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115499B1 - 부맥과 침맥 진단을 위한 장치 및 방법 - Google Patents

부맥과 침맥 진단을 위한 장치 및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115499B1
KR101115499B1 KR1020100047010A KR20100047010A KR101115499B1 KR 101115499 B1 KR101115499 B1 KR 101115499B1 KR 1020100047010 A KR1020100047010 A KR 1020100047010A KR 20100047010 A KR20100047010 A KR 20100047010A KR 101115499 B1 KR101115499 B1 KR 10111549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ressure
acupuncture
coefficient
threshold
stag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04701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10127494A (ko
Inventor
김재욱
김종열
전영주
김근호
김성훈
Original Assignee
한국 한의학 연구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 한의학 연구원 filed Critical 한국 한의학 연구원
Priority to KR102010004701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115499B1/ko
Publication of KR2011012749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12749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11549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11549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8/00Diagnosis using ultrasonic, sonic or infrasonic waves
    • A61B8/02Measuring pulse or heart rat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02Detecting, measuring or recording pulse, heart rate, blood pressure or blood flow; Combined pulse/heart-rate/blood pressure determination; Evaluating a cardiovascular condi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e.g. using combinations of techniques provided for in this group with electrocardiography or electroauscultation; Heart catheters for measuring blood pressure
    • A61B5/021Measuring pressure in heart or blood vessel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02Detecting, measuring or recording pulse, heart rate, blood pressure or blood flow; Combined pulse/heart-rate/blood pressure determination; Evaluating a cardiovascular condi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e.g. using combinations of techniques provided for in this group with electrocardiography or electroauscultation; Heart catheters for measuring blood pressure
    • A61B5/024Detecting, measuring or recording pulse rate or heart rat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8/00Diagnosis using ultrasonic, sonic or infrasonic waves
    • A61B8/04Measuring blood pressure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Cardi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Pathology (AREA)
  • Public Health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Biophysics (AREA)
  • Surgery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Radiology & Medical Imaging (AREA)
  • Nuclear Medicine, Radiotherapy & Molecular Imaging (AREA)
  • Physiology (AREA)
  • Hematology (AREA)
  • Vascular Medicine (AREA)
  • Finger-Pressure Massag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피검진자의 손목내측 표면과 접촉되어서 촌, 관, 척 3지점의 맥압을 측정하는 맥진 센서, 상기 맥진 센서에 의해 피검진자의 진맥 부위에 가해지는 압력을 다단계로 조정하기 위한 가압 조절부, 상기 맥진 센서로부터의 맥압정보에 의한 가압 단계별 압맥파 크기를 이용하여 부침계수(CFS)를 구하고, 상기 부침계수를 근거로 부맥 또는 침맥을 판단하는 부침맥 판단부로 구성된 부맥과 침맥 진단을 위한 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르면, 가압 단계의 맥압 크기가 비슷한 경우에도 압맥파 크기를 그대로 이용하여 부맥 또는 침맥을 정확하게 판단할 수 있고, 촌, 관, 척 각각에 대해 부맥 및 침맥을 판단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한의사가 하는 것처럼 촌, 관, 척을 종합적으로 보고 부맥과 침맥을 판단할 수 있다.

Description

부맥과 침맥 진단을 위한 장치 및 방법{Apparatus and Method for determining the Floating and Sinking Pulse}
본 발명은 부맥과 침맥 진단을 위한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피검진자의 진맥 부위에 가해지는 압력을 다단계로 조정하여 맥진 센서로부터의 맥압정보에 의한 가압 단계별 압맥파 크기를 이용하여 부침계수(CFS)를 구하고, 상기 부침계수를 근거로 부맥 또는 침맥을 판단하는 부맥과 침맥 진단을 위한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상기 부?침맥 진단 장치 및 방법은 대량의 임상 데이터를 기반으로 검증된 것으로 객관적이고 신뢰도가 높은 진단 결과를 제공할 수 있다.
일반적으로 한의학의 진단법은 크게 4가지의 방법으로 구성되어 있는데, 각각 문진(問診), 문진(聞診), 망진(望診), 절진(切診)이 그것이며, 그 중 혈맥파의 맥동을 감지하여 질환의 상태를 유추하는 방법이 절진에 속하는 맥진법이다. 맥진법에서 중요하게 생각하는 맥동특성으로는 맥의 세기, 맥의 깊이, 맥의 빠르기, 맥의 거칠기 등 다양한 특성들이 있다. 이와 같은 다양한 맥동의 특성을 측정해내기 위해서는 혈관의 위치를 정확하게 짚어내고 그로부터 정확한 측정치를 읽어들일 수 있는 기술이 필요하다.
통상적으로 알려진 맥진법의 하나인 6부맥법에서는 검진자의 중지를 중심으로 3개의 손가락을 피검진자 손목 안쪽의 "촌(寸)", "관(關)", "척(尺)"의 3부위에 동시에 세손가락을 얹어서, 혹은 한 개의 손가락으로 순서대로 얹어서 맥동을 측정하게 된다. 즉, 요골동맥상의 관상돌기를 "관(關)"이라 하여 그 위에 검진자의 중지를 올려놓고, 그보다 10~13㎜ 손바닥 쪽인 촌(寸)’과 10~13㎜ 팔꿈치쪽인 ‘척(尺)’에 검지와 약지를 각각 올려놓은 후, 세 손가락에 감지되는 맥동을 측정하게 된다.
이 상태에서 1단계로 세 손가락에 약간의 힘을 가하며 맥동 상태를 검진하게 되는데, 이와 같이 약간의 힘을 가하여 감지되는 상태에 따라 맥의 깊이에 따른 구분인 '부', '중', '침'으로 나눌 수 있다. 약간 힘을 가했을 때 맥이 가장 선명한 것을 '부', 좀더 힘을 가해 혈관의 중간정도까지 눌렀을 때 맥의 가장 선명한 것을 '중', 더 힘을 가해서 혈관을 꾹 눌렀을 때가 되어야 맥이 선명한 것을 '침'이라고 한다.
따라서 피검진자의 병세를 맥진법으로 판별할 때에는 상기와 같이 세 손가락을 "촌(寸)", "관(關)", "척(尺)"의 3부위에 올려놓고 손가락의 압력을 변화시키면서 이때 반응하는 맥파를 측정하게 된다.
그런데, 사람이 직접 이러한 맥진을 수행하게 되면, 개인마다 압력차이에 따른 기준이 다르고, 맥파 세기에 대한 기준이 달라, 전적으로 검진자의 주관적인 감각과 경험에만 의존해서 피검진자의 상태가 판단되게 되므로, 검진자에 따라 측정결과의 차이가 심할 수 있고, 진단의 신뢰도가 떨어질 수 있다. 따라서 최근에는 피검진자의 맥동을 객관적이면서 시각적으로 확인할 수 있게 해주는 맥파 분석 방법 등에 관한 연구가 활발히 진행되고 있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종래의 부맥과 침맥을 진단하는 방법에 대해 설명하기로 한다.
도 1a 내지 도 1c는 종래의 부맥과 침맥 진단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a와 같이 5단계의 압력을 가하면, 부침맥 진단 장치는 도 1b와 같은 각 가압 단계별 5초간 압맥파 최대값들의 평균을 구한다.
그런 다음 상기 부침맥 진단 장치는 스플라인 보간법을 이용하여 도 1c와 같은 가압력 대비 압맥파 그래프(PH-curve)를 그리고, 수학식 1을 이용하여 부침계수를 구한다.
Figure 112010032215187-pat00001
여기서, 상기
Figure 112010032215187-pat00002
는 최소 가압,
Figure 112010032215187-pat00003
는 최대 가압, X는 최대 맥압이 얻어질 때의 가압을 말한다. 상기 부침 계수는 최고 압맥파가 나타나는 깊이의 정도를 의미한다.
상기와 같이 부침 계수가 구해지면, 상기 부침맥 진단 장치는 상기 부침계수가 5보다 크면 침맥으로 판단하고, 5보다 작으면 부맥으로 판단한다.
그러나 종래에는 스플라인 보간법을 사용하여 그래프를 그리므로 X값이 정확하지 않을 수 있다. 즉, 보간법을 이용하기에는 너무 적은 데이터를 사용하므로 오차가 발생할 수 있으며 낮은 가압 단계와 높은 가압 단계에서의 맥압의 크기가 비슷한 경우에는 실제 한의사는 부침맥을 판단하지 않는 반면 종래의 스플라인 보간법에서는 조금이라도 큰 맥압을 나타내는 가압 지점을 기준으로 부침계수가 결정되고 부침맥을 판단하게 되어 오류가 발생하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보간법에 의한 부침계수로 부침맥을 판단하는 방법이 실제 한의사가 부침맥을 판단하는 방식을 그대로 모사하고 있지 않아서 실제 한의사의 판단과 다를 확률이 높다. 즉, 한의사가 부침맥을 판단할 때는 부침계수처럼 맥압의 최고값이 나타나는 깊이의 정도가 중요하기보다는 2번의 진맥(가볍게 눌렀을 때와 세게 눌렀을 때)에서의 맥압 강도 변화를 더 중요하게 생각한다.
또한, 부침맥 판단시 보간법을 사용하므로 오류가 발생할 수 있고, 복잡한 계산 수행으로 실용적이지 못한 단점이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가압 단계의 압맥파 크기가 비슷한 경우에도 부맥 또는 침맥을 정확하게 판단할 수 있는 부맥과 침맥 진단을 위한 장치 및 방법을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2번의 진맥(가볍게 눌렀을 때와 세게 눌렀을 때)에서의 맥압 강도 변화를 이용하여 부침맥을 판단할 수 있는 부맥과 침맥 진단을 위한 장치 및 방법을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보간법을 이용하지 않고 압맥파 크기를 그대로 이용하여 부맥과 침맥을 판단할 수 있는 부맥과 침맥 진단을 위한 장치 및 방법을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촌, 관, 척 각각에 대해 부맥, 침맥을 판단하게 할 뿐만 아니라, 한의사가 하는 것처럼 촌, 관, 척을 종합적으로 보고 부맥과 침맥을 판단할 수 있는 부맥과 침맥 진단을 위한 장치 및 방법을 제공하는데 있다.
상기 목적들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르면, 피검진자의 손목내측 표면과 접촉되어서 촌, 관, 척 3지점의 맥압을 측정하는 맥진 센서, 상기 맥진 센서에 의해 피검진자의 진맥 부위에 가해지는 압력을 다단계로 조정하기 위한 가압 조절부, 상기 맥진 센서로부터의 맥압정보에 의한 가압 단계별 압맥파 크기를 이용하여 부침계수(CFS)를 구하고, 상기 부침계수를 근거로 부맥 또는 침맥을 판단하는 부침맥 판단부를 포함하는 부맥과 침맥 진단을 위한 장치가 제공된다.
상기 부맥과 침맥 진단을 위한 장치는 상기 부침맥 판단부로부터의 판정 결과를 디스플레이하기 위한 출력부를 더 포함한다.
상기 부침맥 판단부는 2단계 가압의 경우, 1단계 압맥파 크기(
Figure 112010032215187-pat00004
)와 2단계 압맥파 크기(
Figure 112010032215187-pat00005
)의 차(
Figure 112010032215187-pat00006
)를 이용하여 부침계수를 구하고, 상기 부침계수가 제1 임계치 이상이면 침맥으로, 제2 임계치 이하이면 부맥으로 판단한다.
또한, 상기 부침맥 판단부는 다단계 가압의 경우, 가운데 가압 단계를 기준으로 가압력이 낮은 가압단계에 해당하는 압맥파 크기들의 제1 평균(
Figure 112010032215187-pat00007
)과 가압력이 높은 가압단계에 해당하는 압맥파 크기들의 제2 평균(
Figure 112010032215187-pat00008
)을 각각 구하고, 상기 제1평균과 제2 평균의 차(
Figure 112010032215187-pat00009
)를 이용하여 부침계수를 구한 후, 상기 부침계수가 제1 임계치 이상이면 침맥으로, 제2 임계치 이하이면 부맥으로 판단한다.
여기서, 상기 제1 임계치는 양수의 값, 상기 제2 임계치는 음수 값을 갖되, 그 구체적인 값들은 부침맥 진단 장치의 압맥파 출력값에 따라 결정한다.
또한, 상기 부침맥 판단부는 2단계 가압의 경우, 1단계 압맥파 크기(
Figure 112010032215187-pat00010
)와 2단계 압맥파 크기(
Figure 112010032215187-pat00011
)의 합(
Figure 112010032215187-pat00012
)과 2단계 압맥파 크기(
Figure 112010032215187-pat00013
)의 비(
Figure 112010032215187-pat00014
)를 이용하여 부침계수를 구하고, 상기 부침계수가 제3임계치 이상이면 침맥으로, 제4 임계치 이하이면 부맥으로 판단한다.
또한, 상기 부침맥 판단부는 다단계 가압의 경우, 가운데 가압 단계를 기준으로 가압력이 낮은 가압단계에 해당하는 압맥파 크기들의 제1 평균(
Figure 112010032215187-pat00015
)과 가압력이 높은 가압단계에 해당하는 압맥파 크기들의 제2 평균(
Figure 112010032215187-pat00016
)을 각각 구하고, 상기 제1 평균(
Figure 112010032215187-pat00017
)과 제2 평균(
Figure 112010032215187-pat00018
)의 합(
Figure 112010032215187-pat00019
)과 제2 평균(
Figure 112010032215187-pat00020
)과의 비(
Figure 112010032215187-pat00021
))를 이용하여 부침계수를 구한 후, 상기 부침계수가 제3 임계치 이상이면 침맥으로, 제4 임계치 이하이면 부맥으로 판단한다.
여기서, 상기 제3 임계치는 '0.5'이상 '1'이하 범위의 값을 가지고, 상기 제4 임계치는 '0'이상 '0.5'이하 범위의 값을 갖는데, 그 구체적인 수치는 부침맥 진단 장치의 압맥파 출력 특성에 따라 결정한다.
상기 부침맥 판단부는 촌, 관, 척 3부위 각각에 대해 부맥 또는 침맥을 판단하거나 촌, 관, 척 3부위를 종합하여 부맥 또는 침맥을 판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a)피검진자의 손목내측 표면과 접촉된 맥진 센서에 의해 촌, 관, 척 3 부위를 각각 또는 동시에 가압하는 단계, (b)상기 가압하는 크기를 변화시켜 가압 단계별 압맥파 크기를 측정하는 단계, (c)상기 측정된 가압 단계별 압맥파 크기를 이용하여 각 부위의 부침계수(CFS)를 구하고, 상기 부침계수를 근거로 각 부위의 부맥 또는 침맥을 판단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부맥과 침맥 진단을 위한 방법이 제공된다.
상기 (c)단계는, 2단계 가압의 경우, 1단계 압맥파 크기와 2단계 압맥파 크기의 차를 이용하여 부침계수를 구하는 단계, 상기 부침계수가 제1 임계치 이상이면 침맥으로, 제2 임계치 이하이면 부맥으로 판단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c)단계는, 2단계 가압의 경우, 1단계 압맥파 크기(
Figure 112010032215187-pat00022
)와 2단계 압맥파 크기(
Figure 112010032215187-pat00023
)의 합(
Figure 112010032215187-pat00024
)과 2단계 압맥파 크기(
Figure 112010032215187-pat00025
)의 비(
Figure 112010032215187-pat00026
)를 이용하여 부침계수를 구하고, 상기 부침계수가 제3임계치 이상이면 침맥으로, 제4 임계치 이하이면 부맥으로 판단한다.
상기 (c)단계는, 다단계 가압의 경우, 가운데 가압 단계를 기준으로 가압력이 낮은 가압단계에 해당하는 압맥파 크기들의 제1 평균(
Figure 112010032215187-pat00027
)과 가압력이 높은 가압단계에 해당하는 압맥파 크기들의 제2 평균(
Figure 112010032215187-pat00028
)을 각각 구하고, 상기 제1 평균(
Figure 112010032215187-pat00029
)과 제2 평균(
Figure 112010032215187-pat00030
)을 구하는 단계, 상기 구해진 제1 평균과 제2 평균의 차(
Figure 112010032215187-pat00031
)를 이용하여 부침계수를 구하는 단계, 상기 부침계수가 제1 임계치 이상이면 침맥으로, 제2 임계치 이하이면 부맥으로 판단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또한, 다단계 가압의 경우, 가운데 가압 단계를 기준으로 가압력이 낮은 가압단계에 해당하는 압맥파 크기들의 제1 평균(
Figure 112010032215187-pat00032
)과 가압력이 높은 가압단계에 해당하는 압맥파 크기들의 제2 평균(
Figure 112010032215187-pat00033
)을 구하는 단계, 상기 제1 평균과 제2 평균의 합(
Figure 112010032215187-pat00034
)과 제2 평균(
Figure 112010032215187-pat00035
)과의 비(
Figure 112010032215187-pat00036
))를 이용하여 부침계수를 구하는 단계, 상기 구해진 부침계수가 제3 임계치 이상이면 침맥으로, 제4 임계치 이하이면 부맥으로 판단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a)피검진자의 손목내측 표면과 접촉된 맥진 센서에 의해 촌, 관, 척 3 부위를 각각 또는 동시에 가압하는 단계, (b)상기 가압하는 크기를 변화시켜 가압 단계별 압맥파의 크기를 측정하는 단계, (c)상기 측정된 가압 단계별 압맥파의 크기를 이용하여 상기 촌, 관, 척 각각의 부침계수(CFS)를 구하는 단계, (d)상기 구해진 3부위의 부침계수를 종합하여 부맥 또는 침맥을 판단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부맥과 침맥 진단을 위한 방법이 제공된다.
상기 (d)단계는, 상기 3부위의 부침계수가 모두 제1 임계치(α) 이상이면 침맥으로 판단, 상기 3부위의 부침계수가 모두 제2 임계치(β) 이하이면 부맥으로 판단, 상기 3부위의 부침계수 중 하나 이상의 맥진 부위에서 제5 임계치(γ) 이상이면 침맥으로 판단, 상기 3부위의 부침계수 중 하나 이상의 맥진부위에서 제6 임계치(δ) 이하이면 부맥으로 판단하되, 상기 제1 임계치(α), 제2 임계치(β), 제5임계치(γ), 제6 임계치(δ)는 (δ≤β≤0≤α≤γ)의 관계가 성립한다.
또한, 상기 (d)단계는, 상기 3부위의 부침계수가 모두 제3 임계치(α´) 이상이면 침맥으로 판단, 상기 3부위의 부침계수가 모두 제4 임계치(β´) 이하이면 부맥으로 판단, 상기 3부위의 부침계수 중 하나 이상의 맥진 부위에서 제7 임계치(γ´) 이상이면 침맥으로 판단, 상기 3부위의 부침계수 중 하나 이상의 맥진부위에서 제8 임계치(δ´) 이하이면 부맥으로 판단하되, 상기 제3 임계치(α´), 제4 임계치(β´), 제7임계치(γ´), 제8 임계치(δ´)는 (0≤δ´≤β´≤0.5≤α´≤γ´≤1)의 관계가 성립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르면, 가압 단계의 맥압 크기가 비슷한 경우에도 부맥 또는 침맥을 정확하게 판단할 수 있다.
또한, 2번의 진맥(가볍게 눌렀을 때와 세게 눌렀을 때)에서의 맥압 강도 변화를 이용하여 부맥 또는 침맥을 판단할 수 있다.
또한, 보간법을 이용하지 않고 압맥파 크기를 그대로 이용하여 부맥과 침맥을 판단할 수 있다.
또한, 촌, 관, 척 각각에 대해 부맥 및 침맥을 판단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한의사가 하는 것처럼 촌, 관, 척을 종합적으로 보고 부맥과 침맥을 판단할 수 있다.
도 1a 내지 도 1c는 종래의 부맥과 침맥 진단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부맥과 침맥 진단을 위한 장치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블럭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부맥과 침맥을 진단하는 방법을 나타낸 흐름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2단계 압력이 가해진 경우 부침맥 판단 방법을 나타낸 흐름도.
도 5a 내지 도 5c는 2단계 압력이 가해진 경우 부침맥 판단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다단계 압력이 가해진 경우 높은 가압력과 낮은 가압력에서의 압맥파 차를 이용하여 부침맥을 판단하는 방법을 나타낸 흐름도.
도 7a 내지 도 7c는 본 발명에 따른 다단계 압력이 가해진 경우 부침맥 판단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다단계 압력이 가해진 경우 높은 가압력과 낮은 가압력에서의 압맥파 비를 이용하여 부침맥을 판단하는 방법을 나타낸 흐름도.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높은 가압력과 낮은 가압력에서의 압맥파 차를 근거로 촌, 관, 척 3부위를 종합하여 부맥과 침맥을 판단하는 방법을 나타낸 흐름도.
도 10은 본 발명에 따른 높은 가압력과 낮은 가압력에서의 압맥파 비를 근거로 촌, 관, 척 3부위를 종합하여 부맥과 침맥을 판단하는 방법을 나타낸 흐름도.
본 발명의 전술한 목적과 기술적 구성 및 그에 따른 작용 효과에 관한 자세한 사항은 본 발명의 명세서에 첨부된 도면에 의거한 이하 상세한 설명에 의해 보다 명확하게 이해될 것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부맥과 침맥 진단을 위한 장치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블럭도이다. 이하에서는 부맥과 침맥 진단을 위한 장치를 부침맥 진단 장치로 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도 2를 참조하면, 부침맥 진단 장치는 피검진자의 손목내측 표면과 접촉되어서 촌, 관, 척 3지점의 맥압을 측정하는 맥진 센서(210), 상기 맥진 센서(210)에 의해 피검진자의 진맥 부위에 가해지는 압력을 다단계로 조정하기 위한 가압 조절부(220), 상기 맥진 센서(210)로부터의 맥압정보에 의한 가압 단계별 압맥파 크기를 이용하여 부맥과 침맥을 판단하는 부침맥 판단부(230)를 포함한다.
상기 맥진 센서(210)는 압력검출소자를 포함하는 압력센서 또는 반도체 압력센서로 구성된 어레이 센서로서, 1개 이상의 반도체 압력센서가 일자형, 십자형, 정사각형, 직사각형, 마름모, 원형 및 육각형으로 구성된 군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의 배열형태를 이룬다.
또한, 상기 맥진 센서(210)는 상기 가압 조절부(220)에 의해 가압력을 변화시키면 가장 높은 맥압이 가운데 센서에 오도록 설계되어 있으며, 맥파는 좌측 또는 우측 요골동맥 상의 맥진 위치인 촌, 관, 척 3부위에서 측정된다.
또한, 상기 맥진 센서(210)는 진맥부위에 2단계이상으로 가압력을 조정하며 맥상정보를 추출한다.
또한, 상기 맥진 센서(210)는 맥진 측정위치에서 피험자의 맥동이 느껴지는 맥압의 범위를 검출하고 상기 가압 조절부(220)에 의해 압력이 조절되면 각 가압력이 가해질 때에 감지되는 맥상정보(맥압)를 측정하여 출력한다.
상기 부침맥 판단부(230)는 진맥위치에 접촉된 맥진 센서에 의해 측정된 맥압정보를 제공받아 시간에 따른 맥압변화를 그래프화한다.
또한, 상기 부침맥 판단부(230)는 상기 맥진 센서(210)로부터의 맥압정보에 의한 가압 단계별 압맥파 크기를 이용하여 부침계수(CFS, Coefficient of Floating and Sinking Pulse)를 구하고, 상기 부침계수를 근거로 부맥과 침맥을 판단한다. 여기서, 상기 부침계수는 압맥파의 강도 변화를 말한다.
상기 부침맥 판단부(230)에 대해 좀더 상세히 살펴보면, 상기 부침맥 판단부(230)는 상기 가압 조절부(220)에 의해 2단계 압력이 가해진 경우 1단계 압맥파 크기와 2단계와 압맥파 크기의 차이를 부침계수로 설정하고, 상기 설정된 부침계수를 근거로 부맥과 침맥을 판단한다. 즉, 가볍게 눌렀을 때를 1단계, 세게 눌렀을 때를 2단계로 한 경우, 상기 부침맥 판단부(230)는 1단계와 2단계의 압맥파 크기 차이를 보고 가볍게 눌렀을 때가 세게 눌렀을 때보다 압맥파가 크면 부맥으로, 세게 눌렀을 때가 가볍게 눌렀을 때보다 압맥파가 크면 침맥으로 판단한다.
또한, 상기 부침맥 판단부(230)는 상기 가압 조절부(220)에 의해 2단계 압력이 가해진 경우, 1단계 압맥파 크기(
Figure 112010032215187-pat00037
)와 2단계 압맥파 크기(
Figure 112010032215187-pat00038
)의 합(
Figure 112010032215187-pat00039
)과 2단계 압맥파 크기(
Figure 112010032215187-pat00040
)의 비(
Figure 112010032215187-pat00041
)를 이용하여 부침계수를 구하고, 상기 부침계수가 제3임계치 이상이면 침맥으로, 제4 임계치 이하이면 부맥으로 판단한다. 여기서, 상기 제3 임계치(
Figure 112010032215187-pat00042
)는 0.5이상 1이하 범위의 값을 가지고, 상기 제4 임계치(
Figure 112010032215187-pat00043
)는 0이상 0.5이하 범위의 값을 가지는데, 그 구체적인 수치들은 부침맥 진단 장치의 압맥파 출력 특성에 따라 결정한다.
또한, 상기 부침맥 판단부(230)는 상기 가압 조절부(220)에 의해 다단계 압력이 가해진 경우, 가볍게 누를 경우에 해당하는 단계의 압맥파 크기들의 제1 평균(
Figure 112010032215187-pat00044
)과 세게 누를 경우에 해당하는 단계의 압맥파 크기들의 제2 평균(
Figure 112010032215187-pat00045
)을 구하고, 그 평균을 이용하여 부맥과 침맥을 판단한다.
즉, 상기 부맥침 판단부(230)는 상기 제1 평균(
Figure 112010032215187-pat00046
)과 제2 평균(
Figure 112010032215187-pat00047
)의 차(
Figure 112010032215187-pat00048
)를 구하고, 상기 구해진 차가 제1 임계치 이상이면 침맥으로, 제2 임계치 이하이면 부맥으로 판단한다. 여기서, 상기 제1 임계치는 양수의 값이고, 제2 임계치는 음수의 값으로, 그 구체적인 값들은 부침맥 진단 장치의 압맥파 출력 특성에 따라 결정한다.
또한, 상기 부침맥 판단부(230)는 상기 제1 평균(
Figure 112010032215187-pat00049
)과 제2 평균(
Figure 112010032215187-pat00050
)의 합(
Figure 112010032215187-pat00051
)과 제2 평균(
Figure 112010032215187-pat00052
)과의 비(
Figure 112010032215187-pat00053
)를 이용하여 부침계수를 구하고, 상기 구해진 부침계수가 제3 임계치 이상이면 침맥으로, 제4 임계치 이하이면 부맥으로 판단한다.
상기와 같이 상기 부침맥 판단부(230)는 촌, 관, 척 3부위 각각의 압맥파 크기를 이용하여 부맥과 침맥을 판단하거나, 촌, 관, 척 3부위를 종합하여 부맥 또는 침맥을 판단하게 된다.
상기 부침맥 진단 장치는 상기 부침맥 판단부(230)로부터의 판정 결과를 디스플레이하기 위한 출력부(24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여기에서는 부침맥 진단 장치로 서술하였으나, 이는 맥진기일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부맥과 침맥을 진단하는 방법을 나타낸 흐름도이다.
도 3을 참조하면, 맥진 센서를 피검진자의 손목내측 표면에 접촉하여 촌, 관, 척 3부위에 위치시키고(S300), 상기 맥진 센서에 의해 촌, 관, 척 3 부위를 각각 또는 동시에 가압한다(S302).
부침맥 진단 장치는 상기 가압하는 크기를 변화시켜(S304) 가압 단계별 압맥파 크기를 측정한다(S306). 상기 압맥파는 2단계 또는 다단계로 나누어 측정할 수 있다.
상기 S306의 수행 후, 상기 부침맥 진단 장치는 상기 측정된 가압 단계별 압맥파 크기를 이용하여 부침 계수(CFS)를 구하고(S308), 상기 부침 계수를 근거로 부맥 또는 침맥을 판단한다(S310). 이때, 상기 부침맥 진단 장치는 촌, 관, 척 3부위 각각에 대해 부맥 또는 침맥을 판단하거나 촌, 관, 척 3부위를 종합하여 부맥 또는 침맥을 판단한다.
상기 부침 계수를 근거로 부맥 및 침맥을 판단하는 방법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도 4 내지 도 10을 참조하기로 한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2단계 압력이 가해진 경우 부침맥 판단 방법을 나타낸 흐름도, 도 5a 내지 도 5c는 2단계 압력이 가해진 경우 부침맥 판단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이다.
도 4를 참조하면, 맥진 센서를 피검진자의 손목내측 표면에 접촉하여 촌, 관, 척 3부위에 위치시키고(S400), 상기 맥진 센서에 의해 촌, 관, 척 3 부위를 각각 또는 동시에 가압한다(S402).
부침맥 판단 장치는 2단계로 가압하는 크기를 변화시켜(S404) 가압 단계별 압맥파 크기를 측정한다(S406).
그런 다음 부침맥 진단 장치는 1단계 압맥파의 크기와 2단계 압맥파의 크기의 차를 구하고(S408), 상기 구해진 차를 이용하여 부침 계수로 설정한다(S410).
즉, 상기 부침맥 진단 장치는 가압 조절부에 의해 도 5a와 같은 2단계 압력이 가해진 경우, 상기 맥진 센서로부터의 맥압 정보를 이용하여 도 5b와 같이 각 단계별 압맥파를 확인하고, 도 5c와 같이 1단계 압맥파 크기(
Figure 112010032215187-pat00054
)와 2단계 압맥파 크기(
Figure 112010032215187-pat00055
)를 측정한다.
그런 다음 상기 부침맥 진단 장치는 수학식 2와 같이 1단계 압맥파의 크기와 2단계 압맥파의 크기의 차를 구하고, 그 차를 부침 계수로 설정한다. 여기서, 상기 1단계 압맥파 크기는 가볍게 눌렀을 때의 압맥파 크기이고, 2단계 압맥파 크기는 세게 눌렀을 때의 압맥파 크기를 말한다.
Figure 112010032215187-pat00056
상기 S410의 수행 후, 상기 부침맥 진단 장치는 상기 부침 계수가 제1 임계치 이상이면(S412) 침맥으로 판단하고(S414), 제2 임계치 이하이면(S416) 부맥으로 판단한다(S418). 여기서, 상기 제1 임계치는 양수의 값을 가지고, 상기 제2 임계치는 음수의 값을 가진다.
만약, 상기 부침계수가 제1 임계치 이상도 아니고 제2 임계치 이하도 아니면, 상기 부침맥 진단 장치는 판단을 보류하게 된다(S420).
상기와 같이 부침맥 진단 장치는 가볍게 눌렀을 때와 세게 눌렀을 때의 압맥파의 차이를 보고 가볍게 눌렀을 때가 세게 눌렀을 때보다 압맥파가 크면 부맥으로, 세게 눌렀을 때가 가볍게 눌렀을 때보다 압맥파가 크면 침맥으로 판단한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2단계 압력이 가해진 경우 상기 부침맥 진단 장치는 수학식 3을 이용하여 부침계수를 구하고, 상기 부침계수가 제3임계치 이상이면 침맥으로, 제4 임계치 이하이면 부맥으로 판단한다.
Figure 112010032215187-pat00057
여기서, 상기
Figure 112010032215187-pat00058
은 1단계 압맥파의 크기, 상기
Figure 112010032215187-pat00059
는 2단계 압맥파의 크기를 말하고, 상기 제3 임계치(
Figure 112010032215187-pat00060
)는 0.5이상 1이하 범위의 값을 가지고, 상기 제4 임계치(
Figure 112010032215187-pat00061
)는 0이상 0.5이하 범위의 값을 가진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다단계 압력이 가해진 경우 높은 가압력과 낮은 가압력에서의 압맥파 차를 이용하여 부침맥을 판단하는 방법을 나타낸 흐름도, 도 7a 내지 도 7c는 본 발명에 따른 다단계 압력이 가해진 경우 부침맥 판단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이다.
도 6을 참조하면, 맥진 센서를 피검진자의 손목내측 표면에 접촉하여 촌, 관, 척 3부위에 위치시키고(S600), 상기 맥진 센서에 의해 촌, 관, 척 3 부위를 각각 또는 동시에 가압한다(S602).
부침맥 진단 장치는 다단계로 가압하는 크기를 변화시켜(S604) 가압 단계별 압맥파 크기를 측정한다(S606).
그런 다음 상기 부침맥 진단 장치는 가운데 가압 단계를 기준으로 가압력이 낮은 가압단계와 가압력이 높은 가압 단계로 분리하고(S608), 가압력이 낮은 가압단계에 해당하는 압맥파 크기들의 제1 평균(
Figure 112010032215187-pat00062
)과 가압력이 높은 가압단계에 해당하는 압맥파 크기들의 제2 평균(
Figure 112010032215187-pat00063
)을 구한다(S610).
상기 제1 평균은 수학식 4를 이용하여 구하고, 상기 제2 평균은 수학식 5를 이용하여 구한다.
Figure 112010032215187-pat00064
Figure 112010032215187-pat00065
여기서, 상기 N은 전체 가압 단계 수,
Figure 112010032215187-pat00066
Figure 112010032215187-pat00067
이고, 상기 floor은 소수점 이하는 버림을 뜻한다.
상기 S610의 수행 후, 상기 부침맥 진단 장치는 수학식 6과 같이 상기 구해진 제1 평균 (
Figure 112010032215187-pat00068
)과 제2 평균 (
Figure 112010032215187-pat00069
)의 차를 이용하여 부침계수를 구한다(S612).
Figure 112010032215187-pat00070
상기 S612의 수행 후, 상기 부침맥 진단 장치는 상기 구해진 부침계수가 제1 임계치 이상이면(S614) 침맥으로 판단하고(S616), 제2 임계치 이하이면(S618) 부맥으로 판단한다(S620).
만약, 상기 부침계수가 제1 임계치 이상도 아니고 제2 임계치 이하도 아니면, 상기 부침맥 진단 장치는 판정을 보류하게 된다(S622).
상기와 같이 단계를 나눌 경우, 상기 부침맥 진단 장치는 한의사가 가볍게 누를 경우에 해당하는 단계와 세게 누를 경우에 해당하는 단계들의 평균을 구한 후 그 차이를 보고 부맥과 침맥을 판단하게 된다.
예를 들어, 도 7a와 같은 5단계의 압력을 가하면, 상기 부침맥 진단 장치는 도 7b와 같은 가압 단계별 5초간 압맥파 크기를 구한다. 그런 다음 상기 부침맥 진단 장치는 가운데 가압 단계인 3단계를 기준으로 가압력이 낮은 단계인 1,2 단계와 가압력이 높은 단계인 4, 5단계로 분리한다.
그런 후, 상기 부침맥 진단 장치는 1,2 단계의 압맥파 크기(
Figure 112010032215187-pat00071
)와 4, 5단계의 압맥파 크기(
Figure 112010032215187-pat00072
)를 확인하고, 1,2 단계 압맥파 크기(
Figure 112010032215187-pat00073
)의 제1 평균(
Figure 112010032215187-pat00074
)과 4, 5단계 압맥파 크기(
Figure 112010032215187-pat00075
)의 제2 평균(
Figure 112010032215187-pat00076
)을 구한다.
그런 다음 상기 부침맥 진단 장치는 수학식 7과 같이 평균의 차를 구하여 부침계수를 구한다.
Figure 112010032215187-pat00077
상기 부침맥 진단 장치는 상기 수학식 7과 같이 가운데 가압단계를 기준으로 가볍게 눌렀을 때와 세게 눌렀을 때의 압맥파 차이를 보고 가볍게 눌렀을 때가 세게 눌렀을 때보다 압맥파가 크면 부맥으로, 세게 눌렀을 때가 가볍게 눌렀을 때보다 압맥파가 크면 침맥으로 판단한다.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다단계 압력이 가해진 경우 높은 가압력과 낮은 가압력에서의 압맥파 비를 이용하여 부침맥을 판단하는 방법을 나타낸 흐름도이다.
도 8을 참조하면, 부침맥 진단 장치가 S800부터 S810을 수행하는 것은 도 6과 같으므로 그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S810이 수행되면, 상기 부침맥 진단 장치는 수학식 8과 같이 제1 평균(
Figure 112010032215187-pat00078
)과 제2 평균(
Figure 112010032215187-pat00079
)의 합과 제2 평균과의 비를 이용하여 부침계수를 구한다(S812).
Figure 112010032215187-pat00080
상기 S812의 수행 후, 상기 부침맥 진단 장치는 상기 구해진 부침계수가 제3 임계치 이상이면(S814) 침맥으로 판단하고(S816), 제4 임계치 이하이면(S818) 부맥으로 판단한다(S820).
만약, 상기 부침계수가 제3 임계치 이상도 아니고 제4 임계치 이하도 아니면, 상기 부침맥 진단 장치는 판정을 보류하게 된다(S822).
여기서, 상기 제3 임계치(
Figure 112010032215187-pat00081
)는 0.5이상 1이하 범위의 값을 가지고, 상기 제4 임계치(
Figure 112010032215187-pat00082
)는 0이상 0.5이하 범위의 값을 가진다.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높은 가압력과 낮은 가압력에서의 압맥파 차를 근거로 촌, 관, 척 3부위를 종합하여 부맥과 침맥을 판단하는 방법을 나타낸 흐름도이다.
도 9를 참조하면, 맥진 센서를 피검진자의 손목내측 표면에 접촉하여 촌, 관, 척 3부위에 위치시키고(S900), 상기 맥진 센서에 의해 촌, 관, 척 3 부위를 각각 또는 동시에 가압한다(S902).
부침맥 진단 장치는 가압하는 크기를 변화시켜(S904) 가압 단계별 압맥파 크기를 측정하고(S906), 상기 측정된 압맥파 크기를 이용하여 촌, 관, 척 각각의 부침계수를 구한다(S908). 상기 부침계수를 구하는 방법은 도 4 내지 도 8을 참조하기로 한다.
상기 S908의 수행 후, 상기 부침맥 진단 장치는 상기 3부위의 부침계수가 모두 제1 임계치 이상이면(S910) 침맥으로 판단하고(S912), 상기 3부위의 부침계수가 모두 제2 임계치 이하이면(S914) 부맥으로 판단한다(S916).
또한, 상기 S914의 판단결과 상기 3부위의 부침계수가 모두 제2 임계치 이하가 아니면, 상기 부침맥 진단 장치는 상기 3부위의 부침계수 중 하나 이상의 맥진 부위에서 제5 임계치 이상이면(S918) 침맥으로 판단하고(S912), 하나 이상의 맥진부위에서 제6 임계치 이하이면(S920) 부맥으로 판단한다(S916).
만약, 상기 S920의 판단결과 하나 이상의 맥진 부위에서 제6 임계치 이하가 아니면, 상기 부침맥 진단 장치는 판정을 보류한다(S922).
여기서, 상기 제1 임계치(
Figure 112010032215187-pat00083
), 제2 임계치(
Figure 112010032215187-pat00084
), 제5임계치(
Figure 112010032215187-pat00085
), 제6 임계치(
Figure 112010032215187-pat00086
)는 δ≤β≤0≤α≤γ 의 관계가 성립한다.
도 10은 본 발명에 따른 높은 가압력과 낮은 가압력에서의 압맥파 비를 근거로 촌, 관, 척 3부위를 종합하여 부맥과 침맥을 판단하는 방법을 나타낸 흐름도이다.
도 10을 참조하면, 단계 1000부터 단계 1008은 도 9와 같으므로 그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상기 S1008의 수행 후, 상기 부침맥 진단 장치는 상기 3부위의 부침계수가 모두 제3 임계치 이상이면(S1010) 침맥으로 판단하고(S1012), 상기 3부위의 부침계수가 모두 제4 임계치 이하이면(S1014) 부맥으로 판단한다(S1016).
또한, 상기 S1014의 판단결과 상기 3부위의 부침계수가 모두 제4 임계치 이하가 아니면, 상기 부침맥 진단 장치는 상기 3부위의 부침계수 중 하나 이상의 맥진 부위에서 제7 임계치 이상인지의 여부를 판단한다(S1018).
상기 S1018의 판단결과 하나 이상의 맥진 부위에서 부침 계수가 제7 임계치 이상이면 침맥으로 판단하고(S1012), 하나 이상의 맥진부위에서 부침계수가 제8 임계치 이하이면(S1020) 부맥으로 판단한다(S1016).
만약, 상기 S1020의 판단결과 하나 이상의 맥진 부위에서 부침계수가 제8 임계치 이하가 아니면, 상기 부침맥 진단 장치는 판정을 보류한다(S1022).
여기서, 상기 제3 임계치(
Figure 112010032215187-pat00087
), 제4 임계치(
Figure 112010032215187-pat00088
), 제7임계치(
Figure 112010032215187-pat00089
), 제8 임계치(
Figure 112010032215187-pat00090
)는 0≤δ´≤β´≤0.5≤α´≤γ´≤1 의 관계가 성립한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당업자는 본 발명이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인 것이 아닌 것으로서 이해해야만 한다. 본 발명의 범위는 상기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등가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210 : 맥진센서 220 : 가압 조절부
230 : 부침맥 판단부 240 : 출력부

Claims (17)

  1. 피검진자의 손목내측 표면과 접촉되어서 촌, 관, 척 3지점의 맥파를 측정하는 맥진 센서;
    상기 맥진 센서에 의해 피검진자의 진맥 부위에 가해지는 압력을 다단계로 조정하기 위한 가압 조절부; 및
    상기 맥진 센서로부터의 맥파정보에 의한 가압 단계별 압맥파 크기를 이용하여 부침계수(CFS)를 구하고, 상기 부침계수를 근거로 부맥 또는 침맥을 판단하는 부침맥 판단부;를 포함하고,
    상기 부침맥 판단부는 2단계 가압의 경우, 1단계 압맥파 크기(
    Figure 112011066275563-pat00149
    )와 2단계 압맥파 크기(
    Figure 112011066275563-pat00150
    )의 차(
    Figure 112011066275563-pat00151
    )를 이용하여 부침계수를 구하고, 상기 부침계수가 제1 임계치 이상이면 침맥으로, 제2 임계치 이하이면 부맥으로 판단하며,
    상기 제1 임계치는 양수의 값, 상기 제2 임계치는 음수 값을 갖되, 그 구체적인 값들은 부침맥 진단 장치의 압맥파 출력값에 따라 결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맥과 침맥 진단을 위한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부침맥 판단부로부터의 판정 결과를 디스플레이하기 위한 출력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맥과 침맥 진단을 위한 장치.
  3. 삭제
  4. 피검진자의 손목내측 표면과 접촉되어서 촌, 관, 척 3지점의 맥파를 측정하는 맥진 센서;
    상기 맥진 센서에 의해 피검진자의 진맥 부위에 가해지는 압력을 다단계로 조정하기 위한 가압 조절부; 및
    상기 맥진 센서로부터의 맥파정보에 의한 가압 단계별 압맥파 크기를 이용하여 부침계수(CFS)를 구하고, 상기 부침계수를 근거로 부맥 또는 침맥을 판단하는 부침맥 판단부;를 포함하고,
    상기 부침맥 판단부는 다단계 가압의 경우, 가운데 가압 단계를 기준으로 가압력이 상기 가운데 가압 단계의 가압력보다 낮은 가압단계에 해당하는 압맥파 크기들의 제1 평균(
    Figure 112011066275563-pat00094
    )과 가압력이 상기 가운데 가압 단계의 가압력보다 높은 가압단계에 해당하는 압맥파 크기들의 제2 평균(
    Figure 112011066275563-pat00095
    )을 각각 구하고, 상기 제1평균과 제2 평균의 차(
    Figure 112011066275563-pat00096
    )를 이용하여 부침계수를 구한 후, 상기 부침계수가 제1 임계치 이상이면 침맥으로, 제2 임계치 이하이면 부맥으로 판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맥과 침맥 진단을 위한 장치.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임계치는 양수의 값, 상기 제2 임계치는 음수 값을 갖되, 그 구체적인 값들은 부침맥 진단 장치의 압맥파 출력값에 따라 결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맥과 침맥 진단을 위한 장치.
  6. 피검진자의 손목내측 표면과 접촉되어서 촌, 관, 척 3지점의 맥파를 측정하는 맥진 센서;
    상기 맥진 센서에 의해 피검진자의 진맥 부위에 가해지는 압력을 다단계로 조정하기 위한 가압 조절부;및
    상기 맥진 센서로부터의 맥파정보에 의한 가압 단계별 압맥파 크기를 이용하여 부침계수(CFS)를 구하고, 상기 부침계수를 근거로 부맥 또는 침맥을 판단하는 부침맥 판단부;를 포함하고,
    상기 부침맥 판단부는 2단계 가압의 경우, 1단계 압맥파 크기(
    Figure 112011066275563-pat00097
    )와 2단계 압맥파 크기(
    Figure 112011066275563-pat00098
    )의 합(
    Figure 112011066275563-pat00099
    )과 2단계 압맥파 크기(
    Figure 112011066275563-pat00100
    )의 비를 이용하여 부침계수를 구하고, 상기 부침계수가 제3임계치 이상이면 침맥으로, 제4 임계치 이하이면 부맥으로 판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맥과 침맥 진단을 위한 장치.
  7. 피검진자의 손목내측 표면과 접촉되어서 촌, 관, 척 3지점의 맥파를 측정하는 맥진 센서;
    상기 맥진 센서에 의해 피검진자의 진맥 부위에 가해지는 압력을 다단계로 조정하기 위한 가압 조절부; 및
    상기 맥진 센서로부터의 맥파정보에 의한 가압 단계별 압맥파 크기를 이용하여 부침계수(CFS)를 구하고, 상기 부침계수를 근거로 부맥 또는 침맥을 판단하는 부침맥 판단부;를 포함하고,
    상기 부침맥 판단부는 다단계 가압의 경우, 가운데 가압 단계를 기준으로 가압력이 상기 가운데 가압 단계의 가압력보다 낮은 가압단계에 해당하는 압맥파 크기들의 제1 평균(
    Figure 112011066275563-pat00101
    )과 가압력이 상기 가운데 가압 단계의 가압력보다 높은 가압단계에 해당하는 압맥파 크기들의 제2 평균(
    Figure 112011066275563-pat00102
    )을 각각 구하고, 상기 제1 평균(
    Figure 112011066275563-pat00103
    )과 제2 평균(
    Figure 112011066275563-pat00104
    )의 합(
    Figure 112011066275563-pat00105
    )과 제2 평균과의 비(
    Figure 112011066275563-pat00106
    )를 이용하여 부침계수를 구한 후, 상기 부침계수가 제3 임계치 이상이면 침맥으로, 제4 임계치 이하이면 부맥으로 판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맥과 침맥 진단을 위한 장치.
  8. 제6항 또는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제3 임계치는 '0.5'이상 '1'이하 범위의 값을 가지고, 상기 제4 임계치는 '0'이상 '0.5'이하 범위의 값을 갖되, 그 구체적인 값은 부침맥 진단 장치의 압맥파 출력 특성에 따라 결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맥과 침맥 진단을 위한 장치.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부침맥 판단부는 촌, 관, 척 3부위 각각에 대해 부맥 또는 침맥을 판단하거나 촌, 관, 척 3부위를 종합하여 부맥 또는 침맥을 판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맥과 침맥 진단을 위한 장치.
  10. 삭제
  11. (a)피검진자의 손목내측 표면과 접촉된 맥진 센서에 의해 촌, 관, 척 3 부위를 각각 또는 동시에 가압하는 단계;
    (b)상기 가압하는 크기를 변화시켜 가압 단계별 압맥파 크기를 측정하는 단계; 및
    (c)상기 측정된 가압 단계별 압맥파 크기를 이용하여 각 부위의 부침계수(CFS)를 각각 구하고, 상기 부침계수를 근거로 촌, 관, 척 각각에 대해 부맥 또는 침맥을 판단하는 단계를 포함하되,
    상기 (c)단계는,
    2단계 가압의 경우, 1단계 압맥파 크기와 2단계 압맥파 크기의 차를 이용하여 부침계수를 구하는 단계; 및
    상기 부침계수가 제1 임계치 이상이면 침맥으로, 제2 임계치 이하이면 부맥으로 판단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제1 임계치는 양수의 값, 상기 제2 임계치는 음수 값을 갖되, 그 구체적인 값들은 부침맥 진단 장치의 압맥파 출력값에 따라 결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맥과 침맥 진단을 위한 방법.
  12. (a)피검진자의 손목내측 표면과 접촉된 맥진 센서에 의해 촌, 관, 척 3 부위를 각각 또는 동시에 가압하는 단계;
    (b)상기 가압하는 크기를 변화시켜 가압 단계별 압맥파 크기를 측정하는 단계; 및
    (c)상기 측정된 가압 단계별 압맥파 크기를 이용하여 각 부위의 부침계수(CFS)를 각각 구하고, 상기 부침계수를 근거로 촌, 관, 척 각각에 대해 부맥 또는 침맥을 판단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c)단계는,
    2단계 가압의 경우, 1단계 압맥파 크기(
    Figure 112011066275563-pat00107
    )와 2단계 압맥파 크기(
    Figure 112011066275563-pat00108
    )의 합(
    Figure 112011066275563-pat00109
    )과 2단계 압맥파 크기의 비(
    Figure 112011066275563-pat00110
    )를 이용하여 부침계수를 구하고, 상기 부침계수가 제3임계치 이상이면 침맥으로, 제4 임계치 이하이면 부맥으로 판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맥과 침맥 진단을 위한 방법.
  13. (a)피검진자의 손목내측 표면과 접촉된 맥진 센서에 의해 촌, 관, 척 3 부위를 각각 또는 동시에 가압하는 단계;
    (b)상기 가압하는 크기를 변화시켜 가압 단계별 압맥파 크기를 측정하는 단계; 및
    (c)상기 측정된 가압 단계별 압맥파 크기를 이용하여 각 부위의 부침계수(CFS)를 각각 구하고, 상기 부침계수를 근거로 촌, 관, 척 각각에 대해 부맥 또는 침맥을 판단하는 단계를 포함하되,
    상기 (c)단계는,
    다단계 가압의 경우, 가운데 가압 단계를 기준으로 가압력이 상기 가운데 가압 단계의 가압력보다 낮은 가압단계에 해당하는 압맥파 크기들의 제1 평균(
    Figure 112011066275563-pat00111
    )과 가압력이 상기 가운데 가압 단계의 가압력보다 높은 가압단계에 해당하는 압맥파 크기들의 제2 평균(
    Figure 112011066275563-pat00112
    )을 구하는 단계;
    상기 구해진 제1평균과 제2 평균의 차를 이용하여 부침계수를 구하는 단계;및
    상기 부침계수가 제1 임계치 이상이면 침맥으로, 제2 임계치 이하이면 부맥으로 판단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맥과 침맥 진단을 위한 방법.
  14. (a)피검진자의 손목내측 표면과 접촉된 맥진 센서에 의해 촌, 관, 척 3 부위를 각각 또는 동시에 가압하는 단계;
    (b)상기 가압하는 크기를 변화시켜 가압 단계별 압맥파 크기를 측정하는 단계; 및
    (c)상기 측정된 가압 단계별 압맥파 크기를 이용하여 각 부위의 부침계수(CFS)를 각각 구하고, 상기 부침계수를 근거로 촌, 관, 척 각각에 대해 부맥 또는 침맥을 판단하는 단계를 포함하되,
    상기 (c)단계는,
    다단계 가압의 경우, 가운데 가압 단계를 기준으로 가압력이 상기 가운데 가압 단계의 가압력보다 낮은 가압단계에 해당하는 압맥파 크기들의 제1 평균(
    Figure 112011066275563-pat00113
    )과 가압력이 상기 가운데 가압 단계의 가압력보다 높은 가압단계에 해당하는 압맥파 크기들의 제2 평균(
    Figure 112011066275563-pat00114
    )을 구하는 단계;
    상기 제1 평균과 제2 평균의 합(
    Figure 112011066275563-pat00115
    )과 제2 평균과의 비(
    Figure 112011066275563-pat00116
    )를 이용하여 부침계수를 구하는 단계;및
    상기 구해진 부침계수가 제3 임계치 이상이면 침맥으로, 제4 임계치 이하이면 부맥으로 판단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맥과 침맥 진단을 위한 방법.
  15. 삭제
  16. (a)피검진자의 손목내측 표면과 접촉된 맥진 센서에 의해 촌, 관, 척 3 부위를 각각 또는 동시에 가압하는 단계;
    (b)상기 가압하는 크기를 변화시켜 가압 단계별 압맥파의 크기를 측정하는 단계;및
    (c)상기 측정된 가압 단계별 압맥파의 크기를 이용하여 상기 촌, 관, 척 각각의 부침계수(CFS)를 구하는 단계; 및
    (d)상기 구해진 촌, 관, 척 각각의 부침계수를 종합하여 부맥 또는 침맥을 판단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d)단계는,
    상기 촌, 관, 척 3부위의 부침계수가 모두 제1 임계치(
    Figure 112011066275563-pat00117
    ) 이상이면 침맥으로 판단, 상기 3부위의 부침계수가 모두 제2 임계치(
    Figure 112011066275563-pat00118
    ) 이하이면 부맥으로 판단, 상기 3부위의 부침계수 중 하나 이상의 맥진 부위에서 제5 임계치(
    Figure 112011066275563-pat00119
    ) 이상이면 침맥으로 판단, 상기 3부위의 부침계수 중 하나 이상의 맥진부위에서 제6 임계치(
    Figure 112011066275563-pat00120
    ) 이하이면 부맥으로 판단하되,
    상기 제1 임계치(
    Figure 112011066275563-pat00121
    ), 제2 임계치(
    Figure 112011066275563-pat00122
    ), 제5임계치(
    Figure 112011066275563-pat00123
    ), 제6 임계치(
    Figure 112011066275563-pat00124
    )는 δ≤β≤0≤α≤γ 의 관계가 성립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맥과 침맥 진단을 위한 방법.
  17. (a)피검진자의 손목내측 표면과 접촉된 맥진 센서에 의해 촌, 관, 척 3 부위를 각각 또는 동시에 가압하는 단계;
    (b)상기 가압하는 크기를 변화시켜 가압 단계별 압맥파의 크기를 측정하는 단계;및
    (c)상기 측정된 가압 단계별 압맥파의 크기를 이용하여 상기 촌, 관, 척 각각의 부침계수(CFS)를 구하는 단계; 및
    (d)상기 구해진 촌, 관, 척 각각의 부침계수를 종합하여 부맥 또는 침맥을 판단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d)단계는,
    상기 촌, 관, 척 3부위의 부침계수가 모두 제3 임계치(
    Figure 112011066275563-pat00125
    ) 이상이면 침맥으로 판단, 상기 3부위의 부침계수가 모두 제4 임계치(
    Figure 112011066275563-pat00126
    ) 이하이면 부맥으로 판단, 상기 3부위의 부침계수 중 하나 이상의 맥진 부위에서 제7 임계치(
    Figure 112011066275563-pat00127
    ) 이상이면 침맥으로 판단, 상기 3부위의 부침계수 중 하나 이상의 맥진부위에서 제8 임계치(
    Figure 112011066275563-pat00128
    ) 이하이면 부맥으로 판단하되,
    상기 제3 임계치(
    Figure 112011066275563-pat00129
    ), 제4 임계치(
    Figure 112011066275563-pat00130
    ), 제7임계치(
    Figure 112011066275563-pat00131
    ), 제8 임계치(
    Figure 112011066275563-pat00132
    )는 0≤δ´≤β´≤0.5≤α´≤γ´≤1 의 관계가 성립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맥과 침맥 진단을 위한 방법.
KR1020100047010A 2010-05-19 2010-05-19 부맥과 침맥 진단을 위한 장치 및 방법 KR10111549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47010A KR101115499B1 (ko) 2010-05-19 2010-05-19 부맥과 침맥 진단을 위한 장치 및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47010A KR101115499B1 (ko) 2010-05-19 2010-05-19 부맥과 침맥 진단을 위한 장치 및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127494A KR20110127494A (ko) 2011-11-25
KR101115499B1 true KR101115499B1 (ko) 2012-03-13

Family

ID=4539612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047010A KR101115499B1 (ko) 2010-05-19 2010-05-19 부맥과 침맥 진단을 위한 장치 및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115499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5388991A (zh) * 2022-08-25 2022-11-25 潍柴动力股份有限公司 一种液位传感器浮子故障诊断方法、装置及存储介质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0087617A (ko) * 2001-05-15 2002-11-23 허웅 맥위검출을 위한 맥동검출기
KR20030013808A (ko) * 2001-08-09 2003-02-15 강희정 어레이 센서를 이용한 맥진장치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0087617A (ko) * 2001-05-15 2002-11-23 허웅 맥위검출을 위한 맥동검출기
KR20030013808A (ko) * 2001-08-09 2003-02-15 강희정 어레이 센서를 이용한 맥진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127494A (ko) 2011-11-2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257269B2 (en) Apparatus for analysing pulse using array of pressure sensors
CN106974631B (zh) 一种基于脉搏波波形和心电信号的血压测量方法及装置
US7311669B2 (en) Oscillometric determination of blood pressure
Jones et al. Validation of the OSCAR 2 oscillometric 24-hour ambulatory blood pressure monitor according to the International Protocol for the validation of blood pressure measuring devices
EP3628215A1 (en) Method for extracting feature of bio-signal
US20100022895A1 (en) Diagnosis system of deficient and forceful pulse
CA1092854A (en) Apparatus and process for artifact rejection through cross correlation in sphygmometry
Bae et al. New assessment model of pulse depth based on sensor displacement in pulse diagnostic devices
CN105147269A (zh) 一种无创连续血压测量方法
Kim et al. Novel diagnostic model for the deficient and excess pulse qualities
KR101115499B1 (ko) 부맥과 침맥 진단을 위한 장치 및 방법
KR101912215B1 (ko) 혈관 탄성율 평가 장치
EP1327415A1 (en) Arteriosclerosis evaluating apparatus
MX2011005854A (es) Metodo para derivar valores de presion aortica sistolica central y metodo para analizar un conjunto de datos arteriales para derivar los mismos.
CN108182680A (zh) 一种基于ivoct图像的分叉血管的角度自动识别方法
CN113670516B (zh) 基于光体积变化描记成像的按压位置定位和压力测量方法
KR100869515B1 (ko) 대맥 및 세맥 진단 시스템
JP2008110086A (ja) 血管機能検査装置とプログラム
KR20180067348A (ko) Ppg를 이용한 맥박수 추정방법 및 장치
Triunfo-Méndez et al. Comparison of blood pressure measurement with two digital sphygmomanometers
CN111000539A (zh) 脉象采集、诊脉装置以及脉象采集数据处理方法
US20020147402A1 (en) Method for diastolic blood pressure measurement
EP2976999B1 (en) Circulatory organ function arithmetic calculation device
CN113545760B (zh) 基于模态分析技术的中医脉诊测试仪及其使用方法
KR20060071597A (ko) 어레이 압력 센서를 이용한 맥파 분석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202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212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108

Year of fee payment: 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