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0009156A - 식기 세정기 - Google Patents

식기 세정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0009156A
KR20030009156A KR1020020041417A KR20020041417A KR20030009156A KR 20030009156 A KR20030009156 A KR 20030009156A KR 1020020041417 A KR1020020041417 A KR 1020020041417A KR 20020041417 A KR20020041417 A KR 20020041417A KR 20030009156 A KR20030009156 A KR 2003000915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ousing
dishwasher
upper lid
washing
groov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2004141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444122B1 (ko
Inventor
하라다데쯔오
신무라미쯔노리
가와구찌도모나리
스오기요유끼
하야시나오끼
도도데루미
Original Assignee
산요 덴키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산요 덴키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산요 덴키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03000915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000915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44412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444122B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15/00Washing or rinsing machines for crockery or tableware
    • A47L15/0084Washing or rinsing machines for crockery or tableware of drawer-type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15/00Washing or rinsing machines for crockery or tableware
    • A47L15/42Details
    • A47L15/421Safety arrangements for preventing water damage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15/00Washing or rinsing machines for crockery or tableware
    • A47L15/42Details
    • A47L15/4251Details of the casing
    • A47L15/4257Details of the loading door

Abstract

본 발명의 과제는 세정고의 인출 및 압입 조작을 위한 힘을 이용하지 않고, 또한 하우징 내에서 큰 공간을 점유하는 일 없이 상부 덮개를 확실하게 개폐하는 것이다.
세정고(2)의 인출을 저지하기 위한 래치용 조작 레버(11)를 래치 위치로 회전하면, 이 회전 동작에 따라서 세정고(2)의 측벽과 하우징(1)의 측벽과의 간극에 배치된 와이어(23)가 견인되고, 스프링(21)의 압박력에 대항하여 링크(6, 6')에 피봇 장착된 작동판(20)을 후방으로 이동시킨다. 링크(6, 6')가 회전하는 데 수반하여 상부 덮개(5)는 위치 규제판(28, 28')에 따라서 거의 수직으로 하강하고, 세정고(2)의 상면 개구를 폐쇄한다. 조작 레버(11)를 래치 위치로부터 해제 위치로 복귀하면 와이어(23)의 견인이 해제되고, 스프링(21)의 압박력에 의해 작동판(20)은 전방으로 이동하고, 링크(6, 6')를 통해 상부 덮개(5)는 거의 수직으로 상승하여 세정고(2)로부터 이격한다.

Description

식기 세정기{DISH WASHING MACHINE}
본 발명은 식기 세정기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시스템 키친에 조립하기 위한 빌트인 타입에 적합한 인출식 식기 세정기에 관한 것이다.
가정용 식기 세정기는, 일반적으로 세정고 내에 수돗물을 도입하여 그 바닥부에 저류하고, 그 후 펌프를 작동시켜 저류한 물을 흡인하여 노즐로 송급하고, 노즐로부터 힘있게 물을 분사시켜 세정고 내에 수용한 식기류를 세정한다는 구성을갖고 있다. 종래 이러한 종류의 식기 세정기는 하우징 내부에 세정고가 고정적으로 배치되고, 하우징 전방면에는 전방측 하방으로 회전하는 도어가 설치되고, 도어를 개방한 상태에서 세정고 내부로부터 식기 바구니를 수평 전방으로 인출하는 구조로 되어 있다.
한편, 이러한 식기 세정기와는 별도로, 이른바 인출식 식기 세정기라 불리우는 것이 알려져 있다. 즉, 인출식 식기 세정기에서는 식기를 수납하기 위한 식기 바구니를 내장하는 세정고가 전방면 패널을 겸하는 도어와 함께 전방으로 인출 가능하게 구성되어 있고, 세정고를 인출한 상태에서는 세정고의 상면이 넓게 개구되어 있어 위에서 식기류를 출납할 수 있도록 되어 있고, 세정고를 하우징에 밀어 넣은 상태에서 하우징 내의 상부 공간으로 후퇴시켰던 상부 덮개를 하강시켜 세정고의 상면 개구를 폐쇄하는 구조로 되어 있다.
이러한 인출식 식기 세정기는 예를 들어 미국 특허 2661750호나 동일한 미국 특허 2668091호에 개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예로부터 알려져 있었지만, 최근 일본에 있어서 일반 가정으로의 시스템 키친의 보급에 수반하여, 시스템 키친에 조립하기 위한 빌트인 타입의 식기 세정기로서 주목을 받기 시작하고 있다. 그에 수반하여, 인출식 식기 세정기에 있어서 조작성 향상 등 다양한 관점으로부터의 개량이 제안되고 있다(예를 들어 일본 특허 공개 2000-139799호 공보 등 참조).
그러나, 종래부터 알려져 있는 인출식 식기 세정기에서는 이하에 설명한 바와 같이 몇 가지의 과제가 있다.
(1) 상기 일본 특허 공개 2000-139799호 공보 등에 기재된 종래의 식기 세정기에서는 사용자에 의한 세정고의 인출 및 압입 조작에 연동하여 기계적으로 상부 덮개가 상하 이동하는 구조로 되어 있다. 이러한 구조에서는 인출 및 압입 조작시에 외부로부터 가해지는 힘의 일부가 상부 덮개의 상하 이동을 위한 힘으로서 이용되므로, 인출 및 압입 조작이 무거워지는 경향이 있다. 특히 다량의 식기류를 세정고에 수용한 상태에서는 세정고 자체의 중량이 꽤 크기 때문에, 조작력의 일부가 상부 덮개의 상하 이동에 유용되어 버리면, 노령자 등에게 있어서는 인출 및 압입 조작을 하기 어려워질 우려가 있다.
한편, 상기 미국 특허 2661750호 공보에 기재된 종래의 식기 세정기에서는 하우징 전방면에 설치된 조작 레버와 일체로 회전하는 상부 덮개 압박 기구를 상부 덮개의 상부 공간에 배치하고, 사용자에 의한 조작 레버의 조작에 따라서 상부 덮개가 상하 이동하여 세정고의 상면 개구를 폐쇄하는 구조로 되어 있다. 그러나, 이러한 구조에서는 상부 덮개의 상부에 큰 공간을 확보해야만 해, 그 만큼 세정고의 용적을 작게 해야만 한다. 또한, 상부 덮개 압박 기구에 의해 상부 덮개의 중앙부를 압박해도, 그 주위의 상부 덮개와 세정고의 상부 모서리 단부가 접촉하는 부위에서는 충분한 밀착성을 확보하는 것이 어려워 누수가 발생하기 쉽다는 문제도 있다.
(2) 일반적으로, 시스템 키친에 조립하는 빌트인 타입의 식기 세정기에서는 가로 세로 모두 미리 결정된 치수의 공간에 수용할 필요가 있으므로, 외형상의 치수 제약이 많다. 그로 인해, 세정고의 용적이 작아지는 경향이 있어, 빌트인이라는 조건을 충족시키면서 세정고의 용적을 크게 확보할 수 있는 새로운 구조가 요망되고 있다.
(3) 상부 덮개와 세정고의 상부 모서리부와의 접촉 부위에는, 수밀성을 확보하기 위해 가스킷 등의 탄성 부재를 이용한 수밀 부재를 설치하고 있다. 상기 일본 특허 공개2000-139799호 공보 등에 기재된 종래의 식기 세정기에서는 상부 덮개의 하면에 이러한 수밀 부재를 주위 설치하고 있지만, 세정고를 전방으로 인출한 경우라도 상부 덮개는 하우징 내에 남아 있게 되므로, 수밀 부재 자체나 수밀 부재의 부착 부분의 오염을 청소하는 것이 곤란하였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과제를 비롯하는 인출식 식기 세정기에 관한 여러 가지의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이루어진 것으로, 그 제1 목적으로 하는 바는 인출식 식기 세정기에 있어서, 세정고의 인출 및 압입 조작시에 외부로부터 부여되는 힘을 이용하는 일 없이 상부 덮개의 개폐를 확실하게 행하는 동시에, 상부 덮개의 개폐 기구가 큰 공간을 점유하는 일 없이 세정고의 용적을 크게 확보할 수 있는 상부 덮개의 개폐 기구를 구비한 식기 세정기를 제공하는 데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제2 목적으로 하는 바는 시스템 키친으로의 빌트인이라는 조건을 충족하면서 세정고의 용적을 가능한 한 크게 확보할 수 있는 식기 세정기를 제공하는 데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제3 목적으로 하는 바는 세정고와 상부 덮개 사이의 수밀성을 확보하기 위한 수밀 부재의 청소를 용이하게 행할 수 있는 식기 세정기를 제공하는 데 있다.
도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의한 식기 세정기에 있어서, 세정고를 하우징 내에 완전히 수납한 상태를 도시한 개략 종단면도.
도2는 제1 실시예에 의한 식기 세정기에 있어서, 세정고를 하우징으로부터 인출하는 도중의 상태를 도시한 개략 종단면도.
도3은 제1 실시예에 의한 식기 세정기에 있어서, 세정고를 하우징 내에 완전 수납한 상태에서의 상부 덮개의 개폐 구동 기구를 중심으로 하는 주요부를 도시한 측면 구성도.
도4는 제1 실시예에 의한 식기 세정기에 있어서, 세정고를 하우징으로부터 인출하는 도중의 상태에서의 상부 덮개의 개폐 구동 기구를 중심으로 하는 주요부를 도시한 측면 구성도.
도5는 제1 실시예에 의한 식기 세정기에 있어서, 상부 덮개의 개폐 구동 기구를 중심으로 하는 주요부를 도시한 정면도.
도6은 제1 실시예에 의한 식기 세정기에 있어서, 상부 덮개의 개폐 구동 기구를 구성하는 조작 레버 주변의 주요부를 도시한 상면도.
도7은 제1 실시예에 의한 식기 세정기에 있어서, 상부 덮개의 개폐 구동 기구를 구성하는 조작 레버 주변의 주요부를 도시한 정면도.
도8은 도3 중 A부 부근의 확대도.
도9는 도8 중 D-D' 절단선 단면도.
도10은 제1 실시예에 의한 식기 세정기에 있어서, 상부 덮개가 상승한 상태에서의 세정고의 상부 모서리부와 상부 덮개와의 접촉 부위의 상세 구성을 도시한 종단면도.
도11은 제1 실시예에 의한 식기 세정기에 있어서, 상부 덮개가 하강한 상태에서의 세정고의 상부 모서리부와 상부 덮개와의 접촉 부위의 상세 구성을 도시한 종단면도.
도12는 제1 실시예에 의한 식기 세정기에 있어서 세정고의 상면도.
도13은 제1 실시예에 의한 식기 세정기를 시스템 키친에 부착한 상태를 도시한 정면도.
도14는 제1 실시예에 의한 식기 세정기를 시스템 키친에 부착한 상태를 도시한 측면도.
도15는 식기 세정기를 적재하는 적재대의 외관 사시도.
도16은 도11 중 C-C' 절단선 단면도.
도17은 하우징의 조립 구조를 도시한 단면도.
도18은 제1 실시예에 의한 식기 세정기에 있어서의 식기 바구니의 상면도.
도19는 제1 실시예에 의한 식기 세정기에 있어서, 식기류 수용 바구니를 들어올린 상태에서의 식기 바구니의 상면도.
도20은 제1 실시예에 의한 식기 세정기에 있어서의 식기 바구니의 정면도.
도21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제2 실시예)에 의한 식기 세정기에 있어서, 세정고를 하우징 내에 완전히 수납한 상태에서의 상부 덮개의 개폐 구동 기구를 중심으로 하는 주요부를 도시한 측면 구성도.
도22는 제2 실시예에 의한 식기 세정기에 있어서, 상부 덮개의 개폐 구동 기구를 중심으로 하는 주요부를 도시한 정면도.
도23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제3 실시예)에 의한 식기 세정기의 상부 덮개개폐 구동 기구의 주요부를 도시한 측면 구성도.
도24는 제3 실시예에 의한 식기 세정기에 있어서 조작 레버 주변의 주요부를 도시한 상면도.
도25는 하우징 형상의 다른 변형예를 도시한 정면도.
도26은 하우징 형상의 다른 변형예를 도시한 정면도.
도27은 세정고의 상부 모서리 단부에 주위 설치하는 가스킷에 삽입되는 보강 금구의 다른 예를 도시한 도면.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하우징
1a : 측벽
1b : 바닥부
1c : 코너부
2 : 세정고
2a : 전방벽
2c : 내부 입벽부
2d : 외부 입벽부
3 : 상면 개구
4 : 식기 바구니
5 : 상부 덮개
5a : 원통축
5b : 돌기 부재부
6, 6' : 링크
6a : 타원 형상 구멍
6b, 6c : 나사(축)
7 : 전방면 패널
7a : 경사면부
8 : 안내 레일
9 : 조작 패널
10 : 손잡이부
11 : 조작 레버
12 : 래치 바아
14 : 저수조
15 : 필터
15a : 손잡이부
20 : 작동판
21, 22, 27 : 코일 스프링
23 : 와이어
24 : 와이어 안내 홈
25 : 회전 부재
25a : 축
26 : 부착 부재
28, 28' : 위치 규제판
30 : 홈통부
31 : 가스킷
31a : 상단 중공부
31b : 하단 중공부
31c : 단차부
32 : 보강 금구
32a : 코너 형상 부재
32b, 32c : 직선형 부재
33 : 맞댐 부재
34 : 방음 가스킷
34a : 돌기 부재
40, 42, 44 : 축
41 : 상부 선반
43 : 세제 용기
45 : 식기류 수용 바구니
50 : 연결판 부재
51 : 와이어 로프
52, 53, 55 : 풀리
54 : 토크 모터
80 : 시스템 키친의 측판
81 : 적재대
82 : 측벽
82a : 돌출부
83 : 적재판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이루어진 본 발명에 관한 제1 식기 세정기는, 상면에 식기 수납 및 취출용 개구를 갖는 세정고를 전방면이 개구한 하우징으로부터 전방으로 인출 가능하게 설치한 식기 세정기에 있어서,
a) 상기 세정고의 상면 개구를 폐쇄하기 위한 상부 덮개와,
b) 상기 상부 덮개를 상기 하우징 내부에서 상하 이동 가능하게 보유 지지하기 위해, 상기 하우징의 측벽과 상기 상부 덮개 사이에 좌우 한 쌍이 설치된 상부 덮개 보유 지지 수단과,
c) 상기 세정고의 전방면에 부착된 전방면판에 있어서, 사용자에 의한 수동 조작을 받아 2개의 위치 사이에서 이동하는 조작 수단과,
d) 상기 세정고의 좌우 양측벽과 그에 대면하는 상기 하우징의 좌우 양측벽과의 간극에 각각 배치되고, 상기 조작 수단의 수동 조작에 의한 힘을 상기 상부 덮개 보유 지지 수단에 전달하여 상기 상부 덮개를 상하 이동시키는 좌우 한 쌍의 작동력 전달 수단을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고 있다.
이 제1 식기 세정기에서는, 세정고가 하우징 내에 완전히 수용된 상태에서 사용자가 조작 수단에 대해 제1 위치로부터 제2 위치로 이동시키는 힘이 가하면, 그 기계적인 힘이 세정고의 좌우 양측벽과 그에 대면하는 하우징의 좌우 양측벽과의 간극에 각각 배치된 작동력 전달 수단을 통해 상부 덮개 보유 지지 수단으로 전달되고, 상부 덮개가 하강하여 세정고의 상면 개구를 폐쇄한다.
여기서, 상부 덮개 보유 지지 수단의 일형태는 일단부가 상기 하우징의 측벽내면에 회전 가능하게 피봇 장착되고 타단부가 상기 상부 덮개의 측부에 회전 가능하게 연계된, 전후 2개의 연속 접촉 부재를 구비하는 평행 링크 기구를 포함하고, 상기 2개의 연속 접촉 부재가 서로 대략 평행 상태를 유지하여 회전하면서 상기 상부 덮개를 상하 방향으로 이동시키는 구성으로 할 수 있다.
여기서, 연속 접촉 부재와 상부 덮개의 회전 가능한 연계라 함은, 회전 가능하게 피봇 장착된 것이라도 좋지만, 축이 완전히 고정되어 있지 않고, 예를 들어 대략 수평 방향으로 소정의 좁은 범위에서 이동 가능하게 헐겁게 부착되어 있어도 좋다. 이러한 구성에 따르면, 상부 덮개는 연속 접촉 부재에 지지된 상태에서 요동함으로써 상하 이동하는 것은 아니며, 전후 이동하는 일 없이 거의 수직으로 상하 이동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또한, 상기 작동력 전달 수단의 일형태는 상기 조작 수단에 의한 조작에 따라서 견인되는 선형 부재와, 상기 선형 부재의 견인에 의해 상기 평행 링크 기구를 작동시키는 작동력 부여부를 포함하는 구성으로 할 수 있다. 게다가 또한, 상기 상부 덮개 보유 지지 수단은 상기 상부 덮개를 상승 방향으로 압박하는 제1 압박 수단을 포함하고, 상기 작동력 부여부는 상기 선형 부재의 견인에 의해 상기 평행 링크 기구를 상기 제1 압박 수단에 의한 압박력에 대항하는 방향으로 작동시킴으로써 상기 상부 덮개를 하강시키는 구성으로 할 수 있다.
이 구성에 따르면, 세정고가 하우징 내에 완전히 압입된 상태에서 사용자가 상술한 바와 같이 조작 수단을 조작하면, 그 조작에 따라서 작동력 전달 수단의 선형 부재가 견인되고, 그 선형 부재의 견인 동작에 의해 작동력 부여부가 평행 링크기구의 연속 접촉 부재를 거의 동시에 구동하여 상부 덮개를 하강시켜 세정고의 상면 개구를 폐쇄한다. 한편, 사용자가 조작 수단을 앞과 역방향으로 조작하면, 선형 부재의 견인이 해제되고, 상기 제1 압박 수단의 압박력에 의해 평행 링크 기구의 연속 접촉 부재가 앞과 반대 방향으로 회전하여 상부 덮개가 상승하고, 세정고의 상면 개구가 개방된다. 따라서, 이 상태에서는 세정고를 전방으로 인출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이와 같이 본 발명에 관한 제1 식기 세정기에 따르면, 세정고의 양측벽과 하우징의 양측벽 사이의 좁은 간극에 각각 배치된 작동력 전달 수단을 거쳐서 상부 덮개 보유 지지 수단에 힘을 전달하고 있으므로, 상부 덮개의 상하 이동을 행하기 위해서 하우징 내에서 넓은 공간을 점유하는 일이 없다. 그로 인해, 세정고의 용적을 크게 확보할 수 있어, 세정고에 수용 가능한 식기류의 수를 증가시킬 수 있다. 또한, 작동력 전달 수단을 좌우 양측에 배치하여 각각 좌우의 상부 덮개 보유 지지 수단으로 힘을 전달하고 있으므로, 상부 덮개는 주위, 즉 세정고와의 접촉 부위에 가까운 위치에서 끌어 내리는 힘을 받게 되어, 세정고 상부 모서리 단부와의 밀착성이 양호해진다. 게다가 또한, 본 발명의 제1 식기 세정기에서는 세정고의 인출 및 압입 조작을 위한 힘을 상부 덮개의 상하 이동에 이용하고 있지 않으므로, 세정고의 인출 및 압입 조작을 원활하게 큰 힘을 가하는 일 없이 행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 식기 세정기에서는 상기 작동력 전달 수단은 상기 선형 부재를 거친 견인 경로 중에 상기 견인력과 반대 방향으로 압박력을 갖는 제2 압박 수단을 구비하는 구성으로 하면 더욱 바람직하다. 이 구성에 따르면, 좌우의 상부덮개 보유 지지 수단의 동작 불균형 등에 의해 상부 덮개의 하강이 좌우로 기울어진 경우일지라도, 제2 압박 수단이 신장함으로써 상부 덮개 보유 지지 수단에 부여되는 작동력이 조정되므로, 상부 덮개 전체가 거의 균일하게 세정고의 상부 모서리 단부에 밀착한다. 그로 인해, 세정고와 상부 덮개와의 밀착 부위에 있어서 높은 수밀성을 확보할 수 있다.
게다가 또한, 상기 조작 수단은 세정고가 하우징 내부에 수용되어 있는 상태로부터 그 인출을 저지하거나 또는 그 저지를 해제하는 래치 수단의 조작을 겸하는 구성으로 할 수 있다.
이 구성에 따르면, 상부 덮개가 폐쇄했을 때에는 세정고의 인출이 확실하게 저지되고, 반대로 세정고의 인출이 가능하도록 래치를 해제했을 때에는 상부 덮개는 확실하게 상승하고 있다. 따라서, 상부 덮개가 폐쇄하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세정고가 무리하게 인출됨에 따라 세정고와 상부 덮개와의 밀착 부위에 불필요한 부하가 걸리는 것을 방지할 수 있어 사용자에게 있어서는 조작이 매우 간단해진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이루어진 본 발명에 관한 제2 식기 세정기는, 상면에 식기 수납 및 취출용 개구를 갖는 세정고를 전방면이 개구한 하우징으로부터 전방으로 인출 가능하게 설치한 식기 세정기에 있어서,
a) 상기 세정고의 상면 개구를 폐쇄하기 위한 상부 덮개와,
b) 상기 상부 덮개를 상기 하우징 내부에서 상하 이동 가능하게 보유 지지하는 동시에 수평 방향의 동작을 상기 상부 덮개의 상하 이동 동작으로 변환하기 위해, 상기 하우징의 측벽과 상기 상부 덮개 사이에 좌우 한 쌍이 설치된 상부 덮개보유 지지 수단과,
c) 상기 좌우 한 쌍의 상부 덮개 보유 지지 수단을 일체로 작동시키기 위해 양자를 결합하는 결합 수단과,
d) 상기 결합 수단을 대략 수평 방향으로 견인하는 구동 수단을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고 있다.
여기서, 구동 수단으로서는 예를 들어 토크 모터를 이용할 수 있다. 본 발명에 관한 제2 식기 세정기에서는, 구동 수단으로서의 토크 모터가 구동되면, 결합 수단을 거쳐 좌우 상부 덮개 보유 지지 수단이 거의 동시에 수평 방향으로 이동되고, 그 동작이 상부 덮개 보유 지지 수단에 의해 상부 덮개의 하강 동작으로 변환된다. 이에 의해, 상부 덮개는 하강하여 세정고의 상면 개구를 폐쇄한다.
이 제2 식기 세정기에 있어서도, 상기 제1 식기 세정기와 같이 상부 덮개 보유 지지 수단의 일형태는 일단부가 상기 하우징의 측벽 내면에 회전 가능하게 피봇 장착되고 타단부가 상기 상부 덮개의 측부에 회전 가능하게 연계된, 전후 2개의 연속 접촉 부재를 구비하는 평행 링크 기구를 포함하고, 상기 2개의 연속 접촉 부재가 서로 대략 평행 상태를 유지하여 회전하면서 상기 상부 덮개를 상하 방향으로 이동시키는 구성으로 할 수 있다. 또한, 상부 덮개 보유 지지 수단 또는 결합 수단은 상기 상부 덮개를 상승 방향으로 압박하는 압박 수단을 포함하고, 상기 구동 수단에 의해 상기 평행 링크 기구를 상기 압박 수단에 의한 압박력에 대항하는 방향으로 작동시킴으로써 상부 덮개를 하강시키는 구성으로 할 수 있다.
이 구성에 따르면, 세정고가 하우징 내에 완전히 압입된 상태에서 구동 수단이 동작하면, 결합 수단에 의해 좌우의 상부 덮개 보유 지지 수단이 압박 수단에 의한 압박력에 대항하여 거의 동시에 수평 방향으로 이동되고, 그에 의해 평행 링크 기구가 상부 덮개를 하강시켜, 세정고의 상면 개구를 폐쇄한다. 한편, 구동 수단의 구동이 정지되면, 결합 수단의 견인이 해제되고, 상기 압박 수단의 압박력에 의해 평행 링크 기구가 앞과 반대 방향으로 회전하여 상부 덮개가 상승하고, 세정고의 상면 개구가 개방한다. 따라서, 이 상태에서는 세정고를 전방으로 인출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이와 같이, 이 제2 식기 세정기에 의해서도 상기 제1 식기 세정기와 같은 효과를 발휘한다. 게다가, 이 제2 식기 세정기에서는 상부 덮개의 상하 이동을 전기적인 구동력에 의해 행할 수 있으므로, 사용자가 거의 힘을 가할 필요가 없어, 노령자 등, 힘이 없는 사람이라도 쾌적하게 사용할 수 있다.
또한, 제2 식기 세정기에서는 사용자가 운전 개시를 지시하기 위한 지시 조작 수단과, 상기 지시 조작 수단에 의한 지시를 받으면 상기 구동 수단을 구동하여 상부 덮개에 의해 세정고의 상면 개구를 폐쇄하는 제어 수단을 구비하는 구성으로 할 수 있다.
이 구성에 따르면, 사용자가 세정고를 하우징 내에 밀어 넣었을 때가 아닌, 운전 개시를 지시하기 위한 지시 조작을 행한 후에 구동 수단이 동작한다. 따라서, 세정이나 헹굼 운전을 행하지 않고 상부 덮개가 세정고의 상면 개구를 폐쇄할 필요가 없을 때에는 구동 수단은 동작하지 않으므로, 구동 수단의 불필요한 동작이 없어져, 구동 수단의 고장이 경감되는 동시에, 필요 없는 전력을 소비하는 일도 없어져 전력 절약화를 도모할 수 있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이루어진 본 발명에 관한 제3 식기 세정기는, 상면에 식기 수납 및 취출용 개구를 갖는 세정고를 전방면이 개구한 하우징으로부터 전방으로 인출 가능하게 설치한 식기 세정기로서, 소정 간격을 유지하여 세워 설치된 시스템 키친의 측판 사이에 설치된 적재대 상에 적재하여 설치되는 식기 세정기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의 양측벽 외면과 상기 세정고의 전방에 부착되는 전방면판의 양측부를 상기 측판에 대략 평행한 균일면 상태로 한 것을 특징으로 하고 있다.
또, 여기서 말하는 균일면 상태라 함은, 하우징 측벽의 외면과 전방면판의 측부가 완전히 균일면이 아니어도, 거의 균일면이라 간주할 수 있는 상태이면 된다.
이 제3 식기 세정기에서는, 하우징 양측벽의 외면과 전방면판의 양측부가 시스템 키친의 측판에 대략 평행한 균일면 상태로 형성되어 있으므로, 하우징의 횡폭을 적재대의 양측벽 내측에 들어가는 사이즈로 제한하고 있던 종래의 장치에 비해, 하우징의 횡폭을 넓힐 수 있다. 이에 수반하여, 하우징 내에 배치되는 세정고의 횡폭도 넓힐 수 있어, 세정고의 용적이 넓어져 보다 많은 수의 식기류를 수용할 수 있다. 또한, 하우징의 측벽 외면과 시스템 키친의 측판 사이의 공극이 종래보다도 좁아지기 때문에, 식기 세정기의 덜걱거림이나 옆으로 벗어남이 경감된다.
또한, 제3 식기 세정기에서는 상기 하우징의 바닥벽과 양측벽 사이의 양 하부 코너부가 수직 상태보다도 내측으로 후퇴한 형상으로 형성된 구성으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구성에 따르면, 적재대의 양측벽이 식기 세정기의 적재면보다도 약간 상방으로 돌출한 구조(통상, 적재대를 시스템 키친의 측판에 나사 등으로 고정하기 위해 이와 같은 구조로 되어 있음)의 적재대를 사용하는 경우라도, 하우징의 하부 코너부와 적재대 측벽의 돌출부와의 간섭을 피할 수 있다.
또,「수직 상태보다도 내측으로 후퇴한 형상으로 형성된」하부 코너부라 함은, 예를 들어 하우징의 판 부재를 만곡(라운딩) 형상, 모따기 형상, 혹은 돌출부 형상에 맞춘 절곡 형상 등으로 가공한 것으로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3 식기 세정기에서는 하우징의 횡폭을 시스템 키친 측판의 매우 가까운 곳까지 넓히고 있으므로, 하우징의 측벽 외면과 시스템 키친의 측판 사이의 공극은 좁아지고 있지만, 바람직하게는 상기 전방면판과 상기 하우징의 측벽 전방 모서리부 사이에, 측방으로 돌출하는 돌기 부재를 갖는 개재 장착 부재를 상하 방향으로 연장 설치하고, 그 돌출 부재가 시스템 키친의 측판에 접촉 또는 근접하도록 구성하면 좋다. 이러한 개재 장착 부재에 의해, 식기 세정기의 옆으로 벗어남을 방지할 수 있는 동시에, 진동에 의해 식기 세정기가 시스템 키친의 측판에 접촉하여 소음이 발생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전방면판과 하우징의 측벽 전방 모서리부 사이의 간극을 개재 장착 부재로 막음으로써, 불쾌 해충 침입 등의 방지에도 유효한 동시에, 세정 운전시에 하우징 내에서 발생하는 물 분사음 등의 소음이 상기 간극으로부터 외부로 누출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전방면판과 하우징의 측벽 전방 모서리부 사이의 간극을 보다 완전히 막고, 혹은 식기 세정기의 진동이 시스템 키친의 측판에 전파되지 않도록 하기 위해서는 상기 개재 장착 부재를 탄성 부재로부터 형성하면 좋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이루어진 본 발명에 관한 제4 식기 세정기는 전방면이 개구한 하우징과, 상기 하우징으로부터 전방으로 인출 가능하게 상면이 개구한 세정고와, 상기 하우징 내에 있어서 상기 세정고의 상면 개구를 폐쇄하는 위치와 그 상방의 퇴피 위치 사이에서 이동 가능한 상부 덮개를 구비하는 식기 세정기에 있어서,
상기 세정고의 주위벽 상부 모서리 단부에는 내부 입벽부와 외부 입벽부를 갖는 홈을 주위 설치하고, 상기 홈의 내부에 수밀 부재를 수용하는 동시에, 상기 상부 덮개의 하면에는 상기 상부 덮개가 하강할 때에 상기 홈에 대응하는 위치에 돌기 부재를 주위 설치하고, 상기 외부 입벽부의 상단부는 내부 입벽부의 상단부보다도 높고, 또한 상기 수밀 부재의 상면보다도 높게 한 것을 특징으로 하고 있다.
이 제4 식기 세정기에서는 상부 덮개가 하강하여 세정고의 상면 개구를 폐쇄할 때, 상부 덮개의 하면의 돌기 부재가 수밀 부재를 위로부터 압박하여 그 반발력에 의해 양자의 수밀성이 확보된다. 즉, 수밀 부재가 상부 덮개가 아닌 세정고측에 설치되어 있으므로, 세정고를 인출할 때에 수밀 부재도 노출되므로, 오염되어도 용이하게 청소를 행할 수 있다. 또한, 외부 입벽부의 상부 덮개가 수밀 부재의 상면보다도 높아짐으로써, 수밀 부재가 압박에 의해 변형했을 때라도 홈으로부터 돌출하기 어렵고, 반발력이 돌기 부재와 홈 내면에 적절하게 작용하여 높은 수밀성을 얻을 수 있다. 또한, 내부 입벽부를 외부 입벽부보다도 낮게 함으로써, 이 홈에 물이 낙하한 경우라도, 물이 내부 입벽부를 타고 넘어 세정고 내부로 낙하하기 쉬워, 세정고 외측으로 물이 흐르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게다가 또한, 홈을 세정고의 주위벽 상부 모서리 단부에 설치함으로써 세정고의 상부 모서리 단부의 강도가 증가하고, 특히 외측으로 휘어지거나 쓰러지거나 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으므로 하우징에 접촉하는 일이 없다.
또한 제4 식기 세정기에서는 상기 수밀 부재의 상면은 상기 내부 입벽부의 상단부보다도 높고, 또한 상기 수밀 부재에 있어서 세정고 내부를 향한 내면측은 적어도 일부가 상기 내부 입벽부의 상단부에 적재되어 있는 구성으로 할 수 있다. 이 구성에 따르면, 세정고 내로의 물 분사에 의해 수밀 부재의 내면에 끼얹은 물은 수밀 부재를 타고 다시 내부 입벽부의 내측으로부터 세정고 내로 흘러 내린다. 따라서, 세정고의 외측으로 물이 흘러 내리는 것을 보다 확실하게 방지할 수 있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이루어진 본 발명에 관한 제5 식기 세정기는 전방면이 개구한 하우징과, 상기 하우징으로부터 전방으로 인출 가능하게 상면이 개구한 세정고와, 상기 하우징 내에 있어서 상기 세정고의 상면 개구를 폐쇄하는 위치와 그 상방의 후퇴 위치 사이에서 이동 가능한 상부 덮개를 구비하는 식기 세정기에 있어서,
상기 세정고의 주위벽 상부 모서리 단부에는 내부 입벽부와 외부 입벽부를 갖는 홈을 주위 설치하고, 상기 홈의 내부에 수밀 부재를 수용하는 동시에, 상기 상부 덮개의 하면에는 상기 상부 덮개가 하강할 때에 상기 홈에 대응하는 위치에 돌기 부재를 주위 설치하고, 상기 수밀 부재는 그 내부에 홈에 따라서 연신되는 보강 부재를 내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있다.
예를 들어, 상기 보강용 부재는 금속 등의 강성이 높은 재료로 이루어지는 것으로 하면 좋다. 이 구성에 따르면, 홈에 따라서 보강 부재가 주위 설치되어 있으므로, 세정고의 상부 모서리 단부의 강도가 증가한다. 일반적으로 세정고는 합성 수지로 이루어져 내측이나 외측으로 휘기 쉽지만, 보강 부재에 의해 이와 같은 휨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수밀 부재에 관통한 보강 부재를 홈에 나사 등으로 고정함으로써, 수밀 부재를 안정되게 부착할 수 있어 홈으로부터의 이탈 분리를 방지할 수 있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이루어진 본 발명에 관한 제6 식기 세정기는 전방면이 개구한 하우징과, 상기 하우징으로부터 전방으로 인출 가능하게 상면이 개구한 세정고와, 상기 하우징 내에 있어서 상기 세정고의 상면 개구를 폐쇄하는 위치와 그 상방의 후퇴 위치 사이에서 이동 가능한 상부 덮개를 구비하는 식기 세정기에 있어서,
상기 세정고의 주위벽 상부 모서리 단부에는 내부 입벽부와 외부 입벽부를 갖는 홈을 주위 설치하고, 상기 홈의 내부에 수밀 부재를 수용하는 동시에, 상기 상부 덮개의 하면에는 상기 상부 덮개가 하강할 때에 상기 홈에 대응하는 위치에 돌기 부재를 주위 설치하고, 상기 수밀 부재의 상면은 외측으로부터 내측을 향해 하부 방향으로 경사져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있다.
이 구성에 따르면, 전방으로 인출한 세정고 내에 식기류를 수용할 때 등에, 상방으로 노출한 수밀 부재 상에 물이나 음식물의 잔재 등이 떨어진 경우라도, 이들 낙하물은 수밀 부재의 상면 경사에 따라서 구르거나 또는 흘러 내려 세정고 내부로 낙하한다. 따라서, 홈이나 수밀 부재에 오염이 부착되기 어렵고, 또한 세정고의 외측으로 물이나 잔재 등이 낙하하기 어려워진다.
물론, 제5, 제6 식기 세정기에 있어서도 제4 식기 세정기와 같이, 수밀 부재가 상부 덮개가 아닌 세정고측에 설치되어 있으므로, 세정고를 인출했을 때에 수밀 부재도 노출되므로, 오염되어도 용이하게 청소를 행할 수 있는 효과도 발휘한다.
또, 제4 내지 제6 식기 세정기에서는 상기 상부 덮개의 돌기 부재의 내측에 내부를 향해 개방한 홈통형 물받이부를 설치하고, 상기 물받이부로 유입하는 소정 위치로 흘러 내리게 하는 구성으로 하면 된다. 여기서, 상기 소정 위치는 세정고가 가장 전방으로 인출된 상태에 있어서도 상기 세정고 내부가 되는 위치로 한다. 또한, 물을 유하시키는 가장 간단한 방법은 그 위치에서 물받이부가 도중에 끊긴 상태로 하는 것이다.
이 구성에서는, 세정 운전 중에 상부 덮개의 하면에 물이 끼얹어지면, 그 하면에 따라서 주위로 흐른 물은 물받이부로 회수된다. 그리고, 물받이부를 지나 최종적으로는 세정고 내로 흘러 내린다. 그로 인해, 상부 덮개의 하면에 부착된 채 길게 머무르는 일이 없다. 따라서, 세정 운전 도중에 운전이 일시 정지되어 세정고가 인출된 경우에도, 상부 덮개의 하면에 부착된 물이 직접 하우징의 내부 바닥면으로 적하하여 적셔 버리는 경우나, 또한 하우징 밖으로 누출되어 키친 바닥면을 적시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식기 세정기에 대해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우선, 도1, 도2에 의해 본 실시예(이하「제1 실시예」라 함)의 식기 세정기의 전체 구성을 설명한다. 도1 및 도2는 본 식기 세정기의 전체 구성을 도시한 개략 종단면도이며, 도1은 세정고를 하우징 내에 완전히 수납한 상태, 도2는 세정고를 하우징으로부터 인출하는 도중의 상태이다.
전방면이 개구한 하우징(1) 내부에는 상면 개구(3)를 갖는 세정고(2)가 배치되고, 세정고(2) 내부에는 식기류를 정렬 배치하기 위한 식기 바구니(4)가 설치되어 있다. 하우징(1) 내의 상방 공간에는, 세정고(2)의 상면 개구(3)를 폐쇄하기 위한 상부 덮개(5)가 전후 한 쌍의 링크(6, 6')를 포함하는 좌우 한 쌍의 평행 링크 기구에 의해 상하 이동 가능하게 배치되어 있다. 세정고(2)의 전방벽(2a)에는, 하우징(1)의 전방면 개구를 폐쇄하는 도어를 겸한 전방면 패널(7)이 착탈 가능하게 부착되어 있고, 전방면 패널(7)과 세정고(2)와는 일체로 하우징(1)의 양측벽 내측으로 대략 수평하게 가설된 안내 레일(8)에 따라서 전방으로 인출 가능하게 되어 있다.
전방면 패널(7) 상부는 차양형으로 돌출한 경사면부(7a)를 갖고 있고, 그 경사면부(7a)에는 각종 조작키나 표시기를 구비하는 조작 패널(9)이 설치되어 있다. 이 경사면부(7a)의 하측은 내측으로 오목한 손잡이부(10)로 형성되어 있고, 손잡이부(10)에는 상기 조작 수단으로서 좌우 방향으로 회전 가능한 조작 레버(11)가 설치되어 있다. 이 조작 레버(11)의 좌우 방향의 회전 동작은, 세정고(2)의 전방벽(2a)과 전방면 패널(7) 사이에서 상방으로 돌출한, 상기 래치 수단인 래치 바아(12)에 연동하고 있고, 사용자에 의한 조작 레버(11)의 조작에 연동하여 세정고(2)의 인출 동작을 저지하는(즉 래치하는) 또는 그 저지를 해제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다음에 상세하게 서술하지만, 본 식기 세정기에서는 조작 레버(11)의 조작에 연동하여 상기 래치 바아(12) 외에, 상부 덮개(5)의 상하 이동, 즉 세정고(2)의 상면 개구(3)의 폐쇄 및 개방 동작이 행해지도록 구성되어 있다. 즉, 도1에 도시한 바와 같이 세정고(2)가 하우징(1) 내에 완전히 수납된 상태에 있어서 조작 레버(11)를 래치 방향으로 회전시키면, 래치 바아(12)가 회전하여 세정고(2)를 인출할 수 없는 상태로 계지하는 동시에, 상부 덮개(5)가 하강하여 세정고(2)의 상면에 밀착하여 상면 개구(3)를 폐쇄한다. 한편, 사용자가 조작 레버(11)를 래치 해제 방향으로 회전시키면, 도2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부 덮개(5)가 상승하여 세정고(2)의 상면 개구(3)에 접촉하지 않은 상태가 되며, 또한 래치 바아(12)의 계지도 해제되므로, 세정고(2)를 하우징(1) 내부로부터 전방으로 자유롭게 인출할 수 있게 된다.
세정고(2)의 후방에는 도시하지 않은 급수 밸브를 구비한 신축 가능한 급수 호스(13)가 접속되어 있고, 급수 밸브가 개방되면 외부의 수돗 꼭지 등으로부터 공급된 물이 급수 호스(13)를 통해 세정고(2) 내로 흘러 들어가게 된다. 세정고(2)의 전방부 바닥면에는 크고 오목한 저수조(14)가 연통하여 배치되어 있고, 세정고(2) 내로 흘러 들어간 물은 저수조(14)로 유입하여 저류된다. 이 저수조(14)의 상부에는 식기 세정시에 식기로부터 흘러 떨어지는 음식물의 잔재를 포집하기 위한 메쉬형 필터(15)가 착탈 가능하게 설치되어 있다. 세정고(2)의 바닥부 중앙에는 상면에 복수의 물 분출 구멍이 형성된 회전 가능한 노즐 아암(16)이설치되고, 세정고(2)의 바닥면 하방에는 세정겸 배수 펌프(17)가 배치되어 있다. 세정겸 배수 펌프(17)는 양회전 방향으로 회전 구동 가능한 모터를 포함하고, 이 모터가 정회전 방향으로 회전할 때 세정겸 배수 펌프(17)는 세정 펌프로서 기능하고, 역회전 방향으로 회전할 때 배수 펌프로서 기능한다.
도1에 도시한 바와 같이 세정고(2)가 하우징(1) 내에 완전히 수납된 상태에 있어서 세정 운전이나 헹굼 운전시에는, 도시하지 않은 급수 밸브가 개방되어 급수 호스(13)를 통해 세정고(2) 내로 물이 공급된다. 세정고(2) 내에 공급된 물은 저수조(14)를 포함하는 세정고(2)의 바닥부에 저장된다. 이 저류수는 세정고(2)의 바닥부에 배치된 히터(18)에 의해 적절하게 가열된다. 이 상태에서 세정겸 배수 펌프(17)가 세정 펌프로서 구동되면, 저수조(14)로부터 흡인된 온수가 노즐 아암(16)으로 압송되고, 물 분출 구멍으로부터 세정고(2) 내로 분사된다. 이 분사의 기세에 의해 노즐 아암(16)은 회전한다. 이에 의해, 식기 바구니(4)에 수용되어 있는 식기류에 물이 끼얹어져 오염이 떨어진다. 식기에 부착되어 있던 음식물의 잔재는 필터(15)에 포집되고, 물은 저수조(14)로 유입하여 다시 순환하여 사용된다.
또, 도면이 번잡해지 때문에 기재를 생략하고 있지만, 세정고(2)의 전방벽(2a)과 전방면 패널(7) 사이에는 송풍 팬 등을 포함하는 송풍 수단과 배기 수단이 구비되어 있고, 건조 행정시에는 송풍 수단에 의해 세정고(2) 내에 외기가 공급되어, 그 외기는 히터(18)에 의해 가열되어 식기에 닿거나, 식기로부터 발하는 수증기를 포함하는 공기는 배기 수단에 의해 기기 밖으로 배출되도록 되어 있다.
본 식기 세정기의 주된 특징 중 하나는 상부 덮개(5)의 개폐 구동 기구에 있다. 다음에, 이에 대해 도3 내지 도9를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3 및 도4는 상부 덮개(5)의 개폐 구동 기구를 중심으로 하는 주요부 측면 구성도이며, 도3은 세정고(2)를 하우징(1) 내에 완전 수납한 상태, 도4는 세정고(2)를 하우징(1)으로부터 인출하는 도중의 상태이다. 도5는 상부 덮개(5)의 개폐 구동 기구를 중심으로 하는 주요부 정면도이다. 도6은 상부 덮개(5)의 개폐 구동 기구를 구성하는 조작 레버 주변의 주요부 상면도, 도7은 동일한 주요부 정면도, 도8은 도3 중 A부 부근의 확대도, 도9는 도8 중 D-D' 절단선 단면도이다.
상기 평행 링크 기구를 구성하는 1개의 링크(6, 6')는 대략 L자 형상의 판형 부재이며, 그 L자 형상의 짧은 변부가 연속 접촉 부재로서 기능한다. 도8, 도9에 도시한 바와 같이, 이 짧은 부재부의 전방단부에는 전후 방향으로 가늘고 긴 타원 형상 구멍(6a)이 개구되어 있고, 그 구멍(6a)에는 상부 덮개(5)의 측면에 나사 부착된 원통축(5a)이 탈락하지 않도록 삽통되고, 이에 의해 상부 덮개(5)는 구멍(6a)의 길이로 결정되는 범위에서 전후 방향으로 슬라이드 이동 가능하게 되어 있다. 한편, 상기 단편부의 다른 쪽 단부, 즉 L자의 중앙부는 하우징(1)의 측벽(1a) 내면에 나사 부착된 나사(6b)에 의해 회전 가능하게 저어널되어 있다.
또한, 전후 2개의 링크(6, 6')의 장편 단부는 대략 수평하게 연장되는 작동판(20)의 양단부에 나사(6c, 6c')에 의해 회전 가능하게 각각 피봇 장착되어 있고, 이들은 상기 작동력 전달 수단에 포함되는 작동력 부여부로서 기능한다. 하우징(1)의 측벽(1a) 내면에 있어서 상기 원통축(5a) 전방에는, 이 원통축(5a) 헤드부에 접촉하는 위치까지 돌출하여 위치 규제판(28)이 고정 부착되어 있다. 또한, 도시하지 않았지만, 후방부측의 링크(6')에서는 상기 원통축(5a)에 상당하는 원통축 후방에 동일하게 위치 규제판(28')이 고정 부착되어 있다. 즉, 상부 덮개(5)는 상술한 바와 같이 전후 방향으로 슬라이드 이동 가능하지만, 실제로는 전후 위치 규제판(28, 28')에 의해 전후 방향으로의 이동이 규제되어 있다. 이에 의해, 링크(6, 6')가 나사(6b)를 중심으로 하우징(1)에 대해 회전할 때, 상부 덮개(5)는 대략 수직으로 상하 이동하도록 되어 있다. 또한, 작동판(20)은 상부 덮개(5)와 서로 대략 평행하게 또한 수평하게 유지된 상태에서 전후 이동하도록 되어 있다.
후방부측 링크(6')의 장편부에는, 제1 압박 수단으로서 대략 수평하게 가설된 코일 스프링(21)의 일단부가 접속되고, 코일 스프링(21)의 타단부는 하우징(1)의 측벽(1a) 내측면에 고정되어 있다. 이 코일 스프링(21)은 링크(6')가 나사(6b')를 중심으로 도3에서 시계 방향으로 회전하도록 압박하고 있고, 그로 인해 상부 덮개(5)는 나사(6b, 6b')를 중심으로 상방으로 들어올리도록 압박되어 있다.
작동판(20)의 전방단부에는 제2 압박 부재로서의 소형 코일 스프링(22)을 개재 삽입하여, 작동력 전달 수단의 일부인 선형 부재로서의 와이어(23)를 구성하는 와이어 로프의 일단부가 고정되어 있다. 와이어(23)는 튜브 속을 와이어 로프가 미끄럼 이동 가능하게 삽통된 구성으로 되어 있고, 그 튜브의 일단부(23a)는 작동판(2O)과 와이어 로프와의 접속 부위보다도 후방측 하우징(1)의 측벽(1a) 내측면에고정되어 있다. 와이어(23)는 상기 접속 부위로부터 후방으로 연신되어 크게 원호를 그려 하방에 배치되고, 세정고(2)의 측벽 외측면에 대략 수평하게 형성된 와이어 안내 홈(24)에 따라서 전방으로 이송되고, 또한 전방면 패널(7)과 세정고(2)의 전방벽(2a)과의 공극으로 유도되고 있다. 또, 도3, 도4에는 도시하지 않았지만, 본 식기 세정기의 반대측면에도 마찬가지로 와이어(23')가 배치되어 있다.
도6, 도7에 도시한 바와 같이, 조작 레버(11)는 수직 방향으로 연신되는 회전 부재(25)에 고정되고, 양자는 일체로 전방면 패널(7)에 고정 부착된 부착 부재(26)에 대해 축(25a)을 중심으로 소정 범위에서 회전 가능하게 되어 있다. 회전 부재(25)와 부착 부재(26) 사이에는 코일 스프링(27)이 가설되어 있다. 이 코일 스프링(27)은 조작 레버(11)의 회전 범위의 양단부보다도 중앙부에 있어서 보다 신장되므로, 조작 레버(11)가 회전 범위의 대략 중앙에 있을 때에 그 양 방향으로 회전하도록 압박한다. 따라서, 예를 들어 래치 해제 위치에 있는 조작 레버(11)를 래치 방향으로 회전하려고 하면, 처음에는 코일 스프링(27)의 압박력에 대항하여 조작 레버(11)를 회전해야만 하므로 어느 정도의 힘을 필요로 하지만, 조작 레버(11)가 회전 범위의 대략 중앙을 통과하면, 코일 스프링(27)의 압박력은 그 회전을 돕도록 작용하므로, 큰 힘을 가하는 일 없이 조작 레버(11)는 래치 위치까지 이동한다.
도5, 도7에 도시한 바와 같이, 양 와이어(23, 23') 튜브의 타단부(23b, 23b')는 부착 부재(26)에 고정되어 있고, 각 와이어 로프의 단부는 회전 부재(25)에 고정 부착되어 있다. 따라서, 조작 레버(11)가 래치 위치에 있을 때에는 조작레버(11)와 일체로 회전하는 회전 부재(25)에 의해 와이어 로프가 견인되고, 조작 레버(11)가 래치 해제 위치로 복귀하게 되면 와이어 로프의 견인은 해제된다.
상술한 바와 같이 조작 레버(11)가 래치 위치까지 회전되어 와이어 로프가 견인되면, 작동판(201)은 코일 스프링(21)의 압축 압박력에 대항하여 후방으로 후퇴하게 된다. 회전 부재(25)는 좌우 와이어(23, 23')의 각 와이어 로프를 대략 동일 길이만큼 동시에 견인하므로, 좌우의 작동판(20)은 동일하게 후방으로 이동하고, 이에 의해 상부 덮개(5)는 대략 수직으로 하강하여 세정고(2)의 상면 개구(3)를 폐쇄한다. 또, 조립 공정상이나 부품의 균형 악화로 인해 좌우 양측의 평행 링크 기구의 동작 불균형에 의한 불균형이 있던 경우라도, 와이어 로프와 작동판(20) 사이에 개재 삽입한 코일 스프링(22)의 작용에 의해 그 불균형은 수정된다. 즉, 그러한 불균형을 위해 상부 덮개(5)가 좌우로 기울어지면서 하강하고, 좌우 어느 한 쪽에서 상부 덮개(5) 하면이 먼저 세정고(2)의 상부 모서리부에 접촉한 경우, 그 측면에서는 코일 스프링(22)이 신장함으로써 견인력이 흡수되고, 다른 쪽 측면에서는 견인력이 그대로 작용하여 상부 덮개(5)가 하강한다. 그리고, 상부 덮개(5) 전체가 세정고(2)의 상면 개구(3)를 폐쇄한 후에는 전체적으로 대략 균일하게 압박력이 작용하므로, 상부 덮개(5)와 세정고(2)의 상부 모서리부와의 밀착 부위에서는 전체 주위에 걸쳐 높은 수밀성을 달성할 수 있다.
조작 레버(11)가 래치 위치에 있는 상태로부터 래치 해제 위치까지 회전되면, 회전 부재(25)가 일체로 회전하여 좌우 와이어(23, 23')의 와이어 로프의 견인이 해제된다. 그러면, 좌우의 작동판(20)은 코일 스프링(21)의 압축력에 의해 전방으로 이동한다. 이에 의해 상부 덮개(5)는 거의 수직으로 상승하고, 세정고(2)의 상면 개구(3)를 개방한다.
이와 같이 본 식기 세정기에서는, 사용자에 의한 조작 레버(1)의 회전 조작에 따라서 세정고(2)의 인출 저지 또는 그 해제를 행할 수 있는 동시에, 상부 덮개(5)의 폐쇄 또는 개방을 행할 수 있다. 이러한 상부 덮개(5)의 개폐 구동 동작은 세정고(2)의 측벽 외측면과 하우징(1)의 측벽(1a) 내측면 사이에 형성된 좁은 공극에 배치한 와이어(23, 23')를 거쳐서 행해지므로, 하우징(1) 내의 공간을 크게 점유하는 일 없이, 세정고(2)의 용적을 크게 확보하는 데 유리하다.
다음에, 본 식기 세정기의 다른 특징인 상부 덮개(5)와 세정고(2)와의 접촉부위의 수밀 구조에 대해, 도10 내지 도12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10 및 도11은 세정고(2)의 상부 모서리부와 상부 덮개(5)와의 접촉 부위의 상세 구성을 도시한 종단면도이며, 도10은 상부 덮개(5)가 상승한 상태, 도11은 상부 덮개(5)가 하강한 상태이다. 또한, 도12는 세정고(2)의 상면도이다.
세정고(2)의 상부 모서리 단부에는 내부 입벽부(2c)와, 이보다도 높은 외부 입벽부(2d)로 이루어지는 홈이 주위 설치되어 있다. 이 홈 중에는 수밀 부재로서의 가스킷(31)이 끼워 넣어져 있다. 가스킷(31)은 상하 2단의 중공 형상 구조를 갖고 있고, 상단 중공부(31a)는 주위 방향으로 적절한 부위에 설치한 소구멍에 의해 외부와 연통하고, 홈에 삽입하지 않은 상태에서는 도10 중에 접선으로 나타낸 바와 같이 외측으로 연장된 현상으로 되어 있다. 한편, 하단 중공부(31b)는 도12에 도시한 바와 같이 네 구석의 코너부를 사이에 두고 양측에 새김 눈을 갖고 있고, 그 새김 눈으로부터 단면 대략 L자 형상의 보강 금구(32)를 내측에 삽입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보강 금구(32)는 주위 방향으로 거의 간극 없이 부착되도록, 세정고(2)의 전방변, 후방변에 대응한 짧은 직선형 부재(32b)와, 좌우 변에 대응한 긴 직선형 부재(32c)와, 4개의 코너부를 커버하는 코너 형상 부재(32a)로 이루어진다. 홈의 바닥부와 각 보강 금구(32)의 적절한 부위에는 나사 구멍이 뚫려 있고, 보강 금구(32)를 하단 중공부(31b)에 삽입한 가스킷(31)을 홈에 삽입하게 되면 홈의 바닥부 하방으로부터 나사 구멍으로 관통한 나사를 보강 금구(32)의 나사 구멍에 나사 결합하여 고정한다.
이 보강 금구(32)는 가스킷(31)을 홈에 고정하기 위한 기능을 갖는 동시에, 세정고(2)의 상부 모서리 단부를 보강하는 기능을 갖고 있다. 즉, 세정고(2)의 상부 모서리 단부는 좌우 측벽의 중앙 부근이나 전후벽의 중앙 부근 등에서 내측으로 만곡하도록 변형하기 쉽다. 그러나, 금속제로서 고강성의 보강 금구(32)를 걸침으로써, 이러한 변형을 방지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가스킷(31)은 홈에 삽입되지 않은 상태에서는 상단 중공부(31a)가 외측으로 돌출한 형상으로 되어 있다. 그로 인해, 가스킷(31)을 홈에 삽입했을 때, 그 돌출부는 수축하는 방향으로 압박되고, 홈의 외부 입벽부(2d)의 내주면에 긴밀하게 밀착한다. 또한, 이 때 가스킷(31)의 상단부는 외부 입벽부(2d)의 상단부보다도 낮아진다. 또한, 가스킷(31)은 내주측에 단차부(31c)를 갖고 있고, 홈에 부착하면 이 단차부(31c)는 내부 입벽부(2c)의 상부 모서리 단부 상에 적재한다. 상부 덮개(5)가 하강하면, 상부 덮개(5)의 최외주 돌기부재부(5b)가 가스킷(31)의 상단 중공부(31a)를 눌러 찌부러뜨리고, 그 반발력에 의해 간극 없이 밀착하여 높은 수밀성을 발휘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가스킷(31)의 상단부는 외부 입벽부(2d)의 상단부보다도 낮고, 가스킷(31)의 상면은 외측으로부터 내측을 향해 하향 경사지고, 게다가 가스킷(31)의 내주면은 내부 입벽부(2c)의 상부 모서리 단부 상에 적재되어 있다. 그로 인해, 가령 가스킷(31) 상에 물이 떨어진 경우라도, 물이 가스킷(31)을 타고 세정고(2) 내부로 흘러 내려, 외측으로는 흘러 넘치지 않는다.
게다가 또한, 상부 덮개(5)에는 돌기 부재부(5b)의 내주측에, 단면 대략 J자 형상의 합성 수지 성형품인 홈통부(30)가 부착되어 있다. 단, 이 홈통부(30)는 상부 덮개(5)의 전체 주위에 걸쳐 설치되어 있는 것은 아니며, 도2에 도시한 위치(B)보다도 후방측에만 설치되어 있고, 위치(B)에서 홈통부(30)는 도중에 끊겨 있다. 위치(B)는 세정고(2)가 최대한 인출된 경우라도 바로 아래가 세정고(2)의 범위 내가 되는 위치이다. 이러한 구조는 다음과 같은 작용을 초래한다.
즉, 상부 덮개(5)가 폐쇄되어 세정 운전이 개시되면, 노즐 아암(16)으로부터 분사된 물이 상부 덮개(5)의 하면에도 도달한다. 끼얹진 물은 상부 덮개(5)의 하면을 타고 주위로 흘러 홈통부(30) 속으로 들어간다. 그리고 홈통부(30)에 따라 흘러, 상기 새김 눈으로부터 세정고(2) 내로 흘러 내린다. 세정 운전 중에 운전이 일시 정지되어 세정고(2)가 하우징(1)으로부터 인출되었다 해도, 상기 새김 눈의 바로 아래는 세정고(2) 내부이므로, 홈통부(30)를 타고 온 물은 반드시 세정고(2) 내로 떨어져, 세정고 밖으로 물이 흘러 내리는 일이 없으며, 하우징(1)의 내부를적셔 버리거나, 또한 외측으로 누출되거나 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다음에, 본 식기 세정기의 다른 특징인 하우징(1)의 구조에 대해, 도13 내지 도16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13은 본 식기 세정기를 시스템 키친에 부착한 상태를 도시한 정면도, 도14는 동일한 측면도, 도15는 본 식기 세정기를 적재하는 적재대의 외관 사시도, 도16은 도13 중의 C-C' 절단선 단면도이다.
본 식기 세정기는 빌트인 타입이므로, 소정 치수(예를 들어, 횡폭 450 ㎜)에 들어가게 할 필요가 있다. 현재, 일반적으로는 도14에 도시한 바와 같은 적재대(81)가 사용되고 있다. 즉, 인출 등으로서 이용되는 상자의 양측벽(82)이 적재판(83)으로부터 상방으로 돌출한[돌출부(82a)] 구조로 되어 있다. 이 적재대(81)는 도13에 도시한 바와 같이 시스템 키친의 양측판(80) 사이에 수납되고, 어긋남을 방지하기 위해 돌출부(82a)와 측판(80)이 볼트 등의 고정 금구로 고정된다.
식기 세정기는 이 적재대(81)의 적재판(83) 상에 적재되는 셈이지만, 본 식기 세정기에서는 하우징(1)의 횡폭은 키친의 양측판(80) 내측의 폭보다도 약간 작은 사이즈로 되어 있고, 그 바닥부(1b)의 양측 코너부(1c)는 만곡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고, 이에 의해 돌출부(82a)와의 간섭을 회피하도록 하고 있다. 횡폭 450 ㎜의 시스템 키친에 대응한 종래의 빌트인 타입의 인출식 식기 세정기에서는 하우징의 횡폭을 적재대(81)의 양측벽(82) 내측의 수치에 맞추고 있었기 때문에 410 ㎜ 정도밖에 없지만, 본 식기 세정기에서는 하우징의 횡폭을 45O ㎜보다도 약간 작은 정도까지 넓히는 것이 가능하다. 그 만큼, 세정고(2)의 최대 횡폭도 넓힐 수 있다.
또, 세정고(2)의 바닥부에는 세정겸 배수 펌프 등을 내장한 세정고 커버가 부착되고, 이것은 세정고(2)보다도 횡폭을 작게 할 수 있으므로, 상술한 바와 같이 하우징(1)의 코너부(1c)를 만곡 형상으로 형성해도 아무런 문제는 없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식기 세정기를 시스템 키친에 조립했을 때, 본 식기 세정기의 하우징(1) 측벽(1a)과 키친 측판(80)과의 간극은 매우 근소하다. 그러나, 본 식기 세정기가 진동하면 측판(80)에 접촉하여 소음을 발생할 우려가 있으므로, 다음과 같은 구조를 채용하고 있다. 즉, 도16에 도시한 바와 같이 하우징(1) 측벽(1a) 전방 모서리부는 대략 수직으로 내측으로 절곡되고, 그 절곡부와 전방면 패널(7)과의 간극에는 맞댐 부재(33)가 설치되고, 그 맞댐 부재(33)에는 개재 장착 부재로서의 고무 등의 탄성 부재로 이루어지는 방음 가스킷(34)이 부착되어 있다. 방음 가스킷(34)은 전방면 패널(7)과 맞댐 부재(33) 사이의 간극을 폐쇄하는 동시에, 측면으로 돌출한 돌기 부재(31a)가 키친의 측판(80)에 접촉하고 있다. 이에 의해, 식기 세정기의 옆으로 벗어남을 방지할 수 있는 동시에, 식기 세정기가 진동해도 그 진동이 키친의 측판(80)에 전달되기 어려워 소음도 경감할 수 있다. 또한, 이 방음 가스킷(34)에 의해 전방면 패널(7)과 하우징(1)과의 간극이 폐쇄되므로, 불쾌 해충 등의 침입 방지에도 유효한 동시에, 세정 운전시에 하우징(1) 내에서 발생하는 각종 운전음이 외부로 새어나가기 어려워져 청음화에 유용하다. 또, 바람직하게는 마찬가지로 측판(80)에 접촉하는 돌기 부재를 갖는 탄성 부재를 하우징(1)의 후방부측에도 설치하면 좋다.
그런데, 도5 및 도13에 있어서는 하우징(1)의 양측벽(1a) 및 바닥부(1b)는 1매의 판재를 코너부(1c)가 만곡하도록 성형한 것으로서 기재되어 있지만, 본 식기 세정기에서는 이것은 원래 1매의 판 부재가 아니다. 즉, 도17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정확히 세로의 수직면에서 분할되는 대략 좌우 대칭인 2매의 판 부재(100a, 100b)를 그 바닥부의 중앙에서 맞대어 용접 등에 의해 접합한 것이다. 바닥부(1b)의 중앙을 접합 부위로 한 것은, 강도(강성)를 확보하기 위해 접합 부위가 만곡한 코너부(1c)를 피하도록 하기 위해서이다.
하우징(1)의 양측벽(1a) 및 바닥부(1b)를 1매의 판 부재로 성형하는 경우, 그 크기는 약 1600 × 600 ㎜ 정도의 꽤 큰 금속판이 필요하다. 이러한 판 부재는 롤형상의 강판으로부터 잘라내게 되지만, 사이즈가 클수록 채용율이 저하되어, 폐기되는 강판의 비율이 증가한다. 또한, 잘라낸 판 부재에 한 군데라도 흠집이 있으면 폐기되지만, 사이즈가 클수록 흠집이 날 확률이 증가하여, 이 점에 있어서도 폐기량이 증가한다. 이에 대해, 본 식기 세정기에서는 하우징(1)의 양측벽(1a) 및 바닥부(1b)를 2매의 판 부재(100a, 1O0b)로 성형하고 있으므로, 1매의 판 부재의 크기는 약 1/2이 되어, 채용율이 향상되어 폐기되는 강판의 비율이 크게 감소한다. 또한, 흠집이 날 확률도 감소하여, 흠집이 난 경우라도 폐기되는 양은 절반이 된다. 이와 같이, 본 식기 세정기에서는 재료의 사용 효율을 높일 수 있으므로, 자원의 유효 이용이라는 점에 있어서도 우수하다.
다음에, 본 식기 세정기의 다른 특징인 식기 바구니(4)의 구조에 대해, 도18 내지 도20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18은 본 식기 세정기의 식기바구니(4)의 상면도, 도19는 후술하는 식기류 수용 바구니(45)를 들어 올린 상태를 도시한 상면도, 도20은 정면도를 도시하고 있다.
이 식기 바구니(4)에 있어서는, 전후 방향으로 연신되는 축(40)을 중심으로 회전 가능하게 컵류를 적재하기 위한 상부 선반(41)이 설치되고, 그 상부 선반(41)의 최전방부에는 축(42)을 중심으로 회전 가능하게 세제 용기(43)가 설치되어 있다. 세제 용기(43)는 상면 전체가 개구한 접시형으로서, 일방향으로 경사진 바닥면의 최저부에는 세제가 흘러나오는 유출 구멍(43a)이 개구하고 있다. 한편, 하부 바구니 중의 전방측 식기류 수용 바구니(45)는 상기 축(40, 42)과 동일하게 전후 방향으로 연신되는 축(44)을 중심으로 회전 가능하게 되어 있다.
도12에 도시한 바와 같이, 세정고(2)의 바닥부 전방 우측에는 필터(15)가 배치되어 있고, 필터(15)에 포집된 잔재를 버리기 위해서는 필터(15)의 손잡이부(15a)를 잡고 세정고(2)로부터 취출할 필요가 있다. 필터(15)의 바로 위쪽에는 식기 바구니(4)가 설치되어 있어 그 상태로는 필터(15)를 취출할 수 없지만, 도20에 도시한 바와 같이 식기류 수용 바구니(45)를 회전시켜 세우면, 도19에 도시한 바와 같이 필터(15)의 손잡이부(15a)의 상방이 크게 개구한다. 따라서, 이 상태에서[또는 상부 선반(41)도 회전시킨 상태에서], 사용자가 위에서 필터(15)의 손잡이부(15a)를 손가락으로 잡고 옆으로 옮기면서 용이하게 들어 올릴 수 있다.
이 식기 세정기에서는, 특히 이 회전식 식기류 수용 바구니(45)의 축(44)을 전후 방향으로 연신시키고 있으므로, 세정고(2)를 인출할 때에 가해지는 힘에 의해 식기류 수용 바구니(45)가 회전하기 어려우므로, 식기의 덜걱거림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모든 축(40, 42, 44)이 동일 방향으로 연신되어 있으므로, 사용자가 조작을 행할 때에 이해가 용이하고 조작성이 높다.
다음에,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이하「제2 실시예」라 함)인 식기 세정기에 대해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이 제2 실시예의 식기 세정기는, 상기 제1 실시예에 의한 식기 세정기와 상부 덮개 구동 기구의 구성이 다르다. 도21은 제2 실시예에 의한 식기 세정기의 상부 덮개 구동 기구의 주요부의 측면 구성도, 도22는 정면도이다. 또, 상기 제1 실시예와 동일 또는 상당하는 구성 요소에는 동일 부호를 부여하여 설명을 생략한다.
제2 실시예의 식기 세정기에서는, 조작 레버의 수동 조작에 연동한 와이어의 견인 및 이완에 의해 평행 링크 기구를 작동시켜 상부 덮개(5)를 상하 이동시키는 대신에, 좌우의 평행 링크 기구를 결합하고, 그 결합부를 토크 모터의 구동력에 의해 견인하거나 또는 이완함으로써 상부 덮개(5)의 개폐 동작을 행하고 있다.
이 식기 세정기에서는, 평행 링크 기구를 구성하는 연속 접촉부를 포함하는 링크(6, 6')에 나사(6c)로 회전 가능하게 피봇 장착된 좌우의 작동판(20)은 세정고(2)의 바닥벽 하부를 통해 배치된 연결판 부재(50)에 의해 연결되어 있고, 그 연결판 부재(50)의 바닥부의 대략 중앙에 접속된 와이어 로프(51)를 2개의 풀리(52, 53)를 거쳐 토크 모터(54)가 견인한다. 즉, 여기서는 작동판(20) 및 연결판 부재(50)가 상기 결합 수단으로서 기능하고, 와이어 로프(51), 풀리(52, 53) 및 토크 모터(54)가 상기 구동 수단으로서 기능한다.
토크 모터(54)가 온하여 와이어 로프(51)를 견인하면, 연결판 부재(50)를 거쳐서 양측의 작동판(20)이 코일 스프링(21)의 압박력에 대항하여 후방으로 대략 수평하게 이동한다. 이에 의해, 상기 제1 실시예에 있어서 조작 레버(11)를 래치 방향으로 회전시켰을 때와 같이, 평행 링크 기구의 작용에 의해 상부 덮개(5)는 거의 수직으로 하강하고, 상부 덮개(5)가 세정고(2)의 상면 개구(3)를 폐쇄하는 위치에서 정지한다.
세정고(2)를 인출할 때에는 그에 앞서 토크 모터(54)는 오프된다. 그러면, 와이어 로프(51)는 이완하여 연결판 부재(50)의 견인을 해제하므로, 코일 스프링(21)의 압박력에 의해 연결판 부재(50)는 전방측으로 이동하고, 이에 수반하여 평행 링크 기구에 의해 상부 덮개(5)는 거의 수직으로 상승하여 세정고(2)로부터 이격한다.
또, 이 구성에서는 토크 모터(54)가 온하고 있을 때에만 상부 덮개(5)는 세정고(2)의 상면 개구(3)를 폐쇄하고 있다. 따라서, 전력 절약이나 토크 모터(54)의 장기 수명화 등을 위해서는, 토크 모터(54)의 작동 시간을 가능한 한 짧게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래서 예를 들어, 토크 모터(54)는 세정 운전의 개시 스위치가 조작되었을 때에 온되고, 운전이 종료한 후 적절한 시간적 여유를 가진 후에 신속하게 오프되도록 하면 좋다. 즉, 조작 순서로서는 사용자는 세정고(2) 내의 식기 바구니(4)에 식기를 수용한 후, 세정고(2)를 하우징(1) 내에 완전히 밀어 넣고 조작 레버(11)를 래치 위치까지 회전한다. 이 상태에서는 세정고(2)의 인출은 래치 바아(12)에 의해 저지되지만, 상부 덮개(5)는 아직 세정고(2)로부터 이격한 위치에 남아 있게 된다. 그리고, 사용자가 조작 패널(9)로 소정의 조작을 행하여 운전 개시 스위치를 조작한 후에, 토크 모터(54)가 온하여 상술한 바와 같이 상부 덮개(5)가 폐쇄된다. 그 후에, 물이 세정고(2) 내로 도입되어 세정 운전이 개시된다.
또, 이 제2 실시예의 식기 세정기는 다음과 같이 변형할 수 있다. 도23은 제3 실시예에 의한 식기 세정기의 상부 덮개 개폐 구동 기구의 주요부 측면 구성도, 도24는 조작 레버(11) 주변의 주요부 상면도이다. 또, 상기 제1, 제2 실시예와 동일 또는 상당하는 구성 요소에는 동일 부호를 붙여 설명을 생략한다.
이 제3 실시예의 식기 세정기에서는, 상부 덮개(5)의 개폐 구동 기구는 제2 실시예와 동일하다. 이 제3 실시예에서는, 또한 작동판(20)의 전방단부에 코일 스프링(22) 및 풀리(55)를 거쳐서 와이어(23)의 와이어 로프의 단부가 고정 부착되어 있다. 와이어(23)는 제1 실시예와 같이 와이어 안내 홈(24)을 지나서 전방으로 이송되고 있지만, 조작 레버(11) 주변 구조는 제1 실시예와는 다르다. 즉, 도24에 도시한 바와 같이 조작 레버(11)는 축(25a)을 중심으로 회전 가능하지만, 래치 위치와 해제 위치는 제1 실시예와는 전혀 반대이다. 코일 스프링(27)은 조작 레버(11)가 해제 위치에 오도록 회전 부재(25)를 압박하고 있다.
토크 모터(54)가 오프되어 있어 상부 덮개(5)가 세정고(2)로부터 이격한 위치에 있을 때에는, 와이어(23)의 와이어 로프는 이완하고 있어 회전 부재(25)에 힘을 미치게 하지 않으므로, 코일 스프링(27)의 압박력에 의해 조작 레버(11)는 해제 위치에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토크 모터(54)가 온하면 작동판(20)이 후방으로 이동한다. 그러면, 와이어(23)의 와이어 로프가 견인되고, 회전 부재(25)는 코일 스프링(27)의 압박력에 대항하여 회전하고, 조작 레버(11)는 래치 위치에 도달한다. 이에 의해 래치 바아(12)는 세정고(2)의 인출을 저지한다. 즉, 이 구성에 따르면 토크 모터(54)의 온/오프에 따라서 상부 덮개(5)의 개폐를 행하는 동시에, 조작 레버(11)도 회전시켜 세정고(2)의 래치 또는 그 해제를 행할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의 조작 레버(11)의 조작에 의존하지 않고, 세정 운전 중에 세정고(2)의 인출을 확실하게 저지할 수 있다.
또한, 제1 실시예의 식기 세정기에서는 적재대(81)의 측벽(82) 돌출부(82a)를 피하기 위해, 하우징(1) 코너부(1c)를 만곡 형상으로 형성하고 있었으나, 내측 세정고(2) 바닥부 커버 등에 접촉하지 않은 범위이면 다양한 형상으로 할 수 있다. 도25는 코너부(1c)를 경사지게 잘라내도록 모따기한 예이다. 또, 도26은 돌출부(82a)를 피하도록 내측으로 절곡한 예이다. 이러한 구성에 의해서도 제1 실시예와 같은 효과를 발휘하는 것은 명백하다.
또한, 제1 실시예의 식기 세정기에서는 가스킷(31)의 하단 중공부(31b)에 삽입되는 보강 금구(32)가 단면 L자 형상을 갖고 있지만, 도27에 도시한 바와 같이 단순한 단면 직사각 형상인 것이라도 좋다.
또한, 상기 각 실시예는 단순히 일예에 지나지 않으므로, 상기에 기재된 것 이외에, 본 발명의 취지 범위에서 적절하게 변경이나 수정을 행해도 되는 것은 명백하다.
본 발명은 식기 세정기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시스템 키친에 조립하기 위한 빌트인 타입에 적합한 인출식 식기 세정기에 관한 것으로, 세정고의 인출 및 압입 조작시에 외부로부터 부여되는 힘을 이용하는 일 없이 상부 덮개의 개폐를 확실하게 행하는 동시에, 상부 덮개의 개폐 기구가 큰 공간을 점유하는 일 없이 세정고의 용적을 크게 확보할 수 있는 상부 덮개의 개폐 기구를 구비한 식기 세정기를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시스템 키친으로의 빌트인이라는 조건을 충족하면서 세정고의 용적을 가능한 한 크게 확보할 수 있는 식기 세정기를 제공하고, 세정고와 상부 덮개 사이의 수밀성을 확보하기 위한 수밀 부재의 청소를 용이하게 행할 수 있는 식기 세정기를 제공한다.

Claims (20)

  1. 상면에 식기 수납 및 취출용 개구를 갖는 세정고를 전방면이 개구한 하우징으로부터 전방으로 인출 가능하게 설치한 식기 세정기에 있어서,
    a) 상기 세정고의 상면 개구를 폐쇄하기 위한 상부 덮개와,
    b) 상기 상부 덮개를 상기 하우징 내부에서 상하 이동 가능하게 보유 지지하기 위해, 상기 하우징의 측벽과 상기 상부 덮개 사이에 좌우 한 쌍이 설치된 상부 덮개 보유 지지 수단과,
    c) 상기 세정고의 전방면에 부착된 전방면판에 있어서, 사용자에 의한 수동 조작을 받아 2개의 위치 사이에서 이동하는 조작 수단과,
    d) 상기 세정고의 좌우 양측벽과 그에 대면하는 상기 하우징의 좌우 양측벽과의 간극에 각각 배치되고, 상기 조작 수단의 수동 조작에 의한 힘을 상기 상부 덮개 보유 지지 수단에 전달하여 상기 상부 덮개를 상하 이동시키는 좌우 한 쌍의 작동력 전달 수단을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식기 세정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 덮개 보유 지지 수단은 일단부가 상기 하우징의 측벽 내면에 회전 가능하게 피봇 장착되고 타단부가 상기 상부 덮개의 측부에 회전 가능하게 연계된, 전후 2개의 연속 접촉 부재를 구비하는 평행 링크 기구를 포함하고, 상기 2개의 연속 접촉 부재가 서로 대략 평행 상태를 유지하여 회전하면서 상기 상부 덮개를 상하 방향으로 이동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식기 세정기.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작동력 전달 수단은 상기 조작 수단에 의한 조작에 따라서 견인되는 선형 부재와, 상기 선형 부재의 견인에 의해 상기 평행 링크 기구를 작동시키는 작동력 부여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식기 세정기.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 덮개 보유 지지 수단은 상기 상부 덮개를 상승 방향으로 압박하는 제1 압박 수단을 포함하고, 상기 작동력 부여부는 상기 선형 부재의 견인에 의해 상기 평행 링크 기구를 상기 제1 압박 수단에 의한 압박력에 대항하는 방향으로 작동시킴으로써 상기 상부 덮개를 하강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식기 세정기.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작동력 전달 수단은 상기 선형 부재를 거친 견인 경로 중에 상기 견인력과 반대 방향으로 압박력을 갖는 제2 압박 수단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식기 세정기.
  6. 제1항 내지 제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조작 수단은 세정고가 하우징 내부에 수용되어 있는 상태로부터 그 인출을 저지하는 또는 그 저지를 해제하는 래치 수단의 조작을 겸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식기 세정기.
  7. 상면에 식기 수납 및 취출용 개구를 갖는 세정고를, 전방면이 개구한 하우징으로부터 전방으로 인출 가능하게 설치한 식기 세정기에 있어서,
    a) 상기 세정고의 상면 개구를 폐쇄하기 위한 상부 덮개와,
    b) 상기 상부 덮개를 상기 하우징의 내부에서 상하 이동 가능하게 보유 지지하는 동시에 수평 방향의 동작을 상기 상부 덮개의 상하 이동 동작으로 변환하기 위해, 상기 하우징의 측벽과 상기 상부 덮개 사이에 좌우 한 쌍이 설치된 상부 덮개 보유 지지 수단과,
    c) 상기 좌우 한 쌍의 상부 덮개 보유 지지 수단을 일체로 작동시키기 위해 양자를 결합하는 결합 수단과,
    d) 상기 결합 수단을 대략 수평 방향으로 견인하는 구동 수단을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식기 세정기.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 덮개 보유 지지 수단은 일단부가 상기 하우징의 측벽 내면에 회전 가능하게 피봇 장착되고 타단부가 상기 상부 덮개의 측부에 회전 가능하게 연계된, 전후 2개의 연속 접촉 부재를 구비하는 평행 링크 기구를 포함하고, 상기 2개의 연속 접촉 부재가 서로 대략 평행 상태를 유지하여 회전하면서 상기 상부 덮개를 상하 방향으로 이동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식기 세정기.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 덮개 보유 지지 수단 또는 결합 수단은 상기 상부 덮개를 상승 방향으로 압박하는 압박 수단을 포함하고, 상기 구동 수단에 의해 상기 평행 링크 기구를 상기 압박 수단에 의한 압박력에 대항하는 방향으로 작동시킴으로써 상부 덮개를 하강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식기 세정기.
  10. 제7항 내지 제9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사용자가 운전 개시를 지시하기 위한 지시 조작 수단과, 상기 지시 조작 수단에 의한 지시를 받으면 상기 구동 수단을 구동하여 상부 덮개에 의해 세정고의 상면 개구를 폐쇄하는 제어 수단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식기 세정기.
  11. 상면에 식기 수납 및 취출용 개구를 갖는 세정고를 전방면이 개구한 하우징으로부터 전방으로 인출 가능하게 설치한 식기 세정기로서, 소정 간격을 유지하여 세워 설치된 시스템 키친의 측판 사이에 설치된 적재대 상에 적재하여 설치되는 식기 세정기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의 양측벽 외면과 상기 세정고의 전방에 부착되는 전방면판의 양측부를 상기 측판에 대략 평행한 균일면 상태로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식기 세정기.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의 바닥벽과 양측벽 사이의 양 하부 코너부가 수직 상태보다도 내측으로 후퇴한 형상으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식기 세정기.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하부 코너부는 하우징의 판 부재를 만곡 형상, 모따기 형상, 혹은 상기 적재대의 양측벽의 돌출 형상에 맞춘 절곡 형상으로 가공되어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식기 세정기.
  14. 제11항 내지 제1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전방면판과 상기 하우징의 측벽 전방 모서리부 사이에, 측방으로 돌출하는 돌기 부재를 갖는 개재 장착 부재를 상하 방향으로 연장 설치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식기 세정기.
  15. 전방면이 개구한 하우징과, 상기 하우징으로부터 전방으로 인출 가능하게 상면이 개구한 세정고와, 상기 하우징 내에 있어서 상기 세정고의 상면 개구를 폐쇄하는 위치와 그 상방의 후퇴 위치 사이에서 이동 가능한 상부 덮개를 구비하는 식기 세정기에 있어서,
    상기 세정고의 주위벽 상부 모서리 단부에는 내부 입벽부와 외부 입벽부를 갖는 홈을 주위 설치하고, 상기 홈 내부에 수밀 부재를 수용하는 동시에, 상기 상부 덮개의 하면에는 상기 상부 덮개가 하강할 때에 상기 홈에 대응하는 위치에 돌기 부재를 주위 설치하고, 상기 외부 입벽부의 상단부는 내부 입벽부의 상단부보다도 높고, 또한 상기 수밀 부재의 상면보다도 높게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식기 세정기.
  16.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수밀 부재의 상면은 상기 내부 입벽부의 상단부보다도 높고, 또한 상기 수밀 부재에 있어서 세정고 내부를 향하는 내면측은 적어도 일부가 상기 내부 입벽부의 상단부에 적재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식기 세정기.
  17. 전방면이 개구한 하우징과, 상기 하우징으로부터 전방으로 인출 가능하게 상면이 개구한 세정고와, 상기 하우징 내에 있어서 상기 세정고의 상면 개구를 폐쇄하는 위치와 그 상방의 후퇴 위치 사이에서 이동 가능한 상부 덮개를 구비하는 식기 세정기에 있어서,
    상기 세정고의 주위벽 상부 모서리 단부에는 내부 입벽부와 외부 입벽부를 갖는 홈을 주위 설치하고, 상기 홈 내부에 수밀 부재를 수용하는 동시에, 상기 상부 덮개의 하면에는 상기 상부 덮개가 하강할 때에 상기 홈에 대응하는 위치에 돌기 부재를 주위 설치하고, 상기 수밀 부재는 그 내부로 홈에 따라서 연신되는 보강 부재를 내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식기 세정기.
  18. 전방면이 개구한 하우징과, 상기 하우징으로부터 전방으로 인출 가능하게 상면이 개구한 세정고와, 상기 하우징 내에 있어서 상기 세정고의 상면 개구를 폐쇄하는 위치와 그 상방의 후퇴 위치와의 사이에서 이동 가능한 상부 덮개를 구비하는 식기 세정기에 있어서,
    상기 세정고의 주위벽 상부 모서리 단부에는 내부 입벽부와 외부 입벽부를 갖는 홈을 주위 설치하고, 상기 홈 내부에 수밀 부재를 수용하는 동시에, 상기 상부 덮개의 하면에는 상기 상부 덮개가 하강할 때에 상기 홈에 대응하는 위치에 돌기 부재를 주위 설치하고, 상기 수밀 부재의 상면은 외측으로부터 내측을 향해 하부 방향으로 경사져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식기 세정기.
  19. 제15항 내지 제18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 덮개의 돌기 부재의 내측에 내부를 행해 개방한 홈통형의 물받이부를 설치하고, 상기 물받이부로 유입되는 물을 소정 위치로 유하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식기 세정기.
  20. 제19항에 있어서, 상기 소정 위치는 세정고가 가장 전방으로 인출된 상태에 있어서도 상기 세정고 내부가 되는 위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식기 세정기.
KR10-2002-0041417A 2001-07-18 2002-07-16 식기 세정기 KR100444122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01-00217988 2001-07-18
JP2001217988A JP3831637B2 (ja) 2001-07-18 2001-07-18 食器洗い機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0009156A true KR20030009156A (ko) 2003-01-29
KR100444122B1 KR100444122B1 (ko) 2004-08-12

Family

ID=1905223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2-0041417A KR100444122B1 (ko) 2001-07-18 2002-07-16 식기 세정기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JP (1) JP3831637B2 (ko)
KR (1) KR100444122B1 (ko)
CN (2) CN100398051C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4142527B2 (ja) * 2003-08-08 2008-09-03 リンナイ株式会社 食器洗浄機
KR100776300B1 (ko) * 2005-10-24 2007-11-15 반기수 보행자용 안전 유도블록
US7607444B2 (en) 2005-11-29 2009-10-27 Maytag Corporation Latching and sealing mechanism for a drawer-type dishwasher
US7850784B2 (en) 2005-11-29 2010-12-14 Maytag Corporation Lid seal for a drawer-type dishwasher
US7568487B2 (en) 2006-04-20 2009-08-04 Maytag Corporation Lid mechanism for a drawer-type dishwasher
US7731804B2 (en) 2006-08-09 2010-06-08 Maytag Corporation Lid operating mechanism for a drawer-type dishwasher
DE102008016480B4 (de) * 2008-03-31 2016-07-07 BSH Hausgeräte GmbH Haushaltsstandgerät, insbesondere Geschirrspülmaschine
CN110960173B (zh) * 2018-09-30 2022-11-01 青岛海尔洗碗机有限公司 一种封挡机构及洗碗机
WO2020232836A1 (zh) * 2019-05-17 2020-11-26 佛山市顺德区美的洗涤电器制造有限公司 支架组件和洗碗机
CH716912A2 (de) 2019-12-09 2021-06-15 Prins Intellectual Property Ag Schubladeneinrichtung und Deckel mit Hubmitteln.

Family Cites Familie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19512128C5 (de) * 1995-04-04 2005-05-12 Miele & Cie. Kg Vorrichtung zum Verstellen der Höhenlage des Geschirrkorbes einer Geschirrspülmaschine
KR19980015662U (ko) * 1996-09-11 1998-06-25 이영서 식기세척기의 선반자동이송장치
JP2000139799A (ja) * 1998-11-11 2000-05-23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食器洗浄機
JP3095002B2 (ja) * 1998-12-02 2000-10-03 松下電器産業株式会社 食器洗浄機
JP3417353B2 (ja) * 1999-08-16 2003-06-16 松下電器産業株式会社 食器洗い機
CN2409901Y (zh) * 2000-02-26 2000-12-13 施兆登 一种洗碗机
JP4240782B2 (ja) * 2000-08-25 2009-03-18 パナソニック株式会社 食器洗い機
JP2002238826A (ja) * 2001-02-15 2002-08-27 Sanyo Electric Co Ltd 食器洗い機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243505C (zh) 2006-03-01
JP3831637B2 (ja) 2006-10-11
CN1623493A (zh) 2005-06-08
KR100444122B1 (ko) 2004-08-12
CN100398051C (zh) 2008-07-02
JP2003024258A (ja) 2003-01-28
CN1397249A (zh) 2003-02-1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444122B1 (ko) 식기 세정기
JP2002238826A (ja) 食器洗い機
EP1417923B1 (en) Dishwasher
JP4011089B2 (ja) 食器洗い機
JP2003024261A (ja) 食器洗浄機
KR101240874B1 (ko) 식기 세척기 및 그 제어방법
JP3851334B2 (ja) 食器洗い機
JP3851333B2 (ja) 食器洗い機
JP3877540B2 (ja) 食器洗い機
JP3813626B2 (ja) 食器洗い機
JP3546809B2 (ja) 食器洗浄機
JP3813625B2 (ja) 食器洗い機
JP2005224640A (ja) 食器洗い機
KR100707429B1 (ko) 식기 세척기
JP2004049443A (ja) 食器洗浄機
JP2002051959A (ja) 引き出し式食器洗浄機
JP2005224625A (ja) 食器洗い機
KR0176680B1 (ko) 승강가능한 식기바스켓을 갖는 식기세척기
CN217517721U (zh) 一种水槽装置和菜板
JP2007282750A5 (ko)
JP2005230400A (ja) 食器洗い機
JP2000287905A (ja) 食器洗い機のアームの取付構造
JP2005342296A (ja) 食器洗い機
JPH06169821A (ja) 食器洗い機付流し台
JP4742960B2 (ja) 食器洗い機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90724

Year of fee payment: 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