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906157B1 - 전원선을 이용한 도청 방지 장치 및 방법 - Google Patents

전원선을 이용한 도청 방지 장치 및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906157B1
KR100906157B1 KR1020070089877A KR20070089877A KR100906157B1 KR 100906157 B1 KR100906157 B1 KR 100906157B1 KR 1020070089877 A KR1020070089877 A KR 1020070089877A KR 20070089877 A KR20070089877 A KR 20070089877A KR 100906157 B1 KR100906157 B1 KR 10090615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ignal
frequency band
noise signal
power line
eavesdropp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008987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90024912A (ko
Inventor
이경훈
황인호
주세훈
유승갑
왕진천
Original Assignee
한국전자통신연구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전자통신연구원 filed Critical 한국전자통신연구원
Priority to KR102007008987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906157B1/ko
Priority to US12/102,067 priority patent/US8223008B2/en
Publication of KR2009002491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02491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90615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90615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68Circuit arrangements for preventing eavesdropping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QSELECTING
    • H04Q1/00Details of selecting apparatus or arrangements
    • H04Q1/18Electrical details
    • H04Q1/30Signalling arrangements; Manipulation of signalling currents
    • H04Q1/44Signalling arrangements; Manipulation of signalling currents using alternate current
    • H04Q1/444Signalling arrangements; Manipulation of signalling currents using alternate current with voice-band signalling frequencies
    • H04Q1/45Signalling arrangements; Manipulation of signalling currents using alternate current with voice-band signalling frequencies using multi-frequency signalling
    • H04Q1/457Signalling arrangements; Manipulation of signalling currents using alternate current with voice-band signalling frequencies using multi-frequency signalling with conversion of multifrequency signals into digital signal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02Constructional features of telephone sets
    • H04M1/19Arrangements of transmitters, receivers, or complete sets to prevent eavesdropping, to attenuate local noise or to prevent undesired transmission; Mouthpieces or receivers specially adapted therefor

Abstract

본 발명은 전원선을 이용하는 도청기를 탐지하고 무력화시키기 위한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전원선으로부터 도청신호를 감지하고 전원선으로 잡음신호를 송출하는 도청 방지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도청 방지 장치는 전원선으로부터 신호를 입력받아 적어도 하나 이상의 주파수 대역으로 필터링하는 신호 검출부; 상기 신호 검출부로부터 필터링된 신호를 입력받아 도청신호의 존재여부를 결정하는 제어부; 및 상기 도청신호의 존재여부에 따라 상기 전원선으로 잡음신호를 송출하는 잡음신호 출력부를 포함한다. 본 발명은 전원선으로부터 도청신호를 탐지하고 도청신호의 주파수 대역에 상응하는 주파수를 가진 잡음신호를 전원선에 송출함으로써, 도청을 탐지함과 동시에 도청기의 기능를 무력화시킬 수 있다.
도청, 도청 방지, 전원선, 잡음신호

Description

전원선을 이용한 도청 방지 장치 및 방법{Device and Method for preventing eavesdropping on power lines}
본 발명은 전원선을 이용하는 도청기를 탐지하고 무력화시키기 위한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전원선으로부터 도청신호를 감지하고 전원선으로 잡음신호를 송출하는 도청 방지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정보통신기술의 발달로 생활의 편리함과 아울러 정보 누출로 인한 사회문제가 다양하게 대두되고 있다. 현재 다양한 무선통신기기들의 발달과 더불어 이를 악용한 각종 불법 도청기가 사용되면서 개인의 프라이버시와 인권을 심각하게 침해하는 경우가 많아 사회문제가 되고 있는 실정이다. 이에 따라, 이와 같은 불법 도청으로부터 보호받기 위하여 여러가지 도청 탐지기가 활발하게 개발 및 보급되고 있다.
종래의 도청 방지 장치는 일반적으로 전화선에 부착된 도청기 또는 무선신호를 송출하는 도청기에 대한 탐지를 목적으로 한다. 그러나, 이러한 종래의 도청 방 지 장치는 전원선 통신 기술을 사용하는 첨단 도청기에 대해서는 아무런 기능을 발휘할 수 없는 단점이 있다.
본 발명에서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전원선을 통하여 전달되는 도청신호를 탐지하고 이를 무력화할 수 있는 도청 방지 장치 및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술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측면은 전원선으로부터 신호를 입력받아 적어도 하나 이상의 주파수 대역으로 필터링하는 신호 검출부; 상기 신호 검출부로부터 필터링된 신호를 입력받아 도청신호의 존재여부를 결정하는 제어부; 및 상기 도청신호의 존재여부에 따라 상기 전원선으로 잡음신호를 송출하는 잡음신호 출력부를 통하여 도청을 방지하는 도청 방지 장치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다른 측면은 전원선으로부터 신호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신호를 적어도 하나 이상의 주파수 대역으로 필터링하는 단계; 필터링된 신호에 기반하여 도청신호의 존재여부를 결정하는 단계; 및 상기 도청신호의 존재여부에 따라 상기 전원선으로 잡음신호를 송출하는 단계를 통하여 도청을 방지하는 도청 방지 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은 전원선으로부터 도청신호를 탐지하고 도청신호의 주파수 대역에 상응하는 주파수를 가진 잡음신호를 전원선에 송출함으로써, 도청을 탐지함과 동시 에 도청기의 기능를 무력화시킬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도청 방지 장치의 구성을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도청 방지 장치(110)는 전원 정류부(111), 신호 검출부(112), 제어부(113), 잡음신호 출력부(114), 표시부(115) 및 설정부(116)를 포함한다.
전원 정류부(111)는 전원선의 AC 전력을 정류하여 DC 전원을 생성하고, 도청 방지 장치(110)에 포함된 각 구성요소에 DC 전원을 공급한다. 신호 검출부(112)는 전원선에 도청신호가 존재하는지 여부를 판단하기 위하여 전원선으로부터 주파수 별로 아날로그 신호를 검출하여 디지털 신호로 변환한다. 제어부(113)는 신호 검출부(112)로부터 변화된 디지털 신호를 수신하여 도청신호의 존재 여부를 결정하고, 결정 여부에 따라 잡음신호 출력부(114)를 통하여 전원선으로 잡음신호를 송출한다. 사용자(120)는 설정부(116)를 통하여 도청신호를 검출하기 위한 주파수 대역 또는 잡음신호의 출력 세기 등을 설정하고, 표시부(115)를 통하여 도청신호의 존재 여부 등을 확인할 수 있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도청 방지 장치가 도청신호를 검출하는 과정을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2를 참조하면, 신호 검출부(210)는 트랜스포머(211) 및 임피던스 변환 회 로(212)를 통하여 전원선으로부터 신호를 입력받는다. 다음으로, 신호 검출부(210)는 입력된 신호를 대역통과 필터(213a, 213b, 213c)를 이용하여 각각의 주파수 대역으로 분리한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대역통과 필터의 주파수 대역은 각각 음성대역(300Hz ∼ 3000Hz), 협대역 전력선 통신 대역(40kHz ∼ 400kHz) 및 광대역 전력선 통신 대역 (3MHz ∼ 30MHz)을 포함할 수 있다.
대역통과 필터를 거친 신호는 SP3T 스위치(Single-Pole Triple-Throw Switch : 214)에 의해 선택되어 포락선 검파기(Envelope detector:215)로 인가된다. 포락선 검파기(215)에 의해 검파된 정보 신호는 아날로그 디지털 변환기(216)에 디지털 신호로 변환되어 제어부(220)로 전달된다.
제어부(220)는 SP3T 스위치(214)를 제어하여 입력 신호의 주파수 대역을 선택함으로써, 선택된 주파수 대역의 디지털 신호를 신호 검출부(210)로부터 전달받을 수 있다. 제어부(220)는 전달받은 디지털 신호를 통하여 해당 주파수 대역의 신호 에너지를 계산하고, 계산된 신호 에너지를 기설정된 문턱값(Threshold)과 비교함으로써 도청신호 존재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일반적으로, 국내의 사무실 및 가정에 공급되는 전원은 220V/60Hz이므로, 전원선을 송신 매체로 사용하는 도청기가 장착되어 있거나 사용자가 모르는 전력선 통신이 이루어지는 경우에는 수백 kHz 내지 수십 MHz의 주파수를 갖는 신호들이 전원선에 존재하게 된다. 따라서, 제어부는 상술한 바와 같이 전원공급에 사용되는 주파수 대역 이외의 주파수를 갖는 신호의 존재 여부를 판단함으로써 도청신호의 존재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도청 방지 장치에 포함된 잡음신호 출력 부의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3을 참조하면, 잡음신호 출력부(310)은 먼저 광대역 잡음 소스(311)로부터 발생된 잡음신호를 대역통과 필터(312a, 312b, 312c)를 이용하여 각각의 주파수 대역으로 분리한다. 상기 주파수 대역은 신호 검출부의 대역통과 필터(213a, 213b, 213c)에서 사용하는 주파수 대역과 대응할 수 있다. 즉, 검출된 도청신호와 같은 주파수 대역의 잡음신호를 발생시킴으로써 도청기의 도청신호 송신을 방해할 수 있다.
제어부(320)는 도청신호가 검출된 주파수 대역 또는 사용자에 의하여 선택된 주파수 대역의 잡음신호를 송출할 수 있도록 각각의 SPDT 스위치(Single-Pole Double-Throw Switch : 313a, 313b, 313c)를 제어할 수 있다.
SPDT 스위치(313a, 313b, 313c)에 의해 선택된 각각의 잡음신호들은 가산증폭기(314)를 통하여 합산되고 증폭된다. 일 실시예에서, 설정부(330)는 사용자가 설정한 값에 따라 가산증폭기(314)의 이득을 제어할 수 있다. 가산증폭기(314)에 의해 증폭된 잡음신호는 최종적으로 트랜스포머(315)를 통하여 전원선으로 송출된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도청 방지 장치가 잡음신호를 송출하는 절차를 나타내는 순서도이다.
도청 방지 장치는 설정부를 통해 사용자로부터 입력된 각각의 주파수 대역에 대한 대역 동작 설정에 기반하여 각각의 주파수 대역에 대한 도청신호 검출 및 잡음신호 송출을 수행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사용자가 입력할 수 있는 대역 동 작 설정은 ALWAYS, DETECT 및 NONE을 포함할 수 있다. ALWAYS는 잡음신호의 무조건 출력을 의미하고, DETECT는 도청신호가 존재할 때만 잡음신호를 출력하는 것을 의미하고, NONE는 잡음신호를 출력하지 않는 것을 의미한다.
도 4를 참조하면, 우선 제어부는 대역 동작 설정이 ALWAYS인지 판단하고(401), 그러한 경우 전원선으로 해당 주파수 대역의 잡음신호를 송출한다(406).
대역 동작 설정이 ALWAYS이 아닌 경우, 제어부는 대역 동작 설정이 DETECT인지 판단하고(402), 그러한 경우 신호 검출부는 전원선으로부터 해당 주파수 대역의 신호를 검출하고, 제어부는 검출된 신호를 이용하여 신호 에너지를 계산한다(403). 다음으로, 제어부는 계산된 신호 에너지를 기설정된 문턱값과 비교하고(404), 에너지가 문턱값보다 큰 경우 표시부는 사용자에게 도청신호 감지 경보를 출력하고 잡음신호 출력부는 해당 주파수 대역의 잡음신호를 전원선으로 송출한다(405, 406). 에너지가 문턱값보다 작은 경우, 표시부는 도청신호 감지 경보의 출력을 중단하고, 잡음신호 출력부는 해당 주파수 대역의 잡음신호 송출을 중단한다(407, 408).
단계 402에서 대역 동작 설정이 DETECT가 아닌 경우, 즉 대역 동작 설정이 NONE인 경우 도청신호 감지 경보의 출력 및 해당 주파수 대역의 잡음신호 송출을 중단한다(407, 408).
대역 동작 설정에 기반한 상기 단계 401 내지 단계 408의 수행은 장치가 종료되기 전까지 각각의 대역에 대하여 반복적으로 수행된다(409).
이상에서 설명한 본 발명은 전술한 실시예 및 첨부된 도면에 의해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여러 가지 치 환, 변형 및 변경이 가능하다는 것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 명백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도청 방지 장치의 구성을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도청 방지 장치가 도청신호를 검출하는 과정을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도청 방지 장치에 포함된 잡음신호 출력부의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도청 방지 장치가 잡음신호를 송출하는 절차를 나타내는 순서도이다.

Claims (13)

  1. 도청을 방지하기 위한 장치에 있어서,
    전원선으로부터 신호를 입력받아 적어도 하나 이상의 주파수 대역으로 필터링하는 신호 검출부;
    상기 신호 검출부로부터 필터링된 신호에 기반하여 상기 입력된 신호의 주파수 대역을 선택하고, 상기 해당 주파수 대역의 신호 에너지를 계산하여, 상기 신호 에너지와 소정 문턱값의 비교를 통해 도청신호의 존재여부를 결정하는 제어부; 및
    상기 도청신호의 존재여부에 따라 상기 전원선으로 상기 해당 주파수 대역의 잡음신호를 송출하는 잡음신호 출력부
    를 포함하는 도청 방지 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사용자로부터 상기 하나 이상의 주파수 대역 또는 상기 잡음신호의 세기를 입력받는 설정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잡음신호 출력부는 상기 잡음신호의 세기에 따라 상기 잡음신호를 송출하는 도청 방지 장치.
  3. 제 1항 또는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도청신호의 존재여부를 상기 사용자에게 표시하는 표시부를 더 포함하는 도청 방지 장치.
  4. 제 1항 또는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하나 이상의 주파수 대역은 300 Hz 내지 3000 Hz, 40 kHz 내지 400 kHz 및 3 MHz 내지 30 MHz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도청 방지 장치.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잡음신호 출력부는 상기 적어도 하나 이상의 주파수 대역을 가지는 잡음신호를 송출하는 도청 방지 장치.
  6. 삭제
  7. 도청을 방지하기 위한 방법에 있어서,
    전원선으로부터 신호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신호를 적어도 하나 이상의 주파수 대역으로 필터링하는 단계;
    필터링된 신호에 기반하여 상기 수신된 신호의 주파수 대역을 선택하고, 상기 해당 주파수 대역의 신호 에너지를 계산하여, 상기 신호 에너지와 소정 문턱값의 비교를 통해 도청신호의 존재여부를 결정하는 단계; 및
    상기 도청신호의 존재여부에 따라 상기 전원선으로 상기 해당 주파수 대역의 잡음신호를 송출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도청 방지 방법.
  8.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신호를 적어도 하나 이상의 주파수 대역으로 필터링하는 단계의 상기 적어도 하나 이상의 주파수 대역은 사용자의 입력에 따라 설정되는 도청 방지 방법.
  9.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도청신호의 존재여부에 따라 상기 전원선으로 상기 해당 주파수 대역의 잡음신호를 송출하는 단계 이후에,
    상기 도청신호의 존재여부를 사용자에게 표시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도청 방지 방법.
  10. 제 7항 또는 제 8항에 있어서,
    상기 하나 이상의 주파수 대역은 300 Hz 내지 3000 Hz, 40 kHz 내지 400 kHz 및 3 MHz 내지 30 MHz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도청 방지 방법.
  11.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도청신호의 존재여부에 따라 상기 전원선으로 상기 해당 주파수 대역의 잡음신호를 송출하는 단계는 상기 적어도 하나 이상의 주파수 대역을 가지는 상기 잡음신호를 송출하는 도청 방지 방법.
  12.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도청신호의 존재여부에 따라 상기 전원선으로 상기 해당 주파수 대역의 잡음신호를 송출하는 단계는 사용자의 입력에 따라 설정된 세기의 상기 잡음신호를 송출하는 도청 방지 방법.
  13. 삭제
KR1020070089877A 2007-09-05 2007-09-05 전원선을 이용한 도청 방지 장치 및 방법 KR100906157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89877A KR100906157B1 (ko) 2007-09-05 2007-09-05 전원선을 이용한 도청 방지 장치 및 방법
US12/102,067 US8223008B2 (en) 2007-09-05 2008-04-14 Device and method for preventing wiretapping on power lin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89877A KR100906157B1 (ko) 2007-09-05 2007-09-05 전원선을 이용한 도청 방지 장치 및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24912A KR20090024912A (ko) 2009-03-10
KR100906157B1 true KR100906157B1 (ko) 2009-07-03

Family

ID=4040918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089877A KR100906157B1 (ko) 2007-09-05 2007-09-05 전원선을 이용한 도청 방지 장치 및 방법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US (1) US8223008B2 (ko)
KR (1) KR100906157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1080728A1 (en) * 2009-12-28 2011-07-07 Helius Solutions Ltd. Device and method for preventing wiretapping through power supply lines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0004509A (ko) * 2000-07-06 2002-01-16 한성동 전화도청 방지기
KR20030017005A (ko) * 2001-08-23 2003-03-03 엘지전자 주식회사 이동통신 단말기에서의 도청 감지장치

Family Cites Families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3104460A (ja) * 1989-09-19 1991-05-01 Nippon Conlux Co Ltd 秘話装置
US6347146B1 (en) * 1991-08-13 2002-02-12 Bose Corporation Noise reducing
US5961646A (en) * 1997-01-02 1999-10-05 Level One Communications, Inc. Method and apparatus employing an invalid symbol security jam for communications network security
US6459175B1 (en) * 1997-11-17 2002-10-01 Patrick H. Potega Universal power supply
JP2000106550A (ja) * 1998-09-29 2000-04-11 Fujitsu Ltd データ通信装置
KR20000036697A (ko) 2000-03-25 2000-07-05 정진교 전화도청 방지기
US6918036B1 (en) * 2000-06-30 2005-07-12 Intel Corporation Protected platform identity for digital signing
US20040082203A1 (en) * 2002-05-07 2004-04-29 Oleg Logvinov Method and apparatus for power theft prevention based on TDR or FDR signature monitoring on LV and MV power lines
WO2006051741A1 (ja) * 2004-11-10 2006-05-18 Matsushita Electric Industrial Co., Ltd. データ送信装置
JP4674190B2 (ja) * 2006-07-13 2011-04-20 Okiセミコンダクタ株式会社 マルチモード受信回路
KR100901772B1 (ko) * 2007-10-08 2009-06-11 한국전자통신연구원 스피커를 통한 도청을 방지하기 위한 장치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0004509A (ko) * 2000-07-06 2002-01-16 한성동 전화도청 방지기
KR20030017005A (ko) * 2001-08-23 2003-03-03 엘지전자 주식회사 이동통신 단말기에서의 도청 감지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24912A (ko) 2009-03-10
US8223008B2 (en) 2012-07-17
US20090063602A1 (en) 2009-03-0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2004505490A (ja) 通信装置介在システム及び方法
WO2016153149A2 (ko) 청각적 정보 보안시스템
KR100885995B1 (ko) 불법 송신장치 탐지기 및 그 탐지방법
KR100906157B1 (ko) 전원선을 이용한 도청 방지 장치 및 방법
KR101007319B1 (ko) 화재지역 통지용 방송 장치
JP5351211B2 (ja) 侵入検知システム及び侵入検知装置
AU5031299A (en) Radio communications unit
US6195004B1 (en) Distributed earcon local area network
CN107808476B (zh) 一种预测大楼中安全逃生通路的可见光火焰检测网络
KR20060021803A (ko) 휴대가 가능한 유/무선 도청기, 레이저 도청기, 몰래카메라탐지 및 방지 장비.
KR102410962B1 (ko) 실내에서의 음성 정보 보호 시스템
JPH09139768A (ja) 盗聴検知装置および盗聴検知機能付き電話機
KR20090028940A (ko) 무선 마이크 수신기 및 혼신 방지 방법
CN108429562B (zh) 多媒体设备播放控制方法及多媒体系统
US20160205462A1 (en) Method of transmiting data and a device and system thereof
CN205566317U (zh) 一种用于认知水声通信的中继节点
KR20110097267A (ko) 소음 제어 장치 및 방법
JP6325367B2 (ja) 通信装置、通信方法および通信プログラム
KR102286948B1 (ko) 수배전반 또는 가스 누출 위험 구역을 포함한 위험 구역에 설치되는 음성 알림 장치
KR970000822B1 (ko) 음향을 이용한 경보장치
JP3163320B2 (ja) 送受信装置
KR20020016703A (ko) 몰래 카메라 및 도청기의 탐지 기능을 갖는 휴대 전화기
KR200329397Y1 (ko) 몰래카메라 검출기능이 구비된 이동통신 단말기
KR200332363Y1 (ko) 카메라폰의 보안장치
KR100566674B1 (ko) 카메라폰의 보안장치 및 그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410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326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328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406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406

Year of fee payment: 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