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512772B1 - 공통선 신호방식을 사용한 다중 유무선 반송장비의 망관리방법 - Google Patents

공통선 신호방식을 사용한 다중 유무선 반송장비의 망관리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512772B1
KR100512772B1 KR10-1998-0026772A KR19980026772A KR100512772B1 KR 100512772 B1 KR100512772 B1 KR 100512772B1 KR 19980026772 A KR19980026772 A KR 19980026772A KR 100512772 B1 KR100512772 B1 KR 10051277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network management
common line
equipment
carrier
line sign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8-002677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00007430A (ko
Inventor
공재철
Original Assignee
삼성탈레스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탈레스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탈레스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1998-002677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512772B1/ko
Publication of KR2000000743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0000743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51277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512772B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QSELECTING
    • H04Q3/00Selecting arrangements
    • H04Q3/0016Arrangements providing connection between exchanges
    • H04Q3/0062Provisions for network management
    • H04Q3/0087Network testing or monitoring arrangement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QSELECTING
    • H04Q2213/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selecting arrangements in general and for multiplex systems
    • H04Q2213/13349Network management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QSELECTING
    • H04Q2213/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selecting arrangements in general and for multiplex systems
    • H04Q2213/16Service observation; Fault circuit; Test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교환기의 공통선 신호처리 기술을 반송장비에 응용하여 장비간 지능적인 통신수단을 제공하기 위한 것으로, 특히 교환기간이나 먹스간의 원거리 전송을 위해 공통선 신호방식을 사용하는 다중 유·무선 반송장비의 망관리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이를 위하여 본 발명은 망관리 장비간의 연결을 하나의 공통선 신호 채널 라인으로 형성하고, 망관리센터로부터 반송장비로 반송 트래픽이 전송되면 상기 반송장비에서 수신된 반송 트래픽으로부터 공통선 신호 데이터를 분리하여 반송장비의 공통선 신호 처리부로 태핑하여 이를 처리함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공통선 신호방식을 사용한 다중 유무선 반송장비의 망관리 방법
본 발명은 교환기의 공통선 신호처리 기술을 반송장비에 응용하여 장비간 지능적인 통신수단을 제공하기 위한 것으로, 특히 교환기간이나 먹스간의 원거리 전송을 위해 공통선 신호방식을 사용하는 다중 유·무선 반송장비의 망관리 방법에 관한 것이다.
종래의 다중 유·무선 반송장비의 망관리 방법은 교환기 또는 MUX의 트래픽을 전달하는 반송 라인과 반송장비간의 케이블링을 하고 별도 망을 구성한 망관리 라인으로 구성하여 상기 다중 유·무선 반송장비의 망을 관리하는 방법을 사용하였다. 이러한 종래 다중 유·무선 반송장비의 망관리 구성을 도 1에 도시하였다. 상기 도 1을 통해 종래 다중 유·무선 반송장비의 망관리 구성 및 망관리 방법을 설명하면;
Y1 10 및 Y2 20은 교환기 또는 MUX로서, 트래픽 및 자신의 망관리 데이터를 전달하는 다수의 반송장비 201-204 및 211…를 구비한다. 또한 상기 교환기(또는 MUX) Y1 10의 망관리를 담당하는 망관리센터 NMC 100으로 구성된다.
또한, 교환기와 각 반송장비, 또는 교환기와 망관리센터 간에는 트래픽을 담당하는 반송라인들 33으로 연결되며, 상기 각 반송장비 간이나 상기 반송장비와 망관리센터 간에는 별도의 라인으로 연결하여 망을 구성하는 망관리 라인 55로 연결되었다. 상기 교환기 Y1과 Y2의 반송장비 H1과 H2 사이는 유선 또는 무선으로 접속되었다.
따라서, 종래 다중 유·무선 반송장비의 망관리를 위해서는 반송장비간의 별도의 케이블 및 유선 포트 등이 필요하고, RS232-C 데이터가 도달할 수 있는 거리 이상일 경우에는 원거리 전송을 위한 별도의 고려가 필요하였다. 또한 망관리 센터 주변 이외의 사이트에서 운용하는 반송장비들에 대해서는 관리할 수 없거나 모뎀등의 다른 수단을 사용하여 망관리 통신을 수행해야 하는 번거로움이 있었다. 이는 하나의 교환기 또는 MUX의 망관리를 담당하는 망관리 센터가 다른 교환기 또는 MUX의 망관리를 담당할 수 없기 때문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상기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공통선 신호방식을 이용하여 교환망을 관리하는 망관리 시스템에 다중 유·무선 반송장비의 망관리도 추가할 수 있도록 하는 망관리 방법을 제공함에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공통선 신호방식을 이용한 교환망의 일반적 망관리 방식인 망관리용 패킷을 수신후 처리에서 발생했던 패킷 저장후 중계(store & forward) 지연이 반송장비에서 또다시 발생되지 않도록 하는 망관리 방법을 제공함에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은 망관리센터와 교환기간이나 교환기와 다중 반송장비간에는 공통선 신호 채널 라인만을 형성하고, 하나의 반송장비가 반송 트래픽을 처리하는 다중화 간선 처리부와 망관리 장비와의 공통선 신호 채널을 처리하는 공통선신호 처리부와 제어부로 구성되는 공통선 신호방식을 사용한 다중 유·무선 반송장비의 망관리 방법에 있어서, 상기 망관리센터로부터 상기 반송장비로 보내오는 망관리용 패킷을 특정 반송장비의 다중화 간선 처리부에서 수신하는 과정과, 상기 다중화 간선 처리부에서 수신되는 망관리용 패킷을 인접한 교환기로 보내는 한편, 상기 망관리용 패킷으로부터 공통선 신호 데이터를 분리하여 상기 공통선 신호 처리부로 태핑하는 과정과, 상기 공통선 신호 처리부로 수신된 공통선 신호 데이터의 상태보고 수신처를 확인하는 과정과, 상기 공통선 신호 데이터의 상태보고 수신처 확인결과 자신에게 보내온 것일 경우 상기 인접한 교환기가 통신을 중지하는 시간동안 자신의 상태보고 패킷을 망관리센터로 전송하는 과정으로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본 발명을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하기의 설명에서 구체적인 처리흐름과 같은 많은 특정 상세들이 본 발명의 보다 전반적인 이해를 제공하기 위해 나타나 있다. 이들 특정 상세들 없이 본 발명이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은 이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는 자명할 것이다. 그리고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공지 기능 및 구성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반송장비의 구성도로서,
망관리를 위한 반송장비는 자신이 속한 교환기 또는 MUX 측과의 반송 트래픽을 처리하는 제1다중화 간선 처리부 210과 인접한 다른 교환기 또는 MUX 측과 반송 트래픽을 처리하는 제2다중화 간선 처리부 211과, 망관리 장비와의 공통선 신호 채널을 처리해 주는 CCS(Common Channel Signaling: 공통선 신호) 처리부 230과, 상기 반송장비를 제어하는 제어부 240으로 구성된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다중 유무선 반송장비의 망관리 구성도로서,
Y1 10은 교환기 또는 MUX로서, 반송 트래픽 및 망관리용 패킷을 전달하는 다수의 반송장비 201-204(이하, 상기 Y1에 속한 반송장비를 H1이라 칭한다.)를 구비하며, 인접한 다른 교환기 또는 MUX인 Y2도 다수의 반송장비(이하, 상기 Y2에 속한 반송장비를 H2라 칭한다.)를 구비한다. 또한 상기 교환기(또는 MUX)들의 망관리를 담당하는 망관리센터(Network Management Center) 100으로 구성된다.
또한, 교환기와 각 반송장비, 또는 교환기와 망관리센터 간에는 공통선 신호 채널 라인들 66으로 연결된다. 상기 교환기 Y1과 Y2의 반송장비 H1과 H2 사이는 유선 또는 무선으로 접속된다.
상술한 도 2 및 도 3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다중 유·무선 반송장비의 망관리 방법을 설명한다.
상기 망관리센터(NMC) 100로부터 교환기를 통해 보내온 망관리용 패킷이 다중화 간선 처리부 210 또는 211에 수신되면, 이를 수신한 다중화 간선 처리부는 인접한 교환기 측으로 망관리용 패킷을 전송하고, 이를 분리하여 상기 CCS 처리부 230으로 공통선 신호 채널의 데이터를 태핑한다. 여기서, 다중화 간선 처리부에서 분리된 공통선 신호 채널 데이터의 CCS 처리부 230로의 태핑은 패킷 단위의 수신과 중계시의 저장 후 처리에 따른 반송장비에서의 시간 지연의 발생을 방지하게 된다.
이렇게 공통선 신호 채널 데이터가 상기 CCS 처리부 230으로 태핑되면 상기 제어부 240은 해당 패킷이 상기 망관리센터 100에서 자신(예를 들어 H1)을 향해 보내온 패킷인지 아니면 다른 반송장비에게 보내는 패킷인지를 구분하여 자신에게 보내온 패킷이 아니면 버리고, 자신에게 보내온 패킷이면 인접한 교환기가 이를 인지하여 처리할 시간이후에 자신의 상태보고 패킷을 상기 망관리센터 100에게 보낸다. 이를 일 예를 들어 자세히 설명하면;
만약, 도 3과 같은 망관리 구성의 망관리센터 100에서 반송장비 H1 201로 공통선 신호라인 66을 이용하여 상태보고 지시용 망관리용 패킷을 보내면 상기 반송장비 H1 201은 제1다중화 간선 처리부 210으로 상기 망관리용 패킷을 수신한 후 이를 인접한 교환기 Y2 20의 반송장비 H2로 보내기 위해 제2다중화 간선 처리부 211로 보내는 한편, 상기 CCS 처리부 230으로 공통선 신호 데이터를 분리하여 태핑한다. 상기 CCS 처리부 230에 공통선 신호 데이터가 태핑되어 수신되면 상기 제어부 240은 상기 CCS 처리부 230에 수신된 공통선 신호 데이터가 자신(반송장비 H1)에게 보내온 패킷인가를 검사한다. 검사결과 상기 제어부 240은 패킷인 것을 확인하면 상기 인접한 교환기 Y2가 통신을 중지하는 시간동안 상기 CCS 처리부 230을 제어하여 자신의 상태보고 패킷을 상기 망관리센터 100에 제1다중화 간선 처리부 210과 공통선 신호라인 66을 통해 전달한다. 이때, 상기 CCS 처리부 230으로 태핑되는 시간은 대략 100mS이다. 따라서, 상기 반송장비 H1에서는 상기 CCS 처리부 230에 망관리용 패킷이 태핑되는 시간, 약 100mS 동안만 지연되고, 반송장비에서의 패킷 저장후 중계에 의한 지연은 없게 된다.
한편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서는 구체적인 실시예에 관하여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범위에서 벗어나지 않는 한도 내에서 여러 가지 변형이 가능함은 물론이다. 그러므로 본 발명의 범위는 설명된 실시예에 국한되어 정해져서는 안되며 후술하는 특허청구의 범위뿐 아니라 이 특허청구의 범위와 균등한 것들에 의해 정해져야 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다중 유·무선 반송장비의 망관리를 위해 공통선 신호방식을 이용하므로써 기존에 반송장비의 망관리를 위해 사용했던 반송장비간의 별도 케이블/입력포트/모뎀 등이 불필요하며, 로컬과 원거리용으로 구분되어 동작하던 반송장비 망관리의 로직이 하나로 통합되어 단순화되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공통선 신호방식을 이용한 교환망의 일반적 망관리 방식인 망관리용 패킷을 수신후 처리(저장후 중계)에서 발생하였던 시간지연을 방지하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종래의 다중 유·무선 반송장비의 망관리 구성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반송장비의 구성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다중 유·무선 반송장비의 망관리 구성도

Claims (2)

  1. 망관리센터와 교환기간이나 교환기와 다중 반송장비간에는 공통선 신호 채널 라인만을 형성하고, 하나의 반송장비가 반송 트래픽을 처리하는 다중화 간선 처리부와 망관리 장비와의 공통선 신호 채널을 처리하는 공통선신호 처리부와 제어부로 구성되는 공통선 신호방식을 사용한 다중 유·무선 반송장비의 망관리 방법에 있어서,
    상기 망관리센터로부터 상기 반송장비로 보내오는 망관리용 패킷을 특정 반송장비의 다중화 간선 처리부에서 수신하는 과정과,
    상기 다중화 간선 처리부에서 수신되는 망관리용 패킷을 인접한 교환기로 보내는 한편, 상기 망관리용 패킷으로부터 공통선 신호 데이터를 분리하여 상기 공통선 신호 처리부로 태핑하는 과정과,
    상기 공통선 신호 처리부로 수신된 공통선 신호 데이터의 상태보고 수신처를 확인하는 과정과,
    상기 공통선 신호 데이터의 상태보고 수신처 확인결과 자신에게 보내온 것일 경우 상기 인접한 교환기가 통신을 중지하는 시간동안 자신의 상태보고 패킷을 망관리센터로 전송하는 과정으로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공통선 신호방식을 사용한 다중 유·무선 반송장비의 망관리 방법.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공통선 신호 데이터의 수신처 확인결과 다른 교환기의 반송장비로 보내는 것일 경우 태핑한 공통선 신호 데이터를 버리는 과정을 더 구비함을 특징으로 하는 공통선 신호방식을 사용한 다중 유·무선 반송장비의 망관리 방법.
KR10-1998-0026772A 1998-07-03 1998-07-03 공통선 신호방식을 사용한 다중 유무선 반송장비의 망관리방법 KR10051277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8-0026772A KR100512772B1 (ko) 1998-07-03 1998-07-03 공통선 신호방식을 사용한 다중 유무선 반송장비의 망관리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8-0026772A KR100512772B1 (ko) 1998-07-03 1998-07-03 공통선 신호방식을 사용한 다중 유무선 반송장비의 망관리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00007430A KR20000007430A (ko) 2000-02-07
KR100512772B1 true KR100512772B1 (ko) 2005-10-26

Family

ID=1954295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8-0026772A KR100512772B1 (ko) 1998-07-03 1998-07-03 공통선 신호방식을 사용한 다중 유무선 반송장비의 망관리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512772B1 (ko)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8191560A (ja) * 1982-05-04 1983-11-08 Nec Corp デイジタル交換機における共通線信号接続方式
US5481673A (en) * 1993-08-20 1996-01-02 Bell Communications Research Inc. Method for cluster routing in direct link using two associated routing tables at node or signaling transfer point
KR970056636A (ko) * 1995-12-22 1997-07-31 양승택 전전자 교환기의 패킷 및 공통선 신호 처리장치
KR19980054738A (ko) * 1996-12-27 1998-09-25 김광호 회선교환 및 패킷교환이 동시에 서비스되고 있는 통신망 및 통신방법
KR19980077844A (ko) * 1997-04-23 1998-11-16 윤종용 공통선신호방식 교환시스템의 망관리 방법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8191560A (ja) * 1982-05-04 1983-11-08 Nec Corp デイジタル交換機における共通線信号接続方式
US5481673A (en) * 1993-08-20 1996-01-02 Bell Communications Research Inc. Method for cluster routing in direct link using two associated routing tables at node or signaling transfer point
KR970056636A (ko) * 1995-12-22 1997-07-31 양승택 전전자 교환기의 패킷 및 공통선 신호 처리장치
KR19980054738A (ko) * 1996-12-27 1998-09-25 김광호 회선교환 및 패킷교환이 동시에 서비스되고 있는 통신망 및 통신방법
KR19980077844A (ko) * 1997-04-23 1998-11-16 윤종용 공통선신호방식 교환시스템의 망관리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00007430A (ko) 2000-02-0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0858241B1 (en) Signaling method for packet network and system
US4383315A (en) Idle time slot seizure and transmission facilities for loop communication system
US6873796B1 (en) Node device and optical path setting method
US9949175B2 (en) Radio access network control method and radio access network
EP0395428B1 (en) Communication protocol for statistical data multiplexers arranged in a wide area network
EP0753950A1 (en) Adaptive repeater system
WO2000002347A3 (en) System and method for switching packets in a network
EP0557019A2 (en) Improved node for a communication network
HK1062973A1 (en) Method and system for exhanging information between communication networks.
SK385491A3 (en) Series binding of communication system
CN101102267A (zh) 包传输装置
US6704302B2 (en) Port prioritizing device
EP0899915B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selectively supplying data packets between media domains in a network repeater
US4698804A (en) Shared data transmission system
US5933427A (en) Switch system employing a N:M switch circuit for routing packets among devices in a data communication network
KR100512772B1 (ko) 공통선 신호방식을 사용한 다중 유무선 반송장비의 망관리방법
EP0731620B1 (en) Handover in a mobile telecommunications network with ATM switch
JP2002185518A (ja) 交換装置
JPS6324742A (ja) パケツト交換輻輳抑止方式
US7036141B1 (en) Transmission system, a method and an apparatus providing access for IP data packets to a firewall protected network
US6389020B1 (en) Customer premise network equipment and data communication method based on single ring configuration
AU635584B2 (en) Local area network
CN111937354B (zh) 数据通信方法、hub站和地球站
US7006515B1 (en) Isochronous queue and buffer management
CN100579251C (zh) 一种实现七号信令长途传输的系统及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726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730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729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729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729

Year of fee payment: 12

EXPY Expiration of ter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