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0010592A - 검출용 물질 지지체, 그 처리장치, 그 처리방법, 그제조장치 및 그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검출용 물질 지지체, 그 처리장치, 그 처리방법, 그제조장치 및 그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0010592A
KR20030010592A KR1020027012097A KR20027012097A KR20030010592A KR 20030010592 A KR20030010592 A KR 20030010592A KR 1020027012097 A KR1020027012097 A KR 1020027012097A KR 20027012097 A KR20027012097 A KR 20027012097A KR 20030010592 A KR20030010592 A KR 2003001059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etection
support
base member
substance
ree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2701209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814076B1 (ko
Inventor
다지마히데지
Original Assignee
유겐가이샤 유니텍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유겐가이샤 유니텍 filed Critical 유겐가이샤 유니텍
Publication of KR2003001059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001059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81407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814076B1/ko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33/00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specific methods not covered by groups G01N1/00 - G01N31/00
    • G01N33/48Biological material, e.g. blood, urine; Haemocytometers
    • G01N33/50Chemical analysis of biological material, e.g. blood, urine; Testing involving biospecific ligand binding methods; Immunological testing
    • G01N33/53Immunoassay; Biospecific binding assay; Materials therefo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LCHEMICAL OR PHYSICAL LABORATORY APPARATUS FOR GENERAL USE
    • B01L3/00Containers or dishes for laboratory use, e.g. laboratory glassware; Droppers
    • B01L3/50Containers for the purpose of retaining a material to be analysed, e.g. test tubes
    • B01L3/505Containers for the purpose of retaining a material to be analysed, e.g. test tubes flexible containers not provided for above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35/00Automatic analysis not limited to methods or materials provided for in any single one of groups G01N1/00 - G01N33/00; Handling materials therefor
    • G01N35/00009Automatic analysis not limited to methods or materials provided for in any single one of groups G01N1/00 - G01N33/00; Handling materials therefor provided with a sample supporting tape, e.g. with absorbent zone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Immunology (AREA)
  • Analytical Chemistr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Hematolog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Biochemistry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Pathology (AREA)
  • Urology & Nephrology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Microbiology (AREA)
  • Cell Biology (AREA)
  • Biotechnology (AREA)
  • Clinical Laboratory Science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Apparatus Associated With Microorganisms And Enzymes (AREA)
  • Automatic Analysis And Handling Materials Therefor (AREA)
  • 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And Apparatus (AREA)
  • Treatment Of Fiber Materials (AREA)

Abstract

검출용 물질 지지체, 그 처리장치, 그 처리방법, 그 제조장치 및 그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목적 물질과의 반응성이 높고 신뢰성이 높으며 일련의 처리를 일관적으로 자동적으로 또한 용이하게 수행할 수 있는 것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실 형상, 끈 형상 또는 테이프 모양 등 갸름한 형상으로 형성된 가요성이 있는 기초 부재와 그 기초 부재의 길이 방향에 나열되어 고정된 소정의 화학 구조를 가진 각종 검출용 물질과 상기 기초 부재를 전개 가능하게 지지하는 지지용 부재를 가짐과 동시에, 상기 각종 검출용 물질의 고정 위치와 그 각 화학 구조가 대응되도록 구성한다.

Description

검출용 물질 지지체, 그 처리장치, 그 처리방법, 그 제조장치 및 그 제조방법{Supporter for substance to be detected, method and device for processing the same, and method and device for manufacturing the same}
종래, 유전자의 염기 배열 결정을 행함에 있어서, 기판 상에 소정의 염기 배열을 갖는 올리고뉴클레오티드를 특정 위치에 고정시킨 DNA칩을 사용하는 것이 있었다. DNA칩은 반도체 막이나 슬라이드 글라스 등 평판의 표면 상에 기지의 다종 올리고뉴클레오티드를 각각 미소량의 현탁액이 점 형상이 되도록 어레이 형상으로배열해서 고정시킨 것이다.
DNA칩은 그 좁은 표면 상에 다수의 올리고뉴클레오티드 어레이를 형성하기 위해서는 피페트 장치를 사용하기도 해서 한 방울 한 방울 미소량의 올리고뉴클레오티드 현탁액을 일정 간극을 두고 혼입 방지를 꾀하면서 분주하여 제조된 것이다. 이 DNA칩을 사용해서 유전자에 관련된 각종 분석이나 해석 등을 수행한다.
예컨대, 미지의 목적 유전자의 염기 배열을 결정하려고 하기 위해서는 종래에는 사용자가 발광 물질로 표지화된 목적 유전자가 들어 있는 현탁액을 상기 DNA칩 상에 분주한다. 일정 반응 시간이 지난 후에, 세정에 의해 여분 현탁액을 제거한다. 다음에, DNA칩으로부터의 발광 검출을 수행함으로써 발광이 검출된 위치로부터 염기 배열을 결정하고자 하는 것이었다.
그런데, DNA칩을 제조하기 위해서는 좁은 영역에 평면 형상으로 고밀도로 다수 종류의 올리고뉴클레오티드를 배열할 필요가 있지만, 평면 형상으로 조밀하게 올리고뉴클레오티드를 배열하고자 하면 할수록 서로 접근하기 때문에, 크로스 컨태미네이션이 생기기 쉬워질 뿐만 아니라 각 고정 위치에서의 올리고뉴클레오티드가 한층 더 소량화된다.
특히, 각 고정 위치에서의 올리고뉴클레오티드가 소량화되면, 그 발광 위치를 결정하는 것은 오차가 생기기 쉬워서 정확성에 있어서 문제점을 가지고 있었다.
또, 소량화에 의해 목적 물질과의 조우성이나 반응성이 낮아져서 처리에 시간이 걸린다는 문제점을 가지고 있었다.
또, 평면 형상으로 샘플을 배치하는 것이기 때문에 고밀도가 되면 될수록 그취급이나 자동화가 한층 더 어려워진다는 문제점을 가지고 있었다.
따라서, DNA칩의 제조는 대단히 많은 일손과 시간을 요구하기 때문에 값이 비싸진다는 문제점을 가지고 있었다. 특히, 방대한 분량의 염기 배열을 포함한 미지의 목적 물질의 구조 해석, 분석이나 결정을 실시하는 데는 대량의 DNA칩의 해석, 분석 등이 필요하다.
본 발명은 검출용 물질 지지체, 그 처리장치, 그 처리방법, 그 제조장치 및 그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특히, 본 발명은 유전자, 면역계, 단백질, 아미노산, 당 등 생체 고분자에 관한 검사, 해석, 분석이 요구되는 분야, 예컨대 공학 분야, 식품, 농산, 수산 가공 등 농학 분야, 약학 분야, 위생, 보건, 면역, 질병, 유전 등 의학 분야, 화학 또는 생물학 등 이학 등 모든 분야에 관련된 것이다.
본 발명은, 특히 유전자의 변이 해석, 다형 해석, 매핑(mapping), 염기 배열 해석, 발현 해석 등에 있어서 적합한 검출용 물질 지지체, 그 처리장치, 그 처리방법, 그 제조장치 및 그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도 1a 및 도 1b는 본 발명 제1 및 제2 실시예에 관련된 검출용 물질 지지체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2a 및 도 2b는 본 발명 제3 및 제4 실시예에 관련된 다른 검출용 물질 지지체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 제5 실시예에 관련된 검출용 물질 지지체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 제5 실시예에 관련된 검출용 물질 지지체의 기초 부재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 실시예에 관련된 기초 부재의 예시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6a 및 도 6b는 본 발명 제6 및 제7 실시예에 관련된 검출용 물질 지지체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7a 및 도 7b는 본 발명 제8 실시예에 관련된 검출용 물질 지지체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8a 및 도 8b는 본 발명 제8 실시예에 관련된 검출용 물질 지지체의 측정 공정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9는 본 발명 제9 실시예에 관련된 검출용 물질 지지체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0은 본 발명 제10 실시예에 관련된 검출용 물질 지지체 처리방법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11은 본 발명 제11 실시예에 관련된 검출용 물질 지지체 처리장치 및 처리방법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12a 및 도 12b는 본 발명 제12 실시예에 관련된 검출용 물질 지지체 및 그 처리방법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13a 및 도 13b는 본 발명 제13 실시예에 관련된 검출용 물질 지지체 제조장치 및 제조방법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14a 및 도 14b는 본 발명 제14 실시예에 관련된 검출용 물질 지지체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5는 본 발명 제15 실시예에 관련된 간극용 부재를 도시한 도면이다.
그래서, 본 발명은 이상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이루어진 것으로서, 그 제1 목적은 신뢰성이 높고 또한 고품질의 검출용 물질 지지체, 그 처리장치, 그 처리방법, 그 제조장치 및 그 제조방법을 제공하는 데 있다.
제2 목적은 일련의 처리를 일관해서 자동적으로 또한 용이하게 할 수 있는 검출용 물질 지지체, 그 처리장치, 그 처리방법, 그 제조장치 및 그 제조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제3 목적은 검출용 물질과 목적 물질과의 반응성, 조우성을 높여 효율적이며 신뢰성이 있는 검출용 물질 지지체, 그 처리장치, 그 처리방법, 그 제조장치 및 그 제조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제4 목적은 간단하고 또한 용이하게, 따라서 저렴하게 대량으로 제조할 수 있는 검출용 물질 지지체, 그 처리장치, 그 처리방법, 그 제조장치 및 그 제조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이상의 기술적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서 제1 발명은, 실 형상, 끈 형상 또는 테이프 형상 등 갸름한 형태로 형성된 가요성이 있는 기초 부재와 그 기초 부재의길이 방향으로 나열되어 고정된 소정의 화학 구조를 가진 각종 검출용 물질과 상기 기초 부재를 전개 가능하게 지지하는 지지용 부재를 가짐과 동시에, 상기 각종 검출용 물질의 고정 위치와 그 각 화학 구조가 대응된 검출용 물질 지지체이다.
여기서, "검출용 물질"이란 목적 물질의 미지 구조의 결정이나 기타 목적 물질의 각 가지의 분석이나 해석 등을 수행하기 위해서 검출되어야 할 물질을 지칭하고, 예컨대 DNA, RNA, 올리고뉴클레오티드 등 유전 물질, 단백질, 아미노산, 당 등 생체 고분자를 이른다. "화학 구조"는, 예컨대 검출용 물질이 유전 물질인 경우에는 염기 배열이다.
"기초 부재"는 가요성 재료로 형성된다. 이들 재료는, 예컨대 폴리에틸렌, 폴리스티렌, 폴리프로필렌, 우레탄 등 유기재, 유리 섬유, 세라믹스, 금속 등 무기재, 또는 유기재의 필름이나 테이프에 섬세한 세라믹스 입자를 깔아 채운 것과 같은 유기재와 무기재를 조합한 재료 등 각가지 재료가 있을 수 있다.
또한, 기초 부재는 검출용 물질을 고정하기 위해 필요하게 되는 고정용 물질, 예컨대 수산기, 아미노기, 카르복시기, 에폭시기, 비오틴 또는, 아비딘을 포함하는 물질이 표면에 피복되고 가공되며, 또는 기초 부재 그 자체가 그와 같은 물질을 포함하는 것이다.
지지용 부재로의 지지 방식으로서는, 예컨대 권심으로 사용하고, 또는 권심을 사용하지 않고 평판 형상으로 감거나, 또는 평판에 마련한 2 이상의 말뚝에 질러 걸면서 감거나 접거나 부착하거나 적층하거나 정렬시키도록 할 경우가 있다. 또는, 원주나 각주나 원추나 각추나 공 등 입체를 형성하도록 감고 적층하며 부착 또는 접어들이기를 할 경우도 경우가 있다.
또한, 기초 부재를 그 측부에서 서로 인접시키고, 또는 간극을 두며, 또는 보조 부재를 사이에 두면서 집적화를 수행하는 방식도 있다. 그 감는 방법도 정렬시켜서 감을 경우 뿐만 아니라, 정렬시키지 않고 느슨하고 불규칙적으로 감는 경우이어도 된다. 말하자면, 집적화와 전개 사이에서 변환이 간단하며 또한 확실히 수행되는 것이면 된다. 또한, 집적화한 채로 검출을 수행할 경우에는 그 검출용 물질의 위치를 특정할 수 있어야 한다.
DNA칩과 같이 검출용 물질을 분주 등에 의해 처음부터 2차원적 상태에서 고밀도로 배치하는 것은 고정 위치간이 밀집되기 때문에, 각 위치간에서 크로스 컨태미네이션을 시키지 않고 올바른 위치에 분주해서 고정화시키는 것은 대단히 어렵다. 이에 대해서, 본 발명에서는 기초 부재를 전개한 1차원적 상태에 있어서 상기 올리고뉴클레오티드 등 검출용 물질을 밀집시켜 부착 고정한 후(제1차 집적화)에 한층 밀집시켜서 감음으로써 집적화한다(제2차 집적화). 따라서, 집적성이 높은 검출용 물질의 지지체를 형성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는 집적화를 2회로 나눌 수 있기 때문에 1회의 집적은 별로 높게 하지 않아도 되기 때문에 제1차 집적화에 있어서는 처음부터 평면에 배치할 경우에 비해서 각 검출용 물질의 고정 위치간의 간극을 널리 확보할 수 있기 때문에 고정해야 할 검출용 물질의 분량을 보다 크게 확보할 수 있다. 따라서, 반응성이나 조우성이나 측정 정밀도를 높일 수 있다.
이는 상기 기초 부재가 갸름한 입체 형상이므로 단순히 평면에 배열할 경우에 비해서 일정 방향으로 투영한 집적화 면적은 동일하다고 해도 전개된 상태에서는 그 표면적은 현격하게 크다. 또한, 전개하는 것이 가능함으로 처리를 용이하게 수행할 수 있음과 동시에, 전개된 상태에서는 2차원의 경우에 비해서 검출에 의한 위치 특정이 용이하다.
또한, 상기 기초 부재에는 바닥이 있거나 없는 홈, 구멍 등 공극부, 발포성 재료 또는 다공성 재료, 섬유성 재료, 凹凸성 면재료 또는 함침성 재료 등을 가지는 유지부가 마련되어 있어도 된다.
여기서, "공극부"는, 예컨대 홈, 구멍이 측부 또는 상부에 형성된 경우 이외에, 凹부 凸부가 측부 또는 상부에 형성된 경우도 포함된다. "유지부"는 액체를 흡수하고 또는 유지하는 것이 가능한 것으로서, 예컨대 종이 천, 실, 끈 등에 한정되지 않고 상기 폴리에틸렌, 폴리스티렌, 폴리프로필렌, 우레탄 등 유기재, 유리, 세라믹스, 금속 등 무기재 등을 사용한 것이라도 좋다.
"凹凸성 면재료"란 언뜻 보기에 매끄러워 보이지만, 현미경적으로 다수의 미소한 凹凸이나 섬모 형상체가 전체, 측부, 또는 상부 등 면에 형성된 부재로서, 예컨대 유기재 끈, 실, 테이프에 미세한 세라믹스 입자를 깔아 채운 것과 같은 것이다. 이 凹凸성 면재료에 의해 형성된 기초 부재를 접촉시키면, 서로 부착하는 성질를 가지기 때문에 집적화한 기초 부재의 결속에 이용할 수 있다.
그리고, 기초 부재는 공극부나 유지부를 가지지 않는 평활한 표면을 가진 부재이어도 된다는 것은 말할 것도 없다.
그리고, 상기 공극부 또는 유지부는 상기 기초 부재의 길이 방향으로 나열해서 부착시켜도 된다. 또한, 유지부는 기초 부재 전체를 발포성 재료, 다공성 재료, 섬유제 재료, 함침성 재료 등으로 형성된 것도 포함된다.
또한, 검출용 물질을 기초 부재의 상기 유지부나 공극부에 배치시킨 경우에는, 그 점도를 조정해서 고정화시켜도 된다.
이들 각 공극부 또는 유지부에 지지되어 있는 검출용 물질의 분량은 일반적으로 그렇지 않은 경우에 비해서 증가시킬 수 있다. 따라서, 반응 처리를 수행할 때는 물질끼리의 조우성을 높여서 반응 효율이나 검출 정밀도를 높일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제1 발명에 의하면, 상기 검출용 물질 지지체는 전개된 상태로 있는 갸름한 형상의 기초 부재를 지지용 부재를 이용해서 전개 가능하게 지지시킨 것이다.
따라서, 필요에 따라서 전개된 상태와 집적화된 상태를 임의로 확보할 수 있기 때문에, 상황에 따라 최적한 상태에서 처리할 수 있다. 이에 의해 처리의 신속화, 효율화 또는 용이화시키며 또한 신뢰성을 향상시키게 된다.
예컨대, 전개된 상태에서 각 소정 위치에서 각 검출용 물질의 고정, 배치나 검출을 수행하고, 집적화된 상태에서 보관, 반응 처리를 수행함으로써 고정 배치 처리, 반응 처리 및 검출 처리를 용이화, 효율화, 신속화, 자동화시킬 수 있음과 동시에 신뢰성이 높다.
특히, 기초 부재를 전개한 상태에서는, 가령 검출용 물질의 배치 및 고정을 고밀도에서 수행하지 않더라도 기초 부재를 집적시킴으로써 높은 밀도를 얻을 수 있기 때문에 배치 및 고정이나 반응 등 처리를 용이화시킨다.
또한, 본 발명에서는 상기 기초 부재를 지지하는 지지용 부재를 설치하고 있기 때문에, 미세하고 다루기 어려운 갸름한 기초 부재를 직접적으로 취급하는 대신에, 기초 부재보다 더 크고 강성이 있거나 또는 콤팩트하고 안정된 지지용 부재에 기초 부재를 지지시킨 상태에서 보관, 처리, 이송 등을 수행함으로써 기초 부재를 보호하며 다루기 쉽게 하고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기초 부재라는 본질적으로 미세한 입체 구조를 이용하는 것으로서, 단순히 평면을 이용하는 것에 비해서 전체로서 동일한 체적을 가진 것으로 하면, 그 표면적은 현격하게 크기 때문에 각 고정 위치에서의 상기 검출용 물질의 분량을 증대시켜서 반응 및 검출 효율을 높이게 된다.
제2 발명은 제1 발명에 있어서, 상기 기초 부재에는 상기 기초 부재 상 기준 위치를 표시하기 위한 1 또는 2 이상의 마크가 첨부된 검출용 물질 지지체이다.
"마크"로서는, 예컨대 형광 물질 등 발광 물질이 있다. 그리고, 기초 부재 상 기준 위치를 표시하는 것 이외에, 목적 물질을 식별하기 위한 마크가 있다. 이와 같은 마크로서는, 예컨대 목적 물질에 직접 결합시킨 발광 물질 등 표지 물질이 있다. 또한, 상기 기초 부재에 거의 같은 크기의 폴리스티렌 미립자의 상반구만을 덮도록 금을 증착시킨 것에 검출용 물질을 부착시킨 것을 고정 배치한 것이어도 된다. 이 경우에는, 표면에 백색광 등을 조사하면서 목적 물질의 현탁액과 접촉시키면, 목적 물질과 결합되면 색깔이 변화되고 그 색깔을 검출함으로써 그 고정 위치가 직접적으로 표시되는 것이다.
또한, 상기 기준 위치를 표시하기 위한 상기 마크와 목적 물질의 식별을 위한 마크를 검출할 경우에 있어서, 여기 광이나 발광 파장이나 강도, 발광 편광도, 발광 위상 또는 발광 수명 등을 다르게 함으로써 양자를 명료하게 구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제2 발명에 의하면, 마크에 의해 각 검출용 물질의 상기 기초 부재 상 절대적 위치를 용이하고 또한 확실하게 특정할 수 있으므로 검출용 물질의 특정이 확실하며 신뢰성이 높다.
제3 발명은 제1 발명 또는 제2 발명 중 어느 하나에 있어서, 상기 지지용 부재는 상기 기초 부재가 유체와 접촉 가능하게 일정한 영역 내에 갇히고, 또한 그 영역 내에서 전개되도록 지지된 검출용 물질 지지체이다.
여기서, "영역"은 미소량의 액체에 대응될 수 있도록 가능한 한 적고 콤팩트하게 형성되는 것이 좋다. 그리고, 이 영역은 릴 이외에, 드럼이나 평판에 2 이상의 말뚝을 설치해서 그 말뚝에 질러 걸어서 감는 경우 등이 있다.
상기 영역으로서는, 상기 기초 부재가 얽히거나 매듭을 짓지 않고 정연하게 집적화나 전개가 가능한 것이 필요하다.
제3 발명에 의하면, 상기 기초 부재를 유체와 접촉 가능하게 일정 영역 내에 가두고, 그 영역 내에서 전개되도록 지지하기 때문에 미소량의 목적 물질이 현탁액과의 반응을 균일하고 일정하게 수행할 수 있다. 임기응변으로 전개된 상태와 집적화된 상태 사이를 용이하게 변경할 수 있다. 또한, 기초 부재를 일정 영역 내에 가두었기 때문에 보관, 처리, 이송 등 취급이 용이하다.
제4 발명은 제1 발명 내지 제3 발명 중 어느 하나에 있어서, 상기 지지용 부재는 릴을 가지고, 그 릴은 상기 기초 부재가 감기는 권심과 그 권심에 마련되어 그 권심을 사이에 두고 서로 대향하도록 이간되며 유체의 통과가 가능한 2개의 가이드 틀을 가지는 검출용 물질 지지체이다.
또한, 상기 "권심"에는 1렬에서 다단으로 또는 2열 이상에서 1단 또는 2단 이상으로 정렬시키고, 또는 정렬시키지 않고 상기 기초 부재를 감을 경우가 있다.
제4 발명에 의하면, 상기 지지용 부재로서 릴을 사용하고 있으므로 회전 구동시킴으로써 전개나 권취를 용이하게 수행할 수 있음과 동시에, 기초 부재의 보관, 처리, 이송 등 취급을 용이하게 만든다.
제5 발명은 제1 발명 내지 제4 발명 중 어느 하나에 있어서, 상기 지지용 부재는 테두리부와 그 테두리부에 부착되어 상기 기초 부재를 주행 가능하게 지지하는 주행용 지지부를 가지며, 상기 기초 부재는 상기 주행용 지지부로 지지됨으로써 정해진 주행 경로를 따라 주행 가능한 검출용 물질 지지체이다.
제6 발명은 제5 발명에 있어서, 상기 주행용 지지부는 상기 테두리부에 회전이 가능하게 부착되고 그 외주가 나각(螺刻)된 드럼을 가지며, 상기 테두리부는 상기 기초 부재를 외부 용기 내에 삽입 가능하게 암을 가지고 상기 드럼에는 그 나사 골에 상기 기초 부재가 감기며, 상기 기초 부재는 상기 드럼을 회전시킴으로써 상기 암의 선단 근방을 통해 주행하는 것이다.
제5 발명 및 제6 발명에 의하면, 상기 기초 부재는 상기 주행용 지지부에 지지된 것이기 때문에 주행 경로를 따라 주행시킴으로써 상기 기초 부재에 고정된 검출용 물질을 간단히 각 처리 영역간을 이동시킬 수 있다. 따라서, 자동화를 용이하게 수행할 수 있다.
또한, 테두리부에 대한 규격화나 표준화를 수행함으로써 검출용 물질 지지체의 다른 관련 장치를 저렴하고 대량으로 공급할 수 있다. 또한, 기초 부재를 주행용 지지부에 지지시킨 채 각가지 처리나 이송 등을 수행할 수 있기 때문에, 기초 부재에 직접 접촉할 필요가 없으므로 기초 부재를 보호하게 된다.
또한, 본 발명에서는 미소한 기초 부재를 주행시키도록 하고 있기 때문에, 검출용 물질 지지체 자체를 이동시킬 경우에 비해서 이동 처리가 용이하다.
제7 발명은 제5 발명에 있어서, 상기 주행용 지지부는 상기 기초 부재가 감기는 권심 및 그 권심에 마련되어 그 권심을 사이에 두고 서로 대향하도록 이간되며 유체의 통과가 가능한 2개의 가이드 틀을 가지는 풀어내기용 릴 및 권취용 릴로 이루어지고, 상기 2개 릴은 테두리부에 회전이 가능하게 부착되며, 상기 테두리부는 상기 기초 부재를 외부 용기 내에 삽입 가능한 암을 가지고, 상기 기초 부재는 상기 암 선단부를 통해서 주행하도록 릴 사이에 질러 걸린 검출용 물질 지지체이다.
제7 발명에 의하면, 릴 사이에서 기초 부재를 주행시킴으로써 암 선단부를 용기 등에 삽입하기만 하면 각가지 처리를 수행할 수 있기 때문에 처리하기 쉽다.
제8 발명은 제7 발명에 있어서, 상기 테두리부는 케이싱과 그 케이싱으로부터 바깥쪽으로 연장되는 암을 가지고, 상기 권취용 릴은 상기 케이싱에 회전이 가능하게 부착되며, 상기 풀어내기용 릴은 상기 암 선단부에 회전이 가능하게 부착된 검출용 물질 지지체이다. 본 발명은 암 선단부에 롤러 등을 필요로 하지 않는다.
제8 발명에 의하면, 풀어내기용 릴을 암 선단에 마련함으로써 반응을 위하여 기초 부재 자체를 주행시키는 시간을 생략할 수 있기 때문에 반응 처리를 단축화시킬 수 있다.
제9 발명은 제5 발명 내지 제8 발명 중 어느 하나에 있어서, 상기 주행용 지지부는 상기 테두리부에 회전이 가능하게 부착된 1 또는 2 이상의 롤러를 상기 주행 경로를 따라 부착된 검출용 물질 지지체이다.
제9 발명에 의하면, 롤러를 거치는 주행 경로를 마련함으로써, 각가지 주행 경로를 설정할 수 있기 때문에 다양한 처리를 수행할 수 있다. 또한, 롤러에 의해 기초 부재의 흡수 등을 수행함으로써 건조를 동시에 수행할 수 있다.
제10 발명은 제9 발명에 있어서, 상기 롤러 외주에 있어서 상기 롤러와 상기 기초 부재 사이에 끼이고, 소정 주행 속도로 주행하는 보호용 띠가 마련된 검출용 물질 지지체이다.
상기 "소정 속도"로서는 상기 기초 부재의 주행 속도와 거의 동일하게 설정하는 것이 바람직하지만, 이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다. 그리고, "보호용 띠"는 상기 기초 부재의 폭이나 길이보다도 길게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의하면, 상기 롤러와 기초 부재 사이에 끼인 상태에서 보호용 띠를 소정 속도로 주행시킴으로써 기초 부재가 롤러에 의해 닿아서 손상되거나 롤러와의 접촉이 없기 때문에 크로스 컨태미네이션을 확실히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보호용 띠로서 종이나 천 등 흡수성 재료를 사용함으로써 기초 부재의 건조도 용이하게 수행할 수 있다.
제11 발명은 제5 내지 제10 발명 중 어느 하나에 있어서, 상기 기초 부재의 상기 주행 경로에 상기 검출용 물질의 검출을 수행하기 위한 검출용 영역 및/또는 검출용 물질과 목적 물질의 반응을 수행하기 위한 반응용 영역을 마련한 검출용 물질 지지체이다. 여기서, "검출"이란, 예컨대 광학적인 검출이다.
본 발명에 의하면, 주행 경로의 일부에 검출용 영역이나 반응용 영역을 마련함으로써 처리를 일관적으로 자동적으로 수행할 수 있다.
제12 발명은 제5 발명 내지 제11 발명 중 어느 하나에 있어서, 상기 기초 부재의 상기 주행 경로는 폐로를 형성하고 있는 검출용 물질 지지체이다.
반복적으로 주행시킴으로써 반응을 용이하고 또한 신속하게 수행하고, 또한 신뢰성이 높은 검출을 수행할 수 있다.
제12 발명에 의하면, 기초 부재의 주행 경로를 닫혀진 것을 사용함으로써 일정 방향의 이동만으로 반복적으로 처리나 측정을 수행할 수 있기 때문에 다루기 쉽다.
제13 발명은 제5 발명 내지 제12 발명 중 어느 하나에 있어서, 상기 주행용 지지부에는 외부 주행 기구와 결합되어 상기 기초 부재를 주행 이동시키는 연결부가 마련되어 있는 검출용 물질 지지체이다.
또한, 외부 주행 기구와의 결합은, 예컨대 상기 지지용 부재를 주행 기구가 마련된 장치에 장전됨으로써 수행되도록 한다.
제13 발명에 의하면, 주행용 지지부에 연결부를 마련함으로써 주행 기구와 결합되어 용이하게 기초 부재의 주행을 수행할 수 있기 때문에 취급을 용이하게 만든다.
제14 발명은 제3 발명 내지 제13 발명 중 어느 하나에 있어서, 상기 지지용 부재는 다수의 구멍이 마련된 통액성 부재로 형성된 검출용 물질 지지체이다.
제14 발명에 의하면, 통액성 부재로 상기 지지용 부재를 형성함으로써 상기 기초 부재에 골고루 균일하게 액체와 접촉시킬 수 있기 때문에 치우치지 않는 신뢰성이 있는 반응 처리를 수행할 수 있다.
제15 발명은 제3 발명 내지 제14 발명 중 어느 하나에 있어서, 상기 지지용 부재에는 상기 기초 부재가 집적화되어 지지될 때에 상기 기초 부재 주위에 간극을 만들기 위한 간극용 부재가 설치된 검출용 물질 지지체이다.
이와 같은 지지용 부재에 마련된 간극용 부재로서는, 예컨대 풀어내기용 릴의 상기 가이드 틀 안쪽 방향으로 상기 가이드 틀과의 밀착을 방지하고, 또는 상기 기초 부재 사이에 간극을 만들기 위한 돌출부를 마련한 것이나 다음에 나타내는 제16 발명이 있다.
제16 발명은 제15 발명에 있어서, 상기 간극용 부재는 상기 릴의 한쪽 가이드 틀에 설치된 구멍을 관통하여 권심의 외주 근방을 통해서 다른 쪽의 가이드 틀에 이르도록 마련된 착탈이 가능한 간극용 핀을 가지는 검출용 물질 지지체이다.
본 발명에 의하면, 이 간극용 핀을 장착한 상태로 상기 기초 부재를 감고 다 감은 경우에는 그 간극용 핀을 탈착함으로써 상기 기초 부재가 권심과 느슨하게 감기게 되어 기초 부재간에 간극이 생긴다.
제15 발명 및 제16 발명에 의하면, 상기 기초 부재 주위에 간극을 마련함으로써 상기 기초 부재에 골고루 균일하게 액체와 접촉시킬 수 있어서 치우치지 않는 신뢰성이 있는 반응 처리를 수행할 수 있다.
제17 발명은 각종 검출용 물질이 지지되어 있는 검출용 물질 지지체에 대해서 반응 또는 검출을 위한 각가지 처리를 행하는 복수의 처리 영역과 상기 검출용 물질 지지체를 착탈이 가능하게 부착하는 부착부와 상기 검출용 물질 지지체를 상기 부착부에 부착한 상태에서 상기 각 검출용 물질을 상기 처리 영역간에서 이동하는 검출용 물질 이동 수단과 상기 검출용 물질을 소정의 순서, 소정의 시간으로 상기 처리 영역간을 이동하도록 제어하는 제어부를 가지는 검출용 물질 지지체 처리장치이다.
또한, 이 검출용 물질 지지체 처리장치에 상기 주행 경로의 검출용 영역(처리 영역)에서 검출하는 검출용 장치를 만들어 넣어도 된다.
제17 발명에 의하면, 검출용 물질 지지체를 부착부에 부착한 상태에서 수작업에 의하는 일 없이 처리를 일관적이고 자동적으로 수행할 수 있다.
제18 발명은 제17 발명에 있어서, 상기 검출용 물질 이동 수단은 상기 검출용 물질을 상기 부착부와 함께 이동시키는 검출용 물질 지지체 처리장치이다.
본 발명에 의하면, 부착부와 함께 이동하면 검출용 물질 지지체를 별로 건드리지 않아도 되므로 한층 신뢰성이 있는 처리를 수행할 수 있다.
제19 발명은 제18 발명에 있어서, 상기 부착부는 상기 검출용 물질 지지체를 수용하는 수용부로서, 그 수용부는 용기 등 처리영역 내에 삽입 가능한 세경(細徑)부와 연통됨과 동시에 그 수용부 내의 압력을 조절하는 것이 가능한 흡인 토출 기구가 마련된 분주기에 착탈이 가능하게 장착된 검출용 물질 지지체 처리장치이다.
제19 발명에 의하면, 분주기를 사용해서 검출용 물질 지지체에 대해서 처리하기 때문에, 검출용 물질 지지체를 유지하고 있는 수용부에 대해서 액체의 흡인이나 토출을 수행함으로써 각가지 다양성이 있는 처리를 수행할 수 있다. 또한, 분주기를 각 용기에의 시약 등 분주나 상기 기초 부재 상으로의 각종 검출용 물질의 배치에도 이용함으로써 전처리를 포함한 모든 처리를 일관적으로 효율성 있게 자동화할 수 있다.
제20 발명은 제17 발명에 있어서, 제5 발명 내지 제16 발명 중 어느 하나에 관련된 상기 검출용 물질 지지체에 대해서, 상기 부착부는 상기 지지용 부재의 상기 주행용 지지부에 지지된 상기 기초 부재가 주행 가능하게 상기 지지용 부재를 부착하는 것으로서, 상기 검출용 물질 이동 수단은 상기 지지용 부재를 부착부에 부착시킨 채 상기 기초 부재만을 그 길이 방향을 따라서 주행 이동시킴으로써 상기 검출용 물질을 상기 처리 영역간에서 이동시키는 검출용 물질 지지체 처리장치이다.
제20 발명에 의하면, 검출용 물질 지지체의 기초 부재만을 그 길이 방향을 따라서 주행 이동시키는 것이다. 따라서, 기초 부재의 주행 이동만으로 각가지 처리를 수행할 수 있기 때문에, 처리가 용이하고 전체적으로 콤팩트한 처리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제21 발명은 제20 발명에 있어서, 상기 검출용 물질 이동 수단은 상기 지지용 부재의 상기 주행용 지지부에 연결되어 상기 기초 부재를 주행 이동시키는 주행기구를 가지는 검출용 물질 지지체 처리장치이다.
여기서, "연결"은, 예컨대 릴의 권심에 마련된 연결부와 상기 주행 기구인 회전 구동 수단을 연결함으로써 수행한다.
제21 발명에 의하면, 상기 검출용 물질 지지체를 주행 기구에 연결하기만 하면 기초 부재를 주행시킬 수 있기 때문에, 기초 부재를 건드리는 일이 없어서 취급이 용이하다.
제22 발명은 제17 발명에 있어서, 제5 발명 내지 제16 발명 중 어느 하나에 관련된 검출용 물질 지지체에 대해서, 상기 부착부는 상기 지지용 부재를 부착하는 것으로서, 상기 검출용 물질 이동 수단은 상기 지지용 부재를 부착부와 함께 상기 처리 영역간을 이동시키는 처리 영역간 이동 수단과 상기 지지용 부재를 부착부에 부착한 상태 그대로 상기 주행용 지지부와 연결되어 그 기초 부재만을 길이 방향을 따라서 주행 이동시키는 주행 기구를 가지며, 상기 처리 영역간 이동 수단 및 상기 주행 기구를 사용해서 상기 검출용 물질을 처리 영역간을 이동시키는 검출용 물질 지지체 처리장치이다.
제22 발명에 의하면, 처리 영역간 이동 수단과 주행 기구를 사용해서 이동하는 것이다. 따라서, 다수의 공정으로 이루어지는 처리를 행할 경우나 처리로 대규모 장치나 공간을 필요로 할 경우에는 이동을 둘로 분리함으로써 합리적이며 효율적으로 처리를 수행할 수 있다.
제23 발명은 제17 발명 내지 제22 발명 중 어느 하나에 있어서, 상기 처리 영역에는 각종 액체가 수용된 각 용기가 마련된 검출용 물질 지지체 처리장치이다.
제24 발명은 제23 발명에 있어서, 1 또는 2 이상의 상기 용기에는 그 용기 내 온도를 제어하는 항온 제어부가 마련되어 있는 검출용 물질 지지체 처리장치이다.
제25 발명은 제24 발명에 있어서, 1 또는 2 이상의 상기 용기에는 용기에, 또는 검출용 물질 지지체에 진탕을 부여하는 진탕수단이 마련된 검출용 물질 지지체 처리장치이다.
제26 발명은 제23 발명 내지 제25 발명 중 어느 하나에 있어서, 1 또는 2 이상의 상기 용기에는 세정액이 수용된 검출용 물질 지지체 처리장치이다.
제27 발명은 제23 발명 내지 제26 발명 중 어느 하나에 있어서, 1 또는 2 이상의 상기 처리 영역의 하나에는 상기 검출용 물질 지지체를 건조시키는 건조수단을 마련한 검출용 물질 지지체 처리장치이다.
제28 발명은 제17 발명 내지 제27 발명 중 어느 하나에 있어서, 1 또는 2 이상의 상기 처리 영역의 하나에는 상기 검출용 물질 지지체의 변화를 검출하는 검출수단을 마련한 검출용 물질 지지체 처리장치이다.
여기서, "변화"에는 발광이 포함된다.
제29 발명은 제17 발명 내지 제28 발명 중 어느 하나에 있어서, 상기 검출용 물질 지지체 처리장치에는 목적 물질이 현탁한 현탁액과의 반응에 의해 생긴 기초 부재 위 발광 등 변화가 검출된 위치에 근거해서 관련된 검출용 물질을 특정하고, 그 검출용 물질의 구조나 성질에 근거해서 목적 물질의 구조 해석, 분석 등을 자동적으로 수행하는 해석부를 가지는 검출용 물질 지지체 처리장치이다.
여기서, "발광 등 변화"는, 예컨대 발광 물질에 의해 표지화된 목적 물질이 상기 검출용 물질 중 어느 것과 반응, 또는 결합하여 상기 검출용 물질이 상기 목적 물질의 표지화용 발광 물질에 의해 발광할 경우도 포함된다.
또한, 각 검출용 물질과 결합하여 마련된 어떠한 물질이 목적 물질과 결합 또는 반응되어 상기 물질의 색깔이 변화하거나 또는 발광이 생길 경우 등도 포함된다.
제23 발명 내지 제29 발명에 의하면, 상기 처리 공정으로서 각가지 장치나 처리를 수행함으로써 다양하고 효율적인 처리를 수행할 수 있다. 특히, 상기 검출용 물질 지지체 자체 또는 용기를 진탕시킴으로써 반응 처리를 신속화시킬 수 있다.
제30 발명은 각종 검출용 물질이 지지되어 있는 검출용 물질 지지체를 착탈 가능하게 부착부에 부착하는 부착 공정과 상기 검출용 물질 지지체를 부착부에 부착한 상태에서 상기 각 검출용 물질을 반응 또는 검출을 위한 처리를 행하는 복수의 처리 영역간에서 이동하는 이동 공정과 이동한 처리 영역에 있어서 상기 검출용 물질 지지체에 처리를 실시하는 처리 공정을 가지며, 이러한 이동 공정과 처리 공정을 반복함으로써 상기 검출용 물질에 대해서 일련의 처리를 행하는 검출용 물질 지지체 처리방법이다.
또한, 일반적으로는 처리 공정에는 상기 검출용 물질 지지체의 변화를 검출하는 검출 공정이 포함된다. 또한, 검출 공정 전에는 상기 기초 부재를 건조시키기 위한 건조 공정을 마련하도록 해도 된다.
본 발명에 의하면, 검출용 물질 지지체를 부착부에 부착한 상태에서 수작업을 거치지 않고 처리를 일관적으로 자동적으로 수행할 수 있다.
제31 발명은 제30 발명에 있어서, 상기 이동 공정은 상기 검출용 물질을 상기 부착부와 함께 이동하는 검출용 물질 지지체 처리방법이다.
본 발명에 의하면, 부착부와 함께 이동하면 검출용 물질 지지체를 별로 건드리지 않아도 되기 때문에 한층 신뢰성이 있는 처리를 수행할 수 있다.
제32 발명은 제30 발명에 있어서, 상기 이동 공정은 그 검출용 물질이 지지되어 있는 상기 검출용 물질 지지체를 수용부에 수용해서 수용부와 함께 이동하는 것으로서, 그 수용부는 그 수용부와 연통되어 용기 등 처리 영역 내에 삽입 가능한 세경부와 상기 수용부 내의 압력을 조절하는 흡인 토출 기구가 마련된 분주기에 착탈이 가능하게 장착된 검출용 물질 지지체 처리방법이다.
제32 발명에 의하면, 분주기를 사용해서 검출용 물질 지지체에 대해서 처리하기 때문에, 검출용 물질 지지체를 유지하고 있는 수용부에 대해서 액체의 흡인이나 토출을 행함으로써 각가지 다양성이 있는 처리를 수행할 수 있다. 또한, 분주기를 각 용기로의 시약 등 분주나 상기 기초 부재 위로의 각종 검출용 물질의 배치에도 이용함으로써 전처리를 포함한 모든 처리를 일관적으로 효율성 있게 자동화시킬 수 있다.
제33 발명은 제30 발명에 있어서, 제1 발명 내지 제16 발명 중 어느 하나에 관련된 상기 검출용 물질 지지체에 대해서 상기 부착 공정은 상기 지지용 부재의 상기 주행용 지지부에 지지된 상기 기초 부재가 주행 가능하게 상기 지지용 부재를부착하는 것으로서, 상기 이동 공정은 상기 지지용 부재를 상기 부착부에 부착시킨 채 상기 기초 부재만을 그 길이 방향을 따라서 주행 이동시킴으로써 상기 검출용 물질을 상기 처리 영역간에서 이동시키는 검출용 물질 지지체 처리방법이다.
또한, 본 발명에서는 상기 집적용 지지부에 상기 기초 부재를 집적화한 것을 전개하면서 주행시키는 것이어도 된다.
제33 발명에 의하면, 검출용 물질 지지체의 기초 부재만을 그 길이 방향을 따라서 주행 이동시키는 것이다. 따라서, 기초 부재의 주행 이동만으로 각가지 처리를 수행할 수 있기 때문에, 처리가 용이하며 전체적으로 콤팩트한 처리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제34 발명은 제33 발명에 있어서, 제5 발명 내지 제16 발명 중 어느 하나에 관련된 상기 검출용 물질 지지체에 대해서, 상기 이동 공정은 상기 주행용 지지부에 연결되어 상기 주행 구동 시킴으로써 상기 기초 부재를 그 길이 방향을 따라서 주행시켜 상기 검출용 물질을 상기 처리 영역간에서 이동시키는 검출용 물질 지지체 처리방법이다.
제34 발명에 의하면, 상기 검출용 물질 지지체를 주행 기구에 연결하기만 하면 기초 부재를 주행시킬 수 있기 때문에, 기초 부재를 만지는 일이 없어서 취급이 용이하다.
제35 발명은 제33 발명에 있어서, 제5 발명 내지 제16 발명 중 어느 하나에 관련된 검출용 물질 지지체에 대해서, 상기 이동 공정은 상기 지지용 부재를 부착부와 함께 상기 처리 영역간을 이동시킴과 동시에, 상기 지지용 부재를 부착한 상태 그대로 상기 주행용 지지부와 연결해서 회전 구동시키고, 그 기초 부재만을 길이 방향을 따라서 주행 이동시킴으로써 상기 검출용 물질을 처리 영역간을 이동시키는 검출용 물질 지지체 처리방법이다.
제35 발명에 의하면, 처리 영역간 이동 수단과 주행 기구를 사용하여 이동하는 것이다. 따라서, 다수의 공정으로 이루어지는 처리를 행하는 경우나 처리에 대규모 장치나 공간을 필요로 하는 경우에는 이동을 둘로 분리함으로써 합리적이며 효율적으로 처리를 수행할 수 있다.
제36 발명은 제30 발명 내지 제35 발명 중 어느 하나에 있어서, 상기 처리 공정에서의 각 처리 영역에서의 처리는 각종 액체가 수용된 용기에 대해서 수행하는 검출용 물질 지지체 처리방법이다.
제37 발명은 제30 발명 내지 제36 발명 중 어느 하나에 있어서, 상기 처리 공정 중에는 상기 용기 내의 온도를 제어하는 온도 제어 공정을 가지는 검출용 물질 지지체 처리방법이다.
제38 발명은 제30 발명 내지 제37 발명 중 어느 하나에 있어서, 상기 처리 공정 중에는 상기 용기 또는 검출용 물질 지지체에 진탕을 부여하는 진탕공정이 마련된 검출용 물질 지지체 처리방법이다.
제39 발명은 제30 발명 내지 제38 발명 중 어느 하나에 있어서, 상기 처리 공정 중에는 상기 검출용 물질 지지체를 건조시켜서 발광 검출 정밀도를 높이는 건조 공정을 가지는 검출용 물질 지지체 처리방법이다.
제40 발명은 제30 내지 제39 발명 중 어느 하나에 있어서, 상기 처리 공정중에는 목적 물질이 현탁한 현탁액과 상기 검출용 물질을 반응시키는 반응 공정과 상기 검출용 물질 지지체의 발광 등 변화를 검출하는 검출 공정을 가짐과 동시에, 또한 처리 공정 이외에 기초 부재 위 발광 등 검출 위치에 근거해서 관련된 검출용 물질을 특정하고, 그 검출용 물질의 구조에 근거해서 목적 물질의 구조 해석을 수행하는 해석 공정을 가지는 검출용 물질 지지체 처리방법이다.
제41 발명은 제40 발명에 있어서, 상기 검출 공정은 상기 기초 부재를 지지용 부재에 지지시킨 상태에서 상기 기초 부재를 전개한 상태에서, 또는 상기 기초 부재를 주행시키면서 검출하는 검출용 물질 지지체 처리방법이다.
제36 발명 내지 제41 발명에 의하면, 상기 처리 공정으로서 각가지 장치나 처리를 수행함으로써 다양하고 효율적인 처리를 수행할 수 있다. 특히, 상기 검출용 물질 지지체 자체 또는 용기를 진탕시킴으로써 반응 처리를 신속화시킬 수 있다.
제42 발명은 1 또는 복수 개의 관로 및 상기 관로 내 압력을 조절하는 흡인 토출 수단을 가지는 분주기와 상기 관로를 세정하고, 또는 교환하는 재생부와 각종 검출용 물질을 함유하는 각 현탁액이 각각 수용되며, 상기 관로가 삽입 가능한 복수의 액체 수용부를 가지는 용기와 상기 분주기에 의한 액체의 분주, 부착, 도포 또는 압인이 행해지는 제1 발명 내지 제16 발명 중 어느 하나에 관련된 1개 또는 2개 이상의 기초 부재를 서로 평행으로 나열해서 장착(張着)시키는 장착용 스테이지와 상기 관로를 상기 재생부, 상기 용기, 상기 스테이지 및 상기 기초 부재에 대해서 상대적으로 이동 가능케 하는 이동 수단과 상기 이동 수단 및 상기 흡인 토출수단의 제어를 수행하는 제어부를 가지며, 상기 제어부는 상기 관로에 대해서 상기 검출용 물질을 함유하는 현탁액의 흡인, 토출, 이동 및 세정 또는 교환을 반복함으로써 상기 각 현탁액을 상기 스테이지에 재치된 1개 또는 2개 이상의 기초 부재 위에서 기초 부재의 길이 방향에 대해서 거의 직각 방향으로 서로 접촉하지 않도록 세폭의 평행 라인을 따라서 배치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검출용 물질 지지체 제조장치이다.
또한, 이 장치를 사용해서, 일단 필름에 평행 라인 형상으로 상기 현탁액의 분주, 부착, 도포 또는 압인이 행해진 후, 그 필름을 상기 라인에 직교하는 방향으로 권심에 감아서 집적화한 후, 그 라인에 거의 직각으로 슬라이스함으로써 기초 부재가 감긴 릴을 제조할 수 있다. 또는, 상기 장착 스테이지에 장착된 기초 부재를 평행으로 나열시킨 것에 상기 필름의 평행 라인이 상기 기초 부재와 거의 직각이 될 만한 배치로 접촉하고, 상기 현탁액을 상기 기초 부재에 전사하도록 한 다음에, 상술한 바와 같이 릴을 제조할 수 있다.
제43 발명은 1 또는 복수 개의 관로, 각종 검출용 물질을 함유하는 각 현탁액이 각각 수용되어 상기 관로와 연통되는 1 또는 복수의 저류부 및 상기 관로 또는 저류부 내 압력을 조절해서 현탁액을 토출하는 토출수단을 가지는 인쇄기와 상기 관로 및 저류부를 세정하고 또는 교환하는 재생부와 상기 인쇄기에 의한 인쇄가 행해지는 제1 발명 내지 제16 발명 중 어느 하나에 관련된 1개 또는 2개 이상의 기초 부재를 서로 평행으로 나열해서 장착시키는 장착용 스테이지와 상기 관로를 상기 재생부, 상기 용기, 상기 스테이지 및 상기 기초 부재에 대해서 상대적으로 이동 가능하게 하는 이동 수단과 상기 이동 수단 및 상기 토출수단의 제어를 수행하는 제어부를 가지며, 상기 제어부는 상기 검출용 물질을 함유하는 현탁액의 토출, 이동 및 그 관로 및 저류부의 세정 또는 교환을 반복함으로써 상기 현탁액을 상기 스테이지에 재치된 1개 또는 2개 이상의 기초 부재 위에서 기초 부재의 길이 방향에 대해서 거의 직각으로 서로 접촉하지 않는 세폭의 평행 라인을 따라서 배치하도록 제어하는 검출용 물질 지지체 제조장치이다.
그리고, 이 장치를 사용해서, 일단 필름에 평행 라인 형상으로 상기 현탁액의 인쇄가 행해진 후, 그 필름을 상기 라인에 직교하는 방향으로 권심에 감아서 집적화한 후, 그 라인에 거의 직각으로 슬라이스함으로써 기초 부재가 감긴 릴을 제조할 수 있다. 또는, 상기 장착 스테이지에서 장착된 기초 부재를 평행으로 나열시킨 것에 상기 필름의 평행 라인이 상기 기초 부재와 거의 직각이 될 만한 배치로 접촉시키고, 상기 현탁액을 상기 기초 부재에 전사하도록 한 다음에 상술한 바와 같이 릴을 제조할 수 있다.
제44 발명은 1 또는 복수 개의 홈이 마련된 바늘, 통, 펜촉, 라인 형상의 압인부 등 액체 유지단과 상기 액체 유지단을 세정하고 또는 교환하는 재생부와 각종 검출용 물질을 함유하는 각 현탁액이 각각 수용되고 상기 액체 유지단이 삽입 가능한 복수의 액체 수용부를 가지는 용기와 상기 액체 유지단에 의한 도포, 필기, 부착 또는 압인이 행해지는 제1 발명 내지 제16 발명 중 어느 하나에 관련된 1개 또는 2개 이상의 기초 부재가 서로 평행으로 나열되어 장착되는 장착용 스테이지와 상기 액체 유지단을 상기 재생부, 상기 용기, 상기 기초 부재 및 스테이지에 대해서 상대적으로 이동 가능하게 하는 이동 수단과 상기 이동 수단의 제어를 수행하는 제어부를 가지며, 상기 제어부는 상기 액체 유지단에 대해서 상기 검출용 물질을 함유하는 현탁액의 유지, 이동 및 세정 또는 교환을 반복함으로써 상기 각 현탁액을 상기 스테이지에 재치된 1개 또는 2개 이상의 기초 부재 위에서 기초 부재의 길이 방향에 대해서 거의 직각으로 서로 접촉하지 않는 세폭의 평행 라인을 따라서 배치하도록 제어하는 검출용 물질 지지체 제조장치이다.
그리고, 이 장치를 사용해서, 일단 필름에 평행 라인 형상으로 상기 현탁액의 도포, 필기, 부착 또는 압인이 행해진 후, 그 필름을 상기 라인에 직교하는 방향으로 권심에 감아서 집적화한 후, 그 라인에 거의 직각으로 슬라이스함으로써 기초 부재가 감긴 릴을 제조할 수 있다. 또는, 상기 장착 스테이지에 장착된 기초 부재를 평행으로 나열시킨 것에 상기 필름의 평행 라인이 상기 기초 부재와 거의 직각이 될 만한 배치로 접촉하고, 상기 현탁액을 상기 기초 부재에 전사하도록 한 다음에, 상술한 바와 같이 릴을 제조할 수 있다.
제45 발명은 제42 발명 내지 제44 발명 중 어느 하나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소정 종류의 현탁액을 흡인하고 유지하며 또는 저류한 상기 관로, 또는 액체 유지단에 대해서, 상기 1개 또는 2개 이상의 기초 부재가 평행하여 재치된 소정 위치에서 상기 기초 부재의 길이 방향에 직각으로 라인 형상으로 상기 현탁액을 분주, 도포, 압인, 부착, 필기 또는 인쇄하며, 이어서 상기 재생부에서 교환 또는 세정하는 제어를 상기 종류와 다른 모든 종류에 대해서 종료될 때까지 상기 소정 위치에서 미소 거리 변위시킨 위치에 대해서, 순차적으로 반복함으로써 상기 검출용 물질을 함유하는 각 현탁액을 서로 접촉하지 않는 평행 라인을 따라서 배치하도록 제어하는 검출용 물질 지지체 제조장치이다.
제46 발명은 1개 또는 2개 이상의 기초 부재를 서로 평행으로 나열되어 평면 형상으로 장착하는 공정과 각종 검출용 물질을 함유한 각 현탁액을 상기 기초 부재에 직교시켜서 서로 접촉시켜지 않고 다수의 세폭 평행 라인 형상으로 분주하고 도포하며 부착하고 압인하며 필기하고 또는 인쇄함으로써 각 검출용 물질을 배치하는 배치공정과 상기 검출용 물질을 고정화한 상기 기초 부재를 지지부재에 지지시키는 지지 공정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검출용 물질의 고정 위치와 그 화학 구조가 대응된 검출용 물질 지지체를 제조하는 검출용 물질 지지체 제조방법이다.
본 발명에 의하면, 일단 각종 검출용 물질을 상기 기초 부재에 고정화한 후에는, 필름의 경우와 달리 절단공정과 같은 처리를 필요로 하지 않는다.
제47 발명은 제46 발명에 있어서, 상기 배치공정은 상기 관로 또는 액체 유지단을 소정 종류의 상기 검출용 물질을 함유하는 현탁액이 수용되어 있는 용기까지 이동 또한 삽입하고, 그 현탁액을 흡인하고 또는 유지하는 공정과 상기 관로 또는 액체 유지단을 상기 기초 부재 위 소정 위치에서 상기 기초 부재의 길이 방향으로 거의 직각 방향으로 이동시키면서 상기 현탁액을 분주, 도포, 부착, 압인 또는 필기하는 공정과 그 관로 또는 액체 유지단을 세정하고 또는 교환하는 재생 공정을 가지며, 순차적으로 반복함으로써 상기 검출용 물질을 함유하는 각 현탁액을 서로 접촉하지 않는 평행 라인을 따라서 배치하는 검출용 물질 지지체 제조방법이다.
제48 발명은 제46 발명에 있어서, 상기 배치공정은 소정 종류의 상기 검출용물질을 함유하는 현탁액이 수용되어 있는 저류부와 연통되는 관로를 상기 기초 부재 위 소정 위치에서 상기 기초 부재의 길이 방향으로 거의 직각 방향으로 상기 현탁액을 인쇄하는 공정과 그 관로 및 저류부를 세정하고 또는 교환하는 재생 공정을 순차적으로 반복함으로써 상기 검출용 물질을 함유하는 현탁액을 서로 접촉하지 않는 평행 라인을 따라서 배치하는 검출용 물질 지지체 제조방법이다.
제42 발명 내지 제48 발명에 의하면, 사람이 개재하는 일 없이 자동적으로 다수의 갸름한 기초 부재를 전개해서 평행으로 나열하여 배치한 상태에서 이 기초 부재의 장착 방향으로 거의 직각으로 검출용 물질을 함유하는 현탁액을 다수의 평행 라인 형상으로 크로스 컨태미네이션을 발생시키는 일 없이 확실히 배치할 수 있다. 이에 의해 신뢰성이 높은 검출용 물질 지지체를 대량으로 또한 저렴하게 공급할 수 있다.
또한, 관로 내 압력이나 관로 또는 액체 유지단의 이동을 제어하고, 또한 관로나 액체 유지단의 형상을 바꿈으로써 적절한 폭, 또는 농도를 가진 검출용 물질의 현탁액 라인을 용이하게 배치할 수 있어서 다양성이 있다.
본 발명 실시예에 대해서 도면에 근거해서 설명한다. 그리고, 이 실시예는, 특히 지정이 없는 한 본 발명을 제한하는 것이 아니다.
도 1a, b는 제1 및 제2 실시예에 관련된 검출용 물질 지지체(10, 16)의 예시를 나타낸다.
도 1a에 도시된 제1 실시예에 관련된 검출용 물질 지지체(1O)는 실 형상 또는 끈 형상의 갸름한 형상으로 형성된 가요성 또는 유연성이 있는 기초 부재(11)와 그 기초 부재(11)가 전개 가능하게 감긴 지지용 부재(12)를 가지고 있다. 그 기초 부재(11)에는 그 길이 방향으로 나열되어 검출용 물질로서, 예컨대 소정의 염기 배열을 가지는 올리고뉴클레오티드가 고정되어 있다. 이 고정 위치와 상기 각 염기 배열은 기초 부재(11) 상에서 대응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기초 부재(11)에는 미리 상기 검출용 물질을 고정할 수 있는 물질에 의해 표면이 가공 처리되고 피복되며, 또한 그와 같은 물질을 재료로 가질 필요가 있다. 상기 기초 부재(11)는 단면이 원형 또는 타원 등 거의 원형을 형성하고 있고 그 외주에는 주 방향을 따라서 환상 돌기(1la)가 일정 간극을 두고 돌출되어 있다.
그 기초 부재(11)는, 예컨대 나일론, 폴리에틸렌, 폴리에스테르 등 합성수지등에 의해 형성 되어 있다. 이 환상 돌기(1la)에 구획된 각 영역마다 상기 올리고뉴클레오티드가 고정되어 있다. 이 환상 돌기(1la)에 의해 각종 상기 기초 부재(11)끼리나 다른 부재에 밀착하는 사태를 방지하고, 상기 기초 부재(11) 사이에 액체가 유통 가능한 간극을 형성할 수 있다.
이에 의해 액체에 현탁되어 있는 목적 물질 등 반응 물질과 기초 부재(11)에 고정되어 있는 있는 검출용 물질간의 조우성을 높여 반응이나 결합을 촉진할 수 있음과 동시에 액체가 검출용 물질의 전체에 골고루 퍼지며, 액체가 치우치게 접촉하는 일이 없으므로 신뢰성이 있는 해석이나 분석을 수행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지지용 부재(12)는 도 1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원주 모양으로 형성된 권심(13)과 그 권심(13)을 사이에 두고 소정 간극을 두어 대향하고, 그 권심(13) 양단에서 동심으로 마련된 2개의 원판 모양 가이드 틀(14)을 가지는 릴(12)이다. 이 예에서는 상기 소정 간극은 도 1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최대 3렬의 상기 기초 부재(11)가 나열되어 권취할 수 있는 폭(통 길이)이다. 또한, 그 가이드 틀(14) 면에는 다수의 구멍(15)이 천설되고, 이 구멍(15)을 통해서 유체가 통과 가능하다. 상기 기초 부재(11)는 발광을 확실히 잡기 위해서 투명체로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예시에서는 도 1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기초 부재(11)를 제1단은 3렬, 제2단은 2열 …식으로 정렬시켜 감고 있기 때문에, 상기 기초 부재(11)를 밀집시켜 집적화의 정도를 높이고, 콤팩트한 크기로 정리할 수 있기 때문에, 한층 더 미소량의 액체를 사용한 처리에 대응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릴(12)의 경우에 대해서, 집적화된 상태와 전개된 상태에 대해서 구체적인 수치 예를 들어서 설명한다. 지금 릴(12) 권심(13)의 지름이, 예컨대 5mm로서 상기 기초 부재(11)의 지름이, 예컨대 0.05mm로서 그 길이를, 예컨대 2,000mm로 하고, 예컨대 1,000종류의 상기 검출용 물질을, 예컨대 1mm의 폭으로, 예컨대 0. 6mm의 간극을 두고 고정시킨 경우로서, 상기 릴(12)의 권심(13)에, 예컨대 간극 0.05mm를 두고, 예컨대 30열의 기초 부재(11)가 감겼다고 하자.
이 경우에는 권심(13)에 필요한 폭은
(0.05+0.05)×30= 3mm이다.
이 경우에 기초 부재(11)의 전 표면적은
2π×0.025×2000=약 314mm2이고,
검출용 물질의 도포 면적은
2π×0.025×1×1000(개)=약 157mm2이다.
상기 검출용 물질의 배치 밀도는
1OOO(개)/314mm2=약 3OO/1OOmm2가 된다.
또한, 릴(12)의 지름은 권심(13)의 일주가
2π×2.5=약 15.7mm이기 때문에, 30열에서는,
15.7×30=약 471mm이다.
따라서, 권심(13)에는
2,000mm/471=약 4.24겹으로 감기게 된다. 따라서, 릴(12)에 필요한 지름은
5+(0.05+0.05)×4.24=약 5.42mm가 된다.
도 1b에는 제2 실시예에 관련된 검출용 물질 지지체(16)를 나타낸다. 그 검출용 물질 지지체(16)는 상술한 도 1a의 검출용 물질 지지체(10)와 달리 그 권심(18)의 부분에 대해서, 그 간극이 1렬의 기초 부재(11)를 감을 수 있는 폭(통 길이)으로 설정한 릴(17)을 사용한 것이다.
따라서, 상기 릴(17)은 기초 부재(11)가 폭 방향으로 중복하는 일 없이 감기게 된다. 이 경우에는, 예컨대 상기 릴(17)을 투명체로 형성하거나 다수의 구멍이나 공극을 마련함으로써 릴(17)에 권취한 상태에서 발광을 검출하는 것도 가능하다.
여기서, 상기 릴(17)의 경우에 대해서, 집적화된 상태와 전개된 상태에 대해서 구체적인 수치 예를 들어서 설명한다.
지금, 릴(17) 권심(18)의 지름을, 예컨대 3mm로서, 상기 기초 부재(11)에 대해서는 릴(12)의 경우와 같은 것으로 한다. 상기 릴(17)에는 1렬의 기초 부재(11)만이 감겼다고 한다. 이 경우에는 권심(18)에 필요한 폭은 0.05mm이다. 이 경우에릴(17)의 필요한 지름을 컴퓨터에서 연산하면, 권심을 포함해서 약 11.80mm이다. 만일, 상기 권심(18)의 지름을, 예컨대 5mm로 하면, 릴(17)에 필요한 지름은 약 12.80mm가 된다.
하여튼, 릴의 지름은, 예컨대 약 1mm∼1cm의 오더 정도로서, 상기 기초 부재의 지름은, 예컨대 약 O.OOlmm∼O.lmm의 오더 정도이며, 상기 검출용 물질의 배치 간극은, 예컨대 약 O.Olmm∼1mm의 오더 정도이고, 상기 기초 부재의 길이는, 예컨대 약 1m의 오더 정도이다.
도 2a는 제3 실시예에 관련된 검출용 물질 지지체(19)를 나타낸다. 본 예시에 관련된 검출용 물질 지지체(19)는 도 1a에 도시된 것과 동일한 릴(12)를 사용하고 있지만, 상기 기초 부재(11)를 릴(12)에 느슨하게 정렬시키지 않고 감은 점에서 상이한다.
이에 의해 상기 기초 부재(11) 사이에 충분한 공극을 확보할 수 있기 때문에, 반응을 수행해야 할 현탁액을 널리 퍼뜨릴 수 있고, 각 검출용 물질에 대해서 균일하게 반응 효율이나 조우성을 한층 높일 수 있다.
도 2b는 제4 실시예에 관련된 검출용 물질 지지체(20)를 나타낸다. 본 예시에 관련된 검출용 물질 지지체(20)는 도 1a, 도 2a에 나타낸 것과 동일한 릴(12)을 사용하고, 상술한 기초 부재(11)와는 다른 기초 부재(21)를 느슨하게 정렬시키지 않고 감아서 집적화한 것이다. 이 기초 부재(21)는 단면은 원형 형상 또는 거의 원형 형상이지만, 그 외주면에서, 예컨대 6방향으로 소정 간극을 두고 凸부(21a)를 길이 방향을 따라서 돌출시킨 것이다.
본 예시에 의하면, 상기 기초 부재(21) 사이나 가이드 틀(14) 사이에 충분한 공극을 확보할 수 있기 때문에, 반응이 수행되어야 할 액체를 각 검출용 물질에 균일하게 널리 퍼뜨릴 수 있어서 반응 물질간의 조우성을 한층 높일 수 있다.
도 3은 제5 실시예에 관련된 검출용 물질 지지체(22)를 도시한 것이다.
이 검출용 물질 지지체(22)는 실 형상 또는 끈 형상 단면 원형의 갸름한 형상으로 형성된 가요성 기초 부재(23)와 그 기초 부재(23)가 전개 가능하게 감긴 지지용 부재로서의 릴(24)을 가지고 있다. 나중에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기초 부재(23)의 길이 방향으로 나열되어 검출용 물질(31)로서, 예컨대 소정의 염기 배열을 가지는 올리고뉴클레오티드가 고정되어 있다. 이 고정 위치와 상기 화학 구조로서의 상기 각 염기 배열과는 대응되어 있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 검출용 물질 지지체(22)는 원주 모양으로 형성된 권심(25)과 그 권심(25)을 사이에 두고 소정 간극을 두어 대향해서 마련되고, 유체의 통과가 가능한 2개의 가이드 틀(26)을 가지는 지지용 부재로서의 릴(24)을 가지고 있다.
또한, 그 가이드 틀(26) 면에는 다수의 구멍(27)이 천설되고, 이 구멍(27)을 통해서 유체가 통과 가능하다. 또한, 그 양쪽 가이드 틀(26) 면 내측 방향에는 상기 기초 부재(23)가 가이드 틀(26)에 밀착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상기 가이드 틀(26)을 따라서 방사형으로 마련된 간극용 부재로서의 돌기부(28)가 대향하고 또는 엇갈리도록 대면을 달리하여 각각 6개씩 마련되어 있다.
이 돌기부(28)의 존재에 의해 상기 기초 부재(23)가 가이드 틀(26)에서 이간되도록 내측 방향으로 밀려 본래 3렬의 기초 부재(23)의 간극이 1.5열 어치의 간극으로 봉입되어 있다. 이와 같이 상기 기초 부재(23)가 가이드 틀(26)에 밀착해서 정렬되는 것을 저지하고, 상기 기초 부재(23)와의 사이에 공극을 마련하여 유체가 통과하며, 상기 각 검출용 물질과 반응해야 할 액체와의 조우성을 높이고 있다.
도 4a, b는 제5 실시예에 관련된 상기 검출용 물질 지지체(22)를 구성하는 기초 부재(23)를 확대해서 상세히 도시한 것이다. 도 4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기초 부재(23)는 다공성 부재로 형성되고, 다수의 미소한 공(37)이 형성되어 액체를 함침시킬 수 있다. 상기 기초 부재(23)는 소정 종류의 검출용 물질(31)이 고정되어 있는 고정 영역(30)이 소정 간극을 두고 배치되어 있다.
상기 검출용 물질(31)로서는, 예컨대 소정 종류의 염기 배열을 가지는 올리고뉴클레오티드이다. 도 4는 영역(30)에 있는 검출용 물질(31)에 미지의 염기 배열을 결정하려고 하는 목적 물질로서의 DNA 단편 등 유전 물질(32)이 형광 물질 등 발광 물질(33)로 표지화된 것이 하이브리다이즈되어 결합된 경우의 일례를 나타내고 있다.
또한, 도 4b에서 부호 34는 상기 기초 부재(23) 위 기준 위치를 표시하기 위해서 소정 간극으로 상기 기초 부재(23) 위에 부착된 마크로서 형광 물질 등 발광 물질로 구성되어 있다.
상기 목적 물질과 결합된 상기 기초 부재(23)에 대해서, 예컨대 조사부로부터 여기광을 조사하여 생긴 상기 발광 물질(33) 및 마크(34)부터의 발광을 수광부(36)에서 수광한다. 그 발광 위치에서 상기 기초 부재(23) 위에서 상기 영역(30) 등을 특정한다. 이 기초 부재(23) 위 위치에서 상기 목적 물질이 결합된 상기 영역(30)에 고정된 검출용 물질인 올리고뉴클레오티드의 염기 배열을 특정할 수 있다. 이 염기 배열을 특정함으로써 상기 목적 물질의 염기 배열을 결정할 수 있다.
도 5는 이미 설명한 기초 부재를 포함한 각가지 기초 부재(11, 23, 21, 29)의 각가지 단면의 예시를 도시한 것이다. 부호(29a)는 기초 부재(29) 외주면에 마련된 돌기를 나타낸다.
도 6a, b는 제6 및 제7 실시예에 관련된 검출용 물질 지지체(40, 50)를 도시한 것이다.
도 6a에 도시된 제6 실시예에 관련된 검출용 물질 지지체(40)는 카세트 형상의 지지용 부재를 가지는 것이다. 그 검출용 물질 지지체(40)는 테두리 체로서의 케이싱(44) 및 그 케이싱(44) 바깥쪽을 향해 연장되는 암(45)을 가지고 있다. 상기 기초 부재(43)를 권취할 수 있는 2개의 릴(41, 42)이 상기 케이싱(44) 내에 회전이 가능하게 부착되어 있다. 그 암(45) 선단에는 롤러(46)가 회전이 가능하게 부착되어 있다.
상기 기초 부재(43)는 상기 릴(41) 또는, 릴(42)에 감기/풀기가 가능하게 감김과 동시에, 상기 롤러(46)를 통해서 상기 릴(41) 및 릴(42) 간에 질러 걸려 있다. 그리고, 이 릴(41) 및 릴(42)을 번갈아 회전 구동해서 상기 기초 부재(43)를 주행시키는 주행 기구(미도시)가 마련되어 있다.
상기 기초 부재(43)에는 그 길이 방향을 따라서 다종류의 검출용 물질이 소정 간극을 두고 나열되어 고정되어 있다. 이 카세트 형상의 지지용 부재를 가지는 검출용 물질 지지체(40)를 사용해서 검사, 해석 또는 분석 등을 행하는 데는 소정의 목적 물질이 현탁한 현탁액이 수용되어 있는 용기(48) 내에 상기 암(45) 선단에 있는 롤러(46)를 삽입하고, 상기 릴(41) 또는 릴(42)을 회전 구동함으로써 기초 부재(43) 중, 상기 검출용 물질이 고정되어 있는 영역 부분이 한쪽 릴부터 다른 쪽 릴까지 이동시킨다.
여기서, 상기 릴(41, 42), 롤러(46)는 상기 기초 부재(43)를 주행시키기 위한 상기 주행용 지지부에 상당하며, 상기 테두리부와 함께 상기 지지용 부재를 구성한다.
본 실시예에 관련된 검출용 물질 지지체(40)의 처리를 행하는 데는, 우선 이 검출용 물질 지지체(40)를 부착부(미도시)에 부착시킨 후, 목적 물질이 현탁되어 있는 현탁액이 수용되어 있는 용기(48)가 마련되어 있는 처리 영역으로 그 검출용 물질 지지체(40)를 이동시켜 상기 암 선단의 롤러(46)를 삽입한다.
다음에, 릴(41)에 집적화되어 있는 기초 부재(43)를 릴(42)을 회전 구동이 가능하게 함으로써 꺼내고, 상기 롤러(46)를 통해서 상기 릴(42)을 향하는 주행 경로를 따라서 주행시키며, 상기 검출용 물질 지지체(40)의 전체를 상기 현탁액과 접촉시켜 반응시킨다. 이에 따라 상기 용기(48) 내에 수용되어 있는 목적 물질이 현탁되어 있는 현탁액과 상기 검출용 물질의 전체를 균일하게 접촉시켜 반응을 시킬 수 있다.
다음에, 상기 검출용 물질 지지체(40)를 부착부에 부착시킨 채 다음 처리 영역에 있는 세정액이 수용되어 있는 용기로 이동시킨다. 다음에, 상기 릴(41)을 상기 처리 영역과 역방향으로 회전 구동시킴으로써 상기 기초 부재(43)를 상기 세정액를 통해서 주행시킴으로써 세정한다.
또한, 상기 검출용 물질 지지체(40)를 부착부에 부착시킨 채, 또한 다음 처리 영역으로 이동시키고, 직전과 같이 처리 영역과 역방향으로 회전 구동시킴으로써 재세정이나 건조 또는 검출을 수행한다.
검출은, 예컨대 형광 물질에 표지화된 목적 물질이 결합한 검출용 물질을 검출하기 위해서 상기 주행 경로를 따라 상기 기초 부재(43)를 주행시키면서 조사부로부터의 여기광(35)을 기초 부재(43)에 조사해서 생긴 발광을 상기 수광부(36)에서 수광함으로써 수행한다. 그리고, 상기 기초 부재(43)의 각 단부는 상기 각 릴에 부착시켜 놓으면, 그 기초 부재(43)가 릴(41, 42)에서 빠지지 않는다.
도 6b에 나타내는 제7 실시예에 관련된 검출용 물질 지지체(50)는 카세트 형상의 지지용 부재를 가진다. 그 검출용 물질 지지체(50)는 테두리부로서의 케이싱(54) 및 그 케이싱(54) 외쪽을 향하여 연장되는 암(55)을 가지고 있다. 또한, 드럼(51)이 상기 케이싱(54) 내에 회전이 가능하게 부착되어 있다.
그 암(55) 선단에는 롤러(56)가 부착되어 있다. 기초 부재(53)는 상기 드럼(51)의 외주면에 나각된 나사 골을 따라서 둘러 감을 수 있음과 동시에, 상기 롤러(56)을 매개해 다시 상기 드럼(51)에 되돌아 오는(가는) 바와 같이(하도록) 닫힌 주행 경로를 따라서 이동 가능하다.
상기 기초 부재(53)에는 그 길이 방향을 따라서 다종류의 검출용 물질을 소정 간극을 두고 나열되어도록 고정한다. 여기서, 상기 드럼(51) 및 롤러(56)는 상기 주행용 지지부에 상당하고, 상기 테두리부와 함께 상기 지지용 부재를 구성한다.
이 카세트 형상의 지지용 부재를 가진 검출용 물질 지지체(50)의 처리는 도 6a에서 설명한 검출용 물질 지지체(40)와 거의 같으므로 설명을 생략한다.
도 7에는 제8 실시예에 관련된 검출용 물질 지지체(60)를 도시한다.
이 검출용 물질 지지체(60)는 기초 부재(63)를 풀어내기/권취 할 수 있는 권취용 릴(61) 및 풀어내기용 릴(62)을 가지고, 상기 기초 부재(63)는 상기 권취용 릴(61) 및 풀어내기용 릴(62) 사이에 롤러(66a, 66b)를 거쳐 질러 걸려 있다.
또한, 상기 검출용 물질 지지체(60)는 테두리부로서의 케이싱(64) 및 상기 케이싱(64)부터 연장되는 갸름한 암(65)을 가지고 있다. 상기 권취용 릴(61) 및 롤러(66a, 66b, 66c, 66d)는 상기 케이싱(64) 내부에 회전이 가능하게 부착되어 있다. 또한, 상기 풀어내기용 릴(62)은 용기(48) 등에 삽입 가능하게 상기 암(65) 선단부에 회전이 가능하게 부착되어 있다. 여기서, 상기 권취용 릴(61), 상기 풀어내기용 릴(62), 롤러(66a, 66b, 66c, 66d)는 상기 주행용 지지부에 상당되고 상기 테두리부와 함께 상기 지지용 부재를 구성한다.
도 7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권취용 릴(61) 및 풀어내기용 릴(62)은 원주 모양으로 형성된 권심(61a, 62a)과 그 권심(61a, 62a)을 사이에 두고 소정 간극을 두고 대향해서 마련되어 유체 통과가 가능한 2개의 가이드 틀(61b, 62b)을 가지고 있다.
상기 권취용 릴(61)의 권심(61a)은 외부에 설치된 기어(67)와 동심으로 연결이 가능하다. 그 기어(67)는 타이밍 벨트(68)를 통해서 모터(70)의 기어(69)와 기구적으로 연결되고 있다. 여기서, 기어(67), 타이밍 벨트(68), 기어(69) 및 모터(70)는 상기 주행 기구에 상당하다.
또한, 상기 롤러(66a)와 롤러(66b) 사이의 상기 기초 부재(63)의 주행 경로는 상기 케이싱(64) 외부에 있어서, 검출용 영역(73)으로서 사용된다. 이는 상기기초 부재(63)에 고정된 검출용 물질을 검출하기 위해 이 검출용 영역(73)의 특정 위치에서의 빛을 얻기 위해서다. 이 특정 위치에서의 빛을 수광하기 위한 슬릿(72)이 마련된 차폐판(71)이 상기 검출용 영역(73)을 덮도록 마련되어 있다.
그 차폐판(71)의 상기 검출용 영역(73)과 반대쪽으로는 수광부(36)가 마련되어 있다. 그리고, 이 카세트 형상의 유지용 부재를 가진 검출용 물질 지지체(60)를 사용해서 검사, 해석 또는 분석 등을 행함에 있어서는, 우선 암(65) 선단에 기초 부재(63)가 감긴 풀어내기용 릴(62)을 회전이 가능하게 부착하고, 그 기초 부재(63)의 단부를 중공의 상기 권취용 릴(61)에 고정한다. 이 상태에서는 상기 검출용 물질은 전부 풀어내기용 릴(62)에 감긴 기초 부재(63)의 영역에 고정되어 있는 것으로 한다.
상기 암(65) 선단을, 예컨대 형광 물질에 표지화된 목적 물질이 현탁한 현탁액을 수용한 용기(48) 내에 삽입하고 목적 물질과 검출용 물질의 반응을 실행한다. 이 때에 용기 또는 검출용 물질 지지체(60)를 진탕해도 된다.
소정 시간 경과 후에 상기 암(65) 선단의 상기 풀어내기용 릴(62)을 상기 용기(48)에서 내고, 제1 세정액이 수용되어 있는 용기(74)에 이동시켜 삽입한다. 삽입한 후, 그 용기(74)를 진탕하여 상기 풀어내기용 릴(62)에 부착하고 있는 여분 현탁액을 제거한다.
그 후, 또한 상기 풀어내기용 릴(62)을 상기 용기(74)에서 내고, 제2 세정액이 수용되어 있는 용기(75)에 삽입하고, 확인을 위해 그 용기(75)를 진탕하여 상기 풀어내기용 릴(62)에 부착하고 있는 여분 협잡물(夾雜物)를 제거한다.
그 세정액에 담기 채, 또는 용기에서 상기 풀어내기용 릴(62)을 꺼내고, 또는 더 건조한 다음에 상기 모터(70)를 기동시켜 상기 권취용 릴(61)을 회전 구동하여 상기 기초 부재(63)를 상기 풀어내기용 릴(62)부터 상기 권취용 릴(61)을 향해 주행시킨다.
기초 부재(63)가 상기 롤러(66b)를 통과할 때에, 롤러(66b)가 기초 부재(63)의 수분을 흡수할 만한 재질을 사용해도 된다. 상기 검출용 영역(73)을 주행할 때에 상기 조사부로부터 여기광(35)을 조사하고, 소정 위치의 발광이 상기 수광부(36)에 수광되게 된다. 이 수광 결과에서 상기 목적 물질의 구조 등이 해석되게 된다. 그리고, 롤러(66c, 66d)의 역할에 대해서는 나중에 도 13에서 설명한다.
도 8은 상기 제8 실시예에 관련된 검출용 물질 지지체(60)를 다수 병렬해서 처리를 실시하고, 그 후에 병렬한 상태에서 발광 검출을 수행할 경우를 도시한 것이다. 이 경우에는, 상기 조사부는 상기 검출용 영역(73)을 케이싱(64) 옆에서 나열하여 여기광(35)을 일제히 조사함으로써 각 검출용 물질 지지체(60)와 함께 동시에 발광을 검출 또는 측정할 수 있기 때문에, 처리 및 측정을 효율적으로 수행할 수 있다.
도 9는 제9 실시예에 관련된 검출용 물질 지지체(80)을 도시한 것이다.
이 검출용 물질 지지체(80)는 기초 부재(83)를 풀어내고, 또한 권취할 수 있는 주행용 지지부로서의 권취용 릴(81) 및 풀어내기용 릴(82)을 가지며, 상기 기초 부재(83)는 상기 권취용 릴(81) 및 풀어내기용 릴(82) 사이에 롤러를 통하지 않고질러 걸려 있다.
또한, 상기 검출용 물질 지지체(80)는 테두리부로서의 케이싱(84) 및 상기 케이싱(84)으로부터 연장되는 갸름한 암(85)을 가지고 있다. 상기 권취용 릴(81)은 이 케이싱(84) 내부에 회전이 가능하게 부착되어 있다. 상기 풀어내기용 릴(82)은 용기등에 삽입 가능하게 상기 암(85) 선단부에 회전이 가능하게 부착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릴(81, 82)은 상기 주행용 지지부에 상당하고, 상기 테두리부와 함께 지지용 부재를 구성한다.
본 실시예에 관련된 검출용 물질 지지체(80)에서는 상기 기초 부재(83)는 롤러를 통하지 않고 주행하는 구조이기 때문에, 롤러를 사용하는 것에 비해서 구조가 간단할 뿐 아니라 롤러에 의해 기초 부재(83)가 닳거나 크로스 컨태미네이션이 생기는 사태를 확실히 방지할 수 있다.
도 10은 본 발명 제10 실시예에 관련된 검출용 물질 지지체 처리방법의 일례를 도시한 것이다.
본 실시예에 관련된 검출용 물질 지지체 처리방법을 목적 물질인 DNA 단편의 미지의 염기 배열 결정을 실시하는 처리를 예로 들어 설명한다. 본 실시예에 관련된 방법으로서는, 부착부(미도시)에 부착된 검출용 물질 지지체(90)를 전개하지 않고 부착와 함께 이동시키는 것이다.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스텝 S1에서 펠티에 소자가 마련된 항온조에 있어서 형광 물질 등으로 표지화된 상기 목적 물질이 현탁액에 소정 시약을 혼합시킨 프로브 용액을 사전에 약 95℃에서 수분간 가열한 후, 전류의 방향을 바꿈으로써,예컨대 상온, 필요하다면 상온과 다른 온도로 유지한 상태에서 냉각함으로써 하이브리다이즈하기 쉬운 형태로 상기 용액을 조정한다.
그리고, DNA 단편의 미지의 염기 배열 결정을 실시함에 있어서는, 하이브리다이제이션 이외에, 전제로서 DNA 단편의 합성이나 DNA 단편의 단일 사슬화(denaturation)와 같은 처리가 필요한 것은 말할 것도 없다.
스텝 S2에서 집적화된 상기 검출용 물질 지지체(90)를 상기 프로브 용액이 수용된 상기 용기(92)로 이동해 삽입하고, 용기(92)를 항온조(91)에서, 예컨대 상온, 필요하다면, 상온과 다른 온도로 유지한 상태에서 약 수분∼수시간 동안 배양을 실시하여 반응시킨다.
스텝 S3에서 반응 종료 후, 실온에서 제1 세정액이 수용된 용기(93)에 상기 검출용 물질 지지체(90)를 이동하여 삽입하고, 진탕을 더하여 세정하며, 여분의 상기 목적 물질 등이 현탁한 프로브 용액을 제거한다.
스텝 S4에서 제1 세정 뒤, 미사용의 제2 세정액이 수용된 용기(94)에 상기 검출용 물질 지지체(90)를 이동 삽입하고, 진탕을 더하여 다시 세정하며, 아직 남아 있는 프로브 용액을 제거한다.
스텝 S5에서 세정 종료한 상기 검출용 물질 지지체(90)를 건조 공기를 불어 줌으로써 건조한 후, 상기 검출용 물질 지지체(90)를 집적화한 채, 또는 전개된 상태에서 상기 발광을 검출한다.
도 11은 제11 실시예에 관련된 검출용 물질 지지체 처리장치 및 처리방법을 목적 물질인 DNA 단편의 미지의 염기 배열 결정을 실시하는 처리를 예로 들어 설명한다.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검출용 물질 지지체 처리장치로서 분주기(100)을 사용하고, 부착된 상기 검출용 물질 지지체(90)를 부착부와 함께 이동하여 처리를 수행하는 것이다. 분주기(100)는 액체를 저류하고 또한 상기 검출용 물질 지지체(90)를 수용할 수 있는 수용부로서의 저류부(101)와 그 저류부(101) 내 압력을 조절하여 액체의 흡인 토출을 수행하기 위한 실린더 등 흡인 토출 기구(102)와 상기 저류부(101)와 연통되어 외부에 마련된 처리 영역 내에 있는 용기에 삽입 가능한 세경부(103)를 가진다.
상기 저류부(101)는 상기 흡인 토출 기구(102)와 관(104)을 통해서 연통된 노즐(105)에 착탈이 가능하게 장착되어 있다. 또한, 상기 노즐(105)에는 액체 누실을 방지하기 위한 O링 등 실 부재(106)가 마련되어 있다.
상기 저류부(101) 내에서는 상기 검출용 물질 지지체(90)가 상기 저류부(101) 내벽에 설치한 부착부(107)에 부착되어 있다.
그리고, 도시되지 않았지만, 본 처리장치에는 상기 저류부(101) 및 세경부(103)를 이동하는 이동 수단 및 그 이동 수단과 상기 흡인 토출 기구의 제어를 수행하는 제어부를 가진다.
이 제어부는 조작자에 의한 조작 지시나, 데이터의 입력을 수행하기 위한 입력부와 조작자에게 조작 결과나 지시 내용, 데이터 등 표시나 출력을 하는 출력부와 기억장치와 조작 지시 등을 해석하여 각 장치에 지시를 행하거나 조작 결과를 표시 해석을 행하는 CPU 등 연산장치로 이루어지는 정보처리 장치를 가지고 있다.
제11 실시예에 관련된 상기 검출용 물질 지지체 처리방법에서는, 스텝 S11에서 상기 검출용 물질 지지체(90)를 상기 분주기(100)의 상기 저류부(101) 내에 부착한다. 그 저류부(101)를 노즐(105)에 장착해 놓는다.
스텝 S12에서 형광 물질 등으로 표지화된 상기 목적 물질이 현탁하는 액체에 소정 시약을 혼합시킨 프로브 용액을 수용한 용기(92)를 펠티에 소자가 마련된 항온조(91)에 의해 사전에 약 95℃에서 수분간 가열한 후, 전류의 방향을 바꿈으로써, 예컨대 상온, 필요하다면 상온과 다른 온도로 유지한 상태에서 냉각함으로써 하이브리다이즈되기 쉬운 상태로 상기 용액을 조정한다.
스텝 S13에서, 다음에 상기 검출용 물질 지지체(90)를 저류부(101)를 포함해서 이동하고, 상기 분주기(100)의 상기 세경부(103)를 상기 용기(92) 내에 삽입하며, 용기(92)를 항온조(91)에서, 예컨대 상온, 필요하다면 상온과 다른 온도로 유지한 상태에서 약 수분∼수시간 동안 잉큐베이션를 수행하여 반응시킨다. 이 경우, 상기 분주기(100)는, 예컨대 상기 용기(92) 내에 있는 용액을 흡인하여 일정 시간 간극을 거쳐 토출하는 것을 반복함으로써 상기 저류부(101) 내 상기 검출용 물질 지지체(90)를 상기 온도의 액과 접촉시킨다.
스텝 S14에서, 반응 종료 후 실온 상태에 있는 제1 세정액이 수용된 용기(93)에 상기 검출용 물질 지지체(90)를 저류부(101)와 함께 이동하고, 상기 분주기(100)의 세경부(103)를 상기 용기(93) 내에 삽입하며, 상기 분주기(100)에 의해 세정액의 흡인 토출을 반복함으로써 세정하여 여분의 상기 목적 물질 등이 현탁되어 있는 프로브 용액을 제거한다.
스텝 S15에서, 제1 세정 후에 미사용의 제2 세정액이 수용된 용기(94)에 상기 검출용 물질 지지체(90)를 상기 저류부(101)와 함께 이동하고, 상기 세경부(103)를 상기 용기(94)에 삽입하며, 상기 분주기(100)에 의해 상기 세정액의 흡인 토출을 반복적으로 세정하고, 또한 남아 있는 프로브 용액을 제거한다.
스텝 S16에서, 세정이 종료한 상기 검출용 물질 지지체(90)를 상기 저류부(101)에서 제거하여 외부에 내고, 건조 공기를 불어 줌으로써 건조를 수행하며, 건조한 검출용 물질 지지체(90)를 전개하여 광학적 검출을 수행하게 된다.
이어서, 제12 실시예에 관련된 검출용 물질 지지체 및 그 처리방법을 도 12에 근거해서 설명한다.
제12 실시예에 관련된 검출용 물질 지지체(110)는 기초 부재(113)를 풀어내기/권취 할 수 있는 2개의 드럼(111, 112)을 가지고, 상기 기초 부재(113)는 갸름한 끈 형상으로 형성되며, 상기 드럼(111) 및 드럼(112)에 감김과 동시에, 16개의 롤러(114) 및 6개의 롤러(117∼122)를 거쳐 닫힌 주행 경로를 거쳐 질러 걸려 있다.
또한, 상기 검출용 물질 지지체(110)는 테두리부로서의 케이싱(115) 및 상기 케이싱(115)으로부터 아래쪽으로 연장되는 갸름한 6개의 암(116)을 가지고 있다.
상기 드럼(111, 112) 및 16개의 롤러(114)는 상기 케이싱(115) 내부에 회전이 가능하게 부착되어 있다. 6개의 상기 롤러(117∼122)는 6개의 각 암(116) 선단부에 회전이 가능하게 부착되어 있다. 상기 암(116)은 그 선단부가 용기(92, 92, 93, 94) 등에 삽입 가능한 크기로 설정되어 있다. 상기 암(116) 선단부에 마련된롤러(117, 118, 119, 120)는 각각 용기(92, 92, 93, 94) 안에 삽입되며, 롤러(121, 122)는 공기중에 노출되어 있다.
또한, 상기 기초 부재(113)에는 그 길이 방향을 따라 다종류의 검출용 물질이 소정 간극을 두고 나열되어 고정되어 있다. 그 기초 부재(113)의 주행 경로의 일부는 상기 케이싱(115) 외부에 있는 검출용 영역(123)을 통과하게 설정되어 있다.
상기 드럼(111, 112)은 도 12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드럼 형상의 권심(124)과 그 권심(124)과 동심에 마련된 회전축(l26)과 상기 권심(124) 외주면에 나각된 나사골(125)을 가지고, 상기 기초 부재(113)는 그 나사골(125)을 따라 감겨 있다.
여기서, 상기 드럼(111, 112), 상기 롤러(117∼122)는 상기 주행용 지지부에 상당하고, 상기 테두리부와 함께 지지용 부재를 구성한다.
또한, 도시되지 않았지만 상기 검출용 물질 지지체(110)의 상기 기초 부재(113)를 주행 구동하기 위해 이 검출용 물질 지지체(110)를 장전함으로써 상기 드럼(111) 또는 드럼(112)을 회전 구동하는 주행 기구 및 이 주행 기구를 제어하는 제어부가 마련되어 있다.
이어서, 상기 검출용 물질 지지체(110)를 사용한 제12 실시예에 관련된 검출용 물질 지지체의 처리방법을 설명한다.
스텝 S21에서, 사전에 형광 물질 등으로 표지화된 상기 목적 물질이 현탁한 액체에 소정 시약을 혼합시킨 프로브 용액을 수용한 용기(92)를 펠티에 소자가 마련된 항온조(91)에 의해 약 95℃로 수분간 가열한 후, 전류의 방향을 바꿈으로써,예컨대 상온, 필요하다면 상온과 다른 온도로 유지한 상태에서 냉각하여 하이브리다이제이션하기 쉬운 상태로 상기 용액을 조정해 놓는다.
다음에, 상기 용기(92)를 상기 항온조(91)에서, 예컨대 상온, 필요하다면 상온과 다른 온도로 유지한 상태로 둔다. 이 상태에서 상기 기초 부재(113) 중 상기 롤러(117) 및 롤러(118)을 통과하는 부분을 약 수분∼수시간씩 동안 잉큐베이션을 수행하여 반응시킨다. 이 속도를 유지하도록 하며, 상기 드럼(111) 및 드럼(112)을 회전 구동시킴으로써 상기 기초 부재(113)에 고정된 검출용 물질을 이동시킨다.
스텝 S22에서는, 상기 속도로 상기 반응이 종료한 상기 기초 부재(113)의 부분이 롤러(119)를 통과함으로써 상기 용기(93) 내에 수용된 제1 세정액를 통과한다. 그 때에, 상기 용기에 진탕을 부여함으로써 상기 기초 부재(113)의 부분을 세정하며, 여분 상기 목적 물질 등이 현탁되어 있는 하게 들어 있는 프로브 용액을 제거한다.
스텝 S23에서는, 상기 속도로 상기 제1 세정이 종료한 상기 기초 부재(113)의 부분이 롤러(120)를 통과함으로써 상기 용기(94) 내에 수용된 제2 세정액를 통과한다. 그 때에, 상기 용기에 진탕을 부여함으로써 상기 기초 부재(113)의 부분을 더 세정하고, 상기 제1 세정에서도 씻지 못했던 여분의 상기 목적 물질 등이 현탁되어 있는 프로브 용액을 제거한다.
스텝 S24에서는, 상기 속도로 상기 제2 세정이 종료한 상기 기초 부재(113)의 부분이 롤러(121)을 통과할 때에, 그 부분에 건조 공기를 불어 줌으로써 제2 세정이 종료한 상기 기초 부재(113)의 부분을 건조한다.
스텝 S25에서는, 상기 속도로 상기 공정에서 건조된 기초 부재(113)의 부분에 더욱 건조 공기를 불어 줌으로써 제1 건조에 의해도 제거되지 않았던 수분을 더 제거해 건조하여 철저히 하게 된다.
스텝 S26에서는, 상기 속도로 건조가 종료한 상기 기초 부재(113)의 부분이 검출용 영역(123)을 통과할 때에, 상기 조사부로부터 여기광(35)를 그 부분에 조사함으로써 생긴 발광을 상기 수광부(36)에 의하여 수광한다.
본 실시예에 관련된 방법에 의하면, 상기 검출용 물질 지지체(110) 그 자체를 이동할 필요가 없고, 상기 기초 부재(113)만을 상기 드럼(111, 112)을 회전 구동시킴으로써 주행시키면 되기 때문에, 이동 수단을 간단화하고, 장치 규모를 축소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관련된 방법은, 특히 면역 반응으로 사용될 경우에 유효하다.
이어서, 도 13에 근거해서 제13 실시예에 관련된 검출용 물질 지지체 제조장치 및 방법에 대해서 설명한다.
제13 실시예에 관련된 제조장치는 카세트 형상의 지지용 부재를 가진 상기 검출용 물질 지지체(60)의 기초 부재(63) 위에 상기 검출용 물질을 배치하기 위한 장치이다.
그 장치는 도 13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올리고뉴클레오티드 등의 각종 검출용 물질을 현탁한 현탁액을 수용한 다수의 웰(130)이 마련된 마이크로플레이트 모양의 용기(129)와, 상기 액체 유지단으로서의 복수 개의 홈 부착 바늘(127)이 열 형상으로 부착된 헤드(131)와 그 헤드(131)에 마련된 홈 부착 바늘(127)을 세정하기 위한 세정부(133)로 이루어지는 세정조(132)와 상기 헤드(131)를 상기 마이크로플레이트 모양의 용기(129), 상기 세정조(132) 및 상기 기초 부재(63)가 장착된 장소 사이에서 XYZ축 방향을 따라 이동을 가능하게 하는 이동수단(134)을 가지고 있다.
이 세정조(132)의 각 세정부(133)는 각각 독립적으로 항상 사용된 세정액을 제거하고, 새로운 세정액이 공급되도록 마련되어 있다(오버플로 방식).
또한, 도 13b는 상기 홈 부착 바늘(127)이 실제로 상기 기초 부재(63)에 상기 검출용 물질 현탁액을 부착시킬 때의 상태를 모식적으로 묘사한 것이다. 도면 중, 부호 128은 상기 홈 부착 바늘(127)에 마련된 홈을 나타내는 것이며, 도면에서는 홈에 상기 현탁액이 유지된 상태를 나타내고 있다.
또한, 본 장치에는 도시되지 않았지만, 상기 이동수단(134)을 제어하기 위한 제어부가 마련되어 있다. 제어부는 조작자에 의한 조작 지시나 데이터의 입력을 수행하기 위한 입력부와 조작자에게 조작 결과나 지시 내용, 데이터 등 표시나 출력을 행하는 출력부와 기억장치와 조작 지시 등을 해석하여 각 장치에 지시를 주거나 조작 결과를 표시 해석하는 CPU 등 연산장치로 이루어지는 정보처리 장치를 가지고 있다.
본 장치를 사용하고, 상기 기초 부재(63)에 상기 검출용 물질을 부착함에 있어서는 상기 기초 부재(63)의 주행 경로를 주행용 지지부인 케이싱(64)에 마련된 롤러(66e, 66d 및 66c)를 거침과 동시에, 상기 케이싱(64) 바깥쪽에 마련된 롤러(66f, 66g)를 통해 상기 릴(62)로부터 상기 릴(61)까지 주행하는 것과 같은 주행 경로를 설정한다.
다음에, 상기 이동수단(134)에 지시하고, 상기 헤드(131)를 상기 마이크로플레이트 모양 용기(129)에까지 이동시키며, 상기 각 홈 부착 바늘(127)을 일제히 상기 웰(130) 안에 삽입하고, 그 웰(130)에 수용되고 있는 상기 현탁액을 각 홈 부착 바늘(127)의 홈(128)에 유지시킨다. 그 현탁액을 유지한 상기 홈 부착 바늘(127)이 마련된 상기 헤드(131)를 상기 기초 부재(63)가 장착 되어 있는 위치에까지 이동시키고, 상기 각 홈 부착 바늘(127)의 상기 홈(128)을 상기 기초 부재(63)와 접촉시킨다.
접촉이 완료된 상기 헤드(131)는 상기 이동수단(134)에 의해 상기 세정조(132)까지 이동되고, 상기 헤드(131)의 각 홈부착 바늘(127)을 각 세정부(133)에 삽입시켜 세정한다. 그 때에, 상기 카세트 형상 검출용 물질 지지체(60)의 상기 릴(61)을 회전 구동시키고, 상기 기초 부재(63)를 상기 헤드(131)에 의해 상기 검출용 물질의 현탁액이 부착된 간극의 길이만큼 주행시킨다.
이상의 순서를 반복함으로써 상기 기초 부재(63) 위에 상기 검출용 물질의 배치를 행한다.
만일, 기초 부재가 두께 약 0.001mm, 그 폭을 약 0.03mm와 같은 테이프 모양인 경우에, 그 길이를 1m로 하고 검출용 물질의 배치 간극을 1mm로 하면, 상기 기초 부재를 집적화된 상태에서 1mm2의 투영 면적에 대해서 약 1,OOO개의 검출용 물질이 배치되게 되며, 집적화된 상태(반드시, 항상 집적화하는 것이 필요하다는 것이아님)에서의 밀도는 1,OOO/mm2로 고밀도이다.
그러나, 기초 부재의 표면(세로 약 0.03mm, 가로 약 0.00lmm, 길이 약 1m)에 고정되어 있다고 할 경우에는, 그 표면적은 약 6Omm2고 밀도는 약 16/mm2라는저밀도가 되고, 전개된 상태에서의 고정 배치는 집적화된 상태의 약 60분의 1의 저밀도에서 행해진다고 할 수 있다. 즉, 기초 부재를 전개한 상태라면 상기 검출용 물질의 배치가 얼마나 용이하게 실행되는가를 나타내고 있다.
제14 실시예에 관련된 검출용 물질 지지체에 대해서 도 14에 근거해서 설명한다. 그리고, 이미 도 7에서 설명한 참조 번호와 동일 번호인 것은 동일한 것을 나타내기 때문에 설명을 생략한다.
도 14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검출용 물질 지지체(140)는 기초 부재(143)를 풀어내기/권취 할 수 있는 권취용 릴(141) 및 풀어내기용 릴(142)을 가지며, 상기 기초 부재(143)는 상기 권취용 릴(141) 및 풀어내기용 릴(142) 사이에 롤러(146a, 146b)를 거쳐 질러 걸려 있다. 초기 상태에서는 상기 기초 부재(143)는 상기 풀어내기용 릴(142)에 대부분이 감긴 상태에 있다.
또한, 이 검출용 물질 지지체(140)는, 또한 2개의 보호대용 릴(147, 148)을 가진다. 그 2개의 보호대용 릴(147 및 148) 사이에는 종이나 천 등 유연성이 있는 흡수성 재료로 형성된 상기 기초 부재(143)의 폭 및 길이 이상의 폭 및 길이를 기지는 갸름하게 형성된 보호용 띠(149)가 상기 롤러(146b) 및 롤러(146c)를 거쳐 질러 걸려 있다. 그 보호용 띠(149)는 초기 상태에서는 상기 보호대용 릴(148)에 대부분 감긴 상태가 되어 있다.
또한, 상기 검출용 물질 지지체(140)는 테두리부로서의 케이싱(144) 및 상기 케이싱(144)으로부터 연장되는 갸름한 암(145)을 가지고 있다. 상기 릴(141, 147, 148) 및 롤러(146a, 146b, 146c)는 상기 케이싱(144) 내부에 회전이 가능하게 부착되어 있다. 상기 릴(142)은 용기(48) 등에 삽입 가능하게 상기 암(145) 선단부에 회전이 가능하게 부착되어 있다.
도 14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릴(141, 142, 147, 148)은 원주 모양으로 형성된 권심(141a, 142a, 147a, 148a)과 그 권심을 사이에 두고 소정 간극을 두어 대향해서 마련되며 유체의 통과가 가능한 2개의 가이드 틀(141b, 142b, 147b, 148b)을 가지고 있다.
상기 권취용 릴(141)의 권심(141a)에는 외부에 설치된 기어(67)와 동심으로 연결되는 연결부가 마련되어 있다. 또한, 상기 권취용 릴(141)의 권심(141a)에는, 또한 기어(150)가 동심으로 고정적으로 마련되고 있다. 상기 기어(150)는 상기 케이싱(144) 내부에 부착되어 있다.
또한, 상기 보호대용 릴(148)의 권심(148a)과 동심으로 기어(151)가 상기 케이싱(144) 내부에 상기 권심(148a)에 고정적으로 마련되고 있다. 이들 기어(150) 및 기어(151)는 상기 케이싱(144) 내에 설치된 기어(152)를 통해서 연결되고 있다. 그리고, 기어(150)와 기어(151)의 톱니 수는, 예컨대 동일한 것으로 한다.
그리고, 이상 가운데 상기 권취용 릴(141), 상기 풀어내기용 릴(142), 롤러(146b), 롤러(146a) 및 기어(150, 151, 152)는 상기 주행용 지지부에 해당한다. 또한, 상기 검출용 물질 지지체(140)와 다른 별체로 마련된 상기 기어(67), 타이밍 벨트(68), 기어(69) 및 모터(70)는 상기 주행 기구에 해당한다.
이상과 같은 구성이기 때문에, 초기 상태에서는 상기 기초 부재(143)는 상기 풀어내기용 릴(142)에 감기고, 보호용 띠(149)는 상기 보호대용 릴(147)에 감겨 있다. 이 상태에서 상기 모터(70)에 의해 상기 릴(141)을 회전 구동하면, 상기 릴(142)로부터 상기 기초 부재(143)가 상기 릴(141)로 향해서 롤러(146b) 및 도중에 검출용 영역(153)을 거치는 주행 경로를 주행한다.
그 때, 상기 모터(70)로부터의 토크는 상기 기어(150, 152, 153)를 통해서 상기 보호대용 릴(148)을 회전 구동하고, 상기 기초 부재(143)의 주행 속도와 거의 동일한 속도로 상기 롤러(146b) 및 롤러(146c)를 거쳐 상기 릴(147)로부터 상기 릴(148)을 향하는 경로를 따라 상기 보호용 띠(149)를 주행시킨다.
따라서, 상기 롤러(146b)의 외주에 있어서는, 상기 보호용 띠(149)는 상기 기초 부재(143)과 롤러(146b)에 끼인 상태에서 상기 기초 부재(143)와 동일 속도로 접촉하게 되기 때문에, 상기 기초 부재(143)와 상기 보호대(149) 사이의 상대 속도에 의한 마모를 방지하고, 또한 롤러(146b) 사이에서는 접촉이 없기 때문에 크로스 컨태미네이션을 피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기초 부재(143)에 부착된 수분이 그 보호용 띠(149)에 의해 흡수되고 기초 부재(143)를 건조시키기 때문에, 그 후에 상기 기초 부재(143)가 주행하는 상기 검출용 영역(153)에 있어서 신뢰성이 있는 측정을 행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릴(141, 142), 롤러(146a, 146b, 146c)는 주행용 지지부를 구성하며, 상기 테두리부와 함께 지지용 부재를 구성한다.
제15 실시예에 관련된 간극용 부재에 대해서 도 15에 근거해서 설명한다. 그리고, 이미 도 14에서 설명한 참조 번호와 동일 번호의 것은 동일한 것을 표현하기 때문에 설명을 생략한다.
도 15a는 본 실시예에 관련된 간극용 부재(155)를, 예컨대 상기 풀어내기용 릴(142)에 장착한 상태를 나타내는 것이고, 도 15b는 상기 간극용 부재(155)를 상기 풀어내기용 릴(142)에서 탈착된 상태를 도시한 것이다.
그 간극용 부재(155)는 기부(156)와 그 기부(156)에서 돌출해서 부착되고, 한쪽 상기 가이드 틀(142b)에 마련된 4개의 공(158)을 관통하며, 상기 권심(142a) 외주 근방을 통과하여 다른 쪽의 가이드 틀(142b)에 마련된 4개의 凹부(159)까지 각각 도달하는 4개의 간극용 핀(157)을 가진다. 이 4개의 공(158), 4개의 간극용 핀(157) 및 4개의 凹부(159)는, 예컨대 약 90°로서 서로 중심각을 이루도록 설치되어 있다.
본 간극용 부재(155)를 사용함에 있어서는, 우선 도 15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간극용 핀(157)을 상기 가이드 틀(142b)에 마련된 4개의 공(158)에 끼워 서 상기 간극용 부재(155)를 장착한다. 그 상태로 상기 권심(142a) 및 상기 간극용 핀(157)을 묶어서 텐션을 가하면서 상기 기초 부재(143)를 정렬된 상태로 감는다.
다 감기면, 도 15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기초 부재(143)를 상기 릴(142)에 지지시킨 상태에서 상기 간극용 부재(155)를 상기 릴(142)에서 탈착시킨다. 이에 따라 상기 기초 부재(143)에 더해졌었던 텐션이 제거되기 때문에 기초부재(143)는 상기 권심(142a)에 느슨하게 감긴 상태가 된다.
본 실시예에 의하면, 상기 기초 부재(143) 사이에는 충분한 간극이 생기게 되어 반응 처리에 있어서 그 기초 부재(143) 사이에 목적 물질이 현탁된 현탁액이 충분히 널리 퍼지고, 반응을 균일하게 실시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예에 의하면, 처음부터 텐션을 가하지 않고 느슨하게 감을 경우에 비해서 보다 용이하게 느슨한 감기 상태를 실현할 수 있게 된다.
이상의 실시예는 본 발명을 한층 잘 이해시키기 위해서 구체적으로 설명한 것으로서, 다른 형태를 제한하는 것은 아니다. 따라서, 발명 주지를 변경하지 않는 범위에서 변경 가능하다. 예를 들면, 이상의 실시예에서는 검출용 물질이 올리고뉴클레오티드이고 목적 물질은 DNA 단편인 경우에 대해서 설명했지만, 다른 유전 물질, 단백질, 아미노산, 면역계통 물질이나 당 이외의 생체 고분자의 경우에서도 된다.
또한, 각 발명이나 실시예에서 마련된 각 구성 요소, 구성 물질, 장치, 구성 부품, 공정 등은 적당한 변경을 더하여 임의로 조합할 수 있다. 또한, 이상의 실시예에서는 목적 물질의 해석에는 목적 물질을 형광 물질로 표지화한 경우에 대해서 설명했다. 그러나, 이 예시에 한정되지 않고, 예컨대 상기 기초 부재에 같은 크기의 폴리스티렌 미립자의 상반구만을 덮도록 금을 증착시킨 것에 검출용 물질을 덮은 것을 고정 배치해 놓고, 표면에 백색광 등을 조사하면서 목적 물질의 현탁액과 접촉시킨다. 목적 물질이 결합되면 색깔이 변화되고 그 색깔을 측정함으로써 목적 물질의 해석을 해도 된다.
또한, 상기한 기초 부재는 그 단면이 거의 원형인 경우에 대해서 설명했지만, 그 경우가 한정되지 않고 테이프 모양의 경우에서도 된다.
또한, 이상의 실시예에서는 액체 유지단을 상기 기초 부재에 부착해서 상기 검출용 물질을 배치할 경우에 대해서만 설명했지만, 이 경우에 한정되지 않고, 예컨대 분주기를 사용하거나 인쇄 장치를 사용해서 배치하는 것도 물론 가능하다.
또한, 이상의 예에서는 검출은 조사부로부터 여기광을 조사함으로써 수행할 경우에 대해서만 설명했지만, 이들 경우에 한정되지 않고 여기광을 필요로 하지 않는 경우에서도 된다.
또한, 상기 기초 부재가 감긴 릴을 제조하기 위해서는, 예컨대 상기 검출용 물질 지지체 제조장치 등을 사용해서 필름 상에 각종 검출용 물질을 함유한 각 현탁액을 서로 접촉시키지 않고 다수 세폭의 평행 라인 형상으로 분주하고 도포하며 압인하고 필기하며 또는 인쇄함으로써 각 검출용 물질을 배치한다. 이와 같이, 상기 검출용 물질을 고정화한 상기 필름을 상기 라인 방향으로 직교하는 방향에 원주 모양의 권심으로 감아서 집적화하고, 그 감긴 필름을 상기 권심마다 그 축 방향으로 거의 직각 방향으로 다수 절단한다. 이와 같이 얻어진 것에 가이드 틀을 부설하며, 기초 부재가 감긴 릴을 제조한다. 이 릴을 상기 테두리부에 부착함으로써 상기 카세트 형상, 또는 카트리지 형상의 지지용 부재를 가지는 검출용 물질 지지체를 대량으로 용이하고 또한 저렴하게 얻을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하면, 검출용 물질 지지체, 그 처리장치, 그 처리방법, 그 제조장치 및 그 제조방법에 대해서, 목적 물질과의 반응성이 높고 신뢰성이 높으며 일련이 처리를 일관적이며 자동적으로 또한 용이하게 할 수 있는 것을 제공할 수 있다.

Claims (48)

  1. 실 형상, 끈 형상 또는 테이프 형상 등 갸름한 형태로 형성된 가요성이 있는 기초 부재와 그 기초 부재의 길이 방향으로 나열되어 고정된 소정의 화학 구조를 가진 각종 검출용 물질과 상기 기초 부재를 전개 가능하게 지지하는 지지용 부재를 가짐과 동시에, 상기 각종 검출용 물질의 고정 위치와 그 각 화학 구조가 대응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검출용 물질 지지체.
  2.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기초 부재에는 상기 기초 부재 상의 기준 위치를 표시하기 위한 1 또는 2 이상의 마크가 부여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검출용 물질 지지체.
  3. 제1 또는 2 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용 부재는 상기 기초 부재가 유체와 접촉 가능하게 일정한 영역 내에 갇히고, 또한 그 영역 내에서 전개되도록 지지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검출용 물질 지지체.
  4. 제1 내지 3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용 부재는, 릴을 가지고 그 릴은 상기 기초 부재가 감기는 권심과, 그 권심에 마련되어 그 권심을 사이에 두고 서로 대향하도록 이간되며 유체의 통과가 가능한 2개의 가이드 틀을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검출용 물질 지지체.
  5. 제1 내지 4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용 부재는, 테두리부와 그 테두리부에 부착되어 상기 기초 부재를 주행 가능하게 지지하는 주행용 지지부를 가지며, 상기 기초 부재는 상기 주행용 지지부로 지지됨으로써 정해진 주행 경로를 따라 주행 가능한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검출용 물질 지지체.
  6. 제5 항에 있어서,
    상기 주행용 지지부는, 상기 테두리부에 회전이 가능하게 부착되고 그 외주가 나각된 드럼을 가지며, 상기 테두리부는 상기 기초 부재를 외부 용기 내에 삽입 가능하게 암을 가지고, 상기 드럼에는 그 나사 골에 상기 기초 부재가 감기며, 상기 기초 부재는 상기 드럼을 회전시킴으로써 상기 암 선단부를 통해 주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검출용 물질 지지체.
  7. 제5 항에 있어서,
    상기 주행용 지지부는, 상기 기초 부재가 감기는 권심 및 그 권심에 마련되고 그 권심을 사이에 두고 서로 대향하도록 이간되며 유체의 통과가 가능한 2개의 가이드 틀을 가지는 풀어내기용 릴 및 권취용 릴로 이루어지고, 상기 2 개의 릴은 테두리부에 회전이 가능하게 부착되며, 상기 테두리부는 상기 기초 부재를 외부 용기 내에 삽입 가능하게 암을 가지고, 상기 기초 부재는 상기 암 선단부를 통해 주행하도록 릴 사이에 질러 결린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검출용 물질 지지체.
  8. 제7 항에 있어서,
    상기 테두리부는 케이싱과 그 케이싱에서 외쪽으로 연장되는 암을 가지고, 상기 권취용 릴은 상기 케이싱에 회전이 가능하게 부착되며, 상기 풀어내기용 릴은 상기 암 선단부로 회전이 가능하게 부착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검출용 물질 지지체.
  9. 제5 내지 8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주행용 지지부는, 상기 테두리부에 회전이 가능하게 부착된 1 또는 2 이상의 롤러를 상기 주행 경로를 따라 부착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검출용 물질 지지체.
  10. 제9 항에 있어서,
    상기 롤러의 외주에 있어서, 상기 롤러와 상기 기초 부재 사이에 끼이고, 소정 주행 속도로 주행하는 보호용 띠가 마련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검출용 물질 지지체.
  11. 제5 내지 10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기초 부재의 상기 주행 경로에 상기 검출용 물질의 검출을 수행하기 위한 검출용 영역 및/또는 검출용 물질과 목적 물질과의 반응을 수행하기 위한 반응용 영역을 마련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검출용 물질 지지체.
  12. 제5 내지 11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기초 부재의 상기 주행 경로는 폐로를 형성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검출용 물질 지지체.
  13. 제5 내지 12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주행용 지지부에는 외부 주행 기구와 결합되어 상기 기초 부재를 주행 이동시키는 연결부가 마련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검출용 물질 지지체.
  14. 제3 내지 13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용 부재는 다수의 구멍이 마련된 통액성 부재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검출용 물질 지지체.
  15. 제3 내지 14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용 부재에는 상기 기초 부재가 집적화되어 지지될 때에 상기 기초 부재 주위에 간극을 만들기 위한 간극용 부재가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검출용 물질 지지체.
  16. 제5 항에 있어서,
    상기 간극용 부재는, 상기 지지용 부재가 릴을 가지는 경우에는, 상기 릴의 한쪽 가이드 테두리에 설치된 구멍을 관통해서 권심의 외주 근방을 통해서 다른 쪽 가이드 테두리에 도달하도록 설치된 착탈 가능한 간극용 핀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검출용 물질 지지체.
  17. 각종 검출용 물질이 지지되어 있는 검출용 물질 지지체에 있어서, 반응 또는 검출을 위한 각가지 처리를 행하는 복수의 처리 영역과 상기 검출용 물질 지지체를 착탈이 가능하게 부착하는 부착부와 상기 검출용 물질 지지체를 상기 부착부에 부착한 상태에서 상기 각 검출용 물질을 상기 처리 영역간에서 이동시키는 검출용 물질 이동 수단과 상기 검출용 물질을 소정의 순서, 소정의 시간으로 상기 처리 영역간을 이동하도록 제어하는 제어부를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검출용 물질 지지체 처리장치.
  18. 제17 항에 있어서,
    상기 검출용 물질 이동 수단은 상기 검출용 물질을 상기 부착부와 함께 이동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검출용 물질 지지체 처리장치.
  19. 제18 항에 있어서,
    상기 부착부는 상기 검출용 물질 지지체를 수용하는 수용부로서, 그 수용부는 용기 등 처리 영역 내에 삽입 가능한 세경부와 연통됨과 동시에, 그 수용부 내의 압력을 조절하는 것이 가능한 흡인 토출 기구가 설치된 분주기에 착탈이 가능하게 장착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검출용 물질 지지체 처리장치.
  20. 제17 항에 있어서,
    제 5 내지 16 항 중 어느 한 항 기재의 상기 검출용 물질 지지체에 있어서, 상기 부착부는 상기 지지용 부재의 상기 주행용 지지부에 지지된 상기 기초 부재가 주행 가능하게 상기 지지용 부재를 부착하는 것으로서, 상기 검출용 물질 이동 수단은 상기 지지용 부재를 부착부에 부착시킨 채 상기 기초 부재만을 그 길이 방향을 따라 주행 이동시킴으로써 상기 검출용 물질을 상기 처리 영역간에서 이동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검출용 물질 지지체 처리장치.
  21. 제20 항에 있어서,
    상기 검출용 물질 이동 수단은 상기 지지용 부재의 상기 주행용 지지부에 연결되어 상기 기초 부재를 주행 이동시키는 주행 기구를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검출용 물질 지지체 처리장치.
  22. 제17 항에 있어서,
    상기 제 5 내지 16 항 중 어느 한 항 기재의 상기 검출용 물질 지지체에 있어서, 상기 부착부는 상기 지지용 부재를 부착하는 것으로서, 상기 검출용 물질 이동 수단은 상기 지지용 부재를 부착부와 함께 상기 처리 영역간을 이동시키는 처리 영역간 이동 수단과 상기 지지용 부재를 부착부에 부착한 상태 그대로 상기 주행용 지지부와 연결되어 그 기초 부재만을 길이 방향을 따라 주행 구동시키는 주행 기구를 가지며, 상기 처리 영역간 이동 수단 및 주행 기구를 사용해서 상기 검출용 물질을 처리 영역간을 이동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검출용 물질 지지체 처리장치.
  23. 제17 내지 22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처리 영역에는 각종 액체가 수용된 각 용기가 마련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검출용 물질 지지체 처리장치.
  24. 제23 항에 있어서,
    1 또는 2 이상의 상기 용기에는 그 용기 내 온도를 제어하는 항온 제어부가 마련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검출용 물질 지지체 처리장치.
  25. 제24 항에 있어서,
    1 또는 2 이상의 상기 용기에는 용기에 또는 검출용 물질 지지체에 진탕을 부여하는 진탕수단이 마련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검출용 물질 지지체 처리장치.
  26. 제23 내지 25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1 또는 2 이상의 상기 용기에는 세정액이 수용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검출용 물질 지지체 처리장치.
  27. 제23 내지 26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1 또는 2 이상의 상기 처리 영역의 하나에는 상기 검출용 물질 지지체를 건조시키는 건조수단을 마련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검출용 물질 지지체 처리장치.
  28. 제17 내지 27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1 또는 2 이상의 상기 처리 영역의 하나에는 상기 검출용 물질 지지체의 변화를 검출하는 검출수단을 마련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검출용 물질 지지체 처리장치.
  29. 제17 내지 28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검출용 물질 지지체 처리장치에는 목적 물질이 현탁한 현탁액과의 반응에 의해 생긴 기초 부재 상 발광 등 변화가 검출된 위치에 근거해서 관련된 검출용 물질을 특정하고 그 검출용 물질의 구조나 성질에 근거해서 목적 물질의 구조 해석, 분석 등을 자동적으로 수행하는 해석부를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검출용 물질 지지체 처리장치.
  30. 각종 검출용 물질이 지지되어 있는 검출용 물질 지지체를 착탈이 가능하게부착부에 부착하는 부착 공정과, 상기 검출용 물질 지지체를 부착부에 부착한 상태에서 상기 각 검출용 물질을 반응 또는 검출을 위한 처리를 행하는 복수의 처리 영역간에서 이동시키는 이동 공정과, 이동된 처리 영역에 있어서 상기 검출용 물질 지지체에 처리를 행하는 처리 공정을 가지며, 이들 이동 공정과 처리 공정을 반복함으로써 상기 검출용 물질에 대해서 일련의 처리를 행하는 검출용 물질 지지체 처리방법.
  31. 제30 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 공정은 상기 검출용 물질을 상기 부착부와 함께 이동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검출용 물질 지지체 처리방법.
  32. 제30 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 공정은 그 검출용 물질이 지지되어 있는 상기 검출용 물질 지지체를 수용부에 수용해서 수용부와 함께 이동하는 것으로서, 그 수용부는 그 수용부와 연통되어 용기 등 처리 영역 내에 삽입 가능한 세경부와 상기 수용부 내 압력을 조절하는 흡인 토출 기구가 마련된 분주기에 착탈이 가능하게 장착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검출용 물질 지지체 처리방법.
  33. 제30 항에 있어서,
    제 1 내지 16 항 중 어느 한 항 기재의 상기 검출용 물질 지지체에 있어서,상기 부착 공정은 상기 지지용 부재의 상기 주행용 지지부에 지지된 상기 기초 부재가 주행 가능하게 상기 지지용 부재를 부착하는 것으로서, 상기 이동 공정은 상기 지지용 부재를 상기 부착부에 부착시킨 채 상기 기초 부재만을 그 길이 방향을 따라 주행 이동시킴으로써 상기 검출용 물질을 상기 처리 영역간에서 이동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검출용 물질 지지체 처리방법.
  34. 제 33 항에 있어서,
    제 5 내지 16 항 중 어느 한 항 기재의 상기 검출용 물질 지지체에 있어서, 상기 이동 공정은 상기 주행용 지지부에 연결되어 주행 구동시킴으로써 상기 기초 부재를 그 길이 방향을 따라 주행시키며, 상기 검출용 물질을 상기 처리 영역간에서 이동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검출용 물질 지지체 처리방법.
  35. 제33 항에 있어서,
    상기 제 5 내지 16 항 중 어느 한 항 기재의 검출용 물질 지지체에 있어서, 상기 이동 공정은 상기 지지용 부재를 부착부와 함께 상기 처리 영역간을 이동시킴과 동시에, 상기 지지용 부재를 부착한 상태 그대로 상기 주행용 지지부와 연결해서 회전 구동시키고, 그 기초 부재만을 길이 방향을 따라 주행 이동시킴으로써 상기 검출용 물질을 처리 영역간을 이동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검출용 물질 지지체 처리방법.
  36. 제30 내지 35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처리 공정에서 각 처리 영역에서의 처리는 각종 액체가 수용된 용기에 대해서 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검출용 물질 지지체 처리방법.
  37. 제30 내지 36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처리 공정 중에는 상기 용기 내 온도를 제어하는 온도 제어 공정을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검출용 물질 지지체 처리방법.
  38. 제30 내지 37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처리 공정 중에는 상기 용기 또는 검출용 물질 지지체 자체에 진탕을 부여하는 진탕공정이 마련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검출용 물질 지지체 처리방법.
  39. 제30 내지 38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처리 공정 중에는 상기 검출용 물질 지지체를 건조시켜서 발광 검출 정밀도를 높이는 건조 공정을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검출용 물질 지지체 처리방법.
  40. 제30 내지 39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처리 공정 중에는 목적 물질이 현탁한 현탁액과 상기 검출용 물질을 반응시키는 반응 공정과 상기 검출용 물질 지지체의 발광 등 변화를 검출하는 검출공정을 가짐과 동시에, 또한 처리 공정 이외에 기초 부재 상 발광 등 검출 위치에 근거해서 관련된 검출용 물질을 특정하고, 그 검출용 물질의 구조에 근거해서 목적 물질의 구조 해석을 수행하는 해석 공정을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검출용 물질 지지체 처리방법.
  41. 제40 항에 있어서,
    상기 검출 공정은 상기 기초 부재를 지지용 부재에 지지한 상태로, 상기 기초 부재를 전개한 상태로, 또는 상기 기초 부재를 주행시키면서 검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검출용 물질 지지체 처리방법.
  42. 1 또는 복수 개의 관로 및 상기 관료 내 압력을 조절하는 흡인 토출 수단을 가지는 분주기와 상기 관로를 세정하고 또는 교환하는 재생부와 각종 검출용 물질을 함유하는 각 현탁액이 각각 수용되어 상기 관로가 삽입 가능한 복수의 액체 수용부를 가지는 용기와 상기 분주기에 의한 액체의 분주, 부착, 도포 또는 압인이 행해지는 제1 내지 16 항 중 어느 한 항 기재의 1개 또는 2개 이상의 기초 부재를 서로 평행으로 나열해서 장착시키는 장착용 스테이지와 상기 관로를 상기 재생부, 상기 용기, 상기 스테이지 및 상기 기초 부재에 대해서 상대적으로 이동 가능하게 하는 이동 수단과 상기 이동 수단 및 상기 흡인 토출 수단의 제어를 수행하는 제어부를 가지며, 상기 제어부는 상기 관로에 대해서 상기 검출용 물질을 함유하는 현탁액의 흡인, 토출, 이동 및 세정 또는 교환을 반복함으로써 상기 각 현탁액을 상기 스테이지에 재치된 1개 또는 2개 이상의 기초 부재 상에서 기초 부재의 길이 방향에 대해서 거의 직각 방향으로 서로 접촉하지 않도록 세폭의 평행 라인을 따라 배치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검출용 물질 지지체 제조장치.
  43. 1 또는 복수 개의 관로, 각종 검출용 물질을 함유하는 각 현탁액이 각각 수용되어 상기 관로와 연통되는 1 또는 복수의 저류부 및 상기 관로 또는 저류부 내 압력을 조절해서 현탁액을 토출하는 토출수단을 가지는 인쇄기와 상기 관로 및 저류부를 세정하고 또는 교환하는 재생부와 상기 인쇄기에 의한 인쇄가 행해지는 제1 내지 16 항 중 어느 한 항 기재의 1개 또는 2개 이상의 기초 부재를 서로 평행으로 나열해서 장착시키는 장착용 스테이지와 상기 관로를 상기 재생부, 상기 용기, 상기 스테이지 및 상기 기초 부재에 대해서 상대적으로 이동 가능케 하는 이동 수단과 상기 이동 수단 및 상기 토출수단의 제어를 수행하는 제어부를 가지며, 상기 제어부는 상기 검출용 물질을 함유하는 현탁액의 토출, 이동 및 그 관로 및 저류부의 세정 또는 교환을 반복함으로써 상기 현탁액을 상기 스테이지에 재치된 1개 또는 2개 이상의 기초 부재 상에서 기초 부재의 길이 방향에 대해서 거의 직각으로 서로 접촉하지 않는 세폭의 평행 라인을 따라 배치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검출용 물질 지지체 제조장치.
  44. 1 또는 복수 개의 홈이 마련된 바늘, 통, 펜촉, 라인 형상의 압인부 등 액체 유지단과 상기 액체 유지단을 세정하고 또는 교환하는 재생부와 각종 검출용 물질을 함유하는 각 현탁액이 각각 수용되고, 상기 액체 유지단이 삽입 가능한 복수의 액체 수용부를 가지는 용기와 상기 액체 유지단에 의한 도포, 필기, 부착 또는 압인이 행해지는 제1 내지 16 항 중 어느 한 항 기재의 1개 또는 2개 이상의 기초 부재를 서로 평행으로 나열해서 장착시키는 장착용 스테이지와 상기 액체 유지단을 상기 재생부, 상기 용기, 상기 기초 부재 및 스테이지에 대해서 상대적으로 이동 가능하게 하는 이동 수단과 상기 이동 수단의 제어를 수행하는 제어부를 가지며, 상기 제어부는 상기 액체 유지단에 대해서 상기 검출용 물질을 함유하는 현탁액의 유지, 이동 및 세정 또는 교환을 반복함으로써 상기 각 현탁액을 상기 스테이지에 재치된 1개 또는 2개 이상의 기초 부재 상에서 기초 부재의 길이 방향에 대해서 거의 직각으로 서로 접촉하지 않는 세폭의 평행 라인을 따라서 배치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검출용 물지 지지체 제조장치.
  45. 제42 내지 44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소정 종류의 현탁액을 흡인하고 유지하며 또는 저류한 상기 관로 또는 액체 유지단에 있어서, 상기 1개 또는 2개 이상의 기초 부재가 평행해서 재치된 소정 위치에서 상기 기초 부재의 길이 방향으로 직각으로 라인 형상으로 상기 현탁액을 분주, 도포, 압인, 부착, 필기 또는 인쇄하고, 이어서 상기 재생부에서 교환 또는 세정하는 제어를 상기 종류와 다른 모든 종류에 대해서 종료될 때까지 상기 소정 위치에서 미소 거리 변위시킨 위치에 대해서 순차적으로 반복함으로써 상기 검출용 물질을 함유하는 각 현탁액을 서로 접촉하지 않는 평행 라인을 따라 배치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검출용 물질 지지체 제조장치.
  46. 1개 또는 2개 이상의 기초 부재를 서로 평행으로 나열해서 평면 형상으로 장착하는 공정과 각종 검출용 물질을 함유한 각 현탁액을 서로 접촉시키지 않고 다수의 세폭 평행 라인 형상으로 분주하고, 도포하고, 부착하고, 압인하고, 필기하고 또는 인쇄함으로써 각 검출용 물질을 배치하는 배치공정과 상기 검출용 물질을 고정화한 상기 기초 부재를 지지용 부재에 지지시키는 지지 공정으로 이루어지며, 상기 검출용 물질의 고정 위치와 그 화학 구조가 대응되는 검출용 물질 지지체를 제조하는 검출용 물질 지지체 제조방법.
  47. 제46 항에 있어서,
    상기 배치공정은 상기 관로 또는 액체 유지단을 소정 종류의 상기 검출용 물질을 함유하는 현탁액이 수용되어 있는 용기까지 이동 또한 삽입하고, 그 현탁액을 흡인하고 또는 유지하는 공정과 상기 관로 또는 액체 유지단을 상기 기초 부재 상 소정 위치에서 상기 기초 부재의 길이 방향으로 거의 직각 방향으로 상기 현탁액을 분주, 도포, 부착, 압인 또는 필기하는 공정과 그 관로 또는 액체 유지단을 세정하고 또는 교환하는 재생 공정을 순차적으로 반복함으로써 상기 검출용 물질을 함유하는 각 현탁액을 서로 접촉하지 않는 평행 라인을 따라 배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검출용 물질 지지체 제조방법.
  48. 제47 항에 있어서,
    상기 배치공정은 소정 종류의 상기 검출용 물질을 함유하는 현탁액이 수용되어 있는 저류부와 연통되는 관로를 상기 기초 부재 상 소정 위치에서 상기 기초 부재의 길이 방향으로 거의 직각 방향으로 상기 현탁액을 인쇄하는 공정과 그 관로 및 저류부를 세정하고 또는 교환하는 재생 공정을 순차적으로 반복함으로써 상기 검출용 물질을 함유하는 현탁액을 서로 접촉하지 않는 평행 라인을 따라 배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검출용 물질 지지체 제조방법.
KR1020027012097A 2000-03-17 2001-03-15 검출용 물질 지지체, 그 처리장치, 그 처리방법, 그제조장치 및 그 제조방법 KR100814076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00077144 2000-03-17
JPJP-P-2000-00077144 2000-03-17
PCT/JP2001/002057 WO2001069249A1 (fr) 2000-03-17 2001-03-15 Unite de support pour substance a detecter, son procede et dispositif de traitement et procede et dispositif de fabrication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0010592A true KR20030010592A (ko) 2003-02-05
KR100814076B1 KR100814076B1 (ko) 2008-03-14

Family

ID=1859475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27012097A KR100814076B1 (ko) 2000-03-17 2001-03-15 검출용 물질 지지체, 그 처리장치, 그 처리방법, 그제조장치 및 그 제조방법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EP (1) EP1267168A4 (ko)
JP (1) JP4814472B2 (ko)
KR (1) KR100814076B1 (ko)
AU (1) AU784600B2 (ko)
CA (1) CA2403406C (ko)
WO (1) WO2001069249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30232390A1 (en) * 2002-03-15 2003-12-18 Universal Bio Research Co., Ltd. Carrier for fixing material containing amino group
AU2003236196A1 (en) * 2002-03-29 2003-10-13 National Institute Of Advanced Undustrial Science And Technology Nucleic acid library and protein library
JP2003294743A (ja) * 2002-04-03 2003-10-15 Mitsubishi Heavy Ind Ltd 可撓性アレイ、該可撓性アレイの製造方法、該可撓性アレイのハイブリダイゼーション方法、及び該可撓性アレイの測定方法
CA2514961C (en) * 2003-01-31 2013-12-17 Universal Bio Research Co., Ltd. Continuous optical measuring apparatus and continuous optical measuring method
WO2004113918A1 (ja) 2003-06-20 2004-12-29 Universal Bio Research Co., Ltd. 試料配列・集積化装置、その方法、および試料集積体使用装置
EP1731909A1 (en) * 2004-03-31 2006-12-13 Universal Bio Research Co., Ltd. Immobilization vehicle, method of treating vehicle and continuous vehicle treating apparatus
WO2005103724A1 (ja) * 2004-04-20 2005-11-03 Universal Bio Research Co., Ltd. 試料集積用カセット、スポッティング装置および試料集積化装置
ES2340420T3 (es) * 2007-02-03 2010-06-02 F. Hoffmann-La Roche Ag Unidad de cinta de test diagnostico, en particular un casete de cinta de test.
JP2014130098A (ja) * 2012-12-28 2014-07-10 Nikon Corp 分注及び測定に用いられる保持装置、生体分子アレイの格納容器及び測定方法
JP6221276B2 (ja) * 2013-03-15 2017-11-01 株式会社ニコン スクリーニング方法及びスクリーニング装置
JP2017207502A (ja) * 2017-07-04 2017-11-24 株式会社ニコン 分注及び測定に用いられる保持装置、生体分子アレイの格納容器及び測定方法
KR102358881B1 (ko) * 2021-08-25 2022-02-08 (주)케이알바트로스 탄소섬유 필라멘트 품질검사장치

Family Cites Families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144680B2 (ko) * 1971-09-20 1976-11-30
US4446237A (en) * 1981-03-27 1984-05-01 Life Technologies, Inc. Method for detection of a suspect viral deoxyribonucleic acid in an acellular biological fluid
IL75464A (en) * 1984-06-12 1990-08-31 Orgenics Ltd Method and apparatus for multi-analyte assay
US5077010A (en) * 1987-07-15 1991-12-31 Fuji Photo Film Co., Ltd. Long-test-film cassette for biochemical analysis, and system for loading the same
US5447837A (en) * 1987-08-05 1995-09-05 Calypte, Inc. Multi-immunoassay diagnostic system for antigens or antibodies or both
JPH04112785A (ja) * 1990-09-03 1992-04-14 Omron Corp イオン・センシング・テープ,酵素テープ,テープ・カセットおよびこれらを用いたセンサ
JPH06153996A (ja) * 1992-11-18 1994-06-03 Hitachi Ltd ポリヌクレオチド検出法
IL108377A0 (en) * 1994-01-19 1994-04-12 Orgenics Ltd Automated analysis with comb-like analyte support
JPH1164322A (ja) 1997-08-22 1999-03-05 Toshiba Corp 分析装置及び分析用試験紙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814076B1 (ko) 2008-03-14
EP1267168A1 (en) 2002-12-18
JP4814472B2 (ja) 2011-11-16
AU4115401A (en) 2001-09-24
AU784600B2 (en) 2006-05-11
CA2403406C (en) 2009-02-17
WO2001069249A1 (fr) 2001-09-20
EP1267168A4 (en) 2003-04-02
CA2403406A1 (en) 2002-09-1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814076B1 (ko) 검출용 물질 지지체, 그 처리장치, 그 처리방법, 그제조장치 및 그 제조방법
US20060110289A1 (en) Support for substances for detection, apparatus for processing same, method of processing same, apparatus for making same, and method of making same
US7473396B2 (en) Device for containing, reacting and measuring, and method of containing, reacting and measuring
CA2397069A1 (en) Linear probe carrier
US20100144541A1 (en) Dna-array-equipped cartridge, analyzer, and method for using the dna-array-equipped cartridge
EP1637881B1 (en) Sample arraying/assembling device, its method, and apparatus using sample assembly
KR101046801B1 (ko) 연속적 광학측정장치 및 그 방법
JPWO2003100421A1 (ja) 試料配布装置、塗布部製造方法及び試料配布方法、並びに基体活性化装置
US20050042651A1 (en) Integrated optics fiber array
WO2001053831A1 (fr) Support integre, micro-recipient integre et membrane permeable, et procede de production et d'utilisation correspondants
JP4755378B2 (ja) 検出用物質配置装置、検出用物質配置用フィルムおよび検出用物質支持体の製造方法
US20120115179A1 (en) Arrangement, substrate and method for preparing a cell sample
US20100018331A1 (en) Cassette for stacking specimen, spotting device, and specimen stacking device
US20040009099A1 (en) Automatic immunoassay apparatus
US20010046699A1 (en) Apparatus for positioning substances for detection and film for positioning substances for detection and manufacturing method of carrier for substances for detection
JPWO2005095966A1 (ja) 固定用媒体、媒体処理方法、および連続的媒体処理装置
JP2001074744A (ja) Dnaアレイ、その製造方法及び製造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G170 Publication of correc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215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214

Year of fee payment: 7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