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0013171A - 접지대차 - Google Patents

접지대차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0013171A
KR20030013171A KR1020010047512A KR20010047512A KR20030013171A KR 20030013171 A KR20030013171 A KR 20030013171A KR 1020010047512 A KR1020010047512 A KR 1020010047512A KR 20010047512 A KR20010047512 A KR 20010047512A KR 20030013171 A KR20030013171 A KR 2003001317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ground
shoe
trolley
terminal
ground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1004751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396705B1 (ko
Inventor
유치용
Original Assignee
엘지산전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산전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산전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1-004751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396705B1/ko
Publication of KR2003001317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001317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39670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396705B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BBOARDS, SUBSTATIONS OR SWITCHING ARRANGEMENTS FOR THE SUPPLY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B1/00Frameworks, boards, panels, desks, casings; Details of substations or switching arrangements
    • H02B1/20Bus-bar or other wiring layouts, e.g. in cubicles, in switchyard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4/00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between two or more conductive members in direct contact, i.e. touching one another; Means for effecting or maintaining such contact; 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having two or more spaced connecting locations for conductors and using contact members penetrating insulation
    • H01R4/58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between two or more conductive members in direct contact, i.e. touching one another; Means for effecting or maintaining such contact; 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having two or more spaced connecting locations for conductors and using contact members penetrating insulation characterised by the form or material of the contacting members
    • H01R4/66Connections with the terrestrial mass, e.g. earth plate, earth pi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Elimination Of Static Electricity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접지대차에 관한 것으로서, 인입단자에 연결된 부스바가 외부로 노출되지 않도록 함으로써 인입시 충격파에 의한 기기 손상을 방지함과 함께 절연효과를 더욱 향상시키고, 또한 장기간 사용에도 접지슈가 접지판으로부터 접촉불량되지 않도록 된 것이다.
이를 위해 본 발명은, 구름운동가능하도록 하단에 복수개의 롤러(2)를 구비한 대차부(1)와, 상기 대차부의 앞쪽에 일체로 결합되어 차단기실(3)의 부하측 단자(4)에 접속가능하도록 인입단자(6)를 구비함과 함께 상기 인입단자(6)를 제외한 내부에는 절연 몰드(7)가 충진된 몰드 하우징부(5)와, 상기 인입단자(6)에 일단이 접속되어 몰드 하우징부(5)의 절연 몰드(7)를 통해 대차부(1) 하단까지 수직하게 연결된 부스바(8)와, 상기 부스바의 타단에 전기적으로 통전가능하게 연결되어 대차부(1)의 하단에서 상하로 유동가능하게 탄력적으로 설치된 봉상의 접지슈(9)와, 상기 접지슈의 하단과 항상 접촉된 상태를 유지하며 인가된 충전전류를 대지로 접지시키기 위한 접지판(10)으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접지대차{earthing truck}
본 발명은 접지대차에 관한 것으로서, 좀 더 상세히 기술하면 배전반 차단기실의 부하측 단자에 인입하여 상기 차단기실 내에 잔류하는 충전전류를 대지로 접지시켜 제거하는 접지대차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접지대차는 배전반의 부하측에 잔류하는 충전전류를 대지로 접지시켜 제거함으로써 부하측 기기의 수리 또는 점검시에 작업자가 상기 충전전류에 의해 안전사고를 당하지 않도록 하는 차단기용 접지기기이다.
만약 상기와 같은 접지대차로써 접지를 시키지 않은 상태에서 부하측 기기를 수리 또는 조작시에는 작업자가 전기적인 충격에 의해 감전사고를 당하는 중대한 과실을 초래할 수 있으므로 상기 부하측 충전전류를 제거하기 위해 이러한 접지대차가 필수적으로 이용되고 있다.
그럼, 여기서 이러한 접지대차의 종래 구성을 간단히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첨부된 도 1 내지 도 3에서, 하단에 구름운동이 가능하도록 복수개의 롤러(2)가 구비되어 차단기실(3) 내로 인입,출되는 대차부(1)와, 상기 대차부의 앞쪽에 고정되어 내부에는 차단기실(3)의 부하측 단자(4)에 인입가능하도록 3상의 인입단자(6)를 구비함과 함께 그 이외 부분에는 절연 몰드(7)가 충진된 몰드 하우징부(5)와, 상기 몰드 하우징부의 인입단자(6)로부터 대차부(1)의 내부 공간을 통해 대지쪽으로 연결된 부스바(8)와, 상기 부스바와 전기적으로 통전가능하게 상단이 볼트 결합된 환상의 접지슈(9)와, 상기 접지슈의 하단과 접촉된 상태를 유지하면서 상기 구성요소(인입단자, 부스바, 접지슈)를 통해 인가된 충전전류를 대지로 접지시키기 위한 접지판(10)과, 상기 대차부(1)의 후방에 구비되어 대차부가차단기실(3) 내로 인입,출될 수 있도록 인위적인 이동력을 부가하는 레버(11)로 구성된다.
이와 같은 구성요소들의 작용을 일 실시예에 따라 살펴보면, 공기차단기(VCB) 후단의 부하기기 내에 잔류하고 있는 충전전류를 제거하기 위해서는 먼저 대차부(1)를 차단기실(3) 내로 인입시켜야만 하는데, 이 때 작업자는 대차부(1)의 후방에 구비된 레버(11)를 손으로 잡고 상기 레버를 대차부(1)쪽으로 밀어 회동시킴에 따라 레버(11)의 지렛대 운동에 의해 대차부(1)가 전방쪽으로 인입되게 된다.
계속해서 상기 대차부(1)가 차단기실(3) 내로 인입하게 되면, 이 때 상기 대차부(1)의 전방에는 몰드 하우징부(5)가 고정 결합되어 있고, 상기 몰드 하우징부(5)의 전방에는 3상의 인입단자(6)가 설치되어 있음을 감안할 때, 작업자가 상기 대차부(1)를 차단기실(3)쪽으로 인입시킴에 따라 상기 몰드 하우징부(5)에 설치된 인입단자(6)가 각각 마주보는 부하측 단자(4)에 끼워져 접속된다.
따라서, 이 때에는 상기 부하측 단자(4)에 인입단자(6)가 각각 끼워져 접속됨에 따라 전기적으로 통전가능한 상태가 되는데, 이로 인해 진공차단기의 부하기기에 잔류하고 있던 충전전류가 상기 인입단자(6)를 통해 외부로 인가되어짐은 이해 가능하다.
계속해서 차단기실(3)의 부하측 단자(4)에 인입단자(6)가 접속됨에 따라 상기 인입단자(6)를 통해 인가된 충전전류가 다시 상기 인입단자(6)와 연결된 부스바(8)를 통해 대지쪽으로 인가되는데, 이 때 상기 부스바(8)의 끝단에는 환상의 접지슈(9)가 하방의 접지판(10)과 접촉된 상태로 구비되어 있으므로 결국 상기 인입단자(6)를 통해 인가된 충전전류가 부스바(8)와 접지슈(9)를 거쳐 접지판(10)으로 인가된다.
또한 상기 접지판(10)은 대지와 접지된 상태이므로 상기 접지판(10)으로 인가된 충전전류는 곧바로 대지에 접지되면서 부하기기로부터 제거되어지는 것이다.
그러나, 이러한 종래의 접지대차는 기본적으로 접지대차의 인입단자를 고정하는 몰드 하우징부의 측방으로 구멍을 뚫어 3상을 서로 연결하는 구조로 되어 있는데, 이로 인해 상기 부스바가 첨부된 도 2에서와 같이 정면에서 보았을 때 가운데의 일부가 외부에 노출된 구조를 갖게 됨을 알 수 있다.
그 결과, 상기 접지대차가 차단기실 내에 인입되면서 부하측 단자에 인입단자가 접속될 때 발생되는 충격파로 인해 기기가 손상되는 취약한 구조를 갖게 될 뿐만 아니라, 상기 부스바가 외부로 노출되어 있음에 따라 절연효과가 감소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상기 접지슈가 자체의 탄성으로 인해 접지판과 접촉된 상태를 유지하도록 된 구조로 됨을 감안할 때, 결국에는 상기 접지슈의 자체 탄성력이 감소됨에 따라 사용중 상기 접지슈가 접촉불량이 되는 경우가 발생되고, 이 때에는 상기 접지슈 및 접지판 간의 저항이 급격히 증가됨에 따라 상기 접지슈로 인가된 충전전류가 저항에 의해 완전히 접지되지 못하므로 작업중인 작업자가 안전사고를 당할 수 있는 또 하나의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한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안출한 것으로, 인입단자에 연결된 부스바가 외부로 노출되지 않도록 함으로써 인입시 충격파에 의한 기기 손상을 방지함과 함께 절연효과를 더욱 향상시키고, 또한 장기간 사용에도 접지슈가 접지판으로부터 접촉불량되지 않도록 된 접지대차를 제공하는 데에 그 목적이 있다.
도 1은 종래 접치대차의 전체 구성을 부분 절개하여 보인 측면도
도 2는 도 1의 정면도
도 3은 도 1의 A부분을 확대하여 보인 요부 확대도
도 4는 본 발명 접지대차의 전체 구성을 부분 절개하여 보인 측면도
도 5는 도 4의 배면도
도 6은 도 4의 B부분을 확대하여 보인 요부 확대도
도 7은 도 6의 I-I선 단면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대차부2 : 롤러
3 : 차단기실4 : 부하측 단자
5 : 몰드 하우징부6 : 인입단자
7 : 절연 몰드8 : 부스바
9 : 접지슈10: 접지판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르면, 구름운동가능하도록 하단에 복수개의 롤러를 구비한 대차부와, 상기 대차부의 앞쪽에 일체로 결합되어 차단기실의 부하측 단자에 접속가능하도록 인입단자를 구비함과 함께 상기 인입단자를 제외한 내부에는 절연 몰드가 충진된 몰드 하우징부와, 상기 인입단자에 일단이 접속되어 몰드 하우징부의 절연 몰드를 통해 대차부 하단까지 수직하게 연결된 부스바와, 상기 부스바의 타단에 전기적으로 통전가능하게 연결되어 대차부의 하단에서 상하로 유동가능하게 탄력적으로 설치된 봉상의 접지슈와, 상기 접지슈의 하단과 항상 접촉된 상태를 유지하며 인가된 충전전류를 대지로 접지시키기 위한 접지판으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접지대차가 제공된다.
이하 본 발명을 도 4 내지 도 7을 참고로 하여 더욱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첨부된 도 4는 본 발명 접지대차의 전체 구성을 부분 절개하여 보인 측면도이고, 도 5는 도 4의 배면도이며, 도 6은 도 4의 B부분을 확대하여 보인 요부 확대도이고, 도 7은 도 6의 I-I선 단면도로서, 본 발명의 구성요소 중 종래의 구성요소와 동일한 구성에 있어서는 그 설명을 생략하기로 하고, 다만 도면상에는 종래에서 부여한 번호를 그대로 부여하기로 한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장치의 요부 구성을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먼저, 도 4 또는 도 5를 참고하면, 본 발명 접지대차는 구름운동가능하도록 하단에 복수개의 롤러(2)를 구비한 대차부(1)와, 상기 대차부의 앞쪽에 일체로 결합되어 차단기실(3)의 부하측 단자(4)에 인입가능하도록 전방쪽에 3상의 인입단자(6)를 구비함과 함께 상기 인입단자를 제외한 내부에는 절연 몰드(7)가 충진된 몰드 하우징부(5)와, 상기 인입단자(6)에 일단이 연결되어 몰드 하우징부(5)의 절연 몰드(7)를 통해 대차부(1) 하단까지 수직하게 연결된 부스바(8)와, 상기 부스바의 타단에 전기적으로 통전가능하게 연결되어 대차부(1)의 하단에 상하 유동가능하도록 설치된 접지슈(9)와, 상기 접지슈의 하단에 접지슈(9)와 항상 탄력적으로 접촉된 상태를 유지하며 인가된 충전전류를 대지로 접지시키기 위한 접지판(10)으로 구성된다.
도 6에서, 상기 대차부(1)의 하단부에는 대차부의 내부공간을 상하로 분할하도록 수평하게 격벽(12)이 설치됨과 함께 상기 격벽에는 하방을 향하도록 별도의 고정 케이싱(13)이 볼트 결합되고, 상기 고정 케이싱(13)의 일측면에는 몰드 하우징부(5)를 통해 연결된 부스바(8)가 전기적으로 통전가능하게 볼트 결합되며, 상기 고정 케이싱(13)의 내부에는 일정 길이를 갖는 지지봉(14)의 일단이 볼트 결합되어짐에 따라 상기 고정 케이싱(13) 내부에 수직하게 고정된 상태이다.
또한 상기 지지봉(14)의 타단에는 접지슈(9)가 상하로 유동가능하도록 끼워짐과 함께 그 끝단은 외부로 돌출된 상태이고, 상기 고정 케이싱(13) 내 격벽의 일측에는 일정 길이로 된 션트(Shunt)(15)의 일단이 볼트 결합됨과 함께 상기 션트(15)의 타단이 접지슈(9)에 끼워져 전기적으로 통전가능한 상태로 결합되며, 상기 션트(15)와 고정 케이싱(13)의 사이 지지봉(14)에는 하방을 향해 탄성력을 부가하는 접압 스프링(16)이 끼워져 있으므로 상기 접지슈(9)와 접지판(10)이 항상 탄력적으로 접촉된 상태를 유지하게 된다.
또한 상기 대차부(1)의 하단부에는 후방을 향해 수평한 상태로 리드스크류(17)가 설치되고, 상기 리드스크류의 일단에는 대차부(1)가 차단기실(3) 내로 인입,출될 수 있도록 리드스크류(17)에 인위적인 회전력을 부가하는 인입,출용 핸들(18)이 더 구비된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작용을 설명하면, 먼저 작업자가 접지대차를 차단기실(3) 내로 인입시키고자 할 때에는 후방에 구비된 인입,출용 핸들(18)을 잡고 일방향으로 회전시킴에 따라 대차부(1)가 전방쪽으로 서서히 인입된다.
이에 따라 상기 대차부(1)가 차단기실(3) 내로 일정깊이만큼 인입된 상태에서는 그 앞쪽에 설치된 몰드 하우징부(5)의 인입단자(6)가 차단기실(3)의 부하측 단자(4)에 끼워져 접속되어지므로 상기 부하측 단자(4)로부터 인입단자(6)를 통해 전류가 통전가능한 상태가 되는데, 이 때에는 상기 부하측 단자(4)로부터 충전전류가 인입단자(6)로 인가됨과 함께 상기 인입단자(6)로부터 몰드 하우징부(5)를 통해 하방으로 연결된 부스바(8)를 거쳐 충전전류가 하방으로 인가되어진다.
계속해서 부스바(8)로 인가된 충전전류는 상기 부스바(8)가 대차부(1)의 하단 내부에 설치된 고정 케이싱(13) 일측면에 볼트 결합되어져 있음을 감안할 때, 이후 상기 충전전류는 고정 케이싱(13)으로 인가된다.
이 때, 상기 고정 케이싱(13) 내의 격벽(12)에는 션트(15)의 일단이 볼트 결합되어져 통전가능한 상태임을 감안할 때, 상기 고정 케이싱(13)으로 인가된 충전전류는 결국 상기 션트(15)를 통해 접지슈(9)쪽으로 인가되어짐은 이해 가능하다.
따라서, 션트(15)로 인가된 충전전류는 상기 션트(15)의 타단이 전기적으로 통전가능하도록 접지슈(9)의 상단에 결합되어 있으므로 결국 접지슈(9)로 인가된 충전전류는 상기 접지슈(9)를 통해 접지판(10)으로 인가된 다음, 대지로 접지되어 제거되는 것이다.
여기서, 상기 션트(15)는 그 타단이 접지슈(9)의 상단에 고정되어 있고, 상기 접지슈(9)가 수직방향으로 일정거리만큼 유동되도록 구성된 점을 감안할 때, 상기 접지슈(9)가 상하로 유동되더라도 이로 인해 끊어지지 않도록 충분한 유동성을 갖도록 함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접지슈(9)는 지지봉(14)의 하단에 끼워져 상하로 유동가능하도록 되고, 상기 접지슈(9)의 상방에는 접압 스프링(16)이 구비된 점을 감안할 때, 상기 접압 스프링(16)이 항상 접지슈(9)를 하방을 향해 탄력적으로 누르고 있는 상태이므로 결국 접지슈(9)로 인가된 충전전류는 상기 접지슈(9)의 하단과 접촉된 접지판(10)을 통해 대지로 접지됨은 이해 가능하다.
따라서, 상기 접지슈(9)는 항상 접지판(10)과 탄력적으로 접촉된 상태를 유지하므로 사용중 접촉불량이 되는 경우가 방지되고, 또한 작업간 대차부(1)에 약간의 흔들림이나 충격 등이 발생되더라도 상기 접지슈(9)가 상방 또는 하방으로 유동가능하므로 항상 접지판(10)과 충분히 접촉된 상태를 유지하게 된다.
본 발명 접지대차는 부스바가 몰드 하우징부 내에 완전히 포함되어 외부로 노출되지 않으므로 상기 접지대차를 차단기실 내로 인입시킬 때 충격파에 의한 기기의 손상을 방지하고, 또한 접지슈가 접압 스프링에 의해 항상 접지판과 탄력적으로 접촉된 상태를 유지하므로 상기 접지슈가 접촉불량됨에 따른 작업자의 위험부담을 해소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접지대차의 대차부가 리드스크류에 의해 인입,출이 이루어지므로 인입,출 중에 흔들림이나 충격이 발생되지 않으므로 기기의 동작 신뢰성이 확보될 뿐만 아니라, 작업자가 일정한 안전거리를 확보한 상태로 기기의 인입,출 조작이 가능하므로 작업간 발생될 수 있는 안전사고가 사전에 차단되므로 매우 효과적이라 하겠다.

Claims (3)

  1. 구름운동가능하도록 하단에 복수개의 롤러를 구비한 대차부와,
    상기 대차부의 앞쪽에 일체로 결합되어 차단기실의 부하측 단자에 접속가능하도록 인입단자를 구비함과 함께 상기 인입단자를 제외한 내부에는 절연 몰드가 충진된 몰드 하우징부와,
    상기 인입단자에 일단이 접속되어 몰드 하우징부의 절연 몰드를 통해 대차부 하단까지 수직하게 연결된 부스바와,
    상기 부스바의 타단에 전기적으로 통전가능하게 연결되어 대차부의 하단에서 상하로 유동가능하게 탄력적으로 설치된 봉상의 접지슈와,
    상기 접지슈의 하단과 항상 접촉된 상태를 유지하며 인가된 충전전류를 대지로 접지시키기 위한 접지판으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접지대차.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대차부의 하단 내부에는 수평하게 격벽이 설치됨과 함께 상기 격벽에는 하방을 향해 별도의 고정 케이싱이 설치되고, 상기 고정 케이싱의 일측면에는 부스바가 전기적으로 통전가능하게 접속되며, 상기 고정 케이싱 내 격벽의 일측에는 지지봉의 일단이 볼트 결합되어져 수직한 상태로 고정되고, 상기 지지봉의 타단에는 접지슈가 상하로 유동가능하도록 끼워짐과 함께 그 끝단이 외부로 돌출되며, 상기 고정 케이싱 내 격벽의 일측에는 일정 길이를 갖는 션트의 일단이 볼트 결합됨과함께 상기 션트의 타단이 접지슈의 상단에 전기적으로 통전가능하도록 결합되고, 상기 접지슈와 고정 케이싱의 사이 지지봉에는 접압 스프링이 더 구비됨으로써 상기 접압 스프링의 탄성력으로 인해 접지슈와 접지판이 항상 탄력적으로 접촉된 상태를 유지하도록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접지대차.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대차부의 하단에는 후방을 향해 수평한 상태로 리드스크류가 설치되고, 상기 리드스크류의 일단에는 대차부가 차단기실 내로 인입,출될 수 있도록 리드스크류에 인위적인 회전력을 부가하는 인입,출용 핸들이 더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접지대차.
KR10-2001-0047512A 2001-08-07 2001-08-07 접지대차 KR10039670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1-0047512A KR100396705B1 (ko) 2001-08-07 2001-08-07 접지대차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1-0047512A KR100396705B1 (ko) 2001-08-07 2001-08-07 접지대차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0013171A true KR20030013171A (ko) 2003-02-14
KR100396705B1 KR100396705B1 (ko) 2003-09-02

Family

ID=2771822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1-0047512A KR100396705B1 (ko) 2001-08-07 2001-08-07 접지대차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396705B1 (ko)

Cited B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17481B1 (ko) * 2005-12-15 2006-09-01 벽산엔지니어링주식회사 전력 배전 시의 전력 케이블 탭핑 방법
KR100617483B1 (ko) * 2005-12-15 2006-09-01 벽산엔지니어링주식회사 전력 배전 시의 전력 케이블 탭핑 장치
CN104051974A (zh) * 2014-05-29 2014-09-17 泰豪科技(深圳)电力技术有限公司 中置式开关柜的接地车及接地方法
CN105006766A (zh) * 2015-07-20 2015-10-28 安徽灿邦电气有限公司 用于手车式开关柜的接地装置
KR101873801B1 (ko) * 2017-01-31 2018-08-02 엘에스산전 주식회사 접지 대차의 접지 구조
CN110994431A (zh) * 2019-12-13 2020-04-10 徐杰 一种可临时接地的低压开关柜
CN113805001A (zh) * 2021-09-09 2021-12-17 湖南电科院检测集团有限公司 一种具有保护措施的高压产品试验装置
KR102394195B1 (ko) * 2020-11-17 2022-05-09 엘에스일렉트릭(주) 회로차단기용 접지 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328708B1 (ko) 2021-04-13 2021-11-22 선도전기주식회사 수배전반의 내부 설비를 위한 대차 구조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2154051A (en) * 1976-06-18 1977-12-21 Hitachi Ltd Enclosed switchboard
JPH04275005A (ja) * 1991-02-28 1992-09-30 Fuji Electric Co Ltd 閉鎖配電盤の接地回路開閉装置
JPH07241007A (ja) * 1994-02-25 1995-09-12 Toshiba Corp 閉鎖配電盤用断路装置

Cited By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17481B1 (ko) * 2005-12-15 2006-09-01 벽산엔지니어링주식회사 전력 배전 시의 전력 케이블 탭핑 방법
KR100617483B1 (ko) * 2005-12-15 2006-09-01 벽산엔지니어링주식회사 전력 배전 시의 전력 케이블 탭핑 장치
CN104051974A (zh) * 2014-05-29 2014-09-17 泰豪科技(深圳)电力技术有限公司 中置式开关柜的接地车及接地方法
CN104051974B (zh) * 2014-05-29 2017-02-08 泰豪科技(深圳)电力技术有限公司 中置式开关柜的接地车及接地方法
CN105006766A (zh) * 2015-07-20 2015-10-28 安徽灿邦电气有限公司 用于手车式开关柜的接地装置
CN105006766B (zh) * 2015-07-20 2018-05-11 安徽灿邦电气有限公司 用于手车式开关柜的接地装置
KR101873801B1 (ko) * 2017-01-31 2018-08-02 엘에스산전 주식회사 접지 대차의 접지 구조
CN110994431A (zh) * 2019-12-13 2020-04-10 徐杰 一种可临时接地的低压开关柜
KR102394195B1 (ko) * 2020-11-17 2022-05-09 엘에스일렉트릭(주) 회로차단기용 접지 장치
CN113805001A (zh) * 2021-09-09 2021-12-17 湖南电科院检测集团有限公司 一种具有保护措施的高压产品试验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396705B1 (ko) 2003-09-0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908335B2 (en) Arc extinguishing stab housing and method
RU2382459C1 (ru) Устройство для контроля плавного пуска и остановки трехфазных электродвигателей (софтстартер)
US7122758B2 (en) Insulated earthing switch for gas-insulated switchgear assemblies
JP5364118B2 (ja) 引出形回路遮断器及び配電盤
KR100396705B1 (ko) 접지대차
KR100722251B1 (ko) 지상변압기용 엘보 접속재 분리장치
US4482936A (en) Drawer type enclosed switchboard with automatic grounding device
JP5026537B2 (ja) スイッチギヤ
TWI550672B (zh) 真空斷路器
HU189964B (en) Metal-clad gas-insulation switching apparatus
JPS6048961B2 (ja) 開閉装置
KR20170003305U (ko) 아크 제거기
EP2670008B1 (en) Vacuum insulation switchgear and method for replacing mold switch
EP3217493B1 (en) Withdrawable arc eliminator with an interlock device
KR101829638B1 (ko) 아크 제거기
EP3883074A1 (en) An electric switchgear for lv and mv applications
KR102293745B1 (ko) 에폭시 지지 애자를 적용한 초고속 접지스위치 인출형 대차
CN111244812A (zh) 一种用于绝缘架空地线的便携接地装置
GB1229834A (ko)
KR200484888Y1 (ko) 진공전자접촉기의 퓨즈 케이스와 케이스 커버
JP4876469B2 (ja) 配電盤
JP6887405B2 (ja) 転流式直流遮断器盤
US2374702A (en) Electric switchgear
US2374703A (en) Electric switchgear
KR102289672B1 (ko) 친환경 가스의 복합절연모듈을 구비한 친환경 수배전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515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620

Year of fee payment: 12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702

Year of fee payment: 13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701

Year of fee payment: 1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703

Year of fee payment: 1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702

Year of fee payment: 1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701

Year of fee payment: 1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