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0118221Y1 - 물안경의 렌즈프레임 연결구조 - Google Patents

물안경의 렌즈프레임 연결구조

Info

Publication number
KR0118221Y1
KR0118221Y1 KR2019950000513U KR19950000513U KR0118221Y1 KR 0118221 Y1 KR0118221 Y1 KR 0118221Y1 KR 2019950000513 U KR2019950000513 U KR 2019950000513U KR 19950000513 U KR19950000513 U KR 19950000513U KR 0118221 Y1 KR0118221 Y1 KR 0118221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ens frame
joint
connection structure
insertion hole
len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50000513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60026754U (ko
Inventor
박수안
Original Assignee
박수안
주식회사 한국 오.지.케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박수안, 주식회사 한국 오.지.케이 filed Critical 박수안
Priority to KR2019950000513U priority Critical patent/KR0118221Y1/ko
Publication of KR960026754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60026754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0118221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0118221Y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33/00Swimming equipment attachable to the head, e.g. swim caps or goggles
    • A63B33/002Swimming goggles
    • A63B33/004Swimming goggles comprising two separate lenses joined by a flexible bridge
    • GPHYSICS
    • G02OPTICS
    • G02CSPECTACLES; SUNGLASSES OR GOGGLES INSOFAR AS THEY HAVE THE SAME FEATURES AS SPECTACLES; CONTACT LENSES
    • G02C5/00Constructions of non-optical parts
    • G02C5/02Bridges; Browbars; Intermediate bars
    • G02C5/06Bridges; Browbars; Intermediate bars with resilient mean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225/00Miscellaneous features of sport apparatus, devices or equipment
    • A63B2225/60Apparatus used in water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244/00Sports without balls
    • A63B2244/20Swimming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Ophthalmology & Optometry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Pulmon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hysical Education & Sports Medicine (AREA)
  • Eyeglasse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수영할때 사용하는 물안경의 렌즈프레임 연결구조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서로대칭되게 연결되는 한쌍의 렌즈프레임이 외관이 미려하면서 플랙시블한 죠인트로서 용이하게 조립시킬 수 있도록 하기 위한 물안경의 렌즈프레임 연결구조에 관한것이다.
물안경의 한쌍의 렌즈프레임을 죠인트로서 대칭되게 연결하는 렌즈프레임 연결구조에 있어서; 상기 렌즈프레임(10)의 내측단부에는 연장부(11)가 전방으로 경사지게 형성되고, 이 연장부(11)의 단부에는 상하에 수평 돌출되는 상하 지지돌기(14)와, 상하 지지돌기(14)사이에 돌출형성되는 것으로 록킹용 걸림턱(13a)과 분해용 누름부(13b)를 형성한 스냅돌기(13)로 이루어지는 결합구(12)가 돌출형성되어 있고; 상기 죠인트(20)는 중앙부가 휠 수 있도록 홈부(21)가 형성되어 있고, 양측에는 상기 결합구(12)가 삽입 관통되도록 내측이 개구된 삽입구멍(22)이 형성되며, 삽입구멍(22) 말단부에는 걸림턱 걸림용 걸림부(23)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물안경의 렌즈프레임 연결구조
제1도는 종래 물안경의 사시도,
제2도는 종래 물안경의 단면도로서, 렌즈프레임의 연결구조를 나타내는 평단면도,
제3도는 본 고안에 따른 물안경의 렌즈프레임 연결구조를 나타내는 배면 분해사시도,
제4도는 본 고안에 따른 물안경의 렌즈프레임 연결구조를 나타내는 분해상태의 평단면도이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 렌즈프레임,11: 연장부,12: 결합구,13: 스냅돌기,
13a: 걸림턱,13b: 누름부,14: 지지돌기,20: 죠인트,
21: 홈부,22: 삽입구멍,23: 걸림부.
[기술분야]
본 고안은 수영할때 사용하는 물안경의 렌즈프레임 연결구조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서로대칭되게 연결되는 한쌍의 렌즈프레임이 외관이 미려하면서 플랙시블한 죠인트로서 용이하게 조립시킬 수 있도록 하기 위한 물안경의 렌즈프레임 연결구조에 관한 것이다.
[고안의 배경]
종래의 물안경은 제1도에 도시 되어 있는 바와 같이 렌즈(1)와 일체로 형성되어 있는 한쌍의 렌즈프레임(2)과, 상기 렌즈프레임(2)에 결합되어 있는 실리콘패킹(3)과, 상기 한쌍의 렌즈프레임(2)을 대칭되게 연결하는 것으로서 그 사이의 거리를 조절할 수 있도록 된 죠인트(4)와, 두개의 렌즈프레임(2)의 양단부에 형성된 밴드연결부(5)에 연결되는 밴드(6)로 이루어져 있다.
상기 한쌍의 렌즈프레임(2)과 죠인트(4)간의 연결구조는, 제2도에 도시 되어 있는 바와 같이 렌즈프레임(2)의 내측에 죠인트걸이구멍(2a)이 형성되어 있고, 죠인트걸이구멍(2a)에 끼워지는 죠인트(4)는 양단에 죠인트걸이구멍(2a)으로 삽입이 용이하도록 빗삼각형 형상의 삽입 개시부(4a)가 형성되고, 이 양측 삽입 개시부(4a) 사이에는 다수개의 삼각돌기(4b)가 일정간각으로 돌출 형성되어 있다.
상기 한쌍의 렌즈프레임(2)을 죠인트(4)로서 연결할때에는, 빗삼각형 형상의 삽입개시부(4a)를 죠인트 걸이구멍(2a)에 압입시키면, 삽입 개시부(4a) 후방과 삼각돌기(4b)사이의 홈부분 또는 삼각돌기 사이의 홈부분이 죠인트걸이구멍(2a)의 내측 살두께 부분이 끼어서 한쌍의 렌즈프레임(2)을 죠인트(4)로서 연결하게 된다.
이때, 상기 죠인트(4) 내측면에는 다수개의 삼각돌기(4b)가 일정 간격으로 배열 형성되어서 내측으로 오므러들게 되고, 양측 렌즈프레임(2)의 간격을 조절할 수 있도록 되었다.
그러나 이는, 죠인트(4)가 뻣뻣한 합성수지재이면서, 길이가 길기 때문에 미관상 좋지 못한 문제와, 길이 조절시 뻣뻣한 죠인트(4)의 삼각돌기(4b)가 죠인트 걸이구멍(2a)에 꽉 끼어서 길이 조절이 사실상 어려운 문제가 있다.
[고안의 목적]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본 고안의 목적은 한쌍의 렌즈프레임과 렌즈프레임 사이에 연결되는 죠인트와의 조립이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함과 동시에, 죠인트가 플랙시블하여 렌즈프레임이 얼굴에 밀착되어 눈으로 물이 스며들지 않는 물안경을 제공하는데 있다.
[고안의 요약]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에 의한 물안경의 렌즈프레임 연결구조는, 렌즈프레임의 내측단부에 연장부가 전방으로 경사지게 형성되고, 이 연장부의 단부에는 상하에 지지돌기가 수평으로 돌출되고 지지돌기 사이에는 걸림턱을 구비한 스냅돌기가 형성되며, 이 스냅돌기 선단부에는 지지돌기보다 길게 누름부가 형성되어 있으며, 중앙부가 휘어지도록 홈부가 형성되고 양측에는 상하 지지돌기와 스냅돌기가 삽입록크되도록 내측이 개구된 삽입구멍이 형성되며, 삽입구멍 말단부에는 걸림턱이 걸릴 걸림부가 형성된 죠인트를 구성한 것에 특징이 있다.
이하, 본 고안에 따른 물안경의 렌즈프레임 연결구조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고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고안의 구체적 실시예에 대한 설명]
제2도 및 제3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렌즈프레임(10)의 내측단부에는 연장부(11)가 전방으로 경사지게 돌출 형성되고, 이 연장부(11)의 단부에는 결합구(12)가 수평으로 돌출 형성된다. 상기 결합구(12)는 상하에 지지돌기(14)가 수평으로 돌출 형성되며, 이들 지지돌기(14) 사이에는 삼각형태의 걸림턱(13a)과 선단부가 길게 연장된 누름부(13b)를 구비한 스냅돌기(13)가 돌출형성되어 있다.
상기 대칭되게 설치되는 한쌍의 렌즈프레임(10)을 연결하는 죠인트(20)는 중앙부가 휘어질 수 있도록 홈부(21)가 형성되고, 양측에는 상기 결합구(12)가 끼워질 삽입구멍(22)이 형성된다.
상기 삽입구멍(22)은 내측이 개구되며 말단부에 걸림부(23)가 형성되어 삽입구멍(22)으로 삽입된 스냅돌기(13)의 걸림턱(13a)이 걸려 록킹된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의 작용효과를 살펴 보면 다음과 같다.
한쌍의 렌즈프레임(10)을 죠인트(20)로서 대칭되게 조립시킬 때에는 죠인트(20)의 삽입구멍(22)에 렌즈 프레임(10) 내측단부에 돌출된 결합구(12)를 삽입시키게 되면, 상하 지지돌기(14)와 스냅돌기(13)로 이루어지는 결합구(12)가 죠인트(20)의 삽입구멍(22)으로 삽입이 이루어지면서 스냅돌기(13)의 걸림턱(13a)이 삽입구멍(22)에 걸리게 되는데, 결합구(12)를 삽입구멍(22)에 압입하는 힘에 의해 자체 탄력을 지닌 스냅돌기(13)가 전방으로 휘면서 삽입구멍(22)내로 삽입이 이루어진다.
상기와 같이 삽입구멍(22)내에 스냅돌기(13)의 삽입이 이루어지게 되면, 삽입구멍(22) 내측이 개구되고 삽입구멍(22) 말단부에 걸림부(23)가 형성되어서 휘어지면서 삽입되던 스냅돌기(13)에 저항이 없어지면서 스냅돌기(13)가 자체탄력에 의해 원상복귀 함에 따라, 스냅돌기(13)의 걸림턱(13a)이 걸림부(23)에 걸리게 된다.
이때, 스냅돌기(13) 상하에는 상하 지지돌기(14)가 각각 돌출 형성되어서, 죠인트(20)의 삽입구멍(22)내에 스냅돌기(13)와 상하 지지돌기(14)로 이루어지는 결합구(12)가 견고하게 삽입 고정된다.
이렇게 한쌍의 렌즈프레임(10)을 죠인트(20)를 용이하게 대칭되게 연결 조립한 뒤에 이를 얼굴에 착용하면, 죠인트(20)의 중앙부가 휘어질 수 있도록 홈부(21)를 형성하여 착용하는 사람의 얼굴 곡선에 따라 물안경이 얼굴에 밀착되어 눈으로 물이 스며들지 않게 되는 것이다.
그리고, 이 물안경의 렌즈프레임(10)과 죠인트를 분리하고자 할 경우에는 삽입구멍(22)으로 삽입되어진 스냅돌기(13) 선단부의 연장돌출된 누름부(13b)를 누르면서 렌즈프레임(10)을 빼내면 상기 누름부(13b)를 누르는 힘에 의해 스냅돌기(13)의 걸림턱(13a)이 삽입구멍(22) 말단의 걸림부(23)에서 이탈되므로, 이 상태에서 죠인트(20)의 삽입구멍(22)에서 결합구(12)를 빼내면 그 분해 동작이 용이하게 이루어진다.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 같은 본 고안은, 렌즈프레임의 결합구와 한쌍의 렌즈프레임을 대칭되게 연결하는 죠인트와의 연결 및 분해작업이 용이하게 이루어져 생선성이 향상되는 장점과, 종래의 길이 조정 가능했던 죠인트와 달리 죠인트 양측에 빈틈이 없이 렌즈프레임이 조립되기 때문에 마감 또한 향상되는 장점과, 죠인트 중앙 부분이 휠 수 있도록 되어서 물안경 착용시 얼굴곡선에 따라 물안경이 얼굴에 밀착되어 눈으로 물이 스며들지 않게 되는 등의 장점을 지닌 매우 유용한 고안이다.

Claims (1)

  1. 물안경의 한쌍의 렌즈프레임을 죠인트로서 대칭되게 연결하는 렌즈프레임 연결구조에 있어서;
    상기 렌즈프레임(10)의 내측단부에는 연장부(11)가 전방으로 경사지게 형성되고, 이 연장부(11)의 단부에는 상하에 수평 돌출되는 상하 지지돌기(14)와, 상하 지지돌기(14) 사이에 돌출형성되는 것으로 록킹용 걸림턱(13a)과 분해용 누름부(13b)를 형성한 스냅돌기(13)로 이루어지는 결합구(12)가 돌출형성되어 있고;
    상기 죠인트(20)는 중앙부가 휠 수 있도록 홈부(21)가 형성되어 있고 양측에는 상기 결합구(12)가 삽입 관통되도록 내측이 개구된 삽입구멍(22)이 형성되며, 삽입구멍(22) 말단부에는 걸림턱 걸림용 걸림부(23)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물안경의 렌즈프레임 연결구조.
KR2019950000513U 1995-01-14 1995-01-14 물안경의 렌즈프레임 연결구조 KR0118221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50000513U KR0118221Y1 (ko) 1995-01-14 1995-01-14 물안경의 렌즈프레임 연결구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50000513U KR0118221Y1 (ko) 1995-01-14 1995-01-14 물안경의 렌즈프레임 연결구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60026754U KR960026754U (ko) 1996-08-17
KR0118221Y1 true KR0118221Y1 (ko) 1998-05-15

Family

ID=1940669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50000513U KR0118221Y1 (ko) 1995-01-14 1995-01-14 물안경의 렌즈프레임 연결구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0118221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018933A (ko) * 2018-08-13 2020-02-21 (의료)길의료재단 고글형 대기오염 환경 유발 장치 및 그 방법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018933A (ko) * 2018-08-13 2020-02-21 (의료)길의료재단 고글형 대기오염 환경 유발 장치 및 그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60026754U (ko) 1996-08-1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4951322A (en) Detachable mono-glass sports goggles
KR100286868B1 (ko) 버클
KR880004025Y1 (ko) 안경 호울더
US5734995A (en) Swimming goggles
US5829064A (en) Water-proof goggles
KR0118221Y1 (ko) 물안경의 렌즈프레임 연결구조
KR20010106706A (ko) 물안경의 밴드 조절용 버클 조립체
ATE69655T1 (de) Elastischer anschlag fuer einen brillenbuegel.
KR20020001524A (ko) 파스너
JPH0434903B2 (ko)
KR0118220Y1 (ko) 물안경의 렌즈프레임 연결구조
KR870001806Y1 (ko) 멜빵에 부착된 버클
KR200209810Y1 (ko) 물 안경의 조인트
KR100246552B1 (ko) 밴드조절 원터치 버클을 구비한 물안경
GB2432919A (en) Swimming goggles with adjustable head strap
KR101957298B1 (ko) 옆머리 누름 부재
KR200192155Y1 (ko) 물 안경
KR200192154Y1 (ko) 물 안경의 조인트
KR200255757Y1 (ko) 물안경의 렌즈프레임 연결구조
JPS6031713Y2 (ja) ゴ−グル
KR0127878Y1 (ko) 물안경의 밴드 연결 구조
KR960002730Y1 (ko) 물안경
KR200161664Y1 (ko) 물안경의 조인트 결합구조
GB2403556A (en) Swimming goggles
KR200175821Y1 (ko) 안경다리와 다리연결체의 결합구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80121

Year of fee payment: 11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