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0015982A - 범용 직렬 버스 장치 및 그의 초기화 방법 - Google Patents

범용 직렬 버스 장치 및 그의 초기화 방법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0015982A
KR20030015982A KR1020010049861A KR20010049861A KR20030015982A KR 20030015982 A KR20030015982 A KR 20030015982A KR 1020010049861 A KR1020010049861 A KR 1020010049861A KR 20010049861 A KR20010049861 A KR 20010049861A KR 20030015982 A KR20030015982 A KR 2003001598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escriptor
host
signal
initialization
actu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1004986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395664B1 (ko
Inventor
김도형
Original Assignee
엠텍비젼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엠텍비젼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엠텍비젼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1-004986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395664B1/ko
Priority to US10/054,289 priority patent/US6868456B2/en
Publication of KR2003001598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001598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39566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395664B1/ko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3/00Interconnection of, or transfer of information or other signals between, memories, input/output devices or central processing units
    • G06F13/14Handling requests for interconnection or transfer
    • G06F13/20Handling requests for interconnection or transfer for access to input/output bu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3/00Interconnection of, or transfer of information or other signals between, memories, input/output devices or central processing units
    • G06F13/38Information transfer, e.g. on bus
    • G06F13/382Information transfer, e.g. on bus using universal interface adapter
    • G06F13/385Information transfer, e.g. on bus using universal interface adapter for adaptation of a particular data processing system to different peripheral devic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Information Transfer Systems (AREA)

Abstract

범용 직렬 버스 장치 및 그의 초기화 방법이 게시된다. 본 발명의 범용 직렬 버스 장치는 호스트로 기본 디스크립터를 전송하여 1차 초기화를 수행하며, 호스트로부터 제공되는 실제 디스크립터를 다운로드한 다음 2차 초기화를 수행하는 인터페이스; 디스크립터를 안내하기 위한 신호선; 및 신호선을 통신 가능 상태로 제어하는 전압 레귤레이터를 포함한다. 이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른 장치의 초기화 방법은 제1초기화 신호를 발생시켜 신호선을 통신 가능 상태로 제어하는 단계; 메모리에 저장된 기본 디스크립터를 호스트로 전송하여 1차 초기화를 수행하는 단계; 기본 디스크립터를 인식한 호스트로부터 실제 디스크립터를 수신하여, 레지스터에 저장하는 단계; 저장단계가 완료된 후에, 호스트가 1차 초기화 동안에 인식한 기본 디스크립터를 무시하도록하는 단계; 제2초기화 신호를 발생시키는 단계; 및 레지스터에 저장된 실제 디스크립터를 호스트로 전송하여 2차 초기화를 수행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이에 따라, 전술한 본 발명의 범용 직렬 버스 장치 및 그의 초기화 방법에 의하면, 실제 디스크립터를 저장하고 있는 별도의 메모리가 불필요하므로, 제품의 크기 및 제조단가를 현저하게 감소시킬 수 있다.

Description

범용 직렬 버스 장치 및 그의 초기화 방법{UNIVERSAL SERIAL BUS DEVICE AND INITIALIZING MEHTOD OF THE DEVICE}
본 발명은 호스트와 상기 호스트에 연결된 주변 기기의 통신을 인터페이싱하는 범용 직렬 버스 장치 및 그의 초기화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범용 직렬 버스(Universal Serial Bus; 이하, "USB"라 함) 장치는 키보드, 모니터, 마우스, 프린터, 모뎀, 디지털 카메라 등과 같은 주변 기기를 한번에 USB 호스트에 연결하여 사용할 수 있도록 지원하는 인터페이스이다. 이와 같은 USB 장치는 플러그 앤 플레이(Plug and Play)는 물론, 전원이 공급되는 상태에서도 주변 기기를 장착하거나 분리시킬 수 있는 핫플러깅(Hot-Plugging) 기능을 지원하므로, 다른 인터페이스 장치에 비해 널리 이용되고 있다. 이러한 USB 장치가 USB 호스트에 연결되는 경우, 상기 USB 장치는 USB 호스트와 통신할 수 있도록 초기화되어야 한다. 여기서, 상기 USB 호스트는, USB 장치의 초기화를 위하여, 소정의 디스크립터 및 디스크립터 인식 프로그램을 내장한다.
그러면, 첨부한 도1을 참조하여 종래 기술의 USB 장치 및 그의 초기화 방법에 대하여 간략히 설명한다. 도1을 참조하면, 종래 기술의 USB 장치 및 그의 초기화 방법은, 외부로부터 전원이 공급되면, USB 인터페이스(10)의 디스크립터 읽기/쓰기부(12)가 외부 메모리(20)에 저장된 디스크립터를 읽어와 레지스터(14)에 저장한다. 여기서, 상기 레지스터(14)에 저장된 디스크립터는, 전원 공급이 중단되면, 삭제된다.
그런 다음, USB 인터페이스(10)의 신호 발생부(18)가 초기화 신호를 발생시키고, 전압 레귤레이터(30)는 초기화 신호에 응답하여 신호선(40)을전원단자전압(VDD)으로 풀-업(Pull-up)하므로써, 상기 USB 인터페이스(10)가 신호선(40)을 통해 USB 호스트(1)와 통신할 수 있도록한다.
그러면, 상기 디스크립터 읽기/쓰기부(12)는 레지스터(14)에 저장된 디스크립터를 읽어, USB 코어(16)를 통해, USB 호스트(1)로 제공한다. 이때, 상기 USB 호스트(1)의 디스크립터 인식 프로그램(1a)이 USB 인터페이스(10)로부터 제공되는 디스크립터를 인식하면, 상기 USB 장치의 초기화가 완료되는 것이다.
그러나, 전술한 바와 같은 종래 기술의 USB 장치는, USB 인터페이스(10)의 외부에 디스크립터를 저장하고 있는 메모리(20)가 별도로 구비되어야 하므로, 장치의 크기 및 제조단가가 증가하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전술한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효과적으로 해결할 수 있는 USB 장치 및 그의 초기화 방법을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서 사용되는 도면을 보다 충분히 이해하기 위하여, 각 도면의 간단한 설명이 제공된다.
도1은 종래 기술의 범용 직렬 버스 장치의 구성을 나타내는 블럭도이다.
도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따른 범용 직렬 버스 장치의 구성을 나타내는 블럭도이다.
도3은 도2에 도시된 범용 직렬 버스 장치의 초기화 과정을 나타내는 순서도이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0: USB 인터페이스 200: 전압 레귤레이터
300: 신호선
상기와 같은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면은 소정 디스크립터에 대한 인식 프로그램을 내장한 호스트에 연결되어, 상기 호스트와 통신할 수 있는 상태로 초기화되는 범용 직렬 버스 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범용 직렬 버스 장치는 외부로부터 전원을 공급받아 제1초기화 신호를 발생시키고, 상기호스트로 기본 디스크립터를 전송하여 1차 초기화를 수행하며, 상기 호스트로부터 제공되는 실제 디스크립터 및 상기 실제 디스크립터에 대한 다운로드 명령에 응답하여, 상기 실제 디스크립터를 다운로드한 다음, 제2초기화 신호를 발생시키고 상기 다운로드된 실제 디스크립터를 상기 호스트로 전송하여 2차 초기화를 수행하는 인터페이스; 상기 호스트와 상기 인터페이스에서 송수신되는 상기 기본 디스크립터, 상기 실제 디스크립터 및 상기 다운로드 명령을 안내하기 위한 신호선; 및 상기 인터페이스로부터 발생되는 상기 제1초기화 신호 또는 상기 제2초기화 신호에 응답하여, 상기 신호선을 통신 가능 상태로 제어하는 전압 레귤레이터를 포함한다.
상기와 같은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다른 일면은 소정 디스크립터에 대한 인식 프로그램을 내장한 호스트에 연결되어, 상기 호스트와 통신할 수 있는 상태로 초기화되는 범용 직렬 버스 장치의 초기화 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일면에 따른 범용 직렬 버스 장치의 초기화 방법은 외부로부터 전원을 공급받아 제1초기화 신호를 발생시키므로써, 상기 호스트에 연결된 신호선을 통신 가능 상태로 제어하는 A)단계; 메모리에 저장된 기본 디스크립터를 읽어 상기 호스트로 전송하므로써, 1차 초기화를 수행하는 B)단계; 상기 기본 디스크립터를 인식한 상기 호스트로부터 실제 디스크립터 및 상기 실제 디스크립터에 대한 다운로드 명령을 수신하여, 상기 실제 디스크립터를 레지스터에 저장하는 C)단계; 상기 저장단계가 완료된 후에, 상기 제1초기화 신호의 발생을 중지시켜, 상기 호스트가 1차 초기화 동안에 인식한 기본 디스크립터를 무시하도록하는 D)단계; 상기 D)단계 수행 후에, 제2초기화 신호를 발생시키는 E)단계; 및 상기 레지스터에 저장된 실제디스크립터를 읽어 상기 호스트로 전송하므로써, 2차 초기화를 수행하는 F)단계를 포함한다.
본 발명과 본 발명의 동작상의 잇점 및 본 발명의 실시에 의하여 달성되는 목적을 충분히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예시하는 첨부 도면 및 첨부 도면에 기재된 내용을 참조하여야 한다.
이하, 첨부한 도2 및 도3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USB 장치 및 그의 초기화 방법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USB 장치의 구성을 나타내는 블럭도이다. 도2를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USB 장치는 USB 인터페이스(100), 전압 레귤레이터(200) 및 신호선(300)을 포함한다.
상기 USB 인터페이스(100)는 기본 메모리(110), 디스크립터 읽기/쓰기부(120), 레지스터(130), 명령 해석부(140), 타이머(150), 신호 발생부(160) 및 USB 코어(170)를 구비하여, USB 프로토콜에 의거한 인터페이스를 관장한다.
상기 기본 메모리(110)는 USB 장치의 제조시에 입력된 기본 디스크립터를 저장한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기본 메모리(110)는 소정형태의 롬(ROM: Read Only Memory)이며, 상기 기본 디스크립터는 USB 장치에 기본적으로 설정된 사용자 ID 및 제품 ID를 나타낸다.
상기 디스크립터 읽기/쓰기부(120)는, 외부로부터 전원이 공급되면, 기본 메모리(110)에 저장된 기본 디스크립터를 읽어 USB 호스트(1)로 전송한다. 이러한경우, 상기 USB 호스트(1)는 디스크립터 인식 프로그램(1a)이 USB 장치로부터 전송되는 기본 디스크립터를 인식하면, 소정위치에 저장된 실제 디스크립터 및 상기 실제 디스크립터의 다운로드 명령을 출력한다. 또한, 상기 디스크립터 읽기/쓰기부(120)는, 후술되는 다운로드 시작신호에 응답하여, 명령 해석부(140)로부터 제공되는 실제 디스크립터를 다운받아 레지스터(130)에 저장한 다음, 다운로드 완료신호를 발생시킨다. 그리고, 소정시간이 경과한 후에, 상기 디스크립터 읽기/쓰기부(120)는 레지스터(130)에 저장된 실제 디스크립터를 읽어 USB 호스트(1)로 전송한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실제 디스크립터는 USB 호스트(1)의 실제 사용자 ID 및 제품 ID를 나타낸다.
상기 레지스터(130)는 디스크립터 읽기/쓰기부(120)로부터 제공되는 실제 디스크립터를 저장한다. 여기서, 상기 레지스터(130)에 저장된 실제 디스크립터는, 전원 공급이 중단되면, 삭제된다.
상기 명령 해석부(140)는 USB 호스트(1)로부터 출력되는 실제 디스크립터 및 상기 실제 디스크립터에 대한 다운로드 명령을 수신하여, 다운로드 시작신호를 발생시키고, 상기 다운로드 시작신호 및 실제 디스크립터를 디스크립터 읽기/쓰기부(120)로 제공한다.
상기 타이머(150)는 디스크립터 읽기/쓰기부(120)로부터 발생된 다운로드 완료신호에 응답하여, 제1제어신호를 발생시키고, 소정시간이 경과한 후에, 제2제어신호를 순차적으로 발생시켜, 신호 발생부(160)로 제공한다.
상기 신호 발생부(160)는, 외부로부터 전원이 공급되면, 소정의 제1초기화신호를 발생시켜, 전압 레귤레이터(200)로 제공한다. 그리고, 상기 신호 발생부(160)는 타이머(150)로부터 제공되는 제1제어신호에 응답하여, 제1초기화 신호의 발생을 중지하며, 타이머(150)로부터 발생되는 제2제어신호에 응답하여, 제2초기화 신호를 발생시킨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제1초기화 신호 및 제2초기화 신호가 동일한 신호이다.
상기 USB 코어(170)는, 신호선(300)을 통해, 디스크립터 읽기/쓰기부(120)로부터 전송되는 기본 디스크립터 및 실제 디스크립터를 USB 호스트(1)로 안내하고, USB 호스트(1)로부터 제공되는 명령 및 실제 디스크립터를 명령 해석부(140)로 안내한다.
상기 전압 레귤레이터(200)는 전원단자전압(VDD)에 연결된 트랜지스터(210) 및 상기 트랜지스터(210)와 신호선(300)의 사이에 위치되는 저항(220)을 구비한다. 이와 같은 전압 레귤레이터(200)는 신호 발생부(160)로부터 제공되는 제1초기화 신호 또는 제2초기화 신호에 응답하여 트랜지스터(210)가 턴-온(Turn-on)되면, 신호선(300)에 전원단자전압(VDD)을 공급하여, 신호선(300)을 풀-업시킨다. 이때, 상기 전원단자전압(VDD)을 인가받은 신호선(300)은 통신 가능한 상태로 제어된다. 즉, 본 발명의 USB 장치와 USB 호스트(1)는 신호선(300)을 통해 디스크립터, 다운로드 명령 등을 송수신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전압 레귤레이터(200)는 제1초기화 신호 또는 제2초기화 신호가 발생되지 않으면, 신호선(300)로의 전원단자전압(VDD) 공급을 중단한다. 이러한 경우, 상기 신호선(300)은 통신 불가능 상태로 제어된다.
도3은 도2에 도시된 USB 장치의 초기화 과정을 나타내는 순서도이다. 도3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USB 장치의 초기화 방법은, USB 장치에 외부로부터 전원이 공급되면(S405), 신호 발생부(160)가 제1초기화 신호를 발생시킨다(S410). 이때, 상기 전압 레귤레이터의 트랜지스터(210)가 턴-온되어, 전원단자전압(VDD)이 신호선(300)으로 공급된다(S415). 이러한 경우, 상기 신호선(300)은 통신 가능한 상태로 제어된다.
동시에, 상기 디스크립터 읽기/쓰기부(120)는 기본 메모리(110)에 저장된 기본 디스크립터를 읽어온 다음, USB 코어(170) 및 신호선(300)을 통해 USB 호스트(1)로 전송하여(S420), 1차 초기화를 수행한다. 이때, 상기 USB 호스트(1)에서는, 디스크립터 인식 프로그램(1a)이 전송되어온 기본 디스크립터를 인식하고, 신호선(300)을 통해 실제 디스크립터 및 상기 실제 디스크립터에 대한 다운로드 명령을 출력한다.
이러한 경우, 상기 명령 해석부(140)는 USB 코어(170)를 통해 실제 디스크립터 및 다운로드 명령을 수신하여(S425), 다운로드 시작신호를 발생시키고, 상기 실제 디스크립터를 디스크립터 읽기/쓰기부(120)로 제공한다. 이때, 상기 디스크립터 읽기/쓰기부(120)는 다운로드 시작신호에 응답하여 명령 해석부(140)로부터 제공되는 실제 디스크립터를 다운로드하고(S430), 레지스터(130)에 저장하며(S435), 다운로드 완료신호를 발생시킨다.
그러면, 상기 타이머(150)가 다운로드 완료신호에 응답하여, 제1제어신호를발생시킨다. 이때, 상기 신호 발생부(160)는 제1제어신호에 응답하여 제1초기화 신호의 발생을 중지시킨다(S440). 이러한 경우, 상기 전압 레귤레이터의 트랜지스터(210)가 턴-오프(Turn-off)되어, 신호선(300)으로의 전원단자전압(VDD) 공급을 중단한다(S445). 즉, 상기 신호선(300)이 통신 불가능 상태로 제어된다. 이때, 상기 USB 호스트(1)는 USB 장치와의 통신이 단절되어, 1차 초기화시에 인식한 정보를 무시하게 된다.
그리고, 소정의 시간이 경과한 후에, 상기 타이머(150)는 제2제어신호를 발생시킨다. 이때, 상기 신호 발생부(160)는 제2제어신호에 응답하여 제2초기화 신호를 발생시킨다(S450). 이때, 상기 전압 레귤레이터의 트랜지스터(210)가 다시 턴-온되어, 전원단자전압(VDD)이 신호선(300)으로 재공급된다(S455). 이러한 경우, 상기 신호선(300)은 다시 통신 가능한 상태로 제어된다.
동시에, 상기 디스크립터 읽기/쓰기부(120)는 레지스터(130)에 저장된 실제 디스크립터를 읽어온 다음, USB 코어(170) 및 신호선(300)을 통해 USB 호스트(1)로 전송하여(S460), 2차 초기화를 수행한다. 이때, 상기 USB 호스트(1)에서, 디스크립터 인식 프로그램(1a)이 전송되어온 실제 디스크립터를 인식하면, 본 발명에 따른 USB 장치의 초기화가 완료된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의 USB 장치는 USB 호스트(1)로부터 실제 디스크립터를 제공받아 초기화를 수행하므로, 종래 기술에서의 외부 메모리가 불필요하게 되어, 크기 및 제조단가가 종래 기술에 비해 현저하게 감소될 수 있다.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일실시예를 참고로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본 기술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해 정해져야 할 것이다.
전술한 본 발명의 범용 직렬 버스 장치 및 그의 초기화 방법에 의하면, 실제 디스크립터를 저장하고 있는 별도의 메모리가 불필요하므로, 제품의 크기 및 제조단가를 현저하게 감소시킬 수 있다.

Claims (6)

  1. 소정 디스크립터에 대한 인식 프로그램을 내장한 호스트에 연결되어, 상기 호스트와 통신할 수 있는 상태로 초기화되는 범용 직렬 버스 장치에 있어서,
    외부로부터 전원을 공급받아 제1초기화 신호를 발생시키고, 상기 호스트로 기본 디스크립터를 전송하여 1차 초기화를 수행하며, 상기 호스트로부터 제공되는 실제 디스크립터 및 상기 실제 디스크립터에 대한 다운로드 명령에 응답하여, 상기 실제 디스크립터를 다운로드한 다음, 제2초기화 신호를 발생시키고 상기 다운로드된 실제 디스크립터를 상기 호스트로 전송하여 2차 초기화를 수행하는 인터페이스;
    상기 호스트와 상기 인터페이스에서 송수신되는 상기 기본 디스크립터, 상기 실제 디스크립터 및 상기 다운로드 명령을 안내하기 위한 신호선; 및
    상기 인터페이스로부터 발생되는 상기 제1초기화 신호 또는 상기 제2초기화 신호에 응답하여, 상기 신호선을 통신 가능 상태로 제어하는 전압 레귤레이터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범용 직렬 버스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인터페이스는
    상기 기본 디스크립터를 저장하는 메모리;
    상기 실제 디스크립터를 저장하기 위한 레지스터;
    상기 호스트로부터 상기 다운로드 명령 및 상기 실제 디스크립터를 제공받아, 다운로드 시작신호를 발생시키고, 상기 실제 디스크립터를 출력하는 명령 해석부;
    상기 외부로부터 공급되는 전원을 공급받아 상기 메모리에 저장된 기본 디스크립터를 읽어 상기 호스트로 전송하며, 상기 다운로드 시작신호에 응답하여, 상기 명령 해석부로부터 출력되는 상기 실제 디스크립터를 상기 레지스터에 저장한 후에, 다운로드 완료신호를 발생시키고, 상기 레지스터에 저장된 실제 디스크립터를 읽어 상기 호스트로 제공하는 디스크립터 읽기/쓰기부;
    상기 다운로드 완료신호에 응답하여, 상기 제2초기화 신호를 발생시키기 위한 제어신호를 발생시키는 타이머; 및
    상기 외부로부터 공급되는 전원을 공급받아 상기 제1초기화 신호를 발생시키되, 상기 제어신호에 응답하여, 상기 제2초기화 신호를 발생시키는 신호 발생부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범용 직렬 버스 장치.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1초기화 신호 및 상기 제2초기화 신호가 동일한 신호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범용 직렬 버스 장치.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타이머로부터 발생되는 제어신호는
    상기 제1초기화 신호의 발생을 중지시키기 위한 제1제어신호; 및
    상기 제2초기화 신호를 발생시키기 위한 제2제어신호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범용 직렬 버스 장치.
  5. 소정 디스크립터에 대한 인식 프로그램을 내장한 호스트에 연결되어, 상기 호스트와 통신할 수 있는 상태로 초기화되는 범용 직렬 버스 장치의 초기화 방법에 있어서,
    외부로부터 전원을 공급받아 제1초기화 신호를 발생시키므로써, 상기 호스트에 연결된 신호선을 통신 가능 상태로 제어하는 A)단계;
    메모리에 저장된 기본 디스크립터를 읽어 상기 호스트로 전송하므로써, 1차 초기화를 수행하는 B)단계;
    상기 기본 디스크립터를 인식한 상기 호스트로부터 실제 디스크립터 및 상기 실제 디스크립터에 대한 다운로드 명령을 수신하여, 상기 실제 디스크립터를 레지스터에 저장하는 C)단계;
    상기 저장단계가 완료된 후에, 상기 제1초기화 신호의 발생을 중지시켜, 상기 호스트가 1차 초기화 동안에 인식한 기본 디스크립터를 무시하도록하는 D)단계;
    상기 D)단계 수행 후에, 제2초기화 신호를 발생시키는 E)단계; 및
    상기 레지스터에 저장된 실제 디스크립터를 읽어 상기 호스트로 전송하므로써, 2차 초기화를 수행하는 F)단계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범용 직렬 버스 장치의 초기화 방법.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제1초기화 신호와 상기 제2초기화 신호는 동일한 신호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범용 직렬 버스 장치의 초기화 방법.
KR10-2001-0049861A 2001-08-20 2001-08-20 범용 직렬 버스 장치 및 그의 초기화 방법 KR100395664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1-0049861A KR100395664B1 (ko) 2001-08-20 2001-08-20 범용 직렬 버스 장치 및 그의 초기화 방법
US10/054,289 US6868456B2 (en) 2001-08-20 2001-11-12 Universal serial bus device initialized with a real descriptor stored in host and method for initializing the sam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1-0049861A KR100395664B1 (ko) 2001-08-20 2001-08-20 범용 직렬 버스 장치 및 그의 초기화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0015982A true KR20030015982A (ko) 2003-02-26
KR100395664B1 KR100395664B1 (ko) 2003-08-25

Family

ID=1971333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1-0049861A KR100395664B1 (ko) 2001-08-20 2001-08-20 범용 직렬 버스 장치 및 그의 초기화 방법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US (1) US6868456B2 (ko)
KR (1) KR100395664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0025717A (ko) * 2002-09-17 2004-03-25 주식회사 이라테크 Usb용 저장장치를 통한 오디오/비디오 파일 재생장치및 방법
KR100822798B1 (ko) * 2006-01-16 2008-04-17 삼성전자주식회사 유에스비 장치 및 유에스 장치를 포함하는 데이터 처리시스템
KR100898544B1 (ko) * 2008-02-28 2009-05-20 주식회사 유비콘테크놀로지 초광대역 무선 시스템의 인터페이스 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704824B1 (en) * 1999-07-27 2004-03-09 Inline Connection Corporation Universal serial bus adapter with automatic installation
GB2374259B (en) * 2001-04-06 2004-04-21 Nokia Corp Universal serial bus circuit
US20030131167A1 (en) * 2001-12-20 2003-07-10 Rankin Linda J. Node ID discovery
US8049904B2 (en) * 2003-01-13 2011-11-01 Samsung Electronics Co., Ltd. Printer having keyboard function, a printing system and printing method using the printing system
CN100386751C (zh) * 2006-05-30 2008-05-07 北京飞天诚信科技有限公司 一种usb设备自动初始化的方法及装置
US20090234992A1 (en) * 2008-03-17 2009-09-17 Shehu Bankole-Hameed Geiser Device- A no hassle link
CN102202132B (zh) * 2010-03-24 2013-06-05 中兴通讯股份有限公司 一种对上网设备进行初始化的方法、系统及设备
CN104484196B (zh) * 2014-11-28 2018-01-02 上海动联信息技术股份有限公司 一种自动完成usbkey设备固件初始化的生产系统及方法

Family Cites Familie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009480A (en) * 1997-09-12 1999-12-28 Telxon Corporation Integrated device driver wherein the peripheral downloads the device driver via an I/O device after it is determined that the I/O device has the resources to support the peripheral device
US6353866B1 (en) * 1998-01-07 2002-03-05 National Semiconductor Corporation Apparatus and method for initializing a universal serial bus device
KR100277664B1 (ko) * 1998-02-26 2001-01-15 윤종용 유에스비 통신을 이용한 디스플레이장치의 초기화장치
US6088785A (en) * 1998-04-15 2000-07-11 Diamond Multimedia Systems, Inc. Method of configuring a functionally redefinable signal processing system
KR100261153B1 (ko) * 1998-05-27 2000-07-01 김영환 범용 직렬버스의 주변기기 초기화장치
KR100548529B1 (ko) * 1999-04-16 2006-02-02 매그나칩 반도체 유한회사 유에스비 장치의 초기화 방법
US6490637B1 (en) * 1999-08-24 2002-12-03 Conexant Systems Inc. System and method for dynamic assignment of unique serial number to system device
US6523081B1 (en) * 1999-11-22 2003-02-18 Texas Instruments Incorporated Architecture using dedicated endpoints and protocol for creating a multi-application interface and improving bandwidth over universal serial bus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0025717A (ko) * 2002-09-17 2004-03-25 주식회사 이라테크 Usb용 저장장치를 통한 오디오/비디오 파일 재생장치및 방법
KR100822798B1 (ko) * 2006-01-16 2008-04-17 삼성전자주식회사 유에스비 장치 및 유에스 장치를 포함하는 데이터 처리시스템
US7576559B2 (en) 2006-01-16 2009-08-18 Samsung Electronics Co., Ltd. USB device and data processing system having the same
KR100898544B1 (ko) * 2008-02-28 2009-05-20 주식회사 유비콘테크놀로지 초광대역 무선 시스템의 인터페이스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030037197A1 (en) 2003-02-20
KR100395664B1 (ko) 2003-08-25
US6868456B2 (en) 2005-03-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395664B1 (ko) 범용 직렬 버스 장치 및 그의 초기화 방법
CN107465060B (zh) USB Type-C转接模块及其启动方法
JP2834330B2 (ja) データストリームモード切換機能を備えたメモリ装置
US8015338B2 (en) Electronic device with card interface
KR19990007295A (ko) 다수의 회로기판에 의한 직렬버스의 다원접속방법
CN101980159B (zh) U盘固件的更新装置及更新方法
KR20020036717A (ko) 마이크로컴퓨터 및 그 제어 방법
KR100723498B1 (ko) Usb 장치
JPH06149238A (ja) 電子楽器システムのプログラム更新方法
US6240520B1 (en) Power on/off control device for computer
US20090157908A1 (en) Software Driver Device
JP2002108518A (ja) 周辺装置およびその制御方法
TW297971B (ko)
JP3781607B2 (ja) インターフェイスセレクタ
US7549594B2 (en) Electronic device having plurality of functional units and controller for controlling registers according to status of functional units
KR100456112B1 (ko) 휴대형 무선단말기의 소프트웨어 업그레이드 장치 및 그방법
JPH11288338A (ja) Usbコントローラ及びこれを搭載したデバイス
KR20050006484A (ko) 호환 가능한 유에스비 컨넥터 및 이를 이용한 데이타 통신방법
US11593284B2 (en) Method for managing an operation for modifying the stored content of a memory device, and corresponding memory device
KR200268439Y1 (ko) 호스트 컴퓨터와 계량기기 사이에 설치되어 검침된정보를 용이하게 전송하기 위한 원격검침장치
KR100263178B1 (ko) 휴대용 무선 단말기와 컴퓨터 사이의 데이터 통신을 위한 데이터 케이블 회로 및 그 통신 방법
CN107102959B (zh) 一种通用串行总线接口及其电路、usb闪存盘
KR19990066206A (ko) 모뎀과 랜을 이용한 원격 전원 제어 회로 및 방법
KR20030056464A (ko) 범용 인터페이스를 사용하는 보드
JP2000222077A (ja) 光ディスク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710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731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728

Year of fee payment: 12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729

Year of fee payment: 13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801

Year of fee payment: 1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