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0023608A - 액체 분배 변기 림에 장착된 변기 세정기 - Google Patents

액체 분배 변기 림에 장착된 변기 세정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0023608A
KR20030023608A KR1020027007515A KR20027007515A KR20030023608A KR 20030023608 A KR20030023608 A KR 20030023608A KR 1020027007515 A KR1020027007515 A KR 1020027007515A KR 20027007515 A KR20027007515 A KR 20027007515A KR 20030023608 A KR20030023608 A KR 2003002360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ottle
distribution plate
liquid
liquid dispensing
toile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2700751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657426B1 (ko
Inventor
스티븐 비. 레오나르드
티모시 아이. 무디클리프
데일 아베렉
캐탈 엘. 파히
그렉 에스. 브라이딩
잭 더블유. 플레싱어
Original Assignee
에스.씨. 존슨 앤드 선, 인코포레이티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claimed from US09/460,570 external-priority patent/US6178564B1/en
Application filed by 에스.씨. 존슨 앤드 선, 인코포레이티드 filed Critical 에스.씨. 존슨 앤드 선, 인코포레이티드
Publication of KR2003002360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002360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65742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657426B1/ko

Link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DWATER-CLOSETS OR URINALS WITH FLUSHING DEVICES; FLUSHING VALVES THEREFOR
    • E03D9/00Sanitary or other accessories for lavatories ; Devices for cleaning or disinfecting the toilet room or the toilet bowl; Devices for eliminating smells
    • E03D9/02Devices adding a disinfecting, deodorising, or cleaning agent to the water while flushing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DWATER-CLOSETS OR URINALS WITH FLUSHING DEVICES; FLUSHING VALVES THEREFOR
    • E03D9/00Sanitary or other accessories for lavatories ; Devices for cleaning or disinfecting the toilet room or the toilet bowl; Devices for eliminating smells
    • E03D9/02Devices adding a disinfecting, deodorising, or cleaning agent to the water while flushing
    • E03D9/03Devices adding a disinfecting, deodorising, or cleaning agent to the water while flushing consisting of a separate container with an outlet through which the agent is introduced into the flushing water, e.g. by suction ; Devices for agents in direct contact with flushing water
    • E03D9/032Devices connected to or dispensing into the bowl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Epidemiolog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Bidet-Like Cleaning Device And Other Flush Toilet Accessories (AREA)
  • Devices For Dispensing Beverages (AREA)
  • Sanitary Device For Flush Toilet (AREA)
  • Detergent Compositions (AREA)
  • Containers And Packaging Bodies Having A Special Means To Remove Contents (AREA)

Abstract

변기의 림에에서 액체를 분배하기 위한 액체 분배기로 제어된, 일정한 양의 액체가 매 플러시에 분배된다. 액체 분배기는 액체를 보유하기 위한 보틀, 상기 보틀을 보유하고 보틀과 분배판 사이에 액체 이송관을 제공하기 위한 베이스, 및 상기 베이스를 변기의 림에 매달기 위한 훅을 포함한다. 분배판은 베이스에 적산되거나 부착되어, 액체를 이송관으로부터 액체가 변기의 세정수에 의해서 접촉하게 되는 분배판의 상부면 위의 분배지점으로 분포하게 한다. 분배판은 액체의 분배판 상부면의 분배지점으로의 분포를 원조하는 다양한 형상을 갖는다. 바람직한 형태의 액체 분배기에서, 분배판은 이송관에서 분배지점으로 액체를 분포시키기 위해서 상부면에 모세관을 갖고, 보틀이 제자리에 고정되도록 하는 다수의 맞물림 수단, 뿐만 아니라 장벽 수단 및 분배판의 표면에서의 액체의 유동을 제어하기 위한 개구부를 갖는다.

Description

액체 분배 변기 림에 장착된 변기 세정기{LIQUID DISPENSING TOILET RIM MOUNTED TOILET BOWL CLEANER}
변기는 보기 흉한 침전물의 축적을 막고, 악취를 줄이고, 세균의 성장을 막기 위한 주의를 요한다. 전통적으로, 변기는 액체 또는 분말 세정 및 살균제로 손으로 문질러서 청소하고, 탈취하고 살균되어 왔다. 이러한 작업은 변기를 깨끗하게 유지하게 위해서 육체노동을 요구해 왔다.
손으로 문지르는 작업을 없애기 위해서, 다양한 자동연속세정 변기 세정제품들이 제안되어 왔다. 일 형태의 제품은 세정수(flushing water)의 통로에 놓여있는 컨테이너 내 변기 림에 매다는 세정 및 청정 물질의 고체 덩어리 또는 고체 입자를 포함한다. 미국 특허 제3,529,309호는 이러한 형태의 변기 세정 시스템의 일 예를 보여준다. 고체 세정 덩어리는 유효기간이 짧고 세정 및 탈취제의 방출이 고체 덩어리가 열화됨에 따라 떨어지게 된다.
액체 세정제를 사용하는 변기 세정 시스템 또한 개발되어 왔다. 예를 들어,유럽 특허출원 EP-0538957은 액체 활성물질을 보틀(bottle)에서 매 플러시에 세정수에 도입하기 위해서 변기의 림에 매달릴 수 있는 세정 및/또는 청정 유니트를 개시한다. 다른 유사한 액체 분배 변기 세정 시스템은 유럽 특허출원 EP-0785315에 개시되어 있다. 상기 출원은 EP-0538757에 개시된 장치의 문제점은 분배하는 보틀속의 액체 수준이 떨어짐에 따라, 액체 분배율이 시간에 따라 저하된다는 것임을 인정한다.
EP-0785315에 개시된 분배장치는 이러한 문제점에 대한 해결책으로서 개발되었고, 보틀로부터의 액체의 흐름과 보틀 외부에서 보틀 내부로의 공기의 귀환 흐름을 모두 허용하는 구조물을 갖는 분배 보틀을 포함한다.
EP-0785315에 개시된 분배장치는 상기 설명한 고체 덩어리 변기 세정 시스템 및 EP-0538957에 개시된 액체 분배장치에 대한 대안을 제공하나, 그것 또한 단점을 갖는다. 예를 들어, EP-0785315에서 설명한 장치는 분배하는 보틀속에 수용된 세정 액과 항상 통하며 변기의 세정수의 통로에 놓여져 있는 다공성의, 액체-흡수 덩어리(예를 들어, 스폰지)를 이용할 것을 요한다. 이러한 시스템은 제조비용이 지나치게 비싸며 세정수에 분배된 액체의 양에 대한 정확한 제어를 제공할 수 없다.
따라서, 변기에 액체 세정, 살균 및 탈취 물질을 분배할 수 있는 개선된 장치에 대한 요구가 존재한다.
본 발명은 1999년 12월 14일에 출원된 제09/460,570호의 부분계속 출원이다.본 발명은 액체 분배기, 특히, 변기의 림(rim)아래에서, 세정 및/또는 청정액과 같은 액체를 분배하기 위한 장치에 관한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액체 분배장치의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액체 분배장치의 정면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액체 분배장치의 우측면도로 좌측면도와 좌우대칭이며;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액체 분배장치의 저면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액체 분배장치의 배면도이고;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액체 분배장치의 평면도이고;
도 7은 액체 분배장치의 구성요소를 나타내는 분해조립도이고;
도 8은 도 2의 선 8-8에 따른 단면도이고;
도 9는 베이스에 보틀을 설치하기 직전의 액체 분배장치의 보틀 및 베이스의 부분 단면도이고;
도 10a는 액체 분배장치의 분배판의 제 1 형태의 단면도이고;
도 10b는 분배판의 제 2 형태의 단면도이고;
도 10c는 분배판의 제 3 형태의 단면도이고;
도 11a는 도 8의 선 11a-11a에 따른 분배판의 평면도이고;
도 11b는 다른 분배판의 평면도이고;
도 11c는 또 다른 분배판의 평면도이고;
도 11d는 또 다른 형태의 분배판의 평면도이고;
도 11e는 또 다른 분배판이고;
도 12는 개방된 림 형태의 변기에 설치된 본 발명에 따른 액체 분배장치의 설계 단면도이고;
도 13은 박스형 림 형태의 변기에 설치된 본 발명에 따른 액체 분배장치의 설계 단면도이고;
도 14는 변기에 설치된 본 발명에 따른 액체 분배장치의 확대된 부분 단면 측면도이고;
도 15는 또 다른 형태를 나타내는 본 발명에 따른 액체 분배장치의 확대된 단면도이고;
도 15a는 선 15a-15a에 따른 단면도이고;
도 16은 또 다른 실시예의 단면도이고;
도 17은 또 다른 형태를 나타내는, 본 발명에 따른 액체 분배장치의 사시도이고;
도 18은 도 17의 액체 분배장치의 정면도이고;
도 19는 도 17의 액체 분배장치의 우측면도이고, 이는 그의 좌측면도와 좌우대칭이고;
도 20은 도 17의 액체 분배장치의 저면도이고;
도 21은 도 17의 액체 분배장치의 배면도이고;
도 22는 도 17의 액체 분배장치의 평면도이고;
도 23은 도 17의 액체 분배장치의 구성요소를 나타내는 분해조립도이고;
도 24는 도 18의 선 24-24에 따른 단면도이고;
도 25는 베이스 위에 보틀을 설치하기 직전에, 도 17의 액체 분배장치의 보틀 및 베이스의 부분 단면도이고;
도 26은 도 27의 선 26-26에 따른 단면도이고;
도 27은 도 25의 선 27-27에 따른 도 17의 액체 분배장치의 베이스의 평면도이고;
도 27a는 도 25의 선 27-27에 따른 도 17의 액체 분배장치의 또 다른 형태의 베이스의 평면도이고;
도 28은 도 24의 선 28-28에 따른 분배판의 평면도이고;
도 29a는 도 28의 선 29a-29a에 따른 모세관의 단면도이고;
도 29b는 도 28의 선 29a-29a에 따른 모세관의 또 다른 단면도이고;
도 29c는 도 28의 선 29a-29a에 따른 모세관의 또 다른 단면도이고;
도 29d는 도 28의 선 9a-29a에 따른 모세관의 또 다른 단면도이고;
도 29e는 도 28의 선 29a-29a에 따른 모세관이 또 다른 단면도이고,
도 29f는 도 28의 선 9a-29a에 따른 모세관의 추가적인 단면도이고;
도 30은 개방된 립 타입 변기에 설치된 본 발명에 따른 액체 분배장치의 설계 단면도이고; 및
도 31은 박스형 림 타입 변기에 설치된 본 발명에 따른 액체 분배장치의 설계 단면도이다.
본 발명은 구조물에 매달기 위한 액체 분배장치를 제공한다. 액체 분배장치는 액체를 보유하기 위한 보틀, 상기 보틀을 보유하기 위한 베이스, 상기 베이스에적산되거나 베이스에 부착되는 분배판, 및 구조물에 베이스를 매달기 위한 서스펜션 수단을 포함한다. 상기 보틀은 입구 및 입구를 덮기 위한 밀폐부를 갖고, 상기 베이스는 이송관을 규정하는 천공기둥 및 상기 보틀의 밀폐부를 열어 이송관을 보틀의 입구와 통하는 유체에 두기 위한 수단을 갖는다. 베이스의 분배판은 베이스의 이송관과 통하는 유체에 다수의 이송 채널을 포함하는 상부면을 갖는다. 이송 채널은 이송관에서 분배판의 상부면 위의 분배 지점으로 액체를 전달하기에 적합하다.
바람직한 형태에서, 액체 분배기는 변기의 림에서 액체를 분배하는데 적합하다. 이러한 형태에서, 서스펜션 수단은 서스펜션 훅 및 베이스와 적산된 가이드 채널을 포함한다. 서스펜션 훅은 변기 림 위에 놓인 상단부 훅부분과 서스펜션 훅의 하단부가 가이드 채널의 내부면과 맞물려서 변기 림의 아래 또는 인접해서 베이스 및 보틀을 매달기 위해 가이드 채널 내에 미끄러지게 삽입되는 하단부를 갖는다. 이러한 바람직한 형태에서, 분배판의 상부면은 베이스의 이송관과 통하는 유체 및 다수의 이송 채널과 통하는 유체 내에 수집공동(collecting cavity)을 갖고, 분배판의 상부면은 또한 상기 수집공동과 통하는 유체내 배기 슬롯과 베이스의 모서리를 갖는다. 배기 슬롯은 보틀에서 분배된 액체를 대신하기 위해서 대기가 보틀 속에 들어가도록 한다. 이러한 바람직한 형태에서 분배판은 또한 분배판의 모서리에 단단히 고정된 디플렉터를 포함할 수 있다. 디플렉터는 액체 분배기가 변기의 림 위에 설치될 때 변기의 내부면과 접촉하기에 적합한 크기이다. 변기가 플러시될 때, 세정수의 일부분은 분배판의 내부면 위의 분배 지점과 접촉하여 액체를 씻어 세정수 속으로 밀려들어가게 한다.
본 발명의 제 2 형태에서, 구조물에 매달기 위한 또 다른 액체 분배 장치가 제공된다. 액체 분배장치는 액체를 보유하기 위한 보틀, 상기 보틀을 보유하기 위한 베이스, 상기 베이스에 적산되거나 부착된 분배판, 및 베이스를 구조물에 매달기 위한 서스펜션 수단을 포함한다. 보틀은 입구 및 입구를 밀폐하기 위한 밀폐부를 갖고, 베이스는 이송관을 규정하는 천공기둥 및 보틀의 밀폐부를 개방하여 이송관을 보틀의 입구와 통하는 유체에 두기 위한 수단을 갖는다. 베이스는 또한 천공기둥의 벽에서 바깥쪽으로 연장되어 있는 하부판을 포함한다. 분배판은 베이스의 하부판과 떨어져서 베이스에 적산되거나 부착되고, 분배판의 상부면은 이송관으로부터 액체를 수용한다. 하부판 및 분배판은 이송관에서 분배판의 상부면 위의 분배 지점으로 액체를 전달하기에 적합하다.
본 발명의 제 2 형태의 바람직한 형태에서, 액체 분배기는 변기의 림에서 액체를 분배하기에 적합하다. 이러한 형태에서, 서스펜션 수단은 서스펜션 훅 및 베이스와 적산된 가이드 채널을 포함한다. 서스펜션 훅은 변기 림 위에 놓여있는 상단부 훅부분과 서스펜션 훅의 하단부가 가이드 채널의 내부면과 맞물려서 변기 림의 아래 또는 인접해 있는 베이스 및 보틀을 매달기 위해 가이드 채널 내에 미끄러지게 삽입되어 있는 하단부를 갖는다. 이러한 바람직한 형태에서, 분배판은 액체 분배기가 변기의 림 위에 설치될 때 변기의 내부면에 대해서 위쪽으로 경사지는데 적합하며, 하부판 또한 액체 분배기가 변기의 림 위에 설치될 때 변기의 내부면에 대해서 위쪽으로 경사지는데 적합하다. 분배판의 상부면과 베이스의 하부판 사이의 간격은 분배판의 길이에 따라서 다양하여 변기의 내부면에 가장 근접한 하부판의모서리와 변기의 내부면에 가장 근접한 분배판의 모서리 사이의 제 1 간격은 변기의 내부면에서 가장 먼 하부판의 모서리와 변기의 내부면에서 가장 먼 분배판의 모서리 사이의 제 2 간격보다 작다. 분배판은 또한 분배판의 모서리에 단단히 고정된 디플렉터를 포함할 수 있다. 디플렉터는 액체 분배기가 변기의 림 위에 설치될 때 변기의 내부면에 접촉하는데 적합한 크기이다. 변기가 플러시될 때, 세정수의 일부분은 분배판의 상부면 위의 분배 지점과 접촉해서 액체를 씻어 세정수내로 밀려들어가게 한다.
본 발명의 두 가지 형태에서, 베이스는 액체가 보틀에서 중력에 의해서 분배될 수 있도록 아래쪽으로 돌출되어 있는 보틀의 입구와 반대 위치에서 보틀이 지탱되도록 보틀을 보유한다. 바람직하게, 보틀은 얕고 보틀내의 헤드 공간을 최소화하도록 소형이다. 보틀이 액체로 채워질 때, 음압 또는 진공(즉, 평형 압력)이 보틀내 헤드 공간에 존재한다. 보틀을 베이스 위에 설치한 후, 보틀에서 일부분의 액체가 분배판 위의 분배지점 위에 흐른다. 세정수가 분배판 위의 분배지점의 액체를 세정할 때, 추가적인 액체가 보틀에서 분배되고 대기는 보틀에서 분배된 액체를 대신하기 위해서 보틀을 통과한다. 보틀을 통과하는 대기의 양은 분배판 위 또는 인접한 배기 슬롯 또는 도관에 의해서 제어될 수 있다. 이러한 방식에서, 대기는 각각의 플러시 후에 보틀 속의 압력이 평형압력으로 확실히 회복되도록 하여 액체 포뮬러(formula)의 선형 및 일관된 방출을 허용하는 계량기로서 작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액체가 거꾸로된 보틀에서 빠르게 흘러나오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서 스폰지 또는 유사한 다공성 흡수물질이 액체의 유체 통로에 놓여져 있는, EP-0538957 및 EP-0785315에 개시된 것과 같은 종래의 액체 분배장치보다 상당한 개선을 제공한다. 상기 설명한 바와 같이, 이러한 종래의 액체 분배장치에서 사용된 다공성 물질은 다공성 매체의 제조시 가변성으로 인하여 세정수에 분배된 액체의 양에 대해서 정확한 제어를 할 수 없었다.
본 발명의 이점은 액체를 액체 저장고에서 분배판 위의 분배지점으로 제어된 일정한 방식으로 전달할 수 있는 액체 분배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보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의 이점은 제어된, 일정한 양의 액체가 각 플러시로 분배되도록 변기의 림에서 액체를 분배하기 위한 액체 분배기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이러한 및 다른 특징, 양상, 및 이점들은 하기 상세한 설명, 청구범위 및 첨부된 도면을 숙지함으로써 보다 잘 이해될 것이다.
먼저, 도 1-9를 참고하면, 변기의 림에서 액체를 분배하기 위한 액체 분배기(10)가 도시되어 있다. 액체 분배기(10)는 액체를 보유하기 위한 보틀(18), 보틀(18)을 보유하기 위한 베이스(24), 및 베이스(24)와 보틀(18)을 변기의 림에 매달기 위한 서스펜션 훅(12)을 포함한다.
제조를 용이하게 하기 위해서, 서스펜션 훅(12), 보틀(18) 및 베이스(24)는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분리된 구성요소로서 형성된다. 다양한 물질이 서스펜션 훅(12), 보틀(18) 및 베이스(24)를 형성하는데 이용될 수 있으나, 착색된 폴리에틸렌 또는 폴리프로필렌과 같은 불투명 열가소성 물질로 이러한 구성요소를 제조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분배기에 사용되는 액체는 특정한 변기 세정 적용에 요구되는 세정, 거품, 살균 및 방향 특성을 갖는 모든 액체 포뮬러일 수 있다.
도 5에 도시된 바람직한 형태의 보틀(18)에서, 보틀(18)은 불투명 보틀(18)의 일부분에 수직으로 연장된 맑거나 투명한 뷰스트립(view stripe)(23)을 포함한다. 투명한 뷰스트립(23)은 사용자가 보틀(18)속의 액체의 잔여수준을 볼 수 있게 한다. 하나의 바람직한 형태에서, 보틀(18)은 장치가 림에 걸리기 전에 대략 45밀리리터의 액체 포뮬러로 채워진다.
베이스(24)는 적산 연장된 수직 부재(26)를 포함하며, 그것은 수직 부재(26)의 길이로 연장된 가이드 채널(25)을 갖는다. 서스펜션 훅(12)은 베이스(24) 및 보틀(18)이 변기 림에 설치되었을 때 가이드 채널(25)속으로 삽입된다. 서스펜션 훅(12)의 하단부(13)는 서스펜션 훅(12)이 가이드 채널(225)안으로 삽입될 때 가이드 채널(25)의 내부면이 눌러서 끼워 맞춰지는 배열로 맞물리게 탭 부분(14)을 포함하여 서스펜션 훅(12)이 베이스(24)에 부착되게 된다. 가이드채널(25)과 서스펜션 훅(12)의 끼워맞추기식 배열은 액체 분배기(10)를 매우 다양한 변기 형상에 적합하게 한다.
베이스(24)는 또한 상부모서리(32)에서 종결하는 후벽(36)을 포함한다. 후벽(36) 및 상부 모서리(32)는 보틀(18)이 베이스(24)위에 설치될 때 보틀(18)을 지탱하는 마운팅 구조물(60)을 만든다. 마운팅 구조물(60)의 중심 부분에,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액체 분배장치(10)가 변기에 설치될 때 보틀(18)에서 유체를 운반하는데 사용되는 천공기둥(27)을 둘러싸고 있는 환상의 채널(37)이 제공된다.
도 9를 참조하면, 베이스(24)위에 보틀(18)을 설치하는 것을 상세하게 도시하고 있다. 베이스(24)의 천공기둥(27)은 이송관(31)을 형성하는 원통형 관 단면(28)을 포함한다. 관 단면(28)의 상단부(29)는 타원형 입구를 형성하도록 비스듬하게 끝난다.
보틀(18)은 운송 및 저장을 위해서 보틀(18)내 액체 내용물을 밀봉하는 밀폐부(20)에 의해서 밀폐되는 원형 입구(19)를 포함한다. 도 9에 도시된 보틀의 형태에서, 밀폐부(20)는 보틀(18)의 입구(19)에서 원형 플랜지와 맞물리는 채널을 갖는 열가소성 캡이다. 호일 또는 플라스틱 필름과 같은, 다른 밀폐부도 보틀(18)의 입구(19)를 밀봉하는데 적합하다. 도 9에 도시된 밀폐부(20)의 중심 부분은 줄어든 두께의 원형 부분(22)을 갖는 부서지기 쉬운 밀봉부(21)를 갖는다. 설치 중에, 보틀(18)은 밀폐부(20)의 원형 내벽이 천공기둥(27)의 원형 외부면과 대략 일직선으로 배열되도록 베이스(24)의 천공기둥(27) 위로 향하고, 보틀은 천공기둥(27)의 상단부(19)가 부서지기 쉬운 밀봉부(21)의 원형 부분(22)이 부서지도록 할 때까지 방향 A로 이동된다. 그런 다음, 베이스의 이송관(31)은 보틀(18)의 입구(19)와 통하는 유체에 놓여지고 액체는 보틀(18)에서 이송관(31)을 통해서 중력에 의해서 천공기둥(27)의 바닥의 분배 홀(38)의 외부로 흐른다. 천공기둥(27) 및 보틀의 밀폐부(20) 및 입구(19)를 적당한 크기로 하여, 보틀이 베이스(24)위에 설치될 때 유체가 통하지 않는 밀봉부가 형성된다.
베이스(24)의 바닥에는 액체 포뮬러가 세정수에 분포되도록 도와주는 액체 분배판(40)이 있다. 분배판(40)은 베이스에 부착되는 분리된 구성요소이거나 베이스(24)와 적산되어 형성될 수 있다. 분배판(40)은 착색된 폴리에틸렌 또는 폴리프로필렌과 같은 비-다공성 열가소성 물질로 바람직하게 형성된다.
도 8, 10A, 10B, 10C 및 11A는 제 1 형태의 분배판(40)의 형상 및 그것의 베이스(24)위에서의 위치를 나타낸다. 먼저, 도 11A를 참조하면, 분배판(40)은 수집공동(44)에서 방사형으로 뻗어있는 일련의 모세관(48)이 있는 상부면(42)을 갖고, 수집공동은 베이스(24)의 모서리(43)에서 안쪽으로 떨어져 있는 지점에서 상부면(42)에 형성되어 있다. 모세관(48)은 다양한 횡단면 형태를 가지며, 바람직하게 모세관(48)은 정사각형, 직사각형 또는 삼각형 횡단면 형태를 갖는다.
도 10A, 10B, 10C를 살펴보면, 모세관(48)의 깊이 또한 다양한 양상으로 형성될 수 있음을 알 수 있다. 도 10A에서, 모세관(48)의 하부면(49)은 수집공동(44)에서 모세관(48)의 바깥단부(50)까지 수집공동(44)의 하부면(52)과 공면이어서 모세관(48)의 깊이는 대체로 수집공동(44)의 깊이와 동일하다. 도 10B에서, 모세관(48)의 하부면(49b)은 수집공동(44)의 하부면(52)에서 모세관(48)의 바깥단부(50)까지 계단식으로 경사진다. 도 10C에서, 모세관(48)의 하부면(49c)은 수집공동(44)에서 모세관(48)의 바깥단부(50)까지 수집공동(44)의 하부면(52) 아래에 놓여 있어서 모세관(48)의 깊이는 수집공동(44)의 깊이보다 더 크다.
다른 깊이 형상의 모세관(48)도 가능하다. 예를 들어, 모세관(48)의 하부면(49)은 수집공동(44)의 하부면(52)에 대해서 그것의 바깥단부(50)의 방향으로 아래쪽으로 기울어질 수 있다. 이러한 깊이와 관련된 구조의 모세관은 각각 하기 설명하는 바와 같이 변기에 대한 액체의 분포를 제어하도록 작용할 수 있다.
도 11A, 11B, 11C, 11D, 및 11E를 보면, 분배판(40)의 상부면내 다양한 배열의 모세관(48) 및 수집공동도 가능함을 알 수 있다. 도 11A에서, 수집공동(44)은 분배판(40)의 주축 방향에 대해서 대체로 평행한 직사각형 형태를 갖고 모세관(48)은 직사각형 수집공동(44)의 일면에서 바깥쪽으로 방사상으로 퍼져 나간다. 도 11B에서, 수집공동(44b)은 분배판(40b)의 주축의 방향에 대해서 대체로 평행한 주축을 갖는 초승달 형태를 갖고, 모세관(48b)은 초승달 수집공동(44b)의 일면에서 바깥쪽으로 방사상으로 퍼져 나간다. 도 11C에서, 수집공동(44c)은 분배판(40c)의 주축 방향에 대해서 대체로 평행한 주축을 갖는 직사각형 형태를 갖고 모세관(48c)은 직사각형 수집공동(44c)의 일면에서 바깥쪽으로 방사상으로 퍼져 있고 직사각형 수집공동(44c)에서 멀어질수록 폭이 커진다.
도 11D에서, 수집공동(44d)은 분배판(40d)의 주축 방향에 대해서 대체로 수직의 주축을 갖는 직사각형 형태를 갖고 모세관(48d)은 직사각형 수집공동(44d)의 양면에서 바깥쪽으로 방사상으로 퍼져서 모세관(48d)의 적어도 일부의 주요부분은 분배판(40d)의 주축의 방향에 대해서 대체로 평행하다. 도 11E에서, 수집공동(44e)은 분배판(40e)의 주축의 방향에 대해서 대체로 평행한 주축을 갖는 직사각형 형태를 갖고 모세관(48e)은 무작위 양식으로 직사각형 수집공동(44e)의 일면에서 바깥쪽으로 방사상으로 퍼져 있다.
이제 도 8로 돌아와서, 다른 구조의 베이스(24)의 대한 분배판(40)의 위치가 가장 잘 도시되어 있다. 분배판(40)은 베이스에 부착되어(별도의 단계이든 또는 베이스 주조의 일부로서이든) 분배판(40)의 수집공동(44)은 베이스(24)의 이송관(31)이 통하는 유체에 놓인다. 도 8에 도시된 본 발명의 형태에서, 천공기둥(27)의 바닥에서 분배홀(38)은 이송관(31)과 분배판(40)의 수집공동(44) 사이에 유체 통로를 제공하는데 이용된다. 이러한 형상의 결과로서, 액체는 보틀(18)에서 베이스(24)의이송관(31)내로 분배홀(38)을 통해서 흘러서 분배판(40)의 수집공동(44)으로 흐른다. 액체는 그 후 분배판(40)의 수집공동(44)에서 분배판(40)의 상부면(42)의 모세관(48)으로 흐른다. 그런 다음에 액체는 하기 설명하는 바와 같이 액체가 변기에 분배되는 위치인 모세관(48)의 바깥단부(50)를 향해서 계속해서 이동한다. 다양한 수단이 분배판(40)의 수집공동(44)에서 모세관(48)으로 액체를 이동시키는데 이용될 수 있다. 첫째, 모세관(48) 면에 대한 유체의 부착에 의해서 제공되는 모세관 작용이 모세관(48)의 바깥단부(50)를 향해서 액체를 이동하게 한다. 둘째, 모세관(48)은 도 10B 및 10C에 도시하고 상기 설명한 바와 같이, 수집공동(44)의 깊이보다 더 큰 깊이를 가져서, 액체가 수집공동(44)에서 모세관(48)의 바깥단부(50)를 향해서 이동하게 할 수 있다.
셋째, 분배판(40)은 수집공동(44)이 모세관(48)보다 더 높도록 아래쪽으로 경사질 수 있다. 예를 들어, 분배판(40)은 수평선(H)에 대해서 각도(X)로 아래쪽으로 각을 이룬 것을 도 8에서 볼 수 있다. 이러한 배열의 분배판(40)에서, 수집공동(44)은 모세관(48)보다 더 높고 액체는 수집공동(44)에서 모세관(48)으로 아래쪽으로 흐른다. 각도(X)가 약 5 내지 약 20도가 되도록 분배판(40)과 베이스(24)를 배열함으로써 향상된 액체 유동성을 얻을 수 있음을 알아냈다. 분배판(40)의 아래쪽으로의 각도는 또한 작동 중에 보틀(18)내로의 물 연도(uptake)를 최소화하도록 한다. 물론, 수집공동(44)으로부터 모세관(48)으로의 액체 흐름을 제어하는 이러한 방법들은 각각 단독으로 또는 다른 유용한 방법들과 결합해서 이용될 수 있다.
액체가 보틀(18)에서 분배판(40)의 상부면(42)위의 지점으로 이동하기 위한 수단을 설명하면서, 액체 분배장치(10)의 사용이 도 12 및 13에 의해서 설명될 수 있다. 도 12는 개방된 림과 변기(16B)를 이용할 때의 액체 분배장치(10)의 형상을 예시한다. 변기(16B)의 림에 매달려 있는 액체 분배장치(10)에서, 세정수(W)의 흐름은 각 플러시로 분배판(40)과 접촉할 것임을 알 수 있다. 도 13은 박스 림이 있는 변기(16A)와 사용될 때의 액체 분배장치(10)의 형상을 예시한다. 변기의 림(16A)에 매달려 있는 액체 분배장치(10)에서, 세정수(W)의 흐름은 또한 각 플러시로 분배판(40)과 접촉할 것임을 알 수 있다. 세정수가 도 12 및 13의 분배판(40)과 접촉할 때, 세정수는 분배판(40)의 상부면(42)위의 모세관(48)에 존재하는 액체와 혼합된 다음 변기내로 분포된다.
세정수가 분배판(40)의 분배부분으로부터의 액체를 씻어 변기수로 밀어넣은 후에, 깨끗한 공급액이 상기 설명한 바와 같이 보틀(18)에서 모세관(48)으로 분포된다. 액체가 세정수로 분배될 때 공기가 보틀(18)안으로 배기되도록 하기 위해서, 분배판(40)의 상부면(42)에 배기 슬롯(46)(도 8, 10A 및 11A에 가장 잘 도시됨)이 제공된다. 배기 슬롯(46)은 수집공동(44)과 베이스(24)의 모서리(43)간에 유체 통로를 제공한다. 유체 통로는 그로부터 분배된 액체를 대신하기 위해서 대기가 보틀(18)에 들어가도록 한다.
이제 도 14를 보면, 화장수(toilet water)로의 액체 포뮬러의 분포를 제어하도록 하는 액체 분배기(10)의 선택적 특징이 도시되어 있다. 특히, 디플렉터(55)는 화장수로의 액체 포뮬러의 분포를 더 제어하기 위해서 분배판(40)의 모서리에 부착되어 있다. 디플렉터(55)는 액체 분배기(10)가 판매중인 수많은 변기내 매우 다양한 변기 윤곽을 수용하도록 한다. 일 형태의 디플렉터(55)에서, 디플렉터(55)는 유연한 물질로 제조되고 유연한 부재로서 작용하고, 변기의 세정수가 분배판(40)위로 전달되도록 하면서 변기의 내부면의 형태에 따르고, 추가적으로 액체 포뮬러가 매 플러시에 변기로 밀려들어가게 하는 것을 확실하게 한다. 이러한 형태의 디플렉터(55)는 복합주입 주조 기술에 의해서 제조될 수 있으며, 여기서, 두 개의 다른 열가소성 물질인, 유연한 디플렉터용 부드러운 와이퍼 물질 및 분배판용 더 단단한 물질이 함께 주조된다. 또 다른 형태의 디플렉터에서, 디플렉터는 분배판의 모서리에 힌지되어 디플렉터는 변기의 내부면의 형태와 일치할 수 있다. 또 다른 형태의 디플렉터에서, 디플렉터 및 분배판은 분배판이 디플렉터와 맞물리는 가이드 슬롯을 포함하여 디플렉터가 분배판의 모서리를 향해서 및 모서리에서 멀어지게 미끄러지게 하여 디플렉터가 변기의 내부면의 형태와 일치할 수 있도록 배열된다.
액체 분배기의 천공기둥의 대안적인 형상이 도 15 및 15A에 도시되어 있다. 이러한 예에서, 천공기둥(27a)은 중앙 배기관(28a)과 상기 중앙 배기관(28a)에서 외부로 연장되어 있는 휜(fins)(30)을 갖는다. 중앙 배기관(28a) 및 휜(30)은 이송관(31a)을 규정한다. 천공기둥(27a)의 중앙 배기관(28a)의 상단부(29a)는 부서지기 쉬운 밀봉부(21)의 원형 영역(22)이 깨지도록 하여 보틀의 밀폐부(20)를 개방하는데 이용된다. 이송관(31a)은 그런 다음에 보틀(18)의 입구(19)와 통하는 유체에 놓이고 액체는 이송관(31a)을 통해서 보틀(18)에서 분배판(40)의 상부면(42)위로 흐른다. 이러한 예의 천공기둥(27a)에서, 공기는 액체가 세정수내로 분배될 때 분배판내 홀(35)을 통해서 및 중앙 배기관(28a)을 통해서 보틀(18)로 배기된다.
도 16을 참조하면, 변기의 림에서 액체를 분배하기 위한 액체 분배기(10A)의 또 다른 형태가 도시되어 있다. 본 발명의 이러한 형태에서, 변형된 베이스(24a)가 보틀(18)을 보유하는데 이용된다. 베이스(24a)는 도 1-9에서 도시되고 상기 설명한 베이스(24)와 본질적으로 동일한 특징을 갖는다. 그러나, 분배홀(38a)은 베이스(24a)의 천공기둥(27)의 바닥에 중앙 부분에 제공되고 베이스(24a)는 천공기둥(27)의 벽에서 바깥쪽으로 연장된 하부판(34)을 포함한다. 하부판(34)의 하부면은 또한 액체가 분배홀(38a)에서 하부판(34)의 모서리를 향해서 전달되도록 하는 유동홈(39)을 포함한다. 액체 분배기(10A)는 또한 베이스(24a)의 하부판(34)과 간격을 두고 베이스(24a)에 적산되거나 부착되어 있는 분배판(40a)을 포함한다. 이러한 형상에서, 분배판(40a)의 상부면(42g)은 분배홀(38a)을 통해서 이송관(31)으로부터 액체를 수용한다. 액체 분배기(10A)는 분배판(40a)의 상부면(42g)과 베이스(24a)의 하부판(34)사이의 간격이 분배판(40a)의 길이에 따라서 변하도록 배열된다. 거리 D1은 분배판(40a)과 베이스(24a)의 하부판(34)사이의 거리 D2보다 더 큼을 도 15에서 알 수 있다.
도 16의 액체 분배기(10A)가 변기 림에 설치될 때, 변기의 내부면에 가장 가까운 분배판(40a)의 모서리와 변기 내부면에 가장 가까운 하부판(34)의 모서리는 서로 가장 밀접하다. 이는 도 16에서 치수 D3로서 표시되어 있다. 분배판(40a)과 하부판(34)이 변기의 내부면에서 멀어지게 이동할 때, 분배판(40a)과 하부판(34)사이의 간격은 증가한다. 변기의 내부면에서 가장 먼 분배판(40a)의 모서리 및 변기의 내부면에서 가장 먼 하부판(34)의 모서리에서, 액체가 세정수로 분배될 때 공기가 이송관(31)을 통해서 보틀(18)로 배기되도록 분배판(40a)과 하부판(34)사이에 배기공간(58)이 만들어진다.
분배판(40a)과 하부판(34)은 그들이 서로 가장 가까워지는 위치에서 액체 포뮬러가 분배판(40a)과 하부판(34)에 축적되기 위해서 아래로 기울어져야 하는 것으로 결정되었다. 따라서, 하부판(34)은 액체 분배기가 변기의 림에 설치될 때 변기의 내부면에 대해서 위쪽으로 기울어진다. 이는 도 16에 도시되어 있으며, 여기서, 하부판(34)은 수평선(H)에 대해서 각도(Y)로 아래쪽으로 각을 이루고 있다. 또한, 분배판(40a)은 액체 분배기가 변기의 림에 설치될 때 변기의 내부면에 대해서 위쪽으로 경사진다. 분배판(40a)과 하부판(34)을 약 5 내지 약 15도의 각도로 배열하여, 향상된 액체 유동성을 얻을 수 있음을 발견하였다. 또한, 물 연도는 분배판(40a) 및 하부판(34) 및 변기의 내부면의 경사진 관계로 최소로 된다. 유연한 디플렉터(55a)는 또한 상기 설명한 바와 같이 액체 포뮬러의 화장수로의 분포를 추가적으로 제어하기 위해서 분배판(40a)의 모서리에 부착될 수 있다.
분배판(40a)과 하부판(34)사이의 간격은 보틀(18)에 이용된 액체의 타입에 따라서 다양하다. 특히, 액체의 점성도 및 액체의 표면장력은 분배판(40a)과 하부판(34)의 길이에 따른 여러 지점에서 분배판(40a)과 하부판(34)사이에 원하는 정확한 간격을 결정하는데 중요한 인자들임을 알아냈다. 액체의 점성도 및 표면장력의 값에 의존하여 분배판(40a)과 하부판(34)사이의 간격을 배열함으로써, 분배판(40a)의 모서리로의 액체의 유동이 제어될 수 있고 따라서 각 플러시에 분배되는 액체의양이 제어될 수 있다.
이제 도 17-28을 참조하면, 변기의 림에서 액체를 분배하기 위한 또 다른 액체 분배기(110)가 도시되어 있다. 액체 분배기(110)는 액체를 보유하기 위한 보틀(118), 베이스(124), 보틀(118)을 보유하기 위해 마운팅 구조물(160)을 규정하도록 베이스(124)에 부착가능한 삽입부(193), 및 변기의 림에 마운팅 구조물(160)과 보틀(118)을 매달기 위한 서스펜션 훅(112)을 포함한다. 제조를 용이하게 하기 위해서, 서스펜션 훅(112), 보틀(118), 삽입부(193), 및 베이스(124)는 도 23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별도의 구성요소로서 제조될 수 있다. 다양한 물질들이 서스펜션 훅(112), 보틀(118), 삽입부(193), 및 베이스(124)를 형성하는데 이용될 수 있으나, 착색된 폴리에틸렌 또는 폴리프로필렌과 같은 불투명한 열가소성 물질로 이러한 요소들을 제조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분배기에 사용된 액체는 특정한 변기 세정 적용을 위해서 원하는 세정, 거품, 살균 및 방향 특성을 갖는 모든 액체 포뮬러일 수 있다.
도 21 및 22에 도시된, 보틀(118)의 바람직한 형태에서, 보틀은 달리 불투명한 보틀(118)의 일부분에 수직으로 연장된 맑은 또는 투명한 뷰 스트립(123)을 포함한다. 이러한 투명한 뷰 스트립은 사용자가 보틀(118)내 남아있는 액체의 수준을 볼 수 있게 한다. 보틀(118)의 폭과 관련하여 투명한 뷰 스트립의 특정한 위치 및 정확한 크기는 수요자가 병의 내용물을 쉽게 볼 수 있는 한, 중요하지 않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보틀(118)은 장치가 사용을 위해서 변기의 림에 걸리기 전에 액체 포뮬러 대략 45밀리리터로 채워진다.
삽입부(193) 및 베이스(124)는 보틀(118)용 마운팅 구조물(160)을 형성하기 위해서 함께 조립된다. 도 2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원통형 벽(180)이 삽입부(123)의 하단부에서 바깥쪽으로 연장되어 천공기둥(127)의 주위에 환상 채널(137)을 형성하고, 그것의 내부는 이송채널(131)을 규정하고, 그것은 액체 분배장치(110)가 변기 림위에 설치될 때 보틀(118)로부터 유체를 안내하는데 이용된다. 환상 채널(137)의 외부벽인, 원통형 벽, 또는 환상 채널 벽(180)은 상기 보틀이 천공기둥(127)과 맞물리고, 천공기둥(127)이 상기 보틀 입구의 내부면과 맞물릴 때, 보틀(118)의 입구의 외부면과 맞물려서, 천공기둥과 보틀 입구의 누설방지 맞물림을 제공한다. 삽입부(193)의 환상의 채널벽(180)은 바깥쪽으로 돌출되어 있는 정반대의 탭들(182), 및 굽은 맞물림 수단(183)을 가지며, 이는 베이스(124)를 정확하고 견고하게 두고 보틀을 베이스와 관련한 위치에 고정하도록 도와주는 한편, 분배기의 구성요소들의 조립을 돕는다. 삽입부(193)의 추가적인 세부사항은 도 24-27에서 알 수 있으며, 여기서, 천공기둥(127)은 바닥 또는 하부벽(186)에서 종결하는 이송관(131)을 규정함을 알 수 있다. 도 24-27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하부벽(186)은 원통형관(131)의 바닥을 형성하고, 그 안에 분배홀(138)을 갖고, 그것은 바람직하게 원형이나, 도 27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직사각형의 분배홀(138a)일 수 있다. 하부벽(186)은 또한 천공기둥(127)의 상부 모서리(129) 위로 연장되어 있는, 위쪽으로 연장된 돌출부(184)를 포함한다. 또한, 하부벽(186)은 라이저(187)를 포함하며, 이것은 분배판(140)의 상부면(142)과 이송관의 하부벽(186)이 분리되도록 한다.
삽입부(193)와 베이스(124)는 하기와 같이 함께 조립된다. 도 2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베이스(124)는 삽입부(193)를 수용하는 적산 연장된 수직 부재(126)를 포함한다. 삽입부(193)는 원통형 벽(180)위에 바깥쪽으로 돌출된, 바람직하게 정반대의 탭들(182)이 아래에 위치할 때까지 수직 부재(126)로 아래쪽으로 이동하여 베이스(124)(도 26)에서 위쪽으로 연장된 마운팅 클립(178)과 맞물린다. 동시에, 탭(183)은 부가적인 정도의 지지보장을 제공하면서 베이스(124)와 맞물린다. 동시에, 수직 부재(126)의 길이를 연장하는, 가이드 채널(125)이 삽입부(193)와 수직 부재(126)사이에 형성되고, 베이스(124)와 보틀(118)이 변기 림위에 설치될 때 그러한 채널로 서스펜션 훅(112)이 삽입된다. 서스펜션 훅(112)의 하단부(113)는 서스펜션 훅(112)이 가이드 채널(125)로 삽입될 때 눌러 끼워맞춰지는 배열로 가이드 채널(125)의 내부면을 맞물리게 하는 탭 부분(114)을 포함하여, 서스펜션 훅(112)은 도 25 및 25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베이스(124)에 부착된다. 가이드 채널(125)과 서스펜션 훅(112)의 끼워맞춤식 배열은 액체 분배기를 매우 다양한 변기 림 형상에 적합하게 하는 것으로 이해된다. 도 23을 보면, 베이스(124)도 보틀이 베이스(24)위에 설치될 때 보틀(118)을 지지하는 마운팅 구조물(160)의 단면을 만들면서, 상부 모서리(132)에서 종결하는 후벽(136)을 포함하는 것을 알 수 있다.
도 25를 참조하면, 보틀(118)을 마운팅 구조물(160)위에 설치하는 것이 상세하게 도시되어 있다. 삽입부(193)의 천공기둥(127)은 이송관(131)을 형성하면서, 원통형관 단면(128)을 포함한다. 관 단면(128)의 상부 모서리(129)는 타원형 입구를 형성하기 위해서 비스듬하게 종결한다.
보틀(118)은 사용될 때까지, 저장 및 운송을 위해서 보틀(118)내 액체 내용물을 밀봉하는 밀폐부(120)에 의해서 덮여있는 원형의 입구(119)를 포함한다. 도 25에 도시된 보틀의 형태에서, 밀폐부는 보틀(118)의 입구(119)에서 원형의 플랜지와 맞물리는 채널이 있는 열가소성 캡이다. 호일 또는 플라스틱 필름과 같은, 그 밖의 밀폐부도 보틀의 입구를 밀봉하기에 적합하다. 밀폐부(120)의 중앙 부분은 도 25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감소된 두께의 원형영역(122)을 갖는 부서지기 쉬운 밀봉부(121)를 갖는다. 설치중에, 보틀(118)은 천공기둥(127)위로 향해서 밀폐부(120)의 원형 내벽이 천공기둥(127)의 원형의 외부면과 대체로 일직선으로 되고, 보틀은 천공기둥(127)의 상부 모서리가 부서지기 쉬운 밀봉부(121)의 원형 영역(122)이 깨지도록 할 때까지 베이스(124)를 향해서 방향 A로 이동된다. 위쪽으로 연장된 돌출부(184)는 삽입부(193)의 하부벽에서, 부서지기 쉬운 밀봉부(121)가 천공기둥(127)의 상부 모서리에서 떨어져 있게 하여, 액체가 보틀(118)의 입구(119)에서 이송관(131)을 통해서 바닥 또는 하부벽(186)내의 분배홀(138)에서 흐르는 동안 부서지기 쉬운 밀봉부가 이송관(131)의 타원형의 입구를 재밀봉하는 것을 방지한다. 동시에, 보틀(18)의 입구(119)는 벽(180)과 천공기둥(127)의 원통형 관 단면(128) 사이에 형성된 환상의 채널(137)로 삽입된다. 천공기둥(127), 밀폐부(120), 및 보틀(118)의 입구를 적당한 크기로 하여, 보틀이 베이스(124) 위에 설치될 때 유체가 흐르지 않는 밀봉이 형성된다.
도 17-28을 보면, 베이스(124)의 바닥에, 액체 포뮬러의 세정수로의 분포를 원조하는 액체 분배판(140)이 있음을 알 수 있다. 이러한 분배판은 예시된 것과 같이 베이스에 부착된 별도의 구성요소이거나 베이스(124)에 적산될 수 있다. 분배판(140)은 바람직하게 착색된 폴리에틸렌 또는 폴리프로필렌과 같은 비-다공성 열가소성 물질로 형성될 수 있다.
도 28은 분배판(140)의 형상을 예시한다. 분배판(140)은 일련의 모세관(148)을 갖는 상부면(142)의 주변에 림(166)을 갖고 모세관은 베이스(124)의 모서리(143)에서 안쪽으로 간격을 둔 지점에 분배판의 상부면(142)에 형성되어 있는 수집공동(144)에서 방사상으로 퍼져있음을 알 수 있다. 모세관(148)은 도 29a-29f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많은 가로지르는 횡단면 형태를 가질 수 있다.
도 29a-29f를 관찰하면, 도 29a 및 29c-29f에서 각 A1, 도 29b에서 각 A2와 같이, 모세관(148)은 측벽간에 다양한 사이각을 형성하는 경사진 측벽들(177)을 가질 수 있음을 알 수 있다. 모세관은 또한 도 29b-29f의 D1, 및 도 29a의 D2와 같이, 다양한 깊이를 가질 수 있다. 각각의 그러한 모세관의 중심은 또한 도 29c의 돌출부(179a)와 같이 위쪽으로 연장된 돌출부를 포함하고, 그것은 분배판(140)의 상부면(142)까지 연장되어 반경 R1을 갖는 둥근 상부면, 또는 도 29d의 돌출부(179b)와 같은 돌출부에서 종결하고, 그것은 분배판(140)의 상부면(142)위에 높이 H1만큼 연장된다. 각각의 모세관의 하부 또한 도 29e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반경 R2를 갖는 둥근 하부면에서 종결할 수 있다. 도 29a-29f의 각각의 모세관 형상은 특별한 액체 세정기 유체 전달 특성들, 즉, 점성도, 두께, 및 표면장력을 갖는 분배장치를 만들기 위해서 분배판(140)에 사용될 수 있다. 대안적인 실시예에서, 모세관판은 오목한 공동을 포함할 수 있고, 그 안에 심지장치로서 작용할 수 있는 소결된 다공성 플라스틱 패드가 놓여진다.
다시 도 28을 참조하면, 분배판(140)은 또한 수집공동(144)에 의해서, 보틀(118)내로의 세정수의 연도를 제한하도록 하는 두 가지 특색을 갖는다. 첫째, 분배판(140)은 수집공동(144)의 일부분을 둘러싸는 적어도 하나의 장벽(154)을 포함한다. 이러한 장벽(154)은 물이 수집공동의 측면 및 뒤에서 수집공동(144)으로 들어가는 것을 막는다. 둘째, 분배판(140)은 분배판(140)을 통해서 연장된, 한 쌍의 배수관(152)을 포함한다. 배수관(152)은 장벽(154) 근처의 분배판(140) 영역에서 배수 작용을 한다. 또한, 노치 또는 개구부(188)는 이송관(131)의 바닥 또는 하부벽(186) 아래의 라이저(187)에서 절단되어, 채널(148)을 통해서 베이스(124)의 표면(142) 위의 분배홀(138)로부터의 액체의 흐름을 향상시킨다. 바닥 벽의 라이저의 정면 및 측면 부분의 선택적인 제거, 즉, 절삭 노치 또는 개구부는 보틀의 배기 및 분배기에서 과량의 물을 배수하는 것을 돕는 것으로 밝혀졌다.
이제 도 24로 돌아와서, 다른 구조의 베이스(124)에 대해서 분배판(140)을 놓는 것이 가장 잘 도시되어 있다. 분배판(140)은 별도의 단계로서 또는 베이스의 주조의 일부로서 부착되어, 분배판의 수집공동(144)은 삽입부(193)의 이송관(131)과 통하는 유체에 놓이게 된다. 도 24에 도시된 형태에서, 천공기둥(127)의 저부의 분배홀(138)은 이송관(131)과 수집공동 사이에 유체 통로를 제공한다. 이러한 형상의 결과로서, 액체는 분배홀(138)을 통해서 보틀(118)에서 베이스(124)의이송관(131)으로 및 분배판(120)의 수집공동(144)으로 흐른다. 액체는 그런 다음에 수집공동(144)에서 분배판(140)의 상부면(142)내 모세관(148)으로 흐른다. 액체는 그런 다음에 모세관(148)의 바깥단부(150)로 계속해서 흘러서, 거기서 액체는 하기 설명하는 바와 같이 세정수와 함께 변기에 분배된다.
분배판(140)은 분배될 액체의 표면장력을 파괴하여서 그의 유동 특성을 향상시키기 위해서, 분배판(140)에서 분배홀(138)과 이송관(131)으로 위쪽으로 연장된 수직 기둥(181)을 포함할 수 있다. 도 24 및 25에 예시된 바와 같이, 표면장력 파괴기둥(181)은 필연적인 것은 아니나, 바람직하게 분배홀(138)의 중심에 있을 수 있으며, 하부벽(186)의 표면 위에 짧은 거리로 솟아오를 수 있다.
액체를 분배판의 수집공동(144)으로부터 모세관을 통해서 채널의 바깥단부(150)로 이동시키는 다양한 수단이 사용될 수 있다. 첫째, 유체가 채널(148)의 측면에 부착하여 제공되는 모세관 작용은 그의 바깥단부를 향해서 액체를 이동시킬 것이다. 게다가, 채널(148)은 수집공동(144)의 깊이보다 더 깊은 깊이를 갖고, 그것은 모세관의 바깥단부로 액체를 이동하게 한다. 또한, 바람직하게, 분배판(140)은 수집공동(144)이 모세관 채널의 바깥단부(150)보다 더 높도록 아래쪽으로 경사져 있다. 물론, 수집공동(144)에서 모세관을 통해서 최외부 영역(150)으로의 액체 흐름을 제어하는 이러한 방법들은 각각 단독으로 또는 다른 방법들과 결합해서 이용될 수 있다.
보틀(118)에서 분배판(140)의 상부면(142)위의 위치로 액체를 이동시키기 위한 수단을 설명하면서, 액체 분배장치(110)의 이용은 도 30 및 31을 참고하여 설명될 수 있다. 도 30은 개방된 림을 갖는 변기(116B)와 결합해서 사용될 때, 액체 분배장치(110)의 형상을 예시한다. 림에 매달린 액체 분배장치(110)에서, 세정수의 흐름(W)은 매 플러시에 분배판(140)과 접촉하여, 분배판(140)의 상부면(142)으로부터 액체를 변기로 전달하게 할 것이다. 유사하게, 도 31은 박스 림을 갖는 변기(116A)와 결합해서 이용되는 액체 분배장치(110)의 형상을 예시한다. 변기(116A)의 림에 매달린 액체 분배장치(110)에서, 세정수의 흐름(W)은 매 플러시에 분배판(140)과 접촉할 것이다. 세정수가 분배판(140)과 접촉할 때, 세정수는 분배판(140)의 상부면(142)위의 모세관(148)에 존재하는 액체와 혼합된 다음에 변기로 분포된다. 세정수가 분배판(140)의 분배부분의 액체를 화장수로 밀어넣은 다음에, 깨끗한 공급액이 본 발명에서 설명된 바와 같이 보틀(118)에서 모세관(148)으로 분포된다. 액체가 분배판 위로 분배될 때 공기가 보틀(118)내로 배기되도록 하기 위해서, 도 28에 가장 잘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이, 배기판(140)의 상부면내 및 판의 뒤 모서리(143)를 통해서 배기 슬롯(146)이 제공된다. 이러한 배기 슬롯(146)은 그로부터 분배되는 액체를 대신하기 위해서, 대기가 보틀(118)로 들어가도록 수집공동(144) 및 대기 사이에 통로를 제공한다.
본 발명에 따른 액체 분배기(10 및 110)에서 제공된 모세관 분배 채널의 이용은 세정수에 선형 및 일정한 양의 액체를 제공한다. 일 예의 액체 분배기는 처음부터 최후까지 매 플러시에 일정한 거품, 세정, 살균 및 방향을 제공하면서, 평균적인 사용시 대략 한 달동안 지속되는 것으로 설계된다. 개시된 바와 같이, 분배판위에 모세관을 사용하면 모세관의 표면적이 각 플러시 후에 적합한 방향이 대기에전달되도록 보장함에 따라 플러시간에 일정한 수준의 방향을 전달하는데 매우 중요한 것으로 밝혀졌다.
당업계의 통상의 기술자들은 본 발명이 다른 바람직한 실시예에 의해서 실시될 수 있으며, 실시예들은 예시의 목적이지 제한의 목적으로 제시된 것이 아님을 이해할 것이다. 예를 들어, 액체 분배장치는 변기의 림외의 장소(예를 들어, 욕조)에 액체를 분배하도록 사용될 수 있다. 따라서, 첨부된 청구범위의 범위는 본 발명에 포함된 바람직한 실시예의 설명에 한정되어서는 안된다.
본 발명은 저장고 또는 보틀에서 액체를 분배하는데 사용될 수 있으며, 특히 변기의 림에서 세정 및/또는 청정 액체 일정한 양을 분배하는데 사용될 수 있다.

Claims (36)

  1. 지지대에 매달기 위한 액체 분배장치에 있어서,
    액체를 보유하기 위한 보틀로서, 입구와 입구를 덮는 밀폐부를 갖는 보틀;
    상기 보틀을 보유하기 위한 마운팅 구조물로서, 상기 마운팅 구조물은 하부벽을 갖는 이송관을 규정하는 천공기둥, 보틀의 밀폐부를 개방하고 보틀의 입구와 통하는 유체에 상기 이송관을 두기 위한 수단, 및 분배판을 갖고, 상기 분배판은 분배판내 이송관과 통하는 유체 및 다수의 이송채널과 통하는 유체에 수집공동을 갖는 상부면을 갖고, 상기 이송 채널은 액체를 수집공동에서 분배판의 상부면 위의 분배지점으로 전달하기에 적합한 마운팅 구조물; 및
    상기 마운팅 구조물을 상기 지지대에 매달기 위한 서스펜션 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체 분배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서스펜션 수단은 서스펜션 훅 및 상기 마운팅 구조물내 가이드 채널을 포함하고, 상기 서스펜션 훅은 하단부를 갖고, 상기 가이드 채널내에 미끄러지게 삽입되어 서스펜션 훅의 하단부가 가이드 채널의 내부면과 맞물리게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체 분배장치.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천공기둥은 원통형 관 단면을 갖고, 상기 보틀의 밀폐부를 개방하기 위한 수단은 관 단면의 비스듬히 잘려진 말단 부분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체 분배장치.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보틀의 밀폐부는 상기 천공기둥의 말단 부분에 대해서 눌러서 깨지도록 배열된 부서지기 쉬운 밀봉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체 분배장치.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마운팅 구조물은 상기 부서지기 쉬운 밀봉부가 깨진 후에 상기 부서지기 쉬운 밀봉부의 적어도 일 단면이 상기 천공기둥의 말단 부분에서 떨어져 있게 하기 위한 수단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체 분배장치.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부서지기 쉬운 밀봉부의 적어도 일 단면이 천공기둥의 말단 부분에서 떨어져 있게 하기 위한 수단은 상기 천공기둥의 말단 부분 위로 연장된 돌출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체 분배장치.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마운팅 구조물은 상기 보틀로부터 액체를 중력에 의해서 분배하기 위해서 아래쪽으로 돌출된 상기 보틀의 입구와 반대 위치에서 상기 보틀을 보유하고 지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체 분배장치.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이송관은 외부의 원통형 벽을 갖는 환상의 채널에 의해서 둘러싸여 있으며, 상기 벽의 내부는 상기 보틀의 입구의 외부면과 맞물리고, 상기 벽은 상기 분배판과 맞물리기 위한 다수의 수단을 더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체 분배장치.
  9.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분배판은 라이저에 의해서 상기 이송관의 하부벽과 간격을 두고 있으며, 상기 라이저는 상기 보틀의 배기를 위해서 그 안에 개구부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체 분배장치.
  10.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분배판은 상기 수집공동의 적어도 일부분을 둘러싸는 적어도 하나의 장벽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체 분배장치.
  11.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분배판은 상기 적어도 하나의 장벽의 영역에 상기 분배판으로부터 물을 배수하기 위한 적어도 하나의 배수관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체 분배장치.
  12.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분배판은 보틀에서 세정수로 분배된 액체를 대신하기 위해서 대기가 상기 보틀내로 들어갈 수 있도록 하는 배기 슬롯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체 분배장치.
  13.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분배판은 분배될 액체의 표면장력을 파괴하기 위해서 상기 이송관의 상기 하부벽의 분배홀로 수직으로 연장된 수직 기둥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체 분배장치.
  1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분배판은 상기 수집공동에서 상기 분배지점으로 아래쪽으로 경사져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체 분배장치.
  15. 제 14 항에 있어서, 상기 이송채널은 상기 수집공동으로부터 바깥쪽으로 방사상으로 퍼져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체 분배장치.
  16. 제 15 항에 있어서, 상기 이송채널의 적어도 일부분은 상기 수집공동의 깊이보다 더 깊은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체 분배장치.
  17. 제 16 항에 있어서, 상기 분배판은 상기 수집공동 중 적어도 일부분을 둘러싸는 적어도 하나의 장벽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체 분배장치.
  18. 제 17 항에 있어서, 상기 분배판은 상기 적어도 하나의 장벽의 영역에 상기 분배판으로부터 물을 배수하기 위한 적어도 하나의 배수관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체 분배장치.
  19. 제 18 항에 있어서, 상기 분배판은 보틀에서 세정수로 분배된 액체를 대신하기 위해서 대기가 상기 보틀로 들어갈 수 있도록 하는 배기 슬롯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체 분배장치.
  20. 제 19 항에 있어서, 상기 분배판은 분배될 액체의 표면장력을 파괴하기 위해서 상기 이송관의 상기 하부벽의 분배홀로 수직으로 연장된 수직 기둥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체 분배장치.
  21. 제 20 항에 있어서, 상기 보틀은 상기 보틀의 일부분에 수직으로 연장된 뷰 스트립을 갖고, 상기 뷰 스트립은 상기 보틀 외부에서 상기 보틀 내부로 빛을 전하기에 적합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체 분배장치.
  22. 제 21 항에 있어서, 상기 장치는 변기의 림에서 액체를 분배하기 위한 분배기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체 분배장치.
  23. 제 22 항에 있어서, 상기 분배판은 그의 주변에 림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체 분배장치.
  24. 변기의 림에서 액체를 분배하기 위한 장치에 있어서,
    액체를 보유하기 위한 보틀로서, 입구 및 입구를 덮기 위한 밀폐부를 갖는 보틀;
    상기 보틀을 보유하기 위한 마운팅 구조물로서, 이송관을 규정하고, 상기 보틀의 밀폐부를 개방하여 상기 보틀의 입구와 상기 이송관간에 유체 소통을 이루기에 적합한 천공기둥, 상기 밀폐부가 개방된 후에 상기 밀폐부의 적어도 일부분을 상기 천공기둥의 단부에서 떨어져 있게 하기 위한 수단, 및 상기 이송관 및 다수의 이송 채널과 통하는 유체에 수집공동을 갖는 상부면을 갖는 분배판을 포함하고, 상기 이송 채널은 액체를 상기 수집공동에서 분배판 상부면의 분배지점으로 전달하기에 적합한 마운팅 구조물; 및
    상기 마운팅 구조물을 변기의 림에 매달기 위한 서스펜션 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25. 제 24 항에 있어서, 상기 이송관은 상기 분배판과 맞물리기 위한 다수의 수단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26. 제 25 항에 있어서, 상기 이송관은 상기 보틀의 입구와 맞물리는 환상 채널에 의해서 둘러싸여 있고, 상기 이송관의 외벽은 상기 분배판의 맞물림을 위해서 적어도 세 개의 수단을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27. 제 26 항에 있어서, 상기 이송관은 그 안에 분배홀을 갖는 하부벽을 포함하고, 상기 하부벽은 상기 보틀의 배기를 위해서 내부에 개구부를 갖는 라이저에 의해서 상기 분배판과 간격을 두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28. 제 27 항에 있어서, 상기 분배판은 수집공동의 적어도 일부분을 둘러싸는 적어도 하나의 장벽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29. 제 28 항에 있어서, 상기 분배판은 상기 수집공동에서 상기 이송관으로 위쪽으로 연장된 표면장력 파괴기둥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30. 제 29 항에 있어서, 상기 분배판은 그의 주변에 있는 림, 및 상기 적어도 하나의 장벽 영역내 상기 분배판으로부터 물을 배수하기 위해서 분배판을 통해서 연장된 적어도 하나의 배수관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31. 제 30 항에 있어서, 상기 분배판은 보틀로부터 세정수로 분배된 액체를 대신하기 위해서 대기가 상기 보틀로 들어갈 수 있도록 하는 배기 슬롯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32. 제 31 항에 있어서, 상기 분배판은 분배될 액체의 표면장력을 파괴하기 위해서 상기 이송관의 상기 하부벽의 분배홀로 수직으로 연장된 수직 기둥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33. 제 32 항에 있어서, 상기 보틀은 상기 보틀의 일부분에 수직으로 연장된 뷰 스트립을 갖고, 상기 뷰 스트립은 상기 보틀 외부에서 상기 보틀 내부로 빛을 전하기에 적합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34. 제 33 항에 있어서, 상기 이송 채널의 적어도 일부분은 상기 수집공동의 하부면에 대해서 아래쪽으로 경사진 하부면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35. 제 29 항에 있어서, 상기 분배판은 상기 분배판의 모서리에 단단히 고정된 디플렉터를 포함하고, 상기 디플렉터는 장치가 변기의 림에 설치될 때 변기의 내부면에 접촉하기에 적합한 크기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36. 제 35 항에 있어서, 상기 분배판은 장치가 변기의 림에 설치될 때 변기의 내부면에 대해서 위쪽으로 기울어지는데 적합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KR1020027007515A 1999-12-14 2000-12-13 액체 분배용 변기 림에 장착된 변기 세정기 KR100657426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5)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09/460,570 US6178564B1 (en) 1999-12-14 1999-12-14 Liquid dispensing toilet rim mounted toilet bowl cleaner
US09/460,570 1999-12-14
US09/614,873 2000-07-12
US09/614,873 US6412120B1 (en) 1999-12-14 2000-07-12 Liquid dispensing toilet rim mounted toilet bowl cleaner
PCT/US2000/033755 WO2001044590A1 (en) 1999-12-14 2000-12-13 Liquid dispensing toilet rim mounted toilet bowl cleaner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0023608A true KR20030023608A (ko) 2003-03-19
KR100657426B1 KR100657426B1 (ko) 2006-12-14

Family

ID=27039737

Famil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27007501A KR100665621B1 (ko) 1999-12-14 2000-12-13 액체 분배용 변기 세정기
KR1020027007515A KR100657426B1 (ko) 1999-12-14 2000-12-13 액체 분배용 변기 림에 장착된 변기 세정기

Family Applications Before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27007501A KR100665621B1 (ko) 1999-12-14 2000-12-13 액체 분배용 변기 세정기

Country Status (16)

Country Link
US (1) US6675396B2 (ko)
EP (2) EP1238169B1 (ko)
JP (2) JP4145046B2 (ko)
KR (2) KR100665621B1 (ko)
CN (3) CN1409792A (ko)
AR (2) AR028887A1 (ko)
AT (2) ATE319886T1 (ko)
AU (2) AU775705B2 (ko)
BR (2) BR0016365A (ko)
CA (2) CA2393945C (ko)
DE (2) DE60028814T2 (ko)
ES (1) ES2254256T3 (ko)
HK (2) HK1046941B (ko)
MX (2) MXPA02005965A (ko)
NZ (1) NZ519259A (ko)
WO (1) WO2001044590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1203844A1 (en) * 2000-11-03 2002-05-08 Brian Slade Liquid dosing devices
DE10113036B4 (de) * 2000-11-17 2005-02-17 Henkel Kgaa Abgabevorrichtung zur Abgabe von Wirkstofffluiden in die Spülflüssigkeit in einem Toilettenbecken
ITMI20011669A1 (it) * 2001-07-31 2003-01-31 Lincon Italiana S P A Dispositivo per l'erogazione automatica di prodotti detergenti e deodoranti per tazze igieniche
NL1019393C2 (nl) 2001-11-19 2003-05-20 Sara Lee De Nv Inrichting met een toiletverzorgende werking.
ITRE20010116A1 (it) 2001-12-05 2003-06-05 Relevi S P A Dispenser per sostanze attive liquide, per vaso di w.c.
DE10204928B4 (de) * 2002-02-07 2004-04-01 Henkel Kgaa Abgabevorrichtung zur Abgabe eines Wirkstofffluids in die Spülflüssigkeit in einem Toilettenbecken
DE10234781A1 (de) * 2002-07-30 2004-02-19 Henkel Kgaa Abgabevorrichtung zur Abgabe eines Wirkstofffluids in die Spülflüssigkeit in einem Toilettenbecken
DE10303155A1 (de) * 2003-01-27 2004-08-12 Henkel Kgaa Abgabevorrichtung zur Abgabe eines Wirkstofffluids in die Spülflüssigkeit in einem Toilettenbecken
US7021494B2 (en) * 2003-04-18 2006-04-04 S. C. Johnson & Son, Inc. Automated cleansing sprayer having separate cleanser and air vent paths from bottle
DE602004003101T2 (de) * 2003-04-25 2007-02-15 S.C. Johnson & Son, Inc., Racine Am rand eines toilettenbeckens angebrachte vorrichtung zur abgabe von zwei flüssigkeiten
JP3775507B2 (ja) * 2004-03-31 2006-05-17 小林製薬株式会社 水洗トイレ用薬剤供給具
JP2006283501A (ja) * 2005-04-04 2006-10-19 Kobayashi Pharmaceut Co Ltd 薬剤供給具
US20080272200A1 (en) * 2007-05-04 2008-11-06 Ordiway Timothy R Rotary sprayer for a fluid delivery device
US8291524B2 (en) 2005-12-20 2012-10-23 S.C, Johnson & Son, Inc. Clip for mounting a fluid delivery device
US20070240252A1 (en) * 2005-12-20 2007-10-18 Leonard Stephen B Clip for mounting a fluid delivery device
US7603726B2 (en) 2005-12-20 2009-10-20 S.C. Johnson & Son, Inc. Toilet bowl cleaning and/or deodorizing device
GB0605023D0 (en) * 2006-03-13 2006-04-19 Jeyes Group Ltd Liquid dispensing device
JP5164482B2 (ja) * 2007-08-31 2013-03-21 小林製薬株式会社 薬液供給装置
JP5030712B2 (ja) * 2007-08-31 2012-09-19 小林製薬株式会社 薬液供給装置
JP5448349B2 (ja) * 2007-08-31 2014-03-19 小林製薬株式会社 薬液供給装置
JP5578761B2 (ja) * 2007-09-27 2014-08-27 小林製薬株式会社 薬液供給装置
WO2009123239A1 (ja) * 2008-03-31 2009-10-08 小林製薬株式会社 薬液供給装置
JP5424605B2 (ja) * 2008-09-30 2014-02-26 小林製薬株式会社 薬液供給装置
JP5448421B2 (ja) * 2008-09-30 2014-03-19 小林製薬株式会社 薬液供給装置
JP5601767B2 (ja) * 2008-09-30 2014-10-08 小林製薬株式会社 薬液供給装置
JP5445980B2 (ja) 2009-05-21 2014-03-19 日本曹達株式会社 薬剤ケース
KR101239214B1 (ko) * 2010-08-16 2013-03-06 장운호 변기 세정액 디스펜서
US20120110722A1 (en) 2010-11-09 2012-05-10 Matthew Abbondanzio Clip for Mounting a Fluid Delivery Device
WO2012071386A1 (en) 2010-11-26 2012-05-31 S.C. Johnson & Son, Inc. Toilet bowl cleaning device including dual activation mechanism
CN104790497B (zh) * 2014-07-02 2017-01-04 李东山 自动化无电座厕马桶
JP6281031B2 (ja) * 2014-07-28 2018-02-14 秀美 岡田 男性用節水小便器
US10344462B2 (en) 2014-09-08 2019-07-09 S. C. Johnson & Son, Inc. Toilet rimblock and method of making such rimblock
USD752733S1 (en) 2015-03-18 2016-03-29 S.C. Johnson & Son, Inc. Toilet rim block holder
USD752198S1 (en) 2015-03-18 2016-03-22 S.C. Johnson & Son, Inc. Toilet rim block holder
USD789485S1 (en) 2016-05-17 2017-06-13 S. C. Johnson & Son, Inc. Toilet rim block holder
USD784491S1 (en) 2016-05-17 2017-04-18 S. C. Johnson & Son, Inc. Toilet rim block
US10669705B2 (en) 2016-07-05 2020-06-02 Willert Home Products, Inc. Toilet bowl treatment apparatus and method of making same
USD841120S1 (en) 2017-01-31 2019-02-19 S. C. Johnson & Son, Inc. Toilet rim-block
USD850578S1 (en) 2017-01-31 2019-06-04 S. C. Johnson & Son, Inc. Toilet rimblock
IL253739B (en) 2017-07-31 2021-01-31 Israel Aerospace Ind Ltd Baldness detector
AU2019356578B2 (en) 2018-10-11 2022-11-24 Mahdi GHODRATI Automatic toilet cleaner device
USD923139S1 (en) 2019-06-07 2021-06-22 S. C. Johnson & Son, Inc. Set of toilet rim-blocks
USD914131S1 (en) 2019-06-07 2021-03-23 S. C. Johnson & Son, Inc. Toilet rim-block holder
USD912761S1 (en) 2019-06-07 2021-03-09 S. C. Johnson & Son, Inc. Toilet rim-block
JP7402732B2 (ja) * 2020-03-31 2023-12-21 小林製薬株式会社 薬液供給装置

Family Cites Families (5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97811A (en) 1898-01-25 daniel k calkins
US681100A (en) 1900-09-15 1901-08-20 Rochester Germicide Co Disinfectant-holder.
US1067472A (en) 1912-10-14 1913-07-15 Fred A Creed Disinfectant-holder.
US1091265A (en) 1913-04-23 1914-03-24 Benjamin Armer Sanitary attachment for toilet-bowls and the like.
GB296338A (en) 1927-05-27 1928-08-27 Adrian Wilfred Wylie A new or improved sanitary vaporising, disinfecting and cleansing apparatus
US1880912A (en) 1931-05-29 1932-10-04 Mary E Forchheimer Deodorant container for toilet bowls
US2075266A (en) 1934-01-16 1937-03-30 Earle L Bowman Disinfecting dispensing apparatus
US2350451A (en) * 1943-01-15 1944-06-06 Raymond T Embrey Receptacle opening and pouring spout
US3177502A (en) 1962-01-15 1965-04-13 Roland J Meunier Liquid dispensing devices
DE1286972B (de) 1965-02-25 1969-01-09 Buck Karl Behaelter fuer ein Mittel zum Reinigen von Klosettbecken mit Wasserspuelung
US3623941A (en) 1966-06-27 1971-11-30 Gillette Co Porous objects for writing instruments
US3537112A (en) 1967-08-18 1970-11-03 Richard E Goodman Toilet deodorant
US3529309A (en) 1968-08-12 1970-09-22 Madison Chem Corp Lavatory sanitation bodies
US3604021A (en) 1969-05-15 1971-09-14 Elton Ind Corp Urinal tablet
US3675254A (en) 1970-08-31 1972-07-11 Hysan Products Co Treatment device
US3639070A (en) 1971-01-13 1972-02-01 Gillette Co Marking-pen-type writing instrument
US3766576A (en) 1971-07-14 1973-10-23 Chemtrust Ind Corp Lavatory sanitation bodies
US3806965A (en) 1971-10-18 1974-04-30 Braun Co W Liquid dispensing and metering device which also forms a closure for the container
US3736600A (en) 1971-12-20 1973-06-05 J Drinkwater Toilet-bowl disinfectant-detergent holder and dispenser
AR205344A1 (es) 1973-05-11 1976-04-30 Global Control Int Procedimiento para la fabricacion de una barra de material termoplastico que presenta en el interior canales capilares para obtener plumillas de transmision capilar de la tinta
IT1030072B (it) 1973-11-02 1979-03-30 Tamin El Sioufy Dispositivo per la disinfezione e pulitura chimica del vaso di gabinetti
FR2272950A1 (en) 1974-05-31 1975-12-26 Carnaud Total Interplastic Flexible container sealing process - uses cap with vent and distorting membrane inside and inert gas
US4096593A (en) 1976-07-15 1978-06-27 Eftichios Van Vlahakis Toilet bowl dispenser
USRE32017E (en) 1978-04-24 1985-11-05 Globol-Werk Gmbh Toilet flush water colorizer
DE7834350U1 (de) 1978-11-18 1979-03-22 Globol-Werk Gmbh, 8858 Neuburg Halterung fuer wc-desodorantien
US4228928A (en) 1978-10-25 1980-10-21 Northwest Sanitation Products, Inc. Bottle with a clip for suspending the bottle in inverted position
DE2917083B1 (de) 1979-04-27 1980-07-10 Globol Werke Gmbh Halterung fuer WC-Desodorantien
US4349988A (en) 1980-06-09 1982-09-21 Kotula Frank T Herbicide dispensing apparatus
CA1130763A (en) 1980-10-10 1982-08-31 Raza Alikhan Non-inverting liquid dispenser
FR2532346B1 (fr) 1982-08-26 1985-05-10 Reckitt & Colmann Sa Support perfectionne pour produits nettoyants et/ou colorants, destine a etre accroche sous le rebord d'une cuvette de wc
CH669575A5 (ko) 1985-08-20 1989-03-31 Alfatechnic Ag
DE3639686A1 (de) 1986-11-20 1988-05-26 Henkel Kgaa Wc-koerbchen
US4777670A (en) 1988-01-13 1988-10-18 S. C. Johnson & Son, Inc. Under-the-rim dispensing unit
US4913350A (en) 1988-03-18 1990-04-03 Givaudan Corporation Air freshener device using external capillaries
US4916760A (en) 1988-10-24 1990-04-17 Arie Shahar Dispensing device
WO1990010122A1 (de) 1989-02-28 1990-09-07 Ingrid Liesk Gerät zur spülwassergesteuerten automatischen abgabe einer wirkstoffflüssigkeit in einer definierten menge in das toilettenbecken
DE8902509U1 (ko) 1989-03-02 1989-10-19 S.C. Johnson & Son Inc., Racine, Wis., Us
IT1232105B (it) 1989-05-25 1992-01-23 Del Santo Luigi Attrezzo igienico per la pulizia e il mantenimento della stessa in vasi di w.c
US5261755A (en) 1990-05-25 1993-11-16 The Gillette Company Fluid dispenser
US5186912A (en) 1991-01-03 1993-02-16 Ecolab, Inc. Controlled release dishwasher detergent dispenser
NL9101759A (nl) * 1991-10-22 1993-05-17 Sara Lee De Nv Vloeibaar-reinigings- en/of verfrissingsmiddel voor een toiletpot.
DE4236037A1 (de) 1992-10-24 1994-04-28 Boehringer Ingelheim Int Düsenkörper für Zerstäuber und ihre Herstellung
IL107120A (en) 1992-09-29 1997-09-30 Boehringer Ingelheim Int Atomising nozzle and filter and spray generating device
CN2175267Y (zh) * 1993-12-30 1994-08-24 顾治明 马桶清洁剂释放装置
US5657065A (en) 1994-01-03 1997-08-12 Xerox Corporation Porous medium for ink delivery systems
IT1274057B (it) 1994-10-12 1997-07-14 Ingenius Srl Erogatore perfezionato per un contenitore di liquidi.
NL1001722C2 (nl) 1995-11-22 1997-05-23 Sara Lee De Nv Reinigings- en verfrissingseenheid bestemd om te worden opgehangen aan een toiletpotrand.
BE1010588A4 (fr) * 1996-08-28 1998-11-03 Prod Hyodall Lab Des Support de batonnet sanitaire pour cuvette sanitaire.
DE19720393A1 (de) * 1997-05-15 1998-11-19 Buck Chemie Gmbh Reinigungs- und Erfrischungsvorrichtung für Toilettenbecken
US5901886A (en) 1997-12-19 1999-05-11 Grindstaff; M. Boyd Apparatus for storing and dispensing particulate material and valve for use therein
GB2345494A (en) 1998-06-15 2000-07-12 Johnson & Son Inc S C Unit for dispensing a liquid into a toilet bowl
ATE370284T1 (de) 1998-06-15 2007-09-15 Johnson & Son Inc S C Flüssigkeitsspender
DE19912217C2 (de) * 1999-01-12 2002-09-05 Jeyes Deutschland Gmbh Vorrichtung zur Abgabe von Wirkstoffen in das Spülwasser insbesondere in Toilettenbecken
DE19901457B4 (de) 1999-01-15 2004-03-18 Jeyes Deutschland Gmbh Vorrichtung zur Abgabe von Wirkstoffen in das Spülwasser eines Toilettenbeckens oder dergleichen
CN1271047A (zh) 1999-04-19 2000-10-25 莎拉李/迪有限公司 悬垂于抽水马桶边缘的净化和清新设备
US6178564B1 (en) * 1999-12-14 2001-01-30 S. C. Johnson & Son, Inc. Liquid dispensing toilet rim mounted toilet bowl cleaner
IT1311606B1 (it) * 1999-12-14 2002-03-13 Falp Srl Erogatore regolabile di tensioattivi e/o di liquidiigienizzanti/deodoranti.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00357535C (zh) 2007-12-26
CA2393945A1 (en) 2001-06-21
KR100665621B1 (ko) 2007-01-10
US6675396B2 (en) 2004-01-13
DE60026590D1 (de) 2006-05-04
JP4145046B2 (ja) 2008-09-03
CN1409793A (zh) 2003-04-09
CA2393950C (en) 2006-03-21
HK1046941B (zh) 2006-11-24
ATE319886T1 (de) 2006-03-15
ATE330079T1 (de) 2006-07-15
ES2254256T3 (es) 2006-06-16
KR20030023606A (ko) 2003-03-19
HK1046942A1 (en) 2003-01-30
EP1238169B1 (en) 2006-03-08
US20020178493A1 (en) 2002-12-05
CN1409792A (zh) 2003-04-09
DE60028814D1 (de) 2006-07-27
AU768678B2 (en) 2003-12-18
EP1238169A1 (en) 2002-09-11
HK1046942B (zh) 2006-09-15
BR0016365A (pt) 2002-08-27
JP2003517123A (ja) 2003-05-20
DE60028814T2 (de) 2006-11-30
DE60026590T2 (de) 2006-10-19
BR0016423A (pt) 2002-08-20
EP1238170A1 (en) 2002-09-11
AU2093901A (en) 2001-06-25
CN1680667A (zh) 2005-10-12
HK1046941A1 (en) 2003-01-30
BR0016423B1 (pt) 2008-11-18
KR100657426B1 (ko) 2006-12-14
AR028887A1 (es) 2003-05-28
MXPA02005966A (es) 2002-10-23
AU775705B2 (en) 2004-08-12
EP1238170B1 (en) 2006-06-14
MXPA02005965A (es) 2002-10-23
CN1195929C (zh) 2005-04-06
JP2003517124A (ja) 2003-05-20
NZ519259A (en) 2003-07-25
CA2393950A1 (en) 2001-06-21
CA2393945C (en) 2006-02-07
JP4145045B2 (ja) 2008-09-03
WO2001044590A1 (en) 2001-06-21
AU2093801A (en) 2001-06-25
AR030266A1 (es) 2003-08-2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657426B1 (ko) 액체 분배용 변기 림에 장착된 변기 세정기
US6412120B1 (en) Liquid dispensing toilet rim mounted toilet bowl cleaner
US6591431B2 (en) Device to dispense active substances into rinse water, especially in toilet bowls
US6651261B1 (en) Toilet rim mounted toilet cleaner with extension plate
US6928667B2 (en) Device with multiple toilet care action
WO2001044591A1 (en) Improved liquid dispensing toilet bowl cleaner
KR20010093196A (ko) 화장실 변기의 세척수에 대한 활성 물질의 분배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