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0010163A - 회전식 소성로의 왕복이동 제어장치 - Google Patents

회전식 소성로의 왕복이동 제어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0010163A
KR20030010163A KR1020010044967A KR20010044967A KR20030010163A KR 20030010163 A KR20030010163 A KR 20030010163A KR 1020010044967 A KR1020010044967 A KR 1020010044967A KR 20010044967 A KR20010044967 A KR 20010044967A KR 20030010163 A KR20030010163 A KR 2003001016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urnace
tire
rotary kiln
kiln
fix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1004496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775216B1 (ko
Inventor
최상문
김재형
유건식
이백행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포스코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포스코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포스코
Priority to KR102001004496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775216B1/ko
Publication of KR2003001016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001016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77521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775216B1/ko

Link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4CEMENTS; CONCRETE;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 C04BLIME, MAGNESIA; SLAG; CEMENTS; COMPOSITIONS THEREOF, e.g. MORTARS, CONCRETE OR LIKE BUILDING MATERIALS;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TREATMENT OF NATURAL STONE
    • C04B2/00Lime, magnesia or dolomite
    • C04B2/10Preheating, burning calcining or cooling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7FURNACES; KILNS; OVENS; RETORTS
    • F27BFURNACES, KILNS, OVENS, OR RETORTS IN GENERAL; OPEN SINTERING OR LIKE APPARATUS
    • F27B7/00Rotary-drum furnaces, i.e. horizontal or slightly inclined
    • F27B7/20Details, accessories, or equipment peculiar to rotary-drum furnaces
    • F27B7/42Arrangement of controlling, monitoring, alarm or like devic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eramic Engineering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Muffle Furnaces And Rotary Kiln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석회석을 소성하는 회전식 소성로에 관한 것으로, 경사를 갖고 제품의 급광과 배광을 연속 공정으로 행하는 회전식 소성로에서 항상 상기 로체가 상,하부 지지롤에 간섭되지 않는 중간위치에서 과부하없이 회전되도록 하여 안정된 상태의 설비운영이 가능하도록 된 회전식 소성로의 왕복 이동 제어 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로체의 적어도 한 개 이상의 타이어에 가이드롤러를 설치하여 상기 로체의 위치를 측정하기 위한 이동 감지 수단을 설치하고, 상기 로체의 위치가 과도하게 상승된 위치에 있을 때, 나머지 타이어에 유막을 형성하도록 윤활유를 급지하는 노즐을 갖는 급지수단을 구비하며, 상기 로체의 위치가 과도하게 하강된 위치에 있을 때, 상기 나머지 타이어의 표면으로 부터 유막을 긁어 제거하는 클리닝수단을 구비하며, 상기 이동감지수단과 급지수단및 클리닝 수단들이 연속적으로 작동되도록 제어할 수 있는 제어수단등을 포함하는 회전식 소성로의 왕복 이동 제어 장치를 제공한다.

Description

회전식 소성로의 왕복이동 제어장치{AN APPARATUS FOR CONTROLLING THE MOVEMENT OF ROTARY KILN}
본 발명은 석회석을 소성하는 회전식 소성로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히는 경사를 갖고 제품의 급광과 배광을 연속 공정으로 행하는 회전식 소성로에서 항상 상기 로체가 상,하부 지지롤에 간섭되지 않는 중간위치에서 과부하없이 회전되도록 하여 안정된 상태의 설비운영이 가능하도록 개선된 회전식 소성로의 왕복 이동 제어 장치에 관한 것이다.
도 1 내지 도 2, 도 3을 참조하여 종래의 회전식 소성로의 구성에 대해서 설명하면 아래와 같다. 일반적으로 10~40㎜의 분체인 석회석을 수세(水洗)하여 상기 로체(200)의 입구측에 마련된 저장호퍼(202)에 임시 저장하고, 상기 저장호퍼(202)에 입조된 석회석을 예열기(204)에 장입한 후, 내장된 장입장치(205a~f)에 의해 생산량에 따라 일정한 간격으로 석회석을 상기 로체(200)내에 장입한다.
그리고, 상기 로체(200)내로 장입된 석회석은 단부에 설치된 연소버너(206)에 의해 900℃ 이상에서 고온으로 소성된다. 이때, 로체(200)내 가스는 예열기(204)와 일체된 통로를 형성하고 있어 배기덕트(213)를 통해 대형 흡입팬(207)의 흡입으로 세정집진기(28)를 거쳐 연돌(209)로 배출된다.
한편, 상기 과정에서 길이가 40~50 미터되는 로체(200)내 장입된 석회석은 탈탄산 작용으로 기체상태인 이산화탄소가 발생되어 배가스에 포함되어 배출되고, 고체상태인 석회석이 소성되어 생석회가 제조되며, 이와 같이 하여 보통 석회석의 중량 56%를 갖는 순수한 생석회가 제조되는 것이다.
그러나, 상기 생석회 제조 공정에서는 로체(200)내의 석회석이 생석회로 환원됨과 동시에 이를 연속적으로 급,배광하며, 이러한 과정에서 로체(200)는 회전 작동하게 된다. 그리고, 석회석과 생석회의 비중차이로 인하여 상기 로체(200)의 입측과 출측사이에는 무게 차가 항상 발생하게 되며, 이에 따라 로체(200)의 무게 중심은 석회석의 비율이 상대적으로 높은 상부측(입측)으로 기울어짐으로서 보통 1~2°의 기울기를 상부측이 높도록 하여 로체 균형을 유지하고 있다.
도 2를 참조하여 설명하면, 소성로는 상기 로체(200)를 지지하기 위해 급,배광측에 각각 링형상의 두 개의 타이어(200a,b)가 배치되고, 그 하부에는 좌,우측으로 일정 간격을 벌려 놓고, 다수개의 고정대(223)에 의해서 회전가능하도록 지지되는 지지 롤(214a~d)과, 다수의 측방 지지롤(218)이 배치되며, 상기 지지롤(214a~d)위에 상기 로체(200)의 타이어(200a,b)가 얹혀져서 구동모터(215)의 축에 연결된 피니언기어(216)와 상기 로체(200)의 거스기어(girth gear)(217)에 의해 맞물려 회전하게 된다.
이러한 회전식 소성 로체(200)는 0~10rpm의 회전속도를 갖으며 소성 운전에 있어서, 생산량이 적을 때 즉, 상기 소성 로체(200)가 저속으로 회전할 때에는 로체(200) 내부의 무게 중심차가 비슷함으로 상기 지지롤(214a~d)위에서 하부 방향(출측방향)으로 로체(200)가 미끄러져 이동하고, 이와는 반대로 생산량이 많을 때 즉, 고속으로 회전할 때에는 로체 내부의 무게 중심차가 상부 방향으로 크므로 로체(200)가 상기 지지롤(214a~d)위에서 상부 방향(입측)으로 미끄러져 이동하게 된다.
이와 같이 로체(200)의 이동은 급작스럽게 크지는 않지만, 지속적으로 이루어져 결과적으로는 트러스트 타이어(200a,b)가 다수의 측방 지지롤(218)들을 과도하게 가압하여 파손을 초래한다. 이러한 경우에는 설비의 가동이 중단되므로, 이를 방지시키고자 상기 급광부에 설치된 트러스트 타이어(200a)를 기준하여 상,하측에 일정 간격을 형성시켜 다수의 측방 지지롤(218)을 각각 장착시켜 놓음으로써 상기 로체(200)가 이러한 간격으로 인하여 상,하측 위험 한계를 벗어나지 않고 그 중앙에서 회전하도록 지지하고 있다.
그러나, 상기 거대한 로체(200)는 운전중 어느 한 방향으로 쏠리게 되며, 이로 인해 트러스트 타이어(200a,b)가 다수의 측방 지지롤(218)에 접촉되어 상기 로체(200)의 회전에 과부하를 주게되며, 이에 따라 상기 상,하측의 다수의 측방 지지롤(218)중 어느 한 쪽의 베어링이 파손하게 되므로 이를 교체하기 위해 장시간설비를 휴지해야 하는 등 조업상의 심각한 문제가 잔존하는 것이다.
그러므로, 이를 방지하고자 상기 소성로체(200)의 운전 방법을 변경하여 상기 로체(200)의 상,하측 이동에 따라서 상기 로체(200)의 회전 속도를 변동시킴으로써 운전하고 있다.
즉, 로체(200)가 출측으로 하강하면 로체(200)의 회전속도를 증대시키고, 로체(200)가 상부측으로 상승하면 로체(200)회전속도를 낮추어 로체(200)의 과도한 상승을 방지하는 것인데, 이러한 경우는 다수의 측방 지지롤(218)의 보호는 되겠지만, 잦은 로체(200) 이동에 대응해 회전속도를 변동하게 됨에 따라서, 로황에 심각한 영향을 주어 생석회의 품질과 작업생산성을 동시에 저하시키게 된다.
따라서, 전,후 공정 및 재고량에 따라 로체(200)의 회전속도를 변동시킬 뿐 거의 고정하여 운전하고 있다.
한편, 이와는 다른 실제 조업 방법으로는 상기 로체(200)를 항상 하부의 측방 지지롤(218)과 접촉시켜 운전하다가 과도하게 상측으로 이동시에는 상기 급,배광측의 트러스트 또는 플레인 타이어(200a,b)에 유막을 형성시켜 일시적인 로체(200) 상승을 방지하고 있다. 즉, 타이어(200a,b)가 상기 지지롤(214a~d)상에서 원활하게 미끄러지도록 하여 로체(200)가 하강하도록 한 것이다.
그러나, 이것은 상기 타이어(200a,b)의 유막을 작업자가 수작업으로 과다하게 도포할 경우, 다시 로체(200)가 하측으로 과도하게 미끄러져 이동하게 되며, 이러한 경우 상기 타이어(200a,b)로 부터 유막을 신속하게 제거하지 않으면 로체(200)를 다시 상측으로 유도할 수 없어 결국은 다수의 측방 지지롤(218)을 파손하게 된다.
즉, 타이어(200a,b)와 지지롤(214a~d)사이의 윤활제량에 따라서 유막이 풍부하면 로체(200)가 하강되고, 유막이 희박하면 로체(200)가 상승되는 것을 이용하여 로체(200)의 승하강을 조정하고자 하는 것이다.
그러므로, 이는 상당한 숙련을 요하며 또한 상기 로체(200) 상태의 점검을 수시로 해야 하는 등 업무부하는 물론, 회전하는 로체(200)의 접근으로 인한 재해 요인이 잔존하는 등 여러가지 문제점이 있었던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써, 상기 로체가 상,하부 지지롤을 간섭시키지 않는 중간에서 자동으로 과부하없이 회전되도록 하여 설비의 과부하를 방지할 수 있고, 상기 로체의 이동 변화가 어떠한지에 대한 정확하고도 적절한 시기의 상태를 확인할 수 있음으로써 설비의 안정작업으로 인한 생석회 제품의 생산성을 크게 향상시키도록 개선된 회전식 소성로의 왕복 이동 제어 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도 1은 종래의 회전식 소성로를 통한 제품 생산과정을 나타낸 공정도;
도 2는 종래의 회전식 소성로를 일부 절개하여 나타낸 개략 사시도;
도 3은 도 2에 도시된 회전식 소성로의 지지롤러를 상세히 도시한 측면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회전식 소성로의 왕복이동 제어장치를 전체적으로 도시한 사시도;
도 5는 도 4에 도시된 본 발명의 왕복 이동 제어 장치의 구성을 상세하게 도시한 외관 사시도;
도 6은 도 4에 도시된 본 발명의 왕복이동 제어장치에 갖춰진 로체 이동 감지 장치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사시도;
도 7은 도 5에 도시된 왕복 이동 제어 장치의 분해 사시도;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회전식 소성로의 왕복이동 제어장치에 갖춰진 제어 시스템의 구성을 일례로 도시한 블록도;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제어 방법의 일실시예에 따른 프로그램의 흐름도이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5..... 입력수단 10..... 제어수단
12.... 디스플레이 수단 20..... 이동감지수단
21a,21b... 가이드 롤러 22a~e... 센서
25.... 브라켓 50..... 급지수단
51a,51b... 급지 노즐 52..... 분배관
55.... 급지펌프 60..... 클리닝 수단
64.... 클리닝 판 200.... 소성로체
200a,b... 타이어 206.... 버너
214a~d... 지지롤 218.... 측방 지지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회전식 소성로의 로체를 상,하부 지지롤과 간섭시키지 않는 무부하 상태에서 로체를 승,하강시켜 과부하를 방지하기 위한 왕복 이동 제어장치에 있어서, 상기 로체의 적어도 한 개 이상의 타이어에 가이드롤러를 설치하여 상기 로체의 위치를 측정하기 위한 이동 감지 수단을 설치하고, 상기 로체의 위치가 과도하게 상승된 위치에 있을 때, 나머지 타이어에 유막을 형성하도록 윤활유를 급지하는 노즐을 갖는 급지수단을 구비하며, 상기 로체의 위치가 과도하게 하강된 위치에 있을 때, 상기 나머지 타이어의 표면으로 부터 유막을 긁어 제거하는 클리닝수단을 구비하며, 상기 이동감지수단과 급지수단및 클리닝 수단들이 연속적으로 작동되도록 제어할 수 있는 제어수단등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회전식 소성로의 왕복 이동 제어 장치를 마련함에 의한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회전식 소성로의 왕복 이동 제어 장치에 대해서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본 발명에 참조된 도면에서 실질적으로 동일한 구성과 기능을 가진 구성 요소들은 동일한 부호를 사용할 것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회전식 소성로의 왕복 이동 제어 장치의 적용 사시도이며, 도 5는 도 4의 왕복 이동 제어 장치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사시도이며, 도 6은 도 4의 로체 이동 감지 장치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사시도이다.
본 발명에 따른 회전식 소성로의 왕복 이동 제어 장치(1)는 회전식 소성로의 운전 시작을 입력하기 위한 입력수단(5)을 갖는다.
상기 입력수단(5)은 이후에 설명될 상기 제어수단(10)으로 사용자에 의한 급지량 설정값, 운전시작등을 입력하기 위한 장치로서, 이 입력수단(5)은 제어수단(10)인 소성로 설비의 프로세스 컴퓨터(미도시)에 정보를 입력시키는 일반적인 키입력장치로 이루어질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로체(200)의 위치를 측정하기 위한 이동 감지 장치(20)를 갖추는 바, 상기 이동감지 장치(20)는 도 6에 상세히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로체(200)의 적어도 한 개 이상의 타이어(200b)에 가이드롤러(21a,b)를 설치하고, 그 후방 위치에 다섯개의 근접 센서(22a~e)를 고정되게 설치하고 있다.
즉, 이동감지 수단(20)은 상기 소성로체(200)의 운전시 발생되는 로체(200)의 상,하 왕복 이동 거리를 측정하기 위한 장치로서, 본 발명에서는 플레인 타이어(200b)에 적어도 두 개 이상의 가이드 롤러(21a,b)를 상기 타이어(200b)의 좌,우측으로 각각 배치하고, 이 각각 배치된 가이드 롤러(21a,b)는 브라켓트(25)에 고정되어 암,수 상,하로 구성된 슬라이딩바(26a,b)중 상부 슬라이딩바(26a)에 고정시키며, 하부 슬라이딩바(26b)는 지지프레임(27)에 의해 일면이 지면에 고정된다.
또한 상기 상,하부 슬라이딩바(26a,b)는 이탈이 방지되도록 상부 슬라이딩 바(26a)는 하부면에 △형 돌기(미도시)를 형성하고, 하부 슬라이딩 바(26b)는 상부면에 이에 일치하는 홈을 형성하여 결합되도록 함으로써 상부 슬라이딩 바(26a)는 하부 슬라이딩 바(26b) 상에서 이동되는 것이다.
그리고, 상부 슬라이딩바(26a)에는 후방측의 상기 근접 센서(22a~e)를 동작시키기 적당한 위치에 "T"형의 검출판(28)을 후면에 고정 설치하고, 이 "T"형의 검출판(28)에 대응하여서는 일정 간격을 형성하여 다섯개의 근접 센서(22a~e)를 지면에 고정시킨 프레임(29)에 고정부재(30)를 이용하여 각각 설치한다.
그리고, 상기 근접 센서(22a~e) 들은 제어수단(10)에 전기적인 신호를 송출하도록 구성되는 것이다.
그리고, 상기 센서(22a~e)로부터 출력되는 신호에 근거하여 제어수단(10)로 부터의 신호를 입력받아 상기 로체(200)의 위치를 구하고, 그 로체 위치에 따라 타측 트러스트 또는 플레인 타이어(200a)의 구동 부위에 유막을 형성하는 급지 수단(50)과, 상기 구동 부위로 부터 유막을 긁어 제거하는 클리닝 수단(60)등을 갖는다.
상기 급지수단(50)과 클리닝 수단(60)들은 도5와 도7에 상세히 도시된 바와 같이, 타측의 타이어(200a)의 후방측에서 일정한 거리로 동작이 가능한 공압실린더(51)와 상기 공압실린더(51)를 정,역 왕복으로 동작할 수 있는 솔레노이드 밸브(미도시)와 상기 공압실린더(51)의 로드(51a)단부와 연결시킨 4축 회전암(40)에 연결되고, 상기 4축 회전암(40)중의 구멍(40a)으로 급지수단(50)이 연결핀(42)으로 연결되고, 다른 구멍(40b)으로 클리닝수단(60)이 같은 방법으로 연결되어 쳐지지 않도록 고정되어 상기 공압실린더(51)의 왕복 이동시, 상기 급지수단(50)와 클리닝수단(60)이 서로 상반되게 동작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그리고, 상기 4축 회전암(40)은 "Y"모양으로 그 중심축(40c)이 프레임(43)측에 핀 (43a)에 의해 고정된 상태에서 3방향으로 각각 축을 삽입할 수 있도록 일정 크기의 구멍이 3개 있으며, 이 중심에 형성된 구멍(40c)은 중심축으로써 프레임(43)에 고정 설치되고, 그 프레임(43)의 일면은 지면과 고정된다.
또한, 급지수단(50)는 상기 4축 회전암(40)의 공압실린더(51)가 연결된 구멍(40d)과 일측으로 축이음되어 다수개의 노즐(51a,b)이 트러스트 타이어(200a)측으로 형성되고, 상기 노즐(51a.b)은 분배관(52)에 연결되며, 상기 분배관(52)은 도관(54)을 통하여 급지펌프(55)에 연결된다. 상기 분배관(52)과 급지펌프(55)는 플렉시블 호스의 도관(54)으로 연결하여 유동이 자유로운 상태에서 급지된다.
그리고, 상기 급지수단(50)이 연결된 4축 회전암(40)의 또 다른 구멍(40b)에 고정되어 연결한 클리닝수단(60)는 트러스트 타이어(200a)의 폭 크기에 맞는 클립형 프레임(61)에 하부를 개방시킨 배출기(62)가 연결되어 고정부재(63)인 볼트와 너트로 고정되고, 상기 배출기(62)의 개방된 다른 일측으로 30°예각으로 형성시킨 클리닝 판(64)이 고정부재(63)에 의해 연결되어 고정된다.
그리고 상기 배출기(62)의 하부에는 필요시 열림과 닫힘이 가능하도록 단부에 배출문(65)이 장착되어 상기 배출기(62)와 장석(미도시)으로 고정되어 그 다른 한쪽으로 고정이 가능한 구조로 형성된다.
또한, 상기 로체 위치 측정 수단(20)의 검출결과에 따라서 상기 트러스트 타이어(200a)에 급지하여 로체(200)의 위치가 상한에 있을 경우, 로체(200)를 중립에 항상 위치시키도록 급지수단(50)이 작동하며, 로체의 위치가 하한에 있을 경우 클리닝수단(60)이 작동되어 트러스트 타이어(200a)의 면으로 부터 윤활유를 긁어 제거하는 작동을 반복 제어할 수 있는 제어수단(10)을 갖추며, 또한 상기 신호를 감시하도록 된 디스플레이 수단(12)을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제어수단(10)은 소성로 설비의 프로세스 컴퓨터(미도시)이고, 디스플레이 수단(12)은 상기 프로세스 컴퓨터에 전기적으로 연결된 모니터일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제어수단(10)은 동작 제어 상태 및 측정한 로체(200) 위치 정보에 대하여 디스플레이 수단(12)을 제어하고, 상기 제어 수단(10)의 제어신호에 의해 상기 급지수단(50)과 클리닝수단(60)을 구동시키고, 그 구동 시간을 제어하게 된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장치에 따른 제어 동작을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4에서 도 9를 참조하여 본 발명을 설명하면, 먼저 소성공정에서 회전식 소성로체(200)가 가동하고, 본 발명에 따른 왕복 이동 제어 장치(1)의 입력수단(5)을 통하여 현장에서 로체(200)의 이동 제한 위치와 급지량을 설정하여 작업준비가 완료된 후 장치의 사용을 선택한다.
상기에서 설명한 바와같이, 상기 회전식 소성로체(200)는 단부에 설치된 버너(206)에서 고온의 연소열에 의해 석회석을 소성하는 가운데 상기 로체(200)가 회동하면서 상,하 이동을 시작한다.
이와 같은 소성과정에서, 로체 위치 측정 수단(20)의 다섯개의 근접 센서(22a~e)에 의해서 상기 로체(200)의 현재 위치 신호가 제어수단(공정제어기)(10)에 수신되는데 이 근접 센서(22a~e)에서 발생하는 제어 신호는 하기 설명되는 바와같이 측정된 로체(200) 위치 신호에 따라 급지수단(50) 및 클리닝수단(60)가 제어되며, 이에 대해서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의 로체 위치 측정 수단(20)에서는 상기 연소 버너(206)에 의한 석회석의 소성으로 상기 소성로체(200)가 회전구동됨에 따라 로체가 어느 한 방향으로 이동하게 되면, 플레인 타이어(200b)는 그 양측에 설치된 가이드롤러(21a,b)를 동작시키게 되어 상기 로체(200)의 이동에 따라 슬라이딩 바(26a)가 같이 이동하게 되면서 검출판(28)이 두 개의 근접센서와 접촉되고(예를들어 22a~22b, 22b~22c, 22c~22d, 22d~22e), 상기 근접 센서(22a~e)에 의해 감지된 신호는 신호변환기(16)에 의해 디지털 데이터로 변환된 후 상기 제어 수단(10)으로 제공된다.
상기 로체 위치측정수단(20)으로 활용되는 다섯개의 근접센서(22a~e)는 상한(Max22d, Max 22e) ,하한(Min 22b, Min 22a)을 정해둔 상태에서 센서(Max 22d)와 중심센서(22c), 센서(22c)와 센서(Min 22b)의 신호에서 상기 급지수단(50) 또는 클리닝수단(60)이 작동하게 되며, 이 센터 근접 센서(22c)의 감지가 포함된 경우에, 이를 기준으로 동작하도록 설정함이 바람직하다.
또한, 수동 모드인 경우에는 운전실에서 급지수단(50) 및 클리닝 수단(60)을 동작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상기 급지수단(50) 및 클리닝 수단(60)의 제어 방법은, 공압실린더(51)의 로드(51a)가 항상 방출된 위치에서 대기한 후, 근접 센서(22d)와 센터 위치의 근접 센서(22c)에 검출판(28)이 접촉하고, 일정시간 동안(바람직하게는 1분 이상) 지속될 경우에는 트러스트 타이어(200a)와 일정 간격을 형성한 급지수단(50)이 설정된 양만큼 급지(바람직하게는 180g/회)한 후 5분간 로체(200)의 위치를 추적(tracking)하도록 센서(22a~e) 신호를 측정한다.
상기 급지량은 실제 조업에서 급지 펌프(55)의 용량에 따라 가동 시간을 고려하여 조절할 수 있으며, 급지 펌프(55)를 자동으로 일정시간동안 개폐시킴으로서 급지가 이루어지도록 하는 것이다.
만약, 5분 후에도 로체(200)가 상기 센서 위치(22c,22d)에 있다면 가장 적절한 위치에서의 급지량으로 판단되어, 일정 시간후 자동 재급지가 이루어지게 되지만, 센서(22c)와 센서(22b)의 위치를 감지하여 하향으로 변화를 나타낸 경우에는 급지를 멈추고 대기 상태가 지속되며, 또한 근접 센서(22b)와 하한 위치의 근접 센서(22a)가 감지되면, 즉시 공압실린더(51)가 로드(51a)를 당기도록 작동되어클리닝수단(60)를 트러스트 타이어(200a)에 밀착시키게 되고, 동시에 상기 급지수단(50)은 상기 트러스트 타이어(200a)에서 이격하게 된다.
이러한 경우, 상기 클리닝수단(60)의 클리닝판(64)이 상기 타이어(200a)의 표면과 밀착되어 표면에 형성된 유막의 코팅을 제거하게 되고, 이때 건조된 유분은 배출기(62)에서 처리된다.
또한, 상기 클리닝수단(60)는 로체(200)의 위치가 하한 센서(22a)에 있는 한 계속 동작하게 되지만, 로체의 위치가 상승방향으로 변화시, 상기 공압실린더(51)의 로드(51a)가 방출되어 상기와는 반대로 급지수단(50)이 동작한다.
이와 같은 동작으로 항상 로체(200)는 센서(22d)와 센서(22c), 그리고 센서(22c)와 센서(22b) 위치의 사이에서 왕복 이동하게 되어 로체 측방지지롤(218)의 부하를 최소화하는 것이다.
그러나, 이와 같은 동작에서 센서(22d)와 센서(22e)를 통하여 검출되는 바와 같이, 로체(200)가 상향으로 계속 부하를 주게 된다면 보다 짧은(바람직하게는 2분) 주기로 연속 급지가 이루어진다.
또한 이 과정에서 감지되는 센서의 동작은 제어수단(10)에서 연속적으로 추적되어 급지량을 자동 또는 수동으로 설정할 수 있으며, 상기 로체(200)를 센서(22c)와 센서(22d) 사이, 그리고 센서(22c)와 센서(22b)사이에서만 동작할 수 있도록 반복 동작시키게 된다.
이와 같이 하여 본 발명은 상기 로체(200)를 상,하부 측방 지지롤(218)에 간섭시키지 않고 항상 무부하 상태에서 회전되도록 승,하강시키고, 이러한 상태를제어수단(10)에 전송하여 디스플레이시킬 수 있게 된다.
상술한 본 발명에 의하면, 상기 로체(200)를 상,하부 측방지지롤(218)과 간섭시키지 않은 무부하 상태에서 로체(200)를 회전시키고 석회소성작업을 이룸으로써 설비의 과부하를 방지할 수 있고, 상기 로체(200)의 이동 변화가 어떠한 지에 대한 정확하고도 적절한 시기의 상태를 확인할 수 있어 설비의 안정으로 인한 석회석 제품의 생산성을 크게 향상하는데 효과가 있다.

Claims (5)

  1. 회전식 소성로의 로체(200)를 상,하부 측방지지롤(218)과 간섭시키지 않는 무부하 상태에서 로체를 승,하강시켜 과부하를 방지하기 위한 왕복 이동 제어장치에 있어서,
    상기 로체(200)의 적어도 한 개 이상의 타이어(200b)에 가이드롤러(21a,b)를 설치하여 상기 로체(200)의 위치를 측정하기 위한 이동 감지 수단(20)을 설치하고, 상기 로체(200)의 위치가 과도하게 상승된 위치에 있을 때, 나머지 타이어(200a)에 유막을 형성하도록 윤활유를 급지하는 노즐을 갖는 급지수단(50)을 구비하며, 상기 로체(200)의 위치가 과도하게 하강된 위치에 있을 때, 상기 나머지 타이어(200a)의 표면으로 부터 유막을 긁어 제거하는 클리닝수단(60)을 구비하며, 상기 이동감지수단(20)과 급지수단(50)및 클리닝 수단(60)들이 연속적으로 작동되도록 제어할 수 있는 제어수단(10)등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회전식 소성로의 왕복 이동 제어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로체 위치 측정 수단(20)은 플레인 타이어(200b)에 적어도 두 개 이상의 가이드 롤러(21a,b)를 상기 타이어(200b)의 좌,우측으로 각각 배치하고, 상기 가이드 롤러(21a,b)는 브라켓트(25)에 고정된 하부 슬라이딩바(26b) 위의 상부 슬라이딩바(26a)에 고정시키며, 상기 상부 슬라이딩바(26a)에는 근접 센서(22a~e)를 동작시키기 위치에 검출판(28)을 고정 설치하고, 상기 검출판(28)에대응하여서는 일정 간격을 형성하여 다섯개의 근접 센서(22a~e)를 구비하여 상기 검출판(28)이 로체의 이동에 따라서 근접 센서(22a~e)상에서 이동되어 로체의 위치를 검출함을 특징으로 하는 회전식 소성로의 왕복 이동 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급지수단(50)과 클리닝 수단(60)은 일정한 거리로 동작이 가능한 공압실린더(51)와 상기 공압실린더(51)의 로드(51a)단부에 연결시킨 4축 회전암(40)에 각각 연결되고, 상기 급지수단(50)은 구멍(40a)에 핀(42)으로 연결되고, 다른 구멍(40b)으로는 클리닝수단(60)이 고정되어 상기 공압실린더(51)의 왕복 이동시 상기 급지수단(50)와 클리닝수단(60)가 상기 타이어(200a)에 대하여 서로 상반되게 동작할 수 있도록 구성되고, 상기 4축 회전암(40)은 그 중심에 형성된 구멍(40c)이 중심축으로써 프레임(43)에 고정 설치되고, 그 일면은 지면과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회전식 소성로의 왕복 이동 제어장치.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급지수단(50)은 상기 4축 회전암(40)의 공압실린더(51)가 연결된 축(40d)과 일측으로 축이음되어 다수개의 노즐(51a,b)과 상기 노즐(51a.b)을 고정하는 분배관(52), 그리고 급지펌프(55)로 구성됨으로써, 상기 분배관(52)과 급지펌프(55)는 플렉시블 호스의 도관(54)으로 연결하여 유동이 자유로운 상태에서 급지되고, 상기 클리닝수단(60)은 급지수단(40)이 연결된 4축 회전암(40)의 또다른 구멍(40b)에 고정되고, 상기 트러스트 타이어(200a)의 폭 크기에 맞는 클립형 프레임(61)에 하부를 개방시킨 배출기(62)가 연결되어 고정부재(63)인 볼트와 너트로고정되며, 상기 배출기(62)의 개방된 다른 일측으로는 예각으로 형성시킨 클리닝 판(64)이 고정부재(63)에 의해 연결되어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회전식 소성로의 왕복 이동 제어 장치.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수단(10)은 디스플레이 수단(12)을 추가 포함하여 로체(200) 동작 제어 상태 및 측정한 로체 위치 정보를 상기 디스플레이 수단(12)에 표시하고, 상기 이동감지수단(20)으로 부터의 검출신호에 근거하여 상기 급지수단(50)과 클리닝수단(60)을 구동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회전식 소성로의 왕복 이동 제어 장치.
KR1020010044967A 2001-07-25 2001-07-25 회전식 소성로의 왕복이동 제어장치 KR10077521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10044967A KR100775216B1 (ko) 2001-07-25 2001-07-25 회전식 소성로의 왕복이동 제어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10044967A KR100775216B1 (ko) 2001-07-25 2001-07-25 회전식 소성로의 왕복이동 제어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0010163A true KR20030010163A (ko) 2003-02-05
KR100775216B1 KR100775216B1 (ko) 2007-11-12

Family

ID=2771667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10044967A KR100775216B1 (ko) 2001-07-25 2001-07-25 회전식 소성로의 왕복이동 제어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775216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7381489A (zh) * 2017-08-02 2017-11-24 郑州登电科诚新材料有限公司 一种窑车用自动打油控制系统
CN115435590A (zh) * 2022-09-02 2022-12-06 江苏德龙镍业有限公司 一种具有在线检测功能的回转窑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2124492U (ko) * 1989-03-20 1990-10-12
JPH03121298U (ko) * 1990-04-18 1991-12-12
JP2575591B2 (ja) * 1993-08-09 1997-01-29 大新化工株式会社 ロータリキルンの潤滑油供給装置
JP3564518B2 (ja) * 1995-01-10 2004-09-15 ダイキン工業株式会社 ロータリーキルンスリッパー部給脂装置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7381489A (zh) * 2017-08-02 2017-11-24 郑州登电科诚新材料有限公司 一种窑车用自动打油控制系统
CN107381489B (zh) * 2017-08-02 2019-03-19 郑州登电科诚新材料有限公司 一种窑车用自动打油控制系统
CN115435590A (zh) * 2022-09-02 2022-12-06 江苏德龙镍业有限公司 一种具有在线检测功能的回转窑
CN115435590B (zh) * 2022-09-02 2023-09-26 江苏德龙镍业有限公司 一种具有在线检测功能的回转窑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775216B1 (ko) 2007-11-1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691239B2 (en) Carbide blade grinding forming processing production line
US7506707B2 (en) Guided airplane relocating device
CN207566391U (zh) 端板自动上料装置及端板自动进料和上料装置
KR101526449B1 (ko) 이송장치
KR100775216B1 (ko) 회전식 소성로의 왕복이동 제어장치
CN214371671U (zh) 一种水泥回转窑托轮的控制系统
CN212292067U (zh) 料流调节组件及装船机
CN207618579U (zh) 一种轧机的自动出料机构
CN107322771A (zh) 旋转式自动喷釉机及喷釉方法
US4354595A (en) Apparatus and method for maintaining positional alignment between two spaced-apart points on a moveable member
KR200186051Y1 (ko) 스트립 판쏠림 교정장치
EP0230142A1 (en) Apparatus for applying adhesive to buffed tyre for retreading
CN101611734B (zh) 槽提升装置及其相关方法
KR101053397B1 (ko) 훅크레벨 조정을 용이하게 하는 크레인 교체와이어의길이조정장치
JP2941152B2 (ja) 触媒表面形状検査方法および装置
KR100432501B1 (ko) 장입물 위치 추적장치
KR101964705B1 (ko) 파이프의 치수측정유닛과 이것이 구비된 파이프의 디스펜서장치
CN114262768B (zh) 一种用于火焰表面淬火的恒温加热设备及控制方法
KR102015509B1 (ko) 소재 이송장치
KR101066722B1 (ko) 가열로의 소재 이송장치
US4462226A (en) Apparatus for supporting a roll looped around by a textile material
CN211437058U (zh) 钕铁硼产品后加工瓦片的厚度检测设备
CN114643502B (zh) 一种全自动磨板机设备
CN218465071U (zh) 一种压延不锈钢带的收卷下卷一体机
KR101277241B1 (ko) 제철원료의 슬라이딩 분배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1102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105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102

Year of fee payment: 9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