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50006484A - 호환 가능한 유에스비 컨넥터 및 이를 이용한 데이타 통신방법 - Google Patents

호환 가능한 유에스비 컨넥터 및 이를 이용한 데이타 통신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50006484A
KR20050006484A KR1020030046314A KR20030046314A KR20050006484A KR 20050006484 A KR20050006484 A KR 20050006484A KR 1020030046314 A KR1020030046314 A KR 1020030046314A KR 20030046314 A KR20030046314 A KR 20030046314A KR 20050006484 A KR20050006484 A KR 2005000648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erminal
connector
usb
data
memory uni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3004631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정우
Original Assignee
(주) 밸류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 밸류인 filed Critical (주) 밸류인
Priority to KR1020030046314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50006484A/ko
Publication of KR2005000648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50006484A/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31/00Coupling parts supported only by co-operation with counterpart
    • H01R31/06Intermediate parts for linking two coupling parts, e.g. adapter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26Power supply means, e.g. regulation thereof
    • G06F1/266Arrangements to supply power to external peripherals either directly from the computer or under computer control, e.g. supply of power through the communication port, computer controlled power-strip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24/00Two-part coupling devices, or either of their cooperating parts, characterised by their overall structure
    • H01R24/60Contacts spaced along planar side wall transverse to longitudinal axis of engagement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2212/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accessing, addressing or allocation within memory systems or architectures
    • G06F2212/21Employing a record carrier using a specific recording technology
    • G06F2212/214Solid state disk
    • G06F2212/2146Solid state disk being detachable, e.g.. USB memory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2107/00Four or more pole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7/00Circuit arrangements for charging or depolarising batteries or for supplying loads from batteri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Power Sour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USB방식의 컨넥터에 관한 것으로서, 컴퓨터의 USB 포트에 연결되는 USB 컨넥터와 단말기의 IF 단자에 연결되기 위한 IF 컨넥터가 양단에 각각 설치되는 메인 컨넥터와, 상기 메인 컨넥터의 USB 컨넥터에 연결되기 위한 USB 단자와 단말기의 IF 단자에 연결되기 위한 IF 단자가 양단에 각각 설치되는 슬레이브 컨넥터를 포함하되, 상기 슬레이브 컨넥터는 상기 메인 컨넥터와 선택적으로 접속이 가능하도록 구성하여, 단말기와 컴퓨터 또는 단말기와 단말기간의 데이터 통신을 선택적으로 수행할 수 있도록 구성하므로써, 단말기와 PC, 또는 단말기와 단말기간의 데이터 통신 및 충전 기능을 하나의 USB 컨넥터 어셈블리로 수행하기 때문에 단말기를 충전시키기 위한 별도의 충전장치 또는 별도의 데이터 통신용 케이블 컨넥터를 구입하지 않아도 되므로, 비용이 절감되고, 휴대성이 용이해진다.

Description

호환 가능한 유에스비 컨넥터 및 이를 이용한 데이타 통신 방법{COMPATIBLE USB CONNECTOR AND METHOD FOR COMMUNICATING DATA USING IT}
본 발명은 USB(Universal Serial Bus) 컨넥터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단말기와 PC간의 충전 및 데이터 통신뿐만 아니라, 단말기간의 데이터 통신에 겸용으로 사용되는 USB 컨넥터 및 이를 이용한 단말기간의 데이터 통신 방법에 관한 것이다.
근자에 들어, 정보통신기술 및 반도체 제조기술이 급속히 발전하면서 산업 전반에 걸친 모든 부분에서 디지털화가 급속도로 진행되고 있다. 이러한 발전은 각종 기기, 예를 들면 PC, 휴대용 단말기, 노트북 컴퓨터등 다양한 전자기기에 적용되고 있으며, 이로 인한 다양한 주변기기가 유도되고 있는 실정이다.
한편, USB는 컴퓨터 관련 주요 업체들에 의해 개발된 컴퓨터 주변장치의 접속 표준으로써 컴퓨터의 외부 포트를 이용하여 주변장치를 손쉽고 연결시키고, 빠른 전송율로 데이터를 통신할 수 있도록 하고 있으며, 점차 디지털화 되어가는 여타 다른 기기에 적용되고 있는 추세이다. 또한, 상기 USB는 트리(tree) 구조를 가지고 있기 때문에 하나의 기기에 동시에 여러개의 주변장치를 연결시킬 수 있을뿐만 아니라 초당 12Mbit와 1.5 Mbit의 빠른 데이터 전송속도를 갖는 장점이 있다.
따라서 상기 USB는 소정의 컨넥터에 의해 데이터를 전송하게 된다. 근래들어, 무선통신산업이 급속도록 발전함에 따라, 휴대용 무선단말기가 전세계적으로 보급되고 있다. 따라서, 상기 USB 컨넥터는 PC와 휴대 단말기간의 데이터 통신에 많이 사용되고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은 USB 컨넥터는 일단은 PC의 USB 포트에 연결되기 위한 컨넥트를 구비하고 있으며, 타단은 단말기의 IF(Interface) 포트(예를들면, 18핀, 21핀, 24핀 형태의 포트)에 연결되기 위한 인테페이스 컨넥터를 가지고 있다.
그러나 상술한 바와 같은 USB 컨넥터는 일정 전압(약 5V)의 전압을 인가시키면서도 단말기의 배터리에 충전시키는 구조를 가지고 있지 않기때문에 단말기의 배터리를 충전시키려면 별도의 충전장치를 휴대하고 다녀야 하는 번거로운 문제점이 발생하게 된다. 또한, PC와 단말기간의 다른 포트를 연결시키기 위한 서로 다른 컨넥터를 가지고 있기 때문에 단말기와 단말기의 데이터 통신을 위해서는 또다른 컨넥터를 구비해야 하는 비용이 발생하며, 컨넥터를 교체해야 하는 번거로운 불편함이 발생하게 되었다.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써 본 발명은 별도의 충전장치없이 데이터 통신용 USB 컨넥터를 이용하여 데이터 통신과 동시에 충전동작이 수행될 수 있도록 구성되는 호환 가능한 USB 컨넥터를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PC와 단말기간의 데이터 통신뿐만 아니라 단말기간의 데이터 통신을 하나의 컨넥터 어셈블리로 구현할 수 있도록 구성되는 호환 가능한 USB 컨넥터를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호환 가능한 USB 컨넥터를 이용하여 단말기간의 원활한 데이터 통신을 수행할 수 있도록 구성되는 데이터 통신 방법을 제공하는데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호환가능한 USB 컨넥터의 분리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단말간의 데이터 통신을 위한 USB 컨넥터의 결합된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USB 컨넥터의 구성을 도시한 블럭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USB 컨넥터를 이용하여 PC로부터 단말기의 배터리를 충전시키는 과정을 도시한 흐름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단말기의 구성을 도시한 블럭도; 및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USB 컨넥터에 의한 단말기간의 데이터 통신 과정을 도시한 흐름도.
<도면의 주요 부호에 대한 설명>
10: 메인 컨넥터 20: 슬레이브 컨넥터
30, 40: 캡
상술한 목적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은 컴퓨터의 USB 포트에 연결되는 USB 컨넥터와, 단말기의 IF 단자에 연결되기 위한 IF 컨넥터가 양단에 각각 설치되는 메인 컨넥터와, 상기 메인 컨넥터의 USB 컨넥터에 연결되기 위한 USB 단자와 단말기의 IF 단자에 연결되기 위한 IF 단자가 양단에 각각 설치되는 슬레이브 컨넥터를 포함하되, 상기 슬레이브 컨넥터는 상기 메인 컨넥터와 선택적으로 접속이 가능하도록 구성하여, 단말기와 컴퓨터 또는 단말기와 단말기간의 데이터 통신을 선택적으로 수행할 수 있도록 구성함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USB 컨넥터에 의해 통신하는 단말기는 시스템 메모리와 데이터 메모리로 구성되는 메모리부와, 단말기의 IF 컨넥터로 입력되는 데이터를 추출하고, 출력되는 데이터를 USB 포멧으로 변환시켜주는 USB 코어와, 상기 USB 코어에 의해 입출력된 데이터를 상기 메모리부로 직접 저장시키거나 독취하는 DMA부와, 상기 USB 코어를 제어하고, 컴퓨터에 연결시 별도의 설치 프로그램 없이 상기 메모리부를 인식하게 하는 USB 제어부 및 상기 USB 제어부 및 상기 메모리부를 제어하는 단말기 제어부를 포함함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술한 구성을 갖는 단말기간의 데이터 통신 방법은 데이터 통신을 위하여 소정의 USB 컨넥터에 의해 단말기간 연결된 후 USB 모드 화면을 디스플레이 하는 과정과, 입력된 신호에 의해서 상기 USB 모드 중 호스트 모드인지 클라이언트 모드인지 판단하는 과정과, 상기 USB 모드가 호스트 모드일 경우 데이터의 송수신설정 요구를 디스플레이 하는 과정과, 상기 송수신 설정 요구에 따라 입력된 신호가 데이터 송신 모드일 경우 상기 메모리부에 저장된 파일을 디스플레이 하고 파일 선택 및 전송 여부를 묻는 과정과, 전송 명령이 입력될 시, 선택된 파일을 상대 단말기로 전송하는 과정을 포함함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호환가능한 USB 컨넥터 어셈블리(1)의 분리사시도로써, 메인 컨넥터(main connector)(10)와, 상기 메인 컨넥터(10)의 일측에 전기적으로 접속 가능하며, 착탈이 가능하도록 설치되는 슬레이브 컨넥터(slave connector)(20)가 어셈블리로써 구성된다. 부가적으로, 상기 컨넥터(1)를 사용하지 않을 경우에는 상기 메인 컨넥터(10)와 슬레이브 컨넥터(20)의 노출된 단자(컨넥터)(12, 13, 21)부위에 소정의 캡을 씌워 보관할 수 있다. 미도시 되었으나, 상기 컨넥터 어셈블리는 소정의 휴대폰용 고리등으로 구성해도 무방하다.
상기 메인 컨넥터(10)는 바디인 제어부(11)를 중심으로 단말기의 IF 단자와 접속되기 위한 IF 컨넥터(13)와, PC등 외부 기기의 USB 포트에 접속되기 위한 USB 컨넥터(12)가 양단에 각각 설치된다. 상기 제어부(11)는 PC의 데이터를 단말기로 송수신 하기 위한 데이터 전송부와, PC의 전원을 인가받아 단말기의 배터리를 충전시키기 위한 충전 제어부를 포함한다. 상기 제어부는 후술될 것이다.
그후, 상기 슬레이브 컨넥터(20)에는 상기 메인 컨넥터(10)의 USB 컨넥터(12)와 접속되는 위치에 USB 단자(22)가 설치되며, 타측에는 또 다른 단말기의 IF 단자에 접속되기 위한 IF 컨넥터(21)가 설치된다. 따라서, 상기 슬레이브 컨넥터(20)의 USB 단자(22)에는 IF 컨넥터(21)와 데이터 호환이 가능한 라인 컨버터(line converter)가 포함된다. 미도시되었으나, 상기 IF 컨넥터(12, 21)는 단말기 제조사에 따라 18pin, 21pin, 24pin등을 가질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는 않는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단말간의 데이터 통신을 위한 USB 컨넥터의 결합된 사시도로써, 메인 컨텍터(10)만 사용할 경우는 단말기와 PC와의 연결을 위하여 사용된다. 이 경우에는 상기 단말기와 PC는 데이터 송수신 뿐만 아니라, PC에서 전원을 인가받아 단말기의 배터리를 충전시키는 기능을 함께 수행할 수 있다.
또한, 메인 컨넥터(10)에 슬레이브 컨넥터(20)를 설치하여 사용하면 단말기와 단말기간의 데이터 통신을 할 수 있다. 이 경우, 단말기는 USB방식으로 데이터를 주고 받기 때문에 빠른 속도로 데이터를 송수신 할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USB 컨넥터의 구성을 도시한 블럭도로써, 메인 컨넥터와 슬레이브 컨넥터의 내부 구성을 도시하고 있다.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메인 컨넥터(10)의 제어부(11)에는 데이터 전송부(15)와 충전제어부(16)를 포함하고 있다. 상기 메인 컨넥터(10)의 USB 컨넥터(12)는 제어부(11)의 데이터 전송부(15)와 연결된 D+, D-의 두 개의 데이터 전송 라인을 가지고 있으며, 하나의 접지 단자(ground terminal)와 상기 충전 제어부(16)에 연결되어 단말기 배터리에 전원을 공급하기 위한 vbus 라인으로 구성된다.
상기 슬레이브 컨넥터(20)의 USB단자에는 소정의 라인 컨버터(25)를 구비하고 있으며, 상기 라인 컨버터(20)는 다른 단말기의 IF 단자와 연결되는 IF 컨넥터(21)와 연결되어 있다. 따라서, 하나의 단말기(50)가 PC(60)와 연결될 경우에는 메인 컨넥터(10)만을 이용하게 되며, 다른 단말기(70)와 연결시킬 경우, 상기 메인 컨넥터(10)에 슬레이브 컨넥터(20)를 접속시켜 단말기간에 데이터를 송수신 할 수 있는 것이다. 즉, 단말기간의 데이터 통신을 위한 별도의 컨넥터 장치를 구입할 필요가 없다.
도 1 내지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USB 컨넥터 어셈블리(1)는 스틱형으로 도시되었으나, 다양한 형상로 구현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미도시되었으나, 경우에 따라서, 상기 메인 컨넥터의 IF 컨넥터와 USB 컨넥터간에는 일정 길이의 케이블이 개제될 수도 있다. 그러나 메인 컨넥터와 슬레이브 컨넥터는 어떤 개제물 없이 직접 접속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USB 컨넥터를 이용하여 PC로부터 단말기의 배터리를 충전시키는 과정을 도시한 흐름도로써, PC와 휴대 단말기를 상기 메인 컨넥터를 이용하여 연결시킨다(110).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메인 컨넥터의 IF 컨넥터는 단말기의 IF 컨넥터 포트(IF 단자)에 연결되며, USB 컨넥터는 PC의 USB포트에 연결되는 과정을 거친다. 그후, 제어부의 충전 제어부는 PC로부터 인가된 전원이 안정화되었는지 판단하는 과정(120)을 수행하게 된다. 만일 인가된 전원이 안정화되지 않았으면, 상기 충전 제어부(16)는 전압 변환부(17)에 포함되어 있는 스위치(미도시됨)를 스위칭시켜 전원이 단말기의 배터리로 공급되는 것을 중지시킨다. 상기 스위치로는 공지된 n-MOS 트랜지스터를 사용할 수 있다.
한편, 인가된 전원이 안정화되었을 경우, 접압 변화부(17)로 PC의 전원을 공급하는 과정을 거친다. 그후, 단말기의 배터리를 충전하는 과정(140)을 수행한 후, 충전이 완료되는 시점(150)에서 단말기로의 전원 공급을 중단시킬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단말기의 구성을 도시한 블럭도로써, USB방식으로 PC 또는 단말기간에 데이터 통신을 할 경우 필요하다. 이러한 경우에 단말기가 PC에 연결되거나 다른 단말기에 연결될 경우 하나의 단말기를 호스트로 설정하고 나머지 하나를 클라이언트로 설정할 수 있다. 따라서, 호스트로 설정된 단말기는 클라이언트로 설정된 단말기의 메모리를 일반 USB 메모리로써 직접 억세스하여 사용이 가능하다.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한 단말기(50, 70)는 단말기의 시스템 구동에 필요한 시스템 메모리와 사용자의 입력에 따른 데이터 메모리를 포함하는 메모리부(55, 56)와, 단말기의 IF 컨넥터(51)로 입력되는 데이터를 추출하고, 출력되는 데이터를 USB 포멧으로 변환시켜주는 USB 코어(52)와, 상기 USB 코어(52)에 의해 입출력된 데이터를 상기 메모리부로 직접 저장시키거나 독취하는 DMA부(53)와, 상기 USB 코어(52)를 제어하고, 컴퓨터에 연결시 별도의 설치 프로그램 없이 상기 메모리부를 인식하게 하는 mass storage 방식의 USB 제어부(57) 및 상기 USB 제어부(57) 및 상기 메모리부(55, 56)를 제어하는 단말기 제어부(CPU)(54)를 포함한다.
상기 메모리부는 상기 단말기로 입출력되는 데이터를 USB 코어를 통해 추출하거나 USB 포맷으로 변환하여 DMA부를 통해 직접 저장 및 독출할 수 있는 플래쉬 메모리를 포함할 수 있다.
부가적으로, 상기 단말기(50)에는 만일 파일 시스템을 PC측에서 인식할 수 없는 파일 시스템이라면 인식이 가능하게 변환해 주어야 하는 수단이 필요하게 된다. 따라서, 상기 단말기(50)는 소정의 파일 시스템 변환부(58)를 더 포함할 수 있다. 그러나, PC측에서 상기 파일 시스템의 인식이 가능하다면 포함하지 않을 수 있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USB 컨넥터에 의한 단말기간의 데이터 통신 과정을 도시한 흐름도로써, 단말기의 제어부(CPU)가 단말기에 입력되는 명령에 따라 데이터 통신 과정을 제어하게 된다.
도 5 및 도 6을 참조하여 단말기간의 데이터 통신 과정을 살펴보면, 우선 데이터 통신을 위하여 소정의 USB 컨넥터에 의해 단말기간 연결된 후(210) USB 모드 화면을 디스플레이 하는 과정(212)을 수행하게 된다. 이 경우 단말기의 IF 포트(51)에 IF 컨넥터가 연결되면 이를 인식하고 자동으로 단말기의 LCD 디스플레이부에 USB 모드 화면을 띄울 수 있다. 그후, 사용자의 입력된 신호에 의해서 상기 USB 모드 중 호스트 모드인지 클라이언트 모드인지 판단하는 과정(214, 216))을 거친다. 만일 클라이언트 모드로 설정될 경우(217)일 경우 상대 단말기는 호스트 모드로 설정되기 때문에 기능 수행이 종료되는 과정을 될 수 있다.
그러나, 만일 상기 USB 모드가 호스트 모드일 경우(218)에는 데이터의 송수신 설정 요구를 디스플레이 하는 과정(220)을 수행하게 된다. 상기 송수신 설정 요구에 따라 입력된 신호가 데이터 송신 모드일 경우 상기 메모리부에 저장된 파일을 디스플레이 하고 파일 선택 및 전송 여부를 묻는 과정(224, 226)을 수행 한다. 그후, 전송 명령이 입력될 시, 선택된 파일을 상대 단말기로 전송하는 과정(228)을 수행 한다.
한편, 상기 송수신 설정 요구에 따라 입력된 신호가 데이터 수신 모드일 경우 상대 단말기의 메모리부에 저장된 파일을 디스플레이 하고 해당 파일 선택 및 수신 여부를 묻는 과정(232, 234)을 수행하게 된다. 그후, 수신 명령이 입력될 시, 상대 단말기로부터 선택된 파일 및 데이터를 도출하여 단말기의 메모리부에 저장하는 과정(236)을 수행하게 된다.
분명히, 청구항들의 범위내에 있으면서 이러한 실시예들을 변형할 수 있는 많은 방식들이 있다. 다시 말하면, 이하 청구항들의 범위를 벗어남 없이 본 발명을 실시할 수 있는 많은 다른 방식들이 있을 수 있는 것이다.
본 발명은 단말기와 PC, 또는 단말기와 단말기간의 데이터 통신 및 충전 기능을 하나의 USB 컨넥터 어셈블리로 수행하기 때문에 단말기를 충전시키기 위한 별도의 충전장치 또는 별도의 데이터 통신용 케이블 컨넥터를 구입하지 않아도 되므로, 비용이 절감되고, 휴대성이 용이한 효과가 있다.

Claims (14)

  1. 컴퓨터의 USB 포트에 연결되는 USB 컨넥터와, 단말기의 IF 단자에 연결되기 위한 IF 컨넥터가 양단에 각각 설치되는 메인 컨넥터;
    상기 메인 컨넥터의 USB 컨넥터에 연결되기 위한 USB 단자와 단말기의 IF 단자에 연결되기 위한 IF 단자가 양단에 각각 설치되는 슬레이브 컨넥터를 포함하되, 상기 슬레이브 컨넥터는 상기 메인 컨넥터와 선택적으로 접속이 가능하도록 구성하여, 단말기와 컴퓨터 또는 단말기와 단말기간의 데이터 통신을 선택적으로 수행할 수 있도록 구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호환 가능한 USB 컨넥터.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메인 컨넥터에는 바디를 형성하는 소정의 제어부가 설치되며,
    상기 제어부는 컴퓨터로부터 전원을 공급받아 단말기의 배터리를 충전시키기 위한 충전수단과,
    컴퓨터와 단말기간의 데이터 통신을 위한 데이터 전송부를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호환 가능한 USB 컨넥터.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충전 수단은,
    컴퓨터로부터 인가되는 전원(V)의 상태를 확인하여 단말기의 배터리에 공급될 정도로 안정화시키는 충전 제어부와,
    소정의 스위치를 구비하며, 상기 충전 제어부의 제어에 의해 컴퓨터로 인가된 전원이 안정화시켜 상기 스위치의 스위칭 동작에 의해 단말기의 배터리로 전원을 공급하는 전압 변환부를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호환 가능한 USB 컨넥터.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슬레이브 컨넥터의 USB 단자에는 단말기의 IF 단자로부터 송수신되는 데이터를 상기 메인 컨넥터의 USB 컨넥터로 전달하기 위한 라인 컨버터를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호환 가능한 USB 컨넥터.
  5.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슬레이브 컨넥터의 USB 단자에는 전원 공급 단자를 포함하지 않음을 특징으로 하는 호환 가능한 USB 컨넥터.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메인 컨넥터의 IF 컨넥터에는 사용하지 않을 경우 상기 컨넥터를 보호하기 위한 소정의 캡이 설치될 수 있음을 특징으로 하는 호환 가능한 USB 컨넥터.
  7. 제 1항 또는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메인 컨넥터의 USB 컨넥터와 상기 슬레이브 컨넥터의 IF 컨넥터에는 사용하지 않을 때 보호를 위하여 호환 가능한 소정의 캡이 적용됨을 특징으로 하는 호환 가능한 USB 컨넥터.
  8.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메인 컨넥터의 USB 컨넥터와 IF 컨넥터는 일정 길이의 케이블 양단에 각각 전기적으로 연결됨을 특징으로 하는 호환 가능한 USB 컨넥터.
  9. USB 방식으로 데이터 통신을 하기 위한 휴대용 단말기에 있어서,
    시스템 메모리와 데이터 메모리로 구성되는 메모리부;
    단말기의 IF 컨넥터로 입력되는 데이터를 추출하고, 출력되는 데이터를 USB 포멧으로 변환시켜주는 USB 코어;
    상기 USB 코어에 의해 입출력된 데이터를 상기 메모리부로 직접 저장시키거나 독취하는 DMA부;
    상기 USB 코어를 제어하고, 컴퓨터에 연결시 별도의 설치 프로그램 없이 상기 메모리부를 인식하게 하는 USB 제어부; 및
    상기 USB 제어부 및 상기 메모리부를 제어하는 단말기 제어부를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단말기.
  10. 제 9항에 있어서,
    상기 메모리부는 상기 단말기로 입출력되는 데이터를 USB 코어를 통해 추출하거나 USB 포맷으로 변환하여 DMA부를 통해 직접 저장 및 독출할 수 있는 플래쉬 메모리를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단말기.
  11. 제 9항 또는 제 10항에 있어서,
    상기 단말기는 컴퓨터측에서 인식이 가능하도록 파일시스템을 변환시켜주는 파일시스템 변환부를 더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단말기.
  12. 메모리부와, 단말기의 IF 컨넥터로 입력되는 데이터를 추출하고, 출력되는 데이터를 USB 포멧으로 변환시켜주는 USB 코어와, 상기 USB 코어에 의해 입출력된데이터를 상기 메모리부로 직접 저장시키거나 독취하는 DMA부와, 상기 USB 코어를 제어하는 USB 제어부 및 상기 USB 제어부 및 상기 메모리부를 제어하는 단말기 제어부로 구성되는 휴대 단말기간의 USB 방식으로 데이터 통신 방법에 있어서,
    데이터 통신을 위하여 소정의 USB 컨넥터에 의해 단말기간 연결된 후 USB 모드 화면을 디스플레이 하는 과정과;
    입력된 신호에 의해서 상기 USB 모드 중 호스트 모드인지 클라이언트 모드인지 판단하는 과정과;
    상기 USB 모드가 호스트 모드일 경우 데이터의 송수신 설정 요구를 디스플레이 하는 과정과;
    상기 송수신 설정 요구에 따라 입력된 신호가 데이터 송신 모드일 경우 상기 메모리부에 저장된 파일을 디스플레이 하고 파일 선택 및 전송 여부를 묻는 과정과;
    전송 명령이 입력될 시, 선택된 파일을 상대 단말기로 전송하는 과정을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기간의 데이터 통신 방법.
  13. 제 12항에 있어서,
    상기 모드 선택시 클라이언트 모드일 경우 상대 단말기에 의해 메모리부가 활성화될 수 있도록 모든 과정을 종료하는 과정을 더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기간의 데이터 통신 방법.
  14. 제 12항에 있어서,
    상기 송수신 설정 요구에 따라 입력된 신호가 데이터 수신 모드일 경우 상대 단말기의 메모리부에 저장된 파일을 디스플레이 하고 해당 파일 선택 및 수신 여부를 묻는 과정과;
    수신 명령이 입력될 시, 상대 단말기로부터 선택된 파일 및 데이터를 도출하여 단말기의 메모리부에 저장하는 과정을 더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기간 데이더 통신 방법.
KR1020030046314A 2003-07-09 2003-07-09 호환 가능한 유에스비 컨넥터 및 이를 이용한 데이타 통신방법 KR20050006484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30046314A KR20050006484A (ko) 2003-07-09 2003-07-09 호환 가능한 유에스비 컨넥터 및 이를 이용한 데이타 통신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30046314A KR20050006484A (ko) 2003-07-09 2003-07-09 호환 가능한 유에스비 컨넥터 및 이를 이용한 데이타 통신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50006484A true KR20050006484A (ko) 2005-01-17

Family

ID=3722029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30046314A KR20050006484A (ko) 2003-07-09 2003-07-09 호환 가능한 유에스비 컨넥터 및 이를 이용한 데이타 통신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50006484A (ko)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59515B1 (ko) * 2004-01-26 2006-12-20 주식회사 텔레칩스 Usb 동작모드의 자동스위칭 방법, 및 이를 이용한단일포트 usb 장치
KR100753249B1 (ko) * 2006-05-09 2007-08-30 엘지전자 주식회사 전자장치 충전용 커넥터
CN101976791A (zh) * 2010-10-13 2011-02-16 徐州华夏电子有限公司 一种车辆使用的数据接口转换装置
US8116814B2 (en) 2005-04-27 2012-02-14 Lg Electronics Inc. Mobile communications terminal using multi-functional socket and method thereof
KR101231041B1 (ko) * 2005-04-27 2013-02-07 엘지전자 주식회사 다기능 소켓을 사용하는 휴대 단말기 및 그 방법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59515B1 (ko) * 2004-01-26 2006-12-20 주식회사 텔레칩스 Usb 동작모드의 자동스위칭 방법, 및 이를 이용한단일포트 usb 장치
US8116814B2 (en) 2005-04-27 2012-02-14 Lg Electronics Inc. Mobile communications terminal using multi-functional socket and method thereof
KR101231041B1 (ko) * 2005-04-27 2013-02-07 엘지전자 주식회사 다기능 소켓을 사용하는 휴대 단말기 및 그 방법
KR100753249B1 (ko) * 2006-05-09 2007-08-30 엘지전자 주식회사 전자장치 충전용 커넥터
CN101976791A (zh) * 2010-10-13 2011-02-16 徐州华夏电子有限公司 一种车辆使用的数据接口转换装置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921244B2 (en) Data sharing and transfer systems and methods
US6836814B2 (en)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device
US5573425A (en) Communication cable used in a computer system
KR101278466B1 (ko) 쾌속 충전이 가능한 데이터 케이블
US7841903B2 (en) Adaptor and wireless communication module
US20030212838A1 (en) Small memory device with drivers on device
US20070239924A1 (en) Electronic device transmitting audio-and-video signals with USB connector
US20070180181A1 (en) USB interface provided with host/device function and its control method
US7802047B2 (en) Universal serial bus device and universal serial bus system including the same
WO2022095606A1 (zh) 信息读取方法、设备、线缆、充电系统及计算机存储介质
KR20050006484A (ko) 호환 가능한 유에스비 컨넥터 및 이를 이용한 데이타 통신방법
KR100651204B1 (ko) 휴대용 단말기에서 외부 장치와의 인터페이스 장치 및 방법
KR20030057250A (ko) Host 기능을 겸비한 USB 디지털 카메라 시스템
KR200352806Y1 (ko) 다기능 유에스비 컨넥터
KR100431942B1 (ko) 유에스비 포트를 이용한 통신기능을 갖는 장치용 통신용케이블 장치 및 그를 이용한 데이터 처리방법
KR200377353Y1 (ko) 스위칭 기능을 가지는 데이터통신용 장치
KR200217331Y1 (ko) 블루투스칩을 내장하는 정보단말기용 어댑터
KR20050040549A (ko) 외부장치를 자동 인식하기 위한 이동통신 단말기
KR100393811B1 (ko) 이동통신 단말기의 데이터 인터페이스 장치
KR200329834Y1 (ko) 멀티 플러그를 구비한 usb 저장 장치
KR100468788B1 (ko) Usb otg 인터페이스 블락과 usb otg인터페이싱 방법
KR200341165Y1 (ko) 휴대폰의 데이터 포트를 이용한 유에스비 연결 단자
KR20040100112A (ko) 컴퓨터와 이동통신 단말기의 입력수단을 공유하는 장치 및그 방법
KR200288185Y1 (ko) Usb 단자를 내장한 휴대폰
KR200320139Y1 (ko) 휴대전화 단말기의 입출력 단자를 갖는 컴퓨터 모니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NORF Unpaid initial registration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