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0017311A - 근적외선 차단 성능이 우수한 자외선 경화형 투명 수지조성물 및 그 피막 - Google Patents

근적외선 차단 성능이 우수한 자외선 경화형 투명 수지조성물 및 그 피막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0017311A
KR20030017311A KR1020020021446A KR20020021446A KR20030017311A KR 20030017311 A KR20030017311 A KR 20030017311A KR 1020020021446 A KR1020020021446 A KR 1020020021446A KR 20020021446 A KR20020021446 A KR 20020021446A KR 20030017311 A KR20030017311 A KR 2003001731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pper
acrylate
weight
parts
powd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2002144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영희
정덕규
장진호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옴니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옴니켐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옴니켐
Priority to KR1020020021446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30017311A/ko
Publication of KR2003001731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0017311A/ko

Link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DCOATING COMPOSITIONS, e.g. PAINTS, VARNISHES OR LACQUERS; FILLING PASTES; CHEMICAL PAINT OR INK REMOVERS; INKS; CORRECTING FLUIDS; WOODSTAINS; PASTES OR SOLIDS FOR COLOURING OR PRINTING; USE OF MATERIALS THEREFOR
    • C09D5/00Coating compositions, e.g. paints, varnishes or lacquers, characterised by their physical nature or the effects produced; Filling paste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DCOATING COMPOSITIONS, e.g. PAINTS, VARNISHES OR LACQUERS; FILLING PASTES; CHEMICAL PAINT OR INK REMOVERS; INKS; CORRECTING FLUIDS; WOODSTAINS; PASTES OR SOLIDS FOR COLOURING OR PRINTING; USE OF MATERIALS THEREFOR
    • C09D133/00Coating compositions based on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compounds having one or more unsaturated aliphatic radicals, each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and at least one being terminated by only one carboxyl radical, or of salts, anhydrides, esters, amides, imides, or nitriles thereof; Coating compositions based on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9D133/04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esters
    • C09D133/14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esters of esters containing halogen, nitrogen, sulfur or oxygen atoms in addition to the carboxy oxygen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DCOATING COMPOSITIONS, e.g. PAINTS, VARNISHES OR LACQUERS; FILLING PASTES; CHEMICAL PAINT OR INK REMOVERS; INKS; CORRECTING FLUIDS; WOODSTAINS; PASTES OR SOLIDS FOR COLOURING OR PRINTING; USE OF MATERIALS THEREFOR
    • C09D175/00Coating compositions based on polyureas or polyurethanes; Coating compositions based on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9D175/04Polyurethanes
    • C09D175/14Polyurethanes ha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DCOATING COMPOSITIONS, e.g. PAINTS, VARNISHES OR LACQUERS; FILLING PASTES; CHEMICAL PAINT OR INK REMOVERS; INKS; CORRECTING FLUIDS; WOODSTAINS; PASTES OR SOLIDS FOR COLOURING OR PRINTING; USE OF MATERIALS THEREFOR
    • C09D7/00Features of coating compositions, not provided for in group C09D5/00; Processes for incorporating ingredients in coating compositions
    • C09D7/40Additives
    • C09D7/60Additives non-macromolecular
    • C09D7/61Additives non-macromolecular inorganic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DCOATING COMPOSITIONS, e.g. PAINTS, VARNISHES OR LACQUERS; FILLING PASTES; CHEMICAL PAINT OR INK REMOVERS; INKS; CORRECTING FLUIDS; WOODSTAINS; PASTES OR SOLIDS FOR COLOURING OR PRINTING; USE OF MATERIALS THEREFOR
    • C09D7/00Features of coating compositions, not provided for in group C09D5/00; Processes for incorporating ingredients in coating compositions
    • C09D7/40Additives
    • C09D7/60Additives non-macromolecular
    • C09D7/63Additives non-macromolecular organic

Abstract

본 발명은 근적외선 차단 성능이 우수한 자외선 경화형 투명 수지 조성물 및 그 피막에 관한 것으로, 자외선 경화형 투명수지 100중량부, 금속산화물 분말 10 내지 40중량부, 구리화합물 0.01 내지 10중량부로 이루어진다.
본 발명의 피막은 근적외선(780~1800nm)을 효율적으로 흡수하고, 가시광선(380~780nm)을 효율적으로 투과하는 특성을 가지므로, 냉난방 효율의 개선에 효과적이다. 또한, 여름철 태양빛의 적외선 차단효과에 의해 대폭적인 냉방용 전력절감 효과를 발휘하고, 겨울철에는 실내의 보온효과가 높은 투명피막으로서 이용할 수 있다.

Description

근적외선 차단 성능이 우수한 자외선 경화형 투명 수지 조성물 및 그 피막 {Composition of infrared ray cutoff coating materials}
본 발명은 근적외선 차단 성능이 우수한 자외선 경화형 투명 수지 조성물 및 그 피막에 관한 것이다.
종래의 투명피막은 가시영역의 빛에 대하여 투명성(투과성)이 있고, 적외영역의 빛에 대해서는 반사성인 적외선 차단기능을 보유하며, 다음과 같은 것들이 알려져 있다. (a) 주석이 도핑된 산화인듐 화합물인 인듐틴옥사이드 (이하 ITO라고 약칭함)의 박막을 물리증착, 화학증착,또는 스패터링 등의 기상법에 의해 유리기판 위에 형성한 것, (b) 프탈로시아닌계, 안트라퀴논계, 나프토퀴논계, 시아닌계, 나프타르시아닌계, 고분자축합아조계, 피롤계 등의 유기색소형 근적외 흡수제이거나, 또는 디티오올계, 메르카프토 나프토올계 등의 유기금속착염을 유기용매와 유기바인더를 사용하여 잉크화 하여서 기판에 도공하거나, 혹은 수지에 혼합하여 피막화해서 기판 위에 적층한 것, (c) 유기바인더(폴리염화비닐, 아크릴수지 등)와 적외선 차단능력을 보유하는 입경 0.02 내지 0.2㎛의 Sn02미분말에 유기용제 (케톤계, 방향족계 등)와 미량의 분산제 (음이온계 계면활성제)를 첨가하여 조제한 도료를 베이스체에 도포하고, 적외선 흡수성의 피막을 형성한 것들이다.
그러나, (a)에 대해서는 고진공과 정밀도가 높은 분위기제어가 필요한 장치를 사용해야 되기 때문에 비용이 높아질 뿐 아니라, 피막의 크기, 형상에도 제한이 있다. 그 뿐 아니라, 양산성이 나쁘고, 범용성에 약하다는 등의 문제점도 있다. (b)에 대해서는 (a)의 문제점은 해결되기는 하지만 가시영역의 빛의 투과율이 낮고, 어두운 갈색에서 어두운 청색의 농후한 착색을 하고 있을 뿐만 아니라, 대부분은 690 내지 1000nm 정도의 한정된 근적외선 영역의 적외선 흡수이기 때문에, 예를 들면 하우징의 일반창문, 일광욕실(Sunroom)의 지붕부재, 벽부재 등으로 이용했을 경우에는 창문이나 유리를 통하여 실내외의 시인성(視認性)이 나쁘고, 색조로부터 받는 미관성에도 뒤떨어질 뿐만 아니라 실내의 냉난방효과도 불충분하다는 등의 문제점이 있다. (c)에 대해서는 이 피막에 의해 충분한 적외선 차단기능을 발현시키기 위해서는 막 두께를 12㎛이상으로 하여 핫프레스 처리를 할 필요가 있다. 이와 같은 막 두께가 되면 가시광에 대한 광투과율이 50 내지 60% 정도로 낮게 되어서 투명성이 저해된다.
이들 문제점에 감안하여, (d) 특수한 조건에서 제조된 입경 0.2㎛ 이하인 ITO 분말로 이루어진 근적외선 흡수 물질이 개발되었고 개선되었다. (예를 들어,US 5,518,810). 그러나, ITO 분말을 과량 사용한 적외선 차단제는 첫째, ITO분말의 가격이 높기 때문에 생산비용이 높고, 둘째, ITO분말의 특성상 과량 사용시 가시영역에서 투명도가 저하하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상기의 문제점을 해결하여 시장의 요구에 부응하는 뛰어난 적외선 흡수성능을 가지며, 생산비용이 낮으며, 가시영역에서의 투명도가 우수한 근적외선 흡수제 및 그 피막의 개발이 요구되고 있다.
본 발명은 상기 문제점들을 해결하고, 뛰어난 적외선 흡수성능을 가지며, 생산비용이 낮으며, 투명도가 우수한 적외선 흡수제 및 그 피막을 제공하고자 한다.
도 1은 실시예 1 및 비교 예의 UV-VIS-NIR 스펙트럼을 나타낸 그래프이다.
본 발명은 근적외선 차단 성능이 우수한 자외선 경화형 투명 수지 조성물 및 그 피막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조성물은 자외선 경화형 투명수지, 금속산화물 분말, 구리화합물로 이루어진 근적외선 흡수제 및 상기 조성물로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조성물로 이루어진 피막을 제공한다.
ITO 분말을 과량 사용하는 종래의 기술에서는 근적외선 영역뿐만 아니라, 가시영역의 파장을 일부 흡수하게 되어 투명도가 낮아지고 색상을 띄게 된다. ITO 분말의 가격 또한 고가이기 때문에 생산비용도 높아지게 된다. 본 발명에서는 고가의 ITO 분말의 첨가량을 감소시키는 대신에 근적외영역(780~1800nm) 의 흡수효율을 향상시키기 위해 구리화합물을 첨가함으로서 ITO 분말의 감소로 인한 근적외선 흡수량의 감소를 보완하였다. 따라서, 본 발명에서 제공하는 열선 차폐용 피막재료는 가격이 저렴할 뿐만 아니라 가시광선 투과율이 높아, ITO분말을 과량 사용한 경우와 동등 수준의 적외선 차단율을 가지면서 투명도가 높은 필름을 제공한다.
이하, 본 발명에 대해 더욱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의 근적외선 흡수제 조성물은 자외선 경화형 투명수지 100중량부, 금속산화물 분말 10내지 40중량부, 구리화합물 0.01 내지 10중량부로 이루어지며 용매, 경화가속제와 같은 다양한 첨가제를 더 함유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자외선 경화형 투명수지는, 분자쇄 내에 우레탄 결합을 도입한 올리고머 (폴리우레탄 (메타)아크릴레이트), 광경화형의 (메타)아크릴레이트 모노머, 자외선에 의해 개시가 가능한 1종 이상의 광개시제를 포함하는 수지조성물이다.
상기한 폴리우레탄 (메타)아크릴레이트 올리고머는 폴리에테르 폴리올, 수산기 함유 아크릴 유도체 및 디이소시아네이트 화합물을 중합시켜 제조한 중합물이며, 이때 폴리에테르 폴리올으로는 수평균 분자량이 300 ∼ 30,000, 바람직하기로는 500 ∼10,000 범위이고, 디이소시아네이트 화합물은 통상의 우레탄 합성시 사용되는 것으로서, 지방족 또는 방향족 디이소시아네이트를 모두 적용한다.
상기한 (메타)아크릴레이트 모노머는 단관능성 모노머와 다관능성 모노머로 나누어지며, 단관능성 모노머로는 2-에틸헥실 아크릴레이트, 라우릴 아크릴레이트, 이소보닐 아크릴레이트, 카프로락톤 아크릴레이트, 비닐 피롤리돈, 디아세톤 아크릴아미드, 이소부톡시메틸 아크릴아미드, 아크릴아미드, 아크릴산, 이타콘산, 디메틸 아미노에틸 아크릴아크릴레이트 중에서 선택된 1종 또는 2종 이상의 혼합물이다. 다관능성 모노머로는 1,6-헥산디올 디아크릴레이트, 에톡시레이티드 비스페놀에이디아크릴레이트, 트리프로필렌글리콜 디아크릴레이트, 부탄디올 디아크릴레이트, 폴리에틸렌글리콜 디아크릴레이트, 트리에틸렌글리콜 디아크릴레이트, 트리메틸올프로판 트리아크릴레이트, 펜타에리쓰리톨 트리아크릴레이트, 펜타에리쓰리톨테트라아크릴레이트 중에서 선택된 1종 또는 2종 이상의 혼합물이다.
상기한 광개시제로는 각종 벤죠인 알킬에테르류, 벤질, 벤조페논, 알칼아민계 벤조논류, 벤질 디 메틸 케탈, 1-하이드록시시클로헥실 페닐케톤, 2-하이드록시-2-메틸-1-페닐 프로판, 1-옥시 1-(4-이소 프로필레닐), 2-하이드록시-2-메틸 프로판-1 중에서 선택된 1종 또는 2종 이상의 혼합물이다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금속산화물 분말로서, 0.2 ㎛이하, 바람직하게는 0.1 ㎛이하의 입경을 가지는 ITO 분말, 주석이 도핑된 산화안티몬 화합물인 안티모니틴옥사이드 (이하 ATO라고 약칭함) 분말, 주석 산화물 등을 통상적인 예로서 설명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특히 바람직한 것은 800 내지 900nm 범위 내의 어떤 파장으로부터 장파장 측의 적외선을 효율적으로 차단하는 ITO 분말 또는 ATO 분말이다. ITO 분말은 예를 들어, JP-A-7-70482 내에 게시된 방법에 의해 제조할 수 있고, ATO 분말은 JP-B-4-58511 내에 개시된 방법에 의해 제조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구리화합물로서, 라우르산구리 (copper laurate), 미리스트산구리 (copper myristate), 팔미트산구리 (copper palmitate), 스테아르산구리 (copper stearate), 폴리아크릴산구리 (copper polyacrylate), 폴리메타크릴산구리 (copper polymethacrylate) 등을 들 수 있는데, 이 중 스테아르산구리, 폴리아크릴산구리, 폴리메타크릴산구리가 효율적이다.
본 발명에서 필수성분은 (1) 자외선 경화형 투명수지, (2) 금속산화물 분말, (3) 구리화합물로, 그 블렌드 비율은 바람직하게는 자외선 경화형 투명수지 100중량부에 대하여 금속산화물 분말 10 내지 40중량부 구리화합물 0.01 내지 10중량부를 사용하고 더욱 바람직 하게는 자외선 경화형 수지 100중량부에 대하여 금속산화물 분말 20 내지 30중량부, 구리화합물 0.1 내지 5중량부이다.
금속산화물 분말이 상기 범위 이하면, 근적외선영역의 광선흡수성능이 저하하고, 상기 범위 이상이면, 피막의 가시영역에서의 투명성이 저하하며, 생산비용이 증가한다. 구리화합물이 상기 범위 이하면, 근적외선영역의 광선흡수성능이 저하하고, 상기 범위 이상이면, 피막의 가시영역에서의 투명성이 저하할 뿐 아니라 피막특성이 저하한다. 자외선 경화형 투명수지가 상기 범위 이하이면, 바인더 특성이 저하하며, 상기 범위 이상이면, 경화된 피막의 두께가 필요이상으로 두꺼워져서 피막특성이 저하한다.
적외선 차단 피막은 금속산화물 분말, 구리화합물을 자외선 경화형 투명수지에 고르게 분산시킨 조성물을 베이스체에 바아코우터를 사용하여 일정한 두께로 도포하고 자외선 조사장치에 통과시켜 제조한다. 본 발명의 적외선 차단 피막은 가시광의 투과성이 높기 때문에 투명플라스틱 베이스체, 유리 베이스체와 같은 투명 베이스체에 적용했을 경우에 베이스체의 투명성을 저해하지 않는다.
이하 본 발명을 실시예에 의거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은 바, 본 발명이 실시예에 의해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실시예 1~5] 및 [비교예]
폴리우레탄 아크릴레이트 올리고머 100부에 대하여 1,6-헥산디올 디아크릴레이트 40중량부, 비닐 피롤리돈 20중량부, 라우릴 아크릴레이트 30중량부, 광경화형 개시제인 Irgacure 184 1중량부를 각각 암갈색의 시약병에 넣고 잘 혼합하여 자외선 경화형 투명수지를 제조하였다. 상기의 방식으로 제조한 자외선 경화형 투명수지, 금속 산화물 분말, 구리화합물 및 유리구슬(glass beads) 20g을 100㏄ 유리병에 각각 넣고 페인트 교반기를 사용하여 입자게이지로 분산상태를 확인하면서 5시간 혼련한 다음, 유리구슬(glass beads)을 제거하고 도포용 조성물을 얻었다.
이 도포용 조성물을 #10 바아코우터로 PET필름 위에 도포하고, 80℃로 20초간 건조시킨 후, 자외선 조사장치(Mercury Lamp, 80 Watt, 3초)에 통과시켜 각종 피막을 얻었다.
얻어진 피막에 대해서, 분광광도계(Hitachi, U-3501)를 사용해서 파장 380~2500nm 영역의 광선 투과율을 측정하였고, 하기의 식에 의해 가시광선 투과율과 근적외선 차단율을 계산하였다.
가시광선 투과율 (%) = AVE(T380nm, T780nm)
근적외선 차단율 (%) = 〔100 -AVE(T800nm, T2100nm) 〕
상기식에서, AVE(T380nm, T780nm)란, 파장 380nm에서 780nm까지의 투과율을 평균한 값을 의미하고, AVE(T800nm, T2100nm)란, 파장 800nm에서 2100nm까지의 투과율을 평균한 값을 의미한다.
실시예 1~5 및 비교예의 조성비와 물성측정 결과는 표 1 및 도 1에 나타내었다.
[표 1]
표 1에 표시한 바와 같이, ITO 분말을 단독으로 사용한 경우, 근적외선 차단율을 원하는 수준(85%)까지 높이기 위해 ITO 분말의 함량을 증가시켜야 하는데, 이 때, 가시광선 영역에서 낮은 투과율을 갖는 ITO 분말의 증가에 의해 가시광선 투과율이 저하하는 경향을 나타내며, ITO 분말이 고가이므로 근적외선 차단재의 가격 또한 높다. 구리화합물을 첨가한 경우, 비교적 적은 양의 ITO 분말을 사용해도 구리화합물의 소량 첨가에 의해 원하는 수준의 적외선 차단율 (85%)을 얻을 수 있었고, 가시광선투과율은 증가하는 경향을 나타내며, 근적외선 차단재의 가격은 저렴하다. 또한, 첨가한 구리화합물 중에서 스테아르산구리가 근적외선 차단율/가시광선 투과율 면에서 가장 우수하였으며, ITO 분말 대신에 ATO 분말을 사용한 경우, 근적외선 차단율이 상당히 저하하는 것을 알 수 있다.
본 발명의 피막은 근적외선(780~1800nm)을 효율적으로 흡수하고, 가시광선(380~780nm)을 효율적으로 투과하는 특성을 가지며, 동시에 가격이 저렴한 냉난방 효율의 개선에 효과가 높다.

Claims (7)

  1. 자외선 경화형 투명수지 100중량부, 금속산화물 분말 10 내지 40중량부 및 구리화합물 0.01 내지 10중량부로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근적외선 차단제.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자외선 경화형 투명수지는 분자쇄 내에 우레탄 결합을 도입한 올리고머 (폴리우레탄 (메타)아크릴레이트), 광경화형의 (메타)아크릴레이트 모노머 및 자외선에 의해 개시가 가능한 1종 이상의 광개시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근적외선 차단제.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올리고머는 폴리에테르 폴리올, 수산기 함유 아크릴 유도체 및 디이소시아네이트 화합물을 중합시켜 제조한 중합물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근적외선 차단제.
  4.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메타)아크릴레이트 모노머는 2-에틸헥실 아크릴레이트, 라우릴 아크릴레이트, 이소보닐 아크릴레이트, 카프로락톤 아크릴레이트, 비닐 피롤리돈, 디아세톤 아크릴아미드, 이소부톡시메틸 아크릴아미드, 아크릴아미드, 아크릴산, 이타콘산, 디메틸 아미노에틸 아크릴아크릴레이트와 같은 단관능성 모노머와, 1,6-헥산디올 디아크릴레이트, 에톡시레이티드 비스페놀에이디아크릴레이트, 트리프로필렌글리콜 디아크릴레이트, 부탄디올 디아크릴레이트, 폴리에틸렌글리콜디아크릴레이트, 트리에틸렌글리콜 디아크릴레이트, 트리메틸올프로판 트리아크릴레이트, 펜타에리쓰리톨 트리아크릴레이트, 펜타에리쓰리톨테트라아크릴레이트와 같은 다관능성 모노머 중에서 선택된 1종 또는 2종 이상의 혼합물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근적외선 차단제.
  5.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광개시제는 각종 벤죠인 알킬에테르류, 벤질, 벤조페논, 알칼아민계 벤조논류, 벤질 디 메틸 케탈, 1-하이드록시시클로헥실 페닐케톤, 2-하이드록시-2-메틸-1-페닐 프로판, 1-옥시 1-(4-이소 프로필레닐), 2-하이드록시-2-메틸 프로판-1 중에서 선택된 1종 또는 2종 이상의 혼합물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근적외선 차단제.
  6. 제 1항 내지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구리화합물은 라우르산구리 (copper laurate), 미리스트산구리 (copper myristate), 팔미트산구리 (copper palmitate), 스테아르산구리 (copper stearate), 폴리아크릴산구리 (copper polyacrylate), 폴리메타크릴산구리 (copper polymethacrylate) 중의 하나 또는 둘 이상의 조합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근적외선 차단제.
  7. 제 1항 내지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금속산화물은 ITO분말과 ATO분말 중의 하나 또는 둘 이상의 조합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근적외선 차단제
KR1020020021446A 2002-04-19 2002-04-19 근적외선 차단 성능이 우수한 자외선 경화형 투명 수지조성물 및 그 피막 KR20030017311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20021446A KR20030017311A (ko) 2002-04-19 2002-04-19 근적외선 차단 성능이 우수한 자외선 경화형 투명 수지조성물 및 그 피막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20021446A KR20030017311A (ko) 2002-04-19 2002-04-19 근적외선 차단 성능이 우수한 자외선 경화형 투명 수지조성물 및 그 피막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0017311A true KR20030017311A (ko) 2003-03-03

Family

ID=2772603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20021446A KR20030017311A (ko) 2002-04-19 2002-04-19 근적외선 차단 성능이 우수한 자외선 경화형 투명 수지조성물 및 그 피막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30017311A (ko)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515594B1 (ko) * 2003-07-11 2005-09-21 주식회사 엘지화학 근적외선 흡수필름 및 이를 포함하는 플라즈마 디스플레이필터
KR100614250B1 (ko) * 2004-08-10 2006-08-21 (주) 우석켐 근적외선 흡수 피막 형성 조성물
WO2008038956A1 (en) * 2006-09-29 2008-04-03 Omni Chem Co., Ltd. Adhesive composition for polarizer and the preparation method of polarizer using the same
KR101067718B1 (ko) * 2011-05-02 2011-09-28 주식회사 건융 에너지 절감을 위한 유리도포식 단열재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
KR101413462B1 (ko) * 2013-06-28 2014-07-01 주식회사 프레코 스텔스 및 적외선차단의 복합기능층을 갖는 위장용 점착판의 제조방법 및 이에 의하여 제조된 위장용 점착판
KR101446513B1 (ko) * 2013-06-28 2014-10-06 주식회사 프레코 적외선차단 시트용 조성물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9208863A (ja) * 1996-01-30 1997-08-12 Kureha Chem Ind Co Ltd 熱線吸収性コーティング組成物および熱線吸収性付与方法
KR980700343A (ko) * 1995-09-29 1998-03-30 다께다 가즈히꼬 활성 에너지선 경화형, 태양광선 차단성 수지 조성물 및 그로 피복된 필름(active radiation ray curable, solar radiation blocking resin compositions and films coated therewith)
KR19980023994A (ko) * 1996-04-03 1998-07-06 사싸 다께지로 근 적외선 차폐 필터 생성용 조성물, 및 근 적외선 차폐 필터
JPH11170442A (ja) * 1997-12-17 1999-06-29 Tomoegawa Paper Co Ltd 透明性赤外線カットオフフィルム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80700343A (ko) * 1995-09-29 1998-03-30 다께다 가즈히꼬 활성 에너지선 경화형, 태양광선 차단성 수지 조성물 및 그로 피복된 필름(active radiation ray curable, solar radiation blocking resin compositions and films coated therewith)
JPH09208863A (ja) * 1996-01-30 1997-08-12 Kureha Chem Ind Co Ltd 熱線吸収性コーティング組成物および熱線吸収性付与方法
KR19980023994A (ko) * 1996-04-03 1998-07-06 사싸 다께지로 근 적외선 차폐 필터 생성용 조성물, 및 근 적외선 차폐 필터
JPH11170442A (ja) * 1997-12-17 1999-06-29 Tomoegawa Paper Co Ltd 透明性赤外線カットオフフィルム

Cited B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515594B1 (ko) * 2003-07-11 2005-09-21 주식회사 엘지화학 근적외선 흡수필름 및 이를 포함하는 플라즈마 디스플레이필터
KR100614250B1 (ko) * 2004-08-10 2006-08-21 (주) 우석켐 근적외선 흡수 피막 형성 조성물
WO2008038956A1 (en) * 2006-09-29 2008-04-03 Omni Chem Co., Ltd. Adhesive composition for polarizer and the preparation method of polarizer using the same
KR100820175B1 (ko) * 2006-09-29 2008-04-07 주식회사 옴니켐 편광판용 접착제용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편광판의제조방법
KR101067718B1 (ko) * 2011-05-02 2011-09-28 주식회사 건융 에너지 절감을 위한 유리도포식 단열재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
KR101413462B1 (ko) * 2013-06-28 2014-07-01 주식회사 프레코 스텔스 및 적외선차단의 복합기능층을 갖는 위장용 점착판의 제조방법 및 이에 의하여 제조된 위장용 점착판
KR101446513B1 (ko) * 2013-06-28 2014-10-06 주식회사 프레코 적외선차단 시트용 조성물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TWI387790B (zh) 紅外線吸收薄膜
EP0795565B1 (en) Actinic radiation-curable and heat ray-shielding resin composition and film coated with the same
KR101127952B1 (ko) 광학용 하드코팅 필름
AU2007248454B2 (en) Infrared radiation blocking laminate
KR101983925B1 (ko) 눈부심 방지 터치 스크린 디스플레이 및 다른 코팅 제품 및 그들의 형성 방법
KR101013123B1 (ko) 에너지 절감형 코팅용 조성물 및 이를 사용한 코팅방법
KR102382380B1 (ko) 수지 필름, 적층 필름, 광학 부재, 표시 부재, 전면판 및 적층 필름의 제조방법
CN101679824A (zh) 遮阳膜用粘合剂以及遮阳膜
JP2001262016A (ja) 濃着色インク、これを用いたコーティング液、フィルム、基材、樹脂組成物、及び樹脂成型品
EP2099037B1 (en) Composition for formation of transparent conductive film, transparent conductive film, and display
KR20170139600A (ko) 광경화성 수지 조성물, 이것을 이용하는 경화막의 제조 방법 및 당해 경화막을 포함하는 적층체
EP1857469A1 (en) Active energy ray-curable composition
CN102656245A (zh) 近红外线吸收色素和近红外线吸收组合物
JP2009184882A (ja) 塗布用組成物、紫外線遮蔽層付きガラス板及びその製造方法
US6528156B1 (en) Infrared cutoff film
KR100694002B1 (ko) 저굴절률층을 갖는 반사방지필름
KR20030017311A (ko) 근적외선 차단 성능이 우수한 자외선 경화형 투명 수지조성물 및 그 피막
KR101257753B1 (ko) 광경화성 변색 수지 조성물, 이를 이용해 절연처리된 전자부품 및 그의 제조방법
KR20070096328A (ko) Uv 경화형 광변색성 코팅 조성물, 이를 이용한 광변색성폴리우레탄 코팅막, 및 이를 포함하는 광변색성 광학제품
KR20140051146A (ko) 광학 제품의 대전방지 기능 uv 경화성 하드코팅을 제조하는 방법
KR20070077815A (ko) 투명패널의 대전방지 코팅액의 제조방법 및 이를 이용한대전방지 물건의 코팅방법
US6404543B1 (en) Infrared shielding film
JP3524600B2 (ja) 硬化性樹脂組成物、及び樹脂硬化物の製造方法
JP5074726B2 (ja) ガラス用熱線カットフィルム
JP2007231067A (ja) 近赤外線吸収粘着剤及びその製造方法並びに近赤外線吸収シート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G15R Request for early opening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