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0012785A - 에이티엠 교환기 및 이에 내장된 에이티엠계층/물리계층다중 인터페이스 모듈 - Google Patents

에이티엠 교환기 및 이에 내장된 에이티엠계층/물리계층다중 인터페이스 모듈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0012785A
KR20030012785A KR1020010088024A KR20010088024A KR20030012785A KR 20030012785 A KR20030012785 A KR 20030012785A KR 1020010088024 A KR1020010088024 A KR 1020010088024A KR 20010088024 A KR20010088024 A KR 20010088024A KR 20030012785 A KR20030012785 A KR 2003001278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hysical layer
layer processing
atm
cell
uni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1008802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452592B1 (ko
Inventor
엄재욱
곽기운
김종천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ublication of KR2003001278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001278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45259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452592B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12/00Data switching networks
    • H04L12/28Data switching networks characterised by path configuration, e.g. LAN [Local Area Networks] or WAN [Wide Area Network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49/00Packet switching elements
    • H04L49/30Peripheral units, e.g. input or output ports
    • H04L49/3081ATM peripheral units, e.g. policing, insertion or extrac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QSELECTING
    • H04Q11/00Selecting arrangements for multiplex systems
    • H04Q11/04Selecting arrangements for multiplex systems for time-division multiplexing
    • H04Q11/0428Integrated services digital network, i.e. systems for transmission of different types of digitised signals, e.g. speech, data, telecentral, television signals
    • H04Q11/0478Provisions for broadband connection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Data Exchanges In Wide-Area Network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ATM 교환기 및 이에 내장된 ATM계층/물리계층 다중 인터페이스 모듈에 관한 것으로, 본 발명에서는 여러 물리계층 처리보드들로부터 출력되는 셀들 또는 ATM계층 처리보드로부터 출력되는 셀을 사전에 선택적으로 다중 처리할 수 있는 일련의 ATM계층/물리계층 다중 인터페이스 모듈을 구비하고, 이를 통해, ATM계층 처리보드가 여러 물리계층 처리보드들로부터 출력되는 셀들을 선택적으로 전달받을 수 있도록 유도함과 아울러, 여러 물리계층 처리보드들이 ATM계층 처리보드로부터 출력되는 셀을 동등하게 전달받을 수 있도록 유도함으로써, 최종적으로, 해당 ATM계층 처리보드가 단일 대응형 인터페이스 스펙을 위배하지 않으면서도, 일련의 통신 사이클 내에서, 여러 개의 예비 물리계층 처리보드들을 복합적으로 수용하거나 서로 다른 여러 개의 물리계층 처리보드들을 개별적으로 수용할 수 있도록 유도할 수 있다. 이 경우, ATM계층 처리보드는 일련의 통신 사이클 내에서, 여러 개의 예비 물리계층 처리보드들을 복합적으로 수용할 수 있기 때문에, 임의의 특정 물리계층 처리보드에 이상이 발생하더라도, 다른 예비 물리계층 처리보드를 이용하여, 이 상황을 탄력적으로 극복할 수 있다. 이처럼, 본 발명의 실시에 의해 ATM계층 처리보드의 이상 대처능력이 대폭 향상되는 경우, 예측하지 못한 통신두절현상은 미리 억제될 수 있으며, 결국, 임의의 가입자는 자신이 원하는 일련의 통신서비스를 별다른 문제점 없이, 원활하게 향유할 수 있게 된다.
또한, 본 발명에서는 네트웍의 구성상 여러 개의 예비 물리계층 처리보드를운용할 수 없는 라인 또는 여러 개의 예비 물리계층 처리보드를 운용할 필요없는 라인을 수용할 때에는 여러 개의 예비 물리계층 처리보드를 수용하는 대신에 서로 다른 여러 개의 물리계층 처리보드들을 개별적으로 수용할 수 있기 때문에, 여러 개의 예비 물리계층 처리보드들을 수용하기 위해 구비된 여러 개의 슬롯 중에서 사용되지 않는 나머지 슬롯이 다른 물리계층 처리를 수행할 수 있어 시스템 자원의 효율적 운용이 가능해 지며, 나아가, 여러 개의 예비 물리계층 처리보드들을 복합적으로 수용하거나, 서로 다른 여러 개의 물리계층 처리보드들을 개별적으로 수용할 수 있도록 유도함으로써, 운용자에게 한 차원 높은 망 구성상의 자유도를 제공하고, 시스템의 가치를 극대화할 수 있게 된다.

Description

에이티엠 교환기 및 이에 내장된 에이티엠계층/물리계층 다중 인터페이스 모듈{ATM switching system and ATM-layer/Physical-layer multi interface module included the same}
본 발명은 에이티엠(ATM:Asynchronous Transfer Mode; 이하, "ATM"이라 칭함) 교환기에 관한 것으로, 좀더 상세하게는 ATM계층 처리보드 및 물리계층 처리보드 사이에, 여러 물리계층 처리보드들로부터 출력되는 셀들을 미리 선택적으로 다중 처리할 수 있는 일련의 사전 다중처리 인터페이스 모듈을 구비하고, 이를 통해, ATM계층 처리보드가 여러 물리계층 처리보드들로부터 출력되는 셀들 중, 특정 셀을 선택적으로 전달받을 수 있도록 함으로써, 해당 ATM계층 처리보드가 단일 대응형 인터페이스 스펙을 유지하면서도, 일련의 통신 사이클 내에서, 운용자의 명령에 의하여 여러 개의 예비 물리계층 처리보드들을 복합적으로 수용하거나, 서로 다른 여러 개의 물리계층 처리보드들을 수용할 수 있도록 유도할 수 있는 ATM 교환기에 관한 것이다. 더욱이, 본 발명은 이러한 ATM 교환기에 내장된 ATM계층/물리계층 다중 인터페이스 모듈에 관한 것이다.
통상, ATM 교환기의 ATM계층 및 물리계층 사이에는 예컨대, 한국특허공개공보 제 1999-5969 호 "비동기 전송모드 시스템의 에이티엠 계층 디바이스와 물리 계층 디바이스의 인터페이스 장치" 등에 제시된 바와 같이, 두 계층 사이를 인터페이스 하는 일련의 "인터페이스 모듈"이 개재되는 것이 일반적이다.
최근, 상술한 "인터페이스 모듈"과 관련한 기술이 급진전하면서, 한국특허공개공보 제 2000-12838 호 "에이티엠 교환기에서 에이티엠 계층과 물리계층간의 유티오피아이에이-2 인터페이스 장치"에 제시된 바와 같은 이른바, "유토피아(UTOPIA:Universal Test and Operation PHY interface for ATM) 인터페이스"가 개발되어, ATM계층 및 물리계층 사이의 표준 인터페이스로써, 널리 보급되고 있다.
이러한 종래의 유토피아 인터페이스는 기본적으로, 송·수신자, 예컨대, ATM계층 처리보드 및 물리계층 처리보드 사이의 일대일 통신을 기술적인 스펙(Technical specification)으로 하여 구현된 단일 대응형 모듈이기 때문에, 도 1a 및 도 1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종래의 유토피아 인터페이스 체계 하에서, 물리계층 처리보드(2)로부터 출력되는 셀들은 유토피아 송·수신 버스라인(5,6)을 거쳐 ATM계층 처리보드(1)로 일대일 전달·처리되는 루트(Route)를 형성하게 되며, 역으로, ATM계층 처리보드(1)로부터 출력되는 일련의 셀들은 유토피아 송·수신 버스라인(5,6)을 거쳐 물리계층 처리보드(2)로 일대일 전송·처리되는 루트를 형성하게 된다. 이 경우, 실질적인 물리계층 처리과정을 전담하는 종래의 물리계층 처리 디바이스(3)는 도 1a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나의 물리계층 처리보드(2) 내에 하나가 배치될 수도 있으며, 도 1b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나의 물리계층 처리보드(2) 내에 여러 개가 한꺼번에 배치될 수도 있다.
이때, 가입자 단말(4)로부터 출력되는 일련의 셀들은 예컨대, 광케이블, 동축케이블 등과 같은 케이블 라인(7)을 거쳐 물리계층 처리보드로 전송된다.
앞서 언급한 바와 같이, 종래의 유토피아 인터페이스는 ATM계층 처리보드(1) 및 물리계층 처리보드(2) 사이의 일대일 통신을 기술적인 스펙으로 하여 구현된 단일 대응형 모듈이기 때문에, 종래의 유토피아 인터페이스 체계 하에서, 하나의 ATM계층 처리보드(1)는 반드시, 하나의 물리계층 처리보드(2)로부터 전송된 셀들만을 독립적으로 처리할 수밖에 없으며, 결국, 해당 ATM계층 처리보드(1)는 일련의 통신 사이클 내에서, 단지, 하나의 물리계층 처리보드(2)만을 수용할 수밖에 없는 문제점을 어쩔 수 없이 감수할 수밖에 없다.
이와 같이, ATM계층 처리보드(1)가 단지, 하나의 물리계층 처리보드(2)로부터 전송된 셀들만을 처리할 수밖에 없는 경우, 해당 ATM계층 처리보드(1)는 예컨대, 자신과 대응중인 물리계층 처리보드(2)에 이상이 발생하여, 가입자 단말(4)과의 통신상태가 단절되는 중대한 문제점이 야기되더라도, 이에 탄력적으로 대처할 수 없게 되며, 이에 따라, 임의의 가입자는 자신이 원하는 일련의 통신서비스를 원활하게 향유할 수 없게 된다.
이러한 문제점이 여러 번 반복되는 경우, 유토피아 인터페이스를 채용한 ATM 교환기는 일정 수준 이상의 통신품질을 유지할 수 없게 되며, 이로 인하여, 전체적인 ATM 교환기의 신뢰성이 대폭 저하되는 심각한 문제점이 야기된다.
이러한 문제점들은 유토피아 인터페이스를 별도의 다른 인터페이스로 변경하지 않는 한, 지속적으로 발생할 수밖에 없으며, 이 때문에, 종래에서는 유토피아 인터페이스가 다른 인터페이스에서 제공할 수 없는 여러 장점들을 폭 넓게 제공한다는 사실을 깊이 인식하면서도, 이를 ATM 교환기에 손쉽게 채용하지 못하고 있는 실정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ATM계층 처리보드 및 물리계층 처리보드 사이에, 여러 물리계층 처리보드들로부터 출력되는 셀들을 미리 선택적으로 다중 처리할 수 있는 일련의 사전 다중처리 인터페이스 모듈을 구비하고, 이를 통해, ATM계층 처리보드가 여러 물리계층 처리보드들로부터 출력되는 셀들을 선택적으로 전달받을 수 있도록 함으로써, 해당 ATM계층 처리보드가 단일 대응형 인터페이스 스펙을 유지하면서도, 일련의 통신 사이클 내에서, 운용자의 명령에 의해 여러 개의 예비 물리계층 처리보드들을 복합적으로 수용하거나, 서로 다른 여러 개의 물리계층 처리보드들을 개별적으로 수용할 수 있도록 유도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ATM계층 처리보드가 일련의 통신 사이클 내에서, 여러 개의 예비 물리계층 처리보드들을 복합적으로 수용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해당 ATM계층 처리보드가 임의의 특정 물리계층 처리보드에 이상이 발생하더라도 이를 탄력적으로 극복할 수 있도록 하는데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네트웍의 구성상 여러 개의 예비 물리계층 처리보드를 운용할 수 없는 라인 또는 여러 개의 예비 물리계층 처리보드를 운용할 필요없는 라인을 수용할 때에는 여러 개의 예비 물리계층 처리보드를 수용하는 대신에 서로 다른 여러 개의 물리계층 처리보드들을 개별적으로 수용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여러 개의 예비 물리계층 처리보드들을 수용하기 위해 구비된 여러 개의 슬롯 중에서 사용되지 않는 나머지 슬롯이 낭비되지 않고 다른 물리계층 처리를 수행하여 시스템 자원의 효율적 운용이 가능하게 하는데 다른 목적이 있다.
나아가,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여러 개의 예비 물리계층 처리보드들을 복합적으로 수용하거나, 서로 다른 여러 개의 물리계층 처리보드들을 개별적으로 수용할 수 있도록 유도함으로써, 운용자에게 한 차원 높은 망 구성상의 자유도를 제공하고, 시스템의 가치를 극대화할 수 있도록 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ATM계층 처리보드의 이상 대처능력을 대폭 향상시켜, 예측하지 못한 통신두절현상을 미리 방지하고, 이를 통해, 임의의 가입자가 자신이 원하는 일련의 통신서비스를 별다른 문제점 없이, 원활하게 향유할 수 있도록 유도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ATM계층 처리보드 및 물리계층 처리보드 사이의 통신두절 차단을 통해, ATM 교환기의 통신품질을 일정 수준 이상으로 향상시키고, 이를 통해, 전체적인 ATM 교환기의 신뢰성을 대폭 향상시키는데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여러 물리계층 처리보드들로부터 출력되는 셀의 사전 다중처리를 통해, 유토피아 인터페이스의 단점을 보강함으로써, ATM 교환기가 별다른 문제점 없이, 유토피아 인터페이스를 ATM계층/물리계층의 인터페이스로 손쉽게 채용할 수 있도록 유도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들은 다음의 상세한 설명과 첨부된 도면으로부터 보다 명확해질 것이다.
도 1a 및 도 1b는 종래의 기술에 따른 ATM 교환기에 내장된 ATM계층 처리보드 및 물리계층 처리보드 사이의 신호연결관계를 개념적으로 도시한 예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ATM 교환기에 내장된 ATM계층 처리보드 및 물리계층 처리보드 사이의 신호연결관계를 개념적으로 도시한 예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ATM계층/물리계층 다중 인터페이스 모듈의 다중 물리계층 정합부를 개념적으로 도시한 예시도.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ATM 교환기에 내장된 ATM계층 처리보드 및 물리계층 처리보드 사이의 신호연결관계를 개념적으로 도시한 예시도.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ATM 교환기에 내장된 ATM계층 처리보드 및 물리계층 처리보드 사이의 신호연결관계를 개념적으로 도시한 예시도.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ATM계층/물리계층 다중 인터페이스 모듈의 다중 물리계층 정합부를 개념적으로 도시한 예시도.
도 7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ATM계층/물리계층 다중 인터페이스 모듈을 개념적으로 도시한 예시도.
도 8은 도 7에 있어, 다중 물리계층 정합부를 개념적으로 도시한 예시도.
도 9는 도 8에 있어, 수신셀 경로제어부를 개념적으로 도시한 예시도.
도 10은 도 8에 있어, 송신셀 경로제어부를 개념적으로 도시한 예시도.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특징은, 임의의 가입자 단말과 신호연결 되며, 이 가입자 단말로부터 출력되는 셀을 수집·정리하여 각각 독립적으로 물리계층 처리하는 다수개의 물리계층 처리보드들과, 앞의 물리계층 처리보드들로부터 출력되는 셀들을 일대일 전송 받아, ATM계층 처리하는 ATM계층 처리보드와, 상술한 물리계층 처리보드들 및 ATM계층 처리보드 사이에 개재되며, 물리계층 처리보드들과 다대일 대응되고, 각 물리계층 처리보드들로부터 일련의 물리계층 처리완료 셀들 및 동작상태 확인 시그널을 일괄 전송 받은 후, 앞의 동작상태 확인 시그널에 따라, 물리계층 처리보드들 중, 최적의 상태를 유지하는 최적 물리계층 처리보드를 선별하고, 해당 선별 결과에 따라, 최적 물리계층 처리보드로부터 전송된 최적 물리계층 처리완료 셀을 선택하여, 상술한 ATM계층 처리보드로 일대일 전송하는 ATM계층/물리계층 다중 인터페이스 모듈의 조합으로 이루어지는 ATM 교환기를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다른 특징은, 일련의 ATM계층 처리 디바이스를 구비한 ATM 처리보드 및 일련의 물리계층 처리 디바이스를 개별적으로 구비한 다수의 물리계층 처리보드들 사이를 인터페이스하며, 상기 각 물리계층 처리 디바이스들로부터 각 물리계층 처리보드들의 동작상태를 확인하기 위한 일련의 동작상태 확인 시그널을 전송받은 후, 상기 물리계층 처리보드들 중, 최적의 상태를 유지하는 최적 물리계층 처리보드를 선별하는 다중 물리계층 보드 선택부와, 상기 다중 물리계층 보드 선택부와 연동되며, 상기 ATM 계층 처리 디바이스와 일대일 대응되고, 상기 각 물리계층 처리 디바이스들로부터 일련의 물리계층 처리완료 셀들을 순차적으로 전송 받은 후, 상기 다중 물리계층 보드 선택부로부터 전송되는 선별 결과 시그널에 따라, 최적 물리계층 처리완료 셀을 선택하고, 선택 완료된 상기 최적 물리계층 처리완료 셀을 상기 ATM계층 처리보드로 일대일 전송하는 다중 물리계층 정합부를 포함하는 것을 에이티엠 교환기의 에이티엠계층/물리계층 다중 인터페이스 모듈을 제공하는데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또 다른 특징은, 운용자 터미널과 연동하여 운용자의 물리계층 처리보드 운용 명령을 받아들여 전달하는 운용자 정합부와, 일련의 ATM계층 처리 디바이스를 구비한 ATM 처리보드 및 일련의 물리계층 처리 디바이스를 개별적으로 구비한 다수의 물리계층 처리보드들 사이를 인터페이스하며, 상기 운용자의 물리계층 처리보드 운용 명령에 따라 상기 각 물리계층 처리 디바이스들로부터 각 물리계층 처리보드들의 동작상태를 확인하기 위한 일련의 동작상태 확인 시그널을 전송 받은 후, 상기 물리계층 처리보드들 중에서 최적의 상태를 유지하는 최적 물리계층 처리보드를 선별하거나, 상기 물리계층 처리보드들의 동작상태를 체크하여 그 결과를 상기 운용자 정합부를 통해 운용자 측에 보고하는 다중 물리계층 보드 선택부와, 상기 운용자 정합부 및 다중 물리계층 보드 선택부와 연동되며, 상기 ATM 계층 처리 디바이스와 상기 각 물리계층 처리 디바이스들 사이에서 상기 운용자 정합부를 통해 전달되는 물리계층 처리보드 운용 명령에 따라 여러 개의 예비 물리계층 처리보드를 정합하거나, 서로 다른 여러 개의 물리계층 처리보드를 정합하여 물리계층 처리완료 셀 또는 ATM계층 처리완료 셀을 정합해 주는 다중 물리계층 정합부를 포함하는 에이티엠 교환기의 에이티엠계층/물리계층 다중 인터페이스 모듈을 제공하는데 있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ATM 교환기 및 이에 내장된 ATM계층/물리계층 다중 인터페이스 장치를 좀더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ATM 교환기는 크게, 임의의 가입자 단말(4)과 신호연결 되며, 이 가입자 단말(4)로부터 출력되는 셀을 수집·정리하여 각각 독립적으로 물리계층 처리하는 다수개의 물리계층 처리보드들(201,202)과, 앞의 물리계층 처리보드들(201,202)로부터 출력되는 셀들을 일대일 전송 받아, ATM계층 처리하는 ATM계층 처리보드(100)와, 그리고, 이 물리계층 처리보드들(201,202) 및 ATM계층 처리보드(100) 사이를 인터페이스 하는 ATM계층/물리계층 다중 인터페이스 모듈(300)의 조합으로 이루어진다. 이 경우, 가입자 단말(4)로부터 출력되는 일련의 셀들은 예컨대, 광케이블, 동축케이블 등과 같은 케이블 라인(7)을 거쳐 각각의 물리계층 처리보드들(201,202)로 전송된다.
이때,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각각의 물리계층 처리보드들(201,202), 예컨대, 물리계층 처리보드 A(201), 물리계층 처리보드 B(202)에는 일련의 물리계층 처리과정을 전담하는 물리계층 처리 디바이스들(20,30)이 개별적으로 구비된다.
여기서, 각 물리계층 처리 디바이스들(20,30)은 유토피아 슬레이브 수신부(22,32: USR part: UTOPIA Slave Reception part; 이하, "USR 부"라 칭함), 유토피아 슬레이브 송신부(23,33: UST part: UTOPIA Slave Transmission part; 이하, "UST 부"라 칭함), 물리계층 처리부(21,31) 등의 조합으로 이루어진다. 이 경우, 각 물리계층 처리부(21,31)는 가입자 단말(4)과 인터페이스 한 상태에서, 예컨대, "가입자와 약속된 물리계층 정합, 셀 추출‥‥" 등과 같은 물리계층에서 필수적으로 수행하여야 할 고유의 기능을 전담·처리하는 역할을 수행하며, 각 USR 부(22,32)는 각 물리계층 처리부(21,31)에서 물리계층 처리·완료된 물리계층 처리완료 셀을 수신한 후, 이를 외부, 예컨대, 앞의 ATM계층/물리계층 다중 인터페이스 모듈(300)로 송신하는 역할을 수행하고, 각 UST 부(23,33)는 ATM계층/물리계층 다중 인터페이스 모듈(300)로부터 특정 셀, 예컨대, ATM계층 처리완료 셀을 수신한 후, 이를 앞의 각 물리계층 처리부(21,31)로 송신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이때, ATM계층 처리보드(100)에도, 앞의 물리계층 처리 디바이스들(20,30)과 유사한 구조를 갖는 ATM계층 처리 디바이스(10)가 구비되는데, 이 경우, ATM계층 처리 디바이스(10)는 유토피아 마스터 수신부(12: UTOPIA Master Reception part; 이하, "UMR 부"라 칭함), 유토피아 마스터 송신부(13: UTOPIA Master Transmission part; 이하, "UMT 부"라 칭함), ATM계층 처리부(11) 등의 조합으로 이루어진다.
여기서, ATM계층 처리부(11)는 예컨대, "셀 헤더 변환, 가입자 파라메타 감시‥‥" 등과 같은 ATM계층에서 필수적으로 수행하여야 할 고유의 기능을 전담·처리하는 역할을 수행하며, UMT 부(13)는 ATM계층 처리부(11)에서 ATM계층 처리·완료된 ATM계층 처리완료 셀을 수신한 후, 이를 외부, 예컨대, 앞의 ATM계층/물리계층 다중 인터페이스 모듈(300)로 송신하는 역할을 수행하고, UMR 부(12)는 ATM계층/물리계층 다중 인터페이스 모듈(300)로부터 특정 셀, 예컨대, 물리계층 처리완료 셀을 수신한 후, 이를 앞의 ATM계층 처리부(11)로 송신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이때,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요지를 이루는 ATM계층/물리계층 인터페이스 모듈(300)은 앞의 ATM계층 처리보드(100)와 일대일 대응되는 구조를 이룸과 아울러, 앞의 물리계층 처리보드들(201,202)과는 다대일 대응되는 구조를 이룬다.
이 상태에서, 본 발명의 ATM계층/물리계층 인터페이스 모듈(300)은 일례로, 각 물리계층 처리보드들(201,202), 예컨대, 물리계층 처리보드 A(201), 물리계층 처리보드 B(202) 등으로부터 일련의 물리계층 처리완료 셀들 및 동작상태 확인 시그널을 일괄 전송 받은 후, 해당 동작상태 확인 시그널에 따라, 물리계층 처리보드 A(201), 물리계층 처리보드 B(202) 중, 최적의 상태를 유지하는 최적 물리계층 처리보드를 선별하고, 해당 선별 결과에 따라, 최적 물리계층 처리보드로부터 전송된 최적 물리계층 처리완료 셀을 선택하여, 이를 상술한 ATM계층 처리보드(100)로 일대일 전송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또한, 본 발명의 ATM계층/물리계층 인터페이스 모듈(300)은 다른 예로, ATM계층 처리보드(100)로부터 일련의 ATM계층 처리완료 셀을 일대일 전송 받은 후, 이 ATM계층 처리완료 셀을 각 물리계층 처리보드들(201,202), 예컨대, 물리계층 처리보드 A(201), 물리계층 처리보드 B(202) 등으로 동등하게 전송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여기서,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ATM계층/물리계층 인터페이스 모듈(300)은 다중 물리계층 보드 선택부(330)와, 이 다중 물리계층 보드 선택부(330)의 동작과 연동되는 다중 물리계층 정합부(310)의 조합으로 이루어진다.
이 경우, 앞의 다중 물리계층 보드 선택부(330)는 앞의 물리계층 처리보드 A(201), 물리계층 처리보드 B(202) 등에 배치된 각 물리계층 처리 디바이스들(20,30)로부터 각 물리계층 처리보드들(201,202)의 동작상태를 확인하기 위한 일련의 동작상태 확인 시그널을 일괄적으로 전송 받은 후, 물리계층 처리보드 A(201), 물리계층 처리보드 B(202) 중, 최적의 상태를 유지하는 최적 물리계층 처리보드를 선별하는 역할을 전담한다.
이러한 역할을 전담하기 위하여, 다중 물리계층 보드 선택부(330)는 예컨대, 각 물리계층 처리 디바이스들(20,30)의 물리계층 처리부(21,31)와 시그널 버스라인(405,406)을 통해 연결되며, 이 상태에서, 각 물리계층 처리부(21,31)로부터 물리계층 처리보드 A(201), 물리계층 처리보드 B(202) 등의 동작상태를 확인하기 위한 일련의 동작상태 확인 시그널을 일괄적으로 전송 받는다.
또한, 다중 물리계층 정합부(310)는 앞의 물리계층 처리보드 A(201), 물리계층 처리보드 B(202) 등에 배치된 각 물리계층 처리 디바이스들(20,30)로부터 일련의 물리계층 처리완료 셀들을 순차적으로 전송 받은 후, 앞의 다중 물리계층 보드선택부(330)로부터 전송되는 선별 결과 시그널에 따라, 최적 물리계층 처리완료 셀을 선택하고, 선택 완료된 최적 물리계층 처리완료 셀을 ATM계층 처리보드(100)로 일대일 전송하는 역할을 전담한다.
이와 함께, 다중 물리계층 정합부(310)는 ATM계층 처리보드(100)에 배치된 ATM계층 처리 디바이스(10)로부터 일련의 ATM계층 처리완료 셀을 일대일 전송 받은 후, 이 ATM계층 처리완료 셀을 앞의 물리계층 처리보드 A(201), 물리계층 처리보드 B(202) 등으로 동등하게 전송하는 역할을 아울러 전담한다.
이러한 각각의 역할을 전담하기 위하여, 다중 물리계층 정합부(310)는 각 물리계층 처리 디바이스들(20,30)의 USR 부(22,32) 및 UST 부(23,33)와 유토피아 수신 버스라인(401,403) 및 유토피아 송신 버스라인(402,404)을 통해 연결되는 구조를 이루며, 또한, ATM계층 처리 디바이스(10)의 UMR 부(12) 및 UMT 부(13)와 유토피아 송·수신 버스라인(5,6)을 통해 연결되는 구조를 이룬다. 이 경우, ATM계층 처리 디바이스(10)는 다중 물리계층 정합부(310)와 단일 대응형 인터페이스 스펙을 유지한다.
이때,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다중 물리계층 정합부(310)는 ATM계층방향 정합블록(311) 및 물리계층방향 정합블록(321)이 조합된 구성을 이룬다. 이 경우, ATM계층방향 정합블록(311)은 각 물리계층 처리 디바이스들(20,30)의 USR 부(22,32)로부터 송신되는 물리계층 처리완료 셀들을 ATM계층 처리 디바이스(10)의 UMR 부(12)로 송신하는 역할을 전담하며, 물리계층방향 정합블록(321)은 ATM계층 처리 디바이스(10)의 UMT 부(13)로부터 송신되는 ATM계층처리완료 셀을 물리계층 처리 디바이스들(20,30)의 UST 부(23,33)로 전송하는 역할을 전담한다.
여기서,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다중 물리계층 정합부(310)의 ATM계층방향 정합블록(311)은 예컨대, 제 1·제 2 유토피아 마스터 수신 인터페이스부(316,317: UTOPIA Master Reception interface part; 이하, "UMR 인터페이스부"라 칭함), 제 1·제 2 수신셀 선입선출부(314,315), 셀 선택부(313), 유토피아 슬레이브 수신 인터페이스부(312: UTOPIA Slave Reception interface part; 이하, "USR 인터페이스부"라 칭함) 등의 조합으로 이루어진다.
이때, 제 1·제 2 UMR 인터페이스부(316,317)는 물리계층 처리보드 A(201), 물리계층 처리보드 B(202) 등에 개별적으로 소속된 각 물리계층 처리 디바이스들(20,30)과 인터페이스한 상태에서, 각 물리계층 처리 디바이스들(20,30)의 USR 부(22,32)로부터 전송되는 물리계층 처리 완료 셀들을 수신하는 역할을 수행하며, 제 1·제 2 수신셀 선입선출부(314,315)는 앞의 제 1·제 2 UMR 인터페이스부들(316,317)과 일련의 신호연결관계를 형성한 상태에서, 이 제 1·제 2 UMR 인터페이스부들(316,317)을 경유하여 전달되는 앞의 물리계층 처리 완료 셀들을 입력순서에 따라 일시 저장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또한, 셀 선택부(313)는 앞의 다중 물리계층 보드 선택부(330)와 연동됨과 아울러, 제 1·제 2 수신셀 선입선출부(314,315)와 일련의 신호연결관계를 형성한 상태에서, 다중 물리계층 보드 선택부(330)로부터 전달되는 선별 결과 시그널에 따라, 제 1·제 2 수신셀 선입선출부(314,315)를 경유하여 전달되는 물리계층 처리완료 셀들 중, 최적 물리계층 처리완료 셀을 선택하고, 선택 완료된 최적 물리계층 처리완료 셀을 출력하는 역할을 수행하며, USR 인터페이스부(312)는 상술한 ATM계층 처리 디바이스(10)와 일대일 인터페이스함과 아울러, 셀 선택부(313)와 일련의 신호연결관계를 형성한 상태에서, 앞의 셀 선택부(313)를 경유하여 선택적으로 전달되는 최적 물리계층 처리 완료 셀을 ATM계층 처리 디바이스(10)의 UMR 부(12)로 일대일 전송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한편,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다중 물리계층 정합부(310)의 물리계층방향 정합블록(321)은 예컨대, 유토피아 슬레이브 송신 인터페이스부(322: UTOPIA Slave Transmission interface part; 이하, "UST 인터페이스부"라 칭함), 제 1·제 2 송신셀 선입선출부(323,324), 제 1·제 2 유토피아 마스터 송신 인터페이스부(325,326: UTOPIA Master Transmission interface part; 이하, "UMT 인터페이스부"라 칭함) 등의 조합으로 이루어진다.
이때, UST 인터페이스부(322)는 상술한 ATM계층 처리보드(100)의 ATM계층 처리 디바이스(10)와 일대일 인터페이스한 상태에서, ATM계층 처리 디바이스(10)의 UMT 부(13)로부터 출력되는 ATM계층 처리완료 셀을 수신하는 역할을 수행하며, 제 1·제 2 송신셀 선입선출부(323,324)는 앞의 UST 인터페이스부(322)와 일련의 신호연결관계를 형성한 상태에서, UST 인터페이스부(322)를 경유하여 전달되는 ATM계층 처리완료 셀을 입력순서에 따라 일시 저장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또한, 제 1·제 2 UMT 인터페이스부들(325,326)은 앞의 각 제 1·제 2 송신셀 선입선출부(323,324)와 일련의 신호연결관계를 형성함과 아울러, 물리계층 처리보드 A(201), 물리계층 처리보드 B(202) 등에 개별적으로 소속된 각 물리계층 처리 디바이스들(20,30)과 인터페이스한 상태에서, 앞의 제 1·제 2 송신셀 선입선출부들(323,324)을 경유하여 전달되는 ATM계층 처리완료 셀을 각 물리계층 처리 디바이스들(20,30)의 UST 부(23,33)로 동등하게 송신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이하, 상술한 구성을 갖는 본 발명의 구체적인 작용을 상세히 설명한다.
우선, 물리계층 처리보드 A(201), 물리계층 처리보드 B(202) 등에 개별적으로 소속된 각 물리계층 처리 디바이스들(20,30)로부터 출력되는 물리계층 처리완료 셀들이 ATM계층 처리 디바이스(10) 방향으로 송신되는 과정을 상세히 설명한다. 이 과정에서는 앞의 ATM계층방향 정합블록(311) 및 물리계층방향 정합블록(321) 중, ATM계층방향 정합블록(311)이 메인 블록으로 작용한다.
먼저, 제 1·제 2 UMR 인터페이스부(316,317)는 물리계층 처리보드 A(201), 물리계층 처리보드 B(202)의 USR 부(22,32)로 물리계층 처리완료 셀의 송신 가능여부를 타진한다. 이 경우, USR 부(22,32)는 각 물리계층 처리부(21,31)로 송신할 물리계층 처리완료 셀이 있는가의 여부를 확인하고, 그 확인결과 메시지를 제 1·제 2 UMR 인터페이스부(316,317)로 전송한다.
이 상태에서, USR 부(22,32)로부터 "송신할 물리계층 처리완료 셀이 있다"는 메시지가 송신되는 경우, 제 1·제 2 UMR 인터페이스부(316,317)는 그 즉시, 기 정의된 일련의 제어신호를 USR 부(22,32)로 전송하게 되며, USR 부(22,32)는 제 1·제 2 UMR 인터페이스부(316,317)로부터 이러한 제어신호가 전송되는 즉시, 각 물리계층 처리부(21,31)로부터 전달받은 물리계층 처리완료 셀들을 해당 제어신호가 요구하는 타이밍에 맞추어 제 1·제 2 UMR 인터페이스부(316,317)로 송신한다.
앞의 과정을 통해, USR 부(22,32)로부터 일련의 물리계층 처리완료 셀들이 송신되면, 제 1·제 2 UMR 인터페이스부(316,317)는 그 즉시, 해당 물리계층 처리완료 셀들을 제 1·제 2 수신셀 선입선출부(314,315)로 전달하여, 이를 제 1·제 2 수신셀 선입선출부(314,315)에 기록한다.
이 상태에서, USR 인터페이스부(312)는 ATM계층 처리보드(100)의 UMR 부(12)로부터 "물리계층 처리완료 셀 송신가능 문의"가 있는가의 여부를 체크한다.
이때, ATM계층 처리보드(100)의 UMR 부(12)로부터 "물리계층 처리 완료 셀 송신가능 문의"가 있는 경우, USR 인터페이스부(312)는 제 1·제 2 수신셀 선입선출부(314,315)의 기록상태를 확인하여, 제 1·제 2 수신셀 선입선출부(314,315)에 송신할 물리계층 처리완료 셀이 있는가의 여부를 체크한다.
여기서, 제 1·제 2 수신셀 선입선출부(314,315)에 송신할 물리계층 처리완료 셀이 있는 경우, USR 인터페이스부(312)는 그 즉시 UMR 부(12)로 "물리계층 처리완료 셀의 송신이 가능하다"는 메시지를 송신한다.
이와 같이, USR 인터페이스부(312)로부터 "물리계층 처리완료 셀의 송신이 가능하다"는 메시지가 송신된 경우, UMR 부(12)는 그 즉시, 기 정의된 일련의 제어신호를 USR 인터페이스부(312)로 전송하게 되며, USR 인터페이스부(312)는 UMR 부(12)로부터 이러한 제어신호가 전송되는 즉시, 제 1·제 2 수신셀 선입선출부(314,315)로 "물리계층 처리완료 셀 출력 요구 메시지"를 전달하게 되고, 제 1·제 2 수신셀 선입선출부(314,315)는 USR 인터페이스부(312)로부터 이러한 요구 메시지가 전달되는 즉시, 자신에게 기록되어 있던 물리계층 처리완료 셀들을 신속히 읽어서, 이를 입력 순서에 따라, 셀 선택부(313)로 전송한다.
이 상태에서, 셀 선택부(313)는 앞서 언급한 다중 물리계층 보드 선택부(330)로부터 전달되는 선별 결과 시그널을 기준으로 하여, 제 1·제 2 수신셀 선입선출부(314,315)로부터 전달되는 물리계층 처리 완료 셀들 중, 최적 물리계층 처리완료 셀을 선택하는 과정을 진행한다.
물론, 이러한 최적 물리계층 처리완료 셀 선택과정이 진행되기 이전에, 다중 물리계층 보드 선택부(330)는 앞의 물리계층 처리보드 A(201), 물리계층 처리보드 B(202) 등에 배치된 각 물리계층 처리 디바이스들(20,30)로부터 각 물리계층 처리보드들(201,202)의 동작상태를 확인하기 위한 일련의 동작상태 확인 시그널을 일괄적으로 전송 받은 후, 물리계층 처리보드 A(201), 물리계층 처리보드 B(202) 중, 최적의 상태를 유지하는 최적 물리계층 처리보드를 선별하고, 그 선별 결과 시그널을 셀 선택부(313)로 전송하는 과정을 미리 진행한다.
이때, 다중 물리계층 보드 선택부(330)로부터 전송된 선별 결과 시그널이 예컨대, "물리계층 처리보드 A(201)는 경보상태이고, 물리계층 처리보드 B(202)는 정상상태이다"라는 내용을 담고 있으면, 셀 선택부(313)는 "물리계층 처리보드 B(202)로부터 전송된 물리계층 처리완료 셀이 최적 물리계층 처리완료 셀이다"라고 판정하고, 그 즉시, 물리계층 처리보드 B(202)로부터 전송된 물리계층 처리완료 셀을 최적 물리계층 처리완료 셀로 선택하여, 이를 USR 인터페이스부(312)로 전송한다.
다른 예로, 다중 물리계층 보드 선택부(330)로부터 전송된 선별 결과 시그널이 예컨대, "물리계층 처리보드 B(202)는 경보상태이고, 물리계층 처리보드 A(201)는 정상상태이다"라는 내용을 담고 있으면, 셀 선택부(313)는 "물리계층 처리보드 A(201)로부터 전송된 물리계층 처리완료 셀이 최적 물리계층 처리완료 셀이다"라고 판정하고, 그 즉시, 물리계층 처리보드 A(201)로부터 전송된 물리계층 처리완료 셀을 최적 물리계층 처리완료 셀로 선택하여, 이를 USR 인터페이스부(312)로 전송한다.
이러한 과정을 통해, 셀 선택부(313)로부터 일련의 최적 물리계층 처리완료 셀이 전송되면, USR 인터페이스부(312)는 그 즉시, 이 최적 물리계층 처리완료 셀을 앞의 제어신호가 요구하는 타이밍에 맞추어 ATM계층 처리 디바이스(310)의 UMR 부(12)로 송신함으로써, ATM계층 처리보드(100)가 자신에게 부여된 일련의 ATM계층 처리과정을 별다른 문제없이, 정상적으로 진행시킬 수 있도록 유도한다.
다음으로, ATM계층 처리 디바이스(10)로부터 출력되는 ATM계층 처리완료 셀이 물리계층 처리보드 A(201), 물리계층 처리보드 B(202) 등에 개별적으로 소속된 각 물리계층 처리 디바이스들(20,30)로 동등하게 송신되는 과정을 상세히 설명한다. 이 과정에서는 앞의 ATM계층방향 정합블록(311) 및 물리계층방향 정합블록(321) 중, 물리계층방향 정합블록(321)이 메인 블록으로 작용한다.
먼저, 물리계층방향 정합블록(321)의 UST 인터페이스부(322)는 ATM계층 처리보드(100)의 UMT 부(13)로부터 "ATM계층 처리완료 셀 수신가능 문의"가 있는가의 여부를 체크한다.
이때, ATM계층 처리보드(100)의 UMT 부(13)로부터 "ATM계층 처리 완료 셀 수신가능 문의"가 있는 경우, UST 인터페이스부(322)는 제 1·제 2 송신셀 선입선출부(323,324)의 상태를 확인하여, 제 1·제 2 송신셀 선입선출부(323,324)가 ATM계층 처리완료 셀을 수신할 수 있는가의 여부를 체크한다.
여기서, 제 1·제 2 송신셀 선입선출부(323,324)가 ATM계층 처리완료 셀을 수신할 수 있는 것으로 판단되면, UST 인터페이스부(322)는 그 즉시, UMT 부(13)로 "ATM계층 처리완료 셀의 수신이 가능하다"는 메시지를 송신한다.
이와 같이, UST 인터페이스부(322)로부터 "ATM계층 처리완료 셀의 수신이 가능하다"는 메시지가 송신된 경우, UMT 부(13)는 그 즉시, ATM계층 처리부(11)로부터 ATM계층 처리완료 셀을 전송 받고, 이를 기 정의된 일련의 제어신호와 함께 UST 인터페이스부(322)로 송신하게 된다.
앞의 과정을 통해, UMT 부(13)로부터 일련의 제어신호 및 ATM계층 처리완료 셀이 한꺼번에 송신되면, UST 인터페이스부(322)는 그 즉시, 해당 ATM계층 처리완료 셀을 제 1·제 2 송신셀 선입선출부(323,324)로 전달하여, 이를 제 1·제 2 송신셀 선입선출부(323,324)에 기록한다.
이와 같은 기록과정이 완료된 상태에서, 제 1·제 2 송신셀 선입선출부(323,324)는 제 1·제 2 UMT 인터페이스부(325,326)로 "송신할 ATM계층 처리완료 셀이 있다"는 메시지를 전달하게 되며, 제 1·제 2 UMT 인터페이스부(325,326)는 제 ·제 2 송신셀 선입선출부(323,324)로부터 이러한 메시지가 전달되는 즉시, 물리계층 처리보드 A(201), 물리계층 처리보드 B(202)의UST 부(23,33)로 ATM계층 처리완료 셀의 수신 가능여부를 타진한다. 이 경우, UST 부(23,33)는 물리계층 처리부(21,31)의 ATM계층 처리완료 셀 수신가능 여부를 확인하고, 그 확인결과 메시지를 제 1·제 2 UMT 인터페이스부(325,326)로 전송한다.
이때, UST 부(23,33)로부터 "ATM계층 처리완료 셀의 수신이 가능하다"는 메시지가 송신된 경우, 제 1·제 2 UMT 인터페이스부(325,326)는 그 즉시, 제 1·제 2 송신셀 선입선출부(323,324)로 "ATM계층 처리완료 셀 출력 요구 메시지"를 전달하게 되고, 제 1·제 2 송신셀 선입선출부(323,324)는 제 1·제 2 UMT 인터페이스부(325,326)로부터 이러한 요구 메시지가 전달되는 즉시, 자신에게 기록되어 있던 ATM계층 처리완료 셀들을 신속히 읽어서, 이를 제 1·제 2 UMT 인터페이스부(325,326)로 전송하게 된다.
앞의 과정을 통해, ATM계층 처리완료 셀의 전송이 완료되면, 제 1·제 2 UMT 인터페이스부(325,326)는 그 즉시, 이 ATM계층 처리완료 셀과, 기 정의된 일련의 제어신호를 물리계층 처리보드 A(201), 물리계층 처리보드 B(202)의 UST 부(23,33)로 동등하게 전송함으로써, 해당 물리계층 처리보드 A(201), 물리계층 처리보드 B(202)가 각자에게 개별적으로 부여된 일련의 물리계층 처리과정을 별다른 문제없이, 정상적으로 진행시킬 수 있도록 유도한다.
이상의 설명에서와 같이, 본 발명에서는 여러 물리계층 처리보드들(201,202)로부터 출력되는 셀들 또는 ATM계층 처리보드(100)로부터 출력되는 셀을 사전에 선택적으로 다중 처리할 수 있는 일련의 ATM계층/물리계층 다중 인터페이스 모듈(300)을 구비하고, 이를 통해, ATM계층 처리보드(100)가 여러 물리계층 처리보드들(201,202)로부터 출력되는 셀들을 선택적으로 전달받을 수 있도록 유도함과 아울러, 여러 물리계층 처리보드들(201,202)이 ATM계층 처리보드(100)로부터 출력되는 셀을 동등하게 전달받을 수 있도록 유도함으로써, 해당 ATM계층 처리보드(100)가 단일 대응형 인터페이스 스펙을 위배하지 않으면서도, 일련의 통신 사이클 내에서, 여러 개의 예비 물리계층 처리보드들을 복합적으로 수용할 수 있도록 유도할 수 있다.
이 경우, ATM계층 처리보드(100)는 일련의 통신 사이클 내에서, 여러 개의 예비 물리계층 처리보드들(201,202)을 복합적으로 수용할 수 있기 때문에, 임의의 특정 물리계층 처리보드, 예컨대, 물리계층 처리보드 A(201)에 이상이 발생하더라도, 물리계층 처리보드 B(202)를 이용하여, 이 상황을 탄력적으로 극복할 수 있다.
이처럼, 본 발명의 실시에 의해 ATM계층 처리보드(100)의 이상 대처능력이 대폭 향상되는 경우, 예측하지 못한 통신두절현상은 미리 억제될 수 있으며, 결국, 임의의 가입자는 자신이 원하는 일련의 통신서비스를 별다른 문제점 없이, 원활하게 향유할 수 있게 된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에 의해, ATM계층 처리보드(100) 및 물리계층 처리보드(201,202) 사이의 통신두절현상이 최소화되는 경우, ATM 교환기의 통신품질은 일정 수준 이상으로 향상될 수 있으며, 결국, 전체적인 ATM 교환기의 신뢰성 또한 일정 수준 이상으로 향상될 수 있게 된다.
결국, 본 발명의 실시에 의해, 여러 물리계층 처리보드들(201,202)로부터 출력되는 셀의 사전 다중처리가 긴밀하게 이루어지는 경우, 종래의 유토피아 인터페이스는 그 단점을 손쉽게 보강 받을 수 있으며, 그 결과, ATM 교환기는 별다른 문제점 없이, 유토피아 인터페이스를 ATM계층/물리계층의 인터페이스로 손쉽게 채용할 수 있게 된다.
이때, 앞서 언급한 본 발명의 ATM계층/물리계층 다중 인터페이스 모듈(300)은 예컨대, ATM계층 처리보드(100) 또는 물리계층 처리보드(201,202)에 직접 내장되는 구조를 이룬다. 도 4에는 일례로, 본 발명의 ATM계층/물리계층 인터페이스 모듈(300)이 ATM계층 처리보드(100)에 직접 내장된 경우가 도시된다.
이와 같이, ATM계층/물리계층 다중 인터페이스 모듈(300)이 ATM계층 처리보드(100) 또는 물리계층 처리보드(201,202)에 내장되는 경우, 본 발명에서는 ATM계층/물리계층 다중 인터페이스 모듈(300)을 ATM계층 처리 디바이스(10) 또는 물리계층 처리 디바이스(20,30)의 관리루트와 동일한 관리루트를 통해 컨트롤할 수 있는 편리함을 손쉽게 획득할 수 있다.
한편,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ATM 교환기에서, 상술한 물리계층 처리 디바이스는 하나의 물리계층 처리보드(201,202) 내에 여러 개, 예컨대, 2개가 한꺼번에 배치될 수도 있다. 이 경우, 추가로 배치된 각 물리계층 처리 디바이스(40,50)는 상술한 경우와 마찬가지로, 물리계층 처리부(41,51), USR 부(42,52), UST 부(43,53) 등이 긴밀하게 조합된 구조를 이룬다.
이와 같이, 하나의 물리계층 처리보드 내에 여러 개의 물리계층 처리 디바이스가 배치되는 경우에도, 본 발명의 ATM계층/물리계층 다중 인터페이스 모듈(300)은 별도의 추가장치 없이, 단지, 셀 선택부, 수신셀 선입선출부, 송신셀 선입선출부 등의 개수를 물리계층 처리 디바이스의 개수 증가분만큼 확장시키는 것만으로, 본 발명 고유의 역할을 별다른 문제점 없이 원활하게 진행시킬 수 있다.
이때,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예컨대, 물리계층 처리 디바이스의 개수가 2개로 증가함에 따라,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ATM계층방향 정합블록(311) 내에는 상술한 제 1·제 2 수신셀 선입선출부(314,315) 이외에도, 제 3·제 4 수신셀 선입선출부(342,343)가 추가로 증가·배치되며, 제 1 셀 선택부(313) 이외에도, 제 2 셀 선택부(341)가 추가로 증가·배치된다. 또한, 물리계층방향 정합블록(321) 내에는 상술한 제 1·제 2 송신셀 선입선출부(323,324) 이외에도 제 3·제 4 선입선출부(344,345)가 추가로 증가·배치된다.
여기서, 제 3·제 4 수신셀 선입선출부(342,343)는 예컨대, 제 1·제 2 인터페이스부(316,317)와 일련의 신호연결관계를 형성한 상태에서, 물리계층 처리 디바이스(40,50)의 USR 부(42,52)로부터 송신되는 물리계층 처리완료 셀들을 입력순서에 따라 일시 저장하는 역할을 수행하며, 제 2 셀 선택부(341)는 다중 물리계층 보드 선택부(330)로부터 전달되는 선별 결과 시그널을 기준으로 하여, 제 3·제 4 수신셀 선입선출부(342,343)로부터 전달되는 물리계층 처리 완료 셀들 중, 최적 물리계층 처리완료 셀을 선택하여 USR 인터페이스부(312)로 출력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또한, 제 3·제 4 송신셀 선입선출부(344,345)는 UST 인터페이스부(322)와 일련의 신호연결관계를 형성한 상태에서, UST 인터페이스부들(322)을 경유하여 전달되는 ATM계층 처리완료 셀을 입력순서에 따라 일시 저장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물론, 이와 같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의 경우에도, ATM계층/물리계층 다중 인터페이스 모듈(300)은 ATM계층 처리보드(100)가 여러 물리계층 처리보드들(201,202)로부터 출력되는 셀들을 선택적으로 전달받을 수 있도록 유도하는 역할, ATM계층 처리보드(100)로부터 출력되는 셀을 여러 물리계층 처리보드들(201,202)이 동등하게 전달받을 수 있도록 유도하는 역할 등을 별도의 문제점 없이 원활하게 진행시킬 수 있으며, 결국, ATM계층 처리보드(100)가 단일 대응형 인터페이스 스펙을 위배하지 않으면서도, 일련의 통신 사이클 내에서, 여러 개의 예비 물리계층 처리보드들을 복합적으로 수용할 수 있도록 유도할 수 있다.
나아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서 ATM계층/물리계층 다중 인터페이스 모듈(300)은 첨부한 도면 도 7에 도시한 바와 같이, 다중 물리계층 보드 선택부(330)와, 이 다중 물리계층 보드 선택부(330)의 동작과 연동되는 다중 물리계층 정합부(310) 이외에 운용자 정합부(350)를 추가로 구성하여, 운용자 정합부(350)를 통해 다중 물리계층 정합부(310)로 운용자의 의사를 전달함으로써, 네트웍의 구성상 여러 개의 예비 물리계층 처리보드를 운용할 수 없는 라인 또는 여러 개의 예비 물리계층 처리보드를 운용할 필요없는 라인을 수용할 때에는 여러 개의 예비 물리계층 처리보드를 수용하는 대신에 서로 다른 여러 개의 물리계층 처리보드들을 수용할 수 있도록 한다.
즉, 운용자 정합부(350)는 운용자 터미널로부터 여러 개의 예비 물리계층 처리보드들을 수용하기 위해 구비된 여러 개의 슬롯에 대한 운용자의 운용방식 정보를 받아들여 상술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와 같이 여러 개의 예비 물리계층 처리보드를 운용하게 하는 운용 명령을 다중 물리계층 정합부(310)로 전달하거나, 여러 개의 예비 물리계층 처리보드를 운용하는 대신에 서로 다른 여러 개의 물리계층 처리보드를 운용하게 하는 운용 명령을 다중 물리계층 정합부(310)로 전달한다.
이 경우, 다중 물리계층 보드 선택부(330)는 운용자가 여러 개의 예비 물리계층 처리보드 운용을 명령하는 경우에 상술한 실시예에서의 기능 즉, 물리계층 처리보드 A(201), 물리계층 처리보드 B(202) 등에 배치된 각 물리계층 처리 디바이스들(20,30)로부터 각 물리계층 처리보드들(201,202)의 동작상태를 확인하기 위한 일련의 동작상태 확인 시그널을 일괄적으로 전송 받은 후, 물리계층 처리보드 A(201), 물리계층 처리보드 B(202) 중, 최적의 상태를 유지하는 최적 물리계층 처리보드를 선별하는 기능을 전담한다.
하지만, 운용자가 서로 다른 여러 개의 물리계층 처리보드 운용을 명령하는 경우 다중 물리계층 보드 선택부(33)는 각 물리계층 처리보드들(201,202)의 동작상태를 확인하여 정상동작 여부를 체크하고, 그 결과를 운용자 정합부(250)를 통해 운용자 터미널로 보고한다.
또한, ATM계층/물리계층 인터페이스 모듈(300)이 운용자 정합부(350)를 포함하는 경우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다중 물리계층 정합부(310)는 ATM계층방향 정합블록(311) 및 물리계층방향 정합블록(321)이 조합된 구성을 이루되, 운용자 정합부(350)를 통해 전달되는 물리계층 처리보드 운용 명령에 따라 여러 개의 예비 물리계층 처리보드를 운용하거나, 서로 다른 여러 개의 물리계층 처리보드를 운용하기 위해 도 3과는 달리 ATM계층방향 정합블록(311)의 경우 USR 인터페이스부(312)와 제 1·제 2 수신셀 선입선출부(314,315) 사이에 셀 선택부(313) 대신에 수신셀 경로제어부(318)를 구현하고, 물리계층방향 정합블록(321)의 경우 UST 인터페이스부(322)와 제 1·제 2 송신셀 선입선출부(323,324) 사이에 송신셀 경로제어부(327)를 추가로 구현한다.
여기서, 수신셀 경로제어부(318)는 다중 물리계층 보드 선택부(330) 및 운용자 정합부(350)와 연동되며, 제 1·제 2 수신셀 선입선출부(314,315)와 일련의 신호연결관계를 형성한 상태에서, 운용자 정합부(350)로부터 전달되는 물리계층 처리보드 운용 명령에 따라 제 1·제 2 수신셀 선입선출부(314,315)를 경유하여 전달되는 물리계층 처리완료 셀들 중에서 최적 물리계층 처리완료 셀을 선택하여 USR 인터페이스부(312)로 전달하거나, 제 1·제 2 수신셀 선입선출부(314,315)를 경유하여 전달되는 각각의 물리계층 처리 완료 셀을 USR 인터페이스부(312)로 전달한다.
즉, 수신셀 경로제어부(318)는 운용자 정합부(350)로부터 여러 개의 예비 물리계층 처리보드 운용 명령이 전달되는 경우 다중 물리계층 보드 선택부(330)로부터 전달되는 선별 결과 시그널에 따라 제 1·제 2 수신셀 선입선출부(314,315)를 경유하여 전달되는 물리계층 처리 완료 셀들 중에서 최적 물리계층 처리완료 셀을 선택하여 USR 인터페이스부(312)로 전달하는 역할을 수행하며, 운용자 정합부(350)로부터 서로 다른 여러 개의 물리계층 처리보드 운용 명령이 전달되는 경우 제 1·제 2 수신셀 선입선출부(314,315)를 경유하여 전달되는 각각의 물리계층 처리 완료 셀을 선택하여 USR 인터페이스부(312)로 전달한다.
또한, 도 8에서 설명되지 않은 ATM계층방향 정합블록(311)의 USR 인터페이스부(312)와 제 1·제 2 수신셀 선입선출부(314,315) 및 제 1·제 2 UMR 인터페이스부(316,317)와, 물리계층방향 정합블록(321)의 UST 인터페이스부(322)와 제 1·제 2 송신셀 선입선출부(323,324) 및 제 1·제 2 UMT 인터페이스부(325,3267)에서 설명되지 않은 부분은 상술한 실시예와 동일하므로 그 설명을 생략하기로 한다.
이때, USR 인터페이스부(312)는 상술한 ATM계층 처리 디바이스(10)와 일대일 인터페이스함과 아울러, 수신셀 경로제어부(318)와 일련의 신호연결관계를 형성한 상태에서, 앞의 수신셀 경로제어부(318)를 경유하여 선택적으로 전달되는 최적 물리계층 처리 완료 셀 또는 수신셀 경로제어부(318)를 경유하여 각각 전달되는 물리계층 처리 완료 셀을 ATM계층 처리 디바이스(10)의 UMR 부(12)로 일대일 전송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그리고, 도 9에 도시한 바와 같이, 수신셀 경로제어부(318)는 다중 물리계층 보드 선택부(330)로부터 전달되는 선별 결과 시그널에 따라 제 1 수신셀 선입선출부(314)를 경유하여 전달되는 물리계층 처리 완료 셀 또는 제 2 수신셀 선입선출부(315)를 경유하여 전달되는 물리계층 처리 완료 셀을 선택하여 출력하는 제 1 수신셀 선택부(318-1)와, 운용자 정합부(350)로부터 전달되는 물리계층 처리보드 운용 명령에 따라 제 1 수신셀 선입선출부(314)를 경유하여 전달되는 물리계층 처리 완료 셀 또는 앞의 제 1 수신셀 선택부(318-1)를 경유하여 출력되는 물리계층 처리 완료 셀을 선택하여 경로 1을 통해 USR 인터페이스부(312)로 출력하는 제 2 수신셀 선택부(318-2)와, 운용자 정합부(350)로부터 전달되는 물리계층 처리보드 운용 명령에 따라 제 2 수신셀 선입선출부(314)를 경유하여 전달되는 물리계층 처리 완료 셀 또는 의미없는 신호 '0'를 선택하여 경로 2를 통해 USR 인터페이스부(312)로 출력하는 제 3 수신셀 선택부(318-3)의 조합으로 이루어진다.
따라서, 운용자가 운용자 정합부(330)를 통해 여러 개의 예비 물리계층 처리보드 운용을 명령하는 경우 수신셀 경로제어부(318)는 제 2 수신셀 선택부(318-2)가 제 1 수신셀 선택부(318-1)에 의해 선택된 최적 물리계층 처리 완료 셀을 선택하고, 제 3 수신셀 선택부(318-3)는 의미없는 신호 '0'를 선택함에 따라 결국은 제 2 수신셀 선택부(318-2)에 의해 선택된 최적 물리계층 처리 완료 셀을 경로 1을 통해 USR 인터페이스부(312)로 출력함으로써, 여러 개의 예비 물리계층 처리보드를 운용할 수 있게 된다.
그리고, 운용자가 운용자 정합부(33)를 통해 서로 다른 여러 개의 물리계층 처리보드 운용을 명령하는 경우 수신셀 경로제어부(318)는 제2 수신셀 선택부(318-2)가 제 1 수신셀 선입선출부(314)를 경유하여 전달되는 물리계층 처리 완료 셀을 선택하여 경로 1을 통해 USR 인터페이스부(312)로 출력하고, 제 3 수신셀 선택부(318-3)가 제 2 수신셀 선입선출부(314)를 경유하여 전달되는 물리계층 처리 완료 셀을 선택하여 경로 2를 통해 USR 인터페이스부(312)로 출력함으로써, 여러 개의 서로 다른 물리계층 처리보드를 운용할 수 있게 된다.
한편,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서 다중 물리계층 정합부(310)의 물리계층방향 정합블록(321)에 추가로 구현한 송신셀 경로제어부(327)는 운용자 정합부(350)와 연동되며, UST 인터페이스부(312)와 제 1·제 2 송신셀 선입선출부(323,324)와 일련의 신호연결관계를 형성한 상태에서, 운용자정합부(350)로부터 전달되는 물리계층 처리보드 운용 명령에 따라 UST 인터페이스부(322)를 경유하여 서로 다른 경로로 전달되는 ATM계층 처리완료 셀들 중에서 하나를 선택하여 제 1 송신셀 선입선출부(323) 또는 제 2 송신셀 선입선출부(324)로 전달하거나, 서로 다른 경로로 전달되는 ATM계층 처리완료 셀들을 각각 선택하여 제 1 송신셀 선입선출부(323) 및 제 2 송신셀 선입선출부(324)로 전달한다.
즉, 송신셀 경로제어부(327)는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운용자 정합부(350)로부터 전달되는 물리계층 처리보드 운용 명령과는 무관하게 UST 인터페이스부(322)를 경유하여 경로 1로 전달되는 ATM계층 처리완료 셀을 제 1 송신셀 선입선출부(323)로 직접 출력하는 구성을 갖되, 이와 동시에 운용자 정합부(350)로부터 전달되는 물리계층 처리보드 운용 명령에 따라 UST 인터페이스부(322)를 경유하여 경로 1 및 경로 2로 전달되는 ATM계층 처리완료 셀들 중에서 하나를 선택하여 제 2 송신셀 선입선출부(324)로 출력하는 송신셀 선택부(327-1)를 포함하는 구성을 갖는다.
따라서, 송신셀 경로제어부(327)는 UST 인터페이스부(322)를 경유하여 경로 1로 전달되는 ATM계층 처리완료 셀을 제 1 송신셀 선입선출부(323)로 항상 출력하는 한편, 운용자가 운용자 정합부(350)를 통해 여러 개의 예비 물리계층 처리보드 운용을 명령하는 경우에는 송신셀 선택부(327-1)가 UST 인터페이스부(322)를 경유하여 경로 1 및 경로 2로 전달되는 ATM계층 처리완료 셀들 중에서 경로 1로 전달되는 ATM계층 처리완료 셀을 선택하여 제 2 송신셀 선입선출부(324)로 출력함으로써, 여러 개의 예비 물리계층 처리보드를 운용할 수 있게 되며, 운용자가 운용자 정합부(350)를 통해 서로 다른 여러 개의 물리계층 처리보드 운용을 명령하는 경우에는 송신셀 선택부(327-1)가 UST 인터페이스부(322)를 경유하여 경로 1 및 경로 2로 전달되는 ATM계층 처리완료 셀들 중에서 경로 2로 전달되는 ATM계층 처리완료 셀을 선택하여 제 2 송신셀 선입선출부(324)로 출력함으로써, 서로 다른 여러 개의 물리계층 처리보드를 운용할 수 있게 된다.
이와 같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서는 ATM계층/물리계층 다중 인터페이스 모듈(300)에 운용자의 물리계층 처리보드 운용 명령을 전달받아 다중 물리계층 정합부(310)에 적용하는 운용자 정합부(350)를 추가로 구현하고, 아울러 앞의 다중 물리계층 정합부(310)에 운용자의 물리계층 처리보드 운용 명령에 따라 여러 개의 예비 물리계층 처리보드를 운용하거나 서로 다른 여러 개의 물리계층 처리보드를 운용할 수 있도록 수신셀의 경로를 제어하기 위한 수신셀 경로제어부(318)와, 송신셀의 경로를 제어하기 위한 송신셀 경로제어부(327)를 구현함으로써, 일련의 통신 사이클 내에서, 여러 개의 예비 물리계층 처리보드들을 복합적으로 수용하여 운용하거나, 서로 다른 여러 개의 물리계층 처리보드를 개별적으로 수용하여 운용할 수 있도록 유도할 수 있다.
이상에서 상세히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서는 여러 물리계층 처리보드들로부터 출력되는 셀들 또는 ATM계층 처리보드로부터 출력되는 셀을 사전에 선택적으로 다중 처리할 수 있는 일련의 ATM계층/물리계층 다중 인터페이스 모듈을 구비하고, 이를 통해, ATM계층 처리보드가 여러 물리계층 처리보드들로부터 출력되는 셀들을 선택적으로 전달받을 수 있도록 유도함과 아울러, 여러 물리계층 처리보드들이 ATM계층 처리보드로부터 출력되는 셀을 동등하게 전달받을 수 있도록 유도함으로써, 최종적으로, 해당 ATM계층 처리보드가 단일 대응형 인터페이스 스펙을 위배하지 않으면서도, 일련의 통신 사이클 내에서, 여러 개의 예비 물리계층 처리보드들을 복합적으로 수용하거나, 서로 다른 여러 개의 물리계층 처리보드들을 개별적으로 수용할 수 있도록 유도할 수 있다.
이 경우, ATM계층 처리보드는 일련의 통신 사이클 내에서, 여러 개의 예비 물리계층 처리보드들을 복합적으로 수용할 수 있기 때문에, 임의의 특정 물리계층 처리보드에 이상이 발생하더라도, 다른 예비 물리계층 처리보드를 이용하여, 이 상황을 탄력적으로 극복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서는 네트웍의 구성상 여러 개의 예비 물리계층 처리보드를 운용할 수 없는 라인 또는 여러 개의 예비 물리계층 처리보드를 운용할 필요없는 라인을 수용할 때에는 여러 개의 예비 물리계층 처리보드를 수용하는 대신에 서로 다른 여러 개의 물리계층 처리보드들을 개별적으로 수용할 수 있기 때문에, 여러 개의 예비 물리계층 처리보드들을 수용하기 위해 구비된 여러 개의 슬롯 중에서 사용되지 않는 나머지 슬롯이 다른 물리계층 처리를 수행할 수 있어 시스템 자원의 효율적 운용이 가능해 진다.
나아가, 본 발명에서는 여러 개의 예비 물리계층 처리보드들을 복합적으로 수용하거나, 서로 다른 여러 개의 물리계층 처리보드들을 개별적으로 수용할 수 있도록 유도함으로써, 운용자에게 한 차원 높은 망 구성상의 자유도를 제공하고, 시스템의 가치를 극대화할 수 있게 된다.
그리고, 본 발명의 실시에 의해 ATM계층 처리보드의 이상 대처능력이 대폭 향상되는 경우, 예측하지 못한 통신두절현상은 미리 억제될 수 있으며, 결국, 임의의 가입자는 자신이 원하는 일련의 통신서비스를 별다른 문제점 없이, 원활하게 향유할 수 있게 된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에 의해, ATM계층 처리보드 및 물리계층 처리보드 사이의 통신두절현상이 최소화되는 경우, ATM 교환기의 통신품질은 일정 수준 이상으로 향상될 수 있으며, 결국, 전체적인 ATM 교환기의 신뢰성 또한 일정 수준 이상으로 향상될 수 있게 된다.
결국, 본 발명의 실시에 의해, 여러 물리계층 처리보드들로부터 출력되는 셀의 사전 다중처리가 긴밀하게 이루어지는 경우, 종래의 유토피아 인터페이스는 그 단점을 손쉽게 보강 받을 수 있으며, 그 결과, ATM 교환기는 별다른 문제점 없이, 유토피아 인터페이스를 ATM계층/물리계층의 인터페이스로 손쉽게 채용할 수 있게 된다. 앞에서, 본 발명의 특정한 실시예가 설명되고 도시되었지만 본 발명이 당업자에 의해 다양하게 변형되어 실시될 가능성이 있는 것은 자명한 일이다. 이와 같은 변형된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적사상이나 관점으로부터 개별적으로 이해되어서는 안되며 이와 같은 변형된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첨부된 특허청구의 범위안에 속한다 해야 할 것이다.

Claims (17)

  1. 임의의 가입자 단말과 신호연결 되며, 상기 가입자 단말로부터 출력되는 셀을 수집·정리하여 각각 독립적으로 물리계층 처리하는 다수개의 물리계층 처리보드들과;
    상기 물리계층 처리보드들로부터 출력되는 셀들을 일대일 전송 받아, ATM계층 처리하는 ATM계층 처리보드와;
    상기 물리계층 처리보드들 및 ATM계층 처리보드 사이에 개재되며, 상기 물리계층 처리보드들과 다대일 대응되고, 상기 각 물리계층 처리보드들로부터 일련의 물리계층 처리완료 셀들 및 동작상태 확인 시그널을 일괄 전송 받은 후, 상기 동작상태 확인 시그널에 따라, 상기 물리계층 처리보드들 중, 최적의 상태를 유지하는 최적 물리계층 처리보드를 선별하고, 해당 선별 결과에 따라, 상기 최적 물리계층 처리보드로부터 전송된 최적 물리계층 처리완료 셀을 선택하여, 상기 ATM계층 처리보드로 일대일 전송하는 ATM계층/물리계층 다중 인터페이스 모듈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에이티엠 교환기.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ATM계층/물리계층 다중 인터페이스 모듈은 상기 ATM계층 처리보드로부터 일련의 ATM계층 처리완료 셀을 일대일 전송 받은 후, 상기 ATM계층 처리완료 셀을 상기 각 물리계층 처리보드들로 동등하게 전송하는 역할을 더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에이티엠 교환기.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ATM계층/물리계층 다중 인터페이스 모듈은 상기 ATM계층 처리보드 또는 물리계층 처리보드에 내장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에이티엠 교환기.
  4. 일련의 ATM계층 처리 디바이스를 구비한 ATM 처리보드 및 일련의 물리계층 처리 디바이스를 개별적으로 구비한 다수의 물리계층 처리보드들 사이를 인터페이스하며, 상기 각 물리계층 처리 디바이스들로부터 각 물리계층 처리보드들의 동작상태를 확인하기 위한 일련의 동작상태 확인 시그널을 전송 받은 후, 상기 물리계층 처리보드들 중, 최적의 상태를 유지하는 최적 물리계층 처리보드를 선별하는 다중 물리계층 보드 선택부와;
    상기 다중 물리계층 보드 선택부와 연동되며, 상기 ATM 계층 처리 디바이스와 일대일 대응되고, 상기 각 물리계층 처리 디바이스들로부터 일련의 물리계층 처리완료 셀들을 순차적으로 전송 받은 후, 상기 다중 물리계층 보드 선택부로부터 전송되는 선별 결과 시그널에 따라, 최적 물리계층 처리완료 셀을 선택하고, 선택 완료된 상기 최적 물리계층 처리완료 셀을 상기 ATM계층 처리보드로 일대일 전송하는 다중 물리계층 정합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에이티엠 교환기의 에이티엠계층/물리계층 다중 인터페이스 모듈.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다중 물리계층 정합부는 상기 각 물리계층 처리보드에 개별적으로 소속된 각 물리계층 처리 디바이스들과 인터페이스하며, 상기 각 물리계층 처리 디바이스들로부터 전송되는 상기 물리계층 처리 완료 셀들을 수신하는 다수의 UMR 인터페이스부들과;
    상기 UMR 인터페이스부들과 일련의 신호연결관계를 형성하며, 상기 UMR 인터페이스부들을 경유하여 전달되는 상기 물리계층 처리 완료 셀들을 입력순서에 따라 일시 저장하는 다수의 수신셀 선입선출부들과;
    상기 다중 물리계층 보드 선택부와 연동되며, 상기 수신셀 선입선출부와 일련의 신호연결관계를 형성하고, 상기 다중 물리계층 선택부로부터 전달되는 상기 선별 결과 시그널에 따라, 상기 수신셀 선입선출부로부터 전달된 상기 물리계층 처리 완료 셀들 중, 최적 물리계층 처리 완료 셀을 선택적으로 출력하는 하나 이상의 셀 선택부와;
    상기 ATM계층 처리 디바이스와 일대일 인터페이스하며, 상기 셀 선택부와 일련의 신호연결관계를 형성하고, 상기 셀 선택부를 경유하여 선택적으로 전달되는 상기 최적 물리계층 처리 완료 셀을 상기 ATM계층 처리 디바이스로 일대일 전송하는 USR 인터페이스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에이티엠 교환기의 에이티엠계층/물리계층 다중 인터페이스 모듈.
  6.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다중 물리계층 정합부는 상기 ATM계층 처리 디바이스들로부터 일련의 ATM계층 처리완료 셀을 일대일 전송 받은 후, 상기 ATM계층 처리완료 셀을 상기 각 물리계층 처리보드들로 동등하게 전송하는 역할을 더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에이티엠 교환기의 에이티엠계층/물리계층 다중 인터페이스 모듈.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다중 물리계층 정합부는 상기 ATM계층 처리 디바이스와 일대일 인터페이스하며, 상기 ATM계층 처리 디바이스로부터 출력되는 상기 ATM계층 처리완료 셀을 수신하는 UST 인터페이스부와;
    상기 UST 인터페이스부와 일련의 신호연결관계를 형성하며, 상기 UST 인터페이스부들을 경유하여 전달되는 상기 ATM계층 처리완료 셀을 입력순서에 따라 일시 저장하는 다수의 송신셀 선입선출부들과;
    상기 송신셀 선입선출부들과 일련의 신호연결관계를 형성하며, 상기 각 물리계층 처리보드에 소속된 각 물리계층 처리 디바이스들과 인터페이스하고, 상기 송신셀 선입선출부들을 경유하여 전달되는 상기 ATM계층 처리완료 셀을 상기 각 물리계층 처리 디바이스들로 동등하게 전송하는 다수의 UMT 인터페이스부들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에이티엠 교환기의 에이티엠계층/물리계층 다중 인터페이스 모듈.
  8. 운용자 터미널과 연동하여 운용자의 물리계층 처리보드 운용 명령을 받아들여 전달하는 운용자 정합부와;
    일련의 ATM계층 처리 디바이스를 구비한 ATM 처리보드 및 일련의 물리계층 처리 디바이스를 개별적으로 구비한 다수의 물리계층 처리보드들 사이를 인터페이스하며, 상기 운용자의 물리계층 처리보드 운용 명령에 따라 상기 각 물리계층 처리 디바이스들로부터 각 물리계층 처리보드들의 동작상태를 확인하기 위한 일련의 동작상태 확인 시그널을 전송 받은 후, 상기 물리계층 처리보드들 중에서 최적의 상태를 유지하는 최적 물리계층 처리보드를 선별하거나, 상기 물리계층 처리보드들의 동작상태를 체크하여 그 결과를 상기 운용자 정합부를 통해 운용자 측에 보고하는 다중 물리계층 보드 선택부와;
    상기 운용자 정합부 및 다중 물리계층 보드 선택부와 연동되며, 상기 ATM 계층 처리 디바이스와 상기 각 물리계층 처리 디바이스들 사이에서 상기 운용자 정합부를 통해 전달되는 물리계층 처리보드 운용 명령에 따라 여러 개의 예비 물리계층 처리보드를 정합하거나, 서로 다른 여러 개의 물리계층 처리보드를 정합하여 물리계층 처리완료 셀 또는 ATM계층 처리완료 셀을 정합해 주는 다중 물리계층 정합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에이티엠 교환기의 에이티엠계층/물리계층 다중 인터페이스 모듈.
  9.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다중 물리계층 정합부는, 상기 각 물리계층 처리보드에 개별적으로 소속된 각 물리계층 처리 디바이스들과 인터페이스하며, 상기 각 물리계층 처리 디바이스들로부터 전송되는 상기 물리계층 처리 완료 셀들을 수신하는 다수의 UMR 인터페이스부들과;
    상기 UMR 인터페이스부들과 일련의 신호연결관계를 형성하며, 상기 UMR 인터페이스부들을 경유하여 전달되는 상기 물리계층 처리 완료 셀들을 입력순서에 따라 일시 저장하는 다수의 수신셀 선입선출부들과;
    상기 다중 물리계층 보드 선택부 및 운용자 정합부와 연동되며, 상기 수신셀 선입선출부와 일련의 신호연결관계를 형성하고, 상기 운용자 정합부로부터 전달되는 물리계층 처리보드 운용 명령에 따라 상기 수신셀 선입선출부를 경유하여 전달되는 물리계층 처리완료 셀들 중에서 상기 다중 물리계층 보드 선택부에 의해 선택된 최적 물리계층 처리 완료 셀을 선택적으로 출력하거나, 상기 수신셀 선입선출부를 경유하여 전달되는 물리계층 처리완료 셀들을 각각 출력하는 하나 이상의 수신셀 경로제어부와;
    상기 ATM계층 처리 디바이스와 일대일 인터페이스하며, 상기 수신셀 경로제어부와 일련의 신호연결관계를 형성하고, 상기 수신셀 경로제어부를 경유하여 선택적으로 전달되는 최적 물리계층 처리완료 셀 또는 상기 수신셀 경로제어부를 경유하여 각각 전달되는 물리계층 처리완료 셀들을 상기 ATM계층 처리 디바이스로 일대일 전송하는 USR 인터페이스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에이티엠 교환기의 에이티엠계층/물리계층 다중 인터페이스 모듈.
  10.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수신셀 경로제어부는, 다중 물리계층 보드 선택부로부터 전달되는 선별 결과 시그널에 따라 제 1 수신셀 선입선출부를 경유하여 전달되는 물리계층 처리 완료 셀 또는 제 2 수신셀 선입선출부를 경유하여 전달되는 물리계층 처리 완료 셀을 선택하여 출력하는 제 1 수신셀 선택부와;
    운용자 정합부로부터 전달되는 물리계층 처리보드 운용 명령에 따라 상기 제 1 수신셀 선입선출부를 경유하여 전달되는 물리계층 처리 완료 셀 또는 상기 제 1 수신셀 선택부를 경유하여 출력되는 물리계층 처리 완료 셀을 선택하여 경로 1을 통해 USR 인터페이스부로 출력하는 제 2 수신셀 선택부와;
    상기 운용자 정합부로부터 전달되는 물리계층 처리보드 운용 명령에 따라 상기 제 2 수신셀 선입선출부를 경유하여 전달되는 물리계층 처리 완료 셀 또는 의미없는 신호를 선택하여 경로 2를 통해 상기 USR 인터페이스부로 출력하는 제 3 수신셀 선택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에이티엠 교환기의 에이티엠계층/물리계층 다중 인터페이스 모듈.
  11.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수신셀 경로제어부는, 운용자 정합부로부터 여러 개의 예비 물리계층 처리보드 운용 명령이 전달되는 경우 제 2 수신셀 선택부가 제 1 수신셀 선택부에 의해 선택된 최적 물리계층 처리 완료 셀을 선택하고, 제 3 수신셀 선택부는 의미없는 신호를 선택하여, 상기 제 2 수신셀 선택부에 의해 선택된 최적 물리계층 처리 완료 셀을 경로 1을 통해 USR 인터페이스부로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에이티엠 교환기의 에이티엠계층/물리계층 다중 인터페이스 모듈.
  12.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수신셀 경로제어부는, 운용자 정합부로부터 서로 다른 여러 개의 물리계층 처리보드 운용 명령이 전달되는 경우 제2 수신셀 선택부가 제 1 수신셀 선입선출부를 경유하여 전달되는 물리계층 처리 완료 셀을 선택하여 경로 1을 통해 USR 인터페이스부로 출력하고, 제 3 수신셀 선택부가 제 2 수신셀 선입선출부를 경유하여 전달되는 물리계층 처리 완료 셀을 선택하여 경로 2를 통해 USR 인터페이스부로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에이티엠 교환기의 에이티엠계층/물리계층 다중 인터페이스 모듈.
  13.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다중 물리계층 정합부는, 상기 ATM계층 처리 디바이스들로부터 일련의 ATM계층 처리완료 셀을 일대일 전송 받은 후, 상기 ATM계층 처리완료 셀을 상기 각 물리계층 처리보드들로 전송하는 역할을 더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에이티엠 교환기의 에이티엠계층/물리계층 다중 인터페이스 모듈.
  14. 제 13 항에 있어서,
    상기 다중 물리계층 정합부는, 상기 ATM계층 처리 디바이스와 일대일 인터페이스하며, 상기 ATM계층 처리 디바이스로부터 출력되는 상기 ATM계층 처리완료 셀을 수신하는 UST 인터페이스부와;
    상기 운용자 정합부와 연동되며, 상기 운용자 정합부로부터 전달되는 물리계층 처리보드 운용 명령에 따라 상기 UST 인터페이스부를 경유하여 서로 다른 경로로 전달되는 ATM계층 처리완료 셀들 중에서 하나를 선택하여 출력하거나, 상기 서로 다른 경로로 전달되는 ATM계층 처리완료 셀들을 각각 선택하여 출력하는 하나 이상의 송신셀 경로제어부와;
    상기 송신셀 경로제어부와 일련의 신호연결관계를 형성하며, 상기 송신셀 경로제어부를 경유하여 전달되는 상기 ATM계층 처리완료 셀을 입력순서에 따라 일시 저장하는 다수의 송신셀 선입선출부들과;
    상기 송신셀 선입선출부들과 일련의 신호연결관계를 형성하며, 상기 각 물리계층 처리보드에 소속된 각 물리계층 처리 디바이스들과 인터페이스하고, 상기 송신셀 선입선출부들을 경유하여 전달되는 상기 ATM계층 처리완료 셀을 상기 각 물리계층 처리 디바이스들로 동등하게 전송하는 다수의 UMT 인터페이스부들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에이티엠 교환기의 에이티엠계층/물리계층 다중 인터페이스 모듈.
  15. 제 14항에 있어서,
    상기 송신셀 경로제어부는, UST 인터페이스부를 경유하여 전달되는 ATM계층 처리완료 셀을 하나의 송신셀 선입선출부로 직접 출력하는 하나의 경로와;
    운용자 정합부로부터 전달되는 물리계층 처리보드 운용 명령에 따라 상기 UST 인터페이스부를 경유하여 상기 경로 또는 다른 경로로 전달되는 ATM계층 처리완료 셀들 중에서 하나 이상의 ATM계층 처리완료 셀을 선택하여 상기 송신셀 선입선출부를 제외한 다른 송신셀 선입선출부로 출력하는 송신셀 선택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에이티엠 교환기의 에이티엠계층/물리계층 다중 인터페이스 모듈.
  16. 제 15항에 있어서,
    상기 송신셀 선택부는, 운용자 정합부를 통해 여러 개의 예비 물리계층 처리보드 운용 명령이 전달되는 경우 송신셀 선택부가 상기 UST 인터페이스부를 경유하여 전달되는 ATM계층 처리완료 셀들 중에서 상기 송신셀 선입선출부로 직접 출력하는 경로를 통해 전달되는 ATM계층 처리완료 셀을 선택하여 상기 송신셀 선입선출부를 제외한 다른 송신셀 선입선출부로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에이티엠 교환기의 에이티엠계층/물리계층 다중 인터페이스 모듈.
  17. 제 15 항에 있어서,
    상기 송신셀 선택부는, 상기 운용자 정합부를 통해 서로 다른 여러 개의 물리계층 처리보드 운용 명령이 전달되는 경우 상기 UST 인터페이스부를 경유하여 전달되는 ATM계층 처리완료 셀들 중에서 상기 경로를 제외한 다른 경로를 통해 전달되는 하나 이상의 ATM계층 처리완료 셀을 선택하여 상기 송신셀 선입선출부를 제외한 다른 송신셀 선입선출부로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에이티엠 교환기의 에이티엠계층/물리계층 다중 인터페이스 모듈.
KR10-2001-0088024A 2001-07-30 2001-12-29 에이티엠 교환기 및 이에 내장된 에이티엠계층/물리계층다중 인터페이스 모듈 KR100452592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010045903 2001-07-30
KR1020010045903 2001-07-30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0012785A true KR20030012785A (ko) 2003-02-12
KR100452592B1 KR100452592B1 (ko) 2004-10-14

Family

ID=1971270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1-0088024A KR100452592B1 (ko) 2001-07-30 2001-12-29 에이티엠 교환기 및 이에 내장된 에이티엠계층/물리계층다중 인터페이스 모듈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US (1) US20030021277A1 (ko)
KR (1) KR100452592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03571B1 (ko) * 2004-09-24 2006-07-24 삼성전자주식회사 싱글 phy 링크계층소자와 멀티 phy물리계층소자와의 정합장치 및 방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7570646B2 (en) * 2000-10-02 2009-08-04 Texas Instruments Incorporated Apparatus and method for an interface unit for data transfer between a host processing unit and a multi-target digital signal processing unit in an asynchronous transfer mode
CN104125153B (zh) * 2014-08-12 2018-04-27 华为技术有限公司 网络拓扑发现方法和设备

Family Cites Familie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80054672A (ko) * 1996-12-27 1998-09-25 유기범 Atm 교환기에서 atm 계층 수신 처리장치
KR100298361B1 (ko) * 1998-06-29 2001-08-07 윤종용 비동기전송모드계층과 다중물리계층간의 비동기전송모드셀핸드쉐이킹방법
US6381245B1 (en) * 1998-09-04 2002-04-30 Cisco Technology, Inc. Method and apparatus for generating parity for communication between a physical layer device and an ATM layer device
US6356557B1 (en) * 1998-10-14 2002-03-12 Ahead Communications Systems, Inc. Hot insertable UTOPIA interface with automatic protection switching for backplane applications
US6862294B1 (en) * 2000-12-27 2005-03-01 Cisco Technology, Inc. Method and apparatus for overcoming large transport delays between master and slave utopia devices
US6850526B2 (en) * 2001-07-06 2005-02-01 Transwitch Corporation Methods and apparatus for extending the transmission range of UTOPIA interfaces and UTOPIA packet interfaces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03571B1 (ko) * 2004-09-24 2006-07-24 삼성전자주식회사 싱글 phy 링크계층소자와 멀티 phy물리계층소자와의 정합장치 및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030021277A1 (en) 2003-01-30
KR100452592B1 (ko) 2004-10-1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0588169C (zh) 用户、主单元、通信系统及其操作方法
EP0534784B1 (en) Distributed controlled switching network for telephone communications
CN101427522A (zh) 接口单元和具有主从结构的通信系统
US6049534A (en) Communication system
KR100452592B1 (ko) 에이티엠 교환기 및 이에 내장된 에이티엠계층/물리계층다중 인터페이스 모듈
EP0097360B1 (en) Modular self-routing pcm switching network with virtual-channel routing control for distributed-control telephone exchanges
CZ385391A3 (en) Communication system
US6009095A (en) Digital PB exchanger with multi-processor control system using asynchronous transfer mode
JPH08340341A (ja) スイッチング方法及び配置及びそれを用いた電気通信ネットワーク
EP0100585B1 (en) Telecommunications digital switchblock
US5390163A (en) Data exchange capable of minimizing loss of a data block
US7020077B2 (en) Cross-connect matrix task prioritizer
US7075888B1 (en) Method for operating interface modules in an ATM communications device
US6335940B1 (en) Digital data exchange device
GB2188216A (en) Ring bus communications systems
JP2715137B2 (ja) 通信網制御方式
KR100861956B1 (ko) Atm 통신에서의 데이터 전송방법 및 그 방식
KR100776869B1 (ko) 인밴드 아이피시기능이 구비된 에이티엠교환기의망관리시스템 및 그 제어방법
KR200283044Y1 (ko) 교환기 가입자 보드의 직렬 데이터 통신 장치
JPS5989065A (ja) フアクシミリ通信方式
KR100512772B1 (ko) 공통선 신호방식을 사용한 다중 유무선 반송장비의 망관리방법
JP2638508B2 (ja) 網管理方式
WO2005119987A1 (ja) Atm通信におけるデータ転送方法およびその方式
JPS60190050A (ja) 伝送方式
JPH04257197A (ja) 遠隔監視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00930

Year of fee payment: 7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