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161664Y1 - 물안경의 조인트 결합구조 - Google Patents

물안경의 조인트 결합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161664Y1
KR200161664Y1 KR2019970013735U KR19970013735U KR200161664Y1 KR 200161664 Y1 KR200161664 Y1 KR 200161664Y1 KR 2019970013735 U KR2019970013735 U KR 2019970013735U KR 19970013735 U KR19970013735 U KR 19970013735U KR 200161664 Y1 KR200161664 Y1 KR 200161664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joint
right lens
locking groove
locking
groov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70013735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9990000450U (ko
Inventor
박수안
Original Assignee
박수안
주식회사한국 오.지.케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박수안, 주식회사한국 오.지.케이 filed Critical 박수안
Priority to KR2019970013735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161664Y1/ko
Publication of KR19990000450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90000450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161664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61664Y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33/00Swimming equipment attachable to the head, e.g. swim caps or goggles
    • A63B33/002Swimming goggles
    • A63B33/004Swimming goggles comprising two separate lenses joined by a flexible bridge
    • GPHYSICS
    • G02OPTICS
    • G02CSPECTACLES; SUNGLASSES OR GOGGLES INSOFAR AS THEY HAVE THE SAME FEATURES AS SPECTACLES; CONTACT LENSES
    • G02C5/00Constructions of non-optical parts
    • G02C5/02Bridges; Browbars; Intermediate bars
    • G02C5/06Bridges; Browbars; Intermediate bars with resilient mean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225/00Miscellaneous features of sport apparatus, devices or equipment
    • A63B2225/60Apparatus used in water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Pulmon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hysical Education & Sports Medicin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Ophthalmology & Optometry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Eyeglasse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수영시 사용하는 물안경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좌우 렌즈프레임의 간격을 유지하는 조인트의 착탈을 용이하게 하여 사용자가 자신의 얼굴형에 맞는 조인트를 쉽게 교체할 수 있도록 하고, 견고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물안경의 조인트의 결합구조에 관한 것이다.
본 고안의 물안경의 조인트 결합구조는 좌우 렌즈프레임(2),(3)의 걸림홈(10)에 끼움 결합되는 걸림턱(20)을 구비한 조인트(4)의 결합구조에 있어서,
상기 좌우 렌즈프레임(2),(3)이 마주보는 방향으로 걸림홈(10) 내측 소정위치에 돌출된 돌기부(11)와, 타측 소정위치에 돌출된 지지부(12)를 구비하고, 상기 조인트(4)의 걸림턱(20)은 걸림홈(10)에 삽입될 때 걸림홈(10)의 돌기부(11)가 탄력적으로 끼움 결합되는 요홈(21)과, 돌출된 지지부(12)의 일측면에 접촉되는 고정부(22)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Description

물안경의 조인트 결합구조
본 고안은 수영시 사용하는 물안경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좌우 렌즈프레임의 간격을 유지하는 조인트의 착탈을 용이하게 하여 사용자가 자신의 얼굴형에 맞는 조인트를 쉽게 교체할 수 있도록 하고, 견고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물안경의 조인트의 결합구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물안경(Swimming Goggles)은 수영장 또는 해수욕장에서 물놀이를 하는 경우 사용자의 안면에 착용하여 물이나 기타 이물질로부터 눈을 보호하기 위해 사용된다.
도 1은 종래 물안경을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의 시야를 확보하기 위하여 투명한 플라스틱 재질로 이루어진 렌즈(110)와 일체로 구성되는 한쌍의 좌우 렌즈프레임(111),(112)과, 사용자의 안면에 접촉되는 것으로서 상기 좌우 렌즈프레임(111),(112)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는 실리콘 패킹(114)과, 상기 좌우 렌즈프레임(111),(112)을 소정의 간격을 두고 연결하는 조인트(115)와, 상기 좌우 렌즈프레임(111),(112)의 양단부를 연결하는 탄성력을 갖는 고정밴드(117)로 이루어진다.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물안경(100)은 탄성체의 고정밴드(117)를 사용자의 머리에 고정시키면 렌즈(110)를 포함한 렌즈프레임(111),(112)이 사용자의 안면 눈주변에 밀착되어 외부로부터 물이나 기타 이물질이 스며드는 것이 방지된다.
특히, 상기 좌우 렌즈프레임(111),(112)의 내측에 결합되어 사용자의 안면에 밀착되는 실리콘 패킹(114)은 탄성체로 성형되어 착용시 사용자의 안면에 작용하는 압박감을 감소시키며, 아울러 입수(入水)시 좌우 렌즈프레임(111),(112)에 전가되는 충격력을 완충시키는 역할을하여 사용자의 안면에 상처가 생기는 것을 방지한다.
또한, 상기의 물안경(100)은 좌우 렌즈프레임(111),(112)을 연결하는 조인트(115)를 교체할 수 있는 조인트(115)의 결합구조를 가지며, 상기 조인트(115)는 사용자의 얼굴형에 따라 교체할 수 있도록 다양한 사이즈가 구비되어 있다.
상기 조인트(115)는 소정의 탄성력을 보유한 재질로 플렉시블하게 성형되어 좌우 렌즈프레임(111),(112)을 일정한 간격을 두고 연결한다.
이러한 조인트(115)는 양 끝단부에 걸림턱(116)이 형성되며, 이 걸림턱(116)은 좌우 렌즈프레임(111),(112)에 형성된 걸림홈(113)에 삽입된다.
즉, 상기 조인트(115)의 걸림턱(116)은 선단에서 후방으로 경사지게 성형되어 있으며, 상기 걸림홈(113)에 탄력적으로 끼움결합된다.
또한, 상기 조인트(115)를 좌우 렌즈프레임(111),(112)에서 분리시키는 경우에, 상기 조인트(115)를 좌우 렌즈프레임(111),(112)의 전방측으로 즉, 걸림홈(113)에 삽입되는 반대방향으로 소정의 힘으로 당기면 좌우 렌즈프레임(111),(112)의 걸림홈(113)에서 분리된다.
여기서, 상기 조인트(115)의 걸림턱(116)은 소정의 탄성력을 보유하고 있으므로 상기 걸림턱(116)이 좌우 렌즈프레임(111),(112)의 걸림홈(113)에서 분리될 때 탄력적인 변형을하여 분리된다.
그러나, 상기 조인트(115)를 자주 교체하는 경우에 조인트(115)의 걸림턱(116)이 걸림홈(113)을 통과하면서 걸턱턱 부분이 마모되거나 또는 탄성력이 저하되어 원래의 형상으로 복원되지 않게 된다.
따라서, 상기 걸림턱(116)의 변형 및 마모로 인해 외력이 없는 상태에서도 조인트(115)가 렌즈프레임(111),(112)에서 쉽게 분리되며, 아울러 상기 좌우 렌즈프레임(111),(112)의 걸림홈(113) 역시 걸림턱(116)과의 마찰로 인해 변형될 수 있다.
그러므로, 상기 조인트(115)의 손상으로 인해 재사용할 수 없게되는 것은 물론 자칫 걸림홈(113)의 변형으로 인해 물안경(100)을 사용할 수 없게 되는 문제점이 있다.
본 고안은 전술한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조인트와 좌우 렌즈프레임의 연결구조를 변경하여, 사용자가 조인트를 용이하게 교체시킬 수 있도록 하고, 견고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물안경의 조인트의 결합구조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물안경의 조인트의 결합구조는 좌우 렌즈프레임의 걸림홈에 끼움 결합되는 걸림턱을 구비한 조인트의 결합구조에 있어서,상기 좌우 렌즈프레임이 마주보는 방향으로 걸림홈 내측 소정위치에 돌출된 돌기부와, 타측 소정위치에 돌출된 지지부를 구비하고, 상기 조인트의 걸림턱은 걸림홈에 삽입될 때 걸림홈의 돌기부가 탄력적으로 끼움 결합되는 요홈과, 돌출된 지지부의 일측면에 접촉되는 고정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도 1은 종래 물안경을 나타낸 사시도,
도 2은 본 고안의 실시예가 적용된 물안경의 평단면도,
도 3은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물안경 조인트의 사시도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물안경 2 : 좌 렌즈프레임
3 : 우 렌즈프레임 4 : 조인트
5 : 실리콘 패킹 10 : 걸림홈
11 : 돌기부 12 : 지지부
20 : 걸림턱 21 : 요홈
22 : 고정부
이하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더욱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2은 본 고안의 실시예가 적용된 물안경(1)의 평단면도이고, 도 3은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물안경(1) 조인트(4)의 사시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렌즈와 일체로 구성되는 한쌍의 좌우 렌즈프레임(2),(3)과, 이 좌우 렌즈프레임(2),(3)에 착탈가능하게 결합되는 실리콘 패킹(5)과, 상기 좌우 렌즈프레임(2),(3)을 소정의 간격을 두고 연결하는 조인트(4)를 포함하는 물안경(1)을 도시하고 있다.
상기 물안경(1)의 좌우 렌즈프레임(2),(3)은 사용자의 시야를 확보하기 위한 투명한 렌즈가 일체로 성형되어 있으며, 소정위치에 걸림홈(10)이 형성되어 상기 조인트(4)가 끼움 결합되도록 이루어진다.
상기 조인트(4)는 플렉시블하게 성형되어 소정의 탄성력을 보유하고 있으며, 선단측에 상기 좌우 렌즈프레임(2),(3)의 걸림홈(10)에 결합되는 걸림턱(20)이 형성된다.
이 걸림턱(20)은 선단부의 일부가 후방으로 경사지게 성형되어 걸림홈(10)에 삽입되기 쉽도록 되어 있다.
여기서, 상기 좌우 렌즈프레임(2),(3)이 마주보는 방향의 걸림홈(10) 내측 소정위치에는 돌기부(11)와 지지부(12)가 구비되며, 상기 조인트(4)의 걸림턱(20)은 돌기부(11) 및 지지부(12)와 상호 접촉하여 소정의 결합력을 발휘할 수 있도록 요홈(21)과 고정부(22)가 구비된다.
즉, 상기 좌우 렌즈프레임(2),(3)의 걸림홈(10)에 성형된 돌기부(11)와 지지부(12)는 상호 대향하는 방향으로 돌출되어 있으며, 상기 조인트(4)는 걸림홈(10)의 돌기부(11)가 소정의 탄력을 가지고 위치되도록 돌기부(11)와 접촉하는 측면 소정위치에 요홈(21)이 형성된다. 이러한 요홈(21)은 돌기부(11)의 돌출된 높이에 대응하는 깊이를 가지도록 성형되어 있다.
또한, 상기 지지부(12)는 돌기부(11)와 마주보는 방향의 상측에 돌출되어 있으며, 상기 걸림턱(20)은 지지부(12)에 접촉하는 측면 소정위치에 고정부(22)가 위치된다.
상기 고정부(22)는 걸림턱(20)이 걸림홈(10)에 삽입될 때 탄력적으로 변형되어 걸림턱(20)의 삽입이 완료되면 지지부(12)의 일측면에 접촉하여 소정의 고정력을 발휘하게 된다.
따라서, 상기 조인트(4)와 좌우 렌즈프레임(2),(3)은 결합되었을 경우 걸림턱(20)의 요홈(21) 및 고정부(22)와 걸림홈(10)의 돌기부(11) 및 지지부(12)에서 고정력을 발휘하게 된다.
상기와 같이 이루어지는 본 고안의 물안경의 조인트의 결합구조는 다음과 같이 작용한다.
상기 좌우 렌즈프레임(2),(3)에 조인트(4)를 끼움 결합시키는 경우에 사용자는 좌우 렌즈프레임(2),(3)의 전면에서 조인트(4)를 위치시킨 다음 상기 조인트(4)의 걸림턱(20)을 좌우 렌즈프레임(2),(3)의 걸림홈(10)에 각각 삽입시켜 결합을 완료한다.
즉, 상기 조인트(4)의 걸림턱(20)은 소정의 탄성력을 보유하고 있으므로 걸림홈(10)에 삽입될 때 걸림턱(20)의 요홈(21)측이 걸림홈(10)의 돌기부(11)에 접촉되어 일측으로 변형을 하게 되고, 상기 걸림턱(20)을 걸림홈(10)측으로 계속 삽입시키면 걸림턱(20)의 요홈(21)에 걸림홈(10)의 돌기부(11)가 위치된다.
그리고, 걸림턱(20)의 고정부(22)는 걸림홈(10)의 지지부(12)에 접촉되어 탄성변형을 이루며, 이 지지부(12)를 통과한 뒤 원래의 형상으로 복원되어 지지부(12)의 일측에 접촉된다.
따라서, 상기 좌우 렌즈프레임(2),(3)과 조인트(4)는 2지점에서 고정력이 발휘되므로 견고한 결합력을 유지할 수 있다.
이러한 물안경(1)은 조인트(4)를 사용자의 얼굴형에 맞게 교체할 수 있도록 다양한 크기의 조인트(4)가 제공되므로, 사용자가 좌우 렌즈프레임(2),(3)에서 교체하고자 하는 기존의 조인트(4)를 분리시키는 경우에 조인트(4)의 걸림턱(20) 선단 일부가 좌우 렌즈프레임(2),(3)의 걸림홈(10)을 관통하여 돌출되어 있으므로 이 조인트(4)이 걸림턱(20) 부위를 외측으로 벌리고, 이어서 상기 조인트(4)를 물안경(1)의 전방측으로 이동시켜 분리를 완료한다.
즉, 상기 조인트(4)의 걸림턱(20)을 양측으로 벌리면 걸림턱(20)의 요홈(21)과 걸림홈(10)의 돌기부(11)가 분리되어 고정력이 해제되고, 상기 걸림턱(20)의 고정부(22)는 걸림홈(10)의 지지부(12) 일측으로 이동되어 소정의 탄성변형을 이룬 상태가 된다.
그러므로, 상기 조인트(4)를 좌우 렌즈프레임(2),(3)의 전방측으로 이동시키면 조인트(4)의 걸림턱(20)은 걸림홈(10)에서 쉽게 분리된다.
이와 같이, 본 고안의 물안경의 조인트의 결합구조는 사용자가 용이하게 조인트를 탈거시킬 수 있는 것은 물론이고, 조인트의 교체시 상기 조인트와 좌우 렌즈프레임의 결합부분이 마모 및 변형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본 고안은 기재된 실시예에 한정하는 것이 아니고, 본 고안의 사상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고 다양하게 수정 및 변형을 할 수 있음은 이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는 자명하다.
따라서, 그러한 변형예 또는 수정예들은 본 고안의 실용신안등록청구의범위에 속한다 해야 할 것이다.

Claims (1)

  1. 좌우 렌즈프레임(2),(3)의 걸림홈(10)에 끼움 결합되는 걸림턱(20)을 구비한 조인트(4)의 결합구조에 있어서,
    상기 좌우 렌즈프레임(2),(3)이 마주보는 방향으로 걸림홈(10) 내측 소정위치에 돌출된 돌기부(11)와, 타측 소정위치에 돌출된 지지부(12)를 구비하고, 상기 조인트(4)의 걸림턱(20)은 걸림홈(10)에 삽입될 때 걸림홈(10)의 돌기부(11)가 탄력적으로 끼움 결합되는 요홈(21)과, 돌출된 지지부(12)의 일측면에 접촉되는 고정부(22)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물안경의 조인트 결합구조.
KR2019970013735U 1997-06-10 1997-06-10 물안경의 조인트 결합구조 KR200161664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70013735U KR200161664Y1 (ko) 1997-06-10 1997-06-10 물안경의 조인트 결합구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70013735U KR200161664Y1 (ko) 1997-06-10 1997-06-10 물안경의 조인트 결합구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90000450U KR19990000450U (ko) 1999-01-15
KR200161664Y1 true KR200161664Y1 (ko) 2000-01-15

Family

ID=1950275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70013735U KR200161664Y1 (ko) 1997-06-10 1997-06-10 물안경의 조인트 결합구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161664Y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90000450U (ko) 1999-01-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526070A (en) Nose pad particularly for spectacle frames
KR880001316A (ko) 물안경
KR100769015B1 (ko) 고글
US6505353B2 (en) Pad structure of swimming glasses
JP3490326B2 (ja) 水中眼鏡
KR200161664Y1 (ko) 물안경의 조인트 결합구조
JP3744738B2 (ja) スイミングゴーグル
KR200161665Y1 (ko) 렌즈교체용 물안경
CN109771906B (zh) 护目镜
JPH03231658A (ja) スポーツ用ゴーグル
KR200192155Y1 (ko) 물 안경
KR200192154Y1 (ko) 물 안경의 조인트
KR200209810Y1 (ko) 물 안경의 조인트
KR200192156Y1 (ko) 물안경의 패킹 결합구조
CN213149395U (zh) 一种全框眼镜
KR200156102Y1 (ko) 물안경 패킹구조
KR200167735Y1 (ko) 물안경의 패킹결합구조
KR0127879Y1 (ko) 물안경의 패킹 결합 구조
KR200175935Y1 (ko) 물안경
KR200266398Y1 (ko) 스포츠용 안경
JP2587505Y2 (ja) 眼 鏡
KR0136032Y1 (ko) 물안경의 시일구조
KR900007101Y1 (ko) 안경 다리
KR0118221Y1 (ko) 물안경의 렌즈프레임 연결구조
KR200248222Y1 (ko) 물안경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10826

Year of fee payment: 13

EXPY Expiration of ter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