-05 삼각대가 구비된 조명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50104400A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87081Y1 (ko) * 2018-02-01 2018-08-01 심정택 배터리를 무게추로 이용한 삼각대
KR20200000770U (ko) 2018-10-08 2020-04-17 주식회사 레비엘 스마트폰 거치대
KR102126385B1 (ko) * 2018-12-24 2020-06-24 주식회사 고그린테크 캐리어 타입의 휴대용 전원공급 장치를 갖춘 촬영장치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87081Y1 (ko) * 2018-02-01 2018-08-01 심정택 배터리를 무게추로 이용한 삼각대
KR20200000770U (ko) 2018-10-08 2020-04-17 주식회사 레비엘 스마트폰 거치대
KR102126385B1 (ko) * 2018-12-24 2020-06-24 주식회사 고그린테크 캐리어 타입의 휴대용 전원공급 장치를 갖춘 촬영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AU2010246335B2 (en) Collapsible light
CA2720860C (en) Umbrella lighting apparatus
JP2014507045A (ja) 照明付きポール
CN103697339B (zh) 一种户外led应急灯
KR20150104400A (ko) 삼각대가 구비된 조명
US10551043B1 (en) Portable lighting system
WO2009070055A2 (ru) Установка осветительная
GB2052037A (en) Lamp Having a Shade Formed as an Umbrella
RU74441U1 (ru) Установка осветительная "шар световой - зонтик"
US6520665B1 (en) Portable lawn and deck shepherd light
KR101531042B1 (ko) 자유로운 각도 조절이 가능한 스탠드 겸용 다용도 랜턴
KR101383453B1 (ko) 손전등 기능을 겸한 스탠드형 조명장치
US20200158301A1 (en) Lighting System
RU207358U1 (ru) Аварийная осветительная установка
KR200448376Y1 (ko) 조명 기구용 갓
KR100888012B1 (ko) 조명장치
CN208901300U (zh) 充气训练灯
CN212901007U (zh) 一种投光灯
KR20150125032A (ko) 레저용 랜턴 행거
CN103162158B (zh) 建筑用全方位安全照明灯
KR200413489Y1 (ko) 파라솔
CN218001215U (zh) 一种多功能便携式户外灯具
CN202927779U (zh) 照明装置及灯具
RU190050U1 (ru) Осветительная установка
CN203131564U (zh) 立灯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