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60021803A - 휴대가 가능한 유/무선 도청기, 레이저 도청기, 몰래카메라탐지 및 방지 장비. - Google Patents

휴대가 가능한 유/무선 도청기, 레이저 도청기, 몰래카메라탐지 및 방지 장비.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60021803A
KR20060021803A KR1020050056840A KR20050056840A KR20060021803A KR 20060021803 A KR20060021803 A KR 20060021803A KR 1020050056840 A KR1020050056840 A KR 1020050056840A KR 20050056840 A KR20050056840 A KR 20050056840A KR 20060021803 A KR20060021803 A KR 2006002180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ireless
laser
eavesdropping
signal
tapp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5005684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716589B1 (ko
Inventor
손호원
Original Assignee
손호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손호원 filed Critical 손호원
Priority to KR102005005684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716589B1/ko
Publication of KR2006002180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6002180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71658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71658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68Circuit arrangements for preventing eavesdropping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02Constructional features of telephone sets
    • H04M1/19Arrangements of transmitters, receivers, or complete sets to prevent eavesdropping, to attenuate local noise or to prevent undesired transmission; Mouthpieces or receivers specially adapted therefo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다년간 점층적으로 사회적인 이슈가 되고 '불법 도청/감청 장비'의 탐색 및 방지에 관한 것으로, 불법 도청/감청에 이용되고 있는 무선도청기, 유선전화도청기, 레이저도청기의 탐색과 도청 방지가 가능하며 그 외의 콘크리트마이크형도청기, 보이스레코더에 의한 도청 방지가 가능하도록 하는 장비에 관한 것이다.
무선도청 탐지, 유선도청 탐지, 무선 몰래카메라 탐지, 도청 방지, 보이스레코더에 의한 도청 방지, 보이스레코더, 전화도청 방지, 레이저 도청 탐지, 레이저 도청 방지, 무선도청, 유선도청.

Description

휴대가 가능한 유/무선 도청기, 레이저 도청기, 몰래카메라 탐지 및 방지 장비.{Shield5000}
제 1도는 본 발명에 따른 휴대가 가능한 유·무선 도청기, 레이저 도청기, 몰래카메라 탐지 및 방지 장비의 계략도이다.
제 2도는 본 발명에 따른 휴대가 가능한 유·무선 도청기, 레이저 도청기, 몰래카메라 탐지 및 방지 장비의 무선 도청기 탐지 모드에 대한 세부 계략도이다.
제 3도는 본 발명에 따른 휴대가 가능한 유·무선 도청기, 레이저 도청기, 몰래카메라 탐지 및 방지 장비의 레이저 도청기 탐지모드 및 화이트 노이즈 발생모드에 대한 세부 계략도이다.
제 4도는 본 발명에 따른 휴대가 가능한 유·무선 도청기, 레이저 도청기, 몰래카메라 탐지 및 방지 장비의 전화라인상의 도청기 탐지 모드에 대한 세부 계략도이다.
※ 제 1도와 제 2도와 제 3도와 제 4도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0 : 전원
101 : 전원드라이브
102 : DC 5V
103 : DC 9V
110 : 무선 도청기 탐지 모드
111 : 레이저 도청기 탐지 모드
112 : 전화라인상의 도청기 탐지 모드
113 : 무선, 레이저 도청 감시 및 화이트노이즈 발생 모드
114 : 화이트노이즈 발생 모드
200 : Mi-COM
201 : ANT1
202 : ANT2
203 : 광대역수신부
204 : 증폭부
205 : 무선신호수신부
206 : 음성필터
207 : 신호필터1
208 : 필터1
209 : 음성증폭
210 : 신호증폭1
211 : AMP
212 : 스피커
213 : Dot Bar LED
214 : LED드라이브
215 : LED표시부
216 : 부저
217 : 외부설정입력
218 : 신호필터2
219 : 신호증폭2
300 : 화이트노이즈발생부
301 : 고역/저역 필터
302 : 화이트노이즈발생회로
400 : 레이저 수신부
401 : 레이저신호증폭부
402 : 레이저수신센서
403 : 필터2
500 : 전화선로상의 무선신호 수신부
501 : 전화라인입력
502 : 광대역수신부
503 : 증폭부
504 : 필터3
505 : 음성필터
506 : 음성증폭
507 : 신호필터
508 : 신호증폭
본 장비는 무선도청기, 유선전화도청기, 레이저도청기의 탐색과 방지가 가능하며 그 외의 콘크리트마이크형도청기, 보이스레코더에 의한 도청 방지가 가능하도록 발명된 장비이다. 보이스레코더 또한 시중에서 손쉽게 구매가 가능하기 때문에 요즘 도청기의 형태로 많이 사용되어지고 있다.
무선도청의 경우 AM, FM, UHF대역등의 불법 무선 주파수를 사용한다. 단방향 통신방식으로 송출거리는 통상 500m 이내의 고출력을 사용하며, 유선전화도청기의 경우 전화라인상에 직렬 또는 병렬로 접속되어 전화라인상의 음성신호만을 무선신호로 변환하여 상기의 무선도청기의 형태로 송출하게 되어져 있는 장비이다. 또한 레이저도청기는 레이저통신방식의 변형기기로서 900nm - 950nm 의 적외선 통신방식을 사용하며 원거리에서 도청을 행하고자 하는 장소의 창문등에 레이저를 조사한다. 이때 음성의 음파 에너지에 의한 창문의 미세한 진동을 조사되어져 반사되어진 레이저신호를 필터링하여 음성으로 변환하는 도청방식이다. 또한 콘크리트마이크 및 보이스레코더의 경우 단순히 음성을 수집하는 형태의 도청기이다. 콘크리트마이크나 보이스레코더의 경우 무선도청기나 유선도청, 레이저도청과 달리 송출되어지는 어떠한 신호도 존재하지 않기 때문에 탐색이 불가능한건 사실이다.
종래에 고안된 불법 도청/감청 탐지기의 여러 유형의 도청 탐지가 불가능하 며 개별적으로 몇 개의 장비를 구매해야 하며, 무선 도청 탐지의 경우 어떤 강도이상의 무선신호가 발생한 때만 경보음 및 LED의 발광으로 무선 도청기 및 몰래카메라의 유,무를 판단하도록 설계되어 있다. 여기서 어떤 강도이상의 무선신호를 설정할수 없기 때문에 오동작이 심한 편이며, 다른 유사 장비의 경우 어떤 강도이상의 무선신호를 기기에서 설정하고 그 이상의 신호 유입시에 작동되도록 하는 장비도 있으나 사용상의 편리성이 부족하다. 이처럼 종래에 개발된 탐지기류의 경우 주변의 주파수 환경을 고려하여 전계강도가 강할 때만 경고하는 방식이며 위에서 열거한 주변에서 흔히 접할 수 있는 무선기기류에도 반응을 하도록 되어져 있다. 또한 일상 생활잡음등에 의한 오동작도 발생하게 되는 단점이 있다.
본 발명은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은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발명된 것으로서 무선도청기, 유선전화도청기, 레이저도청기의 탐색과 방지가 가능하며 그 외의 콘크리트마이크형도청기, 보이스레코더에 의한 도청 방지가 가능하고 몰래카메라 탐지가 하나의 장비로 가능하도록 발명된 장비이다.
본 장비는 종례 무선도청 탐지기, 유선도청 탐지기, 레이저도청 탐지기등의 여러 탐지 기기의 기능 및 그 외에 방지기능을 추가하고 또한 상기의 무선도청 탐지시의 문제점을 보완하였다.
상기의 무선도청신호 감지 방식에서 무선신호상의 전계강도 측정법을 사용하여 두개의 안테나를 두고 하나의 안테나는 기준이 되는 일상에서의 무선 주파수의 전계강도를 측정하고 또 하나의 안테나는 상기의 안테나로 유입된 기준 전계강도 이상의 신호 유입시에 출력되도록 하였다. 이를 위해 Mi-COM의 A/D컨버터 및 비교기를 두어 제어하도록 하였다. 또한 레이저도청 탐지의 경우 900nm - 950nm 대역의 적외선 다이오드를 사용하여 기존 탐지기에 비해 저가로 설계가 가능하도록 하였다.
도청 방지의 경우 20Hz-20KHz까지 주파수 특성이 평탄한 화이트 노이즈 발생회로를 두어 음의 마스킹 효과에 의한 도청방지 기능을 두었다. 이때 20Hz∼20KHz까지 주파수는 트렌지스터의 이미터와 베이스에만 전류를 인가하여 발생되는 노이즈를 사용하고 이때 발생된 노이즈를 저역 및 고역 필터를 두어 원하는 20Hz∼20KHz까지의 주파수를 출력하도록 설계되었다.
또한 상기 장비의 경우 휴대용이기 때문에 전력 소모가 적도록 저전력 TTL IC와 향상된 CMOS FLASH/EEPROM 기술을 사용하여 저전력, 및 고속, 동작 전압범위는 2.0V에서 5.5V로 넓기 때문에 잡음에도 강한 PIC Microcontroller를 사용하였고, 각각의 사용 유형에 따라 전원드라이브회로에서 각각의 필요유형에 따른 회로에만 전원을 공급하도록 설계하였다.
제 2도, 제 3도, 제 4도를 우선 참조하면, 전원 (100), 전원드라이브 (101), DC 5V (102), DC 9V (103), 무선 도청기 탐지 모드 (110), 레이저 도청기 탐지 모드 (111), 전화라인상의 도청기 탐지 모드 (112), 무선, 레이저 도청 감시 및 화이트노이즈 발생 모드 (113), 화이트노이즈 발생 모드 (114), Mi-COM (200), ANT1 (201), ANT2 (202), 광대역수신부 (203), 증폭부 (204), 무선신호수신부 (205), 음 성필터 (206), 신호필터 (207), 필터1 (208), 음성증폭 (209), 신호증폭 (210), AMP (211), 스피커 (212), Dot Bar LED (213), LED드라이브 (214), LED표시부 (215), 부저 (216), 외부설정입력 (217), 신호필터2 (218), 신호증폭2 (219), 화이트노이즈발생부 (300), 고역/저역 필터 (301), 화이트노이즈발생회로 (302), 레이저 수신부 (400), 레이저신호증폭부 (401), 레이저수신센서 (402), 필터2 (403), 전화선로상의 무선신호 수신부 (500), 전화라인입력 (501), 광대역수신부 (502), 증폭부 (503), 필터3 (504), 음성필터 (505), 음성증폭 (506), 신호필터 (507), 신호증폭 (508)를 포함한다.
이하 첨부된 예시 제 1도 및 제 2도, 제 3도, 제 4도를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고안을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장비의 전원으로 사용되는 DC 9V의 전원은 9V 알카라인 건전지에 의해 전원(100)으로 공급받는다. 전원(100)을 통해 유입된 전압은 전원드라이브(101)회로에 의해 DC 5V(102), DC 9V(103)로 분리되게 된다. 이때 DC 5V(102) 전원은 스탠바이 전원으로 Mi-COM(200)에 상시 공급되어 진다. 이때 Mi-COM(200)으로 사용자가 직접 조작하도록 하는 외부설정입력(217)에 의해 전원드라이브(101)회로를 컨트롤 하여 DC 5V(102)및 DC 9V(103)전원을 각각의 회로로 공급되게 된다. 각각 공급된 회로에 따라 무선 도청기 탐지 모드 (110), 레이저 도청기 탐지 모드 (111), 전화라인상의 도청기 탐지 모드 (112), 무선, 레이저 도청 감시 및 화이트노이즈 발생 모드 (113), 화이트노이즈 발생 모드 (114)의 5가지 모드가 존재한다.
외부설정입력(217)은 Tact 스위치로 조작되어 Mi-COM(200)으로 입력되며, 입 력신호의 형태는 TTL 레벨(Level)의 1과 0 이다. 이때 1의 입력 때 마다 5진 카운터의 형식으로 반복 동작되게 되어 전원드라이브(101)를 컨트롤 하여 무선 도청기 탐지 모드 (110), 레이저 도청기 탐지 모드 (111), 전화라인상의 도청기 탐지 모드 (112), 무선, 레이저 도청 감시 및 화이트노이즈 발생 모드 (113), 화이트노이즈 발생 모드 (114)의 각각의 모드에 해당되는 회로로 전원드라이브(101)에서 전원을 공급받게 된다. 이때 LED 표시부(215)를 통해 각각의 동작 상태에 따른 LED로 표시하도록 하였다.
무선 도청기 탐지 모드는 무선 도청기의 탐색을 위한 모드이며 이런 무선도청기들은 AM, FM, UHF대역등의 불법 주파수를 사용한다. 단방향 통신방식이 송출거리는 통상 500m 이내의 고출력을 사용한다. 이런 무선 도청기의 탐지 방법으로는 주파수를 스캔하여 청취하는 방법과 스팩트럼을 분석하는 방법, 무선 도청기의 전계강도를 측정하는 여러 가지 방법이 존재한다. 상기 주파수를 스캔하는 방법과 스팩트럼을 분석하는 방법의 경우 회로의 복잡성 및 사용자의 편리성을 고려할 수 없기 때문에 본 발명은 무선 도청기의 전계강도를 측정하는 방법으로 고안되었다. 이를 위해 ANT(201), ANT(202)를 통해 유입된 무선 주파수의 신호는 광대역수신부(203)를 통해 유입되게 된다. 수신 주파수 대역은 1MHz에서 3GHz까지의 광범위한 대역을 수신하게 되고 이때 광대역수신부(203)는 2개의 채널로 구성되어 ANT(201), ANT(202)각각의 동일한 값을 입력 받아 수신하게 된다. 수신된 신호는 전주기 (360˚)에 대하여 직선영역에서 동작하는 N-Channel RF Amplifier을 이용한 증폭부(204)로 유입된다. LC에 의한 동조회로를 구성하며 입력된 주파수를 JFET를 사용하 여 RF Amplifier로 구성하여 주파수를 증폭하게 된다. 이때도 상기와 동일하게 ANT(201), ANT(202)각각의 동일한 값을 입력 받아 증폭하게 된다.
상기 증폭부(204)의 ANT(201)의 신호는 음성필터(206)와 신호필터(207)로 각각 유입되며 ANT(202)의 신호는 Mi-COM(200)의 I/O PORT2로 입력되게 된다. 이때 Mi-COM(200)의 I/O PORT1, PORT2는 A/D 컨버터로 사용되어진다.
증폭부(204)의 ANT(201)의 신호는 음성필터(206)와 신호필터(207)로 각각 유입되어 음성과 신호로 분리되게 된다. 이때 유입된 신호는 검파다이오드와 R,C로 구성된 필터를 통해 구성된 음성필터(206)를 통해 순수한 음성신호만을 음성증폭(209)로 유입되어 증폭되게 된다. 증폭된 신호는 AMP(211)에 의해 다시한번 증폭되고 스피커를 통해 출력되게 된다. 이는 무선 도청기등에서 송출되는 음성신호를 수신하여 사용자가 직접 청취하도록 하여 무선 도청기의 여부 판단 및 무선 도청기와의 어느정도 근접시 송신기로 유입된 본 장비의 음성출력이 무선 도청기의 마이크로 유입되어 발생하는 하울링에의 탐색이 가능하도록 설계하였다.
증폭부(204)의 ANT(201)의 신호는 음성필터(206)와 신호필터(207)로 각각 유입되어 음성과 신호로 분리되게 된다. 이때의 신호는 주파수의 전계강도를 의미한다. 이때 유입된 신호는 검파다이오드 두개와 콘덴서 하나로 구성된 2배 전압 정류회로 및 R,C필터로 구성된 신호필터(207)에 의해 DC 0V-5V직류의 형태로 변환된다. 이때 변환된 신호는 Mi-COM(200)의 I/O PORT1로 입력된다.
증폭부(204)의 ANT(202)의 신호는 신호필터(207)로 유입 된다. 이때의 신호는 주파수의 전계강도를 의미한다. 유입된 신호는 검파다이오드 두개와 콘덴서 하 나로 구성된 2배 전압 정류회로 및 R,C필터로 구성된 신호필터(218)에 의해 직류의 형태로 변환된다. 이때 변환된 신호는 Mi-COM(200)의 I/O PORT2로 입력된다.
이렇게 ANT(201) 및 ANT(202)의 각각 안테나를 통해 유입된 무선 신호는 각각 직류로 변환되고 변환된 직류레벨(DC 0V-5V)의 신호는 Mi-COM(200)의 I/O PORT1, Mi-COM(200)의 I/O PORT2를 통해 유입된다.
Mi-COM(200)의 I/O PORT1, I/O PORT2로 유입된 신호 중 ANT(202)를 통해 유입된 I/O PORT2의 신호를 기준으로 한다. 실제로 I/O PORT1과 I/O PORT2의 값은 미세한 오차가 존재 할뿐 큰 차이는 없다. 다만 I/O PORT2의 값을 기준으로 정하고, 신호 입력시 Mi-COM(200)은 3sec동안 I/O PORT2의 값을 저장하고 더 이상의 변동은 입력받지 않게 된다. 이때, ANT(201)를 통해 유입된 I/O PORT1의 값을 I/O PORT2의 저장된 값과 비교한다. I/O PORT1의 값이 I/O PORT2 작으면 I/O PORT2의 저장값 보다 큰 값이 들어올때 까지 유지하고, I/O PORT1의 값이 I/O PORT2 크면 I/O PORT2는 3sec동안 기존 저장된 저장값 이상의 신호를 유입받아 3sec동안 저장하고 대기하는, 반복되는 동작을 하게된다. 이런 반복되는 전계강도의 측정을 통해 ANT2(202)는 기준이 되는 전계강도를 수신하고 ANT1(201)은 기준 이상의 전계강도만을 수신할 수 있도록 고안하여 무선 도청기에서 송신되는 주파수의 전계강도를 측정 할 수 있도록 하였으며 3sec의 여유시간을 통해 무선 주파수의 송신원의 추적이 가능하도록 하였다. 이는 사용자가 직접 무선 도청기의 판단 여부 및 재거가 가능하도록 발명된 것이다.
레이저 도청기 탐지모드(111)는 레이저 도청 탐지용으로 사용되어지는 회로 이다. 레이저 도청기의 경우 레이저 통신의 한 형태로서 원거리에서 창문등에 레이저를 조사하고 반사되어진 신호를 필터링하여 음성을 청취하는 도청의 형태이다. 이는 음성의 음파 에너지에 의한 미세한 창문의 흔들림을 이용해 도청하는 방법이며 900nm-950nm의 파장대역을 사용한다. 이를 탐지하기 위해선 창문등에서 유입되는 900nm-950nm의 파장대역의 신호를 포착하면 된다. 이를 위해 레이저 수신부(400)는 레이저수신센서(402)와 레이저신호증폭부(401) 및 필터2(403)으로 구성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회로는 레이저 수신센서(402)를 통해 입력받게 된다. 이때 사용되어지는 레이저 수신센서는 레이저 전용 센서가 아닌 적외선 수신LED를 사용한다. 이는 제품의 저 가격대를 추구함에 있으며 레이저신호증폭부(401)와 필터2(403)을 통해 원하는 레이저 신호만 입력받게 하였다. 레이저 신호는 레이저 수신센서(402)를 통해 입력되어 레이저신호증폭부(401)를 통해 증폭을 하게 되고, 증폭된 신호 레벨을 Vp-p 5V의 한개 값을 설정해 준다. 레이저신호 증폭부(401)를 통해 출력된 신호는 필터2(403)를 통해 필터링 되게 된다. 이때 필터2(403)는 입력된 신호 대역에서 900nm-950nm의 대역만 통과시키고 통과된 신호는 A/D컨버터에 의해 디지털 형식의 신호로 변환된다. 변환된 신호는 Mi-COM(200)의 I/O PORT8로 입력되어지고 입력 신호가 있을 시 LED표시부(215)를 통해 LED로 표시하게 한다.
전화라인상의 도청기 탐지모드(112)는 전화 선로상의 무선 도청기를 탐색하는 모드이다. 일반적 전화 선로용 무선도청기의 경우 전화 국선 라인에 직렬 또는 병렬의 형태로 연결되어 진다. 이때 전화선로상의 음성신호만을 걸러내어 무선 주파수를 이용 외부로 전송하게 된다. 이런 형태의 전화라인 상의 무선 도청기를 탐 색하기 위해서는 전화선로상의 무선주파수의 전계강도를 측정하는 방법과 선로의 임피던스를 측정하는 방법의 두가지가 있을 수 있다. 후자의 임피던스를 측정한는 방법의 경우 회로 구성이 크며 또한 사용자가 손쉽게 조작하여 측정하기 곤란하다. 이에 본 발명은 전화선로상의 무선주파수의 전계강도를 측정하는 방법을 고안했다. 이를 위해 각 구내 및 댁내의 전화선로는 국선 2가닥, 내선(보조선) 2가닥으로 구성되어있다. 본 발명은 국선 선로상의 무선도청기가 연결되어 지기 때문에 같은 선로상에 존재하는 같은 라인상의 내선을 사용하여 측정하게 된다. 또한 전화 선로상의 무선도청기는 전화 통화시에만 작동되도록 되어 있기 때문에 보다 손쉽게 여부를 판단할 수 있기 때문이다. 이를 위해 전화선로상의 무선신호 수신부(500)는 전화라인입력(501)부, 광대역수신부(502), 증폭부(503), 필터3(504)으로 구성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회로는 전화선로상의 무선송신 형태의 도청 탐지용으로 사용되어 진다. 전화라인입력(501)부는 RJ11 Jack으로 입력되어지며 국선의 경우 회로상에서 정상적으로 국선과 연결되어졌는가만 LED로 표시해 준다. 또한 내선의 경우 회로상에서 광대역수신부(502)를 통해 선로상의 무선주파수를 수신하게 된다. 수신 주파수 대역은 1MHz에서 3GHz까지의 광범위한 대역을 수신하게 되고 이때 수신된 신호는 전주기 (360˚)에 대하여 직선영역에서 동작하는 N-Channel RF Amplifier을 이용한 증폭부(503)로 유입된다. 상기의 증폭부(503)은 LC에 의한 동조회로로 구성하며 입력된 주파수를 JFET를 사용하여 RF Amplifier로 구성하여 주파수를 증폭하게 된다. 상기 증폭부(503)의 전화라인입력(501)에 의한 내선상의 무선 신호는 음성필터(505)와 신호필터(507)로 각각 유입된다. 이때 유입된 신호는 검파다이오드 와 R,C의 필터를 통해 구성된 음성필터(505)를 통해 순수한 음성신호만을 음성증폭(506)부로 유입되어 증폭되게 된다. 증폭된 신호는 AMP(211)에 의해 다시한번 증폭되고 스피커를 통해 출력되게 된다. 이는 전화 선로상의 무선도청기에서 송출되는 음성신호를 수신하여 사용자가 직접 청취하도록 하여 무선 도청기의 판단 여부를 쉽게 판단하기 위함이다. 또한 증폭부(503)의 출력 신호는 신호필터(507)로 유입된다. 이때의 신호는 주파수의 전계강도를 의미한다. 유입된 신호는 검파다이오드 두개와 콘덴서 하나로 구성된 2배 전압 정류회로 및 R,C필터로 구성된 신호필터(207)에 의해 직류의 형태로 변환된다. 변환된 신호의 형태는 0V-5V 까지의 DC 전압의 형태로 Mi-COM(200)의 I/O PORT9로 입력된다. Mi-COM(200)의 I/O PORT9는 A/D 컨버터로 사용되어진다. 전화의 선로와 전화라인입력(501)부가 연결되어져 있고 송수화기가 On-hook일때 Mi-COM(200)의 I/O PORT9로 유입되는 DC 신호를 Mi-COM에서 저장하게 된다. 송수화기가 On-hook 상태 일때는 전화 선로상의 무선도청기는 동작을 하지 않으며 송수화기를 Off-hook하게 되면 전화 선로상의 무선도청기가 동작되고 무선주파수를 출력하게 된다. 기존에 On-hook상태에서 저장된 값보다 그 이상의 값이 유입되게 되면 전화선로상의 무선도청기가 존재한다고 판단하고 Mi-com(200)은 LED표시부(215)로 명령을 내리고 LED를 점등시키게 된다.
화이트 노이즈 발생모드(114)는 모든 수단의 도청을 방지하기 위해 고안된 것으로 모든 도청수단은 음성을 수집하는 형태이다. 일반적인 공간에서의 대화 또는 외부에서의 대화등을 수집하기 위해서는 소리가 존재하는 장소인 음장(sound field)이내의 장소에 존재하게 된다. 상기 도청수단의 방어 방법은 또 다른 불필요 한 음원에서의 출력에 의한 마스킹효과로 무선도청기 및 보이스레코더의 마이크로 유입되는 음성신호를 방해할 수 있다. 이는 상기에서 언급한 레이저 도청에서도 방어가 가능하다. 상기의 도청을 방어하기 위한 방법으로 본 발명에 따른 화이트노이즈발생부(300)에서 인간의 청감이 음파를 음으로서 느낄 수 있는 20Hz-20KHz이내의 가청주파수 대역 (audio-frequency band)의 불특정한 노이즈를 발생하게 되면 어떤 음 A를 듣고 있을 때 A보다 진폭이 큰 음 B가 가해지면 원래의 음 A는 들리지 않게 된다. 이때, 음 A가 음 B에게 마스킹 되었다고 하며, 이러한 현상을 마스킹 효과(Masking Effect)라고 한다. 본 발명에 따른 화이트노이즈발생부(300)는 이러한 마스킹 효과 (Masking Effect) 를 이용한 것으로, 가청주파수(audio frequency (AF)(20-20KHz)대역의 불특정한 노이즈를 발생시켜 원래의 대화내용을 청취 할 수 없도록 방해하도록 구성되었다. 이때 여러 음원(장비에서 발생하는 불특정한 노이즈)이 존재할 때, 인간은 자신이 듣고 싶은 음을 선별해서 들을 수 있는 능력을 가지고 있다. 이러한 인간의 청각능력을 칵테일파티효과(Cocktail Party Effect)라고 한다. 이에 비해서 소리를 잡기 위한 마이크외에 전기적 기계적 장치들은 소리 그 자체만을 수집하는 능력을 가지고 있기 때문에 장비에서 발생한 불특정한 노이즈에 의해 원래의 음원과 마스킹되어 무선도청, 보이스레코더에 의한 도청, 레이저 도청등을 방어할 수 있게 된다. 이를 위해 화이트노이즈발생부(300)는 화이트노이즈발생회로(302)와 고역/저역 필터(301)로 구성된다. 트랜지스터를 오픈콜랙터로 두고 베이스와 이미터만으로 조합하여 트랜지스터 자체 잡음을 발생하게 하고 이 신호를 증폭하게하는 화이트노이즈발생회로(302)의 출력은 고역/저역 필터(301)로 유입되 게 된다. 고역/저역 필터(301)는 원하는 주파수 대역인 20-20KHz만을 필터링하고 AMP(211)를 통해 증폭된 후 스피커(212)를 통해 출력되게 된다. 또한 노이즈 출력은 외부 볼륨으로 제어 가능하다.
무선, 레이저 도청 감시 및 화이트 노이즈 발생모드(113)는 사용자가 직접 조작하지 않고 무선 도청 및 레이저 도청을 감시하고 이상신호 입력시 상기의 화이트 노이즈 발생모드(114)를 자동으로 구동하도록 고안되었다. 이때 화이트 노이즈 발생모드(114)의 제어는 사용자가 직접 외부설정입력(217)을 통해 수동입력이 가능하며 무선수신모드, 레이저 수신모드일 경우 이상 신호입력시 자동으로 동작하는 두 가지 동작방법이 존재하게 하여 사용자의 편리성을 도모하였다.
또한 각각의 모드상의 전계강도의 크기, 레이저 신호의 입력 양, 노이즈 출력크기등을 LED드라이브(214) 및 10단계로 구성된 Dot Bar LED(213)에 의해 출력되게 된다. 이는 무선 도청기 탐지 모드(110), 레이저 도청기 탐지모드(111), 전화라인상의 도청기 탐지 모드(112), 화이트 노이즈 발생 모드(114)에서 모두 동작되며 사용자에게 신호 입력 양 및 노이즈 출력 양을 쉽게 확인할수 있도록 하였다.
이상 기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휴대가 가능한 유/무선 도청기, 레이저 도청기, 몰래카메라 탐지 및 방지 장비는 무선 도청기에서 송출되는 무선 주파수의 전계강도를 측정함에 있어 기준이 되는 전계강도와 그 이상의 전계강도를 비교하여 출력하도록 하여 무선 도청기 유/무 외에 송신되어 지고 있는 정확한 위치 별도의 사용자 조작 없이 손쉽게 탐색함을 제공하는데 있다.
또한 레이저 도청기에서 송출되는 레이저 신호를 수신하여 레이저 도청의 여부판별 및 전화 라인상에 설치되는 무선 도청기의 판별 여부를 제공하는데 있다. 또한 화이트 노이즈의 발생에 의한 도청의 여러 유형을 방지하고 사용자의 설정에 따라 무선 또는 레이저 도청을 감시하도록 하여 이상신호 발생시 자동으로 화이트 노이즈를 발생하게 하여 도청을 방지하기 위한 수단을 제공하는데 있다.

Claims (2)

  1. 휴대가 가능한 유/무선 도청기, 레이저 도청기, 몰래카메라 탐지 및 방지 장비에 있어서,
    상기 장비의 전원을 공급해 주는 전원 : 각각의 필요에 따른 모드로 DC 5V 및 DC 9V 전원을 공급해 주는 전원드라이브 : 무선 도청기 송신 주파수의 전계강도를 각각의 안테나를 통해 기준 신호와 기준 이상의 신호 비교 출력 및 음성의 형태로 수신하는 무선 도청기 탐지 모드 : 레이저를 이용한 원거리 도청이 가능한 레이저 도청기의 탐지 모드 : 유선 전화 선로상의 무선 전송방식의 도청기 탐지를 위한 전화라인상의 도청기 탐지 모드 : 무선 도청 및 레이저 도청을 상시 감시 하고 방지 하고 이상신호 발생시 화이트 노이즈를 발생하여 무선 도청 및 레이저 도청을 방지 하기 위한 무선, 레이저 도청 감시 및 화이트노이즈 발생 모드(113), 무선 도청 및 레이저 도청을 방지 하기 위한 화이트노이즈 발생 모드(114)를 특징으로 하는 휴대가 가능한 유/무선 도청기, 레이저 도청기, 몰래카메라 탐지 및 방지 장비.
  2. 제 1항에 있어서, 무선 도청기 주파수의 전계강도를 두개의 안테나를 통해 수신하고 그중 하나의 안테는 기준이 되는 전계강도만을 수신하고 다른 하나의 안테나는 기준이 되는 전계강도 이상만을 수신하여 별도의 사용자 조작없이 Mi-COM의 제어를 통한 무선 도청기의 여부 및 위치 추적이 가능하며 또한 무선 도청기의 송신 주파수를 수신, 음성으로 전환하여 사용자가 직접 무선 도청기에서 송출되는 음 성 청취가 가능한 두 가지 기능을 갖는 무선 도청기 탐지 기능.
KR1020050056840A 2005-06-24 2005-06-24 휴대가능한 도청 탐지장치 KR10071658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56840A KR100716589B1 (ko) 2005-06-24 2005-06-24 휴대가능한 도청 탐지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56840A KR100716589B1 (ko) 2005-06-24 2005-06-24 휴대가능한 도청 탐지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021803A true KR20060021803A (ko) 2006-03-08
KR100716589B1 KR100716589B1 (ko) 2007-05-09

Family

ID=3712857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0056840A KR100716589B1 (ko) 2005-06-24 2005-06-24 휴대가능한 도청 탐지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716589B1 (ko)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3163527A (zh) * 2013-04-02 2013-06-19 哈尔滨工业大学 基于ccd辅助定位-双光楔光束调节的激光监听装置及采用该装置实现监听的方法
US8797407B2 (en) 2009-12-14 2014-08-05 Electronics And Telecommunications Research Institute Security system and method using measurement of acoustic field variation
WO2016153149A3 (ko) * 2015-03-26 2017-01-05 주식회사 쉴드케이 청각적 정보 보안시스템
KR20210026239A (ko) * 2019-08-29 2021-03-10 고려대학교 산학협력단 무단 음성 녹음을 차단하기 위한 녹음 차단 방법 및 장치와 그에 의하여 변조된 음성을 복원하는 녹음 복원 방법 및 장치
CN112883810A (zh) * 2021-01-25 2021-06-01 中国电子科技集团公司第三十三研究所 一种激光侦听反制方法、算法及反制装置

Family Cites Families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9168768A (ja) * 1995-12-20 1997-06-30 Fujitsu General Ltd 盗聴防止装置
KR200165469Y1 (ko) * 1998-10-19 2000-02-15 김영두 무음 진동을 이용한 도청방지 장치
JP2001141806A (ja) 1999-11-09 2001-05-25 Yoshimitsu Suda 盗聴器等の発見装置
KR100340822B1 (ko) * 1999-11-25 2002-06-20 김기춘 도감청 장치 및 몰래 카메라 탐지기
KR200188180Y1 (ko) * 1999-12-01 2000-07-15 주식회사와이엘데이타시스템 도청/도촬 탐지장치
KR20010070537A (ko) * 2001-03-12 2001-07-25 조광 몰래카메라 및 도청기 탐지기
KR20030033428A (ko) * 2001-10-22 2003-05-01 김규식 유·무선 도.감청 및 몰래카메라 탐지기
KR200270569Y1 (ko) 2001-12-19 2002-04-12 안교승 레이저도청감지 및 방지장치
KR20030023676A (ko) * 2003-02-28 2003-03-19 최현규 레이저 도청 무인 탐지 및 방지장비

Cited B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8797407B2 (en) 2009-12-14 2014-08-05 Electronics And Telecommunications Research Institute Security system and method using measurement of acoustic field variation
CN103163527A (zh) * 2013-04-02 2013-06-19 哈尔滨工业大学 基于ccd辅助定位-双光楔光束调节的激光监听装置及采用该装置实现监听的方法
WO2016153149A3 (ko) * 2015-03-26 2017-01-05 주식회사 쉴드케이 청각적 정보 보안시스템
US10068564B2 (en) 2015-03-26 2018-09-04 Shieldk Co., Ltd. Auditory information security system
KR20210026239A (ko) * 2019-08-29 2021-03-10 고려대학교 산학협력단 무단 음성 녹음을 차단하기 위한 녹음 차단 방법 및 장치와 그에 의하여 변조된 음성을 복원하는 녹음 복원 방법 및 장치
CN112883810A (zh) * 2021-01-25 2021-06-01 中国电子科技集团公司第三十三研究所 一种激光侦听反制方法、算法及反制装置
CN112883810B (zh) * 2021-01-25 2023-12-12 中国电子科技集团公司第三十三研究所 一种激光侦听反制方法、算法及反制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716589B1 (ko) 2007-05-0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068564B2 (en) Auditory information security system
KR100901772B1 (ko) 스피커를 통한 도청을 방지하기 위한 장치
KR20080048380A (ko) 불법무선장치에 대한 전파탐지방법 및 전파탐지회로와,전파탐지회로가 구비된 휴대폰
KR100716589B1 (ko) 휴대가능한 도청 탐지장치
US20180180752A1 (en) Method and a system for locating a mobile telephone
CN104144601A (zh) 防止利用手机进行窃听的装置
KR100731816B1 (ko) 음파를 사용한 도청방지방법 및 장치
KR200401625Y1 (ko) 휴대가 가능한 유/무선 도청기, 레이저 도청기, 몰래카메라탐지 및 방지 장비.
KR20110093031A (ko) 이동통신 단말기 및 그 구동방법
KR101208927B1 (ko) 무선 마이크
JPH09139768A (ja) 盗聴検知装置および盗聴検知機能付き電話機
WO2002035803A3 (en) User interface for a portable communication device
US8897468B2 (en) Noise control circuit and audio receiving system using the same
KR20060055488A (ko) 라디오 기능을 갖은 무선,레이저 도청 탐지 및 유무선몰래카메라 탐지 및 방지기
CN220325622U (zh) 一种防录音超声波干扰电路、干扰设备
KR20090028940A (ko) 무선 마이크 수신기 및 혼신 방지 방법
KR200348118Y1 (ko) 이동통신단말기의 외장형 도청 및 몰래카메라 감지장치
FI128649B (en) EQUIPMENT FOR THE CREATION OF ACOUSTIC AUDIBLE SOUND TO PREVENT EARNING THROUGH A MOBILE DEVICE
RU2742720C1 (ru) Устройство для защиты конфиденциальных переговоров
KR20020016703A (ko) 몰래 카메라 및 도청기의 탐지 기능을 갖는 휴대 전화기
KR20080019843A (ko) 디지탈 녹음기 겸용 도청,몰래카메라 탐지기
KR20100080969A (ko) 감지된 무선주파수 연계동조회로
KR200329397Y1 (ko) 몰래카메라 검출기능이 구비된 이동통신 단말기
JPS60119142A (ja) コ−ドレステレホン装置
KR20010088494A (ko) 휴대폰을 이용한 몰래카메라 및 도청장치 탐지기 와 그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G15R Request for early opening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