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50010396A - 휴대용 경혈 및 맥박의 복합 측정장치 - Google Patents

휴대용 경혈 및 맥박의 복합 측정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50010396A
KR20050010396A KR1020030049631A KR20030049631A KR20050010396A KR 20050010396 A KR20050010396 A KR 20050010396A KR 1020030049631 A KR1020030049631 A KR 1020030049631A KR 20030049631 A KR20030049631 A KR 20030049631A KR 20050010396 A KR20050010396 A KR 2005001039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ulse
unit
current value
pulse pressure
fastening par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3004963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555850B1 (ko
Inventor
강만희
김용환
Original Assignee
(주)경희한방메디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경희한방메디칼 filed Critical (주)경희한방메디칼
Priority to KR102003004963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555850B1/ko
Publication of KR2005001039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5001039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55585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555850B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24Detecting, measuring or recording bioelectric or biomagnetic signals of the body or parts thereof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48Other medical applications
    • A61B5/4854Diagnosis based on concepts of traditional oriental medicine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Patholog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Biophysics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Surgery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Alternative & Traditional Medicine (AREA)
  • Finger-Pressure Massag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착용자의 경혈점에 대한 전류값과 맥압에 대한 전기신호를 동시에 측정하여 복합적인 진단을 수행할 수 있는 휴대용 경혈 및 맥박의 복합 측정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일측 단부에 체결부가 형성되고, 타측 단부에 상기 체결부와 결합되는 보조 체결부가 형성된 소정 형상의 밴드와; 상기 체결부와 보조 체결부 사이에 위치하는 상기 밴드의 안쪽면에 부착되며 착용시 착용자의 경혈점에 접촉하여 폐회로를 형성하는 다수의 막대형태의 공통전극과; 상기 체결부와 보조 체결부 사이에 위치하며 상기 착용자의 맥박을 측정하는 압전소자와 압전소자에 압력을 가하는 압력조절기로 구성된 맥압센서와; 상기 밴드의 안쪽에 위치하며 상기 착용자의 피부습도를 체크하는 습도센서; 및 상기 공통전극 중 경락에 위치하는 전극에서 측정된 전류값과 상기 맥박센서에서 측정된 전기신호를 기저장된 정상치와 함께 디스플레이시키는 분석장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휴대용 경혈 및 맥박의 복합 측정장치{Portable Measuring Apparatus of Blood Vessel and Pulse}
본 발명은 경락에서 측정되는 경혈점의 전류값과 요골동맥에서 측정되는 맥압에 대한 전기신호를 동시에 측정하여 복합적인 진단을 수행할 수 있는 휴대용 경혈 및 맥박의 복합 측정장치에 관한 것이다.
한의학에서 인간은 소우주라 하여 인체를 자연계에 대비시켜 설명하였고 인체의 건강은 음양의 평형관계(항상성 유지)를 유지하게 하는 것으로 이해하여 왔다. 인체 내 음양간의 균형이 어떠한 원인에 의해 깨어지면 질병을 일으키게 되는 것이다. 그러나 이를 진단하는 방법이 그 동안은 한의사만의 사진(환자의 얼굴 색의 변화, 환자가 호소하는 증상, 의사가 질문하는 증상, 맥과 촉진을 통한 방법)을 통하여 진단하여 왔으나 객관적이지 못하다는 지적을 받아 왔다.
객관적인 진단을 위해 한방에서도 과학적인 진단기기가 개발되었고 대표적으로 현재 한의학에서 사용하고 있는 진단기기는 경락측정기와 맥진기로 대별될 수 있다. 경락측정기는 인체 수족(手足)부의 12 경락(經絡)의 특정 경혈(經穴)점(인체의 기의 흐름이 모이는 곳으로 한의학에서는 이를 진단과 치료에 응용함)에서 인체의 생체 에너지와 기의 흐름을 측정하고 이를 통하여 나타나는 각 개인의 전기저항의 강약을 이용하여 인체 내부의 이상과 질병을 진단하는 방법이며, 맥진기는 인체의 우측 손목의 요골동맥(橈骨動脈)에서 발생하는 맥을 인식하여 한의학에서 사용되어지는 27가지 맥의 파형을 그래프로 나타내어 객관적으로 인체 내부의 음양의 허실과 이에 동반하여 나타나는 질병을 진단하는 방법이다.
이러한 경락측정기는 대한민국실용신안등록 제20-0144725호(공고일 : 1999.6.15), 대한민국등록특허 제10-0308648호(공고일 : 2001.9.26) 등에서는 경혈점에 일정한 압력으로 접촉시켜 인체 경혈로부터의 전기적인 신호를 측정하는 경혈측정기를 공개하였다.
또한, 대한민국실용신안출원 제 2001-33693호 등에서는 압전소자에 얻어지는 맥파신호를 증폭기를 통해 증폭하여 검류계를 구동시켜 스피커나 표시관(display tube)에 맥파를 기록하여 피검진자의 건강상태를 검진하도록 하는 맥진기를 공개하였다.
그러나, 이와 같은 경혈측정기와 맥진기는 각각 다른 장치이기 때문에 의사또는 환자가 사용하기 위해서는 경혈측정기에서 경혈점을 체크하고 다른 맥진기에서 압력을 체크해야 하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기존의 경혈측정기는 각각의 경혈점에 정확하게 위치시켜야하기 때문에 측정자마다 그리고 측정시마다 오차가 발생하는 가능성이 있다는 문제점이 있다.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한 본 발명의 목적은 착용자의 경혈점에 대한 전류값과 맥압에 대한 전기신호를 동시에 측정하여 복합적인 진단을 수행할 수 있는 휴대용 경혈 및 맥박의 복합 측정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경혈점을 측정하는 공통전극을 막대형의 어레이형식으로 배열함으로써 착용자가 경혈점의 위치를 알지 못하더라도 정확하게 경혈점의 전류값을 측정할 수 있는 휴대용 경혈 및 맥박의 복합 측정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도 1a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경혈 및 맥박의 복합 측정장치의 전면사시도.
도 1b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경혈 및 맥박의 복합 측정장치의 후면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휴대용 경혈 및 맥박의 복합 측정장치의 착용상태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경락별 전류값의 시분할 동시측정상태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맥압측정부의 측정상태를 나타내는 예시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분석장치의 블록도.
도 6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인가전압의 보정그래프.
도 7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라 경혈 및 맥압측정과정을 도시한 플로우챠트.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복합측정장치 2 : 밴드
3 : 체결부 4 : 보조체결부
5 : 공통전극 6 : 압력센서
7 : 습도센서 10 : 분석장치
11 : 스캔부 12 :전압조절부
13 : 증폭부 14 : A/D변환부
15 : 디스플레이부 16 : 메뉴조작부
17 : 통신부 18 : 제어부
19 : 메모리 32 : 압력조절기
33: 압전소자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휴대용 경혈 및 맥박의 복합 측정장치는 상기 일측 단부에 체결부가 형성되고, 타측 단부에 상기 체결부와 결합되는 보조 체결부가 형성된 소정 형상의 밴드와; 상기 체결부와 보조 체결부 사이에 위치하는 상기 밴드의 안쪽면에 부착되며 착용시 착용자의 경혈점에 접촉하여 폐회로를 형성하는 다수의 막대형태의 공통전극과; 상기 체결부와 보조 체결부 사이에 위치하며 상기 착용자의 맥박을 측정하는 압전소자와 압전소자에 압력을 가하는 압력조절기로 구성된 맥압센서와; 상기 밴드의 안쪽에 위치하며 상기 착용자의 피부습도를 체크하는 습도센서; 및 상기 공통전극에 전압을 인가하고, 상기 공통전극 중 경락에 위치하는 전극에서 측정된 전류값과 상기 맥박센서에서 측정된 전기신호를 기저장된 정상치와 함께 디스플레이시키는 분석장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분석장치는 상기 경혈측정부에 시분할 방식으로 전압을 인가하는 스캔부와, 상기 습도센서와 압력센서에서 측정된 값에 따라 상기 스캔부의 인가 전압을 조절하는 전압조절부와, 상기 연결부를 통해 전송받은 전류값과 상기 맥압을 증폭하는 증폭부와, 상기 증폭된 전류값과 맥압을 디지털 형태의 전류값으로 변환시키는 A/D변환부와, 상기 디지털 형태로 변환된 전류값 및 맥압과 함께 기저장된 정상치의 전류값 및 맥압을 화면으로 표시하는 디스플레이부와, 상기 스캔부, 디스플레이부 등을 제어하는 메뉴조작부 및 상기 데이터의 흐름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한다.
바람직하게, 상기 분석장치는 유·무선 인터넷 통신으로 외부에 연결되거나 또는 컴퓨터(PC)에 연결하여 상기 측정된 전류값과 맥압을 외부 또는 컴퓨터로 전송하는 통신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경락측정장치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1a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경혈 및 맥박의 복합 측정장치의 전면 사시도이고, 도 1b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경혈 및 맥박의 복합 측정장치의 후면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휴대용 경혈 및 맥박의 복합 측정장치의 착용상태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경락별 전류값의 시분할 동시측정 상태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맥압측정부의 측정상태를 나타내는 예시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분석장치의 블록도이고, 도 6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인가전압의 보정그래프이고, 도 7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라 경혈 및 맥압측정과정을 도시한 플로우챠트이다.
도 1a 및 도 1b에 도시된 바와 같이 휴대용 경혈 및 맥박의 복합 측정장치(1)는 도 2a 및 도 2b와 같이 손목, 발목 등에 착용할 수 있도록 소정 형상의 밴드(2)에 장착되어 있으며, 상기 밴드의 일측 단부에는 체결부(3)가 형성되고, 상기 밴드의 타측 단부에는 상기 체결부(3)에 결합되는 보조체결부(4)가 형성되어 있다.
상기 밴드의 내측에는 체결부(3)와 보조 체결부(4) 사이에는 인체 경혈에서 발생되는 전기신호를 계측하는 공통전극(5)과 요골동맥에서의 맥압을 전기적 파형으로 계측하는 맥압센서(6)가 형성되며, 상기 밴드의 외측에는 공통전극(5)에 측정된 전류값 및 상기 맥압센서(6)에서 측정된 전기적 파형을 분석하는 분석장치(10)가 형성된다.
공통전극(5)은 복합측정장치(1)를 사용자의 손목 또는 발목에 착용하면 인가된 전압에 의해 폐회로를 형성하여 경혈점에서 발생된 전류값을 측정하는 다수의막대형 금속판으로 어레이(array)형식으로 배열되며 측정된 전류값을 후술하는 분석장치(10)로 전송한다. 이러한 다수의 막대형 공통전극(5)을 장착하면 착용자가 경혈점의 위치를 알지 못하더라도 막대형 공통전극(5) 중의 어느 하나가 경혈점에 위치하게되고, 경락이 흐르는 부위의 피부 전기저항에 따른 전류값의 차이로 정확하게 경혈점의 전류값을 측정할 수 있다. 예를 들면,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착용자의 손목에 복합 측정장치를 착용한 경우에 경혈점에 위치한 공통전극에서 측정된 전류값은 경혈점에 위치하지 않은 공통전극의 전류값에 비하여 높은 전류값을 갖기 때문에 오른쪽 경혈점에 위치하는
맥압센서(6)는 공통전극(5) 사이에 배열되며, 사용자 손목의 촌, 관, 척 부위에서 맥압을 측정하는 압전소자(33)와 맥압센서의 압력을 조절하는 압력조절기(32)로 이루어진다. 바람직하게 압전소자(6)는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요골동맥(31)의 중앙부위를 측정하는 1개의 압전소자(33)와 좌·우측부위를 측정하는 2개의 압전소자(33)가 한쌍으로 이루어지며, 각각 촌, 관 및 척부위의 맥압을 측정할 수 있도록 총 9개의 압전소자(33)로 이루어진다. 이와 같은 3개의 압전소자(33)는 장착 위치에 따라 각기 다른 압력으로 가압하여 정확하고 다양하게 측정하여 측정된 전기신호를 후술하는 분석장치(10)로 전송한다.
한편, 압력조절기(32)는 한의학의 맥진이론에 따라 혈관을 가볍게 눌러 진단하는 경우와 깊게 눌러 진단하는 경우를 모두 구현하기 위해 압전소자(33)를 가압하여 맥압을 정확하게 측정할 수 있도록 한다.
습도센서(7)는 사용자의 피부와 접하는 밴드(2)의 안쪽의 손목 또는 손등의중심에 위치하며 상기 착용자의 피부습도를 실시간으로 체크하여 후술하는 분석장치의 전압조절부(12)에서 피부 전기저항값에 따른 인가전압을 제어할 수 있도록 전송한다. 즉, 피부 전기저항은 피부상의 습도와 전극에 의한 압력이 높을수록 낮아지며, 피부전도도는 증가하게 된다. 이러한 습도와 압력의 변화에 따른 오차는 인가전압을 보상함으로써 일정한 피부전도도를 갖도록 조정할 수 있다.
한편,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분석장치(10)는 스캔부(11), 전압조절부(12), 증폭부(13), A/D 변환부(14), 디스플레이부(15), 메뉴조작부(16), 통신부(17) 및 제어부(18)를 포함하고 있다.
분석장치의 스캔부(11)는 공통전극(5) 및 압력센서(6)에 연결되어 있으며, 공통전극(5)에 인가되는 전압을 시분할 방식으로 제어한다. 이에 따라 전압이 인가되면 공통전극(5)에서 인체의 전류값이 측정되어 경혈점의 전류값을 측정할 수 있다. 한편, 공통전극(5)에 시분할 방식으로 전압을 인가하면 측정할 때마다 잔여전류의 영향을 받지 않는 상태가 되므로 정확한 전류값을 얻을 수 있다. 이때, 사용되는 전압은 약 1.2V이며, 각 경락 전극에 1/30초 주기로 제공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전압조절부(12)는 습도센서(7)에서 측정된 피부의 습도와 압력센서에서 측정된 압력의 세기에 따라 스캔부(11)에서 인가되는 전압을 보상 제어한다. 예를 들면, 도 6에 도시한 바와 같이, 피부의 습도와 압력이 높으면 피부전도도가 증가하기 때문에 인가되는 전압을 감소시키고, 피부의 습도와 압력이 낮으면 피부전도도가 감소하기 때문에 인가되는 전압을 증가시켜 일정한 피부전도도가 유지되도록 제어한다.
증폭부(13)는 공통전극(5)에서 측정된 경혈점에 대한 전류값과 압력센서(6)에서 측정된 맥압에 대한 전기신호가 전송되면 이를 일정한 크기로 증폭시킨다. 이때, 측정된 전류값과 전기신호는 증폭된 후에 메모리(19)에 저장하여 관리할 수 있다. 한편, 메모리(19)에는 손 및 발에 위치하는 24경락에서 측정한 정상치의 경혈점의 전류값과 맥압에 대한 전기신호가 저장되며, 디스플레이시 측정된 전류값 및 전기신호와 함께 표시된다.
A/D 변환부(14)는 증폭부(13)에서 증폭된 아날로그 형태의 전류값 및 전기신호를 디지털 형태의 전류값 및 전기신호로 변환시켜 출력한다.
디스플레이부(15)는 디지털 형태로 변환된 경혈점의 전류값 및 맥압의 전기신호를 기정장된 정상치와 비교하여 이상유무를 LCD 등의 화면으로 디스플레이시킨다.
통신부(17)는 유·무선 인터넷 통신으로 외부에 연결되거나 또는 컴퓨터(PC)에 연결하여 상기 측정된 경혈점의 전류값 및 맥압의 전기신호를 외부의 컴퓨터(PC)에서 체크할 수 있도록 전송한다. 따라서, 복합 측정장치의 사용자가 의사의 처방에 의해 장착한 환자인 경우에 의사는 측정하여 저장된 환자의 경혈점의 전류값과 맥압의 전기신호를 전송받아 상태를 점검 및 처방할 수 있다.
메뉴조작부(16)는 스캔부(11), 디스플레이부(15) 메모리(19)에 저장된 경혈측정값 및 맥압측정값 등을 제어하는 조작키로 이루어진 메뉴조작부 등에 관련된 제어키들를 제어한다.
그리고, 제어부(18)는 측정된 경혈점의 전류값 및 맥압의 전기신호 등의 각종 데이터의 흐름을 제어한다.
이하, 도 7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라 복합측정장치에서의 경락 및 맥압 측정과정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2a 및 도 2b에 도시한 바와 같이, 경혈점과 맥점을 측정하고자 하는 사용자는 손목 또는 발목의 경혈점 부위에 밴드(2)를 위치시킨 상태에서 체결부(3)와 보조체결부(4)를 결합시켜 복합 측정장치(1)가 이동되지 않도록 고정한다(단계 S71). 이때, 손목의 맥압을 함께 체크하는 경우에는 손목 등과 같이 요골동맥의 촌, 관 및 척부위에 맥압센서(6)를 위치시킨다(단계 S72,S73). 이때, 착용자가 맥압을 측정하지 않는 경우에는 경혈점의 위치에 관계없이 복합 측정장치(1)를 착용하면 막대형태의 공통전극(5)이 어레이 방식으로 배열되어 있기 때문에 공통전극들 중의 어느 하나 이상이 경락에 위치하게 되어 자동으로 경혈점의 전류값을 특정할 수 있다.
그 후, 스캔부(11)를 통해 인체에 인가하는 전압의 온·오프 시간을 조절하여 시분할 방식으로 인가되도록 설정한다(단계 S74).
이에 따라 경혈측정부의 공통전극(5)에서 경혈점의 측정된 전류값과 맥압센서(6)에서 측정된 맥압에 대한 전기신호가 측정되면 이를 분석장치의 증폭부(13)에서 증폭시킨 후에 A/D 변환부(14)에서 마이크로프로세서에서 인식할 수 있는 형태의 디지털 형태로 변환시킨다(단계 S75).
그 후, 경혈점에서 측정된 전류값 및 맥압에 대한 전기신호를 기저장된 정상치와 함께 LCD 또는 모니터에 디스플레이시킨다(단계 S77). 따라서, 측정된 경혈점의 전류값과 맥압의 차이를 손쉽게 확인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측정자의 경혈점의 전류값과 맥압을 측정하는 동안에 습도센서(7)로부터 착용자의 피부 습도에 변화가 인지되면(단계 S78), 전압조절부(12)는 측정된 피부의 습도에 따라 스캔부(11)에서 인가되는 전압을 보상 제어한다(단계 S78). 예를 들면, 피부의 습도가 높으면 인가되는 전압을 감소시키고, 피부의 습도가 낮으면 인가되는 전압을 증가시킨다.
한편, 측정된 경혈점의 전류값 및 요골동맥의 전기신호는 메모리(29)에 저장되어 다시 확인하거나 또는 통신부를 통해 외부 컴퓨터에 전송하여 전문가의 진단을 받아볼 수 있다(단계 S76).
이상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해 상세히 기술하였지만,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 있어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사람이라면,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본 발명을 여러 가지로 변형 또는 설계변경하여 실시하는 경우에는 본 발명의 범주로 간주한다.
이상에서 살펴본 보와 같이, 본 발명의 휴대용 경혈 및 맥박의 복합 측정장치는 경혈점에 대한 전류값과 맥압에 대한 전기신호를 동시에 측정할 수 있어 복합적인 진단을 수행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어레이 형식으로 배열된 공통전극으로 착용자가 경혈점의 위치를 알지 못하는 일반인이라도 착용만으로 경혈점의 전류값을 측정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Claims (4)

  1. 일측 단부에 체결부가 형성되고, 타측 단부에 상기 체결부와 결합되는 보조 체결부가 형성된 소정 형상의 밴드;
    상기 체결부와 보조 체결부 사이에 위치하는 상기 밴드의 안쪽면에 부착되며 착용시 착용자의 경혈점에 접촉하여 폐회로를 형성하는 다수의 막대형태의 공통전극;
    상기 체결부와 보조 체결부 사이에 위치하며 상기 착용자의 맥박을 측정하는 압전소자와 압전소자에 압력을 가하는 압력조절기로 구성된 맥압센서;
    상기 밴드의 안쪽에 위치하며 상기 착용자의 피부습도를 체크하는 습도센서; 및 상기 공통전극에 전압을 인가하고, 상기 공통전극에서 측정된 경혈값과 상기 맥박센서에서 측정된 전기신호를 디스플레이시키는 분석장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경혈 및 맥박의 복합 측정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밴드의 안쪽에 위치하며 상기 착용자의 피부습도를 체크하는 습도센서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경혈 및 맥박의 복합 측정장치.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분석장치는 상기 경혈측정부에 시분할 방식으로 전압을 인가하는 스캔부;
    상기 습도센서와 압력센서에서 측정된 값에 따라 상기 스캔부의 인가 전압을 조절하는 전압조절부;
    상기 연결부를 통해 전송받은 전류값과 상기 맥압을 증폭하는 증폭부;
    상기 증폭된 전류값과 맥압을 디지털 형태의 전류값으로 변환시키는 A/D변환부;
    상기 디지털 형태로 변환된 전류값 및 맥압과 함께 기저장된 정상치의 전류값 및 맥압을 화면으로 표시하는 디스플레이부;
    상기 스캔부, 디스플레이부 등을 제어하는 메뉴조작부 및
    상기 데이터의 흐름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경혈 및 맥박의 복합 측정장치.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분석장치는 유·무선 인터넷 통신으로 외부에 연결되거나 또는 컴퓨터(PC)에 연결하여 상기 측정된 전류값과 맥압을 외부 또는 컴퓨터로 전송하는 통신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경혈 및 맥박의 복합 측정장치.
KR1020030049631A 2003-07-21 2003-07-21 휴대용 경혈 및 맥압의 복합 측정장치 KR10055585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30049631A KR100555850B1 (ko) 2003-07-21 2003-07-21 휴대용 경혈 및 맥압의 복합 측정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30049631A KR100555850B1 (ko) 2003-07-21 2003-07-21 휴대용 경혈 및 맥압의 복합 측정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50010396A true KR20050010396A (ko) 2005-01-27
KR100555850B1 KR100555850B1 (ko) 2006-03-07

Family

ID=3722282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30049631A KR100555850B1 (ko) 2003-07-21 2003-07-21 휴대용 경혈 및 맥압의 복합 측정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555850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94989B1 (ko) * 2007-06-19 2009-04-24 연세대학교 산학협력단 휴대용 경혈 식별기
US8748997B2 (en) 2008-12-16 2014-06-10 Samsung Electronics Co., Ltd. Contact-force sensor package and method of fabricating the same
KR20210122585A (ko) 2020-04-01 2021-10-12 대태화(주) 광 자극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44710B1 (ko) * 2007-09-18 2010-02-26 상지대학교산학협력단 착용형 맥진기
KR101326540B1 (ko) 2011-09-20 2013-11-07 (주)넥스젠 맥박신호를 이용한 사용자 맞춤형 경혈 자극장치 및 그 제어방법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IL86010A (en) * 1987-07-03 1993-02-21 Hi Bridge Kk Apparatus for measuring blood pressure
JP2681151B2 (ja) * 1988-07-11 1997-11-26 テルモ株式会社 血圧計プローブ及び血圧測定装置
KR970011546U (ko) * 1995-08-30 1997-03-29 건강체크 티브이 수상기 시스템
KR100193878B1 (ko) * 1996-07-08 1999-06-15 최태영 손목 휴대용 맥박기 장치
KR20000074582A (ko) * 1999-05-24 2000-12-15 김수진 인체의 맥파 및 피부 저항을 측정하는 장치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94989B1 (ko) * 2007-06-19 2009-04-24 연세대학교 산학협력단 휴대용 경혈 식별기
US8748997B2 (en) 2008-12-16 2014-06-10 Samsung Electronics Co., Ltd. Contact-force sensor package and method of fabricating the same
KR20210122585A (ko) 2020-04-01 2021-10-12 대태화(주) 광 자극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555850B1 (ko) 2006-03-0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3422930B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cuff-less blood pressure measurement
RU2674087C2 (ru) Сбор персональных данных о состоянии здоровья
KR100871230B1 (ko) 통신 장치와 연동되는 비가압적이고 비침습적인 손목형혈압 측정 방법 및 장치
FI103760B (fi) Menetelmä ja järjestely verenpaineen mittauksessa
US20190008399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Cuff-Less Blood Pressure Measurement In A Mobile Device
Ahmad et al. Electrocardiogram-assisted blood pressure estimation
CN105559762B (zh) 个人健康数据采集
KR20190065102A (ko) 심전도 측정 장치
TW201422204A (zh) 使用位於耳朵之感測器獲取生理學量測
KR101012810B1 (ko) 단채널 휴대용 무선 심전도 측정장치 및 방법
US20070100247A1 (en) Combined wrist blood pressure and ecg monitor
CN112890790B (zh) 一种穿戴式无创血压动态跟踪监测方法
CN102860822A (zh) 腕式心电血压测量设备
CN104352229A (zh) 一种基于健康监测手环的自助房颤检测方法
KR100555850B1 (ko) 휴대용 경혈 및 맥압의 복합 측정장치
CN101579228A (zh) 多功能健康测量装置
CN209863803U (zh) 一种血压测量腕带设备
KR100555065B1 (ko) 경락진단장치
KR100635028B1 (ko) 정규화된 맥파 신호를 출력하는 맥파 계측 시스템
JPH1080401A (ja) 心電図解析機能付き血圧計
JP4673030B2 (ja) 血圧測定装置
JP2004081285A (ja) 携帯型血圧測定装置
CN216124435U (zh) 一种用于无创血压动态跟踪监测的穿戴式装置
KR20200024044A (ko) 인체 신호 검출 헤드셋 장치
JPH0966035A (ja) 血圧測定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90130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