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468788B1 - Usb otg 인터페이스 블락과 usb otg인터페이싱 방법 - Google Patents

Usb otg 인터페이스 블락과 usb otg인터페이싱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468788B1
KR100468788B1 KR10-2003-0034834A KR20030034834A KR100468788B1 KR 100468788 B1 KR100468788 B1 KR 100468788B1 KR 20030034834 A KR20030034834 A KR 20030034834A KR 100468788 B1 KR100468788 B1 KR 10046878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ignal
vbus
sess
usb otg
vl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3-003483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40102976A (ko
Inventor
남정우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3-003483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468788B1/ko
Publication of KR2004010297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010297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46878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468788B1/ko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3/00Interconnection of, or transfer of information or other signals between, memories, input/output devices or central processing units
    • G06F13/38Information transfer, e.g. on bus
    • G06F13/382Information transfer, e.g. on bus using universal interface adapter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3/00Interconnection of, or transfer of information or other signals between, memories, input/output devices or central processing units
    • G06F13/10Program control for peripheral devices
    • G06F13/102Program control for peripheral devices where the programme performs an interfacing function, e.g. device drive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Information Transfer Systems (AREA)

Abstract

USB OTG의 링크 블락과 트랜시버 블락 사이의 신호 포트 수를 줄일 수 있는 USB OTG 인터페이스 블락과 USB OTG 인터페이싱 방법이 개시된다. 본 발명의 USB OTG 인테페이스 블락은 id 신호를 수신하고 loc_conn 신호를 출력하는 링크 블락과 id 신호를 출력하고 loc_conn 신호를 수신하는 트랜시버 블락을 포함한다. 링크 블락은 제1 및 제2 디먹스와 제3 먹스를 포함하고, 트랜시버 블락은 제1 및 제2 먹스와 제3 디먹스를 포함한다. 제1 먹스 및 제1 디먹스는 id 신호에 응답하여 a_vbus_vld 신호와 b_sess_end 신호를 선택적으로 송수신하고, 제2 먹스 및 제2 디먹스는 id 신호에 응답하여 a_sess_vld 신호와 b_sess_vld 신호를 선택적으로 송수신하고, 제3 먹스 및 제3 디먹스는 id 신호에 응답하여 drv_vbus 신호와 chg_vbus 신호를 선택적으로 송수신한다. 따라서, 본 발명에 의하면, id 신호에 응답하여 A 장치 신호들과 B 장치 신호들을 구분할 수 있기 때문에 링크 블락과 트랜시버 블락 사이의 신호 포트 수를 줄일 수 있다.

Description

USB OTG 인터페이스 블락과 USB OTG 인터페이싱 방법{USB OTG interface block and USB OTG intrfacing method}
본 발명은 USB 인터페이스에 관한 것으로, 특히 USB OTG의 링크 블락과 트랜시버 블락 사이의 신호 포트 수를 줄일 수 있는 USB OTG 인터페이스 블락과 USB OTG 인터페이싱 방법에 관한 것이다.
사용자들과 사업자들은 휴대용 장치들끼리 또는 휴대용 장치와 다양한 주변 장치들을 연결시키는 것에 대하여 필요성을 주장해왔다. 수많은 연결 방법이 서로 다른 휴대용 제품, 예컨대 소프트웨어 보호 장치인 동글(dongle), 슬롯들, 컨넥터들, 그리고 메모리 카드 등의 공급자들에 의해 제공되었다. 이러한 혼돈 상태에 대한 대책으로, 여러개의 모바일 폰, PDA, 그리고 휴대용 제품 공급자들이 협력하여 널리 알려진 USB 표준에다가 휴대용 장치에 맞게끔 고쳐진 새로운 표준을 만들었다. 이러한 결과로 USB On-The-Go(OTG) 규정이 개발되었다.
USB OTG는 도 1과 같이 USB 2.0 규정에서 모바일 장치들과 USB 주변 장치들에 연결시키기 위한 호스트 기능(host function)이 추가된 새로운 부록이다. 통상적으로, USB는 PC가 호스트이고 주변 장치는 상대적으로 덤(dumb) 장치로 인식되는 호스트-주변 토폴로지(topology)로 구성되어 있다. USB OTG는 모바일 장치들을 위하여 새로운 특징들을 추가하여 표준 USB 규정을 업그레이드시켰다.
USB OTG의 특징들은 다음과 같다. 첫번째로, 더욱 작아진 USB 컨넥터와 케이블을 들 수 있다. 두번째로, USB 드라이버 없이 타겟 디바이스(target device)를 정해 지원 가능한 장치를 제한하고, 세번째로, 서로 호스트와 주변의 역활이 가능한 듀얼-롤(dual role) 장치로써 이들 사이의 스위칭이 가능하고, 네번째로, 전력소모가 작다는 특징이 있다. USB OTG에서 제공되는 A 장치와 B 장치에 대한 스테이트 다이어그램은 도 2 및 도 3과 같이 설명된다.
도 2는 A 장치의 스테이트 다이어그램을 설명하는 도면이다. 이를 참조하면, 1 단계는 USB 케이블에 B 장치가 꽂혔는지 여부를 확인하고, 2 단계는 A 장치의 V BUS 라인으로 파워-업 되었는지를 확인하고, 3 단계는 B 장치가 연결되기를 기다리고, 4 단계는 A 장치가 호스트로 동작하고, 5, 9, 14 및 17 단계는 A 장치쪽의 USB 케이블이 뽑혔거나 A 장치가 동작할 필요가 없을 때이고, 6 단계는 A 장치가 휴지기로 들어간다. 7, 11, 16 및 19 단계는 A 장치의 VBUS 라인의 전원 이상이 발생했을 때이고, 8, 12 및 15 단계는 B 장치가 뽑혔을 때이고, 10 단계는 B 장치의 호스트 결정에 따라 A 장치가 주변 장치가 되고, 13 단계는 A 장치가 휴지기 상태에서 호스트로 동작하고, 18 단계는 A 장치에 아무런 동작이 일어나지 않는다.
도 3은 B 장치의 스테이트 다이어그램을 설명하는 도면이다. 이를 참조하면, 1 단계는 USB 케이블에 A 장치가 꽂혔는지 여부를 확인하고, 2 및 3 단계는 B 장치가 호스트로 동작하기 위한 세션 리퀘스트 프로토콜(session request protocol)을 초기화시킨다. 4, 7 및 9 단계는 B 장치가 주변 장치로 동작하고, 6 단계는 USB 케이블에 A 장치가 꽂히기를 기다리고, 8 단계는 B 장치가 호스트로 동작하고, 5, 10 및 11 단계는 B 장치에 아무런 동작이 일어나지 않는다.
도 2 및 도 3의 동작 스테이트 다이어그램에서 알 수 있듯이, A 장치 및 B 장치는 자신이 호스트인지 아니면 주변 장치인지 여부에 따라 그 상태가 달라진다. 이러한 동작 스테이트를 위하여, A 장치 또는 B 장치는 그 내부에 디지털 블락인링크(link) 블락과 아날로그 블락인 트랜시버(tranceiver) 블락을 두고 USB 신호 전송을 위하여 서로 인터페이스된다.
도 4는 링크 블락과 트랜시버 블락과의 인터페이스 구조를 설명하는 도면이다. 이를 참조하면, 링크 블락과 블락과 트랜시버 블락 사이에 다수개의 신호들, 즉 a_vbus_vld, a_sess_vld, b_sess_vld, b_sess_end, drv_vbus, chg_vbus, id, 그리고 pullup register 신호들이 전송된다. 이러한 신호들을 사용하는 장치를 살펴보면, 도 5와 같이 A 장치에만, 그리고 도 6과 같이 B 장치에만 한정되어 사용되는 신호들로 구분된다. A 장치 신호들과 B 장치 신호들은 id 신호에 의해 구분될 수 있으므로, 이들 신호들을 id 신호로 선별할 수 있다면 링크 블락과 트랜시버 블락 사이의 신호 포트 수를 줄일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의 목적은 USB OTG 장치 내의 링크 블락과 트랜시버 블락 사이의 신호 포트 수를 줄일 수 있는 신호 인터페이스 블락을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USB OTG 장치 내의 링크 블락과 트랜시버 블락 사이의 신호 인터페이싱 방법을 제공하는 데 있다.
도 1은 USB OTG 규정의 모바일 장치들의 연결 상태를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2는 USB OTG 규정에서 A 장치의 스테이트 다이어그램을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3은 USB OTG 규정에서 B 장치의 스테이트 다이어그램을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4는 USB OTG 장치의 링크 블락과 트랜시버 블락과의 인터페이스 구조를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5는 도 4의 인터페이스 구조에서 USB OTG 규정의 A 장치에만 사용되는 신호들을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6은 도 4의 인터페이스 구조에서 USB OTG 규정의 B 장치에만 사용되는 신호들을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USB OTG 인터페이스 블락을 설명하는 도면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USB OTG 장치 내부의 신호들을 전송하는 인테페이스 블락에 있어서, id 신호를 수신하고 loc_conn 신호를 출력하는 상기 USB OTG 장치의 링크 블락은 제1 및 제2 디먹스 및 제3 먹스를 포함하고, id 신호를 출력하고 loc_conn 신호를 수신하는 USB OTG 장치의 트랜시버 블락은 제1및 제2 먹스와 제3 디먹스를 포함하고, id 신호에 응답하여 a_vbus_vld 신호와 b_sess_end 신호를 선택적으로 수신하는 제1 디먹스; id 신호에 응답하여 a_sess_vld 신호와 b_sess_vld 신호를 선택적으로 수신하는 제2 디먹스; 및 id 신호에 응답하여 drv_vbus 신호와 chg_vbus 신호를 선택적으로 출력하여 제3 먹스; id 신호에 응답하여 a_vbus_vld 신호와 b_sess_end 신호를 선택적으로 출력하여 제1 디먹스로 전송하는 제1 먹스; id 신호에 응답하여 a_sess_vld 신호와 b_sess_vld 신호를 선택적으로 출력하여 제2 디먹스로 전송하는 제2 먹스; id 신호에 응답하여 제3 먹스로부터 전송된 drv_vbus 신호와 chg_vbus 신호를 선택적으로 수신하는 제3 디먹스를 포함한다.
상기 다른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USB OTG 장치 내부의 신호들을 전송하는 링크 블락과 트랜시버 블락 사이의 인테페이싱 방법에 있어서, 트랜시버 블락에서 링크 블락으로 id 신호를 전송하는 단계; 링크 블락에서 트랜시버 블락으로 loc_conn 신호를 전송하는 단계; 트랜시버 블락에서 id 신호에 응답하여 a_vbus_vld 신호와 b_sess_end 신호를 선택적으로 출력하여 링크 블락으로 전송하는 단계; 링크 블락에서 id 신호에 응답하여 트랜시버 블락에서 전송된 a_vbus_vld 신호와 b_sess_end 신호를 선택적으로 수신하는 단계; 트랜시버 블락에서 id 신호에 응답하여 a_sess_vld 신호와 b_sess_vld 신호를 선택적으로 출력하여 링크 블락으로 전송하는 단계; 링크 블락에서 id 신호에 응답하여 a_sess_vld 신호와 b_sess_vld 신호를 선택적으로 수신하는 단계; 링크 블락에서 id 신호에 응답하여 drv_vbus 신호와 chg_vbus 신호를 선택적으로 출력하여 트랜시버 블락으로 전송하는 단계; 및 트랜시버 블락에서 id 신호에 응답하여 drv_vbus 신호와 chg_vbus 신호를 선택적으로 수신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따라서, 본 발명에 의하면, id 신호에 응답하여 A 장치 신호들과 B 장치 신호들을 구분할 수 있기 때문에 링크 블락과 트랜시버 블락 사이의 신호 포트 수를 줄일 수 있다.
본 발명과 본 발명의 동작상의 이점 및 본 발명의 실시에 의하여 달성되는 목적을 충분히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 발명의 예시적인 실시예를 설명하는 첨부 도면 및 첨부 도면에 기재된 내용을 참조하여야만 한다.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설명함으로써,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한다. 각 도면에 제시된 동일한 참조부호는 동일한 부재를 나타낸다. 본 발명은 USB 2.0 규정의 OTG 부록(supplement)을 근거로 하여 여기에 기록된 신호들을 예로 들어 설명한다.
도 7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USB OTG 인터페이스 블락을 설명하는 도면이다. 이를 참조하면, USB OTG 인테페이스 블락(700)은 링크 블락(710)과 트랜시버 블락(720)을 포함한다. 링크 블락(710)은 id 신호를 수신하고 loc_conn 신호를 출력하며 제1 및 제2 디먹스들(712, 714)과 제3 먹스(716)를 포함한다. 트랜시버 블락(720)은 id 신호를 출력하고 loc_conn 신호를 수신하며 제1 및 제2 먹스들(722, 724)과 제3 먹스(726)을 포함한다.
트랜시버 블락(720)은 링크 블락(710)으로 id 신호를 전송하고, 링크 블락(710)은 트랜시버 블락(720)으로 loc_conn 신호를 전송한다. 트랜시버블락(720)에서는 id 신호에 응답하는 제1 먹스(722)를 통하여 a_vbus_vld 신호와 b_sess_end 신호를 선택적으로 출력하여 링크 블락(710)으로 전송한다. 링크 블락(710)에서는 id 신호에 응답하는 제1 디먹스(712)를 통하여 트랜시버(710) 블락에서 전송된 a_vbus_vld 신호와 b_sess_end 신호를 선택적으로 수신한다.
그리고, 트랜시버 블락(720)에서는 id 신호에 응답하는 제2 먹스(724)를 통하여 a_sess_vld 신호와 b_sess_vld 신호를 선택적으로 출력하여 링크 블락(710)으로 전송한다. 링크 블락(710)에서는 id 신호에 응답하는 제2 디먹스(714)를 통하여 a_sess_vld 신호와 b_sess_vld 신호를 선택적으로 수신한다.
한편, 링크 블락(710)에서는 id 신호에 응답하는 제3 먹스(716)를 통하여 drv_vbus 신호와 chg_vbus 신호를 선택적으로 출력하여 트랜시버 블락(720)으로 전송한다. 트랜시버 블락(720)에서는 id 신호에 응답하는 제3 디먹스를 통하여 링크 블락(710)에서 전송된 drv_vbus 신호와 chg_vbus 신호를 선택적으로 수신한다.
여기에서, a_vbus_vld 신호는 A 장치의 VBUS 전압이 A 장치 유효 임계치(A device Session Valid threshold) 이상이 되면 발생되는 신호이다. a_sess_vld 신호는 A 장치가 유효하다는 것을 의미하는 것으로, A 장치는 A 장치에 전원이 유효한 동안 VBUS를 모니터링하여 VBUS가 A 장치 유효 임계치(A device Session Valid threshold)를 넘으면 SRP(Session Request Protocol)이 검출되었음을 알리는 신호이다.
b_sess_vld 신호는 B 장치가 유효하다는 것을 의미하는 것으로, B 장치는 B 장치에 전원이 유효한 동안 VBUS를 모니터링하여 VBUS가 B 장치 유효 임계치(Bdevice Session Valid threshold)를 넘으면 B 장치가 프로세스 상에 개입(session)된 것으로 여기는 신호이다. b_sess_end 신호는 B 장치가 VBUS의 전압을 모니터링하여 B 장치 종료 전압(B device Session End threshold) 이하가 되면 발생되는 신호이다.
drv_vbus 신호는 A 장치가 VBUS를 드라이빙할 때 발생되는 신호이고, chg_vbus 신호는 B 장치가 저항을 통해 VBUS를 차아징시킬 때 발생되는 신호이다. id 신호는 미니 A 플러그(Mini-A plug)가 장치의 미니 AB 소켓(receptacle)에 꽂혔을 때 발생되는 신호이고, loc_conn 신호는 로컬 장치들이 버스에 연결되었을 때 발생되는 신호이다. 본 실시예에서의 A 장치 또는 B 장치는 USB OTG 규정에서 설명되는 휴대폰, PDA, 디지털 카메라, 프린터 또는 USB 주변 장치들 중의 어느 하나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USB OTG 인터페이스 블락에 의하면, id 신호에 응답하는 먹스들을 채용하여 A 장치 신호들과 B 장치 신호들을 구분할 수 있기 때문에, 링크 블락과 트랜시버 블락 사이의 신호 포트 수를 줄일 수 있다.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일 실시예를 참고로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본 기술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 범위는 첨부된 등록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해 정해져야 할 것이다.
상술한 본 발명에 의하면, id 신호에 응답하여 A 장치 신호들과 B 장치 신호들을 구분할 수 있기 때문에 링크 블락과 트랜시버 블락 사이의 신호 포트 수를 줄일 수 있다.

Claims (20)

  1. USB OTG 장치 내부의 신호들을 전송하는 인테페이스 블락에 있어서,
    id 신호를 수신하고 loc_conn 신호를 출력하는 상기 USB OTG 장치의 링크 블락은 제1 및 제2 디먹스 및 제3 먹스를 포함하고,
    상기 id 신호를 출력하고 상기 loc_conn 신호를 수신하는 상기 USB OTG 장치의 트랜시버 블락은 제1 및 제2 먹스와 제3 디먹스를 포함하고,
    상기 id 신호에 응답하여 a_vbus_vld 신호와 b_sess_end 신호를 선택적으로 수신하는 상기 제1 디먹스;
    상기 id 신호에 응답하여 a_sess_vld 신호와 b_sess_vld 신호를 선택적으로 수신하는 상기 제2 디먹스;
    상기 id 신호에 응답하여 drv_vbus 신호와 chg_vbus 신호를 선택적으로 출력하여 상기 제3 먹스;
    상기 id 신호에 응답하여 상기 a_vbus_vld 신호와 상기 b_sess_end 신호를 선택적으로 출력하여 상기 제1 디먹스로 전송하는 상기 제1 먹스;
    상기 id 신호에 응답하여 상기 a_sess_vld 신호와 상기 b_sess_vld 신호를 선택적으로 출력하여 상기 제2 디먹스로 전송하는 상기 제2 먹스;
    상기 id 신호에 응답하여 상기 제3 먹스로부터 전송된 상기 drv_vbus 신호와 상기 chg_vbus 신호를 선택적으로 수신하는 상기 제3 디먹스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USB OTG 인터페이스 블락.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a_vbus_vld 신호는
    A 장치의 VBUS 전압이 A 장치 유효 임계치(A device Session Valid threshold) 이상이 되면 발생되는 신호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USB OTG 인터페이스 블락.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a_sess_vld 신호는
    A 장치가 유효하다는 것을 의미하는 것으로, A 장치는 A 장치에 전원이 유효한 동안 VBUS를 모니터링하여 VBUS가 A 장치 유효 임계치(A device Session Valid threshold)를 넘으면 SRP(Session Request Protocol)이 검출되었음을 알리는 신호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USB OTG 인터페이스 블락.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b_sess_vld 신호는
    B 장치가 유효하다는 것을 의미하는 것으로, B 장치는 B 장치에 전원이 유효한 동안 VBUS를 모니터링하여 VBUS가 B 장치 유효 임계치(B device Session Valid threshold)를 넘으면 B 장치가 프로세스 상에 개입(session)된 것으로 여겨지는 신호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USB OTG 인터페이스 블락.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b_sess_end 신호는
    B 장치가 VBUS의 전압을 모니터링하여 B 장치 종료 전압(B device Session End threshold) 이하가 되면 발생되는 신호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USB OTG 인터페이스 블락.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drv_vbus 신호는
    A 장치가 VBUS를 드라이빙할 때 발생되는 신호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USB OTG 인터페이스 블락.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chg_vbus 신호는
    B 장치가 저항을 통해 VBUS를 차아징시킬 때 발생되는 신호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USB OTG 인터페이스 블락.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id 신호는
    미니 A 플러그(Mini-A plug)가 장치의 미니 AB 소켓(receptacle)에 꽂혔을 때 발생되는 신호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USB OTG 인터페이스 블락.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loc_conn 신호는
    로컬 장치들이 버스에 연결되었을 때 발생되는 신호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USB OTG 인터페이스 블락.
  10. 제1항 내지 제9항 중 어느 하나의 항에 있어서,
    상기 A 장치 또는 상기 B 장치는 휴대폰, PDA, 디지털 카메라, 프린터 또는 USB 주변 장치들 중의 어느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USB OTG 인터페이스 블락.
  11. USB OTG 장치 내부의 신호들을 전송하는 링크 블락과 트랜시버 블락 사이의 인테페이싱 방법에 있어서,
    상기 트랜시버 블락에서 상기 링크 블락으로 id 신호를 전송하는 단계;
    상기 링크 블락에서 상기 트랜시버 블락으로 loc_conn 신호를 전송하는 단계;
    상기 트랜시버 블락에서 상기 id 신호에 응답하여 a_vbus_vld 신호와 b_sess_end 신호를 선택적으로 출력하여 상기 링크 블락으로 전송하는 단계;
    상기 링크 블락에서 상기 id 신호에 응답하여 상기 트랜시버 블락에서 전송된 상기 a_vbus_vld 신호와 상기 b_sess_end 신호를 선택적으로 수신하는 단계;
    상기 트랜시버 블락에서 상기 id 신호에 응답하여 a_sess_vld 신호와 b_sess_vld 신호를 선택적으로 출력하여 상기 링크 블락으로 전송하는 단계;
    상기 링크 블락에서 상기 id 신호에 응답하여 상기 a_sess_vld 신호와 상기 b_sess_vld 신호를 선택적으로 수신하는 단계;
    상기 링크 블락에서 상기 id 신호에 응답하여 drv_vbus 신호와 chg_vbus 신호를 선택적으로 출력하여 상기 트랜시버 블락으로 전송하는 단계; 및
    상기 트랜시버 블락에서 상기 id 신호에 응답하여 상기 drv_vbus 신호와 상기 chg_vbus 신호를 선택적으로 수신하는 단계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USB OTG 인터페이싱 방법.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a_vbus_vld 신호는
    A 장치의 VBUS 전압이 A 장치 유효 임계치(A device Session Valid threshold) 이상이 되면 발생되는 신호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USB OTG 인터페이싱 방법.
  13.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a_sess_vld 신호는
    A 장치가 유효하다는 것을 의미하는 것으로, A 장치는 A 장치에 전원이 유효한 동안 VBUS를 모니터링하여 VBUS가 A 장치 유효 임계치(A device Session Valid threshold)를 넘으면 SRP(Session Request Protocol)이 검출되었음을 알리는 신호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USB OTG 인터페이싱 방법.
  14.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b_sess_vld 신호는
    B 장치가 유효하다는 것을 의미하는 것으로, B 장치는 B 장치에 전원이 유효한 동안 VBUS를 모니터링하여 VBUS가 B 장치 유효 임계치(B device Session Valid threshold)를 넘으면 B 장치가 프로세스 상에 개입(session)된 것으로 여겨지는 신호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USB OTG 인터페이싱 방법.
  15.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b_sess_end 신호는
    B 장치가 VBUS의 전압을 모니터링하여 B 장치 종료 전압(B device Session End threshold) 이하가 되면 발생되는 신호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USB OTG 인터페이싱 방법.
  16.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drv_vbus 신호는
    A 장치가 VBUS를 드라이빙할 때 발생되는 신호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USB OTG 인터페이싱 방법.
  17.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chg_vbus 신호는
    B 장치가 저항을 통해 VBUS를 차아징시킬 때 발생되는 신호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USB OTG 인터페이싱 방법.
  18.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id 신호는
    미니 A 플러그(Mini-A plug)가 장치의 미니 AB 소켓(receptacle)에 꽂혔을 때 발생되는 신호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USB OTG 인터페이싱 방법.
  19.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loc_conn 신호는
    로컬 장치들이 버스에 연결되었을 때 발생되는 신호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USB OTG 인터페이싱 방법.
  20. 제11항 내지 제19항 중 어느 하나의 항에 있어서,
    상기 A 장치 또는 상기 B 장치는 휴대폰, PDA, 디지털 카메라, 프린터 또는 USB 주변 장치들 중의 어느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USB OTG 인터페이싱 방법.
KR10-2003-0034834A 2003-05-30 2003-05-30 Usb otg 인터페이스 블락과 usb otg인터페이싱 방법 KR10046878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3-0034834A KR100468788B1 (ko) 2003-05-30 2003-05-30 Usb otg 인터페이스 블락과 usb otg인터페이싱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3-0034834A KR100468788B1 (ko) 2003-05-30 2003-05-30 Usb otg 인터페이스 블락과 usb otg인터페이싱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0102976A KR20040102976A (ko) 2004-12-08
KR100468788B1 true KR100468788B1 (ko) 2005-01-29

Family

ID=3737916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3-0034834A KR100468788B1 (ko) 2003-05-30 2003-05-30 Usb otg 인터페이스 블락과 usb otg인터페이싱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468788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0859640B2 (en) 2017-09-12 2020-12-08 Samsung Electronics Co., Ltd. Device and method of detecting leakage current generation condition in USB interface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86877B1 (ko) * 2005-01-31 2007-02-23 엘지전자 주식회사 Usb 호스트 및 디바이스 기능을 지원하는 usb 시스템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0859640B2 (en) 2017-09-12 2020-12-08 Samsung Electronics Co., Ltd. Device and method of detecting leakage current generation condition in USB interface
US11573275B2 (en) 2017-09-12 2023-02-07 Samsung Electronics Co., Ltd. Device and method of detecting leakage current generation condition in USB interfac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0102976A (ko) 2004-12-0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1771020B1 (en) Communication interface for an electric device
KR100755971B1 (ko) 듀얼 인터페이스 방식으로 동작하는 단일 포트 유에스비장치
US20060106962A1 (en) USB On-The-Go implementation
EP1550045B1 (en) Device operable as both a host and a non-host (i.e. dual-mode device)
KR100720708B1 (ko) 무선 usb drd 시스템
US20070239924A1 (en) Electronic device transmitting audio-and-video signals with USB connector
JP2005025405A (ja) Usbインターフェースシステム
KR101861788B1 (ko) 디바이스 인터페이스 및 장치
CN109471493B (zh) 扩展坞装置、电子装置及设置基本输入输出系统的方法
US10380049B2 (en) Multi-host supported universal serial bus hub and automobile head unit using the same
KR20020080186A (ko) 이동통신단말기의 직렬 및 유에스비 포트에 대한 공용인터페이스장치
CN101339542B (zh) 一种数据传输设备、控制电路芯片及工作模式控制方法
KR100851297B1 (ko) Usb 케이블 장치
KR100422376B1 (ko) 고속 무선 데이터 통신이 가능한 카드장치
KR100468788B1 (ko) Usb otg 인터페이스 블락과 usb otg인터페이싱 방법
KR20070023429A (ko) 범용직렬버스를 이용한 적외선 통신 장치
KR100651204B1 (ko) 휴대용 단말기에서 외부 장치와의 인터페이스 장치 및 방법
CN111400225B (zh) Usb转接电路
KR20040058521A (ko) Usb 인터페이스 기능을 갖춘 다기능 블루투스송수신장치
KR20050006484A (ko) 호환 가능한 유에스비 컨넥터 및 이를 이용한 데이타 통신방법
KR200377353Y1 (ko) 스위칭 기능을 가지는 데이터통신용 장치
KR200329462Y1 (ko) 이동통신 단말기의 데이터 통신 인터페이스 장치
CA2540609A1 (en) System and method for powering a peripheral device
KR200341165Y1 (ko) 휴대폰의 데이터 포트를 이용한 유에스비 연결 단자
KR20050005806A (ko) 이동통신 단말기의 데이터 통신 인터페이스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