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870001806Y1 - 멜빵에 부착된 버클 - Google Patents

멜빵에 부착된 버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870001806Y1
KR870001806Y1 KR2019850015296U KR850015296U KR870001806Y1 KR 870001806 Y1 KR870001806 Y1 KR 870001806Y1 KR 2019850015296 U KR2019850015296 U KR 2019850015296U KR 850015296 U KR850015296 U KR 850015296U KR 870001806 Y1 KR870001806 Y1 KR 870001806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uckle
rotating member
belt
buckle body
engagem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850015296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860007107U (ko
Inventor
히로시 마도바
Original Assignee
요시다 고오교오 가부시키가이샤
요시다 다다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요시다 고오교오 가부시키가이샤, 요시다 다다오 filed Critical 요시다 고오교오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860007107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860007107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870001806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870001806Y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4HABERDASHERY; JEWELLERY
    • A44BBUTTONS, PINS, BUCKLES, SLIDE FASTENERS, OR THE LIKE
    • A44B11/00Buckles; Similar fasteners for interconnecting straps or the like, e.g. for safety belts
    • AHUMAN NECESSITIES
    • A44HABERDASHERY; JEWELLERY
    • A44BBUTTONS, PINS, BUCKLES, SLIDE FASTENERS, OR THE LIKE
    • A44B11/00Buckles; Similar fasteners for interconnecting straps or the like, e.g. for safety belts
    • A44B11/02Buckles; Similar fasteners for interconnecting straps or the like, e.g. for safety belts frictionally engaging surface of straps
    • A44B11/06Buckles; Similar fasteners for interconnecting straps or the like, e.g. for safety belts frictionally engaging surface of straps with clamping devices
    • A44B11/12Buckles; Similar fasteners for interconnecting straps or the like, e.g. for safety belts frictionally engaging surface of straps with clamping devices turnable clamp

Landscapes

  • Buckles (AREA)
  • Automotive Seat Belt Assembly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멜빵에 부착된 버클
제1도는 회전후 버클과 거의 동일평면 상에 유지되어 있는 회동부재의 상태를 나타내는, 본 고안의한 실시예인 버클의 평면도.
제2도는 제1도 버클의 측면도.
제3도는 벨트 및 바지와 함께 사용된 버클을 나타내는 측면도.
제4a도는 제3도에 나타난 고정장치 및 그의 주위를 나타내는 확대부분도.
제4b도는 제4a도에 보여진 설비의 변형을 나타내는 부분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버클몸체 15 : 회동부재
2 : 상부삽입개구 14a,14b : 축회동돌기
3 : 중간삽입개구 17a,17b : 축회동구멍
4 : 계합개구 19 : 보유돌출부
5 : 하부삽입개구 20 : 계합융기부
L : 추축부 C : 계합돌출부
30 : 홈 22 : 노우즈(nose)연부
본 고안은 스키바지와 같은 스포츠용 바지등을 착용할 때 어깨에 멜빵에 부착되는 버클에 관한 것이다.
이미 여러가지 종류의 기존 버클들이 시판되고 있다. 이런 공지된 버클들은 버클몸체 및 회동부재로 구성되어 있으며, 벨트는 버클몸체 속으로 삽입되어 버클몸체 및 회동부재사이를 통과한다. 또한 회동부재에 전달되는 벨트의 장력에 의해서 발생하는 힘에 의해 밸트는 버클 몸체 회동부재 사이에서 죄어진다. 이런 유형의 벨트의 전형적인 예는 일본 실용신안공개 제179819/1979 및 일본실용신안공개 제31935/1984에 개시되어 있다.
위에서 말한 유형의 버클에 있어서는, 벨트상의 장력이 증가함에 의해 버클몸체 및 회부동재 사이에서 죄어지는 벨트에 작용하는 힘이 증대하기 때문에, 과도한 죄임력이 가해진다. 버클 몸체와의 사이에 벨트를 죄어주는 회동부재의 면은 대개 톱니모양 혹은 울퉁불퉁한 표면으로 되어 있고, 따라서 이런기존 유형의 버클은 위에서 말한 과도한 죄임력 때문에 밸트가 손상되는 문제를 가지고 있다.
더우기, 위에서 말한 유형의 버클에 있어서는, 회동부재가 밸트를 죄어줄 수 있도록함과 동시에 버클몸체에 가해지는 힘이 밸트를 통하여 회동부재에 적용되도록 회동부재가 배치되므로 버클몸체 및 회동부재간의 상대적 위치를 정함에 있어서 선택폭이 적다. 따라서, 버클이 합성수지 주조방법에 의해 제조되는경우일지라도, 회동부재가 버클몸체에 부착된 제품을 단일공정으로 형성하는 것이 지금까지 불가능하였다. 그리하여 이들 구성요소들 각각은 우선 분리된 부분으로서 제조되어 그 다음에 이것들을 조립하는 것이 필요하다.
본 고안의 목적은 과도한 죄임력이 전혀 벨트에 가해지지 않도록 하는 방식으로 구성된 버클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고안의 다른 목적은 버클몸체 및 이에 부착된 회동부재가 단일공정에 의해 제조되는 것을 가능케 하는 구성을 가진 합성수지제 버클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고안에 따른 버클은 버클몸체 및 버클몸체에 대해 회동가능한 회동부재로 구성된다. 회동부재는 작용위치로 이동가능하며 이 작용위치에서 밸트는 회동부재의 일부분 및 버클몸체 사이에서 죄어진다. 이작용위치내에서 버클은 회동부재 및 버클몸체 양자 모두에 마련된 고정장치에 의해 보유되며, 이 고정장치의 작용은 밸트장력과 완전히 독립되어 있다.
더구나 특히, 본 고안에 따른 버클에 있어서는 회동부재의 한 단부가 버클몸체의 한단분에 축회동가능하게 연결되어 있으므로 회동부재는 그 부재가 버클몸체 위에 접혀지게 되는 작용위치로 회전이동할 수 있다. 버클몸체는 계합개구를 가지고 있으며 이 계합개구를 통하여 밸트가 통과한다. 또한 회동부재는 계합구에 삽입될 수 있는 긴 돌출부를 갖추고 있다. 버클몸체 및 회동부재에 마련된 고정장치는 회동부재를 위에서 말한 작용위치에서 보유하며, 이 작용위치에서 벨트는 긴 돌출부 및 버클몸체 사이에서 죄어진다.
특정예에 있어서, 고정장치는 계합구의 벽들 중 하나에 마련된 돌출융기부 및 긴 돌출부에 형성된 계합융기부를 포함한다. 긴 돌출부가 계합개구에 삽입될 때, 계합융기부는 소성변형에 의하여 긴 돌출융기부 넘어로 움직인다.
다른 특정예에 있어서, 고정장치는 계합개구의 벽들 중 하나에 마련된 홈 및 긴 돌출부 위에 형성되어 그 홈에 끼워 넣어지는 계합융기부를 가진다. 긴 돌출부가 계합개구에 삽입될 때, 긴 돌출부는 소성변형되면서 계합융기부가 그 홈에 맞취지게 한다.
본 고안에 따른 버클이 합성수지 성형공정에 의해 제조되는 경우, 이러한 버클의 구성으로 인해 조립된 버클이 단일공정으로 성형되게 한다.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로서 합성수지제 버클이 제1도에 나타나 있다. 여기서 참조번호 1은 멜빵등의 버클몸체를 표시하며, 이 버클몸체는 얇고 거의 직사각형이면서 부분적으로 둥근연부를 가지는 평탄한 부재로 구성된다. 버클몸체는 상부 삽입개구(2), 중간삽입개구(3), 계합개구(4) 및 하부삽입개구(5)를 가지고 있으며 이들 각각은 수평적으로 연장되어 있고, 또한 이들 각각을 멜빵과 같은 테이프들이 거의 위끝에서 아래끝까지 통과한다. 이들 각 개구들은 거의 동일한 폭을 가지고 일렬로 배열되어 있으나, 이들 각 개구들의 높이는 약간씩 서로 다르다.
즉, 상부삽입개구(2)가 이들 중 가장 높고 하부삽입개구(5)가 두번째로 높으며, 중간삽입개구(3)및 계합개구(4)는 거의 비슷한 높이를 가지고 있는데 이 높이는 전술한 두 개구의 높이의 거의 반 정도이다. 참조번호 6은 계합돌출부(C)를 표시하는데, 이것은 계합개구(4)의 상부 내측벽(4a)의 상연부에 인접하는 계합개구(4)의 전체 폭에 걸쳐 불쑥 나와있는, 돌출융기부로서 구성되어 있다. 또한 계합돌출부(C)는 약90도(제4a도를 보라)에 가까운 각을 가지는 이등변 삼각형 부분을 이루도록 형성되어 있다. 참조번호 7,8및 9는 상부삽입개구(2)와 중간삽입개구(3)사이, 중간삽입개구(3)와 계합개구(4)사이 그리고 계합개구(4)와 하부삽입개구(5) 사이에 각각 배치되는 수평프레임 부분들을 표시한다. 참조번호 10및 11은 우측및 좌측의 종방향프레임 부분을 표시하며, 이들 각각을 위의 수평프레임부분들(7,8 및 9)과 연결된다.
참조번호 12는 역 U형의 상부프레임부분을 표시하며 이것은 수평프레임부분(7)과 함께 상부삽입개구(2)를 형성한다. 참조번호 13은 축회동돌기들(14a 및 14b)을 바닥부의 양측에 갖추고 있는 지지프레임을 표시하며, 축회동돌기들은 각각 도면 아래에 나타나는 보유부의 축회동구멍들(17a 및 17b)과 계합되어 있다. 이 지지프레임은 우측 및 좌측의 종방향 프레임부분들(10 및 11)과 한몸으로 연결되어 있으며, 하부삽입개구(5)는 두 종방향 프레임의 양측연부, 지지프레임부분(13)의 상연부(13a)및 수평프레임부분(9)의 하연부등에 의해 형성된다.
이제 제1도 및 제2도의 아랫부분에 대해 설명하기로 하자. 참조번호 15는, 지지부(16a 및 16b)의 단부의 양측 바닥단부 위에 갖춰진 축회동구멍들(17a 및 17b)을 가지는 회동부재를 표시한다. 버클몸체(1)의 축회동돌기((14a 및 14b)은 이들 축회동구멍들(17a 및 17b)과 계합함으로써 추축부(L)를 형성하고 이 추축부로서 회동부재는 버클몸체(1)와 회전가능하게 연결된다. 회동부재(15)는 축방향으로 긴 거의 직사각형의 얇고 평평한 부재이며, 이 회동부재(15)의 크기는 죄임작용이 달성되었을 때 중간삽입개구(3), 계합개구(4)및 하부삽입개구(5)를 회동부재가 덮을 수 있을 정도로 설계된다. 참조번호 18은 회동부재(15)의 상연부를 지시한다. 멜빵의 사용자가 그의 바지를 입거나 벗을 때, 그는 그의 손가락을 상연부(18)에 놓고 회동부재를 상방향으로 움직여 버클을 계합시키거나 아래 방향으로 움직여 버클을 개방한다.
제3도의 아래 및 제4a도에 대해 설명한다. 참조번호19는 보유돌출부를 표시하며 이 보유돌출부는 회동부재의 한쪽 측면에 한몸으로 갖취져서 몸체(1)의 계합개구(4)의 거의 전체폭에 걸쳐서 뻗어 있다. 보유돌출부(19)의 상측면 M(제 4a도에 도시됨)은, 서로 거의 90도의 각을 이루는 안내사면(斜面)(23a)및 계합사면(23b)을 가지는 계합융기부(20)를 가지고 있다.
보유돌출부의 하측면 N은, 마찬가지로 서로 거의 90도에 가까운 각을 이루는 두 측벽에 의해 규정되는 홈(21)과 , 거의 90도의 각을 가지게끔 모양지워진 노우즈 연부(nose edge)(22)를 이루는 보유도출부(19)의 하부 노우즈( nose)등을 기지고 있다.
안내사면(23a)은 캠의 역할을 하는 면으로서, 몸체(1)의 돌출융기부(6)와 접합하면서 계합융기부(20)가 계합위치를 취하도록 하게 한다. 위에서 말한 몸체(1)및 회동부재(15)는, 폴리아미드나 폴리아세탈 등등을 포함한 유기합성수지재료를 사출 주조와 같은 주조방법으로 한몸으로 동시적으로 제조된다. 다시 말해서, 몸체 및 회동부재 둘다 추축부(L)가 회전축 위에 있는 평편한 상태에서 개방될 수 있다. 이러한 평편한 배치는 버클이 단일사출 주조과정에 의해 생산되어지는 것을 가능하게 한다. 또한 추축부(L)가 사출성형으로 동시에 성형될 수 있으며, 따라서 몸체(1)및 회동부재(15)를 종래의 과정에서처럼 각각 따로 사출주조 할 필요가 없어지며 추축부에서 두개를 손으로 결합하여 버클을 조립할 필여도 없어진다. 이런 장점은 여러가지 공정을 크게 감축하고 조립에 들어가는 시간을 절약한다. 더우기, 위에서 서술한 특정재료 및 주조방법으로 제조된 몸체(1)및 회동부재(15)에 있어서, 스포츠용 바지등에 사용되는 버클에게 발생하는 장기간의 반복적인 계합 및 개방을 충분히 잘 견뎌낼 수 있는 약간의 탄성이 있는 재료의강도가 특징적이다.
이제 위에서 말한 구조를 가지는 본 고안의실시예의 작용에 대해 말해보자. 여기서 버클은 스키바지등과 같은 스포츠복으로 쓰이는 바지의 멜빵에 부착되어 있고, 제3도에 나타나는 바와 같이 앞멜빵의 하부벨트(A)는 몸체(1)의하부삽입개구에 삽입되어 있고 또한 이 하부밸트(A)를 지지프레임(3)의 상연부(13a)를 넘어 U형으로 감아서 아래방향으로 매달아 놓았다고 가정한다. 이때, 전방 및 후방 벨트는 꿰매져 있고 또한 지지프레임(13)에 포개져 놓여진다. 그리고 후방벨트의 단부는 절단되어 있으나, 전방벨트부는 원하는 길이만큼 조정할 수 있고 바지(P)의 전방측면의 상단부에 꿰매져 있거나 바지의 전방멜빵집게(24)에 고정된다. 따라서, 이 하부밸트(A)의 길이는 이후 자체적으로 조정될 수 없다. 평상시, 상부벨트(B)의 한 단부(26a)는 바지(P)의 뒷부분의 상연부 위에 꿰매져 있거나 후방 멜빵집게(25)에 고정되지만, 다른 단부(26B)는 우선 몸체(1)의 후방 측면으로부터 상부삽입개구(2)를 통과하고, 몸체(1)의 전방측면으로부터 후방측면으로 중간삽입개구(3)를 통과하고 다시 몸체(1)의 후방측면에서 전방측면으로 계합개구(4)를 통과하고 마지막으로 하부삽입개구(5)를 통과하여 후방측면으로 뽑아진다.
평상시, 회동부재(15)는 추축부(L)를 중심으로 아래방향으로 돌려 놓여져 축회동 구멍들(17a 및 17b)이 회전축을 규정하게 하고, 그럼으로써 상부벨트(B)가 몸체(1)의 각 개구들을 통과하는데 있어서 회동부재가 방해물이 되니 않도록 하는 위치에서 유지된다. 바지를 입는 사람은 상부밸트(B)의 중간부분을 어깨위로 넘겨서 밸트단부(26b)의 버클몸체(1)에 대한 위치를 조정하여 바지(P)의 멜빵을 조정한다. 멜빵의 조정위치가 마음에 들면 회동부재(15)를 위로 당겨서 몸체(1)에 대하여 압압한다. 이 작용에 의하여, 회동부재(15)의 부유돌출부(19)위의 계합융기부(20)의 안내사면(23a)은 우선 돌출융기부(6)로 이루어진 계합돌출부(C)에 접촉된다.
그리고 이 안내사면(23a)의 캠작용 및 계합융기부(20)의 탄성등에 의해 보유돌출부의 목부분(19a)은 약간 아래쪽으로 경사지게 된다. 그후, 보유돌출부는 돌출융기부(6)을 넘어 통과하고 계합융기부(20)의계합사면(23b)이 돌출융기부(6)의 경사면과 강하게 계합하며, 그럼으로써 몸체(1)및 회동부재(15)간의 일체결합을 완성한다. 제3도에 나타나듯이 몸체(1)및 회동부재(15)는 둘다 축회동구멍들(17a 및 17b) 내에 있는 돌기들(14a 및 14b)을 축호동시키므로서 한몸으로 결합된 평편한 상태로 놓여진다. 이 상태에서 몸체(1)의 계합개구(4)내에 있는 벨트(B)의일부분이, 보유돌출부(19)의 노우즈연부(22)와 몸체(1)의 수평프레임부분(9)의 상연부 즉 계합개구(4)의 하부내측벽(4b)사이에서, 밸트의 폭에 걸쳐서 강하게 죄어진다. 그러하여 벨트는 느슨해지지 않는다. 위에서 서술한 본 고안에 있어서, 몸체(1)와 회동부재(15)가 계합하는 지점이 밸트가 몸체(1) 및 회동부재(15)사이에서 죄어지는 지점과 다르기 때문에 계합과 죄임이 서로 영향을 주지 않고 따라서 취급이 간편하다.
한편, 위에서 말한 단계를 역순으로 하려면, 손가락을 회동부재(15)의 상단부에 놓고 회동부재를 아래방향으로 개방시킨다. 그러면 몸체(1)및 회동부재(15)둘다가 제1도에 나타나는 바와 같이 추축부(L)의 축을 중심으로 하여 평편한 상태로 놓여지게 개방된다. 이 작동에 의하여 벨트(B)는 자유로워지고 몸체(1)에 대하여 이동할 수 있게 된다. 이 상태에서 벨트(B)를 위로 당기게 되면 벨트는 상부 및 하부삽입개구(2 및 5), 중간삽입개구(3)그리고 계합개구(4)를 미끄러지듯이 통과한다.
결국 바지의 멜빵이 느슨해지고 벨트는 어께로부터 벗겨질 수 있다.
제4b도는 위에서 서술한 실시예에 있어서의 보유돌출부(19) 및 계합돌출부(C)의 변형을 나타낸다. 제4b도의 변형에 있어서, 계합돌출부는 두벽이 서로 90도 각을 이루고 있는 홈(30)을 포함한다. 또한 보유돌출부(31)의 상측부에 형성된 계합융기부(32)는 그 융기부가 그홈(30)에 맞취끼워질 수 있도록 모양지워져 있다. 보유돌출부(31)의 하부부분은 제2죄임부분(33)을 갖추고 있으며, 이 제 2죄임부분(33)은 그의 표면을 고리지 않게 만들므로써 울퉁불퉁하게 되어 있다. 버클이 고정될 때, 밸트(B)는 수평프레임부분(9)의 상측면과 제2죄임부 그리고 제1죄임부 그리고 제1죄임부 역할을 하는 노우즈연부(34) 사이에서 죄어진다.

Claims (4)

  1. 버클몸체 및 상기 버클몸체에 대해 운동가능한 회동부재를 포함하고 벨트가 버클몸체 및 회동부재사이에서 죄어지는 버클에 있어서, 상기 회동부재가 상기 버클몸체 위에 접혀지는 작용위치로 회전할 수 있도록 상기 회동부재의 한 단부가 상기 버클몸체의 한단부에 축회동 가능하게 장착되어 있고, 상기 버클몸체는 벨트가 통과할 수 있는 계합개구를 가지며, 상기 회동부재는 상기 계합개구에 삽입될 수 있는 긴돌출부를 가지며, 그리고 고정장치가 상기 버클몸체 및 상기 회동부재에 설치되므로써 이 고정장치는 벨트가 상기 긴 돌출부 및 상기 버클몸체 사이에서 죄어지는 상기 작용위치에 상기 회동부재를 보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버클.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장치는 상기 계합개구의 벽들 중 하나에 마련된 돌출융기부 및 상기 긴돌출부에 형성된 계합융기부를 포함하고, 상기 긴돌출부는 상기 계합개구에 삽입될 때 발생하는 소성변형 때문에 상기 돌출연부를 넘어 이동할 수 있는 버클.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장치는 상기 계합개구의 벽들 중 하나에 마련된 홈 및 상기 홈에 맞취끼워지는 계합융기부로 포함하고, 상기 계합융기부는 상기 긴돌출부가 상기 계합개구에 삽입될 때 발생하는 소성변형 때문에 상기 홈에 맞춰끼워지는 버클.
  4. 제1∼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버클이 합성수지의성형제품인 버클.
KR2019850015296U 1984-12-11 1985-11-21 멜빵에 부착된 버클 KR870001806Y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187579 1984-12-11
JP1984187579U JPH0130883Y2 (ko) 1984-12-11 1984-12-11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60007107U KR860007107U (ko) 1986-07-10
KR870001806Y1 true KR870001806Y1 (ko) 1987-05-16

Family

ID=1620857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850015296U KR870001806Y1 (ko) 1984-12-11 1985-11-21 멜빵에 부착된 버클

Country Status (8)

Country Link
EP (1) EP0186810A1 (ko)
JP (1) JPH0130883Y2 (ko)
KR (1) KR870001806Y1 (ko)
AU (1) AU4990785A (ko)
BR (1) BR8506290A (ko)
ES (1) ES290890Y (ko)
GB (1) GB2168104A (ko)
ZA (1) ZA859173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MY100855A (en) * 1986-06-26 1991-03-15 Yoshida Kogyo Kk Strap fastener
JPH0641450Y2 (ja) * 1986-09-19 1994-11-02 吉田工業株式会社 ベルト固定具
JPH059845Y2 (ko) * 1987-08-11 1993-03-11
JP3780219B2 (ja) * 2002-03-18 2006-05-31 Ykk株式会社 バックル
CN110623373A (zh) * 2018-06-25 2019-12-31 伊利诺斯工具制品有限公司 织物调整夹具、系统及方法
US11096452B2 (en) * 2018-06-25 2021-08-24 Illinois Tool Works Inc. Web-adjustment clamp, system and method

Family Cites Families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GB382415A (en) * 1931-10-20 1932-10-27 Walker Ltd Thomas Improvements in buckles or lever slides for suspender and brace bands, and other bands, straps webbing and the like
GB387554A (en) * 1931-12-29 1933-02-09 Michael Hawie Improvement in buckle for garment supporters
GB422209A (en) * 1933-07-12 1935-01-08 Walker Ltd Thomas Improvements in lever buckles
US2036242A (en) * 1934-05-21 1936-04-07 Non Slip Fastener Inc Garment clip
GB418643A (en) * 1934-07-02 1934-10-29 Walker Ltd Thomas Improvements in buckles or slides for suspender bands, brace webbing and other bands or the like
US2520583A (en) * 1949-07-26 1950-08-29 James C Ulmer Buckle for overall suspender straps
US3592028A (en) * 1969-10-06 1971-07-13 Posey John T Restraining belt buckle with lock
GB1502332A (en) * 1975-05-15 1978-03-01 Hattori K Fasteners
US4400855A (en) * 1981-06-15 1983-08-30 Stuart Bruce W Strapping buckle construction
DE3145360A1 (de) * 1981-11-14 1983-05-26 Schaeffer-Homberg Gmbh, 5600 Wuppertal Klemmschnall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AU4990785A (en) 1986-06-19
GB8528957D0 (en) 1986-01-02
GB2168104A (en) 1986-06-11
ZA859173B (en) 1986-08-27
JPH0130883Y2 (ko) 1989-09-21
JPS61102109U (ko) 1986-06-30
ES290890Y (es) 1986-11-16
ES290890U (es) 1986-04-01
KR860007107U (ko) 1986-07-10
BR8506290A (pt) 1986-08-26
EP0186810A1 (en) 1986-07-0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4608735A (en) Sliding bar buckle
EP0287060B1 (en) Pull tab for slide fastener slider
KR870002378Y1 (ko) 조절 가능한 끈 고정구
EP1018609B1 (en) Cord fastener
EP1262115B1 (en) Slider for slide fastener with locking device
US5007141A (en) Strap retainer for head gear
US4449275A (en) Device to secure belts and similar parts to resin structures, helmets in particular
US5566427A (en) Strap clip and retainer
US4903378A (en) Strap adjustment assembly
US6247213B1 (en) Buckle
CA2324341C (en) Slider for a slide fastener
KR870001806Y1 (ko) 멜빵에 부착된 버클
JPH0852012A (ja) 紐固定具
EP0568371B1 (en) Buckle for adjustably securing a belt or the like
US4281440A (en) Belt buckle construction
KR900001636Y1 (ko) 스트랩 파스너
EP0303893B1 (en) Buckle of synthetic resin
US4054972A (en) Brassiere fastener
US4564983A (en) Device for fastening a belt or the like
US4674155A (en) Buckles with structure to allow unidirectional movement of strap
US5896626A (en) Clip clasp for securing a strap
JPH10234432A (ja) 紐固定具
US5212838A (en) Molded plastic cap buckle and adjustment strap
US5774952A (en) Size adjuster
EP0211988B1 (en) Sliding bar buckl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00311

Year of fee payment: 14

EXPY Expiration of ter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