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0033428A - 유·무선 도.감청 및 몰래카메라 탐지기 - Google Patents

유·무선 도.감청 및 몰래카메라 탐지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0033428A
KR20030033428A KR1020010065198A KR20010065198A KR20030033428A KR 20030033428 A KR20030033428 A KR 20030033428A KR 1020010065198 A KR1020010065198 A KR 1020010065198A KR 20010065198 A KR20010065198 A KR 20010065198A KR 20030033428 A KR20030033428 A KR 2003003342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voltage
telephone line
detector
output
telephon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1006519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규식
Original Assignee
김규식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규식 filed Critical 김규식
Priority to KR1020010065198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30033428A/ko
Publication of KR2003003342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0033428A/ko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VGEOPHYSICS; GRAVITATIONAL MEASUREMENTS; DETECTING MASSES OR OBJECTS; TAGS
    • G01V3/00Electric or magnetic prospecting or detecting; Measuring magnetic field characteristics of the earth, e.g. declination, deviation
    • G01V3/12Electric or magnetic prospecting or detecting; Measuring magnetic field characteristics of the earth, e.g. declination, deviation operating with electromagnetic wav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02Constructional features of telephone sets
    • H04M1/19Arrangements of transmitters, receivers, or complete sets to prevent eavesdropping, to attenuate local noise or to prevent undesired transmission; Mouthpieces or receiver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68Circuit arrangements for preventing eavesdropp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Remote Sensing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Geology (AREA)
  • General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ophysics (AREA)
  • Alarm System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최근 다년간 전세계적으로 부각되고 있으며 특히 국내에서는 연예인 몰래카메라 사건 등을 계기로 야기된 사회적 불안 심리와 기업체들간의 심각한 정보 유출. 즉, 산업 스파이들에 대한 방지 대책으로 인하여 발명 된 기기이다. 본 장비는 도청장치 및 감청장비, 몰래 카메라는 물론이고 세계 최초로 무선 도청기와 전화라인상에 설치되는 모든 종류의 도청기를 하나의 회로로 설계하여 감지 할수 있도록 발명된 휴대용 탐지 장비이다. 이 장비는 기존의 여러 국가에서 생산되어진 탐지기들을 비교 분석하여 기존의 탐지 장비들의 성능과 기능들에 문제점을 인지하여 새로운 기술을 접목하여 기존 탐지장비들의 저성능과 오작동 문제 등을 해결한 장비이다. 이는 여러 사용자들이 가장 불만을 느끼는 부분인 오작동 문제와 또한 기존 탐지기들은 무선 주파수 신호만을 감지 할수 있었던것에 가장 많은 불만을 토로한점에 감안하여 본 장비는 유선. 즉, 전화라인 상의 어떠한 도청장치와 불법접속전화(일명 부릿지)와 이런 장비들을 설치하기 위해 전화 회선의 단선등을 감지할수 있는 회로를 포함한다. 또한 기존의 탐지장비들은 실제로는 무선 주파수를 감지할수 있는 실제거리가 약 1cm-5cm임에도 불구하고 약5m라고 과대 광고하는것에 대하여 본 장비는 실제로 감지거리를 획기적으로 넓게(실제 감지거리 약 1m-8m 정도)하였으며 또한 기존 탐지장비들의 최대의 약점이었던 오작동 문제(기존 탐지기들은 무선 주파수 수신부가 고정 되어 있어 지역별, 건물 높이별로 전파의 강도가 틀림)를 새로운 회로 설계를 통하여 사용자가 지역과 건물 높이에 따라서 수신감도를 조정할수 있게 하여 오작동 문제를 말끔이 해결하였다. 감지 주파수 대역은 1Mhz-4Ghz의 광대역 주파수를 감지할수 있으며 또한 도청전파 및 몰래카메라 전파를 감지시 발진음을 출력하여 감지 사실을 알려주며 무음 기능을 넣어 LED의 점등만으로도 감지 사실을 알 수 있도록 하였다.

Description

유·무선 도.감청 및 몰래카메라 탐지기{PERFECT1000}
본 발명은 최근 극성을 부리고 있는 도청 장치 및 몰래 카메라를 탐지하기 위한 미니 도청 및 몰래카메라 탐색기에 관한 것이다.
도 1은 종래의 도청 장비 및 몰래카메라 탐지기의 개략적 회로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종래의 도청 장비 및 몰래 카메라 탐지기는 고주파 입력부 (100), 증폭부 (200), 발진부 (300), 경보수단 (400)을 구비한다. 발진부(300)는 4중 2입력 NAND슈밑 트리거(Quadruple 2 input NAND schmitt trigger)회로로 구성되며, 증폭부(200)로부터 인가되는 도,감청 장비 및 몰래 카메라의 동작시 나타나는 신호에 따라 램프의 깜박임 및 소리의 발진부(400)의 신호음으로 구동된다.
이상과 같이 구성된 도청 장비 및 몰래카메라 탐색기는 다음과 같이 동작한다.
먼저,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도청 장비 및 몰래 카메라에서 내는 발신 주파수 신호가 안테나를 통하여 들어오면 고주파 입력부(100)에 의해 출력된 신호만 증폭부의 입력으로 들어가게 된다. 이때 고주파 입력부를 통해 수신되는 대역은 10MHz에서 1200MHz범위로서 좁다. 고주파 입력부(100)를 통해 출력된 신호를 증폭부(200)에 의해 증폭된 다음 발진부(300)의 슈밑트리거 회로에 입력됨으로써 적절한 발진주파수로 발진된다. 이 발진 주파수가 스피커를 통하여 발진 경보 음을 울리거나 발광다이오드를 통하여 경고 등을 켜게된다.
그러나, 전자제품, 통신주파수, PC, 핸드폰 등의 주파수에서 탐지기가 동작하는 오류가 발생되므로 도청, 감청 장비나 몰래 카메라의 탐지에 장애 요인으로 작용한다. 또한 1200MHz대역 이상의 몰래 카메라 송신기나 도청기는 인식하지 못한다. 따라서, 주변 환경의 변화에 따라서 정밀한 탐지가 불가능하게 되는 경우가 많다. 또한 시중에 흔히 유통되고 있는 전화 도청기 및 감청장비는 탐색이 불가능 하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발명된 것으로, 소형으로 설계되어 휴대가 간편하며 광범위한 주파수 대역에서 몰래 카메라나 기타 도청, 감청 장비의 송신 신호만을 선별하여 탐지가 가능하고 전화 라인상의 문제점. 즉, 전화 라인상에 설치되는 도청기 및 감청장비, 단선등을 감지하여 경보 신호를 출력하게 된다. 또한 검파신호 증폭부를 HIGH와 LOW로 나누어 전계강도가 센 고층 빌딩이나 지역에서도 탐색이 가능하도록 하였으며 정밀 검파부에 의한 정확한 위치 탐색이 가능하도록 하였다. 본 도청, 감청 및 몰래카메라 탐색기는 광대역 검파부 및 검파신호 HIGH/LOW증폭부와 정밀 검파부에 의해 불법적으로 설치되어 있는 도청. 감청 및 몰래카메라와 전화라인상의 문제점(전화 라인상에 설치되는 도청기 및 감청장비, 단선등)을 일반 사용자가 손쉽게 탐색할 수 있도록 유·무선 도.감청 및 몰래카메라 탐지기를 제공하는 데 있다.
도 1은 종래의 도청 장치 및 몰래카메라 휴대용 탐색기의 개략적 회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유·무선 도.감청 및 몰래카메라 탐지기의 대표 회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유·무선 도.감청 및 몰래카메라 탐지기의 광대역 검파부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유·무선 도.감청 및 몰래카메라 탐지기의 검파신호 HIGH/LOW증폭부이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유·무선 도.감청 및 몰래카메라 탐지기의 정밀 검파부이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유·무선 도.감청 및 몰래카메라 탐지기의 발진신호 출력부.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유·무선 도.감청 및 몰래카메라 탐지기의 전화 도.감청 감지 회로부이다.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유·무선 도.감청 및 몰래카메라 탐지기의 경보신호 출력 제어부이다.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유·무선 도.감청 및 몰래카메라 탐지기의 전원 및 무음모드 전환부이다.
도 10은 본 발명에 따른 유·무선 도.감청 및 몰래카메라 탐지기의 검파신호 HIGH/LOW증폭부가 HIGH 일때 실제 도청기(399MHz대역)와 몰래카메라(2.4GHz대역)를 탐지했을 때 거리에 따라 변화하는 전압을 그래프로 표시하였다.
도 11은 본 발명에 따른 유·무선 도.감청 및 몰래카메라 탐지기의 검파신호 HIGH/LOW증폭부가 LOW 일때 실제 도청기(399MHz대역)와 몰래카메라(2.4GHz대역)를 탐지했을 때 거리에 따라 변화하는 전압을 그래프로 표시하였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유·무선 도.감청 및 몰래카메라 탐지기는 안테나로부터 도청, 감청장비 혹은 몰래 카메라나 전화라인 상의 도청기가 발생하는 저주파(1MHz)에서 고주파(4GHz)까지의 신호를 수신하여 전압의 형태로 변환하는 광대역검파부; 광대역 검파부를 통해 검파된 신호를 HIGH와 LOW로 각각 증폭시키는 검파신호 HIGH/LOW증폭부; 검파신호 HIGH/LOW증폭부를 통해 출력된 전압을 사용자가 설정한 값 이상이 되었을 때 비교 출력하는 정밀 검파부; 정밀 검파부에서 출력된 신호를 입력받아 발진을 일으키는 발진신호 출력부; 발진신호 출력부를 통해 출력된 발진주파수가 부저음의 ON/OFF의 교번동작을 할 수 있도록 제어해주는 가청주파수 출력제어부.
또한 전화라인상의 감청장비나 도청장치 및 이런것들을 설치하기 위해 국선 라인이 단선되는 등의 이상신호를 검출하는 전화 도.감청 감지 회로부; 전화 도.감청 감지 회로부의 이상 신호 출력시 부저음으로 출력해주는 가청주파수 출력제어부로 구성되며 외부 출력 LED와 부저의 신호음으로 탐색이 가능하고 발진신호 출력부의 음과 전화 도.감청 감지회로부에서 출력되는 음이 다르기 때문에 사용자가 혼동없이 사용할 수 있게 하였으며 부득이한 경우를 대비하여 무음모드로 전환하는 스위치가 회로상에 구성되어 있는 특징을 가진 유·무선 도청 및 몰래카메라 탐지기이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면서 본 발명에 따른 유·무선 도청 및 몰래카메라 탐지기에 대해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2에 의해 본 발명에 따른 유·무선 도청 및 몰래카메라 탐지기 회로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유·무선 도청 및 몰래카메라 탐지기는 광대역 검파부 (1000), 검파신호 HIGH/LOW증폭부(2000), 정밀검파부 (3000), 발진신호 출력부 (4000), 전화 도.감청 감지 회로부 (5000), 가청주파수 출력 제어부 (6000), 전원 및 무음모드 전환부 (7000)를 구비한다.
도 3에 의해 광대역 검파부(1000)는 안테나를 통해 송신기에서 출력되는 송신신호를 입력받아 직류전압레벨로 변환하는 회로이다. 이 주파수 들은 수 μV에서 수천 μV의 시간적으로 변화하는 교류성분을 갖고 있기 때문에 안테나를 통해 입력되는 신호를 D7, D8 (1100)로 리미트 시키고 포함되어 있는 직류성분을 C5로 차단시키며 D1, D2 (1200)로 구성된 2배 전압 정류회로로 입력되어 시간적으로 변화하는 AC성분의 전파를 DC로 변환하며 주변의 전파의 강도를 직류로 출력해주어 주변의 송신장치를 찾아낼 수 있게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도 4 에 의해 검파신호 HIGH/LOW증폭부(2000)는 도 3의 광대역 검파부(1000)를 통해 출력된 전압을 입력받아 HIGH와 LOW로 나누어 OP AMP를 사용하여 비반전증폭을하게 된다.
HIGH쪽 비반전증폭기는 출력단자 1PIN과 반전입력단자 2PIN 사이를 저항 R1으로 연결하고 반전입력단자에 저항 R8을 거쳐 접지를 연결하며 비반전입력단자 3PIN에 도 3의 광대역 검파부(1000)를 통해 출력된 전압을 입력하는 회로로써 입력전압이(2100)의 비율에 1배를 더한 만큼 증폭된 출력전압이 나오는 회로이다. 즉, 출력전압은로 주어지고 전압이득이 된다.
LOW쪽 비반전증폭기는 HIGH쪽 비반전증폭기와 마찬가지로 출력단자 7PIN과 반전입력단자 6PIN 사이를 저항 R4로 연결하고 반전입력단자에 저항 R9를 거쳐 접지를 연결하며 비반전입력단자 5PIN에 광대역 검파부(1000)를 통해 출력된 전압을 입력하는 회로로써 입력전압이(2200)의 비율에 1배를 더한 만큼 증폭된 출력전압이 나오는 회로이다. 즉, 출력전압은로 주어지고 전압이득이 된다.
이때 HIGH와 LOW의 전압이득은 100:10이다.
이렇게 HIGH와 LOW로 나누어 증폭도를 달리하는 이유는 주변의 전파강도가 센 경우나 고층 빌딩 및 오동작등을 방지하기 위하여 최초 탐색시 HIGH/LOW 전환 스위치(2300)를 HIGH에 위치하여 탐색을 진행하다 HIGH의 증폭도를 벗어나게 되면 LOW로 전환하여 정확한 송신기의 위치를 찾아낼 수 있게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도 5에 의해 정밀 검파부(3000)는 도 4 에 의해 검파신호HIGH/LOW증폭부(2000)에서 출력된 전압을 입력받아 사용자가 가변저항(3100)으로 설정한 값 이상이 되면 출력하는 OP AMP의 비교기회로이다. 비교기는 일반전압이 어느 일정 레벨을 넘는 것을 감지하는 회로로 레벨값은 가변저항(3100)으로 가변 설정하게 된다. 3PIN으로 입력받아 2PIN에서 레벨값을 설정하게 되고 1핀으로 출력하게 된다. 또한 2PIN에는 바이패스 콘덴서(3200)를 삽입하였다. 이는 회로상에서 소비전류의 변화가 생겨 전원이 그 변화를 감지하여 필요한 전류를 공급하기까지 수 μsec∼+μsec의 시간이 필요하게 된다. 바이패스 콘덴서(3200)는, 이 수 μsec∼+μsec의 공백의 시간에 전류공급을 하여 회로에 전류를 부드럽게 공급하는 역할을 하기 때문에 IC의 안정된 동작을 위하여 달아주었다. 약간의 여유와 온도 상승시의 용량의 감소 (부온도 계수) , 콘덴서의 오차등을 감안하여 0.1μF 를 사용하였다. 또한 무음모드의 전환(도 9에 의해 전원 및 무음모드 전환부(700))이 가능 하기 때문에 LED(3200)를 내장하여 부저음 없이도 LED의 ON/OFF로 탐색이 가능하도록 하였다.
이런 정밀 검파부를 두는 이유는 도 3에 의해 광대역 검파부(1000)와 도 4에 의해 검파신호 HIGH/LOW증폭부(2000)에서 출력된 신호는 주변의 모든 전파 강도를 출력하기 때문에 주변 전파강도를 0으로 하여 탐색을 해야 오동작등에 의한 영향을 받지 않으며 또한 도,감청 및 몰래카메라의 정확한 위치 탐색을 가능하게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도 6에 의해 발진신호 출력부(4000)는 도 5에 의해 정밀 검파부(3000)에서 출력신호가 13PIN에 인가되면 발진을 하게 되는 회로이다. 이 회로는 외부에서High 신호로 발진동작 여부를 제어할수가 있는 회로이다. 2입력 NAND Gate를 사용하여 Control Signal이 High로 13PIN에 인가 되면 발진이 시작된다. R2(4100)의 저항값이 너무 크면 노이즈가 유입되어 체터링을 일으켜며, 너무 작으면 입력단자에 과전류가 흘러서 발진주파수가 변화하거나 소자가 파손되는 점을 고려하였으며 발진 주파수으로 결정된다. 이런 외부신호에 의해 발진동작 여부 제어가 가능한 회로를 두는 것은 도 7에 의해 전화 도,감청 감지회로부(5000)의 출력신호가 도 8에 의해 가청주파수 출력제어부(6000)를 제어하여 부저음을 출력하게 되는데 이때의 부저음은 지속적인 신호가 출력되지만 도 6에 의해 발진신호 출력부(4000)는 발진음을 출력되게 된다. 따라서 도 6에 의해 발진신호 출력부(4000)의 출력신호음과 도 7에 의해 전화 도,감청 감지회로부(5000)의 출력신호가 도 8에 의해 가청주파수 출력제어부(6000)의 부저 1개를 사용하기 때문에 감지시 서로 다른 음을 출력하게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도 7에 의해 전화 도,감청 감지회로부(5000)는 전화 라인상에 설치되는 도청기 및 녹음기, 브리지된 전화기 및 이를 설치하기 위해 전화라인이 단선되는 경우 이를 감지하여 경보하는 회로이다. J2과 J1에 국선전화선 및 내선전화선(전화기에 연결하는 전화선)을 연결하도록 하였고 국선전화선 입력 단자인 J2에 도 3에 의해 광대역 검파부의 안테나 선을 J2 1PIN에 삽입하여 로드 안테나의 기능 및 라인상의 도청기 송신신호를 도 3(1000), 도 4(2000), 도 5(3000), 도 6(4000) 및 도 8(6000)에 의해 위에서 언급한 바와 같이 감지하게 된다. 또한 일반 안테나를 연결하지 않더라도 국선전화선만 연결하여도 로드 안테나의 기능을 하기 때문에 휴대가 편하다.
전화라인에 유입되는 전압은 평소 DC40V, 사용중일 때 DC5V의 직류전압을 사용하기 때문에 D2,D3,D4,D5(5500)의 브리지 다이오드를 사용하여 입력 극성이 바뀌어도 원하고자 하는 +극성을 출력하게 하기 위해 사용하였으며 전화라인상의 +전압은 이 브리지 다이오드(5500)을 통해 가변저항 VR2(5400)에 입력되어 VR2의 조정으로 전압을 가변하여 OP AMP의 6PIN으로 입력되게 된다.
도 5에 의해 정밀 검파부(3000)에서 언급하였듯이 OP AMP를 비교기로 구성하였다. 도 5에 의해 정밀 검파부(3000)의 비교기와 다른점은 OP AMP의 +입력인 5PIN을 R7과 R13에 의해 기준전압을 잡아 주었고 -입력인 6PIN에 전압을 인가하는 방식으로 이때는 일반전압이 어느 일정 레벨 이하가 되면 감지하는 회로로 구성하여 레벨값은 가변저항(5400)으로 가변 설정하게 된다. 6PIN으로 입력받아 5PIN에서 레벨값을 설정하게 되고 7PIN으로 출력하게 된다. 또한 6PIN에는 바이패스 콘덴서(3200)를 삽입하였다.
도 5에 의해 정밀 검파부(3000)에서 언급하였듯이 약간의 여유와 온도 상승시의 용량의 감소 (부온도 계수), 콘덴서의 오차등을 감안하여 용량을 결정 하여 사용하였다.
VR2(5400)을 사용하여 가변을 하는 이유는 최초 탐지기를 전화라인에 설치하고 사용자가 VR2(5400)를 이용하여 사용자의 환경여건에 맞게 설정하기 위해서 이다. 환경여건이라 함은 각 지역의 전화국 중계기에서 출력하는 전압이 약간의 변동이 있으며 전화국과의 거리에 따라 전송선로상의 손실이 발생될 수 있기 때문에 사용자 마다 전화라인상의 전압이 각기 다르게 된다. 이 때문에 VR2(5400)을 사용하여 가변할 수 있게 하여 OP AMP의 +입력인 5PIN을 R7과 R13에 의해 결정된 기준전압보다 약간 높게 설정하고 탐지기를 고정시켜 두게 되면 도청기 및 녹음기, 브리지된 전화기가 설치되면 각 장치들의 내부 저항에 의해 VR2(5400)에 의해 설정된 값 이하로 인가되는 전압이 떨어지게 된다. 또한 이를 설치하기 위해 전화라인이 단선되는 경우 VR2(5400)에 의해 -전압이 OP AMP의 -입력인 6PIN으로 인가되기 때문에 이때도 출력신호를 내보내게 되는 것이다.
또한 무음모드의 전환(도 9에 의해 전원 및 무음모드 전환부(7000))이 가능 하기 때문에 LED(5200)를 내장하여 부저음 없이도 LED의 ON/OFF로 탐색이 가능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도 8에 의해 가청주파수 출력 제어부(6000)는 도 6에 의해 발진신호 출력부(4000)의 출력신호와 도 7에 의해 전화 도,감청 감지회로부(5000)출력신호를 트랜지스터의 베이스에 인가여 스위칭 동작을 하도록 하였다. 이때 도 6에 의해 발진신호 출력부(4000)와 도 7에 의해 전화 도,감청 감지회로부(5000)의 출력시 각 회로로 역 바이어스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D6, D10(6100)를 사용하였다.
또한 부저의 +극성을 도 9에 의해 전원 및 무음모드 전환부(7000)로 제어가 가능하도록 하여 무음모드가 가능하도록 하였다.
도 9에 의해 전원 및 무음모드 전환부(7000)는 전원OFF, 전원ON 및 신호음출력, 전원ON 및 무음모드가 가능하도록 스위치의 접점을 활용하였다. 따라서 무음모드에서도 도 5에 의해 정밀 검파부의 LED(3300)와 도 7에 의해 전화 도,감청 감지 회로부의 LED(5200)를 통해 출력되기 때문에 무음모드에서도 탐색이 가능하도록 하였으며 LED(3300)와 LED(5200)는 각기 다른 색의 LED를 사용하였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유·무선 도.감청 및 몰래카메라 탐지기는 광범위한 주파수 대역(100MHz∼3GHz)에서 광대역 검파부(1000)와 검파신호 HIGH/LOW증폭부(2000), 정밀검파부(3000), 전화 도.감청 감지회로부(5000), 가청주파수 출력 제어부(6000)를 두어 의료장비, 통신기기, 컴퓨터 등에서 발생하는 전자파에 의한 오동작을 방지하고 도.감청 및 몰래카메라나 전화 도.감청장치들을 감지하여 이런 장비들의 설치 유,무를 정확한 위치까지 탐지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Claims (2)

  1. 안테나로부터 도.감청 장치 및 몰래 카메라가 발생하는 전파를 수신하는 도 3에 의해 광대역검파부(1000) ; 도 3에 의해광대역검파부 (1000)를 통해 무선 전파를 직류의 형태로 변환된 전압을 HIGH와 LOW의 두회로로 분리하여 주변 전파강도가 높은 곳에서는 LOW의 증폭부를 낮은 곳에서는 HIGH의 증폭부를, 또한 도.감청 장치 및 몰래 카메라 감지시에는 HIGH에서 LOW로 전환하여 위치를 찾아낼 수 있는 도 4에 의해 검파신호 HIGH/LOW증폭부 (2000) ; 도 4에 의해 검파신호 HIGH/LOW증폭부 (2000)를 통해 증폭된 전압을 OP AMP의 비교기로 구성하여 주변의 모든 전파 강도를 사용자가 VR1을 가변하여 0으로 하여 탐색을 하게 하여 오동작등에 의한 영향을 없에주며 도.감청 장치 및 몰래 카메라의 정확한 위치를 찾을 수 있도록 해주는 도 5에 의한 정밀 검파부(3000) ;
  2. 전화 라인상으로부터 도 7에 의해 전화 도,감청 감지회로부(5000)가 전화 라인상에 설치되는 도청기 및 녹음기, 브리지된 전화기 및 이를 설치하기 위해 전화라인이 단선되는 경우 이를 감지하여 경보하는 회로이며. J2와 J1에 국선전화선 및 내선전화선(전화기에 연결하는 전화선)을 연결하도록 하였고 국선전화선 입력단자인 J2에 도 3에 의해 광대역 검파부의 안테나 선을 J2 1PIN에 삽입하여 로드 안테나의 기능 및 라인상의 도청기 송신신호를 도 3의 광대역검파부(1000), 도 4의 검파신호 HIGH/LOW증폭부(2000), 도 5의 정밀 검파부(3000), 도 6의 발진신호출력부(4000) 및 도 8의 가청주파수 출력 제어부(6000)에 의해 위에서 감지하게 된다. 또한 일반 안테나를 연결하지 않더라도 국선전화선만 연결하여도 로드 안테나의 기능을 하기 때문에 휴대가 편하다.
    전화라인에 유입되는 전압은 평소 DC40V, 사용중일 때 DC5V의 직류전압을 사용하기 때문에 D2, D3, D4, D5(5500)의 브리지 다이오드를 사용하여 입력 극성이 바뀌어도 원하고자 하는 +극성을 출력하게 하기 위해 사용하였으며 전화라인상의 +전압은 이 브리지 다이오드(5500)을 통해 가변저항 VR2(5400)에 입력되어 VR2의 조정으로 전압을 가변하여 OP AMP의 6PIN으로 입력되게 된다.
    도 5에 의해 정밀 검파부(3000)에서 언급하였듯이 OP AMP를 비교기로 구성하였다. 도 5에 의해 정밀 검파부(3000)의 비교기와 다른점은 OP AMP의 +입력인 5PIN을 R7과 R13에 의해 기준전압을 잡아 주었고 -입력인 6PIN에 전압을 인가하는 방식으로 이때는 일반전압이 어느 일정 레벨 이하가 되면 감지하는 회로로 구성하여 레벨값은 가변저항(5400)으로 가변 설정하게 된다. 6PIN으로 입력받아 5PIN에서 레벨값을 설정하게 되고 7PIN으로 출력하게 된다. 또한 6PIN에는 바이패스 콘덴서(3200)를 삽입하였다.
    도 5에 의해 정밀 검파부(3000)에서 언급하였듯이 약간의 여유와 온도 상승시의 용량의 감소 (부온도 계수), 콘덴서의 오차등을 감안하여 용량을 결정 하여 사용하였다.
    VR2(5400)을 사용하여 가변을 하는 이유는 최초 탐지기를 전화라인에 설치하고 사용자가 VR2(5400)를 이용하여 사용자의 환경여건에 맞게 설정하기 위해서 이다. 환경여건이라 함은 각 지역의 전화국 중계기에서 출력하는 전압이 약간의 변동이 있으며 전화국과의 거리에 따라 전송선로상의 손실이 발생될 수 있기 때문에 사용자 마다 전화라인상의 전압이 각기 다르게 된다. 이 때문에 VR2(5400)을 사용하여 가변할 수 있게 하여 OP AMP +입력인 5PIN을 R7과 R13에 의해 결정된 기준전압보다 약간 높게 설정하고 탐지기를 고정시켜두게 되면 도청기 및 녹음기, 브리지된 전화기가 설치되면 각 장치들의 내부 저항에 의해 VR2(5400)에 의해 설정된 값 이하로 인가되는 전압이 떨어지게 된다. 또한 이를 설정하기 위해 전화라인이 단선되는 경우 VR2(5400)에 의해 -전압이 OP AMP의 -입력인 6PIN으로 인가되기 때문에 이때도 출력신호를 내보내게 되는 것이다.
    또한 무음모드의 전환(도 9에 의해 전원 및 무음모드 전환부(7000))이 가능 하기 때문에 LED(5200)를 내장하여 부저음 없이도 LED의 ON/OFF로 탐색이 가능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무선 도,감청 및 몰래 카메라 탐지기.
KR1020010065198A 2001-10-22 2001-10-22 유·무선 도.감청 및 몰래카메라 탐지기 KR20030033428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10065198A KR20030033428A (ko) 2001-10-22 2001-10-22 유·무선 도.감청 및 몰래카메라 탐지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10065198A KR20030033428A (ko) 2001-10-22 2001-10-22 유·무선 도.감청 및 몰래카메라 탐지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0033428A true KR20030033428A (ko) 2003-05-01

Family

ID=2956583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10065198A KR20030033428A (ko) 2001-10-22 2001-10-22 유·무선 도.감청 및 몰래카메라 탐지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30033428A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05109298A1 (en) * 2004-05-06 2005-11-17 Tae-Hi Nam Device for analyzing radio waves and method thereof
KR100716589B1 (ko) * 2005-06-24 2007-05-09 손호원 휴대가능한 도청 탐지장치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063272A (ja) * 1996-08-26 1998-03-06 Oki Electric Ind Co Ltd 盗聴防止装置
JP2000075045A (ja) * 1998-09-02 2000-03-14 Secom Co Ltd 盗聴器探索装置及び盗聴器探索システム
KR200183820Y1 (ko) * 1999-12-13 2000-06-01 신광미디어주식회사 몰래카메라 및 도청기 탐지기
KR20010026373A (ko) * 1999-09-06 2001-04-06 윤종용 몰래 카메라 감식 장치
JP2001141806A (ja) * 1999-11-09 2001-05-25 Yoshimitsu Suda 盗聴器等の発見装置
KR20010070537A (ko) * 2001-03-12 2001-07-25 조광 몰래카메라 및 도청기 탐지기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063272A (ja) * 1996-08-26 1998-03-06 Oki Electric Ind Co Ltd 盗聴防止装置
JP2000075045A (ja) * 1998-09-02 2000-03-14 Secom Co Ltd 盗聴器探索装置及び盗聴器探索システム
KR20010026373A (ko) * 1999-09-06 2001-04-06 윤종용 몰래 카메라 감식 장치
JP2001141806A (ja) * 1999-11-09 2001-05-25 Yoshimitsu Suda 盗聴器等の発見装置
KR200183820Y1 (ko) * 1999-12-13 2000-06-01 신광미디어주식회사 몰래카메라 및 도청기 탐지기
KR20010070537A (ko) * 2001-03-12 2001-07-25 조광 몰래카메라 및 도청기 탐지기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05109298A1 (en) * 2004-05-06 2005-11-17 Tae-Hi Nam Device for analyzing radio waves and method thereof
KR100716589B1 (ko) * 2005-06-24 2007-05-09 손호원 휴대가능한 도청 탐지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020164975A1 (en) Wireless message infoming system
US20180180752A1 (en) Method and a system for locating a mobile telephone
KR20030033428A (ko) 유·무선 도.감청 및 몰래카메라 탐지기
KR100716589B1 (ko) 휴대가능한 도청 탐지장치
US5247704A (en) Burst mode transmitter/receiver unit
KR200250903Y1 (ko) 미니 도청, 감청 및 몰래카메라 탐색기
US20040203720A1 (en) Personal communication device with transmitted RF power strength indicator and warning system
US7102511B2 (en) Radio wave detection device
KR100833894B1 (ko) 시퀀스 제어를 통한 청각장애인용 인식 장치
WO2006092149A1 (en) Power supply unit with alarm device
Verma et al. Intelligent cell phone detector system at 4g bands of frequencies
Divya et al. Design of user specific intelligent cell phone jammer
KR0171282B1 (ko) 무선전화기의 유아 감시장치
KR20010078875A (ko) 위치추적 휴대용 도청, 감청 및 몰래카메라 탐색기
KR20000044464A (ko) 휴대폰 분실방지장치
KR20100073669A (ko) 핸드폰의 발신신호 감지 장치 및 이를 구비한 핸드폰 악세사리
KR200183730Y1 (ko) 착신 알림 기능을 갖는 셀룰러 폰 충전기
KR20000026148A (ko) 휴대 이동 통신기의 검출 및 통화 차단 방법
KR200242462Y1 (ko) 도청장치 및 몰래 카메라 탐지용 장치
JPH0669883A (ja) 携帯コードレス電話機の紛失警報器
KR200329397Y1 (ko) 몰래카메라 검출기능이 구비된 이동통신 단말기
KR20030017005A (ko) 이동통신 단말기에서의 도청 감지장치
KR20000020786A (ko) 휴대 이동 통신기의 검출 및 표시 방법
KR20010088494A (ko) 휴대폰을 이용한 몰래카메라 및 도청장치 탐지기 와 그 방법
KR200329429Y1 (ko) 핸드폰의 원격 착신감지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