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067718B1 - 에너지 절감을 위한 유리도포식 단열재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에너지 절감을 위한 유리도포식 단열재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067718B1
KR101067718B1 KR1020110041487A KR20110041487A KR101067718B1 KR 101067718 B1 KR101067718 B1 KR 101067718B1 KR 1020110041487 A KR1020110041487 A KR 1020110041487A KR 20110041487 A KR20110041487 A KR 20110041487A KR 101067718 B1 KR101067718 B1 KR 10106771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mposition
weight
prepared
glass
acrylic resi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04148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구승래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건융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건융 filed Critical 주식회사 건융
Priority to KR102011004148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067718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06771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06771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3GLASS; MINERAL OR SLAG WOOL
    • C03CCHEMICAL COMPOSITION OF GLASSES, GLAZES OR VITREOUS ENAMELS; SURFACE TREATMENT OF GLASS; SURFACE TREATMENT OF FIBRES OR FILAMENTS MADE FROM GLASS, MINERALS OR SLAGS; JOINING GLASS TO GLASS OR OTHER MATERIALS
    • C03C17/00Surface treatment of glass, not in the form of fibres or filaments, by coating
    • C03C17/34Surface treatment of glass, not in the form of fibres or filaments, by coating with at least two coatings having different compositions
    • C03C17/3405Surface treatment of glass, not in the form of fibres or filaments, by coating with at least two coatings having different compositions with at least two coatings of organic materials
    • CCHEMISTRY; METALLURGY
    • C03GLASS; MINERAL OR SLAG WOOL
    • C03CCHEMICAL COMPOSITION OF GLASSES, GLAZES OR VITREOUS ENAMELS; SURFACE TREATMENT OF GLASS; SURFACE TREATMENT OF FIBRES OR FILAMENTS MADE FROM GLASS, MINERALS OR SLAGS; JOINING GLASS TO GLASS OR OTHER MATERIALS
    • C03C17/00Surface treatment of glass, not in the form of fibres or filaments, by coating
    • C03C17/006Surface treatment of glass, not in the form of fibres or filaments, by coating with materials of composite character
    • C03C17/007Surface treatment of glass, not in the form of fibres or filaments, by coating with materials of composite character containing a dispersed phase, e.g. particles, fibres or flakes, in a continuous phase
    • CCHEMISTRY; METALLURGY
    • C03GLASS; MINERAL OR SLAG WOOL
    • C03CCHEMICAL COMPOSITION OF GLASSES, GLAZES OR VITREOUS ENAMELS; SURFACE TREATMENT OF GLASS; SURFACE TREATMENT OF FIBRES OR FILAMENTS MADE FROM GLASS, MINERALS OR SLAGS; JOINING GLASS TO GLASS OR OTHER MATERIALS
    • C03C17/00Surface treatment of glass, not in the form of fibres or filaments, by coating
    • C03C17/22Surface treatment of glass, not in the form of fibres or filaments, by coating with other inorganic material
    • C03C17/23Oxides
    • C03C17/25Oxides by deposition from the liquid phase
    • C03C17/256Coating containing TiO2
    • CCHEMISTRY; METALLURGY
    • C03GLASS; MINERAL OR SLAG WOOL
    • C03CCHEMICAL COMPOSITION OF GLASSES, GLAZES OR VITREOUS ENAMELS; SURFACE TREATMENT OF GLASS; SURFACE TREATMENT OF FIBRES OR FILAMENTS MADE FROM GLASS, MINERALS OR SLAGS; JOINING GLASS TO GLASS OR OTHER MATERIALS
    • C03C17/00Surface treatment of glass, not in the form of fibres or filaments, by coating
    • C03C17/28Surface treatment of glass, not in the form of fibres or filaments, by coating with organic material
    • C03C17/30Surface treatment of glass, not in the form of fibres or filaments, by coating with organic material with silicon-containing compounds
    • CCHEMISTRY; METALLURGY
    • C03GLASS; MINERAL OR SLAG WOOL
    • C03CCHEMICAL COMPOSITION OF GLASSES, GLAZES OR VITREOUS ENAMELS; SURFACE TREATMENT OF GLASS; SURFACE TREATMENT OF FIBRES OR FILAMENTS MADE FROM GLASS, MINERALS OR SLAGS; JOINING GLASS TO GLASS OR OTHER MATERIALS
    • C03C17/00Surface treatment of glass, not in the form of fibres or filaments, by coating
    • C03C17/28Surface treatment of glass, not in the form of fibres or filaments, by coating with organic material
    • C03C17/32Surface treatment of glass, not in the form of fibres or filaments, by coating with organic material with synthetic or natural resin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DCOATING COMPOSITIONS, e.g. PAINTS, VARNISHES OR LACQUERS; FILLING PASTES; CHEMICAL PAINT OR INK REMOVERS; INKS; CORRECTING FLUIDS; WOODSTAINS; PASTES OR SOLIDS FOR COLOURING OR PRINTING; USE OF MATERIALS THEREFOR
    • C09D133/00Coating compositions based on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compounds having one or more unsaturated aliphatic radicals, each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and at least one being terminated by only one carboxyl radical, or of salts, anhydrides, esters, amides, imides, or nitriles thereof; Coating compositions based on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9D133/04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ester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DCOATING COMPOSITIONS, e.g. PAINTS, VARNISHES OR LACQUERS; FILLING PASTES; CHEMICAL PAINT OR INK REMOVERS; INKS; CORRECTING FLUIDS; WOODSTAINS; PASTES OR SOLIDS FOR COLOURING OR PRINTING; USE OF MATERIALS THEREFOR
    • C09D5/00Coating compositions, e.g. paints, varnishes or lacquers, characterised by their physical nature or the effects produced; Filling pastes
    • C09D5/16Antifouling paints; Underwater paints
    • C09D5/1606Antifouling paints; Underwater paints characterised by the anti-fouling agent
    • CCHEMISTRY; METALLURGY
    • C03GLASS; MINERAL OR SLAG WOOL
    • C03CCHEMICAL COMPOSITION OF GLASSES, GLAZES OR VITREOUS ENAMELS; SURFACE TREATMENT OF GLASS; SURFACE TREATMENT OF FIBRES OR FILAMENTS MADE FROM GLASS, MINERALS OR SLAGS; JOINING GLASS TO GLASS OR OTHER MATERIALS
    • C03C2217/00Coatings on glass
    • C03C2217/70Properties of coatings
    • C03C2217/71Photocatalytic coatings
    • CCHEMISTRY; METALLURGY
    • C03GLASS; MINERAL OR SLAG WOOL
    • C03CCHEMICAL COMPOSITION OF GLASSES, GLAZES OR VITREOUS ENAMELS; SURFACE TREATMENT OF GLASS; SURFACE TREATMENT OF FIBRES OR FILAMENTS MADE FROM GLASS, MINERALS OR SLAGS; JOINING GLASS TO GLASS OR OTHER MATERIALS
    • C03C2217/00Coatings on glass
    • C03C2217/70Properties of coatings
    • C03C2217/74UV-absorbing coating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Geochemistry & Mineralogy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Dispersion Chemistry (AREA)
  • Composite Materials (AREA)
  • Paints Or Removers (AREA)
  • Laminated Bodi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에너지 절감을 위한 유리도포식 단열재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 구체적으로는 자외선 차단성 및 열 흡수성이 우수하고, 본 발명에 따른 유리도포식 단열재 조성물을 유리 표면에 코팅시 유리의 투명도를 유지하면서 유리 표면이 매끄럽게 되어 장시간이 지나도 유리 표면에 곰팡이 등이 발생되거나 이물질 등이 달라붙는 것을 방지하여 청결을 유지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Description

에너지 절감을 위한 유리도포식 단열재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INSULATING MATERIAL COMPOSITION OF BEING COATED ON GLASS FOR ENERGY SAVING AND METHOD OF PREPARARING THE SAME}
본 발명은 에너지 절감을 위한 유리도포식 단열재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태양광은 가시광선과 자외선과 적외선으로 구분되어 있는데 상기 자외선은 화학작용이 강하게 일어나서 화학선이라고 하고, 적외선은 가시광선과 자외선에 비해 열작용이 강하게 발생시킴으로 열선이라고 한다. 상기 자외선은 고분자 제품에 장시간 조사될 경우 고분자의 화학결합이 파괴되어 연쇄절단, 가교결합들을 발생시키는 자유라디칼이 생성되고 결과적으로는 변색, 제품의 부스러짐, 기계적 물성저하가 발생된다. 또한, 인체에 장시간 노출될 경우에는 색소침착, 백내장 등의 심각한 위험을 주고 있다.
따라서, 자외선에 노출이 심한 자동차유리, 건물유리, 전시장, 광고판, 등에는 자외선차단기능을 갖는 필름을 부착하여 자외선의 투과율을 저하시키고 있다. 이와 같은 종래의 자외선차단필름은 대부분이 필름에 자외선 흡수제를 첨가하는 화학적 방식으로 제조되고 있다.
예컨대 종래 필름은 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PET) 필름, 폴리카보네이트([0006] PC), 폴리에스테르 필름과 같은 모재 고분자 필름, 자외선 흡수제층, 보호필름이 순차적으로 적층된 구조이다. 여기서 300nm 이하 파장의 자외선은 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PET) 필름, 폴리카보네이트(PC), 폴리에스테르 필름과 같은 모재 고분자 필름에서 흡수 차단되며, 300에서 400nm 파장을 갖는 자외선은 모재 필름 또는 여기에 코팅되는 착색 감압 점착층에 자외선 흡수제를 용해 함유시키게 함으로써 자외선 흡수제로 인한 자외선 차단이 이루어지게 하였다. 또한 자외선에 의한 고분자필름의 분해를 최소화하게 위해 자외선 안정제를 추가로 첨가하여 제조되고 있다. 상기 사용되는 대표적인 자외선흡수제로는 벤조트리아졸계 화합물이 있으며, 이는 넓은 영역에 걸쳐 자외선 차단 능력이 우수함으로 투명제품과 고급제품에 주로 사용되었다.
그러나, 상기 자외선 흡수제를 이용한 방법은 시간이 지날수록 차단성능이 낮아지는 단점이 있고, 적층의 경우 필름의 무게가 증가됨은 물론 투명도가 감소되는 단점이 있다. 상기 자외선 차단율의 저하를 방지하기 위해 자외선 흡수제의 양을 증가시킬 경우에는 필름 표면에 자외선 흡수제가 석출될 수 있다.
또한, 자외선흡수제가 도포된 고분자 필름을 열성형, 진공성형할 경우, 자외선 차단 및 안정화기능이 저하되는 단점이 있다.
한편, 자외선 차단제의 개발에 많은 관심과 연구가 행해지고 있는데, 특히 화학적, 물리적으로 안정성이 높은 무기계 자외선 차단제의 중요성이 더욱 증가되고 있다. 무기계 자외선 차단제로는 대표적으로 TiO2, ZnO, CeO2의 초미립 분체가 있는데, 산화 티탄은 자외선 B의 차단 효과가 큰 반면, 산화 아연 및 산화세륨의 경우는 자외선 A에 대한 차단 효과가 큰 것으로 알려져 있다. 이들은 고체화학적 측면에서 자외선 영역의 고유의 에너지를 흡수하여 전자들을 기저 상태에서 여기 상태로 에너지를 전환하며, 광학적인 측면에서는 빛의 산란, 간섭 현상을 일으켜 자외선을 차단한다. 그러나 산화티탄, 산화아연 및 산화세륨 등 단독 산화물의 경우 자외선을 만족스러울 정도로 차단하는 것에는 문제가 있다.
본 발명은 자외선 차단성 및 열 흡수성이 우수하고, 본 발명에 따른 에너지 절감을 위한 유리도포식 단열재 조성물을 유리 표면에 코팅시 유리의 투명도를 유지하면서 유리 표면이 매끄럽게 되어 장시간이 지나도 유리 표면에 곰팡이 등이 발생되거나 이물질 등이 달라붙는 것을 방지하여 청결을 유지할 수 있는 에너지 절감을 위한 유리도포식 단열재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을 제공하고자 한다.
본 발명의 일 구현예는 산화알루미늄으로 피복된 이산화티타늄 미립자, 아크릴계 수지, 부틸아민 및 톨루엔과 초산부틸의 혼합용액을 혼합하여 제1 조성물을 제조하는 단계(S1); BP에톡시프로필아세테이트, 벤조페논 및 실리콘 수지를 혼합하여 제2-1 조성물을 제조하고, 상기 제2-1 조성물, 부틸아세테이트, BP에톡시프로필아세테이트 및 아크릴 수지 용액을 혼합하여 제2 조성물을 제조하는 단계(S2); BP에톡시프로필아세테이트, 벤조페논, 실리콘 수지를 혼합하여 제3-1 조성물을 제조하고, 상기 제3-1 조성물, 부틸아세테이트, BP에톡시프로필아세테이트, 아크릴 수지 용액 및 적외선 흡수제를 혼합하여 제3 조성물을 제조하는 단계(S3); 상기 S1 단계에서 제조된 제1 조성물, 상기 S2 단계에서 제조된 제2 조성물 및 상기 S3 단계에서 제조된 제3 조성물을 혼합하여 자외선 차폐액을 제조하는 단계(S4); 및 상기 S4 단계에서 제조된 자외선 차폐액에 광촉매를 포함하는 도료를 첨가하는 단계(S5)를 포함하는 유리도포식 단열재 조성물의 제조방법이다.
본 발명의 다른 일 구현예는 상기 S1 단계에서 제1 조성물은 산화알루미늄으로 피복된 이산화티타늄 미립자 35 내지 50중량%, 아크릴계 수지 5 내지 20중량%, 부틸아민 1 내지 8중량% 및 톨루엔과 초산부틸의 혼합용액 40 내지 50중량%로 혼합하여 제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리도포식 단열재 조성물의 제조방법이다.
본 발명의 다른 일 구현예는 상기 S1 단계에서 톨루엔과 초산부틸의 혼합용액은 톨루엔 및 초산부틸이 0.1 내지 2 : 0.1 내지 2의 중량비로 혼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리도포식 단열재 조성물의 제조방법이다.
본 발명의 다른 일 구현예는 상기 S2 단계에서 제2-1 조성물은 BP에톡시프로필아세테이트 50 내지 65중량%, 벤조페논 15 내지 28중량% 및 실리콘 수지 15 내지 34중량%로 혼합하여 제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리도포식 단열재 조성물의 제조방법이다.
본 발명의 다른 일 구현예는 상기 S2 단계에서 제2 조성물은 제2-1 조성물 18 내지 42중량%, 부틸아세테이트 9 내지 23중량%, BP에톡시프로필아세테이트 26 내지 44중량% 및 아크릴 수지 용액 9 내지 25중량%로 혼합하여 제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리도포식 단열재 조성물의 제조방법이다.
본 발명의 다른 일 구현예는 상기 S2 단계 및 S3 단계에서 아크릴 수지 용액은 아크릴 수지를 자일렌과 혼합하여 아크릴 수지의 농도가 30 내지 50중량%가 되도록 제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리도포식 단열재 조성물의 제조방법이다.
본 발명의 다른 일 구현예는 상기 S3 단계에서 제3-1 조성물은 BP에톡시프로필아세테이트 50 내지 70중량%, 벤조페논 10 내지 30중량% 및 실리콘 수지 13 내지 35중량%로 혼합하여 제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리도포식 단열재 조성물의 제조방법이다.
본 발명의 다른 일 구현예는 상기 S3 단계에서 제3 조성물은 제3-1 조성물 25 내지 43중량%, 부틸아세테이트 1 내지 21중량%, BP에톡시프로필아세테이트 10 내지 29중량%, 아크릴 수지 용액 3 내지 25중량% 및 적외선 흡수제 14 내지 34중량%로 혼합하여 제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리도포식 단열재 조성물의 제조방법이다.
본 발명의 다른 일 구현예는 상기 S3 단계에서 적외선 흡수제는 ATO(Antimony tin oxide), ITO(Indium tin oxide), IZO(Indium Zinc Oxide) 중에서 선택되는 어느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리도포식 단열재 조성물의 제조방법이다.
본 발명의 다른 일 구현예는 상기 S4 단계에서 자외선 차폐액은 제1 조성물대 제2 조성물대 제3 조성물이 1: 15 내지 35 : 15 내지 35의 중량비로 혼합하여 제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리도포식 단열재 조성물의 제조방법이다.
본 발명의 다른 일 구현예는 상기 S5 단계에서 광촉매는 이산화타이타늄(TiO2), 삼산화텅스텐(WO3), 산화아연(ZnO)및 황화카드뮴(CdS) 중에서 선택되는 어느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리도포식 단열재 조성물의 제조방법이다.
본 발명의 다른 일 구현예는 상기 S5 단계에서 자외선 차폐액대 광촉매를 포함하는 도료는 95 내지 99 : 1 내지 5의 중량비로 혼합하여 제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리도포식 단열재 조성물의 제조방법이다.
본 발명의 다른 일 구현예는 상기 제조방법에 따라 제조된 유리도포식 단열재 조성물이다.
본 발명에 따른 에너지 절감을 위한 유리도포식 단열재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은 자외선 차단성 및 열 흡수성이 우수하고, 본 발명에 따른 유리도포식 단열재 조성물을 유리 표면에 코팅시 유리의 투명도를 유지하면서 유리 표면이 매끄럽게 되어 장시간이 지나도 유리 표면에 곰팡이 등이 발생되거나 이물질 등이 달라붙는 것을 방지하여 청결을 유지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유리도포식 단열재 조성물의 제조방법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것이다.
본 발명의 일 구현예는 산화알루미늄으로 피복된 이산화티타늄 미립자, 아크릴계 수지, 부틸아민 및 톨루엔과 초산부틸의 혼합용액을 혼합하여 제1 조성물을 제조하는 단계(S1); BP에톡시프로필아세테이트, 벤조페논 및 실리콘 수지를 혼합하여 제2-1 조성물을 제조하고, 상기 제2-1 조성물, 부틸아세테이트, BP에톡시프로필아세테이트 및 아크릴 수지 용액을 혼합하여 제2 조성물을 제조하는 단계(S2); BP에톡시프로필아세테이트, 벤조페논, 실리콘 수지를 혼합하여 제3-1 조성물을 제조하고, 상기 제3-1 조성물, 부틸아세테이트, BP에톡시프로필아세테이트, 아크릴 수지 용액 및 적외선 흡수제를 혼합하여 제3 조성물을 제조하는 단계(S3); 상기 S1 단계에서 제조된 제1 조성물, 상기 S2 단계에서 제조된 제2 조성물 및 상기 S3 단계에서 제조된 제3 조성물을 혼합하여 자외선 차폐액을 제조하는 단계(S4); 및 상기 S4 단계에서 제조된 자외선 차폐액에 광촉매를 포함하는 도료를 첨가하는 단계(S5)를 포함하는 유리도포식 단열재 조성물의 제조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이 때, 상기 제1 조성물, 제2 조성물 및 제3 조성물을 제조하는 순서는 특별히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기술하는 순서에 상관없이 제조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유리도포식 단열재 조성물의 제조방법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것이다. 이를 참고하여 본 발명의 유리도포식 단열재 조성물의 제조방법을 하기에서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먼저, 산화알루미늄으로 피복된 이산화티타늄 미립자, 아크릴계 수지, 부틸아민 및 톨루엔과 초산부틸의 혼합용액을 혼합하여 제1 조성물을 제조한다 (S1).
상기 제1 조성물은 산화알루미늄으로 피복된 이산화티타늄 미립자 35 내지 50중량%, 아크릴계 수지 5 내지 20중량%, 부틸아민 1 내지 8중량% 및 톨루엔과 초산부틸의 혼합용액 40 내지 50중량%로 혼합하여 제조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제1 조성물에 포함되는 구성들이 상기 범위 내에 있는 경우 본 발명에 따른 유리도포식 단열재 조성물을 유리창에 도포하는 경우 시공성을 향상시키고, 도포 후에도 표면에 곰팡이나 이물질 등이 달라붙는 것을 방지하여 세척효과를 향상시킬 수 있다.
상기 산화알루미늄으로 피복된 이산화티타늄 미립자는 조성물 내의 성분들을 균일하게 혼합해주는 분산제 역할을 하는 것으로 평균 입자 지름이 0.01 내지 0.08㎛인 것이 분산제로서의 효과를 극대화 시키는 점에서 바람직하다.
상기 톨루엔과 초산부틸의 혼합용액은 톨루엔 및 초산부틸이 0.1 내지 2 : 0.1 내지 2의 중량비로 혼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어서, BP에톡시프로필아세테이트, 벤조페논 및 실리콘 수지를 혼합하여 제2-1 조성물을 제조하고, 상기 제2-1 조성물, 부틸아세테이트, BP에톡시프로필아세테이트 및 아크릴 수지 용액을 혼합하여 제2 조성물을 제조한다(S2).
상기 제2-1 조성물은 BP에톡시프로필아세테이트 50 내지 65중량%, 벤조페논 15 내지 28중량% 및 실리콘 수지 15 내지 34중량%로 혼합하여 제조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제조된 제2-1 조성물과 함께 부틸아세테이트, BP에톡시프로필아세테이트 및 아크릴 수지 용액을 혼합하여 제2 조성물을 제조하는데, 이 때 함량은 제2-1 조성물 18 내지 42중량%, 부틸아세테이트 9 내지 23중량%, BP에톡시프로필아세테이트 26 내지 44중량% 및 아크릴 수지 용액 9 내지 25중량%로 혼합하여 제조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아크릴 수지 용액은 아크릴 수지를 자일렌과 혼합하여 아크릴 수지의 농도가 30 내지 50중량%가 되도록 제조된 것을 사용하는 것이 접착성 및 평활성을 향상시킨다는 점에서 바람직하다.
이어서, BP에톡시프로필아세테이트, 벤조페논, 실리콘 수지를 혼합하여 제3-1 조성물을 제조하고, 상기 제3-1 조성물, 부틸아세테이트, BP에톡시프로필아세테이트, 아크릴 수지 용액 및 적외선 흡수제를 혼합하여 제3 조성물을 제조한다(S3).
상기 제3-1 조성물은 BP에톡시프로필아세테이트 50 내지 70중량%, 벤조페논 10 내지 30중량% 및 실리콘 수지 13 내지 35중량%로 혼합하여 제조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제조된 제3-1 조성물과 함께 부틸아세테이트, BP에톡시프로필아세테이트, 아크릴 수지 용액 및 적외선 흡수제를 혼합하여 제3 조성물을 제조하는데, 이 때 함량은 제3-1 조성물 25 내지 43중량%, 부틸아세테이트 1 내지 21중량%, BP에톡시프로필아세테이트 10 내지 29중량%, 아크릴 수지 용액 3 내지 25중량% 및 적외선 흡수제 14 내지 34중량%로 혼합하여 제조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때 상기 아크릴 수지 용액은 상기 S2 단계 상술한 바와 동일하다.
상기 적외선 흡수제로는 ATO(Antimony tin oxide), ITO(Indium tin oxide), IZO(Indium Zinc Oxide) 중에서 선택되는 어느 하나 이상을 포함할 수 있으며, 본 발명이 속한 분야에서 적외선 흡수제로 사용되는 것이면 선택하여 사용할 수 있으며,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상술한 제조방법으로 제조된 제1 조성물, 제2 조성물 및 제3 조성물을 혼합하여 자외선 차폐액을 제조한다(S4).
상기 자외선 차폐액은 상기 제1 조성물대 제2 조성물대 제3 조성물이 1: 15 내지 35 : 15 내지 35의 중량비로 혼합하여 제조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제조된 자외선 차폐액에 광촉매를 포함하는 도료를 첨가한다(S5).
상기 자외선 차폐액대 광촉매를 포함하는 도료는 95 내지 99 : 1 내지 5의 중량비로 혼합하여 제조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광촉매를 포함하는 도료는 고형분 농도가 23 내지 38중량%, 평균 입자 지름이 3 내지 11㎚의 광촉매 졸(이산화티타늄 졸 등)과 평균 입자 지름이 14 내지 28㎚의 콜로이달 실리카를 고형분 중량비 48 내지 55:48 내지 55로 혼합한 다음, 에탄올 및 물을 이용하여 고형분 5 내지 16중량%가 되도록 희석하여, 초산으로 pH=2.0이 되도록 조정하여 제조할 수 있다.
상기 광촉매로는 이산화타이타늄(TiO2), 삼산화텅스텐(WO3), 산화아연(ZnO)및 황화카드뮴(CdS) 중에서 선택되는 어느 하나 이상을 포함할 수 있으며,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에서는 상술한 제조방법으로 유리도포식 단열재 조성물을 제조하여 자외선 차단성 및 열 흡수성이 우수하고, 본 발명에 따른 유리도포식 단열재 조성물을 유리 표면에 코팅시 유리의 투명도를 유지하면서 유리 표면이 매끄럽게 되어 장시간이 지나도 유리 표면에 곰팡이 등이 발생되거나 이물질 등이 달라붙는 것을 방지하여 청결을 유지할 수 있는 효과를 얻을 수 있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일 구현예는 상기 제조방법에 따라 제조된 유리도포식 단열재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유리도포식 단열재 조성물은 적외선 흡수제를 포함하여 본 발명이 목적하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 및 비교예를 설명한다.  그러나 하기한 실시예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일뿐 본 발명이 하기한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실시예 1
하기 표 1에 기재된 함량으로 혼합하여 제조된 제1 조성물, 제2 조성물 및 제3 조성물을 제1 조성물 2.48중량%, 제2 조성물 48.76중량% 및 제3 조성물 48.76중량%의 함량으로 혼합하여 자외선 차폐액을 제조하였다.
한편, 고형분 농도가 30중량%, 평균 입자 지름이 7㎚의 이산화티타늄 졸과 평균 입자 지름이 20㎚의 콜로이달 실리카를 고형분 중량비 50:50으로 혼합한 다음, 에탄올 및 물을 이용하여 고형분 10중량%가 되도록 희석하여, 초산으로 pH=2.0이 되도록 조정하여 광촉매를 포함하는 도료를 제조하였다.
상기 제조된 자외선 차폐액과 광촉매를 포함하는 도료를 자외선 차폐액 99중량% 및 광촉매를 포함하는 도료 1중량%로 혼합하여 유리도포식 단열재 조성물을 제조하였다.
상기 제조된 유리도포식 단열재 조성물을 유리창에 코팅하였다.
구분 성분 함량(중량%)
제1 조성물 산화알루미늄으로 피복된 이산화티타늄 미립자(1) 40
아크릴계 수지 8
부틸아민 3
톨루엔과 초산부틸의 혼합용액(2) 49
제2 조성물 제2-1 조성물 BP에톡시프로필아세테이트 52
벤조페논 25
실리콘 수지 23
제2-1 조성물 40
부틸아세테이트 10
BP에톡시프로필아세테이트 43
아크릴 수지 용액(3) 7
제3 조성물 제3-1 조성물 BP에톡시프로필아세테이트 55
벤조페논 25
실리콘 수지 20
제3-1 조성물 39
부틸아세테이트 5
BP에톡시프로필아세테이트 21
아크릴 수지 용액(3) 10
적외선 흡수제(4) 25
주석: (1) 평균 입자 지름이 0.05㎛인 산화알루미늄으로 피복된 이산화티타늄 미립자
(2) 톨루엔 및 초산부틸이 1.5 : 1.5의 중량비로 제조된 톨루엔과 초산부틸의 혼합용액
(3) 아크릴 수지를 자일렌과 혼합하여 아크릴 수지의 농도가 45중량%가 되도록 제조된 아크릴 수지 용액
(4) ATO인 적외선 흡수제
비교예 1
상업적으로 구입한 단열 윈도우 필름을 유리창에 부착하였다.
비교예 2
상업적으로 구입한 자외선 차단용 패브릭을 유리창에 부착하였다.
특성 평가
실시예 1에서 제조된 유리도포식 단열재 조성물, 비교예 1에 따른 단열 윈도우 필름 및 비교예 2에 따른 자외선 차단용 패브릭을 각각 유리창에 도포한 후, 도포된 유리창 면의 반대 면에 대하여 하기 방법에 따라 차폐계수, 열관류율, 가시광선 투과율, 일사투과율, 일사반사율 및 자외선 투과율을 각각 측정하여 그 결과를 하기 표 2에 나타내었다.
(1) 차폐계수
KS L 2016에 따라 측정하였다.
(2) 열관류율
KS L 2525에 따라 측정하였다.
(3) 가시광선 투과율
KS L 2016에 따라 측정하였다.
(4) 일사투과율
JIS R 3106에 따라 측정하였다.
(5) 일사반사율
JIS R 3106에 따라 측정하였다.
(6) 자외선투과율
JIS A 5759에 따라 측정하였다.
구분 실시예 1 비교예 1 비교예 2
차폐계수 0.32 0.35 0.59
열관류율(W/㎡·K) 5.21 5.6 5.5
가시광선투과율(%) 75.6 68.4 6.8
일사투과율(%) 29.4 45.8 6.4
일사반사율(%) 5.4 31.8 52.5
자외선투과율(%) 0.85 5 20
상기 표 2에서 보는 바와 같이 차폐계수가 낮을수록 열차단이 좋다는 의미인데, 실시예 1은 비교예 2에 비하여 차폐계수가 현저하게 낮음을 알 수 있었다. 비교예 1은 실시예 1과 동등 수준의 차폐계수를 보이나, 일사투과율이 현저하게 높음을 알 수 있었다. 일사투과율은 30% 정도의 적정수준을 유지하는 것이 가장 좋은데, 비교예 1은 일사투과율이 30% 수준을 초과하여 기온이 높은 여름에 직사일광의 차단 효율이 떨어져 도포된 유리창 내부에 문제를 발생시키고, 비교예 2는 일사투과율이 30% 수준보다 현저하게 떨어져 비교예 1과 반대로 기온이 낮은 겨울에 문제가 있다.
또한, 가시광선투과율은 투명성의 정도를 알 수 있는 척도로서, 실시예 1의 가시광선투과율이 가장 우수하여 투명성이 좋아 외관상의 장점을 가짐을 알 수 있었다.
또한, 실시예 1의 일사반사율이 비교예 1 및 2에 비하여 현저하게 낮음을 알 수 있는데, 일사반사율이 낮을수록 난반사가 거의 없어 타 건물이나 인체에 해로운 점이 없음을 알 수 있었고, 자외선투과율도 실시예 1이 비교예 1 및 2에 비하여 현저하게 낮음을 알 수 있었다.
이로부터 실시예 1에 따라 제조된 유리도포식 단열재 조성물을 유리창에 도포하는 경우 차폐계수, 열관류율, 가시광선투과율, 일사투과율, 일사반사율 및 자외선투과율 등의 모든 면에서 우수한 점이 있음을 알 수 있었다.
본 발명의 단순한 변형 또는 변경은 모두 이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하여 용이하게 실시될 수 있으며 이러한 변형이나 변경은 모두 본 발명의 영역에 포함되는 것으로 볼 수 있다. 

Claims (13)

  1. 산화알루미늄으로 피복된 이산화티타늄 미립자, 아크릴계 수지, 부틸아민 및 톨루엔과 초산부틸의 혼합용액을 혼합하여 제1 조성물을 제조하는 단계(S1);
    BP에톡시프로필아세테이트, 벤조페논 및 실리콘 수지를 혼합하여 제2-1 조성물을 제조하고, 상기 제2-1 조성물, 부틸아세테이트, BP에톡시프로필아세테이트 및 아크릴 수지 용액을 혼합하여 제2 조성물을 제조하는 단계(S2);
    BP에톡시프로필아세테이트, 벤조페논, 실리콘 수지를 혼합하여 제3-1 조성물을 제조하고, 상기 제3-1 조성물, 부틸아세테이트, BP에톡시프로필아세테이트, 아크릴 수지 용액 및 적외선 흡수제를 혼합하여 제3 조성물을 제조하는 단계(S3);
    상기 S1 단계에서 제조된 제1 조성물, 상기 S2 단계에서 제조된 제2 조성물 및 상기 S3 단계에서 제조된 제3 조성물을 혼합하여 자외선 차폐액을 제조하는 단계(S4); 및
    상기 S4 단계에서 제조된 자외선 차폐액에 광촉매를 포함하는 도료를 첨가하는 단계(S5)를 포함하는 유리도포식 단열재 조성물의 제조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S1 단계에서 제1 조성물은 산화알루미늄으로 피복된 이산화티타늄 미립자 35 내지 50중량%, 아크릴계 수지 5 내지 20중량%, 부틸아민 1 내지 8중량% 및 톨루엔과 초산부틸의 혼합용액 40 내지 50중량%로 혼합하여 제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리도포식 단열재 조성물의 제조방법.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S1 단계에서 톨루엔과 초산부틸의 혼합용액은 톨루엔 및 초산부틸이 0.1 내지 2 : 0.1 내지 2의 중량비로 혼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리도포식 단열재 조성물의 제조방법.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S2 단계에서 제2-1 조성물은 BP에톡시프로필아세테이트 50 내지 65중량%, 벤조페논 15 내지 28중량% 및 실리콘 수지 15 내지 34중량%로 혼합하여 제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리도포식 단열재 조성물의 제조방법.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S2 단계에서 제2 조성물은 제2-1 조성물 18 내지 42중량%, 부틸아세테이트 9 내지 23중량%, BP에톡시프로필아세테이트 26 내지 44중량% 및 아크릴 수지 용액 9 내지 25중량%로 혼합하여 제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리도포식 단열재 조성물의 제조방법.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S2 단계 및 S3 단계에서 아크릴 수지 용액은 아크릴 수지를 자일렌과 혼합하여 아크릴 수지의 농도가 30 내지 50중량%가 되도록 제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리도포식 단열재 조성물의 제조방법.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S3 단계에서 제3-1 조성물은 BP에톡시프로필아세테이트 50 내지 70중량%, 벤조페논 10 내지 30중량% 및 실리콘 수지 13 내지 35중량%로 혼합하여 제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리도포식 단열재 조성물의 제조방법.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S3 단계에서 제3 조성물은 제3-1 조성물 25 내지 43중량%, 부틸아세테이트 1 내지 21중량%, BP에톡시프로필아세테이트 10 내지 29중량%, 아크릴 수지 용액 3 내지 25중량% 및 적외선 흡수제 14 내지 34중량%로 혼합하여 제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리도포식 단열재 조성물의 제조방법.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S3 단계에서 적외선 흡수제는 ATO(Antimony tin oxide), ITO(Indium tin oxide), IZO(Indium Zinc Oxide) 중에서 선택되는 어느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리도포식 단열재 조성물의 제조방법.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S4 단계에서 자외선 차폐액은 제1 조성물대 제2 조성물대 제3 조성물이 1: 15 내지 35 : 15 내지 35의 중량비로 혼합하여 제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리도포식 단열재 조성물의 제조방법.
  11. 제1항에 있어서, 상기 S5 단계에서 광촉매는 이산화타이타늄(TiO2), 삼산화텅스텐(WO3), 산화아연(ZnO)및 황화카드뮴(CdS) 중에서 선택되는 어느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리도포식 단열재 조성물의 제조방법.
  1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S5 단계에서 자외선 차폐액대 광촉매를 포함하는 도료는 95 내지 99 : 1 내지 5의 중량비로 혼합하여 제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리도포식 단열재 조성물의 제조방법.
  13. 제1항 내지 제12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라 제조된 유리도포식 단열재 조성물.
KR1020110041487A 2011-05-02 2011-05-02 에너지 절감을 위한 유리도포식 단열재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 KR10106771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41487A KR101067718B1 (ko) 2011-05-02 2011-05-02 에너지 절감을 위한 유리도포식 단열재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41487A KR101067718B1 (ko) 2011-05-02 2011-05-02 에너지 절감을 위한 유리도포식 단열재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067718B1 true KR101067718B1 (ko) 2011-09-28

Family

ID=4495788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041487A KR101067718B1 (ko) 2011-05-02 2011-05-02 에너지 절감을 위한 유리도포식 단열재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067718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47280B1 (ko) 2013-05-29 2014-10-08 대흥화학공업주식회사 단열성을 지닌 태양열차단 코팅제
KR101473743B1 (ko) 2014-04-30 2014-12-19 주식회사 태강 적외선 및 자외선 차단 코팅제 조성물 및 그 코팅 방법
KR101543266B1 (ko) 2015-04-23 2015-08-11 코오롱글로벌 주식회사 자외선 및 적외선 차단 조성물 및 코팅방법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6228471A (ja) * 1993-02-02 1994-08-16 Sekisui Jushi Co Ltd 導電性を有する透明紫外線遮蔽塗料
KR20030017311A (ko) * 2002-04-19 2003-03-03 주식회사 옴니켐 근적외선 차단 성능이 우수한 자외선 경화형 투명 수지조성물 및 그 피막
KR100562748B1 (ko) 2004-11-06 2006-03-20 티오켐 주식회사 표면처리제 조성물
KR20070109250A (ko) * 2006-05-10 2007-11-15 김인열 차광 및 방충용 유리도포 조성물, 피막 및 이의 제조방법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6228471A (ja) * 1993-02-02 1994-08-16 Sekisui Jushi Co Ltd 導電性を有する透明紫外線遮蔽塗料
KR20030017311A (ko) * 2002-04-19 2003-03-03 주식회사 옴니켐 근적외선 차단 성능이 우수한 자외선 경화형 투명 수지조성물 및 그 피막
KR100562748B1 (ko) 2004-11-06 2006-03-20 티오켐 주식회사 표면처리제 조성물
KR20070109250A (ko) * 2006-05-10 2007-11-15 김인열 차광 및 방충용 유리도포 조성물, 피막 및 이의 제조방법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47280B1 (ko) 2013-05-29 2014-10-08 대흥화학공업주식회사 단열성을 지닌 태양열차단 코팅제
KR101473743B1 (ko) 2014-04-30 2014-12-19 주식회사 태강 적외선 및 자외선 차단 코팅제 조성물 및 그 코팅 방법
KR101543266B1 (ko) 2015-04-23 2015-08-11 코오롱글로벌 주식회사 자외선 및 적외선 차단 조성물 및 코팅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2343579B1 (en) Composite particles for optical bandpass filters
KR20150092247A (ko) 전기적으로 전환가능한 광학 특성을 갖는 글레이징
EA028935B1 (ru) Многослойное оконное стекло с электрически переключаемыми оптическими свойствами
KR20070009682A (ko) 광촉매 코팅을 구비한 기판
US6284383B1 (en) Laminated glass for greenhouse
KR101067718B1 (ko) 에너지 절감을 위한 유리도포식 단열재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
CN103402758A (zh) 能量屏蔽塑料膜
KR101488867B1 (ko) 에너지 절감형 반투명 유리 코팅 조성물 및 에너지 절감형 반투명 코팅유리.
KR20170004940A (ko) 자외선 차단 코팅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자외선 차단 필름
JP5922919B2 (ja) 熱線遮蔽材および貼合せ構造体
CA2911782A1 (en) Bird collision-averting window panes
KR100929398B1 (ko) 이중 자외선 차단 기능을 가지는 폴리우레탄 보호필름
JP5503931B2 (ja) 採光遮熱シート及び合わせガラス
US20160279593A1 (en) Biooptical and biofunctional properties, applications and methods of polylactic acid films
KR20110032677A (ko) 열 및 자외선 차단 필름
CN1417148A (zh) 一种建筑玻璃用隔离红外辐射薄膜材料
CN206058166U (zh) 一种电容式触控屏及电子设备
KR20190015912A (ko) 시인성과 태양열 차단율을 개선시킨 적외선 차단용 도료 조성물
KR102287502B1 (ko) 블라인드용 필름 원단 및 이의 제조방법
KR20200027224A (ko) 유리 코팅용 필름 및 이의 제조방법
KR101325728B1 (ko) 자외선 및 적외선을 흡수차단할 수 있는 강화필름 및 그 제조방법
KR20140017045A (ko) 금 나노입자를 가지는 태양전지용 백시트와 이를 사용한 태양전지 모듈
KR101297990B1 (ko) 진공유리구슬을 포함한 자외선 및 적외선 흡수차단필름
KR20190052420A (ko) 차음 기능을 갖는 투명 태양열 차단 필름
KR102345296B1 (ko) 에너지 절감형 pvc 필름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916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921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920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919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919

Year of fee payment: 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