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00248Y1 - 버스의 본네트구조 - Google Patents

버스의 본네트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00248Y1
KR200300248Y1 KR2019970030246U KR19970030246U KR200300248Y1 KR 200300248 Y1 KR200300248 Y1 KR 200300248Y1 KR 2019970030246 U KR2019970030246 U KR 2019970030246U KR 19970030246 U KR19970030246 U KR 19970030246U KR 200300248 Y1 KR200300248 Y1 KR 200300248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onnet
cover
bus
locking device
clip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70030246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9990016773U (ko
Inventor
이상무
Original Assignee
현대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현대자동차주식회사 filed Critical 현대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to KR2019970030246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300248Y1/ko
Publication of KR19990016773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90016773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300248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00248Y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DMOTOR VEHICLES; TRAILERS
    • B62D31/00Superstructures for passenger vehicles
    • B62D31/02Superstructures for passenger vehicles for carrying large numbers of passengers, e.g. omnibu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DMOTOR VEHICLES; TRAILERS
    • B62D25/00Superstructure or monocoque structure sub-units; Parts or details thereof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2D25/08Front or rear portions
    • B62D25/10Bonnets or lids, e.g. for trucks, tractors, busses, work vehic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Y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CROSS-CUTTING VEHICLE TECHNOLOGY
    • B60Y2200/00Type of vehicle
    • B60Y2200/10Road Vehicles
    • B60Y2200/14Trucks; Load vehicles, Busses
    • B60Y2200/143Buss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Transportat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Superstructure Of Vehicle (AREA)

Abstract

본 고안은 버스의 엔진실에 설치하는 본네트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소음 및 먼지 등의 공해가 실내로 유입되지 않도록 고안한 버스의 본네트 구조에 관한 것이다. 본 고안의 목적은, 본네트에 잠금장치 및 실링재를 설치하므로써 스프링의 탄성력을 이용하여 본네트의 결합이 느슨해지는 것을 방지하고 실내로 소음 및 먼지 등이 유입되지 못하도록 결합력을 강화시킨 버스의 본네트 구조를 제공하는 것이다. 전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고안은, 본네트 상부커버(21)의 상부에는 볼트를 이용하여 상부 클립(23)이 고정되어 있고, 상기 본네트 상부커버(21)의 하부측에 형성되는 본네트 하부커버(31)에는 손잡이부(32)가 구비된 잠금장치(35)와 힌지(33)로 체결되어 있는 하부 클립(28)이 볼트(25')를 이용하여 고정 설치되어 있어 상기 잠금장치(35)와 일체로 연결되는 연결고리(34)로 상기 본네트 상부커버(21)와 본네트 하부커버(31)를 상호 결합하는 버스의 본네트 커버의 결합구조에 있어서, 상기 상부 클립(23)의 굴곡부(27)에는 연결고리(34)의 일단에 형성된 직선부(41)가 체결되고, 상기 본네트 하부커버(31)의 하부 클립(28)에는 힌지(33)를 이용하여 잠금장치(35)가 연결되며, 상기 잠금장치(35)의 일단에 형성된 스프링 고정부(45)에는 상기 연결고리(34)의 타단에 형성된 스프링부(43)가 일체로 연결되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버스의 본네트 구조를 제공한다.

Description

버스의 본네트 구조{Bonnet structure of Bus}
본 고안은 버스의 엔진실에 설치하는 본네트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소음 및 먼지 등의 공해가 실내로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고안된 버스의 본네트 구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소형버스에는 본네트(덮개)가 차량 내부에 설치되어 있어 엔진에서 발생되는 소음을 차단하거나 외부로부터 엔진룸 내부로 이물질 등이 유입되는 것을 방지한다.
도 1은 종래의 엔진부의 본네트를 나타내는 절단면도로서, 본네트 상부커버(1)의 상부에는 스크류(볼트)(5)를 이용하여 상기 클립(3)이 고정 결합된다. 상기 본네트 상부커버(1)의 하부측에 형성된 본네트 하부커버(11)에는 손잡이부(12)가 구비된 잠금장치(15)와 힌지(13)를 이용하여 체결된 하부클립(8)이 스크류(볼트)(5')를 이용하여 고정 결합된다. 상기 본네트 상부커버(1)에 고정 결합된 상부 클립(3)의 굴곡부(7)에는 중앙부분이 절곡된 바(bar)모양의 연결고리(14)의 일단부가 체결되고, 상기 본네트 하부커버(11)에 고정 설치되는 하부 클립(8)에는 손잡이부(12)가 구비된 잠금장치(15)가 힌지(13)를 이용하여 연결 설치된다. 상기 잠금장치(15)의 손잡이부(12)에는 연결고리(14)의 타단부가 회동 가능하게 연결되여 본네트 상부커버(1)와 본네트 하부커버(11)를 잠금장치(15)를 이용하여 상호 결합하는 구조이다.
상기 본네트 상부커버(1)와 본네트 하부커버(11)가 접하는 부위에는 실링재(19)가 설치된다.
전술한 일반적인 버스의 본네트 결합구조는 차체가 흔들리고 힌지가 노화되는 경우에 잠금장치의 결합력이 약화되는 문제점을 가지고 있고, 본네트 상부커버와 본네트 하부커버가 접하는 실링재 삽입 부분이 들뜨게 되어 소음 및 먼지 등이 쉽게 버스의 실내로 유입되는 문제점을 가지고 있다.
본 고안은 전술한 문제점을 감안하여 안출한 것으로서, 본 고안의 목적은, 본네트에 스프링부 및 실링재를 설치하여 스프링의 완충역활을 이용하여 본네트의 결합이 느슨해지는 것을 방지하고 실내로 소음 및 먼지 등이 유입되지 못하도록 결합력을 강화시킨 버스의 본네트 구조를 제공하는 것이다.
전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고안은, 본네트 상부커버(21)의 상부에는 볼트(25)를 이용하여 상부 클립(23)이 고정되어 있고, 상기 본네트 상부커버(21)의 하부측에 형성되는 본네트 하부커버(31)에는 손잡이부(32)가 구비된 잠금장치(35)와 힌지(33)로 체결되어 있는 하부 클립(28)이 볼트(25')를 이용하여 고정 설치되어 있어 상기 잠금장치(35)와 일체로 연결되는 연결고리(34)로 상기 본네트 상부커버(21)와 본네트 하부커버(31)를 상호 결합하는 버스의 본네트 커버의 결합구조에 있어서, 상기 상부 클립(23)의 굴곡부(27)에는 연결고리(34)의 일단에 형성된 직선부(41)가 체결되고, 상기 본네트 하부커버(31)의 하부 클립(28)에는 힌지(33)를 이용하여 잠금장치(35)가 연결되며, 상기 잠금장치(35)의 일단에 형성된 스프링 고정부(45)에는 상기 연결고리(34)의 타단에 형성된 스프링부(43)가 일체로 연결되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버스의 본네트 구조를 제공한다.
도 1은 종래의 엔진부의 본네트를 나타내는 절단면도.
도 2는 본 고안의 엔진부의 본네트를 나타내는 절단면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21: 본네트 상부커버 23: 상부 클립
25,25' : 볼트 27: 굴곡부
28: 하부 클립 31: 본네트 하부커버
32: 손잡이부 33: 힌지
34: 연결고리 35: 잠금장치
39: 실링재 41: 직선부
43: 스프링부 45: 스프링 고정부
본 고안의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의 바람직한 일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2는 본 고안의 엔진부의 본네트를 나타내는 절단면도로서, 본네트 상부커버(21)의 상부에는 볼트(25)를 이용하여 상부 클립(23)이 고정되어 있고, 상기 본네트 상부커버(21)의 하부측에 형성되는 본네트 하부커버(31)에는 손잡이부(32)가 구비된 잠금장치(35)와 힌지(33)로 체결되어 있는 하부 클립(28)이 볼트(25')를 이용하여 고정 설치되어 있다. 상기 본네트 상부커버(21)와 본네트 하부커버(31)가 밀착되는 밀착부위에 형성된 틈새를 통해 먼지 등의 이물질이나 소음이 실내로 유입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상기 틈새에는 실링재(39)가 삽입되어 있다.
상기 본네트 상부커버(21)와 본네트 하부커버(31)의 체결시 잠금장치(35)를 이용하여 연결고리(34)로 상호 결합시키는 종래의 본네트 커버의 결합구조를 변경하여, 상기 본네트 상부커버(21)에 고정 결합되는 상부 클립(23)의 굴곡부(27)에는 연결고리(34)의 일단에 형성된 직선부(41)가 연결되어 있고, 상기 본네트 하부커버(31)에 고정된 하부 클립(28)에는 잠금장치(35)가 힌지(33)를 이용하여 회동 가능하게 연결되어 있으며, 상기 잠금장치(35)의 스프링 고정부(45)에는 상기 연결고리(34)의 타단에 형성된 스프링부(43)가 일체로 연결되어 형성 되어 있다.
상기 연결고리(34)는 바(bar)모양으로 형성된 직선부(41)와 탄성력을 갖는 스프링부(43)가 일체로 연결되어 형성되는데, 상기 스프링부(43)는 본네트 상부커버(21)의 굴곡부(27)에 상호 결합되는 직선부(41)에 대응하는 반대편에 설치되어 잠금장치(35)에 형성된 스프링 고정부(45)와 결합되는 후크부가 구비되어 있다.
전술한 구성에 대한 본 고안의 작용을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상기 본네트 상부커버(21)와 본네트 하부커버(31)가 밀착되는 부위에 발생되는 틈새에 실링재(39)를 삽입하여 버스의 구동시 엔진부에서 전해지는 소음이 실내로 유입되는 것을 차단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상기 직선부(41)와 스프링부(43)를 일체로 연결하여 형성된 연결고리(34)의 사용으로 인해 본네트 상부커버(21)와 본네트 하부커버(31)를 탄성력에 의해서 계속적으로 가압하게 되어 그로 인해 실링재(39)의 밀착을 더욱 견고하게 유지할 수 있게 되고 잠금장치(35)의 기능을 향상시킬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전술한 구성과 작용에 의한 본 고안의 효과를 알아보면 다음과 같다.
본네트 상부커버에 설치된 상부 클립과 체결되는 연결고리의 타단에 형성된 스프링부에 의해서 본네트 상부커버 및 본네트 하부커버를 항상 당기고 있게 되므로 실링재가 항시 밀착하게 접합되어 있게 되고, 그로 인해 버스의 운전시 엔진실을 지나 본네트의 틈새로 들어오던 소음 및 먼지 등이 모두 차단되므로 쾌적한 버스의 실내환경을 유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상기 연결고리의 스프링부에 의해서 잠금장치가 항상 일정한 힘으로 가압되어 견고하게 본네트를 결합 고정시키는 효과도 있다.

Claims (1)

  1. 본네트 상부커버(21)의 상부에는 볼트(25)를 이용하여 상부 클립(23)이 고정되어 있고, 상기 본네트 상부커버(21)의 하부측에 형성되는 본네트 하부커버(31)에는 손잡이부(32)가 구비된 잠금장치(35)와 힌지(33)로 체결되어 있는 하부 클립(28)이 볼트(25')를 이용하여 고정 설치되어 있어 상기 잠금장치(35)와 일체로 연결되는 연결고리(34)로 상기 본네트 상부커버(21)와 본네트 하부커버(31)를 상호 결합하는 버스의 본네트 커버의 결합구조에 있어서, 상기 상부 클립(23)의 굴곡부(27)에는 연결고리(34)의 일단에 형성된 직선부(41)가 체결되고, 상기 본네트 하부커버(31)의 하부 클립(28)에는 힌지(33)를 이용하여 잠금장치(35)가 연결되며, 상기 잠금장치(35)의 일단에 형성된 스프링 고정부(45)에는 상기 연결고리(34)의 타단에 형성된 스프링부(43)가 일체로 연결되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버스의 본네트 구조.
KR2019970030246U 1997-10-30 1997-10-30 버스의 본네트구조 KR200300248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70030246U KR200300248Y1 (ko) 1997-10-30 1997-10-30 버스의 본네트구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70030246U KR200300248Y1 (ko) 1997-10-30 1997-10-30 버스의 본네트구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90016773U KR19990016773U (ko) 1999-05-25
KR200300248Y1 true KR200300248Y1 (ko) 2003-03-31

Family

ID=4939829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70030246U KR200300248Y1 (ko) 1997-10-30 1997-10-30 버스의 본네트구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300248Y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90016773U (ko) 1999-05-2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328250B2 (en) Outer door handle gasket for automotive vehicles
KR200300248Y1 (ko) 버스의 본네트구조
JP4126642B2 (ja) ガーニッシュ取付構造
JP3940974B2 (ja) 車両のウォッシャホース固定構造
KR19990025831U (ko) 차량의 액체탱크 고정구조
US5921515A (en) Holding device
KR20010058909A (ko) 자동차용 와이퍼 블레이드 장착구조
KR100320964B1 (ko) 자동차의 가니쉬 장착용 클립
JP2826981B2 (ja) バックバイザーの取付構造
KR970005408Y1 (ko) 차량의 도어 웨더스트립
KR200153921Y1 (ko) 볼 조인트가 적용된 버스의 도어와 차체 연결구조
KR0132896Y1 (ko) 방충패드를 갖는 문틀부재
KR970034128A (ko) 현가 스프링 체결구조
JP3113511B2 (ja) エンジンフードの側部シール構造
KR200152930Y1 (ko) 자동차 전면부의 시일구조
KR970041697A (ko) 차체의 전면구조
KR200145845Y1 (ko) 알터네이터의 링터미널 고정용 클립
JP2000052893A (ja) ワイヤハーネスプロテクタのクランプ固定構造
KR200284826Y1 (ko) 도어 사이드 힌지의 충격완충구조를 갖는 힌지구조
JP2582222Y2 (ja) キャブサイドマルチプレックスウエザーストリップルーフ断面構造
JPH07217265A (ja) 自動車用ドアハンドル装置
JPH0667142U (ja) サンルーフドレインホース配置構造
KR970045869A (ko) 자동차의 볼 조인트 체결구조
KR200160071Y1 (ko) 와셔액 리저버의 가장착구조
KR970034096A (ko) 자동차의 로워 서스펜션 아암과 볼 조인트 체결구의 강성강화구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51111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