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0019106A - 고글 - Google Patents

고글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0019106A
KR20030019106A KR1020020050488A KR20020050488A KR20030019106A KR 20030019106 A KR20030019106 A KR 20030019106A KR 1020020050488 A KR1020020050488 A KR 1020020050488A KR 20020050488 A KR20020050488 A KR 20020050488A KR 20030019106 A KR20030019106 A KR 2003001910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goggle
goggles
connecting member
elastic
open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2005048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870377B1 (ko
Inventor
니시다게이코
Original Assignee
야마모토 고가쿠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야마모토 고가쿠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야마모토 고가쿠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03001910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001910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87037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870377B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9/00Methods or devices for treatment of the eyes; Devices for putting-in contact lenses; Devices to correct squinting; Apparatus to guide the blind; Protective devices for the eyes, carried on the body or in the hand
    • A61F9/02Goggl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9/00Methods or devices for treatment of the eyes; Devices for putting-in contact lenses; Devices to correct squinting; Apparatus to guide the blind; Protective devices for the eyes, carried on the body or in the hand
    • A61F9/02Goggles
    • A61F9/027Straps; Buckles; Attachment of headband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33/00Swimming equipment attachable to the head, e.g. swim caps or goggles
    • A63B33/002Swimming goggles
    • A63B33/004Swimming goggles comprising two separate lenses joined by a flexible bridge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33/00Swimming equipment attachable to the head, e.g. swim caps or goggles
    • A63B33/002Swimming goggles
    • A63B33/006Swimming goggles with means allowing adjustment of the bridge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hysical Education & Sports Medicine (AREA)
  • Pulmonology (AREA)
  • Public Health (AREA)
  • Vascular Medicin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Ophthalmology & Optometry (AREA)
  • Eyeglasses (AREA)
  • Buckles (AREA)
  • Professional, Industrial, Or Sporting Protective Garments (AREA)
  • Respiratory Apparatuses And Protective Mean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고글에 관한 것으로서, 고글 본체(1)와 헤드 밴드(2)로 이루어지고, 고글 본체(1)의 양단에 헤드 밴드(2)의 양단을 각각 연결부재(3)를 통해 연결하고 있다. 고글 본체(1)의 단부에 고글의 상하측에 개구하는 끼워맞춤구(5a, 5b)와, 이들 끼워맞춤구(5a, 5b)에 연통하도록 하여 단면측에 개구하는 삽탈구(6a)를 갖는 삽탈로(6)를 설치하고, 또 연결부재(3)의 단부에 상기 끼워맞춤구(5a, 5b)에 끼워 넣어서 고글의 상하측에 돌출된 돌기부(8a, 9a)를 갖는 탄성삽탈편(8, 9)을 설치하여, 고글 본체와 연결부재를 분리할 때에 엄지손가락 하나가 아닌 엄지손가락과 집게손가락의 2개의 손가락으로 용이하게 확실한 조작을 할 수 있도록 하고, 또 고글 본체와 연결부재를 확실한 상태로 연결하며, 또 사용중에 정면측에서 외력을 가해도 고글 본체와 연결부재와의 연결이 벗겨져 버리는 일이 없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고글{GOGGLES}
본 발명은 수영, 스키, 기타 스포츠 등에 사용할 수 있는 고글에 관한 것이다.
종래, 이 종류의 고글은 예를 들면 도 9에 나타낸 바와 같이, 고글 본체(21)와 헤드 밴드(22)로 이루어지고, 고글 본체(21)의 양단(도면은 일단을 나타낸다)에 헤드 밴드(22)의 양단(도면은 일단을 나타낸다)을 각각 연결부재(23)를 통해 연결한 것으로 하고 있다. 고글 본체(21)의 단부에는 고글의 정면측에 개구한 끼워맞춤구(24)와, 이 끼워맞춤구(24)에 연통하도록 하여 단면측에 개구하는 삽탈구(25)를 설치하고, 연결부재(23)의 단부에는 고글의 정면측에 돌출하는 탄성편(26)을 설치한 것으로 하고 있다.
그리고, 고글 본체(21)와 연결부재(23)를 연결할 때에는 연결부재(23)를 엄지손가락과 집게손가락으로 잡아 탄성편(26)을 눌러 넣은 상태로 하고, 이 탄성편(26)을 고글 본체(21)의 삽탈구(25)에서 삽입하여 끼워맞춤구(24)에 끼워넣는 조작을 실행한다.
또, 고글 본체(21)와 연결부재(23)를 분리할 때에는 끼워맞춤구(24)에 끼워 넣은 탄성편(26)을 끼워맞춤구(24)의 위쪽에서 엄지손가락 하나로 눌러 넣은 상태로 하여 이반(離反)방향으로 뽑아내는 조작을 실행한다.
그러나, 상기 종래의 고글에는 고글 본체(21)와 연결부재(23)를 분리할 때에 탄성편(26)을 엄지손가락 하나로 눌러넣은 상태로 하여 이반방향으로 뽑아내는 조작이 어려워 확실하게 실행할 수 없으며, 고글 본체(21)와 연결부재(23)를 용이하게 분리할 수 없다고 하는 과제를 갖고 있다.
또, 상기 종래의 고글은 고글 본체(21)와 연결부재(23)를 연결할 때에 끼워맞춤구(24)에 탄성편(26)을 끼워넣을 작정이라도 이 탄성편(26)이 끼워맞춤구(24)에 딱 맞게 끼워 넣어지지 않고 어긋나는 경우가 있고, 이 상태에서 사용하면 사용중에 고글 본체(21)와 연결부재(23)와의 연결이 벗겨져 버리는 일이 있다고 하는 과제를 갖고 있다.
또, 상기 종래의 고글은 고글 본체(21)와 연결부재(23)를 연결하여 고글을 사용할 때 탄성편(26)이 정면측이 되기 때문에, 이 탄성편(26)에 다른 물건이 닿는 등 외력이 가해지기 쉽고, 탄성편(26)이 눌러 넣어져 끼워맞춤구(24)에서 벗겨져서 고글 본체(21)와 연결부재(23)와의 연결이 벗겨져 버리는 일이 있다고 하는 과제를 갖고 있다.
그래서, 본 발명은 상기 종래의 고글이 갖는 과제를 해결하는 것으로서, 고글 본체와 연결부재를 분리할 때에 엄지손가락 하나가 아닌 엄지손가락과 집게손가락 2개의 손가락으로 용이하게 확실한 조작을 할 수 있도록 하고, 또 고글 본체와 연결부재를 확실한 상태로 연결하며, 또 사용중에 정면측에서 외력이 가해져도 고글 본체와 연결부재와의 연결이 벗겨져 버리는 일이 없는 고글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여 이루어진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고글의 한 실시형태를 나타내는 평면도,
도 2는 본 발명의 고글의 요부 확대 평면도,
도 3은 본 발명의 고글의 요부 확대 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고글의 고글 본체와 연결부재의 연결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의 고글의 고글 본체의 부분사시도,
도 6은 본 발명의 고글의 연결부재의 사시도,
도 7은 본 발명의 고글의 고글 본체와 연결부재를 분리하도록 한 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8은 본 발명의 고글의 고글 본체와 연결부재를 분리한 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 및
도 9는 종래의 고글의 고글 본체와 연결부재를 분리한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고글 본체 2: 헤드 밴드
3: 연결부재 5a, 5b: 끼워맞춤구
6: 삽탈로 6a: 삽탈구
6b: 안내홈 7a, 7b: 오목부
8, 9: 탄성삽탈편 8a, 9a: 돌기부
10: 안내편 10a: 돌기
그 때문에, 본 발명의 고글은 고글 본체와 헤드 밴드로 이루어지고, 고글 본체의 양단에 헤드 밴드의 양단을 각각 연결부재를 통해 연결하고, 고글 본체의 단부에 고글의 상하측에 개구하는 끼워맞춤구와, 이들 끼워맞춤구에 연통하도록 하여 단면측에 개구하는 삽탈구를 갖는 삽탈로를 설치하며, 또 연결부재의 단부에 상기 끼워맞춤구에 끼워 넣어 고글의 상하측에 돌출하는 돌기부를 갖는 탄성삽탈편을 설치한 것으로 하고 있다.
그리고, 본 발명의 고글은 상기 끼워맞춤구를 고글 본체의 단부에 형성한 오목부에 설치한 것으로 하고 있다.
또, 본 발명의 고글은 상기 삽탈로에 연결부재의 삽탈방향에 형성한 안내홈을 갖는 것으로 하고, 또 연결부재의 단부에 상기 탄성삽탈편 사이에 위치시킨 안내편을 돌출설치한 것으로 하며, 이 안내편에 상기 안내홈에 들어가 안내되는 돌기를 설치한 것으로 하고 있다.
이하, 본 발명의 고글의 실시형태를 도면에 기초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8에 나타낸 본 발명의 고글은 수영용으로서, 아이컵이라 부르는 눈을 물에서 보호하는 고글 본체(1)와, 머리부분에 장착하도록 한 헤드 밴드(2)로 이루어지고, 고글 본체(1)의 양단에 헤드 밴드(2)의 양단을 각각 연결부재(3)를 통해 연결한 것으로 하고 있다.
고글 본체(1)는 렌즈부(1a)와 얼굴에 대는 탄성부(1b)로 이루어지고, 도시한 것은 양자를 별체로 하여 끼고 빼기 자유롭게 했지만, 양자를 융착에 의해 고착 일체화한 것으로 해도 좋다. 또, 도시한 고글 본체(1)의 렌즈부(1a)는 좌우(왼쪽 눈과 오른쪽 눈) 2개의 아이컵 상호간을 탄성부재(4)에 의해 접속한 것으로 했는데, 한 개의 아이컵으로 이루어진 것으로 해도 좋다.
도 5, 8에 나타낸 바와 같이, 고글 본체(1)의 양단부에는 각각 고글의 상하측에 개구하는 끼워맞춤구(5a, 5b)와, 이들 끼워맞춤구(5a, 5b)에 연통하도록 하여 단면측에 개구하는 삽탈구(6a)를 갖는 삽탈로(6)를 설치한 것으로 하고 있다. 그리고, 이 삽탈로(6)에는 연결부재(3)의 삽탈방향에 형성한 안내홈(6b)을 갖는 것으로 하고 있다. 또, 상기 끼워맞춤구(5a, 5b)는 도시한 바와 같이 고글 본체(1)의 양단부에 각각 형성한 오목부(7a, 7b)에 설치한 것으로 하고 있다.
헤드 밴드(2)는 탄성중합체(elastomer) 등의 신축성을 갖는 재료로 이루어지고, 일반적으로는 전체를 띠형상으로 형성하고 있는데, 그 단부를 연결부재(3)에 부착가능하게 한 형상으로 하면, 특별히 전체를 띠형상으로 형성하지 않아도 좋다.
연결부재(3)는 도 6, 8에 나타내고, 일단부에 부착구멍(3a)을 설치하고, 상기 헤드 밴드(2)를 부착한 것으로 하고 있으며, 타단부에 고글 본체(1)의 끼워맞춤구(5a, 5b)에 끼워 넣어 고글의 상하측에 돌출하는 돌기부(8a, 9a)를 갖는 탄성삽탈편(8, 9)을 설치한 것으로 하고 있다. 이들 탄성삽탈편(8, 9)의 돌기부(8a, 9a)에는 고글 본체(1)와 연결부재(3)를 연결할 때에 고글 본체(1)의 삽탈로(6)의 삽탈구(6a)의 테두리에 있어서 탄성삽탈편(8, 9)이 안쪽으로 구부러지는 것에 의해 탄성삽탈편(8, 9)이 그대로 삽탈구(6a)에서 삽탈로(6)에 삽입되도록 테이퍼(t)를 붙인 것으로 하고 있다. 상기 돌기부(8a, 9a)는 고글 본체(1)와 연결부재(3)를 분리할 때에 엄지손가락 하나가 아닌 엄지손가락과 집게손가락 2개의 손가락으로 잡아 눌러 넣는 상태로 하여 연결부재(3)를 이반방향으로 뽑아낼 수 있기 때문에, 그 조작이 쉬워 확실한 조작을 할 수 있도록 이루어진다. 또, 연결부재(3)의 타단부에는 상기 탄성삽탈편(8, 9) 사이에 위치시킨 안내편(10)을 돌출설치한 것으로 하고 있다. 이 안내편(10)에는 고글 본체(1)의 삽탈로(6)의 안내홈(6b)에 들어가 안내되는 돌기(10a)를 설치한 것으로 하고 있다. 또, 탄성삽탈편(8, 9)의 돌기부(8a, 9a)는 끼워맞춤구(5a, 5b)가 고글 본체(1)의 양단부의 오목부(7a, 7b)에 설치되어 있는 경우에는 끼워맞춤구(5a, 5b)에 끼워 넣어 상하측에 돌출해도 고글 본체(1)의 양단부의 윤곽에서 크게 초과하지 않아 걸림이 없고 산뜻하게 된다.
이상과 같이 구성한 본 발명의 고글은 고글 본체(1)와 연결부재(3)를 연결할 때에는 고글 본체(1)의 삽탈구(6a)에서 삽탈로(6)에 연결부재(3)의 탄성삽탈편(8, 9)을 눌러 넣도록 하면, 탄성삽탈편(8. 9)의 돌기부(8a, 9a)가 삽탈로(6)의 삽탈구(6a)의 테두리에 닿아 탄성삽탈편(8, 9)이 안쪽으로 구부러져 탄성삽탈편(8, 9)이 그대로 삽탈구(6a)에서 삽탈로(6)에 삽입된다. 이 경우, 탄성삽탈편(8, 9) 사이에 위치한 안내편(10)의 돌기(10a)가 삽탈로(6)의 안내홈(6b)에 들어가 안내되기 때문에, 탄성삽탈편(8, 9)은 삽탈로(6)에 원활하게 삽입되게 된다. 그리고, 탄성삽탈편(8, 9)의 돌기부(8a, 9a)를 고글 본체(1)의 단부의 끼워맞춤구(5a, 5b)에 끼워 넣어 고글 본체(1)와 연결부재(3)의 연결상태가 유지된다.
또, 본 발명의 고글은 고글 본체(1)와 연결부재(3)를 분리할 때에는 도 7에 나타낸 바와 같이, 탄성삽탈편(8, 9)의 돌기부(8a, 9a)를 엄지손가락과 집게손가락으로 잡아 돌기부(8a, 9a)를 눌러 넣은 상태로 하고, 이반방향으로 뽑아내는 조작을 하면, 도 8에 나타낸 바와 같이, 탄성삽탈편(8, 9)이 삽탈로(6)에서 뽑아내어진다. 이 경우에도 탄성삽탈편(8, 9) 사이에 위치한 안내편(10)의 돌기(10a)가 삽탈로(6)의 안내홈(6b)에 안내되기 때문에, 탄성삽탈편(8, 9)은 삽탈로(6)에서 원활하게 빠져나오게 된다.
본 발명의 고글은 이상에 서술한 바와 같이 구성되어 있고, 고글 본체와 연결부재를 분리할 때에 엄지손가락 하나가 아니라 엄지손가락과 집게손가락 2개의 손가락으로 조작할 수 있기 때문에, 그 조작이 쉬워 확실한 조작을 할 수 있게 되며, 또 고글 본체와 연결부재를 확실한 상태로 연결하고, 또 사용중에 정면측에서 외력이 가해져 고글 본체와 연결부재와의 연결이 벗겨져 버리는 일이 없게 된다.

Claims (3)

  1. 고글 본체(1)와 헤드 밴드(2)로 이루어지고, 고글 본체(1)의 양단에 헤드 밴드(2)의 양단을 각각 연결부재(3)를 통해 연결하고, 고글 본체(1)의 단부에 고글의 상하측에 개구하는 끼워맞춤구(5a, 5b)와, 이들 끼워맞춤구(5a, 5b)에 연통하도록 하여 단면측에 개구하는 삽탈구(6a)를 갖는 삽탈로(6)를 설치한 것으로 하고, 또 연결부재(3)의 단부에 상기 끼워맞춤구(5a, 5b)에 끼워 넣어 고글의 상하측에 돌출하는 돌기부(8a, 9a)를 갖는 탄성삽탈편(8, 9)을 설치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글.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끼워맞춤구(5a, 5b)를 고글 본체(1)의 단부에 형성한 오목부(7a, 7b)에 설치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글.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삽탈로(6)에 연결부재(3)의 삽탈방향으로 형성한 안내홈(6b)을 갖는 것으로 하고, 또 연결부재(3)의 단부에 상기 탄성삽탈편(8, 9) 사이에 위치시킨 안내편(10)을 돌출설치한 것으로 하며, 이 안내편(10)에 상기 안내홈(6b)에 들어가 안내되는 돌기(10a)를 설치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글.
KR1020020050488A 2001-08-28 2002-08-26 고글 KR100870377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01-00258621 2001-08-28
JP2001258621A JP2003062004A (ja) 2001-08-28 2001-08-28 ゴーグル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0019106A true KR20030019106A (ko) 2003-03-06
KR100870377B1 KR100870377B1 (ko) 2008-11-25

Family

ID=1908610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20050488A KR100870377B1 (ko) 2001-08-28 2002-08-26 고글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6865753B2 (ko)
JP (1) JP2003062004A (ko)
KR (1) KR100870377B1 (ko)
CN (1) CN100354697C (ko)
TW (1) TWI233351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4110548B2 (ja) * 2002-08-27 2008-07-02 山本光学株式会社 スイミングゴーグル
US7059717B2 (en) * 2003-08-11 2006-06-13 Bloch Nigel K Eyeglasses with interchangable temple-members
US7062798B2 (en) * 2003-11-25 2006-06-20 Wen-Hsiung Wu Glasses having a protective module
WO2005070357A2 (en) * 2004-01-23 2005-08-04 K-2 Corporation Goggle attachment system
US7100215B2 (en) * 2004-08-18 2006-09-05 Qds Injection Molding Llc Goggles with changeable lenses
US7055181B2 (en) * 2004-10-20 2006-06-06 Aqua-Leisure Industries, Inc. Swim goggles
US7181780B1 (en) * 2005-07-22 2007-02-27 Herman Chiang Swimming goggles
US7556373B2 (en) * 2007-07-13 2009-07-07 Nike, Inc. Eyewear with retaining assembly
US8601617B1 (en) * 2008-10-11 2013-12-10 Advanced Basic Communications Mounting device for attaching a device to a mask
TWM420344U (en) * 2011-04-01 2012-01-11 Global Esprit Inc Swimming goggles
TWM439499U (en) * 2012-03-19 2012-10-21 Global Esprit Inc Swimming goggles
GB2515818B (en) * 2013-07-05 2017-07-05 Global Esprit Inc Swimming goggles
GB2516300B (en) * 2013-07-18 2016-03-16 Global Esprit Inc Swimming goggles
JP6744186B2 (ja) * 2016-09-30 2020-08-19 山本光学株式会社 保護眼鏡
JP6930732B2 (ja) * 2017-11-13 2021-09-01 山本光学株式会社 ゴーグル
TWM604222U (zh) * 2020-08-31 2020-11-21 誠加興業股份有限公司 用於與一面罩本體連接之髮帶調整裝置

Family Cites Families (2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3737953A (en) * 1970-09-11 1973-06-12 Ashworth Bros Inc Card clothing
US4150464A (en) * 1977-08-10 1979-04-24 Illinois Tool Works Inc. Buckle
US4221023A (en) * 1978-09-06 1980-09-09 John D. Hollingsworth On Wheels, Inc. Carding flat structure
US4825515A (en) * 1988-02-25 1989-05-02 Wolterstorff Jr Donald A Safety buckle
JPH0311263A (ja) * 1989-06-07 1991-01-18 Sanyo Electric Co Ltd 温風暖房機
US5084946A (en) * 1990-12-11 1992-02-04 Indiana Mills & Manufacturing, Inc. Quick disconnect connector
US5657493A (en) * 1994-03-25 1997-08-19 Dacor Corporation Diving mask with quick-release strap attachment
IT1275319B (it) * 1994-06-08 1997-08-05 Dacor Corp Maschera da subacqueo con fissaggio di una cinghietta a sgancio rapido
US5584105A (en) * 1996-01-11 1996-12-17 American Cord & Webbing Co., Inc. Quick disconnect buckle
IT1283184B1 (it) * 1996-03-04 1998-04-16 Marzoli & C Spa Carda a cappelli con trazione a cinghia dentata e guida superiore per i cappelli
US5774956A (en) * 1997-01-24 1998-07-07 Michaels Of Oregon Co. High-security buckle
JP3308181B2 (ja) * 1997-02-12 2002-07-29 株式会社タバタ スイミングゴーグル
IT1293127B1 (it) * 1997-06-20 1999-02-11 Cressi Sub Spa Dispositivo di regolazione della lunghezza della cinghietta per occhialini da nuoto
JP3122065B2 (ja) * 1997-09-30 2001-01-09 株式会社エニックス 多機能サングラス
US5926928A (en) * 1998-03-16 1999-07-27 Illinois Tool Works Inc. Vented side release buckle
KR19980025040U (ko) * 1998-04-30 1998-07-25 송태호 가방
CN2341171Y (zh) * 1998-09-24 1999-09-29 飞霖企业有限公司 泳镜
JP3453071B2 (ja) * 1998-10-22 2003-10-06 Ykk株式会社 バックル
KR20000026927A (ko) * 1998-10-24 2000-05-15 이범규 물안경의 자동밴드조절장치
US6163942A (en) * 1999-06-23 2000-12-26 Liao; Chien-Chen Two-piece lock with hidden locking mechanism
JP4299941B2 (ja) * 2000-02-10 2009-07-22 株式会社ニフコ バックル
JP3737019B2 (ja) * 2000-06-30 2006-01-18 Ykk株式会社 バックル
US6405384B1 (en) * 2001-03-20 2002-06-18 Herman Chiang Swimming goggles
US6421889B1 (en) * 2001-05-31 2002-07-23 Vinsonic Industrial Co., Ltd. Buckle structure
DE10140304B4 (de) * 2001-08-16 2014-02-06 Trützschler GmbH & Co Kommanditgesellschaft Vorrichtung an einer Karde für Baumwolle, Chemiefasern u. dgl. bei der mindestens ein Deckelstab mit einer Deckelgarnitur vorhanden ist und Verfahren zur Herstellung eines Deckelstabes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030093854A1 (en) 2003-05-22
US6865753B2 (en) 2005-03-15
CN1407370A (zh) 2003-04-02
TWI233351B (en) 2005-06-01
KR100870377B1 (ko) 2008-11-25
CN100354697C (zh) 2007-12-12
JP2003062004A (ja) 2003-03-0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870377B1 (ko) 고글
US7320144B2 (en) Protective mask with removable lens
KR100769015B1 (ko) 고글
JP4511588B2 (ja) ダイビングフェイスマスク
KR20100025481A (ko) 안경
US20070186324A1 (en) Protective mask
JP2010216022A (ja) ゴーグル
US7290294B2 (en) Protective goggles
JP2000237346A (ja) 水中眼鏡
JP4681996B2 (ja) 作業用マスク装着具及びヘルメット
JP4359326B2 (ja) スイミングゴーグル
US11262602B2 (en) Holding tool for wearable device and face or head-mounted implement provided with holding tool
CN109771906B (zh) 护目镜
KR0140012Y1 (ko) 수중안경
JP2879210B2 (ja) 水中眼鏡用アイカップ
KR19980050213U (ko) 리모콘의 배터리 커버 고정구조
KR950009513Y1 (ko) 스포츠용 방풍안경(goggle)
KR20030006530A (ko) 물안경 케이스
KR200161664Y1 (ko) 물안경의 조인트 결합구조
KR200151776Y1 (ko) 고글
JPH1057522A (ja) ゴーグル
KR200175935Y1 (ko) 물안경
KR0126530Y1 (ko) Ic 카드리더의 카드삽입구 보호캡
KR200199668Y1 (ko) 물안경용 헤드밴드 조임구
GB2312967A (en) Watertight goggle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927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924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930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007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826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926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912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828

Year of fee payment: 1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