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99941Y1 - 다등용 전자식안정기 구동회로 - Google Patents

다등용 전자식안정기 구동회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99941Y1
KR200299941Y1 KR20-2002-0028298U KR20020028298U KR200299941Y1 KR 200299941 Y1 KR200299941 Y1 KR 200299941Y1 KR 20020028298 U KR20020028298 U KR 20020028298U KR 200299941 Y1 KR200299941 Y1 KR 200299941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iode
capacitor
voltage
parallel
preheat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2-0028298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장석숭
Original Assignee
장석숭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장석숭 filed Critical 장석숭
Priority to KR20-2002-0028298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99941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299941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99941Y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BELECTRIC HEATING; ELECTRIC LIGHT SOUR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IRCUIT ARRANGEMENTS FOR ELECTRIC LIGHT SOURCES, IN GENERAL
    • H05B41/00Circuit arrangements or apparatus for igniting or operating discharge lamps
    • H05B41/14Circuit arrangements
    • H05B41/26Circuit arrangements in which the lamp is fed by power derived from dc by means of a converter, e.g. by high-voltage dc
    • H05B41/28Circuit arrangements in which the lamp is fed by power derived from dc by means of a converter, e.g. by high-voltage dc using static converters
    • H05B41/295Circuit arrangements in which the lamp is fed by power derived from dc by means of a converter, e.g. by high-voltage dc using static converters with semiconductor devices and specially adapted for lamps with preheating electrodes, e.g. for fluorescent lamp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B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BUILDINGS, e.g. HOUSING, HOUSE APPLIANCES OR RELATED END-USER APPLICATIONS
    • Y02B20/00Energy efficient lighting technologies, e.g. halogen lamps or gas discharge lamps

Landscapes

  • Circuit Arrangements For Discharge Lamps (AREA)

Abstract

다등용 전자식안정기 구동회로에 대해 개시한다. 본 고안은, 밸러스트 제어부를 포함하는 전원제어회로(100)와, 상기 전원제어회로(100)의 구동신호에 따라 인가전압을 스위칭하는 스위칭부(200)와, 스위칭된 고주파전원을 부하에 인가하는 공진부(300)로 이루어진 다등용 전자식안정기 구동회로에 적용되는데, 공진부(300)는, 하나의 공진캐패시터(C5)에 적어도 2개 이상의 공진인덕터(CH1, CH2)를 병렬로 접속시키고, 이 공진인덕터(CH1, CH2) 이후에 접속되는 필라민트(FL1A, FL1B, FL2A, FL2B) 양단에 다이오드(D1, D2, D3, D4)를 접속시켜서 이루어진다. 본 고안에 따르면, 캐패시터 소자수의 감소로 인해 제조비용의 감소를 이룰 수 있으며, 기판 및 케이스의 크기를 콤팩트화시킬 수 있다. 뿐만 아니라 다이오드에 의해 반파로 충분한 예열을 진행할 수 있고, 왜곡없는 정현파를 공급하므로 형광등의 수명을 연장시킬 수 있다.

Description

다등용 전자식안정기 구동회로{Driver circuit of electronic ballast for lighting a majority of lamp}
본 고안은 다등용 전자식안정기 구동회로에 관한 것으로, 특히 다수개 연결된 형광등을 하나의 공진캐패시터로 점등에 필요한 스위칭 시간을 조절하는 다등용 전자식안정기 구동회로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형광램프 시스템에 사용되는 전자식안정기(밸러스트 제어기)는 다양한 주파수로 발진하는 오실레이터를 사용하여 예열(Preheating), 전광(Full Power) 및 조광(Dimming) 과정을 구현한다. 이 때, 전자식안정기에서 예열 과정을 진행하는 것은 형광램프 방전시 흑화현상을 방지하여 수명을 연장하기 위한 것이고, 조광 과정을 진행하는 것은 주위 조도 및 필요에 따라 형광램프의 밝기를 조절하여 효율적으로 전력을 사용하기 위한 것이다.
그러면, 여기서 종래의 전자식안정기에 대해 살펴보자.
도 1은 종래의 다등용 전자식안정기 구동회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1을 참조하면, 종래의 다등용 전자식안정기 구동회로는, 입력된 교류전압을 정류하여 직류전압으로 변환시키는 전원정류부와, 상기한 예열, 전광 및 조광 과정의 동작모드에 따라 발진주파수를 조절하여 구동신호를 발생시키는 밸러스트 제어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전원제어회로(10)와, 상기 전원제어회로(10)의 구동신호에 따라 인가전압을 스위칭하는 스위칭부(20)와, 스위칭된 고주파전원을 부하(제1 형광램프(LAMP1), 제2 형광램프(LAMP2))에 인가하는 공진부(30)로 크게 구성되어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전원정류부는, 도시되지는 않았으나, 상용 교류전원을 입력하여 정류하는 브릿지 다이오드와, 평활용 콘덴서의 통상적인 구성으로 이루어져 있으며, 밸러스트 제어부는 밸러스트 제어IC와 캐패시터 및 저항을 포함한 통상의 구성을 하고 있다. 그리고, 스위칭부(20)는 밸러스트 제어부의 구동신호를 전달하기 위해 연결한 1차 권선(A1)과 상기 1차 권선(A1)과 근접시켜 직류전압라인(S) 및 접지라인 사이에 형성시킨 2차 권선(A2, A3)으로 이루어진 제어트랜스와, 이 제어트랜스에 연결되어 구동신호에 따라 상호 교대로 온/오프 스위칭을 수행하는 제1 트랜지스터(Q1) 및 제2 트랜지스터(Q2)를 포함하여 구성되어 있다. 한편, 공진부(30)는, 2개의 형광램프가 연결되어 있을 경우에, 스위칭부(20)에 연결되는 제1 공진인덕터(CH1) 및 양단 필라민트에 게재시킨 제1 예열캐패시터(C1)와, 상기 제1 예열캐패시터(C1)와 직류전원라인(S) 사이에 연결되는 제1 공진캐패시터(C2)를 포함하여 구성됨과 아울러, 상기한 구성과 동일한 구성을 한 제2 공진인덕터(CH2), 제2 예열캐패시터(C3), 필라민트와 접지 사이에 마련되는 제2 공진캐패시터(C4)를 스위칭부(20)에 병렬로 접속시키고 있다.
이와 같이 구성된 종래의 다등용 전자식안정기의 동작에 대해 간단히 설명한다.
외부로부터 입력된 교류전압은 전원제어회로(10)에서 전파정류 및 캐패시터에 의한 직류화를 거쳐 직류전압라인(S)에 인가되게 된다. 상기 전원제어회로(10)의 밸러스트 제어IC의 스위칭에 의해 교대로 구동신호가 발생되어 제어트랜스의 1차 권선(A1)으로 출력된다. 이 구동신호는 동일 코어에 감긴 제어트랜스의 2차 권선(A2, A3)에 각각 유도되어 제1 트랜지스터(Q1) 및 제2 트랜지스터(Q2)를 교대로 온/오프시킨다. 이에 따라, 직류전압라인(S)의 부하전류는 도통된 제1 트랜지스터(Q1), 제1 공진인덕터(CH1)와 제2 공진인덕터(CH2), 제1 예열캐패시터(C1)와 제2 예열캐패시터(C3), 제1 공진캐패시터(C2)와 제2 공진캐패시터(C4)를 따라 흐르며 공진주파수로 공진한다.
이어서, 공진 반주기가 끝나기 전에 구동신호가 데드타임신호(1차 권선(A1) 양단)를 출력하면, 제1 트랜지스터(Q1) 및 제2 트랜지스터(Q2)는 동시에 ‘오프’된다. 이 때, 제2 트랜지스터(Q2)가 도통되어 전류공진 패스를 만들어 준다. 이 때, 1차 권선(A1)에 전류가 최초 방향의 반대방향으로 흐르게 되면, 2차 권선(A2)에 역방향의 전압이 인가되어 제1 트랜지스터(Q1)는 계속 ‘오프’시키고, 2차 권선(A3)에는 순방향의 전압이 인가되어 제2 트랜지스터(Q2)를 ‘온’시킨다. 이 때, 제2 트랜지스터(Q2)의 양단은 거의 영전압에 가깝게 된다. 따라서 영전압 스위칭을 구현하며, 이러한 영전압 스위칭에 의해 스위칭소자를 보호하고, 불필요한 전력소모를 방지한다. 이러한 동작은 구동신호에 따라 반복적으로 일어나게 된다.
그런데, 각 형광램프마다 각각 제1 공진캐패시터(C2), 제2 공진캐패시터(C4)를 각각 접속하여 해당 각 형광등의 점등이 이루어진다. 즉, 종래의 다등용 전자식안정기의 경우에는 형광등의 수량만큼 개별적으로 캐패시터(C2, C4)를 사용하였다. 이로 인해 소자, 즉 캐패시터(C2, C4) 소자의 증가로 인해 제조비용의 상승원인으로 작용하고 있었다. 뿐만 아니라, 각 캐패시터(C2, C4)의 용량 오차로 인해 스위칭시간의 오차가 발생하여 제1 트랜지스터(Q1)와 제2 트랜지스터(Q2)를 파괴하는 현상이 발생하였다. 그리고, 고조파함유율(ATHD)의 증대로 이를 해결하기 위해 전자파 차폐필터가 사용되어 제조비용이 상승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더불어, 캐패시터 소자수의 증대는 기판의 면적증대 및 케이스크기의 증대로 인해 슬림화하는데 어려움이 있었다.
따라서, 본 고안의 목적은 다수개 연결된 형광등의 점등에 필요한 스위칭 시간을 조절하는 공진캐패시터를 트랜지스터에 의해 스위칭이 이루어지는 스위칭부와 병렬로 연결된 각 형광등(필라민트) 사이에 공진캐패시터를 마련하여 동일한 스위칭 타임을 각 형광등에 제공하는 다등용 전자식안정기 구동회로를 제공하는데 있다.
도 1은 종래의 다등용 전자식안정기 구동회로를 나타낸 도면,
도 2는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의한 다등용 전자식안정기 구동회로를 나타낸 도면,
도 3은 본 고안의 변형예에 의한 다등용 전자식안정기 구동회로를 나타낸 도면이다.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0 : 전원제어회로 200 : 스위칭부
300 : 공진부
A1 : 1차 권선 A2, A3 : 2차 권선
Q1, Q2 : 트랜지스터 CH1, CH2 : 공진인덕터
D1, D2, D3, D4 : 다이오드 C1, C3 : 예열캐패시터
C5 : 공진캐패시터 C6 : 역기전력 저지용 캐패시터
FL1A, FL1B, FL2A, FL2B : 필라민트
본 도면의 설명에 있어서, 종래와 동일한 구성 및 동작을 수행하는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동일한 참조부호를 사용하기로 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해 설명한다.
도 2는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의한 다등용 전자식안정기 구동회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2를 참조하면, 본 고안에 의한 다등용 전자식안정기는 크게, 입력된 교류전압을 정류하여 직류전압으로 변환시키는 전원정류부와, 예열, 전광 및 조광과정의 동작모드에 따라 발진주파수를 조절하여 구동신호를 발생시키는 밸러스트 제어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전원제어회로(100)와, 상기 전원제어회로(100)의 구동신호에 따라 인가전압을 스위칭하는 스위칭부(200)와, 스위칭된 고주파전원을 부하(형광램프)에 인가하는 공진부(300)로 크게 구성되어 있다. 포괄적인 개념의 구성은 종래와 동일하지만 그 구체적인 구성은 서로 상이하다. 이를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
상기 전원정류부는, 도시되지는 않았으나, 상용 교류전원을 입력하여 정류하는 브릿지 다이오드와, 평활용 콘덴서의 통상적인 구성으로 이루어져 있으며, 밸러스트 제어부는 밸러스트 제어IC와 캐패시터 및 저항을 포함한 통상의 구성을 하고 있다. 그리고, 스위칭부(200)는 기본적으로 2개의 스위칭용 제1 트랜지스터(Q1) 및 제2 트랜지스터(Q2)와 1차 권선(A1)과 상기 1차 권선(A1)과 근접시켜 직류전압라인(S) 및 접지라인 사이에 형성시킨 2차 권선(A2, A3)으로 이루어진 제어트랜스로 이루어져 있다. 이 때, 상기 1차 권선(A1)은 제1 트랜지스터(Q1)의 이미터와 제2 트랜지스터(Q2)의 컬렉터와의 접점에 일단이 결합되고 상기 공진부(300)에 타단이 접속되어 있다. 이에 따라, 제1 트랜지스터(Q1)의 컬렉터 및 제2 트랜지스터(Q2)의 컬렉터 전류합이 1차 권선(A1)에 흐르게 된다.
한편, 공진부(300)는, 2개의 형광램프가 연결되어 있을 경우에, 상기 1차 권선(A1)의 타단에 일단이 결합된 공진캐패시터(C5)와, 상기 공진캐패시터(C5)의 타단에 병렬로 제1 공진인덕터(CH1) 및 제2 공진인덕터(CH2)의 일단을 접속시키고 있다. 이는 종래의 각 형광램프마다 캐패시터를 마련한 것과 비교하여 상기 공진캐패시터(C5) 하나를 통해 점등이 이루어지므로 캐패시터 소자수를 감소시키게 된다. 상기 제1 공진인덕터(CH1)의 타단에 일단이 접속되는 필라민트(FA1A)와, 이 필라민트(FA1A)와 병렬로 연결됨과 아울러 상기 제1 공진인덕터(CH1)에 캐소드를 접속시킨 제1 다이오드(D1)를 마련하고, 상기 필라민트(FA1A)의 타단 및 제1 다이오드(D1)의 애노드에 일단이 접속되는 제1 예열캐패시터(C2)를 마련하고, 상기 제1 예열캐패시터(C2)의 타단에 일단이 접속되는 필라민트(FA1B)와, 이 필라민트(FA1B)와 병렬로 연결됨과 아울러 상기 제1 예열캐패시터(C2)에 캐소드를 접속시키고 애노드는 접지시킨 제2 다이오드(D2)를 마련하고 있다. 한편, 상기 제2 공진인덕터(CH2)의 타단에 일단이 접속되는 필라민트(FA2A)와, 이 필라민트(FA2A)와 병렬로 연결됨과 아울러 상기 제2 공진인덕터(CH2)에 애노드를 접속시킨 제3 다이오드(D3)를 마련하고, 상기 필라민트(FA2A)의 타단 및 제3 다이오드(D3)의 캐소드에 일단이 접속되는 제2 예열캐패시터(C3)를 마련하고, 상기 제2 예열캐패시터(C3)의 타단에 일단이 접속되는 필라민트(FA2B)와, 이 필라민트(FA2B)와 병렬로 연결됨과 아울러 상기 제2 예열캐패시터(C3)에 애노드를 접속시키고 캐소드는 접지시킨 제4 다이오드(D4)를 마련하고 있다. 여기서, 상기 제1 다이오드(D1) 및 제3 다이오드(D3)는 필라민트(FL1A, FL2A)에 접속시, 그 결합방향을 임의로 선택할 수 있다. 즉, 제3 다이오드(D3)의 결합방향을 반대로 결합시킬 수 있다.
그리고, 일단은 상기 제1 트랜지스터(Q1)의 이미터와, 제2 트랜지스터(Q2)의 컬렉터, 그리고 2차 권선(A3)의 일단이 각각 공통으로 접속되는 접점과 상기 1차권선(A1) 사이에 접속되며, 타단은 직류전압라인(S)과 접속되는 역기전력 저지용 캐패시터(C6)를 더 형성시키고 있다.
도 3은 본 고안의 변형예에 의한 다등용 전자식안정기 구동회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3을 참조하면, 도 2에서 제시한 다등용 전자식안정기 구동회로와 비교하여 다른점은 상기 역기전력 저지용 캐패시터(C6)의 타단이 접지된다는 것이 다른점이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에 따른 다등용 전자식안정기의 작용효과를 상세히 설명한다. 도 3은 도 2와 동일한 동작원리가 적용되므로 도 2에서 제시한 다등용 전자식안정기의 구동회로를 위주로 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외부로부터 입력된 교류전압은 전원제어회로(100)에서 전파정류 및 캐패시터에 의한 직류화를 거쳐 직류전압라인(S)에 인가되게 된다. 상기 전원제어회로(100)의 밸러스트 제어IC의 스위칭에 의해 교대로 구동신호가 발생되어 제어트랜스의 1차 권선(A1)으로 출력된다. 이 구동신호는 동일 코어에 감긴 제어트랜스의 2차 권선(A2, A3)에 각각 유도되어 제1 트랜지스터(Q1) 및 제2 트랜지스터(Q2)를 교대로 온/오프시킨다. 이에 따라, 직류전압라인(S)의 부하전류는 도통된 제1 트랜지스터(Q1), 공진캐패시터(C5), 공진인덕터(CH1, CH2), 그리고 예열캐패시터(C1, C3)를 따라 흐르며 공진주파수로 공진한다. 이 때, 하나의 공진캐패시터에 의해 주파수 및 점등 시간이 동일하여 점등에 따른 스위칭시간이 동일하게 이루어진다. 이어서, 공진 반주기가 끝나기 전에 구동신호가 데드타임신호(1차 권선(A1) 양단)를 출력하면, 제1 및 제2 스위칭소자(Q1, Q2)는 동시에 ‘오프’된다. 이 때, 제2 트랜지스터(Q2)가 도통되어 전류공진 패스를 만들어 준다. 이 때, 1차 권선(A1)에 전류가 최초 방향의 반대방향으로 흐르게 되면, 2차 권선(A2)에 역방향의 전압이 인가되어 제1 트랜지스터(Q1)는 계속 ‘오프’시키고, 2차 권선(A3)에는 순방향의 전압이 인가되어 제2 트랜지스터(Q2)를 ‘온’시킨다. 이 때, 제2 트랜지스터(Q2)의 양단은 거의 영전압에 가깝게 된다. 따라서 영전압 스위칭을 구현하며, 이러한 영전압 스위칭에 의해 스위칭소자를 보호하고, 불필요한 전력소모를 방지한다. 이러한 동작은 구동신호에 따라 반복적으로 일어나게 된다. 한편, 제1 트랜지스터와 제2 트랜지스터의 교번적인 스위칭에 의해 권선에서 발생되는 역기전력을 역기전력 저지용 캐패시터(C6)가 저지하게 된다. 이와 같이 제1 트랜지스터(Q1)와 제2 트랜지스터(Q2)의 교번적으로 이루어지는 스위칭동작에 의해 공진부(300)로 인가되는 고주파전압의 주파수가 공진부(300)의 공진인덕터(CH1)와 공진캐패시터(C1)로 이루어진 공진회로의 공진주파수와 같아지는 순간에 고전압이 발생되어 형광램프가 점등된다. 한편, 상기 제1 트랜지스터(Q1)와 제2 트랜지스터(Q2)의 스위칭에 의해 발생되는 구형파는 공진부(300)의 공진인덕터(CH1)와 공진캐패시터(C1)에 의해 정현파를 변화되는데, 이 때 변화된 정현파에서 반파만을 통과시키는 다이오드(D1, D2, D3, D4)를 이용하여 필라민트(FL1A, FL1B, FL2A, FL2B)를 예열시킨다. 이에 따라, 형광램프의 특성상 고전압을 필요로 하여 초기 점등시 필라민트(FL1A, FL1B, FL2A, FL2B)에 무리를 주지 않게 되는 것이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다등용 전자식안정기 구동회로는, 캐패시터 소자수의 감소로 인해 제조비용의 감소를 이룰 수 있으며, 기판 및 케이스의 크기를 콤팩트화시킬 수 있다. 게다가 필라민트에 접속된 다이오드에 의해 충분한 예열 및 정현파가 공급되므로 형광등의 수명을 연장시킬 수 있을 뿐만 아니라, 형광등의 안정화로 인해 시각적인 안정을 향상시킬 수 있다.
본 고안은 상술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으며, 본 고안의 기술적 사상 내에서 당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하여 많은 변형이 가능함은 명백할 것이다.

Claims (4)

  1. 입력된 교류전압을 정류하여 직류전압으로 변환시키는 전원정류부와, 예열, 전광 및 조광 과정의 동작모드에 따라 발진주파수를 조절하여 구동신호를 발생시키는 밸러스트 제어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전원제어회로(100)와, 상기 전원제어회로(100)의 구동신호에 따라 인가전압을 스위칭하기 위해 1차 권선(A1)과 2차 권선(A2, A3), 직류전압라인(S)과 접지 사이에 마련된 제1 스위칭소자(Q1)와 제2 스위칭소자(Q2)를 포함하는 스위칭부(200)와, 스위칭된 고주파전원을 양측 필라민트를 포함하는 부하에 인가하는 공진부(300)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다등용 전자식안정기 구동회로에 있어서,
    상기 공진부(300)는,
    점등 스위칭시간 시정수값을 동일하게 제공하는 하나의 공진캐패시터의 일단을 상기 1차 권선(A1)의 일단에 접속시키고,
    병렬로 접속된 다수개 공진인덕터의 일단을 상기 공진캐패시터의 타단에 접속시키며,
    제1 다이오드와 일측 필라민트를 병렬접속하여 상기 제1 다이오드와 일측 필라민트의 일단을 어느 하나의 공진인덕터의 타단에 접속시키고, 상기 제1 다이오드와 일측 필라민트의 타단을 예열캐패시터의 일단에 접속시키며, 제2 다이오드와 타측 필라민트를 병렬접속하여 상기 제2 다이오드와 타측 필라민트의 일단을 상기 예열캐패시터의 타단에 접속시키고, 상기 제2 다이오드와 타측 필라민트의 타단을 직류전압라인(S)에 접속시키며,
    역기전력 저지용 캐패시터를 상기 1차 권선 타단에 일단을 접속시키고 타단은 상기 직류전압라인(S)에 접속시켜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등용 전자식안정기 구동회로.
  2. 입력된 교류전압을 정류하여 직류전압으로 변환시키는 전원정류부와, 예열, 전광 및 조광 과정의 동작모드에 따라 발진주파수를 조절하여 구동신호를 발생시키는 밸러스트 제어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전원제어회로(100)와, 상기 전원제어회로(100)의 구동신호에 따라 인가전압을 스위칭하기 위해 1차 권선(A1)과 2차 권선(A2, A3), 직류전압라인(S)과 접지 사이에 마련된 제1 스위칭소자(Q1)와 제2 스위칭소자(Q2)를 포함하는 스위칭부(200)와, 스위칭된 고주파전원을 양측 필라민트를 포함하는 부하에 인가하는 공진부(300)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다등용 전자식안정기 구동회로에 있어서,
    상기 공진부(300)는,
    점등 스위칭시간 시정수값을 동일하게 제공하는 하나의 공진캐패시터의 일단을 상기 1차 권선(A1)의 일단에 접속시키고,
    병렬로 접속된 다수개 공진인덕터의 일단을 상기 공진캐패시터의 타단에 접속시키며,
    제1 다이오드와 일측 필라민트를 병렬접속하여 상기 제1 다이오드와 일측 필라민트의 일단을 어느 하나의 공진인덕터의 타단에 접속시키고, 상기 제1 다이오드와 일측 필라민트의 타단을 예열캐패시터의 일단에 접속시키며, 제2 다이오드와 타측 필라민트를 병렬접속하여 상기 제2 다이오드와 타측 필라민트의 일단을 상기 예열캐패시터의 타단에 접속시키고, 상기 제2 다이오드와 타측 필라민트의 타단을 접지시키며,
    역기전력 저지용 캐패시터를 상기 1차 권선 타단에 일단을 접속시키고 타단은 접지시켜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등용 전자식안정기 구동회로.
  3. 입력된 교류전압을 정류하여 직류전압으로 변환시키는 전원정류부와, 예열, 전광 및 조광 과정의 동작모드에 따라 발진주파수를 조절하여 구동신호를 발생시키는 밸러스트 제어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전원제어회로(100)와, 상기 전원제어회로(100)의 구동신호에 따라 인가전압을 스위칭하기 위해 1차 권선(A1)과 2차 권선(A2, A3), 직류전압라인(S)과 접지 사이에 마련된 제1 스위칭소자(Q1)와 제2 스위칭소자(Q2)를 포함하는 스위칭부(200)와, 스위칭된 고주파전원을 부하에 인가하는 공진부(300)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다등용 전자식안정기 구동회로에 있어서,
    상기 공진부(300)는,
    점등 스위칭시간 시정수값을 동일하게 제공하는 하나의 공진캐패시터(C5)의 일단을 상기 1차 권선(A1)의 일단에 접속시키고,
    병렬로 접속된 적어도 2개 이상의 공진인덕터(CH1, CH2)의 일단을 상기 공진캐패시터(C5)의 타단에 접속시키며,
    다이오드(D1)와 필라민트(FA1A)를 병렬접속함과 아울러 다이오드(D1)의 캐소드 및 필라민트(FA1A)의 일단을 상기 공진인덕터(CH1)의 타단에 접속시키고, 상기 다이오드(D1)의 애노드 및 필라민트(FA1A)의 타단을 예열캐패시터(C1) 일단에 접속시키며, 다이오드(D2)와 필라민트(FA1B)를 병렬접속함과 아울러 다이오드(D2)의 캐소드 및 필라민트(FA1B)의 일단을 상기 예열캐패시터(C1) 타단에 접속시키고, 상기 다이오드(D2)의 애노드 및 필라민트(FA1B)의 타단을 직류전압라인(S)에 접속시키며,
    다이오드(D3)와 필라민트(FA2A)를 병렬접속함과 아울러 다이오드(D2)의 애노드 및 필라민트(FA2A)의 일단을 상기 공진인덕터(CH2)의 타단에 접속시키고, 상기 다이오드(D3)의 캐소드 및 필라민트(FA2A)의 타단을 예열캐패시터(C3) 일단에 접속시키며, 다이오드(D4)와 필라민트(FA2B)를 병렬접속함과 아울러 다이오드(D4)의 애노드 및 필라민트(FA2B)의 일단을 상기 예열캐패시터(C3) 타단에 접속시키고, 상기 다이오드(D4)의 캐소드 및 필라민트(FA2B)의 타단을 직류전압라인(S)에 접속시키며,
    역기전력 저지용 캐패시터(C6)를 상기 1차 권선 타단에 일단을 접속시키고 타단은 상기 직류전압라인(S)에 접속시켜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등용 전자식안정기 구동회로.
  4. 입력된 교류전압을 정류하여 직류전압으로 변환시키는 전원정류부와, 예열, 전광 및 조광 과정의 동작모드에 따라 발진주파수를 조절하여 구동신호를 발생시키는 밸러스트 제어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전원제어회로(100)와, 상기 전원제어회로(100)의 구동신호에 따라 인가전압을 스위칭하기 위해 1차 권선(A1)과 2차 권선(A2, A3), 직류전압라인(S)과 접지 사이에 마련된 제1 스위칭소자(Q1)와 제2 스위칭소자(Q2)를 포함하는 스위칭부(200)와, 스위칭된 고주파전원을 부하에 인가하는 공진부(300)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다등용 전자식안정기 구동회로에 있어서,
    상기 공진부(300)는,
    점등 스위칭시간 시정수값을 동일하게 제공하는 하나의 공진캐패시터(C5)의 일단을 상기 1차 권선(A1)의 일단에 접속시키고,
    병렬로 접속된 적어도 2개 이상의 공진인덕터(CH1, CH2)의 일단을 상기 공진캐패시터(C5)의 타단에 접속시키며,
    다이오드(D1)와 필라민트(FA1A)를 병렬접속함과 아울러 다이오드(D1)의 캐소드 및 필라민트(FA1A)의 일단을 상기 공진인덕터(CH1)의 타단에 접속시키고, 상기 다이오드(D1)의 애노드 및 필라민트(FA1A)의 타단을 예열캐패시터(C1) 일단에 접속시키며, 다이오드(D2)와 필라민트(FA1B)를 병렬접속함과 아울러 다이오드(D2)의 캐소드 및 필라민트(FA1B)의 일단을 상기 예열캐패시터(C1) 타단에 접속시키고, 상기 다이오드(D2)의 애노드 및 필라민트(FA1B)의 타단을 접지시키며,
    다이오드(D3)와 필라민트(FA2A)를 병렬접속함과 아울러 다이오드(D2)의 애노드 및 필라민트(FA2A)의 일단을 상기 공진인덕터(CH2)의 타단에 접속시키고, 상기 다이오드(D3)의 캐소드 및 필라민트(FA2A)의 타단을 예열캐패시터(C3) 일단에 접속시키며, 다이오드(D4)와 필라민트(FA2B)를 병렬접속함과 아울러 다이오드(D4)의 애노드 및 필라민트(FA2B)의 일단을 상기 예열캐패시터(C3) 타단에 접속시키고, 상기 다이오드(D4)의 캐소드 및 필라민트(FA2B)의 타단을 접지시키며,
    역기전력 저지용 캐패시터(C6)를 상기 1차 권선 타단에 일단을 접속시키고 타단은 접지시켜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등용 전자식안정기 구동회로.
KR20-2002-0028298U 2002-09-19 2002-09-19 다등용 전자식안정기 구동회로 KR200299941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2-0028298U KR200299941Y1 (ko) 2002-09-19 2002-09-19 다등용 전자식안정기 구동회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2-0028298U KR200299941Y1 (ko) 2002-09-19 2002-09-19 다등용 전자식안정기 구동회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99941Y1 true KR200299941Y1 (ko) 2003-01-06

Family

ID=4939810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2-0028298U KR200299941Y1 (ko) 2002-09-19 2002-09-19 다등용 전자식안정기 구동회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99941Y1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593241B2 (en) Hybrid power supply system
KR950000803B1 (ko) 방전등(放電橙) 점등장치
KR100724155B1 (ko) 일단형 pfc와 전력 변환기 회로
KR20130079239A (ko) 영 전압 스위칭 압전구동회로
JP2001513253A (ja) 並列貯蔵直列駆動電子安定器
KR100306972B1 (ko) 전자식 안정기
WO2006001220A1 (ja) 放電灯点灯回路
KR19990083245A (ko) 방전램프점등장치및조명장치
JP4125120B2 (ja) Lcd装置及びlcdバックライト用インバータ回路
KR200299941Y1 (ko) 다등용 전자식안정기 구동회로
JP2011030310A (ja) 電源装置および照明器具
JPH0896979A (ja) グロー・ランプ制御回路
JP2008524787A (ja) 高輝度放電安定器
US20010033141A1 (en) Switching device
JP3608208B2 (ja) 放電灯点灯装置
KR100404156B1 (ko) 전자식안정기의 파형정형장치
KR200236025Y1 (ko) 전자식안정기의 예열제어장치
JP3518230B2 (ja) 点灯装置
KR200383107Y1 (ko) 하이브리드 전원시스템
JP3614011B2 (ja) インバータ装置
JPH11307289A (ja) 放電灯点灯装置
JPH0751759Y2 (ja) 放電灯点灯装置
JPH11273888A (ja) 無電極放電灯点灯装置
JP2000348892A (ja) 放電灯点灯装置
JP2000123986A (ja) 放電灯点灯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T201 Request for technology evaluation of utility model
T701 Written decision to grant on technology evaluation
G701 Publication of correc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60614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