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0004655A - 통신 단말기의 음성 출력 장치 - Google Patents

통신 단말기의 음성 출력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0004655A
KR20030004655A KR1020010040254A KR20010040254A KR20030004655A KR 20030004655 A KR20030004655 A KR 20030004655A KR 1020010040254 A KR1020010040254 A KR 1020010040254A KR 20010040254 A KR20010040254 A KR 20010040254A KR 20030004655 A KR20030004655 A KR 2003000465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attery
voice
power
codec
amplifi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1004025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393604B1 (ko
Inventor
박재선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1-004025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393604B1/ko
Publication of KR2003000465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000465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39360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393604B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6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including speech amplifiers
    • H04M1/6016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including speech amplifiers in the receiver circuit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72Mobile telephones; Cordless telephones, i.e. devices for establishing wireless links to base stations without route selection
    • H04M1/725Cordless telephones
    • H04M1/73Battery saving arrangemen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Telephone Function (AREA)
  • Amplifi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배터리에 의해 전원을 공급받는 통신 단말기의 음성 출력 장치로서, 상기 배터리에 연결되어 전원의 레벨을 검출하는 레벨 검출부를 포함하고, 이 레벨 검출부로부터 출력되는 전원의 레벨값에 따라 코덱의 음성 이득을 제어하는 제어부와, 상기 배터리에 연결되어 직접 전원을 공급받고, 상기 코덱에 연결되어 코덱으로부터 공급되는 음성 신호를 증폭하여 스피커로 출력하는 음성 증폭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통신 단말기의 음성 출력 장치{VOICE OUTPUT APPARATUS OF TELECOMMUNICATION TERMINAL EQUIPMENT}
본 발명은 통신 단말기에 관한 것으로 특히, 배터리 전원에 따라 음성이득을 제어하여 음성 증폭기의 출력을 제어하는 통신 단말기에 관한 것이다.
도 1은 종래의 통신 단말기의 음성 증폭기를 사용하여 스피커를 통해 멜로디등의 정보를 증폭하여 출력하도록 구성된 음성 출력 장치의 블록도이다.
종래 음성 출력 장치(100)는 배터리(101), 정전압 발생기(103), 음성 증폭기(105), 코덱(107), 중앙 처리 장치(109) 및 스피커(11)를 포함한다. 배터리(101)는 정전압 발생기(103)에 결합되어 전원을 제공한다. 정전압 발생기(103)는 배터리의 전원을 변동하더라도 일정한 전압을 공급하기 위한 것이다. 구체적으로 이 정전압 발생기(103)는 음성 증폭기(105)에 일정한 전압을 공급하기 위하여 배터리(101)에서 공급되는 전원(일반적으로 무선통신단말기에 사용되는 전원은 정격전압이 3.6V인 것을 많이 사용함)이 변동되더라도 일정한 전압, 예컨대 배터리의 정격 전압이 3.6V인 경우에 통상적으로 3.0V를 발생시킨다. 중앙처리장치(109)는 음성 신호를 코덱(107)을 통해 음성증폭기(105)에 입력한다. 음성 증폭기(105)는 정전압 발생기(103)로부터 전원을 공급받아 코덱(107)으로부터 입력받은 음성 신호를 소정 증폭시켜 스피커(111)를 통해 출력하고, 이에 따라 통신 단말기의 사용자는 음성 신호를 들을 수 있게 된다.
그런데,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음성 신호가 코덱(107)을 통해 음성증폭기(105)에 제공되어 소정 증폭되는 경우에 음성증폭기의 전원이 낮으면 음성증폭기의 최대 출력 또한 작아지게 된다.
도 2는 배터리의 공급 전원에 따른 음성 증폭기의 입출력 특성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에서부터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음성증폭기에 가해지는 전원이 낮을수록 음성증폭기에서 출력할 수 있는 최대 출력도 작아지게 된다. 즉, 통신 단말기에 사용되는 배터리의 전원은 정전압 발생기(103)에서 출력하는 전원보다 높으므로 배터리의 전원을 직접 음성증폭기(105)에 공급하는 것에 비해 음성증폭기(105)는 최대 출력을 제공할 수 없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종래에 비해 음성증폭기의 출력을 높일 수 있도록 한 통신 단말기의 음성 출력 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배터리에 의해 전원을 공급받는 통신 단말기의 음성 출력 장치에 있어서, 상기 배터리에 연결되어 전원의 레벨을 검출하는 레벨 검출부를 포함하고, 이 레벨 검출부로부터 출력되는 전원의 레벨값에 따라 코덱의 음성 이득을 제어하는 제어부와, 상기 배터리에 연결되어 직접 전원을 공급받고, 상기 코덱에 연결되어 코덱으로부터 공급되는 음성 신호를 증폭하여 스피커로 출력하는 음성 증폭기를 포함한다.
도 1은 종래의 통신 단말기의 음성 출력 장치의 블록도,
도 2는 배터리의 공급 전원에 따른 음성 증폭기의 입출력 특성을 나타내는 도면,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통신 단말기의 음성 출력 장치의 구성을 나타낸 블록도,
도 4는 정격 전압이 3.6V인 배터리를 사용하는 경우의 배터리 사용시간별 전압 특징을 나타내는 도면.
이하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 예를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그리고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능 혹은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통신 단말기의 음성 출력 장치의 구성을 나타낸 블록도이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음성 출력 장치(200)는 배터리(201), 정전압 발생기(203), 음성 증폭기(205), 코덱(207), 중앙 처리 장치(209), 배터리 레벨 검출부(213) 및 스피커(211)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른 음성 출력 장치(200)의 각 구성요소는 종래 음성 출력 장치의 구성요소와 유사하며 그에 따라 본 발명에 해당되는 부분을 제외한 각 구성 요소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도 3의 본 발명에 따른 음성 증폭기(105)는 정전압 발생기를 거치지 않고 직접 배터리(201)로부터 전원을 공급받는다. 음성 증폭기(205)는 배터리(201)로부터 직접 전원을 공급받음으로써 중앙처리장치(213)로부터 코덱(207)을 통해 제공되는 음성 신호를 종래 음성 증폭기(105)보다 더 크게 증폭하여 출력을 높일 수 있다.
중앙처리장치(209)는 배터리 레벨 검출부(213)를 포함한다. 이 배터리 레벨 검출부(213)는 배터리(201)의 전원 레벨을 검출하여 중앙처리장치(209)에 제공한다. 배터리(201)의 전원은 전술한 바와 같이 사용 시간에 따라 변하므로 중앙처리장치의 배터리 레벨 검출부(213)는 주기적으로 배터리 전원을 검출하여 중앙처리장치(209)에 공급한다. 중앙처리장치(209)는 음성증폭기(105)가 포화되지 않도록 배터리 전원 검출부(213)에 의해 검출된 전원의 레벨값에 따라 코덱(207)의 음성 이득을 제어하여 음성 증폭기(105)의 출력을 제어한다. 이에 따라 배터리 전원에 맞는 음성 출력이 스피커(111)를 통해 출력될 수 있다.
도 4는 정격 전압이 3.6V인 배터리를 사용하는 경우의 배터리 사용시간별 전압 특징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4를 참조하면, 배터리의 전원은 요즘 많이 사용되고 있는 정격 전압 3.6V의 배터리를 사용한 경우 배터리가 완전 충전이 되었을 때는 4.1-4.2V 정도 유지하다가 떨어진 후 3.6V 부근에서 배터리의 전원이 유지된 후 다시 급격하게 떨어지며 무선 단말기의 다른 소자 전원 공급용 정전압 발생기를 3.0V로 사용시에는 배터리의 전원이 3.2-3.3V 정도 도달하게 되면 배터리 전원을 차단하게 된다. 이는 배터리를 과방전시키면 배터리의 수명이 짧아지며 또한 배터리 후단의 정전압 발생기의 출력이 정격 전압을 확보하지 못하기 때문이다. 본 발명에 따르면 이와 같이 통상 많은 시간 사용되는 배터리의 전원이 3.6V 이상이 되므로, 배터리의 전원을 그대로 사용하면 음성 증폭기의 출력을 높게 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는, 음성 출력 장치의 음성 증폭기에 배터리 전원을 직접 제공함으로써 음성 증폭기의 출력을 높일 수 있는 이점이 있다.

Claims (2)

  1. 배터리에 의해 전원을 공급받는 통신 단말기의 음성 출력 장치에 있어서,
    상기 배터리에 연결되어 전원의 레벨을 검출하는 레벨 검출부를 포함하고, 이 레벨 검출부로부터 출력되는 전원의 레벨값에 따라 코덱의 음성 이득을 제어하는 제어부와,
    상기 배터리에 연결되어 직접 전원을 공급받고, 상기 코덱에 연결되어 코덱으로부터 공급되는 음성 신호를 증폭하여 스피커로 출력하는 음성 증폭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성 출력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배터리로부터의 전원의 레벨값을 확인하여 상기 음성 증폭기가 포화되지 않도록 상기 코덱의 음성 이득을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성 출력 장치.
KR10-2001-0040254A 2001-07-06 2001-07-06 통신 단말기의 음성 출력 장치 KR10039360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1-0040254A KR100393604B1 (ko) 2001-07-06 2001-07-06 통신 단말기의 음성 출력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1-0040254A KR100393604B1 (ko) 2001-07-06 2001-07-06 통신 단말기의 음성 출력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0004655A true KR20030004655A (ko) 2003-01-15
KR100393604B1 KR100393604B1 (ko) 2003-08-02

Family

ID=2771365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1-0040254A KR100393604B1 (ko) 2001-07-06 2001-07-06 통신 단말기의 음성 출력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393604B1 (ko)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63998Y1 (ko) * 1996-09-25 2002-06-20 구자홍 휴대폰에서전력증폭기의효율개선회로
KR20000001231A (ko) * 1998-06-09 2000-01-15 비센트 비.인그라시아 무선 통신 단말기에서 송신 출력 보상시 전력 소비 감소 방법
JP2000078250A (ja) * 1998-08-31 2000-03-14 Toshiba Corp 携帯電話装置
JP2000261546A (ja) * 1999-03-05 2000-09-22 Hitachi Ltd 携帯電話機
KR100636525B1 (ko) * 1999-10-28 2006-10-18 주식회사 팬택앤큐리텔 이동통신 단말기에서 전력증폭기의 동작전원 제어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393604B1 (ko) 2003-08-0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073154B2 (en) Supplying electrical power
JP2641619B2 (ja) 高忠実度補聴器増幅装置
US10412479B2 (en) Headset management by microphone terminal characteristic detection
ATE318464T1 (de) Leistungsverstärker (pa) mit verbesserter leistungsregelung
US11387792B2 (en) Loudspeaker system and electronics device
JP2005072983A (ja) 音声信号増幅装置及び音響装置
CN1868118B (zh) 用于对缓冲放大器进行复位的方法和装置
KR100393604B1 (ko) 통신 단말기의 음성 출력 장치
CA2442228A1 (en) Electrochemical stripping using single loop control
US10622957B2 (en) Integrated circuit, circuit assembly and a method for its operation
DE60226317D1 (de) Schaltung für leistungsverstärker
TW200615730A (en) Circuit device with different input/output common mode voltages
JP4983473B2 (ja) 信号増幅装置、アンプシステムおよび信号増幅方法
JP2017068387A (ja) 電子機器
JPH07193448A (ja) ラインから電力供給される増幅器の歪みコントロールシステム
WO2001099314A3 (en) Power controlled input receiver
JP2005191651A (ja) 携帯電話システム
KR200322662Y1 (ko) 단일 연산증폭기를 이용한 신호검출회로
JPH1175287A (ja) 音響装置
JPH11316254A (ja) 電磁波ノイズ検知装置及び電磁波ノイズ検知方法
JP2018157577A (ja) 集積回路、回路アセンブリおよびその動作方法
KR20020056752A (ko) 이동통신 단말기용 전력증폭장치
KR20060000659A (ko) 무선 음성 송출기의 건전지 전력 절감 회로 및 그 전력절감 방법
KR20060089118A (ko) 배터리 충전 장치
JP2004350079A (ja) 検波回路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80604

Year of fee payment: 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