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0011101A - 정보블록의 연속적인 영역의 매핑 - Google Patents

정보블록의 연속적인 영역의 매핑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0011101A
KR20030011101A KR1020027017518A KR20027017518A KR20030011101A KR 20030011101 A KR20030011101 A KR 20030011101A KR 1020027017518 A KR1020027017518 A KR 1020027017518A KR 20027017518 A KR20027017518 A KR 20027017518A KR 20030011101 A KR20030011101 A KR 2003001110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rea
recorded
recording
information
information block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2701751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914642B1 (ko
Inventor
바크스요하누스엘.
브론듀크로베르트에이.
Original Assignee
코닌클리케 필립스 일렉트로닉스 엔.브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코닌클리케 필립스 일렉트로닉스 엔.브이. filed Critical 코닌클리케 필립스 일렉트로닉스 엔.브이.
Publication of KR2003001110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001110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91464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914642B1/ko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20/00Signal processing not specific to the method of recording or reproducing; Circuits therefor
    • G11B20/10Digital recording or reproducing
    • G11B20/12Formatting, e.g. arrangement of data block or words on the record carriers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27/00Editing; Indexing; Addressing; Timing or synchronising; Monitoring; Measuring tape travel
    • G11B27/10Indexing; Addressing; Timing or synchronising; Measuring tape travel
    • G11B27/19Indexing; Addressing; Timing or synchronising; Measuring tape travel by using information detectable on the record carrier
    • G11B27/28Indexing; Addressing; Timing or synchronising; Measuring tape travel by using information detectable on the record carrier by using information signals recorded by the same method as the main recording
    • G11B27/32Indexing; Addressing; Timing or synchronising; Measuring tape travel by using information detectable on the record carrier by using information signals recorded by the same method as the main recording on separate auxiliary tracks of the same or an auxiliary record carrier
    • G11B27/327Table of contents
    • G11B27/329Table of contents on a disc [VTOC]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27/00Editing; Indexing; Addressing; Timing or synchronising; Monitoring; Measuring tape travel
    • G11B27/002Programmed access in sequence to a plurality of record carriers or indexed parts, e.g. tracks, thereof, e.g. for editing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27/00Editing; Indexing; Addressing; Timing or synchronising; Monitoring; Measuring tape travel
    • G11B27/10Indexing; Addressing; Timing or synchronising; Measuring tape travel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27/00Editing; Indexing; Addressing; Timing or synchronising; Monitoring; Measuring tape travel
    • G11B27/10Indexing; Addressing; Timing or synchronising; Measuring tape travel
    • G11B27/102Programmed access in sequence to addressed parts of tracks of operating record carriers
    • G11B27/105Programmed access in sequence to addressed parts of tracks of operating record carriers of operating discs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27/00Editing; Indexing; Addressing; Timing or synchronising; Monitoring; Measuring tape travel
    • G11B27/10Indexing; Addressing; Timing or synchronising; Measuring tape travel
    • G11B27/19Indexing; Addressing; Timing or synchronising; Measuring tape travel by using information detectable on the record carrier
    • G11B27/24Indexing; Addressing; Timing or synchronising; Measuring tape travel by using information detectable on the record carrier by sensing features on the record carrier other than the transducing track ; sensing signals or marks recorded by another method than the main recording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27/00Editing; Indexing; Addressing; Timing or synchronising; Monitoring; Measuring tape travel
    • G11B27/10Indexing; Addressing; Timing or synchronising; Measuring tape travel
    • G11B27/19Indexing; Addressing; Timing or synchronising; Measuring tape travel by using information detectable on the record carrier
    • G11B27/28Indexing; Addressing; Timing or synchronising; Measuring tape travel by using information detectable on the record carrier by using information signals recorded by the same method as the main recording
    • G11B27/30Indexing; Addressing; Timing or synchronising; Measuring tape travel by using information detectable on the record carrier by using information signals recorded by the same method as the main recording on the same track as the main recording
    • G11B27/3027Indexing; Addressing; Timing or synchronising; Measuring tape travel by using information detectable on the record carrier by using information signals recorded by the same method as the main recording on the same track as the main recording used signal is digitally coded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2220/00Record carriers by type
    • G11B2220/20Disc-shaped record carriers
    • G11B2220/21Disc-shaped record carriers characterised in that the disc is of read-only, rewritable, or recordable type
    • G11B2220/215Recordable discs
    • G11B2220/216Rewritable discs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2220/00Record carriers by type
    • G11B2220/20Disc-shaped record carriers
    • G11B2220/21Disc-shaped record carriers characterised in that the disc is of read-only, rewritable, or recordable type
    • G11B2220/215Recordable discs
    • G11B2220/218Write-once discs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2220/00Record carriers by type
    • G11B2220/20Disc-shaped record carriers
    • G11B2220/25Disc-shaped record carriers characterised in that the disc is based on a specific recording technology
    • G11B2220/2537Optical discs
    • G11B2220/2545CDs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2220/00Record carriers by type
    • G11B2220/20Disc-shaped record carriers
    • G11B2220/25Disc-shaped record carriers characterised in that the disc is based on a specific recording technology
    • G11B2220/2537Optical discs
    • G11B2220/2562DVDs [digital versatile discs]; Digital video discs; MMCDs; HDCD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Optical Recording Or Reproduction (AREA)
  • Signal Processing For Digital Recording And Reproducing (AREA)
  • Indexing, Searching, Synchronizing, And The Amount Of Synchronization Travel Of Record Carriers (AREA)
  • Management Or Editing Of Information On Record Carriers (AREA)

Abstract

기록매체 상에 정보블록을 레코딩하는 방법 및 장치가 개시되어 있다. 본 장치는, 레코딩된 정보블록의 위치를 나타낸 위치 데이터를 레코딩하여 검색하는 제어수단을 갖는다. 상기 제어수단은, 어느 영역에 정보블록을 레코딩하는지를 결정하는 매핑부와 검출부를 구비한다. 상기 영역은, 레코딩 가능한 영역을 구성하는 다수의 연속적인 영역 중 하나이다. 상기 매핑부는, 매핑영역에 있는 유니트 위치에 랜덤 신호 유니트를 레코딩한다. 상기 유니트 위치는, 상기 영역을 나타내고, 상기 랜덤 신호 유니트의 유니트 길이는, 상기 정보블록의 길이보다 작다. 검출부는, 상기 매핑영역에 있는 상기 레코딩된 랜덤 신호 유니트의 존재를 검출하여, 한 영역이 적어도 하나의 정보블록을 포함하는지를 결정한다. 최고위로 기록된 어드레스는, 매핑영역에 있는 최고위 기록 유니트 위치를 검출하고 나서, 상기 레코딩된 마크의 존재에 대해 상기 영역을 검색하여 알 수 있다.

Description

정보블록의 연속적인 영역의 매핑{MAPPING OF CONSECUTIVE REGIONS FOR INFORMATION BLOCKS}
본 발명은, 기록매체의 레코딩 가능한 영역의 트랙에 적어도 하나의 정보블록을 레코딩하는 장치에 관한 것으로, 이때의 상기 정보블록은, 데이터 워드와, 그 정보블록 내에 오류를 정정하는 오류 정정 워드를 포함하고, 상기 트랙은 그 정보블록을 레코딩하는 위치를 나타낸 위치정보가 미리 형성되고, 상기 장치는, 상기 정보블록을 나타낸 마크를 레코딩하는 레코딩수단과, 상기 레코딩된 정보블록의 위치를 나타낸 위치 데이터를 레코딩하여 검색하는 제어수단을 구비하는, 레코딩 장치에 관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기록매체의 레코딩 가능한 영역의 트랙에 적어도 하나의 정보블록을 레코딩하는 방법에 관한 것으로, 이때의 상기 정보블록은, 데이터 워드와, 그 정보블록 내에 오류를 정정하는 오류 정정 워드를 포함하고, 상기 트랙은 그 정보블록을 레코딩하는 위치를 나타낸 위치정보가 미리 형성되고, 상기 방법은, 상기 정보블록을 나타낸 마크를 레코딩하고, 상기 레코딩된 정보블록의 위치를 나타낸 위치 데이터를 레코딩하여 검색하는, 레코딩 방법에 관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적어도 하나의 정보블록을 레코딩하는 레코딩 가능한 영역에 있는 트랙을 포함하고, 그 정보블록은, 데이터 워드와, 그 정보블록 내에 오류를 정정하는 오류 정정 워드를 포함하고, 상기 트랙은 그 정보블록을 레코딩하는 위치를 나타낸 위치정보가 미리 형성되고, 그 레코딩 처리를 제어하는 제어정보가 미리 형성된, 기록매체에 관한 것이다.
US 5,124,966(PHN12887)에는, 기록매체상에 정보신호를 레코딩하는 장치 및 방법이 공지되어 있다. 이 정보는, 데이터 워드와, 그 정보블록 내에 오류를 정정하는 오류 정정 워드를 구비한 정보블록으로 인코딩되어 있다. 이 장치는, 그 정보블록을 나타낸 마크를 레코딩하는 레코딩수단을 구비한다. 적어도 하나의 정보블록의 정보는, 변조된 신호로 변조되어 소정 위치에 미리 형성된 트랙 위치 정보로 나타낸 트랙에 레코딩된다. 이 장치는, 기록매체 상의 특정 영역에 있는 상기 레코딩된 정보블록의 위치를 나타낸 위치 데이터를 레코딩하여 검색하는 제어수단을 갖는다. 임시 콘텐츠 테이블(TOC: Table of contents)은, 상기 특정 영역에 레코딩되어 연속적인 정보신호의 레코딩시에 검색된다. 상기 임시 TOC는, 상기 레코딩된 정보블록의 위치를 나타낸 위치 데이터를 말한다. 정보신호를 레코딩할 때마다, 특정 영역에 추가 데이터가 레코딩되어 있다. 최종 레코딩된 정보의 실제 상태를 검색하기 위해서, 상기 특정 영역은 완전히 판독되어야 한다. CD-R과 같은 1회 기록형 기록매체에는, 위치 데이터를 겹쳐 쓸 수 없어, 위치 데이터의 양이 커져도 된다.
본 발명의 목적은, 위치 데이터를 레코딩하는데 더욱 융통성 있고 신뢰성 있는 시스템을 제공하는데 있다.
상기 목적을 위해, 서두에 기재된 장치는, 상기 제어수단은, 레코딩 가능한 영역을 구성하는 다수의 연속적인 영역 중 어느 한 영역에 정보블록을 레코딩하는지를 결정하고, 상기 기록매체의 상기 영역을 나타낸 매핑영역의 유니트(unit) 위치에 상기 정보블록의 길이보다 거의 작은 길이를 갖는 랜덤 신호 유니트를 레코딩하는 매핑수단과, 상기 레코딩된 랜덤 신호 유니트의 존재를 검출하여 하나의 영역이 적어도 하나의 정보블록을 포함하는 경우 상기 매핑영역으로부터 검색하는 검출수단을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서두에 기재된 방법은, 레코딩 가능한 영역을 구성하는 다수의 연속적인 영역 중 어느 한 영역에 정보블록을 레코딩하는지를 결정하는 단계와, 상기 기록매체의 상기 영역을 나타낸 매핑영역의 유니트(unit) 위치에 상기 정보블록의 길이보다 거의 작은 길이를 갖는 랜덤 신호 유니트를 레코딩하는 단계와, 상기 레코딩된 랜덤 신호 유니트의 존재를 검출하여 하나의 영역이 적어도 하나의 정보블록을 포함하는 경우, 상기 매핑영역으로부터 검색하는 단계를 포함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랜덤 신호 유니트는, 공지된 및/또는 고정된 패턴을 포함하는 어떠한 값을 가져도 되는 데이터를 나타낸 신호 세그먼트를 나타낸다. 이것은, 상기 레코딩 가능한 영역에 레코딩된 데이터의 양을 검출하기 위해, 최대로 검색하려고 하는 위치 데이터의 양은 상기 매핑영역의 사이즈라는 이점이 있다. 따라서, 상기 장치의 레코딩 요구에 대한 응답시간은 짧을 것이다.
본 발명은, 다음 기술에 의거한다. 먼저, 본 발명자는, 레코딩 요구에 대한 레코딩장치의 응답시간의 실질적인 양은, 판독하려고 하는 위치 데이터의 양에 기인한다는 것을 알았다. 둘째로, 본 발명자는, 짧은 랜덤 신호 유니트를 사용한 매핑영역을 레코딩하여 위치 데이터의 양을 감소시킬 수 있다는 것을 알았다. 상기 유니트 길이는, 상기 정보블록의 길이보다 작기 때문에, 상기 레코딩된 랜덤 신호로부터 정보를 검색할 수 없지만, 상기 유니트 위치가 레코딩되었거나 상기 디스크의 레코딩 가능한 영역에 있는 해당 영역의 상태에 대한 정보를 제공하지 못한다는 사실이 있다는 것을 알았다.
본 발명의 제 2 국면에 따르면, 상기 서두에 기재된 상기 기록매체는, 상기 제어정보는, 어느 영역에 정보블록을 레코딩하는지를 나타내는 매핑영역을 관리하기 위해, 레코딩하려고 하는 파라미터를 나타낸 레코딩된 영역 관리정보를 포함하되, 상기 영역이 레코딩 가능한 영역을 구성하는 다수의 연속적인 영역 중 하나이고, 상기 매핑영역이 랜덤 신호 유니트를 레코딩하는 유니트 위치를 갖고, 상기 매핑영역의 유니트 위치가 상기 영역을 나타내며, 상기 랜덤 신호 유니트의 유니트 길이는, 상기 정보블록의 길이보다 실질적으로 작은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장치의 실시예에서는, 상기 제어수단이 상기 기록매체로부터 제어정보를 검색하도록 구성되고, 상기 제어정보가, 상기 매핑영역을 관리하기 위해 레코딩하려고 하는 파라미터를 나타낸 레코딩된 영역 관리정보를 포함한다. 이것은, 상기 레코딩장치가 기록매체의 형태에 따라 매핑영역으로부터 위치 데이터를 검색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따라서, 서로 다른 형태의 기록매체와 서로 다른 구성의 매핑영역은, 단일 레코딩장치에서 사용될 수 있다.
본 장치의 실시예에서는, 상기 미리 형성된 위치 정보가 프레임 길이를 갖는 어드레스 프레임으로 인코딩되어 있는 경우, 상기 유니트 길이가, 거의 상기 프레임 길이와 같다. 이것은, 상기 유니트 길이가 어드레스 프레임에 대응하므로, 정보블록을 판독하는 장치에서 미리 필요한 회로를 사용하여, 쉽게 위치되어 판독될 수있는 이점이 있다.
이때, US 5,293,566에는. 재기록 가능한 형태의 기록매체를 레코딩하는 레코딩장치가 개시되어 있다. 디스크 제어영역에는, 최근에 레코딩된 섹터의 어드레스를 레코딩한다. 이 영역은, 새로운 정보신호가 레코딩될 때마다 재기록된다. 따라서, 자주 재기록되는 디스크 제어영역으로부터 정보를 판독하는 것은, 기록매체의 해당 부분이 마모되기 때문에 신뢰성이 없어지고, 이러한 방법은 1회 기록형 기록매체에 적합하지 않다.
본 발명의 이들 내용과 다른 국면은, 다음의 예들에 의해 설명된 실시예들과 다음의 도면들을 참조하여 더욱 명백해지고 더욱 상세하게 설명될 것이다:
도 1a는 기록매체(평면도)를 나타내고,
도 1b는 기록매체(단면도)를 나타내고,
도 2는 레코딩장치를 나타내고,
도 3은 ADIP와 정보블록의 정렬을 나타내고,
도 4는 ADIP 워드 구조를 나타내며,
도 5는 ADIP 오류 정정구조를 나타내고,
도 6은 ADIP 변조 규칙을 나타내고,
도 7은 물리적 디스크 정보의 테이블,
도 8은 선행 구간 정정 시간을 나타내고,
도 9는 기록매체 섹터 번호 매기기를 나타내고,
도 10은 레코딩된 단일 세션 디스크의 레이아웃을 나타내고,
도 11은 내부 구동 영역을 나타내고,
도 12는 TOC블록의 포맷을 나타내며,
도 13은 세션 항목을 나타내고,
도 14는 레코딩된 영역 표시기를 나타내고,
도 15는 리드인 구역을 나타내고,
도 16은 제어 데이터 블록의 구조를 나타내고,
도 17은 리드아웃 구역을 나타내며,
도 18은 외부 구동영역을 나타낸다.
서로 다른 도면들에서 대응한 소자는 동일한 도면부호를 갖는다.
도 1a는 트랙(9)과 중심 구멍(10)을 갖는 디스크형 기록매체(11)를 나타낸 것이다. 정보를 나타낸 일련의 레코딩된(레코딩하려고 하는) 마크의 위치인 상기 트랙(9)은, 정보층 상의 거의 평행한 트랙을 이루는 나선형 패턴의 회전에 따라 배치되어 있다. 상기 기록매체는, 광학적으로 판독 가능한, 소위 광학디스크로, 레코딩 가능한 형태의 정보층을 갖는다. 레코딩 가능한 디스크의 예로는, CD-R 및 CD-RW 및, 기록 가능한 버전(Version)의 DVD+RW 등의 DVD가 있다. DVD 디스크에 대한 더욱 상세한 내용은, ECMA-267:120mm DVD-Read-Only Disc-(1997)을 참고로 알 수 있다. 상기 정보는, 상기 정보층 상에 트랙을 따라, 예를 들면, 상전이 물질의 결정질 또는 비정질의 광학적으로 검출 가능한 마크를 레코딩하여서 나타내어진다. 레코딩 가능한 형태의 기록매체의 트랙(9)은, 블랭크 기록매체의 제작시에 형성된미리 엠보싱된 트랙구조로 나타내어진다. 이 트랙구조는, 예를 들면, 판독/기록헤드가 주사시에 트랙을 따라 갈 수 있는 프리그루브(14)로 구성된다. 이 트랙구조는, 예를 들면, 통상 정보블록이라고 불리는 정보를 갖는 유니트의 위치를 나타내는 어드레스와 같은 위치정보를 포함한다. 이 위치정보는, 상기와 같은 정보블록의 시작을 위치시키는 특정 동기화 마크를 포함한다. 이 위치정보는, 이하에 설명된 것처럼 변조된 워블을 갖는 프레임으로 인코딩되어 있다.
도 1b는 투명 지지체(15)가 레코딩층(16)과 보호층(17)을 구비한 레코딩 가능형의 기록매체(11)의 선 b-b을 따라 자른 단면도이다. 상기 보호층(17)은, 예를 들면, 레코딩층이 0.6mm 지지체에 있고 0.6mm 그 이상의 지지체가 그 이면에 접합되는 DVD에서와 같이 그 이상의 지지체층을 구비하여도 된다. 상기 프리그루브(14)는, 지지체(15) 재료의 오목부 또는 융기부, 또는 그 주변으로부터 벗어난 재료 특성으로서 구현되어도 된다.
기록매체(11)는, 프레임을 포함한 변조된 신호에 의해 나타낸 정보를 반송하는데 있다. 프레임은, 동기화 신호보다 선행한 소정량의 데이터이다. 통상, 이러한 프레임은, 예를 들면, 패리티 워드와 같은 오류 정정코드도 포함한다. 다수의 이러한 프레임은, 그 이상의 오류 정정워드를 포함한 정보블록으로 이루어진다. 상기 정보블록은, 신뢰성 있게 정보를 검색할 수 있는 최소의 레코딩 가능한 유니트이다. 이러한 레코딩 시스템의 예는, DVD 시스템에 공지되어 있고, 그 시스템에서의 프레임은 172개의 데이터 워드와 10개의 패리티 워드를 반송하고, 208개의 프레임은 ECC 블록으로 이루어진다.
기록매체의 실시예에서는, 트랙(9)이 정보블록을 레코딩하는 위치를 나타낸 위치정보를 미리 형성하였고, 그 레코딩 과정을 제어하는 제어정보를 미리 형성하였다. 상기 제어정보는, 어느 영역에 정보블록을 레코딩하는지를 나타내는 매핑영역을 관리하기 위해 레코딩하려고 하는 파라미터를 나타낸 레코딩된 영역 관리정보를 포함한다. 매핑영역을 관리하는 시스템은, 본 장치에 의해 아래에 설명된다. 그 레코딩된 영역 관리정보는, 예를 들면, 매핑영역의 사이즈 또는 상기 영역의 사이즈와 같은 특정 기록매체에 사용되는 상기 시스템의 특정 파라미터를 결정한다.
도 2는 기록 가능형 또는 재기록 가능형 예를 들면, CD-R 또는 CD-RW와 같은 형태의 기록매체(11) 상에 정보를 기록하는 레코딩장치를 나타낸 것이다. 이 장치는, 기록매체 상의 트랙을 주사하는 레코딩수단을 구비하되, 그 수단이, 상기 기록매체(11)를 회전시키는 구동부(21)와, 헤드(22)와, 상기 트랙의 반경방향으로 상기 헤드(22)를 세밀하게 위치결정하는 위치 결정부(25)와, 제어부(20)를 구비한다. 상기 헤드(22)는, 기록매체의 정보층의 트랙 상에 방사 스폿(23)에 포커싱된 광학 부재를 통해 안내된 방사빔(24)을 발생시키는 공지된 형태의 광학계를 구비한다. 상기 방사빔(24)은, 방사원, 예를 들면 레이저 다이오드에 의해 발생된다. 상기 헤드는, 상기 빔의 광축을 따라 방사빔(24)의 포커스를 이동시키는 포커싱 액추에이터와, 트랙의 중심 상에 반경방향으로 미세한 스폿(23)의 위치 결정을 하는 트랙킹 액추에이터(미도시됨)를 더 구비한다. 상기 트랙킹 액추에이터는, 광학부재를 반경방향으로 이동시키는 코일을 구비하여도 되거나, 이와는 다르게 상기 반사부재의 각도를 변화시키도록 구성되어도 된다. 정보를 기록하려면, 방사선을 제어하여 상기 레코딩층에 광학적으로 검출 가능한 마크를 생성한다. 또한, 판독을 하려면, 통상의 형태, 예를 들면, 판독신호와, 트랙킹 오차신호 및 상기 트랙킹 및 포커싱 액추에이터를 제어하는 포커싱 오차신호를 포함한 그 이상의 검출신호를 발생하는 상기 헤드(22) 내에 있는 4분면 다이오드와 같은 검출기로 상기 정보층에서 반사된 방사선을 검출한다. 상기 판독신호는, 복조기, 역포맷기 및 상기 정보를 검색하는 출력부를 구비한 통상의 형태의 판독처리부(30)에 의해 처리된다. 이에 따라서, 정보를 판독하는 검색수단은, 구동부(21), 헤드(22), 위치결정부(25) 및 판독처리부(30)를 구비한다. 상기 장치는, 입력부(27)를 구비하되, 상기 입력정보를 처리하여 기록신호를 발생하여 상기 헤드(22)를 구동하는 기록처리수단과, 포맷기(28)와 변조기(29)를 구비한 변조수단을 구비한다. 상기 제어부(20)는, 정보의 레코딩 및 검색을 제어하고, 사용자 또는 호스트 컴퓨터로부터 명령을 받도록 구성되어도 된다. 상기 제어부(20)는, 예를 들면 시스템 버스와 같은 제어선(26)을 거쳐 상기 입력부(27), 포맷기(28) 및 변조기(29)에 접속되고, 또한, 상기 판독처리부(30), 상기 구동부(21) 및 위치결정부(25)에 접속된다. 상기 제어부(20)는, 도 3 내지 도 7을 참조하여 아래에 설명된 것과 같은 본 발명에 따라, 예를 들면, 상기 과정 및 기능을 수행하는 마이크로프로세서, 프로그램 메모리 및 제어 게이트와 같은 제어회로를 구비한다. 또한, 상기 제어부(20)는, 논리회로에서 상태 머신으로서 구현되어도 된다. 기록 동작시에, 정보를 나타낸 마크는, 기록매체상에 형성된다. 이 마크들은, 예를 들면, 염료, 합금 또는 상전이 물질 등의 재료로 레코딩할 경우 얻어진, 그들의 주변과 서로 다른 반사계수를 갖는 영역의 형태 또는, 광자기 물질로 레코딩할 경우 얻어진 그들 주변과는 서로 다른 자화 방향을 갖는 영역의 형태와 같은 광학적으로 판독 가능한 어떠한 형태이어도 된다. 광 디스크 상에 레코딩하는 정보의 기록 및 판독 정보와, 사용 가능한 포맷팅, 오류 정정 및 채널 코딩 규칙이, 예를 들면, 종래의 CD 시스템에 잘 알려져 있다. 상기 마크는, 통상 레이저 다이오드로부터 전자기 방사선의 빔(24)을 통해 상기 레코딩층 상에 발생된 스폿(24)에 의해 형성될 수 있다. 사용자 정보는, 입력부(27)에 구성되되, 이 입력부는 아날로그 오디오 및/또는 비디오, 또는 디지털 비압축 오디오/비디오 등의 입력신호에 대한 압축수단을 포함하여도 된다. 적합한 압축수단은, 오디오에 대해서는 WO 98/16014-A1(PHN 16452)에, 비디오에 대해서는 MPEG2 표준에 설명되어 있다. 상기 입력부(27)는, 정보의 단위로 오디오 및/또는 비디오를 처리하여, 제어 데이터를 추가하고, 예를 들면, 오류 정정코드(ECC)를 추가 및/또는 인터리브하는 것과 같은 레코딩 포맷(아래에 설명된 것처럼)에 따라 데이터를 포맷하는 포맷기(28)에 전달된다. 컴퓨터 응용의 경우, 정보의 유니트는, 상기 포맷기(28)에 직접 인터페이싱되어도 된다. 상기 포맷기(28)의 출력으로부터 포맷된 데이터는, 변조부(29)로 전달되고, 이 변조부는 예를 들면, 상기 헤드(22)를 구동하는 변조된 신호를 발생하는 채널 코더를 구비한다. 또한, 상기 변조부(29)는, 그 변조된 신호에 있는 동기화 패턴을 구비하는 동기화수단을 구비한다. 상기 변조부(29)의 입력에 나타낸 포맷된 유니트는, 어드레스 정보를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20)의 제어시에 기록매체의 해당 어드레스 가능한 위치에 기록된다. 상기 장치는, 상기 제어부(20)에 접속된 매핑부(31)를 구비한 매핑수단과, 상기 제어부(20)와 상기 매핑부(31)에 접속된 검출부(32)를 구비한 검출수단을 갖는다. 상기 매핑부(31)는, 특히 랜덤 신호 유니트, 즉, 이하에 설명된 것처럼 어드레스 프레임의 길이를 갖는 랜덤 데이터의 기록신호와 같은 정보트랙을 기록하는 변조부(29)에 접속된 출력(33)을 갖는다. 상기 검출부는, 기록된 마크를 검출하는, 특히 트랙의 기록된 부분이 헤드(22)에 의해 주사될 경우 발생된 HF신호를 검출하는 입력(34)을 갖는다. 상기 제어부(20)는, 상기 레코딩된 정보블록의 위치를 나타낸 위치 데이터를 레코딩하고 검색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상기 매핑부(31)는, 정보블록을 레코딩하는 영역을 결정하도록 구성된다. 이를 위해, 상기 기록매체는, 영역으로 세분되고, 각 영역이 레코딩 가능한 영역을 구성하는 다수의 연속적인 영역 중 하나이다. 적어도 하나의 정보블록을 특정 영역에 레코딩하는 것을 결정한 후, 상기 매핑부는, 기록매체의 매핑영역의 유니트 위치에 랜덤 신호 유니트를 레코딩한다. 상기 매핑영역은, 예를 들면, 상기 레코딩 영역의 소정 부분이 레코딩되지 않은 경우에 레코딩 영역의 상태에 대해서 정보를 관리하는 기록매체의 영역이다. 상기 매핑영역에서 상기 유니트 위치는, 상기 특정 영역을 나타내므로, 유니트 위치가 레코딩된 경우, 이것은 해당 영역이 적어도 하나의 정보블록을 포함한다는 것을 나타낸다. 랜덤 신호 유니트의 유니트 길이는, 실질적으로 상기 정보블록의 길이보다 작으므로, 상기 매핑영역을 위해 필요한 공간의 양은 제한되어 있다. 상기 검출부(32)는, 영역이 특정 유니트 위치에 상기 레코딩된 랜덤 신호 유니트의 존재를 검출하여 적어도 하나의 정보블록을 포함하는 경우, 상기 매핑영역으로부터 검색한다. 예를 들면, 상기 정보블록을 레코딩하는 위치는, 연속적인 어드레스를 갖는다. 최고위로 기록된 유니트 위치는, 레코딩영역에서 최고위로 기록된 영역을 나타낸다. 상기 검출수단은, 상기 매핑영역으로부터 최고위로 기록된 영역을 검출하여 최고위로 기록된 어드레스를 검출한 후, 이어서, 조직적인 검색에 따라 최고위로 기록된 영역 내의 일부 위치에 있는 마크의 존재를 검출하여 최고위로 기록된 어드레스를 검출한다. 이러한 검색은, 대수적 검색이어도 되고, 어드레스는, 마크가 존재하는 경우 테스트하기 위한 영역의 나머지 미공지된 부분의 거의 50%에서 반복적으로 선택된다.
본 장치의 실시예에서는, 상기 매핑영역이 영역의 수에 대응한 유니트 위치의 연속적인 범위를 갖고, 상기 매핑수단은 상기 레코딩영역 내의 상기 영역의 위치에 대응한 유니트 위치의 범위 내의 위치에, 상기 랜덤 신호 유니트를 레코딩하도록 구성된다. 실제 설계에서는, 영역마다의 사이즈는, 예를 들면 각 영역의 사이즈가 640개의 정보블록과 같은 크기이다. 256개의 영역의 적합한 수를 사용하여, 전체 기록매체의 레코딩 영역은 커버된다.
본 장치의 실시예서는, 상기 제어수단(20)이 상기 기록매체로부터 제어정보를 검색하도록 구성된다. 상기 제어정보는, 예를 들면, 상기 프리그루브의 워블에 인코딩된 정보가 미리 형성되어 있고, 상기 레코딩 처리를 제어하는 파라미터를 포함한다. 상기 제어정보는, 상기 매핑영역을 관리하기 위해 기록하려고 하는 파라미터를 나타낸 레코딩된 영역 관리 정보를 포함한다. 상기 매핑부(31)와 상기 검출부(32)는, 상기 레코딩된 영역 관리 정보에 나타낸 파라미터, 예를 들면 상기 매핑영역의 사이즈만큼 특정 값으로 설정되어 있다. 예를 들면, 상기 레코딩된 영역 관리 정보는, 상기 매핑영역의 소정의 사이즈를 갖는 특정 형태의 디스크를 나타낸 디스크형 표시기를 포함한다.
상기 기록매체의 실시예에서는, 상기 미리 형성된 위치정보가, 예를 들면 ADIP 프레임 아래에 기재된 것과 같은 프레임 길이를 갖는 어드레스 프레임에 인코딩된다. 본 장치의 실시예에서는, 상기 매핑부가, 상기 유니트 길이를 상기 프레임 길이와 거의 같게 하면서 상기 랜덤 신호 유니트를 기록한다.
본 장치의 실시예에서는, 상기 제어수단이, TOC 구역의 시작 어드레스에서 레코딩을 증가적으로 시작하는, 기록매체 상의 TOC 구역에 있는 콘텐츠 정보의 테이블을 증가적으로 레코딩하도록 구성된다. 콘텐츠 테이블을 위한 포맷은, 아래에 기재되어 있다. 상기 매핑수단(31)은, 상기 TOC 구역의 종료 어드레스로부터 TOC구역 내의 상기 매핑영역을 레코딩하도록 구성된다. 상기 유니트 위치는, 상기 TOC 구역에서의 최고위 어드레스에서 시작하도록 사용되고, 사용된 연속적인 영역마다 연속적인 하위 어드레스를 갖는 유니트 위치를 기록하여서 나타내어진다. 상세한 포맷 설명은 이하에서 설명하고, 그 유니트 위치는, 소위 레코딩된 영역 표시기라고 불린다. 본 장치의 실시예에서는, 상기 검출수단(32)이, 아래의 식 PSN, 즉
PSN=(E_TOC-L_MAP)*(R_SIZE/U_LEN)+S_RECA
에 의해 최고위로 기록된 어드레스 PSN를 포함하는 영역의 시작 어드레스를 산출하는 산출수단을 구비한다. 상기 식에서 E_TOC는, TOC 구역의 종료 어드레스, L_MAP는 상기 매핑영역에서 최하위로 기록된 유니트 위치의 어드레스, R_SIZE는 각 영역의 사이즈, U_LEN는 랜덤 신호 유니트의 유니트 길이 및 S_RECA는 레코딩 가능한 영역에서 제 1 영역의 시작 어드레스이다. 실제 값은 아래에 주어진다.
본 발명에 따른 정보를 레코딩하는 시스템의 실제 실시예는, 다음과 같다. 상기 시스템은, 4.7Gbyte 및 9.4Gbyte의 용량을 갖는 레코딩 가능한 120mm 광 디스크의 기계적, 물리적 및 광학적 특성을 특정한다. 상기 시스템은, 상기 레코딩되고 레코딩되지 않은 신호의 품질, 데이터의 포맷 및 레코딩 방법을 특정함에 따라서, 이러한 디스크에 의해 정보의 상호교환을 허용한다. 상기 데이터는, 1회 기록되고 비가역형 방법을 사용하여 여러 회 판독될 수 있다. 이들 디스크는, DVD+R로서 구별된다. 트랙 형상은, 다음과 같다. 소위 정보 구역이라고 불리는 상기 레코딩 가능한 영역은, 단일 나선형 그루브로부터 형성된 트랙들을 포함해야 할 것이다. 각 트랙은, 연속적인 나선형의 360°회전을 한다. 그루브에 레코딩이 이루어진다. 상기 정보 구역의 트랙은, 어드레스 인 프리그루브(address-in-pregroove) 또는 ADIP라고 불린 어드레스 정보를 포함한 워블이라고 불리는, 공칭 중심선으로부터 상 변조된 사인곡선(sinusoidal) 편차를 포함한다. 이 트랙은, 정보 구역에서 연속적일 것이다. 상기 그루브 트랙은, 최대 22.0mm의 반경에서 시작하고, 최소 58.50mm의 반경에서 종료된다. 트랙 경로는, 디스크가 광학 헤드에서 볼 때 반시계방향으로 회전하는 경우, 내측(리드인 구역(Lead-in zone)의 시작)에서 외측(리드아웃(Lead-out zone))까지 연속적인 나선형일 것이다. 상기 트랙 피치는, 반경방향으로 측정된 인접 트랙들의 평균 트랙 중심선들 사이에서 측정된 거리이다. 상기 트랙 피치는, 0.74㎛±0.03㎛이다. 상기 정보 구역에 걸친 평균화된 트랙피치는, 0.74㎛±0.01㎛이다. 상기 트랙의 워블은, 4.2656㎛±0.0450㎛의 파장을 갖는 공칭 중심선으로부터의 사인곡선 편차(32 채널비트에 해당)이다. 상기 워블 사인파를 발생하는 발진기의 총 고조파 왜곡은, ≤-40dB이다. 상기 워블은, 워블 사이클을 반전하여 위상 변조된다. 상기 워블 변조에 포함된 정보는, 어드레스 인 프리그루브 또는 ADIP라고 부른다.
도 3은 ADIP와 정보블록의 정렬을 나타낸 것이다. 상기 디스크 상에 레코딩하려고 하는 상기 정보블록(37)은, 상기 워블(38)에서 변조된 ADIP 정보(39)와 정렬되어야 한다. 93개의 워블은, 정보블록의 시작인 2개의 동기 프레임에 해당하는 것을 나타낸다. 각 93개의 워블중, 8개의 워블은, ADIP 정보로 위상 변조된다. 또한, 1개의 워블은, 32개의 채널비트(=32T)와 1개의 ADIP 유니트=2개의 동기 프레임 당 8개의 변조된 워블이다.
도 4는 ADIP 워드 구조를 나타낸다. 52개의 ADIP유니트는, 1개의 ADIP 워드로 각각 그루핑된다. 이것은, 1개의 ADIP 워드가 4×13×2 동기 프레임≡4개의 물리섹터에 해당한다. 각 ADIP 워드는, 1개의 ADIP 동기 유니트 + 51개의 ADIP 데이터 유니트로 이루어진다. 상기 ADIP 동기 유니트=4개의 워드 동기용 반전 워블 + 4개의 단조 워블. 상기 ADIP 데이터 유니트= 1개의 비트 동기용 반전 워블 + 3개의 단조 워블 + 하나의 데이터 비트를 나타낸 4개의 워블(0 참조).
ADIP 워드의 데이터 비트에 포함된 정보는, 다음과 같다:
비트 1 : 이 비트는 보류이고, 0으로 설정된다.
비트 2∼23 : 이들 22 비트는, 물리적 어드레스를 포함한다. 데이터 비트 2는, 최상위비트(MSB)이고, 데이터 비트 23은 최하위비트(LSB)이다. 상기 어드레스는, 각 다음 ADIP 워드에 대해 1씩 증가한다. 정보 구역에 있는 제 1 어드레스는, 물리적어드레스(00C00)가 반경에 위치되어야 할 것이다.
비트 24∼31 : 이들 8 비트는, 디스크에 대한 보조 정보, 예를 들면 레코딩 제어정보를 포함한다. 디스크의 데이터 구역과 리드아웃 구역에서, 상기 보조 바이트는, (00)으로 설정된다. 그 디스크의 리드인 구역에서, 보조 바이트는, 다음과 같이 사용된다:
256개의 연속적인 ADIP 워드로부터 비트 24∼31은, 256바이트의 정보를 갖는 1개의 ADIP 보조 프레임을 구성한다. 각 ADIP 보조 프레임마다의 제 1 바이트는, 256의 배수인 물리적 어드레스(물리적 어드레스=(xxxx00))를 갖는 ADIP 워드에 위치될 것이다. 256바이트의 내용은 도 7에 정의되어 있다.
비트 32∼51 : 이들 20비트는, ADIP 정보용 오류 정정 패리티를 포함한다.
도 5는, ADIP 오류 정정 구조를 나타낸다. ADIP 오류 정정에 대해, ADIP 데이터 비트는, 4비트의 니블로 그루핑되어 있다. 상기 데이터 비트를 니블 어레이로의 매핑은, 도 5에 정의되어 있다. 비트 0은, 더미 비트로, 오류 정정기를 위해 0으로 설정된 것으로서 간주한다.
니블 기반 RS(13,8,6) 코드는, 5개의 패리티 니블 N8∼N12가 다음 나머지 다항식 R(x)에 의해 정의되도록 구성되어 있다:
여기서,
α는 원시 다항식 P(x)=x4+x+1의 원시근 0010이다. 5개의 패리티 니블 N8∼N12의 모든 비트는 레코딩 전에 반전된다.
도 6은 ADIP 변조 규칙을 나타낸다. 이 ADIP 유니트는, 일부 8개의 워블 사이클을 반전하여 변조되다. 도 6a는 ADIP 워드 동기의 변조를 나타내고, 도 6b는 ADIP 0(ZERO)비트의 변조를 나타내고, 도 6c는 ADIP 1(ONE)비트의 변조를 나타낸 것으로,
- PW는 디스크의 내측을 향하여 움직이기 시작하는 포지티브 워블이고,
- NW는 디스크의 외측을 향하여 움직이기 시작하는 네가티브 워블이고,
- 모든 단조 워블은 PW로서 나타내어져 있다.
도 7은 물리적 디스크 정보의 테이블을 나타낸 것이다. 이 물리적 디스크 정보는, 상술한 것처럼 ADIP에 인코딩되어 있다. 이 정보는, 도 7에 도시된 256바이트를 포함한다. 또한, 그것은, 디스크 정보와 기록을 위해 최적 레이저 전력레벨을 결정하는 최적 전력 제어(OPC:optimum power control) 알고리즘을 위해 사용된 값을 포함한다. 이 데이터 내용은,
바이트 0 - 디스크 카테고리 및 버전 번호
비트 b7∼b4는, 디스크 카테고리를 나타내고, 그들은 DVD+R 디스크를 나타낸 1010 로 설정된다.
비트 b3∼b0은, 버전 번호를 나타내고, 그들은 버전을 나타낸 0000으로 설정된다.
바이트 1- 디스크 사이즈 및 최대 전송속도
비트 b7∼b4는 디스크 사이즈를 나타내고, 그들은 120mm 디스크를 나타낸 0000으로 설정된다.
비트 b3∼b0은 최대 판독 전송속도를 나타내고, 그들은 최대 판독 전송속도를 나타내지 않는 1111로 설정된다.
바이트 2 - 디스크 구조
비트 b7∼b4는 0000으로 설정된다.
비트 b3∼b0은 레코딩층(들)의 형태를 나타내고, 그들은 1회 기록 레코딩층을 나타낸 0010으로 설정된다.
바이트 3 - 레코딩 밀도
비트 b7∼b4는 정보 구역에서 평균 채널 비트 길이를 나타내고, 그들은 0.133㎛를 나타낸 0000으로 설정된다.
비트 b3∼b0은 평균 트랙 피치를 나타내고, 그들은, 0.74㎛의 평균 트랙피치를 나타낸 0000으로 설정된다.
바이트 4∼15 - 데이터 구역 할당
바이트 4는 (00)으로 설정된다.
바이트 5∼7은 (030000)으로 설정되어 데이터 구역의 제 1 물리섹터의 PSN 196.608을 나타낸다.
바이트 8은 (00)으로 설정된다.
바이트 9∼11은 (26053F)으로 설정되고, 데이터 구역의 최종 가능한 물리섹터로서 PSN 2.491.711을 나타낸다.
바이트 12∼15는 (00)으로 설정된다.
바이트 16 -(00)은 (00)으로 설정된다.
바이트 17∼18은, 보류임. 이들 바이트는, 보류되고 (00)로 설정된다.
바이트 19∼26은 디스크 제작자 ID. 디스크 제작자는, 이들 3바이트로 나타낸 서로 다른 형태의 매체를 갖는다. 이 필드에 특정 형태의 디스크가 표시된다.
바이트 27∼29 -매체 형태 ID. 디스크 제작자는, 이들 3바이트로 나타낸 서로 다른형태의 매체를 가질 수 있다. 이 특정 디스크 형태는, 이 필드에 나타낸다.
바이트 30 - 제품 개정(revision) 번호. 이 바이트는, 이진법의 제품 개정번호를 나타낸다. 동일한 디스크 제작자 ID와 동일한 제품 ID를 갖는 모든 디스크는, 제품 개정 번호에 상관없이, 동일한 레코딩 특성(소수의 차이만 허용됨 : 제품 개정번호는 레코더와 관련없다)을 가져야 한다. 사용하지 않는 경우 이 바이트는 (00)으로 설정된다.
바이트 31사용중인 물리적 포맷 정보 바이트의 수. 이 바이트는, 실제로 물리적 포맷 정보용으로 사용중인 바이트의 수를 나타낸 하나의 8비트 이진수로 구성된다. 그것은, 물리적 포맷 정보의 첫 번째 54바이트만이 사용된 것을 나타내는 (36)으로설정된다.
바이트 32기준 레코딩 속도. 이 바이트는,
n=10 x vref(정수값에 대한 n개의 라운드 오프)이 되도록, 숫자 n으로서 기준속도로 언급된 상기 디스크의 가능한 최저 레코딩 속도를 나타낸다.
그것은, 3.49m/s의 기준 기록속도를 나타내는 (23)으로 설정된다.
바이트 33최대 레코딩 속도. 이 바이트는,
n=10 x vref(정수값에 대한 n개의 라운드 오프)이 되도록, 상기 디스크의 가능한 최대 레코딩 속도를 나타낸다.
그것은, 8.44m/s의 최대 기록속도를 나타내는 (54)으로 설정된다.
바이트 34파장 λIND. 이 바이트는, 아래의 바이트에서의 최적 기록 파라미터가,
n=파장-600이 되도록, 숫자 n으로서 결정된 레이저의 나노미터 파장을 나타낸다.
바이트 35보류
바이트 36기준속도에서의 최대 판독전력 Pr. 이 바이트는,
n=20 x (Pr-0.7)가 되도록 숫자 n으로서 기준속도에서 밀리와트의 최대 판독전력 Pr을 나타낸다.
바이트 37기준속도에서의 PIND. PIND는, OPC알고리즘에 사용된 Ppo의 결정을 위한 시작값이다. 이 바이트는,
n=20 x (PIND-5)가 되도록 숫자 n으로서 기준 속도에서의 밀리와트의 Ppo의 지시값PIND를 나타낸다.
바이트 38기준속도에서의 βtarget. 이 바이트는,
n=10 x βtarget이 되도록 숫자 n으로서 OPC알고리즘에서 사용된 기준속도에서의 β에 대한 타겟 값, βtarget을 나타낸다.
바이트 39최대 속도에서의 최대 판독전력, Pr. 이 바이트는,
n=20 x (Pr-0.7)이 되도록 숫자 n으로서 최대 속도에서의 밀리와트의 최대 판독전력 Pr을 나타낸다.
바이트 40최대속도에서의 PIND. PIND는, OPC 알고리즘에서 사용된 Ppo의 결정을 위한 시작값이다. 이 바이트는,
n=20 x(PIND-5)가 되도록 숫자 n으로서 최대속도에서의 밀리와트의 Ppo의 지시값 PIND를 나타낸다.
바이트 41최대속도에서의 βtarget. 이 바이트는,
n=10 x βtarget이 되도록 숫자 n으로서 OPC알고리즘에서 사용된 최대속도에서의 β에 대한 타겟 값, βtarget을 나타낸다.
바이트 42기준속도에서의 전류마크≥4에 대한 제 1 펄스 지속기간 Ttop(≥4).
이 바이트는 상기 전류 마크가 기준속도에서 레코딩하기 위해 4T 이상의 마크일 경우 멀티 펄스열을 갖는 제 1 펄스의 지속기간을 나타낸다. 이 값은,
이 되도록 숫자 n으로서 채널 비트 클록 주기의 분수로 표현된다.
바이트 43기준속도에서의 전류마크=3에 대한 제 1 펄스 지속기간 Ttop(=3).
이 바이트는 상기 전류 마크가 기준속도에서 레코딩하기 위해 3T 마크일 경우 멀티 펄스열을 갖는 제 1 펄스의 지속기간을 나타낸다. 이 값은,
이 되도록 숫자 n으로서 채널 비트 클록 주기의 분수로 표현된다.
바이트 44기준속도에서의 멀티 펄스 지속기간 Tmp. 이 바이트는, 기준속도에서 레코딩을 하기 위해 멀티 펄스열을 갖는 제 2 펄스로부터 최종 펄스까지 제 2 펄스의 지속기간을 나타낸다. 이 값은,
이 되도록 숫자 n으로서 채널 비트 클록 주기의 분수로 표현된다.
바이트 45기준속도에서의 최종 펄스 지속기간 Tlp. 이 바이트는, 기준속도에서 레코딩을 하기 위해 멀티 펄스열을 갖는 최종 펄스의 지속기간을 나타낸다. 이 값은,
이 되도록 숫자 n으로서 채널 비트 클록 주기의 분수로 표현된다.
바이트 46기준속도에서의 제 1 펄스 조달기간 dTtop. 이 바이트는, 기준속도에서 레코딩하기 위해 데이터 펄스의 제 2 채널비트를 갖는 후미 구간에 대하여 멀티 펄스열을 갖는 제 1 펄스의 조달기간을 나타낸다. 이 값은,
이 되도록 숫자 n으로서 채널 비트 클록 주기의 분수로 표현된다.
바이트 47기준속도에서의 이전 공간=3에 대한 제 1 펄스 선행구간 정정 dTle. 이 바이트의 비트 7∼비트 4는, 상기 이전 공간이 기준속도에서 레코딩하기 위해 3T공간이었을 경우 멀티 펄스열을 갖는 제 1 펄스에 대한 선행구간 정정을 나타낸다. 이 값은 도 8에 따른 채널비트 클록주기의 분수로 표현된다.
바이트 48최대속도에서의 전류마크≥4에 대한 제 1 펄스 지속기간 Ttop(≥4).
이 바이트는 상기 전류 마크가 최대속도에서 레코딩하기 위해 4T 이상의 마크일 경우 멀티 펄스열을 갖는 제 1 펄스의 지속기간을 나타낸다. 이 값은,
이 되도록 숫자 n으로서 채널 비트 클록 주기의 분수로 표현된다.
바이트 49최대속도에서의 전류마크=3에 대한 제 1 펄스 지속기간 Ttop(3).
이 바이트는 상기 전류 마크가 최대속도에서 레코딩하기 위해 3T 마크일 경우 멀티 펄스열을 갖는 제 1 펄스의 지속기간을 나타낸다. 이 값은,
이 되도록 숫자 n으로서 채널 비트 클록 주기의 분수로 표현된다.
바이트 50최대속도에서의 멀티 펄스 지속기간 Tmp. 이 바이트는, 최대속도에서 레코딩을 하기 위해 멀티 펄스열을 갖는 제 2 펄스부터 최종 펄스까지 제 2 펄스의 지속기간을 나타낸다. 이 값은,
이 되도록 숫자 n으로서 채널 비트 클록 주기의 분수로 표현된다.
바이트 51최대속도에서의 최종 펄스 지속기간 Tlp. 이 바이트는, 최대속도에서 레코딩을 하기 위해 멀티 펄스열을 갖는 최종 펄스의 지속기간을 나타낸다. 이 값은,
이 되도록 숫자 n으로서 채널 비트 클록 주기의 분수로 표현된다.
바이트 52최대속도에서의 제 1 펄스 조달기간 dTtop. 이 바이트는, 최대속도에서 레코딩하기 위해 데이터 펄스의 제 2 채널비트를 갖는 후미 구간에 대하여 멀티 펄스열을 갖는 제 1 펄스의 조달기간을 나타낸다. 이 값은,
이 되도록 숫자 n으로서 채널 비트 클록 주기의 분수로 표현된다.
바이트 53최대속도에서의 이전 공간=3에 대한 제 1 펄스 선행구간 정정 dTle. 이 바이트의 비트 7∼비트 4는, 상기 이전 공간이 최대속도에서 레코딩하기 위해 3T공간이었을 경우, 멀티 펄스열을 갖는 제 1 펄스에 대한 선행구간 정정을 나타낸다. 이 값은 도 8에 따른 채널비트 클록주기의 분수로 표현된다.
바이트 54∼255모두 (00)로 보류. 이들 바이트는, 모두 (00)로 설정된다.
도 8은 선행구간 정정 회수를 나타낸 것이다. 상기 파라미터는, dTle라고 부르고, 바이트 47에서 도 7에서 상술되어 있다. 이 바이트의 비트 3∼비트 0은, 0000으로 설정된다. 나타내지 않은 비트 조합은, 사용되지 않는다.
도 9는 기록매체 섹터 번호 매기기를 나타낸 것이다. 레코딩 가능한 영역은, 정보구역이라고 부른다. 이 정보구역은, 데이터 상호교환과 관련된 디스크상의 모든 정보를 포함한다. 상기 정보구역은, 하나 이상의 세션을 포함한다. 각 세션은, 3개의 부분, 즉, 리드인/인트로(intro) 구역, 데이터 구역 및 리드아웃/클로저(closure) 구역으로 구분된다. 이중 측면 디스크에서, 측면 당 하나의 정보구역이 있다. 상기 데이터 구역은, 사용자 데이터의 레코딩을 위한 것이다. 리드인 구역은, 제어정보를 포함한다. 상기 리드아웃 구역은, 연속적인 평활한 리드아웃을 참조하고, 제어정보도 포함한다. 내부 및 외부 구동영역은, 디스크 테스트를 위한 영역이다. 단일 세션(single-session) 디스크에 대한 설명을 한다. 이러한 디스크에서, 리드인 구역, 데이터 구역 및 리드아웃 구역은, 비가역형 효과를 사용하여 정보를 레코딩한 레코딩 가능한 영역으로 이루어진다. 멀티 세션 디스크의 레이아웃은, 나중에 정의하겠다.
도 10은 레코딩된 단일 세션 디스크의 레이아웃을 나타낸 것이다. 이중 측면 디스크의 단일 측면 및 각 측면의 정보구역은, 내부 구동영역, 리드인, 데이터 구역, 리드아웃 영역 및 외부 구동영역으로 세분된다. 그 반경은, 상기 구역에 대해 그 구역의 제 1(또는 최종) 트랙의 중심의 공칭값으로 나타낸다. 물리섹터 번호(PSN)는, 각 구역의 제 1 물리섹터에 대해 나타낸 것이다. 상기 데이터 구역은, 제 1 PSN(030000)을 갖는다. 이 PSN은, 전체 정보구역에서 다음의 물리섹터마다 1씩 증가한다.
도 11은 내부 구동영역을 나타낸다. 이 내부 구동영역은, 디스크 테스트와 OPC 알고리즘을 수행하는 구동에 의해 사용된 디스크의 최내부 구역이다. 각 부분의 제 1 및 최종 물리섹터의 물리섹터 번호는, 16진법 및 10진법으로 나타내고, 각 부분에서의 물리섹터의 번호는, 10진법으로 나타낸다. 그 세부 분할 사항은 다음과 같다:
- 초기(initial) 구역 : 이 구역은 블랭크로 남겨둔다.
- 내부 디스크 테스트 구역 : 구동 테스트와 OPC를 위해 보류된 16384개의 물리섹터.
- 내부 디스크 카운트 구역 : 내부 디스크 테스트 구역에서 수행된 OPC알고리즘의 수를 카운트하기 위해 보류된 4096개의 물리섹터. ECC 블록 또는 내부 구동 테스트 구역에 있는 그것의 일부가 레코딩되었을 때마다, ECC 블록은, 4개의 물리섹터를 상기 내부 디스크 카운트 구역에 레코딩하여 플래그(flag)된다.
- 내부 디스크 관리 구역 : 임의의 구동 특정 정보를 위해 사용되는 4096개의 물리섹터. 이 구역의 제 1의 16개의 물리섹터는, 모든 메인 데이터가 (00)로 설정되어 채워져 있다. 상기 내부 디스크 관리 구역은, 예를 들면, 구동(drive) 식별부호(구동 ID)와 그 구동 제작자로서 정의된 데이터와 같은 구동 정보를 포함한다.
- 콘텐츠 테이블(TOC)구역 : 디스크 상의 세션 및 기록물의 위치에 대한 정보를 저장하는 4096개의 물리섹터. 이 구역의 제 1의 16개의 물리섹터는, 모두 메인 데이터가 (00)로 채워져 있다. 이 구역은, 두 부분으로 구성된다:
부분 1 : 모든 폐쇄 세션의 위치를 저장하는데 사용된 191개의 ECC 블록(TOC 블록)으로 구성되고,
부분 2 : 하나의 ADIP워드에 해당하는 4개의 섹터의 유니트로 그루핑된 1024개의 물리섹터로 구성된다. 이들 유니트는, 레코딩된 영역 표시기로서 사용된다.
도 12는 TOC블록의 포맷을 나타낸다. 하나의 세션이 폐쇄될 때마다, 최종 TOC 블록 바로 뒤에 오는 콘텐츠 테이블 구역에 있는 다음 ECC 블록은, 모두 폐쇄 세션의 위치로 레코딩되어 있다. 콘텐츠 테이블 구역에 있는 제 1의 ECC 블록은, 제 2의 ECC 블록을 위해 런인(run-in)으로서 사용되어야 한다. 만약 모든 191개의TOC 블록이 사용되었다면, 추가 세션이 더 추가될 수 있지만, 그 추가 세션을 발견하기 위해 검색 과정을 적용하는 구동을 해야 할 것이다. 이 도면은, 물리섹터마다 TOC 블록에 대한 아래의 콘텐츠를 나타낸다:
물리섹터 0/바이트 D0∼D3 - 콘텐트 기술자. 이 바이트들은, 세션 DCB를 식별하고, 문자 "SDC"와 버전 번호 0을 나타내는 (544F4300)으로 설정되어 있다.
물리섹터 0/바이트 D4∼D7 - 보류. (00)로 설정됨.
물리섹터 0/바이트 D8∼D39 - 구동 ID. 이 바이트들은, 구동 ID를 포함한다.
물리섹터 0/바이트 D40∼D63 - 보류. (00)로 설정됨.
물리섹터 0/바이트 D64∼D2047 - 세션 항목. 이 바이트들은, 각각 16바이트 유니트로 그루핑되어 있다. 각 16바이트의 유니트는, 도 13에 따른 세션 항목을 포함할 수 있다. 모든 비사용 바이트는, (00)으로 설정되어 있다.
도 13은 세션 항목을 나타낸 것이다. TOC블록은, 디스크 상의 폐쇄 세션마다 세션 항목을 포함한다. 그 세션 항목은, 다음과 같이 번호 및 어드레스가 증가되면서 정리된다:
바이트 B0∼B2 : 이 3개의 바이트들은, 항목 형태를 나타내고, 문자 "SSN"을 나타내는 (53.53.4E)로 설정된다.
바이트 B3 : 이 바이트는, 이 항목에서 특정된 세션의 시퀀스 번호를 나타낸다.
바이트 B4∼B7 : 이 4개의 바이트들은, 이 항목에서 특정된 세션의 데이터 구역에 있는 제 1의 물리섹터의 PSN을 나타낸다.
바이트 B8∼B11 : 이 4개의 바이트들은, 이 항목에서 특정된 세션의 데이터 구역에있는 최종 물리섹터의 PSN을 나타낸다.
바이트 B12∼B15 : 이 4개의 바이트들은, 보류되고, (00)로 설정된다.
도 14는 레코딩된 영역 표시기를 나타낸 것이다. TOC 블록(61)을 레코딩하는 TOC 구역의 최종 부분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것이다. 매핑영역(60)은, TOC구역의 끝에 위치된다. 다음 구역, 즉 가드(guard) 구역(62)은, 우단에 도시되어 있다. 이 매핑영역은, 최고 어드레스에서 시작하여 레코딩된다. 레코딩된 부분(64)은, 레코딩 가능한 영역의 레코딩된 영역을 나타내고, 레코딩되지 않은 부분(63)은, 레코딩되지 않은 영역을 나타낸다. 디스크의 액세스 속도를 높이기 위해서는, 상기 레코더는, 디스크의 어느 영역에서 최종 기록된 ECC 블록을 발견하는 것을 알 필요가 있다. 이를 위해, 상기 매핑영역은, 4개의 물리섹터의 크기를 갖는 1 ADIP 워드에 해당하는 레코딩된 영역에 따라 정의한다. 이들 영역은, 랜덤 EFM 신호로 레코딩된다. 레코딩된 ADIP 워드간의 갭은 허용되지 않는다. 1024개의 물리섹터는, 이를 위해 보류되어, 디스크가 최대 256 영역으로 나누어지게 한다. 상기 레코딩된 영역 표시기는, 외부측 TOC 구역으로부터 내부측 TOC 구역까지 사용된다. "HF-검출"에 의해, 상기 레코더는, 상기 레코딩된 영역 표시기의 시작 위치를 발견하여, 최종 레코딩된 ECC 블록을 발견할 수 있는 영역을 결정할 수 있다. PSN=(030000)과 PSN=(26053F) 사이에서 640개의 ECC블록의 각 영역은, 1개의 레코딩 영역 표시기에 해당한다. 최종 레코딩된 ECC 블록까지 및 이 블록을 포함한 모든 영역은, 그 레코딩 영역 표시기로 나타낸다: 만약 제 1의 레코딩된 영역 표시기가 PSNRAI∼PSNRAI+3을 갖는 물리섹터로 구성되는 경우, 최종 레코딩된 ECC 블록은,
PSN={(02A47C)-(PSNRAI)}x(A0)+(030000)과 PSN={(02A47C)-(PSNRAI)}x(A0)+(030280) 사이, 또는 십진법으로,
PSN={173180-PSNRAI}x160+196608과 {173180-PSNRAI}x160+197248 사이에서, 발견할 수 있다.
본 장치의 실시예에서, 검출부(32)는, 상기 매핑영역의 테스트되지 않은 부분의 50%에서 테스트 어드레스의 HF 신호를 반복적으로 검출하여서 상기 매핑영역을 대수적으로 검색하도록 구성되고, 이때 상기 매핑영역은, 연속적으로 레코딩된 영역을 나타낸 단일의 레코딩된 부분을 갖는다. 테스트 어드레스에서 마크가 검출되지 않을 경우, 다음 테스트 어드레스는, 상기 매핑영역의 시작까지 테스트되지 않은 어드레스 범위의 50%에 있거나, 이와 반대로 되어 있다. 최종 테스트되지 않은 어드레스 범위는, 상기 최종 테스트되지 않은 어드레스 범위가 너무 작아져서 대수적인 위치로의 점프가 더욱 시간이 걸릴 경우, 연속적으로 검출될 수 있다. 유사한 검색처리를 사용하여, 상기 영역 내의 최고위 기록 어드레스를 검출할 수 있다.
도 15는 리드인 구역을 나타낸다. 상기 리드인 구역은, 상기 정보구역의 내부측에 위치한다. 새로운 디스크는, 리드인 구역에 레코딩된 어떠한 데이터도 갖지 않는다. 그 디스크의 종료 또는 제 1 세션의 폐쇄 후, 리드인 구역이 아래와 같이 레코딩된다. 도 15는 그 구역들과 어드레스들을 다음과 같이 (도 11에서와 같은 표현법으로) 나타낸다:
- 가드 구역 1 : 이 가드 구역을 사용하여 호환성을 위해 필요한 최소 리드인 구역양을 생성한다. 이 구역은, 메인 데이터가 (00)으로 설정되게 모두 채워진 14,848개의 물리섹터를 포함한다.
- 보류 구역 1 : 4096개의 물리섹터는, 보류되고, (00)으로 설정된다.
- 보류 구역 2 : 64개의 물리섹터는, 보류되고, (00)으로 설정된다.
- 내부 디스크 식별 구역 : 256개의 물리섹터는, 데이터 상호교환 부분들에 합의를 본 정보를 위해 보류되어 있다. 1개의 ECC블록으로부터 각 세트의 16개의 물리섹터는, 디스크 제어 블록(DCB) 또는 모두 (00)로 레코딩된 메인 데이터이다. 모두 (00)로 레코딩된 하나의 메인 데이터 뒤에 오는 이 구역에 있는 각 ECC 블록도, 모두 (00)으로 레코딩된 메인 데이터이다.
- 보류 구역 3 : 64개의 물리섹터는, 보류되고, (00)으로 설정된다.
- 참조 코드 구역 : 상기 레코딩된 참조 코드구역은, 2개의 블록으로부터 디스크 상의 특정 채널 비트 패턴을 발생하는 32개의 물리섹터로 구성된다. 이것은, 해당 데이터 프레임 마다의 2048개의 모든 메인 데이터 바이트 (AC)로 설정됨으로써 달성된다. 또한, ECC 블록마다의 제 1 데이터 프레임의 제 1의 160개의 메인 데이터 바이트를 제외하고는, 이들 데이터 프레임에 스크램블링 되지 않는다.
- 버퍼 구역 1 : 이 구역은, 30개의 ECC 블록으로부터 480개의 물리섹터로 이루어진다. 이 구역에 있는 데이터 프레임의 메인 데이터는, 모두 (00)으로 설정된다.
- 제어 데이터 구역 : 이 구역은, 192개의 ECC블록으로부터 3072개의 물리섹터로 구성된다. ECC 블록마다의 16개의 물리섹터의 콘텐트는, 192회 반복된다.
- 버퍼 구역 2 : 이 레코딩된 구역은, 32개의 ECC 블록으로부터 512개의 물리섹터로 이루어진다. 이 구역에 있는 데이터 프레임의 메인 데이터는, 모두 (00)으로 설정된다.
도 16은 제어 데이터 블록의 구조를 나타낸 것이다. 제 1의 2048 바이트는, 도 7에 주어진 콘텐츠를 갖는 물리적 포맷정보를 구성한다. 다음의 2048바이트는, 디스크 제작정보를 구성한다. 최종 14 x 2048바이트는, 콘텐트 제공자 정보를 위해 사용 가능하다. 본 장치의 실시예에서, 상기 콘텐트 제공자 정보의 28672바이트는, 제로(00)으로 설정된다. 호스트로부터 받은 데이터는, 차단되어 이 필드에 레코딩되지 않는다. 이것은, 예를 들면, 여기서 레코딩되는 DVD 비디오 디스크의 비디오를 디코딩하기 위한 복호키와 같은 기밀성을 갖는 데이터를 보호한다. 이 물리적 포맷 정보는, 디스크 및 포맷 정보를 포함한다. 바이트 0∼255의 정보는, 디스크의 종료 또는 제 1 세션의 폐쇄시에 ADIP 보조 데이터로부터 복사되고, 디스크 또는 제 1 세션의 실제 상태(예를 들면, 실제 데이터 구역의 끝)를 반영한다. 모든 256바이트는, 다음의 바이트를 제외하고는 도 7에 기재된 물리적 디스크 정보와 같은 정의 및 콘텐트를 갖는다:
바이트 0 - 디스크 카테고리 및 버전 번호
비트 b7∼b4는 DVD+R 디스크를 나타낸 디스크 카테고리를 나타낸다.
비트 b3∼b0은 시스템 설명의 버전 번호를 나타낸다.
바이트 1 - 디스크 사이즈 및 최대 전송속도
비트 b7∼b4는 디스크 사이즈를 나타내고, 그들은 120mm 디스크를 나타낸 0000으로 설정된다.
비트 b3∼b0는 최대 판독전송속도를 나타낸다.
이들 비트는, 적용이 필요한 최대 판독 속도에 따라 다음의 값 중 하나로 설정된다:
0000 : 2.52Mbit/s의 최대 전송속도
0001 : 5.04Mbit/s의 최대 전송속도
0010 : 10.08Mbit/s의 최대 전송속도
1111 : 최대 전송속도를 나타내지 않음
다른 모든 조합은, 보류되고 사용되지 않는다.
바이트 2 - 디스크 구조
비트 b7∼b4는 0000으로 설정된다.
비트 b3∼b0은 레코딩층(들)의 형태, 즉 그들은 1회 기록 레코딩층을 나타낸 0010으로 설정된 형태를 나타낸다.
바이트 4∼15 - 데이터 구역 할당
바이트 4는 (00)으로 설정된다.
바이트 5∼7은 데이터 구역의 제 1 물리섹터의 PSN 196,608을 나타내도록 (030000)으로 설정된다.
바이트 8은 (00)으로 설정된다.
바이트 9∼11은 제 1 세션의 데이터 구역의 최종 물리섹터의 섹터 번호를 나타낸다.
바이트 12∼15는 (00)으로 설정된다.
바이트 256∼2047 -보류. 이들 나머지 바이트들은, ADIP 정보와 관련없고, 제로(00)으로 설정된다.
도 17은 리드아웃 구역을 나타낸 것이다. 상부에 사용자 데이터를 레코딩하는 데이터 구역(70)이 도시되어 있다. 상기 데이터 구역은, 2,295,104개의 물리섹터의 사용자 데이터 영역을 갖는다. 상기 데이터 구역의 시작 반경은, ADIP 물리적 어드레스(00C000)의 위치로 결정된다. 데이터 구역 뒤에 리드아웃 구역이 따라온다. 이 리드아웃 구역은, 외부측의 정보구역에 위치되어 있다. 도 17은 다음 부분을 나타낸다.
- 버퍼 구역 3 : 이 레코딩된 구역은, 768개의 물리섹터로 구성된다. 그 버퍼구역 3의 가능한 최종 시작위치는, (260540)이다. 이 구역에 있는 데이터 프레임의 메인 데이터는, 모두 (00)으로 설정된다.
- 외부 디스크 식별 구역 : 256개의 물리섹터는 데이터 상호교환 부분에 의해 합의를 본 정보에 대해 보류됨. 1개의 ECC블록으로부터 16개의 물리섹터의 각 세트는, 디스크 제어블록(DCB) 또는 모두 (00)으로 레코딩된 메인 데이터이다. 이 구역의 콘텐츠는, 최종 내부 세션 식별구역의 콘텐츠(또는 단일 세션 디스크의 경우에 내부 디스크 식별 구역의 콘텐츠)와 같다.
- 가드 구역 2 : 이 가드 구역은, 사용자 데이터를 포함하는 정보 구역으로부터 테스트 기록 구역을 분리하는 보호로서 사용된다. 이 구역은, (00)으로 설정된 메인 데이터로 채워진다. 이 구역은, 최소 4096개의 물리섹터를 포함한다.
- 외부 구동 영역 : 상기 외부 구동영역은, 디스크 테스트와 OPC 알고리즘을 수행하는 상기 구동에 의해 사용된 디스크의 최외부 구역이다.
도 18은 가드 구역 2에서 시작하는 외부 구동 영역을 나타낸다. 그리고, 다음 부분들이 도시되어 있다:
- 외부 디스크 관리 구역 : 임의의 구동 특정 정보를 위해 사용되는 4096개의 물리섹터. 이 구역의 제 1의 16개의 물리섹터는, 모든 (00)으로 설정된 메인 데이터로 채워진다. 이 구역은, 내부 디스크 관리 구역(0 참조)과 같은 방법으로 사용될 수 있다.
- 외부 디스크 카운트 구역 : 외부 디스크 테스트 구역에서 수행된 OPC 알고리즘의 수를 카운트하도록 보류된 4096개의 물리섹터.
- 외부 디스크 테스트 구역 : 구동 시험과 OPC 알고리즘을 위해 보류된 16384개의 물리섹터. ECC 블록 또는 상기 외부 디스크 테스트 구역 내에 있는 그것의 일부가 레코딩될 때마다, ECC 블록은 외부 디스크 카운트 구역에 4개의 물리섹터를 레코딩하여 플래그된다.
- 가드 구역 3 : 이 구역은 블랭크로 남겨둔다.본 발명은 DVD+R을 사용한 실시예들에 의해 주로 설명하였지만, 유사한 실시예들도 다른 광학 레코딩계에 적합하다. 또한, 정보매체의 경우, 광 디스크를 설명하였지만, 자기 디스크 또는 테이프 등의 다른 매체를 사용하여도 된다. 이때, 본 실시예에서는, 단어 '포함하는'은, 여기서 열거된 것들 이외의 다른 소자 또는 단계들의 존재를 배제하지 않고, 소자 앞의 단어 'a' 또는 'an'는, 복수의 그러한 소자의 존재를 배체하지 않고, 참조부호는 청구범위를 한정하지 않고, 본 발명은 하드웨어 및 소프트웨어 모두에 의해 구현되어도 되고, 일부 '수단'은, 하드웨어의 동일한 항목으로 나타내어도 된다. 또한, 본 발명의 범위는, 실시예들로 한정되지 않고, 본 발명은 각각 및 새로운 신규 특징
또는 상술한 특징들의 조합을 포함한다.

Claims (10)

  1. 기록매체의 레코딩 가능한 영역의 트랙에 적어도 하나의 정보블록을 레코딩하고, 상기 정보블록이 데이터 워드와, 그 정보블록 내에 오류를 정정하는 오류 정정 워드를 포함하고, 상기 트랙이 그 정보블록을 레코딩하는 위치를 나타낸 위치정보가 미리 형성되고, 상기 정보블록을 나타낸 마크를 레코딩하는 레코딩수단(22)과, 상기 레코딩된 정보블록의 위치를 나타낸 위치 데이터를 레코딩하여 검색하는 제어수단(20)을 구비한 레코딩 장치에 있어서,
    상기 제어수단은,
    레코딩 가능한 영역을 구성하는 다수의 연속적인 영역 중 어느 한 영역에 정보블록을 레코딩하는지를 결정하고, 상기 기록매체의 상기 영역을 나타낸 매핑영역의 유니트 위치에 상기 정보블록의 길이보다 거의 작은 길이를 갖는 랜덤 신호 유니트를 레코딩하는 매핑수단(31)과,
    상기 레코딩된 랜덤 신호 유니트의 존재를 검출하여, 하나의 영역이 적어도 하나의 정보블록을 포함하는 경우, 상기 매핑영역으로부터 검색하는 검출수단(32)을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레코딩 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매핑영역은, 다수의 영역에 해당하는 연속적인 범위의 유니트 위치를 포함하고, 상기 매핑수단은, 상기 레코딩 영역 내의 상기 영역의 위치에 대응한 상기 유니트 위치의 범위 내의 위치에 상기 랜덤 신호 유니트를 레코딩하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레코딩 장치.
  3. 제 2 항에 있어서,
    각 영역의 사이즈는 같거나, 또는 각 영역의 사이즈는 640개의 정보블록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레코딩 장치.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수단은, 상기 제어수단이 상기 기록매체로부터 제어정보를 검색하도록 구성되고, 상기 제어정보가, 상기 매핑영역을 관리하기 위해 레코딩하려고 하는 파라미터를 나타낸 레코딩된 영역 관리정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레코딩 장치.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미리 형성된 위치 정보는, 프레임 길이를 갖는 어드레스 프레임으로 인코딩되어 있고, 상기 유니트 길이가 거의 상기 프레임 길이와 같은 것을 특징으로 하는레코딩 장치.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정보블록을 레코딩하는 위치는, 연속적인 어드레스를 갖고, 상기 검출수단(32)은, 상기 매핑영역으로부터 최고위로 기록된 영역을 검출하여 최고위로 기록된 어드레스를 검출한 후, 조직적인 검색, 특히 대수적 검색에 따라 최고위로 기록된 영역 내의 일부 위치에 있는 마크의 존재를 검출하여 상기 최고위로 기록된 어드레스를 검출하는 수단을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레코딩 장치.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수단(20)은, TOC 구역의 시작 어드레스에서 레코딩을 증가적으로 시작하는, 기록매체 상의 TOC 구역에 있는 콘텐츠 정보의 테이블을 증가적으로 레코딩하는 수단을 구비하고, 상기 매핑수단(31)은, 상기 TOC 구역의 종료 어드레스로부터 TOC구역 내의 상기 매핑영역을 레코딩하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레코딩 장치.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검출수단(32)은,
    E_TOC는 TOC 구역의 종료 어드레스,
    L_MAP는 상기 매핑영역에서 최하위로 기록된 유니트 위치의 어드레스,
    R_SIZE는 각 영역의 사이즈,
    U_LEN는 랜덤 신호 유니트의 유니트 길이,
    S_RECA는 레코딩 가능한 영역에서 제 1 영역의 시작 어드레스일 경우,
    아래의 식 PSN,
    PSN=(E_TOC-L_MAP)*(R_SIZE/U_LEN)+S_RECA
    에 의해 최고위로 기록된 어드레스 PSN를 포함하는 영역의 시작 어드레스를 산출하는 산출수단을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레코딩 장치.
  9. 기록매체의 레코딩 가능한 영역의 트랙에 적어도 하나의 정보블록을 레코딩하되, 상기 정보블록이 데이터 워드와, 그 정보블록 내에 오류를 정정하는 오류 정정 워드를 포함하고, 상기 트랙이 그 정보블록을 레코딩하는 위치를 나타낸 위치정보가 미리 형성되고, 상기 정보블록을 나타낸 마크를 레코딩하고, 상기 레코딩된 정보블록의 위치를 나타낸 위치 데이터를 레코딩하여 검색하는 레코딩 방법에 있어서,
    상기 레코딩 가능한 영역을 구성하는 다수의 연속적인 영역 중 어느 한 영역에 정보블록을 레코딩하는지를 결정하는 단계와, 상기 기록매체의 상기 영역을 나타낸 매핑영역의 유니트 위치에 상기 정보블록의 길이보다 거의 작은 길이를 갖는 랜덤신호 유니트를 레코딩하는 단계와, 상기 레코딩된 랜덤 신호 유니트의 존재를 검출하여 하나의 영역이 적어도 하나의 정보블록을 포함하는 경우, 상기 매핑영역으로부터 검색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레코딩 방법.
  10. 적어도 하나의 정보블록을 레코딩하는 레코딩 가능한 영역에 있는 트랙(9)을 포함하고, 그 정보블록은, 데이터 워드와, 그 정보블록 내에 오류를 정정하는 오류 정정 워드를 포함하고, 상기 트랙(9)은 그 정보블록을 레코딩하는 위치를 나타낸 위치정보가 미리 형성되고, 그 레코딩 처리를 제어하는 제어정보가 미리 형성된 기록매체에 있어서,
    상기 제어정보는, 어느 영역에 정보블록을 레코딩하는지를 나타내는 매핑영역을 관리하기 위해, 레코딩하려고 하는 파라미터를 나타낸 레코딩된 영역 관리정보를 포함하되, 상기 영역이 레코딩 가능한 영역을 구성하는 다수의 연속적인 영역 중 하나이고, 상기 매핑영역이 랜덤 신호 유니트를 레코딩하는 유니트 위치를 갖고, 상기 매핑영역의 유니트 위치가 상기 영역을 나타내며, 상기 랜덤 신호 유니트의 유니트 길이는 상기 정보블록의 길이보다 실질적으로 작은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록매체.
KR1020027017518A 2001-04-24 2002-04-18 정보블록의 연속적인 영역의 매핑 KR100914642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5)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EP01201480 2001-04-24
EP01201480.9 2001-04-24
EP02075706 2002-02-21
EP02075706.8 2002-02-21
PCT/IB2002/001414 WO2002086731A1 (en) 2001-04-24 2002-04-18 Mapping of consecutive regions for information blocks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0011101A true KR20030011101A (ko) 2003-02-06
KR100914642B1 KR100914642B1 (ko) 2009-08-28

Family

ID=2607688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27017518A KR100914642B1 (ko) 2001-04-24 2002-04-18 정보블록의 연속적인 영역의 매핑

Country Status (19)

Country Link
US (2) US6785196B2 (ko)
EP (1) EP1386236B1 (ko)
JP (1) JP5112598B2 (ko)
KR (1) KR100914642B1 (ko)
CN (1) CN1245690C (ko)
AR (1) AR035865A1 (ko)
AT (1) ATE355559T1 (ko)
BR (1) BRPI0205082B1 (ko)
CA (1) CA2414791C (ko)
CY (1) CY1106618T1 (ko)
DE (1) DE60218448T2 (ko)
DK (1) DK1386236T3 (ko)
ES (1) ES2281512T3 (ko)
MX (1) MXPA03000162A (ko)
PL (1) PL231541B1 (ko)
PT (1) PT1386236E (ko)
RU (1) RU2287863C2 (ko)
TW (1) TWI226610B (ko)
WO (1) WO2002086731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1483760B1 (en) * 2002-03-05 2009-09-30 Koninklijke Philips Electronics N.V. Device, record carrier and method for recording information
MXPA04010521A (es) * 2002-04-24 2004-12-13 Samsung Electronics Co Ltd Medio optico de almacenamiento de informacion y metodo de grabacion sobre el mismo.
CN1672196A (zh) * 2002-07-31 2005-09-21 三星电子株式会社 信息存储介质和在其上记录信息的方法
MXPA05001297A (es) * 2002-08-03 2005-04-28 Samsung Electronics Co Ltd Medio de almacenamiento de informacion y metodo de grabacion y/o reproduccion con respecto al medio.
KR100750109B1 (ko) * 2003-02-15 2007-08-21 삼성전자주식회사 정보 저장매체
KR101101393B1 (ko) * 2003-05-09 2012-01-02 코닌클리케 필립스 일렉트로닉스 엔.브이. 광학 디스크의 포매팅 방법
BRPI0412076A (pt) * 2003-07-08 2006-09-05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meio de gravação permanente, método de gravação, aparelho para gravação, método de reprodução, e aparelho de reprodução
KR20050028396A (ko) * 2003-09-17 2005-03-23 삼성전자주식회사 멀티 세션 방식을 이용한 데이터 기록 방법 및 그정보저장매체
TWI245281B (en) * 2004-03-19 2005-12-11 Benq Corp Method and apparatus for recording data into optical disks
US7916582B2 (en) * 2004-05-11 2011-03-29 Samsung Electronics Co., Ltd. Optical recording medium, recording/reproducing apparatus and method, initialization method, and reinitialization method
JP4058020B2 (ja) 2004-05-14 2008-03-05 株式会社東芝 光ディスク記録再生方法及び記録再生装置及び光ディスク
US7663990B2 (en) * 2004-05-21 2010-02-16 Samsung Electronics Co., Ltd. Optical recording medium having access control area and method for recording or reproducing thereof
US7907160B2 (en) * 2004-07-23 2011-03-15 Hewlett-Packard Development Company, L.P. Track labeling on a medium
JP4660217B2 (ja) * 2005-01-31 2011-03-30 株式会社東芝 記憶媒体、再生方法、記録方法、再生装置及び記録装置
TW200709185A (en) * 2005-08-26 2007-03-01 Benq Corp Method for testing DVD+R dual layer disc and apparatus therefor
EP1924990A4 (en) * 2005-09-15 2008-09-03 Ricoh Kk OPTICAL RECORDING MEDIUM AND OPTICAL RECORDING DEVICE
KR101365447B1 (ko) * 2006-09-04 2014-02-19 삼성전자주식회사 정보 저장 매체 및 기록 재생 장치
KR101292728B1 (ko) * 2006-11-17 2013-08-01 삼성전자주식회사 광 기록 매체, 광 기록 매체 성형 장치 및 방법, 기록 재생장치 및 방법
US20080244442A1 (en) * 2007-03-30 2008-10-02 Microsoft Corporation Techniques to share information between application programs
JP2021140835A (ja) * 2020-03-02 2021-09-16 株式会社東芝 磁気ディスク装置

Family Cites Families (1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12496A (en) * 1894-01-09 Histological case
JPS63104284A (ja) * 1986-10-21 1988-05-09 Mitsubishi Electric Corp デイスクフアイルアクセス方式
US5124966A (en) * 1989-03-29 1992-06-23 U.S. Philips Corporation Method for recording data signals on an inscribable record carrier and reading device for the record carrier
JPH043368A (ja) * 1990-04-20 1992-01-08 Sony Corp データ記録方法
JPH04106761A (ja) 1990-08-28 1992-04-08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情報記録再生装置及び光ディスク
US5341356A (en) 1991-04-02 1994-08-23 U.S. Philips Corporation Method and device for recording information volumes in a track of a record carrier, and a device for reading the record carrier
JPH05101544A (ja) * 1991-10-07 1993-04-23 Pioneer Electron Corp 追記型光デイスクへの記録方法、追記型光デイスク及び光デイスク記録装置
CN1199490A (zh) * 1996-09-03 1998-11-18 菲利浦电子有限公司 信息载体,用于写和/或读信息块的读/写设备和读设备
US6269338B1 (en) 1996-10-10 2001-07-31 U.S. Philips Corporation Data compression and expansion of an audio signal
EP0880780B1 (en) * 1996-11-18 2004-04-28 Philips Electronics N.V. Writing device, record carrier and writing method, and reading device for reading information blocks
DE69728755T2 (de) * 1996-11-18 2005-04-07 Koninklijke Philips Electronics N.V. Aufzeichnungsvorrichtung und -träger sowie aufzeichnungsverfahren und lesevorrichtung für informationsblöcke
JP3855390B2 (ja) * 1997-09-16 2006-12-06 ソニー株式会社 記録装置、記録方法およびディスク状記録媒体
CN100514484C (zh) * 1998-06-09 2009-07-15 索尼株式会社 再现装置和再现方法
DE19859845A1 (de) * 1998-12-23 2000-06-29 Thomson Brandt Gmbh Wiedergabegerät für Informationsblöcke enthaltende Aufzeichnungsträger
BRPI0205081B1 (pt) * 2001-04-24 2016-02-23 Koninkl Philips Nv dispositivo e processo para gravar informação em pelo menos um volume de informação em uma trilha em uma área gravável sobre um portador de gravação, e, portador de gravação
JP4551619B2 (ja) * 2001-04-24 2010-09-29 コーニンクレッカ フィリップス エレクトロニクス エヌ ヴィ 情報を記録する装置及び方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2004528668A (ja) 2004-09-16
US6785196B2 (en) 2004-08-31
PT1386236E (pt) 2007-06-01
CN1463400A (zh) 2003-12-24
CA2414791C (en) 2012-09-18
TWI226610B (en) 2005-01-11
EP1386236A1 (en) 2004-02-04
RU2287863C2 (ru) 2006-11-20
PL364385A1 (en) 2004-12-13
CA2414791A1 (en) 2002-10-31
BRPI0205082B1 (pt) 2015-07-14
US20040196748A1 (en) 2004-10-07
US7057980B2 (en) 2006-06-06
JP5112598B2 (ja) 2013-01-09
RU2003133984A (ru) 2005-02-27
KR100914642B1 (ko) 2009-08-28
MXPA03000162A (es) 2003-05-27
DE60218448D1 (de) 2007-04-12
EP1386236B1 (en) 2007-02-28
DE60218448T2 (de) 2007-10-31
CN1245690C (zh) 2006-03-15
DK1386236T3 (da) 2007-06-18
US20030012088A1 (en) 2003-01-16
CY1106618T1 (el) 2012-01-25
AR035865A1 (es) 2004-07-21
WO2002086731A1 (en) 2002-10-31
PL231541B1 (pl) 2019-03-29
ATE355559T1 (de) 2006-03-15
BR0205082A (pt) 2003-04-29
ES2281512T3 (es) 2007-10-0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937883B1 (ko) 정보 레코딩 장치 및 방법
KR100861071B1 (ko) 정보 레코딩 장치 및 방법
KR100914642B1 (ko) 정보블록의 연속적인 영역의 매핑
JP4920871B2 (ja) 情報を記録する装置、記録担体、及び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MND Amendme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J201 Request for trial against refusal decision
B701 Decision to gran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823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814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825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811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819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814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814

Year of fee payment: 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