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70105567A - 수리진맥장치 및 방법 - Google Patents

수리진맥장치 및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70105567A
KR20070105567A KR1020060037845A KR20060037845A KR20070105567A KR 20070105567 A KR20070105567 A KR 20070105567A KR 1020060037845 A KR1020060037845 A KR 1020060037845A KR 20060037845 A KR20060037845 A KR 20060037845A KR 20070105567 A KR20070105567 A KR 2007010556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isease
pulse
group
pulse rate
inform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6003784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조위수
Original Assignee
조위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조위수 filed Critical 조위수
Priority to KR1020060037845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70105567A/ko
Publication of KR2007010556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70105567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48Other medical applications
    • A61B5/4854Diagnosis based on concepts of traditional oriental medicin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02Detecting, measuring or recording pulse, heart rate, blood pressure or blood flow; Combined pulse/heart-rate/blood pressure determination; Evaluating a cardiovascular condi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e.g. using combinations of techniques provided for in this group with electrocardiography or electroauscultation; Heart catheters for measuring blood pressure
    • A61B5/024Detecting, measuring or recording pulse rate or heart rate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atholog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Cardiology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Surgery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Biophysics (AREA)
  • Public Health (AREA)
  • Physiology (AREA)
  • Alternative & Traditional Medicine (AREA)
  • Measuring Pulse, Heart Rate, Blood Pressure Or Blood Flow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수리진맥장치는, 좌우수별로 촌관척(寸關尺)으로 구분하고, 각 촌관척을 두그룹으로 세분하여 인체 해당부위가 각각 대응되게 구성한 좌우수 대비테이블이 맵핑된 메모리부와, 표시부와, 좌우수의 촌관척 측정 맥박수를 이용하여 발병여부를 판단하고, 발병시 공통수와 그를 제외한 나머지수들을 이용하여 해당 그룹을 판정하며, 해당 그룹의 최고치 및 최저치 정보와 좌우수 대비테이블을 이용하여 구체 병명정보를 획득하고, 표시부상에는 발병관련정보가 포함된 진맥결과를 디스플레이되게 제어하는 제어장치부로 구성한다.
촌관척, 수리진맥

Description

수리진맥장치 및 방법{APPARATUS AND METHOD FOR EXAMINATION OF THE PULSE}
도 1 및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좌우수(左右手) 촌관척(寸關尺) 상응 인체부위 및 대비표 설명을 위한 도면.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수리진맥장치 블록 구성도.
도 4는 도 3의 메모리부에 맵핑된 좌우수 대비테이블 구성도.
도 5는 도 3의 제어부에서의 제어 흐름도.
본 발명은 일반인들도 진맥만으로 발병유무는 물론 발병시 구체적인 병명까지도 간단히 파악할 수 있도록 하는 수리진맥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동양의학이나 서양의학은 현재까지 많은 발전을 가져온 것은 사실이나 발병유무 및 발병시 발병부위를 파악하기 위한 진단면에서는 아직까지 초보적인 수준에 머물고 있는 것이 현실이다.
예를 들어 동양의학의 경우 주로 문진(問診)이나 맥진법(脈診法) 등을 이용 하여 진단하고 있으나 문진의 경우 환자 자신이 당장 고통을 느끼지 못할 경우 발병조차도 확인하기 어렵고, 진맥의 경우에도 참고적인 면에서만 약간의 도움을 얻을 수 있을 뿐 발병은 물론 발병부위를 정확히 파악할 수가 없는 것이다.
또한 서양의학에서는 시진(視診), 문진(問診), 청진(聽診), 및 타진(打診)을 하고 또 변이나 혈 등을 통한 검진을 하며, 또 복진, 압진, 엑스선, 피부조직 검사, 및 척추액 검사 등을 차례로 행하여 종합결과를 확인하게 되는데, 그렇게 하까지는 시간과 비용이 많이 소요되며 그 결과 역시도 부정확하고 오진율도 적지 않는 것이 현실이다.
더욱이 이러한 동서양의학에서의 진단은 오랜 경험이나 장비의 도움을 요하는 것으로서 환자 자신이나 일반인들의 자가진단은 사실상 불가능한 것이다. 그러므로 일상생활에 바쁜 현대인들로서는 발병 후 병이 상당히 진행되어 몸에 이상이 느껴져야만 비로소 병원을 찾게 되므로 치료비의 과다 소요됨은 물론 초기치료 실패로 큰병을 키우게 되는 등의 문제점들이 있는 것이다.
본 발명은 상술한 바와 같은 문제점들을 해결하고자 일반인들도 기기의 도움없이 발병유무 및 발병부위를 쉽고 정확히 진단할 수가 있어 진단을 위한 시간적, 경제적 부담을 줄여줄 수가 있고 또 수시진단을 통한 초기치료로 치료비부담을 줄여줄 수 있음은 물론 큰병을 키우는 일 없이 상기 건강한 삶을 영위할 수 있도록 하는 수리진맥장치 및 방법을 제공함을 그 목적으로 한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좌수(左手)와 우수(右手)의 촌관척(寸關尺) 맥박수를 측정기록하여 그 수가 불일치하는 것으로 1차 발병유무를 확인하고 또 전체수 중 공통수가 있는 경우 공통수보다 높거나 낮은 수와 공통수가 없는 경우 높고 낮은 수를 병으로 보아 촌관척을 구분하고 또 촌관척에 해당하는 부위를 두 그룹으로 나눈 대비표에 대입시켜 이상이 있는 신체부위를 확인할 수 있도록 구성함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들을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면들 중 동일한 구성요소들은 가능한 한 어느 곳에서든지 동일한 부호들로 나타내고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는 공지 기능 및 구성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도 1 및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좌우수(左右手) 촌관척(寸關尺) 상응 인체부위 및 대비표 설명을 위한 도면이다.
한의학(韓醫學)에서 진맥을 할 때 주로 사용하는 촌관척(寸關尺)맥법은 편작(偏鵲)의 난경에서 비롯된 것으로,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좌수(10)의 촌부(寸部)는 인체의 심장과 비장에 해당되고, 좌수(10)의 관부(關部)는 인체의 간장과 담장에 해당되며, 좌수(10)의 척부(尺部)는 인체의 신장과 소장에 해당되는 것이다. 또한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우수(20)의 촌부(寸部)는 심장경과 삼초경에 해당되고, 우수(20)의 관부(關部)는 위장과 비장에 해당되며, 우수(20)의 척부(尺 部)는 폐장과 대장에 해당되는 것이다.
이러한 한의학적인 근거 하에 본 발명의 실시 예에서도 좌우수(10)(20)의 촌부와 관부 및 척부를 표시하고 또 촌관척에 해당되는 인체부위를 각각 구분하되, 더욱이 좌우수(10)(20)의 촌관척부를 A,B그룹으로 세분하여 인체 해당부위를 1:1로 대응시켜주므로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좌우수별 대비표(12)(22)를 얻는다.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좌우수별 대비표(12)(22)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수리진맥장치(도 3의 100)의 메모리부(도 3의 36)에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은 좌우수 대비 테이블형태로 맵핑된다.
먼저 좌우수(10)(20)의 촌관척 진맥을 하여 약 1분간의 맥박수를 측정한다.
촌관척 맥법에서 신체에 이상이 없으면 좌우수(10)(20) 촌관척의 모두의 맥박수는 통상 1분간 75∼80회(정상맥박수 범위)로 일정하게 뛴다. 하지만 신체에 이상이 생기면 맥박수는 고르지 못하게 된다. 즉 맥박수가 높아도 이상이고 맥박수가 낮아도 이상이 있다.
다만 진맥시에는 하기와 같은 점에는 유의하여야 한다.
운동이나 흥분시 및 식후는 피하여 가급적 아침에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만일 좌우수 촌관척 맥이 모두 다를 경우에는 아침에 재진맥하되 10분간 안정을 취한 후 재진맥하여 결과를 얻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맥박수를 측정하는데 있어서는 일반인들이 숙달되지 않은 진맥에 어려움이 따를 경우 맥박측정기의 도움을 받는 것이 정확성을 높일 수 있게 된다.
맥박수는 정확성을 높이기 위하여는 1분 이상을 측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측정된 맥박수는 기록지에 기록할 수 있으며, 기록지의 맥박수는 수리진맥장치의 입력부를 통해 진단자가 입력함에 따라 수리진맥장치의 메모리부내 기록테이블내 매칭 저장될 수 있다. 또한 맥박수가 맥박측정기를 통해 측정된 경우에는 수리진맥장치의 메모리내 기록테이블에 바로 매칭 저장될 수도 있다.
맥박수 기록시 이용되는 기록지나 그에 대응하는 메모리부내 기록테이블은, 좌수(10)와 우수(20)로 구획하고 이를 다시 촌관척으로 세분화하여 총 6개의 빈칸을 갖도록 한 것으로 하기 표 1과 같으며, 좌우수(10)(20)의 촌관척 맥박수를 빈칸에 모두 기재할 수 있게 된다.
Figure 112006029399596-PAT00001
한편 기록지에 기록된 맥박수를 이용한 수리적(數理的) 진맥시에는 본 발명에 따라 하기와 같은 원칙이 적용된다.
1) 좌우수(10)(20)의 촌관척 맥박수를 주어진 시간동안 체크하여 기록지에 기재되면 기재된 맥박수가 같은 수 3이상을 포함하고 있는지의 유무를 파악하여 같은 수 3이상을 포함하고 있으면 공통수가 있는 것으로 본다.
2) 또한 공통수를 포함하고 있는 경우에는 공통수를 제외한 나머지수들 모두가 공통수보다 높으면 도 1 및 도 2의 대비표(12)(22)내 A그룹에 속하는 것으로 판정하고 그중 가장 높은 수를 병으로 보며, 나머지수들 모두가 공통수보다 낮으면 도 1 및 도 2의 대비표(12)(22)내 B그룹에 속하는 것으로 판정하고 그 중 가장 낮은 수를 병으로 본다.
3) 공통수가 없고 하나의 차이가 있을 경우에는 그 어림수를 포함시켜 공통수가 되게 하며, 그 공통수를 제외한 나머지수 중 가장 높은 수나 가장 낮은 수를 병으로 본다.
4) 또한 공통수를 제외한 나머지 수가 모두 공통수를 기준으로 미리 설정된 한계치 예컨대, ±5 이내의 오차범위일 경우에는 보통병이고, ±5의 오차범위를 벗어나면 중병으로 보아도 무방하다.
5) 좌우수의 촌관척 맥박수를 진맥하였으나 공통수가 없을 경우 합병증으로 의심한다. 이때에는 맥박수들중 가장 높은 수를 도 1 및 도 2의 대비표(12)(22)의 A그룹으로 판정하여 병을 찾게되며, 맥박수들중 가장 낮은 수를 도 1 및 도 2의 대비표(12)(22)의 B그룹으로 판정하여 병을 찾게되는 바, 이경우에는 두가지 이상이 발병한 것으로 진단된다.
6) 좌우수의 촌관척 맥박수를 진맥하였으나 공통수는 없고 그 단짝(같은 수가 2개)이 되는 수만 있을 수 있는데 이러한 경우를 난맥(亂脈)이라 하며, 난맥일 시에는 가급적 진맥을 수회반복하여 맥박수의 정확성을 기하되, 이 역시 가장 높고 가장 낮은 수를 병으로 본다.
7) 맥이 잘 뛰지 않거나 약해서 맥이 나오지 않을 경우 사관(四關)에 유침(留鍼)을 하고 십분쯤 후에 진맥을 하여 결과를 얻도록 한다.
아래 표 2는 공통수를 포함하고 있는 경우로서 공통수를 제외한 나머지 수가 모두 공통수보다 낮을 경우를 나타내고 있다.
Figure 112006029399596-PAT00002
표 2를 참조하면, "70"이 3이상이므로 공통수가 되고, 공통수 "70"을 제외한 나머지수들을 살피면 모두가 공통수보다 낮으므로 도 1 및 도 2의 대비표(12)(22)의 B그룹으로 판정하게된다. 나머지 수들중 가장 낮은 수는 "60"이므로 우수(20)의 척부에 해당함을 알 수가 있다. 따라서 우수(20)를 나타낸 도 2의 대비표(22)에 대입시켜 보면 우수(20)의 B그룹 중 척부에 해당하는 장기 즉, 대장에 병이 있음을 확인할 수 있게 된다.
아래 표 3 역시 공통수를 포함하고 있는 경우로서 공통수를 제외한 나머지수가 모두 공통수보다 낮은 경우를 나타내고 있다.
Figure 112006029399596-PAT00003
표 3에서, "65"가 3이상으므로 공통수를 포함하고 있음을 알 수가 있고 공통수 "65"를 제외한 나머지 수들은 모두 공통수보다 높은 수이므로 A그룹에 속하며, 나머지 수중 가장 높은 수는 "72"로서 우수의 관부에 해당함을 알 수가 있다. 따라서 우수(20)를 나타낸 도 2의 대비표(22)에 대입시켜 보면 우수(20)의 A그룹 중 관부에 해당하는 장기 즉, 위장에 병이 있음을 확인할 수 있게 된다.
아래 표 4는 공통수가 없고 하나의 차이가 있는 경우로서 어림수를 포함시켜 공통수를 형성케하며, 그 공통수를 제외한 그 나머지 수가 공통수보다 높은 수와 낮은 수를 포함하고 있는 경우를 나타내고 있다.
Figure 112006029399596-PAT00004
표 4는 같은 수인 2단의 "60"에 어림수 "61"을 포함하여 공통수를 형성한다. 그 공통수를 제외하고 볼 때 나머지수는 공통수보다 높은 수(A그룹으로 판정)와 낮은 수(B그룹으로 판정)를 모두 포함하고 있는데, A그룹인 높은 수는 "65"로서 좌수(10)인 도 1의 대비표(12)에 대입시켜 보면 좌수(10)의 A그룹 중 관부에 해당하는 장기인 간장에 병이 있음을 확인할 수 있다. 또한 B그룹인 낮은 수는 "57"로서 우수(20)인 도 2의 대비표(22)에 대입시켜 보면 우수(20)의 B그룹 중 촌부에 해당하는 삼초경에 병이 있음을 확인 할 수 있게 된다.
아래 표 5는 공통수가 좌측에만 있고 우측은 고르지 못함을 나타내고 있다.
Figure 112006029399596-PAT00005
표 5의 경우는 인체 우측이 기현(起現)이 잘 안되고 있음을 나타낸다. 공통수 "60"을 제외한 수는 공통수 "60"보다 낮은 수이므로 B그룹에 속하는 것으로 판정하고, 그 중 가장 낮은 수는 "50"으로 우수의 척부에 해당함을 알 수가 있다. 그러므로 우수(20)인 도 2의 대비표(22)에 대입시켜 보면 우수(20)의 B그룹 중 척부에 해당하는 대장에 병이 있음을 확인 할 수 있게 된다.
위와 같은 일 예에서 알 수 있듯이, 좌우수 촌관척 진맥으로 얻은 6개의 맥박수를 상기한 원칙에 적용한 후 도 1 및 도 2에서의 대비표(12)(22)에 대입시키게 되면 발병유무는 물론이고 신체중 어떤 부위에 이상이 있는지를 간단히 확인할 수 있게 된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서는 일반인들도 진맥만으로 발병유무는 물론 발병시 구체적인 병명까지도 간단히 파악할 수 있도록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은 수리진맥장치(100)로 구현하되, 바람직하게로는 휴대가능한 장치로서 구현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수리진맥장치(100)의 블록 구성도로서, 제어부(30), 입력부(32), 표시부(34), 메모리부(36), 및 맥박감지부(38)를 포함하여 구성한다. 도 4는 도 3의 메모리부(36)에 맵핑된 좌우수 대비테이블(40) 구성도이다.
도 3의 메모리부(36)는 제어부(30)에 의해 제어된다. 메모리부(36)에는 좌우수(10)(20)의 촌관척의 각 맥박수가 입력되면 이를 저장하기 위한 표 1과 같은 기록테이블이 구비되고, 전기한 원칙들에 근거하여 프로그래밍된 제어 프로그램이 맵핑 저장된다. 또한 도 4와 같은 좌우수 대비테이블(40) 즉, 도 1 및 도 2에서의 좌우수별 대비표(12)(22)를 통합한 형태의 테이블이 맵핑되어 있다. 상기 좌우수 대비테이블(40)은 좌우수별로 촌관척(寸關尺)으로 구분하고, 각 촌관척을 두그룹 A,B로 세분하여 인체 해당부위가 각각 대응되게 구성한 것이다.
맥박감지부(38)는 좌우수(10)(20)의 촌관척의 각 맥박수를 감지하는 장치로서, 제1 맥박감지기(38a)는 제어부(30)의 제어 하에 도 1에 도시된 좌수(10) 촌관척의 각 맥박수를 감지하여 제어부(30)로 출력하고, 제2 맥박감지기(38b)는 제어부(30)의 제어 하에 도 2에 도시된 우수(20) 촌관척의 각 맥박수를 감지하여 제어부(30)로 출력한다.
좌우수(10)(20)의 촌관척의 각 맥박수는 입력부(32)를 통해서도 제어부(30)에 인가될 수 있다. 즉, 진맥이나 별도의 맥박측정기로 좌우수(10)(20)의 촌관척의 각 맥박수를 측정하여 기록지 등에 기록한 다음 사용자가 입력부(32)를 통해 입력할 수 있으며, 입력부(32)를 통해 입력된 좌우수(10)(20)의 촌관척 각 맥박수는 제어부(30)에 인가되어진다.
제어부(30)는 맥박감지부(38)를 통해 입력되거나 또는 입력부(32)를 통해 입력된 좌우수(10)(20)의 촌관척의 각 맥박수가 입력되면 이를 메모리부(36)의 기록테이블에 매칭시켜 저장한다. 기록 테이블의 형태는 표 1에 나타낸 바와 같이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제어부(30)는 좌우수(10)(20)의 촌관척 맥박수들을 이용하여 전기한 원칙들에 근거하여 프로그래밍된 제어 프로그램에 의거하여 발병유무는 물론 발병시 구체 병명까지도 표시부(34) 등을 통해서 사용자에게 알려줄 수 있도록 제어한다.
도 5는 도 3의 제어부(30)에서의 제어 흐름도이다.
수리진맥장치(100)에서의 제어동작을 도 5를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하기와 같다.
제어부(30)는 도 5의 200단계에서와 같이, 맥박감지부(38)를 통해 입력되거나 또는 입력부(32)를 통해 입력된 좌우수(10)(20)의 촌관척의 각 맥박수가 입력되면 이를 메모리부(36)의 기록테이블에 매칭시켜 저장한다.
그후 제어부(30)는 도 5의 202단계에서, 획득저장된 6개의 맥박수를 이용하여 발병여부를 판단하며 그 발병여부정보를 메모리부(36)에 저장한다. 발병여부는 전기한 바와 같이 6개의 맥박수가 정상 맥박수 범위내에서 거의 균일하게 존재하면 정상이고 그렇지 않으면 우선은 발병한 것으로 판정한다.
도 5의 202단계 후, 제어부(30)는 도 5의 204단계의 판단에서 발병으로 판단하게되면 도 5의 206단계로 진행한다.
제어부(30)는 도 5의 206단계에서 공통수와 그를 제외한 나머지 수들을 이용하여 발병정도정보를 획득하고 그 발병정도정보를 메모리부(36)에 저장한다. 발병정도정보는 전기한 본 발명의 원칙 4)에 근거하여 결정하게 된다.
그후 제어부(30)는 도 5의 208단계에서 획득 저장한 6개의 맥박수를 입력변수로 하여 전기한 원칙 1),2),5),6)에 근거해 미리 설정한 그룹판정 서브루틴을 수행하여 A,B그룹인지를 판정한다.
208단계를 수행 후, 제어부(30)는 210단계로 진행하여 A그룹의 최고치 및/또는 B그룹의 최저치의 정보를 얻고, 그 얻은 정보와 메모리부(36)에 맵핑된 도 4의 좌우수 대비테이블(40)에 근거하여 구체 병명정보를 획득하고 그 구체 병명정보를 메모리부(36)에 저장한다.
마지막으로 제어부(30)는 메모리부(36)에 저장된 발병여부, 발병시 발병의 정도, 발병된 구체 병명정보를 읽어내어 표시부(34)상으로 디스플레이해준다. 그에 따라 사용자는 발병여부, 발병의 정도, 발병의 구체병명 등을 간단히 알 수가 있다. 발병관련정보가 포함된 진맥결과를 사용자에게 알려주는 방법은 표시부(34)를 이용하는 것 이외에 다른 여러가지 방법 예컨대, 가청되게 하거나 무선메시지 전송 등으로도 구현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일반인들도 진맥만으로 발병유무는 물론 발병시 구체적인 병명까지도 간단히 파악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Claims (2)

  1. 수리진맥장치에 있어서,
    좌우수별로 촌관척(寸關尺)으로 구분하고, 각 촌관척을 두그룹으로 세분하여 인체 해당부위가 각각 대응되게 구성한 좌우수 대비테이블이 맵핑된 메모리부와,
    표시부와,
    좌우수의 촌관척 측정 맥박수를 이용하여 발병여부를 판단하고, 발병시 공통수와 그를 제외한 나머지수들을 이용하여 해당 그룹을 판정하며, 해당 그룹의 최고치 및 최저치 정보와 상기 좌우수 대비테이블을 이용하여 구체 병명정보를 획득하고, 상기 표시부상에는 발병관련정보가 포함된 진맥결과를 디스플레이되게 제어하는 제어장치부로 구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수리진맥장치.
  2. 수리진맥방법에 있어서,
    좌우수별로 촌관척(寸關尺)으로 구분하고, 각 촌관척을 두그룹으로 세분하여 인체 해당부위가 각각 대응되게 구성한 좌우수 대비표를 제공하는 과정과,
    좌우수의 촌관척 맥박수를 측정하여 발병여부를 판단하는 과정과,
    발병시 공통수와 그를 제외한 나머지수들을 이용하여 해당 그룹을 판정하며 해당 그룹의 최고치 및 최저치 정보와 상기 좌우수 대비표를 이용하여 구체 병명정보를 획득하는 과정과,
    상기 발병여부 및 구체 병명정보가 포함된 진맥결과를 사용자에게 제공하는 과정으로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수리진맥방법.
KR1020060037845A 2006-04-26 2006-04-26 수리진맥장치 및 방법 KR20070105567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37845A KR20070105567A (ko) 2006-04-26 2006-04-26 수리진맥장치 및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37845A KR20070105567A (ko) 2006-04-26 2006-04-26 수리진맥장치 및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105567A true KR20070105567A (ko) 2007-10-31

Family

ID=3881899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0037845A KR20070105567A (ko) 2006-04-26 2006-04-26 수리진맥장치 및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70105567A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69515B1 (ko) * 2007-03-14 2008-11-19 한국 한의학 연구원 대맥 및 세맥 진단 시스템
KR100933248B1 (ko) * 2008-06-23 2009-12-22 한국 한의학 연구원 맥진 가압 트레이닝 장치 및 방법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0040507A (ko) * 2000-11-24 2002-05-30 강두웅 맥 검출장치
KR20020087617A (ko) * 2001-05-15 2002-11-23 허웅 맥위검출을 위한 맥동검출기
KR20030013808A (ko) * 2001-08-09 2003-02-15 강희정 어레이 센서를 이용한 맥진장치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0040507A (ko) * 2000-11-24 2002-05-30 강두웅 맥 검출장치
KR20020087617A (ko) * 2001-05-15 2002-11-23 허웅 맥위검출을 위한 맥동검출기
KR20030013808A (ko) * 2001-08-09 2003-02-15 강희정 어레이 센서를 이용한 맥진장치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69515B1 (ko) * 2007-03-14 2008-11-19 한국 한의학 연구원 대맥 및 세맥 진단 시스템
KR100933248B1 (ko) * 2008-06-23 2009-12-22 한국 한의학 연구원 맥진 가압 트레이닝 장치 및 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Robinson et al. Reliability and validity of a palpation technique for identifying the spinous processes of C7 and L5
Chiarello et al. Concurrent validity of calipers and ultrasound imaging to measure interrecti distance
Fitzgerald et al. Reliability of measurements obtained with four tests for patellofemoral alignment
CN101247759B (zh) 电生理分析系统和方法
Hinman Interrater reliability of flexicurve postural measures among novice users
Mileman et al. Factors influencing the likelihood of successful decisions to treat dentin caries from bitewing radiographs
CN1578642A (zh) 用于检测膀胱功能病理性损伤的设备
Gakenheimer The efficacy of a computerized caries detector in intraoral digital radiography
WO1989007417A1 (en) Apparatus for measuring data of living body
EP0979055A4 (en) DEVICE AND METHOD FOR EVALUATING MUSCLE FUNCTIONS
US9782118B2 (en) Diagnosis of swallowing disorders using high resolution manometry
Fontana et al. A screening test for unstimulated salivary flow measurement
Laitala et al. Validity of digital imaging of fiber‐optic transillumination in caries detection on proximal tooth surfaces
JP2007190272A (ja) 測定装置及びシステム
US20070055162A1 (en) Method for obtaining the valid systolic blood pressure of patients with hardened arteries
KR20070105567A (ko) 수리진맥장치 및 방법
KR20190076439A (ko) 통증 측정기 및 이를 이용하여 통증 시그널을 수집하는 빅데이터 플랫폼
Chuk Determining the accuracy of pain assessment of senior student nurses: a clinical vignette approach
Swart et al. Comparison of a new desktop spirometer (Spirospec) with a laboratory spirometer in a respiratory out-patient clinic
CN101612041B (zh) 一种计算机辅助方法和装置
Lang Epidemiology of periodontal disease
Henning et al. Validating the walking while talking test to measure motor, cognitive, and dual-task performance in ambulatory individuals with multiple sclerosis
CN209107309U (zh) 用于骨折风险评估的系统
RU2502467C1 (ru) Способ диагностики функционального состояния зубочелюстной системы
WO2016142882A2 (es) Metodo de evaluación de desempeño cognitivo de una persona y equipo para llevar a cabo el mismo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