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0019805A -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바닥판 이송기구 및 이를 이용한바닥판의 거치방법 - Google Patents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바닥판 이송기구 및 이를 이용한바닥판의 거치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0019805A
KR20030019805A KR1020010053147A KR20010053147A KR20030019805A KR 20030019805 A KR20030019805 A KR 20030019805A KR 1020010053147 A KR1020010053147 A KR 1020010053147A KR 20010053147 A KR20010053147 A KR 20010053147A KR 20030019805 A KR20030019805 A KR 2003001980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ransfer
upper flange
precast concrete
bottom plate
transfer mechanism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1005314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586257B1 (ko
Inventor
이필구
Original Assignee
재단법인 포항산업과학연구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재단법인 포항산업과학연구원 filed Critical 재단법인 포항산업과학연구원
Priority to KR102001005314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586257B1/ko
Publication of KR2003001980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001980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58625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586257B1/ko

Link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DCONSTRUCTION OF BRIDGES, ELEVATED ROADWAYS OR VIADUCTS; ASSEMBLY OF BRIDGES
    • E01D21/00Methods 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erecting or assembling bridge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DCONSTRUCTION OF BRIDGES, ELEVATED ROADWAYS OR VIADUCTS; ASSEMBLY OF BRIDGES
    • E01D19/00Structural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bridges
    • E01D19/12Grating or flooring for bridges; Fastening railway sleepers or tracks to bridges
    • E01D19/125Grating or flooring for bridg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Bridges Or Land Bridg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바닥판을 교량 주형의 거치위치로 이송시키는 이송기구에 관한 것으로서, 본 발명의 이송기구(10)는, 주형(30)의 상부플랜지(31)의 양 측면을 각각 감쌀 수 있도록 형성되어 있으며 폭조절이 가능한 한 쌍의 제1 이송부(11)와, 제1 이송부(11)의 일측에 길이조절이 가능하게 결합되어 있으며 주형(30)의 상부플랜지(31)의 양 측면을 각각 감쌀 수 있도록 형성된 적어도 하나 이상의 한 쌍의 제2 이송부(12)를 포함하며, 제1, 제2 이송부(11, 12)의 내측부 쪽에는 상부플랜지(31)의 측면을 따라 구동하는 제1 이송롤러(19)가 횡방향으로 다수 설치되어 있고, 제1, 제2 이송부(11, 12)의 하부 쪽에는 상부플랜지(31)의 상면을 따라 구동하는 제2 이송롤러(21)가 횡방향으로 다수 설치되어 있다. 본 발명의 이송기구는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바닥판을 교량의 주형 위를 따라 원하는 거치위치로 편리하게 이송시킨다.

Description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바닥판 이송기구 및 이를 이용한 바닥판의 거치방법{Moving silder and method for placing precast concrete panel}
본 발명은 이송기구에 관한 것이며, 특히, 프리캐스트 콘크리트로 제작된 교량 바닥판을 미리 설치된 교량의 주형 위에 거치하기 위해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바닥판을 이송시키는 이송기구에 관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상기 이송기구를 이용하여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바닥판을 주형 위에 거치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기도 하다.
종래에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바닥판을 교량의 주형 위에 거치하기 위해서는, 미리 설치된 주형 위에 크레인 등을 사용하여 바닥판을 하나씩 순차적으로 올려 놓음으로써 그 작업을 완료하였다. 그러나, 종래의 거치방법은 크레인 등을 통해 단순히 주형 위에 바닥판을 올려 놓기만 했기 때문에, 바닥판을 미세하게 조정하는 것이 불가능하였고, 그에 따라 바닥판간의 직선도가 유지되지 못하는 단점이 있었다. 특히, 산간지역이나 해상과 같이 교량 하부 작업대를 설치하기 어려운 작업조건에서는 바닥판의 거치과정이 더욱 곤란하였다.
따라서, 본 발명은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은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바닥판을 교량의 주형 위를 따라 원하는 거치위치로 편리하게 이송시킬 수 있는 이송기구를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이송기구를 이용하여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바닥판을 주형의 원하는 거치장소로 이송시킨 후 높낮이를 조절함으로써 시공의 편의성을 제공하고 바닥판간의 직선도를 유지할 수 있는 거치방법을 제공하는 데 다른 목적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바닥판 이송기구의 전체 구성을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이송기구의 이송부의 구성을 도시한 하부 사시도이고,
도 3은 도 2에 도시된 이송부의 정면도이고,
도 4는 도 2에 도시된 이송부의 우측면도이며,
도 5는 도 1에 도시된 이송기구를 이용한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바닥판의 거치과정을 도시한 사시도이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 : 이송기구 11, 12, 13 : 이송부
14 : 걸림판 15, 17, 20 : 절곡부
16 : 측판 18 : 상판
19, 21 : 이송롤러 22, 23 : 연결구멍
24 : 좌우폭 조절용 연결판 25 : 전후길이 조절용 연결판
30 : 주형 31 : 상부플랜지
40 : 바닥판 41 : 결합홈
42 : 높낮이 조절구멍 43 : 높낮이 조절볼트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이송기구는, 주형의 상부플랜지의 양 측면을 각각 감쌀 수 있도록 형성되어 있으며 폭조절이 가능한 한 쌍의 제1 이송부와, 상기 제1 이송부의 일측에 길이조절이 가능하게 결합되어 있으며 상기 주형의 상부플랜지의 양 측면을 각각 감쌀 수 있도록 형성된 적어도 하나 이상의 한 쌍의 제2 이송부를 포함하며, 상기 제1 이송부 및 제2 이송부의 내측부 쪽에는 상기 상부플랜지의 측면을 따라 구동하는 이송롤러가 횡방향으로 다수 설치되어 있고, 상기 제1 이송부 및 제2 이송부의 하부 쪽에는 상기 상부플랜지의 상면을 따라 구동하는 다른 이송롤러가 횡방향으로 다수 설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거치방법은, 한 쌍의 주형의 상부플랜지에 이송기구를 각각 배치하는 단계와, 상기 이송기구의 이송부들간의 전후길이 및 좌우폭을 조절하여 상기 이송부들의 내측부 및 하부에 설치되는 이송롤러가 상기 상부플랜지의 양 측면 및 상부플랜지의 상면에 맞닿게 하는 단계와, 상기 이송기구의 상면에 상기 바닥판을 올려 놓고 원하는 거치위치로 이송시키는 단계와, 상기 바닥판에 형성된 높낮이 조절구멍에 높낮이 조절볼트를 체결하여 상기 바닥판을 상기 상부플랜지의 상부로 들어 올리면서 앞쪽의 바닥판과의 높낮이를 맞추는 단계 및, 상기 이송기구를 상기 바닥판으로부터 제거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아래에서, 본 발명에 따른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바닥판 이송기구 및 이를 이용한 바닥판의 거치방법의 양호한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을 참조로 하여 상세히 설명하겠다.
도 1은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바닥판 이송기구의 전체 구성을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이송기구(10)는 3쌍의 이송부와 이것을 서로 연결하는 연결판으로 구성되어 있다.
상기 3쌍의 이송부는 각각 한 쌍씩으로 구성된 제1, 제2, 제3 이송부(11, 12, 13)로 구성되어 있다. 제2 이송부(12)와 제3 이송부(13)는 동일하게 구성되어 있고, 제1 이송부(11)는 일측에 걸림판(14)이 장착되고 연결구멍의 형성 정도가 다르다는 것을 제외하고는 제2 이송부(12) 및 제3 이송부(13)와 동일하게 구성되어 있다. 그러므로, 제1 이송부(11)의 구성요소들에 대해 상세히 설명하겠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이송기구의 이송부의 구성을 도시한 하부 사시도이고, 도 3은 도 2에 도시된 이송부의 정면도이고, 도 4는 도 2에 도시된 이송부의 우측면도이다.
도 2 내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이송부(11)는 일측에 하부방향으로 절곡된 제1 절곡부(15)가 형성되고, 타측에 측방향으로 절곡된 제2 절곡부(17)가 형성된 측판(16)이 형성되는 상판(18)을 포함한다. 그리고, 측판(16)에 형성된 제2 절곡부(17)와 상판(18)의 하면의 사이에는 제1 이송롤러(19)가 일정 간격을 두고 횡방향으로 다수 설치되어 있다.
또한, 상판(18)의 하면에는 제1 절곡부(15)와 일정 간격을 두고 제3 절곡부(20)가 장착되어 있고, 이 제3 절곡부(20)와 제1 절곡부(15)의 사이에는 제2 이송롤러(21)가 일정 간격을 두고 횡방향으로 다수 설치되어 있다. 이 때, 제2 이송롤러(21)와 제1 이송롤러(19)는 서로 대응하게 설치되는 것으로서, 서로간에 등간격으로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판(18)의 전면에는 상부방향으로 돌출하는 걸림판(14)이 장착되어 있다. 그리고, 상판(18)에는 측면에 설치되어 한 쌍을 이룰 다른 상판과 연결하기 위해 사용되는 제1 연결구멍(22)이 일정 간격을 두고 좌우 및 전후로 다수 형성되어 있다. 또한, 상판(18)에는 전면에 배치될 제2 이송부(12)와 연결하기 위해 사용되는 제2 연결구멍(23)이 형성되어 있다. 이런 형태로 제1, 제2 연결구멍(22, 23)이 제1 이송부(11)에 형성되지만, 제2 이송부(12) 및 제3 이송부(13)에는 전후에 배치될 이송부들과의 연결을 위한 제2 연결구멍(23)만이 전후방향으로 일정 간격을 두고 다수 형성된다.
이렇게 각각 구성된 한 쌍씩의 제1, 제2, 제3 이송부(11, 12, 13)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연결된다. 즉, 한 쌍의 제1 이송부(11)는 상판(18)에 형성된 제1 연결구멍(22)을 통해 좌우폭 조절용 연결판(24)에 의해 연결되고, 제1 이송부(11)와 제2 이송부(12) 및, 제2 이송부(12)와 제3 이송부(13)는 제2 연결구멍(23)을 통해 전후길이 조절용 연결판(25)에 의해 연결된다. 이 때, 서로 좌우 한 쌍씩을 이루는 제2 이송부(12) 및 제3 이송부(13) 각각은 서로 좌우로 연결되지않는다.
아래에서는,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이송기구를 이용하여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바닥판을 미리 설치된 주형에 거치하는 방법에 대해 상세히 설명하겠다.
도 5는 도 1에 도시된 이송기구를 이용한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바닥판의 거치상태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한 쌍의 주형(30)은 일정 간격을 두고 교량의 축방향으로 설치되어 있고, 이 주형(30) 위에 거치되는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바닥판(40)은 일정 크기의 폭과 길이를 갖는다. 이 바닥판(40)에는 주형(30)의 상부플랜지(31)와 서로 맞닿는 일부분에 다른 부재와의 결합을 위한 결합홈(41)이 형성되어 있고, 이 결합홈(41)의 전후에는 바닥판(40)의 높낮이를 조절하기 위해 사용되도록 나사산을 갖는 높낮이 조절구멍(42)이 각각 형성되어 있다.
상기 바닥판(40)을 주형(30)에 거치하기 위해서는, 도 1 및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먼저 주형(30) 위에 이송기구(10)을 배치한다. 그런 다음, 주형(30) 위에 거치될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바닥판(40)의 크기에 맞도록 전후길이 조절용 연결판(25)을 통해 제1, 제2, 제3 이송부(11, 12, 13)간의 전후길이를 조절한다. 또한, 미리 설치된 주형(30)의 폭길이에 맞도록 좌우폭 조절용 연결판(24)을 통해 서로 한 쌍을 이루는 제1, 제2, 제3 이송부(11, 12, 13)의 좌우폭을 조절한다. 그러면, 측판(16)이 주형(30)의 상부플랜지(31)의 측면을 감싸게 되고, 제1 이송롤러(19)는 상부플랜지(31)의 양 측면에 맞닿게 되며, 제2 이송롤러(21)는 상부플랜지(31)의 상면에 맞닿게 한다.
이 상태에서, 이송기구(10)의 상부에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바닥판(40)을 올려 놓고 원하는 거치위치로 이송시킨다. 이 때, 바닥판(40)의 한 쪽의 면이 이송기구(10)의 걸림판(14)에 닿도록 올려 놓는다. 그런 다음, 높낮이 조절구멍(42)에 높낮이 조절볼트(43)를 체결하여 바닥판(40)을 주형(30)의 상부로 들어 올리면서 앞쪽의 바닥판과 수평이 되도록 높낮이를 맞춘다. 그로 인해, 바닥판(40)은 이송기구(10)와 맞닿지 않게 된다. 이렇게 바닥판(40)간의 높낮이가 맞춰지면 이송기구(10)를 주형(30)의 한 쪽으로 이동시켜 제거한다. 상기와 같은 방법으로 바닥판(40)을 순차적으로 거치하게 된다.
앞서 상세히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이송기구는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바닥판을 교량의 주형 위를 따라 원하는 거치장소로 편리하게 이송시킬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거치방법은 이송기구를 이용하여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바닥판을 주형의 원하는 거치장소로 이송시킨 후 높낮이를 조절함으로써 시공의 편의성을 제공하고 바닥판간의 직선도를 유지할 수 있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바닥판 이송기구 및 이를 이용한 바닥판의 거치방법에 대한 기술사항을 첨부도면과 함께 서술하였지만 이는 본 발명의 가장 양호한 실시예를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이지 본 발명을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또한, 이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이면 누구나 본 발명의 기술사상의 범주를 이탈하지 않는 범위내에서 다양한 변형 및 모방이 가능함은 명백한 사실이다.

Claims (3)

  1.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바닥판을 교량 주형의 거치위치로 이송시키는 이송기구에 있어서,
    상기 주형의 상부플랜지의 양 측면을 각각 감쌀 수 있도록 형성되어 있으며 폭조절이 가능한 한 쌍의 제1 이송부와, 상기 제1 이송부의 일측에 길이조절이 가능하게 결합되어 있으며 상기 주형의 상부플랜지의 양 측면을 각각 감쌀 수 있도록 형성된 적어도 하나 이상의 한 쌍의 제2 이송부를 포함하며,
    상기 제1 이송부 및 제2 이송부의 내측부 쪽에는 상기 상부플랜지의 측면을 따라 구동하는 이송롤러가 횡방향으로 다수 설치되어 있고, 상기 제1 이송부 및 제2 이송부의 하부 쪽에는 상기 상부플랜지의 상면을 따라 구동하는 다른 이송롤러가 횡방향으로 다수 설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송기구.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이송부의 타측에는 상부로 돌출하는 걸림판이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송기구.
  3.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바닥판을 한 쌍의 교량 주형에 거치하는 방법에 있어서,
    상기 한 쌍의 주형의 상부플랜지에 이송기구를 각각 배치하는 단계와, 상기 이송기구의 이송부들간의 전후길이 및 좌우폭을 조절하여 상기 이송부들의 내측부및 하부에 설치되는 이송롤러가 상기 상부플랜지의 양 측면 및 상부플랜지의 상면에 맞닿게 하는 단계와, 상기 이송기구의 상면에 상기 바닥판을 올려 놓고 원하는 거치위치로 이송시키는 단계와, 상기 바닥판에 형성된 높낮이 조절구멍에 높낮이 조절볼트를 체결하여 상기 바닥판을 상기 상부플랜지의 상부로 들어 올리면서 앞쪽의 바닥판과의 높낮이를 맞추는 단계 및, 상기 이송기구를 상기 바닥판으로부터 제거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바닥판의 거치방법.
KR1020010053147A 2001-08-31 2001-08-31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바닥판 이송기구 및 이를 이용한바닥판의 거치방법 KR10058625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10053147A KR100586257B1 (ko) 2001-08-31 2001-08-31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바닥판 이송기구 및 이를 이용한바닥판의 거치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10053147A KR100586257B1 (ko) 2001-08-31 2001-08-31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바닥판 이송기구 및 이를 이용한바닥판의 거치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0019805A true KR20030019805A (ko) 2003-03-07
KR100586257B1 KR100586257B1 (ko) 2006-06-07

Family

ID=2772176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10053147A KR100586257B1 (ko) 2001-08-31 2001-08-31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바닥판 이송기구 및 이를 이용한바닥판의 거치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586257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14022B1 (ko) 2009-08-19 2012-02-27 박정일 중량체 이송장치
KR101347113B1 (ko) 2012-06-15 2014-01-06 주식회사 서영엔지니어링 강합성 교량의 전단포켓형 상부슬래브 시공을 위한 압출가설 장치
KR102093414B1 (ko) 2018-10-12 2020-03-26 (주)바로건설기술 서랍식 수평부재 거치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586257B1 (ko) 2006-06-0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225113B1 (ko) 표면의 곡률이 각기 다른 구조물용 형틀장치
EP1260480B1 (en) Elevating platform assembly
EP2840202B1 (en) Working scaffold girder structure for a boiler furnace
KR100586257B1 (ko)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바닥판 이송기구 및 이를 이용한바닥판의 거치방법
CN102105374A (zh) 用于链式刮板输送机的驱动及张紧装置
JP2001020221A (ja) 橋梁用波形鋼板
JP2001020226A (ja) 橋梁施工における波形鋼板ウェブ部材の搬送方法
KR101821756B1 (ko) 임시받침 및 받침의 이동이 필요 없는 하중유도부재가 장착된 ilm용 받침 및 이를 이용한 ilm용 교량 가설 공법
JP3561301B2 (ja) ベルトコンベヤの調芯装置
CN115822250B (zh) 一种可周转标准化后浇带传力装置及施工方法
CN215697763U (zh) 一种消失模自动生产线用非挂带式半自动浇注用装置
CN217439001U (zh) 一种半盖挖地铁车站钢支撑架设装置
US4984764A (en) Form with form stripping mechanism
JP3041428B2 (ja) 外壁材などの吊り上げ搬送装置
KR960012992B1 (ko) 승강기 운행공간의 내벽 거푸집 폭 조절장치
JP2005343641A (ja) 乗客コンベアの本体フレーム構成用構造体
JP7118252B2 (ja) 乗客コンベヤのトラス
JPH0867449A (ja) 垂直搬送装置のフレーム構造
JPH0275586A (ja) エレベータのガイドレール揚重用補助装置
CN212329269U (zh) 一种六角钢加工用输送装置
JP2509876Y2 (ja) 折曲げ式pc型枠
SU1504296A1 (ru) Устройство дл креплени рельса к подкрановой балке
JP2018065671A (ja) 移送器具及び移送方法
JPH10249835A (ja) コンクリート製品の成形装置
KR200215611Y1 (ko) 4주식 리프터의 승강장판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412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502

Year of fee payment: 8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