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0000405A - 발수포를 이용한 보강콘크리트 구조물 바닥의 외방수공법 - Google Patents

발수포를 이용한 보강콘크리트 구조물 바닥의 외방수공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0000405A
KR20030000405A KR1020010036172A KR20010036172A KR20030000405A KR 20030000405 A KR20030000405 A KR 20030000405A KR 1020010036172 A KR1020010036172 A KR 1020010036172A KR 20010036172 A KR20010036172 A KR 20010036172A KR 20030000405 A KR20030000405 A KR 2003000040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ayer
water
waterproofing
repellent
morta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1003617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성구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동방포루마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동방포루마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동방포루마
Priority to KR1020010036172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30000405A/ko
Publication of KR2003000040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0000405A/ko

Link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31/00Protective arrangements for foundations or foundation structures; Ground foundation measures for protecting the soil or the subsoil water, e.g. preventing or counteracting oil pollution
    • E02D31/02Protective arrangements for foundations or foundation structures; Ground foundation measures for protecting the soil or the subsoil water, e.g. preventing or counteracting oil pollution against ground humidity or ground water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250/00Production methods
    • E02D2250/0023Cast, i.e. in situ or in a mold or other formwork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300/00Materials
    • E02D2300/0004Synthetics
    • E02D2300/0018Cement used as binder
    • E02D2300/0021Mortar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300/00Materials
    • E02D2300/0051Including fibers
    • E02D2300/0054Including fibers made from plastic
    • E02D2300/0057P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Paleontology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General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Mining & Mineral Resources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Building Environments (AREA)
  • Laminated Bodies (AREA)
  • Treatments For Attaching Organic Compounds To Fibrous Good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발수포를 이용한 보강콘크리트 구조물 바닥의 외방수공법에 관한 것으로서, 버림콘크리트 타설 단계, 방수시공 단계, 보호몰탈 타설 단계 및 바닥슬라브 타설 단계로 이루어진 보강 콘크리트 구조물 바닥 외방수 공법에서 버림콘크리트 타설 단계와 방수시공 단계 사이에 발수포를 적층하는 단계를 더 포함함으로써 버림콘크리트층의 함몰시에 층 분리를 유도할 수 있어 방수층이 찢기는 문제 등을 방지하여 방수층의 안정성을 보장할 수 있다.

Description

발수포를 이용한 보강콘크리트 구조물 바닥의 외방수공법{Method for waterproofing}
본 발명은 분리용 발수포를 이용한 보강콘크리트 구조물 바닥의 외방수 공법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버림콘크리트층 상부에 분리용 막 또는 포를 설치하여 방수층의 안정성을 보장할 수 있도록 한 외방수 공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콘크리트 구조물은 외방수를 한 뒤 보호몰탈을 타설하고 바다슬라브를 타설한다.
이와같은 외방수공법의 예는 도 1에 나타내었는 바, 터파기, 항타작업을 거쳐 버림 콘크리트를 타설(1)한 후, 그 위에 방수시공을 하여 방수층(3)을 형성한 다음, 보호몰탈(4)을 타설하고, 토목, 건축구조물의 바닥슬라브(5)를 타설한다.
이 경우 방수층(3)은 상부의 보호몰탈(4) 및 슬라브층(5)과 하부의 버림콘크리트층(1) 양쪽에 모두 부착된다.
이때, 방수층은 여러 가지 유형의 방수재를 사용하여 형성하는 바, 예를들면 아스팔트도막방수, 우레탄 도막방수, 그외의 시트상 방수 등을 들 수 있다.
한편, 버림콘크리트층은 철근이나 기타의 보강제가 들어있지 않은 것으로서, 건축구조물이 완성된 후 함몰되는데, 함몰시 버림콘크리트층에 접착된 일부의 방수층이 찢어지거나 늘어나는 현상이 발생되며, 이로인해 방수층의 하자가 발생된다. 이와 같은 방수층의 단락을 도 2에 나타내었다.
이같은 현상은 방수재의 종류와 상관없이 발생되나, 특히 고무 아스팔트 또는 우레탄 계열의 도막방수 공사에서 많이 발생한다.
이와같이 찢어지거나 늘어난 방수층은 본래의 성능을 발휘할 수 없다.
이에 본 발명자들은 버림 콘크리트층의 함몰로 인해 발생되는 방수층의 찢김이나 늘어짐 현상을 방지하기 위해 연구노력하던 중, 방수층과는 접착력이 강하고 콘크리트층과는 접착력이 약한 발수포를 방수층과 버림콘크리트층 사이에 설치한 결과, 버림콘크리트층의 함몰시에도 방수층은 변형이 일어나지 않음을 알게되어 본 발명을 완성하게 되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버림콘크리트층에 시공되는 토목건축 구조물의 외부 바닥방수층이 버림콘크리트층의 함몰로 인해 찢겨지거나 늘어나는 현상을 방지할 수 있는 발수포를 이용한 보강콘크리트 구조물 바닥의 외방수 공법을 제공하는 데 있다.
이와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보강콘크리트 구조물 바닥 외방수공법은 버림콘크리트 타설 단계, 방수시공 단계, 보호몰탈 타설 단계 및 바닥슬라브 타설 단계로 이루어진 것으로서, 상기 버림콘크리트 타설 단계와 방수시공 단계 사이에 발수포를 적층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임을 그 특징으로 한다.
도 1은 종래 보강콘크리트 구조물 바닥 외방수공법의 단면도이고,
도 2는 종래 보강콘크리트 구조물 바닥 외방수공법에서 발생되는 버림 콘크리트층의 함몰로 인한 방수층의 단락을 나타낸 단면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분리용 발수포를 이용한 보강콘크리트 구조물 바닥 외방수공법의 단면도이고,
도 4는 본 발명 실시예에 따라 발수포의 효과를 알아보기 위한 실험의 결과 발수층의 분리형태를 나타낸 것으로서, 도 4a는 방수층이 상부 보호몰탈로부터 떨어져 나간 상부분리의 단면도이고, 도 4b는 방수층이 상부 보호몰탈에 접착된 상태로 발수포층만 하부의 버림콘크리트층과 함께 떨어져 나간 중간분리의 단면도이며, 도 4c는 방수층과 발수포층은 상부의 보호몰탈에 접착된 상태로 버림콘크리트층만이 떨어져 나간 하부분리의 단면도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11 - 버림콘크리트12 - 발수포
3, 13 - 방수층4, 14 - 보호몰탈
5, 15 - 바닥슬라브
이와같은 본 발명을 더욱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은 발수포를 이용한 콘크리트 구조물 바닥의 외방수공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발수포라 함은 부직포 형태의 재질인 폴리에스터에 발수성을 부여한 것, 발수제를 함습시킨 섬유 또는 포 등으로 발수포와 유사한 성능을 나타낼 수 있는 포 또는 섬유를 말하는 것이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이와같은 발수포를 버림콘크리트층 위에 적층하는 것은 방수재와 몰탈, 발수포와 방수재의 접착력은 강한 반면, 발수포와 몰탈의 접착력이 약한 점을 이용한 것이다. 일반공사의 경우 버림콘크리트층 위에 방수층을 형성함으로 인해 버림콘크리트층이 함몰될 경우 방수층이 찢김으로 손상이 생기게 된다.
따라서, 본 발명에서는 버림 콘크리트층과 접착력이 약한 발수포를 적층시킨 후 그 위에 원래의 도막방수 또는 기타의 방수층을 형성시킨다. 구체적으로는, 도막방수제를 사용할 경우에는 방수원액을 바른 후 발수포를 버림 콘크리트층에 접착시킨다. 이같이 점접착한 발수포 위에 원래의 도막방수 또는 기타의 방수층을 형성시킨다.
방수층이 형성되면 경우에 따라서 보호몰탈을 타설하고 건축물의 바닥슬라브를 타설한다.
이같은 일련의 방수공법은 도 3에 나타낸 바와 같다.
이와같은 공법을 사용하면 버림 콘크리트층이 함몰될 경우 발수포와 접착력이 강한 방수재, 예를들어 도막방수재, 우레탄 도막 또는 시트의 경우는 누름층의 아래에 방수층과 발수포가 함께 붙어있게 된다. 또한, 발수포와의 접착력이 약한 방수재, 예를들어 벤토나이트 방수의 경우는 발수포는 버림 콘크리트층의 상부에 남고 방수층은 누름층의 하부에 남아 버림 콘크리트층과 방수층의 완전한 분리로 방수층의 손상이 전혀 생기지 않는다. 따라서 어떤 방수재를 사용하더라도 방수층 본래의 기능을 완전히 발휘할 수 있어 하자발생율을 낮출 수 있다.
이와같은 기능을 제대로 발휘하기 위해서는 발수포는 방수성과 기름의 흡착성이 뛰어나야 하는 바, 이를 감안하여 가장 바람직하기로는 발수포는 발수재를 함침한 천 또는 유류흡착용 차수포 등이 적합하다.
이하, 본 발명을 실시예에 의거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은 바, 본 발명이 실시예에 의해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실시예
본 실시예는 발수포를 버림콘크리트층과 방수층 사이에 적층시킴으로써 얻어지는 효과를 확인하기 위한 것으로서, 구체적으로는 방수층의 안전성을 알아보기 위한 실험이다.
30×30cm 이상의 몰탈 판 5장과 몰탈 타설용 틀, 방수재로서는 아스팔트 도막방수재(하이고마스, (주)동방포루마사 제품), 우레탄 도막방수재(K-1-40 coat, 강남화성(주) 제품), 시트(페트로 시트, (주)페트로 산엄 제품)를 준비하고, 발수포로서는 차수포, 직포에 발수제를 함침한 천 등을 준비하였다.
5개의 몰탈 판 위에 상기에서 준비한 재료들을 다음 표 1과 같이 구성하여 방수층을 형성하였다.
a b c d
방수층 아스팔트 도막 아스팔트 도막 우레탄도막 시트
발수층 × 차수포 발수포 차수포
몰탈바닥 몰탈바닥 몰탈바닥 몰탈바닥 몰탈바닥
상기 표 1과 같이 시공한 후 몰탈 상부의 도막층이 완전히 건조되면 틀을 끼워 보호몰탈과 같은 두께로 몰탈을 부어넣고 손잡이 두 개를 고정시켜 완전히 굳혔다.
부어넣은 몰탈이 완전히 굳으면 두 개의 고리를 봉 또는 끈으로 연결하고 인장력 시험기 등으로 아래 몰탈 판을 고정시킨 뒤 상부 몰탈을 잡아당겨 바닥판과 윗판을 분리시켰다.
그런 다음, 상기 a, b, c, d 및 e 각각의 경우 도막층이 완전히 상부에 접착되는지를 관찰하였다.
방수층의 파손여부는 다음 표 2와 같고, 층분리 형태를 하부분리, 중간분리, 상부분리로 나누어 다음 표 3에 기재하였다. 하부분리, 중간분리 및 상부분리의 형태는 도 4a, 도 4b 및 도 4c에 각각 나타내었다.
a b c d
방수층 파손여부 × × ×
a b c d
하부분리
중간분리
상부분리
상기 표 2 및 도 4의 결과로부터, 일반적인 시공상태(a)의 경우 상부와 하부의 몰탈에 방수층이 동시에 접착되므로 하부 몰탈의 함몰이 있는 경우 방수층이 찢김으로 손상이 발생된다. 그러나, 본 발명에 따라 하부몰탈의 층분리를 유도할 수 있는 분리용 천 또는 분리용 막으로서 발수포를 형성시킨 경우, 사용한 방수재에 따라 그 분리의 형태는 다르기는 하나 궁극적으로 방수층이 상부 보호몰탈층에 손상없이 부착되어 있어 방수층의 안정성을 보장할 수 있음을 알 수 있다.
이상에서 상세히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라 버림콘크리트층 상부에 발수포를 적층하고 그 상부에 방수층을 형성하는 외방수 공법은 버림콘크리트층의 함몰시에 층 분리를 유도할 수 있는 분리용 천 또는 분리용 막을 설치함으로써 방수층이 찢기는 문제 등을 방지하여 방수층의 안정성을 보장할 수 있다.

Claims (2)

  1. 버림콘크리트 타설 단계, 방수시공 단계, 보호몰탈 타설 단계 및 바닥슬라브 타설 단계로 이루어진 보강 콘크리트 구조물 바닥 외방수 공법에 있어서,
    상기 버림콘크리트 타설 단계와 방수시공 단계 사이에 발수포를 적층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보강콘크리트 구조물 바닥의 외방수공법.
  2. 제 1 항에 있어서, 발수포로는 부직포 형태의 재질인 폴리에스터에 발수성을 부여한 것, 발수제를 함습시킨 섬유 또는 포인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보강콘크리트 구조물 바닥의 외방수공법.
KR1020010036172A 2001-06-25 2001-06-25 발수포를 이용한 보강콘크리트 구조물 바닥의 외방수공법 KR20030000405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10036172A KR20030000405A (ko) 2001-06-25 2001-06-25 발수포를 이용한 보강콘크리트 구조물 바닥의 외방수공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10036172A KR20030000405A (ko) 2001-06-25 2001-06-25 발수포를 이용한 보강콘크리트 구조물 바닥의 외방수공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0000405A true KR20030000405A (ko) 2003-01-06

Family

ID=2771087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10036172A KR20030000405A (ko) 2001-06-25 2001-06-25 발수포를 이용한 보강콘크리트 구조물 바닥의 외방수공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30000405A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9441029A (zh) * 2018-12-20 2019-03-08 盐城工业职业技术学院 一种含拒水纤维夹层的中空防水保温建筑楼顶
KR20220129171A (ko) 2021-03-16 2022-09-23 한국 전기안전공사 유중가스분석 반자동 퍼징 시스템 및 방법

Citation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880001895A (ko) * 1986-07-21 1988-04-27 김현휘 콘크리트의 방수처리 시공법
JPH05340183A (ja) * 1992-06-04 1993-12-21 Uchida Yoshikazu 立て坑に防水層を設ける工法
JPH08246486A (ja) * 1995-03-07 1996-09-24 Masaru Kaida 地下壁外防水工法装置
JPH08269984A (ja) * 1995-03-28 1996-10-15 Toa Kensetsu Kk 外防水工法地下室の構築法
JPH1054046A (ja) * 1996-08-09 1998-02-24 Mitsuboshi Belting Ltd 地下防水構造および地下防水工法
KR19990023522A (ko) * 1997-08-11 1999-03-25 최정웅 지하실의 방습구조 및 방습공법
KR20010106813A (ko) * 2000-05-23 2001-12-07 송병창 콘크리트바탕의 내구성 향상 및 재생보수를 위한통기발수형 바닥 마감공법
KR20020046613A (ko) * 2000-12-15 2002-06-21 송병창 공간이 협소한 지하구조물 외방수방법

Patent Citation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880001895A (ko) * 1986-07-21 1988-04-27 김현휘 콘크리트의 방수처리 시공법
JPH05340183A (ja) * 1992-06-04 1993-12-21 Uchida Yoshikazu 立て坑に防水層を設ける工法
JPH08246486A (ja) * 1995-03-07 1996-09-24 Masaru Kaida 地下壁外防水工法装置
JPH08269984A (ja) * 1995-03-28 1996-10-15 Toa Kensetsu Kk 外防水工法地下室の構築法
JPH1054046A (ja) * 1996-08-09 1998-02-24 Mitsuboshi Belting Ltd 地下防水構造および地下防水工法
KR19990023522A (ko) * 1997-08-11 1999-03-25 최정웅 지하실의 방습구조 및 방습공법
KR20010106813A (ko) * 2000-05-23 2001-12-07 송병창 콘크리트바탕의 내구성 향상 및 재생보수를 위한통기발수형 바닥 마감공법
KR20020046613A (ko) * 2000-12-15 2002-06-21 송병창 공간이 협소한 지하구조물 외방수방법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9441029A (zh) * 2018-12-20 2019-03-08 盐城工业职业技术学院 一种含拒水纤维夹层的中空防水保温建筑楼顶
CN109441029B (zh) * 2018-12-20 2024-05-07 盐城工业职业技术学院 一种含拒水纤维夹层的中空防水保温建筑楼顶
KR20220129171A (ko) 2021-03-16 2022-09-23 한국 전기안전공사 유중가스분석 반자동 퍼징 시스템 및 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WO2008131005A1 (en) Structural panels
KR20180109361A (ko) 복합 방수층 구조 및 그 시공 방법
KR20030000405A (ko) 발수포를 이용한 보강콘크리트 구조물 바닥의 외방수공법
WO2007143569A2 (en) Concrete form utilizing flexible material and methods of making and using the same
EP1739253A2 (en) Thermal insulating floor panel with reinforcement and supported floor structure
KR100878342B1 (ko) 지하시설물의 비노출식 방수 시공방법
KR200336955Y1 (ko) 이형 필름을 구비하는 방수 시트
KR101115082B1 (ko) 삽입방수층과 확장이음부를 갖는 일체형 시멘트몰탈 복합방수패널 및 그를 이용한 방수시공방법
KR20010073473A (ko) 지붕 마감구조, 아스팔트 시트 방수구조 및 이를 이용한공법
KR20200024978A (ko) 교면복합방수시트 및 이를 이용한 교면복합방수시공방법
JPH04155052A (ja) 露出歩行複合防水層
JP2000027940A (ja) 耐震マット
JPS6350338Y2 (ko)
JPH03176530A (ja) 構造体の支持面と該支持面に提供されるべき被覆層とを結合するための、変通自在なひび割れの広がりを防止する分離可能なウエブ型結合材料、該材料の使用方法及び該材料で形成された被覆層構築物
KR100757227B1 (ko) 방수시트
KR200313819Y1 (ko) 시트방수제
JP4584691B2 (ja) 防水シート付き無機質下地板の製造方法、防水シート付き無機質下地板及びその施工構造
JP2007144870A (ja) アラミド繊維積層板、及び該アラミド繊維積層板の貼り付け工法
JPS5832486Y2 (ja) コンクリ−ト建造物における断熱板支持用具
KR200207751Y1 (ko) 방수시트
JP2017082566A (ja) 透水材貼付型防水シート及びコンクリート構造物の構築工法
KR0142156B1 (ko) 콘크리트 상판의 보강공법
KR200163326Y1 (ko) 거푸집제작용적층판
DE10149403B4 (de) Zentrier- und Trennlage für Wand-Deckenknoten
JP2001317154A (ja) 複合板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