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0003880A - 차량용 후륜 현가장치 - Google Patents

차량용 후륜 현가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0003880A
KR20030003880A KR1020010039732A KR20010039732A KR20030003880A KR 20030003880 A KR20030003880 A KR 20030003880A KR 1020010039732 A KR1020010039732 A KR 1020010039732A KR 20010039732 A KR20010039732 A KR 20010039732A KR 20030003880 A KR20030003880 A KR 2003000388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vehicle
bushing
lateral rod
lateral
support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1003973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전동기
Original Assignee
현대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현대자동차주식회사 filed Critical 현대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10039732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30003880A/ko
Publication of KR2003000388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0003880A/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GVEHICLE SUSPENSION ARRANGEMENTS
    • B60G3/00Resilient suspensions for a single wheel
    • B60G3/18Resilient suspensions for a single wheel with two or more pivoted arms, e.g. parallelogram
    • B60G3/20Resilient suspensions for a single wheel with two or more pivoted arms, e.g. parallelogram all arms being rigi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GVEHICLE SUSPENSION ARRANGEMENTS
    • B60G2204/00Indexing codes related to suspensions per se or to auxiliary parts
    • B60G2204/40Auxiliary suspension parts; Adjustment of suspensions
    • B60G2204/41Elastic mounts, e.g. bushing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GVEHICLE SUSPENSION ARRANGEMENTS
    • B60G2400/00Indexing codes relating to detected, measured or calculated conditions or factors
    • B60G2400/25Stroke; Height; Displacement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Vehicle Body Suspension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차량용 후륜 현가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차량의 전후륜을 지지하는 트레일링 암과, 좌측 하중을 지지하는 한쌍의 제1레터럴 로드와, 우측 하중을 지지하는 한쌍의 제2레터럴 로드 및 스트럿 지지체로 구비된 차량용 후륜 현가장치에 있어서, 제1레터럴 로드와 제2레터럴 로드는 차량의 중심선 위치에서 결합된다.

Description

차량용 후륜 현가장치{DUAL LINK SUSPENSION}
본 발명은 차량용 후륜 현가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후륜 현가장치의 좌측하중을 지지하는 제1레터럴로드와 우측하중을 지지하는 제2레터럴로드를 차량의 중심선 위치에서 결합함으로써, 차량의 휠스트로크시 발생되는 순간중심이동을 최소화하고, 제1레터럴로드와 제2레터럴로드를 결합하는 부싱의 회전각을 최소화하여 주행안정성과 승차감을 향상시킬 수 있는 차량용 후륜 현가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차량의 후륜에 적용되고 있는 듀얼 링크 서스펜션(Dual Link Suspension)(1)은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후륜을 지지하는 트레일링 암 (Trailing Arm)(2)과, 좌우 하중을 지지하는 한 쌍의 레터럴 로드(Lateral)(3)와, 스트럿(Strut) 지지체(4)로 구성된다. 참조번호 5는 부싱을 말한다.
그러나 전술한 종래 듀얼 링크 서스팬션(1)은 주행중의 충격량 전달시에 레터럴 암(3)의 길이 한계로 인하여,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롤(Roll) 센터의 변화가 크게 발생한다.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면, 차량의 휠스트로크시에 타이어의 위치가 'a' 위치에서 'b' 위치로 이동되면, 차량의 순간중심 'c'의 위치는 'd' 위치로 변화된다. 그러므로 차량의 주행중의 휠스트로크의 변화로 인한 순간중심의 위치가 급격하게 변화됨으로써, 선회 안정성이 불안전한 문제점이 있다.
그리고 차량의 휠 스트로크(Wheel Stroke)시에 레터럴 로드에 장착된 부싱의 회전각 'α'에 의한 마찰이 크게 발생되어 승차감이 떨어지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상기 전술한 바와 같은 문제점들을 해결하기 위해 창출된 것으로서, 차량의 휠스트로크시에 선회 안정성을 향상시키고, 부싱의 회전각을 최소화하여 승차감을 향상시키도록 그 구조가 개선된 차량용 후륜 현가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도 1은 종래 기술에 따른 차량용 후륜 현가장치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
도 2는 도 1의 차량용 후륜 현가장치가 적용된 차량의 휠 스트로크시 순간중심이동을 도시한 도면.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후륜 현가장치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
도 4는 도 3의 차량용 후륜 현가장치의 제1레터럴로드와 제2레터럴로드의 결합을 도시한 도면.
도 5는 도 3의 차량용 후륜 현가장치가 적용된 차량의 휠 스트로크시 순간중심의 이동을 도시한 도면.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트레일링 암 20...제1레터럴로드
21...부싱 30...제2레터럴로드
31...보조부싱 40...스트럿 지지체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차량용 후륜 현가장치는, 차량의 전후륜을 지지하는 트레일링 암과, 좌측 하중을 지지하는 한쌍의 제1레터럴 로드와, 우측 하중을 지지하는 한쌍의 제2레터럴 로드 및 스트럿 지지체로 구비된 차량용 후륜 현가장치에 있어서, 상기 제1레터럴 로드와 상기 제2레터럴 로드는 상기 차량의 중심선 위치에서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제2레터럴 로드의 선단에는 설치공이 형성된 부싱이 결합되며, 상기 제1레터럴 로드의 선단에는 상기 부싱의 설치공에 삽입 결합되는 보조부싱이 결합되어 상기 차량의 중심선 위치에서 결합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후륜 현가장치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것이며, 단지 본 실시예는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며, 통상의 지식을 가진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후륜 현가장치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고, 도 4는 도 3의 차량용 후륜 현가장치의 제1레터럴 로드와 제2레터럴로드의 결합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3 및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후륜 현가장치 (100)는, 트레일링 암(10)과, 제1/제2레터럴로드(20)(30)와, 스트럿 지지체(40)로 구비된 차량용 후륜 현가장치에 있어서, 상기 제1레터럴로드(20)와 제2레터럴로드 (30)는 차량의 중심선 위치에서 결합된다.
상기 트레일링 암(Trailing Arm)(10)은 전후륜을 지지하는 암을 말한다.
그리고, 상기 제1레터럴로드(Lateral Rod)(20)는 차량의 좌측 하중을 지지하고, 상기 제2레터럴로드(30)는 차량의 우측 하중을 지지한다. 그리고 스트럿 (Strut) 지지체(40)는 차량의 수직하중을 지지한다.
도 4를 참조하면, 상기 제1레터럴로드(20)는 한 쌍으로 구비되어 차량의 좌측 하중을 지지하며, 그 길이는 차량의 중심선 위치에 위치될 수 있는 길이를 갖는다. 그리고 상기 제1레터럴로드(20)의 선단에는 부싱(21)이 결합된다. 상기 부싱 (21)은 그 중앙에 설치공(23)이 형성되며, 그 측면에는 삽입공(25)이 형성된다. 상기 부싱(21)의 삽입공(25)에는 봉부재(27)가 삽입되어 상기 한쌍의 제1레터럴로드 (20)를 연결한다. 그리고 상기 설치공(23)에는 보조부싱(31)이 결합됨으로써, 상기 보조부싱(31)이 결합되는 제2레터럴로드(30)를 제1레터럴로드(20)에 결합시킨다.
상기 제2레터럴로드(30)는 차량의 우측 하중을 지지하며, 그 길이는 차량의 중심선 위치에 위치될 수 있는 길이를 갖는다. 그리고 상기 제2레터럴로드(30)의 선단에는 보조부싱(31)이 결합된다. 상기 보조부싱(31)은 제1레터럴로드(20)에 결합된 부싱(21)의 설치공(23)에 결합되며, 상기 보조부싱(31)의 측면에는 관통공 (33)이 형성된다. 따라서, 상기 보조부싱(31)이 부싱(21)의 설치공(23)에 결합되면, 봉부재(27)는 부싱(21)의 삽입공(25)과 보조부싱(31)의 관통공(33)에 삽입됨으로써, 제1레터럴로드(20)를 제2레터럴로드(30)에 결합시키는 구조를 갖는다.
이러한 부싱(21)과 보조부싱(31)의 결합은 도 4b에 도시된 바와 같이, 그 결합이 변형이 가능함은 물론이다.
상기의 구성을 갖는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후륜 현가장치의 작용을 설명한다.
도 4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후륜 현가장치가 적용된 차량의 휠 스트로크시 순간중심의 이동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차량의 주행시 휠 스트로크에 의하여 타이어의 위치가 'A' 위치에서 'B' 위치로 이동되면, 타이어가 'A' 위치에 있을 때의 순간중심 'C'는 'D'의 위치로 이동된다.
이러한 순간중심 'C' 위치에서 'D' 위치로의 변화는 도 2에 도시된 종래 후륜 현가장치의 'c' 위치에서 'd' 위치로의 이동보다 그 이동위치가 감소됨으로써, 주행 안정성과 승차감이 향상된다.
그리고, 부싱의 회전각 'β'는 도 2에 도시된 종래 후륜 현가장치의 회전각 'α'보다 작은 각을 유지함으로써, 부싱의 마찰력이 감소되어 승차감이 향상시킬 수 있다. 참조번호 35는 차량의 중심선이다.
이상, 본 발명을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들을 참조하여 설명하였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않고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본 발명과 균등한 범위에 속하는 다양한 변형예 또는 다른 실시예가 가능하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보호범위는 이어지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해 정해져야 할 것이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후륜 현가장치는 다음과 같은 효과를 갖는다.
후륜 현가장치의 좌측하중을 지지하는 제1레터럴로드와 우측하중을 지지하는 제2레터럴로드를 차량의 중심선 위치에서 결합함으로써, 차량의 휠스트로크시 발생되는 순간중심이동을 최소화하고, 제1레터럴로드와 제2레터럴로드를 결합하는 부싱의 회전각을 최소화하여 주행안정성과 승차감을 향상시킨다.

Claims (2)

  1. 차량의 전후륜을 지지하는 트레일링 암과, 좌측 하중을 지지하는 한쌍의 제1레터럴 로드와, 우측 하중을 지지하는 한쌍의 제2레터럴 로드 및 스트럿 지지체로 구비된 차량용 후륜 현가장치에 있어서,
    상기 제1레터럴 로드와 상기 제2레터럴 로드는 상기 차량의 중심선 위치에서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후륜 현가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레터럴 로드의 선단에는 설치공이 형성된 부싱이 결합되며, 상기 제1레터럴 로드의 선단에는 상기 부싱의 설치공에 삽입 결합되는 보조부싱이 결합되어 상기 차량의 중심선 위치에서 결합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후륜 현가장치.
KR1020010039732A 2001-07-04 2001-07-04 차량용 후륜 현가장치 KR20030003880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10039732A KR20030003880A (ko) 2001-07-04 2001-07-04 차량용 후륜 현가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10039732A KR20030003880A (ko) 2001-07-04 2001-07-04 차량용 후륜 현가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0003880A true KR20030003880A (ko) 2003-01-14

Family

ID=2771333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10039732A KR20030003880A (ko) 2001-07-04 2001-07-04 차량용 후륜 현가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30003880A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94736Y1 (ko) 2021-06-04 2021-12-13 김광석 탈부착 가능한 후륜 완충 보조장치
KR20230035792A (ko) 2021-09-06 2023-03-14 김광석 탈부착 가능한 전륜 완충장치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5147417A (ja) * 1991-11-27 1993-06-15 Toyota Motor Corp サスペンシヨンアームの支持構造
KR19980038190U (ko) * 1996-12-19 1998-09-15 박병재 2중링크식 리어서스펜션
KR20020055003A (ko) * 2000-12-28 2002-07-08 이계안 롤링 억제 기능을 가진 듀얼링크 리어 서스펜션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5147417A (ja) * 1991-11-27 1993-06-15 Toyota Motor Corp サスペンシヨンアームの支持構造
KR19980038190U (ko) * 1996-12-19 1998-09-15 박병재 2중링크식 리어서스펜션
KR20020055003A (ko) * 2000-12-28 2002-07-08 이계안 롤링 억제 기능을 가진 듀얼링크 리어 서스펜션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94736Y1 (ko) 2021-06-04 2021-12-13 김광석 탈부착 가능한 후륜 완충 보조장치
KR20230035792A (ko) 2021-09-06 2023-03-14 김광석 탈부착 가능한 전륜 완충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507510A (en) Multi-link type suspension system
US7407174B2 (en) Suspension system for vehicle
JPS63145112A (ja) 自動車のリヤサスペンシヨン装置
EP2018982B1 (en) Front suspension apparatus for vehicle
KR20030003880A (ko) 차량용 후륜 현가장치
JPS6194809A (ja) 車輌懸架用スタビライザ装置
JPS62134309A (ja) トレ−リングア−ム型リヤサスペンシヨン
KR20030016625A (ko) 리어 서스펜션 시스템
JPH11151922A (ja) 車軸の懸架装置
JPS5830728Y2 (ja) トレ−リングア−ム式車輪懸架装置
KR200148094Y1 (ko) 트레일링 링크의 고정 브라켓트
JP2004306952A (ja) サブフレームのマウントブッシュ
JP2003025822A (ja) 独立懸架式サスペンション
JP2009126201A (ja) リヤサスペンション装置
CN206690824U (zh) 一种汽车后悬挂系统及应用其的汽车
CN206537102U (zh) 一种u型稳定杆
JP2006117045A (ja) 自動車のフロントサスペンション装置
KR20080029146A (ko) 차량용 스테빌라이저의 구조
JPS61160308A (ja) 後輪懸架装置
JP2514475Y2 (ja) 車両のリヤサスペンシヨン
KR920001042Y1 (ko) 자동차의 현가장치
KR200152281Y1 (ko) 프론트 컨트롤암의 다공식 러버부쉬 구조
KR200142040Y1 (ko) 조향 너클
KR200167543Y1 (ko) 자동차 현가장치의 스태빌라이져
JP3608470B2 (ja) フロントサスペンション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