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0012221A - 무산소 구리-은 합금의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무산소 구리-은 합금의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0012221A
KR20030012221A KR1020010046168A KR20010046168A KR20030012221A KR 20030012221 A KR20030012221 A KR 20030012221A KR 1020010046168 A KR1020010046168 A KR 1020010046168A KR 20010046168 A KR20010046168 A KR 20010046168A KR 20030012221 A KR20030012221 A KR 2003001222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oxygen
content
copper
graphite
molten copp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1004616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415260B1 (ko
Inventor
이이주
전주흠
정병근
정병욱
김명한
Original Assignee
(주)삼동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삼동 filed Critical (주)삼동
Priority to KR10-2001-004616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415260B1/ko
Publication of KR2003001222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001222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41526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415260B1/ko

Link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22METALLURGY; FERROUS OR NON-FERROUS ALLOYS; TREATMENT OF ALLOYS OR NON-FERROUS METALS
    • C22FCHANGING THE PHYSICAL STRUCTURE OF NON-FERROUS METALS AND NON-FERROUS ALLOYS
    • C22F1/00Changing the physical structure of non-ferrous metals or alloys by heat treatment or by hot or cold working
    • C22F1/08Changing the physical structure of non-ferrous metals or alloys by heat treatment or by hot or cold working of copper or alloys based thereon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Crystallography & Structural Chemistr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Metallurgy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Conductive Materials (AREA)

Abstract

탄소환원법에 의해 산소함량이 10ppm 미만의 Cu를 제조한 다음 0.043~0.1wt%미만의 Ag을 혼합함으로써, 재결정온도 300℃이상 비커스(vickers)경도 80~120HB이며 표준연동의 도전율(IACS) 100% 이상의 전기전도도를 얻을 수 있는 무산소 구리-은 합금의 제조방법이 개시되어 있다. 본 발명에 따른 구리-은 합금의 제조방법은 탄소환원법을 이용하여 순동(Cu)용탕내 산소제거 및 산화방지를 위해서 미세한 흑연분말로 도포하여 흑연함량을 제어하고, 용탕내에 침적되는 주형이 상부로 이동될 때 상기 흑연분말이 용탕과 함께 주형에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서 연주시 상기 용탕에 침적되는 흑연주형의 깊이를 80㎝로 가지도하여 탄소함량을 0.004wt%로 감소시켜 흑연함량을 제어하는 단계; 흑연함량이 제어되면, 순동(Cu)을 턴디쉬에 통상의 조업시간 보다 10%로 증가 시킨 33분 머물게 하여 산소함량을 5~6ppm 으로 낮추어 산소함량을 제어하는 단계; 및 산소함량이 제어되면, Ag를 투입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이때, Ag는 용탕중에 편석되지 않고 균일하게 분포시키기 위해서 30×50×270mm 크기의 잉고트로 Cu-0,043~0.1미만wt%Ag 모합금을 제조한 후 30×30×20mm의 크기로 절단하여 용탕에 투입한다.

Description

무산소 구리-은 합금의 제조방법{Method for manufacturing non-oxygen Cu-Ag alloy}
본 발명은 무산소 구리-은 합금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탄소환원법에 의해 산소함량이 10ppm 미만의 Cu를 제조한 다음 0.043~0.1wt%미만의 Ag을 혼합함으로써, 재결정온도 300℃이상 비커스(vickers)경도 80~120HB이며 표준연동의 도전율(IACS) 100% 이상의 전기전도도를 얻을 수 있는 무산소 구리-은 합금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순동은 우수한 열 및 전기전도도, 가공성 및 용접성을 가진 금속으로 전자산업은 물론 우주항공산업에 이르기까지 폭넓게 사용되고 있다. 종래에는 일반전기동을 사용해 왔으나 최근에는 전기전자산업의 급속한 발전에 따라 사용되는 부품도 더욱 고성능 및 고정밀화가 요구되어 이러한 추세에 맞추어 엄격한 품질특성을 갖고 있는 고순도 무산소동의 사용이 증가되고 있는 실정이다.
이러한 무산소동은 도전성, 내굴곡성이 뛰어나고, 산소함량이 10ppm 이하이며, 600℃ 이상에서도 수소취화현상이 없어 열처리 가공에 적합한 특성을 보유하고 있어 각종 고성능, 고정밀화된 부품에 적합하다. 그러나 이러한 고순도 무산소동의 우수한 특성에도 불구하고, 재결정온도가 200℃이하로 낮아 사용중에 마찰열, 저항열 및 스파크(spark)등에 의해 부품의 온도가 200℃ 이상으로 상승하게 되는 경우 열화에 의해 강도 및 경도가 떨어져 사용될 수 없는 문제점이 있었다.
그 결과, 현재 국내에서는 전기 및 전자산업의 발달로 인해 재결정온도 300℃ 이상이 요구되는 고속 회전용(20,00~40,000rpm)정류자, 다이오드, 사이리스터(thyristor)등에 소요되는 Cu-Ag 합금의 수요가 증대되고 있는 실정에서 이들 부품소재를 전량 외국에서 수입되고 있다.
본 발명은 탄소환원법에 의해 산소함량이 10ppm 미만의 Cu를 제조한 다음 0.043~0.1wt%미만의 Ag을 혼합함으로써, 재결정온도 300℃ 이상, 비커스(vickers)경도 80~120HB 이며 표준연동의 도전율(IACS) 100% 이상의 전기전도도를 얻을 수 있는 무산소 구리-은 합금의 제조방법을 제공하는데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Cu-Ag 합금의 EPMA 분석 결과를 나타낸 그래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Cu-Ag 합금의 비커스 경도계를 나타낸 그래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Cu-Ag 합금의 Ag 함량에 따른 재결정온도 나타낸 그래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Cu-Ag 합금의 Ag 함량에 따른 재결정온도 및 전기전도도의 변화를 나타낸 그래프이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서 본 발명은,
탄소환원법을 이용하여 순동(Cu)용탕내 산소제거 및 산화방지를 위해서 미세한 흑연분말로 도포하여 흑연함량을 제어하고, 용탕내에 침적되는 주형이 상부로 이동될 때 상기 흑연분말이 용탕과 함께 주형에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서 연주시 상기 용탕에 침적되는 흑연주형의 깊이를 80㎝로 하여 탄소함량을 0.004wt%로 감소시켜 흑연함량을 제어하는 단계(S10);
단계(S10)에서 흑연함량이 제어되면, 순동(Cu)을 턴디쉬에 통상의 조업시간 보다 10%로 증가 시킨 33분 머물게 하여 산소함량을 5~6ppm 으로 낮추어 산소함량을 제어하는 단계(S20); 및
단계(S20)에서 산소함량이 제어되면, Ag를 투입하는 단계(S30)를 포함하는 무산소 구리-은 합금의 제조방법을 제공한다.
바람직하게는, Ag는 용탕중에 편석되지 않고 균일하게 분포시키기 위해서 30×50×270mm 크기의 잉고트로 Cu-0.043~0.1미만wt%Ag 모합금을 제조한 후 30×30×20mm의 크기로 절단하여 용탕에 투입한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르면, 탄소환원법에 의해 산소함량이 10ppm 미만의 Cu를 제조한 다음 0.043~0.1wt%미만의 Ag을 혼합함으로써, 재결정온도 300℃ 이상, 비커스(vickers)경도 80~120HB 이며 표준연동의 도전율(IACS) 100% 이상의 전기전도도를 얻을 수 있는 무산소 구리-은 합금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무산소 구리-은 합금의 제조방법에 대해 설명한다.
본 발명의 무산소 Cu-Ag 합금을 제조하기 위해서는 먼저, 탄소환원법에 사용하여 무산소동을 제조하여야만 한다. 이를 위해 우선, Cu에 포함된 흑연함량을 제어한다(단계 S1). 흑연함량을 제어하기 위해서는 용탕내 산소제거 및 산화방지를 위해서 미세한 흑연분말로 도포한다. 이때, 용탕은 침적되는 주형에 의해서 상부로 이동되는데 주형의 깊이에 따라 탕면의 흑연분말이 용탕과 함께 주형에 유입될 수 있다. 이를 방지하기 위해서 연주시 용탕에 침적되는 흑연주형의 깊이를 80㎝로 가지도록 함으로써 탄소함량을 0.004wt%로 감소시킬 수 있다.
이렇게 흑연함량이 제어(단계 S1)되면, 산소함량을 제어(단계 S2)하게 된다. 이때, 흑연함량이 제어된 Cu를 턴디쉬(tundish)에 통상의 조업시간 보다 10%로 증가 시킨 33분정도 머물게 하여 산화정련시간을 늘림으로서 산소함량을 5~6ppm 으로 낮춘다.
전술한 바와 같이 순동용탕에 흑연 및 산소가 제거되면, 0.043~0.1wt%미만의 Ag를 투입하게 된다(단계 S3). 이러한 Ag를 용탕중에 편석되지 않고 균일하게 분포시키기 위해서는 30×50×270mm 크기의 잉고트로 Cu-0.043~01미만wt%Ag 모합금을 제조한 후 30×30×20mm의 크기로 절단하여 용탕에 투입한다.
탄소환원법에 의해 제조된 Cu-Ag 합금의 물성특성
각각 Cu-0.02wt%Ag, Cu-0.04wt%Ag, Cu-0.06wt%Ag 및 Cu-0.08wt%Ag의 비율을 가지는 Cu-Ag 합금을 업케스트(upcast)법을 이용하여 직경 20mm를 가지는 로드(rod)를 제작한 후 직경 4mm로 인발가공한 시편을 산소분석시(모델명:LECOR0-416)의 산소분석, ICP분석에 의한 Ag분석과 아울러 전기전도도 및 재결정온도를 측정하였다.
(1) 산소 및 Ag함량분석 및 Ag편석조사
Cu-0.02wt%Ag, Cu-0.04wt%Ag, Cu-0.06wt%Ag 및 Cu-0.08wt%Ag의 비율로 주조된 시편들의 산소분석결과 모두 5~6ppm이하로 무산소동의 규격값 10ppm이하보다 낮은 수치를 기록하였다. 또한표 1에 나타난 바와 같이 ICP분석에 의한 Ag함량을 분석한 결과 Cu-0.02wt%Ag, Cu-0.04wt%Ag, Cu-0.06wt%Ag 및 Cu-0.08wt%Ag에 대한 분석값은 0.029wt%Ag, 0.04wt%Ag, 0.046wt%Ag 및 0.071wt%Ag로 나타났다. 여기서 Cu-0.04wt%Ag를 제외하고 Cu-0.02wt%Ag, Cu-0.06wt%Ag 및 Cu-0.08wt%Ag의 경우 목표값에 비해 약간 높거나 낮은 분석결과를 보이고 있는데 이는 순동용탕에 투입된 Ag가 용해 및 주조시 손실이 발생되어 일어난 결과라기보다는 Ag가 투입된 보온로의 순동용탕의 양 측정이 정확하지 못하기 때문에 발생된 결과로 사료된다.
투입량(wt%Ag) 0.02 0.04 0.06 0.08
분석값 0.029 0.044 0.046 0.071
표 1. Cu-Ag 무산소동 제조시 Ag 투입량에 따른 분석결과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구리-은 합금의 EPMA 분석 결과를 나타낸 그래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Cu-0.06wt%Ag 비율로 주조되어 4mm 직경으로 인발 가공된 시편의 단면을 EPMA에 의해 분석한 결과 시편의 단면에서의 Ag편석을 거의 없었다.
(2) 전기전도도 측정
Cu-0.02wt%Ag, Cu-0.04wt%Ag, Cu-0.06wt%Ag 및 Cu-0.08wt%Ag의 비율로 주조된 시편들을 직경 4mm을 가지도록 인발가공한 상태 하에서 각각 50cm로 절단하여벨타입(bell type)전기로에서 500℃, 7시간 풀림(annealing) 시킨 후 더블 브리지(Double Bridge) 저항측정방법(KS D 0240)에 의해 상온에서 도전율을 측정하였다.표 2에는 Ag 함량에 따른 Cu-Ag 합금의 도전율(IACS%)이 나타나 있다.
Ag wt% 횟수 온도(℃) 저항(㏁) 중량(g) 도전율(%) 평균
0.00 1 24.5 0.6855 72.4958 102.00 102.00
0.02 1 23.9 0.68768 72.0858 102.057 102.4265
2 24.0 0.68458 72.0477 102.614
3 24.0 0.68443 72.0858 102.549
4 24.0 0.68494 72.1093 102.486
0.04 1 24.0 0.68329 72.1862 102.610 102.4025
2 24.0 0.68469 72.2456 102.316
3 24.3 0.68713 72.1310 102.237
4 24.5 0.68560 72.2019 102.447
0.06 1 24.6 0.68718 72.4018 101.970 102.0365
2 24.6 0.68652 72.3548 102.134
3 24.5 0.68690 72.4696 101.875
4 24.5 0.68558 72.4020 102.167
0.08 1 24.6 0.68918 72.1850 101.979 102.199
2 24.6 0.68789 72.4013 101.865
3 24.7 0.68798 72.3726 101.933
4 24.7 0.68936 72.1670 102.019
표 7. 은(Ag) 함량에 따른 Cu-Ag 합금의 도전율(IACS%)
여기서 0.02~0.08wt% Ag의 모든 범위에서 도전율(IACS) 100%이상을 나타냈으며, 주어진 Ag함량 범위 내에서는 Ag함량의 증가에 따른 전기전도도의 하락은 매우 작았다.
(3) 재결정온도 측정
직경 20mm를 가지는 주괴로부터 직경 4mm를 가지도록 인발가공된 Cu-Ag 합금 시편을 ±1℃ 범위에서 온도조절이 가능한 전기로를 사용하여 150~450℃ 온도범위내에서 30분간 열처리 한 후, 비커스(vickers) 경도계를 사용하여 경도를 측정하였다(도 2참조).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Cu-Ag 합금의 Ag 함량에 따른 재결정온도 나타낸 그래프이며, 그리고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Cu-Ag 합금의 Ag 함량에 따른 재결정온도 및 전기전도도의 변화를 나타낸 그래프이다. 도 3 및 4을 참조하면, 50% 재결정이 일어나는 재결정온도를 측정한 결과, Cu-0.029wt%Ag는 280℃, Cu-0.044wt%Ag는 295℃, Cu-0.046wt%Ag의 경우에는 310℃, Cu-0.071wt%Ag의 경우에는 330℃였다. 따라서 재결정온도가 300℃ 이상이 되기 위해서는 재결정온도를 구하는 공식에 대입하면 재결정온도 300℃를 얻기 위한 Ag는 0.043wt%임을 알 수 있다.
y(재결정온도(℃))=1172×(Ag함량(wt%))+249
따라서, Ag 함량 0.043wt%~0.1wt%의 범위에서 재결정온도 300℃이상, 전기전도도 100%이상을 얻을 수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무산소 구리-은 합금은 탄소환원법에 의해 제조된 무산소 Cu에 0.043~0.1wt%미만의 Ag을 혼합함으로써, 산소함량이 5~6ppm, 재결정온도 300℃이상 경도 80~120HB이며 표준연동의 도전율(IACS) 100% 이상의 전기전도도를 얻을 수 있는 잇점이 있다.
상기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기술 분야의 숙련된 당업자는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Claims (2)

  1. 탄소환원법을 이용하여 순동(Cu)용탕내 산소제거 및 산화방지를 위해서 미세한 흑연분말로 도포하여 흑연함량을 제어하고, 상기 용탕내에 침적되는 주형이 상부로 이동될 때 상기 흑연분말이 상기 용탕과 함께 상기 주형에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서 연주시 상기 용탕에 침적되는 흑연주형의 깊이를 80㎝로 하여 탄소함량을 0.004wt%로 감소시켜 흑연함량을 제어하는 단계(S1);
    상기 단계(S10)에서 흑연함량이 제어되면, 상기 순동(Cu)을 턴디쉬에 통상의 조업시간 보다 10%로 증가 시킨 33분 머물게 하여 산소함량을 5~6ppm 으로 낮추어 산소함량을 제어하는 단계(S2); 및
    상기 단계(S2)에서 산소함량이 제어되면, Ag를 투입하는 단계(S3)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산소 구리-은 합금의 제조방법.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Ag는 상기 용탕중에 편석되지 않고 균일하게 분포시키기 위해서 30×50×270mm 크기의 잉고트로 Cu-0.043~0.1미만wt%Ag 모합금을 제조한 후 30×30×20mm의 크기로 절단하여 상기 용탕에 투입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산소 구리-은 합금의 제조방법.
KR10-2001-0046168A 2001-07-31 2001-07-31 무산소 구리-은 합금의 제조방법 KR10041526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1-0046168A KR100415260B1 (ko) 2001-07-31 2001-07-31 무산소 구리-은 합금의 제조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1-0046168A KR100415260B1 (ko) 2001-07-31 2001-07-31 무산소 구리-은 합금의 제조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0012221A true KR20030012221A (ko) 2003-02-12
KR100415260B1 KR100415260B1 (ko) 2004-01-16

Family

ID=2771740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1-0046168A KR100415260B1 (ko) 2001-07-31 2001-07-31 무산소 구리-은 합금의 제조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415260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2362326A (zh) * 2009-03-24 2012-02-22 联合材料公司 电触点材料
CN110343879A (zh) * 2019-07-26 2019-10-18 浙江天宁合金材料有限公司 一种无氧铜银合金熔铸生产方法
CN110616353A (zh) * 2019-10-28 2019-12-27 河南科技大学 一种高纯高导铜及其制备方法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1263230A (ja) * 1988-04-13 1989-10-19 Hitachi Cable Ltd 電子通信機器配線用無酸素銅の製造方法
JP2689540B2 (ja) * 1988-11-21 1997-12-10 三菱マテリアル株式会社 低酸素含有銅の製造方法及び製造装置
KR19990046618A (ko) * 1999-04-07 1999-07-05 하태기 무산소동및동합금소재의제조방법및그장치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2362326A (zh) * 2009-03-24 2012-02-22 联合材料公司 电触点材料
CN103794385A (zh) * 2009-03-24 2014-05-14 联合材料公司 电触点材料
CN103794385B (zh) * 2009-03-24 2016-03-30 联合材料公司 电触点材料
CN110343879A (zh) * 2019-07-26 2019-10-18 浙江天宁合金材料有限公司 一种无氧铜银合金熔铸生产方法
CN110616353A (zh) * 2019-10-28 2019-12-27 河南科技大学 一种高纯高导铜及其制备方法
CN110616353B (zh) * 2019-10-28 2021-09-24 河南科技大学 一种高纯高导铜及其制备方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415260B1 (ko) 2004-01-1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RU2375483C2 (ru) Cu-Ni-Si-Co-Cr МЕДНЫЙ СПЛАВ, ИСПОЛЬЗУЕМЫЙ В ЭЛЕКТРОННЫХ КОМПОНЕНТАХ, СПОСОБ ЕГО ПРОИЗВОДСТВА И ЭЛЕКТРОННЫЙ КОМПОНЕНТ, ВЫПОЛНЕННЫЙ ИЗ ЭТОГО СПЛАВА
KR101364542B1 (ko) 연속주조 몰드용 동합금재 및 이의 제조 방법
EP0343292B1 (en) Low thermal expansion casting alloy
CN111992684A (zh) 一种钛青铜合金铸锭的制备方法
KR100415260B1 (ko) 무산소 구리-은 합금의 제조방법
JPH0321622B2 (ko)
US4059437A (en) Oxygen-free copper product and process
KR100895716B1 (ko) 마무리면 조도가 우수한 저탄소 복합 쾌삭강재
RU1831510C (ru) Дисперсионно-твердеющий сплав на основе меди
JPS6017040A (ja) 軟化温度の低い高導電用銅合金
CN112725654B (zh) 一种集成电路用高强高导高韧铜钛合金及其制备方法
JPS6148544A (ja) 軟化温度の低い高導電用銅合金
JP4158337B2 (ja) 連続鋳造鋳型用クロム・ジルコニウム系銅合金の製造方法
KR940002684B1 (ko) 구리-철-코발트-티탄 합금 및 그 제조방법
JPS6158535B2 (ko)
CN116145004B (zh) 高致密度无裂纹的含Al高熵合金及其激光增材制造方法
CN115679149B (zh) 一种高亮泽高耐蚀抗菌装饰锡青铜合金及其制备方法
CN116334441A (zh) 一种易切削高导电无氧铅铜合金及其制备方法
JP6925037B2 (ja) 耐錆性低熱膨張合金
JPH029660B2 (ko)
JPS5837379B2 (ja) 磁性材料
KR100840402B1 (ko) 감압 유도 용해로를 이용한 합금 제조 방법
JPS6179753A (ja) 軟化温度の低い高導電用銅材料の製造方法
JPH01283333A (ja) 高導電性金属材料
CN116287846A (zh) 一种高强高导铜银合金及其制备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102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102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106

Year of fee payment: 12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102

Year of fee payment: 1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102

Year of fee payment: 1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102

Year of fee payment: 1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120

Year of fee payment: 1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