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0017005A - 이동통신 단말기에서의 도청 감지장치 - Google Patents

이동통신 단말기에서의 도청 감지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0017005A
KR20030017005A KR1020010051105A KR20010051105A KR20030017005A KR 20030017005 A KR20030017005 A KR 20030017005A KR 1020010051105 A KR1020010051105 A KR 1020010051105A KR 20010051105 A KR20010051105 A KR 20010051105A KR 20030017005 A KR20030017005 A KR 2003001700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requency
eavesdropping
mobile communication
communication terminal
wiretapp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1005110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830489B1 (ko
Inventor
윤동한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1005110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830489B1/ko
Publication of KR2003001700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001700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83048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830489B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68Circuit arrangements for preventing eavesdropping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02Constructional features of telephone sets
    • H04M1/19Arrangements of transmitters, receivers, or complete sets to prevent eavesdropping, to attenuate local noise or to prevent undesired transmission; Mouthpieces or receiver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9/00Current supply arrangements for telephone systems
    • H04M19/02Current supply arrangements for telephone systems providing ringing current or supervisory tones, e.g. dialling tone or busy tone
    • H04M19/04Current supply arrangements for telephone systems providing ringing current or supervisory tones, e.g. dialling tone or busy tone the ringing-current being generated at the substations
    • H04M19/041Encoding the ringing signal, i.e. providing distinctive or selective ringing capability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Telephone Func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사용자가 휴대하고 있는 이동통신 단말기를 이용하여 임의의 특정장소에 설치된 도청장치를 미리 감지하여 도청을 방지하는 목적으로 사용함으로써 사생활 및 각종 정보의 보호가 가능하도록 하는 이동통신 단말기에서의 도청 감지장치에 관한 것으로, 임의의 특정 장소에서 이동통신 단말기의 RF 수신부에서 수신되는 RF 주파수 대역의 RF 주파수와 서로 다른 주파수 대역의 주파수를 감지하는 도청 감지부와, 도청장치의 고유 주파수 정보가 저장된 도청 주파수 저장부와, 도청 주파수 저장부에 저장된 도청장치의 고유 주파수와 도청 감지부에서 감지된 주파수를 비교하여 도청장치의 유무 판단신호를 발생시키는 콘트롤러와, 주파수 유무 판단신호에 따라 도청 장치의 유무를 외부에 알리는 알림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Description

이동통신 단말기에서의 도청 감지장치{A detector of electronic listening device}
본 발명은 이동통신 단말기에 관한 것으로, 특히 단말기 사용자가 임의의 특정 장소에서 도청장치의 설치 유무를 확인할 수 있는 이동통신 단말기에서의 도청 감지장치에 관한 것이다.
근래에 와서, 전자 기술이 급속히 발달함에 따라 특정 정보나 개인의 사적인 대화, 사업상 중요한 대화 등의 내용을 유선 또는 무선 송신기기를 이용하여 도청하는 도청 기술도 함께 발달되고 있다.
이러한 도청 기술로는 특정 장소에 마이크 및 마이크에서 수신된 음성 데이터를 송신하는 외부로 무선 발신하는 발신기를 설치한 후 특정 장소의 외부에 발신기에서 송신된 음성 데이터를 수신하는 수신기가 설치되어 구성되는 도청 장치가 널리 사용되고 있다.
그러나, 이러한 도청장치는 개인 사생활을 침해할 우려가 있고, 특히 사업상의 불이익 또는 범죄에 악용될 소지가 많아 근래들어 도청장치를 미리 감지하여 도청을 방지함으로써 사생활 및 정보의 보호를 위한 도청 감지 및 방지기술이 제공되고 있으며, 이 도청 감지 및 방지기술이 제공된 다양한 도청 감지 및 방지장치가 제안되고 있다.
이에 본 발명은 최근에 와서 널리 보급되고 있는 이동통신 단말기를 이용하여 임의의 특정장소에 설치된 도청장치를 미리 감지하여 도청을 방지함으로써 사생활 및 각종 정보의 보호가 가능하도록 하는 이동통신 단말기에서의 도청 감지장치를 제공하고자 한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이동통신 단말기에서의 도청 감지장치는 상기 목적을 이루기 위해, 임의의 특정 장소에서 이동통신 단말기의 수신부에서 수신되는 RF 주파수 대역의 RF 주파수와 서로 다른 주파수 대역의 주파수를 감지하는 도청 감지부와, 도청장치의 고유 주파수 정보가 저장된 도청 주파수 저장부와, 도청 주파수 저장부에 저장된 도청장치의 고유 주파수와 도청 감지부에서 감지된 주파수를 비교하여도청장치의 유무 판단신호를 발생시키는 콘트롤러와, 주파수 유무 판단신호에 따라 도청 장치의 유무를 외부에 알리는 알림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도 1 은 본 발명에 따른 이동통신 단말기에서의 도청감시장치를 설명하기 위한 블록 구성도.
도 2 는 본 발명에 따른 이동통신 단말기에서의 도청감시장치를 이용한 도청 감지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0 : 도청 감지부 200 : 도청 주파수 저장부
300 : 콘트롤러 400 : 알림부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이동통신 단말기에서의 도청감지 장치에 대한 바람직한 일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 은 본 발명에 따른 이동통신 단말기에서의 도청감지 장치를 설명하기 위한 블록 구성도이다.
도 1 에서 도면 부호 100은 이동통신 단말기의 RF 수신부에서 송수신되는 특정 RF 주파수 대역의 RF 주파수와는 다른 주파수 대역의 주파수를 발생시키는 도청장치의 전파를 수신하는 도청 감지부로서, 이동통신 단말기의 내부에 내장 설치되고, 감지되는 주파수를 주파수 대역별로 필터링이 가능하도록 도시는 생략되었으나, 멀티 선택 필터(filter) 및 저잡음증폭기(LNA)로 구성된다.
도면 부호 200은 도청장치의 종류에 따라 발생되는 고유 주파수가 데이터화되어 저장되는 도청 주파수 저장부로서, 이동통신 단말기의 메모리 칩(201)또는 심카드(202)를 사용하여 도청장치의 고유 주파수가 저장되도록 한다.
또한, 도청 주파수 저장부에 저장되는 고유 주파수 데이터는 CDMA 방식 또는 TDMA 방식으로 작동되는 이동통신 단말기의 메모리 칩(201)인 경우 단말기의 리셉터클을 통해 데이터가 지속적으로 추가되도록 하고, GSM 방식으로 작동되는 이동통신 단말기의 심카드(202)인 경우 고유 주파수 데이터가 추가된 새로운 심카드로 교체하여 항상 여러 종류의 도청 장치에 대한 도청 고유 RF 주파수 데이터가 저장되어 있도록 한다.
여기서, 저장되는 데이터값은 시중에 알려진 도청장치의 고유 주파수 값으로 한다.
도면 부호 300은 도청 감지부(100)에서 수신된 주파수와 도청 주파수 저장부에 저장된 도청장치의 고유 주파수를 비교하여 도청장치 유무 판단신호를 발생시키는 콘트롤러로서, 이동통신 단말기의 콘트롤러를 사용한다.
여기서, 콘트롤러(300)에는 단말기의 사용자 메뉴에 도청장치의 작동 메뉴를 추가시키고, 단말기 사용자가 사용자 메뉴에서 도청장치 작동 메뉴를 선택하면 이동통신 단말기를 도청 감지모드로 전환시켜 도청 감지부(100)에서 주파수를 감지하도록 하는 알고리즘 및 도청 감지부에서 수신된 주파수와 도청 주파수 저장부(200)에 저장된 도청장치의 고유 주파수를 비교하여 도청장치의 유무를 판단할 수 있는 알고리즘을 추가시켜 구성한다.
또한, 콘트롤러(300)는 도청 감지모드가 선택되면 도청장치의 유무 판단신호에 따라 후술하는 알림부(400)에서 도청장치의 유무를 외부에 알리도록 알림부의 작동을 제어한다.
도면 부호 400은 콘트롤러(300)에서 도청장치의 유무 판단신호에 따라 이를 외부에 알리는 알림부로서, 이동통신 단말기의 액정 표시부(401)와 마그네틱 버저(402)를 사용한다.
즉, 알림부(400)는 콘트롤러(300)에서 도청장치 유 판단신호가 전달되면 이동통신 단말기의 액정 표시부(401)를 통해 도청장치가 있음을 문자로 표시하고, 마그네틱 버저(402)를 통해 도청장치가 있음을 소리로서 알리게 된다.
또한, 콘트롤러(300)에서 도청장치 무 판단신호가 전달되면 이동통신 단말기의 액정 표시부(401)를 통해 도청장치가 없음을 문자로 표시한다.
상술한 구성으로 된 본 발명에 따른 이동통신 단말기에서의 도청 감지장치를 통한 도청장치의 감지 동작을 도 1 및 2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먼저, 단말기 사용자가 단말기의 사용자 메뉴에서 도청 감지모드를 선택한다.(S1) 사용자 메뉴에서 도청 감지모드가 선택되면 콘트롤러(300)는 도청 감지부(100)를 통해 이동통신 단말기의 RF 수신부에서 수신되는 RF 주파수 대역의 RF 신호 이외 발생되는 주파수를 감지하도록 한다.(S2)
그리고, 도청 감지부(100)에서 감지된 주파수는 콘트롤러(300)에서 도청 주파수 저장부(200)에 저장된 도청 장치의 고유 주파수와 비교되어 일치되는 주파수가 있는지 판별된다.(S3)
판결결과 일치되는 주파수가 있으면 콘트롤러(300)는 도청장치 유 판단신호를 발생시키고, 알림부(400)인 이동통신 단말기의 액정 표시부(401)에 문자로 도청장치가 있음을 표시함과 동시에 마그네틱 버저(402)에서 알람을 발생시켜 단말기 사용자에게 도청장치가 있음을 경고한다.(S4)
그리고, 일치되는 RF 주파수가 없으면 콘트롤러(300)는 도청장치 무 판단신호를 발생시키고, 알림부(400)인 이동통신 단말기의 액정 표시부(401)에 문자로 도청장치가 없음을 표시하여 단말기 사용자에게 도청장치가 없음을 알린다.(S5)
이러한 과정으로 도청장치를 감지하는 본 발명에 따른 이동통신 단말기에서의 도청 감지장치는 단말기 사용자가 임의의 특정 장소에 단말기를 휴대하고 있다면 언제든지 도청장치의 감지가 가능하게 된다.
즉, 단말기 사용자가 임의의 특정 장소에서 사업상 중요한 회의를 하는 경우, 휴대하고 있는 단말기를 이용하여 회의 시작전에 미리 도청장치의 검색을 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단말기 사용자가 회의를 하기 위한 장소에 "A"라는 도청장치가 설치되어 있고, 'A" 도청장치의 발신기에서 송신되는 고유 주파수가 10.5 Ghz이고, 단말기 사용자가 휴대하고 있는 단말기의 도청 주파수 저장부에 "A' 도청장치의 고유 주파수값이 저장되어 있는 경우, 회의를 시작하기 전에 단말기 사용자가 단말기를 도청 감지모드로 전환시키면 도청 감지부에서 10.5 Ghz의 주파수가 감지된다.
그리고, 감지된 주파수와 도청 주파수 저장부에 저장된 주파수값을 비교한 결과, 동일한 주파수값이므로 이동통신 단말기의 액정 표시부에 문자로 " 도청장치가 있습니다"라는 문구가 표시됨과 동시에 마그네틱 버저에서 경고음이 발생된다.
따라서, 단말기 사용자는 도청장치가 설치되어 있음을 알 수 있게 되어 임의의 특정 장소에서 다른 장소로 자리를 옮겨 회의를 하게 되어 중요한 사업상의 비밀이 도청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이동통신 단말기에서의 도청 감지장치는 휴대하고 있는 이동통신 단말기를 이용하여 도청을 감지할 수 있도록 구현됨으로써 단말기를 통화 목적 이외에 도청 감지장치로서 사용할 수 있게 된다.
따라서, 단말기 사용자가 사적인 대화나 사업상 중요한 대화를 하고자 할 때 도청장치의 유무를 감지할 수 있어 도청에 따른 개인 사생활의 침해 및 사업상의 불이익 또는 범죄에 악용될 소지를 미연에 방지할 수 있게 된다.

Claims (4)

  1. 이동통신 단말기의 수신부에서 수신되는 RF 주파수 대역의 RF 주파수와 서로 다른 RF 주파수 대역의 RF 주파수를 감지하는 도청 감지부와;
    도청장치의 고유 RF 주파수 정보가 저장된 도청 주파수 저장부와;
    상기 도청 주파수 저장부에 저장된 도청장치의 고유 주파수와 상기 도청 감지부에서 감지된 RF 주파수를 비교하여 도청장치의 유무 판단신호를 발생시키는 콘트롤러와;
    상기 주파수 유무 판단신호에 따라 도청 장치의 유무를 외부에 알리는 알림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이동통신 단말기에서의 도청 감지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도청 감지부는 멀티 선택 필터 및 저잡음증폭기(LNA)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 단말기에서의 도청 감지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도청 주파수 저장부는 메모리 칩 또는 심 카드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 단말기에서의 도청 감지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알림부는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의 액정 표시부 또는 마그네틱 버저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 단말기에서의 도청감지장치.
KR1020010051105A 2001-08-23 2001-08-23 도청감지 장치를 구비한 이동통신 단말기 및 이를 이용한 도청장치 감지 방법 KR10083048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10051105A KR100830489B1 (ko) 2001-08-23 2001-08-23 도청감지 장치를 구비한 이동통신 단말기 및 이를 이용한 도청장치 감지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10051105A KR100830489B1 (ko) 2001-08-23 2001-08-23 도청감지 장치를 구비한 이동통신 단말기 및 이를 이용한 도청장치 감지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0017005A true KR20030017005A (ko) 2003-03-03
KR100830489B1 KR100830489B1 (ko) 2008-05-21

Family

ID=2772058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10051105A KR100830489B1 (ko) 2001-08-23 2001-08-23 도청감지 장치를 구비한 이동통신 단말기 및 이를 이용한 도청장치 감지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830489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85995B1 (ko) * 2006-11-13 2009-03-03 한국전자통신연구원 불법 송신장치 탐지기 및 그 탐지방법
KR100906157B1 (ko) * 2007-09-05 2009-07-03 한국전자통신연구원 전원선을 이용한 도청 방지 장치 및 방법
CN107155190A (zh) * 2016-03-04 2017-09-12 北京中密安信息安全技术有限公司 Rf窃密侦测终端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1024783A (ja) * 1999-07-06 2001-01-26 Showa Kiki Kogyo Co Ltd 盗聴・盗撮検知器
KR100645029B1 (ko) * 2000-01-15 2006-11-13 에스케이 텔레콤주식회사 도청 장치 탐지 기능을 갖는 이동 전화기 및 그 이동전화기를 이용한 도청 탐지 방법
KR200201762Y1 (ko) * 2000-05-04 2000-11-01 박인홍 청소용 비
KR20010088494A (ko) * 2001-07-27 2001-09-28 이광수 휴대폰을 이용한 몰래카메라 및 도청장치 탐지기 와 그 방법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85995B1 (ko) * 2006-11-13 2009-03-03 한국전자통신연구원 불법 송신장치 탐지기 및 그 탐지방법
KR100906157B1 (ko) * 2007-09-05 2009-07-03 한국전자통신연구원 전원선을 이용한 도청 방지 장치 및 방법
US8223008B2 (en) 2007-09-05 2012-07-17 Electronics And Telecommunications Research Institute Device and method for preventing wiretapping on power line
CN107155190A (zh) * 2016-03-04 2017-09-12 北京中密安信息安全技术有限公司 Rf窃密侦测终端
CN107155190B (zh) * 2016-03-04 2020-03-13 北京中密安信息安全技术有限公司 Rf窃密侦测终端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830489B1 (ko) 2008-05-2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060014569A1 (en) Mobile communication device with adaptive audible user notification
US20050104731A1 (en) System and method for detecting eavesdropping device
KR100885995B1 (ko) 불법 송신장치 탐지기 및 그 탐지방법
US8848930B2 (en) Adaptive ring level
JP3398675B2 (ja) 携帯電話機及びそれを用いる通知制御方法
KR100674596B1 (ko) 무선 통신 유닛
KR100830489B1 (ko) 도청감지 장치를 구비한 이동통신 단말기 및 이를 이용한 도청장치 감지 방법
JP4860550B2 (ja) 盗聴・盗撮器発見装置、盗聴・盗撮器発見方法及びプログラム
KR100330091B1 (ko) 인터넷망을 이용한 도청기/몰래카메라 감지시스템 및 그작동방법
JP3924837B2 (ja) 通信制御方法及び通信制御装置
JPH09139768A (ja) 盗聴検知装置および盗聴検知機能付き電話機
US20020127996A1 (en) Method of transmission for radio monitoring via digital mobile communication network and apparatus therefor
KR20080072347A (ko) 휴대형 도청/도촬 감지장치
KR20020016703A (ko) 몰래 카메라 및 도청기의 탐지 기능을 갖는 휴대 전화기
KR200226149Y1 (ko) 휴대폰을 이용한 몰래카메라 또는 도청기 탐지기
KR100645029B1 (ko) 도청 장치 탐지 기능을 갖는 이동 전화기 및 그 이동전화기를 이용한 도청 탐지 방법
KR20070056511A (ko) 무선 도청기의 탐지 기능을 갖는 휴대 전화기
KR200250903Y1 (ko) 미니 도청, 감청 및 몰래카메라 탐색기
JP3474365B2 (ja) 通信用携帯端末の紛失防止方式
KR20000044464A (ko) 휴대폰 분실방지장치
JP2001024783A (ja) 盗聴・盗撮検知器
KR20070009220A (ko) 이동통신단말기 사용 감지장치 및 그 방법
KR200187427Y1 (ko) 도청감지 및 방지장치
KR20000018945A (ko) 무선통신단말기에서 전자파 세기 측정 방법
JP2003070074A (ja) 監視手段を含む電話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MND Amendme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J201 Request for trial against refusal decision
AMND Amendment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424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424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424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422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424

Year of fee payment: 10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