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0004905A - 원 푸쉬 인 피팅 타입 튜브연결부재 - Google Patents

원 푸쉬 인 피팅 타입 튜브연결부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0004905A
KR20030004905A KR1020010040655A KR20010040655A KR20030004905A KR 20030004905 A KR20030004905 A KR 20030004905A KR 1020010040655 A KR1020010040655 A KR 1020010040655A KR 20010040655 A KR20010040655 A KR 20010040655A KR 20030004905 A KR20030004905 A KR 2003000490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ush
fitting type
type tube
diameter
support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1004065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원기
Original Assignee
현대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현대자동차주식회사 filed Critical 현대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10040655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30004905A/ko
Publication of KR2003000490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0004905A/ko

Link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37/00Couplings of the quick-acting type
    • F16L37/08Couplings of the quick-acting type in which the connection between abutting or axially overlapping ends is maintained by locking members
    • F16L37/10Couplings of the quick-acting type in which the connection between abutting or axially overlapping ends is maintained by locking members using a rotary external sleeve or ring on one part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Quick-Acting Or Multi-Walled Pipe Join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원 푸쉬 인 피팅 타입 튜브연결부재에 관한 것으로, 삽입하여 내부에서 결합력을 발생시켜 튜브를 연결 및 고정하여 작업 동선 범위를 줄임은 물론 좁은 공간에서 작업하는 작업자의 불편을 제거함에 그 목적이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연결부재가 튜브(T)의 연결 시 직진 방향성을 갖고 삽입되면서 기밀을 유지하도록 된 바디커넥터(11)와, 이 바디커넥터(11)내로 삽입되어 결합력을 발생하고 유지시키는 바디서포터(12) 및 이 바디서포터(12)에 직진 방향으로 삽입·분리되어 결합과 분리되면서 튜브(T)를 서로 연결하는 컬렉터(13)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원 푸쉬 인 피팅 타입 튜브연결부재{One push in fitting type tube connector means}
본 발명은 원 푸쉬 인 피팅 타입 튜브연결부재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끼워 맞춤식으로 결합될 수 있도록 된 원 푸쉬 인 피팅 타입 튜브연결부재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차량에는 유체나 에어를 통해 운전자가 원하는 제어를 하기 위해 유체나 에어를 작동매체로 하는 많은 입력과 출력장치들이 사용되고, 이와 같은 장치들 간의 작동매체의 흐름을 위해 사용되는 중공의 튜브는 통상, 기밀을 유지하면서 이들을 서로 연결하는 연결부재를 매개로 결합되어지게 된다.
이와 같은 연결부재는 다양한 방식과 구조를 갖지만 통상적으로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서로 삽입된 후 나사 체결되어 결합력을 유지하는 연결부재를 많이 사용하는데, 이 연결부재는 외경에 나사부를 형성하면서 튜브(T)의 내경으로 삽입되는 인서트(20)를 형성한 커넥터(10)를 튜브(T)의 외경에 끼워져 결합된 슬리브(30)와 나사 체결하여 결합되어진다.
그러나, 이와 같이 나사 체결되어 결합력을 유지하는 연결부재는 커넥터(10)와 슬리브(30)를 매개로 튜브(T)를 서로 연결한 다음, 이어 상기 슬리브(30)부위를 회전시켜 커넥터(10)와 고정하여 그 체결력을 유지하게 되어 있어 조립작업 시, 상기 슬리브(30)의 회전에 따른 작업 동선 범위가 크게 되어 좁은 공간에서 작업하는 작업자의 불편을 초래하는 단점이 있게 된다.
이에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점을 감안하여 발명된 것으로, 삽입하여 내부에서 결합력을 발생시켜 튜브를 연결 및 고정하여 작업 동선 범위를 줄임은 물론 좁은 공간에서 작업하는 작업자의 불편을 제거함에 그 목적이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연결부재가 튜브의 연결 시 직진 방향성을 갖고 삽입되면서 기밀을 유지하도록 된 바디커넥터와, 이 바디커넥터내로 삽입되어 결합력을 발생하고 유지시키는 바디서포터 및 이 바디서포터에 직진 방향으로 삽입·분리되어 결합과 분리되면서 튜브를 서로 연결하는 컬렉터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도 1은 종래에 따른 튜브연결부재의 결합 단면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원 푸쉬 인 피팅 타입 튜브연결부재의 결합단면도
도 3은 도 2의 바디커넥터의 사시도
도 4는 도 2의 컬렉터의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원 푸쉬 인 피팅 타입 튜브연결부재의 연결 및 분리상태의 결합도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원 푸쉬 인 피팅 타입 튜브연결부재의 튜브 고정상태의 결합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커넥터11 : 바디커넥터
11a : 몸체부11a' : 삽입홀
11a" : 단차홀11a'" : 개구홀
11b : 압착단11c : 연결부
11d : 고정파이프
12 : 바디서포터12a : 안착홈
12b,13b : 밀착단12b' : 경사면
13 : 컬렉터13a : 플랜지
13c : 결합단13c' : 제1경사면
13c" : 제2경사면13d : 슬랏
14 : 링15 : 오링
20 : 인서트
T : 튜브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를 첨부된 예시도면을 참조로 상세히 설명한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원 푸쉬 인 피팅 타입 튜브연결부재의 결합단면도를 도시한 것인바, 본 발명의 연결부재는 튜브(T)의 연결 시 직진 방향성을 갖고 삽입되면서 기밀을 유지하도록 된 바디커넥터(11)와, 이 바디커넥터(11)내로 삽입되어 결합력을 발생하고 유지시키는 바디서포터(12) 및 이 바디서포터(12)에 직진 방향으로 삽입·분리되어 결합과 분리되면서 튜브(T)를 서로 연결하는 컬렉터(13)로 이루어진다.
여기서, 상기 바디커넥터(11)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다각으로 각진 형상으로 이루어져 그 내부에 상기 바디서포터(12)가 삽입되는 원형의 삽입홀(11a')을 형성하면서 일 측 끝단에 상대적으로 작은 직경으로 소정 깊이로 형성된 단차홀(11a")이 구비된 몸체부(11a)와, 이 몸체부(11a)의 삽입홀(11a')내에 돌출되어 상기 바디서포터(12)를 구속하는 압착단(11b), 상기 몸체부(11a)의 후단에서 상대적으로 적은 직경으로 돌출되어 상기 단차홀(11a")과 연통되도록 상대적으로 작은 직경으로 형성된 개구홀(11a'")을 구비한 연결부(11c) 및 이 연결부(11c)의 개구홀(11a'")끝단에 동일 직경을 이루면서 일체로 이어져 삽입홀(11a')부위로 돌출된 고정파이프(11d)로 이루어진다.
이때, 상기 압착단(11b)은 결합력을 크게하기 위해 그 단면이 삼각형상을 이루게 된다.
또한, 상기 몸체부(11a)의 단차홀(11a") 직경(D)은 고정파이프(11d)의직경(d)에 비해 크게 형성되는데 이는, 상기 컬렉터(13)를 통해 삽입되는 튜브(T)의 두께에 의존됨은 물론이다.
그리고, 상기 바디서포터(12)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컬렉터(13)가 그 내부로 삽입되도록 중공으로 이루어지면서 상기 바디커넥터(11)의 삽입홀(11a')에 형성된 압착단(11b)과 끼워져 결합되도록 그 외경에 안착홈(12a)을 함몰시켜 형성하는 한편, 그 내부에는 삽입 된 컬렉터(13)를 구속하여 이탈을 방지하도록 안쪽으로 소정 폭 돌출된 밀착단(12b)이 형성되어진다.
여기서, 상기 밀착단(12b)은 한 쪽으로 경사(도 2에서 좌측으로 벌어진 경사)져 넓어지는 경사면(12b')을 형성하게 된다.
또한, 상기 컬렉터(13)는 튜브(T)가 삽입되도록 중공을 이루면서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바디서포터(12)의 내경으로 삽입 시 바디서포터(12)의 외경보다 돌출 되도록 상대적으로 큰 직경으로 이루어진 플랜지(13a)와, 이 플랜지(13a)에 일체로 이루어져 바디서포터(12)의 내경으로 삽입되어 오링(15)과 밀착되어 기밀을 유지하는 밀착단(13b), 이 밀착단(13b)에 상대적으로 적은 직경을 갖도록 일체로 형성됨과 더불어 바깥쪽으로 확장되도록 경사져 바디서포터(12)와 접촉되어 구속되는 결합단(13c)으로 이루어진다.
여기서, 상기 결합단(13c)은 삽입이나 인출 시 접촉에 따른 외력에 의해 그 직경을 확장·수축시키도록 그 길이 방향을 따라 절개된 다수의 슬랏(13d)이 형성되어진다.
또한, 상기 결합단(13c)은 바디서포터(12)의 밀착단(12b)과 접촉되어 구속되도록 상응하는 경사를 이루면서 직경이 점진적으로 증가되는 제1경사면(13c')을 형성함과 더불어 이 제1경사면(13c')에서부터 이어져 바디서포터(12)의 내경과 동일한 직경이 되도록 점진적으로 증가되는 제2경사면(13c")이 형성되어진다.
한편, 상기 컬렉터(13)의 내경 직경(D')은 바디커넥터(11)의 몸체부(11a)에 형성된 단차홀(11a")의 직경(D)과 동일하게 형성됨은 물론이다.
그리고, 상기 바디커넥터(11)의 삽입홀(11a')내에는 고정파이프(11d)에 끼워져 삽입되는 바디서포터(12)와 컬렉터(13)의 밀착력에 의해 기밀을 유지하는 러버재질의 링(14)이 구비되는 한편, 상기 바디서포터(12)의 내경에는 삽입되는 컬렉터(13)와의 기밀을 유지하도록 바디서포터(12)내로 함몰·삽입된 오링(15)이 구비되어진다.
이하 본 발명의 작동을 상세히 설명한다.
먼저, 튜브(T)를 연결하는 경우를 설명하면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 바디서포터(12)와 결합된 컬렉터(13)의 내경으로 튜브(T)를 삽입한 다음, 상기 바디서포터(12)와 컬렉터(13)를 바디커넥터(11)의 몸체부(11a)에 형성된 삽입홀(11a')로 삽입하고 이어, 상기 컬렉터(13)의 돌출된 플랜지(13a)부위를 도 5의 화살표 방향으로 밀어주게 되면, 상기 컬렉터(13)에 삽입된 튜브(T)의 내경이 바디커넥터(11)의 고정파이프(11d)의 외경에 끼워지면서 바디커넥터(11)의 단차홀(11a")내로 삽입되어진다.
이때, 상기 바디서포터(12)의 안착홈(12a)이 바디커넥터(11)의 압착단(11b)에 삽입되면서 고정되므로 바디커넥터(11)와 바디서포터(12)가 서로 결합력을 유지하게 됨은 물론이다.
또한, 상기 컬렉터(13)의 밀착단(13b)의 외경이 바디서포터(12)의 내경에 삽입됨과 더불어 오링(15)에 의해 밀착되어져 기밀을 유지하는 한편, 상기 컬렉터(13)의 결합단(13c)의 끝 부위가 삽입된 튜브(T)의 외경에 끼워진 링(14)을 바디커넥터(11)의 삽입홀(11a')끝 쪽으로 밀어 붙여 바디커넥터(11)의 단차홀(11a")내로 삽입된 튜브(T)의 기밀을 유지하게 된다.
한편, 이와 같이 연결된 튜브(T)를 고정하려면, 서로 접촉되지 않는 상태를 유지하는 상기 컬렉터(13)의 밀착단(13b)과 바디서포터(12)의 밀착단(12b)이 서로 접촉되어 컬렉터(13)가 구속되도록 즉, 상기 컬렉터(13)의 플렌지(13a)부위를 잡고 바디커넥터(11)로부터 인출시키게 되면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컬렉터(13)의 밀착단(13b)에 형성된 제1경사면(13c')이 바디서포터(12)의 밀착단(12b)에 형성된 경사면(12b')이 서로 밀착되면서 튜브(T)를 강하게 고정하게 된다.
즉, 상기 컬렉터(13)의 밀착단(13b)에 형성된 다수의 슬랏(13d)이 제1경사면(13c')과 접촉되어 힘을 가하는 상기 바디서포터(12)의 밀착단(12b)에 의해 상기 밀착단(13b)의 직경을 축소하면서 삽입된 튜브(T)를 조이면서 고정시키게 되는 것이다.
또한, 상기 컬렉터(13)는 지속적이거나 큰 힘을 가하여 인출시키더라도 바디서포터(12)로부터 이탈되지 않는데 이는, 상기 컬렉터(13)의 밀착단(13b)에 형성된 제1경사면(13c')에 이어져 이 제1경사면(13c')보다 더욱 경사지게 형성된 제2경사면(13c")이 바디서포터(12)의 밀착단(12b)에 접촉되어 그 이동을 제한하게 되는 것이다.
한편, 이와 같이 고정된 튜브(T)를 분리하려면 전술한 바와 같이 컬렉터(13)의 플랜지(13a)부위를 바디커넥터(11)쪽으로 밀어 주게 되면, 상기 컬렉터(13)의 밀착단(13b)과 바디서포터(12)의 밀착단(12b)이 서로 접촉되지 않는 상태를 유지함과 동시에 상기 밀착단(13b)의 직경이 확대되면서 삽입된 튜브(T)의 고정력을 해제하게 된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하면, 튜브를 삽입시킨 컬렉터를 연결하고자 하는 바디커넥터부위로 삽입하여 밀거나 당기면서 튜브의 연결과 분리 및 고정하게 되므로, 조립작업 시 작업 동선 범위가 직선운동만으로 이루어지므로 좁은 공간에서 작업하는 작업자의 작업성에 움직임에 따른 불편이 해소 될 수 있는 효과가 있게 된다.
또한, 본 발명은 튜브의 길이조정 시 튜브를 고정한 컬렉터를 직선 이동시켜 그 구속력을 해제하여 튜브를 쉽게 인출할 수 있으므로 튜브의 길이조절이 매우 간단하게 되는 효과가 있음은 물론이다.

Claims (14)

  1. 직진 방향성을 갖고 튜브(T)가 삽입되면서 기밀을 유지하도록 된 바디커넥터(11)와, 이 바디커넥터(11)내로 삽입되어 결합력을 발생하고 유지시키는 바디서포터(12) 및 이 바디서포터(12)에 직진 방향으로 삽입·분리되면서 튜브(T)를 서로 연결하는 컬렉터(13)로 이루어진 원 푸쉬 인 피팅 타입 튜브연결부재.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바디커넥터(11)는 각진 형상으로 이루어져 그 내부에 상기 바디서포터(12)가 삽입되는 원형의 삽입홀(11a')을 형성한 몸체부(11a)와, 이 몸체부(11a)의 삽입홀(11a')내에 돌출되어 상기 바디서포터(12)를 구속하는 압착단(11b), 상기 몸체부(11a)의 후단에서 상대적으로 적은 직경으로 돌출되어 상기 삽입홀(11a')과 연통되는 개구홀(11a'")을 구비한 연결부(11c)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 푸쉬 인 피팅 타입 튜브연결부재.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삽입홀(11a')의 일 측 끝단에 상대적으로 작은 직경으로 형성되어 튜브(T)가 삽입되는 단차홀(11a")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 푸쉬 인 피팅 타입 튜브연결부재.
  4.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부(11c)의 개구홀(11a'")끝단에 동일 직경을 이루면서 일체로 이어져 삽입홀(11a')부위로 돌출된 고정파이프(11d)가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 푸쉬 인 피팅 타입 튜브연결부재.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바디서포터(12)는 컬렉터(13)가 그 내부로 삽입되도록 중공으로 이루어지면서 상기 바디커넥터(11)의 삽입홀(11a')에 형성된 압착단(11b)과 끼워져 결합되도록 그 외경에 안착홈(12a)을 함몰시켜 형성함과 더불어 그 내부에 삽입 된 컬렉터(13)를 구속하여 이탈을 방지하도록 안쪽으로 돌출된 밀착단(12b)이 형성되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 푸쉬 인 피팅 타입 튜브연결부재.
  6. 제 2항 또는 제 5항에 있어서, 이때, 상기 압착단(11b)과 안착홈(12a)은 결합력을 크게 하기 위해 그 단면이 삼각형상을 이룬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 푸쉬 인 피팅 타입 튜브연결부재.
  7.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밀착단(12b)은 한 쪽으로 경사져 넓어지는경사면(12b')을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 푸쉬 인 피팅 타입 튜브연결부재.
  8.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컬렉터(13)는 튜브(T)가 삽입되도록 중공을 이루면서 바디서포터(12)의 내경으로 삽입 시 바디서포터(12)의 외경보다 돌출 되도록 상대적으로 큰 직경으로 이루어진 플랜지(13a)와, 이 플랜지(13a)에 일체로 이루어져 바디서포터(12)의 내경으로 삽입되어 오링(15)과 밀착되어 기밀을 유지하는 밀착단(13b), 이 밀착단(13b)에 상대적으로 적은 직경을 갖도록 일체로 형성됨과 더불어 바깥쪽으로 확장되도록 경사져 바디서포터(12)와 접촉되어 구속되는 결합단(13c)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 푸쉬 인 피팅 타입 튜브연결부재.
  9. 제 8항에 있어서, 상기 결합단(13c)은 삽입이나 인출 시 접촉에 따른 외력에 의해 그 직경을 확장·수축시키도록 그 길이 방향을 따라 절개된 슬랏(13d)이 형성되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 푸쉬 인 피팅 타입 튜브연결부재.
  10. 제 9항에 있어서, 상기 슬랏(13d)은 다수개로 형성되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 푸쉬 인 피팅 타입 튜브연결부재.
  11. 제 8항에 있어서, 상기 결합단(13c)은 바디서포터(12)의 밀착단(12b)과 접촉되어 구속되도록 상응하는 경사를 이루면서 직경이 점진적으로 증가되는 제1경사면(13c')을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 푸쉬 인 피팅 타입 튜브연결부재.
  12. 제 11항에 있어서, 상기 제1경사면(13c')에는 바디서포터(12)의 내경과 동일한 직경이 되도록 점진적으로 증가되는 제2경사면(13c")이 이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 푸쉬 인 피팅 타입 튜브연결부재.
  13. 제 8항에 있어서, 상기 컬렉터(13)의 내경 직경(D')은 바디커넥터(11)의 몸체부(11a)에 형성된 단차홀(11a")의 직경(D)과 동일하게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 푸쉬 인 피팅 타입 튜브연결부재.
  14.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바디커넥터(11)의 삽입홀(11a')과 상기 바디서포터(12)의 내경에는 기밀을 유지하도록 각각 링(14,15)이 구비되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 푸쉬 인 피팅 타입 튜브연결부재.
KR1020010040655A 2001-07-07 2001-07-07 원 푸쉬 인 피팅 타입 튜브연결부재 KR20030004905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10040655A KR20030004905A (ko) 2001-07-07 2001-07-07 원 푸쉬 인 피팅 타입 튜브연결부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10040655A KR20030004905A (ko) 2001-07-07 2001-07-07 원 푸쉬 인 피팅 타입 튜브연결부재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0004905A true KR20030004905A (ko) 2003-01-15

Family

ID=2771388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10040655A KR20030004905A (ko) 2001-07-07 2001-07-07 원 푸쉬 인 피팅 타입 튜브연결부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30004905A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0092288A (ko) * 2002-05-29 2003-12-06 현대자동차주식회사 튜브 연결구조
KR102594628B1 (ko) * 2023-05-02 2023-10-26 인수기계주식회사 자동차 부동액 리저브 탱크에 적용되는 주입용 건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890014951A (ko) * 1988-03-17 1989-10-25 파스브리히 막스 파이프, 튜브, 로드 또는 이와 유사한 것의 분리가능한 접속장치
JPH05248582A (ja) * 1991-12-31 1993-09-24 Dana Corp 押込み連結継手
JPH0735280A (ja) * 1993-07-20 1995-02-07 Usui Internatl Ind Co Ltd 細径樹脂チューブの接続用継手
JPH09303655A (ja) * 1996-05-20 1997-11-28 Sekisui Chem Co Ltd コレット付き管継手
JPH11166681A (ja) * 1997-12-02 1999-06-22 Sekisui Chem Co Ltd 管継手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890014951A (ko) * 1988-03-17 1989-10-25 파스브리히 막스 파이프, 튜브, 로드 또는 이와 유사한 것의 분리가능한 접속장치
JPH05248582A (ja) * 1991-12-31 1993-09-24 Dana Corp 押込み連結継手
JPH0735280A (ja) * 1993-07-20 1995-02-07 Usui Internatl Ind Co Ltd 細径樹脂チューブの接続用継手
JPH09303655A (ja) * 1996-05-20 1997-11-28 Sekisui Chem Co Ltd コレット付き管継手
JPH11166681A (ja) * 1997-12-02 1999-06-22 Sekisui Chem Co Ltd 管継手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0092288A (ko) * 2002-05-29 2003-12-06 현대자동차주식회사 튜브 연결구조
KR102594628B1 (ko) * 2023-05-02 2023-10-26 인수기계주식회사 자동차 부동액 리저브 탱크에 적용되는 주입용 건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950007636B1 (ko) 관연결부 및 그 관빠짐 방지기구
US10550982B2 (en) Quick connector
US20040239110A1 (en) Support sleeve for use in a tube coupling and a coupling housing for use together with said sleeve
KR960006181B1 (ko) 가는 관 접속용 커넥터
JP2001235078A (ja) ホース継手
JPH03219191A (ja) 細径配管接続用コネクター
US6837525B2 (en) Tube connecting structure
US5176412A (en) Joint for coupling small-diameter pipes
JP2003021287A (ja) スピゴット継手
EP1366318A1 (en) Coupling for connection of a tube or hose by pushing-in
US10627584B2 (en) Connector
KR20030004905A (ko) 원 푸쉬 인 피팅 타입 튜브연결부재
JPH0650483A (ja) 管継手
KR20160119559A (ko) 유압용 호스의 연결구
KR200198059Y1 (ko) 고압호스 연결용 피팅
KR101788002B1 (ko) 파이프용 커플링
JP2007247661A (ja) ブーツ
JP2003270487A (ja) 光ファイバ素線のチャッキング機構及びそれを用いた光コネクタ
KR200194963Y1 (ko) 고압호스 연결용 피팅
JP2007002917A (ja) 接続継手用アダプター
KR100337122B1 (ko) 호스 연결장치
JP3117494B2 (ja) 分岐管継手
KR100446186B1 (ko) 튜브커플러
JP4599158B2 (ja) 管継手
KR20000004121U (ko) 호스고정수단을 일체로 가지는 니플접속구.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