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0017432A - 데이터 통신 시스템, 제어장치 및 데이터 통신방법 - Google Patents

데이터 통신 시스템, 제어장치 및 데이터 통신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0017432A
KR20030017432A KR1020020050275A KR20020050275A KR20030017432A KR 20030017432 A KR20030017432 A KR 20030017432A KR 1020020050275 A KR1020020050275 A KR 1020020050275A KR 20020050275 A KR20020050275 A KR 20020050275A KR 20030017432 A KR20030017432 A KR 2003001743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ignal
voltage
circuit
contacts
operating voltag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2005027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아츠오 이노우에
Original Assignee
마츠시타 덴끼 산교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claimed from JP2001254266A external-priority patent/JP3519708B2/ja
Priority claimed from JP2001366480A external-priority patent/JP3523636B2/ja
Application filed by 마츠시타 덴끼 산교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마츠시타 덴끼 산교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03001743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0017432A/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12/00Data switching networks
    • H04L12/02Details
    • H04L12/10Current supply arrangement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25/00Baseband systems
    • H04L25/38Synchronous or start-stop systems, e.g. for Baudot code
    • H04L25/40Transmitting circuits; Receiving circuits
    • H04L25/45Transmitting circuits; Receiving circuits using electronic distributors

Abstract

본 발명은 접촉식 데이터 전송 시스템에 있어서 2 개의 접점만으로, 전력이나 클록의 공급과, 순차데이터(serial data)의 쌍방향 통신을 동시에 가능하게 하기 위한 것이다.
제어장치(1)에서 제 1 송신신호(TS1)가 "L"일 때, 제 1 동작전압(Vout)이 높아져 신호(CK, ICK) 진폭은 커지는 한편, "H"일 때 진폭은 작아진다. 데이터 전송장치(2)에서, 신호(CK, ICK)는 정류회로(21)에 의하여 전파(全波)정류되어 제 2 동작전압이 되고, 제 1 신호검출회로(22)에 의해 제 1 수신신호(RS2)로서 추출된다. 한편, 데이터 전송장치(2)에서, 제 2 송신신호(TS2)가 "L"일 때, 접점(A, B)간의 임피던스가 작아져 신호(CK, ICK) 진폭은 작아지는 한편, "H"일 때 진폭은 커진다. 제어장치(1)에서 제 2 신호검출회로(15)에 의하여 신호(ICK) 진폭의 변화는 제 2 수신신호(RS1)로서 추출된다.

Description

데이터 통신 시스템, 제어장치 및 데이터 통신방법{DATA COMMUNICATION SYSTEM, CONTROLLER DEVICE, AND DATA COMMUNICATION METHOD}
본 발명은 데이터 통신시스템에 관한 것이며, 특히 제어장치와 데이터 전송장치를 구비하고 이들이 2 선으로 접속된 접촉식 데이터 전송시스템에 적합한 데이터 전송기술에 속한다.
도 1은, 종래의 데이터 통신시스템의 개략 구성도이다. 도 1에 나타낸 바와 같이 종래의 구성에서는, 데이터 전송장치(52)와 제어장치(51) 사이에서 데이터통신을 하기 위해, 이들 장치끼리 전원, 접지, 클록 및 데이터신호에 각각 관계되는 4 개의 접점을 개재하고 접속되었다.
이와 같이 종래의 데이터 통신시스템의 경우, 데이터통신을 하기 위해 4 개의 접점이 필요하므로 시스템을 소형화하기가 어려웠다.
상기 문제에 감안하여 본 발명은 제어장치와 데이터 전송장치 사이에, 2 개의 접점만을 개재시켜 데이터통신을 가능하게 하는 데이터 통신시스템의 제공을 과제로 한다.
도 1은 종래 데이터 통신 시스템의 개략구성도.
도 2는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관한 데이터 통신 시스템의 구성도.
도 3은 도 2의 데이터 통신 시스템 동작을 나타내는 타이밍도.
도 4는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관한 데이터 통신 시스템의 구성도.
도 5는 도 4의 데이터 통신 시스템 동작을 나타내는 타이밍도.
도 6은 도 2의 전압레벨 발생회로의 다른 구성도.
도 7은 도 2의 제 1 송신회로의 다른 구성도.
도 8은 본 발명의 제 3 실시예에 관한 데이터 통신 시스템의 구성도.
도 9는 도 8의 데이터 통신 시스템 동작을 나타내는 타이밍도.
도 10은 본 발명의 제 4 실시예에 관한 데이터 통신 시스템의 구성도.
도 11은 도 10의 데이터 통신 시스템 동작을 나타내는 타이밍도.
도 12는 본 발명의 제 5 실시예에 관한 데이터 통신 시스템의 구성도.
도 13은 도 12의 데이터 통신 시스템 동작을 나타내는 타이밍도.
도 14는 데이터 전송장치에 의한 오류 데이터 추출 시의 타이밍도.
도 15는 본 발명의 제 6 실시예에 관한 데이터 통신 시스템의 구성도.
도 16은 도 15의 데이터 통신 시스템에서의 제 1 신호검출회로 구성도
도 17은 도 15의 데이터 통신 시스템 동작을 나타내는 타이밍도.
도 18은 도 15의 데이터 통신 시스템 동작을 나타내는 타이밍도.
도 19는 본 발명의 제 7 실시예에 관한 데이터 통신 시스템의 제 1 신호검출회로 구성도.
도 20은 제 7 실시예에 관한 데이터 통신 시스템 동작을 나타내는 타이밍도.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 1A, 1B, 1C, 1D, 1E : 제어장치
2, 2A, 2B, 2C, 2D, 2E : 데이터 전송장치
11 : 전원 12, 12A, 17 : 클록 발생회로
13, 13A, 131, 132, 133 : 전압레벨 발생회로
R1, R2, R3 : 저항
14, 141, 142, 143 : 제 1 송신회로
14a, 141a, 142a, 143a : MOS 트랜지스터(스위칭소자)
15, 15A : 제 2 신호검출회로
16 : 펄스 폭 변환회로 18 : 제 1 송신회로
21, 21A : 정류회로
22, 22A, 22B, 26, 28 : 제 1 신호검출회로
23 : 제 2 송신회로 24, 24A : 클록검출회로
25 : 조절기(regulator)
CK : 클록 펄스신호 ICK : 반전 클록 펄스신호
Vout : 제 1 동작전압, 신호전압
Vin : 제 2 동작전압 TS1 : 제 1 송신신호
RS2 : 제 1 수신신호 TS2 : 제 2 송신신호
RS1 : 제 2 수신신호 221 : 저역통과필터
222 : 고역통과필터 223 : 비교기
224 : 플립플롭 CK1 : 제어장치의 동작클록
CK2 : 데이터 전송장치의 동작클록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본 발명이 강구한 제 1 해결수단은, 제어장치와 데이터 전송장치가 제 1 및 제 2 접점을 개재하고 데이터통신을 실행하는 시스템으로서, 상기 제어장치는, 전력을 공급하는 전원과, 클록 펄스신호를 생성하여, 상기 제 1 및 제 2 접점의 적어도 한쪽에 공급하는 클록발생회로와, 상기 전원 전압을 변환시켜 상기 클록발생회로에 제 1 동작전압으로서 공급하는 전압레벨 발생회로와, 상기 전압레벨 발생회로가 생성하는 상기 제 1 동작전압을 제 1 송신신호에 따라 변화시키는 제 1 송신회로를 구비하는 것이며, 상기 데이터 전송장치는, 상기 제 1 및 제 2 접점간 전압을 정류시켜, 당해 데이터 전송장치에 제 2 동작전압으로서 공급하는 정류회로와, 상기 정류회로에 의해 정류된 상기 제 2 동작전압의 변화를 제 1 수신신호로서 검출하는 제 1 신호검출회로와, 상기 제 1 및 제 2 접점의 적어도 한쪽에 공급된 클록펄스신호로부터 동작클록을 생성하는 클록검출회로를 구비하는 것이다.
상기 발명에 의하면, 제어장치가 구비하는 클록발생회로로부터, 제 1 및 제 2 접점의 적어도 한쪽에 클록 펄스신호가 공급되며, 데이터 전송장치에서는, 제 1 및 제 2 접점간 전압이 정류회로에 의해 정류되어 제 2 동작전압이 된다. 또 공급된 클록 펄스신호로부터 클록검출회로에 의해 동작클록이 생성된다. 또한 클록발생회로의 제 1 동작전압은 제 1 송신신호에 따라 변화하고, 이로써 제어장치로부터 공급되는 클록 펄스신호의 진폭이 변화한다. 데이터 전송장치에서는, 클록 펄스신호의 진폭 변화에 기인하는, 정류된 제 2 동작전압의 변화를 제 1 수신신호로서 검출한다. 이로써 제어장치로부터 데이터 전송장치로의 전력과 클록의 공급과, 순차 데이터통신을, 제 1 및 제 2 접점만을 개재하고 실행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발명에서, 상기 데이터 통신시스템의 전압레벨 발생회로는, 상기 전원과 접지간에 직렬로 배치된 복수의 저항을 가지고, 상기 복수 저항 중 어느 하나의 한쪽 끝에서 상기 제 1 동작전압을 공급하는 것으로 하며, 상기 제 1 송신회로는, 상기 복수 저항 중 적어도 1 개와 병렬로 접속되며 또, 도통 ·비도통이 상기 제 1 송신신호에 따라 절환되는 스위칭소자를 갖는 것으로 한다.
또 상기 발명에서, 상기 데이터 통신시스템의 전압레벨 발생회로는, 상기 전원과 접지 사이에 직렬로 배치된 복수의 저항을 가지며, 상기 복수의 저항 중 어느 하나의 한쪽 끝에서 상기 제 1 동작전압을 공급하는 것으로 하며, 상기 제 1 송신회로는, 상기 복수 저항 중 적어도 1 개와 직렬로 접속되며 또, 도통 ·비도통이 상기 제 1 송신신호에 따라 절환되는 스위칭소자를 갖는 것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이 강구한 제 2 해결수단은, 제어장치와 데이터 전송장치가 제 1 및 제 2 접점을 개재하고 데이터통신을 실행하는 시스템으로서, 상기 제어장치는, 전력을 공급하는 전원과, 상기 전원의 전압을 변환시켜 상기 제 1 및 제 2 접점간에 신호전압으로서 공급하는 전압레벨 발생회로와, 상기 전압레벨 발생회로가생성하는 상기 신호전압을 제 1 송신신호에 따라 변화시키는 제 1 송신회로를 구비하는 것이며, 상기 데이터 전송장치는, 상기 제 1 및 제 2 접점간 전압을 안정시켜, 당해 데이터 전송장치의 동작전압으로서 공급하는 조절기(regulator)와, 상기 제 1 및 제 2 접점간 전압의 변화를 제 1 수신신호로서 검출하는 제 1 신호검출회로를 구비하는 것이다.
상기 발명에 의하면, 제어장치가 구비하는 전압레벨 발생회로로부터 제 1 및 제 2 접점간에 신호전압이 공급되며, 데이터 전송장치에서는 제 1 및 제 2 접점간의 전압이 조절기에 의해 안정시켜져 동작전압이 된다. 또 제어장치로부터 공급되는 신호전압은 제 1 송신신호에 따라 변화한다. 데이터 전송장치에서는 신호전압의 변화를 제 1 수신신호로서 검출한다. 이로써 제어장치로부터 데이터 전송장치로의 전력공급과, 순차 데이터통신을 제 1 및 제 2 접점만을 개재하고 실행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 상기 제 2 해결수단의 데이터 통신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제어장치는, 상기 제 1 및 제 2 접점간 전압의 변화를 제 2 수신신호로서 검출하는 제 2 신호검출회로를 구비하는 것이며, 상기 데이터 전송장치는, 상기 제 1 및 제 2 접점간의 임피던스를 제 2 송신신호에 따라 변화시키는 제 2 송신회로를 구비하는 것이다.
상기 발명에 의하면, 데이터 전송장치에서는 제 1 및 제 2 접점간의 임피던스를 제 2 송신신호에 따라 변화시킨다. 제어장치에서는, 임피던스 변화에 기인하는 제 1 및 제 2 접점간의 전압을 제 2 송신신호로서 검출한다. 이로써, 양 장치간에서의 순차데이터의 쌍방향 통신을 제 1 및 제 2 접점만을 개지하고 실행할 수 있다.
그리고 본 발명 상기 제 2 해결수단의 데이터 통신시스템에 있어서 전압레벨 발생회로는, 상기 전원과 접지 사이에 직렬로 배치된 복수의 저항을 가지며, 상기 복수의 저항 중 어느 하나의 한쪽 끝에서 상기 신호전압을 공급하는 것으로 하고, 상기 제 1 송신회로는, 상기 복수 저항 중 적어도 1 개와 병렬로 접속되며 또, 도통??비도통이 상기 제 1 송신신호에 따라 절환되는 스위칭소자를 갖는 것으로 한다.
또 본 발명이 강구한 제 3 해결수단은, 제어장치와 데이터 전송장치가, 제 1 및 제 2 접점을 개재하고 데이터통신을 실행하는 시스템으로서, 상기 제어장치는, 전력을 공급하는 전원과, 클록 펄스신호를 생성하여 상기 제 1 및 제 2 접점의 적어도 한쪽에 공급하는 클록발생회로와, 상기 전원 전압을 변환시켜 상기 클록발생회로에 제 1 동작전압으로서 공급하는 전압레벨 발생회로와, 상기 클록발생회로가 생성하는 상기 클록 펄스신호의 펄스 폭을 제 1 송신신호에 따라 변화시키는 펄스 폭 변환회로를 구비하는 것이며, 상기 데이터 전송장치는, 상기 제 1 및 제 2 접점간 전압을 정류시켜 당해 데이터 전송장치에 제 2 동작전압으로서 공급하는 정류회로와, 상기 제 1 및 제 2 접점의 한쪽 펄스 폭 변화를 제 1 수신신호로서 검출하는 제 1 신호검출회로를 구비하는 것이다.
상기 발명에 의하면, 제어장치가 구비하는 클록 발생회로로부터 제 1 및 제 2 접점의 적어도 한쪽에 클록 펄스신호가 공급되며, 데이터 전송장치에서는, 제 1 및 제 2 접점간 전압이 정류회로에 의해 정류되어 제 2 동작전압이 된다. 또 제어장치로부터 공급되는 클록 펄스신호의 펄스 폭은 제 1 송신신호에 따라 변화한다. 데이터 전송장치에서는 클록 펄스신호의 펄스 폭 변화를 제 1 수신신호로서 검출한다. 이로써 제어장치로부터 데이터 전송장치로의 전력공급과, 순차 데이터통신을 제 1 및 제 2 접점만을 개재하고 실행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이 강구한 제 4 해결수단은, 제어장치와 데이터 전송장치가 제 1 및 제 2 접점을 개재하고 데이터통신을 실행하는 시스템으로서, 상기 제어장치는, 전력을 공급하는 전원과, 상기 전원으로부터 제 1 동작전압을 받아 클록 펄스신호를 생성하여 상기 제 1 및 제 2 접점의 적어도 한쪽에 공급하는 클록발생회로와, 상기 클록발생회로가 생성하는 상기 클록 펄스신호의 어느 한쪽 전압레벨을 제 1 송신신호에 따라 변화시키는 제 1 송신회로를 구비하는 것이며, 상기 데이터 전송장치는, 상기 제 1 및 제 2 접점간 전압을 정류시켜, 당해 데이터 전송장치에 제 2 동작전압으로서 공급하는 정류회로와, 상기 정류회로에 의해 정류된 상기 제 2 동작전압의 변화를 제 1 수신신호로서 검출하는 제 1 신호검출회로와, 상기 제 1 및 제 2 접점의 적어도 한쪽에 공급된 상기 클록 펄스신호로부터 동작클록을 생성하는 클록검출회로를 구비하는 것이다.
상기 발명에 의하면, 제어장치가 구비하는 클록발생회로로부터 제 1 및 제 2 접점의 적어도 한쪽에 클록 펄스신호가 공급되며, 데이터 전송장치에서는 제 1 및 제 2 접점간 전압이 정류회로에 의해 정류되어 제 2 동작전압이 된다. 또 공급된 클록 펄스신호로부터, 클록검출회로에 의해 동작클록이 생성된다. 또한 제어장치로부터 공급되는 클록 펄스신호는 어느 한쪽의 전압레벨이 제 1 송신신호에 따라 변화한다. 데이터 전송장치에서는 클록 펄스신호의 어느 한쪽 전압레벨의 변화에 기인하는 정류된 제 2 동작전압의 변화를 제 1 수신신호로서 검출한다. 이로써 제어장치로부터 데이터 전송장치로의 전력과 클록의 공급과, 순차 데이터통신을 제 1 및 제 2 접점만을 개재하고 실행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발명의 데이터 통신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제어장치는, 상기 제 1 및 제 2 접점 중 어느 하나의 전압진폭 변화를 제 2 수신신호로서 검출하는 제 2 신호검출회로를 구비하는 것이며, 상기 데이터 전송장치는, 상기 제 1 및 제 2 접점간의 임피던스를 제 2 송신신호에 따라 변화시키는 제 2 송신회로를 구비하는 것이다.
상기 발명에 의하면, 데이터 전송장치에서는 제 1 및 제 2 접점간의 임피던스를 제 2 송신신호에 따라 변화시킨다. 제어장치에서는 임피던스 변화에 기인하는, 제 1 및 제 2 접점 중 한쪽의 전압진폭 변화를 제 2 송신신호로서 검출한다. 이로써 양 장치간에서의 순차 데이터 쌍방향 통신을 제 1 및 제 2 접점만을 개재하고 실행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발명의 데이터 통신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제어장치는, 상기 전압레벨 발생회로가 상기 제 1 동작전압을 출력하는 단자의 전압진폭 변화를 제 2 수신신호로서 검출하는 제 2 신호검출회로를 구비하는 것이며, 상기 데이터 전송장치는, 상기 제 1 및 제 2 접점간의 임피던스를 제 2 송신신호에 따라 변화시키는 제 2 송신회로를 구비하는 것이다.
또 상기 발명의 데이터 통신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제어장치는, 상기 제 1 접점에, 상기 클록발생회로에 의해 생성된 상기 클록 펄스신호를 공급함과 동시에, 상기 제 2 접점에, 상기 클록발생회로에 의해 생성된 상기 클록 펄스신호의 역상 반전 클록 펄스신호를 공급하는 것으로 하며, 상기 정류회로는, 상기 제 1 및 제 2 접점간의 전압에 대해 전파정류를 실행하는 것으로 한다.
또한 상기 발명의 데이터 통신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제어장치는, 상기 제 1 접점에, 상기 클록발생회로에 의해 생성된 상기 클록 펄스신호를 공급함과 동시에, 상기 제 2 접점에, 접지전위를 공급하는 것으로 하며, 상기 정류회로는, 상기 제 1 및 제 2 접점간의 전압에 대해 반파(半波)정류를 실행하는 것으로 한다.
또 상기 발명의 데이터 통신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제어장치는, 상기 전압레벨 발생회로와 상기 클록발생회로가 직렬로 접속되는 것으로 한다.
한편 상기 발명의 데이터 통신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클록발생회로는, 상기 클록 펄스신호 및 이를 반전시킨 반전 클록 펄스신호를 생성하여 상기 제 1 및 제 2 접점에 각각 공급하는 것이며, 상기 제 1 송신회로는, 상기 클록 펄스신호 및 반전 클록 펄스신호의 에지에서 어긋나게 한 안정된 기간에, 상기 클록발생회로에 공급되는 제 1 동작전압의 상승에지가 발생하도록, 상기 제 1 동작전압을 상기 제 1 송신신호에 따라 변화시키는 것으로 한다.
상기 발명에 의하면, 클록 펄스신호 및 반전 클록 펄스신호간의 스큐가 발생한 기간과 클록발생회로에 공급되는 제 1 동작전압의 상승에지 발생 시점이 중복되지 않도록 할 수 있다. 이로써 스큐 기간에 데이터 전송장치에서 발생하는 제 2 동작전압의 강하와 제 1 송신신호 전압의 상승이 겹쳐 발생하는 제 2 동작전압의 무딘 변화를 없앨 수 있다. 따라서 데이터 전송장치의 제 2 동작전압의 변화는 예리해지고, 이 제 2 동작전압의 변화를 제 1 수신신호로서 추출하는 것이 수월해져, 제어장치로부터 데이터 전송장치로 전송되는 데이터를 정확하게 추출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발명의 데이터 통신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제 1 송신회로는, 상기 제 1 동작전압의 상승에지 및 하강에지에 따른 전압의 변화가 상기 클록 펄스신호 및 반전 클록 펄스신호 중 어느 한쪽에 나타나도록, 상기 제 1 동작전압을 상기 제 1 송신신호에 따라 변화시키는 것으로 한다.
또 상기 발명의 데이터 통신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제 1 송신회로는, 상기 제 1 동작전압의 상승에지에 따른 전압의 변화가 상기 클록 펄스신호 및 반전 클록 펄스신호 중 어느 한쪽에 나타나고, 하강에지에 따른 전압의 변화가 다른 쪽에 나타나도록, 상기 제 1 동작전압을 상기 제 1 송신신호에 따라 변화시키는 것으로 한다.
또한 상기 발명의 데이터 통신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제 1 송신회로는, 상기 제 1 동작전압에 있어서, 논리레벨 "H"를 나타내는 전위 기간과 논리레벨 "L"을 나타내는 전위 기간에 차를 두어, 상기 제 1 동작전압을 상기 제 1 송신신호에 따라 변화시키는 것으로 한다.
상기 발명에 의하면, 제 1 동작전압의 전위에 관해, 보다 많은 소비전력을 필요로 하는 논리레벨을 나타내는 전위 기간을 짧게 함으로써, 전압레벨 생성회로에서의 소비전력을 저감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전압레벨 생성회로가 논리레벨 "H"를 나타내는 전위를 생성하는 기간 쪽이 많은 소비전력을 필요로 하도록 회로구성이 되어 있을 경우, "H"를 나타내는 전위 기간을 "L"을 나타내는 것에 비해 짧게 함으로써, 전압레벨 생성회로에서의 소비전력을 저감시킬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발명의 데이터 통신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제 1 신호검출회로는, 변화 검출대상이 될 전압을 받아, 이 전압의 에지를 검출하는 고역통과필터를 구비하는 것으로 한다.
상기 발명에 의하면, 데이터 전송장치의 제 2 동작전압 또는 제 1 및 제 2 접점간 전압에서의 전압 차로서 중첩된 송신신호의 논리레벨을 식별하기 위해서는, 이들 제 2 동작전압 또는 제 1 및 제 2 접점간 전압의 에지를 검출하면 되므로 데이터 추출이 용이해진다.
상기 발명의 상기 데이터 통신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제 1 신호검출회로는, 상기 전압에 포함되는 노이즈를 제거하는 저역통과필터와, 상기 고역통과필터를 통과한 신호레벨과 소정 레벨을 비교하는 비교기와, 상기 비교기의 비교 결과를 입력하여, 상기 클록검출회로에 의해 생성된 상기 동작클록에 동기시킨 신호를, 상기 제 1 수신신호로서 검출하는 플립플롭을 구비하는 것으로 하며, 상기 고역통과필터는, 상기 저역통과필터를 통과한 신호를 입력하는 것으로 한다.
그리고 본 발명이 강구한 제 5 해결수단은, 데이터 전송장치와의 사이에서 제 1 및 제 2 접점을 개재하고 데이터통신을 실행하는 제어장치로서, 전력을 공급하는 전원과, 클록 펄스신호 및 이를 반전시킨 반전 클록 펄스신호를 생성하여 상기 제 1 및 제 2 접점에 각각 공급하는 클록발생회로와, 상기 전원의 전압을 변환시켜 상기 클록발생회로에 동작전압으로서 공급하는 전압레벨 발생회로와, 상기 전압레벨 발생회로가 생성하는 상기 동작전압을 송신신호에 따라 변화시키는 송신회로를 구비하며, 상기 클록 펄스신호 및 반전 클록 펄스신호의 에지에서 어긋나게 한 안정된 기간에, 상기 동작전압의 상승에지가 발생하도록 상기 동작전압을 생성하는 것으로 한다.
한편, 본 발명이 강구한 제 6 해결수단은, 제어장치와 데이터 전송장치 사이에서 제 1 및 제 2 접점을 개재하고 데이터통신을 행하는 방법으로서, 상기 제어장치는 클록 펄스신호를 생성하며, 상기 제어장치는 상기 클록 펄스신호의 전압레벨을, 제 1 송신신호에 따라 변화시켜 상기 제 1 및 제 2 접점의 적어도 한쪽에 공급하고, 상기 데이터 전송장치는, 상기 제 1 및 제 2 접점간 전압을 정류시켜 당해 데이터 전송장치에 제 2 동작전압으로서 공급하며, 상기 데이터 전송장치는 상기 제 2 동작전압의 변화를 제 1 수신신호로서 검출하고, 상기 데이터 전송장치는 상기 제 1 및 제 2 접점의 적어도 한쪽에 공급된 클록 펄스신호로부터 동작클록을 생성하며, 상기 제어장치는 상기 제 1 및 제 2 접점 중 한쪽 전압 진폭의 변화를 제 2 수신신호로서 검출하고, 상기 데이터 전송장치는 상기 제 1 및 제 2 접점간의 임피던스를 제 2 송신신호에 따라 변화시키는 것으로 한다.
또 본 발명이 강구한 제 7 해결수단은, 제어장치와 데이터 전송장치 사이에서 제 1 및 제 2 접점을 개재하고 데이터통신을 행하는 방법으로서, 상기 제어장치는, 전원 전압을 송신신호에 따라 변화시킨 제 1 동작전압을 생성하고, 상기 제어장치는, 상기 제 1 동작전압을 동작전압으로 하는 클록 펄스신호 및 반전 클록 펄스신호를 생성하며, 상기 제어장치는, 상기 클록 펄스신호 및 이를 반전시킨 반전클록 펄스신호를 상기 제 1 및 제 2 접점에 각각 공급하고, 상기 데이터 전송장치는, 상기 제 1 및 제 2 접점간 전압을 정류시켜 당해 데이터 전송장치의 동작전압으로서 제 2 동작전압을 생성하며, 상기 데이터 전송장치는, 상기 제 2 동작전압의 변화를 수신신호로서 검출하고, 상기 제 1 동작전압의 생성은, 상기 클록 펄스신호 및 반전 클록 펄스신호의 에지에서 어긋나게 한 안정된 기간에, 상기 제 1 동작전압의 상승에지가 발생하도록 하여 실행되는 것으로 한다.
그리고 상기 발명의 데이터 통신방법에 있어서, 상기 제 1 동작전압의 생성은, 상기 제 1 동작전압의 상승에지에 따른 전압의 변화가 상기 클록 펄스신호 및 반전 클록 펄스신호 중 어느 한쪽에 나타나고, 하강에지에 따른 전압의 변화가 다른 쪽에 나타나도록, 상기 제 1 동작전압을 상기 송신신호에 따라 변화시키도록 하여 실행되는 것으로 한다.
상술한 목적 및 기타의 목적과 본 발명의 특징 및 이점은 첨부 도면과 관련한 다음의 상세한 설명을 통해 보다 분명해 질 것이다.
(실시예)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도면을 참조하면서 설명하기로 한다.
(제 1 실시예)
도 2는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관한 데이터 통신시스템의 구성을 나타낸다. 도 2의 구성에서는 제어장치(1)와 데이터 전송장치(2)가 2 개의 접점(A, B)을 개재하고 데이터통신을 실행한다.
제어장치(1)는 전력을 공급하는 전원(11)과, 클록 펄스신호(CK)(이하신호(CK)로 함) 및 그 역상의 반전 클록 펄스신호(ICK)(이하 신호(ICK)로 함)를 생성하여 제 1 및 제 2 접점(A, B)에 각각 공급하는 클록발생회로(12)와, 전원(11) 전압을 변환시켜 클록발생회로(12)에 제 1 동작전압(Vout)으로서 공급하는 전압발생회로(13)와, 전압발생회로(13)가 생성하는 제 1 동작전압(Vout)을 제 1 송신신호(TS1)에 따라 변화시키는 제 1 송신회로(14)와, 제 2 접점(B)의 전압 진폭 변화를 제 2 수신신호(RS1)로서 검출하는 제 2 신호검출회로(15)를 구비한다. 클록발생회로(12)로부터 공급되는 신호(CK, ICK)의 진폭은, 전압레벨 발생회로(13)가 생성하는 제 1 동작전압(Vout)에 따라 정해진다. 즉 신호(CK, ICK)의 진폭은 제 1 송신회로(14)에 의해, 제 1 송신신호(TS1)에 따라 변화한다.
한편, 데이터 전송장치(2)는 제 1 및 제 2 접점(A, B)간 전압을 정류시키는 정류회로(21)와, 제 1 및 제 2 접점(A, B)에 공급된 신호(CK, ICK)의 진폭 변화를 제 1 수신신호(RS2)로서 검출하는 제 1 신호검출회로(22)와, 제 1 및 제 2 접점(A, B)간의 임피던스를 제 2 송신신호(TS2)에 따라 변화시키는 제 2 송신회로(23)와, 제 1 접점(A)의 신호로부터 데이터 전송장치(2)의 동작클록(CK2)을 생성하는 클록검출회로(24)를 구비한다. 정류회로(21)의 출력은 제 2 동작전압으로서, 데이터 전송장치(2)에 공급된다. 또 제 2 송신회로(23)에 의한 임피던스 변화에 기인한, 제 1 및 제 2 접점(A, B)간의 전압 변화가, 신호로서 제어장치(1)에 주어진다.
제어장치(1)에서 전압레벨 발생회로(13)는, 전원(11) 전압을 분압하기 위한 복수의 저항(R1, R2, R3)을 가지며, 저항 R2와 R3 사이의 전압을 제 1 동작전압(Vout)으로서 출력한다. 또 제 1 송신회로(14)는, 전압레벨 발생회로(13)의 저항(R2)과 병렬로 접속된 MOS트랜지스터(14a)를 구비한다. 스위칭소자로서 MOS트랜지스터(14a)의 게이트에는 제 1 송신신호(TS1)가 주어진다. MOS트랜지스터(14a)의 도통 ·비도통은, 제 1 송신신호(TS1)의 전압레벨에 따라 절환된다. MOS트랜지스터(14a)가 도통상태일 때는 저항(R2) 양단이 단락되므로, 제 1 동작전압(Vout)은 상대적으로 높아진다. 한편 MOS트랜지스터(14a)가 비 도통상태일 때는 제 1 동작전압(Vout)은 상대적으로 낮아진다.
또 클록발생회로(12)는 직렬로 접속된 2 단의 인버터(12a, 12b)로 구성된다. 제 1 인버터(12a)로부터는, 주어진 동작클록(CK1)과 동일 상(phase)인 신호(CK)가 출력된다. 한편 제 2 인버터(12b)로부터는 동작클록(CK1)과 역상인 신호(ICK)가 출력된다. 전압레벨 발생회로(13)로부터 출력된 제 1 동작전압(Vout)은, 인버터(12a, 12b)의 전력공급단자로 각각 공급되고, 신호(CK, ICK) 진폭은 이 제 1 동작전압(Vout)에 따라 변화한다. 또 제 2 신호검출회로(15)는 접점(B)에 접속되어, 신호(ICK)에 중첩된, 데이터 전송장치(2)로부터 전송된 신호를 검출한다.
한편, 데이터 전송장치(2)에서 정류회로(21)는, 제어장치(1)로부터 신호(CK, ICK)가 송신된 제 1 및 제 2 접점(A, B)간 전압에 대해 전파정류를 행한다. 제 1 신호검출회로(22)는, 정류회로(21)에 의해 정류된 제 2 동작전압에 중첩된 신호 성분을 추출하여 제 1 수신신호(RS2)로서 출력한다.
또 제 2 송신회로(23)는, 제 1 및 제 2 접점(A, B)간에 직렬로 접속된 저항(23a)과 스위칭소자(23b)를 구비한다. 그리고 제 2 송신신호(TS2)에 의해 스위칭소자(23b)의 도통??비도통을 절환함으로써, 제 1 및 제 2 접점(A, B)간의 임피던스를 변화시킨다. 이로써 제어장치(1)로 신호를 전한다.
또한 클록검출회로(24)는, 제 1 접점(A)의 전압을 입력으로 하는 인버터(24a)로 구성되며, 제어장치(1)로부터 출력된 신호(CK)를 검출하여 데이터 전송장치(2)의 동작클록(CK2)으로서 출력한다.
이상과 같이 구성된 데이터 통신시스템에 대하여 그 동작을 설명한다.
우선 제어장치(1)로부터 데이터 전송장치(2)로의 데이터전송은 다음과 같이 실행된다.
제어장치(1)에 있어서, 클록발생회로(12)의 입력단자에는 제어장치(1)의 동작클록(CK1)이 입력된다. 인버터(12a)로부터는 동작클록(CK1)과 동일 상인 신호(CK)가 출력됨과 동시에, 인버터(12b)로부터는 동작클록(CK1)과 역상인 신호(ICK)가 출력된다. 그리고 제 1 송신신호(TS1)가 "L"레벨일 때, 제 1 송신회로(14)의 MOS트랜지스터(14a)는 도통상태로 된다. 이로써 전압레벨 발생회로(13)로부터 출력되는 제 1 동작전압(Vout)은 전원(11)전압의 R3/(R1+R3)배로 된다. 한편, 제 1 송신신호(TS1)가 "H"레벨일 때, MOS트랜지스터(14a)는 비도통상태로 된다. 이로써 제 1 동작전압(Vout)은 전원(11)전압의 R3/(R1+R2+R3)배로 되어, 신호(TS1)가 "L"일 때보다 낮아진다. 즉 제 1 송신신호(TS1)가 "L"일 때는 신호(CK, ICK)의 진폭이 커지는 한편, "H"일 때는 그 진폭이 작아진다. 신호(CK, ICK)는 도 3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제 1 및 제 2 접점(A, B)으로 각각 출력된다.
데이터 전송장치(2)는, 제 1 및 제 2 접점(A, B)으로부터 신호(CK, ICK)를 수신한다. 이 신호(CK, ICK)는 정류회로(21)에 의해 전파 정류되고, 이로써 데이터전송장치(2)를 동작시키기 위한 제 2 동작전압이 생성된다. 이 정류된 제 2 동작전압에는, 도 3에 나타낸 바와 같이(단자 C-D간) 신호가 중첩되므로, 이 단자(C-D)간 전압 차를 제 1 신호검출회로(22)에 의해 추출하여, 송신된 신호를 제 1 수신신호(RS2)로서 복원한다.
한편 데이터 전송장치(2)로부터 제어장치(1)로의 데이터전송은 다음과 같이 행해진다.
데이터 전송장치(2)에 있어서, 제 2 송신신호(TS2)가 "L"일 때 제 2 송신회로(23)의 스위칭소자(23b)는 도통상태로 되므로, 제 1 및 제 2 접점(A, B)간의 임피던스는 작아진다. 한편 제 2 송신신호(TS2)가 "H"일 때 스위칭소자(23b)는 비도통상태로 되므로, 접점(A, B)간의 임피던스는 커진다. 때문에 접점(A, B)에서의 신호(CK, ICK) 진폭은, 제 2 송신신호(TS2)가 "L"일 때는 작아지는 한편, "H"일 때는 커진다.
제어장치(1)는 제 2 접점(B)에서의 신호(ICK) 진폭의 변화를, 제 2 신호검출회로(15)에 의해 추출하고, 데이터 전송장치(2)로부터 송신된 신호를 제 2 수신신호(RS1)로서 복원한다.
이와 같이 도 2의 구성에 의하면, 데이터 전송장치(2)는 제어장치(1)로부터 접점(A, B)을 개재하고 송신된 신호(CK, ICK)로부터, 자기 동작전압인 제 2 동작전압과 동작클록을 얻는다. 또 제어장치(1) 및 데이터 전송장치(2)는, 신호(CK, ICK)의 진폭 변화에 의해 데이터를 서로 송신한다. 즉 제어장치(1)로부터 데이터 전송장치(2)로의 전력 및 클록의 공급과, 양 장치간의 순차 데이터 쌍방향 통신을, 2개의 접점만을 개재하고 실행할 수 있다.
(제 2 실시예)
도 4는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관한 데이터 통신시스템을 나타낸다. 도 4에 있어서 도 2와 공통된 구성요소에는 도 2와 동일 부호를 부여하고 여기서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도 2와 비교하면 도 4의 구성에서는, 우선 제어장치(1A)에서 클록발생회로(12) 대신에 신호(CK)만을 출력하고 신호(ICK)를 출력하지 않는 클록발생회로(12A)가 구성된다. 또 제 2 신호검출회로(15) 대신 전압레벨 발생회로(13)가 제 1 동작전압(Vout)을 출력하는 단자의 전압 진폭 변화를 제 2 수신신호(RS1)로서 검출하는 제 2 신호검출회로(15A)가 구성된다. 클록발생회로(12A)는 1 개의 인버터(12c)로 구성되며, 제어기(1A) 동작클록(CK1)의 역상신호를, 신호(CK)로서 제 1 접점(A)에 출력한다. 이 신호(CK)의 진폭은, 도 2의 구성과 마찬가지로 제 1 송신신호(TS1)에 따라 변화한다. 또 제 2 접점(B)에는 접지전압이 주어진다.
또 데이터 전송장치(2A)에서는, 전파정류를 행하는 정류회로(21) 대신 제 1 접점(A)으로 송신되는 신호(CK)에 대해 반파정류를 행하는 정류회로(21A)가 구성된다. 정류회로(21A)에 의해 반파 정류된 제 2 동작전압은, 데이터 전송장치(2A)의 동작전압으로서 이용된다.
이상과 같이 구성된 데이터 통신시스템에 대하여 그 동작을 설명한다.
우선 제어장치(1A)로부터 데이터 전송장치(2A)로의 데이터 전송은 다음과 같이 실행된다.
제어장치(1A)에 있어서, 클록발생회로(12A)의 입력단자에는 제어장치(1A)의 동작클록(CK1)이 입력되고, 인버터(12c)로부터 동작클록(CK1)에 대해 역상 신호(CK)가 출력된다. 그리고 도 2 구성의 동작과 마찬가지로, 제 1 송신신호(TS1)가 "L"일 때 신호(CK) 진폭은 커지는 한편, "H"일 때 그 진폭은 작아진다. 신호(CK)는 도 5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제 1 접점(A)에 출력된다.
데이터 전송장치(2A)는 제 1 접점(A)으로부터 신호(CK)를 수신한다. 이 신호(CK)는 정류회로(21A)에 의해 반파 정류되고, 이로써 데이터 전송장치(2A)를 동작시키기 위한 제 2 동작전압이 생성된다. 이 정류된 제 2 동작전압에는 도 5에 나타낸 바와 같이(단자 C-D간), 신호가 중첩되므로 이 단자(C-D)간 전압 차를 제 1 신호검출회로(22)에 의해 추출하고, 송신된 신호를 제 1 수신신호(RS2)로서 복원한다.
한편 데이터 전송장치(2A)로부터 제어장치(1A)로의 데이터전송은 다음과 같이 행해진다.
데이터 전송장치(2A)에서는 도 2 구성의 동작과 마찬가지로, 제 1 접점(A)에서의 신호(CK) 진폭은, 제 2 송신신호(TS2)가 "L"일 때는 접점(A, B)간의 임피던스가 작아짐으로써 진폭도 작아진다. 한편, 신호(TS2)가 "H"일 때는 접점(A, B)간의 임피던스가 커짐으로써 진폭도 커진다.
제어장치(1A)에서는, 제 1 접점(A)에서의 신호(CK) 진폭 변화에 따라 제 1 동작전압(Vout) 레벨이 변화한다. 이 레벨 변화를 제 2 신호검출회로(15A)에 의해 추출하고, 송신된 신호를 제 2 수신신호(RS1)로서 복원한다.
이와 같이 도 4의 구성에 의하면, 데이터 전송장치(2A)는 제어장치(1A)로부터 접점(A)을 거쳐 송신된 신호(CK)로부터, 자기 동작전압인 제 2 동작전압과 동작클록을 얻는다. 또 제어장치(1A) 및 데이터 전송장치(2A)는 신호(CK)의 진폭 변화에 의해 데이터를 서로 송신한다. 즉 제어장치(1A)로부터 데이터 전송장치(2A)로의 전력 및 클록의 공급과, 양 장치간에서 순차 데이터의 쌍방향 통신을, 2 개의 접점만을 개재하고 실행할 수 있다.
여기서 제 1 및 제 2 실시예에 있어서, 전압레벨 발생회로(13)는 3 개의 저항으로 구성되는 것으로 하지만, 저항의 개수는 3 이외라도 된다. 예를 들어 저항(R3)을 생략하고 저항(R1, R2)만으로 구성해도 된다. 이 경우 예를 들어 도 6에 나타낸 바와 같은 구성으로 되어, 전압레벨 발생회로(133)와 클록발생회로(12)가 직렬로 접속된다. 또 제 1 동작전압(Vout)을 저항(R2, R3) 사이의 끝에서 출력하는 것으로 했지만, 다른 끝에서 출력하는 것으로 해도 상관없다. 예를 들어 저항(R1, R2) 사이의 끝에서 제 1 동작전압(Vout)을 출력시켜도 된다.
또 도 2의 구성에서, 제 2 신호검출회로(15)를 제 1 접점(A)에 접속시켜도 되고, 전압레벨 발생회로(13)의 제 1 동작전압(Vout) 출력단에 접속시켜도 된다. 또한 도 4의 구성에서, 제 2 신호검출회로(15A)를 제 1 및 제 2 접점(A, B) 중 한쪽에 접속시켜도 된다.
또 도 7의 A, B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제 1 송신회로(141, 142)를 구성하는 스위칭소자(141a, 142a)를, 전압레벨 발생회로(131, 132)를 구성하는 복수의 저항 중 적어도 1 개와, 직렬로 접속되도록 해도 상관없다.
(제 3 실시예)
도 8은 본 발명의 제 3 실시예에 관한 데이터 통신시스템의 구성을 나타낸다. 도 8에 있어서, 도 2 또는 도 4와 공통의 구성요소에는 도 2 또는 도 4와 동일부호를 부여하고, 여기서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도 4와 비교하여 도 8의 구성에서는, 우선 제어장치(1B)에서 클록발생회로(12A)가 생략되고, 전압레벨 발생회로(13)의 출력전압(Vout)이 신호전압으로서 제 1 단자(A)로 출력된다.
또 데이터 전송장치(2B)에서는, 제 2 송신회로(23) 외에, 제어장치(1B)로부터 제 1 접점(A)에 공급된 신호전압(Vout)으로부터 발생하는 동작전압을 안정시키기 위한 시리즈 ·레귤레이터(25)와, 제 1 및 제 2 접점(A, B)간 전압의 변화를 제 1 수신신호(RS2)로서 검출하는 제 1 신호검출회로(26)와, 데이터 전송장치(2B)의 동작클록(CK2)을 발생시키는 클록발생회로(27)를 구비한다.
시리즈 ·레귤레이터(25)는 단자(C) 전압을 안정시키고, 그 변동을 작게 하여 데이터 전송장치(2B)에 동작전압으로서 공급한다. 제 1 신호검출회로(26)는 신호전압(Vout)의 변동을 검출하여, 송신된 신호를 제 1 수신신호(RS2)로서 복원한다. 클록발생회로(27)는 데이터 전송장치(2B)에 전압이 공급됐을 때 동작클록(CK2)을 발생시킨다.
이상과 같이 구성된 데이터 통신시스템에 대하여 그 동작을 설명한다.
우선 제어장치(1B)로부터 데이터 전송장치(2B)로의 데이터전송은 다음과 같이 행해진다.
제어장치(1B)에 있어서, 제 1 송신신호(TS1)가 "L"레벨일 때 제 1 송신회로(14)의 MOS트랜지스터(14a)는 도통상태로 된다. 이로써 전압레벨 발생회로(13)에서 출력되는 신호전압(Vout)은, 전원(11) 전압의 R3/(R1+R3)배로 된다. 한편, 제 1 송신신호(TS1)가 "H"레벨일 때 MOS트랜지스터(14a)는 비도통상태로 된다. 이로써 신호전압(Vout)은, 전원(11) 전압의 R3/(R1+R2+R3)배로 되어, 신호(TS1)가 "L"레벨일 때보다 낮아진다. 즉 신호전압(Vout)은, 도 9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제 1 접점(A)으로 출력된다.
데이터 전송장치(2B)는, 제 1 접점(A)에서의 전압 변화를 제 1 신호검출회로(26)에 의해 검출하여 제 1 수신신호(RS2)로서 복원한다. 또 시리즈??레귤레이터(25)는, 도 9에 나타낸 바와 같이 단자(C) 전압을 안정화시킨다. 그리고 클록발생회로(27)는, 제어장치(1B)로부터 송신된 신호전압(Vout)의 인가에 따라 동작클록(CK2)을 발생시킨다.
한편, 데이터 전송장치(2B)로부터 제어장치(1B)로의 데이터전송은 다음과 같이 행해진다.
데이터 전송장치(2B)에 있어서, 제 1 접점(A)에서의 신호전압(Vout)은, 제 2 송신신호(TS2)가 "L"일 때는 접점(A, B)간의 임피던스가 작아짐으로써 작아진다. 한편, 신호(TS2)가 "H"일 때는 접점(A, B)간의 임피던스가 커짐으로써 커진다. 제어장치(1B)는 신호전압(Vout)의 전압변화를, 제 2 신호검출회로(15A)에 의해 추출하고, 송신된 신호를 제 2 수신신호(RS1)로서 복원한다.
이와 같이 도 8의 구성에 의하면, 데이터 전송장치(2B)는 제어장치(1B)로부터 접점(A)을 거쳐 전송된 신호전압(Vout)으로부터, 자기 동작전압을 얻는다. 또 제어장치(1B) 및 데이터 전송장치(2B)는 신호전압(Vout)의 변화에 따라 데이터를 서로 송신한다. 즉 제어장치(1B)로부터 데이터 전송장치(2B)로의 전력 공급과, 양 장치간에서 순차 데이터의 쌍방향 통신을, 2 개의 접점만을 개재하고 실행할 수 있다.
여기서 본 실시예에서, 전압레벨 발생회로(13)는 3 개의 저항으로 구성되는 것으로 하지만, 저항의 개수는 3 이외라도 된다. 예를 들어 저항(R3)을 생략하고 저항(R1, R2)만으로 구성해도 된다. 또 신호전압(Vout)을 저항(R2, R3) 사이의 끝에서 출력하는 것으로 했지만, 다른 끝에서 출력하는 것으로 해도 상관없다. 예를 들어 저항(R1, R2) 사이의 끝에서 신호전압(Vout)을 출력시켜도 된다.
(제 4 실시예)
도 10은 본 발명의 제 4 실시예에 관한 데이터 통신시스템의 구성을 나타낸다. 도 10에 있어서 도 2 또는 도 8과 공통의 구성요소에는 도 2 또는 도 8과 동일 부호를 부여하고, 여기서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도 2와 비교하여 도 10의 구성에서는, 우선 제어장치(1C)에 있어서 클록발생회로(12)가 생성하는 신호(CK, ICK)의 펄스 폭을 제 1 송신신호(TS1)에 따라 변화시키는 펄스 폭 변환회로(16)가 구성된다. 펄스 폭 변환회로(16)는 제어장치(1C)의 동작클록(CK1)을 입력하여, 그 펄스 폭을 제 1 송신신호(TS1)에 따라 변화시킨다. 그리고 클록발생회로(12)는 동작클록(CK1) 대신, 펄스 폭 변환회로(16)로부터 출력된 신호를 기초로 하여 신호(CK, ICK)를 출력한다. 또 전압레벨 발생회로(13A)는전원(11) 전압을 분압하기 위한 2 개의 저항(R1, R2)으로 구성되며, 저항(R1, R2)간의 끝에서 일정한 제 1 동작전압(Vout)을 출력한다. 이 제 1 동작전압(Vout)은, 클록발생회로(12)의 각 인버터(12a, 12b)로 공급된다. 즉 신호(CK, ICK)는 모두, 진폭은 일정하고 펄스 폭이 제 1 송신신호(TS1)에 따라 변화한다.
또 데이터 전송장치(2C)에서는, 정류회로(21), 제 2 송신회로(23) 및 클록발생회로(27) 외에, 제 1 접점(A)에서의 펄스 폭 변화를 제 1 수신신호(RS2)로서 검출하는 제 1 신호검출회로(28)가 구성된다. 제 1 신호검출회로(28)는, 클록발생회로(27)에 의해 생성된 동작클록(CK2)을 이용하여 제 1 접점(A)에서의 신호(CK) 펄스 폭 변화를 검출한다.
이상과 같이 구성된 데이터 통신시스템에 대하여 그 동작을 설명한다.
우선 제어장치(1C)로부터 데이터 전송장치(2C)로의 데이터전송은 다음과 같이 행해진다.
제어장치(1C)에 있어서 펄스 폭 변환회로(16)는, 제 1 송신신호(TS1)의 "L" 또는 "H"에 대응한 폭의 펄스신호를 출력한다. 클록발생회로(12)는 펄스 폭 변환회로(16)의 출력을 수신하고, 이 펄스신호와 동일 상인 신호(CK)를 인버터(12a)로부터 출력함과 동시에, 역상인 신호(ICK)를 인버터(12b)로부터 출력한다. 신호(CK, ICK)는 도 11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제 1 및 제 2 접점(A, B)으로 각각 출력된다.
데이터 전송장치(2C)는, 제 1 및 제 2 접점(A, B)으로부터 신호(CK, ICK)를 수신한다. 이 신호(CK, ICK)는 정류회로(21)에 의해 전파 정류되며, 이로써 데이터 전송장치(2C)를 동작시키기 위한 제 2 동작전압이 생성된다. 또 클록발생회로(27)는 이 정류된 제 2 동작전압이 인가됨으로써 동작클록(CK2)을 생성한다.
그리고 제 1 신호검출회로(28)는, 클록발생회로(27)에 의해 생성된 동작클록(CK2)을 이용하여, 제 1 접점(A)에 제어장치(1C)로부터 공급된 신호(CK)의 펄스 폭을 계측한다. 또 계측한 펄스 폭을 데이터 논리 "L" 또는 "H"에 대응시킴으로써, 제 1 수신신호(RS2)를 얻는다.
한편, 데이터 전송장치(2C)로부터 제어장치(1C)로의 데이터전송은 다음과 같이 행해진다.
데이터 전송장치(2C)에서는 도 2 구성의 동작과 마찬가지로, 접점(A, B)에서의 신호(CK, ICK) 진폭은, 제 2 송신신호(TS2)가 "L"일 때는 접점(A, B)간의 임피던스가 작아짐으로써 진폭도 작아진다. 한편, 신호(TS2)가 "H"일 때는 접점(A, B)간의 임피던스가 커짐으로써 진폭도 커진다.
제어장치(1C)는, 제 2 접점(B)에서의 신호(ICK) 진폭의 변화를, 제 2 신호검출회로(15)에 의해 추출하고, 데이터 전송장치(2C)로부터 송신된 신호를 제 2 수신신호(RS1)로서 복원한다.
이와 같이 도 10의 구성에 의하면, 데이터 전송장치(2C)는 제어장치(1C)로부터 접점(A, B)을 거쳐 전송된 신호(CK, ICK)로부터, 자기 동작전압인 제 2 동작전압을 얻는다. 또 제어장치(1C)는 신호(CK, ICK)의 펄스 폭 변화에 따라 데이터를 데이터 전송장치(2C)로 송신함과 동시에, 데이터 전송장치(2C)는 신호(CK, ICK)의 진폭 변화에 따라 데이터를 제어장치(1C)로 송신한다. 즉 제어장치(1C)로부터 데이터 전송장치(2C)로의 전력공급과, 양 장치간에서 순차 데이터의 쌍방향 통신을, 2개의 접점만을 개재하고 실행할 수 있다.
여기서 도 10의 구성에서는 제어장치(1C)로부터 신호(CK, ICK)를 송신하는 것으로 했지만, 도 4와 마찬가지로 신호(ICK)를 송신하지 않는 구성도 가능하다. 이 경우는 제어장치(1C)가 제 2 접점(B)에 접지전위를 인가함과 동시에, 데이터 전송장치(2C)의 정류회로(21)가 반파정류를 실행하도록 구성하면 된다.
또 제 2 신호검출회로(15)는, 제 1 접점(A)에 접속시켜도 되고, 전압레벨 발생회로(13A)의 제 1 동작전압(Vout) 출력단에 접속시켜도 상관없다.
(제 5 실시예)
도 12는 본 발명의 제 5 실시예에 관한 데이터 통신시스템의 구성을 나타낸다. 도 12에 있어서 도 4와 공통 구성요소에는 도 4와 동일 부호를 부여하고, 여기서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도 12의 구성에서, 제어장치(1D)는 제 2 신호검출회로(15A) 외에, 전원(11)으로부터 제 1 동작전압을 받아 신호(CK)를 생성하는 클록발생회로(17)와, 신호(CK)의 낮은 쪽 전압레벨을 제 1 송신신호(TS1)에 따라 변화시키는 제 1 송신회로(18)를 구비한다. 신호(CK)는 제 1 접점(A)에 공급되며, 제 2 접점(B)에는 접지전위가 부여된다.
또 데이터 전송장치(2D)는, 도 4에 나타낸 데이터 전송장치(2A)와 거의 마찬가지 구성이 되지만, 클록검출회로(24) 대신 이와 내부구성이 다른 클록검출회로(24A)가 구성된다.
클록발생회로(17)는, 전원(11)으로부터 부여되는 제 1 동작전압을 분압하기위한 3 개의 저항(R1, R2, R3)과, 저항(R1)에 병렬로 접속된 MOS트랜지스터(17a)로 구성된다. MOS트랜지스터(17a)의 게이트에는 제어장치(1D)의 동작클록(CK1)이 주어지며, 동작클록(CK1)의 전압레벨 변화에 따라, MOS트랜지스터(17a)의 도통 ·비도통이 절환된다. 때문에 저항(R1, R2) 사이의 끝 전압은 동작클록(CK1)에 동기하여 변화하고, 신호(CK)로서 제 1 접점(A)으로 출력된다.
제 1 송신회로(18)는, 클록발생회로(17)의 저항(R3)에 병렬로 접속된 MOS트랜지스터(18a)를 구비한다. MOS트랜지스터(18a)의 게이트에는 제 1 송신신호(TS1)가 주어지며, 신호(TS1)의 전압레벨 변화에 따라, MOS트랜지스터(18a)의 도통 ·비도통이 절환된다. 때문에 신호(CK)의 낮은 쪽 전압레벨이 제 1 송신신호(TS1)에 따라 변화한다.
클록검출회로(24A)는, 저항(24b)과 용량(24c)으로 된 미분회로와, 비교기(24d)로 구성된다. 클록검출회로(24A)는, 제 1 접점(A)에 공급된 신호(CK)로부터 데이터 전송장치(2D)의 동작클록(CK2)을 검출한다.
이상과 같이 구성된 데이터 통신시스템에 대하여 그 동작을 설명한다.
우선 제어장치(1D)로부터 데이터 전송장치(2D)로의 데이터전송은 다음과 같이 행해진다.
제어장치(1D)에 있어서, 클록발생회로(17)의 입력단자에는 제어장치(1D)의 동작클록(CK1)이 입력되고, 저항(R1, R2) 사이의 끝에서 신호(CK)가 출력된다. 신호(CK)의 높은 쪽 전압레벨은 거의 전원(11) 전압레벨(V)이지만, 낮은 쪽 전압레벨은 제 1 송신회로(18)에 의해 제어된다. 즉 제 1 송신신호(TS1)가 "H"일 때는, 제1 송신회로(18)의 MOS트랜지스터(18a)가 비 도통상태로 되므로 신호(CK)의 낮은 쪽 전압레벨은, V1(=V ·(R2+R3)/(R1+R2+R3))로 된다. 한편, 제 1 송신신호(TS1)가 "L"일 때는, 제 1 송신회로(18)의 MOS트랜지스터(18a)가 도통상태로 되므로 신호(CK)의 낮은 쪽 전압레벨은, V2(=V ·R2/(R1+R2))로 되어 V1보다 낮아진다. 그 결과 제 1 접점(A)에 공급되는 신호(CK)는, 도 13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제 1 송신신호(TS1)가 "H"일 때는 전위 차(V-V1)를 갖는 펄스신호로 된다. 한편, "L"일 때는 전위 차(V-V2)를 갖는 펄스신호로 된다.
데이터 전송장치(2D)는 제 1 접점(A)으로부터 신호(CK)를 수신한다. 이 신호(CK)는 정류회로(21A)에 의해 반파 정류되고, 이로써 데이터 전송장치(2D)의 동작전압인 제 2 동작전압이 생성된다. 이 정류된 제 2 동작전압에는 신호가 중첩되므로, 이 단자(C-D)간의 전압 차를 제 1 신호검출회로(22)에 의해 추출하고, 송신된 신호를 제 1 수신신호(RS2)로서 복원시킨다. 또 클록검출회로(24A)는 미분회로에 의해 신호(CK)의 직류성분을 제거하고, 그 변화를 추출함으로써 동작클록(CK2)을 복원시킨다.
한편 데이터 전송장치(2D)로부터 제어장치(1D)로의 데이터전송은 다음과 같이 행해진다.
제어장치(1D)에서는 제 1 송신신호(TS1)를 "H"로 고정시키고, 동작클록(CK1)을 클록발생회로(17)에 인가한다. 데이터 전송장치(2D)에서는, 도 2의 구성 동작과 마찬가지로, 제 1 접점(A)에서의 신호(CK) 진폭은 제 2 송신신호(TS2)가 "L"일 때는 접점(A, B)간의 임피던스가 작아짐으로써 진폭도 작아진다. 한편, 신호(TS2)가"H"일 때는 접점(A, B)간의 임피던스가 커짐으로써 진폭도 커진다. 제어장치(1D)는, 제 1 접점(A)에서의 전압 변화를, 제 2 신호검출회로(15A)에 의해 추출하고, 송신된 신호를 제 2 수신신호(RS1)로서 복원시킨다.
이와 같이 도 12의 구성에 의하면, 데이터 전송장치(2D)는 제어장치(1D)로부터 접점(A)을 거쳐 전송된 신호(CK)로부터, 자기 동작전압인 제 2 동작전압 및 동작클록을 얻는다. 또 제어장치(1D)는 신호(CK)의 전압레벨 변화에 따라 데이터를 데이터 전송장치(2D)로 송신함과 동시에, 데이터 전송장치(2D)는 신호(CK)의 진폭 변화에 따라 데이터를 제어장치(1D)로 송신한다. 즉 제어장치(1D)로부터 데이터 전송장치(2D)로의 전력 및 클록의 공급과, 양 장치간에서 순차 데이터의 쌍방향 통신을, 2 개의 접점만을 개재하고 실행할 수 있다.
여기서는 신호(CK)의 낮은 쪽 전압레벨의 변화에 따라 제어장치(1D)로부터 데이터 전송장치(2D)로의 데이터전송을 실행하는 것으로 했지만, 신호(CK)의 높은 쪽 전압레벨을 변화시키도록 구성하는 것도 가능하다.
또 도 12의 구성에 있어서 도 2와 마찬가지로, 제어장치(1D)로부터 신호(ICK)를 송신하는 구성으로 변형하는 것도 가능하다. 이 경우는, 데이터 전송장치(2D)의 반파정류회로(21A)를 전파정류회로로 치환하면 된다.
(제 6 실시예)
도 2 구성의 데이터 통신시스템에서는, 제 1 송신신호(TS1) 논리레벨의 변화시점과, 신호(CK, ICK)에서의 에지 발생시점을 일치시킨다. 그러나 신호(CK, ICK)의 에지 발생시점은 엄밀하게는 동시가 아닌, 이들 신호간에 약간의 스큐가 존재한다. 도 14A는 제 1 송신신호(TS1)의 예를 나타낸다. 도 14B, 도 14C는 이 제 1 송신회로(TS1)에 기초하여 생성된 신호(ICK, CK)를 나타낸다. 도 14B, 14C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신호(CK, ICK)간에는 스큐(A)가 발생한다.
스큐(A) 기간은, 제어장치(1)로부터 데이터 전송장치(2)에 공급되는 전력이 일시적으로 멎기 때문에, 정류회로(21)에 의해 생성되는 제 2 동작전압(Vin)에 일시적 강하가 발생한다. 도 14D는 제 2 동작전압(Vin)을 나타낸다. 도 14D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제 2 동작전압(Vin)에서 일시적 강하(B)가 발생한다. 이 제 2 동작전압(Vin)의 일시적 강하(B)와 제 1 송신신호(TS1)의 전압 상승이 겹치면, 도 14D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제 2 동작전압(Vin)에 있어서 무딘 전압변화(C)가 발생한다. 무딘 전압변화(C) 부분에 대해서는 신호 추출이 어려워지고 또 신호를 정확하게 추출할 수 없게 될 우려가 있다. 도 14E는 무딘 전압변화(C) 부분의 신호 추출에 관해, 제 1 수신신호(RS2)로서 "H"여야 할 곳이 잘못되어 "L"로 추출된 것을 나타낸다.
도 15는 본 발명의 제 6 실시예에 관한 데이터 통신시스템의 구성을 나타낸다. 본 실시예에 관한 데이터 통신시스템은, 상기 문제에 감안하여 제어장치(1E)로부터 데이터 전송장치(2E)로 전송되는 데이터의, 용이하고 또 정확한 추출을 도모한 것이다. 도 15에 있어서 도 2 또는 도 7과 공통 구성요소에는 도 2 또는 도 7과 동일부호를 부여하고, 여기서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도 2와 비교하면 도 15의 구성에서는, 우선 제어장치(1E)에 있어서 전압레벨 발생회로(13) 대신, 도 7A에 나타낸 전압레벨 발생회로(131)가 구성된다. 또 제 1송신회로(14) 대신 제 1 송신회로(143)가 구성된다. 한편 데이터 전송장치(2E)에서는 제 1 신호검출회로(22) 대신, 제 1 신호검출회로(22A)가 구성된다.
제 1 송신회로(143)는 스위칭소자로서 MOS트랜지스터(143a)와, 에지발생시점 조정기구(143b)를 구비한다. 에지발생시점 조정기구(143b)는 제 1 송신신호(TS1)를 입력하고, 에지의 발생시점을 상충시킨 신호를 MOS트랜지스터(143a)의 게이트에 공급한다. 또 MOS트랜지스터(143a)의 소스는 전압레벨 발생회로(131)의 저항(R2)에, 드레인은 기준전위(GND)에, 각각 접속된다. MOS트랜지스터(143a)는, 게이트에 입력된 신호에 따라 전압레벨 발생회로(131)가 출력하는 제 1 동작전압(Vout)을 결정한다.
한편 도 16은 제 1 신호검출회로(22A)의 구성을 나타낸다. 제 1 신호검출회로(22A)는 저역통과필터(221)와, 고역통과필터(222)와, 비교기(223)와, D플립플롭(224)을 구비하며, 정류회로(21)에 의해 생성된 제 2 동작전압(Vin)에 중첩된 신호성분을 추출하여 제 1 수신신호(RS2)로서 출력한다.
이상과 같이 구성된 데이터 통신시스템의 제어장치(1E)로부터 데이터 전송장치(2E)로의 데이터전송에 대하여 도 17의 타이밍도를 이용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제 1 송신회로(143)는, 동작클록(CK1)과 동기한 제 1 송신신호(TS1)를 입력한다(도 17A, 17B). 제 1 송신회로(143)의 에지발생시점 조정기구(143b)는, 제 1 송신신호(TS1)의 에지를 동작클록(CK1)의 에지와 상충시켜, MOS트랜지스터(143a)의 게이트전압을 공급한다. 그 결과 제 1 동작전압(Vout)은 동작클록(CK1)과는 에지 발생시점이 어긋난 것이 된다(도 17C). 여기서 제 1 송신신호(TS1)의 에지 발생시점을 상충시키는 폭은, 스큐(A)가 발생된 기간보다 길게 취하도록 한다.
클록발생회로(12)에 의해 생성되는 신호(CK, ICK)의 진폭은, 제 1 동작전압(Vout)이 저 전위일 때는 작아지고, 고 전위일 때는 커진다(도 17D, 17E). 제 1 동작전압(Vout)의 에지 발생시점은 스큐(A)기간에서 상충되므로, 제 1 동작전압(Vout)의 에지에 따른 전압 변화는 신호(CK, ICK) 중 어느 한쪽에, 그 신호의 전압레벨이 안정된 부분에 나타나게 된다. 도 17D는, 신호(ICK)쪽에 제 1 동작전압(Vout)의 에지에 따른 전압 변화가 나타나는 것을 나타낸다. 데이터 전송장치(2E)는, 상기와 같이 생성된 신호(CK, ICK)를 정류회로(21)에 의해 정류시켜 제 2 동작전압(Vin)을 얻는다. 이렇게 생성된 제 2 동작전압(Vin)의 변화에 무딘 전압변화는 발생하지 않는다(도 17F).
다음에 제 1 신호검출회로(22A)에 의해, 제 2 동작전압(Vin)에 중첩된 데이터가 추출되는 양상을 설명한다.
우선 제 2 동작전압(Vin)은 저역통과필터(221)에 입력되어 노이즈(예를 들어 스큐(A)에 의한 전압의 일시적 강하 부분 등)가 제거된다. 다음에, 저역통과필터(221)를 통과한 신호는 고역통과필터(222)에 입력되어, 직류성분이 제거됨과 동시에 에지 검출이 실행된다. 그 후 고역통과필터(222)를 통과한 신호는 히스테리시스가 부가된 비교기(223)에 입력된다. 도 17G는 고역통과필터(222)를 통과한 신호, 그리고 비교기(223)의 설정전압 및 히스테리시스 레벨을 나타낸다. 비교기(223)에 의해, 소정의 높은(또는 낮은) 히스테리시스 레벨을 초과한 신호가, 논리레벨 "H"(또는 "L")로서 추출된다(도 17H). 마지막으로 비교기(223)의 출력이D플립플롭(224)에 입력되고, 클록검출회로(24)에 의해 생성된 동작클록(CK2)의 상승에 동기하여, 제 1 수신신호(RS2)로서 출력된다(도 17I, 17J).
이상과 같이 신호(CK, ICK)에 제 1 송신신호(TS1)를 중첩시킴으로써, 제 2 동작전압(Vin) 변화의 무딘 상승을 방지할 수 있다. 이로써 제 2 동작전압(Vin)에 중첩된 데이터를 정확하게 추출할 수 있다. 또 제 2 동작전압(Vin)의 에지를 검출함으로써, 데이터 추출이 용이해진다. 또한 신호(CK, ICK) 중 어느 한쪽에 제 1 동작전압(Vout)의 에지에 따른 전압 변화가 나타나므로, 이 한쪽 신호 만으로부터 데이터를 추출할 수 있다. 따라서 정류회로(21)를 반파정류기로 구성하는 것도 가능하다. 정류회로(21)를 반파정류기로 구성함으로써 구성부품 수를 더욱 적게 할 수 있어, 데이터 전송장치(2E)를 보다 소형화할 수 있다.
다음에 신호(CK, ICK)의 다른 생성예에 대하여 도 18의 타이밍도를 이용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제 1 송신회로(143)는 동작클록(CK1)과 동기한 제 1 송신신호(TS1)를 입력한다(도 18A, 18B). 제 1 송신회로(143)의 에지발생시점 조정기구(143b)는, 제 1 송신신호(TS1)의 에지를 동작클록(CK1) 에지와 상충시켜 MOS트랜지스터(143a)의 게이트전압을 인가한다. 단 상승에지는 동작클록(CK1)이 고 전위레벨에 있을 때, 하강에지는 동작클록(CK1)이 저 전위레벨에 있을 때, 각각 발생하도록 상충시킨다. 그 결과 제 1 동작전압(Vout)은, 동작클록(CK1)과는 에지 발생시점이 어긋난 것으로 된다(도 18C). 또 제 1 송신신호(TS1)의 논리레벨 "H" 및 "L"에 각각 상당하는 제 1 동작전압(Vout)의 펄스 폭에 차이가 생긴다. 도 18C에서는, 논리레벨 "L"에 상당하는 펄스 폭이 "H"에 상당하는 것보다 짧아진다. 또 제 1 송신신호(TS1)의 에지 발생시점을 상충시키는 폭은, 스큐(A)가 발생한 기간보다 길게 취하도록 한다.
클록발생회로(12)에 의해 생성되는 신호(CK, ICK)의 진폭은, 제 1 동작전압(Vout)이 저 전위일 때는 작아지고, 고 전위일 때는 커진다(도 18D, 18E). 제 1 동작전압(Vout)의 에지 발생시점은 스큐(A)기간에서 어긋나 있으므로, 제 1 동작전압(Vout)의 상승에지에 따른 전압 변화는 신호(CK, ICK) 중 어느 한쪽의 전압레벨이 안정된 부분에 나타나며, 하강에지에 따른 전압 변화는 다른 쪽의 전압레벨이 안정된 부분에 나타나게 된다. 도 18D, 18E에서는, 신호(CK)쪽에 제 1 동작전압(Vout)의 상승에지에 따른 전압 변화가 나타남과 동시에, 신호(ICK) 쪽에 하강에지에 따른 전압 변화가 나타난다. 데이터 전송장치(2E)는, 상기와 같이 생성된 신호(CK, ICK)를 정류회로(21)에 의해 정류시켜 제 2 동작전압(Vin)을 얻는다. 이렇게 생성된 제 2 동작전압(Vin)의 변화에 무딘 전압변화는 발생하지 않는다(도 18F).
다음에 제 1 신호검출회로(22A)에 의해 제 2 동작전압(Vin)에 중첩된 데이터가 추출되는 양상을 설명한다.
우선 제 2 동작전압(Vin)은 저역통과필터(221)에 입력되어 노이즈(예를 들어 스큐(A)에 의한 전압의 일시적 강하 부분 등)가 제거된다. 다음에, 저역통과필터(221)를 통과한 신호는 고역통과필터(222)에 입력되어, 직류성분이 제거됨과 동시에 에지 검출이 실행된다. 그 후 고역통과필터(222)를 통과한 신호는 히스테리시스가 부가된 비교기(223)에 입력된다. 도 18G는 고역통과필터(222)를 통과한 신호, 그리고 비교기(223)의 설정전압 및 히스테리시스 레벨을 나타낸다. 비교기(223)에 의해, 소정의 높은(또는 낮은) 히스테리시스 레벨을 초과한 신호가, 논리레벨 "H"(또는 "L")로서 추출된다(도 18H). 마지막으로 비교기(223)의 출력이 D플립플롭(224)에 입력되고, 클록검출회로(24)에 의해 생성된 동작클록(CK2)의 하강에 동기하여, 제 1 수신신호(RS2)로서 출력된다(도 18I, 18J).
이상과 같이 신호(CK, ICK)에 제 1 송신신호(TS1)를 중첩시킴으로써, 제 2 동작전압(Vin)의 무딘 변화를 방지할 수 있다. 이로써 제 2 동작전압(Vin)에 중첩된 데이터를 정확하게 추출할 수 있다. 또 제 2 동작전압(Vin)의 에지를 검출함으로써, 데이터 추출이 용이해진다. 그리고 제 1 송신신호(TS1)의 논리레벨이 "L"일 때의 제 1 동작전압(Vout) 펄스 폭을 "H"일 때보다 짧게 하므로, 논리레벨이 "L"일 때 전압레벨 발생회로(131)의 저항(R2)을 흐르는 전류를 삭감할 수 있어 장치 전체의 저 소비전력화를 실현할 수 있다.
또한 전압레벨 발생회로(131) 및 제 1 송신회로(143)가, 제 1 송신신호(TS1)의 논리레벨이 "H"일 때가 "L"일 때보다 소비전력이 커지게 되는 구성으로 된 경우, 상기 설명과는 반대로 제 1 동작전압(Vout)의 "H" 펄스 폭을 "L"의 것보다 짧게 함으로써, 장치 전체의 소비전력을 저감할 수 있다.
여기서 본 실시예에서는 제 1 송신신호(TS1)와 동작클록(CK1)의 비를 1:1로 하여 설명했지만, 이 비는 1:N(N은 2 이상의 정수)이라도 된다.
(제 7 실시예)
본 발명의 제 7 실시예에 관한 데이터 통신시스템의 구성은, 도 15의 구성에서 제 1 신호검출회로(22A) 대신 제 1 신호검출회로(22B)가 구성된 것이다.
도 19는 제 1 신호검출회로(22B)의 구성을 나타낸다. 제 1 신호검출회로(22B)는 저역통과필터(221)와, 고역통과필터(222), 비교기(223), D플립플롭(224), 및 비동기 리셋 부가 D플립플롭(225)을 구비한다.
이하 본 실시예에 관한 데이터 통신시스템에서의 제어장치(1E)에서 데이터 전송장치(2E)로의 데이터전송에 대하여, 도 20의 타이밍도를 이용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제 1 송신회로(143)는 동작클록(CK1)과 동기한 제 1 송신신호(TS1)를 입력한다(도 20A, 20B). 제 1 송신회로(143)의 에지 발생시점 조정기구(143b)는 제 1 송신신호(TS1)의 에지를 동작클록(CK1)의 에지와 상충시켜 MOS트랜지스터(143a)의 게이트전압을 인가한다. 단 상승 및 하강에지 모두 동작클록(CK1) 1 주기 내에서, 동작클록(CK1)의 전위레벨이 안정되었을 때 발생하도록 상충시킨다. 그 결과 제 1 동작전압(Vout)은, 동작클록(CK1)과는 에지 발생시점이 어긋난 것으로 된다(도 20C). 또 도 18에 비해 제 1 송신신호(TS1)의 논리레벨 "H" 및 "L"을 나타내는 제 1 동작전압(Vout)의 펄스 폭에, 더 한층 큰 차이가 생긴다. 도 20C에서는 논리레벨 "L"에 상당하는 펄스 폭이 "H"에 상당하는 것보다 짧아진다. 여기서 제 1 송신신호(TS1)의 에지 발생시점을 상충시키는 폭은, 스큐(A)가 발생된 기간보다 길게 취하도록 한다.
클록발생회로(12)에 의해 생성되는 신호(CK, ICK)의 진폭은, 제 1 동작전압(Vout)이 저 전위일 때는 작아지고, 고 전위일 때는 커진다(도 20D, 20E).제 1 동작전압(Vout)의 에지 발생시점은 스큐(A)기간에서 어긋나 있으므로, 제 1 동작전압(Vout)의 에지에 따른 전압 변화는 신호(CK, ICK) 중 어느 한쪽에, 그 신호의 전압레벨이 안정된 부분에 나타나게 된다. 도 20D에서는, 신호(ICK)쪽에 제 1 동작전압(Vout)의 에지에 따른 전압 변화가 나타난다. 데이터 전송장치(2E)는, 상기와 같이 생성된 신호(CK, ICK)를 정류회로(21)에 의해 정류시켜 제 2 동작전압(Vin)을 얻는다. 이렇게 생성된 제 2 동작전압(Vin)의 변화에 무딘 전압상승은 발생하지 않는다(도 20F).
다음에 제 1 신호검출회로(22B)에 의해 제 2 동작전압(Vin)에 중첩된 데이터가 추출되는 양상을 설명한다.
우선 제 2 동작전압(Vin)은 저역통과필터(221)에 입력되어 노이즈(예를 들어 스큐(A)에 의한 전압의 일시적 강하 부분 등)가 제거된다. 다음에, 저역통과필터(221)를 통과한 신호는 고역통과필터(222)에 입력되어, 직류성분이 제거됨과 동시에 에지 검출이 실행된다. 그 후 고역통과필터(222)를 통과한 신호는 히스테리시스가 부가된 비교기(223)에 입력된다. 도 20G는 고역통과필터(222)를 통과한 신호, 그리고 비교기(223)의 설정전압 및 히스테리시스 레벨을 나타낸다. 소정의 높은(또는 낮은) 히스테리시스 레벨을 초과한 신호가, 논리레벨 "H"(또는 "L")로서 추출된다(도 20H). 비교기(223)의 출력은 비동기 리셋 부가 D플립플롭(225)에 출력된다.
비동기 리셋 부가 D플립플롭(225)에는 항상 논리레벨 "H"의 신호가 입력되어, 비교기(223) 출력은 리셋신호로서 입력된다. 때문에 비교기(223)의 출력이 논리레벨 "L"일 경우 비동기 리셋 부가 D플립플롭(225)은 논리레벨 "L" 상태를 유지하고, "H"일 경우 클록검출회로(24)에 의해 생성된 동작클록(CK2)의 상승에 동기하여, 비동기 리셋 부가 D플립플롭(225)의 출력은 논리레벨 "H"로 된다(도 20I, 20J). 마지막으로 비동기 리셋 부가 D플립플롭(225)의 출력이 D플립플롭(224)에 입력되고, 동작클록(CK2)의 하강에 동기하여 제 1 수신신호(RS2)로서 출력된다(도 20K).
이상, 본 실시예에 의하면 제 2 동작전압(Vin)의 변화에 무딘 상승이 발생하지 않으므로, 제 2 동작전압(Vin)에 중첩된 데이터를 정확하게 추출할 수 있다. 또 제 2 동작전압(Vin)의 에지를 검출함으로써 데이터 추출이 용이해진다. 그리고 제 1 송신신호(TS1)의 논리레벨이 "L"일 때의 제 1 동작전압(Vout) 펄스 폭을, 제 2 실시예의 경우보다 더욱 짧게 하므로, 장치 전체의 새로운 저 소비전력화를 실현할 수 있다.
여기서 전압레벨 발생회로(131) 및 제 1 송신회로(143)가, 제 1 송신신호(TS1)의 논리레벨이 "H"일 때가 "L"일 때보다 소비전력이 커지게 되는 구성으로 된 경우, 상기 설명과는 반대로 제 1 동작전압(Vout)의 "H" 펄스 폭을 "L"의 것보다 짧게 함으로써, 장치 전체의 소비전력을 저감할 수 있다.
제 6 및 제 7 실시예에 있어서, 제 1 동작전압(Vout)은 제 1 송신신호(TS1)의 논리레벨이 "L"(또는 "H")일 때는 저 전위(또는 고 전위)인 것으로 했지만, 이와 반대로 되도록 장치를 구성해도 된다. 또 제 1 송신회로(143)가, 제 1 송신신호(TS1)에서의 에지 발생시점을 조정하는 에지발생시점 조정기구(143b)를 구비한 것으로 했지만, 이 기구는 별도의 구성요소에 구비시켜도 된다. 예를 들어 전압레벨 발생회로(131)가 에지발생시점 조정기구(143b)를 구비하고, 신호(CK, ICK)간의 스큐와 상충된 제 1 동작전압(Vout)을 생성하는 것도 가능하다. 반대로 신호(CK, ICK)를 생성하는 동작클록(CK1)을 어긋나게 해도 되며, 제 1 송신회로(143)는 에지 발생시점이 처음부터 상충된 식의 제 1 송신신호(TS1)를 입력하도록 해도 된다. 보다 바람직하게는, 신호(CK, ICK)간 스큐기간과, 제 1 동작전압(Vout)의 하강에지 발생시점이 겹치지 않도록 하는 것이다. 이는 스큐에 의한 제 2 동작전압(Vin)의 일시적 강하와, 제 1 동작전압(Vout)의 하강이 중첩됨으로써 제 2 동작전압(Vin)이 데이터 전송장치(2E)의 최소 동작전압을 밑도는 것을 피하기 위함이다.
이상 본 발명에 의하면 데이터 통신시스템에 있어서, 제어장치로부터 데이터 전송장치로의 전력이나 클록의 공급과 함께, 제어장치와 데이터 전송장치간의 쌍방향 데이터전송을 2 개의 접점에 의해 실행할 수 있다. 따라서 종래보다 소형화에 적합한 데이터 통신시스템을 실현할 수 있다.
또 데이터 통신시스템에 있어서, 제어장치로부터 데이터 전송장치로 전송되는 데이터의 정확하고 용이한 추출이 가능해진다. 또한 데이터 통신시스템에서의 소비전력을 저감할 수 있다.

Claims (23)

  1. 제어장치와 데이터 전송장치가, 제 1 및 제 2 접점을 개재하고 데이터통신을 실행하는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제어장치는,
    전력을 공급하는 전원과,
    클록 펄스신호를 생성하여, 상기 제 1 및 제 2 접점의 적어도 한쪽에 공급하는 클록발생회로와,
    상기 전원 전압을 변환시켜, 상기 클록발생회로에 제 1 동작전압으로서 공급하는 전압레벨 발생회로와,
    상기 전압레벨 발생회로가 생성하는 상기 제 1 동작전압을, 제 1 송신신호에 따라 변화시키는 제 1 송신회로를 구비하는 것이며,
    상기 데이터 전송장치는,
    상기 제 1 및 제 2 접점간 전압을 정류시켜, 당해 데이터 전송장치에 제 2 동작전압으로서 공급하는 정류회로와,
    상기 정류회로에 의해 정류된 상기 제 2 동작전압의 변화를, 제 1 수신신호로서 검출하는 제 1 신호검출회로와,
    상기 제 1 및 제 2 접점의 적어도 한쪽에 공급된 상기 클록펄스신호로부터, 동작클록을 생성하는 클록검출회로를 구비하는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데이터 통신시스템.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전압레벨 발생회로는,
    상기 전원과 접지간에 직렬로 배치된 복수의 저항을 가지고, 상기 복수 저항 중 어느 하나의 한쪽 끝에서 상기 제 1 동작전압을 공급하는 것이며,
    상기 제 1 송신회로는,
    상기 복수 저항 중 적어도 1 개와 병렬로 접속되며 또, 도통 ·비도통이 상기 제 1 송신신호에 따라 절환되는 스위칭소자를 갖는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데이터 통신시스템.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전압레벨 발생회로는,
    상기 전원과 접지 사이에 직렬로 배치된 복수의 저항을 가지며, 상기 복수의 저항 중 어느 하나의 한쪽 끝에서 상기 제 1 동작전압을 공급하는 것이며,
    상기 제 1 송신회로는,
    상기 복수 저항 중 적어도 1 개와 직렬로 접속되며 또, 도통 ·비도통이 상기 제 1 송신신호에 따라 절환되는 스위칭소자를 갖는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데이터 통신시스템.
  4. 제어장치와 데이터 전송장치가, 제 1 및 제 2 접점을 개재하고 데이터통신을실행하는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제어장치는,
    전력을 공급하는 전원과,
    상기 전원의 전압을 변환시켜, 상기 제 1 및 제 2 접점간에 신호전압으로서 공급하는 전압레벨 발생회로와,
    상기 전압레벨 발생회로가 생성하는 상기 신호전압을, 제 1 송신신호에 따라 변화시키는 제 1 송신회로를 구비하는 것이며,
    상기 데이터 전송장치는,
    상기 제 1 및 제 2 접점간 전압을 안정시켜, 당해 데이터 전송장치의 동작전압으로서 공급하는 조절기(regulator)와,
    상기 제 1 및 제 2 접점간 전압의 변화를, 제 1 수신신호로서 검출하는 제 1 신호검출회로를 구비하는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데이터 통신시스템.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장치는,
    상기 제 1 및 제 2 접점간 전압의 변화를, 제 2 수신신호로서 검출하는 제 2 신호검출회로를 구비하는 것이며,
    상기 데이터 전송장치는,
    상기 제 1 및 제 2 접점간의 임피던스를 제 2 송신신호에 따라 변화시키는 제 2 송신회로를 구비하는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데이터 통신시스템.
  6.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전압레벨 발생회로는,
    상기 전원과 접지 사이에 직렬로 배치된 복수의 저항을 가지며, 상기 복수의 저항 중 어느 하나의 한쪽 끝에서 상기 신호전압을 공급하는 것이며,
    상기 제 1 송신회로는,
    상기 복수 저항 중 적어도 1 개와 병렬로 접속되며 또, 도통 ·비도통이 상기 제 1 송신신호에 따라 절환되는 스위칭소자를 갖는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데이터 통신시스템.
  7. 제어장치와 데이터 전송장치가, 제 1 및 제 2 접점을 개재하고 데이터통신을 실행하는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제어장치는,
    전력을 공급하는 전원과,
    클록 펄스신호를 생성하여, 상기 제 1 및 제 2 접점의 적어도 한쪽에 공급하는 클록발생회로와,
    상기 전원 전압을 변환시켜, 상기 클록발생회로에 제 1 동작전압으로서 공급하는 전압레벨 발생회로와,
    상기 클록발생회로가 생성하는 상기 클록 펄스신호의 펄스 폭을, 제 1 송신신호에 따라 변화시키는 펄스 폭 변환회로를 구비하는 것이며,
    상기 데이터 전송장치는,
    상기 제 1 및 제 2 접점간 전압을 정류시켜, 당해 데이터 전송장치에 제 2 동작전압으로서 공급하는 정류회로와,
    상기 제 1 및 제 2 접점의 한쪽 펄스 폭 변화를 제 1 수신신호로서 검출하는 제 1 신호검출회로와,
    상기 제 1 및 제 2 접점의 적어도 한쪽에 공급된 상기 클록 펄스신호로부터, 동작클록을 생성하는 클록검출회로를 구비하는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데이터 통신시스템.
  8. 제어장치와 데이터 전송장치가, 제 1 및 제 2 접점을 개재하고 데이터통신을 실행하는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제어장치는,
    전력을 공급하는 전원과,
    상기 전원으로부터 제 1 동작전압을 받아 클록 펄스신호를 생성하여, 상기 제 1 및 제 2 접점의 적어도 한쪽에 공급하는 클록발생회로와,
    상기 클록발생회로가 생성하는 상기 클록 펄스신호의 어느 한쪽 전압레벨을 제 1 송신신호에 따라 변화시키는 제 1 송신회로를 구비하는 것이며,
    상기 데이터 전송장치는,
    상기 제 1 및 제 2 접점간 전압을 정류시켜, 당해 데이터 전송장치에 제 2 동작전압으로서 공급하는 정류회로와,
    상기 정류회로에 의해 정류된 상기 제 2 동작전압의 변화를 제 1 수신신호로서 검출하는 제 1 신호검출회로와,
    상기 제 1 및 제 2 접점의 적어도 한쪽에 공급된 상기 클록 펄스신호로부터, 동작클록을 생성하는 클록검출회로를 구비하는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데이터 통신시스템.
  9. 제 1 항, 제 7 항 및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장치는,
    상기 제 1 및 제 2 접점 중 어느 하나의 전압진폭 변화를, 제 2 수신신호로서 검출하는 제 2 신호검출회로를 구비하는 것이며,
    상기 데이터 전송장치는,
    상기 제 1 및 제 2 접점간의 임피던스를, 제 2 송신신호에 따라 변화시키는 제 2 송신회로를 구비하는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데이터 통신시스템.
  10. 제 1 항 및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장치는,
    상기 전압레벨 발생회로가 상기 제 1 동작전압을 출력하는 단자의 전압진폭 변화를, 제 2 수신신호로서 검출하는 제 2 신호검출회로를 구비하는 것이며,
    상기 데이터 전송장치는,
    상기 제 1 및 제 2 접점간의 임피던스를, 제 2 송신신호에 따라 변화시키는제 2 송신회로를 구비하는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데이터 통신시스템.
  11. 제 1 항, 제 7 항 및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장치는,
    상기 제 1 접점에, 상기 클록발생회로에 의해 생성된 상기 클록 펄스신호를 공급함과 동시에, 상기 제 2 접점에, 상기 클록발생회로에 의해 생성된 상기 클록 펄스신호의 역상 반전 클록 펄스신호를 공급하는 것이며,
    상기 정류회로는,
    상기 제 1 및 제 2 접점간의 전압에 대해, 전파(全波)정류를 실행하는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데이터 통신시스템.
  12. 제 1 항, 제 7 항 및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장치는,
    상기 제 1 접점에, 상기 클록발생회로에 의해 생성된 상기 클록 펄스신호를 공급함과 동시에, 상기 제 2 접점에, 접지전위를 공급하는 것이며,
    상기 정류회로는,
    상기 제 1 및 제 2 접점간의 전압에 대해, 반파(半波)정류를 실행하는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데이터 통신시스템.
  1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장치는,
    상기 전압레벨 발생회로와 상기 클록발생회로가 직렬로 접속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데이터 통신시스템.
  1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클록발생회로는,
    상기 클록 펄스신호 및 이를 반전시킨 반전 클록 펄스신호를 생성하여, 상기 제 1 및 제 2 접점에 각각 공급하는 것이며,
    상기 제 1 송신회로는,
    상기 클록 펄스신호 및 반전 클록 펄스신호의 에지에서 어긋나게 한 안정된 기간에, 상기 클록발생회로에 공급되는 상기 제 1 동작전압의 상승에지가 발생하도록, 상기 제 1 동작전압을 상기 제 1 송신신호에 따라 변화시키는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데이터 통신시스템.
  15. 제 14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송신회로는,
    상기 제 1 동작전압의 상승 에지 및 하강 에지에 따른 전압의 변화가 상기 클록 펄스신호 및 반전 클록 펄스신호 중 어느 한쪽에 나타나도록, 상기 제 1 동작전압을 상기 제 1 송신신호에 따라 변화시키는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데이터 통신시스템.
  16. 제 14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송신회로는,
    상기 제 1 동작전압의 상승에지에 따른 전압의 변화가 상기 클록 펄스신호 및 반전 클록 펄스신호 중 어느 한쪽에 나타나고, 하강에지에 따른 전압의 변화가 다른 쪽에 나타나도록, 상기 제 1 동작전압을 상기 제 1 송신신호에 따라 변화시키는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데이터 통신시스템.
  17. 제 14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송신회로는,
    상기 제 1 동작전압에 있어서, 논리레벨 "H"를 나타내는 전위 기간과 논리레벨 "L"을 나타내는 전위 기간에 차를 두어, 상기 제 1 동작전압을 상기 제 1 송신신호에 따라 변화시키는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데이터 통신시스템.
  18. 제 1 항, 제 4 항 및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신호검출회로는,
    변화 검출대상이 될 전압을 받아, 이 전압의 에지를 검출하는 고역통과필터를 구비하는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데이터 통신시스템.
  19. 제 18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신호검출회로는,
    상기 전압에 포함되는 노이즈를 제거하는 저역통과필터와,
    상기 고역통과필터를 통과한 신호레벨과 소정 레벨을 비교하는 비교기와,
    상기 비교기의 비교 결과를 입력하여, 상기 클록검출회로에 의해 생성된 상기 동작클록에 동기시킨 신호를, 상기 제 1 수신신호로서 검출하는 플립플롭을 구비하는 것이며,
    상기 고역통과필터는,
    상기 저역통과필터를 통과한 신호를 입력하는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데이터 통신시스템.
  20. 데이터 전송장치와의 사이에서, 제 1 및 제 2 접점을 개재하고 데이터통신을 실행하는 제어장치에 있어서,
    전력을 공급하는 전원과,
    클록 펄스신호 및 반전 클록 펄스신호를 생성하여, 상기 제 1 및 제 2 접점에 각각 공급하는 클록발생회로와,
    상기 전원의 전압을 변환시켜, 상기 클록발생회로에 동작전압으로서 공급하는 전압레벨 발생회로와,
    상기 전압레벨 발생회로가 생성하는 상기 동작전압을 송신신호에 따라 변화시키는 송신회로를 구비하며,
    상기 클록 펄스신호 및 이를 반전시킨 반전 클록 펄스신호의 에지에서 어긋나게 한 안정된 기간에, 상기 동작전압의 상승에지가 발생하도록 상기 동작전압을 생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어장치.
  21. 제어장치와 데이터 전송장치 사이에서, 제 1 및 제 2 접점을 개재하고 데이터통신을 행하는 방법에 있어서,
    상기 제어장치는 클록 펄스신호를 생성하며,
    상기 제어장치는 상기 클록 펄스신호의 전압레벨을, 제 1 송신신호에 따라 변화시켜 상기 제 1 및 제 2 접점의 적어도 한쪽에 공급하고,
    상기 데이터 전송장치는, 상기 제 1 및 제 2 접점간 전압을 정류시켜 당해 데이터 전송장치에 제 2 동작전압으로서 공급하며,
    상기 데이터 전송장치는, 상기 제 2 동작전압의 변화를 제 1 수신신호로서 검출하고,
    상기 데이터 전송장치는, 상기 제 1 및 제 2 접점의 적어도 한쪽에 공급된 클록 펄스신호로부터 동작클록을 생성하며,
    상기 제어장치는, 상기 제 1 및 제 2 접점 중 한쪽 전압 진폭의 변화를 제 2 수신신호로서 검출하고,
    상기 데이터 전송장치는, 상기 제 1 및 제 2 접점간의 임피던스를 제 2 송신신호에 따라 변화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데이터 통신방법.
  22. 제어장치와 데이터 전송장치 사이에서, 제 1 및 제 2 접점을 개재하고 데이터통신을 행하는 방법에 있어서,
    상기 제어장치는, 전원 전압을 송신신호에 따라 변화시킨 제 1 동작전압을 생성하고,
    상기 제어장치는, 상기 제 1 동작전압을 동작전압으로 하는 클록 펄스신호 및 이를 반전시킨 반전 클록 펄스신호를 생성하며,
    상기 제어장치는, 상기 클록 펄스신호 및 반전 클록 펄스신호를 상기 제 1 및 제 2 접점에 각각 공급하고,
    상기 데이터 전송장치는, 상기 제 1 및 제 2 접점간 전압을 정류시켜 당해 데이터 전송장치의 동작전압으로서 제 2 동작전압을 생성하며,
    상기 데이터 전송장치는, 상기 제 2 동작전압의 변화를 수신신호로서 검출하고,
    상기 제 1 동작전압의 생성은,
    상기 클록 펄스신호 및 반전 클록 펄스신호의 에지에서 어긋나게 한 안정된 기간에, 상기 제 1 동작전압의 상승에지가 발생하도록 하여 실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데이터 통신방법.
  23. 제 22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동작전압의 생성은,
    상기 제 1 동작전압의 상승에지에 따른 전압의 변화가 상기 클록 펄스신호 및 반전 클록 펄스신호 중 어느 한쪽에 나타나고, 하강에지에 따른 전압의 변화가다른 쪽에 나타나도록, 상기 제 1 동작전압을 상기 송신신호에 따라 변화시키도록 하여 실행되는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데이터 통신방법.
KR1020020050275A 2001-08-24 2002-08-24 데이터 통신 시스템, 제어장치 및 데이터 통신방법 KR20030017432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01-00254266 2001-08-24
JP2001254266A JP3519708B2 (ja) 2001-08-24 2001-08-24 データ通信システム
JPJP-P-2001-00366480 2001-11-30
JP2001366480A JP3523636B2 (ja) 2001-11-30 2001-11-30 データ通信システムおよびコントロール装置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0017432A true KR20030017432A (ko) 2003-03-03

Family

ID=2662092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20050275A KR20030017432A (ko) 2001-08-24 2002-08-24 데이터 통신 시스템, 제어장치 및 데이터 통신방법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US (1) US7113547B2 (ko)
EP (1) EP1289214A3 (ko)
KR (1) KR20030017432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57951B1 (ko) * 2006-04-18 2008-09-09 캐논 가부시끼가이샤 데이터통신장치, 데이터통신시스템 및 데이터통신방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4263023B2 (ja) * 2003-06-02 2009-05-13 パナソニック株式会社 2線式データ通信方法、システム、コントロール装置およびデータ記憶装置
US7664168B2 (en) * 2004-11-09 2010-02-16 Canon Kabushiki Kaisha Data carrier device, data carrier driving device, data communication system using data carrier driving device and data communication method
KR20070105342A (ko) * 2005-02-24 2007-10-30 파이어플라이 파워 테크놀로지 전력 전송을 위한 방법, 장치 및 시스템
US20070149162A1 (en) * 2005-02-24 2007-06-28 Powercast, Llc Pulse transmission method
KR100986848B1 (ko) * 2006-11-29 2010-10-08 캐논 가부시끼가이샤 화상 형성 장치, 통신 장치, 및 카트리지
WO2010004743A1 (ja) * 2008-07-11 2010-01-14 セイコーエプソン株式会社 液体容器、液体噴射装置、および、液体噴射システム
CN102089153A (zh) * 2008-07-11 2011-06-08 精工爱普生株式会社 液体容器、液体喷射装置以及液体喷射系统
US8207635B2 (en) * 2009-02-20 2012-06-26 Redwood Systems, Inc. Digital switch communication
US8248230B2 (en) 2009-02-20 2012-08-21 Redwood Systems, Inc. Smart power device
US8427300B2 (en) 2009-02-20 2013-04-23 Redwood Systems, Inc. Transmission of power and data with frequency modulation
US8058750B2 (en) * 2009-05-14 2011-11-15 Redwood Systems, Inc. Discharge cycle communication
US8768533B2 (en) 2010-04-09 2014-07-01 Toyota Jidosha Kabushiki Kaisha Vehicle, communication system, and communication device
EP2557746B1 (en) 2010-04-09 2020-05-06 Toyota Jidosha Kabushiki Kaisha Communication device, communication system, and vehicle
JP5891387B2 (ja) 2011-05-09 2016-03-23 パナソニックIpマネジメント株式会社 無線電力データ伝送システム、送電装置、および受電装置
US9703737B2 (en) * 2013-03-15 2017-07-11 Intel Corporation Method, apparatus, and system for improving inter-chip and single-wire communication for a serial interface

Family Cites Families (1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FR2273422B1 (ko) * 1974-05-27 1979-09-28 Cit Alcatel
US4007458A (en) * 1975-12-29 1977-02-08 Clemar Manufacturing Corporation Digital two-wire irrigation control system
FR2608293B1 (fr) * 1986-12-12 1990-12-28 Petit Jean P Acces a un dispositif comportant un circuit electronique a l'aide de deux contacts et dispositifs associes
FR2627651B1 (fr) * 1988-02-19 1990-08-03 Petercem Sa Systeme local de transmission d'informations
FR2707024B1 (ko) * 1993-06-22 1995-09-01 Suisse Electronique Microtech
DE19732643A1 (de) * 1997-07-29 1999-02-04 Siemens Ag Schaltungsanordnung zum manipuliergeschützten Empfangen eines OOK-modulierten Signals
WO1999016017A1 (en) * 1997-09-23 1999-04-01 Koninklijke Philips Electronics N.V. Dual-mode data carrier and circuit for such a data carrier with potential equalizing means for equalizing the potentials of at least two contact terminals
DE59800687D1 (de) * 1998-02-17 2001-06-13 Infineon Technologies Ag Datenträger sowohl für den kontaktlosen als auch den kontaktbehafteten Betrieb
EP0940769B1 (de) * 1998-03-03 2001-10-17 Infineon Technologies AG Datenträger zum kontaktlosen Empfangen von amplitudenmodulierten Signalen
EP0993652B1 (en) * 1998-05-05 2006-10-11 Koninklijke Philips Electronics N.V. Data carrier having rectifier means and having improved voltage limiting means
WO2000010124A1 (de) * 1998-08-10 2000-02-24 Kreft Hans Diedrich Chipkarte mit erhöhter kartensicherheit
KR100697489B1 (ko) * 1999-01-07 2007-03-20 코닌클리즈케 필립스 일렉트로닉스 엔.브이. 이동 데이터 캐리어
EP1272973B1 (en) * 2000-04-04 2012-05-09 Nxp B.V. Output stage for a communication contact for a data carrier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57951B1 (ko) * 2006-04-18 2008-09-09 캐논 가부시끼가이샤 데이터통신장치, 데이터통신시스템 및 데이터통신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7113547B2 (en) 2006-09-26
EP1289214A3 (en) 2006-11-08
US20030039313A1 (en) 2003-02-27
EP1289214A2 (en) 2003-03-0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30017432A (ko) 데이터 통신 시스템, 제어장치 및 데이터 통신방법
EP1748562B1 (en) Clock generating circuit and clock generating method
US9812894B2 (en) Power switching circuit, semiconductor integrated circuit, radio apparatus, radio system, and power switching method
CN101605114A (zh) 解调器
US20070030881A1 (en) Signal transmission method
CN110333767B (zh) 多相功率变换器
US7583734B2 (en) Two-wire type data communication method and system, controller and data recording apparatus
JPH0877318A (ja) 非接触式情報記録媒体
JP3519708B2 (ja) データ通信システム
US7541845B2 (en) Signal receiver apparatus and method for detecting logic state represented by an input signal and semiconductor integrated circuit device having the same
US8169347B2 (en) Parallel-to-serial converter and parallel data output device
JP4393351B2 (ja) データ通信装置、データ通信システム及びデータ通信方法
CN105635011A (zh) 信号解调装置及方法
US20090323785A1 (en) Data communication apparatus, data communication system, and data communication method
JP3523636B2 (ja) データ通信システムおよびコントロール装置
JP4430117B2 (ja) データ記憶装置
US6483729B2 (en) Slaved supply for serial link, of master slave type
US8330578B2 (en) Transponder device and method for providing a supply voltage
JP2006173707A (ja) データ通信回路
US7400874B2 (en) Integrated circuit comprising a clock-signal generator, smart card comprising an integrated circuit of this kind and associated method for the generation of clock signals
JP4533113B2 (ja) データ通信装置及びデータ通信方法
US20160218755A1 (en) Transmission circuit and communication system
JP2003110470A (ja) 2線式データ通信装置
JP2006165708A (ja) データ通信回路
CN115735334A (zh) 用于低电压差分信号lvds的驱动器电路、用于lvds的线路驱动器装置以及用于操作lvds驱动器电路的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NORF Unpaid initial registration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