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0015237A - 연도가스의 정화방법 - Google Patents

연도가스의 정화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0015237A
KR20030015237A KR1020027015030A KR20027015030A KR20030015237A KR 20030015237 A KR20030015237 A KR 20030015237A KR 1020027015030 A KR1020027015030 A KR 1020027015030A KR 20027015030 A KR20027015030 A KR 20027015030A KR 20030015237 A KR20030015237 A KR 2003001523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lue gas
carbon
purification
solid
activated carb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2701503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637977B1 (ko
Inventor
디르크 반데클레우트
로베르트 얀 데욘게
Original Assignee
노리트 네덜란드 비.브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노리트 네덜란드 비.브이. filed Critical 노리트 네덜란드 비.브이.
Publication of KR2003001523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001523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63797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637977B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53/00Separation of gases or vapours; Recovering vapours of volatile solvents from gases; Chemical or biological purification of waste gases, e.g. engine exhaust gases, smoke, fumes, flue gases, aerosols
    • B01D53/02Separation of gases or vapours; Recovering vapours of volatile solvents from gases; Chemical or biological purification of waste gases, e.g. engine exhaust gases, smoke, fumes, flue gases, aerosols by adsorption, e.g. preparative gas chromatography
    • CCHEMISTRY; METALLURGY
    • C22METALLURGY; FERROUS OR NON-FERROUS ALLOYS; TREATMENT OF ALLOYS OR NON-FERROUS METALS
    • C22BPRODUCTION AND REFINING OF METALS; PRETREATMENT OF RAW MATERIALS
    • C22B34/00Obtaining refractory metals
    • C22B34/10Obtaining titanium, zirconium or hafnium
    • C22B34/12Obtaining titanium or titanium compounds from ores or scrap by metallurgical processing; preparation of titanium compounds from other titanium compounds see C01G23/00 - C01G23/08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53/00Separation of gases or vapours; Recovering vapours of volatile solvents from gases; Chemical or biological purification of waste gases, e.g. engine exhaust gases, smoke, fumes, flue gases, aerosols
    • B01D53/02Separation of gases or vapours; Recovering vapours of volatile solvents from gases; Chemical or biological purification of waste gases, e.g. engine exhaust gases, smoke, fumes, flue gases, aerosols by adsorption, e.g. preparative gas chromatography
    • B01D53/04Separation of gases or vapours; Recovering vapours of volatile solvents from gases; Chemical or biological purification of waste gases, e.g. engine exhaust gases, smoke, fumes, flue gases, aerosols by adsorption, e.g. preparative gas chromatography with stationary adsorbents
    • CCHEMISTRY; METALLURGY
    • C22METALLURGY; FERROUS OR NON-FERROUS ALLOYS; TREATMENT OF ALLOYS OR NON-FERROUS METALS
    • C22BPRODUCTION AND REFINING OF METALS; PRETREATMENT OF RAW MATERIALS
    • C22B7/00Working up raw materials other than ores, e.g. scrap, to produce non-ferrous metals and compounds thereof; Methods of a general interest or applied to the winning of more than two metals
    • C22B7/02Working-up flue dus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2253/00Adsorbents used in seperation treatment of gases and vapours
    • B01D2253/10Inorganic adsorbents
    • B01D2253/102Carb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2258/00Sources of waste gase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P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IN THE PRODUCTION OR PROCESSING OF GOODS
    • Y02P10/00Technologies related to metal processing
    • Y02P10/20Recycling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S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S95/00Gas separation: processes
    • Y10S95/90Solid sorbent
    • Y10S95/901Activated carbon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Metallurgy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Geology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Oil, Petroleum & Natural Gas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Analytical Chemistry (AREA)
  • Treating Waste Gases (AREA)
  • Solid-Sorbent Or Filter-Aiding Compositions (AREA)
  • Waste-Gas Treatment And Other Accessory Devices For Furnaces (AREA)
  • Filtering Of Dispersed Particles In Gases (AREA)
  • Incineration Of Waste (AREA)
  • Vaporization, Distillation, Condensation, Sublimation, And Cold Trap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연도가스의 정화방법에 관한 것으로, 여기서 연도가스는 탄소함유 재료와 접촉하고, 상기 탄소함유 재료는 티탄함유 광석으로부터의 합성 금홍석 생산에 의한 고형 탄소함유 잔류물을 포함한다.

Description

연도가스의 정화방법{PROCESS FOR THE PURIFICATION OF FLUE GAS}
여러 산업공정은 플라이애쉬, 산성기체, NOx, 다이옥신, 푸란 및 중금속 화합물과 같은 환경적으로 유해한 물질을 함유하는 연도가스를 엄청난 양으로 생산한다. 이와 같은 산업의 예로서 각종 공급물(생활폐기물, 병원폐기물, 위험물 폐기물) 태우는 폐기물 소각장, 야금공장, 금속재생공장, 발전소, 시멘트 공장 등이 있다.
많은 공장들은 유해물질의 방출을 줄이기 위해, 그들의 연도가스를 환경에 배출하기 전에 정화시킬 의무가 있다. 오염물의 특성에 따라, 연도가스를 정화하기 위한 여러 방법이 개발되어왔다. 예를 들면, 플라이애쉬는 전기집진장치(ESP), 직물필터(FF), 또는 습식 스크러버로 제거할 수 있다. 산성기체는 대부분 분무건조흡착장치(SDA)가 장착된 (반-)건식 시스템에서, 또는 스크러버를 사용하는 습식 시스템에서 알칼리성 화합물에 잡아둔다(bind). 많은 연도가스 정화 설비는 이와 같은 기본적인 구성요소들을 포함하여 설립된다.
연도가스로부터 다이옥신, 푸란 및 수은화합물을 제거하는데 있어서, 현재의방출제한에 맞추기 위해 종종 추가 조치가 취해진다. 대부분, 연도가스들은 이들 화합물들을 잡아두도록 흡착제와 접촉된다.
다이옥신, 푸란 및 수은화합물을 제거하기 위해 잘 알려진 방법은 연도가스 정화 시스템의 덕트에 분말화 흡착제를 투입하고, 그 다음 위해성 화합물을 흡착제에 흡착시키는 것이다. 설비의 이후 부분에서, 소모된 흡착제는 입자수집 시스템에서 연도가스로부터 제거된다. 흡착제의 수집은 종종 기존의 ESP, FF 또는 습식 시스템에서 실행되며, 이것은 이 기술을 특히 연도가스 정화설비에 적합하도록 한다.
연도가스 정화를 위해 분말화 흡착제를 적용하는 여러가지 연도가스 정화설비의 변형이 기재되어 있는 매우 많은 특허가 허여되어 왔다.
흡착제가 적용되는 조건들은 연도가스를 발생시키는 산업공정의 특성 및 연도가스 정화설비의 변형에 크게 의존한다.
일반적으로, 연도가스는 플라이애쉬 및 질소, 산소, 이산화탄소, 산화질소, 물, 일산화탄소, 이산화황 및 여러 산성기체와 같은 여러가지 기체들과 휘발성화합물로 이루어진다. 연도가스의 정확한 조성은 연도가스를 발생하는 공정의 특성에 의해 확인되며 그 사이에 심각하게 변할 수 있다. 적절한 흡착제는 연도가스조성의 이러한 변화를 견딜 수 있어야만 한다.
분말화 흡착제가 사용될 수 있는 최고 온도는 부분적으로 입자수집 시스템의 최고 작동온도에 의해 결정된다. ESP와 FF의 경우, 최고 작동온도는 각각 통상적으로 450 ℃ 및 300 ℃이다. 습식 스크러버의 경우 최대 작동온도는 언제나 100 ℃ 미만이다. 최고 적용온도는 소위 새로운(de novo) 합성 경로에 의한 추가적 다이옥신의 형성을 막기위해 250 ℃ 미만을 유지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연도가스를 정화하는데 여러가지 흡착제가 사용된다. 이와 같은 적용을 위해 일반적으로 알려진 흡착제는 활성탄소와 활성갈탄코크이다.
다이옥신과 푸란용의 활성탄소와 활성갈탄코크의 흡착성능은 특히 원료의 특성과 생산법에 따라 매우 다르다. 보통, 연도가스 정화에 사용되는 탄소 유형들은 스팀 활성공정에 의해 생성되는, 이탄, 석탄 또는 갈탄과 같은 원료로 생산된다.
선택적으로, 탄소 흡착제는 재활성 과립탄소 또는 활성탄소 폐기물을 제분(mill)하여 생산된다. 재활성 탄소 또는 활성탄소 폐기물을 기재로 하는 PAC 유형들은 일반적으로 원료의 품질변화로 인해 성능이 변한다.
연도가스 정화용 활성탄소의 품질을 결정하는 주요특성은 흡착성과 발화성이다.
흡착성은 주로 기공구조와 분말화 활성탄소의 입자크기 분포에 의해 결정된다. 탄소의 기공구조는 원료의 특성과 활성화 동안의 공정조건에 의해 정해진다. 적절한 활성탄소는 높은 흡착용량을 위한 높은 미세기공 용적과, 이어서 피흡착질이 흡착기공으로 신속히 이동하기 위한 높은 중간(meso)기공 용적을 갖는다. 입자크기 분포는 주로 제분장치의 성능에 의해 결정된다.
분말화 탄소를 고온의 산화조건하에서 연도가스 중에 적용할 때, 탄소의 발화 가능성을 고려해야만 한다. 통상적으로, 연도가스 정화 시스템의 ESP 또는 FF의 온도는 100 ~ 200 ℃이다. 몇몇 경우에, 온도는 더 높을 수 있다.
탄소 흡착제의 발화는 보통 ESP 또는 FF의 집진부에서 우선적으로 관찰된다,왜냐하면, 이 지점에서 더워진 탄소가 축적될 수 있기 때문이다. 원칙적으로 상당히 엄격한 조건에서도 모든 탄소 흡착제들이 결국 발화되어, 바람직하지 않게 과도하게 온도가 상승한다. 설비 디자인의 변경은 발화 위험을 줄일 수 있다. 마찬가지로, 알맞는 탄소 흡착제의 선택은 발화위험을 줄일 수 있다.
일반적으로, 활성탄소 또는 연도가스 정화시스템에 사용되는 다른 재료의 발화 특성은 표준 발화시험을 사용하여 결정된다. 이와 같은 시험은 "위험 물질의 수송에 관한 권장사항" (Recommendation for the transport of dangerous goods, 9th revised edtion, United Nations, 1995, part 14.5.5와 33.3.1.3.3)에 정의되어 있다.
흡착 및 발화특성에 이어, 재료 이용성과 생산비와 같은 이차적 특성 또한 연도가스 정화용으로서 흡착제의 적합성을 결정한다.
본 발명은 연도가스의 정화방법에 관한 것으로, 여기서 연도가스는 탄소함유(carbonaceous) 재료와 접촉한다.
본 발명의 목적은 현재 사용되고 있는 분말화 활성탄소에 대한 대체물을 제공하여, 재료의 발화특성을 개선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목적은 연도가스 정화에 적당한 탄소함유 재료를 제공하는 것이며, 여기서 재료는 흡착성과 발화작용간의 특성의 개선된 밸런스를 갖는다.
본 발명은 연도가스 정화에 적용될 때, 상기 목적에 맞는 재료의 놀라운 발견을 기초로 한다. 놀랍게도, 본 발명자들은 연도가스 정화에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활성탄소의 기공구조보다 우수한 기공구조를 갖는 새로운 탄소함유 흡착재를 발견하였다. 새로운 재료는 합성 금홍석(rutile)생산 산업에서 부생성물로 생성되었고우수한 발화특성을 갖는다. 이들 결합된 특성은 새로운 흡착제가 연도가스정화에 특별히 알맞도록 한다.
상기 고형 탄소함유 재료는 티탄함유 광석(일메나이트, 류코신, 또는 슬래그)으로부터 합성 금홍석을 생산하는 도중 폐생성물로 생성된다. 합성 금홍석을 생성하는 동안, 탄소는, 어쩌면 염소와 결합하여, 티탄함유 미네랄 내의 철의 화학적 환원에 사용된다. 이후 환원된 철은 합성 금홍석을 얻기 위해 미네랄로부터 제거된다(Ullmann's Encyclopedia of Industrial Chemistry, Sixth Ed., 199 Electronic Release, Wiley-VHC, Weiheim(DE) on Titanium Dioxide, § 2.1.2.2. Synthetic Raw Materials 참조).
고형 재료로부터 합성 금홍석을 회수한 후, 연도가스로부터 다이옥신, 푸란 및 수은과 같은 오염물질을 흡착하기에 적합한 활성 탄소의 기공 구조에 상응하는 기공 구조를 갖는 것으로 알려진 탄소함유 폐기물이 남는다. 필요에 따라, 최상의 특성을 얻기 위하여 상기 재료를 정제하고, 채로 거르고 및/또는 분쇄할 수 있다. 더욱 상세히는, 입자 크기는 사용되는 시스템의 형태에 따라서, 조정될 필요가 있을 것이다. 일반적으로 이 재료는 1 ~ 100㎛의 입자크기를 갖도록 조정된다.
상기 탄소함유 재료는 또한 활성탄소 등과 같은, 다른 고형 재료와 결합하는 것도 가능하다. 그러나, 첨가된 재료의 양은 상기 고형 탄소함유 재료의 양에 따르는 것이 바람직하다.
탄소함유 재료는 현재 사용되는 분말화 탄소가 연도가스 중의 적합한 위치에서 주입되는 것과 동일한 방법으로 사용될 수 있다. 이것은 건조한 형태로, 젖은재료로서, 및/또는 연도가스로부터 산성 물질을 제거하기 위해 석회와 같은 알칼리성 재료와 결합되어 사용될 수 있다. 재료는 오염물질을 흡착한 후, 예를 들면, ESP 또는 FF에 의해 가스로부터 다시 제거된다.
연도가스는 탄소함유 재료가 도입되기 이전에, 연도가스로부터 약간의 열을 회수하기 위한 냉각, 플래이애쉬 제거 등과 같은 몇몇 처치를 겪는다. 더욱 상세히는, 연도가스는 상기 고형 탄소함유 재료와 접촉하기 전에, 0 ~ 500℃의 온도로 냉각될 수 있다.
본 발명은 다음의 실시예를 기초로 하여 설명되며, 이것은 본 발명의 범위를 제한하지는 않는다.
실시예 1
활성탄소의 기공 구조는 일반적으로 세 가지의 주요 크기의 범위로 나누어 진다: 미세기공(기공 반경 <1㎚), 중간기공(1㎚<기공 반경<25㎚), 및 거대기공(기공반경>25㎚). 각각의 기공 용적은 일반적으로 표준 흡착물(미세기공 및 중간기공)을 사용한 흡착 실험으로부터, 또는 세공측정법(거대기공 및 큰 중간기공)으로부터 얻어진다. 가스를 정제하기 위해 활성탄소를 사용하는 경우, 미세기공 및 중간기공(흡착기공)은 일반적으로 흡착물을 흡착하기 위해 사용되는 반면에, 거대기공 및 큰 중간기공(이동기공(transporting pore))은 흡착기공의 주위로부터 피흡착질을 이동시키기 위해 사용된다. 연도가스 정화용으로 적합한 활성탄소는 최적의 흡착력 및 빠른 흡착 반응 속도를 제공하기 위해, 충분한 양의 흡착기공 및 이동기공 모두를 함유한다. 분말화 활성탄소 유형의 경우, 거대기공은 제분 공정에 의하여대부분소멸되고 있다.
활성 탄소에 대해 일반적으로 채택되는 분석 매개변수는 이른바 요오드가이다. 이 요오드가는 0.02N 요오드용액과 동가인(equilibrium) 활성탄소에 흡착되는 요오드의 수(단위는 ㎎(요오드)/g(탄소))이다. 시험 방법은 ASTM D 4607-86에서 상세하게 개시되고 있다. 활성탄소의 요오드가는 그것의 미세기공 용적과 관련이 있다. 활성탄소의 미세기공 용적을 나타내는 대체 가능한 매개변수는 탄소가 부탄 0.24 부피%를 함유하는 건조 공기와 접촉되어질 때에 동가의 부탄 흡착력이다. 그러므로, 요오드가는 흡착기공의 용적과 관련이 있다.
큰 중간기공 및 작은 거대기공의 결합된 기공 용적을 나타내는 매개변수는 당밀가(molasses number)이다. 이 당밀가는 표준 공정에 의한 표준 당밀용액을 사용하여 결정된, 표준 탄소 350㎎으로 동일한 탈색 효과를 이루기에 필요한 활성 탄소의 밀리그램 수로 정의된다. 당밀분자의 거대한 크기에 의하여, 거대한 기공만을 들어갈 수 있으므로, 당밀가는 이동기공의 용적을 나타낸다. 이 경우에, 당밀가는 이동기공의 용적이 증가면서 감소한다.
표 1은 합성 금홍석 생산 공정에서 생산된 탄소함유 잔류물 및 연도가스 정화에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여러 활성 탄소 형태의 전형적인 요오드가 및 당밀가를 나타낸다. 이 수치를 기초로 하여, 탄소함유 잔류물은 현재 적용되는 탄소의 형태와 비교하여 흡착 및 이동기공 용적에서 모두 높기 때문에, 연도가스 정화에 더욱 선호된다.
연도가스 정화용 여러가지 활성탄소, 및 탄소함유 잔류물 재료의 전형적인 요오드가 및 당밀가
탄소의 형태 요오드가[㎎/g] 당밀가[a.u.]
Darco FGD 550 400
NORIT GL 50 700 475
NORIT SA Super 1050 200
탄소함유 잔류물 1200 150
실시예 2
고정상 활성 탄소층의 자동-발화 위험은 이른바 임계 발화 온도(CIT)를 측정하여 결정될 수 있다. 분말화 활성탄소의 CIT를 측정하기 위한 시험 방법은 유엔에서 간행된 "위험 물질의 수송에 관한 권장사항"(Recommendation for the transport of dangerous goods, issued by thge United Nations, section 14.5.5(ST/SG/AC.101/Rev.9))에 기재된 방법과 유사하다. 이 시험은 자기가열 (self-heating) 물질이 대량으로 운송될 수 있는지 여부를 확립하기 위해 고안되었다. UN-시험에서, 1 입방 리터(10 x 10 x 10 cm) 중의 탄소 샘플이 140 ±2℃의 고정된 온도에서 자동 발화될 수 있는지가 결정된다. 이 시험의 자세한 설명은 상기한 지침서에서 알 수 있다.
CIT 시험은 샘플이 시험되는 온도가 변수임을 제외하고, 유엔 시험 방법과 거의 동일하다. 사전-선택된 온도에서의 첫번째 시험의 결과에 따라, 새로운 시험 온도가 정해지고 새로운 탄소샘플이 시험된다. 발화가 발생하지 않는 최고 온도와 발화가 발생하는 최저 온도가 약 10℃ 차이날 때까지 이것을 반복했다. CIT는 이온도들의 평균으로 정의된다.
표 2는 합성 금홍석 생산 공정에서 생성된 탄소함유 잔류물 및 연도가스 정화용으로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여러가지 활성탄소 유형의 CIT 값을 나타내고 있다. 표 2 중의 데이타는 탄소함유 잔류물의 CIT가 보통 연도가스 정화 탄소 유형보다 현저하게 높다는 것을 명확하게 나타낸다.
연도 가스 정화용 여러가지 활성탄소 및 탄소함유 잔류물 재료의 전형적인 임계 발화 온도 및 평균 입자 크기
탄소 유형 입자 크기(d50) [㎛] CIT [℃]
Darco FGD 14 240
NORIT GL50 17 250
NORIT SA Super 7 270
탄소함유 잔류물 33 330

Claims (9)

  1. 연도가스의 정화방법으로, 상기 연도가스를 탄소함유 재료와 접촉시키며, 상기 탄소함유 재료는 티탄함유 광석으로부터의 합성 금홍석 생산에 의한 고형 탄소함유 잔류물을 포함하는 것인 방법.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탄소함유 재료가 정화되어질 연도가스에 주입되는 것인 방법.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탄소함유 재료가, 연도가스로부터 오염물을 흡착하기에 충분한 접촉시간 후, 연도가스로부터 제거되는 것인 방법.
  4. 제 1항 내지 제 3항 중 어느 하나의 항에 있어서, 상기 연도가스가, 상기 고형 탄소함유 재료와 접촉시키기 전, 0 ~ 500 ℃의 온도로 냉각되는 것인 방법.
  5. 제 1항 내지 제 4항 중 어느 하나의 항에 있어서, 상기 연도가스는 폐기물 소각장, 야금 산업, 금속재생산업, 발전소, 시멘트 공장에서 유래하는 것인 방법.
  6. 제 1항 내지 제 6항 중 어느 하나의 항에 있어서, 다이옥신, 푸란 및 수은 화합물이 상기 연도가스로부터 제거되는 방법.
  7. 제 1항 내지 제 6항 중 어느 하나의 항에 있어서, 상기 고형 탄소함유 재료가 건조상태, 젖은 상태 및/또는 석회와 결합된 상태로 연도가스와 접촉하는 방법.
  8. 제 1항 내지 제 7항 중 어느 하나의 항에 있어서, 상기 탄소함유 재료가 사용전에 채로 걸러지고, 정화되고 및/또는 분쇄되는 방법.
  9. 연도가스의 정화를 위한, 티탄함유 광석으로부터 합성 금홍석의 생산에 의한 고형 탄소함유 잔류물을 포함하는 고형 탄소함유 재료의 용도.
KR20027015030A 2000-05-08 2001-05-03 연도가스의 정화방법 KR100637977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EP00201649 2000-05-08
EP00201649.1 2000-05-08
PCT/NL2001/000338 WO2001085307A1 (en) 2000-05-08 2001-05-03 Process for the purification of flue gas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0015237A true KR20030015237A (ko) 2003-02-20
KR100637977B1 KR100637977B1 (ko) 2006-10-23

Family

ID=817146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027015030A KR100637977B1 (ko) 2000-05-08 2001-05-03 연도가스의 정화방법

Country Status (11)

Country Link
US (1) US6843831B2 (ko)
EP (1) EP1280593B1 (ko)
JP (1) JP4057296B2 (ko)
KR (1) KR100637977B1 (ko)
AT (1) ATE253969T1 (ko)
AU (1) AU2001255106A1 (ko)
DE (1) DE60101222T2 (ko)
DK (1) DK1280593T3 (ko)
ES (1) ES2210154T3 (ko)
PT (1) PT1280593E (ko)
WO (1) WO2001085307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316020A (ja) * 2001-04-23 2002-10-29 Kurita Water Ind Ltd 高湿度排ガス中のダイオキシン類の除去方法及び除去剤
US7381387B2 (en) * 2003-08-14 2008-06-03 General Electric Company Mercury reduction system and method in combustion flue gas using coal blending
US7374736B2 (en) 2003-11-13 2008-05-20 General Electric Company Method to reduce flue gas NOx
US6895875B1 (en) * 2003-11-18 2005-05-24 General Electric Company Mercury reduction system and method in combustion flue gas using staging
US7514052B2 (en) * 2004-01-06 2009-04-07 General Electric Company Method for removal of mercury emissions from coal combustion
US7185494B2 (en) 2004-04-12 2007-03-06 General Electric Company Reduced center burner in multi-burner combustor and method for operating the combustor
US7249564B2 (en) * 2004-06-14 2007-07-31 General Electric Company Method and apparatus for utilization of partially gasified coal for mercury removal
DE102005003138A1 (de) * 2005-01-21 2006-07-27 Rwe Power Ag Nutzung von kohlenstoffhaltigen Reststoffen
US20070092418A1 (en) * 2005-10-17 2007-04-26 Chemical Products Corporation Sorbents for Removal of Mercury from Flue Gas
US7704920B2 (en) 2005-11-30 2010-04-27 Basf Catalysts Llc Pollutant emission control sorbents and methods of manufacture
US7578869B2 (en) 2005-11-30 2009-08-25 Basf Catalysts Llc Methods of manufacturing bentonite pollution control sorbents
US7575629B2 (en) 2005-11-30 2009-08-18 Basf Catalysts Llc Pollutant emission control sorbents and methods of manufacture
US8673257B2 (en) * 2006-01-03 2014-03-18 University Of Wyoming Apparatus and method to sequester contaminants
WO2007081561A2 (en) * 2006-01-03 2007-07-19 University Of Wyoming Apparatus and method for sequestering flue gas co2
US8506918B2 (en) * 2006-01-03 2013-08-13 University Of Wyoming Apparatus and method to sequester contaminants
US7753992B2 (en) 2006-06-19 2010-07-13 Basf Corporation Methods of manufacturing mercury sorbents and removing mercury from a gas stream
US8685351B2 (en) 2007-09-24 2014-04-01 Basf Corporation Pollutant emission control sorbents and methods of manufacture and use
US8906823B2 (en) 2007-09-24 2014-12-09 Basf Corporation Pollutant emission control sorbents and methods of manufacture and use
US7833315B2 (en) * 2008-02-26 2010-11-16 General Electric Company Method and system for reducing mercury emissions in flue gas
DE102009001230A1 (de) 2009-02-27 2010-09-02 Evonik Oxeno Gmbh Verfahren zur Abtrennung und teilweiser Rückführung von Übergangsmetallen bzw. deren katalytisch wirksamen Komplexverbindungen aus Prozessströmen
UA109399C2 (uk) 2009-04-01 2015-08-25 Термічно активоване вугілля, стійке до самозапалювання
EP2611533A1 (en) 2010-08-30 2013-07-10 Albemarle Corporation Improved sorbents for removing mercury from emissions produced during fuel combustion
RU2013114265A (ru) 2010-08-30 2014-10-10 Альбемарл Корпорейшн Усовершенствованные бромированные сорбенты для удаления ртути из выбросов, производимых при сгорании топлива
US8435328B2 (en) 2011-01-11 2013-05-07 Praxair Technology, Inc. Ten bed pressure swing adsorption process operating in normal and turndown modes
US8491704B2 (en) 2011-01-11 2013-07-23 Praxair Technology, Inc. Six bed pressure swing adsorption process operating in normal and turndown modes
US8551217B2 (en) 2011-01-11 2013-10-08 Praxair Technology, Inc. Six bed pressure swing adsorption process operating in normal and turndown modes
US8496733B2 (en) 2011-01-11 2013-07-30 Praxair Technology, Inc. Large scale pressure swing adsorption systems having process cycles operating in normal and turndown modes
CA3085848C (en) 2011-04-15 2022-08-30 Carbon Technology Holdings, LLC Methods and apparatus for enhancing the energy content of carbonaceous materials from pyrolysis
LU91900B1 (de) * 2011-11-14 2013-05-15 Carbon Process & Plant Engineering S A Verfahren zur katalytischen Entfernung von Kohlendioxyd NOx aus Abgasen
EP4292981A1 (en) 2012-05-07 2023-12-20 Carbon Technology Holdings, LLC Biogenic activated carbon and methods of making and using same
US20130330257A1 (en) * 2012-06-11 2013-12-12 Calgon Carbon Corporation Sorbents for removal of mercury
US20150126362A1 (en) 2013-10-24 2015-05-07 Biogenic Reagent Ventures, Llc Methods and apparatus for producing activated carbon from biomass through carbonized ash intermediates
MX2016009270A (es) 2014-01-16 2017-05-04 Biogenic Reagents Ventures Llc Microplanta de carbono.
WO2015127460A1 (en) * 2014-02-24 2015-08-27 Biogenic Reagent Ventures, Llc Highly mesoporous activated carbon
JP6417157B2 (ja) * 2014-09-03 2018-10-31 太平洋セメント株式会社 セメントキルン排ガスの処理方法
US9895659B2 (en) * 2014-09-24 2018-02-20 Linde Aktiengesellschaft Methods for removing contaminants from exhaust gases
US11413601B2 (en) 2014-10-24 2022-08-16 Carbon Technology Holdings, LLC Halogenated activated carbon compositions and methods of making and using same
CA2995357C (en) 2015-08-11 2023-12-19 Calgon Carbon Corporation Enhanced sorbent formulation for removal of mercury from flue gas
US10589214B2 (en) * 2016-02-02 2020-03-17 University Of Kentucky Research Foundation CO2 mass transfer enhancement of aqueous amine solvents by particle additives
BR112023005462B1 (pt) 2020-09-25 2024-03-12 Carbon Technology Holdings, LLC Composição para reduzir um minério metálico
CN117015514A (zh) 2021-02-18 2023-11-07 卡本科技控股有限责任公司 碳负冶金产品
WO2022232311A1 (en) 2021-04-27 2022-11-03 Carbon Technology Holdings, LLC Biocarbon compositions with optimized fixed carbon and processes for producing the same
WO2023283290A1 (en) 2021-07-09 2023-01-12 Carbon Technology Holdings, LLC Processes for producing biocarbon pellets with high fixed-carbon content and optimized reactivity, and biocarbon pellets obtained therefrom

Family Cites Families (1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GB725555A (en) 1953-01-02 1955-03-09 Dow Chemical Co Treatment of titaniferous material
GB756497A (en) 1954-04-27 1956-09-05 Du Pont Recovery of titanium tetrachloride by adsorption
US4442076A (en) * 1982-11-17 1984-04-10 Scm Corporation Entrained downflow chlorination of fine titaniferous material
US4708853A (en) * 1983-11-03 1987-11-24 Calgon Carbon Corporation Mercury adsorbent carbon molecular sieves and process for removing mercury vapor from gas streams
DK158376C (da) * 1986-07-16 1990-10-08 Niro Atomizer As Fremgangsmaade til nedbringelse af indholdet af kviksoelvdamp og/eller dampe af skadelige organiske forbindelser og/eller nitrogenoxider i roeggas fra forbraendingsanlaeg
EP0271618A1 (en) * 1986-12-15 1988-06-22 Calgon Carbon Corporation Mercury absorbent carbon molecular sieves
DE58903414D1 (de) * 1989-07-05 1993-03-11 Kronos Titan Gmbh Verfahren zur entfernung von chlor aus abgasen.
JPH04219308A (ja) * 1990-12-17 1992-08-10 Mitsui Mining Co Ltd 脱硝性能の高い脱硫脱硝用成形活性コークスの製造方法
US5403379A (en) * 1992-05-15 1995-04-04 Rgc Mineral Sands Limited Reduction of titaniferous ores and apparatus
US5254521A (en) * 1992-08-03 1993-10-19 University Of North Dakota Energy And Environment Research Center Foundation Leonardite char adsorbents
US5733515A (en) * 1993-01-21 1998-03-31 Calgon Carbon Corporation Purification of air in enclosed spaces
US5700436A (en) * 1993-01-21 1997-12-23 Calgon Carbon Corporation Purification of air in enclosed spaces
US6439138B1 (en) * 1998-05-29 2002-08-27 Hamon Research-Cottrell, Inc. Char for contaminant removal in resource recovery unit
US6027551A (en) * 1998-10-07 2000-02-22 Board Of Control For Michigan Technological University Control of mercury emissions using unburned carbon from combustion by-products
FR2804042B1 (fr) * 2000-01-25 2002-07-12 Air Liquide Procede de purification d'un gaz par adsorption des impuretes sur plusieurs charbons actifs
US6582497B1 (en) * 2000-06-09 2003-06-24 Merck & Co., Inc. Adsorption power for removing mercury from high temperature high moisture gas streams
US6511527B2 (en) * 2001-02-06 2003-01-28 Ngk Insulators, Ltd. Method of treating exhaust gas
US6521021B1 (en) * 2002-01-09 2003-02-18 The United States Of America As Represented By The United States Department Of Energy Thief process for the removal of mercury from flue gas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030154858A1 (en) 2003-08-21
WO2001085307A1 (en) 2001-11-15
ES2210154T3 (es) 2004-07-01
JP2003532518A (ja) 2003-11-05
EP1280593A1 (en) 2003-02-05
US6843831B2 (en) 2005-01-18
JP4057296B2 (ja) 2008-03-05
DK1280593T3 (da) 2004-03-22
KR100637977B1 (ko) 2006-10-23
ATE253969T1 (de) 2003-11-15
EP1280593B1 (en) 2003-11-12
DE60101222D1 (de) 2003-12-18
AU2001255106A1 (en) 2001-11-20
PT1280593E (pt) 2004-03-31
DE60101222T2 (de) 2004-08-2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637977B1 (ko) 연도가스의 정화방법
KR101250702B1 (ko) 금속제조에서의 광석 및/또는 다른 금속함유 물질의소결처리에 의해 생성된 배기가스 정화방법
US8821819B2 (en) Sorbents for the oxidation and removal of mercury
US9657942B2 (en) Hot-side method and system
Izquierdo et al. Carbon-enriched coal fly ash as a precursor of activated carbons for SO2 removal
US20120292564A1 (en) Pollutant Emission Control Sorbents and Methods of Manufacture and Use
Rubio et al. Coal fly ash based carbons for SO2 removal from flue gases
MXPA06010638A (es) Procedimiento para reducir metales pesados de los gases de humos.
DK2864022T3 (en) Means for purifying liquids, processes for making them and using them
JP4723922B2 (ja) 炭素質吸着材の製造方法、それを用いた環境汚染物質の除去方法及び除去装置
JP2002102689A (ja) 炭素質吸着剤
US20220339582A1 (en) Hot-side method and system
KR20170061669A (ko) 유체 정제 공정
EP3374078B1 (en) Production method of an adsorbent material for adsorbing sulfur compounds
ES2205674T3 (es) Procedimiento para la purificacion de gases con efecto reductor.
US3667910A (en) Process for removing sulfur oxides from waste gas
Wang et al. Emission and species distribution of mercury during thermal treatment of coal fly ash
KR20040103546A (ko) 휘발성 유기 화합물 제거용 흡착제의 제조 방법
JP3436092B2 (ja) 高温ガスの処理方法
Chen Impacts of fly ash composition and flue gas coponents on mercury speciation
JP2005334885A (ja) 燃焼排ガスの処理方法
Izquierdo Pantoja et al. Carbon-enriched coal fly ash as a precursor of activated carbons for SO2 removal
Wojtowicz et al. Mercury, SO2 and NO removal from flue gas by adsorption on activated carbons
JP2000246057A (ja) 高温ガスの処理剤および処理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1008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927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929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930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929

Year of fee payment: 11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