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0022777A - 평면요소 및 평면요소의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평면요소 및 평면요소의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0022777A
KR20030022777A KR1020027010893A KR20027010893A KR20030022777A KR 20030022777 A KR20030022777 A KR 20030022777A KR 1020027010893 A KR1020027010893 A KR 1020027010893A KR 20027010893 A KR20027010893 A KR 20027010893A KR 20030022777 A KR20030022777 A KR 2003002277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rofile
planar element
hump
node
temperature bond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2701089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카르스텐센하트무드
부흐발트페터
마이어이나
Original Assignee
봄바디어 트랜스포테이션 게엠베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봄바디어 트랜스포테이션 게엠베하 filed Critical 봄바디어 트랜스포테이션 게엠베하
Publication of KR2003002277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0022777A/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1RAILWAYS
    • B61DBODY DETAILS OR KINDS OF RAILWAY VEHICLES
    • B61D17/00Construction details of vehicle bodies
    • B61D17/04Construction details of vehicle bodies with bodies of metal; with composite, e.g. metal and wood body structur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DMOTOR VEHICLES; TRAILERS
    • B62D27/00Connections between superstructure or understructure sub-units
    • B62D27/02Connections between superstructure or understructure sub-units rigid
    • B62D27/023Assembly of structural join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DMOTOR VEHICLES; TRAILERS
    • B62D65/00Designing, manufacturing, e.g. assembling, facilitating disassembly, or structurally modifying motor vehicles or trailer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2D65/02Joining sub-units or components to, or positioning sub-units or components with respect to, body shell or other sub-units or components
    • B62D65/04Joining preassembled modular units composed of sub-units performing diverse functions, e.g. engine and bonnet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T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TRANSPORTATION
    • Y02T30/00Transportation of goods or passengers via railways, e.g. energy recovery or reducing air resistanc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Transportation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Body Structure For Vehicles (AREA)
  • Laminated Bodies (AREA)
  • Connection Of Plates (AREA)
  • Mechanical Treatment Of Semiconductor (AREA)
  • Burglar Alarm Systems (AREA)
  • Metal Rolling (AREA)
  • Transition And Organic Metals Composition Catalysts For Addition Polymeriza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디퍼런셜체를 위한 평면요소(2)로서, 외부 표면(4) 및 적어도 하나의 평면형 보강수단을 포함하는 평면요소의 제조방법에 관계한다. 프로파일부(10) 및 노드(10)가 예정 배열로 외부 표면(4)에 제공된다. 제1 단계에서, 보강수단은 외부 표면(4) 상에 아교접착된다. 제2 단계에서, 프로파일부(10) 및 노드(10)가 적어도 부분적으로 배열 및 상온결합법에 의해 결합되어 프레임을 형성한다. 제3 단계에서, 프레임은 적어도 부분적으로 상온결합법에 의해 보강수단면 상의 외부 표면(4)에 결합된다. 수득된 판금체는 고휨내성을 나타낸다.

Description

평면요소 및 평면요소의 제조방법{PLANAR ELEMENT AND METHOD FOR PRODUCING A PLANAR ELEMENT}
차체, 예컨대 승객 수송 차량의 차체는 각종 구성부품으로 구성되어 있다. 이들 구성부품 중에는 평면요소도 포함된다. 평면요소는 다수개의 평판으로 조립 및 서로 결합될 반제품 형태로 된다. 결합방법으로는 스폿용접 및 종래의 전기아아크 용접 같은 각종 용접기술을 이용한다.
궤도 차량의 구성측에 있어서, 궤도 차량의 차체를 위한 구성부품을 제공하기 위하여 현재까지 통상적으로 널리 알려진 것은 디퍼런셜(differential) 구성 방법 즉, 외부 표면이 제공되는 프로파일의 외부에서 결합되는 프레임워크 혹은 격자구조를 사용하고 상기 외부 표면이 평면요소가 전단저항을 가지도록 프레임워크에 연결되도록 한 것이다. 격자 로드 사이의 영역에서 표면은 휨보강체(buckling stiffener)인 선형의 Z-형상 프로파일에 의해 내측에서 추가로 보강되어 외부 표면의 필요한 휨내성(buckling resistance)을 달성할 수 있다.
캡형상으로 된 프로파일 노드에 의해 교차지점에서 중복되고 또한 성형고정(form-fitting) 및 재료 결합 방식으로 결합된 캡-형상의 프로파일로 대형 차체 용도의 격자구조물을 제작하는 것은 영국특허 885,279 에 공지되어 있다.
상술한 경우에서, 프레임워크 혹은 격자구조물의 제작을 위해, 외부 표면과의 결합을 위해, 또한 후속으로 선형 휨보강체를 적용하기 위하여 열결합법을 전적으로 혹은 일부 구역에서 이용한다. 이러한 결합법은 모두 고정밀도가 요구되고 따라서 프레임워크나 격자구조물 제작 과정에서 이에 상응하는 비용이 발생하며, 또한 공급되는 열은 모든 구성부품에 필요없는 텐션 및 왜곡을 유발하므로 원하는 형상 및 표면균일도를 갖는 평면요소를 제조하고 또한 필요한 허용공차 범위를 유지하기 위한 재작업에 시간 및 비용이 소모된다.
또한, 심각한 열왜곡이 일어나 휨력의 발생과정중 왜곡이 현저하게 되며, 표면의 품질에 나쁜 영향을 미친다. 이러한 왜곡을 보상하기 위해서는, 광역배치 및 클램핑 고정작업 및 새로운 연마작업을 통한 재구성이 필요하다. 크기 허용공차의 증가는 최종 조립체의 조정비용 상승을 유발한다. 공지의 결합법은 후속으로 우수한 내식처리 및 고가의 스텐레스강을 요구하게 된다. 적절한 평면상의 휨 내성을 일으키기 위해, 후속 처리시 평면요소를 열적 인장하거나 이 요소에 프로파일 휨보강체를 제공해야 한다.
이에 더하여, 상기 결합방법은 이미 무기 또는 유기 내식막을 함유하는 재료의 이용, 예컨대 이미 단열 혹은 최종착색 단계를 거친 사전제작된 대형 구성부품의 생산 및 다른 재료(섬유 합성재료를 포함한)를 이용한 복합 구성부품의 생산 등을 제한하거나 방지한다.
따라서, 궤도 차량의 제작에 있어서 열 결합법을 상온(저온) 결합법(cold-joining method)으로 대체하려는 시도가 점차로 증가하고 있다.
격자구조물 및 선형 휨보강체를 아교접착법을 이용해 외부 표면에 결합시키는 것은 독일 특허출원 195 01 805 A1 에서 개시하였다. 이 기술은 모든 응용분야에서 사용할 수 있는 것은 아니며 비용측면에서도 효과적이지 않다.
디퍼런셜 구성에서 상온결합법(예, 펀치 리벳)을 이용하여 적어도 부분적으로 생산가능하고 또한 서로 결합시킬 수 있는 평면요소 모듈은 유럽 특허출원 0 855 978 A1 에 소개되었다. 이 기술은 때로 장비와 기구에 큰 지출경비가 요구되기도 하며 구성이 크게 제한되고 복잡하다. 중공형 챔버 프로파일은 설계 및 생산 비용이 많이 들고 광범위하고 유연하지 못한 주조 노드점이 발생하며, 허용공차 보상이 행해지지 않는다. 프로파일/평판 부분에 있는 평면요소의 엣지의 설계도 역시 매우 복잡한 것으로 나타났다.
WO 97/14596 A1 은 디퍼런셜 구성의 모듈형 요소과 이의 제조방법을 설명한다. 모듈 요소는 외부 표면, 이 표면을 지지하고 상기 외부 표면의 내측을 향하는 지지면을 가진 형상부를 제공할 프레임 프로파일과, 프레임 프로파일의 단부를 서로 연결시키고 2개의 경계 모듈 요소를 연결하기 위해 구획선을 따라 한쌍으로 배열되고, 또한 모듈 요소를 연결하기 위해 상온결합 할 수 있는 연결수단을 통해 고정시킬 홈부(recess)를 갖춘 엣지 프로파일을 포함한다. 엣지 프로파일의 홈부는각각 프레임 피트에 강고히 연결된다. 프레임 피트는, 상온결합 연결수단을 이용하여 서로 인접하는 모듈 요소의 상응하는 프레임 피트 사이에서 직접적인 형상-고정 및 재료결합 연결부를 생성하는데 이용되며 또한, 이에 따라, 각 홈부의 영역 내의 엣지 프로파일에 대해 상온결합 연결부에 의해 강고히 연결된다. 이러한 종류의 모듈 요소를 생산하기 위해, 형상부를 제공할 다수의 프레임 프로파일을 예정 길이로 절단한다. 모듈 요소의 종방향 엣지에 있어서, 엣지 프로파일을 길이로 절단하고 프레임 프로파일에 대한 연결점에 홈부를 제공한다. 엣지 프로파일은, 프레임 단부에 부착된 프레임 피트에 의해, 평행 배치된 프레임에 대해 상온결합되며 상기의 피트는 모듈 요소를 서로 연결하는데도 이용된다. 측면부에 대해 평행 배치된 외부 표면은 이 표면을 향하는 프레임의 지지면 상에 배치되고 지지면 및 엣지 프로파일에 영구적으로 상온-결합된다.
유럽 특허출원 0 369 134 A1 은 차량의 셀(cell), 특히 캐리어 프레임과 이 프레임에 부착된 샌드위치형 부품을 포함하는 궤도 차량의 셀로서, 각 셀에 외부 커버층 및 내부 커버층과 이들 층 사이에 아교접착된 지지층을 함유하는 셀을 소개한다. 차량 셀은 따로 제작된 셀 모듈로 구성되며 각 셀 모듈은 캐리어 프레임부가 지지층 부분 내에 도입 및 커버층에 부착된 샌드위치형 구조물로서 통합구성에 제공되고 또한 셀 모듈을 서로 결합시킬 고정 연결부에 의해 캐리어 프레임부의 엣지 상에 제공된다.
특히 그 중에서도, 험프 플레이트(hump plate)를 사용하는 것이 공지 문헌에서 소개되었다 (P. Cordes, V. Huller; Modern Stahl-Leichtbaustrukturen fur denSchienenfahrzeugbau; Blech Rohre Profile [Modern Steel Lightweight Structures for Railway Vehicle Construction; Plate Tube Profile] 42 (1995) 12 pp.773-777). 상기 험프 플레이트에서, 평탄한 플레이트가 내부에 절두 원추체 혹은 피라미드형의 규정된 래스터(raster)가 형성되어 있는 2차 플레이트에 연결되어 있다. 평탄한 플레이트 및 험프 플레이트는 험프 바닥면 각각에서 스폿용접을 통해 서로 연결된다.
독일 특허출원 197 42 772 A1은 2층식 궤도차에서 상층과 하층을 구분하기 위한 중간바닥층을 포함한다. 중간 바닥층은 궤도차의 길이방향으로 한 면에서 다른 면까지 길이부 전체에 걸쳐 연장된다. 또한 차례대로 배열된 복수개의 편평한 직사각형의 샌드위치 요소를 포함하며, 이것의 협소한 면도 궤도차의 길이방향으로 한 면에서 다른 면까지 연장되고 또한 궤도차의 길이 방향으로 이동하는 거더(girder) 상에 배치된다. 반면에, 상기 샌드위치 요소의 길이방향 면은 궤도차의 내부폭 중 적어도 일부에 걸쳐 횡방향으로 연장하는 유연성 있는 중공형 바아(bar)에 연결된다. 한 구현예에서, 상기 샌드위치형 요소는 셀 구조를 갖는 2개의 플레이트를 포함하고 각 플레이트 내에는 함몰부(depression)가 딥드로잉에 의해 형성된다. 함몰부의 팁이 서로 접촉 및 용접처리된다.
본 발명은 디퍼런셜 구성(differential construction)으로 된 차체를 위한 평면요소로서, 외부 표면 및 보강수단을 포함하고 외부 표면에 프로파일 및 프로파일 노드가 예정된 배열로 제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평면요소의 제조방법 및 상기 평면요소에 관한 것이다.
도 1은 디퍼런셜 구성의 차체용 평면요소의 세부를 도시하는 개략적인 평면도;
도 2는 도 1의 선(A-A)을 절단하여 도시한 단면도이다.
본 발명은 따라서, 공지 방법의 단점을 제거한 디퍼런셜 구성의 차체를 위하여 저허용공차 한계치 및 고표면품질을 갖는 평면요소를 제조하는 방법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방법에 따라 제조된 평면요소의 제공에도 관계한다.
상기 목적은 특허청구항 1의 특징을 갖는 디퍼런셜 구성의 차체용 평면요소를 제조하는 방법에 의해 달성된다.
또한, 상기 목적은 이러한 방식으로 제조한 평면요소에 의해 달성된다.
평판 패널의 고 평면 휨 내성은 평면요소의 제조방법을 이용하여 달성한다.
극히 낮은 공차허용치만이 발생하며, 아교접착 공정을 통해 플레이트의 라벨링이 자동적으로 일어난다. 이 방법을 응용하면 다면형(multi-faceted) 기능통합을 달성할 수 있고 내식성 및 방음효과가 강화된다. 극저의 부품 허용공차는 상온결합법을 응용함으로써 달성된다. 덧붙여서, 배열, 샌드블라스트 작업, 클램프고정, 그라인딩 및 충전작업 등 노동집약적 공정이 필요없게 되어 재정적 측면에서 비용을 크게 절감할 수 있다. 또한, 자재비도 절약된다. 초벌코팅을 생략하고 언더코팅, 피복용 바니쉬 혹은 포일재만 사용하면 된다. 더욱더, 본 발명을 이용하여 복합 구성 및 모듈형 구성을 완성할 수 있다. 편평형 혹은 굴곡형 측벽과 같이 다양한 프로파일을 갖는 평면요소를 생산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 상온결합법은 제2 단계 및 제3 단계에서만 수행된다. 용접법을 사용할 필요가 없으므로, 앞서 지적한 장점이 최적으로 달성된다.
상온결합법은 특히 로크링 볼트, 펀치 리벳 혹은 클린칭 등을 이용하여 수행될 수 있다. 로크링 볼트, 펀치 리벳 및 클린칭의 조합도 생각할 수 있다. 이 결합기술에 따르면, 계산이 어렵고 용접시 반드시 일어나는 수축과정을 상온결합법 사용시 생략할 수 있으므로 결합부에서 저허용공차를 확보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다른 구현예에서, 프로파일 및 프로파일 노드는 장치 내에서 적어도 부분적으로 배치 및 결합되어 있다. 프레임의 구성부품은 주형 혹은 형판의 도움으로 예정된 조립체로 제작할 수 있으며 따라서 비정밀도의 허용범위가 거의 해소된다. 상온결합 기술의 조합에 의하여, 최고의 정밀도를 갖는 프레임을 확보할 수 있다.
보강수단은 바람직하게 진공백(bag) 방법으로 외부 표면에 아교접착한다. 예를 들어 아교접착될 평판을 부분적으로 진공상태를 형성하게될 기밀형 포장재 특히 필름재에 도입할 수 있으며, 이에 의해 보강수단이 표면에 대해 압압되고 표면이 다시 굴곡형 측벽 등의 표면 및/또는 주형에 압압된다. 소위 진공백 방법을 응용하면, 편평한 면을 최고정밀도로 또한 저렴한 방식으로 형성할 수 있다. 이 방법은 평면요소의 크기와는 무관한 것으로 밝혀졌다. 평면요소의 크기에 의존하는 편평한 평면요소를 제조하기 위한 고비용의 개별 장치들은 필요하지 않다.
바람직한 세부 내용은 종속항에서 설명하였다.
본 발명을 첨부 도면과 함께 실시예에 기초하여 더욱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에서는 평면요소(2)의 세부를 보여주는 평면도를 개략적으로 도시한다. 평면요소(2)는 외부 표면(4) 및 이 외부 표면(4)에 배치된 험프 플레이트(6)를 포함한다. 프로파일 노드(10)를 통해 서로 연결되는 프로파일(8)은 험프 플레이트 면에 있는 외부 표면(4) 상에 배치된다. 도시되지 않은 구현예에서, 프로파일이 완성된 평판, 발포체 및 커버 플레이트의 조합체, 혹은 섬유 합성 반제품이 예컨대 보강수단으로서 험프 플레이트(6) 대신 제공되기도 한다.
평면요소(2)를 제조하기 위한 본 발명의 방법에서, 제1 단계는 험프 플레이트(6)를 외부 표면(4)에 아교접착하고 그 뒤 이들 요소를 서로 강고히 연결하는 것이다. 제2 단계에서, 프로파일(8) 및 프로파일 노드(10)는 소정의 방식대로 배열되어 적어도 부분적으로 상온결합법을 이용하여 프레임 내부로 결합된다. 제3 단계에서, 프레임은 적어도 부분적으로 상온결합법을 이용하여 험프 플레이트면 상의 외부 표면(4)에 결합된다. 별도로, 상온결합법은 제2 및 제3 단계에서만 적용될 수 있다. 이 구현예에서, 캡 프로파일이 프레임 형성을 위한 프로파일(8)로 사용된다. 그러나, 다른 프로파일도 사용할 수 있다.
프로파일(8) 및 프로파일 노드(10)는 장치 내에 적어도 부분적으로 배치 및 사전결합된다. 프레임의 프로파일(8) 및 프로파일 노드(10)는 이미 주형 혹은 형판의 도움으로 최종 조립 상태에 있다. 따라서 비정밀도의 허용범위가 거의 해소된다. 상온 결합 기술의 조합에 따라, 최고의 정밀도를 갖는 프레임을 확보할 수 있다.
험프 플레이트(6)의 험프는 평면상에서 수평 및 수직 교차열 혹은 대각선 교차열을 이루어 규칙적으로 배치된다.
또 다른 구현예에서 (도시되지 않음), 험프 플레이트(6)의 험프는 험프 중다수가 고휨내성이 필요한 영역에서 좁은 간격으로 배열되는 반면 소수의 험프는 저휨내성이 필요한 영역에 상응하여 제공되는 방식으로, 평면상에 불규칙적으로 배열된다.
인접 혹은 교차하는 프로파일(8)을 겹쳐지게 하고, 프로파일(8)에 연결되고, 또한 프로파일의 버트(butt) 혹은 교차부를 보강하는 프로파일 노드(10)는 프로파일(8)의 버트 혹은 교차부에 배치된다. 프로파일(8) 중 일부 및 프로파일을 향하는 프로파일 노드(10)의 단부는 캡형 단면을 갖는다. 프로파일 노드(10)는 딥드로잉 기술로 제작된다.
도 2는 도 1의 선(A-A)을 절단한 단면을 도시한다. 외부 표면(4)은 접착제(12)를 사용하여 험프 플레이트(6)에 결합시킨다. 또한, 절연재(14)가 외부 표면(4) 및 험프 플레이트(6) 사이에 형성된 공간 내에 위치한다. 결합은 진공백 방법으로 행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구현예에서, 아교접착될 조립체를 후속하여 부분적으로 진공상태가 형성될 기밀형 포장재 예컨대 필름에 도입한다. 험프 플레이트는 그러나, 다른 방식으로 외부 표면에 압압할 수도 있다.
프레임 즉, 프로파일(8) 및 프로파일 노드(10)로 된 구조물은 본 발명의 구현예에서 펀치 리벳(16)의 도움을 받아 상온결합된다. 또 다른 구현예 (도시되지 않음)에서는, 상온결합을 로크링 볼트 혹은 클린칭의 도움으로 행한다. 상온 결합 기술의 조합 방식도 적절히 적용될 수 있다.
평면요소(2)를 제조하는 본 발명의 방법을 이용하면, 외부 표면(4)와 나아가서 전체 평면요소(2)의 고 평면 휨 내성을 달성할 수 있다. 극히 작은 공차 허용치만이 발생하며, 아교접착 공정을 통해 외부 플레이트의 라벨링이 자동적으로 일어난다.

Claims (16)

  1. 디퍼런셜 구성으로 된 차체의 평면요소(2)를 제조하는 방법으로서, 외부 표면(4) 및 보강수단을 포함하며 외부 표면에 프로파일(8) 및 프로파일 노드(10)가 예정된 배열로 제공되며,
    제1 단계에서 평면 형태로 제공되는 보강수단을 외부 표면(4)에 아교접착하고,
    제2 단계에서 프로파일(8) 및 프로파일 노드(10)는 적어도 부분적으로 상온결합법을 이용하여 프레임 속에 배치 및 결합되고, 또한
    제3 단계에서 프레임은 적어도 부분적으로 상온결합법을 이용하여 보강수단면 상의 외부 표면(4)에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조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제2 단계 및 제3 단계가 모두 상온결합법에 의해 수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조방법.
  3. 제1항 또는 제2항 중 한 항에 있어서,
    펀치 리벳(16)을 이용하는 상온결합법을 특징으로 하는 제조방법.
  4. 제1항 내지 제3항 중 한 항에 있어서,
    로크링 볼트 혹은 클린칭을 이용하는 상온결합법을 특징으로 하는 제조방법.
  5. 제1항 내지 제4항 중 한 항에 있어서,
    프로파일(8) 및 프로파일 노드(9)는 장치 내에 적어도 부분적으로 배치 및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조방법.
  6. 제1항 내지 제5항 중 한 항에 있어서,
    보강수단은 진공백 방법으로 외부 표면(4)에 아교접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조방법.
  7. 제1항 내지 6항의 방법에 따라 제조되는 평면요소(2).
  8. 제7항에 있어서,
    험프 플레이트(6)가 보강 수단으로서 외부 표면(4)에 강고히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평면요소.
  9. 제8항에 있어서,
    험프 플레이트(6)의 험프는 평면상에서 수평 및 수직 교차열에 규칙적 배열로 제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평면요소.
  10. 제8항에 있어서,
    험프 플레이트(6)의 험프는 평면상에서 대각선 교차열의 규칙적 배열로 제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평면요소.
  11. 제8항에 있어서,
    험프 플레이트(6)의 험프는 험프 중 다수가 고휨내성이 필요한 영역에서 좁은 간격으로 배열되며, 저휨내성이 필요한 영역에서는 소수의 험프가 배열되는 방식으로 편평면상에 불규칙 배열로 제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평면요소.
  12. 제7항 내지 제11항 중 한 항에 있어서,
    인접 혹은 교차하는 프로파일(8)을 겹쳐지게 하고, 프로파일(8)에 연결되고, 또한 프로파일의 버트 혹은 교차부를 보강하는 프로파일 노드(10)는 프로파일(8)의 버트 혹은 교차부에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평면요소.
  13. 제12항에 있어서,
    프로파일(8) 중 일부 및 프로파일을 향하는 프로파일 노드(10)의 단부는 캡형 단면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평면요소.
  14. 제13항에 있어서,
    프로파일 노드(10)는 딥드로잉 기술로 제작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평면요소.
  15. 제13항 또는 제14항에 있어서,
    프로파일(8) 및 프로파일 노드(10)는 적어도 부분적으로 상온결합법을 통해 서로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평면요소.
  16. 제7항에 있어서,
    프로파일된 커버 플레이트, 발포체 및 커버 플레이트 혹은 섬유 합성 반제품이 보강수단으로서 제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평면요소.
KR1020027010893A 2000-02-21 2001-02-17 평면요소 및 평면요소의 제조방법 KR20030022777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DE10009106.7 2000-02-21
DE10009106A DE10009106C1 (de) 2000-02-21 2000-02-21 Flächenelement und Verfahren zum Herstellen eines Flächenelements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0022777A true KR20030022777A (ko) 2003-03-17

Family

ID=763252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27010893A KR20030022777A (ko) 2000-02-21 2001-02-17 평면요소 및 평면요소의 제조방법

Country Status (18)

Country Link
US (1) US20040103973A1 (ko)
EP (1) EP1296867B1 (ko)
JP (1) JP2003523886A (ko)
KR (1) KR20030022777A (ko)
CN (1) CN1420826A (ko)
AT (1) ATE264777T1 (ko)
AU (1) AU2001240629A1 (ko)
BR (1) BR0108510A (ko)
CA (1) CA2400865A1 (ko)
CZ (1) CZ304334B6 (ko)
DE (2) DE10009106C1 (ko)
HU (1) HUP0300467A2 (ko)
NO (1) NO20023958L (ko)
PL (1) PL357549A1 (ko)
RU (1) RU2002123339A (ko)
SI (1) SI20968A (ko)
SK (1) SK12022002A3 (ko)
WO (1) WO2001062571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102007002701A1 (de) 2007-01-18 2008-07-24 Daimler Ag Fahrzeugtür mit einer Außenbeplankung und einer Verstärkungsstrebe
EP2865516B1 (en) * 2013-10-28 2016-03-09 AIRBUS HELICOPTERS DEUTSCHLAND GmbH Skin-stiffened composite panel and method of its manufacture
US20150217821A1 (en) * 2014-02-06 2015-08-06 Ford Global Technologies, Llc Method of Setting Vehicle Geometry and Structural Joining

Family Cites Familie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GB885279A (en) * 1957-05-27 1961-12-20 Donald Norman Withers Improvements in or relating to motor vehicles, carriages and the like
DE3222887C2 (de) * 1982-06-18 1985-06-20 Daimler-Benz Ag, 7000 Stuttgart Element hoher Steifigkeit, insbesondere Wand- oder Dachelement für selbsttragende Omnibusaufbauten
DE3838686C2 (de) * 1988-11-15 1993-10-21 Man Ghh Schienenverkehr Fahrzeugzelle
JP2763984B2 (ja) * 1992-03-18 1998-06-11 川崎重工業株式会社 構造体の構造
DE19501805A1 (de) * 1995-01-21 1996-07-25 Aeg Schienenfahrzeuge Verfahren zum Fügen von Bauteilen und Baugruppen von Schienenfahrzeugen durch Kleben
EP0855978B1 (de) * 1995-10-18 1999-05-06 Talbot GmbH & Co. KG Modulelement und herstellungsverfahren
DE29601399U1 (de) * 1996-01-27 1997-02-27 Linke Hofmann Busch Fußbodenelement für Eisenbahngüterwagen, das auf dem Untergestell über ein Tragwerk abgestützt ist
DE19742772C2 (de) * 1997-09-27 1999-09-09 Talbot Gmbh & Co Kg Zwischenboden für einen Doppelstockwagen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AU2001240629A1 (en) 2001-09-03
ATE264777T1 (de) 2004-05-15
DE10009106C1 (de) 2001-06-07
US20040103973A1 (en) 2004-06-03
EP1296867A1 (de) 2003-04-02
JP2003523886A (ja) 2003-08-12
NO20023958L (no) 2002-10-14
HUP0300467A2 (en) 2003-06-28
WO2001062571A1 (de) 2001-08-30
PL357549A1 (en) 2004-07-26
EP1296867B1 (de) 2004-04-21
NO20023958D0 (no) 2002-08-20
CZ304334B6 (cs) 2014-03-12
DE50102064D1 (de) 2004-05-27
BR0108510A (pt) 2002-12-17
SK12022002A3 (sk) 2003-03-04
CN1420826A (zh) 2003-05-28
CZ20022786A3 (cs) 2003-05-14
RU2002123339A (ru) 2004-04-27
CA2400865A1 (en) 2001-08-30
SI20968A (sl) 2003-02-2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3443329B2 (ja) 押出し形材及び複合パネルを使用した構造
US5849122A (en) Method of fabricating vehicle body panel having honeycomb sandwich structure
JP5739122B2 (ja) 垂直面上に結合材を有する構造補強材
KR20010040903A (ko) 경량의 적층 강화 웨브
JP5222358B2 (ja) 車体用の骨組み構造体のための組立セット
KR0154132B1 (ko) 철도차량 구조체 및 그 제작방법
CN103085886A (zh) 车辆的车体构件,尤其是b柱
US6602611B1 (en) Bonded multi-layer composite plates and a method for producing multi-layer composite plates
KR960008197B1 (ko) 철도차량 구조체
JP2001310759A (ja) 中空構造物の補強具とその補強方法
CA2229808A1 (en) Profile sections for plate-like composite elements
JP2006521210A (ja) チャネル形状の接続部材と構造サンドイッチ板部材を溶接によって接続する方法
US6387469B1 (en) Composite part and method for producing the same
GB2196584A (en) Load bearing structures for vehicles
JPH09118226A (ja) レール車両の車体のための運転室
KR20030022777A (ko) 평면요소 및 평면요소의 제조방법
KR20030011273A (ko) 평면요소 및 평면요소 제조방법
KR20000069750A (ko) 벽모듈과 이것의 제조방법
US9969433B2 (en) Method for manufacturing a hollow profile, a hollow profile and a vehicle body
US8318068B2 (en) Method for producing a connection between composite parts
FI108929B (fi) Kennolevyrakenne
JPH09183366A (ja) 車両構体
JPH08230078A (ja) 曲面積層材の製作方法
JPH06270306A (ja) ろう付アルミハニカムパネルを用いた梁構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Application deemed withdrawn, e.g. because no request for examination was filed or no examination fee was pai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