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0002505A - 가변 스트렝스 데이터 출력 드라이버 - Google Patents

가변 스트렝스 데이터 출력 드라이버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0002505A
KR20030002505A KR1020010038150A KR20010038150A KR20030002505A KR 20030002505 A KR20030002505 A KR 20030002505A KR 1020010038150 A KR1020010038150 A KR 1020010038150A KR 20010038150 A KR20010038150 A KR 20010038150A KR 20030002505 A KR20030002505 A KR 2003000250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ull
drivers
turned
driver
driv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1003815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신상웅
김규현
송호영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10038150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30002505A/ko
Publication of KR2003000250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0002505A/ko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CSTATIC STORES
    • G11C7/00Arrangements for writing information into, or reading information out from, a digital store
    • G11C7/10Input/output [I/O] data interface arrangements, e.g. I/O data control circuits, I/O data buffers
    • G11C7/1051Data output circuits, e.g. read-out amplifiers, data output buffers, data output registers, data output level conversion circuits
    • G11C7/1069I/O lines read out arrangements

Abstract

가변 스트렝스 데이터 출력 드라이버가 개시된다. 서로 상보적으로 턴온/턴오프되는 풀업 드라이버와 풀다운 드라이버가 직렬연결된 출력 드라이버를 다수개 구비하고, 선택신호에 응답하여 다수개의 출력 드라이버들을 모두 또는 일부를 선택적으로 구동하여 데이터를 출력하는 본 발명에 따른 데이터 출력 드라이버는 각각은, 다수개의 풀업 드라이버에 대응되고, 제1구동신호에 응답하여, 대응되는 풀업 드라이버를 구동하기 위한 풀업 구동신호를 발생하는 다수개의 풀업 프리 드라이버들 및 각각은, 다수개의 풀다운 드라이버에 대응되고, 제2구동신호에 응답하여, 대응되는 풀다운 드라이버를 구동하기 위한 풀다운 구동신호를 발생하는 다수개의 풀다운 프리 드라이버들을 포함하고, 다수개의 풀업 프리 드라이버에서 발생되는 다수개의 풀업 구동신호는 다수개의 풀업 드라이버를 온시킬 때는 순차적으로 온시키고, 오프시킬 때는 동시에 오프시키도록 제어하고, 다수개의 풀다운 프리 드라이버에서 발생되는 다수개의 풀다운 구동신호는 다수개의 풀다운 드라이버를 온시킬 때는 순차적으로 온시키고, 오프시킬 때는 동시에 오프시키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출력 드라이버를 구성하는 풀업 드라이버 및 풀다운 드라이버를 온시킬 때는 순차적으로 온시키고, 오프시킬 때는 동시에 오프시킴으로써, 숏 서킷 커런트 및 하이 임피던스 상태를 최소화할 수 있다.

Description

가변 스트렝스 데이터 출력 드라이버{Variable strength data output driver}
본 발명은 데이터 출력 드라이버에 관한 것으로, 특히, 데이터 출력 드라이버에 연결되는 회로의 부하 크기에 따라 스트렝스(strength)를 가변시키는 가변 스트렝스 출력 드라이버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데이터 출력 드라이버는 다수개의 출력 드라이버들로 구성되며, 데이터 출력 드라이버에 연결되는 회로의 부하 크기에 따라 다수개의 출력 드라이버들을 모두 이용하거나 또는 일부만을 이용하여 데이터를 출력한다. 이처럼, 데이터 출력에 이용되는 출력 드라이버들을 선택적으로 구동할 수 있는 데이터 출력 드라이버를 가변 스트렝스 출력 드라이버라 한다.
도 1은 종래의 가변 스트렝스 출력 드라이버를 나타내는 회로도이다. 도 1에 도시된 가변 스트렝스 출력 드라이버는 제1 및 제2프리 드라이버(60,70), 제1 및 제2출력 드라이버(80,86)와, 제1 및 제2전송 게이트(82,84)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여기서, 제1 및 제2출력 드라이버(80,86)는 풀업 트랜지스터(MP1,MP2)와 풀다운 트랜지스터(MN1,MN2)로 구성되며, 이들은 직렬 연결된다.
도 1에 도시된 가변 스트렝스 출력 드라이버는 스트렝스 선택신호(PDRV)에 응답하여 50% 스트렝스 또는 100% 스트렝스로 구동할 수 있다. 즉, 스트렝스 선택신호(PDRV)에 응답하여 전송 게이트(82,84)를 오프시키면, 제2출력 드라이버(86)는 구동되지 않고 제1출력 드라이버(80)만 구동된다. 따라서, 도 1에 도시된 가변 스트렝스 출력 드라이버는 50% 스트렝스로 구동된다. 그리고, 스트렝스 선택신호(PDRV)에 응답하여 전송 게이트(82,84)를 온시키면, 제1 및 제2 출력 드라이버(80,86) 모두 구동된다. 따라서, 도 1에 도시된 가변 스트렝스 출력 드라이버는 100% 스트렝스로 구동된다.
도 1을 참조하여, 제1구동신호(DOP)는 제1 및 제2출력 드라이버(80,86)의 풀업 트랜지스터(MP1,MP2)의 온/오프를 제어하기 위한 신호이고, 제2구동신호(DON)는 풀다운 트랜지스터(MN1,MN2)의 온/오프를 제어하기 위한 신호이다. 즉, 도 1에 도시된 가변 스트렝스 데이터 출력 드라이버는 제1 및 제2구동신호(DOP,DON)에 응답하여 출력단자 DOUT으로 "1" 또는 "0"의 데이터를 출력한다. 예컨대, 제1 및 제2구동신호(DOP,DON)에 응답하여 풀업 트랜지스터(MP1,MP2)가 온되고, 풀다운 트랜지스터(NM1,MN2)가 오프되면 출력단자 DOUT으로 데이터 "1"이 출력된다. 반면, 제1 및 제2구동신호(DOP,DON)에 응답하여 풀업 트랜지스터(MP1,MP2)가 오프되고, 풀다운 트랜지스터(NM1,MN2)가 온되면 출력단자 DOUT으로 데이터 "0"이 출력된다.
한편, 도 1에 도시된 회로에서, 제1 및 제2출력 드라이버(80,86)의 풀업 트랜지스터(MP1,MP2)와 풀다운 트랜지스터(MN1,MN2)가 동시에 턴온되면, 회로에 숏 서킷 커런트(short circuit current)가 흐르게 된다. 반면, 제1 및 제2출력 드라이버(80,86)의 풀업 트랜지스터(MP1,MP2)와 풀다운 트랜지스터(MN1,MN2)가 동시에 턴오프되면, 출력단자 DOUT는 하이 임피던스 상태가 된다. 따라서, 회로에 숏 서킷 커런트 및 하이 임피던스 상태가 발생되지 않도록 풀업 및 풀다운 트랜지스터(MP1,MP2,MN1,MN2)의 턴온/턴오프를 제어해야 한다.
도 2a 및 도 2b는 도 1에 도시된 데이터 출력 드라이버가 50% 및 100% 스트렝스로 구동될 때, 풀업 및 풀다운 트랜지스터들의 턴온/턴오프 타이밍도를 나타낸다.
먼저, 도 2a에는 도 1에 도시된 데이터 출력 드라이버가 50% 스트렝스로 동작하는 경우, 풀업 및 풀다운 트랜지스터(MP1,MN1)의 턴온/턴오프 타이밍도를 나타낸다. 도 1에 도시된 회로에 숏 서킷 전류를 방지하기 위해서는 풀업 트랜지스터(MP1)를 오프시킨 후, 풀다운 트랜지스터(MN1)를 온시켜야 한다. 또한, 풀업 트랜지스터(MN1)를 오프시킨 후, 풀업 트랜지스터(MP1)를 온시켜야 한다. 즉, 도 2a에 도시된 바와 같이, 풀다운 트랜지스터(MN1)를 온시키기 전에 풀업 트랜지스터(MP1)를 오프시키고, 풀업 트랜지스터(MP1)를 온시키기 전에 풀다운 트랜지스터(MN1)를 오프시키도록 제1풀업 및 제1풀다운 구동신호(DOP1,DON1)가 인가되어야 한다.
한편, 도 2b는 도 1에 도시된 가변 스트렝스 출력 드라이버가 100% 스트렝스로 동작하는 경우에, 풀업 및 풀다운 트랜지스터들(MP1,MP2,MN1,MN2)의 온/오프 타이밍도를 나타낸다. 도 2b를 참조하여, DOP1과 DON1 그리고, DOP2와 DON2 사이에는 숏 서킷 커런트를 막기 위해 일정한 지연이 보장되어야 한다. 그리고, 풀업 트랜지스터들(MP1,MP2) 그리고, 풀다운 트랜지스터들(MN1,MN2)은 SSO(simultaneous switch output)을 방지하기 위해 순차적으로 온되어야 한다. 예컨대, 16비트 DRAM에서 16개의 데이터가 동시에 하이 또는 로우로 될 때, 16개의 데이터 출력 드라이버들을 구성하는 다수개의 풀업 트랜지스들 또는 다수개의 풀다운 트랜지스터들을 동시에 턴온되어야 한다. 이처럼, 다수개의 트랜지스터들이 동시에 턴온될 경우, 인덕턴스 성분에 의해 역기전력이 발생하여 전원에 딥/범프(dip/bump)가 발생할 수 있다. 이와 같은 전원의 딥/범프로 인해, 출력되는 데이터에 발생되는 노이즈를SSO 노이즈라 하며, 이러한 SSO 노이즈를 방지하기 위해 데이터 출력 드라이버들 각각에 구성되는 다수개의 풀업 트랜지스터들 또는 다수개의 풀다운 트랜지스터들은 순차적으로 턴온되어야 한다. 즉, 도 2b에 도시된 바와 같이 풀업 트랜지스터 MP1이 턴온된 다음 MP2를 턴온시키고, 또한, 풀다운 트랜지스터 MN1이 턴온된 다음 MN2를 턴온시키도록 구동신호 DOP1과 DOP2 그리고, DON1 과 DON2가 인가되어야 한다. 이 때, 나중에 턴오프되는 풀업 트랜지스터 MP2와 먼저 턴온되는 풀다운 트랜지스터 MN1, 그리고, 나중에 턴오프되는 트랜지스터 MN2와 먼저 턴온되는 트랜지스터 MN1로 인해 숏 서킷 커런트가 발생될 수 있다. 따라서, 도 2b에 도시된 바와 같이, 트랜지스터 MP2가 턴오프된 다음 트랜지스터 MN1이 턴온되고 트랜지스터 MN2가 턴오프된 다음 트랜지스터 MP1이 턴온되도록 구동신호 DOP1,DOP2,DON1,DON2가 인가되어야 한다.
이처럼, 100% 스트렝스로 구동할 경우, 숏 서킷 커런트를 줄이기 위해 구동신호 DOP2와 DON1 그리고, DON2와 DOP1 사이에 충분한 지연시간을 두어야 한다. 그러나, 이처럼 구동신호 DOP2와 DON1 그리고, DON2와 DOP1 사이에 지연시간을 주면 50% 스트렝스로 구동할 경우 하이 임피던스 상태가 길어지며, 이로 인한 노이즈 발생의 우려가 있다. 또한, 50% 스트렝스로 구동할 경우의 하이 임피던스 상태를 최소화를 고려하면, 100% 스트렝스로 구동할 경우 숏 서킷 커런트가 늘어나게 된다.
이같은 하이 임피던스 및 숏 서킷 커런트의 문제는 데이터 출력 드라이버를 더 세분화하여 사용할 경우, 더욱 심화된다. 예컨대, 데이터 출력 드라이버를 30%,60%,100%로 나누거나 또는 20%씩 5개의 출력 드라이버를 구동하는 경우, 하이임피던스 상태 및 숏 서킷 커런트를 방지하기가 더욱 어려워진다.
본 발명의 기술적 과제는 숏 서킷 커런트 및 하이 임피던스 상태를 최소화하는 가변 스트렝스 데이터 출력 드라이버를 제공하는 데 있다.
도 1은 종래의 가변 스트렝스 출력 드라이버를 나타내는 회로도이다.
도 2a 및 도 2b는 도 1에 도시된 데이터 출력 드라이버가 50% 및 100% 스트렝스로 구동될 때, 풀업 및 풀다운 트랜지스터들의 턴온/턴오프 타이밍도를 나타낸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가변 스트렝스 데이터 출력 드라이버의 일실시예를 나타내는 회로도이다.
도 4a 및 도 4b는 도 3에 도시된 데이터 출력 드라이버의 제1 및 제2출력 드라이버(52,50)를 구동하기 위한 구동신호들의 파형도를 나타낸다.
도 5는 n개의 출력 드라이버들을 이용한 가변 스트렝스 출력 드라이버의 일실시예를 나타내는 회로도이다.
도 6a 및 도 6b는 도 5에 도시된 가변 스트렝스 출력 드라이버의 출력 드라이버들(160~180)을 구동하는 구동신호들의 파형도를 나타낸다.
상기 과제를 이루기 위해, 서로 상보적으로 턴온/턴오프되는 풀업 드라이버와 풀다운 드라이버가 직렬연결된 출력 드라이버를 다수개 구비하고, 선택신호에 응답하여 다수개의 출력 드라이버들을 모두 또는 일부를 선택적으로 구동하여 데이터를 출력하는 본 발명에 따른 데이터 출력 드라이버는 각각은, 다수개의 풀업 드라이버에 대응되고, 제1구동신호에 응답하여, 대응되는 풀업 드라이버를 구동하기 위한 풀업 구동신호를 발생하는 다수개의 풀업 프리 드라이버들 및 각각은, 다수개의 풀다운 드라이버에 대응되고, 제2구동신호에 응답하여, 대응되는 풀다운 드라이버를 구동하기 위한 풀다운 구동신호를 발생하는 다수개의 풀다운 프리 드라이버들을 포함하고, 다수개의 풀업 프리 드라이버에서 발생되는 다수개의 풀업 구동신호는 다수개의 풀업 드라이버를 온시킬 때는 순차적으로 온시키고, 오프시킬 때는 동시에 오프시키도록 제어하고, 다수개의 풀다운 프리 드라이버에서 발생되는 다수개의 풀다운 구동신호는 다수개의 풀다운 드라이버를 온시킬 때는 순차적으로 온시키고, 오프시킬 때는 동시에 오프시키도록 제어한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가변 스트렝스 데이터 출력 드라이버를 첨부한 도면들을 참조하여 다음과 같이 설명한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가변 스트렝스 데이터 출력 드라이버의 일실시예를 나타내는 회로도이다. 본 발명에 따른 가변 스트렝스 출력 드라이버는 제1 내지 제4프리 드라이버(10,20,30,40), 제1 및 제2출력 드라이버(50,52) 및 제1 및 제2전송 게이트(60,62)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제1 및 제2출력 드라이버(50,52) 각각은 풀업 드라이버(MP1,MP2)와 풀다운 드라이버(MN1,MN2)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설명의 편의를 위해 도 3에는 2개의 출력 드라이버들(50,52)을 이용하며, 가변 스트렝스 데이터 출력 드라이버를 도시하였으며, 선택신호(DRV)와 반전된 선택신호(DRVB)에 응답하여 50% 스트렝스 또는 100% 스트렝스로 출력 드라이버를 구동할 수 있다.
도 3을 참조하여, 제1프리 드라이버(10)는 제1구동신호(DOP)를 입력하여 제1출력 드라이버(52)의 풀업 드라이버(MP1)를 구동하기 위한 제1풀업 구동신호(DOP1)를 발생한다. 그리고, 제2프리 드라이버(20)는 제1구동신호(DOP)를 입력하여 제2출력 드라이버(50)의 풀업 드라이버(MP2)를 구동하기 위한 제2풀업 구동신호(DOP2)를 발생한다. 이 때, 제1 및 제2풀업 드라이버(MP1,MP2)를 온시키는 제1구동신호(DOP)가 입력되면, 제1프리 드라이버(10)의 지연시간은 제2프리 드라이버(20)의 지연시간보다 짧도록 한다. 반면, 제1 및 제2풀업 드라이버(MP1,MP2)를 오프시키는 제1구동신호(DOP)가 입력되면, 제1 및 제2프리 드라이버(10,20)는 동일한 지연시간을 갖는다. 즉, 제1구동신호(DOP)에 응답하여 제1 및 제2출력 드라이버(52,50)의 풀업 드라이버(MP1,MP2)가 온될 때는 제1풀업 드라이버(MP1)가 턴온된 다음 제2풀업 드라이버(MP2)가 턴온되도록 한다. 그리고, 제1구동신호(DOP)에 응답하여 제1 및 제2출력 드라이버(52,50)가 오프될 때는 동시에 오프되도록 한다.
도 3을 참조하여, 제1프리 드라이버(10)는 인버터 드라이버들(12,14)을 포함하여 구성되고, 제2프리 드라이버(20)는 인버터 드라이버들(22,24)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이 때, 인버터 드라이버들(12,22)의 일측에는 제1 및 제2프리 드라이버(10,20)의 지연시간을 조절하는 저항(RP1,RP2)이 연결되어 있다. 이 저항(RP1,RP2)의 값을 조절하여, 제1 및 제2풀업 드라이버(MP1,MP2)를 순차적으로 턴온시키는 제1 및 제2풀업 구동신호(DOP1,DOP2)를 발생한다. 즉, 인버터 드라이버(12)의 저항(RP1)을 인버터 드라이버(22)의 저항(RP2)보다 작게함으로써, 제1 및 제2풀업 드라이버(MP1,MP2)를 턴온시킬 때, 제1프리 드라이버(10)의 지연시간을 제2프리 드라이버(20)의 지연시간보다 짧게할 수 있다.
계속해서, 제3프리 드라이버(30)는 제2구동신호(DON)를 입력하여 제1출력 드라이버(52)의 풀다운 드라이버(MN1)를 구동하기 위한 제3풀업 구동신호(DON1)를 발생한다. 그리고, 제4프리 드라이버(40)는 제2구동신호(DON)를 입력하여 제2출력 드라이버(50)의 풀다운 드라이버(MN2)를 구동하기 위한 제4풀다운 구동신호(DON2)를 발생한다. 이 때, 제1 및 제2풀다운 드라이버(MN1,MN2)를 온시키는 제2구동신호(DON)가 입력될 때, 제3프리 드라이버(30)의 지연시간은 제4프리 드라이버(40)의 지연시간보다 짧게 한다. 반면, 제3 및 제4풀다운 드라이버(MN1,MN2)를 오프시키는 제2구동신호(DON)가 입력될 때, 제3 및 제4프리 드라이버(30,40)는 동일한 지연시간을 갖는다. 즉, 제2구동신호(DON)에 응답하여 제1 및 제2출력 드라이버(52,50)의 풀다운 드라이버(MN1,MN2)가 온될 때는 제1풀다운 드라이버(MN1)가 턴온된 다음 제2풀다운 드라이버(MN2)가 온되도록 한다. 그리고, 제2구동신호(DON)에응답하여 제1 및 제2출력 드라이버(52,50)가 오프될 때는 동시에 오프되도록 한다.
도 3을 참조하여, 제3프리 드라이버(30)는 인버터 드라이버들(32,34)을 포함하여 구성되고, 제4프리 드라이버(40)는 인버터 드라이버들(42,44)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이 때, 인버터 드라이버들(32,42)의 일측에는 제3 및 제4프리 드라이버(30,40)의 지연시간을 조절하는 저항(RN1,RN2)이 연결되어 있다. 이 저항(RN1,RN2)의 값을 조절하여, 제1 및 제2풀다운 드라이버(MN1,MN2)를 순차적으로 턴온시키는 제1 및 제2풀다운 구동신호(DON1,DON2)를 발생한다. 즉, 인버터 드라이버(32)의 저항(RN1)을 인버터 드라이버(42)의 저항(RN2)보다 작게함으로써, 제1 및 제2풀다운 드라이버(MN1,MN2)를 턴온시킬 때, 제3프리 드라이버(30)의 지연시간을 제4프리 드라이버(40)의 지연시간보다 짧게할 수 있다.
계속해서, 제1출력 드라이버(52)는 제1풀업 구동신호(DOP1)에 의해 제어되는 제1풀업 드라이버(MP1)와 제1풀다운 구동신호(DON1)에 의해 제어되는 제1풀다운 드라이버(MN1)로 구성된다. 제2출력 드라이버(50)는 제2풀업 구동신호(DOP2)에 의해 제어되는 제2풀업 드라이버(MP2)와 제2풀다운 구동신호(DON2)에 의해 제어되는 제2풀다운 드라이버(MN2)로 구성된다.
제1 및 제2전송 게이트(60,62)는 선택신호(DRV)에 응답하여 온/오프된다. 즉, 선택신호(DRV)에 응답하여 제1 및 제2전송 게이트(60,62)가 온되면, 제2출력 드라이버(50)는 제2풀업 구동신호(DOP2) 및 제2풀다운 구동신호(DON2)의 제어에 의해 구동된다. 또한, 선택신호(DRV)에 응답하여 제1 및 제2전송 게이트(60,62)가 오프되면, 제2풀업 구동신호(DOP2) 및 제2풀다운 구동신호(DON2)가 제2출력드라이버(50)로 전송되지 않아 구동되지 않는다. 결국, 도 3에 도시된 가변 스트렝스 데이터 출력 드라이버는 제1 및 제2전송 게이트(60,62)가 온되면 100% 스트렝스로 구동되고, 오프되면 50% 스트렝스로 구동된다.
도 4a 및 도 4b는 도 3에 도시된 데이터 출력 드라이버의 제1 및 제2출력 드라이버(52,50)를 구동하기 위한 구동신호들의 파형도를 나타낸다.
도 4a는 도 3에 도시된 장치에서 제1출력 드라이버(52)만 구동하는 경우, 즉, 50% 스트렝스로 구동할 경우의 파형도를 나타낸다.
도 4b는 도 3에 도시된 장치에서 제1 및 제2출력 드라이버(52,50)를 모두 구동하는 경우, 즉, 100% 스트렝스로 구동할 경우의 구동신호들의 파형도를 나타낸다. 도 4b를 참조하하면, 제1 및 제2풀업 드라이버(MP1,MP2)가 오프될 때는 동시에 오프되고, 온될 때는 순차적으로 즉, 제1풀업 드라이버(MP1)가 온된 다음 제2풀업 드라이버(MP2)가 온됨을 보인다. 또한, 제1 및 제2풀다운 드라이버(MN1,MN2)가 오프될 때는 동시에 오프되고, 온될 때는 순차적으로 즉, 제1풀다운 드라이버(MN1)가 온된 다음 제2풀다운 드라이버(MN2)가 온됨을 보인다. 결국, 도 3에 도시된 장치를 100% 스트렝스로 구동할 경우, 제1 및 제2풀업 드라이버(MP1,MP2)를 제어하는 제1 및 제2풀업 구동신호(DOP1,DOP2)를 동시에 하이로 하여 제1 및 제2풀업 드라이버(MP1,MP2)를 동시에 오프시킨다. 그런 다음, 제1 및 제2풀다운 드라이버(MN1,MN2)를 제어하는 제1 및 제2풀다운 구동신호(DON1,DON2)를 순차적으로 하이로 하여, 제1 및 제2풀다운 드라이버(MN1,MN2)를 순차적으로 온시킴으로써, 하이 임피던스 상태 및 숏 서킷 커런트최소화할 수 있다.
이처럼, 풀업 및 풀다운 드라이버들(MP1,MP2,MN1,MN2)을 온시킬 때는 순차적으로 온시키고, 오프시킬 때는 동시에 오프시킴으로, 종래와 같이 드라이버 MP1과 MN2 그리고, MP2와 MN1로 인한 숏 서킷 커런트를 고려하지 않아도 된다. 즉, 도 3에 도시된 데이터 출력 드라이버는 출력 드라이버를 하나만 사용할 때, 즉, 50% 스트렝스로 구동할 때 숏 서킷 커런트와 하이 임피던스 상태를 최소화하도록 구동신호 DOP1 및 DON1 사이의 지연시간을 설정하더라도 100% 스트렝스를 구동할 때, 숏 서킷 커런트 문제가 발생되지 않는다.
한편, 이상에서는 두 개의 출력 드라이버들(52,50)을 이용한 가변 스트렝스 출력 드라이버를 설명하였다. 그러나, n(>2)개의 출력 드라이버들을 이용하여 스트렝스를 세분화할 수 있다.
도 5는 n개의 출력 드라이버들을 이용한 가변 스트렝스 출력 드라이버의 일실시예를 나타내는 회로도이다. 도 5에 도시된 가변 스트랭스 출력 드라이버는 다수개의 프리 드라이버들(100~150), 다수개의 전송 게이트들(190~194), 다수개의 출력 드라이버들(160~180)을 포함하여 구성되며, 출력 드라이버들(160~180) 각각은 풀업 드라이버와 풀다운 드라이버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도 5를 참조하여, 제1 내지 제n풀업 프리 드라이버(100~120)는 제1구동신호(DOP)를 입력하여 제1 내지 제n출력 드라이버(160~180)의 풀업 드라이버들(MP1~MPn)을 구동하기 위한 제1 내지 제n풀업 구동신호(DOP1~DOPn)를 발생한다. 이 때, 제1 내지 제n풀업 드라이버(MP1~MPn)를 온시키는 제1구동신호(DOP)가 입력될 때, 제1 내지 제n풀업 프리 드라이버(100~120)는 제1내지 제n풀업드라이버(MP1~MPn)가 순차적으로 온되도록 제어하는 제1 내지 제n풀업 구동신호(DOP1~DOPn)를 각각 발생한다. 또한, 제1 내지 제n풀업 프리 드라이버(100~120)는 제1 내지 제n풀업 드라이버(MP1~MPn)를 오프시키는 제1구동신호(DOP)가 입력될 때, 제1내지 제n풀업 드라이버(MP1~MPn)가 동시에 오프되도록 제어하는 제1 내지 제n풀업 구동신호(DOP1~DOPn)를 각각 발생한다.
도 5를 참조하여, 제1 내지 제n풀업 프리 드라이버들(100~120) 각각은 지연시간을 조절하는 인버터 드라이버들(102~124)을 포함한다. 인버터 드라이버들(102~122)의 일측에는 제1 및 제2프리 드라이버(10,20)의 지연시간을 조절하는 저항들(RP1~RPn)이 연결되어 있다. 제1 내지 제n풀업 프리 드라이버들(100~120)은 저항들(RP1~RPn)의 값을 조절하여, 제1 내지 제n풀업 드라이버(MP1~MPn)를 순차적으로 턴온시키는 제1 내지 제n풀업 구동신호(DOP1~DOPn)를 발생할 수 있다. 예컨대, 저항들(RP1~RPn)을 순차적으로 크게하여 제1 내지 제n풀업 프리 드라이버(100~120)의 지연시간을 순차적으로 길어지게 할 수있다.
계속해서, 제1 내지 제n풀다운 프리 드라이버(130~150)는 제2구동신호(DON)를 입력하여 제1 내지 제n출력 드라이버(160~180)의 풀다운 드라이버들(MN1~MNn)을 구동하기 위한 제1 내지 제n풀다운 구동신호(DON1~DONn)를 발생한다. 이 때, 제1 내지 제n풀다운 드라이버(MN1~MNn)를 온시키는 제2구동신호(DON)가 입력될 때, 제1 내지 제n풀다운 프리 드라이버(130~150)는 제1 내지 제n풀다운 드라이버(MN1~MNn)가 순차적으로 온되도록 제어하는 제1 내지 제n풀다운 구동신호(DON1~DONn)를 각각 발생한다. 또한, 제1 내지 제n풀다운 프리 드라이버(130~150)는 제1 내지 제n풀다운 드라이버(MN1~MNn)를 오프시키는 제2구동신호(DON)가 입력될 때, 제1 내지 제n풀다운 드라이버(MN1~MNn)가 동시에 오프되도록 제어하는 제1 내지 제n풀다운 구동신호(DON1~DONn)를 각각 발생한다.
도 5를 참조하여, 제1 내지 제n풀다운 프리 드라이버들(130~150) 각각은 지연시간을 조절하는 인버터 드라이버들(132~152)을 포함한다. 인버터 드라이버들(132~152)의 일측에는 제1 및 제2풀다운 프리 드라이버(130,150)의 지연시간을 조절하는 저항들(RN1~RNn)이 연결되어 있다. 제1 내지 제n풀다운 프리 드라이버들(130~150)은 저항들(RN1~RNn)의 값을 조절하여, 제1 내지 제n풀다운 드라이버(MN1~MNn)를 순차적으로 턴온시키는 제1 내지 제n풀다운 구동신호(DON1~DONn)를 발생할 수 있다. 예컨대, 저항들(RN1~RNn)을 순차적으로 크게하여 제1 내지 제n풀다운 프리 드라이버(130~150)의 지연시간을 순차적으로 길어지게 할 수 있다.
전송 게이트들(190~196) 각각은 제1 내지 제(n-1)스트렝스 선택신호(DRV1~DRV(n-1))에 응답하여 온/오프된다. 여기서, 제1 내지 제(n-1) 반전 스트렝스 선택신호(DRVB1~DRVB(n-1))는 제1 내지 제(n-1)스트렝스 선택신호(DRV1~DRV(n-1))를 각각 반전한 신호이다. 즉, 제1 내지 제(n-1)스트렝스 선택신호(DRV1~DRV(n-1))에 응답하여, 데이터 출력 드라이버의 스트렝스를 조절할 수 있다.
도 6a 및 도 6b는 도 5에 도시된 가변 스트렝스 출력 드라이버의 출력 드라이버들(160~180)을 구동하는 구동신호들의 파형도를 나타낸다.
도 6a는 도 5에 도시된 장치에서 제1출력 드라이버(52)만 구동하는 경우, 구동신호의 파형도를 나타낸다.
도 6b는 도 5에 도시된 장치에서 출력 드라이버들(160~180)를 모두 구동하는 경우 구동신호들의 파형도를 나타낸다. 도 6b를 참조하하면, 제1 내지 제n풀업 드라이버(MP1~MPn)가 오프될 때는 동시에 오프되고, 온될 때는 제1풀업 드라이버(MP1)부터 순차적으로 온됨을 보인다. 또한, 제1 및 제n풀다운 드라이버(MN1~MNn)가 오프될 때는 동시에 오프되고, 온될 때는 제1풀다운 드라이버(MN1)부터 순차적으로 온됨을 보인다.
이처럼, 다수개의 풀업 또는 풀다운 드라이버를 온시킬 때는 순차적으로 온시키고, 오프시킬 때는 동시에 오프시킴으로써, 이웃하는 출력 드라이버의 풀업 드라이버와 풀다운 드라이버로 인한 숏 서킷 커런트는 고려하지 않아도 된다. 즉, 도 5에 도시된 데이터 출력 드라이버는 출력 드라이버를 하나만 사용할 때, 숏 서킷 커런트와 하이 임피던스 상태를 최소화하도록 구동신호 DOP1 및 DON1 사이의 지연시간을 설정하더라도 둘 이상의 출력 드라이버를 사용할 때, 숏 서킷 커런트 문제가 발생되지 않는다.
이상 도면과 명세서에서 최적 실시예들이 개시되었다. 여기서 특정한 용어들이 사용되었으나, 이는 단지 본 발명을 설명하기 위한 목적에서 사용된 것이지 의미 한정이나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범위를 제한하기 위하여 사용된 것은 아니다. 그러므로 본 기술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 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해 정해져야할 것이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가변 스트렝스 데이터 출력 드라이버는 출력 드라이버를 구성하는 풀업 드라이버 및 풀다운 드라이버를 온시킬 때는 순차적으로 온시키고, 오프시킬 때는 동시에 오프시킴으로써, 숏 서킷 커런트 및 하이 임피던스 상태를 최소화할 수 있다.

Claims (1)

  1. 서로 상보적으로 턴온/턴오프되는 풀업 드라이버와 풀다운 드라이버가 직렬연결된 출력 드라이버를 다수개 구비하고, 선택신호에 응답하여 상기 다수개의 출력 드라이버들을 모두 또는 일부를 선택적으로 구동하여 데이터를 출력하는 가변 스트렝스 데이터 출력 드라이버에 있어서,
    각각은, 상기 다수개의 풀업 드라이버에 대응되고, 제1구동신호에 응답하여, 대응되는 풀업 드라이버를 구동하기 위한 풀업 구동신호를 발생하는 다수개의 풀업 프리 드라이버들; 및
    각각은, 상기 다수개의 풀다운 드라이버에 대응되고, 제2구동신호에 응답하여, 대응되는 풀다운 드라이버를 구동하기 위한 풀다운 구동신호를 발생하는 다수개의 풀다운 프리 드라이버들을 포함하고,
    상기 다수개의 풀업 프리 드라이버에서 발생되는 다수개의 상기 풀업 구동신호는 상기 다수개의 풀업 드라이버를 온시킬 때는 순차적으로 온시키고, 오프시킬때는 동시에 오프시키도록 제어하고,
    상기 다수개의 풀다운 프리 드라이버에서 발생되는 다수개의 상기 풀다운 구동신호는 상기 다수개의 풀다운 드라이버를 온시킬 때는 순차적으로 온시키고, 오프시킬 때는 동시에 오프시키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변 스트렝스 데이터 출력 드라이버.
KR1020010038150A 2001-06-29 2001-06-29 가변 스트렝스 데이터 출력 드라이버 KR20030002505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10038150A KR20030002505A (ko) 2001-06-29 2001-06-29 가변 스트렝스 데이터 출력 드라이버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10038150A KR20030002505A (ko) 2001-06-29 2001-06-29 가변 스트렝스 데이터 출력 드라이버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0002505A true KR20030002505A (ko) 2003-01-09

Family

ID=2771222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10038150A KR20030002505A (ko) 2001-06-29 2001-06-29 가변 스트렝스 데이터 출력 드라이버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30002505A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097149A (en) * 1990-07-02 1992-03-17 Micron Technology, Inc. Two stage push-pull output buffer circuit with control logic feedback for reducing crossing current, switching noise and the like
US5854560A (en) * 1996-11-20 1998-12-29 Ind Tech Res Inst CMOS output buffer having a high current driving capability with low noise
KR20000008998A (ko) * 1998-07-20 2000-02-15 윤종용 출력버퍼 및 그의 버퍼링 방법
KR20000019551U (ko) * 1999-04-15 2000-11-15 김영환 반도체 회로의 멀티 비트 데이터 출력 버퍼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097149A (en) * 1990-07-02 1992-03-17 Micron Technology, Inc. Two stage push-pull output buffer circuit with control logic feedback for reducing crossing current, switching noise and the like
US5854560A (en) * 1996-11-20 1998-12-29 Ind Tech Res Inst CMOS output buffer having a high current driving capability with low noise
KR20000008998A (ko) * 1998-07-20 2000-02-15 윤종용 출력버퍼 및 그의 버퍼링 방법
KR20000019551U (ko) * 1999-04-15 2000-11-15 김영환 반도체 회로의 멀티 비트 데이터 출력 버퍼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4059387B2 (ja) 集積回路のノードにおけるディジタル信号の遷移エッジのスルー・レートを変化させる装置
US7378878B2 (en) Driver circuit having programmable slew rate
US7355449B1 (en) High-speed serial data transmitter architecture
US7999579B2 (en) Output driver
KR100808598B1 (ko) 데이타 출력 드라이버
JP3605122B2 (ja) 補償回路と遅延を補償する方法
US20010000951A1 (en) Integrated circuit with multi-function controlled impedance output drivers
US6040724A (en) Bus driver circuit having adjustable rise and fall times
US6590421B2 (en) Semiconductor device and method of outputting data therein
KR20030002505A (ko) 가변 스트렝스 데이터 출력 드라이버
JP2001068986A (ja) 半導体装置の出力バッファ回路
JP4454013B2 (ja) 差動出力回路
US7477081B2 (en) Pre-driver circuit and data output circuit using the same
US7893709B2 (en) Termination circuit
KR100265834B1 (ko) 반도체 장치의 입/출력 버퍼
US11973496B2 (en) Drive circuit
US7301375B2 (en) Off-chip driver circuit and data output circuit using the same
KR100346948B1 (ko) 씨모스 출력 버퍼 회로
JP2004254312A (ja) オープンドレイン出力バッファ
KR100559035B1 (ko) 오프칩 드라이버 회로 및 이를 이용한 데이터 출력 회로
KR950002725B1 (ko) 3상태 출력버퍼
JP3191733B2 (ja) フィードバック遅延制御型gtlバスドライバ
JPH02122725A (ja) 半導体装置
KR100333354B1 (ko) 반도체 메모리의 데이터 출력 제어 회로
KR20020002564A (ko) 전자기 방해를 개선한 데이터 입출력 버퍼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NORF Unpaid initial registration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