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957298B1 - 옆머리 누름 부재 - Google Patents

옆머리 누름 부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957298B1
KR101957298B1 KR1020170104305A KR20170104305A KR101957298B1 KR 101957298 B1 KR101957298 B1 KR 101957298B1 KR 1020170104305 A KR1020170104305 A KR 1020170104305A KR 20170104305 A KR20170104305 A KR 20170104305A KR 101957298 B1 KR101957298 B1 KR 10195729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ide head
wearer
head
pressing
contact por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10430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80020913A (ko
Inventor
박신호
Original Assignee
박신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박신호 filed Critical 박신호
Publication of KR2018002091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2091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5729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5729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2OPTICS
    • G02CSPECTACLES; SUNGLASSES OR GOGGLES INSOFAR AS THEY HAVE THE SAME FEATURES AS SPECTACLES; CONTACT LENSES
    • G02C11/00Non-optical adjuncts; Attachment thereof
    • G02C11/10Electronic devices other than hearing aids
    • GPHYSICS
    • G02OPTICS
    • G02CSPECTACLES; SUNGLASSES OR GOGGLES INSOFAR AS THEY HAVE THE SAME FEATURES AS SPECTACLES; CONTACT LENSES
    • G02C11/00Non-optical adjuncts; Attachment thereof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3/00Cameras or camera modules comprising electronic image sensors; Control thereof
    • H04N5/225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1/00Details of transducers, loudspeakers or microphones
    • H04R1/10Earpieces; Attachments therefor ; Earphones; Monophonic headphones

Abstract

본 발명은 착용자의 안경테의 일 단에 결합되도록 내부에 관통 홀이 형성되어 있는 결합부 및 상기 결합부의 일 측면으로부터 연장 형성되어, 상기 결합부의 상기 안경테 결합에 따라 상기 착용자의 옆머리를 두피에 밀착시키는 옆머리 밀착부;를 포함하는, 제 1 옆머리 누름부 및 상기 상기 제 1 옆머리 누름부와 동일한 결합부와 옆머리 밀착부를 포함하는 제 2 옆머리 누름부;를 포함하는, 옆머리 누름 부재 세트.

Description

옆머리 누름 부재 {SIDE HAIR PRESSING TOOL}
본 발명은 옆머리 누름 부재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안경테에 장착하여 옆머리를 눌러 옆머리가 뜨지 않게 하기 위한 옆머리 누름 부재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안경은 안경테에 안경다리가 연결된 구조물에 렌즈를 감착 시켜서 고정된 상태로 조립되어 있다. 이러한 안경다리는 렌즈 또는 안경테의 좌우 양측에 귀에 걸을 수 있도록 연결되어 안경을 안정적으로 착용할 수 있도록 하며, 보관 및 휴대를 위해 힌지를 이용해 안경다리를 접을 수 있도록 되어있다.
상술한 바와 같은 구조를 가지는 안경은 그 기본 구조를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소재와 디자인에 변화를 준 다양한 제품으로 생산되고 있다. 이에 따라, 사용자는 원하는 소재의 디자인을 가진 안경을 구매하여 착용하게 된다.
한편, 종래의 안경을 착용한 상태에서는 안경다리의 압박으로 인해, 옆 머리카락이 뻗치게 되는 문제가 있다.
본 발명은 전술한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안경테에 장착하여 안경 장착 시 뻗치는 옆머리를 눌러주는 옆머리 누름 부재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술한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기술적 수단으로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는, 옆머리 누름 부재에 있어서, 착용자의 안경테의 일 단에 결합되도록 내부에 관통 홀이 형성되어 있는 결합부; 및 상기 결합부의 일 측면으로부터 연장 형성되어, 상기 결합부의 상기 안경테 결합에 따라 상기 착용자의 옆머리를 두피에 밀착시키는 옆머리 밀착부;를 포함한다.
또한, 옆머리 누름 부재 세트에 있어서, 착용자의 안경테의 일 단에 결합되도록 내부에 관통 홀이 형성되어 있는 결합부와 상기 결합부의 일 측면으로부터 연장 형성되어, 상기 결합부의 상기 안경테 결합에 따라 상기 착용자의 옆머리를 두피에 밀착시키는 옆머리 밀착부를 포함하는 제 1 옆머리 누름부재; 및 상기 제 1 옆머리 누름 부재와 동일한 결합부와 옆머리 밀착부를 포함하는 제 2 옆머리 누름 부재; 를 포함한다.
본 발명은 안경 착용 시 옆머리가 뻗쳐서 뜨는 현상을 방지하는데 그 목적을 가지며, 안경에 결합이 가능하여 편리성을 갖추고 있다.
옆머리 누름 부재의 결합부는 탄성을 갖는 소재로 구성되어 착용자의 안경테의 귀 걸이 부분의 모양에 대응하여 결합 될 수 있다.
또한, 착용자의 머리카락 라인에 대응하도록 빗살의 길이를 상이하게 구성하여 편의성을 갖출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는 옆머리 누름 부재 세트의 구성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는 옆머리 누름 부재에 대한 측면도 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는 옆머리 누름 부재의 제 1 옆머리 누름부의 단면도 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는 옆머리 누름 부재를 안경태에 결합시킨 모습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는 옆머리 누름 부재를 착용자가 착용한 모습에 대한 측면도 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는 옆머리 누름 부재를 착용자가 착용한 모습에 대한 사시도 이다.
아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본 발명의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그리고 도면에서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유사한 부분에 대해서는 유사한 도면 부호를 붙였다.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
본 발명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 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 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 본 발명 명세서 전체에서 사용되는 정도의 용어 "약", "실질적으로" 등은 언급된 의미에 고유한 제조 및 물질 허용오차가 제시될 때 그 수치에서 또는 그 수치에 근접한 의미로 사용되고, 본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해 정확하거나 절대적인 수치가 언급된 개시 내용을 비양심적인 침해자가 부당하게 이용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사용된다. 본 발명 명세서 전체에서 사용되는 정도의 용어 "~(하는) 단계" 또는 "~의 단계"는 "~ 를 위한 단계"를 의미하지 않는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대하여 구체적으로 설명하도록 한다.
먼저,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는 옆머리 누름 부재 세트를 도시한 도면 이다.
옆머리 누름 부재 세트는 제 1 옆머리 누름부(100), 제 2 옆머리 누름부(200), 및 각각의 누름부를 연결하는 연결 부재(300)로 구성 될 수 있다.
연결 부재는 제 1 옆머리 누름부(100),와 제 2 옆머리 누름부(200) 사이에 위치하며, 각각의 누름부의 분할이 가능하도록 절단이 가능한 소재로 구성 될 수 있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는 옆머리 누름 부재의 측면 사시도 이다.
결합부(110)는 안경테의 일 단에 결합되도록 결합부(110)의 장변 방향으로 관통홀이 내부에 구비되어 있으며, 관통홀에 안경테를 삽입하는 형태로 결합이 가능 할 수 있다.
결합부(110)는 기본적으로 일자형으로 형성되어 있으며, 해당 결합부(110)는 다양한 형태의 안경테에 대응하기 위해 탄성을 갖는 소재로 구성되어 안경테의 귀 걸이 부분의 모양에 대응하여 결합이 가능 할 수 있다. 실리콘과 같은 소재로 원통의 형상으로 형성 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어, 결합부(110)는 장변 길이 방향으로 관통홀이 형성되되, 해당 관통홀은 안경테의 단면의 두께 및 크기보다 작게 형성 될 수 있다. 이때, 결합부(110)는 탄성에 의해 일부분이 확장됨에 따라 안경테에 일단에서 착용자가 원하는 부분까지 이동이 가능 할 수 있다. 이동 된 결합부(110)는 탄성에 의해 관통홀이 축소 되면서 안경테에 고정되는 형태의 결합이 가능 할 수 있다.
결합부(110)의 일 측면으로부터 연장되어 형성되는 옆머리 밀착부(120)는 착용자의 옆머리를 두피에 밀착하도록 옆머리를 눌러 줄 수 있다.
제 1 옆머리 밀착부(121)와 제 2 옆머리 밀착부(122)는 예각을 갖도록 구비 될 수 있으며, 제 2 옆머리 밀착부(122)의 빗살 중 제 1 옆머리 밀착부(121)에 인접한 영역의 빗살이 가장 적은 각도를 형성하여 구비되어 있을 수 있다.
본 발명의 추가 실시예로, 결합부(110)는 안경테 단면의 두께 및 크기보다 좁은 관통홀을 포함하고 결합부의 장변 길이 방향이 절개 된 형태를 가질 수 있다.
예를 들어, 절개 된 결합부(110)는 탄성을 갖는 소재로 구성되어 있어, 착용자가 안경테의 원하는 위치에 바로 결합하게 되면, 결합부(110)의 절개 된 부분이 넓게 벌어져 결합이 되고, 결합부(110)의 탄성에 의해 절개 된 부분이 다시 좁아 지면서 안경테에 고정 될 수 있는 형태를 가질 수 있다.
옆머리 밀착부(120)는 제 1 옆머리 밀착부(121)와 제 2 옆머리 밀착부(122)로 구성되어 있으며, 서로 예각으로 벌어지되, 착용자가 착용 시 제 1 옆머리 밀착부(121)가 제 2 옆머리 밀착부(122)보다 두피에 밀착되도록 위치 할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는 제 1 옆머리 누름부(100)이다.
제 1 옆머리 누름부(100)는 제 1 옆머리 밀착부(121) 및 제 2 옆머리 밀착부(122)로 구성될 수 있다.
제 1 옆머리 밀착부(121) 및 제 2 옆머리 밀착부(122)는 소정의 두께로 형성 된 복수개의 빗살을 구비 할 수 있다.
제 1 옆머리 밀착부(121)의 복수개의 빗살은 서로 상이한 길이로 형성되어 있으며, 결합부(110)의 끝단으로부터 제 2 옆머리 밀착부(122)로 가까워 질수록 길이가 짧아 지도록 구성 될 수 있다.
제 2 옆머리 밀착부(122)의 복수개의 빗살은 제 1 옆머리 밀착부(121)의 가장 짧은 길이의 빗살과 대응하는 길이의 빗살이 구비 될 수 있다.
예를 들어, 결합부(110)의 제 1 옆머리 밀착부의 끝단에 구비 된 길이가 가장 긴 빗살은 착용자의 구렛나루 부분에 위치 하여 가장 긴 범위의 옆머리를 눌러 줄 수 있다.
옆머리 밀착부(120)의 빗살은 착용자의 옆머리 라인에 대응하도록 구성 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하지 않으며, 안경테의 꺽인 모양 및 길이에 따라 빗살의 두께 및 길이에 대응하도록 조정 될 수 있다.
도 4는 실제 안경에 옆머리 누름 부재세트의 제 1 옆머리 누름부(100)가 결합되어 있는 도면으로 실제 착용 시 착용자의 머리 길이와 착용자가 보유한 안경테의 모양에 대응하도록 할 수 있다.
도 5 및 도 6은 착용자가 실제 옆머리 누름 부재를 착용한 모습에 대한 측면도로 착용자의 안경테 귀걸이 부분에 실제 착용되며, 옆머리를 눌러 줄 수 있다.
전술한 본 발명의 설명은 예시를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쉽게 변형이 가능하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예를 들어, 단일형으로 설명되어 있는 각 구성 요소는 분산되어 실시될 수도 있으며, 마찬가지로 분산된 것으로 설명되어 있는 구성 요소들도 결합된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범위는 상기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균등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0: 옆머리 누름 부재
100: 제 1 옆머리 누름부 110: 결합부
120: 옆머리 밀착부
121: 제1 옆머리 밀착부 122: 제 2 옆머리 밀착부
200: 제 2 옆머리 누름부
300: 고정부재

Claims (9)

  1. 삭제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삭제
  6. 삭제
  7. 옆머리 누름 부재 세트에 있어서,
    착용자의 안경테의 일 단에 결합되도록 내부에 관통 홀이 형성되어 있는 결합부; 및 상기 결합부의 상기 안경테 결합에 따라 상기 착용자의 옆머리를 두피에 밀착시키는 옆머리 밀착부;를 포함하는 제 1 옆머리 누름부; 및
    상기 제 1 옆머리 누름부와 동일한 결합부와 옆머리 밀착부를 포함하는 제 2 옆머리 누름부; 를 포함하되,
    상기 제 1 옆머리 누름부와 상기 제 2 옆머리 누름부의 결합부의 일 측면에 구비 되어 상기 제 1 옆머리 누름부와 상기 제 2 옆머리 누름부를 연결하는 연결 부재를 더 포함하고,
    상기 관통 홀은,
    상기 결합부의 장변 길이 방향으로 형성되어 상기 안경테의 귀 걸이 부분에 삽입 가능하도록 구성되는 것이고,
    상기 결합부는 일자형으로 형성되되, 장변 길이 방향이 절개된 형태를 갖고 탄성을 갖는 소재로 구성되어, 상기 안경테의 귀 걸이 부분의 굴곡진 모양에 대응하여 삽입될 때, 상기 결합부의 절개된 부분이 벌어지되 상기 탄성에 의해 상기 안경테에 결합되는 것이며,
    상기 제 1 옆머리 누름부에 형성된 상기 옆머리 밀착부는,
    상이한 길이로 형성 된 제 1 옆머리 밀착부 및 제 2 옆머리 밀착부를 포함하되, 상기 제 1 및 제 2 옆머리 밀착부 각각은 상기 결합부의 일 단에서 서로 동일한 방향으로연장되어 소정의 두께로 형성 된 복수개의 빗살로 구성되고,
    상기 제 1 옆머리 밀착부의 복수개의 빗살은, 서로 상이한 길이를 가지되, 상기 제 2 옆머리 밀착부에 가까워질 짧은 길이를 갖도록 구성되며, 상기 제 2 옆머리 밀착부의 빗살은 상기 제 1 옆머리 밀착부의 가장 짧은 길이의 빗살과 일치하는 길이를 가지며,상기 제 1 및 제 2 옆머리 밀착부는 서로 예각을 갖도록 어긋나게 구비되되, 상기 제 2 옆머리 밀착부의 빗살 중 상기 제 1 옆머리 밀착부에 인접한 영역에 배치된 빗살은 상기 제 1 옆머리 밀착부와 가장 적은 각도를 갖도록 구비되는 것이고,
    상기 제 2 옆머리 누름부에 형성된 상기 옆머리 밀착부는 상기 제 1 옆머리 누름부의 옆머리 밀착부와 동일한 형상으로 형성되고,
    상기 제 1 및 제 2 옆머리 누름부는 상기 연결부재가 절단된 이후에 착용자의 안경테에 결합될 때, 제 1 옆머리 밀착부의 길이가 가장 긴 빗살이 상기 착용자의 구렛나루 부분과 대응되는 위치에 배치되도록 결합되어, 상기 제 1 옆머리 밀착부가 누르는 착용자의 머리카락이 상기 제 2 옆머리 밀착부가 누르는 착용자의 머리카락보다 긴 것이 되도록 배치되며,
    상기 복수개의 빗살은 서로 일정한 간격을 갖도록 형성되나, 상기 제 1 및 제 2 옆머리 누름부가 상기 착용자의 안경테에 결합되면서 간격이 벌어지도록 구성되는 것인,
    옆머리 누름 부재 세트.
  8. 삭제
  9. 삭제
KR1020170104305A 2016-08-19 2017-08-17 옆머리 누름 부재 KR101957298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05233 2016-08-19
KR20160105233 2016-08-19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20913A KR20180020913A (ko) 2018-02-28
KR101957298B1 true KR101957298B1 (ko) 2019-03-13

Family

ID=6140161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104305A KR101957298B1 (ko) 2016-08-19 2017-08-17 옆머리 누름 부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957298B1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189069B2 (ja) * 1991-06-19 2001-07-16 イートン コーポレーション ルーツ型スーパチャジャー用回転ポンプ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189069B2 (ja) * 1991-06-19 2001-07-16 イートン コーポレーション ルーツ型スーパチャジャー用回転ポンプ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20913A (ko) 2018-02-2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778483B2 (en) Eyeglasses
US20160033788A1 (en) Eyeglasses for blocking allergens
US7513618B2 (en) Nose pad
JP6212540B2 (ja) 装飾用部品を備える眼鏡フレーム
KR100724151B1 (ko) 다리의 길이 조정이 가능한 안경
KR101957298B1 (ko) 옆머리 누름 부재
KR102366742B1 (ko) 템플 바 및 템플 바를 제작하는 방법
US8684519B2 (en) Dual eyeglasses
KR20140015233A (ko) 안경다리와 안경테의 결합구조
CN207562298U (zh) 一种具有头带调整结构的游泳镜
JPWO2019082459A1 (ja) 眼鏡の支持具及び支持具付き眼鏡
US7407282B1 (en) Eyeglass temple assembly
KR101194979B1 (ko) 안경의 안경다리 연결 구조
US20140002787A1 (en) Temple Tip Device for Attaching to Glasses Temple
KR101194956B1 (ko) 안경의 안경다리 연결 구조
KR100930422B1 (ko) 미끄럼 방지 기능을 갖는 안경다리
KR20180107677A (ko) 안경용 안경다리
KR200451258Y1 (ko) 안경테와 안경다리의 교체가 용이한 소비자 맞춤형안경프레임
KR101149694B1 (ko) 안경용 코걸이 결합구조
KR200347380Y1 (ko) 폴리플렉스티알90 소재의 안경 구조
KR0118221Y1 (ko) 물안경의 렌즈프레임 연결구조
KR101350936B1 (ko) 착탈식 보조안경
EP2037313A1 (en) Nose pad
GB2403556A (en) Swimming goggles
KR200256546Y1 (ko) 신축조절이 용이한 안경다리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