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0016173A - 신발용 마찰장치와, 그에 관련된 마찰체 및 신발 바닥부 - Google Patents

신발용 마찰장치와, 그에 관련된 마찰체 및 신발 바닥부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0016173A
KR20030016173A KR1020020048549A KR20020048549A KR20030016173A KR 20030016173 A KR20030016173 A KR 20030016173A KR 1020020048549 A KR1020020048549 A KR 1020020048549A KR 20020048549 A KR20020048549 A KR 20020048549A KR 20030016173 A KR20030016173 A KR 2003001617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nnular
friction
protrusion
shoe
fitt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2004854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야스히로 이지리
Original Assignee
야스히로 이지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야스히로 이지리 filed Critical 야스히로 이지리
Publication of KR2003001617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0016173A/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3FOOTWEAR
    • A43CFASTENINGS OR ATTACHMENTS OF FOOTWEAR; LACES IN GENERAL
    • A43C15/00Non-skid devices or attachments
    • A43C15/16Studs or cleats for football or like boots
    • AHUMAN NECESSITIES
    • A43FOOTWEAR
    • A43CFASTENINGS OR ATTACHMENTS OF FOOTWEAR; LACES IN GENERAL
    • A43C15/00Non-skid devices or attachments
    • A43C15/16Studs or cleats for football or like boots
    • A43C15/161Studs or cleats for football or like boots characterised by the attachment to the sole

Landscapes

  • Footwear And Its Accessory, Manufacturing Method And Apparatuses (AREA)

Abstract

(과제) 모래 알갱이 등이 마찰체와 유지체 사이로 침입하는 것이 효과적으로 방지되고, 끼워 맞춤의 해제가 어려워지거나, 끼워 맞춤 해제조작에 의해 유지체나 마찰체를 손상시키거나, 무리한 조작에 의해 부상을 일으키는 것이 방지된다.
(해결수단) 합성 고무제 골프화 바닥 (S) 의 내주 가장자리에 내주측 환상 홈 (S1) 을 형성하고, 그 직경방향 외방으로 외주측 환상 홈 (S2) 을 형성하고, 양자간에 환상 패킹 돌출부 (S3) 를 형성한다. 마찰부 (14) 에서의 기반부 (14a) 의 하면에 내주측 환상 돌조 (R1) 를 형성하고, 외주 가장자리에 외주측 환상 돌조 (R2) 를 형성하고, 양자간을 환상 패킹면 (14b) 으로 한다. 마찰체 (16) 가 유지체 (10) 에 끼워 맞춤 유지된 상태에서, 내주측 환상 돌조 (R1) 및 외주측 환상 돌조 (R2) 가 각각 내주측 환상 홈 (S1) 및 외주측 환상 홈 (S2) 에 끼워 맞춤하고, 환상 패킹 돌출부 (S3) 가 환상 패킹면 (14b) 에 전체둘레에 걸쳐 밀착상태에서 탄성적으로 압접한다.

Description

신발용 마찰장치와, 그에 관련된 마찰체 및 신발 바닥부 {SLIPPING PREVENTION DEVICE FOR FOOTWEAR, AND ANTISLIP BODY AND FOOTWEAR BOTTOM PART RELATED TO THE SAME}
본 발명은 골프화 등과 같은 신발에 사용되는 미끄럼 방지체 등의 마찰체를, 신발 바닥부에 형성된 유지체에 의해 신발 바닥에 유지한 신발용 마찰장치, 특히 모래 알갱이 등이 마찰체와 유지체 사이로 침입하는 것을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는 신발용 마찰장치 및 그 신발용 마찰장치에 있어서의 마찰체 및 신발 바닥부에 관한 것이다.
신발용 마찰체의 일례인 골프화용 미끄럼 방지체로는 종래 금속제 또는 세라믹제의 스파이크가 사용되고 있었으나, 그린 등의 손상방지 또는 착용감 향상을 위해, 합성 수지제의 미끄럼 방지체가 사용되는 경우가 많아졌다. 이 같은 합성 수지제의 미끄럼 방지체는 금속제의 경우에 비해 마모되기 쉬워 미끄럼 방지체의 이면측에 금속제 또는 합성 수지제의 수나사부 등의 끼워 맞춤 돌출부를 돌출되게 형성하고, 이것과 나사식 끼워 맞춤 등에 의해 끼워 맞춤하는 금속제의 암나사부 등의 유지부를 구비한 유지체를 골프화의 바닥부에 형성하여 미끄럼 방지체를 가급적 쉽게 착탈교환 가능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그런데, 유지체에 의해 미끄럼 방지체가 나사식 끼워 맞춤 등에 의해 끼워 맞춤 유지되어 있는 상태에서, 미끄럼 방지체와 유지체 사이, 특히 끼워 맞춤 돌출부와 유지부 사이로 미세한 돌 알갱이, 모래 알갱이, 흙 입자, 잔디, 진개 (塵芥) 등이 침입하면 그들의 나사식 끼워 맞춤 등의 끼워 맞춤의 해제가 어려워지거나, 끼워 맞춤 해제조작에 의해 유지체나 마찰체를 손상시키거나, 무리한 조작에 의해 부상을 일으킬 우려가 있다.
본 발명은 종래기술의 상기 과제를 감안하여 이루어진 것으로, 그 목적은 모래 알갱이 등이 마찰체와 유지체 사이로 침입하는 것이 효과적으로 방지되고, 끼워 맞춤의 해제가 어려워지거나, 끼워 맞춤 해제조작에 의해 유지체나 마찰체를 손상시키거나, 무리한 조작에 의해 부상을 일으키는 것이 방지되는 신발용 마찰장치 및 그 신발용 마찰장치에 있어서의 마찰체를 제공하는 데 있다.
도 1 은 유지체에 마찰체를 끼워 맞춤 유지시키는 상태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2 는 골프화 바닥에 형성된 유지체에 마찰체가 끼워 맞춤하고, 마찰체의 삽입부에 끼워 맞춤 해제구의 삽입체를 삽입하는 상태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3 은 마찰체의 평면도이다.
도 4 는 마찰체의 측면도이다.
도 5 는 마찰체의 사시도이다.
도 6 은 마찰체의 바닥면측과 골프화의 뒤꿈치부에 고정된 유지체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 유지체10a: 유지체측 끼워 맞춤부
10b: 외방 돌출부10c: 대략 평판형상부
10d: 원추 사다리꼴 형상 내주면부10e: 돌출부
10f: 환상 벽부12: 끼워 맞춤체
12a: 마찰체측 끼워 맞춤부12b: 지지편
12b1: 상반부 외주면12c: 빠짐방지편
12c1: 오목부12c2: 하단 외측면
12s: 측방 돌출부14: 마찰부
14a: 기반부14b: 환상 패킹면
16: 마찰체22: 직경방향 돌출부
22a: 돌기방향면22b: 완충 홈
24: 중간높이 돌출부24a: 완충 오목부
28: 삽입부30: 폐색부
30a: 랜스가공부31: 끼워 맞춤 해제구
32: 삽입체R1: 내주측 환상 돌조
R2: 외주측 환상 돌조S: 골프화 바닥
S1: 내주측 환상 홈S2: 외주측 환상 홈
S3: 환상 패킹 돌출부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수단
본 발명의 신발용 마찰장치는 신발 바닥부에 유지된 상태에서 사용됨으로써 신발 바닥부가 밟는 대상과 접촉하여 그 대상과의 사이에 마찰력을 발생시키는 마찰부와, 신발 바닥부에 형성된 유지체에 끼워 맞춤하여 착탈가능하게 유지되는 끼워 맞춤 돌출부를 갖고, 그 끼워 맞춤 돌출부는 신발 바닥부에 유지된 상태에서 상기 마찰부 중 신발 바닥면부 및/또는 유지체 표면부에 상대하는 이면측부 쪽에 형성되어 있고, 마찰부의 상기 이면측부 중 상기 끼워 맞춤 돌출부보다 외주측 부분에 환상 돌조 또는 환상 홈부, 및 환상 패킹부를 갖는 마찰체와,
신발 바닥면부 및/또는 유지체 표면부에 상기 환상 돌조 또는 환상 홈부에 대응하여 형성된 환상 홈부 또는 환상 돌조, 및 상기 환상 패킹부에 대응하여 형성된 환상 패킹부를 구비하여 이루어지고,
상기 양 환상 패킹부는 일방 또는 양방이 탄력성을 갖는 재료로 이루어지는 것이고,
끼워 맞춤 돌출부가 유지체에 끼워 맞춤 유지되고 마찰체가 신발 바닥부에 유지된 상태에서, 상기 환상 돌조가 상기 환상 홈부에 끼워 맞춤함과 동시에, 상기 양 환상 패킹부가 전체둘레에 걸쳐 밀착상태에서 탄성적으로 압접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마찰체는 신발 바닥부에 유지된 상태에서 사용됨으로써 신발 바닥부가 밟는 대상과 접촉하여 그 대상과의 사이에 마찰력을 발생시키는 마찰부와,
신발 바닥부에 형성된 유지체에 끼워 맞춤하여 착탈가능하게 유지되는 끼워 맞춤 돌출부를 갖고, 그 끼워 맞춤 돌출부는 신발 바닥부에 유지된 상태에서 상기 마찰부 중 신발 바닥면부 및/또는 유지체 표면부에 상대하는 이면측부 쪽에 형성되어 있고,
마찰부의 상기 이면측부 중 상기 끼워 맞춤 돌출부보다 외주측 부분에 환상 돌조 또는 환상 홈부, 및 환상 패킹부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신발 바닥부는 신발 바닥부에 유지된 상태에서 사용됨으로써 신발 바닥부가 밟는 대상과 접촉하여 그 대상과의 사이에 마찰력을 발생시키는 마찰부와 끼워 맞춤 돌출부를 갖는 마찰체에 있어서의 그 끼워 맞춤 돌출부를 끼워 맞춤 유지하기 위한 유지체가 형성되어 이루어지는 신발 바닥부로서,
그 신발 바닥부에서의 상기 유지체를 중심으로 하는 신발 바닥면부 및/또는 유지체 표면부에, 환상 홈부 또는 환상 돌조, 및 환상 패킹부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유지체에 의해 마찰체가 끼워 맞춤 유지되어 있는 상태에서, 마찰체와 유지체 사이, 특히 끼워 맞춤 돌출부와 유지체 사이로, 미세한 돌 알갱이, 모래 알갱이, 흙 입자, 잔디, 진개 등이 침입하면 그들의 끼워 맞춤의 해제가 어려워지거나, 끼워 맞춤 해제조작에 의해 유지체나 마찰체를 손상시키거나, 무리한 조작에 의해부상을 일으킬 우려가 있다.
상기 신발용 마찰장치, 마찰체, 및 신발 바닥부의 경우, 마찰체에 있어서의 마찰부의 이면측부에, 환상 돌조 또는 환상 홈부, 및 환상 패킹부가, 일방이 타방의 내주측에 위치하도록 형성되고, 그것들에 대응하여 신발 바닥면부 및/또는 유지체 표면부 (신발 바닥부) 에, 환상 홈부 또는 환상 돌조, 및 환상 패킹부가 형성되고, 끼워 맞춤 돌출부가 유지체에 끼워 맞춤 유지되고 마찰체가 신발 바닥부에 유지된 상태에서, 상기 환상 돌조가 상기 환상 홈부에 끼워 맞춤함과 동시에, 상기 양 환상 패킹부가 전체둘레에 걸쳐 밀착상태에서 탄성적으로 압접한다. 즉, 마찰체에 환상 돌조를 갖는 경우에는 신발 바닥부에 환상 홈부를 갖고, 마찰체에 환상 홈부를 갖는 경우에는 신발 바닥부에 환상 돌조를 갖는다.
신발이 사용되는 상태, 즉 신발 바닥부에 형성된 유지체에 마찰체의 끼워 맞춤 돌출부가 끼워 맞춤 유지되며 지면을 밟는 상태에서, 상기 마찰체 및 신발 바닥부의 일방의 환상 돌조가 타방의 환상 홈부에 끼워 맞춤하고, 그 내주측 또는 외주측에서, 상기 마찰체의 환상 패킹부가 신발 바닥부의 환상 패킹부에 전체둘레에 걸쳐 밀착상태에서 탄성적으로 압접하고 있다.
이 같이, 환상 돌조와 환상 홈부의 끼워 맞춤구조와, 양 환상 패킹부의 전체둘레에 걸친 밀착상태에서의 탄성적 압접에 의한 밀봉구조와의 이중 차폐구조에 의해, 신발의 사용상태에 있어서 마찰체나 신발 바닥부의 각 부위에 발생될 수 있는 변형에도 불구하고, 모래 알갱이 등의 침입물이 마찰체와 유지체 사이의 내방으로 침입하는 것이 효과적으로 방지된다. 상기 양 환상 패킹부의 전체둘레에 걸친밀착상태에서의 탄성적 압접에 의한 밀봉구조는 어느 정도의 치수오차를 흡수하면서 침입물의 침입을 방지하는 효과도 발휘할 수 있다.
상기 마찰체는 환상 돌조 또는 환상 홈부를 환상 패킹부의 외주측 (바람직하게는 마찰부의 외주 가장자리) 에 갖는 것으로 할 수 있다. 이 경우, 마찰체의 환상 돌조 또는 환상 홈부에 대응하는 환상 홈부 또는 환상 돌조를 환상 패킹부의 외주측에 갖게 된다. 또 마찰체의 환상 돌조 또는 환상 홈부를 환상 패킹부의 내주측에 갖는 것으로 할 수도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신발용 마찰장치는 상기 마찰체가 환상 패킹부의 외주측 및 내주측에, 각각 외주측의 환상 돌조 또는 환상 홈부 및 내주측의 환상 돌조 또는 환상 홈부를 갖고, 그들의 환상 돌조 또는 환상 홈부에 대응하여 상기 신발 바닥면부 및/또는 유지체 표면부에 있어서의 환상 패킹부의 외주측 및 내주측에 각각 외주측의 환상 홈부 또는 환상 돌조 및 내주측의 환상 홈부 또는 환상 돌조를 갖고, 끼워 맞춤 돌출부가 유지체에 끼워 맞춤 유지되고 마찰체가 신발 바닥부에 유지된 상태에서, 상기 각 환상 돌조가 상기 각 환상 홈부에 끼워 맞춤함과 동시에, 상기 양 환상 패킹부가 전체둘레에 걸쳐 밀착상태에서 탄성적으로 압접하는 것으로 할 수 있다.
이 경우의 마찰체는 환상 패킹부의 외주측 및 내주측에, 각각 외주측의 환상 돌조 또는 환상 홈부 및 내주측의 환상 돌조 또는 환상 홈부를 갖는다. 또한 신발 바닥부는 그들의 환상 돌조 또는 환상 홈부에 대응하여 상기 신발 바닥면부 및/또는 유지체 표면부에 있어서의 환상 패킹부의 외주측 및 내주측에 각각 외주측의 환상 홈부 또는 환상 돌조 및 내주측의 환상 홈부 또는 환상 돌조를 갖는다.
이 같은 신발용 마찰장치, 마찰체, 및 신발 바닥부의 경우, 마찰체에 있어서의 마찰부의 이면측부에, 환상 패킹부가 형성되고, 그 외주측 및 내주측에 각각 외주측의 환상 돌조 또는 환상 홈부 및 내주측의 환상 돌조 또는 환상 홈부가 형성되고, 그들에 대응하여 신발 바닥면부 및/또는 유지체 표면부 (신발 바닥부) 에, 환상 패킹부, 그리고 그 외주측 및 내주측에 각각 외주측의 환상 홈부 또는 환상 돌조 및 내주측의 환상 홈부 또는 환상 돌조가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끼워 맞춤 돌출부가 유지체에 끼워 맞춤 유지되고 마찰체가 신발 바닥부에 유지된 상태에서, 상기 각 환상 돌조가 상기 각 환상 홈부에 끼워 맞춤함과 동시에, 상기 양 환상 패킹부가 전체둘레에 걸쳐 밀착상태에서 탄성적으로 압접한다. 즉, 마찰체에 있어서의 대응위치에 환상 돌조를 갖는 경우에는 신발 바닥부에 환상 홈부를 갖고, 마찰체에 있어서의 대응위치에 환상 홈부를 갖는 경우에는 신발 바닥부에 환상 돌조를 갖는다.
또한, 본 발명의 신발용 마찰장치는 상기 마찰체의 마찰부의 이면측부 중, 외주 가장자리에 외주측의 환상 돌조를 갖고, 그 환상 돌조의 내방에 간격을 두고 내주측의 환상 돌조를 갖고, 양 환상 돌조 사이의 환상 부분이 환상 패킹면에 형성되어 있고,
탄력성을 갖는 재료로 이루어지는 신발 바닥면부에, 상기 환상 패킹면에 대응하여 형성된 환상 패킹 돌출부와, 상기 외주측의 환상 돌조에 대응하여 형성된 외주측의 환상 홈부를 갖고,
상기 내주측의 환상 돌조에 대응하여 신발 바닥면부 및/또는 유지체 표면부에 내주측의 환상 홈부를 갖고,
상기 마찰체의 끼워 맞춤 돌출부가 유지체에 끼워 맞춤 유지되어 그 마찰체가 신발 바닥부에 유지된 상태에서, 상기 양 환상 돌조가 각각 상기 양 환상 홈부에 끼워 맞춤함과 동시에, 거의 마찰체의 끼워 맞춤 돌출부가 유지체에 끼워 맞춤하는 방향에 있어서, 상기 환상 패킹면이 상기 환상 패킹 돌출부에 전체둘레에 걸쳐 밀착상태에서 탄성적으로 압접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신발이 사용되는 상태, 즉 신발 바닥부에 형성된 유지체에 마찰체의 끼워 맞춤 돌출부가 끼워 맞춤 유지되며 지면을 밟는 상태에서, 상기 마찰체의 환상 패킹부가 신발 바닥부의 환상 패킹부에 전체둘레에 걸쳐 밀착상태에서 탄성적으로 압접하고, 그 외주측 및 내주측에 있어서, 각각 상기 마찰체 및 신발 바닥부의 일방의 환상 돌조가 타방의 환상 홈부에 끼워 맞춤하고 있다.
이 같이, 외주측 및 내주측의 각각에서의 환상 돌조와 환상 홈부의 끼워 맞춤구조와, 그 양자간에서의 양 환상 패킹부의 전체둘레에 걸친 밀착상태에서의 탄성적 압접에 의한 밀봉구조와의 삼중 차폐구조에 의해, 신발의 사용상태에 있어서 마찰체나 신발 바닥부의 각 부위에 발생될 수 있는 변형에도 불구하고, 모래 알갱이 등의 침입물이 마찰체와 유지체 사이의 내방으로 침입하는 것이 매우 효과적으로 방지된다. 상기 양 환상 패킹부의 전체둘레에 걸친 밀착상태에서의 탄성적 압접에 의한 밀봉구조는 어느 정도의 치수오차를 흡수하면서 침입물의 침입을 방지하는 효과도 발휘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신발용 마찰장치는 신발 바닥부에 형성된 유지체에 유지된 상태에서 사용되는 본 발명의 마찰체와, 신발 바닥면부 및/또는 유지체 표면부에 형성된 환상 홈부 또는 환상 돌조, 및 환상 패킹부를 구비하여 이루어진다.
본 발명의 대상이 되는 신발로는 골프용 신발 바닥 등의 운동용 신발, 일반적인 단화 및 장화, 샌들 등을 예시할 수 있고, 특별히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신발 바닥부란 그같은 신발의 바닥부로서, 그 재료로는 합성 고무나 합성 수지를 예시할 수 있다. 또 신발 바닥부를 신발 이외의 물품에 있어서의 지면, 노면, 마룻바닥면 (床面) 등과의 마찰을 요하는 부분으로 치환할 수도 있다.
마찰체는 신발 바닥부가 밟는 대상과 접촉하여 그 대상과의 사이에 마찰력을 발생시키는 마찰부와, 신발 바닥부에 형성된 유지체에 끼워 맞춤하여 착탈가능하게 유지되는 끼워 맞춤 돌출부를 구비하여 이루어진다. 끼워 맞춤 돌출부는 신발 바닥부에 유지된 상태에서 상기 마찰부 중 신발 바닥면부 또는 유지체 표면부에 상대하는 이면측부 쪽에 형성된다.
마찰체는 합성 수지 (예컨대 66 나일론 수지 등의 나일론 수지, 폴리우레탄 수지, 폴리프로필렌 수지, 아크릴로니트릴-부타디엔-스티렌 공중합 수지 등을 적절히 채용할 수 있다. 예컨대 강도 및 강성을 어느 정도 필요로 하는 부분에 66 나일론 수지 등의 나일론 수지, 탄력성 또는 유연성을 어느 정도 필요로 하는 부분에 폴리우레탄 수지 등을 사용할 수 있다.), 금속, 세라믹스, 또는 이들의 조합 등에 의해 적절히 형성할 수 있다.
마찰부는 합성 수지, 합성 고무, 금속, 세라믹스 등, 또는 이들의 조합 등에의해 적절히 형성할 수 있고, 전체적으로 어느 정도의 탄성을 갖는 것으로 할 수 있다. 마찰부와 통상의 마찰대상 (예컨대 흙, 자갈, 돌, 바위 또는 식물 등으로 이루어지는 지면, 콘크리트, 아스팔트 또는 석재 등으로 이루어지는 도로면, 콘크리트, 합성 수지, 석재 또는 목재 등으로 이루어지는 마룻바닥면, 설면, 빙면 등) 과의 사이에 작용하는 마찰력은 신발 바닥과 통상의 마찰대상과의 사이에 작용하는 마찰력보다 큰 것으로 할 수 있다.
마찰부는 예컨대 기반부와, 사용시에 그 기반부에서 대상으로 향하는 방향인 높이방향으로 돌기하는 복수의 돌기부를 구비하여 이루어지는 것으로 할 수 있다. 또한 예컨대 마찰대상과 접촉하는 부분이 평탄면 또는 미세한 요철을 전체면 또는 일부에 갖는 면인 것, 마찰대상과 접촉하는 측 (예컨대 신발 바닥부의 바닥면측) 으로 돌출하는 소돌기군, 돌조군, 직선방사상으로 배치된 돌조, 나선방사상으로 배치된 돌조 등의 돌기부를 갖는 것 등을 들 수 있다. 마찰부의 전체형상으로는 예컨대 돌기부를 구비한 대략 판상체, 바람직하게는 대략 원판상체 등으로 할 수 있다.
끼워 맞춤 돌출부는 예컨대 마찰부의 이면측에 금속 또는 합성 수지 등의 재료로 이루어지는 끼워 맞춤 돌출부를 돌출되게 형성하여 이루어지는 것으로 할 수 있다. 이 같은 끼워 맞춤 돌출부의 예로는 외주부에 수나사부가 형성되고, 신발 바닥부에 형성된 유지체에 있어서의 암나사부를 갖는 유지구멍에 나사식 끼워 맞춤 유지되는 것 이외에, 나사 이외의 끼워 맞춤 유지기구를 구비한 끼워 맞춤 돌출부 (끼워 맞춤 돌출부와, 신발 바닥부에 형성된 유지체에, 나사 이외의 회전운동에 의한 또는 회전운동에 의하지 않는 끼워 맞춤 유지기구를 형성한 경우) 를 들 수 있다. 마찰체는 신발 바닥부에 1 또는 2 이상 유지시켜 사용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신발 바닥부에 형성된 유지체는 합성 수지, 금속, 세라믹스, 또는 이들의 조합 등에 의해 형성할 수 있다. 이 같은 유지체는 예컨대 합성 고무나 합성 수지 등으로 이루어지는 신발 바닥 (예컨대 신발 바닥, 특히 골프용 신발 바닥 등의 운동용 신발 바닥 등) 에 매설고정된 상태에서 사용할 수 있는 것 이외에, 그 같은 신발 바닥에 일체성형에 의해 형성하거나, 신발 바닥의 기반부에 일체성형에 의해 형성하여 신발 바닥의 바닥면에 노출하는 상태에서 사용할 수도 있다.
마찰부는 그 이면측부 중 끼워 맞춤 돌출부보다 외주측 부분에 환상 돌조 또는 환상 홈부, 및 환상 패킹부를 (바람직하게는 동심상으로), 또는 환상 패킹부의 외주측 및 내주측에, 각각 외주측의 환상 돌조 또는 환상 홈부 및 내주측의 환상 돌조 또는 환상 홈부를 (바람직하게는 동심상으로) 갖는다. 또한 신발 바닥면부 및/또는 유지체 표면부에, 상기 각 환상 돌조 또는 환상 홈부에 대응하여 형성된 환상 홈부 또는 환상 돌조, 및 상기 환상 패킹부에 대응하여 형성된 환상 패킹부를 갖는다. 마찰부, 및 신발 바닥면부 및/또는 유지체 표면부는 추가로 서로 대응하는 1 또는 2 이상의 환상 돌조 또는 환상 홈부, 또는 1 또는 2 이상의 환상 패킹부를 (바람직하게는 동심상으로) 갖는 것일 수도 있다.
각 환상 돌조와 그것에 대응하는 각 환상 홈부의 단면형상은 예컨대 끼워 맞춤 돌출부가 유지체에 끼워 맞춤 유지되고 마찰체가 신발 바닥부에 유지된 상태에서, 거의 틈새없이 끼워 맞춤하는 것으로 할 수 있는 것 이외에, 적어도 환상 돌조의 기부가 환상 홈부의 개구 가장자리에 거의 틈새없이 접촉하는 (바람직하게는 압접하는) 것 (예컨대 환상 돌조가 마찰부의 이면측으로 끝이 가는 모양을 이루는 삼각형상 단면이고, 환상 홈부가 사각형상 단면으로서, 환상 돌조의 기부가 환상 홈부의 개구 가장자리와 접촉하는 것) 으로 할 수 있다.
각 환상 돌조는 예컨대 대략 마찰체의 끼워 맞춤 돌출부가 유지체에 끼워 맞춤하는 방향으로 끝이 가는 모양을 이루는 삼각형상 단면 등의 일정 단면형상을 이루는 것으로 할 수 있다. 환상 돌조를 2 이상 갖는 경우의 각 환상 돌조의 높이나 형상은 동일해도 되고 동일하지 않아도 되며, 예컨대 외주측의 환상 돌조를 높게 할 수 있다. 또한 외주측과 내주측에 환상 돌조를 갖는 경우의 양자 사이는 예컨대 높지 않은 어느 한쪽의 환상 돌조의 높이 (낮은 쪽의 높이 또는 동일 높이인 경우의 그 높이) 의 0.7 내지 3배 정도, 바람직하게는 1 내지 2배 정도의 직경방향 거리를 사이에 두는 것으로 할 수 있다.
마찰부의 환상 패킹부와, 신발 바닥면부 및/또는 유지체 표면부의 환상 패킹부는 일방 또는 양방이 탄력성을 갖는 재료 (예컨대 합성 고무계 재료) 로 이루어지는 것이고, 그들의 형상은 예컨대 일방이 환상 패킹 돌출부이고 타방이 환상 패킹면인 것으로 할 수 있는 것 이외에, 양방이 예컨대 단면이 사다리꼴 형상인 환상 패킹 돌출부인 것이나, 일방이 환상 패킹 돌출부이고 타방이 환상 패킹 오목부인 것으로 할 수도 있다. 어느 경우든, 끼워 맞춤 돌출부가 유지체에 끼워 맞춤 유지되고 상기 마찰체가 신발 바닥부에 유지된 상태에서, 대략 마찰체의 끼워 맞춤돌출부가 유지체에 끼워 맞춤하는 방향에 있어서, 양 환상 패킹부가 전체둘레에 걸쳐 밀착상태에서 탄성적으로 압접하는 것이다.
각 환상 패킹부는 마찰체, 및 신발 바닥면부 및/또는 유지체 표면부에 각각 일체적으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러한 의미에서, 탄력성을 갖는 재료로 이루어지는 환상 패킹부 (특히 환상 패킹 돌출부) 는 합성 고무계 재료로 이루어지는 신발 바닥부에 일체적으로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환상 패킹 돌출부는 대략 마찰체의 끼워 맞춤 돌출부가 유지체에 끼워 맞춤하는 방향에 있어서, 종단면 형상의 횡폭이 기부측에서 끝단부로 향해 점차 좁아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경우, 환상 패킹 돌출부의 종단면 형상의 횡폭이 기부측에서 끝단부로 향해 점차 좁아져 있으므로, 환상 패킹 돌출부의 끝단부측이 기부측으로 향해 압축변형되기 쉽다. 따라서, 환상 패킹 돌출부와 타방의 환상 패킹부 (예컨대 환상 패킹면) 의 전체둘레에 걸친 탄성적 압접에 의한 밀봉효과가 향상된다.
또 신발 바닥면부 및/또는 유지체 표면부에 갖는 환상 홈부 또는 환상 돌조, 그리고 신발 바닥면부 및/또는 유지체 표면부에 갖는 환상 패킹부는 각각 신발 바닥면부와 유지체 표면부 중 어느 일방에 형성된 환상 홈부 또는 환상 돌조, 그리고 환상 패킹부와, 신발 바닥면부와 유지체 표면부의 양자에 걸쳐 (예컨대 양자의 경계부에) 형성된 환상 홈부 또는 환상 돌조, 그리고 환상 패킹부를 포함한다.
상기 각 환상 돌조, 각 환상 홈부, 및 각 환상 패킹부는 모두 동심상의 원환상을 이루는 것, 특히 유지체에 의해 마찰체가 끼워 맞춤 유지된 상태에서의 끼워맞춤 돌출부의 축선을 중심으로 한 원환상을 이루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경우, 끼워 맞춤 돌출부의 축선을 중심으로 하여 마찰체가 회전운동할 수 있는 경우나, 마찰체의 끼워 맞춤 돌출부와 신발 바닥부에 형성한 유지체를 나사 구조나 나사 이외의 구조의 회전운동에 의한 끼워 맞춤 유지기구 (예컨대 마찰체의 일방으로의 회전운동에 의해 끼워 맞춤을 유지하고, 마찰체의 타방으로의 회전운동에 의해 끼워 맞춤을 해제하는 것.) 에 의해 끼워 맞춤착탈가능하게 한 경우에, 환상 돌조와 환상 홈부의 끼워 맞춤 및 양 환상 패킹부의 전체둘레에 걸친 밀착상태에서의 탄성적 압접의 실현 및 유지에 매우 적합하기 때문이다.
외주측의 환상 돌조는 마찰부의 외주 가장자리에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경우, 유지체에 의해 마찰체가 끼워 맞춤 유지된 상태에서, 마찰부의 외주 가장자리에 있어서 환상 돌조와 환상 홈부가 끼워 맞춤하므로, 마찰부와 신발 바닥면부 및/또는 유지체 표면부 사이로의 침입물의 침입을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다. 이 경우의 외주측의 환상 돌조는 외주면이 원통면상을 이루고 내주면이 경사면을 이루고 마찰부의 이면측으로 끝이 가는 모양을 이루는 삼각형상 단면의 일정 단면형상을 이루는 것으로 할 수 있다. 그럼으로써, 외주측의 환상 돌조와 환상 홈부가 끼워 맞춤한 상태에서 마찰부와 신발 바닥면부 및/또는 유지체 표면부 사이로의 침입물의 침입을 보다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마찰체의 끼워 맞춤 돌출부와 신발 바닥부에 형성된 유지체를 나사 구조나 나사 이외의 구조의 회전운동에 의한 끼워 맞춤 유지기구에 의해 끼워 맞춤착탈가능하게 한 경우, 끼워 맞춤 유지상태에서, 마찰부의 환상 패킹부와, 신발 바닥면부 및/또는 유지체 표면부의 환상 패킹부가 전체둘레에 걸쳐 밀착상태에서 탄성적으로 압접한 상태가 되어 마찰체의 회전운동에 대한 저항력을 발생한다. 따라서, 끼워 맞춤 유지상태의 마찰체가 자연적으로 느슨해져 해제되는 것이 방지된다.
발명의 실시형태
본 발명의 실시형태를 도면을 참조하면서 설명한다.
도 1 내지 도 6 은 모두 본 발명의 신발용 마찰장치, 마찰체 및 신발 바닥부의 실시형태의 일례로서의 골프화용 신발용 마찰장치, 마찰체 및 신발 바닥부에 관한 것이다. 단, 다른 각종 운동화 및 그 밖의 신발에도 사용할 수 있다.
도 1 은 골프화 바닥에 형성된 유지체에 마찰체를 끼워 맞춤 유지시키는 상태를 나타내는 단면도이고, 도 2 는 골프화 바닥에 형성된 유지체에 마찰체가 끼워 맞춤하고, 마찰체의 삽입부에 끼워 맞춤 해제구의 삽입체를 삽입하는 상태를 나타내는 단면도이고, 도 3 은 마찰체의 평면도이고, 도 4 는 마찰체의 측면도이고, 도 5 는 마찰체의 사시도이고, 도 6 은 마찰체의 바닥면측과 골프화 바닥에 고정된 유지체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1 및 도 2 는 도 3 에서의 A-A선 단면에 대한 것이다.
이 신발용 마찰장치는 합성 고무제의 골프화 바닥 (S) 과 골프화 바닥 (S) 에 고정유지된 66 나일론 수지제의 유지체 (10) 와, 66 나일론 수지 (경질 합성 수지) 제의 끼워 맞춤체 (12) 와 폴리우레탄 수지 (비교적 연질의 합성 수지) 제의 마찰부 (14) 로 이루어지는 마찰체 (16) 로 이루어진다.
유지체 (10) 는 도 1 에서의 상반부의 내주측에 환상의 유지체측 끼워 맞춤부 (10a; 끼워 맞춤오목부) 가 형성되고, 외주측 상하중간위치에 외방 돌출부 (10b) 를 갖고, 대략 평판형상부 (10c) 에 의해 바닥부가 폐색되어 이루어진다.
유지체측 끼워 맞춤부 (10a) 는 상하방향의 축심선 주변에 회전대칭형상을 이룬다. 유지체측 끼워 맞춤부 (10a) 의 도 1 에서의 상부 대부분은 하방으로 향해 직경이 축소되는 원추 사다리꼴 형상 내주면부 (10d) 에 의해 구성되고, 그 하단부는 직경방향 내방으로 돌출된 환상의 빠짐방지 돌출부 (10e) 에 형성되어 있다. 그 빠짐방지 돌출부 (10e) 의 도 1 에서의 하측, 즉 유지체측 끼워 맞춤부 (10a) 의 하부는 전체둘레에 걸쳐 거의 직경방향 외방으로 직경이 확대되고, 환상 벽부 (10f) 에 의해 둘러 싸여 있다.
유지체 (10) 는 도 1 에서의 유지체측 끼워 맞춤부 (10a) 의 상단부가 노출하는 상태에서, 외방 돌출부 (10b) 보다 상방까지 매설됨으로써 골프화 바닥 (S) 에 고정되어 사용된다. 유지체 (10) 의 상단외주면은 원통면형상을 이루고, 그 외주측인 골프화 바닥 (S) 의 내주부에, 유지체 (10) 와 동심상을 이루는 상방이 개구된 사각형 단면의 원환상의 내주측 환상 홈 (S1) 이 형성되어 있다. 또한, 골프화 바닥 (S) 에서의 내주측 환상 홈 (S1) 보다 직경방향 외방으로, 그 내주측 환상 홈 (S1) 의 깊이의 1.5배 정도의 직경방향 간격을 두고 동심상으로, 상방이 개구된 대략 삼각형 단면의 원환상의 외주측 환상 홈 (S2) 이 형성되어 있다. 외주측 환상 홈 (S2) 은 외주면이 원통면 형상, 내주면이 상방을 향해 내방으로 경사지는 원추 사다리꼴 형상이고, 깊이는 내주측 환상 홈 (S1) 깊이의 약 2배이다.
골프화 바닥 (S) 의 일부로서 일체 성형된 내주측 환상 홈 (S1) 과 외주측 환상 홈 (S2) 사이의 환상 부분은 합성 고무제의 (탄력성을 갖는 재료로 이루어짐) 환상 패킹 돌출부 (S3) 이다. 환상 패킹 돌출부 (S3) 는 도 1 에 나타난 종단면 형상에 있어서, 상면이 직경방향 외방을 향해 상방향으로 경사짐으로써 횡폭이 기부 (도 1 에서의 하부) 측에서 끝단부 (도 1 에서의 상부) 로 향해 점차 좁아진 일정 종단면 형상의 원환상을 이루고, 내주측 환상 홈 (S1) 및 외주측 환상 홈 (S2) 과 동심상을 이룬다.
골프화 사용시에는 도 1 의 상하관계는 반대가 된다. 외방 돌출부 (10b) 는 유지체 (10) 가 신발 바닥에 매설고정된 경우의 신발 바닥으로부터의 이탈을 방지하는 기능을 한다.
또 유지체 (10) 는 가동부를 갖지 않으므로 전체적으로 내구성이 양호하고, 유지체 (10) 를 착탈할 수 없는 상태에서 골프화 바닥 (S) 에 고정된 골프화를 가급적 장기간에 걸쳐 사용할 수 있다. 또한 유지체 (10) 에 가동부를 갖지 않으므로, 내열성, 내압성, 내마모성 등의 물성이 우수한 재료를 적절히 선택하여 유지체 (10) 로 사용할 수 있다. 따라서, 골프화 바닥 (S) 을 구성하는 합성 수지 또는 합성 고무 등의 성형재료에 유지체 (10) 를 인서트하여 그것을 성형하는 데에 내열성 및 내압성이 우수한 재료를 선택할 수 있다.
마찰체 (16) 에서의 끼워 맞춤체 (12) 의 상단부에는 원판상의 측방 돌출부 (12s) 를 갖는다. 이 측방 돌출부 (12s) 를 포함하는 끼워 맞춤체 (12) 의 상단부를 폴리우레탄 수지 (비교적 연질의 합성 수지) 로 피복하도록 성형고화시켜대략 원판상의 마찰부 (14) 를 형성함으로써, 끼워 맞춤체 (12) 와 마찰부 (14) 가 일체화된 마찰체 (16) 를 구성하고 있다.
끼워 맞춤체 (12) 중 마찰부 (14) 에서 하방으로 돌출된 부분이 마찰체측 끼워 맞춤부 (12a; 끼워 맞춤 돌출부) 이다. 마찰체측 끼워 맞춤부 (12a) 는 한쌍의 지지편 (12b) 과, 그 지지편 (12b) 끼리의 사이에 있어서 수평방향의 간격을 사이에 두고 마주보는 한쌍의 빠짐방지편 (12c) 으로 이루어진다.
지지편 (12b) 의 상반부 외주면 (12b1) 은 하방으로 향해 직경이 축소되는 원추 사다리꼴 형상 외주면의 약 120도 중심각 부분에 상당하고, 하반부 외주면은 원통형상의 약 120도 중심각 부분에 상당한다. 유지체 (10) 에 있어서의 유지체측 끼워 맞춤부 (10a) 의 원추 사다리꼴 형상 내주면부 (10d) 및 마찰체 (16) 의 마찰체측 끼워 맞춤부 (12a) 에서의 유지체 (12b) 의 상반부 외주면 (12b1) 이 횡방향 지지기구 및 끼워 맞춤방향 지지기구를 구성한다.
빠짐방지편 (12c) 의 하단부에는 외방으로 개구한 대략 둘레방향의 홈형상을 이루는 빠짐방지오목부 (12c1) 가 형성되어 있다. 빠짐방지편 (12c) 의 하단외측면 (12c2) 은 상부 외방으로 향해 경사져 있다.
마찰부 (14) 는 대략 원판상을 이루는 기반부 (14a) 와, 사용시에 그 기반부 (14a) 에서 대상으로 향하는 방향인 높이방향으로 돌기하는 복수의 돌기부를 갖는다. 기반부 (14a) 의 상면은 중앙부를 향해 점차 상방으로 팽출한다.
기반부 (14a) 의 상면 중 직경방향에서의 외주 부근 부분 (예컨대 외주 부근의 4분의 3 내지 2분의 1 정도, 바람직하게는 3분의 2 정도) 에 있어서의 90도 중심각 마다, 합계 4개의 직경방향 돌출부 (22) 를 갖고, 각 직경방향돌출부 (22) 끼리의 사이를 둘레방향으로 이등분하는 위치에 합계 4개의 중간높이 돌출부 (24) 를 갖는다. 직경방향돌출부 (22) 및 중간높이 돌출부 (24) 는 폴리우레탄 수지 (비교적 탄성변형되기 쉬운 재료) 로 이루어진다.
각 직경방향 돌출부 (22) 는 서로 동일형상으로, 직경방향에서의 중심으로부터 반경의 3분의 1 정도의 위치에서 직경방향 외단위치에 걸친 것으로, 둘레방향 폭은 거의 일정하다. 각 직경방향 돌출부 (22) 에 있어서 사용시에 대상으로 향하는 면인 돌기방향면 (22a) 은 직경방향의 길이 (반경 길이의 3분의 2 정도) 가 둘레방향폭보다 길고, 둘레방향폭은 거의 일정하다. 직경방향 돌출부 (22) 의 직경방향 외방 끝단부는 기부에서 도 1 에서의 상방으로 향해 직경방향 외방으로 점차 돌출되어 있고, 그럼으로써 돌기방향면 (22a) 의 직경방향 외방 끝단부가 기반부 (14a) 보다 직경방향 외방으로 돌출되어 있다. 한편, 직경방향 돌출부 (22) 의 직경방향 내방 끝단부는 기부에서 상방으로 향해 약간 직경방향 외방으로 경사져 있다.
각 돌기방향면 (22a) 은 직경방향에 있어서 만곡한 오목 곡면 형상을 이루면서 직경방향 외방에서 직경방향 내방으로 향해 높이가 낮아지도록 경사져 있고, 또한 둘레방향에 있어서 만곡한 오목 곡면 형상을 이룬다. 또한, 각 직경방향 돌출부 (22) 의 직경방향 중앙위치에서의 둘레방향 양측에 걸쳐 (즉 둘레방향으로 가로지르도록), 그 직경방향 돌출부 (22) 의 돌기방향면 (22a) 에 개구하는 반원형상 단면의 완충 홈 (22b) 이 형성되어 있다.
각 중간높이 돌출부 (24) 는 각 직경방향 돌출부 (22) 에서의 완충 홈 (22b) 의 직경방향 위치와 대략 동일한 직경방향 위치에 형성되어 있다. 각 중간높이 돌출부 (24) 는 도 1 에서의 상방향으로 점차 직경이 축소되는 원추 사다리꼴 형상을 이루고, 그 상단부인 돌기방향 끝단부에, 돌기방향인 상방으로 개구하는 180도보다 작은 중심각 (바람직하게는 20 내지 160도 정도) 의 구면상의 완충오목부 (24a) 를 갖는다. 각 중간높이 돌출부 (24) 의 높이는 직경방향 돌출부 (22) 의 돌기방향면 (22a) 의 직경방향 외방 끝단부의 높이와 직경방향 내방 끝단부의 높이의 차이의 3할을 그 직경방향 내방 끝단면의 높이에 더한 정도의 높이이다.
마찰부 (14) 에서의 양 빠짐방지편 (12c) 의 직경방향 외측 위치에, 각각 상하방향의 구멍형상을 이루는 삽입부 (28) 가 형성되어 있다. 각 삽입부 (28) 는 하부가 개구하고, 상부는 폐색부 (30) 에 의해 폐색되어 있다. 폐색부 (30) 는 평면에서 봤을 때 사각형상을 이루는 얇은 두께이며, 중앙부에 상하관통하는 랜스가공부 (30a) 가 형성되어 있다.
마찰부 (14) 의 기반부 (14a) 의 하면에서의 마찰체측 끼워 맞춤부 (12a) 보다 외주측 부분에, 원환상의 내주측 환상 돌조 (R1) 를 갖고, 기반부 (14a) 의 외주 가장자리에 원환상의 외주측 환상 돌조 (R2) 가 형성되어 있다. 내주측 환상 돌조 (R1) 및 외주측 환상 돌조 (R2), 그리고 마찰부 (14) 의 이면측부에서의 내주측 환상 돌조 (R1) 와 외주측 환상 돌조 (R2) 사이의 원환상 평면인 환상 패킹면 (14b) 은 마찰체 (16) 의 마찰체측 끼워 맞춤부 (12a) 가 유지체 (10) 에 끼워 맞춤 유지되고 마찰체 (16) 가 골프화 바닥 (S) 에 유지된 상태에서, 내주측 환상돌조 (R1) 및 외주측 환상 돌조 (R2) 가 각각 내주측 환상 홈 (S1) 및 외주측 환상 홈 (S2) 에 끼워 맞춤함과 동시에, 환상 패킹 돌출부 (S3) 가 환상 패킹면 (14b) 에 전체둘레에 걸쳐 밀착상태에서 탄성적으로 압접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이 때, 환상 패킹 돌출부 (S3) 가 거의 상하방향으로 탄성적으로 압축된다.
내주측 환상 돌조 (R1) 는 하방향으로 끝이 가는 모양을 이루는 이등변삼각형상의 일정 단면이고, 내주측 환상 돌조 (R1) 의 기부가 내주측 환상 홈 (S1) 의 개구 가장자리 (도 1 에서의 좌우 상단부) 에 접한다. 외주측 환상 돌조 (R2) 는 외주면이 원통면형상, 내주면이 상방을 향해 내방으로 경사지는 원추 사다리꼴 외주면 형상의 일정 단면이고, 외주측 환상 홈 (S2) 에 거의 틈새없이 끼워 맞춤한다.
골프화 바닥 (S; 도 1 에서 신발 바닥면은 상방향) 에 매설고정된 유지체 (10) 의 유지체측 끼워 맞춤부 (10a) 에, 도 1 에 나타내는 방향으로 마찰체 (16) 의 마찰체측 끼워 맞춤부 (12a) 를 충분히 끼워 맞춤시키면 빠짐방지편 (12c) 의 선단부는 그 하단 외측면 (12c2) 이 끼워 맞춤 과정에서 유지체측 끼워 맞춤부 (10a) 에서의 원추 사다리꼴형상 내주면부 (10d) 에 안내됨으로써, 일단 직경방향 내방으로 탄성적으로 휜 후, 직경방향 외방으로 복원되고, 도 2 에 나타나는 바와 같이 빠짐방지 오목부 (12c1) 가 빠짐방지 돌출부 (10e) 에 끼워 맞춤한다.
빠짐방지 오목부 (12c1) 가 빠짐방지 돌출부 (10e) 에 끼워 맞춤하면 빠짐방지편 (12c) 에 의한 직경방향 외방향의 탄성유지력 (빠짐방지편 (12c) 이 직경방향 내방향으로 휘어지는 것에 대해, 빠지방지편 (12c) 자체의 탄성에 의해 저항하는반발력) 에 의해 그 끼워 맞춤이 유지되고, 마찰체측 끼워 맞춤부 (12a) 가 유지체측 끼워 맞춤부 (10a) 에서 상방으로 이탈하는 것이 방지되어 마찰체 (16) 가 유지체에 고정적으로 유지된다.
이 상태에서, 마찰부 (14) 의 이면측부 (도 1 에서의 하측부) 에 이중으로 형성된 내주측 환상 돌조 (R1) 및 외주측 환상 돌조 (R2) 가 각각 골프화 바닥 (S) 에 이중으로 형성된 내주측 환상 홈 (S1) 및 외주측 환상 홈 (S2) 에 끼워 맞춤함과 동시에, 마찰부 (14) 의 이면측부에서의 내주측 환상 돌조 (R1) 와 외주측 환상 돌조 (R2) 사이의 환상 패킹면 (14b) 에, 골프화 바닥 (S) 에서의 내주측 환상 홈 (S1) 과 외주측 환상 홈 (S2) 사이의 환상 패킹 돌출부 (S3) 가 전체둘레에 걸쳐 밀착상태에서 탄성적으로 압접하고 있다. 따라서, 이중으로 형성된 내주측 환상 돌조 (R1) 와 내주측 환상 홈 (S1) 및 외주측 환상 돌조 (R2) 와 외주측 환상 홈 (S2) 의 끼워 맞춤 구조 및 이들 사이의 환상 패킹면 (14b) 과 환상 패킹 돌출부 (S3) 의 전체둘레에 걸친 밀착상태에서의 탄성적 압접에 의한 밀봉구조가 동심상을 이루는 차폐구조에 의해, 신발의 사용상태에 있어서 마찰체 (16) 나 골프화 바닥 (S) 의 각 부위에 발생될 수 있는 변형에도 불구하고, 모래 알갱이 등의 침입물이 마찰체 (16) 와 유지체 (10) 사이의 내방으로 침입하는 것이 매우 효과적으로 방지된다. 또한, 환상 패킹면 (14b) 과 환상 패킹 돌출부 (S3) 의 전체둘레에 걸친 밀착상태에서의 탄성적 압접에 의한 밀봉구조는 어느 정도의 치수오차를 흡수하면서 침입물의 침입을 방지하는 효과도 발휘할 수 있다.
또한, 마찰체측 끼워 맞춤부 (12a) 에 있어서의 지지편 (12b) 의 양 상반부외주면 (12b1) 이 유지체측 끼워 맞춤부 (10a) 의 원추 사다리꼴 형상 내주면부 (10d) 와 맞닿음으로써, 마찰체 (16) 가 유지체 (10) 에 의해 상방향 및 직경방향으로 지지되므로, 골프화 바닥 (S) 에 매설고정된 유지체 (10) 에 마찰체 (16) 가 불안정하게 유지되어 충분한 마찰효과를 발휘할 수 없는 것, 유지체측 끼워 맞춤부 (10a) 또는 마찰체측 끼워 맞춤부 (12a) 에 파손이나 마모가 생기는 것, 사용중에 유지체 (10) 에 의한 마찰체 (16) 의 유지가 해제되어 마찰체 (16) 가 탈락하는 것 등이 방지된다.
이 마찰체 (16) 를 골프화 바닥 (S) 및 이 골프화 바닥 (S) 에 고정된 유지체 (10) 와 조합하여 신발용 마찰장치로 사용하면 마찰체 (16) 의 마찰부 (14) 가 비교적 연질이기 때문에, 그린이나 건조물의 마룻바닥면 등의 손상방지나 착용감 향상에 기여하는 바가 크고, 빠짐방지 오목부 (12c) 와 빠짐방지 돌출부 (10e) 가 각각 경질 합성 수지제이기 때문에, 사용중에 예상밖의 힘이 작용하여 빠짐방지 오목부 (12c1) 와 빠짐방지 돌출부 (10e) 의 끼워 맞춤이 해제되거나, 빠짐방지 오목부 (12c1) 또는 빠짐방지 돌출부 (10e) 가 마모되어 이들의 끼워 맞춤이 해제되기 쉬워지는 것이 방지된다.
복수의 마찰체 (16) 가 복수의 유지체 (10) 에 각각 유지된 상태에서 골프화를 신어 사용하면 일반적으로 먼저 각 직경방향 돌출부 (22) 의 돌기방향면 중 직경방향 외방의 부분으로부터 대상 면에 대한 압접을 개시한다. 각 직경방향 돌출부 (22) 는 비교적 탄성변형되기 쉬운 재료로 이루어지기 때문에, 거의 높이방향으로 압축되거나 또는 이 같이 압축됨과 동시에 높이가 저하되는 변형이 발생되고,그에 수반하여 돌기방향면 (22a) 의 대상 면에 대한 압접부위는 직경방향 외방에서 내방으로 미친다. 또한 직경방향 돌출부 (22) 에서의 돌기방향면 (22a) 중 잔부와 중간높이 돌출부 (24) 의 돌기방향 끝단부가 대상 면에 대한 압접을 개시한다.
이 같이 각 직경방향 돌출부 (22) 가 직경방향 외방에서 대상으로 압접하면서 변형하여 압접부위가 직경방향 내방에 미치므로, 골프화 바닥 (S) 이 밟는 대상이 잔디밭이나 모래밭 등의 유연한 또는 변형되기 쉬운 것인 경우, 잔디밭 등에 그다지 파고들지 않고 그 손상을 방지하면서 직경방향 돌출부 (22) 가 미끄럼방지 및 안정지지의 효과를 발휘하고, 또한 직경방향 돌출부 (22) 의 돌기방향면 (22a) 의 직경방향 외방 끝단부의 높이와 직경방향 내방 끝단부의 높이의 차이의 3할을 그 직경방향 내방 끝단부의 높이에 더한 정도의 높이인 중간높이 돌출부 (24) 에 의해 잔디밭 등의 손상을 방지하면서 미끄럼방지 및 안정지지효과를 보다 향상시킨다.
골프화 바닥 (S) 이 밟는 대상이 콘크리트나 아스팔트나 납작한 돌을 깐 곳 등의 비교적 단단한 또는 변형되기 힘든 면인 경우, 일반적으로 먼저 각 직경방향 돌출부 (22) 의 돌기방향 면 중 직경방향 외방의 부분으로부터 대상 면에 대한 압접을 개시한다. 각 직경방향 돌출부 (22) 는 비교적 탄성변형되기 쉬운 재료로 이루어지기 때문에, 대략 높이방향으로 압축되거나 또는 이 같이 압축됨과 동시에 높이가 저하되는 변형이 발생하고, 그에 수반하여 돌기방향 면 (22a) 의 대상 면에 대한 압접부위는 직경방향 외방에서 내방으로 미친다. 그럼으로써 마찰부 (14) 의 유연성을 그다지 높이지 않아도, 즉 각 직경방향 돌출부 (22) 의 내마모성, 내구성, 및 잔디밭 등의 유연한 또는 변형되기 쉬운 대상에 대한 미끄럼방지 및 안정지지효과가 저해될 정도로 까지 마찰부 (14) 의 유연성을 향상시키지 않아도 우수한 쿠션성 또는 완충성이 발휘된다.
각 직경방향 돌출부 (22) 의 돌기방향 면 (22a) 중 어느 정도 높이의 부분, 즉 직경방향 외방 부근 부분이 상기와 같이 대상 면에 압접하고, 그 부분의 직경방향 돌출부 (22) 가 탄성적으로 변형되어 높이가 저하되면 직경방향 돌출부 (22) 에서의 돌기방향 면 (22a) 중 잔부와 중간높이 돌출부 (24) 의 돌기방향 끝단부가 대상 면에 대한 압접을 개시한다. 직경방향 돌출부 (22) 중 직경방향 내방 부근 부분 및 중간높이 돌출부 (24) 는 대상 면에 압접함으로써 동일하게 변형되어 높이를 저하시키고자 하지만, 그 때까지 대상 면에 압접하고 있는 직경방향 돌출부 (22) 의 직경방향 외방 부근 부분에 더하여 이들 부분이 대상 면에 압접하므로, 쿠션성 또는 완충성을 발휘하면서 변형에 대한 저항이 증대되고, 각 돌기부 (각 직경방향 돌출부 (22) 및 각 중간높이 돌출부 (24)) 의 과도한 변형으로 인한 돌기부의 내구성 저하 또는 보행 등의 불안정화 등이 방지된다.
직경방향 돌출부 (22) 의 돌기방향 면 (22a) 이 직경방향에서나 둘레방향에서도 오목한 오목 곡면 형상을 이루므로, 직경방향 돌출부의 돌기방향 면 (22a) 이 대상에 압접한 경우에 발생될 수 있는 변형량이, 돌기방향 면 (22a) 이 평탄면인 경우에 비해 크다. 따라서, 직경방향 돌출부 (22) 의 돌기방향 면 (22a) 이 잔디밭이나 모래밭 등의 유연한 또는 변형되기 쉬운 것에 압접함으로써 잔디밭 등을 받아들이는 효과가 향상되고, 잔디밭 등에 그다지 파고들지 않고 그 손상을 방지하면서 미끄럼방지 및 안정지지의 효과를 더욱 발휘하게 된다. 또한 직경방향 돌출부 (22) 의 돌기방향 면 (22a) 이 비교적 단단하거나 또는 변형되기 쉬운 대상 면에 압접한 경우에 발생될 수 있는 변형량도, 돌기방향 면 (22a) 이 평탄면인 경우에 비해 크고, 충격흡수력이 높다.
또한, 직경방향 돌출부 (22) 의 직경방향 중간위치에 있어서의 둘레방향 양측에 걸쳐 (즉 직경방향 돌출부 (22) 를 둘레방향으로 가로질러), 그 직경방향 돌출부 (22) 의 돌기방향 면 (22a) 에 개구하는 완충 홈 (22b) 이 형성되어 있으므로, 직경방향 돌출부 (22) 의 돌기방향 면 (22a) 이 대상에 압접한 경우에 대략 높이방향에서의 압축 또는 그 같은 압축 및 높이가 저하되는 변형이 발생되기 쉬워진다. 따라서, 직경방향 돌출부 (22) 의 돌기방향 면 (22a) 이 잔디밭이나 모래밭 등의 유연한 또는 변형되기 쉬운 대상을 받아들이는 효과가 향상되고, 잔디밭 등에 그다지 파고들지 않고 그 손상을 방지하면서 미끄럼방지 및 안정지지의 효과를 더욱 발휘하게 된다. 직경방향 돌출부 (22) 의 돌기방향 면 (22a) 이 비교적 단단하거나 또는 변형되기 어려운 대상 면에 압접한 경우에도 대략 높이방향에서의 압축 또는 그 같은 압축 및 높이가 저하되는 변형이 발생되기 쉬워져 쿠션성 또는 완충성이 보다 효과적으로 발휘된다.
또한, 직경방향 돌출부 (22) 의 돌기방향 면 (22a) 의 직경방향 외방 끝단부가 기반부 (14a) 보다 직경방향 외방으로 돌출함으로써 잔디밭이나 모래밭 등의 유연한 또는 변형되기 쉬운 대상에 대한 직경방향 돌출부 (22) 에 의한 미끄럼방지 및 안정지지의 효과가 향상됨과 동시에, 단단한 대상 면 또는 변형되기 어려운 대상 면에 대한 직경방향 돌출부 (22) 에 의한 쿠션효과 또는 완충효과가 향상된다.
또한, 중간높이 돌출부 (24) 의 돌기방향 끝단부에 돌기방향으로 개구하는 완충오목부 (24a) 를 가지므로, 대상에 대한 압접 당초에 중간높이 돌출부 (24) 의 돌기방향 끝단부의 대략 높이 방향에서의 압축이 발생되기 쉬워짐과 동시에 흡반흡착 효과가 생기고, 잔디밭이나 모래밭 등의 유연한 또는 변형되기 쉬운 것에 압접한 경우에 잔디밭 등을 받아들이는 효과가 향상되고, 잔디밭 등에 그다지 파고들지 않고 그 손상을 방지하면서 미끄럼방지 또는 안정지지의 효과를 더욱 발휘하게 됨과 동시에, 비교적 단단하거나 또는 변형되기 힘든 대상 면에 압접한 경우에 쿠션성 또는 완충성이 보다 효과적으로 발휘된다.
또한 나아가 기반부 (14a) 의 중앙에 대해 둘레방향 등 중심각 마다 4개 갖는 직경방향 돌출부 (22) 에 있어서, 각 돌기방향 면 (22a) 이 직경방향 외방에서 내방으로 대상 면에 압접하면서 변형되어 잔디밭이나 모래밭 등의 유연한 또는 변형되기 쉬운 것에 대한 미끄럼방지 및 안정지지의 효과를 발휘함과 동시에, 쿠션성 또는 완충성을 발휘하고, 이어서 둘레방향에서의 직경방향 돌출부 (22) 끼리의 중간에 각각 위치하는 중간높이 돌출부 (24) 의 돌기방향 끝단부가 대상 면에 압접하여 미끄럼방지 및 안정지지를 행하거나 또는 쿠션성 또는 완충성을 발휘하면서 변형에 대한 저항을 증대시켜 각 돌기부의 과도한 변형을 방지하므로, 미끄럼방지 및 안정지지의 효과 발휘 및 쿠션성 또는 완충성의 발휘와 변형에 대한 저항의 증대가 위치적으로 균형적으로 이루어진다.
사용에 의해 마찰체 (16) 의 직경방향 돌출부 (22) 및 중간높이 돌출부(24) 가 어느 정도 이상 마모되면, 마찰체 (16) 를 새로운 것으로 교환할 필요가 있다. 유지체 (10) 로부터 마찰체 (16) 를 이탈시키기 위해서는 한쌍의 삽입체 (32) 를 폐색부 (30) 에서의 랜스가공부 (30a) 를 통해 한쌍의 삽입부 (28) 에 대해 도 2 에서의 하향으로 충분히 삽입한다. 이렇게 하면 양 삽입체 (32) 는 원추 사다리꼴 형상 내주면부 (10d) 로 안내되어 내하방으로 향하고, 양 빠짐방지편 (12c) 의 외측면을 내방으로 눌러 직경방향 내방으로 탄성적으로 휘어지게 한다. 그럼으로써, 환상의 미끄럼방지 돌출부 (10e) 에 대한 빠짐방지 돌출부 (12c1) 의 끼워 맞춤이 해제되므로, 마찰체측 끼워 맞춤부 (12a) 를 유지체측 끼워 맞춤부 (10a) 에서 상방으로 이탈시켜 마찰체 (16) 를 유지체 (10) 로부터 떼어낼 수 있게 된다. 이 때, 원추 사다리꼴 형상 내주면부 (10d) 가, 직경방향 내방으로 탄성적으로 휘어지게 한 양 삽입체 (32) 및 양 빠짐방지편 (12c) 에 대해 상방으로 밀어내는 힘을 미치므로, 마찰체 (16) 를 끼워 맞춤 해제구 (31) 의 삽입체 (32) 와 함께 유지체 (10) 로부터 쉽게 이탈시킬 수 있다. 또 삽입부 (28) 및 빠짐방지편 (12c) 의 쌍방을 마찰체 (16) 에 구비하므로, 유지체 (10) 에 대한 마찰체 (16) 의 회전각도에 상관없이 삽입체 (32) 를 삽입부 (28) 에 충분히 삽입하면 빠짐방지편 (12c) 을 직경방향 내방으로 휘어지게 하여 빠짐방지 돌출부 (10e) 에 대한 빠짐방지 오목부 (12c1) 의 끼워 맞춤을 해제할 수 있다.
삽입부 (28) 의 상부는 폐색부 (30) 에 의해 폐색되어 있고, 폐색부 (30) 에는 랜스가공부 (30a) 를 구비할 뿐이므로, 통상의 사용상태에 있어서 삽입부 (28) 에 모래ㆍ돌ㆍ흙ㆍ세라믹스ㆍ금속ㆍ합성 수지ㆍ나무 등의 입자ㆍ알갱이ㆍ조각 등이끼여 삽입부 (28) 에 대한 끼워 맞춤 해제용의 삽입체 (32) 의 삽입에 의한 유지체 (10) 로부터의 마찰체 (16) 의 이탈이 방해되거나, 지면이나 마룻바닥면 등에서의 여러 가지 돌기물이나 그 밖의 것이 의도한 것과는 상관없이 삽입부 (28) 에 삽입되어 빠짐방지 오목부 (12c1) 와 빠짐방지 돌출부 (10e) 의 끼워 맞춤이 해제되는 것을 회피할 수 있다.
끼워 맞춤 해제구 (31) 는 합성 수지판제이고, 서로 평행하게 하향으로 돌출되는 한쌍의 삽입체 (32) 를 갖는다. 각 삽입체 (32) 는 탄성적으로 휠 수 있는 봉형상을 이룬다.
또 골프화 바닥에 매설고정된 유지체에 의한 마찰체의 마찰체측 끼워 맞춤부의 끼워 맞춤 유지는 유지체 (10) 에 암나사구멍을 형성하고, 마찰체측 끼워 맞춤부의 외주부에 수나사부를 형성함에 따른 나사식 끼워 맞춤 기구 또는 나사 이외의 구조의 회전운동에 의한 끼워 맞춤 유지기구 등에 의해서도 실현할 수 있다.
이상의 실시형태에 대한 기술에 있어서의 구성부품의 치수, 개수, 재질, 형상, 그 상대배치 등은 특별히 그것들에 한정된다는 기재가 없는 한, 본 발명의 범위가 그것들에만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단순한 설명의 예에 지나지 않는다. 또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수단의 항에서 본 발명에 대해 기술한 예시 및 수치범위를 포함한 설명은 원칙적으로 이상의 실시형태에 대한 기술에 적용된다.
본 발명의 신발용 마찰장치, 마찰체, 및 신발 바닥부의 경우, 신발이 사용되는 상태, 즉 신발 바닥부에 형성된 유지체에 마찰체의 끼워 맞춤 돌출부가 끼워 맞춤 유지되며 지면을 밟는 상태에서, 상기 마찰체 및 신발 바닥부의 일방의 환상 돌조가 타방의 환상 홈부에 끼워 맞춤하고, 그 내주측 또는 외주측에 있어서, 상기 마찰체 및 신발 바닥부의 일방의 환상 패킹부와 타방의 환상 패킹부가 전체둘레에 걸쳐 밀착상태에서 탄성적으로 압접하고 있다. 이 같이, 환상 돌조와 환상 홈부의 끼워 맞춤 구조와, 양 환상 패킹부의 전체둘레에 걸친 밀착상태에서의 탄성적 압접에 의한 밀봉구조와의 이중 차단구조에 의해, 신발의 사용상태에 있어서 마찰체나 신발 바닥부의 각 부위에 발생될 수 있는 변형에도 불구하고, 모래 알갱이 등의 침입물이 마찰체와 유지체 사이의 내방으로 침입하는 것이 효과적으로 방지된다.
청구항 2 의 신발용 마찰장치, 청구항 8 의 마찰체, 및 청구항 10 의 신발 바닥부의 경우, 신발이 사용되는 상태, 즉 신발 바닥부에 형성된 유지체에 마찰체의 끼워 맞춤 돌출부가 끼워 맞춤 유지되며 지면을 밟은 상태에서, 상기 마찰체 및 신발 바닥부의 일방의 환상 패킹부와 타방의 환상 패킹부가 전체둘레에 걸쳐 밀착상태에서 탄성적으로 압접하고, 그 외주측 및 내주측에 있어서, 각각 상기 마찰체 및 신발 바닥부의 일방의 환상 돌조가 타방의 환상 홈부와 끼워 맞춤하고 있다. 이 같이, 외주측 및 내주측의 각각에서의 환상 돌조와 환상 홈부의 끼워 맞춤구조와, 그 양자간에서의 양 환상 패킹부의 전체둘레에 걸친 밀착상태에서의 탄성적 압접에 의한 밀봉구조와의 삼중 차폐구조에 의해, 신발의 사용상태에 있어서 마찰체나 신발 바닥부의 각 부위에 발생될 수 있는 변형에도 불구하고, 모래 알갱이 등의 침입물이 마찰체와 유지체 사이의 내방으로 침입하는 것이 매우 효과적으로 방지된다.

Claims (10)

  1. 신발 바닥부에 유지된 상태에서 사용됨으로써 신발 바닥부가 밟는 대상과 접촉하여 그 대상과의 사이에 마찰력을 발생시키는 마찰부와, 신발 바닥부에 형성된 유지체에 끼워 맞춤하여 착탈가능하게 유지되는 끼워 맞춤 돌출부를 갖고, 그 끼워 맞춤 돌출부는 신발 바닥부에 유지된 상태에서 상기 마찰부 중 신발 바닥면부 및/또는 유지체 표면부에 상대하는 이면측부 쪽에 형성되어 있고, 마찰부의 상기 이면측부 중 상기 끼워 맞춤 돌출부보다 외주측 부분에 환상 돌조 또는 환상 홈부, 및 환상 패킹부를 갖는 마찰체와,
    신발 바닥면부 및/또는 유지체 표면부에 상기 환상 돌조 또는 환상 홈부에 대응하여 형성된 환상 홈부 또는 환상 돌조, 및 상기 환상 패킹부에 대응하여 형성된 환상 패킹부를 구비하여 이루어지고,
    상기 양 환상 패킹부는 일방 또는 양방이 탄력성을 갖는 재료로 이루어지는 것이고,
    끼워 맞춤 돌출부가 유지체에 끼워 맞춤 유지되고 마찰체가 신발 바닥부에 유지된 상태에서, 상기 환상 돌조가 상기 환상 홈부에 끼워 맞춤함과 동시에, 상기 양 환상 패킹부가 전체둘레에 걸쳐 밀착상태에서 탄성적으로 압접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신발용 마찰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마찰체가 환상 패킹부의 외주측 및 내주측에, 각각외주측의 환상 돌조 또는 환상 홈부 및 내주측의 환상 돌조 또는 환상 홈부를 갖고, 그들의 환상 돌조 또는 환상 홈부에 대응하여 상기 신발 바닥면부 및/또는 유지체 표면부에 있어서의 환상 패킹부의 외주측 및 내주측에 각각 외주측의 환상 홈부 또는 환상 돌조 및 내주측의 환상 홈부 또는 환상 돌조를 갖고, 끼워 맞춤 돌출부가 유지체에 끼워 맞춤 유지되고 마찰체가 신발 바닥부에 유지된 상태에서, 상기 각 환상 돌조가 상기 각 환상 홈부에 끼워 맞춤함과 동시에, 상기 양 환상 패킹부가 전체둘레에 걸쳐 밀착상태에서 탄성적으로 압접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신발용 마찰장치.
  3.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마찰체의 환상 패킹부와 상기 신발 바닥면부 및/또는 유지체 표면부의 환상 패킹부 중 일방이 환상 패킹 돌출부이고 타방이 환상 패킹면이고,
    상기 환상 패킹 돌출부 및 상기 환상 패킹면의 일방 또는 양방이 탄력성을 갖는 재료로 이루어지는 것이고,
    끼워 맞춤 돌출부가 유지체에 끼워 맞춤 유지되고 상기 마찰체가 신발 바닥부에 유지된 상태에서, 대략 마찰체의 끼워 맞춤 돌출부가 유지체에 끼워 맞춤하는 방향에 있어서, 상기 환상 패킹 돌출부가 상기 환상 패킹면에 전체둘레에 걸쳐 밀착상태에서 탄성적으로 압접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신발용 마찰장치.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마찰체의 마찰부의 이면측부 중, 외주 가장자리에외주측의 환상 돌조를 갖고, 그 환상 돌조의 내방에 간격을 두고 동심상으로 내주측의 환상 돌조를 갖고, 양 환상 돌조 사이의 환상 부분이 환상 패킹면에 형성되어 있고,
    탄력성을 갖는 재료로 이루어지는 신발 바닥면부에, 상기 환상 패킹면에 대응하여 형성된 환상 패킹 돌출부와, 상기 외주측의 환상 돌조에 대응하여 형성된 외주측의 환상 홈부를 갖고,
    상기 내주측의 환상 돌조에 대응하여 신발 바닥면부 및/또는 유지체 표면부에 내주측의 환상 홈부를 갖고,
    상기 마찰체의 끼워 맞춤 돌출부가 유지체에 끼워 맞춤 유지되어 그 마찰체가 신발 바닥부에 유지된 상태에서, 상기 양 환상 돌조가 각각 상기 양 환상 홈부에 끼워 맞춤함과 동시에, 거의 마찰체의 끼워 맞춤 돌출부가 유지체에 끼워 맞춤하는 방향에 있어서, 상기 환상 패킹면이 상기 환상 패킹 돌출부에 전체둘레에 걸쳐 밀착상태에서 탄성적으로 압접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신발용 마찰장치.
  5. 제 3 항 또는 제 4 항에 있어서, 대략 마찰체의 끼워 맞춤 돌출부가 유지체에 끼워 맞춤하는 방향에 있어서, 환상 패킹 돌출부의 종단면 형상의 횡폭이 기부측에서 끝단부로 향해 점차 좁아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신발용 마찰장치.
  6. 제 1 항 내지 제 5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마찰부가 기반부와, 사용시에 그 기반부에서 대상으로 향하는 방향인 높이방향으로 돌기하는 복수의 돌기부를구비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신발용 마찰장치.
  7. 신발 바닥부에 유지된 상태에서 사용됨으로써 신발 바닥부가 밟는 대상과 접촉하여 그 대상과의 사이에 마찰력을 발생시키는 마찰부와,
    신발 바닥부에 형성된 유지체에 끼워 맞춤하여 착탈가능하게 유지되는 끼워 맞춤 돌출부를 갖고,
    그 끼워 맞춤 돌출부는 신발 바닥부에 유지된 상태에서 상기 마찰부 중 신발 바닥면부 및/또는 유지체 표면부에 상대하는 이면측부 쪽에 형성되어 있고,
    마찰부의 상기 이면측부 중 상기 끼워 맞춤 돌출부보다 외주측 부분에 환상 돌조 또는 환상 홈부, 및 환상 패킹부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마찰체.
  8. 제 7 항에 있어서, 환상 패킹부의 외주측 및 내주측에, 각각 외주측의 환상 돌조 또는 환상 홈부 및 내주측의 환상 돌조 또는 환상 홈부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마찰체.
  9. 신발 바닥부에 유지된 상태에서 사용됨으로써 신발 바닥부가 밟는 대상과 접촉하여 그 대상과의 사이에 마찰력을 발생시키는 마찰부와 끼워 맞춤 돌출부를 갖는 마찰체에 있어서의 그 끼워 맞춤 돌출부를 끼워 맞춤 유지하기 위한 유지체가 형성되어 이루어지는 신발 바닥부로서,
    그 신발 바닥부에서의 상기 유지체를 중심으로 하는 신발 바닥면부 및/또는유지체 표면부에, 환상 홈부 또는 환상 돌조, 및 환상 패킹부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신발 바닥부.
  10. 제 9 항에 있어서, 환상 패킹부의 외주측 및 내주측에 각각 외주측의 환상 홈부 또는 환상 돌조 및 내주측의 환상 홈부 또는 환상 돌조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신발 바닥부.
KR1020020048549A 2001-08-20 2002-08-16 신발용 마찰장치와, 그에 관련된 마찰체 및 신발 바닥부 KR20030016173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01249068A JP2003052405A (ja) 2001-08-20 2001-08-20 履物用摩擦装置及びその関連技術
JPJP-P-2001-00249068 2001-08-20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0016173A true KR20030016173A (ko) 2003-02-26

Family

ID=1907812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20048549A KR20030016173A (ko) 2001-08-20 2002-08-16 신발용 마찰장치와, 그에 관련된 마찰체 및 신발 바닥부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6826854B2 (ko)
EP (1) EP1285595A1 (ko)
JP (1) JP2003052405A (ko)
KR (1) KR20030016173A (ko)
CN (1) CN1406535A (ko)
CA (1) CA2398661A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39062B1 (ko) * 2008-09-17 2011-06-07 김진호 골프화용 스파이크

Families Citing this family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7047675B2 (en) * 2001-04-18 2006-05-23 Adidas International Marketing B.V. Detachable cleat system
US7726047B1 (en) 2004-01-26 2010-06-01 Cleats Llc Cleats and footwear for providing customized traction
WO2006017200A2 (en) * 2004-07-12 2006-02-16 Cleats Llc Removable footwear traction plate
US8302332B2 (en) 2006-12-08 2012-11-06 Raptors Sports Pty Ltd Removable spike for footwear
US20080229620A1 (en) * 2007-03-19 2008-09-25 Alcoa Global Fasteners Double flush fastener for attaching cleats
WO2008156825A1 (en) * 2007-06-20 2008-12-24 Taylor Made Golf Company, Inc. Article of footwear with traction members having a low profile sole
AU2011293574B2 (en) 2010-08-26 2016-05-19 Cleats Llc Cleat attachment system
US20140196320A1 (en) * 2013-01-17 2014-07-17 Sure Foot Corporation Anti-Slip Overshoe with Flexible Cleats and Method of Gripping Natural Surfaces
CN104697925B (zh) * 2015-02-14 2017-08-08 戴榕泓 一种运动鞋鞋底摩擦检测装置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BR8503313A (pt) * 1984-07-19 1986-04-01 Dassler Puma Sportschuh Sapato esportivo com uma sola apresentando elementos pegadores substituiveis
GB8419182D0 (en) * 1984-07-27 1984-08-30 Triman Ltd Studs for footwear
DE3505665A1 (de) 1985-02-19 1986-08-21 Puma-Sportschuhfabriken Rudolf Dassler Kg, 8522 Herzogenaurach Sportschuh
JP2002119306A (ja) * 2000-10-16 2002-04-23 Yasuhiro Ijiri 履物用摩擦装置及び摩擦体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39062B1 (ko) * 2008-09-17 2011-06-07 김진호 골프화용 스파이크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1285595A1 (en) 2003-02-26
JP2003052405A (ja) 2003-02-25
CA2398661A1 (en) 2003-02-20
US6826854B2 (en) 2004-12-07
CN1406535A (zh) 2003-04-02
US20030033735A1 (en) 2003-02-2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948264B1 (en) Non-clogging sole for article of footwear
US7946062B2 (en) Studded footwear
US8181364B2 (en) Article of footwear with heel cushioning system
US8322051B2 (en) Self-adjusting studs
CA2169742C (en) Athletic shoe with improved sole
US5560126A (en) Athletic shoe with improved sole
JPS58200701A (ja) スポ−ツシユ−ズ用のソ−ル
US20150013195A1 (en) Article of Footwear with Suspended Stud Assembly
JPH11206403A (ja) ゴルフシューズ及びそのスパイク
KR20030016173A (ko) 신발용 마찰장치와, 그에 관련된 마찰체 및 신발 바닥부
US6513266B1 (en) Slipping prevention device for footwear
AU1452400A (en) Dual density plastic cleat for footwear
US6233850B1 (en) Cleat for athletic shoes
US5940993A (en) Golf cleat
KR101822652B1 (ko) 낚시용 신발
JPH05115308A (ja) 履物用接地底
US20200383429A1 (en) Shoe with replaceable heel
AU2003226536A1 (en) Studded footwear
JP2003325205A (ja) 摩擦用具及びその関連技術
JP2002119305A (ja) 履物用滑止体及び履物
JP2002119306A (ja) 履物用摩擦装置及び摩擦体
KR200204790Y1 (ko) 골프화용 스파이크
KR100632210B1 (ko) 골프화용 스파이크
KR20010046381A (ko) 구두의 미끄럼 방지장치
JP2004121496A (ja) 摩擦用具及び摩擦物品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Application deemed withdrawn, e.g. because no request for examination was filed or no examination fee was pai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