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0015035A - 자동변속기용 컬럼타입 변속조작기구의 소음저감구조 - Google Patents

자동변속기용 컬럼타입 변속조작기구의 소음저감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0015035A
KR20030015035A KR1020010049078A KR20010049078A KR20030015035A KR 20030015035 A KR20030015035 A KR 20030015035A KR 1020010049078 A KR1020010049078 A KR 1020010049078A KR 20010049078 A KR20010049078 A KR 20010049078A KR 20030015035 A KR20030015035 A KR 2003001503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hift
shift lever
pivot
lever
column typ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1004907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창현
변원용
Original Assignee
현대자동차주식회사
경창산업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현대자동차주식회사, 경창산업주식회사 filed Critical 현대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10049078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30015035A/ko
Publication of KR2003001503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0015035A/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KARRANGEMENT OR MOUNTING OF PROPULSION UNITS OR OF TRANSMISSIONS IN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PLURAL DIVERSE PRIME-MOVERS IN VEHICLES; AUXILIARY DRIVES FOR VEHICLES; INSTRUMENTATION OR DASHBOARDS FOR VEHICLES; ARRANGEMENTS IN CONNECTION WITH COOLING, AIR INTAKE, GAS EXHAUST OR FUEL SUPPLY OF PROPULSION UNITS IN VEHICLES
    • B60K20/00Arrangement or mounting of change-speed gearing control devices in vehicles
    • B60K20/02Arrangement or mounting of change-speed gearing control devices in vehicles of initiating mea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HGEARING
    • F16H59/00Control inputs to control units of change-speed-, or reversing-gearings for conveying rotary motion
    • F16H59/02Selector apparatus
    • F16H59/0208Selector apparatus with means for suppression of vibrations or reduction of nois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HGEARING
    • F16H59/00Control inputs to control units of change-speed-, or reversing-gearings for conveying rotary motion
    • F16H59/02Selector apparatus
    • F16H59/0278Constructional features of the selector lever, e.g. grip parts, mounting or manufacturing
    • GPHYSICS
    • G05CONTROLLING; REGULATING
    • G05GCONTROL DEVICES OR SYSTEMS INSOFAR AS CHARACTERISED BY MECHANICAL FEATURES ONLY
    • G05G1/00Controlling members, e.g. knobs or handles; Assemblies or arrangements thereof; Indicating position of controlling members
    • G05G1/04Controlling members for hand actuation by pivoting movement, e.g. lev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Y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CROSS-CUTTING VEHICLE TECHNOLOGY
    • B60Y2306/00Other features of vehicle sub-units
    • B60Y2306/09Reducing nois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Transportat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Automation & Control Theory (AREA)
  • Arrangement Or Mounting Of Control Devices For Change-Speed Gearing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자동변속기의 컬럼방식 변속조작기구의 소음저감구조에 관한 것으로, 변속시 셀렉트조작후 탄력적으로 복원회동되는 변속레버의 선단부에 충격흡수용 완충부재를 설치함으로써, 변속시 전 변속단 영역에서 셀렉트조작과 셀렉트조작후 리턴되는 변속레버에서 발생되는 충격과 이로 인해 발생되는 소음을 줄일 수 있도록 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전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은, 변속시 변속레버(10)를 시프트 선회축(X)과 셀렉트 선회축(Y)을 중심으로 각각 선회가능하게 하여 변속조작력을 변속기측에 전달하는 변속기구 조립체와, 상기 변속레버(10)가 시프트방향으로 선회하는 경우에 변속레버(10)에 절도감을 부여하되, 상기 변속레버(10)가 시프트 선회축(X)을 중심으로 선회하는 방향과는 상이한 방향으로 선회하는 절도기구 조립체를 포함하여 구성된 자동변속기의 컬럼방식의 변속조작기구에 있어서, 상기 변속레버(10)의 선단부(10')에는 충격흡수용 완충부재(30)가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자동변속기용 컬럼타입 변속조작기구의 소음저감구조{noise reduction structure of column type shifting apparatus for an automatic transmission}
본 발명은 자동변속기의 컬럼방식 변속조작기구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변속레버의 셀렉트조작과 셀렉트조작후 리턴시 디텐트 플레이트와의 접촉에 따라 발생하는 소음을 줄임으로써, 변속시 차실내의 정숙성을 향상시킴과 더불어 상품성을 극대화를 도모할 수 있도록 하는 자동변속기의 컬럼방식 변속조작기구의 소음저감구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자동차에 탑재된 자동변속기는 주행중 기어비를 주행상태에 따라 자동적으로 적절하게 전환시켜 주는 장치로서, 주행중 변속에 대한 부담감을 줄여 운전의 편의성을 도모할 뿐만 아니라 발진과 가속 및 감속을 원활하게 하여 승차감을 향상시키도록 된 것이다.
이러한 자동변속기에서도 주차와 중립 및 전진주행 그리고 후진주행을 위해서는 변속조작기구를 적절하게 조작하여야 하는 바, 이 변속조작기구는 크게 운전석의 측부에서 하단부가 피벗지지되어 상단부가 회동되어 개별적인 변속단을 결정짓는 로드타입의 변속조작기구와, 조향컬럼상에 일측 선단이 피벗지지되어 타측 선단이 회동되어 개별적인 변속단을 결정짓는 컬럼방식의 변속조작기구로 구분된다.
즉, 종래 컬럼방식의 변속조작기구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변속레버(10)를 시프트방향으로 선회가능하게 하는 시프트 선회축(X)과, 상기 변속레버(10)를 셀렉트방향으로 선회가능하게 하는 셀렉트 선회축(Y)을 구비함과 더불어, 변속시 상기 변속레버(10)에 절도감의 부여를 위한 절도기구 조립체를 포함하고 있다.
여기서, 상기 셀렉트 선회축(Y)에는 토션스프링(도시안됨)이 구비되어 있어, 상기 변속레버(10)가 마운팅부(12)에 대해 셀렉트 선회축(Y)을 중심으로 선회한 다음에 탄력적으로 복원회동될 수 있도록 해 준다.
또한, 상기 컬럼방식의 변속조작기구에는 조향컬럼(도시안됨)의 외주면에 지지되는 마운팅부(12)상에 변속시 상기 변속레버(10)의 일측 선단을 수용하여 변속단별로 변속레버(10)의 회동을 안내하는 디텐트 플레이트(14)가 구비되어 있다.
여기서, 상기 디텐트 플레이트(14)의 중앙부위에는 변속레버(10)가 셀렉트조작된 다음 리턴되는 경우에 변속레버(10)의 선단부(10')와의 접촉시 발생하는 충격을 완화시키기 위한 충격흡수성이 탁월한 스토퍼(14a)가 설치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변속레버(10)가 시프트방향으로 선회하는 경우에 절도감의 부여를 위한 절도기구 조립체는 상기 시프트 선회축(X)을 매개로 변속레버(10)와 함께 시프트방향으로 선회함과 더불어 일측 선단에 동심의 원주상으로 다수개의 굴곡홈(16a)을 형성하고 있는 선회 플레이트(16)로 이루어진다.
한편, 상기 마운팅부(12)의 일측에는 디텐트 스프링(18)이 캔틸레버 비임형태로 설치되어 있는 바, 이 디텐트 스프링(18)은 상기 선회 플레이트(16)의 굴곡홈(16a)에 탄력적으로 끼워져, 상기 선회 플레이트(16)의 회동시 상기 굴곡홈(16a)에 탄력적으로 치합되어 이에 절도감을 부여하도록 되어 있다.
따라서, 상기와 같이 구성된 컬럼방식의 변속조작기구는 변속시, 상기 변속레버(10)가 셀렉트 선회축(Y)을 중심으로 상방향으로 들어 올려지도록 회동하면서 셀렉트 조작이 이루어지게 되는 바, 이때 상기 변속레버(10)의 선단부(10')는 디텐트 플레이트(14)상에 형성된 홈으로부터 이격된 상태가 된다.
이후, 상기 변속레버(10)가 시프트 선회축(X)을 중심으로 회동하면서 시프트 조작이 이루어져 변속이 종료되어진다.
이때, 상기 선회 플레이트(16)도 시프트 선회축(X)을 중심으로 변속레버(10)와 동일한 각도로 선회하게 되고, 상기 디텐트 스프링(18)은 선회 플레이트(16)의 선단부에 형성된 다수의 굴곡홈(16a)에 순차적으로 치합되면서 운전자에게 절도감을 부여하게 된다.
그런데,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종래의 컬럼방식의 변속조작기구에서는 상기 변속레버(10)가 셀렉트 선회축(Y)을 중심으로 셀렉트조작후 토션스프링을 매개로 탄력적으로 리턴되는 경우에 있어, 상기 변속레버(10)의 선단부(10')는 디텐트 플레이트(14)상에 접촉하게 되어 금속성의 접촉음을 유발하게 된다.
이 경우, 상기 디텐트 플레이트(14)의 중앙에 구비된 스토퍼(14a)는 셀렉트 선회축(Y)을 중심으로 복원회동되는 상기 변속레버(10)의 선단부(10')와 접촉되면서 접촉시 발생되는 충격을 완화시킴과 더불어 소음의 유발을 저감시키게 되나, 상기 스토퍼(14a)가 디텐트 플레이트(14)의 중앙부위에 한정되어 설치됨에 따라, 중앙부위를 벗어난 변속단부위에서 셀렉트조작후 리턴되는 변속레버(10)의 선단부(10')는 효과적으로 완충시킬 수 없게 된다.
또한, 상기 스토퍼(14a)를 디텐트 플레이트(14)의 전 영역에 설치할 수도 있으나, 이 경우 상기 스토퍼(14a)를 디텐트 플레이트(14)에 각 변속단별로 상이하게 형성된 홈의 형상에 맞춰 성형해야 하므로 필요 이상의 재료의 소모와 그로 인한 원가 상승의 부담이 있다.
또, 상기 스토퍼(14a)는 이의 재질 선정시 내마모성과 윤활성을 동시에 고려한 우수한 재질을 채택함에 따라 원가상승 등의 요인을 고려할 수 밖에 없기 때문에, 통상 상기 디텐트 플레이트(14)의 중앙부위에 국한하여 특정 변속단(주로 설정되는 변속단으로 주행레인지에 해당함)에서 셀렉트조작후 리턴되는 경우에 한해 충격 및 소음을 줄일 수 있는 단점이 있다.
이에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점을 감안하여 안출된 것으로, 변속시 셀렉트조작과 셀렉트조작후 탄력적으로 복원회동되는 변속레버의 선단부에 충격흡수용 완충부재를 설치함으로써, 변속시 전 변속단 영역에서 셀렉트조작후 리턴되는 변속레버에서 발생되는 충격과 이로 인해 발생되는 소음을 줄일 수 있도록 하는 자동변속기의 컬럼방식 변속조작기구의 소음저감구조를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변속시 변속레버를 시프트 선회축과 셀렉트 선회축을 중심으로 각각 선회가능하게 하여 변속조작력을 변속기측에 전달하는 변속기구 조립체와, 상기 변속레버가 시프트방향으로 선회하는 경우에 변속레버에 절도감을 부여하되, 상기 변속레버가 시프트 선회축을 중심으로 선회하는 방향과는 상이한 방향으로 선회하는 절도기구 조립체를 포함하여 구성된 자동변속기의 컬럼방식의 변속조작기구에 있어서, 상기 변속레버의 선단부에는 충격흡수용 완충부재가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도 1은 종래 자동변속기의 컬럼방식 변속조작기구의 구성을 도시한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자동변속기의 컬럼방식 변속조작기구의 구성을 도시한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자동변속기의 컬럼방식 변속조작기구의 구성을 도시한 분해사시도.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변속레버12-마운팅부
12a-제3회동축12b-제1개구부
12c-제2개구부14-디텐트 플레이트
16-선회 플레이트18-디텐트 스프링
20-하우징20'-상측 걸림부
20"-하측 걸림부20a-제1회동축
20b-제2회동축22-전달레버
24-벨크랭크30-충격흡수용 완충부재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를 첨부된 예시도면을 참조로 상세히 설명한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자동변속기의 컬럼방식 변속조작기구의 구성을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자동변속기의 컬럼방식 변속조작기구의 구성을 도시한 분해사시도인 바, 본 발명의 상세한 기술을 위해 도 1에서와 동일한 참조부위에는 동일한 참조부호를 병기하기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컬럼방식의 변속조작기구는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변속시 변속레버(10)를 시프트 선회축(X)과 셀렉트 선회축(Y)을 중심으로 각각 시프트방향 및 셀렉트방향으로 선회가능하게 하여 운전자로부터 변속레버(10)에 전달되는 변속조작력을 변속기측에 전달하여 변속이 수행될 수 있도록 하는 변속기구 조립체와, 상기 변속레버(10)가 시프트방향으로 선회하는 경우에 변속레버(10)를 파지하고 있는 운전자에 절도감을 부여함을 물론, 이때 상기 변속레버(10)의 시프트방향과는 상이한 방향으로 선회하도록 작동되는 절도기구 조립체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여기서, 상기 변속기구 조립체는 일측 선단에 변속레버(10)를 시프트 선회축(X)과 셀렉트 선회축(Y)으로 각각 회동가능하게 설치하기 위해, 내부에 소정의 공간을 형성하는 하우징(20)과, 조향컬럼(도시안됨)상에 고정되는 마운팅부(12)상에 회동가능하게 장착되도록 상기 하우징(20)의 저면에서 돌출형성된제1회동축(20a) 및, 이 제1회동축(20a)에 대해 교차하는 방향으로 상기 하우징(20)을 관통하여 변속레버(10)의 일측 선단을 피벗지지하도록 설치되는 핀형태의 제2회동축(20b)을 갖추고 있는 바, 이 제2회동축(20b)상에는 토션스프링(도시안됨)이 설치되어 있어, 상기 변속레버(10)가 마운팅부(12)에 대해 셀렉트 선회축(Y)을 중심으로 선회된 다음에 탄력적으로 복원회동될 수 있도록 해 준다.
즉, 상기 제1회동축(20a)은 변속레버(10)를 시프트방향으로 선회가능하게 하는 시프트 선회축(X)에 해당되는 것이고, 상기 제2회동축(20b)은 변속레버(10)를 셀렉트방향으로 선회가능하게 하는 셀렉트 선회축(Y)에 해당되는 것이다.
그리고, 상기 변속레버(10)의 일측 선단부(10')에는 전 둘레를 따라 충격흡수용 완충부재(30)가 설치되어 있는 바, 이 충격흡수용 완충부재(30)는 셀렉트조작과 조작후 탄력적으로 리턴되는 변속레버(10)의 선단부(10')와 상기 하우징(20) 사이의 접촉에 따라 유발되는 충격을 줄임과 더불어 이로 인해 발생되는 소음을 차단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상기 변속기구 조립체의 하우징(20)에는 일측 선단에 구형의 머리부(22a)를 갖추고서 돌출형성된 전달레버(22)를 구비하고 있는 바, 이 전달레버(22)는 후술되는 절도기구 조립체와 연결되어 절도기구 조립체를 변속기구 조립체와 연동되는 하는 역할을 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 절도기구 조립체는 상기 마운팅부(12)의 일측에서 돌출형성된 제3회동축(12a)상에 선회가능하게 끼워지는 선회 플레이트(16)와, 이 선회 플레이트(16)의 배면에서 중앙으로부터 벗어난 위치에서 상기 구형의 머리부(22a)와 볼조인트방식으로 결합되어 구름접촉하도록 결합된 벨크랭크(24)를 갖추고 있다.
또한, 상기 마운팅부(12)에는 캔틸레버 비임형태의 디텐트 스프링(18)이 설치되어 있는 바, 이 디텐트 스프링(18)은 상기 선회 플레이트(16)의 일측 선단에 동심의 원주상으로 다수개로 형성된 굴곡홈(16a)에 탄력적으로 끼워져, 상기 선회 플레이트(16)의 회동시 상기 굴곡홈(16a)에 탄력적으로 치합되어 이에 절도감을 부여하도록 되어 있다.
이를 위해, 상기 마운팅부(12)에는 변속기구 조립체의 제1회동축(20a)을 수용하기 위한 제1개구부(12b)와, 변속기구 조립체의 전달레버(22)를 수용하는 제2개구부(12c)가 각각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마운팅부(12)의 일측에는 변속시 변속레버(10)의 일측에 구비된 돌출핀(10a)을 수용하여 변속단별로 변속레버(10)의 회동을 안내하는 디텐트 플레이트(14)가 구비되어 있다.
따라서, 상기와 같이 구성된 컬럼방식의 변속조작기구에서, 변속시 상기 변속레버(10)가 셀렉트방향으로 선회하는 경우에는 상기 하우징(20)상에 피벗결합된 제2회동축(20b)을 매개로 한 셀렉트 선회축(Y)을 중심으로 선회되어지고, 상기 변속레버(10)가 시프트방향으로 선회하는 경우에는 상기 마운팅부(12)에 끼워지는 제1회동축(20a)을 매개로 한 시프트 선회축(X)을 중심으로 선회되어진다.
그리고, 상기 변속레버(10)가 시프트 선회축(X)을 중심으로 선회하는 동안에 상기 하우징(20)에 형성된 전달레버(22)는 선회 플레이트(16)의 배면에 결합된 벨크랭크(24)에 조작력을 가하게 되고, 이에 상기 벨크랭크(24)는 선회 플레이트(16)를 상기 마운팅부(12)에 형성된 제3회동축(12a)을 중심으로 선회시키게 된다.
이때, 상기 마운팅부(12)에 설치된 디텐트 스프링(18)은 상기 선회 플레이트(16)의 선단에서 동심의 원주상으로 형성된 다수개의 굴곡홈(16a)에 순차적으로 치합되면서 절도감을 부여하게 된다.
한편, 상기와 같은 일련의 과정을 거쳐 변속이 이루어짐에 있어, 상기 변속레버(10)가 셀렉트조작된 다음 탄력적으로 복원회동하는 경우에는, 상기 변속레버(10)의 선단부(10')는 상기 하우징(20)의 상측 걸림부(20')상에 닿아 변속레버(10)의 복원회동을 종료시키게 된다.
또한, 상기와 같이 변속레버(10)의 셀렉트조작과 조작후 리턴시 선단부(10')의 전 둘레를 따라 설치된 충격흡수용 완충부재(30)는 상기 하우징(20)의 상측 걸림부(20') 및 하측 걸림부(20")에 각각 접촉되면서 발생하는 충격을 완화시킬 수 있음과 더불어, 충격시 발생하는 소음을 배제할 수 있게 된다.
그리고, 상기 변속레버(10)의 선단부(10')에 구비된 충격흡수용 완충부재(30)는 변속시 전 변속단 영역에서 셀렉트조작과 셀렉트조작후 리턴되는 경우에 있어서, 상기 변속레버(10)의 선단부(10')와 상기 하우징(20)의 상측 걸림부(20') 및 하측 걸림부(20") 사이에 발생하는 충격을 줄일 수 있게 된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자동변속기의 컬럼방식 변속조작기구의 소음저감구조에 의하면, 변속시 상기 변속레버(10)가 셀렉트조작과 셀렉트조작후 탄력적으로 복원회동함에 있어 상기 하우징(20)의 상측 걸림부(20')와 하측 걸림부(20")에 닿아 발생하는 충격을 줄일 수 있게 되고, 이와 함께 충격시 유발되는 충격을 줄일 수 있게 된다.
또한, 상기 충격흡수용 완충부재(30)는 변속레버(10)측에 구비됨에 따라, 특정 변속단에서 셀렉트조작이 이루어지는 경우는 물론, 그외 다른 변속단 즉, 전 변속단 영역에서 셀렉트조작이 이루어지는 경우에도 동일한 기능을 구현할 수 있게 된다.

Claims (2)

  1. 변속시 변속레버(10)를 시프트 선회축(X)과 셀렉트 선회축(Y)을 중심으로 각각 선회가능하게 하여 변속조작력을 변속기측에 전달하는 변속기구 조립체와, 상기 변속레버(10)가 시프트방향으로 선회하는 경우에 변속레버(10)에 절도감을 부여하되, 상기 변속레버(10)가 시프트 선회축(X)을 중심으로 선회하는 방향과는 상이한 방향으로 선회하는 절도기구 조립체를 포함하여 구성된 자동변속기의 컬럼방식의 변속조작기구에 있어서,
    상기 변속레버(10)의 선단부(10')에는 충격흡수용 완충부재(30)가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변속기의 컬럼방식 변속조작기구의 소음저감구조.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충격흡수용 완충부재(30)는 변속레버(10)의 선단부(10')에 전 둘레를 따라 배치되도록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변속기의 컬럼방식 변속조작기구의 소음저감구조.
KR1020010049078A 2001-08-14 2001-08-14 자동변속기용 컬럼타입 변속조작기구의 소음저감구조 KR20030015035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10049078A KR20030015035A (ko) 2001-08-14 2001-08-14 자동변속기용 컬럼타입 변속조작기구의 소음저감구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10049078A KR20030015035A (ko) 2001-08-14 2001-08-14 자동변속기용 컬럼타입 변속조작기구의 소음저감구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0015035A true KR20030015035A (ko) 2003-02-20

Family

ID=2771922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10049078A KR20030015035A (ko) 2001-08-14 2001-08-14 자동변속기용 컬럼타입 변속조작기구의 소음저감구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30015035A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71870B1 (ko) * 2002-10-21 2005-03-08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자동 변속 레버의 스토퍼 장치
KR100471871B1 (ko) * 2002-10-21 2005-03-08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자동 변속 레버 장치
US10072751B2 (en) 2016-05-17 2018-09-11 Dura Operating, Llc Vehicle shifter with offset cable actuator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71870B1 (ko) * 2002-10-21 2005-03-08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자동 변속 레버의 스토퍼 장치
KR100471871B1 (ko) * 2002-10-21 2005-03-08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자동 변속 레버 장치
US10072751B2 (en) 2016-05-17 2018-09-11 Dura Operating, Llc Vehicle shifter with offset cable actuator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4205372B2 (ja) 自動変速機のセレクトシステム
US6134984A (en) Throttle lever device
US4491032A (en) Gear shift control linkage of transmission
KR20030015035A (ko) 자동변속기용 컬럼타입 변속조작기구의 소음저감구조
JP3126866B2 (ja) 車両用変速装置
US6318209B1 (en) Shift lever position adjustment device for an automotive vehicle
EP3447340A1 (en) A damping mechanism for a shift selector assembly and a shift selector assembly comprising said damping mechanism
JP2920265B2 (ja) コラム式チェンジレバー機構
JP2007237861A (ja) シフトレバー装置
KR100435725B1 (ko) 자동변속기의 컬럼방식 변속조작기구
JP4467993B2 (ja) マニュアルトランスミッションのシフトコントロール装置
JP3400182B2 (ja) 車両用変速装置
JP6653975B2 (ja) Atシフトレバー装置
JP2908955B2 (ja) 車両用変速装置
KR100391684B1 (ko) 차량의 자동변속기 조작기구
JPS624253B2 (ko)
JP3693950B2 (ja) 油圧式無段変速装置の斜板操作機構
KR100460716B1 (ko) 차량용 팁트로닉 타입 변속레버장치
JPH08159256A (ja) 車両用自動変速機操作装置
JP2020001416A (ja) Atシフトレバー装置
JPH0519229Y2 (ko)
KR100391946B1 (ko) 매뉴얼 레버 소음 방지 구조
JPS6230808Y2 (ko)
KR20060021639A (ko) 수동변속기의 변속조작기구
JP2000249228A (ja) 手動変速機のシフト機構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