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0011789A - Nhe-3 억제제로서의 2-구아니디노-4-아릴퀴나졸린 - Google Patents

Nhe-3 억제제로서의 2-구아니디노-4-아릴퀴나졸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0011789A
KR20030011789A KR1020027011796A KR20027011796A KR20030011789A KR 20030011789 A KR20030011789 A KR 20030011789A KR 1020027011796 A KR1020027011796 A KR 1020027011796A KR 20027011796 A KR20027011796 A KR 20027011796A KR 20030011789 A KR20030011789 A KR 2003001178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quinazolinylguanidine
chloro
formula
methylphenyl
pheny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2701179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게리케롤프
바이어노르베르트
빌름클라우디아
Original Assignee
메르크 파텐트 게엠베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메르크 파텐트 게엠베하 filed Critical 메르크 파텐트 게엠베하
Publication of KR2003001178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0011789A/ko

Link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7ORGANIC CHEMISTRY
    • C07DHETEROCYCLIC COMPOUNDS
    • C07D239/00Heterocyclic compounds containing 1,3-diazine or hydrogenated 1,3-diazine rings
    • C07D239/70Heterocyclic compounds containing 1,3-diazine or hydrogenated 1,3-diazine rings condensed with carbocyclic rings or ring systems
    • C07D239/72Quinazolines; Hydrogenated quinazolines
    • C07D239/78Quinazolines; Hydrogenated quinazolines with hetero atoms directly attached in position 2
    • C07D239/84Nitrogen atom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11/00Drugs for disorders of the respiratory system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13/00Drugs for disorders of the urinary system
    • A61P13/08Drugs for disorders of the urinary system of the prostat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13/00Drugs for disorders of the urinary system
    • A61P13/12Drugs for disorders of the urinary system of the kidney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21/00Drugs for disorders of the muscular or neuromuscular system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25/00Drugs for disorders of the nervous system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3/00Drugs for disorders of the metabolism
    • A61P3/06Antihyperlipidemic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3/00Drugs for disorders of the metabolism
    • A61P3/08Drugs for disorders of the metabolism for glucose homeostasis
    • A61P3/10Drugs for disorders of the metabolism for glucose homeostasis for hyperglycaemia, e.g. antidiabetic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35/00Antineoplastic agent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43/00Drugs for specific purposes, not provided for in groups A61P1/00-A61P41/00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7/00Drugs for disorders of the blood or the extracellular fluid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7/00Drugs for disorders of the blood or the extracellular fluid
    • A61P7/02Antithrombotic agents; Anticoagulants; Platelet aggregation inhibitor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7/00Drugs for disorders of the blood or the extracellular fluid
    • A61P7/10Antioedematous agents; Diuretic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9/00Drugs for disorders of the cardiovascular system
    • A61P9/08Vasodilators for multiple ind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9/00Drugs for disorders of the cardiovascular system
    • A61P9/10Drugs for disorders of the cardiovascular system for treating ischaemic or atherosclerotic diseases, e.g. antianginal drugs, coronary vasodilators, drugs for myocardial infarction, retinopathy, cerebrovascula insufficiency, renal arteriosclerosi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9/00Drugs for disorders of the cardiovascular system
    • A61P9/12Antihypertensive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Nuclear Medicine, Radiotherapy & Molecular Imaging (AREA)
  • Bioinformatics & Cheminformatics (AREA)
  • Pharmacology & Pharmac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Public Health (AREA)
  • Diabetes (AREA)
  • Hematology (AREA)
  • Cardiology (AREA)
  • Urology & Nephrology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Obesity (AREA)
  • Neurology (AREA)
  • Vascular Medicine (AREA)
  • Neurosurgery (AREA)
  • Emergency Medicine (AREA)
  • Endocrinology (AREA)
  • Orthopedic Medicine & Surgery (AREA)
  • Physical Education & Sports Medicine (AREA)
  • Pulmonology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Pharmaceuticals Containing Other Organic And Inorganic Compounds (AREA)
  • Plural Heterocyclic Compounds (AREA)

Abstract

NHE-3 억제제로서의 화학식 I의 화합물:
[화학식 I]
(단, 상기 식에서,
Ar은 비치환되거나 일-R3-치환된 페닐 또는 나프틸이고,
R1및 R2는 각각 상호 독립적으로 H, A, OA, Hal 또는 CF3이고,
R3은 A, OA, Hal 또는 CF3이고,
A 는 탄소수 1, 2, 3, 4, 5 또는 6인 알킬이고,
Hal은 F, Cl, Br 또는 I이다)
및 이의 생리학적으로 허용가능한 염 및 용매화합물.

Description

NHE-3 억제제로서의 2-구아니디노-4-아릴퀴나졸린{2-Guanidino-4-arylquinazolines as NHE-3 inhibitors}
나트륨/양성자 교환체 서브타입 3의 다른 억제제가 예를 들어 EP 0 825 178에 기재되어 있다.
화학식 I 및 화학식 I'의 화합물은, 다른 목적에 대한 용도를 갖는 것으로서 US 3,131,187에 이미 기재되어 있다.
퀴나졸린일구아니딘 유도체는 문헌[V.I.Shvedov et al. Pharm. Chem. J.(Engl. transl.)1980, 14, 532-538, 또는 Khim. Farm. Zh.1980, 14, 38-43 및 S.C. Bell et al. J. Med. Pharm. Chem.1962, 5, 63-69]에 기재되어 있다.
본 발명은 NHE-3 억제제로서의 화학식 I의 화합물:
(단, 상기 식에서,
Ar은 비치환되거나 일-R3-치환된 페닐 또는 나프틸이고,
R1및 R2는 각각 상호 독립적으로 H, A, OA, Hal 또는 CF3이고,
R3은 A, OA, Hal 또는 CF3이고,
A 는 탄소수 1, 2, 3, 4, 5 또는 6인 알킬이고,
Hal은 F, Cl, Br 또는 I이다)
및 이의 생리학적으로 허용가능한 염 및 용매화합물에 관한 것이다.
화학식 I의 화합물은 또한 화학식 I'의 토토머 화합물:
을 포함한다.
본 발명은 유용한 특성을 갖는 신규 화합물, 특히 약제 제조에 사용할 수 있는 신규 화합물을 찾아내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놀랍게도, 화학식 I의 화합물 및 이의 염은 내성이 우수하고, 나트륨/양성자 교환체 서브유닛 3을 억제한다는 것이 밝혀졌다.
화학식 I의 화합물은 사람 및 동물 의약품의 약제 활성 성분으로 사용할 수 있다.
Na+/H+교환체는, 여섯 가지 이상의 다른 이성질 형태(isoforms)(NHE-1 내지 NHE-6)를 갖는 군(family)으로 나타나며, 이들 모두는 현재 클로닝된 것으로 알려져 있다. 서브타입 NHE-1은 몸 전체의 모든 조직에 존재하도록 분포되어 있는 반면, 다른 NHE 서브타입은, 신장에서 또는 소장의 루멘 벽 및 내강 벽에서와 같은 특정 기관에서 선택적으로 발현된다. 이러한 분포는, 다양한 이성질 형태가 나타내는 특정 기능, 즉 한편으로는 서브타입 NHE-1에 의한 세포내 pH 및 세포 부피 조절, 및 다른 한편으로는 이성질 형태 NHE-2 와 NHE-3에 의한 장과 신장에서의 Na+흡수 및 재흡수를 반영한다. 이성질 형태 NHE-4는 주로 위에서 발견되었다. NHE-5의 발현은 뇌 및 신경 조직에 제한된다. NNE-6은 미토콘드리아의 나트륨/양성자 교환체를 형성하는 이성질형태이다.
이성질 형태 NHE-3은 특히 근위 세뇨관(proximal renal tubuli)의 선단 막에서 발현된다; 따라서, NHE-3 억제제는 특히 신장에 대한 보호 작용을 나타낸다.
NHE-3 이성질 형태의 선택적 억제제는 치료 용도가 다양하다. NHE-3 억제제는, 신장 허혈동안이나, 신장 이식 시 신장의 제거, 수송 및 재관류(reperfusion) 동안의 경우와 같은, NHE 작용을 활성화하는 병태 생리 저산소증 및 허혈 후의 조직 손상 및 세포 괴사를 억제하거나 감소시킨다.
화학식 I의 화합물은, 산소가 저공급된 기관의 세포에 나트륨 및 물이 과도하게 흡수되는 것을 방지한다는 점에서, 세포 보호 작용을 갖는다.
화학식 I의 화합물은 저혈압 작용을 가지며, 고혈압 치료용 약제 활성 성분으로 적합하다. 이들은 또한 이뇨제로 적합하다.
화학식 I의 화합물은, 단독으로나 다른 서브타입 특이성을 갖는 NHE 억제제와 조합하여 항허혈 작용을 가지며, 기관, 예를 들어 신장 및 간을 보호하기 위하여 수술 전후에 혈전증, 아테로마성 동맥경화증, 혈관경련 증상에 사용할 수 있으며, 만성 또는 급성 신부전 증상에 사용할 수 있다.
이들은 또한 졸중, 뇌부종, 신경계 허혈, 다양한 형태의 쇼크, 예를 들어, 알레르기성, 심장병성, 하이포볼라익(hypovolaeic) 또는 박테리아성 쇼크를 치료하기 위하여, 및 예를 들어 중추 수면성 무호흡, 유아 급사, 외과수술후 저산소증의 호흡, 다른 호흡 질환에서의 호흡을 개선하기 위하여 사용할 수 있다.
탄산탈수효소 억제제와 조합하여 호흡 작용을 더 개선할 수 있다.
화학식 I의 화합물은 세포 증식, 예를 들어 섬유아세포 증식 및 평활근 세포증식에 억제 작용을 가지므로, 세포 증식이 일차 또는 이차 원인인 질환의 치료에 사용할 수 있다.
화학식 I의 화합물은 당뇨병의 지발성 합병증, 암, 섬유증, 내피 기능부전, 기관 비대증 및 발육부전, 특히 전립선 발육부전 또는 전립선 비대증에 사용할 수 있다.
이들은 또한 특정 형태의 고혈압, 아테로마성 동맥경화증, 당뇨병 및 증식 질환을 확인 및 구별하기 위한 진단제로 적합하다.
화학식 I의 화합물은 또한 혈청 지단백질 수준에 유리한 효과를 가지므로, 단독으로나 다른 약제와 조합하여 증가된 혈중 지방 수준을 치료하기 위하여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은 또한, 혈전증, 심장, 말초 및 중추 신경계의 허혈 상태, 졸중, 말초 기관 및 사지의 허혈 상태의 치료 및 쇼크 상태의 치료를 위한, 특허청구범위 제 1항에 따른 화학식 I의 화합물 및 이의 생리학적으로 허용가능한 염 및/또는 용매화합물의 용도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또한, 외과적 수술 및 기관 이식에서의 사용 및 수술동안 이식물의 보존 및 저장용 약제를 제조하기 위한, 특허청구범위 제 1항에 따른 화학식 I의 화합물 및 이의 생리학적으로 허용가능한 염 및/또는 용매화합물의 용도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또한, 세포 증식이 일차 또는 이차 원인인 질환의 치료, 지방 신진대사 질환 또는 호흡 장애의 치료 및 예방용 약제를 제조하기 위한, 특허청구범위 제 1항에 따른 화학식 I의 화합물 및 이의 생리학적으로 허용가능한 염 및/또는 용매화합물의 용도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또한, 신장 허혈, 허혈성 장 질환의 치료 또는 급성 또는 만성 신장 질환의 예방용 약제를 제조하기 위한, 특허청구범위 제 1항에 따른 화학식 I의 화합물 및 이의 생리학적으로 허용가능한 염 및/또는 용매화합물의 용도에 관한 것이다.
나트륨/양성자 교환체 서브타입 3을 억제하는 물질의 확인 방법은 예를 들어US 5,871,919에 기재되어 있다.
예를 들어 A와 같이 한번 이상 나타나는 화학식 I의 화합물의 모든 라디칼은 그 의미가 상호 독립적이다.
예를 들어, 수화물이라는 용어는 헤미-, 일- 또는 이수화물을 의미하며, 용매화합물이라는 용어는 예를 들어 메탄올 또는 에탄올과의 알콜 첨가 화합물 등을 의미한다.
상기 화학식에서, A는 알킬로 직쇄 또는 분지쇄이고, 탄소수 1, 2, 3, 4, 5 또는 6이다. A는 메틸, 또한 에틸, 프로필, 이소프로필, 부틸, 이소부틸, 2차-부틸 또는 3차-부틸, 또한 펜틸, 1-, 2- 또는 3-메틸부틸, 1,1-, 1,2- 또는 2,2-디메틸프로필, 1-에틸프로필, 헥실, 1-, 2-, 3- 또는 4-메틸펜틸, 1,1-, 1,2-, 1,3-, 2,2-, 2,3- 또는 3,3-디메틸부틸, 1- 또는 2-에틸부틸, 1-에틸-1-메틸프로필, 1-에틸-2-메틸프로필, 또는 1,1,2- 또는 1,2,2-트리메틸프로필이 바람직하다.
OA는 메톡시, 에톡시, 프로폭시, 이소프로폭시 또는 부톡시가 바람직하다.
Hal은 F, Cl 또는 Br, 또한 I가 바람직하다.
Ar은 비치환된 페닐 또는 나프틸이 바람직하고, 또한 예를 들어 A, 불소, 염소, 브롬, 요오드, 메톡시, 에톡시, 프로폭시, 부톡시 또는 CF3으로 일치환된 페닐 또는 나프틸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본 발명은 특히 상기 라디칼 중 하나 이상이 상기된 바람직한 의미 중 하나를 갖는 화학식 I의 화합물의 용도에 관한 것이다. 화합물 중 몇가지 바람직한 그룹을, 화학식 I에 속하며, 상세한 언급이 없는 라디칼은 화학식 I에서의 의미를 갖는, 하기 화학식 Ia 내지 Il로 나타낼 수 있다.
Ia에서, R1은 H 또는 Hal이고;
Ib에서, R1은 H 또는 Hal이고,
R2는 H이고;
Ic에서, R1은 H 또는 Hal이고,
R2는 H이고,
Ar은 페닐이고;
Id에서, R1은 H 또는 Hal이고,
R2는 H이고,
R3는 A, OA 또는 Hal이고;
Ie에서, Ar은 페닐이고;
If에서, Ar은 페닐이고,
R1및 R2는 각기 상호 독립적으로, H, A, OA, Hal 또는 CF3이고;
Ig에서, Ar은 비치환되거나 일-R3-치환된 페닐이고,
R1은 H 또는 Hal이고,
R2는 H이고,
R3는 A, OA 또는 Hal이고;
Ih에서, Ar은 일-R3-치환된 페닐이고,
R1은 H 또는 Hal이고,
R2는 H이고,
R3는 A, OA 또는 Hal이고;
Ii에서, Ar은 일-R3-치환된 페닐이고,
R1은 H 또는 Hal이고,
R2는 H이고,
R3는 Hal이고;
Ij에서, Ar은 일-R3-치환된 페닐이고,
R1은 H, Hal, OA 또는 A이고,
R2는 H 또는 OA이고,
R3는 Hal이고;
Ik에서, Ar은 비치환되거나 일-R3-치환된 페닐이고,
R1은 H, Hal, OA 또는 A이고,
R2는 H 또는 OA이고,
R3는 Hal이고;
Ii에서, Ar은 비치환되거나 일- 또는 이-R3-치환된 페닐이고,
R1은 H, Hal, OA 또는 A이고,
R2는 H, Hal, OA 또는 A이고,
R3는 Hal 또는 A이고,
A는 탄소수 1, 2, 3 또는 4인 알킬 또는 CF3이다.
본 발명은 또한 하기 그룹에서 선택되는 신규 화합물 및 이의 생리학적으로 허용가능한 염 및 용매화합물에 관한 것이다.
6-클로로-4-(2-플루오로페닐)-2-퀴나졸린일구아니딘,
6-브로모-4-(2-플루오로페닐)-2-퀴나졸린일구아니딘,
6,7-디메톡시-4-페닐-2-퀴나졸린일구아니딘,
7-클로로-4-(2-플루오로페닐)-2-퀴나졸린일구아니딘,
6-클로로-4-(4-메틸페닐)-2-퀴나졸린일구아니딘,
8-메틸-4-페닐-2-퀴나졸린일구아니딘,
6-클로로-4-(2-메틸페닐)-2-퀴나졸린일구아니딘,
6-클로로-4-(4-메틸페닐)-2-퀴나졸린일구아니딘,
6-트리플루오로메틸-4-페닐-2-퀴나졸린일구아니딘,
6-클로로-4-(3,4-디메틸페닐)-2-퀴나졸린일구아니딘,
6-클로로-4-(3-플루오로-4-메틸페닐)-2-퀴나졸린일구아니딘,
6-클로로-4-(3-클로로-4-메틸페닐)-2-퀴나졸린일구아니딘,
6-클로로-4-(4-에틸페닐)-2-퀴나졸린일구아니딘,
6-클로로-4-(4-플루오로메틸페닐)-2-퀴나졸린일구아니딘,
6-클로로-8-플루오로-4-(4-메틸페닐)-2-퀴나졸린일구아니딘,
6-클로로-7-메틸-4-(4-메틸페닐)-2-퀴나졸린일구아니딘,
6-클로로-4-(2,4-디메틸페닐)-2-퀴나졸린일구아니딘,
6-클로로-4-(3-브로모페닐)-2-퀴나졸린일구아니딘,
6-클로로-4-(4-브로모페닐)-2-퀴나졸린일구아니딘,
6-클로로-4-(4-이소프로필페닐)-2-퀴나졸린일구아니딘,
6-클로로-4-(2-브로모페닐)-2-퀴나졸린일구아니딘,
6-클로로-4-(3-플루오로-4-트리플루오로메틸페닐)-2-퀴나졸린일구아니딘,
6-클로로-8-메틸-4-(4-메틸페닐)-2-퀴나졸린일구아니딘,
6-클로로-4-(4-플루오로페닐)-2-퀴나졸린일구아니딘,
6-클로로-4-(2-클로로페닐)-2-퀴나졸린일구아니딘,
4-(3-메틸페닐)-2-퀴나졸린일구아니딘,
6-클로로-4-(3-플루오로페닐)-2-퀴나졸린일구아니딘,
6-클로로-8-클로로-4-페닐-2-퀴나졸린일구아니딘,
6-클로로-7-클로로-4-페닐-2-퀴나졸린일구아니딘.
화학식 I의 화합물 및 이를 제조하기 위한 출발 물질은 또한 문헌(예를 들면, Houben-Weyl, Methoden der organischen Chemie[Methods of Organic Chemistry], Georg-Thieme-Verlag, Stuttgart와 같은 표준 작업서)에 기재된 바와 같은 공지된 방법으로, 엄밀히 말하면 상기 반응에 적합한 공지된 반응조건 하에서 제조한다. 또한, 여기서 상세히 언급되지 않은 공지의 변형된 방법을 사용할 수 있다.
필요한 경우, 출발 물질을 반응 혼합물에서 분리하지 않고 즉시 계속 반응시키도록 동일 반응계에서 형성하여 화학식 I의 화합물이 생성되도록 할 수도 있다.
화학식 I의 2-구아니디노-4-아릴퀴나졸린은 화학식 II의 o-아미노페닐 케톤:
(단, 상기 식에서,
R1, R2및 Ar은 특허청구범위 제 1항에서 정의된 바와 같다)
을 1-시아노구아니딘과 반응시켜 제조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반응은 불활성 용매 중에서 실시한다.
적당한 불활성 용매로는 예를 들어, 헥산, 석유 에테르, 벤젠, 톨루엔 또는 자일렌과 같은 탄화수소류; 트리클로로에틸렌, 1,2-디클로로에탄, 사염화메탄, 클로로포름 또는 디클로로메탄과 같은 염화 탄화수소류; 메탄올, 에탄올, 이소프로판올, n-프로판올, n-부탄올 또는 3차-부탄올과 같은 알콜류; 디에틸 에테르, 디이소프로필 에테르, 테트라히드로퓨란(THF) 또는 디옥산과 같은 에테르류; 에틸렌 글리콜 모노메틸 에테르 또는 모노에틸 에테르, 에틸렌 글리콜 디메틸 에테르(디글림)와 같은 글리콜 에테르류; 아세톤 또는 부탄온과 같은 케톤류; 아세트아미드, N-메틸피롤리돈(NMP), 디메틸아세트아미드 또는 디메틸포름아미드(DMF)와 같은 아미드류; 아세토니트릴과 같은 니트릴류; 디메틸 술폭사이드(DMSO)와 같은 술폭사이드류; 이황화탄소; 포름산 또는 아세트산과 같은 카르복실산류; 니트로메탄 또는 니트로벤젠과 같은 니트로 화합물류; 에틸 아세테이트와 같은 에스테르류, 또는 상기 용매의 혼합물을 들 수 있다.
DMF, 물 또는 알콜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반응은 특히 용매 없이, 즉 용융된 상태로 100 내지 200℃의 온도에서 실시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AlCl3, TiCl4, p-톨루엔술폰산, BF3, 아세트산, 황산, 옥살산, POCl3또는 오산화인과 같은 산성 촉매가 존재하는 것이 유리하다.
바람직한 변형된 방법에는, 반응물 중 하나를 염으로서, 예를 들어 염화물로서 미리 사용하는 것이 포함된다.
화학식 I의 화합물의 제조에 유용한 다른 방법은, 1-시아노구아니딘 대신에, 화학식 III의 화합물:
NH=CX-NH-C(=NH)-NH2
(단, 상기 식에서,
X는 -SA, -SAr, OA 또는 OAr이고,
Ar 및 A는 예를 들어 특허청구범위 제 1항에 정의된 바와 같다)
을 화학식 II의 화합물과 반응시키는 것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마지막으로, 화학식 IV의 2-클로로-4-아릴퀴나졸린:
(단, 상기 식에서,
Ar, R1및 R2는 특허청구범위 제 1항에 정의된 바와 같다)
을 구아니딘과 반응시켜, 화학식 I의 화합물을 제조할 수 있다.
화학식 I의 염기는 산을 사용하여, 예를 들면 동량의 염기와 산을 에탄올과 같은 불활성 용매에서 반응시킨 후 증발시킴으로써 관련 산 부가염으로 전환시킬 수 있다. 이러한 반응에는 특히 생리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염을 얻을 수 있는 산이 적당하다. 따라서, 예를 들면, 황산, 질산, 염화수소산 또는 브롬화수소산과 같은 할로겐화수소산, 오르도인산과 같은 인산, 술팜산 등의 무기산, 또한 특히 예를 들어, 포름산, 아세트산, 프로피온산, 피발산, 디에틸아세트산, 말론산, 숙신산, 피멜산, 푸마르산, 말레산, 락트산, 타르타르산, 말산, 시트르산, 글루콘산, 아스코르브산, 니코틴산, 이소니코틴산, 메탄- 또는 에탄-술폰산, 에탄디술폰산, 2하이드록시-에탄술폰산, 벤젠술폰산, p-톨루엔술폰산, 나프탈렌모노- 및 디술폰산 및 라우릴황산과 같은 지방족성, 지환족성, 방향성지방족성, 방향족성 또는 헤테로고리 모노염기 또는 폴리염기 카르복실산, 술폰산 또는 황산 등의 유기산을 사용할 수 있다. 화학식 I의 화합물을 분리 및/또는 정제하기 위하여 피크르산염과 같은 생리학적으로 허용 가능하지 않은 산의 염을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은 또한, 약제학적 제제를 특히 비화학적 방법으로 제조하기 위한 NHE-3 억제제로서의 화학식 I의 화합물 및/또는 이의 생리학적으로 허용가능한 염의 용도에 관한 것이다. 이 때, 이들은 하나 이상의 고체, 액체 및/또는 반액체 부형제 또는 보조제와 함께 및 필요시 하나 이상의 다른 활성 성분과 조합하여 적당한 투여 형태로 전환될 수 있다.
본 발명은 또한 하나 이상의 화학식 I의 NHE-3 억제제 및/또는 이의 생리학적으로 허용가능한 염 및 용매화합물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약제학적 제제에 관한 것이다.
이러한 제제들은 사람 또는 동물 약제에 사용할 수 있다. 적당한 부형제로는, 신규 화합물과 반응하지 않고, 장(예를 들면, 경구), 비경구 투여 또는 국부 투여에 적합한 유기 또는 무기 물질로서, 예를 들면, 물, 야채기름, 벤질알콜, 알킬렌 글리콜, 폴리에틸렌 글리콜, 글리세롤 트리아세테이트, 젤라틴, 락토오즈 또는 녹말 등의 탄수화물, 마그네슘 스테아레이트, 탈크 또는 바셀린이 있다. 정제, 환제, 제피정, 캅셀제, 산제, 과립제, 시럽제, 주스제 또는 드롭제가 경구 투여에 적합하며, 좌약은 직장투여에, 용액제, 바람직하게는 유성 또는 수성 용액제 및 현탁액제, 에멀젼 또는 이식제는 비경구 투여에 적합하며, 연고제, 크림제 또는 산제, 또는 경피 패치는 국부적용에 적합하다.
본 신규화합물은 또한 동결건조될 수 있으며, 얻어진 동결 건조물은 예를 들어, 주사제의 제조에 사용할 수 있다. 상기 제제는 멸균 처리할 수 있고, 및/또는 윤활제, 방부제, 안정화제 및/또는 습윤제, 유화제, 삼투압에 영향을 주는 염, 완충제, 착색제, 향미제 및/또는 다수의 다른 활성 화합물(예를 들면 1종 이상의 비타민)과 같은 보조제를 함유할 수 있다.
에어로졸 또는 스프레이 형태로 투여하기 적합한 약제학적 제제는 예를 들어 약제학적으로 허용가능한 용매 중의 화학식 I의 활성 성분의 용액제, 현탁액제 또는 에멀젼이 있다.
화학식 I의 화합물 및 이의 생리학적으로 허용가능한 염 및 용매화합물은 상기 질환 또는 질환 상태의 치료 및/또는 예방을 위하여 사용할 수 있다.
일반적으로, 본 발명에 따른 물질은 바람직하게는 투여 단위당 약 0.1 내지 500mg, 특히 1 내지 10mg 의 투여량으로 투여한다. 1일 투여 용량은 체중 1kg당 약 0.001 내지 10mg의 범위가 바람직하다. 그러나, 각 환자의 특정 투여량은 다양한 요인, 예를 들어 투여된 특정 화합물의 효능, 나이, 체중, 일반적인 건강 상태, 성별, 식이, 투여시간 및 경로, 및 배설속도, 병용 약제 및 치료할 특정 질병의 경중에 따라 달라진다. 경구 투여가 바람직하다.
하기 그룹에서 선택되는 화합물이 바람직한 NHE-3 억제제이다.
4-페닐-2-퀴나졸린일구아니딘, m.p. 247-250℃(분해);
4-페닐-2-퀴나졸린일구아니딘, 하이드로클로라이드, m.p. 236-238℃;
6-클로로-4-페닐-2-퀴나졸린일구아니딘,
6-클로로-4-페닐-2-퀴나졸린일구아니딘, 하이드로클로라이드, m.p. 309-310℃;
4-(4-브로모페닐)-2-퀴나졸린일구아니딘, 하이드로클로라이드, m.p. 185-189℃;
4-(4-클로로페닐)-2-퀴나졸린일구아니딘, 하이드로클로라이드, m.p. 296-297℃;
4-(4-메톡시페닐)-2-퀴나졸린일구아니딘, 하이드로클로라이드, m.p. 275-277℃;
4-(4-메틸페닐)-2-퀴나졸린일구아니딘, 하이드로클로라이드, m.p. 300-301℃;
6-클로로-4-(2-플루오로페닐)-2-퀴나졸린일구아니딘, 하이드로클로라이드, m.p. 275-276℃;
7-메틸-4-페닐-2-퀴나졸린일구아니딘, 하이드로클로라이드, m.p. 300-301℃;
6-브로모-4-(2-플루오로페닐)-2-퀴나졸린일구아니딘, 하이드로클로라이드, m.p. 294-295℃;
7-클로로-4-페닐-2-퀴나졸린일구아니딘, 하이드로클로라이드, m.p. 288-290℃;
7-메톡시-4-페닐-2-퀴나졸린일구아니딘, 하이드로클로라이드, m.p. 280-282℃;
5-메톡시-4-페닐-2-퀴나졸린일구아니딘, 하이드로클로라이드, m.p. 272-273℃;
6,7-디메톡시-4-페닐-2-퀴나졸린일구아니딘, 하이드로클로라이드, m.p. 220-222℃;
6-메톡시-4-페닐-2-퀴나졸린일구아니딘, 하이드로클로라이드, m.p. 278-279℃;
8-클로로-4-페닐-2-퀴나졸린일구아니딘, 하이드로클로라이드, m.p. 309-310℃;
5-클로로-4-페닐-2-퀴나졸린일구아니딘, 하이드로클로라이드, m.p. 300℃;
7-클로로-4-(2-플루오로페닐)-2-퀴나졸린일구아니딘, 하이드로클로라이드, m.p. 281-283℃;
6-클로로-4-(4-클로로페닐)-2-퀴나졸린일구아니딘, 하이드로클로라이드, m.p. 261-262℃;
6-브로모-4-페닐-2-퀴나졸린일구아니딘, 하이드로클로라이드, decomp. m.p. 291-293℃;
6-메틸-4-페닐-2-퀴나졸린일구아니딘, 하이드로클로라이드, m.p. 295-296℃;
6-플루오로-4-페닐-2-퀴나졸린일구아니딘, 하이드로클로라이드, m.p. 283-285℃;
6-플루오로-4-(4-메틸페닐)-2-퀴나졸린일구아니딘, 하이드로클로라이드, m.p. 193-195℃;
6-클로로-4-(4-메틸페닐)-2-퀴나졸린일구아니딘, 하이드로클로라이드, m.p. 312℃;
8-메틸-4-페닐-2-퀴나졸린일구아니딘, 하이드로클로라이드, m.p. 285-286℃;
6-클로로-4-(2-메틸페닐)-2-퀴나졸린일구아니딘, 하이드로클로라이드, m.p. 308℃;
6-클로로-4-(4-메틸페닐)-2-퀴나졸린일구아니딘, 하이드로클로라이드, m.p. 336℃;
6-트리플루오로메틸-4-페닐-2-퀴나졸린일구아니딘, 하이드로클로라이드, m.p. 300-302℃;
6-클로로-4-(3,4-디메틸페닐)-2-퀴나졸린일구아니딘, 하이드로클로라이드, m.p. 323-325℃;
6-클로로-4-(3-플루오로-4-메틸페닐)-2-퀴나졸린일구아니딘, 하이드로클로라이드, m.p. 317-320℃;
6-클로로-4-(3-클로로-4-메틸페닐)-2-퀴나졸린일구아니딘, 하이드로클로라이드, m.p. 336-338℃;
6-클로로-4-(4-에틸페닐)-2-퀴나졸린일구아니딘, p-톨루엔술포네이트, m.p. 179-184℃;
6-클로로-4-(4-트리플루오로메틸페닐)-2-퀴나졸린일구아니딘, 디하이드로클로라이드, m.p. 329-332℃;
6-클로로-8-플루오로-4-(4-메틸페닐)-2-퀴나졸린일구아니딘, p-톨루엔술포네이트, m.p. 290-300℃;
6-클로로-7-메틸-4-(4-메틸페닐)-2-퀴나졸린일구아니딘, p-톨루엔술포네이트, m.p. 360℃;
6-클로로-4-(2,4-디메틸페닐)-2-퀴나졸린일구아니딘, p-톨루엔술포네이트;
6-클로로-4-(3-브로모페닐)-2-퀴나졸린일구아니딘, 하이드로클로라이드, m.p. 319-323℃;
6-클로로-4-(4-브로모페닐)-2-퀴나졸린일구아니딘, 하이드로클로라이드,m.p. 330℃;
6-클로로-4-(4-이소프로필페닐)-2-퀴나졸린일구아니딘, 하이드로클로라이드, m.p. 326-329℃;
6-클로로-4-(2-브로모페닐)-2-퀴나졸린일구아니딘, 하이드로클로라이드, m.p. 316-318℃;
6-클로로-4-(3-플루오로-4-트리플루오로메틸페닐)-2-퀴나졸린일구아니딘, 하이드로클로라이드, m.p. 230-232℃;
6-클로로-8-메틸-4-(4-메틸페닐)-2-퀴나졸린일구아니딘, 하이드로클로라이드, m.p. 310℃;
6-클로로-4-(4-플루오로페닐)-2-퀴나졸린일구아니딘, 하이드로클로라이드, m.p. 346-348℃;
6-클로로-4-(2-클로로페닐)-2-퀴나졸린일구아니딘, p-톨루엔술포네이트, m.p. 332-336℃;
4-(3-메틸페닐)-2-퀴나졸린일구아니딘, 하이드로클로라이드, m.p. 160-163℃;
6-클로로-4-(3-플루오로페닐)-2-퀴나졸린일구아니딘, 하이드로클로라이드, 308℃부터 분해;
6-클로로-8-클로로-4-페닐-2-퀴나졸린일구아니딘, 하이드로클로라이드, m.p. 163-166℃;
6-클로로-7-클로로-4-페닐-2-퀴나졸린일구아니딘, p-톨루엔술포네이트, m.p.269-271℃.
약리학적 시험
NHE-3 억제제로서의 화학식 I의 특징을 설명하기 위하여 하기 방법을 사용한다.
화학식 I의 화합물은 NHE-1 내지 NHE-3 이성질 형태에 대한 선택성과 관련하여 특징을 갖는다. 세가지 이성질 형태가 마우스 섬유아세포 세포주에서 안정한 형태로 발현되었다. 세포내 아시도시스 후에22Na+의 세포 속으로의 EIPA-감수성 흡수를 측정함으로써 이 화합물의 억제 작용을 평가하였다.
재료 및 방법
다른 NHE 이성질 형태를 발현하는 LAP1 세포주
NHE-1, -2 및 -3 이성질 형태를 발현하는 LAP1 세포주(마우스 섬유아세포 세포주)를 J. Pouyssegur(Nice, France)로부터 입수하였다. 문헌[Franchi et al. (1986)]의 방법으로 트랜스펙션을 실시하였다. 10%의 불활성화된 우태아 혈청(FCS)을 포함하는 둘베코스 변형 이글 배지(Dulbeccos modified eagle medium)(DMEM) 중에 이 세포를 배양하였다. NHE-발현 세포를 선별하기 위하여, 문헌[Sardet et al. (1989)]의 소위 "산 사멸 법(acid killing method)"을 사용하였다. 이 세포를 우선 NH4Cl-함유 무중탄산염 및 무나트륨 완충액에서 30분간 배양하였다. 이어서 무중탄산염, 무 NH4Cl 및 무나트륨 완충액으로 세척하여 세포외 NH4Cl를 제거하였다. 그리고나서, 이 세포를 무중탄산염 NaCl-함유 완충액 중에 배양하였다. 실시된 세포내 산성화에서, NHE를 기능적으로 발현하는 세포들만 생존할 수 있었다.
이성질 형태 선택성에 대한 NHE 억제제의 특징 설명
NHE-1, NHE-2 및 NHE-3 이성질 형태를 발현하는 상기 마우스 섬유아세포 세포주를 사용하여, 문헌[Counillon et al. (1993) 및 Scholz et al.(1995)]에 기재된 방법으로 이성질 형태에 대한 화합물의 선택성을 시험하였다. NH4Cl 프레펄스(prepulse)법 및 연이은 무중탄산염22Na+-함유 완충액 중에서의 배양을 통해, 이 세포를 세포내 산성화하였다. 세포내 산성화로 NHE가 활성화되었고, 세포 내에 나트륨이 흡수되었다. 시험 화합물의 효과는 EIPA(에틸이소프로필아밀로라이드)-감수성22Na+흡수 억제로서 나타났다.
NHE-1, NHE-2 및 NHE-3 를 발현한 세포를 24-웰 미량역가 플레이트에 5-7.5x104세포/웰의 밀도로 넣고, 24 내지 48 시간동안 배양기 바닥 전체가 한층의 세포로 덮이도록 배양하였다. 이 배지를 흡인하여 제거하고, 세포를 NH4Cl 완충액(50mM NH4Cl, 70mM 콜린 클로라이드, 15mM MOPS, pH7.0) 중에 60분동안 37℃로 배양하였다. 이어서, 완충액을 제거하고, 세포를 콜린 클로라이드 세척 완충액(120mM 콜린 클로라이드, 15mM PIPES/트리스, 0.1mM 우아바인, 1mM MgCl2, 2mM CaCl2, pH 7.4)으로 신속하게 두번 도포하였다; 세포를 이 완충액에서 6분간 배양하였다. 배양시간이 끝난 후, 배양 완충액을 흡인하여 제거하였다. 세포외 방사능을 제거하기 위하여, 세포를 얼음-냉각 인산염-완충된 염액(PBS)으로 네번 신속하게 세척하였다. 이어서, 웰당 0.3ml의 0.1N NaOH를 첨가하여 이 세포를 용해시켰다. 세포 단편-함유 용액을 신틸레이션 튜브에 옮겼다. 이어서, 각 웰을 0.3ml의 0.1N NaOH로 두번 세척하였고, 유사하게 세척 용액을 대응하는 신틸레이션 튜브에 도입하였다. 세포 용해물을 함유하는 튜브에 신틸레이션 칵테일을 첨가하고, β-방사선을 측정하여 세포 내에 흡수된 방사능을 확인하였다.
문헌:
Counillon et al.(1993) Mol. Pharmacol. 44: 1041-1045
Franchi et al. (1986) Proc. Natl. Acad. Sci. USA 83: 9388-9392
Morgan and Canessa (1990) J. Membrane Biol. 118, 193-214
Sardet et al. (1989) Cell 56: 271-280
Scholz et al. (1995) Cardivasc. Res. 29: 260-268
하기 실시예는 약제학적 제제에 관한 것이다.
실시예 A: 주사용 바이알
화학식 I의 NHE-3 억제제 100g과 제2인산나트륨 5g을 이차증류수 3ℓ중에 용해시킨 용액을 2N의 염산을 사용하여 pH 6.5로 조절하고, 멸균여과하여 주사용 바이알에 충전하고, 멸균 조건하에 동결건조하고, 무균 밀봉한다. 활성 성분 5mg을 함유하는 주사용 바이알을 얻는다.
실시예 B: 좌제
화학식 I의 NHE-3 억제제 20g을 대두 레시틴 100g과 코코아 버터 1400g과 함께 용융시킨 혼합물을 몰드에 붓고 냉각시킨다. 활성 성분 20mg 함유하는 좌제를 얻는다.
실시예 C: 액제
화학식 I의 NHE-3 억제제 1g, NaH2PO4·2H2O 9.38g, Na2HPO4·12H2O 28.48g 및 벤즈알코늄 클로라이드 0.1g을 이차 증류수 940㎖ 중에 용해시켜 액제를 제조한다. 이 액제를 pH 6.8로 조절하고, 1ℓ로 맞춘후, 방사선에 의해 멸균처리하여 액제를 제조한다. 이 액제는 점안제 형태로 사용할 수 있다.
실시예 D: 연고제
화학식 I의 NHE-3 억제제 500mg을 무균조건하에서 바셀린 99.5g과 혼합하여 연고제를 제조한다.
실시예 E: 정제
화학식 I의 NHE-3 억제제 1kg, 락토오스 4kg, 감자전분 1.2kg, 탈크 0.2kg과 마그네슘 스테아레이트 0.1kg의 혼합물을 통상적 방법으로 압착하여, 각 정제가 활성 성분 10mg을 함유하는 정제를 제조한다.
실시예 F: 제피정
실시예 E와 유사하게, 정제를 압착하고, 이어서 수크로오스, 감자전분, 탈크, 트라가칸트와 착색제로 이루어진 제피를 사용하여 통상의 방법으로 제피하여제피정을 제조한다.
실시예 G: 캅셀제
화학식 I의 NHE-3 억제제 2kg을, 각 캅셀이 활성 성분 20mg을 함유하도록 통상의 방법으로 경질 젤라틴 캅셀에 충전한다.
실시예 H: 앰플
화학식 I의 NHE-3 억제제 1kg을 이차증류수 60l중에 용해시킨 용액을 멸균여과하여 앰플에 충전하고, 멸균조건하에서 동결건조하고, 무균밀봉한다. 활성 성분 10mg 함유하는 앰플을 얻는다.

Claims (7)

  1. NHE-3 억제제로서의 화학식 I의 화합물:
    [화학식 I]
    (단, 상기 식에서,
    Ar은 비치환되거나 일-R3-치환된 페닐 또는 나프틸이고,
    R1및 R2는 각각 상호 독립적으로 H, A, OA, Hal 또는 CF3이고,
    R3은 A, OA, Hal 또는 CF3이고,
    A 는 탄소수 1, 2, 3, 4, 5 또는 6인 알킬이고,
    Hal은 F, Cl, Br 또는 I이다)
    및 이의 생리학적으로 허용가능한 염 및 용매화합물.
  2. 고혈압, 혈전증, 심장, 말초 및 중추 신경계의 허혈 상태, 졸중, 주변 기관 및 사지의 허혈 상태의 치료 및 쇼크 상태의 치료용 약제를 제조하기 위한, 제 1항에 따른 화학식 I의 화합물 및 이의 생리학적으로 허용가능한 염 및/또는 용매화합물의 용도.
  3. 외과적 수술 및 기관 이식에서의 사용 및 수술동안 이식물의 보존 및 저장용 약제를 제조하기 위한, 제 1항에 따른 화학식 I의 화합물 및 이의 생리학적으로 허용가능한 염 및/또는 용매화합물의 용도.
  4. 세포 증식이 일차 또는 이차 원인인 질환의 치료, 지방 신진대사 질환 또는 호흡 장애의 치료 또는 예방용 약제를 제조하기 위한, 제 1항에 따른 화학식 I의 화합물 및 이의 생리학적으로 허용가능한 염 및/또는 용매화합물의 용도.
  5. 신장 허혈, 허혈성 장 질환의 치료 또는 급성 또는 만성 신장 질환의 예방용 약제를 제조하기 위한, 제 1항에 따른 화학식 I의 화합물 및 이의 생리학적으로 허용가능한 염 및/또는 용매화합물의 용도.
  6. 하나 이상의 제 1항에 따른 NHE-3 억제제 및/또는 이의 생리학적으로 허용가능한 염 및/또는 용매화합물을 함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약제학적 제제.
  7. 하기 화합물로 구성되는 그룹에서 선택되는 화합물 및 이의 생리학적으로 허용가능한 염 및 용매화합물.
    6-클로로-4-(2-플루오로페닐)-2-퀴나졸린일구아니딘,
    6-브로모-4-(2-플루오로페닐)-2-퀴나졸린일구아니딘,
    6,7-디메톡시-4-페닐-2-퀴나졸린일구아니딘,
    7-클로로-4-(2-플루오로페닐)-2-퀴나졸린일구아니딘,
    6-클로로-4-(4-메틸페닐)-2-퀴나졸린일구아니딘,
    8-메틸-4-페닐-2-퀴나졸린일구아니딘,
    6-클로로-4-(2-메틸페닐)-2-퀴나졸린일구아니딘,
    6-클로로-4-(4-메틸페닐)-2-퀴나졸린일구아니딘,
    6-트리플루오로메틸-4-페닐-2-퀴나졸린일구아니딘,
    6-클로로-4-(3,4-디메틸페닐)-2-퀴나졸린일구아니딘,
    6-클로로-4-(3-플루오로-4-메틸페닐)-2-퀴나졸린일구아니딘,
    6-클로로-4-(3-클로로-4-메틸페닐)-2-퀴나졸린일구아니딘,
    6-클로로-4-(4-에틸페닐)-2-퀴나졸린일구아니딘,
    6-클로로-4-(4-플루오로메틸페닐)-2-퀴나졸린일구아니딘,
    6-클로로-8-플루오로-4-(4-메틸페닐)-2-퀴나졸린일구아니딘,
    6-클로로-7-메틸-4-(4-메틸페닐)-2-퀴나졸린일구아니딘,
    6-클로로-4-(2,4-디메틸페닐)-2-퀴나졸린일구아니딘,
    6-클로로-4-(3-브로모페닐)-2-퀴나졸린일구아니딘,
    6-클로로-4-(4-브로모페닐)-2-퀴나졸린일구아니딘,
    6-클로로-4-(4-이소프로필페닐)-2-퀴나졸린일구아니딘,
    6-클로로-4-(2-브로모페닐)-2-퀴나졸린일구아니딘,
    6-클로로-4-(3-플루오로-4-트리플루오로메틸페닐)-2-퀴나졸린일구아니딘,
    6-클로로-8-메틸-4-(4-메틸페닐)-2-퀴나졸린일구아니딘,
    6-클로로-4-(4-플루오로페닐)-2-퀴나졸린일구아니딘,
    6-클로로-4-(2-클로로페닐)-2-퀴나졸린일구아니딘,
    4-(3-메틸페닐)-2-퀴나졸린일구아니딘,
    6-클로로-4-(3-플루오로페닐)-2-퀴나졸린일구아니딘,
    6-클로로-8-클로로-4-페닐-2-퀴나졸린일구아니딘,
    6-클로로-7-클로로-4-페닐-2-퀴나졸린일구아니딘.
KR1020027011796A 2000-04-18 2001-03-22 Nhe-3 억제제로서의 2-구아니디노-4-아릴퀴나졸린 KR20030011789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DE10019062.6 2000-04-18
DE10019062A DE10019062A1 (de) 2000-04-18 2000-04-18 2-Guanidino-4-aryl-chinazoline als NHE-3 Inhibitoren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0011789A true KR20030011789A (ko) 2003-02-11

Family

ID=763909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27011796A KR20030011789A (ko) 2000-04-18 2001-03-22 Nhe-3 억제제로서의 2-구아니디노-4-아릴퀴나졸린

Country Status (18)

Country Link
US (1) US20040224965A1 (ko)
EP (1) EP1274691A1 (ko)
JP (1) JP2004501082A (ko)
KR (1) KR20030011789A (ko)
CN (1) CN1422260A (ko)
AR (1) AR028914A1 (ko)
AU (1) AU2001293373A1 (ko)
BR (1) BR0109867A (ko)
CA (1) CA2406161A1 (ko)
DE (1) DE10019062A1 (ko)
HU (1) HUP0300909A3 (ko)
MX (1) MXPA02010264A (ko)
NO (1) NO20024997L (ko)
PL (1) PL356559A1 (ko)
RU (1) RU2002130246A (ko)
SK (1) SK13472002A3 (ko)
WO (1) WO2001079186A1 (ko)
ZA (1) ZA200209274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10043667A1 (de) * 2000-09-05 2002-03-14 Merck Patent Gmbh 2-Guanidino-4-aryl-chinazoline
US6911453B2 (en) * 2001-12-05 2005-06-28 Aventis Pharma Deutschland Gmbh Substituted 4-phenyltetrahydroisoquinolinium, process for their preparation, their use as a medicament, and medicament containing them
IL162316A0 (en) * 2001-12-05 2005-11-20 Aventis Pharma Gmbh Substituted 4-phenyltetrahydroisoquinolines, method for the production thereof, the use thereof as medicaments, in addition t
DE10161767A1 (de) * 2001-12-15 2003-06-26 Merck Patent Gmbh 2-Guanidino-4-heterocyclyl-chinazoline
DE10163239A1 (de) * 2001-12-21 2003-07-10 Aventis Pharma Gmbh Substituierte Imidazolidine, Verfahren zu ihrer Herstellung, ihre Verwendung als Medikament oder Diagnostikum sowie enthaltendes Medikament
US20030187045A1 (en) 2001-12-21 2003-10-02 Uwe Heinelt Substituted imidazolidines, process for their preparation, and their use as a medicament or diagnostic
DE10163914A1 (de) * 2001-12-22 2003-07-03 Aventis Pharma Gmbh Substituierte 4-Phenyltetrahydroisochinolinium-Salze, Verfahren zu ihrer Herstellung, ihre Verwendung als Medikament, sowie sie enthaltendes Medikament
US6703405B2 (en) 2001-12-22 2004-03-09 Aventis Pharma Deutschland Gmbh Substituted 4-phenyltetrahydroisoquinolinium salts, process for their preparation, their use as a medicament, and medicament containing them
DE10163992A1 (de) * 2001-12-24 2003-07-03 Merck Patent Gmbh 4-Aryl-chinazoline
US7049333B2 (en) 2002-06-04 2006-05-23 Sanofi-Aventis Deutschland Gmbh Substituted thiophenes: compositions, processes of making, and uses in disease treatment and diagnosis
US20050054705A1 (en) 2003-02-04 2005-03-10 Aventis Pharma Deutschland Gmbh N-substituted (benzoimidazol-2-yl) phenylamines, process for their preparation, their use as medicament or diagnostic aid, and medicament comprising them
DE10304374A1 (de) 2003-02-04 2004-08-05 Aventis Pharma Deutschland Gmbh Neue substituierte 2-Aminoimidazole, Verfahren zu ihrer Herstellung, ihre Verwendung als Medikament oder Diagnostikum sowie sie enthaltendes Medikament
DE10341240A1 (de) 2003-09-08 2005-04-07 Aventis Pharma Deutschland Gmbh Substituierte Thienoimidazole, Verfahren zu ihrer Herstellung, ihre Verwendung als Medikament oder Diagnostikum sowie sie enthaltendes Medikament
DE102005001411A1 (de) 2005-01-12 2006-07-27 Sanofi-Aventis Deutschland Gmbh Substituierte 4-Phenyltetrahydroisochinoline, Verfahren zu ihrer Herstellung, ihre Verwendung als Medikament, sowie sie enthaltendes Medikament
DE102005044817A1 (de) * 2005-09-20 2007-03-22 Sanofi-Aventis Deutschland Gmbh Substituierte 4-Phenyltetrahydroisochinoline, Verfahren zu ihrer Herstellung, ihre Verwendung als Medikament, sowie sie enthaltendes Medikament
ATE479679T1 (de) 2007-06-28 2010-09-15 Sanofi Aventis Us Llc Verfahren zur herstellung von n-(2-chlor-4-methyl-3-thienyl)-1h-benzimidazol- 2-amin hydrochlorid und zwischenprodukte dafür
EP2342178B1 (en) 2008-09-02 2016-09-28 Sanofi Substituted aminoindanes and analogs thereof, and the pharmaceutical use thereof
WO2018129556A1 (en) 2017-01-09 2018-07-12 Ardelyx, Inc. Compounds and methods for inhibiting nhe-mediated antiport in the treatment of disorders associated with fluid retention or salt overload and gastrointestinal tract disorders
PL2384318T3 (pl) 2008-12-31 2018-04-30 Ardelyx, Inc. Związki i sposoby inhibicji mediowanego przez NHE antyportu w leczeniu zaburzeń związanych z retencją płynów lub nadmiarem soli i chorób przewodu pokarmowego
US20120088737A2 (en) * 2009-10-02 2012-04-12 Ajinomoto Co., Inc Novel acyl guanidine derivatives
US10376481B2 (en) 2012-08-21 2019-08-13 Ardelyx, Inc. Compounds and methods for inhibiting NHE-mediated antiport in the treatment of disorders associated with fluid retention or salt overload and gastrointestinal tract disorders
CN104902930A (zh) 2012-08-21 2015-09-09 阿德利克斯公司 在治疗与液体潴留或盐分过载相关的疾病和胃肠道疾病中用于抑制nhe-介导的反向转运的化合物和方法
WO2014169094A2 (en) 2013-04-12 2014-10-16 Ardelyx, Inc Nhe3-binding compounds and methods for inhibiting phosphate transport
ME03311B (me) 2014-07-25 2019-10-20 Taisho Pharmaceutical Co Ltd Fenil teтrahidroizokvinolinsko jedinjenje supsтituisano heteroarilom
MX2019008170A (es) 2017-01-09 2020-02-07 Ardelyx Inc Compuestos útiles para tratar transtornos del tracto gastrointestinal.
AU2018206479B2 (en) 2017-01-09 2022-07-14 Ardelyx, Inc. Inhibitors of NHE-mediated antiport
CA3071992A1 (en) 2017-08-04 2019-03-28 Ardelyx, Inc. Glycyrrhetinic acid derivatives for treating hyperkalemia
EP3921327B1 (en) 2019-02-07 2023-04-05 Ardelyx, Inc. Glycyrrhetinic acid derivatives for use in treating hyperkalemia
JP2022533251A (ja) 2019-05-21 2022-07-21 アルデリックス, インコーポレイテッド 患者において血清リン酸塩を低下させるための組み合わせ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3131187A (en) * 1964-04-28 Certain z-guantoino-x-aryl-quinazolines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A2406161A1 (en) 2002-10-16
CN1422260A (zh) 2003-06-04
JP2004501082A (ja) 2004-01-15
MXPA02010264A (es) 2003-04-25
BR0109867A (pt) 2003-06-03
NO20024997D0 (no) 2002-10-17
HUP0300909A2 (hu) 2003-10-28
ZA200209274B (en) 2004-02-16
RU2002130246A (ru) 2004-03-27
US20040224965A1 (en) 2004-11-11
PL356559A1 (en) 2004-06-28
NO20024997L (no) 2002-10-17
DE10019062A1 (de) 2001-10-25
AU2001293373A1 (en) 2001-10-30
SK13472002A3 (sk) 2003-02-04
EP1274691A1 (de) 2003-01-15
WO2001079186A1 (de) 2001-10-25
AR028914A1 (es) 2003-05-28
HUP0300909A3 (en) 2004-01-2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30011789A (ko) Nhe-3 억제제로서의 2-구아니디노-4-아릴퀴나졸린
KR20040066856A (ko) 4-아릴퀴나졸린 및 nhe-3 저해제로서의 이의 용도
JP4405593B2 (ja) チエノピリミジン類
US20040039001A1 (en) 2-guanidino-4-aryl-quinazoline
HUT73183A (en) Heterocyclic benzoylguanidine and their salts, pharmaceutical compositions containing them and use of them
CZ20021440A3 (cs) Derivát pyrrolu jako inhibitor fosfodiesterázy VII, jeho pouľití a farmaceutický prostředek, který ho obsahuje
CN103193691B (zh) 磺胺类化合物、药物组合物及其制法和应用
KR20040065233A (ko) 2-구아니디노-4-헤테로사이클일퀴나졸린
CZ289492B6 (cs) Derivát kyseliny benzoové substituované v orto poloze, způsob jeho přípravy a farmaceutický prostředek, který ho obsahuje
CZ20021251A3 (cs) Derivát imidazolu jako inhibitor fosfodiesterázy VII, jeho pouľití a farmaceutický prostředek, který ho obsahuje
WO2020101638A1 (en) 8-cyclopentyl-7-oxo-2-(4-piperazin-1-yl-phenylamino)-7, 8-dihydro-pyrido [2,3-d]pyrimidine-6-carbonitrile and uses thereof in treating proliferative disorders
JP5249918B2 (ja) 置換された1−アミノ−4−フェニル−ジヒドロイソキノリン、それらの製造法、それらの薬剤としての使用、およびそれらを含有する薬剤
CZ274495A3 (en) Derivative of alkyl-5-methylsulfonyl benzoguanidine, process of its preparation and pharmaceutical composition containing thereof
TW200521130A (en) Substituted thienoimidazoles, process for their preparation, their use as a medicament or diagnostic aid, and medicament comprising them
JP2009530324A (ja) 置換された2−アミノ−4−フェニル−ジヒドロキノリン、それらの製造法、それらの薬剤としての使用、およびそれらを含有する薬剤
KR101407697B1 (ko) 아다만틸기를 갖는 설파마이드 유도체를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뇌질환 또는 허혈성 심장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TW202404606A (zh) 8-環戊基-7-側氧基-2-(4-哌嗪-1-基-苯基胺基)-7,8-二氫-吡啶[2,3-d]嘧啶-6-氰基及其用於治療增生性疾病的用途
CN103910718A (zh) 双环取代的吡唑酮偶氮类化合物、其制备方法和用途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Application deemed withdrawn, e.g. because no request for examination was filed or no examination fee was pai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