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60089118A - 배터리 충전 장치 - Google Patents

배터리 충전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60089118A
KR20060089118A KR1020050010200A KR20050010200A KR20060089118A KR 20060089118 A KR20060089118 A KR 20060089118A KR 1020050010200 A KR1020050010200 A KR 1020050010200A KR 20050010200 A KR20050010200 A KR 20050010200A KR 20060089118 A KR20060089118 A KR 2006008911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harging
battery
hearing aid
port
pow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5001020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최학호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50010200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60089118A/ko
Publication of KR2006008911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60089118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7/00Circuit arrangements for charging or depolarising batteries or for supplying loads from batteries
    • H02J7/34Parallel operation in networks using both storage and other dc sources, e.g. providing buffering
    • H02J7/342The other DC source being a battery actively interacting with the first one, i.e. battery to battery charging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DMEASURING NOT SPECIALLY ADAPTED FOR A SPECIFIC VARIABLE; ARRANGEMENTS FOR MEASURING TWO OR MORE VARIABLES NOT COVERED IN A SINGLE OTHER SUBCLASS; TARIFF METERING APPARATUS; MEASURING OR TEST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1D7/00Indicating measured values
    • G01D7/005Indication of measured value by colour change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7/00Circuit arrangements for charging or depolarising batteries or for supplying loads from batteries
    • H02J7/0047Circuit arrangements for charging or depolarising batteries or for supplying loads from batteries with monitoring or indicating devices or circuits
    • H02J7/0048Detection of remaining charge capacity or state of charge [SOC]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2225/00Details of deaf aids covered by H04R25/00, not provided for in any of its subgroups
    • H04R2225/33Aspects relating to adaptation of the battery voltage, e.g. its regulation, increase or decrease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S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S320/00Electricity: battery or capacitor charging or discharging
    • Y10S320/26Button or hearing aid typ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Charge And Discharge Circuits For Batteries Or The Lik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배터리 충전 장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보청기에 충전용 배터리를 내장하고 그 충전용 배터리를 외부에서 충전하기 위한 포트를 형성함으로써 항시 휴대하는 이동단말기 등을 이용하여 상기 배터리를 충전시킬 수 있도록 하여 사용자에게 편의를 제공하도록 함을 목적으로 한다. 이러한 목적의 본 발명은 내장된 충전용 배터리의 충전을 위한 포트가 장착된 보청기(110)와, 상기 충전포트에 연결되며 상기 내장 배터리의 충전을 실행하는 별도의 충전모듈(120)과, 이 충전모듈(120)에 연결되며 배터리 전원을 충전전원으로 상기 충전모듈(120)에 공급하는 휴대폰(130)을 포함하여 구성함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배터리 충전 장치{CHARGING APPARATUS FOR BATTERY IN HEARING AID}
도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 예에 따른 배터리 충전 장치의 결합 구성도.
도2는 본 발명의 제2 실시 예에 따른 배터리 충전 장치의 결합 구성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 설명 *
110,210 : 보청기 120 : 충전모듈
130,230 : 휴대폰 220 : 연결 케이블
본 발명은 보청기에 관한 것으로 특히, 배터리 충전 장치에 관한 것이다.
시력이 좋지 않은 사람들이 안경을 착용하는 것처럼 난청을 호소하는 사람들은 보청기를 사용한다.
현재 보청기는 연구가 활발하게 진행되어 착용이 간편하면서도 효율이 좋은 귀걸이형 또는 귓속형 보청기가 개발되어 보급되고 있다.
최근에는 한쪽 귀가 정상적인 청력을 갖고 있더라도 다른쪽 귀에 경미한 청력손실이 있는 경우에 보청기를 사용하여 보청기를 사용하지 않았을 때보다 청력이 향상되는 경우 보청기를 사용하는 것이 타당하다고 인정하고 있다.
일반적으로 보청기는 마이크, 리시버, 증폭기, 전원공급을 위한 배터리를 내장하며, 휴대에 간편하게 소형으로 제작된다. 아울러 볼륨 조정, 전원 온/오프를 위한 스위치가 포함되어 구성된다.
따라서, 보청기는 마이크에서 음성신호가 전기신호로 변환되면 증폭기에서 설정 이득으로 증폭하고 이 증폭된 신호를 리시버에서 음성신호로 변환함으로써 사용자가 음성을 인식하게 된다.
통상적으로 보청기는 내장된 배터리가 방전되어 수명이 다되면 배터리를 교체하여 사용하게 된다.
그러나, 종래에는 배터리가 방전으로 수명이 될 때마다 배터리를 교체하여야 함은 물론 보청기에 맞는 배터리를 구입하여야 함으로 사용자에게 불편을 주는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종래의 문제점을 개선하기 위하여 충전용 배터리를 보청기에 내장함으로써 언제라도 상기 충전용 배터리를 충전시킬 수 있도록 하여 사용자의 편의를 향상시키도록 창안한 배터리 충전 장치를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보청기에 내장된 배터리의 충전기능과 아울러 배터리 잔량검출 및 표시 기능을 구비함으로써 보청기에 내장된 배터리의 충전 시점을 간편하게 알 수 있도록 함에 다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은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충전용 배터리와 충전포트를 구비 하는 보청기와, 상기 충전포트에 연결되고 충전 모드가 설정되면 상기 충전포트로 전원을 공급하여 보청기에 내장된 배터리를 충전시키는 이동단말기를 포함하여 구성함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이동단말기는 충전회로를 구비하여 구성함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충전용 배터리와 충전포트를 구비한 보청기와, 이 보청기에 구비된 배터리의 충전을 위한 별도의 충전모듈과, 이 충전모듈에 연결되고 충전모드가 설정되면 상기 보청기에 내장된 배터리를 충전시키도록 상기 충전모듈에 전원을 공급하는 이동단말기를 포함하여 구성함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충전모듈 또는 이동단말기는 보청기가 연결되면 그 보청기에 내장된 배터리의 잔량을 검출하여 표시하고 배터리 잔량이 소정 레벨 이하로 확인되면 충전을 실행하는 기능을 포함하여 구성함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충전모듈은 일반 배터리의 전원을 배터리 충전에 이용하기 위해 일반 배터리를 장착하기 위한 홀더(holder)를 구비하여 구성함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충전모듈은 충전을 위해 공급받는 전원을 동작전원으로 사용하도록 구성함을 특징으로 한다.
한편, 본 발명은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마이크, 리시버, 증폭기를 구비하는 보청기에 있어서, 충전용 배터리와, 외부로부터 충전전원을 공급받기 위한 충전포트와, 상기 충전전원으로 상기 충전용 배터리를 충전시키는 충전모듈을 포함하여 구성함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본 발명을 도면에 의거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서 보청기는 충전포트를 구비하여 구성되는 것으로 가정하고, 이동단말기는 "휴대폰"이라 약칭하기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 예에서 설명하는 충전회로는 이미 많은 기술이 제시되어 있으므로 그에 대한 상세한 구성 및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도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 예에 따른 배터리 충전 장치의 결합 구성도로서 이에 도시한 바와 같이, 내장된 충전용 배터리의 충전을 위한 포트가 장착된 보청기(110)와, 상기 충전포트에 연결되며 상기 내장 배터리의 충전을 실행하는 별도의 충전모듈(120)과, 이 충전모듈(120)에 연결되며 배터리 전원을 충전전원으로 상기 충전모듈(120)에 공급하는 휴대폰(130)을 포함하여 구성한다.
상기 충전모듈(120)은 보청기(110)의 충전포트에 연결될 제1 포트와, 휴대폰(130)의 커넥터 단자에 연결되어 그 이동단말기(130)로부터 충전전원을 공급받는 제2 포트와, 상기 충전전원을 부스팅(boosting)하여 제1 포트로 공급하는 충전회로를 내장하여 구성된다.
도1에서 상기 제1 포트와 제2 포트는 소켓형태로 구성된 경우를 도시한 것이다.
상기 휴대폰(130)은 보청기(110)에 내장된 배터리 충전을 설정하기 위한 메뉴를 포함하여 구성한다.
이와 같이 구성한 본 발명의 제1 실시 예에 대한 동작 및 작용 효과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우선, 보청기(110)의 충전포트에 별도의 충전모듈(120)의 제1 포트를 연결하고 상기 충전모듈(120)의 제2 포트를 휴대폰(130)의 커넥터 단자에 연결한다.
이후, 휴대폰(130)의 표시창에 메뉴를 표시하여 보청기 충전모드를 설정하면 상기 휴대폰(130)은 배터리 전원을 충전모듈(120)에 공급하게 된다.
이에 따라, 충전모듈(120)은 휴대폰(130)에서 공급되는 전원을 충전회로에서 부스팅(boosting)시킨 후 제1 포트를 통해 보청기(110)에 공급하여 그 보청기(110)에 내장된 배터리를 충전시키게 된다.
또한, 도2는 본 발명의 제2 실시 예에 따른 결합 구성도이다.
도2에서 '210'은 충전용 배터리와 충전포트를 구비한 보청기이고, '230'은 충전회로(231)를 내장한 휴대폰이다.
상기 보청기(210)와 이동단말기(230)간의 연결은 케이블(220)을 이용한다.
이와 같이 구성한 본 발명의 제2 실시 예에 대한 동작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보청기(210)에 내장된 배터리를 충전시키려는 경우 보청기(210)의 충전 포트와 휴대폰(230)의 충전포트 사이를 케이블(220)로 연결한다.
이후, 휴대폰(230)의 표시창에 메뉴를 표시하여 보청기 충전모드를 설정하면 상기 휴대폰(230)은 배터리 전원의 레벨을 충전회로(231)에서 증폭하게 된다.
상기 증폭된 충전전원은 케이블(220)을 통해 보청기(210)에 공급된다.
이에 따라, 보청기(210)는 충전전원에 의해 내장된 배터리가 충전되어진다.
즉, 본 발명은 제1,제2 실시 예에 설명한 바와 같이, 보청기에 내장된 배터 리를 충전하기 위한 기능을 제공함으로써 보청기를 사용하는 사람들에게 편의를 제공하게 된다.
한편, 본 발명은 보청기에 내장된 배터리의 잔량을 검출하기 위한 회로를 별도의 충전모듈(120) 또는 상기 휴대폰(230)에 내장하여 구성할 수 있다.
따라서, 보청기가 충전모듈(120) 또는 휴대폰(230)에 연결되고 사용자가 배터리 잔량 검출 모드를 설정하면 상기 보청기에 내장된 배터리의 잔량을 검출하여 이를 휴대폰(130 또는 230)의 표시창에 표시하도록 한다.
이에 따라, 보청기에 내장된 배터리의 잔량을 확인하여 배터리 충전 시점을 알 수 있도록 한다.
상기와 같은 동작을 수행하도록 구성함에 있어서, 배터리 잔량이 소정 값 이하로 판단되면 자동으로 배터리 충전 동작을 수행하도록 구성할 수 있다. 이 경우, 충전 동작 실행 여부를 사용자에게 묻고 허용된 경우에만 배터리 충전 동작을 수행하도록 구성할 수도 있다.
또한, 본 발명은 휴대폰을 이용하여 보청기에 내장된 배터리를 충전하는 실시 예를 설명하였으나, 별도의 충전모듈과 일반 배터리(AA 타입, AAA 타입 등)를 이용하여 보청기에 내장된 배터리를 충전시키도록 구성할 수 있다.
이러한 실시 예를 위한 별도의 충전모듈은 일반 배터리를 결합할 수 있는 홀더(holder)를 결합하여 구성하며, 필요에 따라 엘이디(LED) 또는 엘씨디(LCD)를 장착하여 배터리 잔량을 표시하도록 구성할 수 있다. 이 경우에도 휴대폰을 이용하여 충전을 실행할 수 있도록 휴대폰에 연결할 수 있는 포트를 구비하여 구성할 수 있 다.
아울러, 상기 과정에서 보청기에 내장된 충전용 배터리를 충전하기 위한 회로를 별도의 모듈로 구현하거나 휴대폰에 내장하는 경우를 설명하였으나, 보청기에 충전모듈 및 충전용 배터리를 내장하고 상기 충전회로에 전원을 공급하기 위한 외부의 포트를 장착하도록 구현할 수 있다. 즉, 본 발명의 보청기는 마이크와, 리시버와, 증폭기와, 충전용 배터리와, 외부로부터 충전전원을 공급받기 위한 충전포트와, 상기 충전전원으로 상기 충전용 배터리를 충전시키는 충전모듈을 포함하여 구성한다.
따라서, 보청기에 장착된 외부 포트에 케이블 등을 이용하여 전원공급을 위한 휴대폰 또는 별도의 모듈을 결합하면 상기 충전용 배터리를 충전시킬 수 있을 것이다. 여기서, 충전모듈은 배터리 잔량을 검출하기 위한 기능을 포함시킬 수 있으며, 배터리 잔량이 소정 레벨 이하로 확인되면 발광시키기 위한 엘이디(LED)를 장착하여 구성할 수 있다.
상기에서 상세히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항시 휴대하는 이동단말기를 이용하여 보청기에 내장된 배터리를 충전시킬 수 있도록 함으로써 보청기 이용자에게 편의를 제공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Claims (10)

  1. 충전용 배터리와 충전포트를 구비하는 보청기와,
    상기 충전포트에 연결되면 상기 충전포트로 전원을 공급하여 보청기에 내장된 상기 배터리를 충전시키는 충전모듈을 포함하여 구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배터리 충전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충전모듈은 충전전원 공급 수단을 결합하기 위한 수단을 포함하여 구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배터리 충전 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충전전원 공급 수단은 이동단말기임을 특징으로 하는 배터리 충전 장치.
  4. 제2항에 있어서, 충전전원 공급 수단은 일반 배터리임을 특징으로 하는 배터리 충전 장치.
  5. 제1항에 있어서, 충전모듈은 이동단말기에 내장하여 구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배터리 충전 장치.
  6. 제1항에 있어서, 충전모듈은 배터리 잔량검출을 위한 수단과, 검출된 잔량 표시를 위한 수단을 포함하여 구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배터리 충전 장치.
  7. 제6항에 있어서, 배터리 잔량이 일정 레벨 이하로 판단되면 충전동작을 개시하기 위한 수단을 더 포함하여 구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배터리 충전 장치.
  8. 제1항에 있어서, 충전모듈은 충전전원을 동작 전원을 사용하도록 구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배터리 충전 장치.
  9. 마이크, 리시버, 증폭기를 구비하는 보청기에 있어서,
    충전용 배터리와,
    외부로부터 충전전원을 공급받기 위한 충전포트와,
    상기 충전전원으로 상기 충전용 배터리를 충전시키는 충전모듈을 포함하여 구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배터리 충전 장치.
  10. 제9항에 있어서, 배터리 잔량을 검출하기 위한 수단과, 배터리 잔량이 소정 레벨 이하로 낮다고 확인되면 상기 수단에 의해 발광되는 엘이디(LED)를 더 포함하여 구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배터리 충전 장치.
KR1020050010200A 2005-02-03 2005-02-03 배터리 충전 장치 KR20060089118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10200A KR20060089118A (ko) 2005-02-03 2005-02-03 배터리 충전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10200A KR20060089118A (ko) 2005-02-03 2005-02-03 배터리 충전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089118A true KR20060089118A (ko) 2006-08-08

Family

ID=3717731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0010200A KR20060089118A (ko) 2005-02-03 2005-02-03 배터리 충전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60089118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86861B1 (ko) * 2007-02-08 2009-03-04 넥스콘 테크놀러지 주식회사 보청기 및 그의 제어방법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86861B1 (ko) * 2007-02-08 2009-03-04 넥스콘 테크놀러지 주식회사 보청기 및 그의 제어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104463B2 (en) Wireless sound equipment
US8367235B2 (en) Battery pack, holster, and extendible processing and interface platform for mobile devices
US8170623B2 (en) Charging arrangement for electronic accessories
US7812567B2 (en) Battery charger stand set for motor vehicle
US20100142740A1 (en) Hearing aid wireless communication adaptor
US20090017881A1 (en) Storage and activation of mobile phone components
KR200460949Y1 (ko) 스피커를 갖는 아이폰 케이스
KR20140132660A (ko) 전자장치의 전원을 이용하여 능동소음제거 이어폰에 전원을 공급하는 방법 및 장치
EP1868411A1 (en) Speaker system for portable electrical equipment
KR101216145B1 (ko) 휴대단말기의 배터리 충전방법 및 그 장치
US20100279608A1 (en) Bluetooth device
WO2014104554A1 (ko) 휴대단말기 거치기능을 가진 확장 가능한 휴대단말기 보조장치
KR20110136327A (ko) 보호케이스와 착탈이 가능한 휴대용단말기 보조 전원공급 장치
KR20210101525A (ko) 무선 전력 전송 중 통신 성능 안정화 방법 및 장치
CN203193717U (zh) 一种车载蓝牙通话装置
KR101556863B1 (ko) 블루투스 스피커 및 충전 배터리를 갖는 휴대폰 케이스
KR20060089118A (ko) 배터리 충전 장치
CN107996027B (zh) 耳机的控制装置和有线耳机
CN108521873B (zh) 耳机的控制装置和有线耳机
US20070287492A1 (en) Wireless signal receiving apparatus with clamping device and speaker device
CN103957294A (zh) 一种将普通耳机转化为蓝牙耳机的装置
KR20040074466A (ko) 이동단말의 충전장치에서 알람 기능을 구현하기 위한 장치및 방법
CN104932706A (zh) 蓝牙键盘
WO2009155698A1 (en) Solar panel battery charger for electrical device
CN108521872B (zh) 耳机的控制装置和有线耳机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Application deemed withdrawn, e.g. because no request for examination was filed or no examination fee was pai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