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0024193A - 시트프레임 조립체 및 그 등받이프레임의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시트프레임 조립체 및 그 등받이프레임의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0024193A
KR20030024193A KR1020010057235A KR20010057235A KR20030024193A KR 20030024193 A KR20030024193 A KR 20030024193A KR 1020010057235 A KR1020010057235 A KR 1020010057235A KR 20010057235 A KR20010057235 A KR 20010057235A KR 20030024193 A KR20030024193 A KR 2003002419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rame
recliner
assembly
cushion
sea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1005723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경안
김영만
Original Assignee
한일이화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일이화주식회사 filed Critical 한일이화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10057235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30024193A/ko
Publication of KR2003002419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0024193A/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N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VEHICLE PASSENGER ACCOMMODA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2/00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 B60N2/68Seat fram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viation & Aerospace Engineering (AREA)
  • Transportat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hair Legs, Seat Parts, And Backrests (AREA)
  • Seats For Vehicl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쿠션프레임과 연결되어 시트프레임 조립체를 형성하는 시트프레임 조립체 및 그 등받이프레임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등받이프레임의 제조방법은, 소재 강판 시이트를 긴 띠형상으로 절단하는 단계와; 쿠션프레임과 연결되는 소정의 결합부를 형성하는 단계와; 절단된 시이트를 중앙영역으로부터 일부 길이구간에 걸쳐 관상으로 성형하는 단계와; 관성형된 시이트를 대략 `U`자 형상으로 절곡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에 의해, 중량을 경감하고 부품수를 줄이며 조립작업을 단순화하고 생산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Description

시트프레임 조립체 및 그 등받이프레임의 제조방법{Seat Frame Assembly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Back Frame Therefor}
본 발명은, 자동차용 시트 구조물을 형성하는 시트프레임 조립체 및 그 등받이프레임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종래의 시트프레임 조립체는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쿠션프레임(211)과, 등받이를 형성하는 등받이프레임(213)과, 등받이프레임(213)의 회동각도를 조절하는 리클라이너(231)와, 등받이프레임(213)에 용접 결합되어 등받이프레임(213)과 리클라이너(231)의 일단부를 상호 연결하는 브라켓(217)을 포함한다. 리클라이너(231)의 타단부는 쿠션프레임(211)의 측면에 결합된다. 이로써, 등받이프레임(213)과 쿠션프레임(211)은 리클라이너(211)에 의해 상호 연결된다.
한편, 종래의 등받이프레임은 강도를 유지하기 위하여 소정의 두께를 가진 파이프를 이용하여, 파이프를 소정의 길이로 절단한 후 대략 `U`자 형상으로 절곡하고, 양측 선단을 용접하여 등받이프레임의 외관을 형성하는 외곽틀을 제조하였다. 그리고, 외곽틀의 좌우 양측에 브라켓을 용접하여 등받이프레임과 쿠션프레임을 연결하는 리클라이너를 결합하였다.
그런데, 이러한 종래의 시트프레임 조립체에 있어서는, 등받이프레임과 쿠션프레임을 연결하는 리클라이너를 결합하기 위해 별도의 브라켓을 등받이프레임에 용접하므로, 시트프레임 조립체의 중량이 늘어나고 부품수가 많아지며 조립작업이복잡하여 생산성이 저하되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중량을 경감하고 부품수를 줄이며 조립작업을 단순화하고 생산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시트프레임 조립체 및 그 등받이프레임의 제조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시트프레임 조립체의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의 요부 결합사시도이며,
도 3a 내지 도 3g는 본 발명에 따른 등받이프레임의 외곽틀의 각 단계별 관성형 제조공정도이고,
도 4는 관성형된 등받이프레임의 외곽틀의 정면도이며,
도 5는 도 4의 Ⅴ-Ⅴ선에 따른 단면도이고,
도 6은 도 4의 등받이프레임의 외곽틀을 절곡한 상태를 도시한 개략적인 사시도이며,
도 7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시트프레임 조립체의 요부 결합사시도이고,
도 8은 종래의 시트프레임 조립체의 사시도이다.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시트프레임 조립체 11 : 쿠션프레임
13 : 등받이프레임 15 : 외곽틀
17 : 결합부 25 : 보강부
31 : 리클라이너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쿠션프레임과 연결되어 시트프레임 조립체를 형성하는 등받이프레임의 제조방법에 있어서, 소재 강판 시이트를 긴 띠형상으로 절단하는 단계와; 상기 쿠션프레임과 연결되는 소정의 결합부를 형성하는 단계와; 상기 절단된 시이트를 중앙영역으로부터 일부 길이구간에 걸쳐 관상으로 성형하는 단계와; 상기 관성형된 시이트를 대략 `U`자 형상으로 절곡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등받이프레임의 제조방법을 제공한다.
그리고,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다른 분야에 따르면, 시트프레임 조립체에 있어서, 쿠션프레임과; 등받이를 형성하며 적어도 일단부에 상기 쿠션프레임과 연결되는 소정의 결합부가 일체로 형성된 등받이프레임과; 일단부가 상기 결합부에 결합되고, 타단부가 상기 쿠션프레임에 결합되어 상기 쿠션프레임과 등받이프레임을 상호 연결하며, 상기 등받이프레임의 회동각도를 조절하는 리클라이너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트프레임 조립체를 제공한다.
이하에서는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대해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시트프레임 조립체의 사시도이고, 도 2는도 1의 요부 결합사시도이다. 이들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시트프레임 조립체(1)는, 쿠션프레임(11)과, 등받이를 형성하는 등받이프레임(13)과, 쿠션프레임(11)과 등받이프레임(13)을 상호 연결하며 등받이프레임(13)의 회동각도를 조절하는 리클라이너(31)를 포함한다.
등받이프레임(13)은 대략 역`U`자 형상을 가지며 양측 가장자리에 리클라이너(31)의 일단부가 결합되는 결합부(17)가 일체로 형성된 외곽틀(15)과, 외곽틀(15)의 하단부, 즉 상호 이격된 외곽틀(15)의 양측 가장자리를 연결하여 외곽틀(15)의 비틀림을 방지하고 강도를 보강하는 보강부(25)를 가진다. 결합부(17)에는 리클라이너(31)의 일단부가 결합되는 복수의 결합공(19)이 형성되어 있다. 결합부(17)의 각 결합공(19)에는 등받이프레임(13)과 리클라이너(31)의 일단부를 결합하는 결합수단으로서 일예로 볼트(21)가 결합되며, 이 볼트(21)는 너트(23)에 의해 체결된다. 여기서, 등받이프레임(13)과 리클라이너(31)를 결합하는 결합수단으로서 볼트(21) 이외에 핀, 리벳 등을 이용할 수 있다.
그리고, 외곽틀(15)의 상단부에는 머리지지대(미도시)를 조립하기 위한 가이드브라켓(27)이 마련되어 있으며, 외곽틀(15)의 상단부와 보강부(25) 사이에는 우레탄 성형체가 지지되어 착석자에게 안락감을 제공하는 복수의 와이어(29)가 마련되어 있다.
한편, 외곽틀(15)의 결합부(17)에 결합되는 리클라이너(31)의 일단부에는 결합부(17)의 결합공(19)에 대응하는 복수의 관통공(33)이 형성되어 있다. 이 관통공(33)에 결합부(17)의 결합공(19) 및 너트(23)에 결합되는 볼트(21)가 관통되어리클라이너(31)와 등받이프레임(13)은 상호 연결된다.
그리고, 리클라이너(31)의 타단부는 쿠션프레임(11)의 측면에 볼트(35) 결합된다.
이러한 구성에 의해, 결합부(17)가 일체로 형성된 등받이프레임(13)과 쿠션프레임(11)은 리클라이너(31)에 의해 상호 연결된다.
따라서, 등받이프레임(13)에 리클라이너(31)를 결합하기 위하여 별도의 브라켓의 장착이 필요 없게 되어, 시트프레임 조립체(1)의 중량을 경감하고 부품수를 줄이며 조립작업을 단순화하고 생산성을 향상시킬 수 있게 된다.
한편, 본 발명의 다른 분야로서, 시트프레임 조립체의 구성요소인 등받이프레임의 제조방법을 도 3a 내지 도 3g를 참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여기서, 설명에 앞서, 도 3c 내지 도 3g에 도시된 각 형상품은 관성형과정을 도시하기 위한 각 형상품의 단면을 나타낸다.
먼저, 도 3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소재 강판 시이트(37)를 등받이프레임의 외곽틀의 전개 치수에 맞게 긴 띠형상으로 절단한다.
다음, 도 3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절단된 시이트(37)의 양단부에 리클라이너를 결합하기 위한 결합부(17), 즉 결합공(19)을 형성한다.
그리고, 결합공(19)이 형성된 시이트(37)를 중앙영역으로부터 일부 길이구간에 걸쳐 관상으로 성형을 한다.
즉, 도 3c 내지 도 3g에 도시된 바와 같이, 프레스의 상부홀더(41)에 마련되는 펀치와 하부다이(45) 사이에 위치한 패드 위에 시이트(37)를 놓은 후, 프레스로압착하여 펀치와 패드에 대응하는 형상으로 성형을 하고, 펀치와 패드를 바꾸어 가면서 관상의 단면형상을 가지도록 시이트(37)를 프레스로 압착한다.
상기 관성형공정에 대해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면, 먼저, 상부홀더(41)에 고정된 제1펀치(43a)와 하부다이(45)에 위치한 제1패드(47a) 사이에 결합공(19)이 형성된 시이트(37)를 놓은 후, 중앙영역으로부터 일부 길이구간에 걸쳐 프레스로 압착하여 양측 가장자리를 내향 절곡한 제1형상품(49a)을 성형한다(도 3c 참조).
다음, 제2펀치(43b)와 제2패드(47b) 사이에 제1형상품(49a)을 놓은 후, 일부 길이구간에 걸쳐 프레스로 압착하여 소정의 단면형상을 가지는 제2형상품(49b)을 성형한다(도 3d 참조).
그리고, 제3펀치(43c)와 제3패드(47c) 사이에 제2형상품(49b)을 놓은 후, 일부 길이구간에 걸쳐 프레스로 압착하여 소정의 단면형상을 가지는 제3형상품(49c)을 성형한다(도 3e 참조).
그리고 나서, 제4펀치(43d)와 제4패드(47d) 사이에 제3형상품(49c)을 놓은 후, 일부 길이구간에 걸쳐 프레스로 압착하여 소정의 단면형상을 가지는 제4형상품(49d)을 성형한다(도 3f 참조).
그리고, 제5펀치(43e)와 제5패드(47e) 사이에 제4형상품(49d)을 놓은 후, 일부 길이구간에 걸쳐 프레스로 압착하면 제4형상품은 제5펀치의 가공형상을 따라 성형되면서 원형의 단면형상을 가진 외곽틀이 성형된다(도 3g 참조).
이러한 성형공정을 통하여 도 4 및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소정의 길이구간에 걸쳐 관상으로 성형된 등받이프레임(13)의 외곽틀(15)을 얻게 된다. 또한,외곽틀(15)의 관상으로 형성되어 있는 영역은 원형의 단면형상을 가지며, 상호 대향 접촉하는 돌기부(51)가 생성되므로 일반 파이프로 제조된 외곽틀에 비해 강도가 향상되게 된다.
다음,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관상으로 성형된 등받이프레임(13)의 외곽틀(15)을 상호 대향 접촉하는 돌기부(51)가 내측을 향하도록 대략 `U`자 형상으로 내향 절곡한다.
그리고, 상호 이격되어 있는 외곽틀(15)의 양측 가장자리, 즉 외곽틀(15)의 하단부를 보강부(25)로 상호 연결하여 외곽틀(15)의 비틀림을 방지하고 강도를 보강한다. 또한, 외곽틀(15)의 보강부(25)와 대향하는 위치, 즉 외곽틀(15)의 상단부에는 소정의 길이구간을 압착하여 머리지지대(미도시)를 조립하기 위한 가이드브라켓(27)을 설치하고, 상단부와 보강부(25) 사이에는 우레탄 성형체가 지지되어 착석자에게 안락감을 제공하는 복수의 와이어(29)를 소정의 간격으로 설치한다.
이로써, 쿠션프레임(11)과 연결되는 소정의 결합부(17)가 일체로 형성된 등받이프레임(13)을 얻을 수 있게 된다.
한편, 도 7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시트프레임 조립체의 요부 결합사시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시트프레임 조립체(101)는 전술한 일실시예와는 달리, 등받이프레임(113)의 일측에만 리클라이너(131)가 장착되는 구조를 가진다.
리클라이너(131)가 장착되지 않는 등받이프레임(113)과 쿠션프레임(111)의 각 일단부에는 후술할 힌지용 볼트(167)가 관통하는 관통공(163a, 163b)이 형성된힌지부(161a, 161b)가 마련되어 있다. 각 힌지부(161a, 161b) 사이에는 부시(165)가 개재되어 있으며, 각 힌지부(161a, 161b)와 부시(165)에 힌지용 볼트(167)를 관통하여 너트(169)로 결합함으로써, 이 볼트(167)가 등받이프레임(113)과 쿠션프레임(111)의 힌지축 역할을 하게 된다.
이와 같이, 소정의 결합부가 일체로 형성된 등받이프레임을 제조하고, 이 등받이프레임에 리클라이너를 직접 결합함으로써, 시트프레임 조립체의 중량이 경감됨과 동시에 부품수가 줄어 조립작업을 단순화하고 생산성을 향상시킬 수 있게 된다.
한편, 전술한 실시예에서는, 절단된 시이트에 소정의 결합부를 형성한 후 관성형하는 것으로 설명하였지만, 관성형한 후 소정의 결합부를 형성할 수도 있다.
그리고, 전술한 실시예에서는, 등받이프레임은 대략 `U`자 형상으로 절곡하는 것으로 한정하고 있지만, 이에 한정하지 않고 다양한 형상으로 절곡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르면, 중량을 경감하고 부품수를 줄이며 조립작업을 단순화하고 생산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시트프레임 조립체 및 그 등받이프레임의 제조방법이 제공된다.

Claims (2)

  1. 쿠션프레임과 연결되어 시트프레임 조립체를 형성하는 등받이프레임의 제조방법에 있어서,
    소재 강판 시이트를 긴 띠형상으로 절단하는 단계와;
    상기 쿠션프레임과 연결되는 소정의 결합부를 형성하는 단계와;
    상기 절단된 시이트를 중앙영역으로부터 일부 길이구간에 걸쳐 관상으로 성형하는 단계와;
    상기 관성형된 시이트를 대략 `U`자 형상으로 절곡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등받이프레임의 제조방법.
  2. 시트프레임 조립체에 있어서,
    쿠션프레임과;
    등받이를 형성하며 적어도 일단부에 상기 쿠션프레임과 연결되는 소정의 결합부가 일체로 형성된 등받이프레임과;
    일단부가 상기 결합부에 결합되고, 타단부가 상기 쿠션프레임에 결합되어 상기 쿠션프레임과 등받이프레임을 상호 연결하며, 상기 등받이프레임의 회동각도를 조절하는 리클라이너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트프레임 조립체.
KR1020010057235A 2001-09-17 2001-09-17 시트프레임 조립체 및 그 등받이프레임의 제조방법 KR20030024193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10057235A KR20030024193A (ko) 2001-09-17 2001-09-17 시트프레임 조립체 및 그 등받이프레임의 제조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10057235A KR20030024193A (ko) 2001-09-17 2001-09-17 시트프레임 조립체 및 그 등받이프레임의 제조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0024193A true KR20030024193A (ko) 2003-03-26

Family

ID=2772428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10057235A KR20030024193A (ko) 2001-09-17 2001-09-17 시트프레임 조립체 및 그 등받이프레임의 제조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30024193A (ko)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670827A (ja) * 1992-06-29 1994-03-15 Araco Corp 車両用座席のフレーム一体成形構造
JPH0747021A (ja) * 1993-08-04 1995-02-21 Suzuki Motor Corp 自動車用シート
JPH07289388A (ja) * 1994-04-28 1995-11-07 Futaba Sangyo Kk シートバックフレーム、補強材付シートバックフレーム及びそれらの製法
JPH09252873A (ja) * 1996-03-27 1997-09-30 Ishikawa Kogyo Kk バックフレームおよびその製造方法
JP2001149172A (ja) * 1999-11-29 2001-06-05 Tachi S Co Ltd シート・バック・フレーム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670827A (ja) * 1992-06-29 1994-03-15 Araco Corp 車両用座席のフレーム一体成形構造
JPH0747021A (ja) * 1993-08-04 1995-02-21 Suzuki Motor Corp 自動車用シート
JPH07289388A (ja) * 1994-04-28 1995-11-07 Futaba Sangyo Kk シートバックフレーム、補強材付シートバックフレーム及びそれらの製法
JPH09252873A (ja) * 1996-03-27 1997-09-30 Ishikawa Kogyo Kk バックフレームおよびその製造方法
JP2001149172A (ja) * 1999-11-29 2001-06-05 Tachi S Co Ltd シート・バック・フレーム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5806803B2 (ja) 車両シートフレーム及びその製造方法
US5564785A (en) Seat frame assembly for a motor vehicle
US20080136240A1 (en) Vehicle seat
US6802124B2 (en) Upholstery support for the back of a vehicle seat
US5669623A (en) Baby carriage and method of manufacturing seat plate for its seat
CN102333675B (zh) 座椅结构以及制造座椅结构的方法
CN104290632B (zh) 交通工具用座椅的靠背框架
JP2015083471A (ja) シートフレーム及び車両用シート
JPH07277119A (ja) 自動車のためのロールバー
JP5998288B2 (ja) 自動車バケットシート
JP2010046162A (ja) 車両用シートバックのフレーム構造及び該構造を有する車両用シートバック
CN102223824A (zh) 单体座椅结构以及用于形成座椅结构的冷成型方法
US5810446A (en) Frame structure of seatback
JPH0731526A (ja) シートバックフレーム
KR20030024193A (ko) 시트프레임 조립체 및 그 등받이프레임의 제조방법
JP4094745B2 (ja) キャブマウントブラケット
CN107531170B (zh) 座椅框架及座椅框架的制造方法
JP7352482B2 (ja) 柱状体、シートフレーム及び車両用シート
CN207875454U (zh) 一种铝镁合金汽车座椅骨架结构
JP5813578B2 (ja) シートフレーム及びその製造方法
CN211166582U (zh) 一种商用车驾驶位座椅上靠背支架
JPH07289388A (ja) シートバックフレーム、補強材付シートバックフレーム及びそれらの製法
JPH08182573A (ja) 座席のフレーム構造
JP2001121934A (ja) リーフスプリング固定用ブラケット
US20240109466A1 (en) Backrest element for a vehicle seat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