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0013696A - 고체상 빤짝이 마카 - Google Patents

고체상 빤짝이 마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0013696A
KR20030013696A KR1020010047837A KR20010047837A KR20030013696A KR 20030013696 A KR20030013696 A KR 20030013696A KR 1020010047837 A KR1020010047837 A KR 1020010047837A KR 20010047837 A KR20010047837 A KR 20010047837A KR 20030013696 A KR20030013696 A KR 2003001369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eight
maca
gelling agent
organic solvent
alcoho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1004783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충경
Original Assignee
동아연필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동아연필 주식회사 filed Critical 동아연필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10047837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30013696A/ko
Publication of KR2003001369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0013696A/ko

Link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DCOATING COMPOSITIONS, e.g. PAINTS, VARNISHES OR LACQUERS; FILLING PASTES; CHEMICAL PAINT OR INK REMOVERS; INKS; CORRECTING FLUIDS; WOODSTAINS; PASTES OR SOLIDS FOR COLOURING OR PRINTING; USE OF MATERIALS THEREFOR
    • C09D13/00Pencil-leads; Crayon compositions; Chalk composition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Adhesives Or Adhesive Processes (AREA)

Abstract

종이 등의 대상물에 필기감이 좋게 묘화할 수 있고 대상물에의 밀착성이나 내박리성에도 우수하고 묘화에 의해 형성되는 화상이 투명한 배경의 바탕에 빤짝빤짝 빛나는 빤짝이효과를 갖도록, 디벤질리덴솔비톨과 그 유도체 및 트리벤질리덴솔비톨과 그 유도체로 이루어지는 군으로부터 선택하는 적어도 1종 이상의 겔화제와, 물과, 수혼화성 유기용매와, 접착성 고분자와, 빤짝이재를 포함하는 겔성형체로 이루어지는 고체상 빤짝이 마카를 제공한다.
겔성형체는 KS G 2613의 조건하에서 160~700 g의 굽힘강도를 가지며 압축변형강도가 굽힘강도의 10배이하를 유지하도록 형성하고, 겔화제가 1~4중량%, 물이 10~40중량%, 유기용매가 35~50중량%, 접착성 고분자가 3~25중량%, 빤짝이재가 1~20중량%의 양으로 이루어진다.

Description

고체상 빤짝이 마카 {Solid Glitter Marker}
본 발명은 고체상 빤짝이 마카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제조된 그대로의 상태로 종이 등의 대상물에 필기감이 좋게 묘화할 수 있고 묘화에 의해 형성되는 화상이 투명한 배경의 바탕에 빤짝빤짝 빛나는 빤짝이효과를 갖도록 하며 대상물에의 밀착성이나 내박리성도 우수한 고체상 빤짝이 마카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빤짝이재(glitter)를 배합하여 이루어지는 묘화재는 이미 알려져 있다.
예를 들면 미합중국 특허 제5383954호에는 빤짝이재가 함유된 고형상 묘화재 조성물(Solid Marking Composition Containing Glitter)이라는 명칭의 발명이 기재되어 있고, 각종 왁스를 기재로 하고 각종 오일 등의 연화제, 안료, 빤짝이재로 이루어지는 고형상 묘화재 조성물이 기재되어 있다.
또 액체상의 풀 중에 빤짝이재를 분산하여 플라스틱 튜브에 채워넣은 것이 시판되고 있다.
상기에서 빤짝이재는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필름에 알루미늄을 증착하고, 유채색의 경우는 그 위에 착색한 것으로, 통상 묘화재에 사용하는 안료에 비하면 훨씬 크며, 작은 것은 0.008×0.008㎜정도의 크기, 큰 것은 1.5×1.5㎜정도의 크기를 갖는다. 그리고 빤짝이재의 두께는 한변 길이의 1/10 정도이다.
또 종래 크레용 등의 고형상 묘화재에 이와 같은 빤짝이재를 배합한 경우, 대상물에 묘화하여도 대상물 표면에 빤짝이재를 이행시키는 것이 불가능하고, 빤짝이재는 묘화재 내부에 박히게 된다.
상기한 미합중국 특허 제5383954호의 기술은 묘화재의 경도를 ASTM D 1321-85에 의한 침입도시험에서 25∼45㎜로 되도록 무르게 하는 것에 의해 빤짝이재의 사용을 어느 정도 가능하게 하지만, 사용할 수 있는 빤짝이재의 크기가 0.05×0.05㎜ 이하의 비교적 작은 것이고, 이보다 큰 빤짝이재는 대상물에 이행시키는 것이 거의 불가능하다. 그리고 빤짝이재의 크기가 0.05×0.05㎜ 이하인 경우에는 묘화할 때 묘화재의 내부에 빤짝이재가 박히는 현상이 발생하기 쉽고, 빤짝이재의 빤짝빤짝 빛나는 효과가 충분하게 발휘되지 않는다.
또 투명성이 부족한 왁스를 기재로 하고 있기 때문에, 빤짝이재 표면에 불투명한 왁스가 덮이게 되어 빤짝이재로부터의 반사광 일부가 소실되고, 빤짝빤짝 빛나는 빤짝이재의 효과가 약해진다.
또 상기와 같은 왁스를 기재로 하는 묘화재의 또 다른 결점은 대상물 표면에 이행시킨 빤짝이재가 박리되어 탈락하기 쉽다는 것이다. 즉 대상물 표면에 이행시킨 빤짝이재는 묘화재 기재인 왁스와 함께 부착되어 있을 뿐이어서, 손 등의 접촉만으로도 용이하게 박리되어 탈락된다. 이러한 경향은 빤짝빤짝 빛나는 효과가 높고, 보다 크기가 큰 빤짝이재를 사용할 때 더 현저하게 나타난다.
그리고 크레용 등의 고형상 묘화재의 경우에는 튜브로부터 짜내어 사용하기 때문에, 이것을 다시 손가락으로 펴는 등의 작업을 하여야만 되고, 사용의 편리성면에서 떨어진다.
본 발명의 목적은 제조된 그대로의 상태로 종이 등의 대상물에 필기감이 좋게 묘화할 수 있고 묘화에 의해 형성되는 화상이 투명한 배경의 바탕에 빤짝빤짝 빛나는 빤짝이효과를 갖도록 하며 대상물에의 밀착성이나 내박리성에도 우수한 고체상 빤짝이 마카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빤짝이재의 묘화면으로의 이행성 및 묘화면에의 밀착성이 우수하여 빤짝이효과가 우수한 고체상 빤짝이 마카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빤짝이 효과가 높고 큰 크기를 갖는 빤짝이재를 사용하는 고체상 빤짝이 마카를 제공하는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고체상 빤짝이 마카의 일실시예에 있어서 굽힘강도를 측정하는 방법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정면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고체상 빤짝이 마카의 일실시예에 있어서 압축변형강도를 측정하는 방법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정면도.
본 발명이 제안하는 고체상 빤짝이 마카는 디벤질리덴솔비톨(dibenzylidene sorbitol)과 그 유도체 및 트리벤질리덴솔비톨(tribenzylidene sorbitol)과 그 유도체로 이루어지는 군으로부터 선택하는 적어도 1종 이상의 겔화제와, 물과, 수혼화성(water-miscible) 유기용매와, 접착성 고분자와, 빤짝이재를 포함하는 겔성형체로 이루어진다.
상기한 겔성형체는 KS G 2613(크레용 및 파스)에서 규정한 조건하에서 160~700g의 굽힘강도를 가지며, 압축변형강도가 굽힘강도의 10배이하를 유지하도록 형성한다.
또 본 발명이 제안하는 고체상 빤짝이 마카는 상기한 겔화제가 1~4중량%, 상기한 물이 10~40중량%, 상기한 유기용매가 35~50중량%, 상기한 접착성 고분자가 3~25중량%, 상기한 빤짝이재가 1~20중량%의 양으로 이루어진다.
상기에서 겔화제는 보다 바람직하게는 2~3중량%의 양으로 이루어지고, 물은 보다 바람직하게는 25~35중량%의 양으로 이루어지며, 유기용매는 보다 바람직하게는 40~45중량%의 양으로 이루어지고, 접착성 고분자는 보다 바람직하게는 5~15중량%의 양으로 이루어지며, 빤짝이재는 보다 바람직하게는 5~15중량%의 양으로 이루어진다.
그리고 본 발명이 제안하는 고체상 빤짝이 마카는 상기한 겔성형체에 폴리비닐알콜을 더 함유시켜 형성한다.
또 상기한 겔성형체에 착색제를 더 함유시키는 것도 가능하다.
도 1에는 굽힘강도를 시험하기 위한 장치의 일실시예를 나타내고, 도 2에는 압축변형강도를 시험하기 위한 장치를 나타낸다.
본 발명에 따른 고체상 빤짝이 마카는 디벤질리덴솔비톨 및 그 유도체, 트리벤질리덴솔비톨 및 그 유도체로 이루어지는 군으로부터 선택하는 적어도 1종 이상의 겔화제와, 물과, 수혼화성 유기용매와, 접착성 고분자와, 빤짝이재를 포함하는 겔성형체로 이루어진다.
상기한 겔성형체는 KS G 2613의 조건하에서 160~700 g의 굽힘강도를 가지며 압축변형강도가 굽힘강도의 10배이하를 유지하도록 형성된다.
상기에서 굽힘강도는 KS G 2613의 기준에 따라 20~25℃ 온도에서 측정하며, 샘플을 용기에 넣은 후 실내온도를 20~25 ℃로 유지하고, 다음의 방법에 따라 측정한다.
상기한 KS G 2613에 따른 온도는 37℃이지만, 상기한 유기용매가 휘발성이 높아서 37℃에서 시험하면 측정값이 정확하지 않게 되므로, 상기와 같이 20~25 ℃의 온도로 설정하여 측정한다.
상기한 굽힘강도는 도 1에 나타낸 바와 같이 두 지지대(2) 위에 샘플(8)을 위치시킨 후 샘플(8) 중심에 밑면이 둥근 하중부재(3)로 힘을 가하게 되고 샘플(8)이 깨어질(부러질) 때의 값을 측정한다.
도 1에 나타낸 숫자는 밀리미터(㎜) 단위이다.
상기에서 압축변형강도는 도 2에 나타낸 장치를 이용하여 측정한다.
지름이 12mm인 디스크(6)를 압축변형강도를 측정하기 위한 장치의 게이지(4)에 장착하고, 게이지(4)의 기준점은 0으로 맞춘다.
실내온도 20~25 ℃에서 측정을 유지할 때, 샘플(8)은 디스크(6)의 바로 밑에 위치하고, 핸들(도면에 나타내지 않음)을 조작하여 디스크(6)를 높이를 낮추게 된다.
상기한 디스크(6)가 샘플(8)에 접촉한 다음에는 1mm/sec(0.5turns/sec)의 속도로 낮아지도록 조정한다.
샘플(8)이 변형되는 순간인 게이지(4)가 더 이상 변하지 않는 때의 힘을 측정하여 기록한다.
본 발명에 따른 고체상 빤짝이 마카는 묘화면에 그린 그림을 볼 때 나타나는 빤짝이재의 특성이 중요하므로 상기에서 언급한 범위의 굽힘강도와 압축변형강도를 갖는 겔성형체로 형성해야 한다.
만일 굽힘강도가 160g미만으로 되면, 성형된 입자들이 쉽게 분쇄되고 고체상 묘화재로서는 약한 특성을 지니게 된다.
또 굽힘강도가 700g을 초과하면, 빤짝이재가 겔성형체 내로 이동하려는 경향이 있어서 묘화면으로의 전이가 잘 이루어지지 않는다.
그러나 본 발명에 따라 이루어지는 겔성형체는 160~700g, 보다 바람직하게는 180~500g의 굽힘강도를 가지므로, 필기 도중에 인쇄가 흐려지지 않고, 빤짝이재가 대상물 표면에 자연스럽게 전이되어 묘화된다.
또 상기한 겔성형체에서는 압축변형강도가 굽힘강도의 10배이하인 것도 묘화성이나 빤짝이재의 묘화면으로의 이행에 관하여 중요하다. 즉 겔성형체의 압축변형강도가 굽힘강도의 10배를 초과하면 겔성형체가 탄력성을 보유하도록 되고, 묘화시에 흐늘흐늘한 변형이 발생하여 필기감이 손상됨과 아울러, 빤짝이재의 묘화면으로의 전이도 일어나기 어렵게 된다.
본 발명에서는 상기한 겔성형체의 겔화제로서, 디벤질리덴솔비톨 및 그 유도체, 트리벤질리덴솔비톨 및 그 유도체로 이루어지는 군으로부터 선택된 적어도 1종을 사용한다.
상기와 같은 겔화제를 사용하는 것에 의해 상기한 범위의 굽힘강도 및 압축변형강도의 겔성형체를 얻는 것이 기본적으로 가능하게 됨과 아울러, 상기한 겔성형체는 투명성에 우수한 묘화상을 형성할 수 있다고 하는 이점이 있다.
상기에서 디벤질리덴솔비톨은 1㏖의 솔비톨(sorbitol)에 2㏖의 벤잘데히드(benzaldehyde)가 결합한 것이고, 정식 화학명은 1·3, 2·4-디벤질리덴솔비톨이고, 그 유도체로서는 벤질리덴기의 벤젠환에 메틸기, 에틸기, 이소부틸기 등의 치환기가 도입된 것이다.
또 상기한 트리벤질리덴솔비톨은 1㏖의 솔비톨에 3㏖의 벤잘데히드가 결합한 것이고, 그 유도체로서는 벤질리덴기의 벤젠환에 메틸기, 에틸기, 이소부틸기 등의 치환기가 도입된 것이다.
상기한 겔화제는 수혼화성 유기용매의 존재하에 가열하는 것에 의해 용해되어 졸상으로 되고, 냉각하는 것에 의해 겔체로 된다. 또 상기한 겔화제는 안전성이 높으며, 화학적인 안정성에도 우수하다.
상기한 겔화제 중에서도 디벤질리덴솔비톨이 보다 바람직하다.
상기한 겔화제는 겔성형체중에 바람직하게는 1∼4중량%, 보다 바람직하게는 2∼3중량%의 양으로 존재하는 것이 좋다.
상기한 겔화제가 1중량% 미만의 양으로 존재하면 겔강도가 약하며 봉형상체가 붕괴되기 쉽고, 4중량%를 초과하여 존재하면 겔화제가 석출되어 불균질하게 되므로 바람직하지 않다.
상기한 겔성형체는 물을 함유한다. 상기에서 적당량의 물은 형성되는 겔성형체의 강도를 높이고, 유기용매를 포함하는 봉형상체에 자기소화성을 부여하기 때문에 바람직하다.
상기한 물은 겔성형체 중에 바람직하게는 10∼40중량%, 보다 바람직하게는 25∼35중량%의 양으로 존재하는 것이 좋다.
상기한 물이 10중량% 미만으로 존재하면 효과가 부족하고, 상기한 물이 40중량%를 초과하여 존재하면 겔화제가 석출되어 불균질하게 되므로 바람직하지 않다.
그리고 상기한 겔성형체는 유기용매를 함유한다. 사용되는 유기용매는 물과 혼화하고, 가열시 겔화제를 용해하며, 냉각하면 겔을 형성하는 것으로 선택하면 좋다.
예를 들면 상기한 유기용매로서 에틸알콜(ethyl alcohol), 부틸알콜(butyl alcohol), 벤질알콜(benzyl alcohol), 2-에틸헥산올(2-ethyl hexanol), 이소프로필알콜(isopropyl alcohol) 등의 알콜계 용매와, 에틸렌글리콜(ethylene glycol), 프로필렌글리콜(propylene glycol) 등의 글리콜계 용매와, 메톡시에탄올 (methoxyethanol), 에톡시에탄올(ethoxyethanol), 메톡시프로판올 (methoxypropanol), 이소프로폭시에탄올(isopropoxyethanol), 에톡시부탄올 (ethoxybutanol), 3-메틸-3-메톡시-1-부탄올(3-methyl-3-methoxy-1-butanol) 등의 글리콜에테르계 용매와, 메틸에틸케톤(methyl ethyl ketone), 씨크로헥산온(cyclohexanone), 메틸이소부틸케톤(methyl isobutyl ketone) 등의 케톤계 용매 등이 사용 가능하다.
이들 중에서도 적당한 용해력과 비점을 갖는 글리콜에테르계 용매가 바람직하다. 그 중에서도 메톡시프로판올, 즉 1-메톡시-2-프로판올이 바람직하게 사용된다.
상기한 유기용매는 겔성형체 중에 바람직하게는 35∼50중량%, 보다 바람직하게는 40∼45중량%로 존재하는 것이 좋다.
상기한 유기용매가 35중량% 미만으로 존재하면 겔화제를 용해할 수 없기 때문에 바람직하지 않고, 50중량%를 초과하여 존재하면 겔성형체의 강도가 저하되기 때문에 바람직하지 않다.
또 상기한 겔성형체는 접착성 고분자를 함유한다. 상기한 접착성 고분자는 빤짝이재를 대상물 표면에 강고하게 접착시키는 작용을 하고, 대상물 표면이 매우 평활하게 되어 있어도 미끄러지지않고 빤짝이재를 대상물 표면으로 이행시키는 효과가 있다.
상기한 접착성 고분자는 물 및 상기한 유기용매에 용해되고, 건조후 접착성을 보유하는 것으로 선택하면 좋다.
예를 들면 상기한 접착성 고분자로서, 메틸셀룰로오스(methyl cellulose), 에틸셀룰로오스(ethyl cellulose), 하이드록시에틸셀룰로오스(hydroxyethyl cellulose) 등의 반합성 셀룰로오스유도체(semi-synthesized cellulose derivative)나, 폴리비닐피롤리돈(polyvinyl pyrrolidone), 폴리비닐피롤리돈과 아크릴산(acrylic acid)의 공중합체, 폴리초산비닐에멀젼(polyvinyl acetate emulsion) 등의 비닐계 고분자가 바람직하게 사용될 수 있다. 그 중에서도 폴리비닐피롤리돈이 적합하다.
상기한 접착성 고분자는 겔성형체 중에 바람직하게는 3∼25중량%, 보다 바람직하게는 5∼15중량%로 존재하는 것이 좋다.
상기한 접착성 고분자가 3중량% 미만으로 존재하면 접착력이 부족하고, 묘화상 중의 빤짝이재가 박리되기 쉬우며 평활한 표면에 묘화할 수 없다. 또 상기한 접착성 고분자가 25중량%를 초과하여 존재하면 용해액의 점도가 지나치게 높아지고, 겔성형체의 제조가 곤란하게 되는 경향이 있다.
그리고 상기한 겔성형체는 빤짝이재를 함유한다. 상기한 빤짝이재는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필름(polyethylene terephthalate film)에 알루미늄을 증착하고, 유채색의 경우는 그 위에 착색한다.
상기한 빤짝이재는 주로 용매로 사용되는 안료보다 훨씬 큰 크기를 가지며, 주로 0.008×0.008mm 내지 1.5×1.5mm의 크기를 갖는다.
또 빤짝이재의 두께는 측면길이의 대략 1/10 정도를 유지하도록 형성한다.
상기한 빤짝이재의 색상으로서는 무색이나, 녹색(green), 밝은 녹색(light green), 로얄그린(royal blue), 하늘색(sky blue), 밝은 파랑(light blue), 분홍색(pink), 빨강(red), 노랑(yellow) 등의 각종 색상이 사용 가능하다.
그리고 사용될 수 있는 빤짝이재의 크기는 0.3×0.3㎜ 이하의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한 빤짝이재의 크기가 0.3×0.3㎜ 보다 크면 필기감이 버걱버걱하여 좋지않다.
그러나 상기와 같이 이루어지는 본 발명에 따른 고체상 빤짝이 마카는 종래 빤짝이재가 함유된 고형상 묘화재 조성물에 비하여 크기가 큰 빤짝이재를 사용하는 것이 가능하고, 이에 의해 묘화된 상에 빤짝빤짝하는 느낌을 증대시키는 것이 가능하다.
상기한 빤짝이재는 겔성형체 중에 바람직하게는 1∼20중량%, 보다 바람직하게는 5∼15중량%의 양으로 존재하는 것이 좋다.
상기한 빤짝이재의 양이 1중량% 미만으로 존재하면 빤짝이효과가 부족하고, 상기한 빤짝이재의 양이 20중량%를 초과하여 존재하면 필기감이 버걱버걱하여 좋지 않다.
상기한 겔성형체는 상기한 성분에 더하여 폴리비닐알콜(polyvinyl alcohol)을 더 함유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한 폴리비닐알콜로서는 비누화도가 96% 이상의 완전비누화형이라고 부르는 것 또는 비누화도가 72∼95%의 부분비누화형이라고 부르는 것을 사용하는 것이 가능하다.
상기와 같이 폴리비닐알콜을 배합하는 것에 의해 봉형상체 표면의 끈적거림을 감소시키고, 봉형상체의 홀더로부터의 조출동작을 용이하게 하는 것이 가능하다.
상기한 폴리비닐알콜은 겔성형체 중에 바람직하게는 1∼5중량%, 보다 바람직하게는 3∼4중량%의 양으로 함유되는 것이 좋다.
상기한 폴리비닐알콜의 양이 1중량% 미만으로 함유되면 상기한 효과가 부족하고, 상기한 폴리비닐알콜의 양이 5중량%를 초과하여 함유되면 봉형상체의 압축변형강도가 지나치게 크게 되고 대상물 표면에 빤짝이재가 전이되기 어렵게 되는 경향이 있다.
그리고 상기한 겔성형체는 상기한 성분에 더하여 착색제를 함유시키는 것이 가능하다. 즉 안료 또는 염료를 사용하여, 봉형상체 전체를 착색하여도 좋다.
상기한 안료는 미리 물, 분산제와 함께 볼밀(ball mill) 등으로 분산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물론 공지의 분산안료를 사용하여도 좋다.
상기한 착색제의 양이 많은 경우에는 빤짝이재의 광택을 저해하기 때문에, 착색제는 고형분으로서 1중량% 이하의 양으로 사용하는 것이 좋다.
또 상기한 겔성형체는 상기한 성분을 교반하에 혼합, 가열하여, 겔화제, 접착성 고분자 또는 폴리비닐알콜을 용해하고, 형성되는 졸액을 형에 주입하고, 그 후 냉각하는 것에 의해 제조하는 것이 가능하다. 이 때의 가열온도는 성분의 종류나 배합량비에 따라서 다르지만, 80∼95℃의 범위가 적당하다.
상기와 같이 형성되는 겔성형체의 굽힘강도는 겔화제의 배합량에 관계되며, 물과 유기용매와의 혼합비를 조절하는 것에 의해 소정의 값으로 조정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 상기한 겔성형체의 압축변형강도는 접착성 고분자의 배합량 또는 폴리비닐알콜의 배합량을 조절하는 것에 의해 소정의 값으로 조정하는 것이 가능하다.
상기와 같이 이루어지는 겔성형체는 선단 조출형의 캡부착 홀더내에 수납되고, 선단을 조출하여 빤짝이마크를 형성하기 위하여 사용하는 것이 가능하다.
다음으로 본 발명에 따른 고체상 빤짝이 마카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설명한다.
[실시예 1]
물 31중량%, 유기용매로서 1-메톡시-2-프로판올 44중량%, 겔화제로서 디벤질리덴솔비톨 2중량%, 접착성 고분자로서 폴리비닐피롤리돈(분자량 110,000) 8중량%, 폴리에스테르 빤짝이재(0.15×0.15㎜) 9중량%, 폴리비닐알콜(비누화도 87%, 중합도 1,000∼1,500) 1중량%, 안료분산액(C.I. Pigment Blue 15, 10%) 5중량%를 온도계, 교반기, 환류기를 구비한 플라스크(flask)에 넣고, 교반하면서 90℃까지 승온한다.
상기한 온도(90℃)에서 약 30분간 유지하고, 접착성 고분자와 겔화제를 완전하게 용해한다. 상기와 같이 용해된 재료를 조출식 용기에 흘려넣고, 캡을 닫아 방냉 고화하고, 직경 8㎜, 길이 51㎜인 겔성형체(봉형상체)로 이루어진 고체상 빤짝이 마카의 실시예 1을 제조하였다.
상기한 실시예 1의 특성을 다음의 표 1에 나타낸다.
[실시예 2]
물 27중량%, 유기용매로서 1-메톡시-2-프로판올 42중량%, 겔화제로서 디벤질리덴솔비톨 3중량%, 접착성 고분자로서 폴리비닐피롤리돈(분자량 110,000) 11중량%, 폴리에스테르 빤짝이재(0.15×0.15㎜) 9중량%, 폴리비닐알콜(비누화도 87%, 중합도 1,000∼1,500) 4중량%, 안료분산액(C.I. Pigment Green 7, 10%) 4중량%를 온도계, 교반기, 환류기를 구비한 플라스크(flask)에 넣고, 교반하면서 90℃까지 승온한다.
상기한 온도(90℃)에서 약 30분간 유지하고, 접착성 고분자와 겔화제를 완전하게 용해한다. 상기와 같이 용해된 재료를 조출식 용기에 흘려넣고, 캡을 닫아 방냉 고화하고, 직경 8㎜, 길이 51㎜인 겔성형체(봉형상체)로 이루어진 고체상 빤짝이 마카의 실시예 2를 제조하였다.
상기한 실시예 2의 특성을 다음의 표 1에 나타낸다.
[비교예 1]
물 40중량%, 유기용매로서 1-메톡시-2-프로판올 35중량%, 겔화제로서 디벤질리덴솔비톨 2중량%, 접착성 고분자로서 폴리비닐피롤리돈(분자량 110,000) 8중량%, 폴리에스테르 빤짝이재(0.15×0.15㎜) 9중량%, 폴리비닐알콜(비누화도 87%, 중합도 1,000∼1,500) 1중량%, 안료분산액(C.I. Pigment Blue 15, 10%) 5중량%를 온도계, 교반기, 환류기를 구비한 플라스크(flask)에 넣고, 교반하면서 90℃까지 승온한다.
상기한 온도(90℃)에서 약 30분간 유지하고, 접착성 고분자와 겔화제를 완전하게 용해한다. 상기와 같이 용해된 재료를 조출식 용기에 흘려넣고, 캡을 닫아 방냉 고화하고, 직경 8㎜, 길이 51㎜인 겔성형체(봉형상체)로 이루어진 고체상 빤짝이 마카의 비교예 1을 제조하였다.
상기한 비교예 1의 특성을 다음의 표 1에 나타낸다.
[비교예 2]
물 27중량%, 유기용매로서 1-메톡시-2-프로판올 42중량%, 겔화제로서 디벤질리덴솔비톨 3중량%, 접착성 고분자로서 폴리비닐피롤리돈(분자량 110,000) 9중량%, 폴리에스테르 빤짝이재(0.15×0.15㎜) 9중량%, 폴리비닐알콜(비누화도 87%, 중합도1,000∼1,500) 6중량%, 안료분산액(C.I. Pigment Green 7, 10%) 4중량%를 온도계, 교반기, 환류기를 구비한 플라스크(flask)에 넣고, 교반하면서 90℃까지 승온한다.
상기한 온도(90℃)에서 약 30분간 유지하고, 접착성 고분자와 겔화제를 완전하게 용해한다. 상기와 같이 용해된 재료를 조출식 용기에 흘려넣고, 캡을 닫아 방냉 고화하고, 직경 8㎜, 길이 51㎜인 겔성형체(봉형상체)로 이루어진 고체상 빤짝이 마카의 비교에 2를 제조하였다.
상기한 실시예 1의 특성을 다음의 표 1에 나타낸다.
[비교예 3]
물 5중량%, 유기용매로서 1-메톡시-2-프로판올 62중량%, 겔화제로서 디벤질리덴솔비톨 4중량%, 접착성 고분자로서 폴리비닐피롤리돈(분자량 110,000) 12중량%, 폴리에스테르 빤짝이재(0.15×0.15㎜) 9중량%, 폴리비닐알콜(비누화도 87%, 중합도 1,000∼1,500) 3중량%, 안료분산액(C.I. Pigment Blue 15, 10%) 5중량%를 온도계, 교반기, 환류기를 구비한 플라스크(flask)에 넣고, 교반하면서 90℃까지 승온한다.
상기한 온도(90℃)에서 약 30분간 유지하고, 접착성 고분자와 겔화제를 완전하게 용해한다. 상기와 같이 용해된 재료를 조출식 용기에 흘려넣고, 캡을 닫아 방냉 고화하고, 직경 8㎜, 길이 51㎜인 겔성형체(봉형상체)로 이루어진 고체상 빤짝이 마카의 비교예 3을 제조하였다.
상기한 비교예 3의 특성을 다음의 표 1에 나타낸다.
구 분 실시예 1 실시예 2 비교예 1 비교예 2 비교예 3
굽힘강도 (g) 205 280 110 210 110
압축변형강도 (g) 1500 1900 1200 2900 650
묘화중의 붕괴 거의 없음 거의 없음 크게 붕괴됨 묘화 불가능 크게 붕괴됨
빤짝이재의 대상물로의 접착성 양호 양호 양호 묘화 불가능 양호
필름의 상태 매끄러움 매끄러움 불균일 묘화 불가능 불균일
연소성 자기소화성 자기소화성 자기소화성 자기소화성 가연성
그리고 상기한 실시예 및 비교예의 성분 배합비를 다음의 표 2에 정리하여 나타낸다.
성 분 실시예 1 실시예 2 비교예 1 비교예 2 비교예 3
31 27 40 27 5
1-메톡시-2-프로판올 44 42 35 42 62
디벤질리덴솔비톨 2 3 2 3 4
폴리비닐 피롤리돈 (분자량 110,000) 8 11 8 9 12
폴리에스테르 빤짝이재 (0.15×0.15㎜) 9 9 9 9 9
폴리비닐알콜(비누화도 87%) 1 4 1 6 3
안료분산액 (C.I. pigment blue 15, 10%) 5 0 5 0 5
안료분산액 (C.I. pigment green 7, 10%) 0 4 0 4 0
합 계 100 100 100 100 100
상기한 표 1 및 표 2로부터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굽힘강도가 160∼700g의 범위내에 있는 실시예 1 및 실시예 2는 묘화중에 붕괴가 발생하지 않았지만, 굽힘강도가 160g 미만인 비교예 1 및 비교예 3은 묘화중에 크게 붕괴가 발생하였다.
또 압축변형강도가 굽힘강도의 10배를 초과하는 비교에 2의 경우에는 묘화가 불가능하였다.
이로부터 원활한 묘화를 위해서는 실시예 1 및 실시예 2와 같이 본 발명에서 설정한 범위 내의 굽힘강도를 보유하고, 압축변형강도가 굽힘강도의 10배 이하를 유지하는 것이 중요함을 알 수 있다.
그런데 굽힘강도는 겔화제의 배합량 및 물과 유기용매와의 혼합비에 의해 조정이 가능한 데, 겔화제(디벤질리덴솔비톨)의 배합량을 동일 또는 유사하게 설정한 경우에는, 실시예 1 및 실시예 2, 비교예 2와 같이 물이 10∼40중량%일 때 유기용매(1-메톡시-2-프로판올)가 35∼50중량%로 본 발명에서 설정한 범위내로 배합되면 굽힘강도가 160∼700g의 범위내로 유지된다.
그러나 비교예 1과 같이 물이 상한선인 40중량%이고 유기용매가 하한선인 35중량%로 배합(물이 유기용매보다 많게)하면 굽힘강도가 110g으로 160g 미만으로 유지되며, 비교예 3과 같이 물이 5중량%, 유기용매가 62중량%로 본 발명에서 설정한 범위를 벗어나면 굽힘강도가 110g으로 160g 미만으로 유지됨을 알 수 있다.
또 빤짝이재의 대상물로의 접착성(전이)은 접착성 고분자(폴리비닐피롤리돈)의 배합량을 본 발명의 설정 범위인 3∼25중량% 이내로 유지하므로, 실시예 및 비교예 모두에서 양호하게 관찰되었다.
그리고 물의 함유량이 지나치게 적은 비교예 3의 경우에는 가연성이 관찰되었고, 물의 함유량이 본 발명의 설정 범위내인 실시예 1과 실시예 2 및 비교예 1과 비교예 2에서는 자기소화성이 관찰되었다.
상기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고체상 빤짝이 마카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특허청구범위와 발명의 상세한 설명 및 첨부한 도면의 범위 안에서 여러가지로 변형하여 실시하는 것이 가능하고, 이 또한 본 발명의 범위에 속한다.
상기와 같이 이루어지는 본 발명에 따른 고체상 반짝이 마카에 의하면, 대상물에 필기감이 좋게 묘화가 가능함은 물론, 빤짝이재의 전이가 효과적으로 이루어지고 대상물에의 접착성이 우수하여 배경에 빤짝빤짝 빛나는 빤짝이효과를 부여하는 것이 가능하다.
그리고 본 발명에 따른 고체상 빤짝이 마카에 의하면, 크기가 큰 빤짝이재를 함유하는 것이 가능하므로 빤짝이효과가 보다 뛰어나게 발휘된다.
또 본 발명에 따른 고체상 빤짝이 마카에 의하면, 자기소화성을 나타내므로 화재의 위험이 감소되며, 화재발생시 사용자가 화상을 입을 우려가 감소된다.
그리고 본 발명에 따른 고체상 빤짝이 마카에 의하면, 굽힘강도와 압축변형강도가 적당 범위로 유지되므로, 사용이 편리하고 묘화시 붕괴가 발생하지 않으며, 대상물에의 전이가 용이하게 이루어진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고체상 빤짝이 마카에 의하면, 제조된 상태 그대로 종이 등의 대상물에 묘화하는 것이 가능하고, 묘화후에 손으로 펴는 등의 별도의 작업을 필요로 하지 않으므로, 묘화작업이 매우 편리하게 이루어진다.

Claims (11)

  1. 디벤질리덴솔비톨 및 그 유도체, 트리벤질리덴솔비톨 및 그 유도체로 이루어지는 군으로부터 선택된 적어도 1종의 겔화제와,
    물과,
    수혼화성 유기용매와,
    접착성 고분자와,
    빤짝이재를 포함하는 겔성형체로 이루어지는 고체상 빤짝이 마카.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한 겔성형체는 KS G 2613에 의한 굽힘강도가 160∼700g이고, 압축변형강도가 굽힘강도의 10배이하인 고체상 빤짝이 마카.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한 겔화제를 1∼4중량%, 물을 10∼40중량%, 유기용매를 35∼50중량%, 접착성 고분자를 3∼25중량%, 빤짝이재를 1∼20중량% 함유하는 고체상 빤짝이 마카.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한 겔화제를 2∼3중량%, 물을 25∼35중량%, 유기용매를 40∼45중량%, 접착성 고분자를 5∼15중량%, 빤짝이재를 5∼15중량% 함유하는 고체상 빤짝이 마카.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한 겔화제가 디벤질리덴솔비톨인 고체상 빤짝이 마카.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한 유기용매는 에틸알콜, 부틸알콜, 벤질알콜, 2-에틸헥산올, 이소프로필알콜의 알콜계 용매와,
    에틸렌글리콜, 프로필렌글리콜의 글리콜계 용매와,
    메톡시에탄올, 에톡시에탄올, 메톡시프로판올, 이소프로폭시에탄올, 에톡시부탄올, 3-메틸-3-메톡시-1-부탄올의 글리콜에테르계 용매와,
    메틸에틸케톤, 씨크로헥산온, 메틸이소부틸케톤의 케톤계 용매 중에서 1종 이상을 선택하여 사용하는 고체상 빤짝이 마카.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한 접착성 고분자는 메틸셀룰로오스, 에틸셀룰로오스, 하이드록시에틸셀룰로오스의 반합성 셀룰로오스유도체와,
    폴리비닐피롤리돈과,
    폴리비닐피롤리돈과 아크릴산의 공중합체와,
    폴리초산비닐에멀젼의 비닐계 고분자 중에서 1종 이상을 선택하여 사용하는 고체상 빤짝이 마카.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한 빤짝이재는 크기가 0.3×0.3㎜ 이하인 폴리에스테르 빤짝이재인 고체상 빤짝이 마카.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한 겔성형체는 폴리비닐알콜을 더 포함하는 고체상 빤짝이 마카.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한 폴리비닐알콜을 1∼5중량%의 양으로 함유하는 고체상 빤짝이 마카.
  11. 제1항에 있어서, 상기한 겔성형체는 착색제를 더 포함하는 빤짝이 마카.
KR1020010047837A 2001-08-09 2001-08-09 고체상 빤짝이 마카 KR20030013696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10047837A KR20030013696A (ko) 2001-08-09 2001-08-09 고체상 빤짝이 마카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10047837A KR20030013696A (ko) 2001-08-09 2001-08-09 고체상 빤짝이 마카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0013696A true KR20030013696A (ko) 2003-02-15

Family

ID=2771842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10047837A KR20030013696A (ko) 2001-08-09 2001-08-09 고체상 빤짝이 마카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30013696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49511B1 (ko) * 2011-01-14 2013-04-01 동아교재 주식회사 투명 고형상 마카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8120209A (ja) * 1994-10-21 1996-05-14 Mitsubishi Pencil Co Ltd 固形状筆記具
JPH08245916A (ja) * 1995-03-10 1996-09-24 Mitsubishi Pencil Co Ltd 固形状筆記具
JPH11172188A (ja) * 1997-12-09 1999-06-29 Sakura Color Prod Corp 蛍光クレヨン
JPH11209679A (ja) * 1997-12-29 1999-08-03 Sakura Color Prod Corp クレヨン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8120209A (ja) * 1994-10-21 1996-05-14 Mitsubishi Pencil Co Ltd 固形状筆記具
JPH08245916A (ja) * 1995-03-10 1996-09-24 Mitsubishi Pencil Co Ltd 固形状筆記具
JPH11172188A (ja) * 1997-12-09 1999-06-29 Sakura Color Prod Corp 蛍光クレヨン
JPH11209679A (ja) * 1997-12-29 1999-08-03 Sakura Color Prod Corp クレヨン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49511B1 (ko) * 2011-01-14 2013-04-01 동아교재 주식회사 투명 고형상 마카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4212786A (en) Crayon compositions
US4193906A (en) Compositions for solid writing materials and writing implements
EP3112430B1 (en) Colored pencil lead
TWI803465B (zh) 書寫文具用水性墨水組成物
JP3304612B2 (ja) 筆記具用蛍光色インキ組成物
JP2907579B2 (ja) 固形状描画材
CN110408265A (zh) 高附着力记号墨水组合物、其制备方法及记号笔
KR20030013696A (ko) 고체상 빤짝이 마카
JP3598307B2 (ja) 固体マーキング組成物
JP5091436B2 (ja) クレヨン
US6602332B2 (en) Solid glitter marker
US20190048220A1 (en) Wax-based coloring crayon with a watercolor effect
WO2015166859A1 (ja) 固形描画材
JP2015209507A (ja) 水溶性固形描画材
US3185655A (en) Colored polymer
EP4174144B1 (en) Water-based solid marking composition
JP2022546758A (ja) 筆記用具、製図用具および/または描画用具のための芯、並びにその製造方法
KR101786570B1 (ko) 수용성을 갖는 소거성 고형상 마커
JP7093810B2 (ja) 焼成固形描画材
JP2003049109A (ja) 固形状描画材
JP2004352741A (ja) 固形状描画材
KR100399102B1 (ko) 액자장식용 수용성 전사액의 조성물
US20140243437A1 (en) Paint Composition For Forming Three-Dimensional Film
JP2009019071A (ja) クレヨン
JPH0562914B2 (ko)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