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894989B1 - 휴대용 경혈 식별기 - Google Patents

휴대용 경혈 식별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894989B1
KR100894989B1 KR1020070059698A KR20070059698A KR100894989B1 KR 100894989 B1 KR100894989 B1 KR 100894989B1 KR 1020070059698 A KR1020070059698 A KR 1020070059698A KR 20070059698 A KR20070059698 A KR 20070059698A KR 100894989 B1 KR100894989 B1 KR 10089498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harge
discharge
acupuncture points
input
uni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005969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80111582A (ko
Inventor
이용흠
정병조
이경중
신태민
임도형
Original Assignee
연세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연세대학교 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연세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07005969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894989B1/ko
Publication of KR2008011158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8011158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89498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89498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05Detecting, measuring or recording for diagnosis by means of electric currents or magnetic fields; Measuring using microwaves or radio waves 
    • A61B5/053Measuring electrical impedance or conductance of a portion of the body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48Other medical applications
    • A61B5/4854Diagnosis based on concepts of traditional oriental medicin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72Signal processing specially adapted for physiological signals or for diagnostic purposes
    • A61B5/7225Details of analog processing, e.g. isolation amplifier, gain or sensitivity adjustment, filtering, baseline or drift compensatio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39/00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specific reflex points of the body for physical therapy, e.g. acupuncture
    • A61H39/02Devices for locating such points

Abstract

본 발명은 생체이온 전하량을 이용하여 경혈을 식별하는 휴대용 경혈 식별기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히는 측정 기준점을 개인별로 설정하고 이 기준점을 기초로 측정값을 비교하여 경혈점을 식별하도록 하여 정확성이 높으며 사용하기에 간편한 휴대용 경혈 식별기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휴대용 경혈 식별기는, 트랜지스터(Tr)와 충방전용 캐피시터(Csystem)로 이루어지며, 전극에서 받아들인 생체이온 전하를 충전 또는 방전하는 충·방전부; 구형파로 이루어진 충방전 구동신호를 생성하여 상기 트랜지스터(Tr)의 베이스로 전송하는 충방전 제어부; 상기 충방전용 캐피시터(Csystem)의 양단에서 검출된 충방전 전위 신호를 이용하여 연산처리하여 경혈인지 비경혈인지를 판정하며, 키입력부의 설정신호에 따라 충방전 제어신호를 생성하여 상기 충방전 제어부로 전송하는 연산처리부; 상기 연산처리부는 연산처리 결과가 경혈일 경우에 경혈임을 알리는 알람을 출력하게 하는 음향출력부;를 적어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경혈, 비경혈, 생체이온전하, 충방전, 전극, 캐패시턴스, 알람

Description

휴대용 경혈 식별기{portable discriminator of acupuncture point}
도 1은 인체의 경혈과 비경혈에서의 캐패시터와 저항의 관계를 설명하기 위한 설명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인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의한 휴대용 경혈식별기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블럭도이다.
도 3은 도 2의 충·방전부에서 생체이온전하를 충방전하는 것을 설명하기 위한 모식도이다.
도 4는 도 2의 충·방전부의 일 예이다.
도 5는 도 2의 연산처리부를 개략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휴대용 경혈식별기의 외관을 설명하기 위한 설명도이다.
도 7은 도 6의 휴대용 경혈식별기의 전극의 위치를 설명하기 위한 설명도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전극 5 : 스프링 20 : 충방전부
30 : 신호전처리부 40 : 증폭부 50 : 필터부
60 : A/D변환부 70 : 연산처리부 80 : D/A변환부
90 : 충방전제어부 100 : 레벨표시부 110 : 음향출력부
115 : 스피커 120 : 키입력부 130 : 송신부
140 : 메모리부 180 : 디스플레이부 190 : LCD창
211 : 생체캐패시턴스 212 : 릴레이 213 : 충방전용캐패시터
214 : 트랜지스터 310 : 온/오프키 320 : 용량설정키
330 : 리셋키 370 : 송신포트
본 발명은 생체이온 전하량을 이용하여 경혈을 식별하는 휴대용 경혈 식별기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히는 측정 기준점을 개인별로 설정하고 이 기준점을 기초로 측정값을 비교하여 경혈점을 식별하도록 하여 정확성이 높으며 사용하기에 간편한 휴대용 경혈 식별기에 관한 것이다.
경혈이란 신체의 기의 흐름도인 경락의 여기저기에 에너지가 괴는 곳, 괴기 쉬운 곳이 바로 경혈이다. 각 경락의 경혈을 골라서 에너지가 괴거나 멎는 것을 없애주면 경락의 흐름도 좋아지고 장부의 기능도 올바르게 조화를 이루게 된다. 하지만 경혈과 경락은 누구에게나 똑같이 규칙적으로 몸의 표면이나 근육에 경혈이 배열되는 것은 아니므로 개인별로 정확한 경혈과 경락을 찾는 것이 매우 중요하다.
경혈을 찾는 전통적 방식으로는 병과 관계가 있는 경락을 잘 문질러 그 경락 위에 특히 통증이나 패인 곳, 결림, 응어리, 냉증, 달아오름, 작은 점이나 피부진(皮膚疹) 등이 생긴 곳을 경혈로 본다.
또한, 신체에 병이 들면 항상 일정한 부위에 불쾌한 감각이 나타나는 곳이 있는데 이곳을 바로 압통점이라고 한다. 압통점은 경혈부위에 기의 흐름이 막혀 있을 경우 압통을 느끼게 되며 이 압통점을 찾아서 경혈을 찾는 방식이 있다.
하지만 전통적 방식에 의할 경우 치료를 하는 한의사 개개인의 느낌에 의존하기 때문에 측정자마다 경혈 위치가 틀리며 정확한 경혈점을 찾을 수가 없다.
근래에, 경혈과 경락에 대한 과학적인 다각적 검토와 조사 방법이 연구되었으며, 지금까지 발표된 경락 실체에 관한 가설로 맥관기능설, 신경-체액계통기능설, 생물제어계통설, 제 3평형설, 망락구조설 등이 있다. 이 중 현재 가장 각광받는 이론으로는 심혈관계통증의 미세순환체계의 기능을 설명한 맥관기능설이다.
도 1은 인체의 경혈과 비경혈에서의 캐패시터와 저항의 관계를 설명하기 위한 설명도이다.
인체에는 저저항과 고전위의 특성을 지니는 부위가 존재하며 이 부위는 특정 세포군이 존재한다. 이 특정한 세포군은 변동하는 세포막 전위를 가지고 있으며 특별한 구조와 기능을 가지고 있다. 변동하는 세포막 전위가 생체이온 전하량이며 이 생체이온 전하량이 많은 곳이 경혈부위이다. 즉, 경혈 부위는 비경혈 부위에 비해 세포막 전위가 활발히 이동하기 때문에 캐패시턴스성분 값이 큰 반면 저항성분 값은 작다.
기존의 경혈 식별 방법으로는 피부에 DC자극이나 고주파 구형파 자극 고전압 저주파 임펄스 자극과 같이 직접 자극을 가하여 피부의 저항을 측정하여 경혈을 식별하는 방법이었다. 그러나 기존의 방식대로는 인체에 인위적인 전기 자극을 인가함으로써 생체 내 세포 분극, 재분극, 탈분극등의 생리적 변화를 일으켜서 정확한 측정이 어려웠으며, 또한 피부의 건습 상태에 따라 피부 임피던스가 매우 크게 변하며 정확한 경혈을 찾는데 문제가 있었다.
따라서 측정시 전극이 신체에 최소로 접촉하는 방법으로 피부의 건습 상태에 상관없이 경혈을 측정하고 인위적인 전기 자극을 주지 않아 생체 내 변화를 최소화하며 혹은 변화가 없도록 할 수 있는 경혈식별기가 요망된다.
그러므로 본 발명은 각 측정점에 저항성분이 아닌 고유의 캐패시턴스 성분인 생체이온 전하량을 측정하는 것으로 경혈 및 비경혈을 찾을 수 있는 휴대용 경혈 식별기를 제공한다.
본 발명이 이루고자하는 기술적 과제는, 생체이온 전하량을 충·방전하여 생체이온전하를 측정할 수 있는 휴대용 경혈식별기를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이 이루고자하는 또 다른 기술적 과제는 측정 기준점을 개인별로 설정하고 이 기준점을 기초로 측정값을 비교하여 개인별에 따른 경혈점을 식별할 수 있도록 하는 정확성을 높인 휴대용 경혈식별기를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이 이루고자하는 또 다른 기술적 과제는 측정기를 소형화하며, 출력부를 기기에 부착하여 실시간으로 측정이 가능하게 함으로써 쉽고 편리하고 빠르게 측정이 가능한 휴대용 경혈식별기를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이 이루고자하는 또 다른 기술적 과제는 측정시 전극이 신체에 최소로 접촉하는 방법으로 피부의 건습 상태에 상관없이 경혈을 측정하고 인위적인 전기 자극을 주지 않아 생체 내 변화를 최소화하는 휴대용 경혈식별기를 제공하는 데 있다.
이하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휴대용 경혈 식별기를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2는 본 발명인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의한 휴대용 경혈식별기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블럭도로, 전극(10), 충·방전부(20), 신호전처리부(30), A/D 변환부(60), 연산처리부(70), D/A 변환부(80), 충·방전제어부(90), 디스플레이부(180), 음향출력부(110), 키입력부(120), 송신부(130), 메모리부(140)를 구비한다.
전극(10)은 피부에 직접 접촉되어 생체이온 전하를 받아들인다.
충·방전부(20)는 충방전용 캐피시터를 구비하여 상기 충방전용 캐피시터에 전극(10)에서 받아들인 생체이온 전하를 충전하거나 방전한다. 충·방전부(20)의 충방전용 캐피시터의 충방전 전위는 경혈/비경혈에서의 생체이온전하량에 비례한다. 충·방전부(20)는 충방전 전위 신호를 검출하여 신호전처리부(30)로 전송한다.
신호전처리부(30)는 충·방전부(20)로부터 수신된 충방전 전위 신호를 증폭하며 잡음을 제거하고, A/D 변환부(60)로 전송한다. 신호전처리부(30)는 증폭부(40)와 필터부(50)로 이루어진다.
증폭부(40)는 충·방전부(20)로부터 수신된 충방전 전위 신호를 증폭한다.
필터부(50)는 증폭부(40)의 출력된 신호로부터 전원잡음 등을 제거하여 A/D 변환부(60)로 전송한다.
신호전처리부(30)의 필터부(50)는 정류부(미도시)를 포함할 수 있다. 정류부는 증폭되고 노이즈가 제거된 신호를 직류신호로 변환한다. 증폭부(40) 등을 통과한 신호가 교류 신호의 일종인 리플(ripple) 신호가 포함되는데 이를 정류하여 직류 신호로 바꾸어 A/D 변환부(60)로 보낸다.
A/D 변환부(60)는 신호전처리부(30)에서 수신된 충방전 전위 신호를 디지탈 신호로 변환하여 연산처리부(70)으로 전송한다.
연산처리부(70)는 A/D 변환부(60)로부터 수신된 충방전 전위 신호를 연산처리하여 경혈인지 비경혈인지를 판정한다. 연산처리부(70)는 A/D 변환부(60)로부터 수신된 신호를 디스플레이부(180)의 레벨표시부(100)로 출력한다. 연산처리부(70)는 연산처리 결과가 경혈일 경우는 경혈임을 알리는 알람을 음향출력부(110)을 통해 출력한다. 또한 연산처리부(70)는 키입력부(120)에서 용량 설정신호, 모드설정 신호 등의 설정신호를 수신하고, 충방전 제어신호를 생성하여 D/A변환기(80)를 통해 충방전 제어부(90)로 전송한다. 연산처리부(70)는 마이크로프로세서로 이루어져 있으며, 예로 마이크로칩(Micrichips)사의 PIC16C74등으로 구성할 수 있다.
D/A 변환부(80)는 연산처리부(70)로부터 수신된 충방전 제어신호를 충·방전제어부(90)로 전송한다.
충·방전제어부(90)는 연산처리부(70)에서 D/A변환기(80)를 통해 수신된 충방전 제어신호에 따라 충방전 구동신호를 생성하여 충·방전부(20)를 구동시킨다. 즉, 충·방전제어부(90)는 충·방전부(20)의 충·방전을 결정하는 회로로, 충방전 구동신호는 펄스신호로 이루어진다. 충·방전제어부(90)의 회로는 타이머 555를 이용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충방전 구동신호는 주파수가 약 6~7Hz, 듀티비는 50~99%인 구형파를 사용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부(180)는 연산처리부(70)의 출력신호를 디스플레이한다. 디스플레이부(180)는 LCD창(190), 레벨표시부(100)을 구비한다.
LCD창(190)은 연산처리부(70)에서 연산처리된 결과를 디스플레이하며, 또한 연산처리부(70)로부터 수신된 충방전 전위 신호를 츨력하며, 기준값도 디스플레이한다. LCD창(190)은 주로 문자와 숫자로 출력한다. 즉, LCD창(190)은 기준값과 측정값 둘다를 숫자로써 표현한다.
레벨표시부(100)는 연산처리부(70)로부터 수신된 충방전 전위 신호를 츨력하며, 기준값도 출력한다. 레벨표시부(100)는 주로 그래프적으로 출력한다. 레벨표시부(100)는 레벨미터로 이루어질 수 있다.
레벨표시부(100)에서 레벨미터에 표현되는 값이 높을수록 경혈점이라고 할 수 있다. 레벨표시부(100)는 2개의 창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일측의 레벨표시부는 기준값을, 다른 일측의 레벨표시부는 측정값을 표시함으로써 한 눈에 비교 가능하 도록 이루어져 있다.
음향출력부(110)는 연산처리부(70)에서 연산처리 결과가 경혈일 경우에 연산처리부(70)의 경혈 알람제어신호에 따라 경혈임을 알리는 알람을 출력한다.
키입력부(120)는 전원 온/오프(ON/OFF)키(310), 시작/종료키(미도시), 기준값 갱신키(미도시), 리셋키(330), 용량 설정키(320), 모드 설정키(미도시) 등을 구비한다.
전원 온/오프키(310)는 전원을 온/오프하는 키이다.
시작/종료키(미도시)는 휴대용 경혈식별기의 동작을 온/오프 시키는 키로, 휴대용 경혈식별기의 동작을 시작하거나 종료시킨다.
기준값 갱신키(미도시)는 현재 입력된 충방전 값으로 기준값을 갱신하려 할때 사용되는 키이다.
리셋키(330)는 현재의 동작을 종료하고 새로운 경혈점 검출을 하고자 할때 사용되는 키이다. 경우에 따라서는 기준값 갱신키(미도시)를 생략하고 리셋키(330)를 사용하여 기준값을 갱신할 수 있다.
용량 설정키(320)는 충·방전부(20)의 충방전용 캐피시터의 용량의 크기를 조절하는 키이다. 같은 조건 하에서라도 개인에 따라 생체이온 전하량이 다르므로, 용량 설정키를 이용하여 충·방전부(20)의 충방전용 캐피시터의 용량의 크기를 개인에 따라 조절할 수 있게 하였다. 용량 설정키에서 입력된 용량 설정신호는 연산처리부(70)로 전송된다.
모드 설정키(미도시)는 LCD창(190) 또는 레벨표시부(100)를 어떤 디스플레이 모드로 할 것인지를 설정하며, 경혈일 경우에 경혈임을 알리는 알람을 출력하는 모드를 사용할 것인지 등을 설정한다.
송신부(130)는 연산처리부(70)로 부터 수신된 충방전 전위 신호 그리고 경혈점 정보 등을 컴퓨터 등으로 송신한다. 경우에 따라서는 연산처리부(70)로 부터 출력된 충방전 전위 신호, 경혈점 정보 등을 메모리부(140)에 저장하고 있다가 송신부(130)를 통해 컴퓨터 등으로 송신할 수 있다. 송신부(130)는 무선 송신부 또는 유선 송신부로 구성될 수 있다. 송신부(130)가 유선 송신부로 이루어질 경우, RS232C 등을 이용한 직렬통신을 위한 송신부로 이루어질 수 있다.
메모리부(140)는 연산처리부(70)로 부터 수신된 충방전 전위 신호, 경혈점 정보 등을 저장한다.
전원발생부(미도시)는 본 발명의 휴대용 경혈식별기를 구동시키는 전원이다. 전원발생부(미도시)는 9V의 소형건전지를 이용할 수 있다.
도 3은 도 2의 충·방전부에서 생체이온전하를 충방전하는 것을 설명하기 위한 모식도이다.
도 3에서와 같이, 충·방전부(20)는 트랜지스터(Tr)과 충방전용 캐피시터(Csystem)로 설명을 위해 간략화시킬 수 있다.
트랜지스터(Tr)의 에미터는 접지되며, 트랜지스터(Tr)의 콜렉터는 전극과 연결되어 생체이온전하를 받아들이도록 구성된다.
충방전용 캐피시터(Csystem)는 트랜지스터(Tr)의 콜렉터와 에미터 사이에 연결 되며, 가변 캐패시터를 이용하며, 0.1uF 내지 1uF 를 사용할 수 있다. 즉 충방전용 캐피시터(Csystem)는 0.1uF 내지 1uF로 가변하는 가변 캐패시터를 이용할 수 있다.
연산처리부(70)로부터 수신된 충방전 제어신호에 따라 충·방전제어부(90)는 충·방전부(20)의 트랜지스터(Tr)를 구동시키는 충방전 구동신호를 생성하여 충·방전부(20)의 트랜지스터(Tr)의 베이스에 입력시킨다.
피부에 접촉된 전극(10)에 의해 생체이온 전하가 입력되어 충방전용 캐피시터(Csystem)에 충전되게 된다. 충·방전제어부(90)의 충방전 구동신호, 즉 충·방전부(20)의 트랜지스터(Tr)의 베이스의 입력신호에 따라 충방전용 캐피시터(Csystem)의 충·방전은 제어된다. 즉 충방전용 캐피시터(Csystem)의 충전전하를 트랜지스터(Tr)에 의해 방전할 수 있다.
검출된 충방전용 캐패시터의 충방전 전위는 신호전처리부(30)에서 증폭되고 잡음이 제거되어 A/D 변환부(60)를 통해 연산처리부(70)로 전송된다.
연산처리부(70)는 이렇게 수신된 충방전 전위를 레벨표시부(100)로 출력하며, 또한 이때 기준값도 같이 출력한다. 사용자는 그 상대적인 차로 현재의 충방전 전위를 상대적으로 식별한다. 또한 연산처리부(70)는 수신된 충방전 전위로 부터 연산처리를 통해 경혈점 여부를 판정하고 그 결과를 음향출력부(110) 등을 통해 출력한다.
충방전용 캐패시터의 충방전 전위는 경혈 또는 비경혈에서의 생체이온전하량에 비례한다.
충방전용 캐패시터의 양단의 전위, 즉 충방전 전위는 다음 수학식 1에 의해 정의 될 수 있다.
V1 = q/c
여기서, V1은 생체전위 즉, 충방전 전위이고, q는 생체이온전하량 이고, c는 캐패시턴스이다.
그러므로, 생체전위(V1)는 생체이온전하량(q)에 비례한다.
충·방전부(20)의 트랜지스터(Tr)의 베이스는 '1'과 '0'를 반복하는 펄스 신호가 입력된다.
충·방전부(20)의 트랜지스터(Tr)의 베이스의 입력신호로 '1'이 입력되면 트랜지스터(Tr)이 온(ON)되면서 충방전용 캐피시터(Csystem)의 충전된 생체 이온 전하가 방전하게 된다.
충·방전부(20)의 트랜지스터(Tr)의 베이스의 입력신호로 '0'이 입력되면 트랜지스터(Tr)이 오프(OFF)되면서 충방전용 캐피시터(Csystem)에 생체 이온 전하가 충전하게 된다.
도 4는 도 2의 충·방전부의 일 예로, 릴레이(212), 트랜지스터(214), 충방전용 캐피시터(213)를 구비한다.
도 4의 생체 캐패시턴스(211)는 생체이온전하에 의해 형성된 도 3의 생체 캐 패시턴스(Cbody)와 같으며, 도 4의 트랜지스터(214)는 도 3의 트랜지스터(Tr)과 같으며, 도 4의 충방전용 캐피시터(213)는 도 3의 충방전용 캐피시터(Csystem)과 같다.
도 4에서는 트랜지스터(214)의 베이스에서 콜렉터로 궤한되는 인버터와 릴레이(212)를 구비한 점이 도 3과 다르다. 도 4에서는 인버터를 사용하고 있으나 경우에 따라서는 인버터 대신에 다이오드로 대치할 수 있으며, 릴레이(212)이 대신 아날로그 스위치로 대치할 수도 있다.
트랜지스터(214)의 베이스에 '1'이 입력되면 제어 트랜지스터(214)가 온(ON)되면서 측정캐패시터(213)에 충전된 생체 이온 전하가 방전하게 된다. 방전될 때 전하가 신체 내로 이동하지 않도록 릴레이(212)를 작동시켜 신체에 방전된 전하가 들어가지 않도록 하여 인체에 무해하도록 하였다.
도 5는 도 2의 연산처리부를 개략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시작단계로 시작/종료키가에 의해 온(ON)인지를 확인하고(S110), 온이 아니라면 온 될때까지 기다린다.
제1 시간지연 단계로, 1초동안 시간을 지연시킨다(S120). 피부 등이 눌려진정도에 따라 피부와 전극 사이의 임피던스가 달라지므로 실제적으로 충전된 생체이온전하량도 달라질 수 있다. 따라서 측정전에 충분한 시간을 두어 혹시 피부가 외부자극을 받았더라도 충분히 복원될 수 있게 한다. 여기서는 1초로 설정하였지만 이 시간은 달리 설정할 수 있다.
최초 충방전전위 입력단계로, A/D 변환부(60)로부터 수신된 충방전 전위를 수신하며, 메모리부(140)에 저장하고 기준값으로 설정한다(S130). 이는 전극(10)이 최초로 위치한 부위에서 입력된 충방전전위이다.
최초 충방전전위 표시단계, 최초 충방전전위 입력단계의 충방전 전위를 디스플레이부(180)의 레벨표시부(100)로 출력하며, 디스플레이부(180)의 LCD창(190)으로도 기준값으로서 출력한다(S140).
최초에 측정한 충방전 전위값은 비교할 기준값이 없으므로 경혈인지 여부를 알 수 없다. 따라서 이 값은 다음의 측정값이 입력되었을 때 비교하기 위한 값, 즉 기준값으로 사용한다. 경우에 따라서는 일정 시간 입력된 충방전 전위에서 최대값, 최소값, 평균값을 검출하고, 이들 값들을 이용하여 연산처리하여 기준값을 설정할 수도 있다.
제2 시간지연 단계로, 3초동안 시간을 지연시킨다(S150). 전극(10)을 다음 위치에 위치시켜 측정하기 전에 충분한 시간을 두어 피부가 충분히 복원될 수 있게 한다. 여기서는 3초로 설정하였지만 이 시간은 달리 설정할 수 있다.
충방전전위 입력단계로, A/D 변환부(60)로부터 수신된 충방전 전위를 수신하며, 메모리부(140)에 저장한다(S160). 이 충방전 전위는 전극(10)이 다음의 위치에 위치한 부위에서 입력된 충방전전위이다.
기준값 비교단계로, 메모리로부터 기준값을 읽어들여 현재의 충방전 전위와 비교하고(S165), 그 결과 현재의 충방전 전위가 크다면, 현재의 위치가 경혈이므로 음향출력부(110)로 경혈임을 알리는 알람을 출력한다(S170).
충방전전위 표시단계, 충방전전위 입력단계의 충방전 전위를 디스플레이 부(180)의 레벨표시부(100)로 출력하고(S180), 디스플레이부(180)의 LCD창(190)으로 연산처리부(70)의 결과를 출력하며, 컴퓨터로 충방전전위 입력단계(S160)의 충방전 전위 및 연산처리부(70)의 연산 결과를 전송한다(S190).
리셋키 입력여부 판단단계로, 리셋키가 입력되었는 지 판단하여, 리셋키가 입력되었으면, 시작단계(S110)로 되돌아간다(S200).
기준값 갱신키 입력여부 판단단계로, 리셋키 입력여부 판단단계에서 리셋키가 입력되지 않았다면, 기준값 갱신키가 입력되었는 지 판단하여(S210), 기준값 갱신키가 입력되었으면 기준값을 현재의 충방전 전위값으로 갱신하고(S230), 제2 시간지연 단계(S150)로 되돌아가, 다음 위치에서 충방전 전위를 검출하게 한다(S230). 기준값 갱신키가 입력되지 않았으면, 기준값의 갱신 없이 제2 시간지연 단계로 되돌아간다.
도 5에서는 기준값 갱신키가 있는 휴대용 경혈식별기에 대해서 설명하였으나, 기준값 갱신키는 생략될 수 있다.
만약 기준값 갱신키가 없는 휴대용 경혈식별기에서는, 리셋키 입력여부 판단단계(S200)에서 리셋키(S200)가 입력되지 않았다면, 제2 시간지연 단계로 되돌아간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휴대용 경혈식별기의 외관을 설명하기 위한 설명도 이다.
도 6의 휴대용 경혈식별기의 본체(300)는 전극(10), 전원 온/오프키(310), 용량 설정키(320), 리셋키(330), 송신 포트(370), 스피커(115), LCD창(190), 레벨 표시부(100)를 구비한다.
전극(10)은 막대형 전극으로 이루어진다. 전극(10)은 피부접촉면의 지름이 약 3mm 이며 그 길이가 약 7mm 인 원통형 전극으로 구성할 수 있다. 전극(10)은 피부에 직접 접촉되어 생체이온 전하를 받아들이는데, 전극(10)이 피부와 접촉시의 완충작용을 위해 도 7과 같이 전극(10)이 스프링(15)에 걸쳐지게 구성되어 질 수 있다.
전원 온/오프키(310)는 휴대용 경혈식별기의 전원을 켜거나 끄는 역할을 하는 키로서, 도 6에서 휴대용 경혈식별기의 일측 상단에 위치하나, 이는 휴대용 경혈식별기의 어느 위치에라도 위치되어 질 수 있다.
용량 설정키(320)는 충·방전부(20)의 충방전용 캐패시터의 용량 크기를 조절하기위한 키이다. 용량 설정키(320)는 도 6에서 휴대용 경혈식별기의 일측 하단의 리셋키(330)의 위에 위치되나, 이는 휴대용 경혈식별기의 어느 위치에라도 위치되어 질 수 있다. 용량 설정키(320)는 개인별에 따른 생체이온전하량에 맞추어 충방전용 캐패시터 용량을 결정함으로써 경혈점 검출이 용이하게 한다. 예로써, 충방전용 캐패시터로서 0.1uF~1uF까지 크기 변화가 가능한 가변캐패시터를 사용하고, 용량 설정키(320)에 의해 0.1uF~1uF의 범위내에서 용량을 설정하게 할 수 있다.
리셋키(330)는 현재의 동작을 종료하고 새로운 경혈점 검출을 하고자 할때 사용되는 키이다. 리셋키(330)는 휴대용 경혈식별기의 동작을 리셋하므로써 기존에 저장된 기준 값을 새로 갱신하게 된다. 그러므로 경우에 따라서는 기준값 갱신키를 별도로 사용하지 않고 리셋키(330)를 기준값 갱신을 위해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이상에서 설명되고 도면에 예시된 것에 의해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당업자라면 다음에 기재되는 청구범위 내에서 더 많은 변형 및 변용예가 가능한 것임은 물론이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경혈식별기는 휴대용으로, 신체의 생체이온 전하량을 충·방전하여 생체이온전하를 측정하여 경혈을 검출하며, 측정 기준점을 개인별로 설정하고 이 기준점을 기초로 측정값을 비교하여 개인별로 다른 경혈점도 보다 정확히 식별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경혈식별기는 측정기를 소형화하며, 출력부를 기기에 부착하여 실시간으로 측정이 가능하게 함으로써 쉽고 편리하고 빠르게 측정이 가능한 휴대용 경혈식별기를 제공하며, 측정시 전극이 신체에 최소로 접촉하는 방법으로 피부의 건습 상태에 상관없이 경혈을 측정하고 인위적인 전기 자극을 주지 않아 생체 내 변화를 최소화하는 휴대용 경혈식별기를 제공한다.
다시말해 본 발명의 휴대용 경혈 식별기는 신체 측정부의 이온 전하량을 지름이 작은 원통형 전극으로 측정하여 피부의 상태 및 변화에 상관없이 측정이 가능해 신호대 잡음비를 높여서 정확한 진단을 할 수 있으며, 개인별로 서로 다른 기준점을 설정하고 이 설정값을 비교하여 경혈을 찾으므로 각 환자에 알맞은 경혈을 찾을 수 있다.
본 발명의 휴대용 경혈 식별기는 경혈뿐만 아니라 누를 때 아픔을 느끼는 압통점을 같은 원리로 찾을 수 있다.
본 발명의 휴대용 경혈 식별기는 LCD창을 통하여 측정값이 숫자로 표시되기 때문에 얼마나 정확한 측정이 되었는지 알 수 있으며, 스피커를 통해서 청각으로 쉽게 경혈인 것을 알 수 있다.
본 발명의 휴대용 경혈 식별기는 휴대용으로 간편이 사용이 가능하며, 실시간 측정이 가능함으로 신속한 측정이 가능하다.

Claims (20)

  1. 생체이온 전하를 받아들이는 전극;
    가변 캐패시터로 이루어진 충방전용 캐피시터를 구비하여 상기 전극에서 받아들인 생체이온 전하를 충전하거나 방전하는 충·방전부;
    상기 충·방전부로부터 수신된 충방전 전위 신호를 증폭하여 잡음을 제거하는 신호전처리부;
    상기 신호전처리부로부터 수신된 충방전 전위 신호를 디지탈 신호로 변환하는 A/D 변환부;
    상기 A/D 변환부로부터 수신된 충방전 전위 신호를 연산처리하여 경혈인지 비경혈인지를 판정하는 연산처리부(70);
    상기 연산처리부에서 연산처리 결과가 경혈일 경우에 경혈임을 알리는 알람을 출력하는 음향출력부;
    상기 충방전용 캐피시터의 용량의 크기를 조절하는 용량 설정키;
    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경혈 식별기.
  2. 삭제
  3. 삭제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충방전용 캐피시터는 0.1uF 내지 1uF로 가변하는 가변 캐패시터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경혈 식별기.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연산처리부는 충방전 제어신호를 생성하여 충방전 제어부로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경혈 식별기.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충방전 제어부는 구형파로 이루어진 충방전 구동신호를 생성하여 충·방전부로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경혈 식별기.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연산처리부에서 연산처리된 결과를 수신하여 디스플레이하며, 상기 연산처리부로부터 수신된 충방전 전위 신호 및 기준값을 문자 또는 숫자로 디스플레이하는 LCD창;
    일측에는 상기 연산처리부로부터 수신된 기준값을, 다른 일측에는 상기 연산 처리부로부터 수신된 충방전 전위 신호을 표시하는 레벨미터로 이루어진 레벨표시부;를 구비하는 디스플레이부를 더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경혈 식별기.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연산처리부의 출력신호를 컴퓨터로 송신하기 위한 송신부를 더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경혈 식별기.
  9. 트랜지스터(Tr)와 충방전용 캐피시터(Csystem)로 이루어지며, 전극에서 받아들인 생체이온 전하를 충전 또는 방전하는 충·방전부;
    구형파로 이루어진 충방전 구동신호를 생성하여 상기 트랜지스터(Tr)의 베이스로 전송하는 충방전 제어부;
    상기 충방전용 캐피시터(Csystem)의 양단에서 검출된 충방전 전위 신호를 이용하여 연산처리하여 경혈인지 비경혈인지를 판정하는 연산처리부;
    를 적어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경혈 식별기.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연산처리부는 키입력부의 설정신호에 따라 충방전 제어신호를 생성하여 상기 충방전 제어부로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경혈 식별기.
  11.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충방전용 캐피시터(Csystem)의 양단에서 검출된 충방전 전위 신호는 신호전처리부에서 증폭하여 잡음을 제거한 후, A/D 변환부에서 디지탈 신호로 변환하여 상기 연산처리부로 전송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경혈 식별기.
  12.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충방전용 캐피시터(Csystem)의 양단에서 검출된 충방전 전위 신호는 생체이온전하량에 비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경혈 식별기.
  13.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연산처리부는 연산처리 결과가 경혈일 경우에 경혈임을 알리는 알람을 출력하게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경혈 식별기.
  14.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충·방전부는 트랜지스터(Tr)의 베이스와 콜렉터 사이에 인버터와 릴레이(212)를 더 구비하여 방전된 전하가 인체에 들어가지 않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경혈 식별기.
  15.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릴레이(212)이 대신에 아날로그 스위치를 사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경혈 식별기.
  16.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인버터 대신에 다이오드를 사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경혈 식별기.
  17. 시작/종료키가에 의해 온(ON)인지를 확인하여 온(ON)이 될 때까지 기다리는 시작단계;
    상기 시작단계 후, 1초 동안 시간을 지연시키는 제1 시간지연 단계;
    상기 제1 시간지연 단계 후, 충방전 전위를 수신하여 기준값으로 저장하는 최초 충방전전위 입력단계;
    상기 최초 충방전전위 입력단계 후, 3초 동안 시간을 지연시키는 제2 시간지연 단계;
    상기 제2 시간지연 단계 후 충방전 전위를 수신하여 저장하는 충방전전위 입력단계;
    상기 최초 충방전전위 입력단계에서 저장된 기준값과 상기 충방전전위 입력단계에서 입력된 충방전 전위를 비교하여 상기 충방전전위 입력단계에서 입력된 충방전 전위가 크다면, 경혈임을 알리는 알람을 출력하는 기준값 비교단계;
    상기 충방전전위 입력단계의 충방전 전위 및 상기 기준값을 디스플레이부로 출력하는 충방전전위 표시단계;
    상기 충방전전위 표시단계 후, 리셋키가 입력되었는 지 판단하여, 리셋키가 입력되었으면, 상기 시작단계로 되돌아가는 리셋키 입력여부 판단단계;
    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경혈 식별기의 경혈 식별 방법.
  18.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리셋키 입력여부 판단단계에서 리셋키가 입력되지 않았다면, 기준값 갱신키가 입력되었는 지 판단하여, 기준값 갱신키가 입력되지 않았으면, 제2 시간지연 단계로 되돌아가는 기준값 갱신키 입력여부 판단단계;
    상기 기준값 갱신키 입력여부 판단단계에서, 기준값 갱신키가 입력되었으면, 기준값을 현재의 충방전 전위값으로 갱신하고 제2 시간지연 단계로 되돌아가는 기준값 갱신단계;
    를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경혈 식별기의 경혈 식별 방법.
  19.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리셋키 입력여부 판단단계에서 리셋키가 입력되지 않았다면, 제2 시간지연 단계로 되돌아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경혈 식별기의 경혈 식별 방법.
  20. 제1항 또는 제9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전극이 휴대용 경혈 식별기 내에 장착될 때, 완충작용을 위해 전극이 스프링에 걸쳐지게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경혈 식별기.
KR1020070059698A 2007-06-19 2007-06-19 휴대용 경혈 식별기 KR10089498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59698A KR100894989B1 (ko) 2007-06-19 2007-06-19 휴대용 경혈 식별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59698A KR100894989B1 (ko) 2007-06-19 2007-06-19 휴대용 경혈 식별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111582A KR20080111582A (ko) 2008-12-24
KR100894989B1 true KR100894989B1 (ko) 2009-04-24

Family

ID=4036968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059698A KR100894989B1 (ko) 2007-06-19 2007-06-19 휴대용 경혈 식별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894989B1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43852B1 (ko) 2009-09-23 2012-05-22 신경민 고주파 열치료용 rf 제너레이터의 동상 모드 노이즈 필터
KR101622043B1 (ko) 2013-10-29 2016-05-17 한국 한의학 연구원 생체 정보 측정 장치 및 방법
KR20160109250A (ko) 2015-03-10 2016-09-21 이경도 휴대용 멀티자극 시스템, 애플리케이션 시스템 및 자극장치
WO2019066604A1 (ko) * 2017-09-29 2019-04-04 연세대학교 원주산학협력단 대상 부위의 생체 전위를 감소시키는 치료 장치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80076901A (ko) * 1997-04-15 1998-11-16 명현성 측정단위를 자동으로 설정하는 경혈탐측장치
KR100358508B1 (ko) * 1993-01-07 2003-01-10 세이코 엡슨 가부시키가이샤 동맥펄스파해석장치및그장치를사용한진단장치
KR100422574B1 (ko) * 2001-11-12 2004-03-11 어강 양도락 측정치를 이용한 통증부위 진단방법
KR20050010396A (ko) * 2003-07-21 2005-01-27 (주)경희한방메디칼 휴대용 경혈 및 맥박의 복합 측정장치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358508B1 (ko) * 1993-01-07 2003-01-10 세이코 엡슨 가부시키가이샤 동맥펄스파해석장치및그장치를사용한진단장치
KR19980076901A (ko) * 1997-04-15 1998-11-16 명현성 측정단위를 자동으로 설정하는 경혈탐측장치
KR100422574B1 (ko) * 2001-11-12 2004-03-11 어강 양도락 측정치를 이용한 통증부위 진단방법
KR20050010396A (ko) * 2003-07-21 2005-01-27 (주)경희한방메디칼 휴대용 경혈 및 맥박의 복합 측정장치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43852B1 (ko) 2009-09-23 2012-05-22 신경민 고주파 열치료용 rf 제너레이터의 동상 모드 노이즈 필터
KR101622043B1 (ko) 2013-10-29 2016-05-17 한국 한의학 연구원 생체 정보 측정 장치 및 방법
KR20160109250A (ko) 2015-03-10 2016-09-21 이경도 휴대용 멀티자극 시스템, 애플리케이션 시스템 및 자극장치
WO2019066604A1 (ko) * 2017-09-29 2019-04-04 연세대학교 원주산학협력단 대상 부위의 생체 전위를 감소시키는 치료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111582A (ko) 2008-12-2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3383292B (zh) 一种穿戴式尖足步态实时监测反馈报警的装置及方法
JP4324001B2 (ja) 神経筋機能のアセスメントのための装置および方法
US20070156040A1 (en) Methods and devices for non-invasively measuring quantitative information of substances in living organisms
EP1977688B1 (en) Blood pressure monitoring apparatus and method
JP2006509614A (ja) 前胸部圧縮停止により活性化されるショックを有する外部除細動装置
CN111603673A (zh) 颈部按摩仪的调节方法及颈部按摩仪
KR100894989B1 (ko) 휴대용 경혈 식별기
CN103126672A (zh) 基于生物电阻抗的膀胱积尿实时监测方法及装置
US20130310701A1 (en) Fetal cardiac potential signal extraction program, fetal cardiac potential signal discriminating apparatus, and pregnancy monitoring system using the same
CN104027109A (zh) 心房颤动解析装置以及程序
CN110680306B (zh) Ecg心电测量模式切换方法、装置和可穿戴设备及存储介质
CN101547637B (zh) 检测疼痛/觉醒积分值
CN111558148B (zh) 颈部按摩仪的健康检测方法及颈部按摩仪
AU2009226257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monitoring the autonomous nervous system of a sedated patient
CN112089979A (zh) 颈部按摩仪及其健康检测方法以及计算机存储介质
JP2014023711A (ja) 皮膚電気活動測定装置
CN112656396A (zh) 一种基于家用体成分仪和智能设备的肌少症数据采集系统
KR101022338B1 (ko) 표피 에너지 측정에 의한 에너지 밸런스 확인방법
CN219557337U (zh) 一种脊柱侧弯检测器及坐姿提醒装置
CN203736186U (zh) 一种用于运动康复的监控系统
TWI767528B (zh) 非接觸肌動訊號偵測及輔助裝置與方法
RU2730953C2 (ru) Устройство для измерения активности биологической точки
KR20190037856A (ko) 대상 부위의 생체 전위를 감소시키는 치료 장치
RU2161904C2 (ru) Способ оценки электрофизиологического состояния человека и устройство для его осуществления
US20220401020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establishing absence of pain in a mammal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422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408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421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414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423

Year of fee payment: 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