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0005240A - 프로리포좀 캡슐화 제제 - Google Patents

프로리포좀 캡슐화 제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0005240A
KR20030005240A KR1020027012738A KR20027012738A KR20030005240A KR 20030005240 A KR20030005240 A KR 20030005240A KR 1020027012738 A KR1020027012738 A KR 1020027012738A KR 20027012738 A KR20027012738 A KR 20027012738A KR 20030005240 A KR20030005240 A KR 2003000524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lcohols
acid
esters
fatty
branch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2701273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가르세스호세
빌라도트페티트호셉-유이스
Original Assignee
코그니스 이베리아 에스.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코그니스 이베리아 에스.엘. filed Critical 코그니스 이베리아 에스.엘.
Publication of KR2003000524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0005240A/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19/00Preparations for care of the ski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3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 A61K8/68Sphingolipids, e.g. ceramides, cerebrosides, gangliosid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02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special physical form
    • A61K8/11Encapsulated composi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02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special physical form
    • A61K8/14Liposomes; Vesicl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3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 A61K8/31Hydrocarb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3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 A61K8/33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containing oxyge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3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 A61K8/33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containing oxygen
    • A61K8/34Alcohols
    • A61K8/342Alcohols having more than seven atoms in an unbroken chai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3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 A61K8/33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containing oxygen
    • A61K8/34Alcohols
    • A61K8/345Alcohols containing more than one hydroxy group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3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 A61K8/33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containing oxygen
    • A61K8/37Esters of carboxylic acid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3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 A61K8/55Phosphorus compounds
    • A61K8/553Phospholipids, e.g. lecithi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3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 A61K8/60Sugars; Derivatives thereof
    • A61K8/604Alkylpolyglycosides; Derivatives thereof, e.g. ester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72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 A61K8/84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otherwise than those involving only carbon-carbon unsaturated bonds
    • A61K8/86Polyether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92Oils, fats or waxes; Derivatives thereof, e.g. hydrogenation products thereof
    • A61K8/922Oils, fats or waxes; Derivatives thereof, e.g. hydrogenation products thereof of vegetable origi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15/00Anti-perspirants or body deodorant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17/00Barrier preparations; Preparations brought into direct contact with the skin for affording protection against external influences, e.g. sunlight, X-rays or other harmful rays, corrosive materials, bacteria or insect stings
    • A61Q17/04Topical preparations for affording protection against sunlight or other radiation; Topical sun tanning preparation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Public Health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Epidemiology (AREA)
  • Birds (AREA)
  • Emergency Medicine (AREA)
  • Biophysics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Dermatology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Oil, Petroleum & Natural Gas (AREA)
  • Cosmetics (AREA)
  • Medicinal Preparation (AREA)

Abstract

화장학적으로 수용가능한 용매중에서 오일 바디를 레시틴 및/또는 인지질로 처리하여 얻어질 수 있는 프로리포좀 캡슐화 제제가 개시된다.

Description

프로리포좀 캡슐화 제제 {PROLIPOSOMAL ENCAPSULATED PREPARATIONS}
간단히 오일 바디 또는 오일 성분으로 일컬어지는 화장료 오일은 화장품 및 의약 분야에 널리 사용되고 있다. 이와 관련하여, 오일 바디는 최종 사용자용 제품의 제조를 위한 수성 에멀젼의 형태로 사용될 수 있으며, 특히 이 경우에, 이들은 살포(spreading) 또는 효과적인 리펫팅(refatting)에 의해 피부에 상쾌한 감촉을 전달한다. 그러나, 화장료 오일은 또한 예를 들어 소비자용 최종 생산물의 제조를 위해 부분성분으로서 차례대로 사용되는 향수 오일 또는 색소 농축액의 반마감 제품(semifinished product)을 제조하는데 사용된다. 이와 관련하여, 양호한 용해도 및 분산성을 갖는 향료 및 수많은 친지성 액체 형태의 UV 광 보호 필터 또는 색소가 이용된다.
비록 상기 제품들이 다양한 형태 및 조성물로 상업적으로 이용되지만, 최신의 해결법도 여전히 완전히 만족스러운 것은 아니다. 따라서, 예를 들어 심지어 장기간의 저장시 및 승온된 온도에서도 더욱 높은 활성 물질의 함량을 갖으며, 화학적 조성이 (예를 들어 빛의 영향하에도) 분리되거나 변화되지 않는 방향성 오일 및 색소 농축액의 제조가 요구되고 있다. 화장료 최종 산물 분야에서, 빠르게 확산되면서도 피부 표면에 장기간동안 잔존하여, 예를 들어 지속적인 효과로 피부의 거치름을 개선시킬 수 있는 공급형의 오일 바디의 제공이 요구되고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종합적인 목적은 더욱 높은 활성의 물질 함량 및 개선된 저장 안정성을 갖는 반마감 제품 및 최적화된 감각 특성을 갖는 최종 제형의 동시 제조를 가능하게 하는 신규 공급형 오일 바디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은 화장료 분야이며, 프로리포좀 캡슐화 오일 바디(oily bodies), 그의 제조방법, 및 화장료 또는 약학 제제의 제조를 위한 상기 프로리포좀의 용도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화장학적으로 수용가능한 용매중에서 오일 바디를 레시틴 및/또는 인지질(phospholipid)로 처리하여 얻어지는 프로리포좀 캡슐화 제제를 제공한다. 상기 용어를 명확하게 하기 위하여, 프로리포좀은 물을 함유하지 않으며, 단지 이들이 수성 환경에 도입될 경우에만 물을 흡수하여 진정한 리포좀을 형성한다는 사실이 참고적으로 언급될 수 있다. 따라서, 프로리포좀 캡슐화 오일 바디는 상기 정의에 의해서 무수물이다.
놀랍게도, 프로리포좀 형태로 존재하는 오일 바디가 비캡슐화된 제품보다 개선된 성능을 가짐이 발견되었다. 특히, 프로리포좀 캡슐화 오일 바디는 피부 및 모발에 실질적으로 더욱 높은 물성을 가지며, 다시 말해 이들은 보다 빠르게 부착하면서도 빠르게 재흡수되지 않아서, 소비자가 이를 포함하는 제형은 빠르게 흡수되면서도 풍부한 것으로 인식하는 것을 의미한다. 또 다른 잇점은 향수, 색소 및 특히 UV 광 보호필터가 보다 용이하게 용해되거나 영구적으로 그속에 분산된다는것이다. 따라서, 열 스트레스하에서도 안정하며 특히 높은 활성 물질의 함량을 갖는 농축액을 제조하는 것이 가능하다.
오일 바디
적합한 오일 바디로는, 예를 들어 6 내지 18, 바람직하게는 8 내지 10의 탄소수를 갖는 지방 알콜 기재의 궤르벳(Guerbet) 알콜; 선형 C6-22지방산과 선형 또는 분지형 C6-22지방 알콜의 에스테르; 및/또는, 예를 들어 미리스틸 미리스테이트, 미리스틸 팔미테이트, 미리스틸 스테아레이트, 미리스틸 이소스테아레이트, 미리스틸 올레에이트, 미리스틸 베헤네이트, 미리스틸 에루케이트, 세틸 미리스테이트, 세틸 팔미테이트, 세틸 스테아레이트, 세틸 이소스테아레이트, 세틸 올레에이트, 세틸 베헤네이트, 세틸 에루케이트, 스테아릴 미리스테이트, 스테아릴 팔미테이트, 스테아릴 스테아레이트, 스테아릴 이소스테아레이트, 스테아릴 올레에이트, 스테아릴 베헤네이트, 스테아릴 에루케이트, 이소스테아릴 미리스테이트, 이소스테아릴 팔미테이트, 이소스테아릴 스테아레이트, 이소스테아릴 이소스테아레이트, 이소스테아릴 올레에이트, 이소스테아릴 베헤네이트, 이소스테아릴 올레에이트, 올레일 미리스테이트, 올레일 팔미테이트, 올레일 스테아레이트, 올레일 이소스테아레이트, 올레일 올레에이트, 올레일 베헤네이트, 올레일 에루케이트, 베헤닐 미리스테이트, 베헤닐 팔미테이트, 베헤닐 스테아레이트, 베헤닐 이소스테아레이트, 베헤닐 올레에이트, 베헤닐 베헤네이트, 베헤닐 에루케이트, 에루실 미리스테이트, 에루실 팔미테이트, 에루실 스테아레이트, 에루실 이소스테아레이트, 에루실 올레에이트,에루실 베헤네이트 및 에루실 에루케이트 등과 같은 선형 또는 분지형 C6-22지방 알콜과 분지형 C6-13카르복실산의 에스테르가 있다. 또한, 선형 C6-22지방산과 분지형 알콜, 더욱 바람직하게는 2-에틸 헥산올의 에스테르; C18-38알킬히드록시카르복실산과 선형 또는 분지형 C6-22지방 알콜(DE 19756377 A1참조), 더욱 구체적으로는 디옥틸 말레이트의 에스테르; 선형 및/또는 분지형 지방산과, 다가 알콜(예를 들어, 프로필렌 글리콜, 이합체(dimer) 디올 또는 삼합체(trimer) 트리올) 및/또는 궤르벳 알콜의 에스테르; C6-10지방산 기재의 트리글리세라이드; C6-18지방산 기재의 액체 모노-/디-/트리글리세라이드 ; C6-22지방 알콜 및/또는 궤르벳 알콜과, 방향족 카르복실산, 더욱 바람직하게는 벤조산의 에스테르; C2-12디카르복실산과, 1 내지 22개의 탄소 원자를 함유하는 선형 또는 분지형 알콜, 또는 2 내지 10개의 탄소 원자 및 2 내지 6개의 히드록실기를 함유하는 폴리올의 에스테르; 채소 오일; 분지형 1차 알콜, 치환된 사이클로헥산, 및 선형 및 분지형 C6-22지방 알콜 카르보네이트(예컨대, 디카프릴릴 카르보네이트(CetiolCC)); 6 내지 18개, 바람직하게는 8 내지 10개의 탄소원자를 갖는 지방 알콜 기재의 궤르벳 카르보네이트; 벤조산과 선형 및/또는 분지형 C6-22알콜(예를 들어, FinsolvTN)의 에스테르; 알킬기마다 6 내지 22개의 탄소원자를 갖는, 선형 또는 분지형, 대칭 또는 비대칭 디알킬 에테르(예컨대, 디카프릴릴 에테르(CetiolOE)); 폴리올, 실리콘 오일(특히, 사이클로메티콘, 실리콘 메티콘형 등) 및/또는 지방족 또는 나프텐족 탄화수소(예컨대, 스쿠알란, 스쿠알렌 또는 디알킬 사이클로헥산 등)와, 에폭시화 지방산 에스테르의 개환중합 산물(ring opening product)도 적합하다.
레시틴 및 인지질
용어 "레시틴"은 지방산, 글리세롤, 인산 및 콜린으로부터 에스테로화 반응 결과로서 형성되는 글리세로인지질을 의미하는 것으로써 당업자는 이해할 수 있다. 따라서, 전문가 세계에 있어서, 레시틴은 포스파티딜콜린 (PC) 및 하기 화학식 1에 일치하는 것으로 종종 언급된다:
[식중, R은 전형적으로 4개 이하의 시스(cis) 결합을 갖는 탄소수 15 내지 17의 선형 지방족 탄화수소 라디칼임]. 언급될 수 있는 캡슐화에 적합한 천연 레시틴의 예로는 포스파티드산이라도 또한 언급되고 1,2-디아실-sn-글리세롤-3-인산의 유도체를 대표하는 세팔린(cephaline)이 있다. 반대로, 인지질은 일반적으로 지방이 부여된, 글리세롤과 인산의 모노-, 바람직하게는 디에스테르(글리세롤 포스페이트)를 의미하는 것으로써 통상적으로 이해된다. 또한, 스핑고신 및 스핑고리피드도 또한 본 리포좀 캡술화에 적합하다. 리포좀의 제조를 위한 레시틴 및 인지질의 사용은, 예를 들어 문헌 [M. Schneider의Fat Sci. Technol. 94 , 524 (1992)및 U. Citernesi 등의Cosm. Toil. 110 , 57 (1995)]에 기재되어 있다. 이와 관련하여, 쉘 막(shell membrane)이 비이온성 계면활성제 및 레시틴으로 이루어진 리포좀을 공지하고 있는 유럽특허EP 0525188 B1(Takeda)이 참고적으로 언급될 수 있다.
방법
또한, 본 발명은 오일 바디를 화장학적으로 수용가능한 용매중에서 레시틴 및/또는 인지질로 처리하는 프로리포좀 캡슐화 제제의 제조방법을 제공한다. 이러한 목적을 위해서, 오일 바디를 통상적으로 초기에 용매 중에 도입하고, 30 내지 70℃의 온도에서 레시틴 또는 인지질을 접촉시킨다. 본원에서는 오일 바디 및 레시틴 및/또는 인지질을 1 : 20 내지 5 : 1, 바람직하게는 1 : 2 내지 4 : 1의 중량비로 사용할 수 있다. 적합한 용매는 바람직하게는 예를 들어 에탄올과 같은 탄소수 1 내지 4의 저급 알콜, 또는 통상적으로 둘 이상의 히드록실기를 갖는 탄소수 2 내지 15의 폴리올이다. 폴리올은 또한 추가적인 관능기, 특히 아미노기를 함유하거나, 질소로 변형시킬 수 있다. 전형적인 예로는 하기를 들 수 있다:
ㆍ 글리세롤;
ㆍ 예를 들어 에틸렌 글리콜, 디에틸렌 글리콜, 프로필렌 글리콜, 부틸렌 글리콜, 헥실렌 글리콜 및 평균 분자량 100 내지 1,000Da의 폴리에틸렌 글리콜과 같은 알킬렌 글리콜;
ㆍ 1.5 내지 10의 자기 축합도를 갖는 기술 등급의 올리고글리세롤 혼합물, 예컨대 40 내지 50 중량%의 디글리세롤 함량을 갖는 기술 등급의 디글리세롤 혼합물;
ㆍ 메틸올 화합물, 특히 트리메틸올에탄, 트리메틸올프로판, 트리메틸올부탄, 펜타에리트리톨 및 디펜타에리트리톨;
ㆍ 저급 알킬 글루코시드, 특히 알킬 라디칼내 탄소수가 1 내지 8인 것들, 예컨대 메틸 및 부틸 글루코시드;
ㆍ 탄소수 5 내지 12의 당 알콜, 예컨대 소르비톨 또는 만니톨;
ㆍ 아미노당, 예컨대 글루카민;
ㆍ 디알콜아민, 예컨대 디에탄올아민 또는 2-아미노-1,3-프로판디올.
또한, 에멀젼화제의 존재하에 캡슐화를 수행하는 것이 이로운 것으로 증명되었다. 예를 들어 하기 군 중 하나 이상으로부터 선택된 비이온생성 계면활성제가 이러한 목적을 위해 적합한다:
ㆍ 탄소수 8 내지 22의 선형 지방 알콜, 탄소수 12 내지 22의 지방산, 알킬기내 탄소수가 8 내지 15인 알킬페놀 및 알킬 라디칼내 탄소수가 8 내지 22인 알킬아민과, 2 내지 30㏖의 에틸렌 옥시드 및/또는 0 내지 5㏖의 프로필렌 옥시드와의 첨가 생산물;
ㆍ 알킬 또는 알케닐 라디칼내 탄소수가 8 내지 22인 알킬 및/또는 알케닐 올리고글리코시드 및 그의 에톡시화 유사체;
ㆍ 카스토르(castor) 오일 및/또는 수소첨가 카스토르 오일과, 1 내지 15㏖의 에틸렌 옥시드와의 첨가 생성물;
ㆍ 카스토르 오일 및/또는 수소첨가 카스토르 오일과, 15 내지 60㏖의 에틸렌 옥시드와의 첨가 생성물;
ㆍ 글리세롤 및/또는 소르비탄과, 탄소수 12 내지 22의 불포화, 선형 또는 포화, 분지형 지방산 및/또는 탄소수 3 내지 18의 히드록시카르복실산의 부분적 에스테르, 및 그와 1 내지 30㏖의 에틸렌 옥시드와의 첨가 생성물;
ㆍ 폴리글리세롤 (평균 자기 축합도 2 내지 8), 폴리에틸렌 글리콜(분자량 400 내지 5,000), 트리메틸올프로판, 펜타에리트리톨, 당알콜(예컨대, 소르비톨), 알킬 글루코시드(예컨대, 메틸 글루코시드, 부틸 글루코시드, 라우릴 글루코시드) 및 폴리글루코시드(예컨대, 셀룰로오스)와, 탄소수 12 내지 22의 포화 및/또는 불포화, 선형 또는 분지형 지방산 및/또는 탄소수 3 내지 18의 히드록시카르복실산의 부분적 에스테르, 및 그와 1 내지 30㏖의 에틸렌 옥시드와의 첨가 생성물;
ㆍ 펜타에리트리톨, 지방산, 시트르산 및독일 특허 제 1165574호에 기재된 바와 같은 지방 알콜의 혼합 에스테르, 및/또는 탄소수 6 내지 22의 지방산, 메틸글루코오스 및 폴리올, 바람직하게는 글세롤 또는 폴리글리세롤의 혼합 에스테르;
ㆍ 모노-, 디- 및 트리알킬 포스페이트, 및 모노-디- 및/또는 트리-PEG 알킬 포스페이트 및 그의 염;
ㆍ 울(wool) 왁스 알콜;
ㆍ 폴리실록산-폴리알킬-폴리에테르 공중합체 및 대응 유도체;
ㆍ 폴리에틸렌 글리콜-30 디폴리히드록시스테아레이트와 같은 블록 공중합체;
ㆍ Goodrich사의 Pemulen 등품 (TR-1, TR-2)과 같은 중합체 에멀젼화제;
ㆍ 폴리알킬렌 글리콜; 및
ㆍ 글리세롤 카르보네이트.
에틸렌 옥시드 및/또는 프로필렌 옥시드와, 지방알콜, 지방산, 알킬페놀 또는 카스토르 오일과의 첨가 생성물은 공지되어 있으며, 상업적으로 시판되는 제품이다. 이들은 평균 알콕시화도가 에틸렌 옥시드 및/또는 프로필렌 옥시드와, 첨가 반응을 수행하는 물질의 물질 함량비에 대응하는 상응 혼합물이다. 에틸렌 옥시드와 글리세롤과의 첨가 생성물의 C12/18-지방산 모노- 및 디에스테르는, 화장료 제제용 재지방화제(refatting agent)로서독일 특허 제 2024051호에 공지되어 있다.
알킬 및/또는 알케닐 올리고글리코시드, 이들의 제조 및 이들의 용도는 선행 기술로부터 공지되어 있다. 이들은, 특히 글루코오스 또는 올리고당을 탄소수 8 내지 18의 1차 알콜과 반응시키는 것에 의해서 제조된다. 글리코시드 라디칼에 대하여 환식 당 라디칼이 글리코시드 결합으로 지방 알콜에 결합된 모노글리코시드 및 바람직하게는 약 8 이하의 올리고머화도를 갖는 올리고머성 글리코시드 모두가 적합하다. 본원에서 올리고머화도는 기술 등급의 제품에 대한 통상적인 동족체 분포를 기준으로 한 통계학적 평균치이다.
전형적인 부분적 글리세라이드의 예로는, 히드록시스테아르산 모노글리세라이드, 히드록시스테아르산 디글리세라이드, 이소스테아르산 모노글리세라이드, 이소스테아르산 디글리세라이드, 올레산 모노글리세라이드, 올레산 디글리세라이드,리시놀레산 모노글리세라이드, 리시놀레산 디글리세라이드, 리놀레산 모노글리세라이드, 리놀레산 디글리세라이드, 리놀렌산 모노글리세라이드, 리놀렌산 디글리세라이드, 에루크산 모노글리세라이드, 에루크산 디글리세라이드, 타르타르산 모노글리세라이드, 타르타르산 디글리세라이드, 시트르산 모노글리세라이드, 시트르산 디글리세라이드, 말산 모노글리세라이드, 말산 디글리세라이드, 및 이들의 기술등급의 혼합물이 있으며, 이들은 제조과정중의 부차 산물로서 소량의 트리글리세라이드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부분 글리세라이드와 1 내지 30㏖, 바람직하게는 5 내지 10㏖의 에틸렌 옥시드와의 첨가 생성물도 적합하다.
적합한 소르비탄 에스테르로는, 소르비탄 모노이소스테아레이트, 소르비탄 세스퀴이소스테아레이트, 소르비탄 디이소스테아레이트, 소르비탄 트리이소스테아레이트, 소르비탄 모노올레에이트, 소르비탄 세스퀴올레에이트, 소르비탄 디올레에이트, 소르비탄 트리올레에이트, 소르비탄 모노에루케이트, 소르비탄 세스퀴에루케이트, 소르비탄 디에루케이트, 소르비탄 트리에루케이트, 소르비탄 모노리시놀레에이트, 소르비탄 세스퀴리시놀레에이트, 소르비탄 디리시놀레에이트, 소르비탄 트리리시놀레에이트, 소르비탄 모노히드록시스테아레이트, 소르비탄 세스퀴히드록시스테아레이트, 소르비탄 디히드록시스테아레이트, 소르비탄 트리히드록시스테아레이트, 소르비탄 모노타르트레이트, 소르비탄 세스퀴타르트레이트, 소르비탄 모노시트레이트, 소르비탄 세스퀴시트레이트, 소르비탄 디시트레이트, 소르비탄 트리시트레이트, 소르비탄 모노말레에이트, 소르비탄 세스퀴말레에이트, 소르비탄 디말레에이트, 소르비탄 트리말레에이트 및 이들의 기술 등급의 혼합물이 있다. 또한, 상기소르비탄 에스테르와 1 내지 30㏖, 바람직하게는 5 내지 10㏖의 에틸렌 옥시드와의 첨가 생성물도 적합하다.
적합한 폴리글리세롤 에스테르의 전형적인 예로는, 폴리글리세릴-2 디폴리히드록시스테아레이트 (Dehymuls PGPH), 폴리글리세롤-3 디이소스테아레이트 (LameformTGI), 폴리글리세릴-4 이소스테아레이트(IsolanGI 34), 폴리글리세릴-3 올레에이트, 디이소스테아로일 폴리글리세릴-3 디이소스테아레이트 (IsolanPDI), 폴리글리세릴-3 메틸글루코오스 디스테아레이트 (Tego Care450), 폴리글리세릴-3 밀랍(Beeswax)(Cera Bellina), 폴리글리세릴-4 카프레이트(폴리글리세롤 카프레이트 T2010/90), 폴리글리세릴-3 세틸 에테르(ChimexaneNL), 폴리글리세릴-3 디스테아레이트(CremophorGS 32) 및 폴리글리세릴 폴리리시놀레에이트 (Admul WOL 1403), 폴리글리세릴 디머레이트 이소스테아레이트 및 그의 혼합물이 있다. 또한 적합한 폴리올 에스테로의 예로는, 경우에 따라 1 내지 30㏖의 에틸렌 옥시드, 트리메틸올프로판 또는 펜타에리트리톨을 라우르산(lauric acid), 코코넛 지방산, 탈로우(tallow) 지방산, 팔미트산, 스테아르산, 올레산, 베헨산 등과 반응시킨 모노-, 디- 및 트리에스테르가 있다.
또한, 쯔비터이온(zwitterion)성 계면활성제가 에멀젼화제로서 사용될 수 있다. 용어 "쯔비터이온성 계면활성제"는 분자내에 하나 이상의 4급 암모늄기 및 하나 이상의 카르복실레이트 및 하나의 술포네이트기를 갖는 계면활성제 화합물에 관한 것이다. 특히 적합한 쯔비터이온성 계면활성제는, 소위 베타인, 예컨대N-알킬-N,N-디메틸암모늄 글리시네이트(예를 들어, 코코알킬디메틸암모늄 글리시네이트), N-아실아미노프로필-N,N-디메틸암모늄 글리시네이트(예를 들어, 코코아실아미노프로필디메틸암모늄 글리시네이트) 및 2-알킬-3-카르복시메틸-3-히드록시에틸이미다졸린 [각각의 경우에서, 알킬 또는 아실기의 탄소수는 8 내지 18임], 및 코코아실아미노에틸히드록시에틸카르복시메틸 글리시네이트가 있다. 특히 바람직하게는, CTFA명코카미도프로필 베타인으로 공지된 지방산 아미드 유도체이다. 또한, 적합한 에멀젼화제는 양쪽성 계면활성제이다. 용어 "양쪽성 계면활성제"는 분자내에 C8/18-알킬 또는 -아실기 이외에 하나 이상의 자유 아미노기 및 하나 이상의 -COOH 또는 -SO3H기를 함유하고, 내부 염을 형성할 수 있는 계면활성제 화합물을 의미한다. 적합한 양쪽성 계면활성제의 예로는, N-알킬글리신, N-알킬프로피온산, N-알킬아미노부티르산, N-알킬이미노디프로피온산, N-히드록시에틸-N-알킬아미도프로필글리신, N-알킬타우린, N-알킬사르코신, 2-알킬아미노프로피온산 및 알킬아미노아세트산이 있다 [각각의 경우에서, 알킬기의 탄소수는 8 내지 18임]. 특히 바람직한 양쪽성 계면활성제는 N-코코알킬아미노프로피오네이트, 코코아실아미노에틸아미노프로피오네이트 및 C12/18-아실사르코신이다. 마지막으로, 양이온성 계면활성제는 또한 적합한 에멀젼화제이며, 4급 에스테르형(ester quat type)이고, 바람직하게는 메틸-4급화된 2지방산 트리에탄올아민 에스테르염이 특히 바람직하다. 에멀젼화제의 함량은 오일 바디에 대하여 1 내지 25 중량%, 바람직하게는 1 내지 10 중량%이다.
산업상 이용가능성
본 발명에 따른 프로리포좀 캡슐화 오일 바디는, 예를 들어 헤어 샴푸, 헤어 로션, 발포 바스(foam bath), 샤워 제제, 크림, 겔, 로션, 알콜성 및 수성/알콜성 용액, 에멀젼, 왁스/지방 조성물, 스틱 제제, 파우더 또는 연고와 같은 화장료 및/또는 약학적 제제의 제조에 사용될 수 있고, 이들은 최종 제제에 대하여 0.1 내지 90 중량%, 바람직하게는 1 내지 50 중량%, 특히 3 내지 15 중량%의 함량으로 존재할 수 있다.
또한 이러한 조성물은 추가적인 보조제 및 첨가물로서 온화한 계면활성제, 과잉지방화제, 진주화 왁스(peralescent wax), 형태화제(bodying agent), 증점제(thickener), 중합체, 실리콘 화합물, 지방, 왁스, 안정화제, 생물기원 활성 성분, 탈취제, 발한 방지제, 항비듬제, 필름 형성제, 팽창제, UV 광 보호 인자, 항산화제, 보존제, 방충제, 자기 태닝제(self-tanning agent), 티로신 억제제(색소 침착 억제제), 용해제(solubilizer), 향수 오일, 염료 등을 부분적으로 포함할 수 있다. 상기에서 더욱 상세하게 설명한 바와 같이, 비캡슐화 오일 바디, 및 에멀젼화제 및 향수성 물질(저급 알콜 및/또는 폴리올)이 또한 존재할 수 있다.
계면활성제
존재할 수 있는 계면활성제 물질로는, 음이온성, 비이온성, 양이온성 및/또는 양쪽성 또는 양쪽성 계면활성제이고, 조성물내 그의 함량은 통상적으로 1 내지 70 중량%, 바람직하게는 5 내지 50 중량%, 특히 10 내지 30 중량%이다. 음이온성 계면활성제의 전형적인 예로는 비누, 알킬벤젠술포네이트, 알칸술포네이트, 올레핀술포네이트, 알킬 에테르 술포네이트, 글리세롤 에테르 술포네이트, α-메틸 에스테르 술포네이트, 술포 지방산, 알킬 술페이트, 지방 알콜 에테르 술페이트, 글리세롤 에테르 술페이트, 지방산 에테르 술페이트, 히드록시 혼합 에테르 술페이트, 모노글리세라이드 (에테르) 술페이트, 지방산 아미드 (에테르) 술페이트, 모노- 및 디알킬 술포숙시네이트, 모노- 및 디알킬 술포숙시나메이트, 술포트리글리세라이드, 아미드 비누, 에테르 카르복실산 및 그의 염, 지방산 이스에티오네이트 (isethionate), 지방산 사르코시네이트, 지방산 타우라이드, N-아실아미노산 (예컨대, 아실 락틸레이트, 아실 타르트레이트, 아실 글루타메이트 및 아실 아스파테이트 등), 알킬 올리고글루코시드 술페이트, 단백질 지방산 축합물 (특히 소맥 기재 채소 생성물) 및 알킬 (에테르) 포스페이트가 있다. 양이온 계면활성제가 폴리글리콜에테르 사슬을 함유하고 있다면, 이들은 통상의 동족체 분포를 갖지만, 바람직하게는 좁은 동족체 분포를 갖는다. 비이온성 계면활성제의 전형적인 예는, 지방 알콜 폴리글리콜 에테르, 알킬페놀 폴리글리콜 에테르, 지방산 폴리글리콜 에스테르, 지방산 아미드 폴리글리콜 에테르, 지방 아민 폴리글리콜 에테르, 알콕시화 트리글리세라이드, 혼합 에테르 및 혼합 포르말, 선택적으로 부분 산화된 알킬(또는 알케닐) 올리고글리코시드 또는 글루쿠론산 유도체, 지방산 N-알킬 글루카미드, 단백질 가수분해물(특히, 소맥 기재 채소 생성물), 폴리올 지방산 에스테르, 당 에스테르, 소르비탄 에스테르, 폴리소르베이트 및 아민 산화물이 있다. 비이온성 계면활성제가 폴리글리콜 에테르 사슬을 함유하고 있다면, 이들은 통상의 동족체 분포를 갖지만, 바람직하게는 좁은 범위의 동족체 분포를 갖는다. 양이온성 계면활성제의 전형적인 예는, 예를 들어 4급 암모늄 화합물 (예컨대, 디메틸 디스테아릴 암모늄 클로라이드) 및 4급 에스테르화물 (더욱 바람직하게는, 4급 지방산 트리알칸올아민 에스테르 염)이 있다. 양쪽성 또는 쯔비터이온성 계면활성화제의 전형적인 예로는, 알킬베타인, 알킬아미도베타인, 아미노프로피오네이트, 아미노글리시네이트, 이미다졸리늄베타인 및 술포베타인이 있다. 상기 계면활성제는 모두 공지된 화합물이다. 이들 구조 및 제조에 관한 정보는 관련 리뷰 작업 [예컨대,J. Falbe (ed.), "Surfactants in Consumer Products", Springer Verlag, Berlin, 1987, page 54-124 또는 J. Falbe (ed.), "Katalysatoren, Tenside und Mineraloladditive (Catalysts, Surfactants and Mineral Oil Additives)", Thieme Verlag, Stuttgart, 1978, page 123-217참고]에서 찾아질 수 있다. 특히 적합한 온화한, 즉 특히 피부학적으로 적합한 계면활성제의 예로는, 지방 알콜 폴리글리콜 에테르 술페이트, 모노글리세라이드 술페이트, 모노- 및/또는 디알킬 술포숙시네이트, 지방산 이스에티오네이트, 지방산 사르코시네이트, 지방산 타우라이드, 지방산 글루타메이트, α-올레핀 술포네이트, 에테르 카르복실산, 알킬 올리고글루코시드, 지방산 글루카미드, 알킬아미도베타인, 암포아세테이트 및/또는 단백질 지방산 축합물 (바람직하게는 후자는 소맥 단백질 기재임)이 있다.
지방 및 왁스
지방의 전형적인 예는 글리세라이드(즉, 필수적으로 고도 지방산이 혼합된 글리세롤 에스테르로 이루어지는 고체 또는 액체의 식물성 또는 동물성 산물)이고, 적합한 왁스로는 특히 천연 왁스, 예를 들어 칸델릴라(candelilla) 왁스, 카르나우바(carnauba) 왁스, 일본 왁스, 에스파르토그라스 왁스, 코르크 왁스, 구아루마 왁스, 미유(race oil) 왁스, 당 줄기(sugar cane) 왁스, 오루리큐리(ouricury) 왁스, 몬탄(montan) 왁스, 밀랍, 셀락(shellac) 왁스, 스퍼르마세티(spermaceti), 라놀린(울 왁스), 우로피기알(uropygial) 지방, 세레신(ceresine), 오조세라이트(ozocerite; 토양 왁스(earth wax)), 와셀린(petrolatum), 파라핀 왁스, 마이크로왁스; 또는 예를 들어 몬탄 에스테르 왁스, 사솔(sasol) 왁스, 수소화 조조바(jojoba) 왁스 등과 같은 화학적으로 변형된 왁스(경화 왁스); 또는 예를 들어 폴리알킬렌 왁스 및 폴리에틸렌 글리콜 왁스와 같은 합성 왁스가 있다.
진주화 왁스
적합한 진주화 왁스는, 예를 들어 알킬렌 글리콜 에스테르, 특히 에틸렌 글리콜 디스테아레이트; 지방산 알칸올아미드, 특히 코코넛 지방산 디에탄올아미드; 부분적 글리세라이드, 특히 스테아르산 모노글리세라이드; 다가 염기성이고, 선택적으로 히드록시 치환된 6 내지 22 개의 탄소원자를 함유하는 카르복실산의 에스테르, 특히 타르타르산의 긴사슬 에스테르; 예를 들어 지방 알콜, 지방 케톤, 지방 알데히드, 지방 에테르 및 지방 카르보네이트(이들 모두는 24개 이상의 탄소원자를 가짐) 등과 같은 지방 화합물, 특히 라우론 및 디스테아릴에테르; 스테아르산, 히드록시스테아르산 또는 베헨산, 및 12 내지 22개의 탄소원자를 함유하는 올레핀 에폭시드와, 12 내지 22개의 탄소원자를 함유하는 지방 알콜 및/또는 2 내지 15개의 탄소원자와 2 내지 10개의 히드록시기를 함유하는 폴리올 및 그의 혼합물과의 개환중합 산물 등과 같은 지방산이 있다.
형태화제 및 증점제
적합한 형태화제로는 탄소수 12 내지 22, 바람직하게는 16 내지 18의 1차 지방 알콜이 있으며, 또한 부분 글리세라이드, 지방산 또는 히드록시 지방산이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물질들과, 알킬 올리고글루코시드 및/또는 동일 사슬의 지방산 N-메틸글루카미드 및/또는 폴리글리세롤 폴리-12-히드록시스테아레이트와의 조합으로 이루어진다. 적합한 증점제는, 예를 들어 에어로실(Aerosil) 등품(친수성 실리카), 폴리사카라이드, 특히 크산탄 검(gum), 구아(guar)-구아, 아가(agar)-아가, 알기네이트 및 틸로오스, 카르복시메틸 셀룰로오스 및 히드록시에틸 셀룰로오스, 또한 지방산의 비교적 고분자량인 폴리에틸렌 글리콜과의 모노-에스테르 및 디에스테르, 폴리아크릴레이트(예를 들어 [Goodrich]로 부터의 Carbopols및 Pemulen 등품; 또는 [Sigma]로부터의 Synthalens; [Kelco]로부터의 Keltrol 등품; Seppic로부터의 Sepigel 등품; [Allied Colloid]로부터의 Salcare 등품), 폴리아크릴아미드, 중합체, 폴리비닐 알콜 및 폴리비닐 피롤리돈, 예를 들어 에톡시화 지방산 글리세라이드 및 지방산과 폴리올(예컨대, 펜타에리트리톨 또는 트리메틸올 프로판)의 에스테르와 같은 계면활성제, 좁은 동족체 범위의 지방 알콜 에톡실레이트 또는 알킬 올리고글루코시드, 및 염화나트륨 및 염화암모늄과 같은 전해질이 있다.
과잉지방화제
사용될 수 있는 과잉지방화제는, 예를 들어 라놀린 및 레시틴, 및 폴리에톡시화된 또는 아실화된 라놀린 및 레시틴 유도체, 폴리올 지방산 에스테르, 모노글리세라이드 및 지방산 알칸올아미드(후자는 또한 발포 안정화제로서 공급됨) 물질들이 있다.
안정화제
사용될 수 있는 안정화제는 예를 들어 마그네슘, 알루미늄 및/또는 아연 스테아레이트 또는 리시놀레에이트와 같은 금속염이 있다.
중합체
적합한 양이온성 중합체로는, 예를 들어 양이온성 셀룰로오스 유도체(예컨대, 명칭 Polymer JR 400으로 암머콜(Amerchol)사로부터 수득될 수 있는 4급 히드록시에틸 셀룰로오스 등), 양이온성 전분, 디알릴 암모늄 염 및 아크릴아미드의 공중합체, 4급 비닐 피롤리돈/비닐 이미다졸 중합체(예컨대, Luviquat(BASF) 등), 폴리글리콜 및 아민의 축합산물, 4급 콜라겐 폴리펩티드(예컨대, 라우릴디모늄 히드록시프로필 가수분해된 콜라겐(LamequatL, Gruenau) 등), 4급 소맥 폴리펩티드, 폴리에틸렌이민, 양이온성 실리콘 중합체(예컨대, 아미도메티콘 등), 아디프산 및 디메틸아미노히드록시프로필 디에틸렌트리아민의 공중합체(Cartaretins, Sandoz), 아크릴산과 디메틸 디알릴 암모늄 클로라이드의 공중합체(Merquat550, Chemviron), 예를 들어FR 2252840 A에 기재된 폴리아미노폴리아미드 및 그들의 가교결합 수용성 중합체, 양이온성 키틴(chitin) 유도체(예컨대, 경우에 따라 미세결정질 분산액중의 4급 키토산 등), 디할로알킬렌(예컨대 디브로모부탄)과 비스-디알킬아민(예컨대, 비스-디메틸아미노-1,3-프로판)의 축합 산물, 양이온성 구아 검(예컨대, Celanese의 JaguarCBS, JaguarC-17, JaguarC-16 등), 4급 암모늄염 중합체(예컨대, Miranol의 MirapolA-15, MirapolAD-1, MirapolAZ-1 등)이 있다.
적합한 음이온성, 쯔비터 이온성, 양쪽성 및 비이온성 중합체는, 예를 들어 비닐 아세테이트/크로톤산(crotonic acid) 공중합체, 비닐 피롤리돈/비닐 아크릴레이트 공중합체, 비닐 아세테이트/부틸 말레에이트/이소보르닐 아크릴레이트 공중합체, 메틸 비닐에테르/말레산 무수물 공중합체 및 이들의 에스테르, 비가교결합 폴리아크릴산 및 폴리올과 가교결합된 폴리아크릴산, 아크릴아미도프로필 트리메틸 암모늄 클로라이드/아크릴레이트 공중합체, 옥틸아크릴아미드/메틸 메타크릴레이트/tert-부틸아미노에틸 메타크릴레이트/2-히드록시프로필 메타크릴레이트 공중합체, 폴리비닐 피롤리돈, 비닐 피롤리돈/비닐 아세테이트 공중합체, 비닐 피롤리돈/디메틸아미노에틸 메타크릴레이트/비닐 카프로락탐 삼원공중합체, 및 이들의 임의 유도된 셀룰로오스 에테르 및 실리콘 화합물이 있다. 그외 적합한 중합체 및 증점제는 문헌 [Cosm. Toil. 108 , 95, (1993)]에서 찾아질 수 있다.
실리콘 화합물
적합한 실리콘 화합물로는, 예를 들어 디메틸 폴리실록산, 메틸페닐 폴리실록산, 환식 실리콘, 및 아미노-, 지방산-, 알콜-, 폴리에테르-, 에폭시-, 플루오린-, 글리코시드- 및/또는 알킬-변형된 실리콘 화합물이 있으며, 이들은 상온에서 액상 또는 수지상일 수 있다. 200 내지 300 개의 디메틸실록산 단위체의 평균 사슬 길이를 갖는 디메티콘과 수소화 규산염의 혼합물인 시메티콘 (simethicone)도 적합하다. 적합한 휘발성 실리콘 화합물의 상세한 리뷰는토드(Todd) 등에 의한 문헌 [Cosm. Toil. 91 , 27 (1976)]에서 추가로 찾아질 수 있다.
UV 광 보호 필터 및 항산화제
UV 보호인자는 예를 들어 상온에서 액체 또는 결정 상태이고, 자외선을 흡수할 수 있으며, 흡수된 에너지를 더 긴 파장의 복사선의 형태, 예를 들어 열로 방출할 수 있는 유기 물질(광 보호 인자)이다. UV-B 필터는 유용성(油溶性) 또는 수용성일 수 있다. 다음은 유용성 물질의 예이다:
ㆍ 3-벤질리덴 캄파(camphor) 또는 3-벤질리덴 노르캄파 및 그의 유도체, 예를 들어EP-B1 0693471에 기재된 바와 같은 3-(4-메틸벤질리덴)-캄파;
ㆍ 4-아미노벤조산 유도체, 바람직하게는 2-에틸헥실 4-(디메틸아미노)벤조에이트, 2-옥틸 4-(디메틸아미노)-벤조에이트 및 아밀 4-(디메틸아미노)-벤조에이트;
ㆍ 신남산의 에스테르, 바람직하게는 2-에틸헥실 4-메톡시신나메이트, 프로필 4-메톡시신나메이트, 이소아밀 4-메톡시신나메이트, 2-에틸헥실 2-시아노-3,3-페닐신나메이트(옥토크릴렌);
ㆍ 살리실산의 에스테르, 바람직하게는 2-에틸헥실 살리실레이트, 4-이소프로필벤질 살리실레이트, 호모멘틸 살리실레이트;
ㆍ 벤조페논의 유도체, 바람직하게는 2-히드록시-4-메톡시벤조페논, 2-히드록시-4-메톡시-4'-메톡시벤조페논, 2,2'-디히드록시-4-메톡시벤조페논;
ㆍ 벤잘말론산의 에스테르, 바람직하게는 디-2-에틸헥실 4-메톡시벤즈말로네이트;
ㆍ 예를 들어 2,4,6-트리아닐리노-(p-카르보-2'-에틸-1'-헥실옥시)-1,3,5-트리아진 및EP 0818450 A1에 기재된 옥틸 트리아존 또는 디옥틸 부타미도 트리아존(UvasorbHEB)과 같은 트리아진 유도체;
ㆍ 1-(4-tert-부틸페닐)-3-(4'-메톡시페닐) 프로판-1,3-디온과 같은 프로판-1,3-디온;
EP 0694521 B1에 기재된 케토트리사이클로(5.2.1.0)데칸 유도체.
적합한 수용성 물질은 다음과 같다:
ㆍ 2-페닐벤즈이미다졸-5-술폰산, 및 그의 알카리 금속, 알칼리 토금속, 암모늄, 알킬암모늄, 알칸올암모늄 및 글루카암모늄 염.
ㆍ 벤조페논의 술폰산 유도체, 바람직하게는 2-히드록시-4-메톡시벤조페논-5-술폰산 및 그의 염;
ㆍ 예를 들어 4-(2-옥소-3-보르닐리덴메틸)-벤젠 술폰산 및 2-메틸-5-(2-옥소-3-보르닐리덴) 술폰산 및 그의 염과 같은 3-벤질리덴 캄파의 술폰산 유도체.
전형적인 UV-A 필터로는, 특히 예를 들어 1-(4'-tert-부틸페닐)-3-(4'-메톡시페닐)-프로판-1,3-디온, 4-tert-부틸-4'-메톨시디벤조일 메탄(Parsol 1789) 또는 1-페닐-3-(4'-이소프로필페닐)-프로판-1,3-디온 및DE 19712033 A1(BASF)에 기재된 엔아민(enamine) 화합물과 같은 벤조일 메탄의 유도체가 있다. 또한, UV-A 및 UV-B 필터는 물론 혼합물의 형태로 사용될 수도 있다. 특히 바람직한 조성물은, 신남산, 바람직하게는 2-에틸헥실 4-메톡시-신나메이트 및/또는 프로필 4-메톡시신나메이트 및/또는 이소아밀 4-메톡시신나메이트와 조합한 벤조일메탄 유도체(예컨대 4-tert-부틸-4'-메톡시디벤조일메탄(Parsol1789)) 및 2-에틸헥실 2-시아노-3,3-페닐-신나메이트(옥토크실렌)로 이루어진다. 이롭게는, 상기 조합물은 예를 들어 2-페닐벤즈이미다졸-5-술폰산 및 이들의 알칼리 금속, 알칼리 토금속, 암모늄, 알킬암모늄, 알칸올암모늄 및 글루카모늄 염과 같은 수용성 필터와 조합된다. 상기 용해성 물질 외에도, 불용성 광-보호 색소제, 즉 가늘게 분산된 산화금속 또는 염이 본 발명의 목적을 위해 또한 사용될 수 있다. 적당한 산화 금속의 예로는, 특히 산화아연 및 산화 티타늄, 및 철, 지르코늄, 규소, 망간, 알루미늄 및 세륨의 산화물, 및 그의 혼합물이 있다. 규산염(탈크), 바륨 술페이트 또는 아연 스테아레이트가 염으로써 사용될 수 있다. 산화물 및 염은 피부 케어 및 피부 보호 에멀젼 및 치장 화장품에 대한 색소의 형태로 사용된다. 상기 입자는 100㎚ 미만, 바람직하게는 5 내지 50㎚, 더욱 바람직하게는 15 내지 30㎚의 평균 직경을 가져야만 한다. 이들은 구형 모양일 수 있지만, 타원형 형태 또는 그 외 다른 비구형 형태도 사용될 수 있다. 또한, 색소제를 표면-처리, 즉 친수화시키거나 소수화시킬 수 있다. 전형적인 예로는 코팅된 이산화 티타늄, 예를 들어 Titandioxid T 805(Degussa) 및 EusolexT2000(Merck)가 있다. 적합한 소수성 코팅 작용제로는 상기한 모든 실리콘, 이들 중 특히 트리알콕시옥틸실란 또는 디메티콘이 있다. 소위 마이크로- 또는 나노색소가 햇빛 보호 산물로서 바람직하게 사용된다. 마이크로화된 산화아연이 바람직하게 사용된다. 그 외의 다른 UV 광보호 필터는 P. 핀컬(Finkel)에 의한 리뷰 문헌 [SOEFW-Journal 122, 543 (1996)] 및 [Parf.Kosm. 3, 11 (1999)]에서 찾아질 수 있다.
1차 광 보호 물질로서 상기한 두 군 이외에도,항산화제형의 2차 광 보호제를 또한 사용할 수 있고; 이들은 UV가 피부를 투과하였을 때 유도되는 광화학적 연쇄반응을 방해한다. 이러한 항산화제의 전형적인 예로는 아미노산(예를 들어, 글리신, 히스티딘, 티로신, 트립토판) 및 그의 유도체; 이미다졸(예를 들어, 우로칸산) 및 그의 유도체; D,L-카르노신, D-카르노신, L-카르노신과 같은 펩티드 및 그의 유도체(예를 들어 안세린); 카로테노이드, 카로텐(예를 들어 α-카로텐, β-카로텐, 리코펜) 및 그의 유도체; 클로로겐산 및 그의 유도체; 리폰산 및 그의 유도체(예를 들어 디히드로리폰산); 아우로티오글루코오스, 프로필티오우라실 및 그 외의 티올(예를 들어 티오레독신, 글루타티온, 시스테인, 시스틴, 시스타민, 및 그의 글리코실, N-아세틸, 메틸, 에틸, 프로필, 아밀, 부틸 및 라우릴, 팔미토일, 올레일, γ-리놀레일, 콜레스테릴 및 글리세릴 에스테르), 및 그의 염; 디라우릴티오디프로피오네이트, 디스테아릴티오디프로피오네이트, 티오디프로피온산 및 그의 유도체(에스테르, 에테르, 펩티드, 리피드, 뉴클레오타이드, 뉴클레오사이드 및 그의 염); 및 극소량의 투약 허용량(예를 들어 p㏖ 내지 μ㏖/㎏)의 술폭시민 화합물(예를 들어, 부티오닌 술폭시민, 호모시스테인 술폭시민, 부티오닌 술폰, 및 펜타-, 헥사- 및 헵타티오닌 술폭시민); 또한, (금속) 킬레이트화제(예를 들어, α-히드록시 지방산, 팔미트산, 피트산, 락토페린); α-히드록시산(예를 들어, 시트르산, 락트산, 말산); 훔산(humic acid); 담즙산; 담즙 추출물(bile extract); 빌리루빈(bilirubin); 빌리버르딘(biliverdin); EDTA; EGTA 및 그의 유도체; 불포화 지방산 및 그의 유도체(예를 들어 γ-리놀렌산, 리놀레산, 올레산); 엽산 및 그의 유도체; 유비퀴논(ubiquinone) 및 유비퀴놀 및 그의 유도체; 비타민 C 및 그의 유도체(예를 들어, 아스코르빌 팔미테이트, 마그네슘 아스코르빌 포스페이트, 아스코르빌 아세테이트); 토코페롤 및 그의 유도체(예를 들어 비타민 E 아세테이트); 비타민 A 및 그의 유도체(비타민 A 팔미테이트); 및 벤조인 고무의 코니페릴 벤조에이트; 루틴산 및 그의 유도체; α-글리코실 루틴; 페룰산(ferulic acid); 푸르푸릴리덴 글루시톨; 카르노신; 부틸 히드록시톨루엔; 부틸 히드록시아니솔; 노르디히드로구아이악산(nordihydroguaiac acid); 노르디히드로구아이아레트산; 트리히드록시부티로페논; 우르산(uric acid) 및 그의 유도체; 만노오스 및 그의 유도체; 슈퍼옥시드-디스뮤타아제(Superoxid-Dismutase); 아연 및 그의 유도체(예를 들어, ZnO, ZnSO4), 셀레니움 및 그의 유도체(예를 들어 셀레노메티오닌); 스틸벤 및 그의 유도체(예를 들어, 스틸벤 산화물, 트랜스-스틸벤 산화물); 및 본 발명에 적합한 이러한 활성 성분의 유도체(염, 에스테르, 에테르, 당, 뉴클레오타이드, 뉴클레오사이드, 펩티드 및 리피드)가 있다. 본원에서는 카로티노이드 및 히드록시카르복실산의 혼합물이 제일 바람직하다.
생물기원 활성 성분
생물기원 활성 성분은, 예를 들어 토코페롤, 토코페롤 아세테이트, 토코페롤팔미테이트, 아스코르브산, (디옥시)리보핵산 및 그의 절편 산물, 키토산, 레티놀, 비사볼롤(bisabolol), 알란토인(allantoin), 피탄트리올, 판테놀, AHA산, 아미노산, 세라미드, 슈도세라미드, 필수 오일, 식물 추출물 및 비타민 복합체를 의미하는 것으로써 이해될 수 있다.
탈취제 및 항균제
화장료용 탈취제는 체내 악취를 억제하거나, 감추거나 또는 제거한다. 체내 악취는 불쾌한 냄새의 분해 산물을 형성케 하는 아포크린 땀샘에서의 피부 박테리아의 작용을 통해 형성된다. 따라서, 탈취제는 항균제, 효소 억제제, 악취 흡수제 또는 악취 마스커(masker)로서 작용하는 활성 성분을 함유한다. 기본적으로, 적합한 항균제로는, 예를 들어 4-히드록시벤조산 및 그의 염과 에스테르, N-(4-콜로로페닐)-N'-(3,4-디클로로페닐)-우레아, 2,4,4'-트리클로로-2'-히드록시디페닐에테르 (트리클로산), 4-클로로-3,5-디메틸페놀, 2,2'-메틸렌-비스-(6-브로모-4-클로로페놀), 3-메틸-4-(1-메틸에틸)-페놀, 2-벤질-4-클로로페놀, 3-(4-클로로-페녹시)-1,2-프로판디올, 3-요오도-2-프로피닐 부틸 카르바메이트, 클로로헥시딘, 3,4,4'-트리클로로카르바닐리드(TTC), 항균 향수, 타이몰(thymol), 백리향 오일, 유게놀(eugenol), 클로버 오일, 멘톨, 민트 오일, 파르네솔(farnesol), 페녹시에탄올, 글리세롤 모노카프레이트, 글리세롤 모노카프릴레이트, 글리세롤 모노라우레이트(GML), 디글리세롤 모노카프레이트(DMC), 예를 들어 n-옥틸 살리실아미드 또는 n-데실 살리실아미드와 같은 살리실산 N-알킬아미드와 같이 그람-양성 박테리아에 대해 작용하는 모든 유효 물질이다.
적합한 효소 억제제로는, 예를 들어 에스테라아제 억제제가 있다. 에스테라아제 억제제는, 바람직하게는 트리메틸 시트레이트, 트리프로필 시트레이트, 트리이소프로필 시트레이트, 트리부틸 시트레이트와 같은 트리알킬 시트레이트, 특히 트리에틸 시트레이트(HydagenCAT)가 있다. 이런 물질은 효소활성을 억제하여 악취 형성을 감소시킨다. 다른 에스테라아제 억제제 물질로는 예를 들어 라노스테롤, 콜레스테롤, 캄페스테롤, 스티그마스테롤, 시토스테롤 술페이트 또는 포스페이트 등과 같은 스테롤 술페이트 또는 포스페이트, 및 그의 디카르복실산 및 에스테르, 예를 들어 글루타르산, 모노에틸 글루타레이트, 디에틸 글루타레이트, 아디프산, 모노에틸 아디페이트, 디에틸 아디페이트, 말론산 및 디에틸 말로네이트, 히드록시카르복실산 및 그의 에스테르, 예컨대 시트르산, 말산, 타르타르산 또는 디에틸 타르트레이트, 및 아연 글리시네이트가 있다.
적합한 악취 흡수제는 악취 형성 화합물을 흡수할 수 있고, 다량 유지할 수 있는 물질이다. 이들은 개개 성분의 부분 압력을 줄여서, 악취성분이 확산되는 속도를 줄일 수 있다. 이러한 과정에서, 향수는 약화됨 없이 유지되어야만 하는 것이 중요하다. 악취 흡수제는 박테리아에 대해서는 활성이 없다. 이들은, 주요성분으로써 예를 들어 리시놀레산의 아연 착염, 또는 예를 들어 라다눔(radanum) 또는 때죽나무(styrax)의 추출물 또는 일정한 아비에트산 유도체와 같은 "고착제(fixateur)"로서 알려져 있는 많은 천연 향기의 특정한 향수를 포함한다. 악취 마스킹제는 이들의 악취 감춤 기능 이외에도, 탈취제에 이들 각각의 향수 특성을 부여한 향수 또는 향수 오일이다. 적합한 향수 오일은, 예를 들어 천연 및 합성 향수의 혼합물이다. 천연향수는 꽃, 줄기와 잎, 과일, 과일껍질, 뿌리, 목질, 약초와 목초, 침상옆(needle)과 가지(branch), 수지 및 발삼(balsam)의 추출물을 포함한다. 동물원료, 예를 들어 사향액 및 비버(beaver)도 사용될 수 있다. 전형적인 합성 향수 화합물은, 에스테르, 에테르, 알데히드, 케톤, 알콜 및 탄화수소 형태의 산물이다. 에스테르 형태의 향수 화합물의 예로는, 벤질 아세테이트, p-tert-부틸 사이클로헥실아세테이트, 리날릴(linalyl) 아세테이트, 페닐 에틸 아세테이트, 리날릴 벤조에이트, 벤질 포르메이트, 알릴 사이클로헥실 프로피오네이트, 스티랄릴프로피오네이트 및 벤질 살리실레이트가 있다. 에테르는 예를 들어 벤질 에틸 에테르를 포함하며, 알데히드는 예를 들어 8 내지 18개의 탄소원자를 함유하는 선형 알카날, 시트랄, 시트로넬랄, 시트로넬릴옥시아세트알데히드, 시클라멘 알데히드, 히드록시-시트로넬랄, 릴리알 및 보르지오날(bourgeonal)을 포함한다. 적합한 케톤의 예로는 이오논(ionone) 및 메틸 세드릴 케톤을 포함하고, 알콜은 아네톨, 시트로넬롤, 유게놀, 이소유게놀, 게라니올, 리나로올, 페닐에틸 알콜 및 테르피네올을 포함하며, 탄화수소로는 주로 테르펜 및 발삼을 포함한다. 그러나, 적당한 향기를 함께 생산하는 다른 향수 화합물의 혼합물을 사용하는 것도 바람직하다. 방향 성분으로써 주로 사용되는, 비교적 낮은 휘발성을 갖는 필수 오일이 향수 오일로서 적합하며, 예를 들어, 샐비어 오일, 카밀레 오일, 클로버 오일, 멜리사 오일, 민트 오일, 육계나무 잎 오일, 라임나무-꽃 오일, 향나무 베리(berry) 오일, 베티버(vetiver) 오일, 올리바눔 오일, 갈바눔 오일, 라다눔 오일 및 라벤딘 오일이 있다. 바람직하게는 다음을 사용한다: 베르가모트(bergamot) 오일, 디히드로마이르세놀, 릴리알, 라이알, 시트로넬올, 페닐에틸 알콜, α-히드록시-신남알데히드, 게라니올, 벤질 아세톤, 시클라멘 알데히드, 리날로올, 보이삼브렌 포르테(Boisambrene Forte), 암브록산(Ambroxan), 인돌, 헤디온, 산델리스, 레몬 오일, 만다린 오일, 오렌지 오일, 알릴아밀 글리콜레이트, 시클로버르탈 (cyclovertal), 라벤딘 오일, 클라리 오일, β-다마스콘, 게라늄 오일 부르봉(bourbon), 시클로헥실 살리실레이트, 베르토픽스 코우르(Vertofix Coeur), Iso-E-Super, Fixolide NP, 에베르닐, 이라데인 감마, 페닐아세트산, 게라닐 아세테이트, 벤질 아세테이트, 로오즈 산화물, 로밀라트, 이로틸 및 플로라마트 또는 이의 혼합물.
발한방지제는 외분비 한선(汗腺; eccrine sweat gland)의 활성에 영향을 미침으로써 발한을 줄여, 겨드랑이 밑의 습기 및 체내 악취를 줄인다. 수성 또는 무수 발한방지제 제형은 전형적으로 다음의 성분을 함유한다.
ㆍ 수축성 활성 성분;
ㆍ 오일 성분;
ㆍ 비이온성 에멀젼화제;
ㆍ 보조 에멀젼화제;
ㆍ 형태화제;
ㆍ 증점제 또는 복합 작용제와 같은 보조제; 및/또는
ㆍ 에탄올, 프로필렌 글리콜 및/또는 글리세롤과 같은 비수성 용매.
적합한 수축성 발한방지제 활성 성분은, 우선 알루미늄, 지르코늄 또는 아연의 염들이다. 이러한 적합한 항습성 활성 성분(antihydrotic agent)는, 예를 들어 염화 알루미늄, 알루미늄 클로로히드레이트, 알루미늄 디클로로히드레이트, 알루미늄 세스퀴클로로히드레이트 및 이들의 복합 화합물, 예를 들어 1,2-프로필렌 글리콜, 알루미늄 히드록시알란토이네이트, 알루미늄 클로라이드 타르트레이트, 알루미늄 지르코늄 트리클로로히드레이트, 알루미늄 지르코늄 테트라클로로히드레이트, 알루미늄 지르코늄 펜타클로로히드레이트, 및 예를 들어 글리신과 같은 아미노산을 갖는 이들의 복합화합물이 있다. 또한, 통상적인 유용성 및 수용성 보조제가 발한 방지제에 대하여 소량 존재할 수 있다. 이와 같은 유용성 보조제로는, 예를 들어 다음을 포함한다:
ㆍ 항염증, 피보-보호 또는 항수성의 필수 오일;
ㆍ 합성 피부 보호 활성 성분; 및/또는
ㆍ 유용성 향수 오일.
통상적인 수용성 첨가제로는, 예를 들어 보존제, 수용성 향수, pH 조절제(예컨대, 완충액 혼합물), 수용성 증점제(예를 들어 크산탄 검, 히드록시에틸 셀룰로오스, 폴리비닐 피롤리돈 또는 고분자량 폴리에틸렌 옥시드와 같은 수용성 천연 또는 합성 중합체)가 있다.
필름 형성제
통상적인 필름 형성제는, 예를 들어 키토산, 미세결정 키토산, 4급 키토산, 폴리비닐 피롤리돈, 비닐 피롤리돈/비닐 아세테이트 공중합체, 아크릴산류의 중합체, 4급 셀룰로오스 유도체, 콜라겐, 히알루론산(hyaluronic acid) 및 그의 염, 및 그의 유사체 화합물이 있다.
항비듬 활성 성분
적합한 항비듬 활성 성분은, 피록톤 올라민(Piroctone Olamine; 1-히드록시-4-메틸-6-(2,4,4-트리메틸펜틸)-2-(1H)-피리디논 모노에탄올아민 염), Baypival(Climbazole), Ketoconazole(4-아세틸-1-{4-[2-(2,4-디클로로페닐) r-2-(1H-이미다졸-1-일메틸)-1,3-디옥실란-c-4-일메톡시-페닐}-피페라진, 케토코나졸, 에루비올(elubiol), 셀레늄 디술피드, 콜로이드성 황, 황 폴리에틸렌 글리콜 소르비탄 모노올레에이트, 황 리시놀 폴리에톡실레이트, 황 타르 증류액, 살리실산(또는, 헥사클로로펜과의 조합물), 운데실렌산 모노에탄올아미드 술포숙시네이트 Na 염, LameponUD(단백질 운데실렌산 축합물), 아연 피리티온, 알루미늄 피리티온 및 마그네슘 피리티온/디피리티온 마그네슘 술페이트가 있다.
팽창제
수상용 팽창제는, 몬트모릴론나이트(montmorillonite), 점토(clay) 광물, 페물렌(Pemulen) 및 알킬 변형된 카르보폴 등품(Pemulen and alkyl-modified Carbopol type; Goodrich)이 있다. 그 외의 적합한 중합체 및 팽창제는 알. 로취헤드(R. Lochhead) 등에 의한 리뷰문헌[Cosm. Toil. 108 , 95 (1993)]에서 찾아질 수 있다.
방충제
적합한 방충제는 N,N-디에틸-m-톨루아미드, 1,2-펜탄디올 또는 에틸 부틸아세틸아미노프로피오네이트가 있다.
자기 태닝제 및 색소침착 억제제
적합한 자기-태닝제로는 디히드록시아세톤이 있다. 멜라닌의 형성을 방해하여 색소침착 억제제로 사용되는 적합한 티로신 억제제는, 예를 들어 아르부틴(arbutin), 페루산(ferulic acid), 코지산, 코우마르산(coumaric acid) 및 아스코르브산(비타민 C)이 있다.
보존제
적합한 보존제는, 예를 들어 페녹시에탄올, 포름알데히드 용액, 파라벤, 펜탄디올 또는 소르브산, 및 '화장품 지시록'의 파트 A 및 B, 첨부 6내에 기재된 다른 부류의 화합물이 있다.
향수 오일
언급될 수 있는 향수 오일로는, 천연 및 합성 향수의 혼합물이 있다. 천연 향수는, 꽃(백합, 라벤다, 장미, 자스민, 등자나무, 일랑일랑나무), 줄기 및 잎(게라늄, 파촐리, 페티트그레인(petitgrain)), 과실(아니스, 고수(coriander), 애기회향, 향나무), 뿌리(육두구, 안젤리카, 셀러리, 카더몬, 코스투스(costus), 붓꽃, 칼무스), 목질부(송림, 백단, 구아이아쿰 나무, 개잎갈나무, 자단), 약초 및 목초(타라곤, 레몬 풀잎, 샐비어, 백리향), 침상옆 및 가지(가문비나무, 전나무, 소나무, 작은 소나무(dwarf pine)), 수지 및 발삼(갤버넘, 엘레미, 벤조인 수지, 몰약, 올리바눔, 오포파낙스)의 추출물이 있다. 동물 원료, 예를 들어 사향액 및 비버도 사용될 수 있다. 전형적인 합성 향수 화합물은 에스테르, 에테르, 알데히드, 케톤, 알콜 및 탄화수소 형태의 산물이다. 에스테르 형태의 향수 화합물의 예로는, 벤질 아세테이트, 페녹시에틸 이소부티레이트, p-tert-부틸 사이클로헥실아세테이트, 리날릴 아세테이트, 디메틸 벤질 카르비닐 아세테이트, 페닐 에틸 아세테이트, 리날릴 벤조에이트, 벤질 포르메이트, 에틸메틸 페닐 글리시네이트, 알릴 사이클로헥실 프로피오네이트, 스티랄릴 프로피오네이트 및 벤질 살리실레이트가 있다. 에테르는, 예를 들어 벤질 에틸 에테르를 포함하며, 알데히드는 예를 들어 8 내지 18 탄소원자를 함유하는 선형 알카날, 시트랄, 시트로넬랄, 시트로넬릴옥시아세트알데히드, 시클라멘 알데히드, 히드록시시트로넬랄, 릴리알 및 보르지오날을 포함한다. 적합한 케톤의 예로는 이오논, α-이소메틸이오논 및 메틸 세드릴 케톤이 있다. 적합한 알콜은 아네톨, 시트로넨올, 유게놀, 이소유게놀, 게라니올, 리나로올, 페닐에틸 알콜 및 테르피네올이 있다. 탄화수소로는 주로 테르펜 및 발삼을 포함한다. 그러나, 적당한 방향성을 함께 생산하는 다른 향수 화합물의 혼합물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다른 적합한 향수 오일은 방향 성분으로써 주로 사용되는, 비교적 낮은 휘발성을 갖는 필수 오일이다. 예를 들어, 샐비어 오일, 카모밀 오일, 클로버 오일, 멜리사 오일, 민트 오일, 육계나무 잎 오일, 라임나무-꽃 오일, 향나무 베리 오일, 베티버 오일, 올리바눔 오일, 갈바눔 오일, 라다눔 오일 및 라벤딘 오일이 있다. 바람직하게는 다음을 개별적으로 각각 또는 혼합물의 형태로 사용한다: 베르가모트 오일, 디히드로마이르세놀, 릴리알, 라이알, 시트로넬올, 페닐에틸 알콜, α-히드록시-신남알데히드, 게라니올, 벤질 아세톤, 시클라멘 알데히드, 리날로올, 보이삼브렌 포르테, 암브록산, 인돌, 헤디온, 산델리스, 시트루스 오일, 만다린 오일, 오렌지 오일, 알릴아밀 글리콜레이트, 시클로버르탈, 라벤딘 오일, 클라리 오일, β-다마스콘, 게라늄 오일 부르봉, 시클로헥실 살리실레이트,베르토픽스 코우르, Iso-E-Super, Fixolide NP, 에베르닐, 이라데인 감마, 페닐아세트산, 게라닐 아세테이트, 벤질 아세테이트, 로오즈 산화물, 로밀라트, 이로틸 및 플로라마트.
염료
사용될 수 있는 염료는, 예를 들어 문헌 [Farbstoffkommission der Deutschen Forschungs-gemeinschaft(독일 연구 협회 염료 위원회, Verlag Chemie, Weinheim, 1984, pp. 81 내지 106A Kosmetische Farbemittel(착색 화장료)]에 나열된, 화장품 목적에 적합하고 승인된 물질이 있다. 이러한 염료는 일반적으로 전체 혼합물에 대하여 0.001 내지 0.1 중량%의 농도로 사용된다.
보조제 및 첨가물의 총량은 조성물에 대하여 1 내지 50 중량%, 바람직하게는 5 내지 40 중량%일 수 있다. 조성물은 표준 냉각 또는 가열 방법에 의해서 제조될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상 전이 온도법을 사용한다.
[실시예 P1]
10g의 스쿠알란 (CetiolSQ, 코그니스 도이칠랜드 GmbH), 21.5g의 프로필렌 글리콜, 3g의 소르비탄 모노스테아레이트 + 20EO (EumulginSMS 20, 코그니스 도이칠랜드 GmbH) 및 0.5g의 보존제 (Phenonip)를 초기에 교반장치에 도입하고, 65g의 분말 콩 레시틴 (오일성 물질 : 레시틴 (중량비) = 1 : 6.5)을 첨가하였다. 균일하고, 투명한 용액이 형성될 때까지 혼합물을 65℃로 가열한 다음, 용해되지 않은 레시틴을 분리제거하기 위해서 여과하였다. 혼합물을 물로 도입하여, 평균직경 150㎚의 리포좀을 수득하였다.
[실시예 P2]
22g의 디카프릴일 에테르 (CetiolOE, 코그니스 도이칠랜드 GmbH) 및 5g의 코코글루코시드 (PlantcareAPG 1200, 코그니스 도이칠랜드 GmbH)의 혼합물을 초기에 교반 장치에 도입하고, 44g의 분말 콩 레시틴 (오일성 물질 : 레시틴 (중량비) = 1 : 2)을 첨가하였다. 혼합물에 33g의 프로필렌 글리콜을 첨가하여 희석하고, 균질하고 투명한 용액이 형성될 때까지 65℃로 가열하면서 교반한 다음, 용해되지 않은 레시틴을 분리제거하기 위해 여과하였다. 혼합물을 물로 도입하여, 평균 직경 150㎚의 리포좀을 수득하였다.
[실시예 P3]
20g의 디카프릴일 카르보네이트 (CetiolCC, 코그니스 도이칠랜드 GmbH) 및 5g의 코코글루코시드(PlantcareAPG 1200, 코그니스 도이칠랜드 GmbH)의 혼합물을 초기에 교반 장치에 도입하고, 60g의 분말 콩 레시틴 (오일성 물질 : 레시틴 (중량비) = 1 : 3)을 첨가하였다. 혼합물에 33g의 디프로필렌 글리콜을 첨가하여 희석하고, 균질하고 투명한 용액이 형성될 때까지 65℃로 가열하면서 교반한 다음, 용해되지 않은 레시틴을 분리제거하기 위해 여과하였다. 혼합물을 물로 도입하여, 평균 직경 150㎚의 리포좀을 수득하였다.
[실시예 P4]
50g의 코코글리세라이드 (Myritol331, 코그니스 도이칠랜드 GmbH) 및 5g의 소르비탄 세스퀴올레에이트 + 20EO (EumulginSSO 20, 코그니스 도이칠랜드 GmbH)의 혼합물을 초기에 교반 장치에 도입하고, 50g의 분말 콩 레시틴 (오일성 물질 : 레시틴 (중량비) = 1 : 1)을 첨가하였다. 혼합물에 35g의 글리세롤을 첨가하여 희석하고, 균질하고 투명한 용액이 형성될 때까지 65℃로 가열하면서 교반한 다음, 용해되지 않은 레시틴을 분리제거하기 위해 여과하였다. 혼합물을 물로 도입하여, 평균 직경 150㎚의 리포좀을 수득하였다.
[성능 검사]
다른 유용성(油溶性) 광보호 필터 및 프로리포좀 또는 비캡슐화된 오일 바디를 농축액을 제조하고, 저장시 및 온도의 영향하에 이들의 안정성을 검사하였다. 그 결과를 표 1에 요약하였다. (+)는 안정한 것을 의미하고, (-)는 불안정한 것, 즉 필터의 침적을 의미한다. 실시예 1 내지 6은 본 발명에 따른 것이며, 실시예 C1 내지 C6는 비교예로서 사용된 것이다.
광 보호 필터 농축액의 안정성
조성물 1 2 3 4 5 6 C1 C2 C3 C4 C5 C6
스쿠알란 (P1) 80 - - 80 - - - - - - - -
디카프릴일 에테르 (P2) 80 80
디카프릴일 카르보네이트 (P3) 80 80
스쿠알란 (비캡슐화) 90 80 80 80
디카프릴일 에테르 (비캡슐화) 90
디키프릴일 카르보네이트(비캡슐화) 90
3-벤질리덴캄파 20 20 10 10 10 20
2-에틸헥실 살리실레이트 20 20 20
디옥틸부타미도트리아존 20 20 20
안정성
- 즉시 + + + + + + + + + + - -
- 1주일 후 (20℃) + + + + + + + - + - - -
- 4주일 후 (40℃) + + + + + + - - - - - -
표 2는 본 프로리포좀 캡슐화 오일 바디를 사용하는 스킨케어 산물에 대한 일련의 제형 실시예를 나타낸다.
화장료 제제 (물, 보존제를 첨가하여 100중량%가 되도록 함)
조성물 (INCI) 1 2 3 4 5 6 7 8 9 10
Emulgade SE글리세릴 스테아레이트 (및)세테아레트 12/20 (및)세틸 팔미테이트 5.0 5.0 5.0 4.0 5.0 4.0 - - - -
Emulgin B1세테아레트-12 - - - 1.0 - 1.0 - - - -
Lameform TGI폴리글리세릴-3 이소스테아레이트 - - - - - - 4.0 - 4.0 -
Dehymuls PGPH폴리글리세릴-2디폴리히드록시스테아레이트 - - - - - - - 4.0 - 4.0
Monomuls 90-O 18글리세릴 올레에이트 - - - - - - 2.0 - 2.0 -
Cetiol HEPEG-7 글리세릴 코코에이트 - - - - - - - 2.0 - 2.0
Cetiol SQ 프로리포좀실시예 1에서와 같은 스쿠알란 3.0 - 3.0 3.0 - 4.0 5.0 5.0 5.0 5.0
Cetiol OE 프로리포좀실시예 2에서와 같은디카프릴일 에테르 3.0 1.0 - - - 1.0 5.0 6.0 - -
Cetiol CC 프로리포좀실시예 3에서와 같은디카프릴일 카르보네이트 - 3.0 4.0 - 4.0 2.0 - - 5.0 6.0
Cetiol PGL헥실데칸올 (및) 헥실데실라우레이트 - - - 3.0 - - 10.0 9.0 10.0 9.0
Cetiol V데실 올레에이트 3.0 3.0 3.0 - 4.0 - - - - -
밀랍(Beewax) - - - - - - 7.0 5.0 7.0 5.0
Nutrilan Elastin E20가수분해된 엘라스틴 2.0 2.0 - - - - - - - -
Nutrilan I-50가수분해된 콜라겐 - - 2.0 - 2.0 - - - - -
Gluadin AGP가수분해된 소맥 글루텐 - - - 0.5 - 0.5 - - - -
Gluadin WK나트륨 코코일 가수분해된소맥 단백질 - - - - - - 0.5 0.5 0.5 0.5
Arlyon F라우레트-2 - 2.0 - - 2.0 2.0 - - 2.0 2.0
Highcareen GS베타글루칸 1.0 1.0 1.0 1.0 1.0 1.0 1.0 1.0 1.0 1.0
Hydagen CMF키토산 1.0 1.0 1.0 1.0 1.0 1.0 1.0 1.0 1.0 1.0
마그네슘 술페이트 헵타 히드레이트 - - - - - - 1.0 1.0 1.0 1.0
글리세롤 (86중량% 농도) 3.0 3.0 3.0 5.0 3.0 5.0 5.0 3.0 5.0 3.0
(1,2) 소프트 크림, (3-6) 보습 어멀젼, (7-10) 나이트 크림

Claims (8)

  1. 화장학적으로 수용가능한 용매중에서 오일 바디(oily bodies)를 레시틴 및/또는 인지질로 처리하는 것에 의해 얻어지는 프로리포좀 캡슐화 제제(pro-liposomal encapsulated preparation).
  2. 화장학적으로 수용가능한 용매중에서 오일 바디를 레시틴 및/또는 인지질로 처리함을 특징으로 하는 프로리포좀 캡슐화 제제의 제조방법.
  3. 제 2 항에 있어서, 6 내지 18의 탄소수를 갖는 지방 알콜 기재의 궤르벳(Guerbet) 알콜; 선형 C6-22지방산과 선형 또는 분지형 C6-22지방 알콜의 에스테르; 또는, 분지형 C6-13카르복실산과 선형 또는 분지형 C6-22지방 알콜의 에스테르; 선형 C6-22지방산과 분지형 알콜의 에스테르; C18-38알킬히드록시카르복실산과 선형 또는 분지형 C6-22지방 알콜의 에스테르; 선형 및/또는 분지형 지방산과, 다가 알콜 및/또는 궤르벳 알콜의 에스테르; C6-10지방산 기재의 트리글리세라이드; C6-18지방산 기재의 액체 모노-/디-/트리글리세라이드; C6-22지방 알콜 및/또는 궤르벳 알콜과, 방향족 카르복실산의 에스테르; C2-12디카르복실산과, 1 내지 22개의 탄소 원자를 함유하는 선형 또는 분지형 알콜 또는 2 내지 10개의 탄소 원자 및 2 내지6개의 히드록실기를 함유하는 폴리올의 에스테르; 채소 오일; 분지형 1차 알콜, 치환된 사이클로헥산, 및 선형 및 분지형 C6-22지방 알콜 카르보네이트; 6 내지 18의 탄소수를 갖는 지방 알콜 기재의 궤르벳 카르보네이트; 벤조산과 선형 및/또는 분지형 C6-22알콜의 에스테르; 알킬기마다 6 내지 22개의 탄소원자를 갖는, 선형 또는 분지형 대칭 또는 비대칭 디알킬 에테르; 폴리올, 실리콘 오일 및/또는 지방족 또는 나프텐족 탄화수소와, 에폭시화 지방산 에스테르의 개환중합 산물(ring opening product)에 의해 형성되는 군으로부터 선택된 오일 바디가 사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4. 제 2 항 및/또는 제 3 항에 있어서, 오일 바디와 레시틴 및/또는 인지질이 1 : 20 내지 5 : 1의 중량비로 사용됨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5. 제 2 항 내지 제 4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사용된 용매가 1 내지 4의 탄소수를 갖는 저급 알콜 및/또는 폴리올임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6. 제 2 항 내지 제 5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에탄올, 에틸렌 글리콜, 프로필렌 글리콜, 부틸렌 글리콜, 100 내지 1,000 범위의 몰중량을 갖는 폴리에틸렌 글리콜 및 글리세롤에 의해 형성되는 군으로부터 선택된 용매가 사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7. 제 2 항 내지 제 6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캡슐화는 에멀젼화제의 존재하에 수행됨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8. 화장료 및/또는 약학 제제의 제조를 위한 제 1 항에 기재된 프로리포좀 캡슐화 제제의 용도.
KR1020027012738A 2000-03-28 2001-03-17 프로리포좀 캡슐화 제제 KR20030005240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EP00106604.2 2000-03-28
EP00106604A EP1138310A1 (de) 2000-03-28 2000-03-28 Pro-liposomen
PCT/EP2001/003068 WO2001074302A1 (de) 2000-03-28 2001-03-17 Pro-liposomal verkapselte zubereitungen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0005240A true KR20030005240A (ko) 2003-01-17

Family

ID=816825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27012738A KR20030005240A (ko) 2000-03-28 2001-03-17 프로리포좀 캡슐화 제제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20030170298A1 (ko)
EP (1) EP1138310A1 (ko)
JP (1) JP2003528894A (ko)
KR (1) KR20030005240A (ko)
AU (1) AU2001242479A1 (ko)
WO (1) WO2001074302A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87328B1 (ko) * 2006-05-11 2007-12-18 (주)아모레퍼시픽 마크로 크기의 지질 캡슐 입자를 갖는 에멀젼 조성물 및이를 이용한 피부 화장료 조성물
KR20150024424A (ko) * 2012-06-29 2015-03-06 아처 다니엘 미드랜드 캄파니 마이크로에멀젼 및 나노반응기 또는 전달 담체로서의 이들의 용도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8658202B2 (en) * 2001-04-25 2014-02-25 Western University Of Health Sciences Coated drug delivery formulations
US6759058B1 (en) * 2001-04-25 2004-07-06 Western Center For Drug Development College Of Pharmacy Western University Of Health Sciences Enteric-coated proliposomal formulations for poorly water soluble drugs
JP2005515197A (ja) * 2001-12-03 2005-05-26 ドー バイオファーマ インコーポレイテッド 安定化された逆ミセル組成物およびその使用
CA2495913A1 (en) * 2002-08-23 2004-03-04 Medigene Oncology Gmbh Non-vesicular cationic lipid formulations
DE102004031210A1 (de) * 2004-06-28 2006-02-09 Trommsdorff Gmbh & Co. Kg MLV-Kosmetikum
DE10354564B3 (de) * 2003-11-21 2005-07-07 Henkel Kgaa Emulgierte Parfümöle
JP2005314255A (ja) * 2004-04-28 2005-11-10 Pola Chem Ind Inc 抗炎症医薬部外品に好適な皮膚外用剤
FR2877566B1 (fr) * 2004-11-05 2008-04-25 Oreal Composition cosmetique anhydre apte a former un organogel
JP5021899B2 (ja) * 2005-01-12 2012-09-12 公益財団法人野口研究所 水溶性カンプトテシン製剤
JP4787818B2 (ja) 2005-01-28 2011-10-05 独立行政法人科学技術振興機構 脱水縮合反応により相転移を生じ得る分子集合体およびその相転移方法
FR2888112B1 (fr) * 2005-07-11 2008-02-22 Oreal Composition photoprotectrice comprenant une phase aqueuse et une cire apolaire de bas point de fusion
WO2007133514A2 (en) * 2006-05-10 2007-11-22 Ceramoptec Industries, Inc. Photosensitizer formulations for topical applications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IL79114A (en) * 1985-08-07 1990-09-17 Allergan Pharma Method and composition for making liposomes
FR2681781A1 (fr) * 1991-09-30 1993-04-02 Oreal Composition cosmetique anhydre de maquillage comprenant une phase grasse et procede de traitement cosmetique utilisant cette composition.
US5853755A (en) * 1993-07-28 1998-12-29 Pharmaderm Laboratories Ltd. Biphasic multilamellar lipid vesicles
US5635206A (en) * 1994-01-20 1997-06-03 Hoffmann-La Roche Inc. Process for liposomes or proliposomes
NZ501672A (en) * 1997-06-27 2001-06-29 Astra Ab Proliposome powders for inhalation stabilised by racemic alpha-tocopherol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87328B1 (ko) * 2006-05-11 2007-12-18 (주)아모레퍼시픽 마크로 크기의 지질 캡슐 입자를 갖는 에멀젼 조성물 및이를 이용한 피부 화장료 조성물
KR20150024424A (ko) * 2012-06-29 2015-03-06 아처 다니엘 미드랜드 캄파니 마이크로에멀젼 및 나노반응기 또는 전달 담체로서의 이들의 용도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01074302A1 (de) 2001-10-11
AU2001242479A1 (en) 2001-10-15
JP2003528894A (ja) 2003-09-30
US20030170298A1 (en) 2003-09-11
EP1138310A1 (de) 2001-10-0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5010087B2 (ja) アニオン界面活性剤を含有しない低粘度乳白剤
US6835700B1 (en) Highly concentrated free-flowing pearly lustre concentrates
US20050019353A1 (en) Emollients and cosmetic compositions
US20060008482A1 (en) Oil phases for cosmetic agents
US20060078568A1 (en) Use of the residues from wine production
US20030191087A1 (en) Use of inulin and inulin derivatives
US6927241B2 (en) Emulsifiers
JP2003525877A (ja) 防臭製剤
US20050000390A1 (en) Low-viscosity opacifiers free from anionic surface-active agents
KR20030036147A (ko) 프로리포좀 캡슐화 제제 (ⅳ)
US20040044078A1 (en) Cosmetic and/or pharmaceutical emulsions
JP2009535369A (ja) 増粘剤
KR100748056B1 (ko) 월터리아 인디카 추출물을 함유하는 화장품 제제
US20050112156A1 (en) Sun protection compositions
US20040043045A1 (en) Use of fatty alcohols as solubilizing agents
JP2004525995A (ja) 増粘剤
KR20030005240A (ko) 프로리포좀 캡슐화 제제
US20050089497A1 (en) Emollients and cosmetic compositions
US20030138502A1 (en) Method for protecting human skin
US6914146B2 (en) Methods of using esterquats having acyl groups derived from short-chain monocarboxylic acids and short-chain dicarboxylic acids to improve cosmetic compositions
US20030161808A1 (en) Ester quaternary mixtures
JP4780892B2 (ja) 可溶化剤
US20040198630A1 (en) Detergent preparations
KR20040005812A (ko) 디알킬 카보네이트 및 금속 산화물을 함유하는 치장용화장 제제
US7824667B2 (en) Use of cationic preparation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Application deemed withdrawn, e.g. because no request for examination was filed or no examination fee was pai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