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0023963A - 쑥을 주 원료로 한 소 및 돼지용 첨가사료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쑥을 주 원료로 한 소 및 돼지용 첨가사료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0023963A
KR20030023963A KR1020010056732A KR20010056732A KR20030023963A KR 20030023963 A KR20030023963 A KR 20030023963A KR 1020010056732 A KR1020010056732 A KR 1020010056732A KR 20010056732 A KR20010056732 A KR 20010056732A KR 20030023963 A KR20030023963 A KR 2003002396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ugwort
feed
pellet
additives
powd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1005673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429583B1 (ko
Inventor
김병기
정승화
강삼순
Original Assignee
경상북도 (관련부서:경상북도축산기술연구소장)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경상북도 (관련부서:경상북도축산기술연구소장) filed Critical 경상북도 (관련부서:경상북도축산기술연구소장)
Priority to KR10-2001-005673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429583B1/ko
Publication of KR2003002396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002396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42958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429583B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KFODDER
    • A23K10/00Animal feeding-stuffs
    • A23K10/30Animal feeding-stuffs from material of plant origin, e.g. roots, seeds or hay; from material of fungal origin, e.g. mushroom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KFODDER
    • A23K40/00Shaping or working-up of animal feeding-stuffs
    • A23K40/20Shaping or working-up of animal feeding-stuffs by moulding, e.g. making cakes or briquette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KFODDER
    • A23K20/00Accessory food factors for animal feeding-stuffs
    • A23K20/10Organic substances
    • A23K20/174Vitamin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KFODDER
    • A23K20/00Accessory food factors for animal feeding-stuffs
    • A23K20/20Inorganic substances, e.g. oligoelements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Zoology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Biotechnology (AREA)
  • Physiology (AREA)
  • Animal Husbandry (AREA)
  • Mycology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Botany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Fodder In General (AREA)
  • Feed For Specific Animal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전국에 산재해 있는 야생쑥을 채취하여 양질로 건조시킨후 잎과 줄기의 비율을 7:3으로 선별·혼합후 3mm망이 부착된 분쇄기를 이용하여 분말형태로 분쇄하여 건조시켰다. 분말쑥 60%에 부재료인 밀기울(미강등 강피류) 35% 및 비타민 E, 인산칼슘, 광물질미네랄, 스트레졸등 기타첨가제를 5% 첨가하여 2∼3mm 크기의 쑥펠렛형 사료로 제조함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다.

Description

쑥을 주 원료로 한 소 및 돼지용 첨가사료 제조방법{An assorted feed manufacturing process using mugwort}
본 발명은 쑥을 이용하여 소 및 돼지에 일반사료와 함께 급여하는 첨가사료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식육으로 사용되는 소나 돼지고기는 근래 식생활 문화의 발달로 인하여 소비자의 입맛이 까다로와진 상태이고, 아울러 수출입의 개방으로 인하여 저가의 외국산 식육이 다량 수입되고 있는 실정으로서, 이로 인하여 국내의 현실로서는 더욱 맛있고 건강에 유익하며 고급화된 돈육 및 한우육의 제공이 요구되고 있다.
본 발명은 이러한 요구에 부응하기 위하여 소 및 돼지의 사료로 첨가하여 육질을 개선하는 용도로 사용하기 위하여 쑥을 주목하여 왔던 것이다.
주지된 바와 같이 쑥은 우리인류가 오래전부터 건강초로 사용하여 왔고 동양의학에서는 다양한 방법의 약제원료로 사용되어 왔는데, 특히 허준선생의 동의보감에는 쑥을 "애엽(艾葉)"이라하여 성질이 따뜻하고 맛은 쓰며, 독은 없다고 하여 인체에 좋아 일명 "빙대(氷臺)" 또는 "의초(醫草)"라고 하였다. 또한 5월 초에 채취하여 오래 묵혀둘수록 몸에 좋다고 기록하고 있다.
쑥에는 단백질과 칼슘, 비타민 A, B1, B2, C, E, K와 스코파론, 나이아신, 치네올 등 다양한 생리활성 물질이 매우 풍부하게 함유되어있어 몸에 유익한 것으로 알려져 왔다.
본 발병은 이런점에 착안하여 지역에 산재해 있는 야생쑥을 분말 또는 펠렛형사료로 제조하여 일반사료에 첨가 급여시키도록 함으로써 성장속도가 빠르고 육질도 뛰어난 돈육 및 한우육을 생산할 목적으로, 일반사료에 첨가하여 급여하는 형태의 사료를 제공하고자 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첨가사료는 쑥을 주원료로 하고 부재료 및 기타 첨가제를 적정한 비율로 혼합하여 분말형태 혹은 펠렛형으로 제조함을 특징으로 하는 것으로, 이하 구체적인 제조방법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쑥을 채취하여 햇빛에 건조한 후 잎과 줄기를 7:3의 비율로 혼합하여 분말로 만들었으며, 5월∼6월 사이에 채취한 것이 유용한 성분의 함량 등이 좋아 최대한의 효과를 얻을 수 있었다.
상기 잎과 줄기의 비율은 쑥의 잎에 특수성분(Cathepkin; 황산화효과, 항종양작용효과, 중금속해독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보고됨)이 많이 포함된 것으로 알려져 있기 때문에 쑥의 잎을 많이 사용하면 좋으나, 잎만을 분쇄하면 솜처럼 부풀어 오르는 문제가 있기 때문이다. 따라서 이러한 문제를 방지하면서 쑥의 잎을 최대한 많이 포함할 수 있는 적정한 비율이 7:3인 것으로 밝혀졌다.
이렇게 예비단계를 거친 쑥분말을 60%로 하고, 부재료인 밀기울(미강등 강피류)을 35%, 기타첨가제를 5% 함유하는데, 기타첨가제는 비타민 A, D, E, 광물질미네랄(인산칼슘), 스트레스졸 등으로 하여 충분히 혼합한다.
상기에서는 부재료를 첨가하는 이유는 순수한 쑥분말만을 가축에게 급여하면 쑥의 특유향이 너무 강하여 돼지나 소들의 기호성이 떨어지므로 잘 먹지 않는 문제점이 있기 때문이고, 또한 취급과 보관 등이 간편한 펠렛형으로 만들기 위해서는 쑥분말과 부착되어 고형화가 잘 되도록 하기 위함이다.
쑥분말은 매우 건조하기 때문에 부재료인 강피류를 물에 약간 타서 쑥분말과 혼합함으로써 쑥분말과 부착이 잘 되도록 하는 것이며, 35%이하로 첨가를 하면 쑥이 잘 부착되지 않아 펠렛형으로 만들기가 힘들게 되고, 더 많은 비율로 부재료를 첨가하면 쑥의 양이 적어지게 되어 쑥에 의한 효과가 낮아서 결과적으로 가축에게 더 많은 양의 쑥을 급여하여야 한다.
그리고 기타 첨가제 중에서 비타민 A, D를 첨가하는 것은 돼지고기나 쇠고기의 육색을 잘내고 변질을 막기 위함이고, 광물질(미네랄) 첨가제(시판중인 인산칼슘 제품)는 육질의 맛을 향상시키기 위한 것이며, 스트레스졸은 쑥을 첨가함에 따라 가축이 스트레스를 받는 것을 줄이기 위한 것이다.
상기와 같은 비율의 쑥분말과 부재료 및 기타첨가제를 혼합한 후 공지의 펠렛성형기를 통과시켜 쑥펠렛형 사료로 만들었다.
상기한 방법에 의해 펠렛형으로 만들 수도 있지만 필요에 따라서는 쑥 분말을 그대로 가축에게 급여하여도 된다. 물론 이때는 가축이 잘 섭취하지 않는 문제점이 있어 쑥 급여에 따른 효과를 얻기가 부족하고 취급 등이 불편할 것으로 판단된다.
이러한 방법에 의해 쑥을 주원료로 한 첨가사료를 제조할 수 있었다.
일반적으로 야생쑥은 여름철에 다른 산야초와 같이 베어서 한우, 비육우 등의 가축에게 급여하지만, 쑥의 고유한 쓴맛으로 가축들은 잘 섭취하지 않는 경향으로 사료적 가치는 없거나 낮은 것으로 알려져 왔다.
그러나 본 발명품은 쑥을 펠렛형사료로 제조하여 가축사료의 첨가제로 활용할 경우에 일반 배합사료와 쉽게 혼합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가축의 기호성이 향상되어 섭취량이 증가되고 그 결과 1일당 증체량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육질개선의 효과에서는 다즙성 및 연도 향미가 크게 높았고, 특히 인체에 유익한 불포화지방산이 크게 향상되었다.
그 시험결과는 다음과 같다.
*1차 시험연구 결과
가. 공 시 축 : 재래돈 14두(생후 5개월령 ∼ 9개월령까지)
나. 시험방법 :
(1) 시험사료 : 쑥분말 첨가
(2) 처리방법 : 재래육성돈
시험구 배치 처 리 내 용
대 조 구 일반사료 (육성비육용) -♂ 7두
쑥분말첨가구 일반사료+ 쑥분말 첨가 -♂ 7두
(3) 시험기간 : 1999년 ∼ 2000년
(4) 사료급여 : 쑥분말형태로 1일 사료급여량의 10%첨가급여
다. 시험성적
육질의 일반성분 및 관능검사
구 분 대 조 구 쑥분말 첨가구
·일반성분(%)수 분조단백질조 지 방조 회 분 74.91±0.1323.30±0.040.72±0.111.08±0.01 75.08±0.0923.43±0.110.42±0.011.08±0.01
·관능검사(6점 만점)다 즙 성연 도향 미 3.00±0.573.20±0.293.50±0.14 4.20±0.283.90±0.144.20±0.28
육질의 이화학적 성분 및 육색
구 분 대 조 구 쑥분말 첨가구
이화학적성분전단력(kg/0.5in.2)보 수 성,%가열감량,%PH 3.84±0.8856.24±0.7139.89±2.904.35±1.63 3.24±0.0655.94±0.9938.74±0.405.50±0.00
육색(CIE)Lab 42.67±0.0610.44±0.373.43±0.40 45.85±0.3512.53±0.896.27±0.89
*2차 시험연구 결과
가. 공 시 축 : 개량돈 20두
나. 시험방법 :
(1) 시험사료 : 쑥펠렛 첨가제
(2) 처리방법 : 자돈 체중 50kg
시험구 배치 처 리 내 용
대조구 일반사료 (육성비육용) - 거세돈 10두
쑥펠렛첨가구 일반사료+쑥펠렛 첨가 - 거세돈 10두
(3) 시험기간 : 2001. 1 ∼ 2000. 8
(4) 사료급여 : 쑥펠렛형태로 1일 사료급여량의 3%첨가급여
다. 시험성적
1일당 증체량
구 분 대 조 구 쑥펠렛 첨가구
시험개시 1개월 0.85±0.13 1.02±0.16
시험개시 2개월 0.76±014 0.82±0.10
육질의 일반성분 및 관능검사
구 분 대 조 구 쑥펠렛 첨가구
·일반성분(%)수 분조단백질조 지 방조 회 분 73.90±1.8323.06±0.862.03±1.011.03±0.04 74.15±0.6423.39±0.291.43±0.921.04±0.01
·관능검사(6점 만점)다 즙 성연 도향 미 4.20±0.284.25±0.214.35±0.21 4.50±0.144.40±0.424.65±0.07
육질의 이화학적 성분 및 육색
구 분 대 조 구 쑥펠렛 첨가구
·이화학적성분전단력(kg/0.5in.2)보 수 성,%가열감량,%PH 2.95±0.2148.94±0.3735.79±0.015.56±0.02 3.10±0.1948.69±0.8834.28±0.235.56±0.05
·육색(CIE)Lab 56.88±1.195.65±0.574.02±0.86 56.80±0.436.12±0.593.73±0.40
육질의 지방산 조성(단위: %)
성 분 명 대 조 구 쑥펠렛 첨가구
C14:0 1.20±0.01 1.20±0.01
C16:0 23.99±1.22 22.56±1.77
C16:1 n-7 1.86±0.23 2.29±0.04
C18:0 13.84±2.50 12.54±1.97
C18:1 n-9 42.26±0.27 44.05±0.83
C18:2 n-6 14.33±0.21 15.75±0.30
C18:3 n-6 0.07±0.00 0.04±0.05
C18:3 n-3 0.86±0.19 0.97±0.15
C20:1 n-9 0.91±0.02 0.80±0.11
C20:2 n-6 0.28±0.32 0.50±0.07
C20:3 n-6 0.18±0.06 0.14±0.05
C20:4 n-6 0.10±0.01 0.17±0.11
C20:5 n-3 - -
C22:4 n-6 0.07±0.03 0.04±0.05
C22:5 n-3 0.08±0.03 -
100.00 100.00
포화 지방산 39.02±2.31 36.29±0.93
불포화지방산 60.98±0.89 63.71±0.93
이러한 연구결과로 볼 때 사료로 본 발명의 첨가사료를 가축에게 급여하기 위해서는 일반사료에 본 발명의 첨가사료를 3∼10% 첨가하여 급여하는 것이 좋은데, 돼지의 경우 쑥은 특수성분이 포함이 되어 있지만 대부분 섬유질(체소에 많이 있음)이므로 많이 급여하면 성장이 되지 않아서 결과적으로 양돈농가는 출하(판매)가 늦어지는 결과를 초래할 수도 있다.
따라서 실험결과 순수한 쑥분말은 1일 총사료 급여량의 3∼5%정도를 첨가하는 것이 성장에 별 영향을 주지않고, 육질이 크게 개선되어 맛이 있는 고기를 생산할 수 있는 것이다.
그러나 펠렛형으로 제조할 경우에는 부재료가 더 추가되므로 쑥분말의 급여효과를 얻기 위해서는 1일 총사료 급여량의 5∼10%정도로 하여 상기 쑥분말의 경우보다 더 많이 급여해야 쑥급여효과를 얻을 수 있기 때문이다.
따라서 본발명은 전국산야에 산재해 있는 야생쑥을 가축의 사료첨가제로 활용하기 위하여 쑥을 주원료로 하고 부재료인 밀기울(미강)및 기타첨가제로서 비타민 A, D, E, 인산칼슘, 광물질미네랄, 스트레스졸등을 혼합하여 쑥펠렛형 첨가사료를 제조하는 방법을 발명한 것으로, 따라서 이 사료를 가축에 급여하여 돈육(豚肉) 및 한우육(韓牛肉)의 육질을 고급육화 하여 브랜드육으로 발전·정착시킬 수 있을 뿐만아니라 양축농가의 소득증대에도 크게 기여할 수 있는 발명이라 할 수 있다.

Claims (2)

  1. 주 원료인 쑥을 건조 분쇄한 것을 60%로 하고, 여기에 부재료로 밀기울(미강등 강피류포함) 35%와 비타민 A, D, E, 미네랄, 인삼칼슘 등의 기타첨가제를 5% 혼합한 후 공지의 펠렛성형기를 이용하여 쑥펠렛형 사료를 제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쑥을 주 원료로한 소 및 돼지용 첨가사료 제조방법.
  2. 제 1항에 있어서,
    주 원료인 쑥은 잎과 줄기의 비율 7:3으로 함을 특징으로 하는 쑥을 주 원료로한 소 및 돼지용 첨가사료 제조방법.
KR10-2001-0056732A 2001-09-14 2001-09-14 쑥을 주원료로 한 돼지용 첨가사료 제조방법 KR10042958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1-0056732A KR100429583B1 (ko) 2001-09-14 2001-09-14 쑥을 주원료로 한 돼지용 첨가사료 제조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1-0056732A KR100429583B1 (ko) 2001-09-14 2001-09-14 쑥을 주원료로 한 돼지용 첨가사료 제조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0023963A true KR20030023963A (ko) 2003-03-26
KR100429583B1 KR100429583B1 (ko) 2004-05-03

Family

ID=2772401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1-0056732A KR100429583B1 (ko) 2001-09-14 2001-09-14 쑥을 주원료로 한 돼지용 첨가사료 제조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429583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30403B1 (ko) * 2001-12-07 2004-05-03 거창군 쑥이 첨가된 가축사료 및 그 사료로 사육한 한우고기
WO2013015557A2 (ko) * 2011-07-26 2013-01-31 지엘팜텍 주식회사 쑥 추출물을 포함하는 동물성장촉진용 사료조성물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37552B1 (ko) 2008-03-13 2010-01-19 소백산쑥돈영농조합법인 쑥을 이용한 사료 첨가제 및 그 제조방법

Family Cites Familie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641419B2 (ja) * 1986-03-19 1994-06-01 日清飼料株式会社 アユの鰓病薬
JPH06298652A (ja) * 1993-04-16 1994-10-25 Eisai Co Ltd 消化管機能調節剤およびその製造方法並びにこれを含む飼料
JP2727061B2 (ja) * 1993-10-13 1998-03-11 日揮株式会社 晶析方法及び晶析装置
KR960013225A (ko) * 1994-10-18 1996-05-22 이종문 쑥을 함유하는 가금용 사료 및 이를 이용하는 가금 사육 방법
KR100189770B1 (ko) * 1996-02-03 1999-06-01 이동우 가금류용 사료의 제조방법
KR19990018941A (ko) * 1997-08-28 1999-03-15 조원문 약쑥을 주원료로한 약용 가축사육용 배합사료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30403B1 (ko) * 2001-12-07 2004-05-03 거창군 쑥이 첨가된 가축사료 및 그 사료로 사육한 한우고기
WO2013015557A2 (ko) * 2011-07-26 2013-01-31 지엘팜텍 주식회사 쑥 추출물을 포함하는 동물성장촉진용 사료조성물
WO2013015557A3 (ko) * 2011-07-26 2013-03-21 지엘팜텍 주식회사 쑥 추출물을 포함하는 동물성장촉진용 사료조성물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429583B1 (ko) 2004-05-0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1455270B (zh) 一种植物发酵饲料
KR101320048B1 (ko) 육질 개선용 소 사료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소 사육방법과 그 사료를 급여한 소로부터 얻어지는 사포닌, 유황, 불포화지방산 함량이 높은 우육
CN107087722A (zh) 繁殖猪饲料及其养殖方法
CN103564176A (zh) 一种猪饲料及其制备方法
KR101735759B1 (ko) 한방생균제의 첨가급여에 따른 거세한우의 비육능력과 육질개선 효과
CN102524578A (zh) 一种龟用饲料及其制备方法
CN104171369A (zh) 一种添加桑叶粉和桑枝灵芝下脚料粉的畜禽饲料及其用途
CN103875989A (zh) 一种肉羊饲料及其生产方法
CN103875988A (zh) 一种母羊饲料及其生产方法
CN106212903A (zh) 育肥羊饲草型全价颗粒饲料及其制备方法
KR101269539B1 (ko) 거세한우 사양방법
KR100429583B1 (ko) 쑥을 주원료로 한 돼지용 첨가사료 제조방법
Yakubu et al. Nutritional Composition and Growth Performance of Fish Meal Supplemented with Sesame indicum (Beni Seed) in the Diets of Clarias gariepinus
CN106974084A (zh) 一种适于7月龄到12月龄的牛进食的饲料及牛的养殖方法
CN1200605C (zh) 甜叶菊植物组织的细粉产物在防止家禽蛋破碎中的应用
KR0180457B1 (ko) 오메가 계란 생산용 첨가 사료의 제조방법
RU2489896C2 (ru) Способ кормления маралов-рогачей в период начального роста пантов
KR20110129640A (ko) 젖떼기용 사료 첨가제 조성물
CN108271935A (zh) 一种羊饲料
CN108541828A (zh) 一种羊饲料的制备方法
CN108185212A (zh) 一种杂交土鸡饲料及其饲养方法
KR100379062B1 (ko) 마블링과 저콜레스테롤을 증가시키는 육질개선 한우 비육용 사료조성물
CN107594192A (zh) 一种商品仔鹅的饲料配方
KR102471549B1 (ko) 오미자 조성물을 이용한 돼지 사육방법
Abdul-Aziz et al. Carcass quality of fattened sheep fed halophytic silage with non-conventional energy supplements in Egypt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514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514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303

Year of fee payment: 12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226

Year of fee payment: 13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220

Year of fee payment: 1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