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0009519A - 디스크 기록 및/또는 재생 장치 - Google Patents
디스크 기록 및/또는 재생 장치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030009519A KR20030009519A KR1020027016794A KR20027016794A KR20030009519A KR 20030009519 A KR20030009519 A KR 20030009519A KR 1020027016794 A KR1020027016794 A KR 1020027016794A KR 20027016794 A KR20027016794 A KR 20027016794A KR 20030009519 A KR20030009519 A KR 20030009519A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disc
- disk
- roller
- drive
- pair
- Prior art date
Links
Classifications
-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17/00—Guiding record carriers not specifically of filamentary or web form, or of supports therefor
- G11B17/02—Details
- G11B17/04—Feeding or guiding single record carrier to or from transducer unit
-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17/00—Guiding record carriers not specifically of filamentary or web form, or of supports therefor
- G11B17/02—Details
- G11B17/04—Feeding or guiding single record carrier to or from transducer unit
- G11B17/05—Feeding or guiding single record carrier to or from transducer unit specially adapted for discs not contained within cartridges
- G11B17/051—Direct insertion, i.e. without external loading means
-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17/00—Guiding record carriers not specifically of filamentary or web form, or of supports therefor
- G11B17/02—Details
- G11B17/022—Positioning or locking of single discs
- G11B17/028—Positioning or locking of single discs of discs rotating during transducing operation
- G11B17/0288—Positioning or locking of single discs of discs rotating during transducing operation by means for moving the turntable or the clamper towards the disk
-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17/00—Guiding record carriers not specifically of filamentary or web form, or of supports therefor
- G11B17/02—Details
- G11B17/04—Feeding or guiding single record carrier to or from transducer unit
- G11B17/05—Feeding or guiding single record carrier to or from transducer unit specially adapted for discs not contained within cartridges
- G11B17/051—Direct insertion, i.e. without external loading means
- G11B17/0515—Direct insertion, i.e. without external loading means adapted for discs of different sizes
-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33/00—Constructional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not provided for in the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 G11B33/02—Cabinets; Cases; Stands; Disposition of apparatus therein or thereon
Landscapes
- Feeding And Guiding Record Carriers (AREA)
- Holding Or Fastening Of Disk On Rotational Shaft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광디스크 등의 디스크형 기록매체를 정보의 기록 및/또는 재생에 제공하는 디스크 장착부와, 이 디스크형 기록매체를 삽입 및 인출하는 디스크인출부 사이로 이송시키는 디스크 기록 및/또는 재생 장치에 관한 것이다.
디스크형 기록매체를 그 직경 방향으로 협지 가능하게 된 한쌍의 이송부재와, 한쌍의 이송부재 중 제1 이송부재를 구동하여 한쌍의 이송부재 사이에 협지된 디스크형 기록매체에 회전력을 부여하여 전동시키는 구동수단과, 디스크형 기록매체의 크기에 따라서 상기 한쌍의 이송부재를 접근 또는 이반시켜 간격을 조정가능하게 한 간격조정기구를 설치한다.
디스크형 기록매체의 크기로 따라서 한쌍의 이송부재 사이를 간격조정기구로 조정하여 디스크형 기록매체를 직경방향에서 확실하게 협지할 수 있는 동시에, 그 디스크형 기록매체에 회전력을 부여하여 전동시켜 이송할 수 있다. 이로 인해, 디스크이송시, 신호기록면에 접촉하는 일이 없기 때문에, 그 신호기록면에 이물이 묻거나, 신호기록면이 이물에 의해 상처가 나는 일이 없어, 정보신호의 판독이나 기록을 확실하게 행할 수 있다.
Description
종래, 일반적으로, CD(콤팩트 디스크)나 CD-ROM(리드 온리 메모리) 등의 광디스크 또는 광자기 디스크(OD: 옵티컬 마그네틱 디스크) 등으로 불리는 디스크형 기록매체를 사용하여 정보신호의 기록 및/또는 재생을 행하는 디스크 기록 및/또는 재생 장치가 제공되어 있다.
이 디스크 기록 및/또는 재생 장치는, 디스크형 기록매체가 장착되는 턴테이블을 회전구동하는 디스크 회전기구와, 이 디스크 회전기구에 의해 회전구동되는 디스크형 기록매체에 대하여 정보신호의 기록이나 판독을 행하는 광학픽업장치와, 디스크가 출입되는 디스크 출입구와 턴테이블 등을 가지는 디스크 장착부와의 사이에 디스크형 기록매체를 이송하는 디스크 로딩 기구 등을 구비하여 구성되어 있다.
이러한 디스크 로딩 기구를 구비한 디스크 기록 및/또는 재생 장치로서는, 예를 들면, 일본국 특개평 10(1998)-340513호 공보에 기재되어 있는 것 같은 것이 알려져 있고, 그 개략적인 구성을 본 출원의 도 51 및 도 52에 나타낸다.
도 51에 있어서, 부호 (1)은 디스크 기록 재생 장치를 나타내고 있다. 이 디스크 기록 재생 장치(1)는, 하우징 내에 설치되어 디스크 D(예를 들면, 직경 12cm의 대경 디스크 D12또는 직경 8cm의 소경 디스크 D8를 클램프하여 구동하는 구동유닛(2)과, 하우징 내의 한쪽 측부에서 디스크 D의 반송방향을 따라 연장되는 디스크 가이드(3)와, 하우징의 내부에 설치되어 디스크 가이드(3)와 교차하는 방향으로 연장되는 스토퍼(4)와, 디스크 D를 하우징의 내측으로 반송하고 또한 이 반송시에 디스크 D에 디스크 가이드(3) 방향으로의 가압력을 부여하는 디스크 반송수단(5)을 가지고, 디스크 반송수단(5)에 의해 보내진 디스크 D가 디스크 가이드(3)와 스토퍼(4)의 쌍방에 닿아 위치결정되었을 때에, 이 디스크 D의 중심이 구동유닛(2)에 클램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있다.
디스크 반송수단(5)은, 디스크 가이드(3)측이 큰 테이퍼형상의 롤러(6)와, 이 롤러(6)와의 사이에서 디스크 D를 협지하는 가이드톱(7)을 가지고 있다. 롤러(6)는, Y2측으로부터 Y1 측으로 거쳐 서서히 커지는 테이퍼형상으로 되어 있고, 그 외주면에는 스파이럴형으로 돌기(6a)가 형성되어 있다. 이 롤러(6)의 양단은 롤러지지체(8)에 의해 회전가능하게 지지되어 있는 동시에, 도시하지 않은 구동모터에 의해 도 51에 나타낸 α 방향 또는 반(反)α 방향으로 회전구동가능하게 하고 있다. 이 롤러(6)의 바로 위에 가이드톱(7)이 설치되어 있고, 롤러지지체(8)의 양단에 걸린 스프링(9, 9)의 스프링힘에 의해 롤러(6)가 가이드톱(7) 측으로 가압되어 있다.
이러한 구성을 가지는 디스크 기록 재생 장치(1)에 있어서, 롤러(6)와 가이드톱(7)과의 사이에 디스크 D가 삽입되면, 롤러(6)와 가이드톱(7)과의 사이에 디스크 D가 협지된다. 이 상태로 롤러(6)를 α 방향으로 회전함으로써, 롤러(6)의 회전력에 의해 디스크 D가 X1 방향으로 반송된다.
이 경우, 디스크 반송수단(5)에 대경(大徑) 디스크 D12가 삽입되면, 롤러(6)의 Y1 측 직경이 Y2 측 직경보다도 크기 때문에, 대경 디스크 D12의 Y1 측 에지부가 강하게 협지되고, 디스크 D의 Y2 측 에지부는 약한 힘으로 협지되거나 또는 전혀 협지되지 않는 것으로 된다. 이에 따라, 대경 디스크 D12의 좌우양단에서의 협지력에 차이가 생기기 때문에, 롤러(6)의 회전에 의한 이송력은 소경(小俓) 측과 비교하여 대경 측으로 크게 작용한다. 그 결과, 대경 디스크 D12는, Y1 방향인 디스크 가이드(3)에 의해 가압되면서, 하우징의 내측인 X1 방향으로 보내진다. 그리고, 스토퍼(4)에 접촉함으로써, 대경 디스크 D12가 디스크 가이드(3)와 스토퍼(4)에 의해 위치결정된다.
또, 디스크 반송수단(5)에 소경 디스크 D8가 삽입된 경우에도, 롤러(6)의 α 방향으로의 회전에 의해, 소경 디스크 D8는 Y1 방향으로의 가압력이 부여되면서, 하우징의 내측인 X1 방향으로 보내진다. 따라서, 소경 디스크 D8도 대경 디스크 D12와 마찬가지로, 디스크 가이드(3)에 의해 가압되면서, 스토퍼(4)에 접촉하는 위치까지 반송된다. 그리고, 스토퍼(4)에 맞닿음으로써, 소경 디스크 D8가 디스크 가이드(3)와 스토퍼(4)에 의해 위치결정된다. 이 소경 디스크 D8가 위치결정된 중심이 08이며, 또, 대경 디스크 D12가 위치결정된 중심이 012이다.
그러나, 이러한 종래의 디스크 기록 재생 장치에서는, 디스크 반송수단(5)을 구성하는 롤러(6)와 가이드톱(7)에 의해 디스크 D의 표리(表裏) 양면을 협지하고, 롤러(6)의 회전력에 의해 디스크 D를, Y1 방향의 디스크 가이드(3)에 의해 가압하면서, 이것과 직교하는 X1 방향으로 반송하는 구성으로 되어 있었다. 이로 인해, 예를 들면, 신호기록면에 미세한 이물(먼지 등)이 부착된 상태로 디스크 D가 롤러(6)와 가이드톱(7) 사이에 삽입되면, 롤러에 의해 이물이 신호기록면에 가압되거나 또는 묻어 신호기록면이 이물에 의해 덮히거나, 손상될 우려가 있다. 그 결과, 디스크 D의 신호기록면이 이물로 덮히거나 손상될 수 있는가 하면, 육안으로 보아도 큰 손상을 주게 되는 것뿐만아니라, 미리 기록되어 있는 정보신호의 판독이나 새로운 정보신호의 기록을 행할 수 없게 된다고 하는 과제가 있었다.
본 발명은, 이러한 종래의 과제 등을 감안하여 이루어진 것으로, 디스크형 기록매체의 출입시, 디스크 이송기구 측이 디스크형 기록매체의 신호기록면에 접촉하여 손상을 주는 일이 없고, 크기가 상이한 디스크형 기록매체라도, 그 외주에지만을 지지하여 이송할 수 있도록 한다.
본 발명은, 광디스크나 광자기 디스크 등의 디스크형 기록매체를 정보의 기록 및/또는 재생에 제공하는 디스크 장착부와, 이 디스크형 기록매체를 삽입 및 인출하는 디스크 출입구와의 사이에 이송시키는 디스크 기록 및/또는 재생 장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직경이 상이한 2 또는 2 이상의 디스크형 기록매체를 확실하게 이송할 수 있는 디스크 기록 및/또는 재생 장치에 관한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디스크 기록 및/또는 재생 장치에 관한 디스크 기록 재생 장치의 일 실시예를 나타낸 일부를 단면한 평면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디스크 기록 및/또는 재생 장치에 관한 디스크 기록 재생 장치의 일 실시예를 나타낸 저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디스크 기록 및/또는 재생 장치에 관한 디스크 기록 재생 장치의 일 실시예를 나타낸 정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디스크 기록 및/또는 재생 장치에 관한 디스크 기록 재생 장치의 일 실시예를 나타낸 일부를 단면한 측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디스크 기록 및/또는 재생 장치에 관한 디스크 기록 재생 장치의 일 실시예를 나타낸 분해사시도이다.
도 6은, 도 5에 나타낸 디스크 기록 재생 장치의 메인 섀시를 확대하여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7은, 도 5에 나타낸 디스크 기록 재생 장치의 게이트 부재를 확대하여 나타낸 분해사시도이다.
도 8은, 도 5에 나타낸 디스크 기록 재생 장치의 개폐 셔터를 확대하여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9는, 도 5에 나타낸 디스크 기록 재생 장치의 처킹 암 및 지지레버를 확대하여 나타낸 분해사시도이다.
도 10은, 도 5에 나타낸 디스크 기록 재생 장치의 조립체 홀더를 확대하여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11은, 도 5에 나타낸 디스크 기록 재생 장치에 적용되는 픽업·테이블 조립체의 일 실시예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12는, 도 5에 나타낸 디스크 기록 재생 장치의 구동측 롤러조립체 및 고정측 롤러조립체를 확대하여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13은, 도 5에 나타낸 디스크 기록 재생 장치의 구동측 롤러조립체를 나타낸 것으로, 이 도면 (A)는 평면도, 이 도면 (B)는 정면도, 이 도면 (C)는 측면도이다.
도 14는, 도 13 (A)에 나타낸 구동측 롤러조립체의 T-T 선 부분을 단면한 확대 설명도이다.
도 15는, 도 5에 나타낸 디스크 기록 재생 장치의 고정측 롤러조립체를 나타낸 것으로, 이 도면 (A)는 평면도, 이 도면 (B)는 정면도, 이 도면 (C)는 측면도이다.
도 16은, 도 5에 나타낸 디스크 기록 재생 장치의 캠 플레이트를 확대하여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17은, 도 5에 나타낸 디스크 기록 재생 장치의 척 구동 조립체를 확대하여 나타낸 분해사시도이다.
도 18은, 도 5에 나타낸 디스크 기록 재생 장치의 척 부재를 단면한 확대 설명도이다.
도 19는, 도 5에 나타낸 디스크 기록 재생 장치에 직경이 상이한 두 가지의 광디스크를 장착하여 제1 검출 스위치와의 관계를 나타낸 설명도이다.
도 20은, 도 5에 나타낸 디스크 기록 재생 장치에 직경이 상이한 두 가지의 광디스크를 장착하여 제2 , 제3 및 제4 검출 스위치와 구동측 롤러조립체와의 관계를 나타낸 설명도이다.
도 21은, 도 5에 나타낸 디스크 기록 재생 장치에 광디스크를 장착하여 제5 , 제6 , 제7 및 제8 검출 스위치와 캠 플레이트와의 관계를 나타낸 설명도이다.
도 22는, 도 5에 나타낸 디스크 기록 재생 장치에 직경 8cm의 광디스크를 사용하는 경우에서의 디스크 출입구에 광디스크를 삽입하는 상태를 나타낸 설명도이다.
도 23은, 도 5에 나타낸 디스크 기록 재생 장치의 도 22에서의 동작을 설명하는 것으로, 이 도면 (A)는 캠 플레이트 및 턴테이블 등을 정면측에서 본 설명도, 이 도면 (B)는 개폐 셔터, 처킹 암 및 캠 플레이트 등을 측면측에서 본 설명도이다.
도 24는, 도 5에 나타낸 디스크 기록 재생 장치에 직경 8cm의 광디스크를 사용하는 경우에서의 광디스크를 디스크 장착부에 수납한 상태를 나타낸 설명도이다.
도 25는, 도 5에 나타낸 디스크 기록 재생 장치의 도 24에서의 동작을 설명하는 것으로, 이 도면 (A)는 캠 플레이트 및 턴테이블 등을 정면측에서 본 설명도, 이 도면 (B)는 개폐 셔터, 처킹 암 및 캠 플레이트 등을 측면측에서 본 설명도이다.
도 26은, 도 5에 나타낸 디스크 기록 재생 장치에 직경 8cm의 광디스크를 사용하는 경우에서의 광디스크의 로딩 완료 상태를 나타낸 설명도이다.
도 27은, 도 5에 나타낸 디스크 기록 재생 장치의 도 26에서의 동작을 설명하는 것으로, 이 도면 (A)는 캠 플레이트 및 턴테이블 등을 정면측에서 본 설명도, 이 도면 (B)는 개폐 셔터, 처킹 암 및 캠 플레이트 등을 측면측에서 본 설명도이다.
도 28은, 도 5에 나타낸 디스크 기록 재생 장치에 직경 8cm의 광디스크를 사용하는 경우에서의 광디스크를 디스크 장착부로부터 배출하는 상태를 나타낸 설명도이다.
도 29는, 도 5에 나타낸 디스크 기록 재생 장치의 도 28에서의 동작을 설명하는 것으로, 이 도면 (A)는 캠 플레이트 및 턴테이블 등을 정면측에서 본 설명도, 이 도면 (B)는 개폐 셔터, 처킹 암 및 캠 플레이트 등을 측면측에서 본 설명도이다.
도 30은, 도 5에 나타낸 디스크 기록 재생 장치에 직경 8cm의 광디스크를 사용하는 경우에서의 광디스크를 디스크 출입구로부터 배출하는 상태를 나타낸 설명도이다.
도 31은, 도 5에 나타낸 디스크 기록 재생 장치의 도 3O에서의 동작을 설명하는 것으로, 이 도면 (A)는 캠 플레이트 및 턴테이블 등을 정면측에서 본 설명도, 이 도면 (B)는 개폐 셔터, 처킹 암 및 캠 플레이트 등을 측면측에서 본 설명도이다.
도 32는, 도 5에 나타낸 디스크 기록 재생 장치에 직경 12cm의 광디스크를 사용하는 경우에서의 디스크 출입구에 광디스크를 삽입하는 상태를 나타낸 설명도이다.
도 33은, 도 5에 나타낸 디스크 기록 재생 장치의 도 32에서의 동작을 설명하는 것으로, 이 도면 (A)는 캠 플레이트 및 턴테이블 등을 정면측에서 본 설명도, 이 도면 (B)는 개폐 셔터, 처킹 암 및 캠 플레이트 등을 측면측에서 본 설명도이다.
도 34는, 도 5에 나타낸 디스크 기록 재생 장치에 직경 12cm의 광디스크를 사용하는 경우에서의 광디스크를 디스크 장착부에 수납한 상태를 나타낸 설명도이다.
도 35는, 도 5에 나타낸 디스크 기록 재생 장치의 도 34에서의 동작을 설명하는 것으로, 이 도면 (A)는 캠 플레이트 및 턴테이블 등을 정면측에서 본 설명도, 이 도면 (B)는 개폐 셔터, 처킹 암 및 캠 플레이트 등을 측면측에서 본 설명도이다.
도 36은, 도 5에 나타낸 디스크 기록 재생 장치에 직경 12cm의 광디스크를 사용하는 경우에서의 광디스크의 로딩 완료 상태를 나타낸 설명도이다.
도 37은, 도 5에 나타낸 디스크 기록 재생 장치의 도 36에서의 동작을 설명하는 것으로, 이 도면 (A)는 캠 플레이트 및 턴테이블 등을 정면측에서 본 설명도, 이 도면 (B)는 개폐 셔터, 처킹 암 및 캠 플레이트 등을 측면측에서 본 설명도이다.
도 38은, 도 5에 나타낸 디스크 기록 재생 장치에 직경 12cm의 광디스크를 사용하는 경우에서의 광디스크를 디스크 장착부로부터 배출하는 상태를 나타낸 설명도이다.
도 39는, 도 5에 나타낸 디스크 기록 재생 장치의 도 38에서의 동작을 설명하는 것으로, 이 도면 (A)는 캠 플레이트 및 턴테이블 등을 정면측에서 본 설명도, 이 도면 (B)는 개폐 셔터, 처킹 암 및 캠 플레이트 등을 측면측에서 본 설명도이다.
도 40은, 도 5에 나타낸 디스크 기록 재생 장치에 직경 12cm의 광디스크를 사용하는 경우에서의 광디스크를 디스크출입구로부터 배출하는 상태를 나타낸 설명도이다.
도 41은, 도 5에 나타낸 디스크 기록 재생 장치의 도 40에서의 동작을 설명하는 것으로, 이 도면 (A)는 캠 플레이트 및 턴테이블 등을 정면측에서 본 설명도, 이 도면 (B)는 개폐 셔터, 처킹 암 및 캠 플레이트 등을 측면측에서 본 설명도이다.
도 42는, 도 5에 나타낸 디스크 기록 재생 장치에 직경 8cm의 광디스크를 사용하는 경우에서의 8개의 검출 스위치 및 2개의 구동모터의 동작을 설명하는 동작타이밍 차트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43은, 도 5에 나타낸 디스크 기록 재생 장치에 직경 12cm의 광디스크를 사용하는 경우에서의 8개의 검출 스위치 및 2개의 구동모터의 동작을 설명하는 동작타이밍 차트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44는, 도 5에 나타낸 디스크 기록 재생 장치가 수납된 하우징의 외관구성을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45는, 도 5에 나타낸 디스크 기록 재생 장치가 수납된 하우징으로부터 광디스크를 인출하는 상태를 나타낸 설명도이다.
도 46은, 도 5에 나타낸 구동측 롤러조립체에 적용되는 제1 이송부재의 제2 실시예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47은, 도 5에 나타낸 고정측 롤러조립체에 적용되는 제2 이송부재의 제2 실시예를 나타낸 것으로, 이 도면 (A)는 사시도, 이 도면 (B)는 중앙부 종단면도이다.
도 48은, 도 5에 나타낸 구동측 롤러조립체에 적용되는 제1 이송부재의 제3 실시예를 나타낸 것으로, 이 도면 (A)는 사시도, 이 도면 (B)는 중앙부 종단면도이다.
도 49는, 도 5에 나타낸 구동측 롤러조립체에 적용되는 제1 이송부재의 제4 실시예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50은, 도 5에 나타낸 구동측 롤러조립체에 적용되는 제1 이송부재의 제5 실시예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51은, 종래의 디스크 기록 재생 장치를 평면측에서 본 설명도이다.
도 52는, 종래의 디스크 기록 재생 장치를 정면측에서 본 설명도이다.
본 발명에 관한 디스크 기록 및/또는 재생 장치는, 디스크형 기록매체를 그 직경방향으로 협지가능하게 한 한쌍의 이송부재와, 이 한쌍의 이송부재 중 제1 이송부재를 구동하여 한쌍의 이송부재 사이에 협지된 디스크형 기록매체에 회전력을 부여하여 전동시키는 구동수단과, 디스크형 기록매체의 크기로 따라서 한쌍의 이송부재를 접근 또는 이반(離反)시켜 간격을 조정가능하게 하는 간격조정기구를 설치한다.
이하, 본 발명에 관한 디스크 기록 및/또는 재생 장치의 실시예를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1∼도 50은, 본 발명에 관한 디스크 기록 및/또는 재생 장치의 실시의 예를 나타낸 것으로, 정보의 재생뿐아니라 기록도 가능하게 한 디스크 기록 재생 장치에 적용한 것이다.
이 실시예에 나타낸 디스크 기록 재생 장치(10)는, 직경 l2cm의 디스크형 기록매체와 직경 8cm의 디스크형 기록매체의 어느 것이라도 사용할 수 있는 것으로, 1번의 기록이 가능한 CD-R(Write 0nce)이나 DVD-R, 비디오 CD-R 등의 광디스크, 및 몇번이라도 기록이 가능한 CD-RW(ReWritable)나 DVD-RW, 비디오 CD-RW 등의 광디스크는 물론, 재생전용 CD나 CD-ROM 등의 광디스크를 디스크형 기록매체로서 이용할 수 있다.
도 1∼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디스크 기록 재생 장치(10)는, 상면 및 하면에 개구된 베이스 부재를 이루는 메인 섀시(11)와, 이 메인 섀시(11)에 회전 또는 슬라이드가능 또는 고정적으로 장착되는 게이트 부재(12), 개폐 셔터(13), 처킹 암(14), 지지레버(15), 조립체 홀더(16), 픽업 ·테이블 조립체 (17), 캠 플레이트(18), 구동측 롤러조립체(20), 고정측 롤러조립체(21) 및 척구동조립체(22) 등을 구비하여 구성되어 있다.
메인 섀시(11)는, 도 6에 확대하여 나타낸 바와 같이, 대략 사각형으로 형성된 평면부(11a)와, 이 평면부(11a)의 사변에 연속하여 일체로 형성된 정면부(11b), 배면부(11c) 및 좌우의 측면부(11d, 11e)를 가지고, 전체로서 직방체를 이루는 바닥형의 상자체로서 구성되어 있다. 메인 섀시(11)의 정면부(11b)만은 평면부(11a)의 하면측만을 둘러싸도록 하방으로만 돌출되어 있지만, 배면부(11c) 및 좌우의 측면부(11d, 11e)는 모두 평면부(11a)의 하면측뿐만 아니라 상면측도 둘러싸도록 위쪽으로도 돌출되어 있다. 이 정면부(11b)와 배면부(11c)를 연결하는 전후 방향 X가 광디스크 D가 출입되는 삽입 및 인출방향이다.
메인 섀시(11)의 좌우측면부(11d, 11e)의 앞쪽 및 배면부(11c)의 대략 중앙에는, 각각 하방으로 돌출되는 다리부(11f)가 설치되어 있다. 각 다리부(11f)에는 삽입통과공(11g)이 형성되어 있으며, 이 삽입통과공(11g)에 삽입통과되는 장착나사에 의해 메인 섀시(11)는, 후술하는 하우징 내의 소정 위치에 고정된다.
메인 섀시(11)의 평면부(11a)의 대략 중앙부에는, 대경 디스크의 일 구체예를 나타낸 직경 12cm의 광디스크 D12를 수납할 수 있는 디스크 장착부(23)가 설정되어 있다. 따라서, 소경 디스크의 일 구체예를 나타낸 직경 8cm의 광디스크 D8는 당연히 수납할 수 있다. 이 디스크 장착부(23)의 측부에서 후부에 이르는 부분에는, 이것을 반원형으로 둘러싸도록 칸막이벽(24)이 설치되어 있다.
또한, 디스크 장착부(23)의 중앙부에는, 픽업 테이블 조립체(17)의 턴테이블이 하방으로부터 출입되는 개구부(25)가 형성되어 있다. 개구부(25)는 디스크 장착부(23)의 중앙부로부터 비스듬하게 후방으로 연속되고 또한 칸막이벽(24)도 관통하여 배면부(11c) 측으로 연장되어 있고, 이것에 의해 후술하는 광학픽업장치의 광학헤드가, 턴테이블에 장착되어 회전구동되는 광디스크의 신호기록면에 대면하여 반경방향으로 소정의 거리를 이동할 수 있도록 이루어져 있다.
또한, 메인 섀시(11)의 평면부(11a)의 앞쪽에는, 전후 방향 X와 직교하는 좌우방향 Y로 연장된 4개의 롤러용 관통공(26a, 26b, 26c) 및 (26d)과, 동일하게 좌우방향 Y로 연장된 4개의 가이드용 장공(27a, 27b, 27c) 및 (27d)이 형성되어 있다. 4개의 관통공(26a∼26d)은 서로 평행으로 되어 있고, 제1 및 제3 관통공(26a) 및 (26c)은 평면부(11a)의 앞쪽 양 각부에 설정되어 있고, 이들 관통공(26a, 26c)과 전후 방향 X으로 소정 간격을 두고 남은 2개의 제2 및 제4 관통공(26b) 및 (26d)이 각각 전후 방향 X으로 겹쳐져, 맞추어지도록 배치되어 있다.
또, 4개의 장공(27a∼27d)도 서로 평행으로 되어 있고, 제1 장공(27a)은 제 1의 관통공(26a)와 제2 관통공(26b) 사이로 설정되고, 제3 장공(27c)은 제1 관통공(26a)와 제3 관통공(26c)과의 사이로 설정되어 있다. 그리고, 제4 장공(27d)은 제3 관통공(26c)과 제4 관통공(26d) 사이로 설정되고, 제2 장공(27b)은 제3 장공(27c)과 제4 장공(27d) 사이로 설정되어 있다.
이 메인 섀시(11)의 정면부(11b)에서의 좌우방향 Y의 대략 중앙부에는, 광디스크 D를 용이하게 잡도록 하기 위해 V자형으로 오목하게 한 파지용 오목부(28)가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파지용 오목부(28)의 하부에는, 정면부(11b)의 강도를 보강하는 보강리브부(28a)가 형성되어 있다. 이 정면부(11b)의 중앙상부에는, 좌우방향 Y으로 완만한 경사면으로 이루어지는 V자형의 디스크 가이드부(29)가 형성되어 있다. 이 디스크 가이드부(29)는, 완만한 곡선으로 이루어지는 원호형의 곡면이 될 수도 있다. 이러한 정면부(11b)의 상부에는, 게이트 부재(12)가 멈춤나사 등의 고착수단에 의해 고정되어 있다.
게이트 부재(12)는, 도 7에 도시한 바와 같이, 메인 섀시(11)의 정면부(11b)의 상부를 포함하는 개구부를 덮을 수 있는 가로로 긴 사각형 판체로 이루어지는 차단판(12a)과, 이 차단판(12a)의 길이방향 양단부에 연속하여 일체로 설치된 한쌍의 고정암(12b, 12b)으로 구성되어 있다. 차단판(12a)은, 메인 섀시(11)의 정면부(11b)의 파지용 오목부(28)에 대응하여 길이방향의 중도부가 V자형으로 절곡되어 후방으로 돌출되도록 형성되어 있다.
게이트 부재(12)의 차단판(12a)에는, 가로로 긴 개구부로 된 디스크 출입구(3O)가 형성되어 있다. 디스크 출입구(30)는, 직경 12cm의 대경 디스크 D12가 자유롭게 출입할 수 있는 길이 및 폭을 가지는 동시에, 중앙부의 폭이 양단부의 폭 보다도 넓게 되도록 형성되어 있다.
즉, 게이트 부재(12)의 디스크 출입구(30)의 상측 에지부는, 중앙부에 있어서 상방에의 노치를 크게 한 역 V자형의 경사면으로서 형성되어 있다. 또, 디스크 출입구(30)의 하측 에지부는, 중앙부에 있어서 하방으로의 노치를 크게 한 V자형의경사면으로서 형성되어 있다. 그러나, 디스크 출입구(3O)의 형상은, 상술한 V자형 경사면과 역 V자형 경사면과의 조합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예를 들면, U자형의 원호면으로서 형성할 수 있고, U자형의 원호면과 역 U자형의 원호면을 대향시켜, 전체로서 통형을 이루도록 구성할 수도 있다.
이 게이트 부재(12)의 차단판(12a)의 앞면에는,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디스크 출입구(30)를 완전히 덮을 수 있는 노치를 가지는 와이퍼부재(31)가 배치된다. 이 와이퍼부재(3l)의 외측에는, 사각형의 프레임으로 이루어지는 와이퍼가압부재(32)가 배치되어 있다. 이들 와이퍼부재(31) 및 와이퍼가압부재(32)에는, 차단판(12a)의 앞면에 형성한 다수의 코킹용 돌기(12c)가 관통된다. 이 코킹용 돌기(12c)의 선단부를 코킹함으로써, 와이퍼가압부재(32)를 통하여 와이퍼부재(31)의 사변이 차단판(12a)에 의해 가압되어 고정된다.
이 와이퍼부재(31)는, 광디스크 D를 디스크 출입구(30)로부터 출입할 때에, 외부의 이물이나 먼지가 광디스크 D에 묻어 장치 내에 침입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것으로, 예를 들면, 유연성이 높은 부직포 등을 적용하여 형성할 수 있다. 이 와이퍼부재(31)에는, 폭방향의 대략 중앙부를 길이방향으로 연장된 횡(橫) 노치(33a)와, 길이방향으로 적당한 간격을 두고 횡 노치(33)와 교차하도록 종방향으로 연장된 복수의 종(縱) 노치(33b)로 이루어지는 노치구(33)가 형성되어 있다. 이러한 노치구(33)를 형성함으로써, 디스크 출입구(30)로부터 출입되는 광디스크 D의 표면 및 배면에 그 노치 에지를 밀착시켜, 외부의 이물이나 먼지 등이 장치 내에 침입하는 것을 방지 또는 억제할 수 있다.
또, 도 7에 도시한 바와 같이, 게이트 부재(12)의 각 고정암(12b, 12b)에는, 삽입통과공(12d)과 도시하지 않은 위치결정공이 형성되어 있다. 이 삽입통과공(12d) 및 위치결정공에 대응시켜 메인 섀시(11)의 평면부(11a)에는,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나사공을 상단부에 개구시킨 지지볼록부(11h)와, 위치결정핀(11i)이 각각 설치되어 있다. 이 위치결정핀(11i)에 위치결정공을 끼워 맞추는 동시에, 지지볼록부(11h)에 위치맞춤된 삽입통과공(12d)에 멈춤나사(34a)를 삽입 통과하여 단단히 조임으로써, 게이트부재(12)가 메인 섀시(11)의 평면부(11a)의 상부에 고정된다.
게이트 부재(12)의 후방에는 개폐 셔터(13)가 상하 방향 Z으로 부앙(俯仰) 동작(상하 방향으로의 회동(回動))가능하게 배치되어 있는 개폐 셔터(13)는, 도 8에 확대하여 나타낸 바와 같이, 게이트 부재(12)의 디스크 출입구(30)를 내측으로부터 개폐할 수 있는 셔터부(13)와, 이 셔터부(13a)의 길이방향 양단에 연속하여 일체로 형성된 좌우의 암부(13b, 13c)와, 한쪽 암부(13b)의 선단측으로부터 하방으로 돌출되도록 설치된 구동레버(13d)로 구성되어 있다. 셔터부(13a)는, 광디스크 D의 외주 에지에 대응한 곡면을 가지는 원호형의 봉형체로 이루어지고, 그 길이방향 중도부의 상부에는, 앙동(仰動)(상방으로 회동)했을 때에 그 상부에 배치된 부재와의 접촉을 방지하기 위한 노치부(13e)가 형성되어 있다.
개폐 셔터(13)의 암부(13b, 13c)의 기단부에는, 각각 외측으로 돌출되는 한쌍의 회동축부(13f)가 형성되어 있다. 좌우의 회전축부(13f)는 동일 축심선 상에 설정되어 있는 동시에, 셔터부(13a)의 길이방향의 연장선이 각 회동축부(13f)의 중심부와 대략 일치하도록 설정되어 있다. 이 개폐 셔터(13)를 회동가능하게 지지하기 위해,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메인 섀시(11)의 평면부(11a)의 제2 관통공(26b) 및 제4 관통공(26d)의 각 외측에는, 한쌍의 회전축부(13f)를 각각 회동가능하게 지지하기 위한 한쌍의 베어링부(35a),(35b)가 형성되어 있다.
또한, 개폐 셔터(13)의 셔터부(13a)의 하면(개방시의 이동 방향과 반대측의 면으로서, 광디스크 D의 상면측 외주 에지와 슬라이드 접촉하는 면)에는, 회동축부(13f) 측보다도 중앙측을 오목하게 하여 V자형 또는 U자형으로 형성한 셔터측 가이드부(13h)가 형성되어 있다.
또, 메인 섀시(11)의 평면부(11a)의 좌측 베어링부(35a)의 앞쪽에는,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개폐 셔터(13)의 구동레버(13d)가 관통되는 관통공(36a)이 형성되어 있다. 이 평면부(11a)의 좌측 베어링부(35a)의 근방에서, 관통공(36a)과 반대측에는, 상방으로 돌출되는 스프링받이 돌기가 형성되어 있으며, 이 스프링받이 돌기에는 압축코일스프링(37)의 일단이 걸어맞추어져 있다. 이 압축코일스프링(37)의 타단은, 개폐 셔터(13)의 암부(13b)의 구동레버(13d)와 반대측의 단부에 있어서 하방으로 돌출되도록 형성된 스프링받이돌기(13g)에 걸어맞추어져 있다. 이 압축코일스프링(37)의 스프링힘에 의해 개폐 셔터(13)의 셔터부(13a)는, 디스크 출입구(30)를 닫는 방향으로 항상 가압되어 있다.
메인 섀시(11)의 평면부(11a)의 후부에는, 도 6에 도시한 바와 같이, 처킹 암(14)을 회동가능하게 지지하기 위한 한쌍의 베어링부(35c, 35d)가 형성되어 있다. 이 베어링부(35c, 35d) 및 상술한 베어링부(35a, 35b)는, 축부를 하방으로부터 지지하는 오목부를 가지는 수용부재와, 이 수용부재의 외측에 배치되는 동시에 오목부측으로 돌출되는 발톱부를 가지는 가압부재와의 조합에 의해 구성되어 있다.
처킹 암(14)은, 도 9에 확대하여 나타낸 바와 같이, 중앙에 암부(14a)가 형성된 산형(山形)의 판재로 이루어지고, 양 측부에는 그 일부를 동일 방향으로 90도 절곡함으로써 보강을 겸한 한쌍의 측면부(14b, 14c)가 형성되어 있다. 한쌍의 측면부(14b, 14c)의 후부에는, 각각 옆쪽에 돌출되는 축부(14d)가 동일 축심선 상에 일치하도록 형성되어 있다. 이 한쌍의 축부(14d, 14d)를 한쌍의 베어링부(35c, 35d)에서 회동가능하게 지지함으로써, 처킹 암(14)이 메인 섀시(11)에 대하여 상하 방향 Z로 부앙 동작 가능하게 지지되어 있다. 이 처킹 암(14)에 의해, 개구부(25)를 포함하는 디스크 장착부(23)의 후부상방이 덮여져 있다.
또한, 처킹 암(14)의 한쪽 측면부(14b)에는, 하방으로 돌출되는 구동레버(38)가 형성되어 있다. 이 구동레버(38)의 선단부에는 옆쪽으로 돌출되는 축핀(38a)이 형성되고, 이 축핀(38a)에는 롤러(39)가 회전가능하게 지지되어 있다. 또, 처킹 암(14)의 암부(14a)의 선단부에는, 처킹부재(40)를 지지하기 위한 관통공(41a)이 형성되어 있다. 이 관통공(41a)에 의해 지지되는 처킹부재(40)는 도 18에 도시한 바와 같이, 척플레이트(42)와 요크(43)와 요크가압부재(44)로 구성되어 있다.
척플레이트(42)는, 링형을 이루는 코어재의 일면에 외측을 향하는 플랜지부(42a)를 형성한 링형 부재로서 형성되어 있다. 이 척플레이트(42)의 중앙부에는 링형의 오목부로 이루어지는 요크수납부(42b)가 형성되어 있으며, 그 요크수납부(42b)에는 철판 등의 자성체로 이루어지는 원반형의 요크(43)가 장착 및 분리가능하게 수납되어 있다. 또한, 척플레이트(42)의 코어재의 외주면에는 3개의 절결공(42c)이 둘레방향으로 등간격으로 형성되어 있다. 각 절결공(42c)은 플랜지부에도 달하고 있고, 이들 절결공(42c)에는 요크가압부재(44)에 형성한 3개의 다리편(44a)이 걸어맞춤·이탈가능하게 삽입 통과되어 있다.
요크가압부재(44)의 3개의 다리편(44a)은, 3개의 절결공(42c)에 대응시켜 둘레방향으로 등간격으로 배치되어 있다. 각 다리편(44a)의 선단부에는 코어재와의 걸어맞춤상태를 유지하기 위한 발톱부가 형성되어 있으며, 척플레이트(42)에 대하여 요크가압부재(44)를 둘레방향으로 약간 회동변위함으로써, 그 회동방향에 따라서 다리편(44a)과 절결공(42c)이 걸어맞춤 또는 이탈된다.
이 척플레이트(42)와 요크가압부재(44)와의 걸어맞춤상태에 있어서, 그 플랜지부(42a)와 요크가압부재(44)와의 사이에는 소정의 크기의 간극이 설정되어 있다. 따라서, 그 간극분만큼 처킹부재(40)는, 처킹 암(14)의 면방향과 직교하는 수직방향으로 이동가능하게 되어 있다. 또한, 척플레이트(42)의 코어재와 암부(14a)의 관통공(41a) 사이에도 소정 크기의 간극이 설정되어 있다. 따라서, 그 간극분만큼 처킹부재(40)는, 처킹 암(14)의 면방향으로도 이동가능하게 되어 있다.
이 처킹 암(14)은,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처킹용 코일 스프링(45)에 의해 디스크 장착부(23)에 가까이 가는 방향으로 가압되어 있다. 즉, 코일 스프링(45)의 일단은 처킹 암(14)의 다른 쪽의 측면부(14c)에 걸려 고정되고, 그 타단은 메인 섀시(11)의 평면부(11a)에 형성한 받이부에 걸려 고정되어 있다. 이처킹 암(14)의 관통공(41a)의 후방에는, 전후 방향으로 연장되는 개구창(41b)이 형성되어 있다. 이 개구창(41b)은, 처킹 암(14)의 하방에 배치된 지지레버(15)의 상태를 보는 것 등을 목적으로 하여 형성한 것이다.
지지레버(15)는, 도 9에 도시한 바와 같이, 원호형의 둘레방향 암부(15a)와, 이 둘레방향 암부(15a)의 일단에 연속하여 반경방향으로 연장되는 반경방향 암부(15b)와, 이 반경방향 암부(15b)의 선단부에 설치된 디스크지지부(47)와, 둘레방향 암부(15a)에 형성된 스프링수용부(15c) 및 센서용 조작편(15d)과, 둘레방향 암부(15a)에 고정된 캠핀(48)으로 구성되어 있다.
지지레버(15)의 둘레방향 암부(15a)의 길이방향의 일단에는 베어링공(49a)이 형성되어 있으며, 이 베어링공(49a)에 끼워 맞추어지는 지지축(50)에 의해 지지레버(15)가, 메인 섀시(11)의 평면부(11a)의 면방향으로 회동가능하게 지지되어 있다. 도 6에 도시한 바와 같이, 지지축(50)은, 평면부(11a)로서 개구부(25)와 반대측에서 칸막이벽(24)의 외측에 세워 설치되어 있다. 이 지지축(5O)의 근방에 있어서 칸막이벽(24)에는, 반경방향 암부(15b)가 출입되는 절결부(24a)가 형성되어 있다. 이 절결부(24a)를 가지는 평면부(11a)에는, 지지축(50)을 회동중심으로하는 원호형의 가이드홈(51a)이 형성되어 있다.
가이드홈(51a)은 지지레버(15)의 움직임을 규제하는 것으로, 반경방향 암부(15b)의 디스크지지부(47) 근방에 형성된 돌기(49b)가 삽입된다. 지지레버(15)의 디스크지지부(47)는, 상하 방향으로 열린 상면편(47a)와 하면편(47b)을 가지는 단면 V자형의 V홈부로 이루어지고, 그 V홈부의 바닥에 광디스크 D의 외주 에지가 슬라이드가능하게 접촉된다. 이 V홈부의 바닥에 의한 광디스크 D의 접촉상태를 확보하기 위해, 상면편(47a) 및 하면편(47b)은 모두 원호형으로 형성되어 있다. 이 디스크지지부(47)는,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레버용 코일 스프링(52)의 스프링힘에 의해 항상 디스크 장착부(23)의 중심측으로 가압되어 있다.
코일 스프링(52)은,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평면부(11a)의 베어링부(35c)에 형성된 수용부에 의해 일단이 지지되어 있고, 그 타단이 지지레버(15)의 스프링수용부(15c)에 걸려 정지하고 있다. 스프링수용부(15c)는, 둘레방향 암부(15a)의 베어링공(49a)의 근방에 있어서 외측으로 돌출되도록 형성되어 있다. 이 스프링수용부(15c)의 베어링공(49a)과 반대측에는, 하방으로 돌출되는 조작편(15d)이 형성되어 있다. 또한, 조작편(15d)의 외측에는, 캠핀(48)이 하방으로 크게 돌출되도록 설치되어 있다. 캠핀(48)은, 평면부(11a)를 관통하여 그 배면측으로 돌출되어 있고, 이 캠핀(48)의 회동동작을 확보하기 위해 평면부(11a)에는 원호형의 핀공(51b)이 형성되어 있다.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메인 섀시(11)의 우측면부(11e)의 내측에는, 전후 방향 X으로 소정 간격을 두고 한쌍의 베어링부(35e, 35f)가 형성되어 있다. 이 베어링부(35e, 35f)에 의해 평면부(11a)의 배면 후부에는, 조립체 홀더(16)가 상하 방향 Z으로 부앙 동작 가능하게 지지되어 있다.
조립체 홀더(16)는, 도 10에 확대하여 나타낸 바와 같이, 픽업·테이블 조립체(17)를 위한 개구부(54)가 형성된 프레임으로 이루어지고, 그 한변에는 양단에있어서 각각 외측으로 돌출되는 한쌍의 축부(16a, 16a)가 설치되어 있다. 이 한쌍의 축부(16a, 16a)를 한쌍의 베어링부(35e, 35f)에 의해 지지함으로써, 조립체 홀더(16)가 메인 섀시(11)에 상하 방향 Z로 회전가능하게 구성되어 있다.
이 조립체 홀더(16)의 한쌍의 축부(16a.16a)가 설치된 변과 대향하는 변에는, 한쌍의 축부(16a, 16a)를 연결하는 선과 직교하는 방향으로 돌출되는 캠돌기(55)가 형성되어 있다. 이 조립체 홀더(16)의 개구부(54)는, 캠돌기(55)가 돌출되는 방향과 어떤 각도를 가지고 교차하는 방향으로 연장되어 있다. 이 개구부(54)의 외측 에지의 3개소에는, 픽업·테이블 조립체(17)를 지지하기 위한 마운트부(16b)가 설치되어 있다. 그리고, 조립체 홀더(16)의 캠돌기(55)의 근방에는, 이 조립체 홀더(16)가 소정량 이상 하방으로 회동되는 것을 방지하는 스토퍼부(16c)가 형성되어 있다.
이 조립체 홀더(16)에 탑재되는 픽업·테이블 조립체(17)는, 도 11에 도시한 바와 같은 구성을 가지고 있다. 즉, 픽업 ·테이블 조립체(17)는, 정보신호의 기록 및 재생에 사용되는 광디스크 D가 장착되는 턴테이블(60)이 장착되는 스핀들 모터(58)(도 2를 참조)가 고정되는 스핀들 섀시(56)와, 턴테이블(60)에 장착된 광디스크 D에 대하여 정보신호의 기입 및 판독을 행하는 픽업장치의 일 구체예를 나타내는 광학픽업장치(61)를 이동가능하게 지지하는 픽업섀시(57) 등을 구비하여 구성되어 있다.
스핀들 섀시(56)는, 전면부와 좌우의 측면부와 후면부를 가지는 프레임 형상의 부재에 의해 형성되어 있다. 이 스핀들 섀시(56)의 3개소에는, 도시하지 않은인슐레이터를 통하여 조립홀더(16)에 지지하기 위한 평면 C자형을 이루는 발톱형의 지지부(56a)가 형성되어 있다. 이 스핀들 섀시(56)의 앞면부에 설치한 모터장착시트(56b)의 내측에는, 스핀들 모터(58)가 장착되어 있은(도 2를 참조). 이 스핀들 모터(58)의 회전축이 모터장착시트(56b)를 관통하여 스핀들 섀시(56)의 상방으로 돌출되고, 그 돌출부에 턴테이블(60)이 일체로 고정되어 있다.
도 18에 도시한 바와 같이, 턴테이블(60)은, 광디스크 D의 센터공 d의 에지부가 탑재되는 탑재부(60a)와, 그 센터공 d에 끼워 맞추어지는 결합부(60b)를 가지고 있다. 턴테이블(60)의 탑재부(60a)는, 광디스크 D의 센터공 d 보다도 직경을 약간 크게 한 원반형상을 이루고 있고, 그 중앙부에 결합부(60b)가 상방으로 돌출되도록 형성되어 있다. 이 결합부(60b)에는 링형을 이루는 마그넷(59)이 내장되어 있고, 이 마그넷(59)의 흡착력에 의해 상술한 처킹부재(40)가 턴테이블(60)에 흡착된다. 그 결과, 턴테이블(60)에 장착된 광디스크 D가, 처킹부재(40)와 턴테이블(60)에 의해 협지되어 회전방향으로 일체화된다.
또, 스핀들 섀시(56)의 모터장착시트(56b)의 내측에는, 스핀들 모터(58)와 옆으로 나란히 경사모터(62)가 장착되어 있다. 경사모터(62)의 회전축은 모터장착시트(56b)를 상방으로 관통하고 있고, 그 상단부에는 경사(틸트)기어(63)가 결합고정되어 있다. 경사기어(63)에는 경사캠(64)의 기어부가 맞물려 있고, 경사캠(64)의 상면에 형성한 나선형의 캠면에는 픽업섀시(57)에 설치한 캠볼록부(57a)가 대향되어 있다. 이 캠볼록부(57a)는, 스핀들 섀시(56)에 고정나사(65a)에 의해 나사멈춤하여 된 판스프링(65)에 의해 캠면에 가압 접촉되어 있다.
이 스핀들 섀시(56)의 양측면부의 길이방향 대략 중앙부에는, 횡방향으로 내뻗는 형으로 한쌍의 베어링부(56c, 56d)가 설치되어 있다. 이 한쌍의 베어링부(56c, 56d)에는 픽업 섀시(57)에 설치한 한쌍의 축부(57b, 57b)가 결합되고, 이것에 의해 픽업 섀시(57)가 스핀들 섀시(56)에 대하여 요동가능하게 지지되어 있다.
픽업 섀시(57)는, 스핀들 섀시(56)의 상부에 중첩가능한 프레임형의 부재로 이루어져 있다. 이 픽업 섀시(57)의 내측에 광학픽업장치(61)가 턴테이블(60)에 대하여 접근 및 이반가능하게 지지되어 있다. 그리고, 픽업섀시(57)의 상면에는, 광학픽업장치(61)의 광학헤드(61a)가 관통되는 개구부(66)가 형성되어 있다. 이 픽업섀시(57)의 측면부의 길이방향 대략 중앙부에, 상술한 한쌍의 축부(57b, 57b)가 서로의 축심선을 일치시켜 각각 외측으로 돌출되도록 형성되어 있다.
또한, 픽업 섀시(57)의 후부상면에는 차광판(67)이 장착되어 있다. 이 차광판(67)은, 가장 외측으로 이동한 광학픽업장치(61)의 광학헤드(61a)의 상방을 덮고, 대물렌즈를 보호하기 위해 설치한 것이다. 이 픽업섀시(57)의 한쪽 측면 측 전단부에는 이송 모터(68)가, 장착나사 등의 고착수단에 의해 장착되어 있다. 이송 모터(68)의 회전축은, 외주면에 나선형의 나사홈이 형성된 이송축(69)으로 되어 있고, 이 이송축(69)의 후단부가 픽업섀시(57)의 후부에 회전가능하게 지지되어 있다.
픽업 섀시(57)의 이송축(69)과 반대측에는, 도시하지 않은 가이드축이 이송축(69)과 평행을 이루도록 장착되어 있다. 이 가이드축으로 지지되어, 이송축(69)의 회전에 의해, 그 회전방향에 따라서 광학픽업장치(61)가, 턴테이블(60)에 대하여 접근하거나, 또는 턴테이블(60)로부터 이반된다. 이로 인해, 광학픽업장치(6l)는, 이송축(69) 및 가이드축이 관통되는 슬라이드부재(70)가 설치되어 있다. 이 슬라이드부재(70)에는, 도시하지 않은 슬라이드랙이 장착되어 있고, 이 슬라이드랙의 랙 기어가 이송축(69)의 나사홈에 맞물려 있다.
광학픽업장치(61)는, 광학헤드(61a)의 대물렌즈를 포커스방향(상하 방향)과 트래킹방향(횡방향)으로 독립적으로 작동시킬 수 있는 2축 액추에이터를 가지고 있다. 이 2축 액추에이터의 구동력으로는 오로지 전자력(電磁力)이 이용되고 있고, 가동부의 지지방식의 차이로서 분류되는 판스프링 방식을 이용할 수 있고, 또 기타 와이어 지지방식, 힌지방식, 축슬라이드방식 등을 적용할 수 있는 것은 물론이다. 또한, 도면중(71)은, 2축 액추에이터를 덮는 2축 커버이며, 이 2축 커버(71)에는 대물렌즈를 노출시키기 위한 개구창(71a)이 형성되어 있다.
이러한 구성을 가지는 픽업·테이블 조립체(17)가 조립체 홀더(16)에 탑재되어 있고, 조립체 홀더(16)의 상방으로의 앙동(仰動) 또는 하방으로의 부동(俯動))에 의해 일체로 상하 방향으로 회동된다. 이 조립체 홀더(16)의 부앙 동작은, 조립체 홀더(16)의 캠돌기(55)와 캠 플레이트(18)에 설치한 승강캠부(72)로 이루어지는 승강캠기구에 의해 행해진다.
도 16에 도시한 바와 같이, 캠 플레이트(18)는, 대략 장방형을 이루는 판재로 이루어지고, 그 폭방향 한쪽 장변 에지의 중도부에 승강캠부(72)가 설치되어 있다. 이 캠 플레이트(18)의 길이방향 일단으로서 승강캠부(72)와 동일한 장변 에지에는, 그 길이방향의 소정 범위에 걸쳐 톱니를 형성한 랙부(73)가 설치되어 있다. 이 캠 플레이트(18)의 길이방향 일단으로서 승강캠부(72)와 반대측의 장변에지에는, 상술한 개폐 셔터(13)를 개폐 동작시키기 위한 캠볼록부(74)가 설치되어 있다. 이 캠 플레이트(18)의 길이방향의 중도부에는, 그 길이방향으로 소정 길이만 연장된 스위치조작편(75) 및 가이드공(76)이 형성되어 있다.
또, 캠 플레이트(18)의 길이방향의 일단에는, 상술한 처킹 암(14)을 부앙 동작시키기 위한 처킹용 캠부(77)와, 지지레버(15)의 회동동작을 제어하기 위한 레버용 캠부(78)가 설치되어 있다. 또한, 캠 플레이트(18)의 길이방향의 타단에는, 후술하는 한쌍의 롤러조립체(20, 21)의 동작을 제어하기 위한 롤러용 캠부(79)가 설치되어 있다. 이 캠 플레이트(18)의 승강캠부(72)와 반대측의 장변에지의 중도부에는, 수동조작에 의한 캠 플레이트(18)의 슬라이드동작을 가능하게 하기 위한 조작돌기(80)가 형성되어 있다.
캠 플레이트(18)의 승강캠부(72)는, 도 21 (A)∼(D)에 도시한 바와 같은 구성을 가지고 있다. 즉, 승강캠부(72)는, 캠 플레이트(18)의 상면에 돌출되는 상측 수평부(72a)와, 이 상측 수평부(72a)의 일단에 연속하여 경사 하방으로 연장된 경사부(72b)와, 이 경사부(72b)의 하단에 연속하여 캠 플레이트(18)의 하면에 있어서 수평방향으로 연장된 하측 수평부(72c)로 이루어져 있다. 이 캠 플레이트(18)는, 메인 섀시(11)의 평면부(11a)의 하면에 있어서 전후 방향으로 직선적으로 슬라이드가능하게 지지되어 있다.
이 캠 플레이트(18)의 슬라이드동작을 확보하기 위해, 가이드공(76)이 캠 플레이트(18)에 형성되어 있다. 이 가이드공(76)에 슬라이드가능하게 걸어맞추어지는 가이드축부(11j)가 메인 섀시(11)의 평면부(11a)에 설치되어 있다. 또,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메인 섀시(11)의 측면부(11d)에는 한쌍의 지지부(11k)가 설치되어 있다. 한쌍의 지지부(1l)k에서 캠 플레이트(18)의 장변측 한변을 협지하도록 지지하는 동시에, 가이드공(76)에 가이드축부(11j)를 걸어맞춘 상태에서, 그 선단면에 형성한 나사공에 시트가 형성된 나사(81a)를 나사맞춤하여 단단히 조이는 것에 의해, 캠 플레이트(18)가 메인 섀시(11)에 장착되어 있다.
이 캠 플레이트(18)가 전후 방향 X로 슬라이드함으로써, 조립체 홀더(16)가 부앙 동작 된다. 즉, 도 21 (A) 및 (B)에 나타낸 바와 같이, 캠 플레이트(18)가 메인 섀시(11)의 최전부에 있을 때에는, 캠돌기(55)는 승강캠부(72)중 가장 낮은 위치에 있는 하측 수평부(72c)에 위치한다. 따라서, 도 23 (A) 및 (B)에 도시한 바와 같이, 조립체 홀더(16)는 앞쪽이 경사지는 상태로 되고, 이 경우에는, 턴테이블(60)이 낮은 위치에 대기하고 있다.
이 상태로부터, 조립체 홀더(16)가 도 21 (C)에 나타낸 중도위치를 지나서 이 도면 D에 나타낸 최후부까지 이동하면, 캠돌기(55)가 승강캠부(72)의 경사부(72b)를 지나서 상측 수평부(72a)로 이동한다. 이에 따라, 도 27 (A) 및 (B)에 도시한 바와 같이, 조립체 홀더(16)가 대략 수평의 상태로 변화되고, 턴테이블(60)이 높은 위치로 이동한다. 이때, 턴테이블(60)이 디스크 장착부(23)에 수납되어 있는 광디스크 D를 탑재하고, 이 광디스크 D를 소정의 높이까지 들어 올린다.
또, 캠 플레이트(18)의 처킹용 캠부(77)는, 도 16 등에 도시한 바와 같은 구성을 가지고 있다. 즉, 처킹용 캠부(77)는, 캠 플레이트(18)의 길이방향으로 연장되는 상측 수평부(77a)와, 이 상측 수평부(77a)의 앞쪽으로 연속하여 경사지게 연장된 경사부(77b)와, 이 경사부(77b)의 하단에 연속하여 앞쪽으로 연장된 하측 수평부(77c)로 되어 있다. 이 처킹용 캠부(77)에는, 도 23 (B) 등에 도시한 바와 같이, 처킹 암(14)의 구동레버(38)로 회전가능하게 지지된 롤러(39)가 회전접촉된다.
이 경우, 처킹용 캠부(77)의 상측 수평부(77a)에 롤러(39)가 위치할 때에는, 이 도면 (B) 등에 도시한 바와 같이, 처킹 암(14)의 자유단측이 앙동하여, 처킹부재(40)가 높은 위치로 들어 올려진다. 이에 따라, 디스크가 장착되는 디스크 장착부(23)의 상방 스페이스가 넓게 열려진다.
한편, 롤러(39)가 상측 수평부(77a)로부터 경사부(77b)를 거쳐 하측 수평부(77c)로 이동하면, 도 27 (B) 등에 도시한 바와 같이, 처킹 암(14)의 자유단측이 부동하여, 처킹부재(40)가 낮은 위치로 밀어 내려진다. 이에 따라, 처킹부재(40)가 대략 수평인 상태로 되고, 하방으로부터 밀어 올려져 오는 턴테이블(60)에 대향된다. 이 때, 디스크 장착부(23)에 광디스크 D가 수납되어 있으면, 그 광디스크 D가 턴테이블(60)과 처킹부재(40)에 의해 협지되어, 광디스크 D의 처킹이 행해진다.
캠 플레이트(18)의 레버용 캠부(78)는, 도 16 및 도 21 (A) 등에 도시한 바와 같은 구성을 가지고 있다. 즉, 레버용 캠부(78)는, 지지 레버(15)의 디스크지지부(47)를 디스크 장착부(23)의 외주 에지에 유지하기 위한 제1 캠부(78a)와, 디스크지지부(47)를 디스크 장착부(23)의 반경방향 중도부에 유지하기 위한 제2캠부(78b)와, 디스크지지부(47)를 디스크 장착부(23)의 내주에지에 유지하기 위한 제3 캠부(78c)를 가지고 있다. 제1 내지 제3 캠부(78a∼78c)는, 캠 플레이트(18)의 폭방향으로 적당한 간격을 두고 각각 길이방향으로 연장되도록 설치되어 있다.
또한, 제1 ∼제3 캠부(78a∼78c)는, 캠 플레이트(18)의 롤러용 캠부(79)와 반대측에 있어서 서로 연통되어 있고, 이 레버용 캠부(78)에 걸어맞추어지는 지지레버(15)의 캠핀(48)이 선택적으로 출입 가능하게 되어 있다. 제1 및 제2 캠부(78a) 및 (78b)의 저부에는, 디스크 장착부(23)의 외주 에지 및 반경방향 중도부에서 광디스크 D에서 디스크지지부(47)를 피하여 광디스크 D와 디스크지지부(47)와의 슬라이드 접촉을 방지하기 위한 퇴피부(78a0) 및 (78b0)가 형성되어 있다.
캠 플레이트(18)의 롤러용 캠부(79)는, 도 16 및 도 21 (A) 등에 도시한 바와 같은 구성을 가지고 있다. 즉, 롤러용 캠부(79)는, 광디스크 D의 직경에 따라서 한쌍의 롤러조립체(20, 21)의 위치를 제어하는 대경용 캠부(79a)와 소경용 캠부(79b)를 가지고 있다. 대경용 캠부(79a) 및 소경용 캠부(79b)는, 캠 플레이트(18)의 폭방향에 적당한 간격을 두고 각각 길이방향으로 연장되도록 설치되어 있다. 또한, 대경용 캠부(79a) 및 소경용 캠부(79b)는, 캠 플레이트(18)의 레버용 캠부(78)측에 있어서 서로 연통되어 있고, 이 롤러용 캠부(79)에 결합되는 구동측 롤러조립체(20)의 후술하는 캠핀이 선택적으로 출입 가능하게 되어 있다.
롤러용 캠부(79)의 대경용 캠부(79a)의 저부에는, 디스크 장착부(23)에 수납된 광디스크 D로부터 후술하는 구동롤러(85b) 및 고정롤러(95b)를 피하여 광디스크D와 구동롤러(85b) 및 고정롤러(95b)가 슬라이드 접촉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퇴피부(79a0)가 설치되어 있다. 또, 소경용 캠부(79b)에는, 그 중도부와 저부에 있어서 광디스크 D로부터 롤러(85b, 95b)를 피하여 광디스크 D와 롤러(85b, 95b)가 슬라이드 접촉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퇴피부(79b0) 및 (79b1)가 설치되어 있다.
소경용 캠부(79b)의 중도부에 설치한 퇴피부(79b1)는, 소경 디스크(예를 들면, 직경 8cm의 것 D8가 삽입되었을 때의 한쌍의 롤러조립체(20, 21)의 위치제어을 행하기 위한 것으로, 대경 디스크(예를 들면, 직경 12cm의 것 D12)가 삽입되었을 때에는 저부에 설치한 퇴피부(79b0)에 의해 한쌍의 롤러조립체(20, 21)의 위치제어를 행해진다.
이러한 구성을 가지는 캠 플레이트(18)의 롤러용 캠부(79)에 의해 위치제어되는 한쌍의 롤러조립체(20, 21)는, 다음과 같은 구성을 가지고 있다.
도 12 및 도 13 (A) 등에 도시한 바와 같이, 한쪽 구동측 롤러조립체(20)는, 제1 지지부재인 구동측 가이드레버(83)와, 이 구동측 가이드레버(83)에 탑재된 구동수단의 일 구체예를 나타낸 구동모터(84)와, 구동측 가이드레버(83)에 회동가능하게 장착된 제1 이송부재의 일 구체예를 나타낸 한쌍의 구동롤러(85a, 85b)와, 이 한쌍의 구동롤러(85a, 85b)에 구동모터(84)의 동력을 전달하여 동일방향으로 회전구동하는 제1 기어기구(86) 등을 구비하여 구성되어 있다.
구동측 롤러조립체(20)의 구동측 가이드 레버(83)는, 전후 방향으로 연장된롤러지지부와, 이 롤러지지부의 일측으로부터 횡방향으로 연장되는 암부를 가지고, 암부의 앞면에는 좌우방향으로 톱니가 정렬된 랙부(83a)가 설치되어 있다. 이 랙부(83a)의 하부에는, 후술하는 위치검출용 제2 검출 스위치 SW2, 제3 검출 스위치 SW3 및 제4 검출 스위치 SW4를 온·오프동작시키기 위한 조작체(87)가 일체로 설치되어 있다.
조작체(87)는 평면형상이 크랭크형을 이루고 있고, 암부의 선단측 일단이 제2 검출 스위치 SW2를 온·오프시키기 위한 제1 조작부(87a)로 되어 있다. 또한, 조작체(87)의 도중의 절곡부가 제3 검출 스위치 SW3를 온·오프시키기 위한 제2 조작부(87b)로 되어 있다. 그리고, 조작체(87)의 제1 조작부(87a)와 반대측의 타단이 제4 검출 스위치 SW4를 온·오프시키기 위한 제3 조작부(87c)로 되어 있다.
구동측 가이드레버(83)에는, 2개의 롤러지지축(88a, 88b)과, 3개의 기어지지축(88c, 88d, 88e)과, 2개의 가이드핀(88f)(88g)과, 1개의 축핀(89a)이 형성되어 일체로 설치되어 있다. 축핀(89a)만은 구동측 가이드레버(83)의 하면측으로 돌출되어 있고, 그 돌출부에는 롤러(89)가 회전가능하게 지지되어 있다. 이 롤러(89)가, 상술한 캠 플레이트(18)의 롤러용 캠부(79)에 걸어맞추어진다.
제1 롤러지지축(88a)에는 제1 구동롤러(85a)가 회전가능하게 지지되고, 제2 롤러지지축(88b)에는 제2 구동롤러(85b)가 회전가능하게 지지되어 있다. 또, 제1 기어지지축(88c)에는 웜 휠(86a)이 회전가능하게 지지되어 있고, 이 웜 휠(86a)에는 소경 기어(86b)가 일체로 설치되어 있다. 소경 기어(86b)는 제1 중간기어(36c) 및 제2 중간기어(86d)에 공통으로 맞물려 있다. 그리고, 제1 중간기어(86c)는 제2기어지지축(88d)에 회전가능하게 지지되고, 제2 중간기어(86d)는 제3 기어지지축(88e)에 회전가능하게 지지되어 있다.
웜 휠(86a)에는 웜(84a)이 맞물려 있고, 이 웜(84a)이 구동모터(84)의 회전축에 고정되어 있다. 구동모터(84)는, 모터베이스(84b)를 통하여 멈춤나사 등의 고착수단에 의해 구동측 가이드레버(83)에 고정되어 있다. 이 구동모터(84)의 회전력이 웜(84a)으로부터 웜 휠(86a) 및 소경 기어(86b)에 전달되고, 이 소경 기어(86b)로부터 각 중간기어(86c, 86d)를 통하여 한쌍의 구동롤러(85a, 85b)의 각 기어부(85c, 85c)에 전달되어 있다. 따라서, 한쌍의 구동롤러(85a, 85b)는, 구동모터(84)의 회전에 의해 강제적으로 회전구동된다.
또한, 소경 기어(86b), 제1 및 제2 중간기어(86c, 86d), 및 기어부(85c)는, 모두 헬리컬 톱니바퀴에 의해 형성되어 있다. 이에 따라, 제1 기어기구(86)의 구동에 의해 발생하는 소음의 저감화가 도모되어 있다.
도 13 (B) 및 (C)에 도시한 바와 같이, 한쌍의 구동롤러(85a, 85b)는, 구동모터(84)나 중간기어(86c, 86d) 등의 다른 부품 보다도 위쪽으로 돌출되어 있다. 도 14에 단면으로 나타낸 바와 같이, 각 구동롤러(85a, 85b)는, 구동체(90a)와 회전체(90b)와 완충체(90c)로 구성되어 있다. 구동체(90a)는, 상면을 원추형의 테이퍼면으로 한 링형의 부재로 이루어지고, 그 하면에 기어부(91a)가 일체로 설치되어 있다. 이 구동체(90a)에 대향하는 회전체(90b)는, 하면을 역원추형의 테이퍼면으로 한 링형의 부재로 이루어진다. 이들 구동체(90a)와 회전체(90b)와의 사이에는, 광디스크 D의 두께보다도 약간 큰 간극 S가 형성되어 있으며, 그 홈부의 바닥에는링형으로 형성된 완충체(90c)가 설치되어 있다.
각 구동체(90a)의 중심부에는 롤러지지축(88a,88b)이 삽입 통과되는 원통형의 내축부(91b)와, 이 내축부(91b)와 동심을 이루는 원통형의 외축부(91c)가 설치되어 있다. 그리고, 내축부(91b)와 외축부(91c)와의 사이에는, 회전체(90b)에 설치한 원통형의 통축부(91d)가 적당한 간극을 두고 삽입되고, 상대적으로 회전가능하게 구성되어 있다. 이들 구동체(90a) 및 회전체(90b)를 관통하는 롤러지지축(88a, 88b)의 상단부에 멈춤고리를 걸어맞춤으로써, 회전체(90b)의 탈락이 방지되어 있다. 이 구동체(90a)의 외축부(91c)에, 고무나 연질플라스틱 등에 의해 형성된 고무형 탄성체로 이루어지는 원통형의 완충체(90c)가 결합되어 있다.
완충체(90c)는, 광디스크 D 보다도 부드럽고 또한 마찰저항이 큰 재질인 것이 바람직하다. 이 완충체(90c)가 구동체(90a)와 회전체(90b) 사이의 간극 S에서 노출되어 있고, 이 간극 S 내에 광디스크 D의 외주 에지가 진입하여, 완충체(90c)의 표면에 맞닿는다. 이 광디스크 D의 외주 에지가 구동측 완충체(90c)에 압력 접촉되고, 그 완충체(90c)와의 사이에 생기는 마찰력에 의해 광디스크 D에 회전력이 부여된다. 이 구동측 완충체(90c)의 회전력과 후술하는 고정측 완충체(90c)의 마찰력과의 협동작용에 의해, 후술하는 바와 같이 광디스크 D가 전동된다.
도 13 (A)∼(C)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1 롤러지지축(88a)에는, 광디스크 D가 삽입되었는지 여부를 검출하기 위한 검출부재(92)가 회전가능하게 장착되어 있다. 이 검출부재(92)는, 구동롤러(85a)의 직경방향 외측에 있어서 상방으로 돌출된 지지축(92a)과, 동일하게 구동롤러(85a)의 직경방향 외측에 있어서 하방으로 돌출된 조작핀(92b)을 가지고 있다. 지지축(92a)에는, 구동측 및 고정측 완충체(90c, 90c)의 높이와 대략 동일 높이에 있어서 가이드 롤러(92c)가 회전가능하게 지지되어 있다. 이 가이드 롤러(92c)와 조작핀(92b)은 롤러지지축(88a)을 중심으로 대략 90도 회전 편의된 위치에 형성되어 있다.
이 검출부재(92)는, 도면에 나타내지 않은 복귀 코일 스프링에 의해 가압되고, 이것에 의해 가이드 롤러(92c)가 구동롤러(85a)의 앞쪽에 위치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이 검출부재(92)의 조작핀(92b)에 대응시켜 구동측 가이드레버(83)에는, 도 19에 도시한 바와 같이, 디스크 출입구(30)로부터 삽입되는 광디스크 D의 유무를 검출하는 제1 검출 스위치 SW1가 장착되어 있다.
또한, 제1 검출 스위치 SW1 및 이하에 설명하는 제2 ∼제8 검출 스위치 SW2∼SW8는, 모두 온·오프의 전환스위치이며, 조작자를 가압했을 때에 온으로 되어 그 신호를 출력하고, 그 조작자의 가압을 해제했을 때에 오프로 되어 그 신호를 출력한다.
제1 검출 스위치 SW1는, 프린트 배선 기판(93)을 통하여 구동측 가이드레버(83)의 하면에 나사멈춤되어 있다. 이 제1 검출 스위치 SW1는, 복귀 코일 스프링으로 가압되는 조작핀(92b)에 의해 가압되어 온으로 된다. 즉, 광디스크 D를 삽입하면, 그 광디스크 D(직경 12cm의 대경 디스크 D12라도, 직경 8cm의 소경 디스크 D8라도 동일)의 외주 에지에 의해 검출부재(92)가 도 19에 있어서 시계 방향으로 회동된다. 이에 따라, 조작핀(92b)이 조작자를 가압하고, 제1 검출 스위치SW1가 온으로 전환된다. 그리고, 광디스크 D가 통과함으로써, 복귀 코일 스프링의 스프링힘으로 조작핀(92b)이 복귀되어, 제1 검출 스위치 SW1가 오프로 복귀된다.
고정측 롤러조립체(21)는, 도 12 및 도 15 (A) 등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2 지지 부재인 고정측 가이드레버(94)와, 이 고정측 가이드레버(94)에 장착된 제2 이송부재의 일 구체예를 나타낸 한쌍의 고정롤러(95a, 95b) 등을 구비하여 구성되어 있다. 고정측 가이드레버(94)는, 전후 방향으로 연장된 롤러지지부와, 이 롤러지지부의 일측으로부터 횡방향으로 연장되는 암부를 가지고, 암부의 후면에는 좌우방향으로 톱니가 정렬된 랙부(94a)가 설치되어 있다.
또한, 고정측 가이드레버(94)에는, 2개의 롤러지지축(96a, 96b)과, 2개의 가이드핀(96c),(96d)이 형성되어 일체로 설치되어 있다. 제1 롤러지지축(96a)에는 제1 고정롤러(95a)가 결합되고, 제2 롤러지지축(96b)에는 제2 고정롤러(95b)가 결합되어 있다. 한쌍의 고정롤러(95a, 95b)는, 고정체가 고정측 가이드 레버(94)에 고정되는 점을 제외하면, 한쌍의 구동롤러(85a, 85b)와 동일하다.
즉, 각 고정롤러(95a, 95b)는, 고정체(115a)와 회전체(115b)와 도시하지 않은 완충체로 구성되어 있다. 고정체(115a)는, 상면을 원추형의 테이퍼면으로 한 링형의 부재로 이루어지고, 이것을 고정측 가이드레버(94)에 고정하기 위한 다리편(116a)이 설치되어 있다. 이들 다리편(116a)은, 고정측 가이드레버(94)에 설치된 걸어맞춤핀(94b)에 걸어맞추어져 있다. 각 걸어맞춤핀(94b)의 선단부를 코킹함으로써, 각 고정롤러(95a, 95b)가 고정측 가이드레버(94)에 고정되어 있다.
이 고정체(115a)에 대향하는 회전체(115b)는, 하면을 역원추형의 테이퍼면으로 한 링형의 부재로 이루어진다. 이들 고정체(115a)와 회전체(115b) 사이에는, 광디스크 D의 두께 보다도 약간 큰 간극 S가 형성되어 있으며, 그 홈부의 바닥에는 링형으로 형성된 완충체(115c)(도 15 (A)∼(C)를 참조, 구동롤러(85a, 85b)의 완충체(90c)와 동일 구성을 가짐)가 설치되어 있다.
각 고정체(115a) 의 중심부에는 롤러지지축(96a, 96b)이 삽입 통과되는 원통형의 내축부(116b)와, 이 내축부(116b)와 동심을 이루는 원통형의 외축부(116c)가 설치되어 있다. 그리고, 내축부(116b)와 외축부(116c)와의 사이에는, 회전체(115b)에 설치된 원통형의 통축부(110d)가 적당한 간극을 두고 삽입되고, 상대적으로 회전가능하게 구성되어 있다. 이들 고정체(115a) 및 회전체(115b)를 관통하는 롤러지지축(96a, 96b)의 상단부에 멈춤고리를 걸어맞춤으로써, 회전체(115b)의 탈락이 방지되어 있다.
고정체(115a)의 외축부(116c)에, 고무나 연질플라스틱 등에 의해 형성된 고무형 탄성체로 이루어지는 원통형의 완충체(115c)가 결합되어 있다. 이 완충체 (115c)가 고정체(115a)와 회전체(115b) 사이의 간극으로부터 노출되어 있다. 이 간극 내에 광디스크 D의 외주 에지가 진입하여, 그 외주위 에지와 고정측 완충체 (115c)와의 사이에 생기는 마찰력에 의해, 광디스크 D에 대하여 전동력이 부여된다.
전술한 바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구동측 롤러조립체(20)가, 메인 섀시(11)의 평면부(11a)의 앞쪽 하부에 있어서 좌우방향 Y으로 슬라이드가능하게 지지되어 있다. 이 때,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구동측 롤러조립체(20)의 제1구동롤러(85a) 및 가이드 롤러(92c)는 평면부(111a)의 제1 롤러용 관통공(26a)으로부터 위쪽으로 돌출되고, 제2 구동롤러(85b)는 제2 롤러용 관통공(26b)으로부터 위쪽으로 돌출된다.
또, 제1 가이드핀(88f)이 제1 가이드용 장공(27a)으로부터 위쪽으로 돌출되고, 제2 가이드핀(88g)이 제2 가이드용 장공(27b)으로부터 상방으로 돌출된다. 그리고, 각 가이드핀(88f),(88g)의 상단부에 걸어맞추어지는 멈춤고리에 의해 각 가이드용 장공(27a),(27b)으로부터의 탈락이 방지되어 있다.
또한, 도 13 (A)∼(C)에 도시한 바와 같이, 구동측 가이드레버(83)의 정면에는, 상하 방향으로 소정 간극을 두고 또한 좌우방향으로 약간 편의되어 한쌍의 협지편(83b, 83b)이 설치되어 있다. 한쌍의 협지편(83b, 83b)은, 메인 섀시(11)의 정면부(11b)의 내면에 설치한 가이드레일(11m)에 슬라이드가능하게 걸어맞추어져 있다. 또, 구동측 가이드레버(83)에는 스프링받이편(83c)이 설치되어 있다. 이러한 구동측 롤러조립체(20)에 대하여 고정측 롤러조립체(21)가 좌우방향 Y에 대향하도록 형성되어 있다.
또, 도 15 (A)∼(C)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1 롤러지지축(96a)에는, 구동측 롤러조립체(20)의 검출부재(92)와 밸런스를 취하기 위한 밸런스부재(97)가 회전가능하게 장착되어 있다. 이 밸런스부재(97)는, 고정롤러(95a)의 직경방향 외측에 있어서 상방으로 돌출된 지지축(97a)와, 동일하게 고정롤러(95a)의 직경방향 외측에 있어서 하방으로 돌출된 핀(97b)을 가지고 있다. 그리고, 지지축(97a)에는, 고정측 완충체의 높이와 대략 동일 높이에 있어서 가이드 롤러(97c)가 회전가능하게지지되어 있다. 이 가이드롤러(97c)와 핀(97b)은 롤러지지축(96a)을 중심으로 대략 90도 회전 편의된 위치에 설치되어 있다. 이 밸런스부재(97)는, 도면에 나타내지 않은 복귀 코일 스프링에 의해 가압되고, 이것에 의해 가이드 롤러(97c)가 구동롤러(95a)의 앞쪽에 배치된다.
전술한 바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고정측 롤러조립체(21)가, 메인 섀시(11)의 평면부(11a)의 앞쪽 하부에 있어서 좌우 방향 Y로 슬라이드가능하게 지지되어 있다. 이 때,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고정측 롤러조립체(21)의 제1 고정롤러(95a) 및 가이드 롤러(97c)는 평면부(11a)의 제3 롤러용 관통공(26c)으로부터 위쪽으로 돌출되고, 제2 구동롤러(95b)는 제4 롤러용 관통공(26d)으로부터 상방으로 돌출되어 있다.
또, 제1 가이드핀(96c)이 제3 가이드용 장공(27c)으로부터 상방으로 돌출되고, 제2 가이드핀(96d)가 제4 가이드용 장공(27d)으로부터 위쪽으로 돌출되어 있다. 그리고, 각 가이드핀(96c, 96d)의 상단부에 걸어맞추어지는 멈춤고리에 의해 각 가이드용 장공(27C, 27D)으로부터의 탈락이 방지되어 있다.
또한, 도 15 (A)∼(C)에 도시한 바와 같이, 고정측 가이드레버(94)의 정면에는, 상하 방향으로 소정의 간극을 두고 또한 좌우방향 Y로 약간 편의되어 한쌍의 협지편(94c, 94c)이 설치되어 있다. 이 한쌍의 협지편(94c, 94c)은, 메인 섀시(11)의 정면부(11b)의 내면에 설치한 가이드레일(11m)에 슬라이드가능하게 걸어맞추어져 있다. 또, 고정측 가이드레버(94)에는 스프링받이편(94d)이 형성되어 있으며, 이 스프링받이편(94d)에는 탄성부재의 일 구체예를 나타낸 인장코일 스프링(98)의 일단이 걸려 멈추어 있다. 이 인장코일 스프링(98)은, 좌우방향 X로 연장되어 구동측 가이드레버(83)에 설치된 스프링받이편(83c)에 걸려 정지하고 있다. 이 인장코일 스프링(98)의 스프링힘에 의해, 구동측 롤러조립체(20)와 고정측 롤러조립체(21)와는 서로 가까이 가는 방향으로 가압되어 있다.
이 구동측 롤러조립체(20)와 고정측 롤러조립체(21)와의 사이에는, 구동측 가이드레버(83)의 랙부(83a)와 고정측 가이드레버(94)의 랙부(94a)에 동시에 맞물리는 구동기어(99)가 배치되어 있다. 구동기어(99)는 메인 섀시(11)의 평면부(11a)의 하면에 회전가능하게 지지되어 있고, 이 구동기어(99)를 전후로부터 협지하도록 랙부(94a)와 랙부(83a)가 모두 맞물려 있다.
따라서, 도 19에 있어서, 구동기어(99)가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하면, 인장코일 스프링(98)의 스프링힘에 저항하여 구동측 롤러조립체(20) 및 고정측 롤러조립체(21)가 서로 떨어지는 방향으로 이동한다. 이것과는 반대로, 구동기어(99)가 시계 방향으로 회전하면, 구동측 롤러조립체(20) 및 고정측 롤러조립체(21)가 서로 가까이 가는 방향으로 이동한다.
도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양 롤러조립체(20, 21)의 하방에는, 이들을 덮도록 척 구동 조립체(22)가 설치되어 있다. 척 구동 조립체(22)는, 도 17 등에 도시한 바와 같은 구성을 가지고 있다. 즉, 척 구동 조립체(22)는, 메인 섀시(11)의 평면부(11a)의 배면에 구동측 및 고정측 롤러조립체(20, 21)가 수납되는 스페이스를 두고 고정나사 등의 고착수단에 의해 고정되는 베이스플레이트(100)와, 이 베이스플레이트(100)에 탑재되는 제2 구동모터(101)와, 제2 기어기구(102) 및 제2 프린트 배선 기판(103) 등을 구비하여 구성되어 있다.
베이스플레이트(100)의 대략 중앙부에는, 상술한 구동측 가이드레버(83)의 조작부(87)가 삽입 통과되는 장공(104)과, 구동모터(101)의 일부가 수납되는 개구공(105)이 형성되어 있다. 또한, 베이스플레이트(100)에는 4개의 장착공(106a)과 2개의 위치결정공(106b)이 형성되어 있으며, 이들에 의해 소정 위치에 위치결정되면서 소정수의 고정나사에 의해 베이스플레이트(100)가 장착되어 있다. 이에 따라, 좌우방향 Y로 연장되는 장공(104) 내에 조작부(87)가 삽입 통과되고, 그 하단부가 베이스플레이트(100)의 하면에 돌출된다.
제2 구동모터(101)는 브래킷(107)에 나사멈춤되어, 이 브래킷(107)을 고정나사로 체결고정함으로써 구동모터(101)가 베이스플레이트(100)에 장착되어 있다. 구동모터(101)의 회전축에는 웜(108)이 고정되어 있고, 웜(108)에는 웜 휠(109)이 맞물려 있다. 웜 휠(109)에는 도시하지 않은 소경 기어가 일체로 설치되어 있으며, 그 소경 기어에는 제3 중간기어(110)가 맞물려 있다. 제3 중간기어(110)에는 소경 기어(110a)가 일체로 설치되어 있으며, 소경 기어(11Oa)에는 출력기어(111)의 도시하지 않은 소경 기어가 맞물림되어 있다.
척 구동 조립체(22)의 출력기어(111)는, 상술한 캠 플레이트(18)의 랙부(73)에 맞물려 있다. 이 척 구동 조립체(22)의 구동모터(101)의 회전에 의해, 메인 섀시(111)의 가이드축부(11j) 등에 가이드되어 캠 플레이트(18)가 메인 섀시(11)의 전후 방향 X으로 전진 또는 후퇴동작된다. 또한, 웜 휠(109), 중간기어(110) 및 출력기어(111)는, 베이스플레이트(100)에 고정된 3개의 기어지지축(112)에 각각 회동가능하게 지지되어 있다.
또, 제2 프린트 배선 기판(103)은, 베이스플레이트(100)의 구동모터(101)와 동일 하면 앞부분에 나사멈춤되어 있다. 이 프린트 배선 기판(103)에는, 도 2 등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2 검출 스위치 SW2, 제3 검출 스위치 SW3 및 제4 검출 스위치 SW4의 3개의 검출수단과, 이들 검출 스위치 SW2∼SW4나 구동모터(10l) 등에 전력을 공급하거나, 동작을 제어 등 하기 위해 필요한 각종 전자부품이 탑재되어 있다.
3개의 검출 스위치 SW2∼SW4는, 도 20에 도시한 바와 같이, 디스크 출입구(30)를 통과하는 광디스크 D의 위치에 의해 좌우방향 Y로 변화되는 구동측 롤러조립체(20)의 위치를 검출하는 것이다. 이들 3개의 검출 스위치 SW2∼SW4의 검출결과에 따라, 광디스크 D(D12또는 D8의 크기에 따라서 그 광 디스크 D가 디스크 장착부에 있는가 디스크 인출부에 있는가를 검출할 수 있다.
도 20에 있어서, 부호 E는, 광디스크 D의 인입개시위치를 나타내고 있고, 사용자에 의해 여기까지 광디스크 D가 삽입되면, 로딩기구에 의한 후술하는 로딩동작이 개시되고, 여기로부터 광디스크 D가 자동적으로 인입되어 디스크 장착부에 장착된다. 또, 부호 F는, 광디스크 D의 배출완료위치를 나타내고 있고, 사용자에 의해 이젝트 버튼이 조작되어, 로딩 기구의 배출동작에 의해 광디스크 D가 배출되고, 여기까지 광디스크 D가 자동적으로 송출된다.
또, 이 도면에 있어서, 부호 A로 나타낸 위치는, 구동측 롤러조립체(20)의초기위치를 나타낸 것이다. 광디스크 D를 디스크 출입구(30)로부터 장치 내에 삽입하기 전에는, 구동측 롤러조립체(20)는 이 장소에 위치하고 있다. 이 때, 구동측 가이드레버(83)에 설치한 조작체(87)의 제1 조작부(87a)가 제2 검출 스위치 SW2에 맞닿고 있고, 따라서 제2 검출 스위치 SW2는 온으로 되어 있다.
부호 B로 나타낸 위치는, 광디스크 D 중 직경 8cm의 소경 디스크 D8를 사용했을 때의, 소경 디스크 D8의 장착 위치 및 인출위치를 나타낸 것이다. 이 소경 디스크 D8의 경우에는, 디스크 출입구(30)로부터 소경 디스크 D8를 장치 내에 삽입하는 디스크장착시 및 소경 디스크 D8를 장치밖으로 배출하는 디스크 배출시의 어느 경우에 있어서도, 구동측 롤러조립체(20)는 도시한 장소에 위치한다.
이 장착 및 배출위치는, 이 도면 (A)의 초기위치 보다도 약간 외측으로 설정되어 있고, 이 위치의 차이는, 디스크장착시에는 소경 디스크 D8가 회전구동되기 때문에, 한쌍의 구동롤러(85a, 85b) 및 고정롤러(95a, 95b)를 소경 디스크 D8로부터 피하여 서로의 접촉을 피하기 위해서 설치한 것이다. 이 때, 조작체(87)의 제1 조작부(87a)가 제2 검출 스위치 SW2a로부터 멀어져, 3개의 제2 ∼제4 검출 스위치 SW2∼SW4의 모두가 오프로 된다.
부호 C로 나타낸 위치는, 광디스크 D 중 직경 12cm의 대경 디스크 D12를 사용했을 때의, 대경 디스크 D12의 인출 위치를 나타낸 것이다. 이 대경 디스크 D12의경우에는, 디스크 출입구(30)로부터 대경 디스크 D12가 배출되면, 구동측 롤러조립체(20)는 도시하는 장소에 위치하게 된다. 이 때, 조작체(87)의 제2 조작부(87b)가 제3 검출 스위치 SW3에 맞닿고, 따라서 제3 검출 스위치 SW3만이 온이 되고, 다른 검출 스위치 SW2, SW4는 오프로 유지된다.
또한, 부호 D로 나타낸 위치는, 대경 디스크 D12를 사용했을 때의, 대경 디스크 D12의 장착 위치를 나타낸 것이다. 이 때, 대경 디스크 D12가, 디스크 출입구(30)로부터 삽입되어 디스크 장착부에 도달하면, 구동측 롤러조립체(20)는 도시한 장소에 위치하게 된다. 이 때, 조작체(87)의 제2 조작부(87b)가 제3 검출 스위치 SW3를 계속 가압하는 동시에, 제3 조작부(87c)가 제4 검출 스위치 SW4에 맞닿는다. 따라서, 제3 검출 스위치 SW3 및 제4 검출 스위치 SW4가 모두 온으로 되고, 제1 검출 스위치 SW2가 오프로 유지된다.
또, 도 21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술한 지지레버(15)의 회동위치를 검출하기 위해 제5 검출 스위치 SW5가 설치되고, 상술한 캠 플레이트(18)의 전후 방향 X의 위치를 검출하기 위해서 제6 검출 스위치 SW6, 제7 검출 스위치 SW7 및 제8 검출 스위치 SW8가 설치되어 있다. 이들 제5 ∼제8 검출 스위치 SW5∼SW8은, 도 6 등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3 프린트 배선기판(114)에 장착되어 있다.
제3 프린트 배선 기판(114)은, 제5 ∼제8 검출 스위치 SW5∼SW8 그 외의 전자부품에 전력을 공급하거나, 신호의 송수신을 행하기 위해 설치한 것으로, 커넥터 등의 전자부품이 탑재되어 있다. 이 프린트 배선 기판(114)은, 메인 섀시(11)의평면부(11a)에서의 좌측부에 설치한 선반부(11n) 상에 위치결정되어 나사멈춤되어 있다.
이 프린트 배선 기판(114)에는, 처킹 암(14)의 구동레버(38)가 하방으로 관통되는 관통공(114a)과, 메인 섀시(11)의 지지축(50)이 끼워맞추어지는 결합공(114b)이 형성되어 있다. 이 프린트 배선 기판(114)의, 평면부(11a)에 형성된 핀공(51b) 측의 단부에 제5 검출 스위치 SW5가 장착되고, 선반부(11n)의 내측 에지에 제6 ∼제8 검출 스위치 SW6∼SW8가 장착되어 있다.
제5 검출 스위치 SW5는, 그 작동자를 핀공(51b)측으로 향한 상태로 장착되어 있고, 지지레버(15)의 조작편(15d)에 의해 온·오프 조작된다. 또, 제6 ∼제8 검출 스위치 SW6∼SW8는, 그 작동자가 선반부(11n)의 내측 에지에 돌출되도록 장착되어 있다. 이들 작동자에는, 상단부가 프린트 배선 기판(114)의 상방으로 돌출된 스위치조작부(75)의 상단 에지가 대향되고, 이 스위치조작부(75)에 의해 3개의 검출 스위치 SW6∼SW8가 온·오프 조작된다.
제6 및 제7 검출 스위치 SW6, SW7은, 광디스크 D가 삽입되는 상태에 있는가, 이와는 반대로 배출되는 상태에 있는가를 검출하는 것으로, 2개의 검출 스위치 SW6, SW7의 온·오프 상태를 보는 것에 의해 광디스크 D의 이동 방향을 검출할 수 있다.
도 21 (A), (B)에 도시한 바와 같이, 캠 플레이트(18)가 최전단에 위치할 때에는 양 검출 스위치 SW6, SW7가 스위치조작부(75)에 의해 온으로 되어 있다. 이 상태로부터, 광디스크 D를 삽입함으로써 스위치조작부(75)가 후방으로 이동하면,먼저, 제6 검출 스위치 SW6가 오프로 되고, 그 후, 제7 검출 스위치 SW7가 오프로 된다. 이것을 검출함으로써, 광디스크 D가 삽입되고 있는 상태에 있는 것을 검출할 수 있다.
한편, 광디스크 D가 완전히 삽입되어 디스크 장착부에 있을 때에는, 2개의 검출 스위치 SW6, SW7는 모두 오프상태로 되어 있다. 이 상태로부터, 사용자가 배출조작을 선택함으로써 광디스크 D가 디스크 출입구(30)측으로 이동하면, 스위치조작부(75)가 전방으로 이동한다. 이에 따라, 도 21 (C)에 도시한 바와 같이, 먼저, 제7 검출 스위치 SW7가 온이 되고, 그 후, 제6 검출 스위치 SW6가 온으로 된다. 이것을 검출함으로써, 광디스크 D가 배출되고 있는 상태에 있는 것을 검출할 수 있다.
제8 검출 스위치 SW8은, 광디스크 D가 완전히 삽입되어 디스크 장착부에 위치하고 있는 상태를 검출하는 것이다. 도 21 (D)에 도시한 바와 같이, 캠 플레이트(18)가 최후부로 이동함으로써, 제8 검출 스위치 SW8가 스위치조작부(75)에 의해 온으로 된다. 이 상태로부터, 이젝트 버튼을 조작함으로써 로딩기구에 의한 배출동작이 실행되어, 광디스크 D가 디스크 출입구(30)로부터 배출된다.
상술한 메인 섀시(11), 게이트 부재(12) 및 조립체 홀더(16)의 재질로는, 예를 들면, ABS(아크릴로니트릴·부타디엔·스티렌수지)나 AS(아크릴로니트릴·스티렌수지)가 가장 바람직하지만, 그 밖의 엔지니어링 플라스틱를 적용할 수 있는 것은 물론, 알루미늄합금 등의 금속을 사용할 수도 있다. 또, 개폐 셔터(13), 지지레버(15), 캠 플레이트(18), 구동측 가이드레버(83), 고정측 가이드레버(94), 구동롤러(85a, 85b) 및 고정롤러(95a, 95b)의 재질로는, 예를 들면, P0M(폴리아세탈)이 가장 바람직하지만, 그 외 엔지니어링 플라스틱을 적용할 수 있는 것은 물론, 알루미늄합금 등의 금속을 사용할 수도 있다.
또, 처킹 암(14) 및 베이스플레이트(100)의 재질로는, 예를 들면, 스테인리스강 등의 금속이 가장 바람직하지만, 기타 금속 재료를 적용할 수 있는 것은 물론, ABS나 AS 그 외에 엔지니어링 플라스틱를 사용할수도 있다.
상술한 구동측 가이드레버(83)와 랙부(83a)와 고정측 가이드레버(94)와 랙부(94a)와 인장코일 스프링(98)과 구동기어(99)에 의해 광디스크 D의 크기(디스크형 기록매체의 직경)에 따라서 한쌍의 이송부재를 접근 또는 이반시켜 간격을 조정하는 간격조정기구가 구성되어 있다. 또, 간격조정기구의 조정량을 제어하는 디스크선택캠기구가, 롤러용 캠부(79)와 롤러(89)에 의해 구성되어 있다. 또한, 캠 플레이트(18)와 구동레버(13d)와 제2 구동모터(101)와 제2 기어기구(102)와 출력기어(111)에 의해 셔터개폐기구가 구성되어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디스크 기록 재생 장치(10)는, 예를 들면, 도 44에 도시한 바와 같은 하우징(120) 내에 수납되어 사용된다. 하우징(120)은, 메인 섀시(11) 및 이것에 탑재된 장치나 기구 등을 제어하는 제어회로 그 외 장치, 기구 등을 수납할 수 있는 크기를 가지는 입방체의 용기에 의해 구성되어 있다. 즉, 하우징(120)은, 입방체로 된 본체부(120a)와, 이 본체부(120a)의 상부에 일체로 형성된 상층부(120b)와, 이 상층부(120b)의 상면을 덮는 천장부(120c)를 가지고 있다.
본체부(120a)의 정면에는, 예를 들면, 액정 모니터 등을 이용하는 것에 따라 형성되고 또한 제어상태나 조작상태 그 외의 정보를 표시할 수 있는 표시부(121)와, 제어신호나 조작신호 등을 입력하는 입력수단인 조작스위치(122, 123) 등이 배치되어 있다. 상층부(120b)는, 전면 및 좌우측면의 길이를 짧게 함으로써 묶을 수 있는 것 같은 형상으로 되어 있고, 이것에 의해 상층부(120b)의 주위에는 테라스와 같이 내뻗은 부분이 설정되어 있다. 이 상층부(120b)의 정면에, 내장된 디스크 기록 재생 장치(10)의 디스크 출입구(30)가 내측에 대향되는 개구부(124)가 형성되어 있다.
하우징(120)의 개구부(124)의 길이방향의 대략 중앙부에는, 원호형으로 우묵하게 들어간 디스크파지부(125)가 형성되어 있다. 이 디스크파지부(125)의 내측에, 게이트 부재(12)의 오목부가 대향된다. 또, 천장부(120c)에서의 디스크 기록 재생 장치(10)의 디스크 장착부(23)와 대향하는 위치에는, 내부를 보기 위한 개구창(126)이 형성되어 있다. 개구창(126)에는, 처킹 암(14)의 암부(14a)의 상방을 덮는 덮개부(126a)가 설치되어 있다. 이 덮개부(126a)는 암부(14a)와 대략 동일한 형상을 가지고 있고, 이 덮개부(126a)를 제외한 광디스크 D의 대략 전체를 개구창(126)으로부터 볼 수 있도록 하고 있다.
이러한 구성을 가지는 디스크 기록 재생 장치(10)의 동작을, 도 19∼도 21 및 도 22∼도 43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19 내지 도 21까지는, 전술한 바와 같이 광 디스크 D와 8개의 검출 스위치 SW1∼SW8와의 관계를 설명하는 도면이다. 또,도 22로부터 도 31까지는, 직경 8cm의 소경 디스크 D8가 장치에 대하여 출입되는 상태(로딩 및 언로딩)를 나타낸 것으로, 도 42는, 이 소경 디스크 D8의 출입시의 상술한 8개의 검출 스위치 SW1∼SW8 및 2개의 구동모터(84, 101)의 동작을 설명하는 동작타이밍 차트를 도시한 도면이다.
또한, 도 32로부터 도 41까지는, 직경 12cm의 대경 디스크 D12가 장치에 대하여 출입되는 상태를 나타낸 것으로, 도 43은, 이 대경 디스크 D12의 출입 시의 8개의 검출 스위치 SW1∼SW8 및 2개의 구동모터(84, 101)의 동작을 설명하는 동작타이밍 차트를 도시한 도면이다.
먼저, 소경 디스크 D8의 경우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22 및 도 23 (B)에 도시한 바와 같이, 사용자가 소경 디스크 D8의 선단부를 게이트 부재(12)의 디스크 출입구(30)에 삽입(전후 방향 X)하면, 그 선단부가 개폐 셔터(13)의 셔터부(130a)의 하측에 진입한다. 이 때, 캠 플레이트(18)는 초기 설정위치인 가장 앞부분에 위치하고 있기 때문에, 개폐 셔터(13)의 구동레버(113d)는 캠 플레이트(18)의 상면에 올라탄 상태에 있다. 그러므로, 개폐 셔터(13)는, 압축코일스프링(37)의 스프링힘에 저항하여, 한쌍의 회동축부(13f, 13f)를 회동중심으로하여 셔터부(13a)가 약간 상방으로 들어 올려진 상태에 있다.
이 경우, 개폐 셔터(13)의 셔터부(13a)가 디스크출입구(30)의 높이와 대략 동일 높이로 설정되어 있고, 또, 소경 디스크 D8의 상면 외주 에지와 슬라이드 접촉하는 셔터부(13a) 하면에는 하향으로 오목하게 되는 V자형(또는 U자형)을 이루는 제1 가이드부(13h)가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메인 섀시(11)에는 상향으로 오목하게 되는 V자형(또는 U자형)을 이루는 제2 가이드부(29)가 형성되어 있다.
따라서, 디스크 출입구(30)의 후방에는, 중앙부가 광폭으로 양단을 향함에 따라서 협폭으로 된 통형의 개구부가 개구되어 있다. 이로 인해, 셔터부(13a)의 제1 가이드부(13h)가 가이드면으로 되어 소경 디스크 D8를 가이드하므로, 소경 디스크 D8의 선단부를 셔터부(13a)의 하측에 용이하게 끼워 넣을 수 있다.
또, 처킹 암(14)은, 그 구동레버(38)의 하단에 지지된 롤러(39)가 캠 플레이트(18)의 처킹용 캠부(77)의 상측 수평면(77a)에 올라타고 있다. 이로 인해, 처킹 암(14)은, 처킹용 코일 스프링(45)의 인장력에 저항하여 상방으로 들어 올려진 상태에 있다. 따라서, 암부(14a)가 상부위치에 있기 때문에, 그 선단부에 유지되어 있는 처킹부재(40)도 상방으로 소정 높이만 들어 올려져 있다.
또한, 조립체 홀더(16)의 캠돌기(55)가, 캠 플레이트(18)에 설치한 승강캠부(72)의 하측 수평부(72c)에 위치하고 있다. 이로 인해, 도 23 (A)에 도시한 바와 같이, 조립체 홀더(16)는 앞쪽 아래로 내려가는 상태로 되어 있다. 따라서, 조립체 홀더(16)에 탑재되어 있는 픽업·테이블 조립체(17)의 턴테이블(60)은, 메인 섀시(1l)의 개구부(25)로부터 하방으로 내려 간 상태에 있다. 그 결과, 메인 섀시(11)의 평면부(11a)의 대략 중앙부에 설정되어 있는 디스크 장착부(23)는 넓게 개방되어 있고, 소경 디스크 D8를 수납가능한 상태로 되어 있다.
이 상태로부터, 소경 디스크 D8를 삽입하면, 셔터부(13a)의 가이드곡면에 가이드되어 진입하는 디스크선단부가, 구동측 롤러조립체(20)의 한쌍의 구동롤러(85a, 85b) 중 앞쪽에 위치하는 구동롤러(85a)의 앞쪽에 배치되어 있는 구동측 가이드 롤러(92c)와 고정측 롤러조립체(21)의 한쌍의 고정롤러(95a, 95b) 중 앞쪽에 위치하는 고정롤러(95a)의 앞쪽에 배치되어 있는 고정측 가이드 롤러(97c)와 접촉하고, 이들 가이드 롤러(92c, 97c)를 각각 외측으로 눌러 넓힌다. 즉, 도 19에 있어서, 구동측 가이드롤러(92c)가 시계 방향으로 회동되고, 고정측 가이드 롤러(97c)가 반시계 방향으로 회동된다.
그 결과, 구동측 가이드 롤러(92c)를 지지하는 검출부재(92)가 시계 방향으로 회동되고, 그 조작핀(92b)이 동일 방향으로 회동하여 제1 검출 스위치 SW1를 가압한다. 이에 따라, 제1 의 검출 스위치 SW1가 오프로부터 온으로 전환되고, 그 검출 신호가 출력된다. 이 시점이 도 42에 나타낸 t1점이며, 이 검출 신호에 따라 구동측 롤러조립체(20)의 제1 구동모터(84)에 구동전류가 출력된다.
이에 따라, 제1 구동모터(84)가 미리 결정된 소정방향(소경 디스크 D8를 디스크 장착부에 이송하는 방향)으로 회전 구동된다. 그 결과, 제1 구동모터(84)의 회전력이, 그 회전축에 고정된 웜(84a)으로부터 제1 기어기구(86)(웜 휠(86a), 소경 기어(86b), 중간기어(86c, 8Gd)를 통하여 한쌍의 구동롤러(85a,85b)의 각 기어부(85)에 전달된다. 이에 따라, 구동측 가이드레버(83)에 회전가능하게 지지되어 있는 한쌍의 구동롤러(85a, 85b)가, 도 22에 있어서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구동된다. 이 때, 각 구동롤러(85a, 85b)의 외축부(85e)에는 고무형 탄성체로 이루어지는 구동측 완충체(90c)가 끼워맞추어져 있기 때문에, 이 구동측 완충체(90c)가 구동롤러(85a, 85b)와 일체로 회전구동된다.
또한, 소경 디스크 D8가 삽입되면, 그 디스크선단부가, 앞쪽 구동롤러(85a)에 가이드되어 홈부의 바닥에 설치된 구동측 완충체(90c)와, 고정측 롤러조립체(21)의 고정측 가이드레버(94)에 고정되어 있는 한쌍의 고정롤러(95a, 95b) 중 앞쪽에 위치하는 고정롤러(95a)에 가이드되어 묶인 바닥에 설치된 고정측 완충체(115c)와 접촉한다. 이에 따라, 소경 디스크 D8는, 구동롤러(85a)와 고정롤러(95a)와 사용자와의 3점에 의해 지지된다. 그리고, 앞쪽 구동롤러(85a)의 회전력이, 그 완충체(90, 115c)와 소경 디스크 D8와의 사이에 생기는 마찰력에 의해 소경 디스크 D8의 외주 에지의 일단에 전달된다. 한편, 소경 디스크 D8의 외주 에지의 타단은, 고정롤러(95a)와의 사이에 생기는 마찰력에 의해 그 위치에 정지된다.
그 결과, 소경 디스크 D8에는, 메인 섀시(11)의 내측에 설정되어 있는 디스크 장착부(23)를 향하는 방향으로 회전하려고 하는 회전력이 발생하고, 이것에 의해 소경 디스크 D8가 디스크 장착부(23)를 향하는 디스크 삽입방향으로 전동된다. 이 디스크 삽입방향에의 소경 디스크 D8의 전동에 의해, 인장코일 스프링(98)의 스프링힘에 저항하여 앞쪽 구동롤러(85a)와 앞쪽 고정롤러(95a)가 좌우방향 Y에서 서로 떨어지는 방향으로 이동한다.
이 앞쪽 구동롤러(85a)의 이동에 의해, 구동측 가이드레버(83)의 조작체(87)에 의해 가압되어 그때 까지 온으로 되어 있었던 제2 검출 스위치 SW2가 오프로 전환되고, 그 검출 신호가 출력된다. 이 시점이 도 42에 나타낸 t2점이다. 그리고, 앞쪽 구동롤러(85a) 및 앞쪽 고정롤러(95a) 사이에 소경 디스크 D8의 최대 직경부가 도달하면, 디스크 외주 에지가 구동측 가이드 롤러(92c)에 의해 이반되어, 조작핀(92b)을 가압하는 힘이 해제된다. 그 결과, 복귀 코일 스프링의 스프링힘에 의해 검출부재(92)가 초기위치로 복귀되고, 제1 검출 스위치 SW1가 온으로부터 오프로 다시 전환된다. 이 시점이 도 42에 나타낸 t3점이다.
이때, 개폐 셔터(13)의 셔터부(13a)의 하면에는 제1 가이드부(13h)가 설치되어 있기 때문에, 소경 디스크 D8의 이동에 의해 개폐 셔터(13)를 용이하게 들어 올릴 수 있다. 이 때, 제1 가이드부(13h)에는 소경 디스크 D8의 상면 외주 에지가 슬라이드 접촉하고, 또 제2 가이드부(29)에는 소경 디스크 D8의 하면 외주 에지가 슬라이드 접촉하고, 그 내측에 설정된 신호기록면이 평면부(11a) 등에 접촉되는 일이 없다. 이로 인해, 디스크장착시에 있어서, 신호기록면이 마찰되어 손상되거나, 이물이 부착될 우려도 없다. 이러한 효과는, 소경 디스크 D8를 배출하는 경우도 동일하게 얻을 수 있고, 또 후술하는 대경 디스크 D의 경우도 동일하다.
또, 소경 디스크 D8는, 구동롤러(85a) 및 고정롤러(95a)와, 디스크 출입구(30)에 장착되어 있는 와이퍼부재(31)에 의해 지지되고, 구동롤러(85a)의 회전력에 의해 대략 수평상태를 유지하여 디스크 삽입방향으로 전동된다. 그리고, 소경 디스크 D8의 최대 직경부가 앞쪽 구동롤러(85a) 및 앞쪽 고정롤러(95a) 사이를 통과하면, 인장코일 스프링(98)의 스프링힘에 의해 구동측 롤러조립체(20)와 고정측 롤러조립체(21)가 서로 가까이 가는 방향으로 잡아 당겨진다.
계속해서, 소경 디스크 D8의 선단부가, 후측 구동롤러(85b)에 가이드되어 홈부의 바닥에 설치된 구동측 완충체(90c)와, 후측 고정롤러(95a)에 가이드되어 홈부의 바닥에 설치된 고정측 완충체와 접촉한다. 이에 따라, 소경 디스크 D8는, 전후 2개의 구동롤러(85a, 85b)와 전후 2개의 고정롤러(95a, 95b)와의 합계 4점에 의해 지지된다. 그리고, 소경 디스크 D8의 후단부가 앞쪽의 구동롤러(85a) 및 고정롤러(95a)로부터 이반되면, 후측의 구동롤러(85b)와 고정롤러(95b)에 의해 지지되면서, 그 구동롤러(85b)의 회전력에 의해 전동되어 디스크 장착부(23)까지 이송된다.
이 때, 소경 디스크 D8의 선단부가 디스크 장착부(23)의 중앙부를 통과하면, 그 근방에 대기하고 있는 지지레버(15)의 디스크지지부(47)에 디스크선단부가 걸어맞추어진다. 이에 따라, 소경 디스크 D8는, 후측의 구동롤러(85b) 및 고정롤러(95b)와 디스크지지부(47)와의 3점에 의해 지지된다. 이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 도 24 및 도 25 (A), (B)이며, 이 때 캠 플레이트(18)는 당초의 전단부에 위치하고 있다. 따라서, 개폐 셔터(13) 및 처킹 암(14)은 동일하게 상향의 상태에있고, 조립체 홀더(16)는 앞으로 내려가는 상태에 있어, 이들에 자세의 변화는 생기지 않는다.
다음에, 후측 구동롤러(85b)로부터 부여되는 전동력에 의해 소경 디스크 D8가 디스크 삽입방향으로 다시 이동하고, 지지레버(15)를 디스크 장착부(23)의 내측으로 가압하고 있는 스프링재의 스프링힘에 저항하여 지지레버(115)를 디스크 장착부(23)로부터 밀어내는 방향(도 24에 있어서 반시계방향)으로 이동시킨다. 이에 따라, 지지레버(15)의 조작편(15d)이 제5 검출 스위치 SW5에 맞닿아, 이 제5 검출 스위치 SW5가 오프로부터 온으로 전환되고, 그 검출 신호가 출력된다. 이 시점이 도 42에 나타낸 t4점이다.
이 상태로부터, 소경 디스크 D8가 디스크 장착부(23)의 중앙까지 이동하고, 후측의 구동롤러(85b) 및 고정롤러(95b)로부터 소경 디스크 D8가 멀어진다. 이에 따라, 인장코일 스프링(98)의 스프링힘에 의해 구동측 롤러조립체(20)와 고정측 롤러조립체(21)가 가장 가까운 초기위치로 복귀된다.
그 결과, 조작체(87)의 제1 조작부(87a)가 제2 검출 스위치 SW2에 맞닿아, 이 제2 검출 스위치 SW2가 오프로부터 온으로 전환되고, 그 검출 신호가 출력된다. 이 시점이 도 42에 나타낸 t5점이다. 이 검출 신호에 따라 제1 구동모터(84)에의 구동전류의 공급이 정지되고, 이것에 의해 한쌍의 구동롤러(85a, 85b)의 회전이 정지된다.
이 때, 도 24에 도시한 바와 같이, 지지레버(115)에 설치한 캠핀(48)은, 레버용 캠부(78)의 제2 캠부(78b)에 면하는 위치에 대향되어 있다. 또, 구동측 롤러조립체(20)의 축핀(89a)에 회전가능하게 지지된 롤러(89)는, 롤러용 캠부(79)의 소경용 캠부(79b)에 면하는 위치에 대향되어 있다.
제1 구동모터(84)의 구동이 정지된 후, 도 42에 도시한 바와 같이, 미리 설정된 제1 지연시간 DT1이 경과한 곳에서, 척 구동 조립체(22)의 제2 구동모터(101)에 구동전류가 출력된다. 이에 따라, 제2 구동모터(101)가 미리 결정된 소정방향(캠 플레이트(18)를 후방으로 이동하는 방향)으로 회전구동된다. 그 결과, 제2 의 구동모터(101)의 회전력이, 그 회전축에 고정된 웜(108)으로부터 제1 기어기구(102)(웜 휠(109), 중간기어(110) 및 출력기어(111))를 통하여 캠 플레이트(18)의 랙부(73)에 전달된다. 이것에 의해 캠 플레이트(18)가, 24에 나타낸 위치로부터 도 26에 나타낸 위치까지 후퇴이동(전후 방향 X)한다.
이 캠 플레이트(18)의 후퇴이동에 의해, 스위치조작편(75)에 의해, 먼저, 제6 검출 스위치 SW6가 온으로부터 오프로 전환된다. 이 시점이 도 42에 나타낸 t6점이다. 계속해서, 스위치조작편(75)에 따라 제7 검출 스위치 SW7가 오프로부터 온으로 전환된다. 이 시점이 도 42에 나타낸 t7점이다. 이 2개의 검출 스위치 SW6, SW7가 온·오프되는 순번을 보는 것에 의해, 소경 디스크 D8가 디스크 장착부측으로 이송되고 있는 것을 알 수 있다.
이것과 동시에, 캠 플레이트(18)의 후퇴이동에 의해 지지레버(15)의 캠핀(48)이, 레버용 캠부(78)의 제2 캠부(78b) 내에 진입한다. 이것에 대하여, 구동측 롤러조립체(20)의 롤러(89)는, 그 위치에서 롤러용 캠부(79)의 소경용 캠부(79b) 내에 진입한다.
다음에, 캠 플레이트(18)가 최후부까지 이동하면, 스위치조작편(75)이 제8 검출 스위치 SW8에 맞닿고, 이 제8 검출스위치 SW8를 오프로부터 온으로 전환한다. 이 시점이 도 42에 나타낸 t8점이다. 그리고, 캠 플레이트(18)가 최후부에 도달한 후, 미리 설정된 제2 지연시간 DT2이 경과한 곳에서, 제2 구동모터(101)에의 구동전류의 공급을 정지하는 동시에 제2 검출 스위치 SW2를 온으로부터 오프로 전환한다. 이 시점이 도 42에 나타낸 t9점이다. 이에 따라, 제2 구동모터(101)가 정지되어 캠 플레이트(18)가 최후부에 정지한 상태로 유지된다.
이때, 도 27 (A) 및 (B)에 도시한 바와 같이, 캠 플레이트(18)의 후퇴동작에 따라, 캠돌기(55)가 승강캠부(72)의 하측 수평부(72c)로부터 경사부(72b)를 지나서 상측 수평부(72a)에 슬라이드된다. 그 결과, 조립체 홀더(16)가, 후단부에 설치한 한쌍의 축부(16a, 16a)를 회동중심으로 하여 선단부의 캠돌기(5) 측을 밀어 올리도록 앙동하고, 그 자세가 대략 수평상태로 변화된다. 이에 따라, 조립체 홀더(16)에 지지되어 있는 픽업·테이블 조립체(17)의 상부가 메인 섀시(11)의 개구부(25) 내에 하방으로부터 진입한다.
그 결과, 픽업·테이블 조립체(17)의 스핀들 모터(58)의 회전축의 선단부에 고정된 턴테이블(60)이 소경 디스크 D8에 대향되고, 그 상방에의 회동에 의해 결합부(60b)가 소경 디스크 D8의 센터공 d에 끼워맞추어진다. 이 턴테이블(60)의 움직임에 연동하도록, 처킹 암(14) 및 개폐 셔터(13)가 머리를 내리도록 부동된다.
즉, 처킹 암(14)이 코일 스프링(45)에 의해 디스크 장착부(23)에 가까운 방향으로 항상 가압되어 있기 때문에, 그 구동레버(38)의 하단에 회전가능하게 지지되어 있는 롤러(39)가, 캠 플레이트(18)의 후퇴동작에 따라 처킹용 캠부(77)의 상측 수평부(77a)로부터 경사부(77b)를 지나서 하측 수평부(77c)에 슬라이드한다. 이때, 캠부(77)에 의해 롤러(39)의 높이 위치가 서서히 낮아지기 때문에, 암부(14a)가 밀어 내려지고, 그 선단부에 유지되어 있는 처킹부재(40)가 턴테이블(60)에 근접된다.
이에 따라, 소경 디스크 D8를 협지하여 상하로 처킹부재(40)와 턴테이블(60)이 대향된다. 그 결과, 턴테이블(60)에 내장되어 있는 마그넷(59)에 의해 처킹부재(40)가 흡착되어, 소경 디스크 D8가 처킹부재(40)와 턴테이블(60)에 의해 상하로부터 협지된다. 이에 따라, 소경 디스크 D8의 처킹이 완료되어, 턴테이블(60)의 회전에 의해 소경 디스크 D8가 일체로 회전구동된다.
이때, 캠핀(48)이 제2 캠부(78b)의 내에 설정된 퇴피부(78b0)에 올라타는 것에 의해, 지지레버(15)가 반시계 방향으로 약간 회동된다. 이로 인해, 디스크지지부(47)가 다시 외측으로 약간 이동하고, 이에 따라, 디스크지지부(47)가 소경 디스크 D8로부터 이반하여 걸어맞춤이 해제된다. 마찬가지로, 롤러(89)가 소경용 캠부(79b)의 내에 설정된 퇴피부(79b0)에 올라타기 때문에, 내측의 구동롤러(85b)및 고정롤러(95b)가 다시 외측으로 약간 이동한다.
이에 따라, 양 롤러(85b, 95b)가 소경 디스크 D8로부터 이반하여 걸어맞춤이 해제된다. 그 결과, 소경 디스크 D8가 처킹부재(40)와 턴테이블(60)만으로 지지되기 때문에, 디스크 외주 에지가 구동롤러(85b)나 고정롤러(95b) 또는 디스크지지부(47)에 슬라이드 접촉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개폐 셔터(13)가 압축코일스프링(37)에 의해 항상 앞쪽으로 가압되어 있기 때문에, 캠 플레이트(18)가 후퇴동작함으로써 구동레버(113d)가 상대적으로 앞쪽으로 이동하여, 캠 플레이트(18)의 전단부에 설치한 캠부(74)를 지나서 앞쪽으로 분리된다. 그러므로, 개폐 셔터(13)가, 도 25에 나타낸 약간 상향의 상태로부터 도 27 (B)에 나타낸 약간 하향으로 되는 상태로 변화된다.
이에 따라, 셔터부(13a)의 하면이 메인 섀시(11)의 디스크 가이드부(29)에 가압되도록 접촉하고, 디스크 출입구(30)의 내측은 셔터부(13a)에 의해 간극이 없이 닫힌다. 그 결과, 예를 들면, 사용자가 잘못하여 2번째의 광디스크 D를 디스크 출입구(30)로부터 삽입하려고 하는 경우에도, 그 삽입동작을 확실하게 방지하여, 2번째의 오삽입을 확실하게 방지할 수 있다.
이러한 동작을 거쳐 로딩이 완료됨으로써, 그 후의 소경 디스크 D8에 대한 정보신호의 기록이나 재생이 가능해져, 그 기록이나 재생조작을 실행할 수 있다. 또한, 제3 검출 스위치 SW3 및 제4 검출 스위치 SW4는, 대경 디스크 D12의 제어에만 사용되는 것이기 때문에, 이 로딩시는 물론, 다음에 설명하는 언로딩 시에도 동작하지 않는다.
다음에, 정보신호의 기록이나 재생조작의 후, 소경 디스크 D8를 디스크 출입구(30)로부터 배출하는 디스크 배출동작(언로딩)에 대하여 설명한다. 사용자가, 예를 들면, 이젝트 버튼의 조작에 의해 디스크 배출동작을 선택하면, 제2 구동모터(101)에 구동전류가 공급되고, 이것이 회전구동된다. 이 시점이 도 42에 나타낸 t10점이며, 이 제2 구동모터(101)의 구동과 동시에, 제2 검출 스위치 SW2가 오프로부터 온으로 전환된다.
이 경우, 제2 구동모터(101)은, 디스크 삽입방향과는 역방향으로 회전구동되어, 캠 플레이트(18)가 디스크배출방향으로 이동한다. 이 캠 플레이트(18)을 앞쪽으로 이동시키는 제2 구동모터(101)와, 한쌍의 구동롤러(85a, 85b)를 회전구동하는 제1 구동모터(84)를 역방향으로 회전시키는 제어를 행함으로써, 소경 디스크 D8의 언로딩을 실행할 수 있다.
즉, 캠 플레이트(18)가 앞쪽으로 이동하면, 캠핀(48)이 제2 캠부(78b)로부터 빠져나가기 위해 지지레버(115)가 코일 스프링(52)의 스프링힘에 의해, 도 2에 있어서 시계 방향으로 회전하고, 디스크지지부(47)가 소경 디스크 D8의 외주 에지에 걸어맞추어진다. 그리고, 코일 스프링(52)의 스프링힘에 의한 디스크지지부(47)의 가압력이 소경 디스크 D8의 삽입측 단부에 부여되는 것에 의해, 소경 디스크 D8가 디스크 출입구(30)측으로 가압된다.
이 경우, 캠 플레이트(18)의 전진동작에 의해, 먼저, 스위치조작편(75)이제8 검출 스위치 SW8로부터 이반하기 때문에, 제8 검출 스위치 SW8가 온으로부터 오프로 전환된다. 이 시점이 도 42에 나타낸 t11 점이다. 이 제8 검출 스위치 SW8의 전환동작에 계속해서, 제7 검출 스위치 SW7가 온으로부터 오프로 전환된다. 이 시점이 도 42에 나타낸 t12점이다.
이 제7 검출 스위치 SW7가 오프로 전환된 후, 미리 설정된 제3 지연시간 DT3가 경과한 곳에서, 제2 구동모터(10l)로의 구동 전류의 공급이 정지된다. 이에 따라, 제2 구동모터(101)가 정지하여, 캠 플레이트(18)의 전방으로의 이동이 정지된다. 제2 구동모터(101)에의 구동전류의 공급이 정지된 후, 미리 설정된 제4 지연시간 DT4이 경과한 곳에서, 제1 구동모터(84)에 구동전류가 공급된다. 이 경우, 제1 구동모터(84)는, 디스크 삽입방향과는 역방향으로 회전구동되고, 한쌍의 구동롤러(85, 85b)가 상술한 회전방향과 역방향인 시계 방향으로 회전구동된다.
이때, 지지레버(15)에 의해 앞쪽에 가압되는 소경 디스크 D8의 배출측 외주 에지가 후측 구동롤러(85b) 및 후측 고정롤러(95b)에 맞닿는다. 그 결과, 구동롤러(85b)의 역회전에 의해 소경 디스크 D8에는, 로딩시와는 역방향의 회전력이 부여되고, 이것에 의해 소경 디스크 D8가 디스크 출입구(30)측으로 전동된다. 이 소경 디스크 D8를 전동시키는 기능이, 한쌍의 후측 구동롤러(85b) 및 후측 고정롤러(95b)와 한쌍의 앞쪽 구동롤러(85a) 및 앞쪽 고정롤러(95a)와의 협동작용을 거쳐, 한쌍의 앞쪽 구동롤러(85a) 및 앞쪽 고정롤러(95a)에 전달되어, 소경 디스크 D8가 디스크 출입구(30)까지 이송된다.
이 경우, 소경 디스크 D8의 최대직경부가 한쌍의 후측 구동롤러(85b) 및 후측 고정롤러(95b) 사이를 통과함으로써, 구동측 롤러조립체(20)의 동작을 통하여 조작체(87)가 제2 검출 스위치 SW2로부터 이반되어, 제2 검출 스위치 SW2가 온으로부터 오프로 전환된다. 이 시점이 도 42에 나타낸 t13점이다. 계속해서, 지지레버(15)가 가장 내측까지 이동함으로써, 조작편(15d)가 제5 검출 스위치 SW5로부터 이반되고, 제5 검출 스위치 SW5가 온으로부터 오프로 전환된다. 이 시점이 도 42에 나타낸 t14점이다.
그 후, 디스크 출입구(30)에 소경 디스크 D8가 도달하면, 소경 디스크 D8의 외주 에지가, 디스크 출입구(30)의 좌우에 배치된 구동측 가이드 롤러(92c) 및 고정측 가이드 롤러(97c)를 모두 외측으로 눌러 넓힌다. 이에 따라, 검출부재(92)의 조작핀(92b)가 제1 검출 스위치 SW1에 맞닿는다. 이에 따라, 제1 검출 스위치 SW1가 오프로부터 온으로 전환된다. 이 시점이 도 42에 나타낸 t15점이다.
이 제1 검출 스위치 SW1가 온으로 전환된 곳으로부터, 제1 구동모터(84)의 회전을 제어하여 감속을 개시한다. 그리고, 미리 설정된 소정 시간 DS의 경과후, 제1 구동모터(84)에의 구동전류의 공급을 차단하여 회전을 정지시킨다. 이것과 동시에, 제2 검출 스위치 SW2를 오프로부터 온으로 전환한다. 이 시점이 도 42에 나타낸 t16점이다. 이에 따라, 도 30에 도시한 바와 같이, 소경 디스크 D8가 디스크 출입구(30)로부터 충분히 돌출되고, 사용자가 그 소경 디스크 D8를 손으로 잡아서인출할 수 있다. 이 시점이 도 42에 나타낸 t17점이다.
이 때, 도 29 (A), (B) 및 도 31 (A), (B)에 도시한 바와 같이, 개폐 셔터(13), 처킹 암(14), 조립체 홀더(16) 및 캠 플레이트(18)는 모두 원래의 위치로 복귀하고 있어, 도 23 (A),(B)과 동일의 자세상태로 되어 있다.
그 후, 소정 시간이 경과한 곳에서, 다시 광디스크 D가 삽입되어도 되도록, 다음의 대기상태로 이행한다. 즉, 제1 검출 스위치 SW1를 온으로부터 오프로 전환하여, 제2 검출 스위치 SW2의 온상태를 유지하는 동시에, 제6 검출 스위치 SW6를 오프로부터 온으로 전환한다. 이에 따라, 다음의 광디스크 D를 삽입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다음에, 직경 12cm의 대경 디스크 D12의 경우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32 및 도 33 (A), (B)에 도시한 바와 같이, 사용자가 대경 디스크 D12의 선단부를 게이트 부재(12)의 디스크 출입구(30)에 삽입하면(전후 방향 X), 그 선단부가 개폐 셔터(13)의 셔터부(13a)의 하측에 진입한다. 이 때, 캠 플레이트(18)가 초기 설정위치인 최전부에 위치하고 있어, 개폐 셔터(13)의 셔터부(13a)가 약간 상방으로 들어 올려진 상태에 있기 때문에, 셔터부(13a)의 하면이 원호형의 가이드면으로 되므로, 대경 디스크 D12의 선단부를 셔터부(13a)의 하측에 용이하게 끼워 넣을 수 있다.
또, 처킹 암(14)은, 롤러(39)가 캠 플레이트(18)의 처킹용 캠부(77)의 상측 수평면(77a)에 올라타기 위해 상방으로 들어 올려진 상태에 있고, 그 선단부로 유지된 처킹부재(40)도 상방으로 소정의 높이만 들어 올리고 있다. 또한, 조립체 홀더(16)의 캠돌기(55)가 캠 플레이트(18)의 승강캠부(72)의 하측 수평부(72)에 위치하고 있기 때문에, 조립체 홀더(16)가 앞으로 내려가는 상태로 되고, 이 조립체 홀더(16)에 탑재되어 있는 픽업·테이블 조립체(17)의 턴테이블(60)은, 메인 섀시(11)의 개구부(25)로부터 하방으로 내려 간 상태에 있다.
이 상태로부터, 대경 디스크 D12를 디스크 출입구(30)에 삽입하면, 셔터부(13a)의 가이드곡면에 가이드되어 진입하는 디스크선단부가, 앞쪽 구동롤러(85a)의 앞쪽에 배치되어 있는 구동측 가이드 롤러(92c)와 앞쪽 고정롤러(95a)의 앞쪽에 배치되어 있는 고정측 가이드 롤러(97c)와 접촉하고, 이들 가이드 롤러(92c, 97c)를 각각 외측으로 눌러 넓힌다. 즉, 도 19에 있어서, 구동측 가이드 롤러(92c)가 시계 방향으로 회동되어, 고정측 가이드 롤러(97c)가 반시계 방향으로 회동된다.
그 결과, 구동측 가이드롤러(92c)를 지지하는 검출부재(92)가 시계 방향으로 회동되고, 그 조작핀(92b)이 동일 방향으로 회동하여 제1 검출 스위치 SW1를 가압한다. 이에 따라, 제1 검출 스위치 SW1가 오프로부터 온으로 전환되고, 그 검출 신호가 출력된다. 이 시점이 도 43에 나타낸 t1점이며, 이 검출 신호에 따라 구동측 롤러조립체(20)의 제1 구동모터(84)에 구동전류가 출력된다. 이에 따라, 제1 구동모터(84)가 대경 디스크 D12를 디스크 장착부에 이송하는 방향으로 회전구동된다.
그 결과, 제1 의 구동모터(84)의 회전력이, 그 회전축에 고정된 웜(84a)으로부터 제1 기어기구(86)를 통하여 한쌍의 구동롤러(85a, 85b)의 각 기어부(85c)에 전달된다. 이것에 의해, 한쌍의 구동롤러(85a, 85b)가, 도 32에 있어서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되고, 이것과 일체로 각 구동롤러(85a, 85b)의 외축부(85e)에 끼워맞추어져 있는 고무형 탄성체로 이루어지는 구동측 완충체(90c)가 회전구동된다.
또한, 대경 디스크 D12가 가압되면, 그 디스크선단부가, 앞쪽의 구동측 완충체(90c)와, 동일하게 앞쪽의 고정측 완충체(115c)와 접촉한다. 이에 따라, 대경 디스크 D12는, 앞쪽 구동롤러(85a)와 고정롤러(95a)와 사용자와의 3점에 의해 지지된다. 그리고, 앞쪽 구동롤러(85a)의 회전력이 구동측 완충체(90c)와 대경 디스크 D12와의 사이에 생기는 마찰력에 의해 대경 디스크 D12의 외주 에지의 일부에 전달된다. 한편, 대경 디스크 D12의 외주 에지의 타단은, 고정측 완충체(115c)와의 사이에 생기는 마찰력에 의해 그 위치에 정지된다.
그 결과, 대경 디스크 D12에는, 디스크 장착부(23)를 향하는 회전력이 발생하고, 이것에 의해 대경 디스크 D12가 디스크 삽입방향으로 전동된다. 이 대경 디스크 D12의 전동에 의해, 인장코일 스프링(98)의 스프링힘에 저항하기 앞쪽 구동롤러(85a)와 앞쪽 고정롤러(95a)가 좌우방향 Y에 있어서 서로 떨어지는 방향으로 이동한다. 이 앞쪽 구동롤러(85a)의 이동에 의해, 그때까지 조작체(87)에 의해 가압되어 온으로 되어 있던 제2 검출 스위치 SW2가 오프로 전환되고, 그 검출 신호가 출력된다. 이 시점이 도 43에 나타낸 t2점이다.
그리고, 앞쪽 구동롤러(85a) 및 앞쪽 고정롤러(95a) 사이의 간격이 넓게 되면, 조작체(87)에 의해 제3 검출 스위치 SW3가 오프로부터 온으로 전환되고, 그 검출 신호가 출력된다. 이 시점이 도 43에 나타낸 t3점이다. 또한, 앞쪽 구동롤러(85a) 및 앞쪽 고정롤러(95a) 사이의 간격이 넓게 되면, 디스크 외주 에지가 구동측 가이드 롤러(92c)로부터 이반되어, 조작핀(92b)을 가압하는 힘이 해제된다. 그 결과, 검출부재(92)이 스프링힘에 의해 초기위치로 복귀되어, 제1 검출 스위치 SW1가 온으로부터 오프로 다시 전환된다. 이 시점이 도 43에 나타낸 t4점이다.
또한, 앞쪽 구동롤러(85a) 및 앞쪽 고정롤러(95a) 사이의 간격이 넓게 되면, 조작편(87)에 의해 제4 검출 스위치 SW4가 오프로부터 온으로 전환되고, 그 검출 신호가 출력된다. 이 시점이 도 43에 나타낸 t5점이다. 그리고, 대경 디스크 D 구의 최대 직경부가 앞쪽 구동롤러(85a) 및 앞쪽 고정롤러(95a) 사이를 통과하면, 인장코일 스프링(98)의 스프링힘에 의해 구동측 롤러조립체(20) 및 고정측 롤러조립체(21)가 항상 내측으로 가압되어 있기 때문에, 양 롤러(85a, 95a) 사이의 간격이 좁아진다. 이에 따라, 조작편(37)이 제4 검출 스위치 SW4로부터 일단 떨어져, 제4 검출 스위치 SW4가 온으로부터 오프로 전환된다. 이 시점이 도 43에 나타낸 t6점이다.
계속해서, 대경 디스크 D12의 중심부가 앞쪽 구동롤러(85a) 측으로부터 후측구동롤러(85b) 측으로 이동하면, 다시 대경 디스크 D12의 직경이 증가하므로, 제4 검출 스위치 SW4가 다시 오프로부터 온으로 전환되고, 그 검출 신호가 출력된다. 이 시점이 도 43에 나타낸 t7점이다. 이때, 대경 디스크 D12는, 구동측 완충체(90c) 및 고정측 완충체(115c)와, 디스크 출입구(30)에 장착되어 있는 와이퍼 부재(31)에 의해 지지되어, 구동측 완충체(90c)의 회전력에 의해 대략 수평상태를 유지하여 디스크 삽입방향으로 전동된다.
계속해서, 대경 디스크 D12의 선단부가, 후측 구동롤러(85b)에 가이드되어 홈부의 바닥에 설치된 구동측 완충체(90c)와, 후측 고정롤러(95a)에 가이드되어 홈부의 바닥에 설치된 고정측 완충체(115c)와 접촉한다. 이에 따라, 대경 디스크 D12는 구동측의 전후 1개의 완충체(90c, 90c)와 고정측 전후 2개의 완충체(115c, 115c)와의 합계 4점에 의해 지지된다. 그리고, 대경 디스크 D12의 후단부가 앞쪽의 구동롤러(85a) 및 고정롤러(95a)로부터 이반되면, 후측의 구동롤러(85b)와 고정롤러(95b)에 의해 지지되면서, 그 구동롤러(85b)의 회전력에 의해 전동되어 디스크 장착부(23)까지 이송된다.
이 경우, 대경 디스크 D12의 선단부가 디스크 장착부(23)의 중앙부를 통과하면, 그 근방에 대기하고 있는 지지레버(15)의 디스크지지부(47)에 디스크선단부가 맞닿는다. 이에 따라, 대경 디스크 D12는, 후측의 구동롤러(85b) 및 고정롤러(95b)와 디스크지지부(47)와의 3점에 의해 지지된다. 이 상태에서 다시 대경 디스크 D12가 디스크 삽입방향으로 이송되고, 디스크 장착부(23)에 도달하면, 도 34 및 도 35 (A), (B)에 나타낸 상태가 된다. 이 때, 캠 플레이트(18)는 당초의 전단부에 위치하고 있다. 따라서, 개폐 셔터(13) 및 처킹 암(14)은 동일하게 상향의 상태에 있고, 조립체 홀더(16)는 앞으로 내려가는 상태에 있어, 이들에 자세의 변화는 생기지 않는다.
이때, 코일 스프링(52)의 스프링힘에 저항하여 지지레버(15)를 디스크 장착부(23)로부터 밀어내는 방향(도 34에 있어서 반시계방향)으로 이동함으로써, 지지레버(15)의 조작편(15d)이 제5 검출 스위치 SW5에 맞닿는다. 이에 따라, 제5 검출 스위치 SW5가 오프로부터 온으로 전환되고, 그 검출 신호가 출력된다. 이 시점이 도 43에 나타낸 t8점이다.
그리고, 대경 디스크 D12가 디스크 장착부(23)의 중앙까지 이동하고, 후측의 구동롤러(85b) 및 고정롤러(95b) 사이가 소정 간격보다도 가까이 가는 것에 의해, 조작체(87)의 제2 조작부(87c)가 제4 검출 스위치 SW4에 맞닿는다. 이에 따라, 제4 검출 스위치 SW4가 온으로부터 오프로 전환되고, 그 검출 신호가 출력된다. 이 시점이 도 43에 나타낸 t9점이다. 이 검출 신호에 따라 제1 의 구동모터(84)에의 구동전류의 공급이 정지되고, 이것에 의해 한쌍의 구동롤러(85a, 85b)의 회전이 정지된다.
이 때, 도 34에 도시한 바와 같이, 지지레버(15)에 설치된 캠핀(48)은, 레버용 캠부(78)의 제1 캠부(78a)에 면하는 위치에 대향되어 있다. 또, 구동측 롤러조립체(20)의 축핀(89a)에 회전가능하게 지지된 롤러(89)는, 롤러용 캠부(79)의 대직경용 캠부(79a)에 면하는 위치에 대향되어 있다.
제1 구동모터(84)의 구동이 정지된 후, 도 43에 도시한 바와 같이, 미리 설정된 제1 지연시간 DT1이 경과한 곳에서, 척 구동 조립체(22)의 제2 구동모터(101)에 구동전류가 출력된다. 이에 따라, 제2 구동모터(101)가 미리 결정된 소정방향(캠 플레이트(18)를 후방으로 이동하는 방향)으로 회전구동된다.
그 결과, 제2 의 구동모터(101)의 회전력이, 그 회전축에 고정된 웜(108)으로부터 제1 기어기구(102)(웜 휠(109), 중간기어(110) 및 출력기어(111))를 통하여 캠 플레이트(18)의 랙부(73)에 전달된다. 이것에 의해 캠 플레이트(18)가, 도 34에 나타낸 위치로부터 도 36에 나타낸 위치까지 후퇴이동(전후 방향 X)한다.
이 캠 플레이트(18)의 후퇴이동에 의해, 스위치조작편(75)에 의해 먼저, 제6 검출 스위치 SW6가 온으로부터 오프로 전환된다. 이 시점이 도 43에 나타낸 t10점이다. 계속해서, 스위치조작편(75)에 따라 제7 검출 스위치 SW7가 오프로부터 온으로 전환된다. 이 시점이 도 43에 나타낸 t11점이다. 이 2개의 검출 스위치 SW6, SW7가 온·오프되는 순번을 보는 것에 의해, 대경 디스크 D12가 디스크 장착부 측으로 이송되고 있는 것을 알 수 있다.
이와 동시에, 캠 플레이트(18)의 후퇴이동에 의해 지지레버(15)의 캠핀(48)이, 레버용 캠부(78)의 제1 캠부(78a) 내에 진입한다. 이것에 대하여, 구동측 롤러조립체(20)의 롤러(89)는, 그 위치에서 롤러용 캠부(79)의 대경용 캠부(79a) 내에 진입한다. 그리고, 제4 검출 스위치 SW4가 오프로부터 온으로 전환된다. 이 시점이 도 43에 나타낸 t12점이다.
다음에, 캠 플레이트(18)가 최후부까지 이동하면, 스위치조작편(75)이 제8 검출 스위치 SW8에 맞닿아, 이 제8 검출 스위치 SW8를 오프로부터 온으로 전환한다. 이 시점이 도 43에 나타낸 t13점이다. 그리고, 캠 플레이트(18)가 최후부에 도달한 후, 미리 설정된 제2 지연시간 DT2이 경과한 곳에서, 제2 구동모터(101)에의 구동전류의 공급을 정지한다. 이에 따라, 제2 구동모터(101)가 정지되어 캠 플레이트(18)가 최후부에 정지한 상태로 유지된다.
이때, 도 37 (A) 및 (B)에 도시한 바와 같이, 캠 플레이트(18)의 후퇴동작에 따라, 캠돌기(55)가 승강캠부(72)의 하측 수평부(72c)로부터 경사부(72b)를 지나서 상측 수평부(72a)에 슬라이드된다. 그 결과, 조립체 홀더(16)가, 후단부에 설치한 한쌍의 축부(16a, 16a)를 회동중심으로하여 선단부의 캠돌기(55)측을 밀어 올리도록 앙동하여, 그 자세가 대략 수평상태로 변화된다. 이에 따라, 조립체 홀더(16)에 지지되어 있는 픽업·테이블 조립체(17)의 상부가 메인 섀시(11)의 개구부(25) 내에 하방으로부터 진입한다.
이에 따라, 픽업·테이블 조립체(17)의 스핀들 모터(58)의 회전축의 선단부에 고정된 턴테이블(60)이 대경 디스크 D12에 대향되고, 그 상방에의 회전에 의해 결합부(60b)가 대경 디스크 D12의 센터공 d에 끼워맞추어진다. 이 턴테이블(60)의 움직임에 연동하도록, 처킹 암(14) 및 개폐 셔터(13)가 머리를 내리도록 부동된다.
즉, 처킹 암(14)이 코일 스프링(45)에 의해 디스크 장착부(23)에 가까이 가는 방향으로 항상 가압되어 있기 때문에, 그 구동레버(38)의 하단에 회전가능하게 지지되어 있는 롤러(39)가, 캠 플레이트(18)의 후퇴동작에 의해 처킹용 캠부(77)의 상측 수평부(77a)로부터 경사부(77b)를 거쳐 하측 수평부(77c)에 슬라이드한다. 이때, 캠부(77)에 의해 롤러(39)의 높이 위치가 서서히 낮아지기 때문에, 암부(14a)가 밀어 내려지고, 그 선단부에 유지되어 있는 처킹부재(40)가 턴테이블(60)에 근접된다.
이에 따라, 대경 디스크 D12를 사이에 두고 상하로 처킹부재(40)와 턴테이블(60)이 대향된다. 그 결과, 턴테이블(60)에 내장되어 있는 마그넷(59)에 의해 처킹부재(40)가 흡착되고, 대경 디스크 D12가 처킹부재(40)와 턴테이블(60)에 의해 상하로부터 협지된다. 이에 따라, 대경 디스크 D12의 처킹이 완료되고, 턴테이블(60)의 회전에 의해 대경 디스크 D12가 일체로 회전구동된다.
이때, 캠핀(48)이 제1 캠부(78a)의 내에 설정된 퇴피부(78a0)에 올라타는 것에 의해, 지지레버(15)가 반시계 방향으로 약간 회동된다. 이로 인해, 디스크지지부(47)가 다시 외측으로 약간 이동하고, 이에 따라, 디스크지지부(47)가 대경 디스크 D12로부터 이반하여 걸어맞춤이 해제된다. 마찬가지로, 롤러(89)가 대경용 캠부(79a)의 내에 설정된 퇴피부(79a0)에 올라타기 때문에, 내측의 구동롤러(85b) 및 고정롤러(95b)가 다시 외측으로 약간 이동한다.
이에 따라, 양 롤러(85b, 95b)가 대경 디스크 D12로부터 이반하여 걸어맞춤이 해제된다. 그 결과, 대경 디스크 D12가 처킹부재(40)와 턴테이블(60)만으로 지지되기 때문에, 디스크 외주 에지가 구동롤러(85b)나 고정롤러(95b) 또는 디스크지지부(47)에 슬라이드 접촉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개폐 셔터(13)가 압축코일 스프링(37)에 의해 항상 앞쪽으로 가압되어 있기 때문에, 캠 플레이트(18)가 후퇴동작함으로써 구동레버(13d)가 상대적으로 앞쪽에 이동하고, 캠 플레이트(18)의 전단부에 설치한 캠부(74)를 지나서 앞쪽으로 벗어난다. 이로 인해, 개폐 셔터(13)가, 도 35에 나타낸 약간 상향의 상태로부터 도 37에 나타낸 약간 하향으로 되는 상태로 변화된다. 이에 따라, 셔터부(13a)의 하면이 메인 섀시(11)의 디스크 가이드부(29)에 가압되도록 접촉하고, 디스크 출입구(30)의 내측은 셔터부(13a)에 의해 간극이 없게 닫힌다.
그 결과, 예를 들면, 사용자가 잘못하여 2번째의 광디스크 D를 디스크 출입구(30)로부터 삽입하려고 하는 경우에도, 그 삽입동작을 확실하게 방지하여, 2번째의 오삽입을 확실하게 방지할 수 있다. 이러한 동작을 거쳐 로딩이 완료됨으로써, 그 후의 대경 디스크 D12에 대한 정보신호의 기록이나 재생이 가능해져, 그 기록이나 재생조작을 실행할 수 있다.
다음에, 정보신호의 기록이나 재생조작의 후, 대경 디스크 D12를 디스크 출입구(30)로부터 배출하는 디스크 배출동작(언로딩)에 대하여 설명한다. 사용자가, 예를 들면, 이젝트 버튼의 조작에 의해 디스크 배출동작을 선택하면, 제2구동모터(101)에 구동전류가 공급되고, 이것이 회전구동된다. 이 시점이 도 43에 나타낸 t14 점이다.
이 경우, 제2 구동모터(101)는, 디스크 삽입방향과는 역방향으로 회전구동되고, 캠 플레이트(18)이 디스크배출방향으로 이동한다. 이 캠 플레이트(18)를 앞쪽으로 이동시키는 제2 구동모터(101)와, 한쌍의 구동롤러(85a, 85b)를 회전구동시키는 제1 구동모터(84)를 역방향으로 회전시키는 제어를 행함으로써, 대경 디스크 D12의 언로딩을 실행할 수 있다.
즉, 캠 플레이트(18)가 앞쪽에 이동하면, 캠핀(48)이 제1 캠부(78a)로부터 빠져나가므로 지지레버(15)가 코일 스프링(52)의 스프링힘에 의해, 도 38에 있어서 시계 방향으로 회전하고, 디스크지지부(47)가 대경 디스크 D12의 외주 에지에 결합된다. 그리고, 코일 스프링(52)의 스프링힘에 의한 디스크지지부(47)의 가압력이 대경 디스크 D12의 삽입측 단부에 부여되는 것에 의해, 대경 디스크 D12가 디스크 출입구(30)측으로 가압된다.
이 경우, 캠 플레이트(18)의 전진동작에 의해, 미리 설정된 제3 지연시간 DT3이 경과한 후, 스위치조작편(75)이 제8 검출 스위치 SW8로부터 이반하기 때문에, 제8 검출 스위치 SW8가 온으로부터 오프로 전환된다. 이 시점이 도 43에 나타낸 t15 점이다. 이 제8 검출 스위치 SW8의 전환동작에 계속해서, 제4 검출 스위치 SW4가 온으로부터 오프로 전환된다. 이 시점이 도 43에 나타낸 t16점이다. 계속해서, 제7 검출 스위치 SW7가 온으로부터 오프로 전환된다. 이 시점이 도 43에 나타낸 t17점이다.
이 제7 검출 스위치 SW7가 오프로 전환된 후, 미리 설정된 제4 지연시간 DT4이 경과한 곳에서, 제2 구동모터(101)에의 구동전류의 공급이 정지된다. 이에 따라, 제2 구동모터(101)가 정지하여, 캠 플레이트(18)의 전방으로의 이동이 정지된다. 또한, 제2 구동모터(101)에의 구동전류의 공급이 정지된 후, 미리 설정된 제5 지연시간 DT5이 경과한 곳에서, 제1 구동모터(84)에 구동전류가 공급된다. 이 경우, 제1 구동모터(84)는, 디스크 삽입방향과는 역방향으로 회전되고, 한쌍의 구동롤러(85a),(85b)가 전술한 회전방향과 역방향인 시계 방향으로 회전구동된다.
이때, 지지레버(15)에 의해 앞쪽으로 가압되는 대경 디스크 D12의 배출측 외주 에지가 후측 구동롤러(85b) 및 후측 고정롤러(95b)에 맞닿는다. 그 결과, 구동롤러(85b)의 역회전에 의해 대경 디스크 D12에는, 로딩시와는 역방향의 회전력이 부여되고, 이것에 의해 대경 디스크 D12가 디스크 출입구(30)측으로 전동된다. 이 대경 디스크 D12를 전동시키는 기능이, 한쌍의 후측 구동롤러(85b) 및 후측 고정롤러(95b)와 한쌍의 앞쪽 구동롤러(85a) 및 앞쪽 고정롤러(95a)와의 협동작용을 거쳐, 한쌍의 앞쪽 구동롤러(85a) 및 앞쪽 고정롤러(95a)에 전달되고, 대경 디스크 D12가 디스크 출입구(30)까지 이송된다.
이 경우, 대경 디스크 D12의 최대직경부가 한쌍의 후측 구동롤러(85b) 및 후측 고정롤러(95b) 사이에 진입함으로써, 구동측 롤러조립체(20)의 조작체(87)에 의해, 먼저, 제4 검출 스위치 SW4가 오프로부터 온으로 전환된다. 이 시점이 도 43에 나타낸 t18 점이다. 계속해서, 지지레버(15)가 내측으로 이동함으로써, 조작편(15d)이 제5 검출 스위치 SW5로부터 이반되고, 제5 검출 스위치 SW5가 온으로부터 오프로 전환된다. 이 시점이 도 43에 나타낸 t19점이다.
그리고, 대경 디스크 D12의 최대직경부가 한쌍의 후측 구동롤러(85b) 및 후측 고정롤러(95b) 사이를 통과함으로써, 조작체(87)가 이반하여 제4 검출 스위치 SW4가 온으로부터 오프로 전환된다. 이 시점이 도 43에 나타낸 t20점이다.
계속해서, 대경 디스크 D12의 최대직경부가 한쌍의 앞쪽 구동롤러(85a) 및 앞쪽 고정롤러(95a) 사이에 진입함으로써, 제4 검출 스위치 SW4가 다시 오프로부터 온으로 전환된다. 이 시점이 도 43에 나타낸 t21점이다. 그리고, 대경 디스크 D12가 한쌍의 앞쪽 구동롤러(85d) 및 앞쪽 고정롤러(95a) 사이를 통과함으로써, 제4 검출 스위치 SW5가 온으로부터 오프에 다시 전환된다. 이 시점이 도 43에 나타낸 t22점이다.
그 후, 디스크 출입구(30)에 대경 디스크 D12가 도달하면, 대경 디스크 D12의 외주 에지가, 디스크 출입구(30)의 좌우에 배치된 구동측 가이드 롤러(92c) 및 고정측 가이드 롤러(97c)와 함께 외측으로 눌러 넓힌다. 이에 따라, 검출부재(92)의 조작핀(92b)이 제1 검출 스위치 SW1에 맞닿으므로, 제1 검출 스위치 SW1가 오프로부터 온으로 전환된다. 이 시점이 도 43에 나타낸 t23점이다.
이 제1 검출 스위치 SW1가 온으로 전환된 곳으로부터, 제1 구동모터(84)의회전을 제어하여 감속을 개시한다. 그리고, 미리 설정된 소정 시간 DS의 경과후, 제1 구동모터(84)에의 구동전류의 공급을 차단하여 회전을 정지시킨다. 이와 동시에, 제3 검출 스위치 SW3가 온으로부터 오프로 전환된다. 이 시점이 도 43에 나타낸 t24점이다. 이에 따라, 도 40에 도시한 바와 같이, 대경 디스크 D12가 디스크 출입구(30)로부터 충분히 돌출되어, 사용자가 그 대경 디스크 D12를 손으로 잡아 인출할 수 있다. 이 시점이 도 43에 나타낸 t25점이다.
이때, 사용자가 대경 디스크 D12를 인출함으로써, 제1 검출 스위치 SW1가 온으로부터 오프로 전환된다. 이 경우, 도 39 (A), (B) 및 도 41 (A), (B)에 도시한 바와 같이, 개폐 셔터(13), 처킹 암(14), 조립체 홀더(16) 및 캠 플레이트(18)는 모두 원래의 위치로 복귀하고 있어, 도 33 (A),(B)와 동일한 자세상태로 되어 있다.
이 경우, 도 45에 도시한 바와 같이, 디스크 기록 재생 장치(10)가 수납된 하우징(120)의 디스크 출입구(30)가 면하는 개구부(124)에는, 그 중앙부에 있어서 내측으로 우묵하게 들어간 원호형의 디스크파지부(125)가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광디스크 D의 외주 에지와 센터공 d에 손가락을 걸어 간단히 인출할 수 있다. 이로 인해, 광디스크 D를 인출할 때에, 신호기록면에 닿을 우려를 적게 할 수 있어, 사용자가 신호기록면에 닿는 것에 의한 오염이나 기름 등의 부착을 방지하여, 정보신호의 확실한 기록, 재생을 확보할 수 있다.
그 후, 소정 시간이 경과한 곳에서, 다시 광디스크 D가 삽입되어도 되도록,다음 대기상태로 이행한다. 즉, 제2 검출 스위치 SW2를 오프로부터 온으로 전환하는 동시에, 제6 검출 스위치 SW6를 오프로부터 온으로 전환한다. 이에 따라, 다음 광디스크 D를 삽입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도 46에는, 상술한 제1 이송부재인 구동롤러의 제2 실시예를 나타낸다. 또, 도 47 (A) 및 (B)에는, 상술한 제2 이송부재인 고정롤러의 제2 실시예를 나타낸다.
도 46에 나타낸 구동롤러(130)는, 구동체(131a)와 평형체(131b)와 완충체(132)를 가지고, 구동체(131a)의 하면에는 기어부(133)가 일체로 설치되어 있다. 구동롤러(13O)의 완충체(132)는, 그 외주면의 축방향 중도부에, 단면 형상이 원호형을 이루는 오목부가 둘레방향으로 연속된 환형홈(132a)이 형성되어 있다. 이 환형홈(132a)에서 광디스크 D의 외주 에지를 받는 것에 의해, 광디스크 D를 수평방향으로 이송할 수 있도록 하고 있다.
또, 도 47 (A),(B)에 나타낸 고정롤러(135)는, 고정체(136a)와 평형체(136b)와 완충체(137)를 가지고, 고정체(136a)의 하면에는 다리편(138)이 일체로 설치되어 있다. 고정롤러(135)의 완충체(137)는, 구동롤러(130)의 완충체(132)와 동일한 구성을 가지고 있고, 외주면의 축방향 중도부에 단면 형상이 원호형을 이루는 오목부가 둘레방향으로 연속된 환형홈(137a)이 형성되어 있다. 이 환형홈(137a)에서 광디스크 D의 외주 에지를 받는 것에 의해, 광디스크 D를 수평방향으로 이송할 수 있도록 하고 있다.
또한, 도 47 (B)에 나타낸 바와 같이, 고정체(136)에는 외축부(139a)가 형성되어 있는 한편, 이 외축부(139a)에 끼워맞추어지는 내축부(139b)가 평형체(136b)에 설치되어 있다. 이 외축부(139a)와 내축부(139b)를 압입 등의 고착수단에 의해 끼워맞춤으로써, 고정체(130a)와 평형체(136b)가 일체로 구성되어 있다. 그리고, 외축부(139a)에 대하여 완충체(137)가 압입 등의 수단에 의해 결합되어, 회전불가능하게 일체로 구성되어 있다.
또, 도 48 (A) 및 (B)는, 본 발명에 관한 제1 이송부재의 제3 실시예를 나타낸 것이다. 이 실시예에 나타낸 제1 이송부재로서의 이송롤러(140)는, 광디스크 D의 외주 에지와 접촉하는 완충체(141)만을 회전가능하게 구성한 것이다. 즉, 이송롤러(140)는, 롤러형의 완충체(14l)와, 이 완충체(141)를 회전가능하게 유지하는 홀더(142)로 구성되어 있다. 홀더(142)는, 상부를 가늘게 한 원추형상의 하측 지지부(142a)와, 하부를 가늘게 한 원추형상의 상측 지지부(142b)를 가지고, 양 지지부(142a, 142b) 사이에 간극 S가 설정되어 있다. 이 간극 S 사이에 완충체(141)가 회전가능하게 개재되어 있다.
완충체(141)의 상하에는, 각각 베어링부재(143a, 143b)가 설치되어 있다. 이 베어링부재(143a, 143b)와 함께 하측 지지부(142a)로부터 상측 지지부(142b)까지 관통하는 회전축(144)에 의해 완충체(141)가 고정되어, 일체로 회전가능하게 되어 있다. 이 이송롤러(140)는, 고정측 이송롤러로서도 사용할 수 있고, 그 경우에는, 완충체(141)를 고정하여 회전불가능하게 구성해야 한다.
도 49에는, 본 발명에 관한 제1 이송부재의 제4 실시예를 나타낸다. 이 실시예에 나타낸 이송부재로서의 벨트전동체(150)는, 2개의 주행롤러(151, 152)와, 양 주행롤러(151, 152) 사이에 놓인 주행벨트(153)로 구성되어 있다. 2개의 주행롤러(151),(152)는, 원호형의 오목부가 둘레방향으로 연속되는 환형홈(151a, 152a)이 외주면에 형성된 북형의 회전체로 이루어진다. 또, 주행벨트(153)는, 고무 또는 엔지니어링 플라스틱 등으로 형성된 평벨트로 이루어지고, 이것이 2개의 주행롤러(151),(152)의 환형홈(151a),(152a)에 장착되어 있다.
이러한 구성을 가지는 벨트전동체(150)는, 예를 들면, 다음과 같이 하여 상술한 제1 실시예에 적용할 수 있다. 제1 주행롤러(151)를 구동측 가이드레버(83)의 제1 롤러지지축(88a)에 의해 회전가능하게 지지하는 동시에, 제2 주행롤러(152)를 구동측 가이드레버(83)의 제2 롤러지지축(88b)에 의해 회전가능하게 지지한다. 그리고, 어느 한쪽의 주행롤러(예를 들면, 제1 주행롤러(151))에 기어부를 설치하고, 이 기어부를 구동모터(84)로 회전구동하도록 한다.
이에 따라, 제1 주행롤러(151)를 회전시켜 주행벨트(153)를 회전구동하고, 이 주행벨트(153)의 외주면에 형성된 홈통형의 바인드부(153a)에 광디스크 D의 외주 에지를 접촉시킨다. 그 결과, 상술한 구동롤러(85a, 85b)의 경우와 같이, 광디스크 D에 회전력을 부여하여 전동시킬 수 있다.
특히, 이 실시예에서는, 한쪽 주행롤러(151)로부터 다른 쪽의 주행롤러(152)까지의 사이가 주행벨트(153)에 의해 마디없이 이송되기 때문에, 광디스크 D를 안정성 양호하게 전동시켜 이송할 수 있다. 또, 한쪽 주행롤러만을 구동하면 되기 때문에, 상술한 구동롤러(85a, 85b)의 경우에 비해 기어의 수를 줄여 구조의 간략화를 도모할 수 있다. 또한, 한쌍의 롤러를 함께 고정하고, 이 고정롤러 사이에 벨트를 걸침으로써, 고정측인 제2 이송부재를 구성할 수 있다.
도 50에는, 본 발명에 관한 제1 이송부재의 제5 실시예를 나타낸다. 이 실시예에 나타낸 이송부재로서의 무단형(無端型) 전동체(160)는, 2개의 주행롤러(161, 162)와, 양 주행롤러(16l, 162) 사이에 걸쳐친 무단형 벨트(163)로 구성되어 있다. 2개의 주행롤러(161, 162)는, 양단에 플랜지부(161a, 162a)가 형성된 실패형의 회전체로 이루어진다.
또, 주행벨트(163)는, 고무 또는 엔지니어링 플라스틱 등으로 형성되고 또한 돌출부(163a)를 둘레방향으로 다수개 나란히 무단형으로 형성한 벨트형 부재로 이루어지고, 이것이 2개의 주행롤러(161, 162)사이에 걸쳐지고, 각각의 롤러에 있어서 플랜지부(161a, 162a)에 의해 의해 이탈이 방지되어 있다. 그리고, 각 돌출부부(163a)에는, 그 폭방향의 중도부로 설정되는 동시에 둘레방향으로 연장된 홈부(163b)가 각각 형성되어 있다.
이러한 구성을 가지는 무단형 전동체(160)는, 예를 들면, 상술한 벨트전동체(160)와 동일하게 하여 사용할 수 있다. 즉, 제1 주행롤러(161)를 제1 롤러지지축(88a)에 회전가능하게 지지하는 동시에, 제2 주행롤러(162)를 제2 롤러지지축(88b)에 회전가능하게 지지한다. 그리고, 어느 한쪽의 주행롤러(예를 들면, 제1 주행롤러(161))에 기어부를 설치하고, 이 기어부를 구동모터(84)로 회전구동하도록 한다.
이에 따라, 제1 주행롤러(161)를 회전시켜 무단형 벨트(163)을 회전 구동하여, 이 무단형 벨트(163)의 외주면에 형성된 단면 V자형의 홈부(163b)에 광디스크 D의 외주 에지를 접촉시킨다. 그 결과, 상술한 벨트전동체(150)의 경우와 마찬가지로, 광디스크 D에 회전력을 부여하여 전동시킬 수 있다.
이 실시예에 있어서도, 한쪽 주행롤러(161)로부터 다른 쪽의 주행롤러(162)까지가 무단형 벨트(163)에 의해 이송되기 때문에, 광디스크 D를 안정성 양호하게 전동시켜 이송할 수 있다. 또, 한쪽 주행롤러만을 구동하면 되기 때문에, 상술한 구동롤러(85a, 85b)의 경우에 비해 기어의 수를 줄이는 등 하여 구조의 간략화를 도모할 수 있다. 이 경우도 마찬가지로, 한쌍의 롤러를 함께 고정하고, 이 고정롤러 사이에 벨트를 거는 것에 의해, 고정측인 제2 이송부재를 구성할 수 있다.
이상 설명했지만, 본 발명은 상기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예를 들면, 상기 실시예에서는, 광디스크에 기록된 정보의 기록(기입)과 재생(판독)의 양쪽을 행하는 디스크 기록 재생 장치에 대하여 설명했지만 정보의 기록만을 행하는 기록전용 디스크 기록장치 또는 정보의 재생만을 행하는 디스크재생 장치에 적용할 수 있는 것은 물론이다.
또한, 상기 실시예에서는, 직경 8cm의 광디스크와 직경 12cm의 광디스크를 사용할 수 있는 디스크 기록 재생 장치에 적용한 예에 대하여 설명했지만 다른 사이즈의 광디스크에 적용할 수 있는 것은 물론이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은, 상술한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그 취지를 일탈하지 않은 범위에서 여러 가지 변경할 수 있는 것이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출원의 디스크 기록 및/또는 재생 장치에 의하면, 디스크형 기록매체의 크기로 따라서 한쌍의 이송부재 사이를 간격조정기구로조정하여 디스크형 기록매체를 직경방향으로부터 확실하게 협지할 수 있는 동시에, 그 디스크형 기록매체에 회전력을 부여하여 전동시킬 수 있다. 그 결과, 직경이 상이한 2 또는 2 이상의 디스크형 기록매체라도, 이것을 확실하게 유지하여 이송할 수 있는 동시에, 디스크 이동기구의 어느 부재도 디스크형 기록매체의 신호기록면에 접촉하는 일이 없기 때문에, 그 신호기록면에 접촉하여 이물이 묻어 손상이 되거나 오염될 우려를 없앨 수 있다.
Claims (9)
- 디스크형 기록 매체를 그 직경 방향으로 협지 가능하게 하는 한쌍의 이송 부재와,상기 한쌍의 이송 부재 중 제1 이송 부재를 구동하여 상기 한쌍의 이송 부재사이에 협지된 상기 디스크형 기록 매체에 회전력을 부여하여 전동(轉動)시키는 구동 수단과,상기 디스크형 기록 매체의 크기에 따라서 상기 한쌍의 이송 부재를 접근 또는 이반(離反)시켜 간격을 조정 가능하게 하는 간격 조정 기구를 포함하는 디스크 기록 및/또는 재생 장치.
- 제1항에 있어서,상기 간격 조정 기구는 상기 제1 이송 부재를 회전 가능하게 지지하는 제1 지지 부재와, 상기 한쌍의 이송 부재 중 제2 이송 부재를 고정하여 지지하는 제2 지지 부재와, 상기 제1 지지 부재 및 제2 지지 부재 사이에 개재되어 양 지지 부재를 서로 근접하는 방향으로 가압하는 탄성 부재를 가지며,상기 탄성 부재의 탄성에 의해 상기 제1 이송 부재 및 제2 이송 부재로 상기 디스크형 기록 매체를 탄성적으로 협지하도록 하는디스크 기록 및/또는 재생 장치.
- 제2항에 있어서,상기 한쌍의 이송 부재는 V자형 또는 U자형의 둘레 방향으로 연속되는 홈이 형성된 롤러로 이루어지며, 상기 홈이 형성된 롤러의 홈부에 상기 디스크형 기록 매체의 외주 에지를 접촉시키도록 하는 디스크 기록 및/또는 재생 장치.
- 제3항에 있어서,상기 홈이 형성된 롤러의 홈부에는 상기 디스크형 기록 매체보다도 부드럽고 또한 마찰 계수가 큰 고무형 탄성체를 설치하는 디스크 기록 및/또는 재생 장치.
- 제3에 있어서,상기 제1 이송 부재 및 제2 이송 부재는 상기 홈이 형성된 롤러를 상기 디스크형 기록 매체가 이송되는 방향으로 각각 복수개 배치하는 디스크 기록 및/또는 재생 장치.
- 제5항 있어서,상기 제1 이송 부재를 구성하는 복수개의 홈이 형성된 롤러는 상기 구동 수단에 의해 일체적으로 회전 구동되도록 하는 디스크 기록 및/또는 재생 장치.
- 제1항에 있어서,상기 한쌍의 이송 부재는 무단형(無端形)으로 연속되는 동시에 폭방향의 중앙측을 낮게 하여 주행 구동되는 벨트 전동체로 이루어지며, 상기 벨트 전동체의 바인드부에 상기 디스크형 기록 매체의 외주 에지를 접촉시키도록 하는 디스크 기록 및/또는 재생 장치.
- 제1항에 있어서,상기 한쌍의 이송부재는 돌출부가 둘레 방향으로 복수개 나란히 무단형으로 연속되는 동시에 폭방향의 중도부에 둘레 방향으로 연장된 홈부가 형성되고, 그 둘레 방향으로 주행 구동되는 무단형 전동체로 이루어지며, 상기 무단형 전동체의 홈부에 상기 디스크형 기록 매체의 외주 에지를 접촉시키도록 하는 디스크 기록 및/또는 재생 장치.
- 제1항에 있어서,상기 디스크형 기록 매체의 크기로 따라서 상기 간격 조정 기구의 조정량을 제어하는 디스크 선택 캠기구를 설치하는 디스크 기록 및/또는 재생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JP2001110373A JP3640174B2 (ja) | 2001-04-09 | 2001-04-09 | ディスク記録及び/又は再生装置 |
JPJP-P-2001-00110373 | 2001-04-09 | ||
PCT/JP2002/003538 WO2002084661A1 (fr) | 2001-04-09 | 2002-04-09 | Dispositif d'enregistrement et/ou de reproduction de disque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030009519A true KR20030009519A (ko) | 2003-01-29 |
KR100886884B1 KR100886884B1 (ko) | 2009-03-05 |
Family
ID=1896216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027016794A KR100886884B1 (ko) | 2001-04-09 | 2002-04-09 | 디스크 기록 및/또는 재생 장치 |
Country Status (5)
Country | Link |
---|---|
US (3) | US7007285B2 (ko) |
EP (1) | EP1378901A4 (ko) |
JP (1) | JP3640174B2 (ko) |
KR (1) | KR100886884B1 (ko) |
WO (1) | WO2002084661A1 (ko) |
Cited B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0710794B1 (ko) * | 2005-02-22 | 2007-04-25 | 가부시키가이샤 히타치 엘지 데이터 스토리지 | 광디스크 장치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8)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2004005819A (ja) * | 2002-05-31 | 2004-01-08 | Toshiba Corp | 光ディスク装置 |
JP3865664B2 (ja) * | 2002-07-19 | 2007-01-10 | アルパイン株式会社 | 車載用ディスクプレーヤのディスク位置決め機構 |
TWI242188B (en) * | 2003-01-10 | 2005-10-21 | Lite On It Corp | Optical disk supporting device for suck-in type optical disk drive |
US20050050562A1 (en) * | 2003-04-02 | 2005-03-03 | Staar S.A. | Information carrier loading device |
TWI226039B (en) * | 2003-08-01 | 2005-01-01 | Ind Tech Res Inst | Ejecting and loading module of optical disk driver |
JP3875671B2 (ja) * | 2003-09-02 | 2007-01-31 | ソニー株式会社 | ディスクドライブ装置およびディスクドライブ装置用カム |
JP4103742B2 (ja) * | 2003-09-11 | 2008-06-18 | ソニー株式会社 | ディスクドライブ装置 |
US20060212883A1 (en) * | 2003-09-28 | 2006-09-21 | Dongzuo Yang | Slot-in disc loading system with various disc size compatibility |
JP4179962B2 (ja) * | 2003-10-20 | 2008-11-12 | 松下電器産業株式会社 | ディスク装置 |
JP2005135454A (ja) * | 2003-10-28 | 2005-05-26 |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 ディスク識別装置、ディスク挿排装置及びディスク装置 |
JP2005203033A (ja) * | 2004-01-15 | 2005-07-28 | Shinwa Co Ltd | ディスクドライブ装置 |
JP2005222600A (ja) * | 2004-02-05 | 2005-08-18 | Pioneer Electronic Corp | ディスク挿入排出装置 |
TWI265475B (en) * | 2004-05-05 | 2006-11-01 | Lite On It Corp | Optical disk drive |
KR20060014611A (ko) * | 2004-08-11 | 2006-02-16 | 삼성전자주식회사 | 디스크 플레이어의 디스크 이중 삽입 방지장치 |
JP4339772B2 (ja) * | 2004-10-05 | 2009-10-07 | パイオニア株式会社 | ディスク状記録媒体搬送装置 |
JP2006185519A (ja) * | 2004-12-28 | 2006-07-13 | Orion Denki Kk | 搬送ローラーを備えたディスク装置 |
JP4275079B2 (ja) * | 2005-01-20 | 2009-06-10 | パナソニック株式会社 | 光ディスク装置 |
TWI320924B (en) * | 2005-02-02 | 2010-02-21 | Teac Corp | Disc device |
JP2007035140A (ja) * | 2005-07-26 | 2007-02-08 | Funai Electric Co Ltd | ディスクローディング装置 |
TWI294620B (en) * | 2006-01-24 | 2008-03-11 | Asustek Comp Inc | Optical disc drive |
US7840972B2 (en) * | 2006-02-16 | 2010-11-23 | Toshiba Samsung Storage Technology Korea Corporation | Optical disc device and method of controlling the same |
KR100854079B1 (ko) * | 2006-02-16 | 2008-08-25 | 도시바삼성스토리지테크놀러지코리아 주식회사 | 광기기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
US7979871B2 (en) * | 2006-05-16 | 2011-07-12 | Sony Computer Entertainment Inc. | Disk apparatus and driving control section |
TWI322411B (en) * | 2006-08-24 | 2010-03-21 | Quanta Storage Inc | Slot-in disk drive device and method |
JP4281769B2 (ja) * | 2006-08-25 | 2009-06-17 | 船井電機株式会社 | ディスクローディング装置 |
ATE475968T1 (de) | 2006-10-09 | 2010-08-15 | Harman Becker Automotive Sys | Datenträgerführungsanordnung |
CN102122516A (zh) * | 2010-01-12 | 2011-07-13 | 建兴电子科技股份有限公司 | 用于吸入式光驱的进退片装置 |
JP2013058282A (ja) | 2011-09-07 | 2013-03-28 | Sony Corp | ディスク搬送装置 |
Family Cites Families (9)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BE901937A (fr) * | 1985-03-14 | 1985-07-01 | Staar Sa | Dispositif d'insertion et d'ejection automatique de supports d'informations. |
JPH0863863A (ja) * | 1995-07-10 | 1996-03-08 | Nakamichi Corp | ディスク移送装置 |
DE69523714T2 (de) * | 1994-08-26 | 2002-07-25 | Nakamichi Corp., Kodaira | Plattenwiedergabevorrichtung |
DE19516733A1 (de) * | 1995-05-06 | 1996-11-07 | Philips Patentverwaltung | Lademechanismus |
TW412722B (en) * | 1995-06-05 | 2000-11-21 | Cd Server Corp | Disc changer with safe and efficient disc handling |
HU220927B1 (en) * | 1996-05-02 | 2002-06-29 | Koninkl Philips Electronics Nv | Loading mechanism for loading and unloading an information disc into/from an information-technology apparatus |
JPH11328799A (ja) | 1998-05-11 | 1999-11-30 | Nakamichi Corp | ディスク移送装置 |
US6512730B1 (en) * | 1999-07-14 | 2003-01-28 | Lg Electronics Inc. | Disk receiving and transferring device for a disk drive |
US7353522B2 (en) * | 2001-04-05 | 2008-04-01 | Sony Corporation | Disk recording and/or reproducing device apparatus including a pair of transport rollers, with at least one fixed transport roller |
-
2001
- 2001-04-09 JP JP2001110373A patent/JP3640174B2/ja not_active Expired - Fee Related
-
2002
- 2002-04-09 WO PCT/JP2002/003538 patent/WO2002084661A1/ja not_active Application Discontinuation
- 2002-04-09 US US10/297,489 patent/US7007285B2/en not_active Expired - Fee Related
- 2002-04-09 KR KR1020027016794A patent/KR100886884B1/ko not_active IP Right Cessation
- 2002-04-09 EP EP02714560A patent/EP1378901A4/en not_active Withdrawn
-
2005
- 2005-03-16 US US11/080,653 patent/US6983471B2/en not_active Expired - Fee Related
- 2005-03-16 US US11/080,404 patent/US6983470B2/en not_active Expired - Fee Related
Cited B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0710794B1 (ko) * | 2005-02-22 | 2007-04-25 | 가부시키가이샤 히타치 엘지 데이터 스토리지 | 광디스크 장치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EP1378901A4 (en) | 2005-04-13 |
US20040008602A1 (en) | 2004-01-15 |
US6983470B2 (en) | 2006-01-03 |
US20050160438A1 (en) | 2005-07-21 |
US6983471B2 (en) | 2006-01-03 |
WO2002084661A1 (fr) | 2002-10-24 |
KR100886884B1 (ko) | 2009-03-05 |
US20050160437A1 (en) | 2005-07-21 |
EP1378901A1 (en) | 2004-01-07 |
JP3640174B2 (ja) | 2005-04-20 |
US7007285B2 (en) | 2006-02-28 |
JP2002304799A (ja) | 2002-10-18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100886884B1 (ko) | 디스크 기록 및/또는 재생 장치 | |
KR100904244B1 (ko) | 디스크 기록 재생 장치 | |
US4841499A (en) | Multi-disc player | |
KR100649904B1 (ko) | 디스크 드라이브 장치 및 그 턴테이블 | |
JP2882989B2 (ja) | 光ディスク記録再生装置 | |
KR100277960B1 (ko) | 광 디스크 로딩장치 | |
JP3690300B2 (ja) | ディスク記録及び/又は再生装置 | |
KR19990044081A (ko) | 디스크 드라이브 장치 | |
JP3690307B2 (ja) | ディスク記録及び/又は再生装置 | |
CN100429708C (zh) | 盘片驱动装置以及盘片驱动装置的驱动控制方法 | |
US5164929A (en) | Stopper for trays in a magazine of a cd player | |
JP4348874B2 (ja) | ディスク記録及び/又は再生装置 | |
EP1255248B1 (en) | Disk centring mechanism in a disk playback device | |
US20090228907A1 (en) | Disk recording and/or reproducing apparatus | |
US20010021156A1 (en) | Disk device having disk transferring mechanism capable of shortening disk replacement time--in its place | |
KR100710397B1 (ko) | 디스크 드라이브 장치용 헤드 이송 기구 | |
JP4114269B2 (ja) | ディスクドライブ装置及び位置調整方法 | |
US7231648B2 (en) | Disk holding apparatus, and disk apparatus | |
US20050076349A1 (en) | Disk drive | |
JP2002358769A (ja) | 電子機器 | |
JPS63266669A (ja) | デイスクカ−トリツジおよびそのシヤツタ−開閉装置 | |
JP4087115B2 (ja) | ディスク装置のカートリッジ保持機構 | |
JPH03137861A (ja) | ディスクドライブ装置 | |
JPH03137862A (ja) | ディスクドライブ装置 | |
WO2008062510A1 (fr) | Processeur d'informations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AMND | Amendment | ||
E601 |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 ||
J201 | Request for trial against refusal decision | ||
AMND | Amendment | ||
B701 | Decision to grant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30215 Year of fee payment: 5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40214 Year of fee payment: 6 |
|
LAPS |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