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0013808A - 어레이 센서를 이용한 맥진장치 - Google Patents

어레이 센서를 이용한 맥진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0013808A
KR20030013808A KR1020010047998A KR20010047998A KR20030013808A KR 20030013808 A KR20030013808 A KR 20030013808A KR 1020010047998 A KR1020010047998 A KR 1020010047998A KR 20010047998 A KR20010047998 A KR 20010047998A KR 20030013808 A KR20030013808 A KR 2003001380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ulse wave
array sensor
wrist
pulse
semiconductor pressur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1004799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강희정
정용석
Original Assignee
강희정
정용석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강희정, 정용석 filed Critical 강희정
Priority to KR1020010047998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30013808A/ko
Publication of KR2003001380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0013808A/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02Detecting, measuring or recording pulse, heart rate, blood pressure or blood flow; Combined pulse/heart-rate/blood pressure determination; Evaluating a cardiovascular condi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e.g. using combinations of techniques provided for in this group with electrocardiography or electroauscultation; Heart catheters for measuring blood pressure
    • A61B5/024Detecting, measuring or recording pulse rate or heart rate
    • A61B5/02444Details of sensor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68Arrangements of detecting, measuring or recording means, e.g. sensors, in relation to patient
    • A61B5/6801Arrangements of detecting, measuring or recording means, e.g. sensors, in relation to patient specially adapted to be attached to or worn on the body surface
    • A61B5/6813Specially adapted to be attached to a specific body part
    • A61B5/6824Arm or wrist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68Arrangements of detecting, measuring or recording means, e.g. sensors, in relation to patient
    • A61B5/6801Arrangements of detecting, measuring or recording means, e.g. sensors, in relation to patient specially adapted to be attached to or worn on the body surface
    • A61B5/683Means for maintaining contact with the body
    • A61B5/6835Supports or holders, e.g., articulated arm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2562/00Details of sensors; Constructional details of sensor housings or probes; Accessories for sensors
    • A61B2562/02Details of sensors specially adapted for in-vivo measurements
    • A61B2562/0247Pressure sensor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2562/00Details of sensors; Constructional details of sensor housings or probes; Accessories for sensors
    • A61B2562/04Arrangements of multiple sensors of the same type
    • A61B2562/046Arrangements of multiple sensors of the same type in a matrix array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Biophysics (AREA)
  • Patholog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ublic Health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Surgery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ardiology (AREA)
  • Physiology (AREA)
  • Measuring Pulse, Heart Rate, Blood Pressure Or Blood Flow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손목의 촌, 관, 척의 세지점에서 각기 다른 압력(부,중,침)을 어레이센서를 이용 맥파를 추출하고 추출한 맥파를 조합하여 맥상을 추출하고 추출한 맥상으로 인체의 오장 육부의 이상 유무를 진단하는 어레이센서를 이용한 맥진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그 구체적인 수단은 『맥진결과를 화면에 디스플레이하는 모니터와 상기 디스플레이된 맥진결과를 프린팅하는 프린터된 통상의 맥진장치에 있어서, 환자의 맥파를 측정키 위하여 손목을 지지키 위한 손목지지대와, 환자의 손목 3곳(촌, 관, 척)에서 동시에 맥파를 측정함에 있어 상기 손목의 한곳마다 총 12개의 반도체 압력 센서가 다양한 압력으로 맥파를 측정할 수 있도록 총 36개의 반도체 압력센서로 이루어진 어레이센서와, 상기 어레이센서에 의하여 감지된 신호를 증폭하는 증폭기와, 상기 증폭된 맥파에서 필요없는 신호를 제거하는 필터부와, 상기 필터부에서 필터링된 맥파 신호 디지털로 변환하는 맥파A/D변환부와, 상기 변환된 맥파를 다채널 맥파패턴 분석부를 이용하여 맥상을 찾아내어 상기 모니터로 기존의 세기 및 주파수를 근거로 한 2차원 디스플레이 및 맥상의 3D 디스플레이를 행하고 이를 프린터로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어레이 센서를 이용한 맥진장치와, 상기 손목지지대는 손목을 안착시킬수 있도록 중앙에 길이방향으로 파형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파형의 길이방향 일측면에는 손목 하단받침대가 형성되어 있으며 측면 양단부에는 손목의 크기에 따라 상기 손목 지지대를 조절하기 위한 조절손잡이가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어레이 센서를 이용한 맥진장치와, 상기 어레이센서는 맥파를 측정키 위하여 손목 3곳(촌, 관, 척) 각각 마다 총 12개의 반도체압력센서가 형성되어 있어 총 36개의 반도체압력센서가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반도체압력센서 상부에는 반도체압력센서를 고정키 위한 고정판이 형성되어 있고 하부에는 실리콘 패드가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어레이 센서를 이용한 맥진장치』를 구성으로 함으로서 어레이센서를 이용하여 손목의 촌, 관, 척에서 발생한 맥의 파형, 기타 압력의 다양성에 의해 오장육부의 건강상태를 진단하여 컴퓨터의 모니터에 디스플레이하고 출력하므로서 종래의 한의사가 손으로 진단하는 것과 달리 객관성을 높여 신뢰성과 정확성이 높아 이를 통해 객관적인 진단결과를 필요로 하는 한의사에게 객관적이며, 체계적인 진단 결과를 제공할 수 있도록 하며, 또한 비전문가라 할지라도 쉽게 이해할 수 있도록 진단 결과와 치료예방법을 제시함으로서 본 발명을 사용하는 일반인의 건강한 삶을 유지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Description

어레이 센서를 이용한 맥진장치{PLUSE DIAGNOSTIC APPARATUS TO USE ARRAY SENSOR}
본 발명은 손목의 촌, 관, 척의 세 지점에서 각기 다른 압력(부,중,침)을 어레이센서를 이용 맥파를 추출하고 추출한 맥파를 조합하여 맥상을 추출하고 추출한 맥상으로 인체의 오장 육부의 이상 유무를 진단하는 어레이센서를 이용한 맥진장치에 관한 것이다.
한의학에서 인간은 소우주라 하여 인체를 자연계에 대비시켜 설명하였고 인체의 건강은 음양의 평형관계(항상성 유지)를 유지하게 하는 것으로 이해하여 왔다. 인체 내 음양간의 균형이 어떠한 원인에 의해 깨어지면 질병을 일으키게 되는 것이다. 그러나 이를 진단하는 방법이 그 동안은 한의사만의 사진(환자의 얼굴 색의 변화, 환자가 호소하는 증상, 의사가 질문하는 증상, 맥과 촉진을 통한 방법)을 통하여 진단하여 왔으나 객관적이지 못하다는 지적을 받아 왔다.
그 대표적인 현재 한의학에서 사용하고 있는 진단 기기는 맥진기와 양도락으로 대별될 수 있으며, 맥진기는 인체의 우측 손목의 요골(橈骨) 동맥(動脈)에서 발생하는 맥을 인식하여 한의학에서 사용되어지는 27가지 맥의 파형을 그래프로 나타내어 객관적으로 인체 내부의 음양의 허실과 이에 동반하여 나타나는 질병을 진단하는 방법이며, 양도락은 인체 수족(手足)부의 12 경락(經絡)의 특정 경혈(經穴)점(인체의 기의 흐름이 모이는 곳으로 한의학에서는 이를 진단과 치료에응용함)에서 인체의 생체 에너지와 기의 흐름을 측정하고 이를 통하여 나타나는 각 개인의 전기저항의 강약을 이용하여 인체의 내부의 이상과 질병을 진단하는 방법이다.
상기 방법중에서 맥진기를 이용할 경우 종래의 맥진 검출장치는 검진자의 피부에 맞닿아서 맥박을 검출하는 경우 주변 공기의 미세한 흐름 변동이나 소음 등으로 인한 노이즈(Noise)성분이 그대로 반영되어 그 검출정확도가 일정하지 못한 문제점을 갖는 것이었다. 따라서, 피검진자의 정확한 검진이 불가능하여 정확한 치료 효과를 얻기가 곤란하기 때문에 사상의학이나 8체질 의학같이 정밀한 맥박의 검진이 필요한 한의업계에서는 경험이 풍부한 검진자의 촉진에 의해서만 맥박의 진단이 가능한 문제점을 갖는 것이었다.
즉, 현재에 있어 환자 또는 일반인의 맥을 진단하는 방법은 지나치게 전문적이어서 일반인들은 의사를 통하지 않고는 병의 유무를 판단하기가 매우 힘든 것이 사실이다
이에 본 발명은 상기의 여러 가지 문제점을 감안해서 이루어진 것으로서, 본 발명은 복잡성과 주관성을 탈피하고 모든 사람들이 쉽게 이용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그 진단결과도 객관적으로 정확성 있게 하고자 어레이센서를 이용하여 손목의 촌,관,척에서 발생한 맥의 파형, 기타 압력의 다양성에 의해 오장 육부의 건강상태를 진단하여 컴퓨터의 모니터에 3D파형으로 디스플레이하고 출력하므로서 종래의한의사가 손으로 진단하는 것과 달리 신뢰성과 정확성이 높아 이를 통해 객관적인 진단결과를 필요로 하는 한의사에게 객관적이며, 체계적인 진단결과를 제공할 수 있도록 하며, 또한 비전문가라 할지라도 쉽게 이해할 수 있도록 진단 결과와 치료예방법을 제시함으로서 본 발명을 사용하는 일반인의 건강한 삶을 유지할 수 있도록 하는 그 목적이 있는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어레이 센서를 이용한 맥진장치의 맥진분석 흐름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어레이 센서를 이용한 맥진장치의 구성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어레이 센서를 이용한 맥진장치에서 손목지지대의 사시도,
도 4 가)는 본 발명에 따른 어레이 센서를 이용한 맥진장치에서 어레이 센서의 평면도이며,
나)는 어레이 센서의 측면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어레이 센서를 이용한 맥진장치의 전체개략도,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어레이 센서를 이용한 맥진장치에서 주요부의 측면도이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 : 어레이센서 2 : 손목지지대
3 : 증폭기 4 : 필터부
5 : 맥파 A/D 변환부 6 : 다채널 맥파패턴 분석부
7 : 모니터 8 : 프린터
10 : 반도체압력센서 11 : 고정판
12 : 실리콘 패드 20 : 파형
21 : 손목 하단받침대 22 : 조절손잡이
23 : 갭 100 : 센서지지대
101 : 가압조절부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어레이센서를 이용한 맥진장치는 맥진결과를 화면에 디스플레이하는 모니터와 상기 디스플레이된 맥진결과를 프린팅하는 프린터된 통상의 맥진장치에 있어서, 환자의 맥파를 측정키 위하여 손목을 지지키 위한 손목지지대와, 환자의 손목 3곳(촌, 관, 척)에서 동시에 맥파를 측정함에 있어 상기 손목의 한곳마다 총 12개의 반도체 압력 센서가 다양한 압력으로 맥파를 측정할 수 있도록 총 36개의 반도체 압력센서로 이루어진 어레이센서와, 상기 어레이센서에 의하여 감지된 신호를 증폭하는 증폭기와, 상기 증폭된 맥파에서 필요없는 신호를 제거하는 필터부와, 상기 필터부에서 필터링된 맥파 신호 디지털로 변환하는 맥파A/D변환부와, 상기 변환된 맥파를 다채널 맥파패턴 분석부를 이용하여 맥상을 찾아내어 상기 모니터로 기존의 세기 및 주파수를 근거로 한 2차원 디스플레이 및 맥상의 3D 디스플레이를 행하고 이를 프린터로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어레이 센서를 이용한 맥진장치와, 상기 손목지지대는 손목을 안착시킬수 있도록 중앙에 길이방향으로 파형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파형의 길이방향 일측면에는손목 하단받침대가 형성되어 있으며 측면 양단부에는 손목의 크기에 따라 상기 손목 지지대를 조절하기 위한 조절손잡이가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어레이 센서를 이용한 맥진장치와, 상기 어레이 센서는 맥파를 측정키 위하여 손목 3곳(촌, 관, 척) 각각 마다 총 12개의 반도체압력센서가 형성되어 있어 총 36개의 반도체압력센서가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반도체압력센서 상부에는 반도체압력센서를 고정키 위한 고정판이 형성되어 있고 하부에는 실리콘 패드가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어레이 센서를 이용한 맥진장치를 제공함으로서 상기의 목적을 달성할 수있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어레이센서를 이용한 맥진장치의 구체적인 설명을 첨부된 예시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고자 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어레이 센서를 이용한 맥진장치의 맥진분석 흐름도를 도시하고 있으며,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어레이 센서를 이용한 맥진장치의 구성도를 도시하고 있고,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어레이 센서를 이용한 맥진장치에서 손목지지대의 사시도를 도시하고 있다. 한편, 도 4 가)는 본 발명에 따른 어레이 센서를 이용한 맥진장치에서 어레이 센서의 평면도이며, 도4 나)는 어레이 센서의 측면도를 도시하고 있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어레이 센서를 이용한 맥진장치의 전체개략도를 도시하고 있고,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어레이 센서를 이용한 맥진장치에서 주요부의 측면도를 도시하고 있다.
지시부호 1은 어레이센서를 지시하는 것으로서, 상기 어레이센서(1)는 환자의 손목 3곳(촌, 관, 척)에서 동시에 맥파를 측정함에 있어 상기 손목의 한곳마다 총 12개의 반도체 압력 센서(10)가 각기 다른 압력(부,중,침)으로 맥파를 측정할 수 있도록 총 36개의 반도체 압력센서(10)로 이루어진 것이다.
또한, 상기 반도체압력센서(10) 상부에는 반도체압력센서(10)를 고정키 위한 고정판(11)이 형성되어 있고, 하부에는 실리콘 패드(12)가 형성되어 있다.
상기와 같은 어레이센서(1)가 센서지지대(100)의 일측 하부에 고정 결합되고 상기 센서지지대(100) 타측은 가압조절부(101)와 결합되어 유압식으로 콘트롤러(도시하지 아니함)의 조작에 의해 상기 센서지지대(100)가 가압조절부(101)의 상,하로 슬라이딩 가능하도록 된 것이다.
지시부호 2는 환자의 맥파를 측정키 위하여 손목을 지지키 위한 손목지지대를 지시하는 것으로서, 상기 손목지지대(2)는 손목을 안착시킬수 있도록 중앙에 길이방향으로 파형(20)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파형(20)의 일측면에는 손목 하단받침대(21)가 형성되어 있으며 측면 양단부에는 손목의 크기에 따라 상기 손목 지지대(2)를 조절하기 위한 조절손잡이(22)가 형성되어 있는 것으로서 상기 손목지지대(2)는 한쌍이 대칭으로 형성되어 상기 한쌍의 손목지지대(2)가 맞닿는 부분에 갭(23)이 형성되어 있다. 따라서, 사용자의 손목의 굵기에 따라 조절손잡이(22)를 좌우로 슬라이딩하여 상기 갭(23)을 조절함으로서 사용자의 손목의 굵기에 따라 손목지지대(2)를 조절할 수 있는 것이다.
지시부호 3은 상기 어레이센서(1)에 의하여 감지된 신호를 증폭하는 증폭기를 지시하고 있으며,
지시부호 4는 상기 증폭된 맥파에서 필요없는 신호를 제거하는 필터부를 지시하고 있다. 즉, 필요한 맥파만을 증폭하고 기타 불필요한 소음을 제거키 위한 것이다.
지시부호 5는 상기 필터부(4)에서 필터링된 맥파 신호 디지털로 변환하는 맥파A/D변환부를 지시하고 있으며,
지시부호 6은 상기 변환된 맥파중 필요한 맥파를 맥상으로 변환 및 찾아내는 다채널 맥파패턴 분석부를 지시하고 있어 상기 다채널 맥파패턴 분석(6)을 이용하여 맥상을 찾아내어 통상의 모니터(7)로 디스플레이하고 이를 프린터(8)로 출력하는 것이다.
이하 작용에 대하여 도면과 함께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에 도시된 바와같이 우선 손목지지대(2)의 파형(20) 내측으로 사용자 즉, 맥파를 측정하고자 하는 환자의 손목을 안착시킨 후 조절손잡이(22)로 손목지지대(2)를 적합하게 조절한 후, 도면에 도시되지 아니한 콘트롤러의 조작에 의해 어레이센서(1)가 부착된 센서지지대(100)를 가압조절부(101)의 길이방향으로 적당하게 하강시켜 사용자의 손목의 촌, 관, 척 부위에 어레이센서(1)의 각각 12개로 구성된 반도체 압력센서(10)가 상기 손목 세곳을 동시에 각기 다른 압력(부, 중, 침)으로 가압하여 맥파를 측정할 때 상기 어레이센서(1)는 총 36개의 반도체 압력센서(10)가 각기 다른 압력으로 가압하여 측정함으로서 매우 정확하고 다양하게 측정이 가능하다.
한편, 상기와 같이 측정된 부맥 기록이 분석됨과 동시에 재차 가압하여 상기와 같은 방법의 중맥을 측정 분석하고, 또다시 침맥을 측정 분석하여 최종적으로 종합적으로 분석하여 프린터(8)로 출력하고 모니터(7)로 디스플레이하면 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이 작용키 위하여는 이미 언급한 바와같이 어레이센서(1)에서 측정된 맥파신호를 증폭기(3)를 통하여 증폭하고 상기 증폭된 신호에서 필요없는 신호를 제거하는 필터부(4)를 거친 후 맥파 A/D변환부(5)에서 디지털로 변환하고 상기 변환된 신호를 맥상으로 디스플레이하기 위해 다채널 맥파패턴 분석부(6)를 거쳐 모니터(7) 및 프린터(8)로 디스플레이 및 프린팅하면 되는 것이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어레이센서를 이용한 맥진장치는, 결과적으로, 사용자의 입장에서는 비전문가 즉 누구나 손쉽게 자신의 맥파를 측정하여 다양한 건강진단을 할 수 있는 잇점이 있으며 또한 한의사나 전문가가 측정하더라도 발생될 수 있는 오진을 정확하고 편리하게 측정, 분석 가능한 잇점이 있어 진단 결과와 치료예방법을 제시함으로서 본 발명을 사용하는 전문의에게는 객관적 진단자료를 제공하고, 일반인에게는 자가진단을 통해 건강한 삶을 유지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이상에서 본 발명을 특정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들어 도시하고 설명하였으나,본 발명은 상기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본 발명의 정신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내에서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다양한 변경과 수정이 가능할 수 있을 것이다.

Claims (3)

  1. 맥진결과를 화면에 디스플레이하는 모니터(7)와 상기 디스플레이된 맥진결과를 프린팅하는 프린터(8)된 통상의 맥진장치에 있어서,
    환자의 맥파를 측정키 위하여 손목을 지지키 위한 손목지지대(2)와,
    환자의 손목 3곳(촌, 관, 척)에서 동시에 맥파를 측정함에 있어 상기 손목의 한곳마다 총 12개의 반도체 압력 센서(10)가 다양한 압력으로 맥파를 측정할 수 있도록 총 36개의 반도체 압력센서(10)로 이루어진 어레이센서(1)와,
    상기 어레이센서(1)에 의하여 감지된 신호를 증폭하는 증폭기(3)와,
    상기 증폭된 맥파에서 필요없는 신호를 제거하는 필터부(4)와,
    상기 필터부(4)에서 필터링된 맥파 신호 디지털로 변환하는 맥파A/D변환부(5)와,
    상기 변환된 맥파를 다채널 맥파패턴 분석부(6)를 이용하여 맥상을 찾아내어 상기 모니터(7)로 기존의 세기 및 주파수를 근거로 한 2차원 디스플레이 및 맥상의 3D 디스플레이를 행하고 이를 프린터(8)로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어레이 센서를 이용한 맥진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손목지지대(2)는 손목을 안착시킬수 있도록 중앙에 길이방향으로파형(20)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파형(20)의 길이방향 일측면에는 손목 하단받침대(21)가 형성되어 있으며 측면 양단부에는 손목의 크기에 따라 상기 손목 지지대(2)를 조절하기 위한 조절손잡이(22)가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어레이 센서를 이용한 맥진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어레이 센서(1)는 맥파를 측정키 위하여 손목 3곳(촌, 관, 척) 각각 마다 총 12개의 반도체압력센서(10)가 형성되어 있어 총 36개의 반도체압력센서(10)가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반도체압력센서(10) 상부에는 반도체압력센서(10)를 고정키 위한 고정판(11)이 형성되어 있고 하부에는 실리콘 패드(12)가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어레이 센서를 이용한 맥진장치.
KR1020010047998A 2001-08-09 2001-08-09 어레이 센서를 이용한 맥진장치 KR20030013808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10047998A KR20030013808A (ko) 2001-08-09 2001-08-09 어레이 센서를 이용한 맥진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10047998A KR20030013808A (ko) 2001-08-09 2001-08-09 어레이 센서를 이용한 맥진장치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10033639U Division KR200261625Y1 (ko) 2001-11-02 2001-11-02 어레이 센서를 이용한 맥진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0013808A true KR20030013808A (ko) 2003-02-15

Family

ID=2771852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10047998A KR20030013808A (ko) 2001-08-09 2001-08-09 어레이 센서를 이용한 맥진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30013808A (ko)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0019586A (ko) * 2002-08-28 2004-03-06 주식회사 아론통신기술 맥상파 측정 시스템 및 방법
KR100730385B1 (ko) * 2005-10-19 2007-06-19 상지대학교산학협력단 자성박막을 이용한 맥진 센서
KR20070105567A (ko) * 2006-04-26 2007-10-31 조위수 수리진맥장치 및 방법
KR100869514B1 (ko) * 2007-03-14 2008-11-19 한국 한의학 연구원 허맥 및 실맥 진단 시스템
KR101115499B1 (ko) * 2010-05-19 2012-03-13 한국 한의학 연구원 부맥과 침맥 진단을 위한 장치 및 방법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2291839A (ja) * 1989-04-28 1990-12-03 Sony Corp 脈診装置
KR930001873A (ko) * 1991-07-19 1993-02-22 오가 노리오 맥파 검출 장치
KR960016837A (ko) * 1994-11-11 1996-06-17 김상균 맥진 검출센서 누름장치
KR970012127A (ko) * 1995-08-29 1997-03-29 김광호 곱셈기의 승산 방법
KR19980066147A (ko) * 1997-01-20 1998-10-15 배희동 종자를 이용한 효소산물 및 사료원료의 생산
KR20020017109A (ko) * 2000-08-28 2002-03-07 최한영 손목 맥파 검출기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2291839A (ja) * 1989-04-28 1990-12-03 Sony Corp 脈診装置
KR930001873A (ko) * 1991-07-19 1993-02-22 오가 노리오 맥파 검출 장치
KR960016837A (ko) * 1994-11-11 1996-06-17 김상균 맥진 검출센서 누름장치
KR970012127A (ko) * 1995-08-29 1997-03-29 김광호 곱셈기의 승산 방법
KR19980066147A (ko) * 1997-01-20 1998-10-15 배희동 종자를 이용한 효소산물 및 사료원료의 생산
KR20020017109A (ko) * 2000-08-28 2002-03-07 최한영 손목 맥파 검출기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0019586A (ko) * 2002-08-28 2004-03-06 주식회사 아론통신기술 맥상파 측정 시스템 및 방법
KR100730385B1 (ko) * 2005-10-19 2007-06-19 상지대학교산학협력단 자성박막을 이용한 맥진 센서
US7824340B2 (en) 2005-10-19 2010-11-02 Sangji University Industry Academy Cooperation Foundation Pulsimeter sensor using magnetic thin films
KR20070105567A (ko) * 2006-04-26 2007-10-31 조위수 수리진맥장치 및 방법
KR100869514B1 (ko) * 2007-03-14 2008-11-19 한국 한의학 연구원 허맥 및 실맥 진단 시스템
KR101115499B1 (ko) * 2010-05-19 2012-03-13 한국 한의학 연구원 부맥과 침맥 진단을 위한 장치 및 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684274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cuff-less blood pressure measurement in a mobile device
EP3422930B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cuff-less blood pressure measurement
US6188470B1 (en) Bioenergetic data collection apparatus
EP3432778B1 (en) An apparatus and method to locate, measure and monitor inflammation of the skin's soft tissue
US6490480B1 (en) Apparatus and methods for measuring autonomic nervous system function
US20120065523A1 (en) Dvt detection
US20110066011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recording and presentation of physiological data
JP4808849B2 (ja) 筋電気信号を評価しアーティファクトを特定するための方法及び装置
UA82094C2 (uk) Пристрій для вимірювання гемодинамічних параметрів і спосіб здійснення вимірювань
KR20030013808A (ko) 어레이 센서를 이용한 맥진장치
KR200261625Y1 (ko) 어레이 센서를 이용한 맥진장치
KR20080043545A (ko) 휴대용 맥진기 및 그 맥진방법
KR100908998B1 (ko) 원격 맥진 장치 및 방법
US20200297225A1 (en) Vital sign measurement device
KR100635028B1 (ko) 정규화된 맥파 신호를 출력하는 맥파 계측 시스템
JP3041882B2 (ja) 脈診装置
KR100564282B1 (ko) 인체오라 측정방법
CN210843087U (zh) 一种超声医师情绪量化装置
KR20050010396A (ko) 휴대용 경혈 및 맥박의 복합 측정장치
Su et al. Ballistocardiogram measurement system using three load-cell sensors platform in chair
JP2003070755A (ja) 血圧測定装置
KR20100064513A (ko) 에어셀을 이용한 맥박 측정 장치
Shyu et al. Development of a cuffless blood pressure measurement system
JP2882620B2 (ja) 心臓電位の記録装置
Basavaraj A Non-Invasive Technique For Pulse Diagnosis Through Pulse Auscultation System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